KR102486628B1 -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628B1
KR102486628B1 KR1020220127000A KR20220127000A KR102486628B1 KR 102486628 B1 KR102486628 B1 KR 102486628B1 KR 1020220127000 A KR1020220127000 A KR 1020220127000A KR 20220127000 A KR20220127000 A KR 20220127000A KR 102486628 B1 KR102486628 B1 KR 102486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urface treatment
carbonate compound
im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진
황인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클레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클레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클레틱
Priority to KR1020220127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6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15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과산화수소 60 내지 120중량부; 수산화나트륨 100 내지 150중량부; 수산화칼륨 30 내지 120중량부; 수산화칼슘 30 내지 120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 20 내지 80중량부; β-글리세로포스 페이트 20 내지 60중량부; 에틸렌글리콜 100 내지 150중량부; 및 물 20,000 내지 50,000중량부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제 조성물, 특정적으로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은 치과 임플란트를 화학적으로 표면처리하여 임플란트의 표면이 나노미터 크기의 요철 형태를 갖게 함으로써, 증가된 표면적으로 인하여 젖음성 및 접합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균의 억제 및 인공골세포로의 분화를 촉진시킬 수 있고, 강산 등의 화합물질을 포함하지 않아 환경친화적이며, 이들 물질의 표면 잔류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생체적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 방법{Surface Treatment Composition for Dental Implant and Surface Treatment Method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과 임플란트를 화학적으로 표면처리하여 임플란트의 표면이 나노미터 크기의 요철 형태를 갖게 함으로써 증가된 표면적으로 인하여, 젖음성 및 접합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생체이식용 금속 또는 합금은 세라믹스 및 고분자와 같은 재료는 다른 재료에 비해 강도, 피로저항성 및 성형가공성이 우수하여 현재까지도 골 결손 및 회손 부위의 재생 및 치료를 목적으로, 치과, 정형외과 및 성형외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생체 재료이다.
금속 또는 합금은 철, 크롬, 니켈, 스테인레스강, 코발트계 합금, 티타늄, 티타늄 합금, 지르코늄, 니오븀, 탄탈륨, 금, 은 등이 있으며, 이들 중에서도 다른 금속재료에 비해 내식성이 우수하고 인체 조직 내에서도 안정한 티타늄 및 티타늄 합금 등이 치과용, 정형외과 및 성형외과용 임플란트 소재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치과 임플란트는 인공치아로서 나사 모양으로 인체에 식립되어지는 뿌리에 해당하는 인공치근과 인공치관인 크라운 그리고 인공치근과 인공치관을 연결하는 상부 구조물인 지대주(어바트먼트)로 이루어지며, 통상 지대주를 임플란트라고 하는데. 이러한 임플란트는 기성 임플란트, 맞춤 임플란트, 샘플 임플란트 등 생산 또는 사용목적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되어 사용되고 있다,
지난 수년간 체내에 삽입시 조직 내에서의 적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금속 또는 합금의 표면적을 늘리고 표면 형상(surface topography)을 변화시키거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표면처리를 통해 골융합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골융합은 환자 고유의 골조직과 삽입된 임플란트 사이의 직접적 및 기능적 결합을 의미하며 골조직과 임플란트 표면의 견고한 융합은 체내에서 임플란트의 지속성을 향상시켜 장시간 임상적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1990년대 이후, 골조직과의 융합을 향상시키고 금속 또는 합금 임플란트 주위의 골 흡수를 최소화하며 주변 연조직과의 친화성 및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표면 개질이 꾸준히 시도되고 있다. 특히 가장 널리 사용되는 티타늄 및 티타늄 합금에 대한 대표적인 표면처리 방법으로는 금속비즈신터링(V. Amigo et al., J. Mater. Process. Technol., 2003, 141(1): 117-122), 블라스팅 및 산처리(J. E. Feighan et al., J. Bone Joint Surg. Am., 1995, 77(9): 1380-1395), 알칼리 침지 및 열처리(H. M. Kim et al., J. Mater. Sci. Mater. Med., 1997, 8(6): 341-347).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코팅(C. Popa et al., J. Mater. Sci. Mater. Med., 2005, 16(12): 1165-1171). 양극산화법(S. H. Lee et al., J. Kor. Acad. Prosthodont., 2007, 45(1): 85-97), 이온주입법(T. R. Rautray et al., J. Biomed. Mater. Res. B Appl. Biomater., 2010, 93(2): 581-591) 등이 있으며, 최근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SLA(sandblasted, large grit, acid etched) 방법이다.
상기 SLA 방법은 세라믹 입자를 티타늄 합금 표면에 분사처리(large grit sand blasting)하여 큰 마이크로미터 규모의 거칠기(micro-roughness)를 형성한 후, 산 부식(acid etching)을 통하여 작은 마이크로미터 규모의 거칠기를 추가로 형성시킴으로써 표면적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SLA 표면처리의 특징은 표면에 형성된 다양한 크기의 마이크로미터 규모의 기공들이 스폰지-유사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여 신생골과의 초기 고정력이 우수하고 골유착이 용이하며, 치유 후에도 골유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분사처리한 세라믹 입자(알루미나 또는 수산화인회석(hydroxyapatite; HA))가 표면에 잔류하여 오염물질로 작용할 수 있으며, 강산으로 처리 후 화학물질이 표면에 잔류하거나, 금속입자의 경계면에서 파절을 보이는 등의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강산으로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므로 인체에 유해하고 환경오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표면처리 후 티타늄 표면에 잔류하는 화학물질을제거하기 위해 수십 번의 수세공정을 필요로 하므로 에너지 낭비의 원인이 되어 임플란트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등의 단점을 갖는다.
한편, 치과용 임플란트의 질(quality)은 표면의 화학적, 물리적, 기계적, 지형적 특성에 의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표면지형학(surface topography)은 세포의 성장, 조골세포의 변화 및 골조직 형성에 영향을 주며,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는 세포의 이동 및 증식에 영향을 주고, 표면 화학(surface chemistry)은 단백질 흡착 및 세포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티타늄 표면에 형성된 매크로 수준의 거칠기(macroroughness, 수십 마이크로미터 내지 수 밀리미터의 거칠기)는 나사선을 갖는 임플란트의 기하학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으며, 임플란트의 표면에 이러한 매크로 수준의 거칠기가 적절히 형성된 경우, 임플란트의 초기 고정력 및 연장된 물리적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 표면과 주위 조직과의 기계적 결합(mechanical interlocking)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티타늄 표면에 형성된 마이크로미터 수준의 거칠기(micro-roughness, 수백 나노미터 내지 수십 마이크로미터 수준의 거칠기)는 임플란트의 표면과 미네랄화된 골과의 결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나아가, 나노미터 수준의 거칠기(nano-roughness, 수 나노미터 내지 수십 나노미터 수준의 거칠기) 및 나노스케일의 지형학(nanoscale topography)은 임플란트 표면의 단백질 흡착, 조골세포의 점착 및 골유착(osseointegration) 속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상기 나노미터 수준의 거칠기 및 지형학은 표면 에너지를 증가시켜 임플란트 표면의 젖음성(wettability)을 개선하고 세포의 점착 및 단백질 기질과 피브린(fibrin) 결합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조골세포의 분화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임플란트, 특정적으로 티타늄 합금 임플란트의 물리적 및 화학적 표면처리방법은 나노미터 수준의 거칠기를 부여할 수 없으며, 최근 산과 과산화수소를 혼합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산화에칭함으로써 티타늄 합금 표면에 나노미터 수준의 패턴을 부여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강산의 사용으로 인한 위험성이 높고, 처리과정에서 유해물질에 노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무엇보다도 만족할만한 나노미터 수준의 패턴의 제조에 한계를 나타내었다(F. Vetrone et al., Nano Lett., 2009, 9(2): 659-665).
한편, 국내 공개특허 제2021-0128970호에는 임플란트의 표면을 기계적으로 연마하여 열처리하는 임플라트의 표면처리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기계적 처리방법에 의한 것으로, 작업성이 떨어지고 비용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치과용 임플란트를 화학적으로 표면처리하여 임플란트의 표면이 나노미터 크기의 요철 형태를 갖게 함으로써 증가된 표면적으로 인하여, 젖음성 및 접합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균의 억제 및 인공골세포로의 분화를 촉진시킬 수 있고, 강산 등의 화합물질을 포함하지 않아 환경친화적이며, 이들 물질의 표면 잔류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생체적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과산화수소 60 내지 120중량부;
수산화나트륨 100 내지 150중량부;
수산화칼륨 30 내지 120중량부;
수산화칼슘 30 내지 120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 20 내지 80중량부;
β-글리세로포스 페이트 20 내지 60중량부;
에틸렌글리콜 100 내지 150중량부; 및
물 20,000 내지 50,000중량부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과산화수소 60 내지 120중량부, 수산화나트륨 100 내지 150중량부, 수산화칼륨 30 내지 120중량부, 수산화칼슘 30 내지 120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 20 내지 80중량부, β-글리세로포스 페이트 20 내지 60중량부, 에틸렌글리콜 100 내지 150중량부, 및 물 20,000 내지 50,000중량부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준비하는 준비단계; 및
상기 준비단계가 종료된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에 임플란트를 침적하여 에칭하는 에칭단계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표면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제 조성물, 특정적으로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은 치과 임플란트를 화학적으로 표면처리하여 임플란트의 표면이 나노미터 크기의 요철 형태를 갖게 함으로써, 증가된 표면적으로 인하여 젖음성 및 접합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균의 억제 및 인공골세포로의 분화를 촉진시킬 수 있고, 강산 등의 화합물질을 포함하지 않아 환경 친화적이며, 이들 물질의 표면 잔류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생체적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실험의 티타늄 임플란트의 화학적 처리 전의 표면상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실험의 티타늄 임플란트의 화학적 처리 후의 표면상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실험의 티타늄 임플란트의 화학적 처리 전의 접촉각을 나타나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실험의 티타늄 임플란트의 화학적 처리 후의 접촉각을 나타나내는 도면
도 5는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실험의 티타늄 임플란트의 화학적 처리 후의 표면 거칠기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 가지 관점에서, 본 발명은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과산화수소 60 내지 120중량부; 수산화나트륨 100 내지 150중량부; 수산화칼륨 30 내지 120중량부; 수산화칼슘 30 내지 120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 20 내지 80중량부; β-글리세로포스 페이트 20 내지 60중량부; 에틸렌글리콜 100 내지 150중량부; 및 물 20,000 내지 50,000중량부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과산화수소 60 내지 120중량부, 수산화나트륨 100 내지 150중량부, 수산화칼륨 30 내지 120중량부, 수산화칼슘 30 내지 120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 20 내지 80중량부, β-글리세로포스 페이트 20 내지 60중량부, 에틸렌글리콜 100 내지 150중량부, 및 물 20,000 내지 50,000중량부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준비하는 준비단계; 및 상기 준비단계가 종료된 치과 임플란트 표면처리제 조성물에 임플란트를 침적하여 에칭하는 에칭단계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표면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제 조성물, 특정적으로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은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특정적으로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화학적인 처리방법, 특정적으로 에칭방법으로 표면처리하여 그 표면에 나노미터 크기의 거칠기 패턴을 형성하여 거칠기가 마이크로미터 수준의 스폰지와 유사한 네트워크 구조 및/또는 나노스케일의 연속 또는 불연속 선 형태의 열린 채널구조의 요철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표면처리제 조성물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카보네이트 화합물은 후술하는 과산화수소가 서로 혼합되어 pH가 상승함과 동시에 임플란트, 특정적으로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임플란트에서 발생된 금속이온 및 카보네이트와 과산화수소가 반응하여 산화력이 강한 하이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s), 퍼하이드록실 라디칼(perhydroxyl radical),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superoxide anion radical)이 발생하여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 등의 임플란트 표면을 강하게 에칭시킴으로써, 마이크로미터 및 나노미터 크기의 요철구조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 처리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카보네이트 화합물 외 나머지 성분들의 함량은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카보네이트 화합물은 사용량에 따라 표면 처리제 조성물의 pH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전체적인 표면처리제 조성물의 pH는 8 내지 12의 범위를 갖도록 하는 것이 좋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한 카보네이트 화합물은 바이카보네이트, 카보네이트 화합물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바이카보네이트는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포타슘 바이카보네이트, 마그네슘 바이카보네이트, 칼슘 바이카보네이트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특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이카보네이트는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NaHCO3), 포타슘 바이카보네이트(KHCO3), 마그네슘 바이카보네이트(Mg(HCO3)2) 및 칼슘 바이카보네이트(Ca(HCO3)2)가 1;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추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보네이트 화합물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카보네이트 화합물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카본산(H2CO3), 칼슘 카보네이트(CaCO3), 리튬 카보네이트(Li2CO3), 나트륨 카보네이트(Na2CO3), 포타슘 카보네이트(K2CO3), 루비듐 카보네이트(Rb2CO3), 세슘 카보네이트(Cs2CO3), 바륨 카보네이트(BaCO3), 베릴륨 카보네이트(BeCO3), 망간 카보네이트(MnCO3), 철 카보네이트(FeCO3), 코발트 카보네이트(CoCO3), 니켈 카보네이트(NiCO3), 구리 카보네이트(CuCO3), 은 카보네이트(Ag2CO3), 아연 카보네이트(ZnCO3), 카드뮴 카보네이트(CdCO3), 알루미늄 카보네이트(Al2(CO3)3), 탈륨 카보네이트(Tl2CO3), 납 카보네이트(PbCO3), 란타늄 카보네이트(La2(CO3)3), 암모늄 카보네이트((NH4)2CO3)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과산화수소는 상기 카보네이트 화합물을 구성하는 카보네이트와 반응하여 강력한 산화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과산화수소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 사용량은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60 내지 120중량부인 것이 좋다.
특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과산화수소는 고체 과산화수소와 요소 과산화수소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과산화수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산화나트륨(NaOH)은 표면처리제 조성물에 알칼리성을 제공하여 화학적인 표면처리, 즉 에칭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그 사용량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지만, 추천하기로는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0 내지 15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수산화칼륨(KOH)은 표면처리제 조성물에 알칼리성을 제공하여 화학적인 표면처리, 즉 에칭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그 사용량은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30 내지 12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수산화칼슘(Ca(OH)2)은 표면처리제 조성물에 알칼리성을 제공하여 화학적인 표면처리, 즉 에칭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표면처리 대상물인 인플란트의 표층을 소독하고, 항균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사용량은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30 내지 12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수산화마그네슘(Mg(OH)2)은 표면처리제 조성물에 알칼리성을 제공하여 화학적인 표면처리, 즉 에칭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그 사용량은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20 내지 8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β-글리세로포스 페이트(β-glycerophosphate)는 통상 치수가 우식이나 외상 또는 치과치료중 가역적인 손상을 받았을 때, 치료방법으로 사용되는 치수복조제 조성물 등에도 적용되는 적용되는 것으로서, 표면처리제 조성물에 임플란트의 생체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사용량은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20 내지 60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은 표면처리제 조성물에 포함된 구성물이 뭉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분산되어 화학적 표면처리가 보다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한 에틸렌글리콜의 사용량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지만, 추천하기로는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0 내지 150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은 표면처리제 조성물의 용매로써 작용하는 것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증류수를 사용할 것을 추전한다.
바람직한 물의 사용량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지만, 추천하기로는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20,000 내지 50,000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제 조성물, 특정적으로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적용하기 위한 표면처리 대상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임플란트(implant), 특정적으로 치과 임플란트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특히, 상기 임플란트는 이식물 또는 삽입물이라고도 하며, 소실된 생물학적 조직을 대체하거나, 손상된 생물학적 조직을 지지하거나, 조직으로서 동작하기 위하여 제조된 인공장치(man-mad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의 표면은 신체(body)와 접촉하므로 티타늄, 실리콘 또는 인회석과 같은 의료용 재료(biomedical material)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는 체내에 삽입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만큼, 감염, 염증 및 통증과 같은 부작용을 수반할 수 있다. 또한, 체내 삽입시 이물질로 인식되어 거부반응을 일으키거나, 응고 또는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소재를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는 순수한 티타늄 금속 또는 티타늄 금속을 주로 함유하는 합금 재질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티타늄 합금은 알루미늄(aluminum; Al), 탄탈륨(tantalium; Ta), 니오븀(niobium;Nb), 바나듐(vanadium; Va), 지르코늄(zirconium; Zr), 주석(tin; Sn), 몰리브덴(molybdenum; Mo), 규소(silicon; Si), 금(gold; Au), 팔라듐(palladium; Pd), 구리(copper; Cu), 백금(platinum; Pt) 및 은(silver; Ag)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티타늄을 주로 함유하고 일종 이상의 다른 금속을 포함하는 합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과 바나듐을 포함하는 합금; 알루미늄과 니오븀을 포함하는 합금; 니오븀과 지르코늄을 포함하는 합금; 알루미늄, 몰리브덴 및 바나듐을 포함하는 합금; 알루미늄, 바나듐 및 주석을 포함하는 합금; 니오븀, 탄탈륨 및 지르코늄을 포함하는 합금; 니오븀, 탄탈륨 및 주석을 포함하는 합금; 니오븀, 탄탈륨 및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합금; 알루미늄, 지르코늄, 몰리브덴 및 규소를 포함하는 합금; 알루미늄, 주석, 지르코늄, 몰리브덴 및 규소를 포함하는 합금; 알루미늄, 주석, 지르코늄, 니오븀, 몰리브덴 및 규소를 포함하는 합금; 알루미늄, 몰리브덴, 주석 및 규소를 포함하는 합금; 알루미늄, 주석, 지르코늄 및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합금; 알루미늄, 바나듐, 크롬, 지르코늄 및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합금; 몰리브덴, 니오븀, 알루미늄 및 규소를 포함하는 합금; 바나듐, 크롬, 주석 및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합금; 또는 팔라듐과의 합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합금의 일례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는 특정적으로 Ti-6Al-4V, Ti-6Al-7Nb, Ti-30Nb, Ti-13Nb-13zr, Ti-15Mo, Ti-35.3Nb-5.1Ta-7.1Zr, Ti-9Nb-13Ta-4.6Zr, Ti-29Nb-13Ta-2Sn, Ti-29Nb-13Ta-4.6Sn, i-29Nb-13Ta-6Sn, 및 Ti-16Nb-13Ta-4Mo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제 조성물, 특정적으로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은 하기의 특정 양태로 실시되는 부가물을 1종 또는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제 조성물, 특정적으로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은 표면처리 대상물에 내식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중불화암모늄 용융액(molten ammonium bifluoride)을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특정 양태로서, 표면처리제 조성물은 표면처리 대상물, 특정적으로 임플란트에 망가니즈 이온을 제공하기 위하여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아세트산 망가니즈(Manganese acetate)를 0.1 내지 2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표면처리제 조성물은 표면처리 대상물, 특정적으로 임플란트에 뼈의 구성원소인 칼슘을 제공하여 구강환경에 안정성 및 양호한 생활성(bioactivity)을 제공하기 위하여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칼슘아세테이트(Calcium acetate)를 0.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표면처리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산도를 유지하고, 표면처리 대상물이 알카리성으로 변하여 임플란트 표면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과망간산칼륨(Potassium permanganate)을 0.1 내지 2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표면처리제 조성물은 임플란트 표면의 기공을 확대시키고, 부식저항성 및 생체적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플루오린화나트륨(NaF)을 0.1 내지 1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표면처리제 조성물은 보습성을 향상시켜 임플란트 표면의 노화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글리세롤(glycerol)을 0.1 내지 1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표면처리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점도조절을 위하여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lcellulose)를 0.1 내지 2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제 조성물, 특정적으로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의 표면처리 방법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표면처리 방법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과산화수소 60 내지 120중량부, 수산화나트륨 100 내지 150중량부, 수산화칼륨 30 내지 120중량부, 수산화칼슘 30 내지 120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 20 내지 80중량부, β-글리세로포스 페이트 20 내지 60중량부, 에틸렌글리콜 100 내지 150중량부, 및 물 20,000 내지 50,000중량부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준비하는 준비하는 준비단계; 및
상기 준비단계가 종료된 치과 임플란트 표면처리제 조성물에 임플란트를 침적하여 에칭하는 에칭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에칭하는 단계는 pH 8 내지 12 범위에서 50 내지 60℃의 온도범위로 1분 내지 12 시간 동안 에칭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칭하는 단계는 이후에 여분의 에칭 조성물, 특정적으로 표면처리제 조성물에 잔존하는 여분의 에칭 조성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세하는 수세단계를 부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면 처리된 임플란트의 수세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초음파 세척기를 이용하여, 증류수,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등의 용매에 침적하여 초음파 처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임플란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플란트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특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는 임플란트의 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모든 형태의 임플란트에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임플란트는 나사, 블록, 플레이트, 필름, 필라멘트, 멤브레인, 메쉬, 직포, 부직포, 니트, 알갱이, 입자, 볼트, 너트, 못 또는 이들이 복합된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체내 삽입 가능한 임플란트이면 그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추천하기로는 임플란트 어버트먼트인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는 상기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면처리됨으로써, 그 표면에 나노미터 크기의 요철 형태를 포함하는 거칠기 패턴이 형성된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100g, 과산화수소 80g, 수산화나트륨 120g, 수산화칼륨 80g, 수산화칼슘 80g, 수산화마그네슘 60g, β-글리세로포스 페이트 40g, 및 에틸렌글리콜 120g, 및 증류수 25,000g을 혼합하여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100g 대신에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포타슘 바이카보네이트, 마그네슘 바이카보네이트 및 칼슘 바이카보네이트가 1:1:1:1의 중량비로 혼합된 카보네이트 혼합물 100g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과산화수소 80g 대신에 고체 과산화수소와 요소 과산화수소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과산화수소 80g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중불화암모늄 용융액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아세트산 망가니즈 1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칼슘아세테이트 1.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과망간산칼륨 1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플루오린화나트륨 0.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글리세롤 0.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1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10을 모두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 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용기에 준비한 뒤 티타늄으로 이루어진 어버트먼트를 약 55℃의 온도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6시간 동안 침지시켜 표면처리하였다.
그 다음, 상기 표면처리 임플란트에 대한 표면상의 구조, 접촉각, 표면 거칠기 등을 측정하여 도 1 내지 도 5로 도시하였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임플란트 표면이 화학적 처리후 거칠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도 3 및 도 4에서는 화학적 처리후 접촉각이 78°에서 54°로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5에서는 표면 거칠기가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과산화수소 60 내지 120중량부;
    수산화나트륨 100 내지 150중량부;
    수산화칼륨 30 내지 120중량부;
    수산화칼슘 30 내지 120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 20 내지 80중량부;
    β-글리세로포스 페이트 20 내지 60중량부;
    에틸렌글리콜 100 내지 150중량부; 및
    물 20,000 내지 50,000중량부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에,
    아세트산 망가니즈를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칼슘아세테이트를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과망간산칼륨을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플루오린화나트륨을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1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글리세롤을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1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
  2. 삭제
  3.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과산화수소 60 내지 120중량부, 수산화나트륨 100 내지 150중량부, 수산화칼륨 30 내지 120중량부, 수산화칼슘 30 내지 120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 20 내지 80중량부, β-글리세로포스 페이트 20 내지 60중량부, 에틸렌글리콜 100 내지 150중량부, 및 물 20,000 내지 50,000중량부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에, 아세트산 망가니즈를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칼슘아세테이트를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과망간산칼륨을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플루오린화나트륨을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1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글리세롤을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1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카보네이트 화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준비하는 준비단계; 및
    상기 준비단계가 종료된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에 임플란트를 침적하여 에칭하는 에칭단계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표면처리 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220127000A 2022-10-05 2022-10-05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 방법 KR102486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000A KR102486628B1 (ko) 2022-10-05 2022-10-05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000A KR102486628B1 (ko) 2022-10-05 2022-10-05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628B1 true KR102486628B1 (ko) 2023-01-10

Family

ID=84893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000A KR102486628B1 (ko) 2022-10-05 2022-10-05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6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1814A (ko) * 2014-03-25 2015-10-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에칭 조성물을 이용한 티타늄 함유 임플란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1814A (ko) * 2014-03-25 2015-10-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에칭 조성물을 이용한 티타늄 함유 임플란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la et al. Surface roughness of implants: a review
Yan Guo et al. Insights into surface treatment methods of titanium dental implants
Ballo et al. Dental implant surfaces-Physicochemical properties, biological performance, and trends
US8388344B2 (en) Osteointegrative interface
KR20090042929A (ko) 임플란트, 특히 치과용 임플란트
TWI480026B (zh) 具螺紋構造生醫植體及其選擇性表面處理的方法
CN109731135A (zh) 一种种植体表面亲水性的处理工艺
KR101972122B1 (ko) 표면 형태학적 특성 및 골 유착성이 개선된 치과용 임플란트의 제조방법
Jarosz et al. Anodization of titanium alloy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KR101686300B1 (ko) 친환경 에칭 조성물을 이용한 티타늄 함유 임플란트의 제조방법
Rosenberg et al. Surface modification of a low modulus Ti-Nb alloy for use in medical implants
KR102486628B1 (ko) 치과 임플란트용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 방법
KR101822255B1 (ko) 생체적합성 불소계 세라믹 코팅층을 포함하는 금속 임플란트의 제조방법
JP2004183017A (ja) 金属チタン系基材の表面処理方法及び金属チタン系医用材料
EP1515759A1 (en) An osteointegrative interface for implantable prostheses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KR101134977B1 (ko) 임플란트의 표면처리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표면처리된 임플란트
CN102232875A (zh) 具螺纹构造生医植体结构及其选择性表面处理的方法
Melilli et al. SURFACE TREATMENTS FOR TITANIUM IMPLANTS.
Huang et al. Formation mechanism of biomedical apatite coatings on porous titania layer
US11280006B2 (en) Method for preparing titanium-containing implant by using environmentally-friendly etching composition
KR20180078620A (ko) 친수성 표면을 갖는 임플란트의 제조방법
KR100453289B1 (ko) 임프란트 표면 처리용 전해질 용액 및 상기 전해질 용액을이용한 임프란트 표면 처리 방법
JP4493290B2 (ja) 人工生体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Bhat et al. Surface topography of dental implants
Ahmed et al. Surface modifications of endosseous dental implants by incorporation of roughness and hydroxyapatite coat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