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430B1 - 영상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430B1
KR102486430B1 KR1020150136821A KR20150136821A KR102486430B1 KR 102486430 B1 KR102486430 B1 KR 102486430B1 KR 1020150136821 A KR1020150136821 A KR 1020150136821A KR 20150136821 A KR20150136821 A KR 20150136821A KR 102486430 B1 KR102486430 B1 KR 102486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attern
lens array
reproduced
separation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7346A (ko
Inventor
정지영
김성필
주양현
최현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6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430B1/ko
Priority to EP16849050.6A priority patent/EP3355577B1/en
Priority to CN201680055720.5A priority patent/CN108141580B/zh
Priority to US15/762,353 priority patent/US11275255B2/en
Priority to PCT/KR2016/010754 priority patent/WO2017052325A1/ko
Publication of KR20170037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7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fly-eye lenses, e.g. arrangements of circular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75Image signal generators from 3D object models, e.g. computer-generated stereoscopic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arrays of controllable light sources; using moving apertures or moving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실시 예에 의하면, 3차원 물체에 대한 전체 요소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재현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집적 영상 처리 장치의 표시부는 광원 및 전체 요소 영상을 패턴화시킨 패턴 영상에 포함되며 전체 요소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일 요소 영상을 집적화시켜 입체 영상으로 재현하는 재현 렌즈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처리 장치{Imaging processing apparatus}
실시 예는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3차원(3D:3-Dimension) 물체 인식에 관한 연구 및 시스템 구현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은 두 눈을 통한 스테레오 시각의 원리에 의하여 보여질 수 있다. 두 눈의 시차 즉, 두 눈이 약 65 ㎜ 정도 떨어져서 존재하기 때문에, 두 눈의 위치의 차이로 왼쪽과 오른쪽 눈은 서로 약간 다른 영상을 보게 된다. 이와 같이, 두 눈의 위치 차이에 의한 영상의 차이점을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라고 한다.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이러한 양안 시차를 이용하여 왼쪽 눈은 왼쪽 눈에 대한 영상만 보게 하고 오른쪽 눈은 오른쪽 눈 영상만을 볼 수 있게 하여, 사용자가 양안 시차를 느껴 입체감을 느끼게 한다. 즉, 좌/우의 눈은 각각 서로 다른 2차원 영상을 보게 되고, 이 두 영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를 서로 융합하여 본래 삼차원 영상의 깊이감(또는, 입체감)과 실제감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기술을 스테레오그라피(Stereography)라 한다.
그러나, 양안 시차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볼 경우, 두 영상의 시차와 눈의 초점기능의 부조화로 인해 어지러움과 눈의 피로감이 발생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스테레오그라피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집적 영상(Integral Imaging) 처리 방식을 적용하는 연구들이 많이 수행되고 있다.
집적 영상 처리 방식은 1908년 리프만(Lippmann)에 의해 처음 제안된 방식으로서,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인 홀로그래피 방식과 같이 완전 시차(full parallax)와 연속적인 관측 시점을 제공하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집적 영상 처리 방식에 의할 경우, 입체 영상을 보기 위해 안경이나 기타 도구가 필요하지 않으며, 복수의 단일 렌즈로 구성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하여 2차원 전체 요소 영상으로부터 특정 깊이를 갖는 3차원 입체 영상이 일정한 체적 내에서 입체 영상으로서 표현될 수 있다. 즉, 집적 영상 처리 방식에 의할 경우, 일정한 체적 내에서 형성된 3차원 입체 영상을 눈의 피로감을 느끼지 않고 보면서 실제 3차원 물체를 보는 것과 같이 느낄 수 있다.
집적 영상 방식 처리 방식을 채택하는 기존의 집적 영상 처리 장치는 픽업(pick-up)부 및 표시(또는, 재현 또는 복원)부를 포함한다.
픽업부는 렌즈 어레이 및 카메라 등과 같은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3차원 물체의 다양한 영상 정보들을 전체 요소 영상으로서 저장한다. 즉, 픽업부의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전체 요소 영상이 촬영 장치에 저장된다. 표시부는 픽업부에서 저장된 전체 요소 영상을 일종의 액정 패널인 표시 패널에 표시하고, 전체 요소 영상의 영상 정보를 렌즈 어레이에 통과하여 공간상에 3차원 입체 영상(또는, 집적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부는 표시 패널을 반드시 포함해야 하므로, 기존의 직접 영상 처리 장치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 예는 부피가 작은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의하면, 3차원 물체에 대한 전체 요소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재현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집적 영상 처리 장치에서, 상기 표시부는 광원; 및 상기 전체 요소 영상을 패턴화시킨 패턴 영상에 포함되며 상기 전체 요소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일 요소 영상을 집적화시켜 입체 영상으로 재현하는 재현 렌즈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는 상기 패턴 영상의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과 상기 재현 렌즈 어레이 사이에 배치된 패턴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재현 렌즈 어레이는 상기 광원을 바라보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서 상기 재현된 입체 영상을 바라보는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턴 영상의 패턴은 상기 제1 면에 전사되어 새겨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턴 영상의 상기 패턴은 상기 재현 렌즈 어레이의 상기 제1 면에 러프니스 형태로 새겨지거나, 음각 형태로 새겨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집적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패턴 영상을 생성하는 픽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픽업부는 상기 3차원 물체로부터 나온 복수의 광선을 상기 복수의 단일 요소 영상으로 통과시키는 픽업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픽업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상기 복수의 단일 요소 영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전체 요소 영상은 상기 패턴 필름에 상기 패턴 영상의 상기 패턴으로 새겨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픽업 렌즈 어레이는 상기 재현 렌즈 어레이와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픽업부는 상기 3차원 물체를 모델링하고, 상기 모델링된 결과가 픽업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이후의 상기 복수의 단일 요소 영상 각각에 포함된 화소의 조도값을 예측하고, 각 화소의 좌표별 조도값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패턴 영상으로서 생성하는 영상 패턴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턴 필름과 상기 재현 렌즈 어레이 간의 제1 이격 거리는 상기 재현된 입체 영상의 제1 해상도에 따라 아래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5093986926-pat00001
여기서, g는 상기 제1 이격 거리를 나타내고, RI는 상기 제1 해상도를 나타내고, a는 상기 재현 렌즈 어레이와 상기 재현된 입체 영상의 중심까지의 제2 이격 거리를 나타내고, δ는 상기 패턴 영상의 단위 화소의 크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패턴 필름과 상기 재현 렌즈 어레이 간의 제1 이격 거리 및 상기 재현 렌즈 어레이와 상기 재현된 입체 영상의 중심까지의 제2 이격 거리는 상기 재현된 입체 영상의 제1 해상도 및 상기 패턴 영상의 제2 해상도에 따라 아래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5093986926-pat00002
여기서, RD는 상기 제2 해상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재현된 입체 영상의 시야각은 아래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5093986926-pat00003
여기서, ψ는 상기 시야각을 나타내고, p는 상기 재현 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단위 렌즈의 크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재현된 영상의 깊이는 아래와 같을 수 있다.
Figure 112015093986926-pat00004
여기서, Δz는 상기 재현된 입체 영상의 깊이를 나타내고, δI는 상기 재현된 영상의 화소 크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재현 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단위 렌즈의 크기는 2 ㎜ 미만이거나 5 ㎜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재현 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단위 렌즈는 플라이 아이(flyeye)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집적 영상 처리 장치는 픽업된 전체 요소 영상을 패턴 필름에 포함시키거나 또는 재현 렌즈 어레이의 후면에 패턴 영상의 패턴을 새김으로써, 표시부에 표시 패널이 없어도 되므로 부피가 작아질 수 있고, 차량 후미등 등에 적용될 경우 후방의 다른 차량에게 입체 영상을 제공하여 높은 시인성을 제공하면서도 디자인적으로 미려한 모습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의한 집적 영상 처리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픽업부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d는 패턴 영상과 입체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표시부의 일 실시 예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표시부의 다른 실시 예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재현 렌즈 어레이의 다양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은 재현 렌즈 어레이에 전사된 패턴 영상의 패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8은 실시 예에 의한 집적 영상 처리 장치의 적용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고,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element)가 상기 두 구성요소(element)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제1" 및 "제2,"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될 수도 있다.
이하, 실시 예에 의한 집적 영상 처리 장치(1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편의상, 데카르트 좌표계(x축, y축, z축)를 이용하여 집적 영상 처리 장치(100)를 설명하지만, 다른 좌표계에 의해서도 이를 설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데카르트 좌표계에 의할 경우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하지만,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하지 않고 교차할 수도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의한 집적 영상 처리 장치(100)의 블럭도로서, 픽업(pick-up)부(110) 및 표시부(또는, 재현부 또는 디스플레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픽업부(110)는 3차원 물체(OB)에 대한 전체 요소 영상(elemental image)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체 요소 영역을 패턴화시킨다. 따라서, 픽업부(110)에서 생성된 패턴 영상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부(120)로 전송된다. 여기서, 전체 요소 영상은 복수의 단일 요소 영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픽업부(110)에서 3차원 물체(OB)에 대한 패턴 영상을 생성하는 실시 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픽업부(110)의 일 실시 예(110A)에 의한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2는 y축과 z축의 2차원 평면이지만, 이해를 돕기 위해 3차원 물체(OB)는 사시도로서 표현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픽업부(110A)는 렌즈 어레이(lens array)(이하, '픽업 렌즈 어레이'라 한다)(112) 및 패턴 필름(114)을 포함할 수 있다.
픽업 렌즈 어레이(112)는 3차원 물체(또는, 객체)(OB)로부터 나온 복수의 광선을 통과시킨다.
이를 위해, 픽업 렌즈 어레이(112)는 복수의 단일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단일 렌즈에 의해 공간상의 어려 방향에서 바라본 3차원 물체(OB)의 단일 요소 영상이 생성된다. 단일 요소 영상은 3차원 물체(OB)를 볼 수 있도록 하는 2차원의 기본 영상으로서, 복수의 단일 요소 영상은 서로 균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후, 픽업 렌즈 어레이(112)의 각 단일 렌즈를 통과한 단일 요소 영상으로이루어진 전체 요소 영상은 패턴 필름(114)에 도달하여 패턴 영상의 패턴으로서 새겨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턴 필름(114)은 폴리에스테르필름(PET: polyethyleneterephthalate)일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인 집적 영상 처리 장치의 경우, 픽업부는 전체 요소 영상을 촬상 장치에 저장한다. 그러나, 일 실시 예에 의한 집적 영상 처리 장치(100)의 경우 전체 요소 영상은 패턴 필름(114)에 패턴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즉, 새겨질 수 있다). 이와 같이 3차원 물체(OB)에 대한 패턴 영상은 물리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픽업부(110)는 3차원 물체(OB)를 모델링하고, 모델링된 결과가 픽업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이후의 복수의 단일 요소 영상 각각에 포함된 화소의 조도값을 예측하고, 각 화소의 좌표별 조도값에 대한 데이터를 패턴 영상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하는 컴퓨터 생성 집적 영상 기술(CGII:Computer Generated Integral Imaging)에 의해 전체 요소 영상이 생성될 수도 있다. 즉, 3차원 물체(OB)에 대한 복수의 단일 요소 영상으로 이루어진 전체 요소 영상의 좌표별 조도값에 대한 데이터를 패턴 영상으로서 컴퓨터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3차원 물체(OB)에 대한 패턴 영상은 프로그램적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2가지의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패턴 영상은 다양한 방법으로 생성될 수 있다. 즉, 실시 예에 의한 집적 영상 처리 장치(100)는 픽업부(11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미리 주어진 패턴 영상이 표시부(120)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체 요소 영상은 3차원 물체(OB)에 대한 동영상(또는, active 영상)일 수도 있지만, 정지 영상일 수도 있다. 즉, 실시 예에 의한 집적 영상 처리 장치(100)의 응용에 따라, 다양한 정지 영상이 패턴 영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패턴 영상과 입체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3차원 물체(OB)의 정면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3차원 물체(OB)의 사시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도 3c는 패턴 영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도 3d는 입체 영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2의 경우 3차원 물체(OB)는 원기둥 모양이지만,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물체(OB)가 3개의 환형 고리 모양을 가질 경우, 패턴 영상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습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c에 도시된 패턴 영상의 패턴은 패턴 필름(114)에 새겨질 수도 있고, 프로그램에 의해 데이터로서 생성될 수도 있다.
한편,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표시부(120)는 3차원 물체(OB)에 대한 전체 요소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재현할 수 있다. 즉, 표시부(120)는 도 1에 도시된 픽업부(110)에서 생성된 패턴 영상 또는 미리 주어진 패턴 영상으로부터 3차원 입체 영상을 재현할 수 있다. 만일, 패턴 영상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고 3차원 물체(OB)의 모습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을 경우, 도 3d에 도시된 입체 영상이 표시부(120)에 의해 재현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표시부(120)의 일 실시 예(120A)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20A)는 광원(122), 패턴 필름(124) 및 렌즈 어레이(이하, '재현 렌즈 어레이'라 한다)(126)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122)은 광을 방출하고, 방출된 광을 패턴 필름(124)을 향해 방출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122)은 산란광을 방출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광원(12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종류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원(122)으로서 백 라이트 유닛(BLU:Back Light Unit)이 사용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광원(122)의 종류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패턴 필름(124)은 도 2에 도시된 패턴 필름(114)일 수 있다. 즉,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3차원 물체(OB)의 전체 요소 영상을 패턴화시켜 패턴 영상의 패턴을 패턴 필름(114)에 새길 경우, 이러한 패턴 필름(114)이 표시부(120A)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패턴 필름(124)은 광원(122)과 재현 렌즈 어레이(126)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패턴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단일 요소 영상을 집적화시켜 입체 영상(RI)으로서 재현할 수 있다. 즉, 패턴 영상에 포함된 전체 요소 영상을 구성하는 3차원 물체(OB)의 단일 요소 영상이 재현 렌즈 어레이(126)를 통과하면서 집적되어 입체 영상으로서 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원(122)으로부터 광이 방출될 수 있다.
만일, 패턴 영상의 패턴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필름(114)에 새겨져서 포함될 경우, 도 4에 도시된 재현 렌즈 어레이(126)와 도 2에 도시된 픽업 렌즈 어레이(112)는 서로 동일한 특성을 갖는 렌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4에 각각 도시된 픽업 및 재현 렌즈 어레이(112, 126)는 다음과 같이 유사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패턴 필름(124)과 재현 렌즈 어레이(126) 간의 제1 이격 거리(g)는 도 2에 도시된 픽업 렌즈 어레이(112)와 패턴 필름(114) 간의 이격 거리(g')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격 거리(g)는 재현 렌즈 어레이(126)를 바라보는 패턴 필름(124)의 외부면(SO)으로부터 렌즈 어레이(126)까지의 이격 거리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재현 렌즈 어레이(126)와 재현된 입체 영상(RI)의 중심(CDP:Center Depth Plane)(또는, 기준 깊이면) 간의 제2 이격 거리(a)는 도 2에 도시된 3차원 물체(OB)와 픽업 렌즈 어레이(112) 간의 이격 거리(a')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제1 이격 거리(g)는 재현된 입체 영상(RI)의 제1 해상도(RI)에 따라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5093986926-pat00005
여기서, δ는 도 4를 참조하면, 패턴 필름(124)에 새겨진 패턴을 갖는 패턴 영상의 단위 화소의 크기를 나타낸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제1 이격 거리(g)와 제2 이격 거리(a)는 재현된 입체 영상의 제1 해상도(RI) 및 패턴 필름(124)에 새겨진 패턴을 갖는 패턴 영상의 제2 해상도(RD)에 따라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5093986926-pat00006
수학식 1과 2를 참조하면, 제2 해상도(RD)는 다음 수학식 3과 같음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5093986926-pat00007
또한, 수학식 2를 참조하면, 제2 해상도(RD)를 고정할 때 제1 및 제2 이격 거리(g, a)를 조정함으로써 제1 해상도(RI)가 조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재현 렌즈 어레이(126)에 포함된 렌즈의 개수는 도 2에 도시된 픽업 렌즈 어레이(112)에 포함된 렌즈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재현 렌즈 어레이(126) 및 도 2에 도시된 픽업 렌즈 어레이(112) 각각을 구성하는 단위 렌즈는 플라이 아이(flyeye) 렌즈를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단위 렌즈의 종류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재현 렌즈 어레이(126)에 포함된 단위 렌즈의 크기(p)는 도 2에 도시된 픽업 렌즈 어레이(112)에 포함된 단위 렌즈의 크기(p')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현된 입체 영상(RI)의 입체감(또는, 깊이감)이 재현된 입체 영상(RI)의 제1 해상도(RI)보다 우선시 될 경우, 재현 렌즈 어레이(126)를 구성하는 각 단위 렌즈의 크기(p)는 2 ㎜ 미만일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는, 재현된 입체 영상(RI)의 제1 해상도(RI)가 재현된 입체 영상(RI)의 입체감보다 우선시 될 경우, 재현 렌즈 어레이(126)를 구성하는 각 단위 렌즈의 크기(p)는 5 ㎜ 이상일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재현된 입체 영상(RI)의 시야각(ψ)은 다음 수학식 4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5093986926-pat00008
여기서, 수학식 4를 참조하면, 재현 렌즈 어레이(126)에 포함된 단위 렌즈의 크기(p)와 제1 이격 거리(g)에 따라 시야각(ψ)이 조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재현된 영상(RI)의 깊이(Δz)는 다음 수학식 5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5093986926-pat00009
여기서, δI는 재현된 입체 영상(RI)의 화소 크기로서 다음 수학식 6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5093986926-pat00010
전술한 수학식 3, 5 및 6을 참조하면 제2 해상도(RD)를 고정한 상태에서 단위 렌즈의 크기(p), 제1 및 제2 이격 거리(g, a)를 조정함으로써, 재현된 영상의 깊이(Δz)가 조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수학식 5에 하기의 수학식 7을 대입하고, 수학식 2와 4를 적용하면, 제2 해상도(RD)는 다음 수학식 8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5093986926-pat00011
Figure 112015093986926-pat00012
도 4를 참조하면, 재현된 영상(RI)의 깊이(Δz)는 제1 깊이 한계면(MDP1)(Marginal depth plane)과 제2 깊이 한계면(MDP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수학식 5와 같이 표현되는 재현된 영상(RI)의 깊이(Δz)란, z축 방향으로 제1 깊이 한계면(MDP1)과 제2 깊이 한계면(MDP2) 사이의 간격일 수 있다. 재현된 영상(RI)의 깊이(Δz)가 길수록 재현된 영상(RI)의 입체감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격 거리(a)를 정의할 때 언급된 "입체 영상(RI)의 중심"이란 제1 깊이 한계면(MDP1)과 제2 깊이 한계면(MDP2) 사이의 중간에 위치한 중심 깊이면(CDP) 상의 어느 한 지점일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표시부(120)의 다른 실시 예(120B)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20B)는 광원(122) 및 재현 렌즈 어레이(12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재현 렌즈 어레이(126)는 제1 면(S1) 및 제2 면(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S1)은 광원(122)을 바라보는 재현 렌즈 어레이(126)의 후면에 해당하고, 제2 면(S2)은 제1 면(S1)의 반대측에서 재현된 입체 영상(RI)을 바라보는 재현 렌즈 어레이(126)의 전면에 해당한다.
도 5에 도시된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표시부(120B)는 패턴 필름(124)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 경우, 3차원 물체(OB)에 대한 전체 요소 영상에 상응하는 패턴 영상이 갖는 패턴(125)은 재현 렌즈 어레이(126)의 제1 면(S1)에 전사되어 새겨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패턴 영상의 패턴(125)이 패턴 필름(124)에 새겨지는 대신에 재현 렌즈 어레이(126)의 제1 면(S1)에 전사됨을 제외하면, 도 5에 도시된 표시부(120B)는 도 4에 도시된 표시부(120A)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재현 렌즈 어레이(126)의 다양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재현 렌즈 어레이(126)를 기준으로, 도 6a는 재현 렌즈 어레이(126)의 우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6b는 재현 렌즈 어레이(126)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6c는 재현 렌즈 어레이(126)의 좌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7은 재현 렌즈 어레이(126)에 전사된 패턴 영상의 패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만일,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3차원 물체(OB)에 대한 도 3c에 도시된 패턴 영상이 주어질 경우,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은 패턴 영상의 패턴이 도 6c에 도시된 재현 렌즈 어레이(126)의 제1 면(S1)에 새겨질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패턴 영상의 패턴은 재현 렌즈 어레이(126)의 제1 면(S1)에 러프니스 형태로 새겨질 수도 있고, 음각 형태로 새겨질 수도 있다.
또한, 광원(122)은 재현 렌즈 어레이(126)의 제1 면(S1)에 새겨진 패턴 영상의 패턴(125)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하여 배치될 수 있지만,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광원(122)은 패턴 영상의 패턴(125)과 z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표시부(120A)의 경우 패턴 영상의 패턴이 패턴 필름(124)에 새겨지는 반면에, 도 4에 도시된 표시부(120B)의 경우 패턴 영상의 패턴(125)이 재현 렌즈 어레이(126)의 제1 면(S1)에 새겨진다.
한편,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제1 이격 거리(g), 제2 이격 거리(a), 시야각(ψ), 재현된 영상의 깊이의 최대값(max(Δz)), 재현된 영상(RI)의 화소 크기(δI)는 전술한 수학식들에 의할 경우 다음 표 1과 같이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구분 g(㎜) a(㎜) ψ(°) max(Δz)(㎜) δI(㎜) 비고
CASE 1 11 110 25.6 132 3 f=10
p=5
δ=0.3
14 35 20.2 10.5 0.75
20 20 14.3 2.4 0.3
CASE 2 11 110 48.9 66 3 f=10
p=10
δ=0.3
14 35 39.3 5.25 0.75
20 20 28 1.2 0.3
CASE 3 6 30 45.2 18 1.5 f=5
p=5
δ=0.3
8 13.3 34.7 2.7 0.5
10 10 28 1.2 0.3
CASE 4 11 110 25.6 440 10 f=10
p=5
δ=1
14 35 20.2 35 2.5
20 20 14.3 8 1
표 1을 참조하면, 재현 렌즈 어레이(126)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렌즈 각각의 크기(p)가 CASE 1의 5 ㎜에서 CASE 2의 10 ㎜로 커지면, 시야각(ψ)은 넓어지지만 재현된 영상(RI)의 입체감(max(Δz))은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재현 렌즈 어레이(126)의 초점 거리(f)가 CASE 1의 10 ㎜에서 CASE 3의 5 ㎜로 감소할 경우 시야각(ψ)은 CASE 2와 유사하게 넓고 입체감(max(Δz))은 CASE 2보다 더욱 떨어지지만 표시부(120)의 z축 방향으로의 폭(g)은 얇아짐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초점 거리(f)는 다음 수학식 9와 같은 관계를 갖는다.
Figure 112015093986926-pat00013
또한, 패턴 영상에 포함된 화소의 크기(δ)를 CASE 1의 0.3 ㎜에서 CASE 4의 1 ㎜로 증가시킬 경우, 시야각(ψ)은 CASE 1과 동일하면서 입체감(max(Δz))은 CASE 1, 2 또는 3보다 커짐을 알 수 있다.
전술한 표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재현 렌즈 어레이(126)의 초점 거리(f), 복수의 단위 렌즈 각각의 크기(p), 영상 패턴에 포함된 화소의 크기(δ)를 조정하여, 시야각(ψ)과 입체감(max(Δz))이 조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재현 렌즈 어레이(126)의 초점 거리(f), 복수의 단위 렌즈 각각의 크기(p), 패턴 영상에 포함된 화소의 크기(δ)를 조정하여, 전술한 집적 영상 처리 장치(100)가 적용되는 분야에서 요구하는 시야각(ψ)과 입체감(max(Δz))을 만족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한 집적 영상 처리 장치(100)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집적 영상 처리 장치(100)가 픽업부(110, 110A)를 포함하지 않고 표시부(120, 120A, 120B)만을 포함할 경우, 표시부(120, 120A, 120B)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20, 120A, 120B)는 후미등, 차폭등, 브레이크등과 같은 차량용 전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실시 예에 의한 집적 영상 처리 장치(100)의 적용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한 집적 영상 처리 장치(100)의 도 5에 도시된 표시부(120B)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200)의 후미등(tail lamp)에 적용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5에 도시된 표시부(120B) 대신에 도 4에 도시된 표시부(120A)가 차량(200)의 후미등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량(200)의 후미로부터 이격된 공간 상에 도 3d에 예시된 바와 같은 입체 영상(RI)이 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한 집적 영상 처리 장치(10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200)의 후미등에 적용될 경우 후방의 다른 차량에게 입체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높은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고 디자인적으로 미려한 모습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집적 영상 처리 장치 110, 110A: 픽업부
112: 픽업 렌즈 어레이 114, 124: 패턴 필름
120, 120A, 120B: 표시부 122: 광원
125: 패턴 영상의 패턴 126: 재현 렌즈 어레이
200: 차량

Claims (16)

  1. 3차원 물체에 대한 전체 요소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재현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광원;
    상기 전체 요소 영상을 패턴화시킨 패턴 영상에 포함되며 상기 전체 요소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일 요소 영상을 집적화시켜 입체 영상으로 재현하는 재현 렌즈 어레이; 및
    상기 패턴 영상의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과 상기 재현 렌즈 어레이 사이에 배치된 패턴층을 포함하고,
    상기 재현 렌즈 어레이는,
    상기 광원을 바라보는 제1 면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층은
    상기 제1 면에 직접 접촉되는 상부면과,
    상기 광원과 직접 접촉되는 하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재현된 입체 영상의 깊이는 아래와 같은 영상 처리 장치.
    Figure 112022099243409-pat00034

    (여기서, Δz는 상기 재현된 입체 영상의 깊이를 나타내고, a는 상기 재현 렌즈 어레이와 상기 재현된 입체 영상의 중심까지의 제2 이격 거리를 나타내고, p는 상기 재현 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단위 렌즈의 크기를 나타내고, δI는 상기 재현된 입체 영상의 화소 크기를 나타낸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재현 렌즈 어레이는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서 상기 재현된 입체 영상을 바라보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 영상의 패턴은 상기 제1 면에 전사되어 새겨진 영상 처리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영상의 상기 패턴은 상기 재현 렌즈 어레이의 상기 제1 면에 음각 형태로 새겨지는 영상 처리 장치.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영상을 생성하는 픽업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는
    상기 3차원 물체로부터 나온 복수의 광선을 상기 복수의 단일 요소 영상으로 통과시키는 픽업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픽업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상기 복수의 단일 요소 영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전체 요소 영상은 상기 패턴층에 상기 패턴 영상의 상기 패턴으로 새겨지는 영상 처리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과 상기 재현 렌즈 어레이 간의 제1 이격 거리는 상기 재현된 입체 영상의 제1 해상도에 따라 아래와 같이 결정되는 영상 처리 장치.
    Figure 112022013291329-pat00031

    (여기서, g는 상기 제1 이격 거리를 나타내고, RI는 상기 제1 해상도를 나타내고, a는 상기 재현 렌즈 어레이와 상기 재현된 입체 영상의 중심까지의 제2 이격 거리를 나타내고, δ는 상기 패턴 영상의 단위 화소의 크기를 나타낸다.)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과 상기 재현 렌즈 어레이 간의 제1 이격 거리 및 상기 재현 렌즈 어레이와 상기 재현된 입체 영상의 중심까지의 제2 이격 거리는 상기 재현된 입체 영상의 제1 해상도 및 상기 패턴 영상의 제2 해상도에 따라 아래와 같이 결정되는 영상 처리 장치.
    Figure 112022013291329-pat00032

    (여기서, g는 상기 제1 이격 거리를 나타내고, a는 상기 제2 이격 거리를 나타내고, RI는 상기 제1 해상도를 나타내고, RD는 상기 제2 해상도를 나타낸다.)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재현된 입체 영상의 시야각은 아래와 같이 결정되는 영상 처리 장치.
    Figure 112020097304245-pat00033

    (여기서, ψ는 상기 시야각을 나타내고, p는 상기 재현 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단위 렌즈의 크기를 나타내고, g는 상기 패턴 영상과 상기 재현 렌즈 어레이 간의 제1 이격 거리를 나타낸다.)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50136821A 2015-09-25 2015-09-25 영상 처리 장치 KR102486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821A KR102486430B1 (ko) 2015-09-25 2015-09-25 영상 처리 장치
EP16849050.6A EP3355577B1 (en) 2015-09-25 2016-09-26 Integral image processing device
CN201680055720.5A CN108141580B (zh) 2015-09-25 2016-09-26 集成图像处理装置及使用该集成图像处理装置的车灯
US15/762,353 US11275255B2 (en) 2015-09-25 2016-09-26 Integral image processing device and vehicular lamp using same
PCT/KR2016/010754 WO2017052325A1 (ko) 2015-09-25 2016-09-26 집적 영상 처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821A KR102486430B1 (ko) 2015-09-25 2015-09-25 영상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346A KR20170037346A (ko) 2017-04-04
KR102486430B1 true KR102486430B1 (ko) 2023-01-10

Family

ID=58386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821A KR102486430B1 (ko) 2015-09-25 2015-09-25 영상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75255B2 (ko)
EP (1) EP3355577B1 (ko)
KR (1) KR102486430B1 (ko)
CN (1) CN108141580B (ko)
WO (1) WO20170523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08498A1 (de) * 2017-04-21 2018-10-25 HELLA GmbH & Co. KGaA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Fahrzeuge
US10851962B2 (en) 2017-12-12 2020-12-01 Flex-N-Gate Advanced Product Development, Llc Backlit 3D lamp
CN108833894A (zh) * 2018-06-09 2018-11-16 成都工业学院 一种观看参数可调的集成成像3d显示方法
CN108881881B (zh) * 2018-08-03 2020-10-09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集成成像桌面3d显示的自适应微图像阵列生成方法
TWI772014B (zh) 2021-05-05 2022-07-21 幻景啟動股份有限公司 可降低格柵感的立體影像顯示裝置
CN113759650A (zh) * 2021-07-14 2021-12-07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地毯灯、车辆地毯灯***组件和设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52971A1 (en) * 2005-03-02 2008-10-16 Seoul National University Industry Foundation Three-Dimensional/Two-Dimensional Convertible Display Device
WO2012144836A2 (ko) * 2011-04-19 2012-10-26 전자부품연구원 3차원 입체 영상 표시 및 기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609102Y (zh) * 2003-04-15 2004-03-31 陈震 图案架
ES2654150T3 (es) * 2005-05-18 2018-02-12 Visual Physics, Llc Sistema de presentación de imágenes y de seguridad micro-óptico
JP2008026654A (ja) * 2006-07-21 2008-02-07 Hitachi Displays Ltd 立体表示装置
JP2008052010A (ja) 2006-08-24 2008-03-06 Noriji Ooishi 立体像表示装置と撮影装置
KR100910642B1 (ko) 2007-07-27 2009-08-05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홀로그래피 기법에 의해 획득된 영상의 3차원 집적 영상복원 방법 및 장치
TWI387316B (zh) * 2008-11-18 2013-02-21 Ind Tech Res Inst 立體影像顯示裝置與立體影像顯示方法
WO2010072065A1 (zh) 2008-12-25 2010-07-01 深圳市泛彩溢实业有限公司 全息三维图像信息采集装置、方法及还原装置、方法
CN102450026B (zh) * 2009-05-28 2015-01-14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自动立体显示设备
WO2010143639A1 (ja) * 2009-06-12 2010-12-16 旭硝子株式会社 投射型表示装置
WO2012015106A1 (ko) * 2010-07-24 2012-02-02 Chung Hyun In 인테그럴 포토그라피 기술을 응용한 인터레이스 패턴구조 및 입체영상 장치
KR20120090507A (ko) 2011-02-08 2012-08-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집적 영상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20120093693A (ko) 2011-02-15 2012-08-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02209254B (zh) 2011-05-30 2012-12-05 四川大学 一种一维集成成像方法和装置
KR20130055460A (ko) 2011-11-18 2013-05-28 인포뱅크 주식회사 차량용 표시장치와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40096383A (ko) * 2011-11-30 2014-08-05 리얼디 인크. 레이저 빔 스캔식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101881163B1 (ko) 2012-03-20 2018-07-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집적영상 시스템과 그의 구동방법
CN103342060B (zh) * 2013-06-18 2016-01-20 坤达国际有限公司 一种立体图像印刷品及立体图像印刷工艺
CN203442674U (zh) * 2013-07-19 2014-02-19 汕头市晟琪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灯罩
KR101620147B1 (ko) * 2013-12-18 2016-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광원모듈
CN106662315B (zh) * 2014-06-26 2019-10-25 飞利浦灯具控股公司 光学布置、照明设备和光照方法
KR101472921B1 (ko) 2014-08-11 2014-12-17 골드맥스그룹 주식회사 미세 패턴과 마이크로 렌즈를 이용한 입체라벨
KR20160040384A (ko) * 2014-10-02 2016-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52971A1 (en) * 2005-03-02 2008-10-16 Seoul National University Industry Foundation Three-Dimensional/Two-Dimensional Convertible Display Device
WO2012144836A2 (ko) * 2011-04-19 2012-10-26 전자부품연구원 3차원 입체 영상 표시 및 기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52325A1 (ko) 2017-03-30
EP3355577A4 (en) 2018-09-26
US11275255B2 (en) 2022-03-15
CN108141580B (zh) 2021-02-05
US20180239159A1 (en) 2018-08-23
EP3355577B1 (en) 2020-06-03
EP3355577A1 (en) 2018-08-01
KR20170037346A (ko) 2017-04-04
CN108141580A (zh)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6430B1 (ko) 영상 처리 장치
US10395432B2 (en) Near-eye parallax barrier displays
CN107105213B (zh) 立体图像显示装置
US9557565B2 (en) Near-eye optical deconvolution displays
US20150262424A1 (en) Depth and Focus Discrimination for a Head-mountable device using a Light-Field Display System
JP2021516771A (ja) Cプレートを用いたアポクロマティックPancharatnam Berry位相構成要素の角度性能の改善
CN111512213A (zh) 具有针孔镜的增强现实光学***
JP4881871B2 (ja) 3次元表示装置
JP5439686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及び立体画像表示方法
KR20120095212A (ko) 입체영상표시장치
JP2020535472A (ja) 2つのビューポイントのオートステレオスコピックイメージをnビューポイントのオートステレオスコピックディスプレイスクリーンに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そのようなディスプレイスクリーン上の表示を制御する方法
JP7127415B2 (ja) 虚像表示装置
KR101093929B1 (ko) 깊이 지도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883883B1 (ko) 플립영상을 차단하는 무안경 원통형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방법
USRE47984E1 (en) Near-eye optical deconvolution displays
KR100893381B1 (ko) 실시간 입체영상 생성방법
US20230360567A1 (en) Virtual reality display system
JP2005099425A (ja) 三次元表示装置
KR20160042694A (ko) 스테레오 카메라의 정렬장치 및 스테레오 카메라의 정렬방법
JP2024078780A (ja) 立体映像表示システム、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要素画像群生成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WO2023219925A1 (en) Virtual reality display system
KR101502407B1 (ko) 스테레오 집적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Min et al. Three-dimensional electro-floating display system based on integral imaging technique
KARAJEH Intermediate view reconstruction for multiscopic 3D display
JP2004163637A (ja) 三次元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