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758B1 -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758B1
KR102483758B1 KR1020220115616A KR20220115616A KR102483758B1 KR 102483758 B1 KR102483758 B1 KR 102483758B1 KR 1020220115616 A KR1020220115616 A KR 1020220115616A KR 20220115616 A KR20220115616 A KR 20220115616A KR 102483758 B1 KR102483758 B1 KR 102483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selectively
office
clo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순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여누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여누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여누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115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7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6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오피스 또는 작업 현장의 존재하는 단말기와 상호 연동되어,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송수신 받아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메인 모드 유닛; 오피스에 마련되어 미리 등록된 유저에게 제공되는 제1단말기를 통해 프로덕션 정보가 선택적으로 세팅 되며 공정 작업을 선택적으로 전산적으로 지시하는 오피스 모드 유닛; 작업 현장에 마련되어 작업자에게 제공되는 제2단말기를 통해 필드 인풋 정보가 선택적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필드 모드 유닛; 및 메인 모드 유닛과의 네트워킹을 통해 공정 작업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production based on cloud flatform by selectively connecting office-field}
본 발명은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공장 운영 관리를 위하여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모듈을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현장에서는 공정 작업 내용을 실시간으로 전산화하며, 오피스의 관리자는 각각의 업무 및 공정 작업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 및 수집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
스마트 팩토리 개념의 등장은 생산성 혁신이라는 이점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주목 받았으며, 국내에서도 스마트 팩토리의 보급과 확산을 위하여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을 설립하여 민간 역량 중심의 적극적인 보급 사업을 진행되었다.
스마트 팩토리가 제조업에 있어서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국내 대다수의 중소 제조기업들은 운용 전문 입력이나 투자 자금 등의 경영 자원 부족의 이유를 도입을 망설였으며, 독자적인 스마트 팩토리 구축의 한계를 인식하여 전문 역량을 가진 IT기업에 위탁하여 스마트 팩토리를 도입하고 있다.
스마트 팩토리의 구성요소는 크게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디바이스 네트워크로 구성된다.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최상단의 소프트웨어 시스템으로써 플랫폼 상에서 제조 과정을 실행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 및 가시화하는 기술이다. 플랫폼은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의 디바이스들이 수집한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디바이스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적화된 정보를 선별하는 기술이다. 마지막으로 디바이스 네트워크는 스마트 팩토리의 최하단의 하드웨어 시스템으로 공장 내 에서 발생하는 모든 상황에 대한 데이터 및 정보를 감지하고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된 선행 특허문헌의 예로서 “실시간으로 재고 추적이 가능한 스마트 물류관리 시스템 (공개번호 제10-2022-0000529호,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 1에 따른 발명의 경우, 공장에서 출고된 후 물류회사로 옮겨지는 물품에 구비된 고유식별코드를 스캔하여 해당 물품의 물류 히스토리 추적을 위한 기초데이터로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함과 아울러, 물류회사에 구비된 물류센터 등을 이동하면서 입고되거나 출고되는 물류처리 과정이 이루어질 때마다 해당 물품에 구비된 고유식별코드를 스캔한 후 스마트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각 물류처리과정을 클라우드 서버에 구비된 물류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등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유무선 통신망 상에서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는 퍼스널 컴퓨터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관리자들이 해당 물품의 물류 히스토리와 현재의 상태정보 등 실시간 재고현황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며, 물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물류 히스토리에 기반하여 클라우드 서버에서 자동으로 생성되는 다양한 형태의 물류 보고서를 통하여 기업의 물류 관련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실시간 재고 파악이 가능한 스마트 물류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스마트 팩토리 데이터 관리 및 플랫폼 서비스를 위한 장치 (공개번호 제10-2020-0074652호, 이하 특허문헌 2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 2에 따른 발명의 경우, 생산 설비에 설치되는 스마트 센서를 통하여 센싱되는 센싱 데이터 및 실시간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사물의 상태 정보와 유저의 사용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생산 및 설비정보 모니터링을 하는 생산 및 설비정보 모니터링부;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된 데이터 및 생산 및 설비정보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빅데이터(Big Data) 분석에 의한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분석 및 진단을 수행하는 빅데이터 분석 및 진단부;설비상태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를 바탕으로 설비고장을 진단하고 유지 및 보수하는 보전기술과 운영기술을 통합하여 설비 건전성을 관리하는 고장 및 이상상태 예측부; 고장 및 이상상태 예측부의 고장 및 이상상태 예측 결과를 데이터에 대한 분석 및 마이닝 기술을 바탕으로 보정하는 고장 및 이상상태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스마트 공장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자동 생성 장치 (등록번호 제10-2251050호, 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 3에 따른 발명의 경우, 스마트 공장의 운영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 공장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자동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 공장의 어플리케이션 구현에 필요한 요구 사항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요구 기능을 추출하는 사용자 입력 모듈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추출된 요구 기능을 분석하여 어플리케이션 기능 구현에 필요한 플랫폼을 예측 분석하고, 플랫폼에 맞는 복수의 소스코드를 임의 추출하는 플랫폼 자동 설계부, 플랫폼 자동 설계부에서 제공된 복수의 소스코드를 합성하고, 합성된 소스코드를 기초로 사용자가 요구하는 플랫폼을 생성 및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부, 및 각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플랫폼을 클라우드를 통해 서비스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장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자동 생성 장치가 개시된다.
공개번호 제10-2022-0000529호 공개번호 제10-2020-0074652호 등록번호 제10-2251050호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공장 운영 관리를 위하여 사용하기 용이하고 직관적인 시스템을 개발하여 다양한 기업에서 쉽게 활용 가능한 통합 지원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모듈을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공장 운영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고자 한다.
셋째, 현장에서는 작업 내용을 실시간으로 전산화하며, 관리자는 현장 정보 빠르게 파악하고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고자 한다.
넷째, 통합 지원 플랫폼을 통해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키고 공장 운영 관리를 개선하여 고객 신뢰를 확보하고 매출에 기여할 수 있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은 오피스 또는 작업 현장의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상호 연동되어,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송수신 받아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메인 모드 유닛(main mode unit); 상기 오피스에 선택적으로 마련되어 미리 등록된 유저에게 제공되는 제1단말기를 통해 공정에 필요한 프로덕션(production) 정보가 선택적으로 세팅 되며, 상기 프로덕션 정보에 따라서 공정 작업을 선택적으로 전산적으로 지시하는 오피스 모드 유닛(office mode unit); 상기 작업 현장에 선택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작업 현장의 작업자에게 제공되는 제2단말기를 통해 상기 작업자로 하여금 상기 공정 작업과 관련된 필드 인풋(field input) 정보가 선택적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필드 모드 유닛(field mode unit); 및 상기 메인 모드 유닛과의 네트워킹을 통해 상기 프로덕션 정보 또는 상기 필드 인풋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상기 공정 작업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유닛(monitoring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기 오피스 모드 유닛은, 클라이언트의 주문에 따른 견적서 또는 수주서를 선택적으로 발행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세일즈 관리부; 및 상기 세일즈 관리부로부터 발행된 상기 견적서 또는 상기 수주서를 토대로 상기 미리 등록된 유저를 통해서 상기 공정에 필요한 자재 정보가 선택적으로 입력 받으며, 상기 자재 정보를 상기 제2단말기로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자재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기 오피스 모드 유닛은, 상기 견적서, 상기 수주서 또는 상기 자재 정보를 상기 필드 모드 유닛으로 선택적으로 전송하며, 상기 작업 현장의 상기 작업자에게 상기 공정 작업 지시를 선택적으로 요청하는 작업 오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기 필드 모드 유닛은, 상기 작업 현장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자재 관리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자재 정보를 토대로 상기 공정 작업에 필요한 자재의 입고 정보, 출고 정보, 수입 검사 정보, 재고 정보, 또는 보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자재 정보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기 자재 정보 입력부는, 상기 작업 현장으로 입고되는 상기 자재에 각각에 미리 설정된 인커밍 코드(incoming code)를 선택적으로 발행하여 미리 지정된 위치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도록 하는 코드 어태칭부; 및 상기 작업자로 하여금 상기 작업 현장으로 입고되는 상기 자재의 소정의 검사 결과가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자재 인스펙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기 필드 모드 유닛은, 상기 오피스 모드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공정 작업 지시에 따라서 상기 자재가 선택적으로 투입되며, 완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상기 필드 인풋 정보가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생산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기 필드 모드 유닛은, 상기 작업 현장의 스토리지에 선택적으로 제공되어, 상기 스토리지로부터 입출고되는 상기 자재 또는 상기 완제품을 선택적으로 카운팅하는 스토리지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기 필드 모드 유닛은, 상기 공정 작업을 통해서 제작된 상기 완제품에 따른 미리 설정된 릴리징 코드(releasing code)를 선택적으로 발행하며,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납품하기 위한 거래 명세서를 선택적으로 발행하는 서플라잉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프로덕션 정보와 상기 필드 인풋 정보를 상호 매칭시켜, 상기 작업 현장으로부터 실시간으로 발생되는 생산 실적 정보, 품질 정보, 매입 정보, 매출 정보, 자재 소요 정보 또는 재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런트 정보를 전산적으로 산출하여 선택적으로 분석하는 커런트 정보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기 커런트 정보 산출부로부터 수집된 상기 커런트 정보를 소정의 형식으로 선택적으로 컨버팅하여,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 상에 연동시켜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인디케이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오피스와 작업 현장 각각에서 공정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되도록 하여 전산적으로 처리하여 공장 운영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메인 모드 유닛은 오피스와 현장의 단말기와 각각 상호 연동되어 작업 내용이 실시간으로 입력되며, 실시간으로 작업 오더를 지시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모니터링 유닛을 통해 실시간으로 공정 작업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과 품질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오피스 모드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세일즈 관리부의 개념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자재 관리부의 개념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작업 오더부의 개념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필드 모드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필드 모드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자재 정보 입력부의 개념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코드 어태칭부의 개념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생산 관리부의 개념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스토리지 관리부의 개념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서플라잉 관리부의 개념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코드 시큐리티부의 개념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 유닛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오피스 모드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세일즈 관리부의 개념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자재 관리부의 개념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작업 오더부의 개념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필드 모드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필드 모드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자재 정보 입력부의 개념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코드 어태칭부의 개념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생산 관리부의 개념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스토리지 관리부의 개념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서플라잉 관리부의 개념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코드 시큐리티부의 개념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 유닛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도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장 운영 관리를 위하여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모듈을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현장에서는 공정 작업 내용을 실시간으로 전산화하며, 오피스의 관리자는 현장의 정보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공정 운영 및 관리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은 중소 또는 중견, 대기업 내의 사무 공간 또는 작업 공간에 선택적으로 제공되어, 각각의 공간으로부터 업무 및 공정 작업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모드 유닛(main mode unit, 10), 오피스 모드 유닛(office mode unit, 100), 필드 모드 유닛(field mode unit, 200), 모니터링 유닛(monitoring unit, 300)을 포함하게 된다.
먼저, 메인 모드 유닛(10)의 경우, 오피스 또는 작업 현장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상호 연동되어,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송수신 받아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구성이다.
메인 모드 유닛(10)은 기업의 내부 또는 기업 외부의 인터넷 데이터 센터(IDC) 등에 존재하는 서버로서, 인터넷과 연결되어 데이터가 저장되는 물리적인 공간이 되며 단말기와 전산적인 통신을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 받고 저장하고 백업하는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메인 모드 유닛(10)과 통신하는 단말기는 사무 공간이 되는 오피스와 작업 현장이 되는 공장에 존재하는 전자기기로서 예컨대, 스마트폰, PC,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 워치, 카메라, 콘솔 장치, 웨어러블 장비, 센서, 블루투스 통신 장치, 키오스크, 터치 모니터, 팬리스 PC, 바코드 장비, 프린터 장비, 생산 설비, 정밀 검사 장치, 자동화 설비, PLC, 로봇 장치, 데이터 수집 장치, 게더링 장치, 네트웍 장비, 허브, 스위치, 라우터 등이 존재한다.
또한, 메인 모드 유닛(10)은 오피스 또는 작업 현장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 중에서도 허가되거나 등록된 단말기만이 상호 연동되어 데이터가 수집되며, 저장되도록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즉, 메인 모드 유닛(10)은 오피스와 작업 현장의 단말기를 통해 실행되는 오피스 모드 유닛(100), 필드 모드 유닛(200), 모니터링 유닛(300)과 각각과 전산적으로 네트워킹 되도록 하여 정보는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메인 모드 유닛(10)은 SaaS(Software-as-a-Service)를 기반으로 온라인 어플리케이션 구현하여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런타임, 미들웨어, 운영체제, 가상화,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의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며, 이는 이미 상용화된 것으로 기술적인 원리와 구동방법에 대해서는 생략하고자 한다.
오피스 모드 유닛(100), 필드 모드 유닛(200), 모니터링 유닛(300)은 오피스가 되는 사무동이나 작업 현장이 되는 공장동 또는 입고/출고를 관리하는 스토리지 등에 각각에는 네트워크 장비와 단말기가 구비되어 디지털/아날로그 데이터를 수집하여 메인 모드 유닛(10)과 네트워킹 되면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오피스 모드 유닛(100)의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피스에 선택적으로 마련되어 미리 등록된 유저에게 제공되는 제1단말기(101)를 통해 공정에 필요한 프로덕션 정보가 선택적으로 세팅 되며, 프로덕션 정보에 따라서 공정 작업을 선택적으로 전산적으로 지시하는 구성이다.
오피스 모드 유닛(100)은 사무 공간이 되는 오피스 또는 사무동에 배치된 제1단말기(101), 또는 오피스에 있는 관리자가 소지한 제1단말기(101)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세팅할 수 있게 된다.
제1단말기(101)는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단말기의 일종으로서, 주로 전산적 작업이 용이하고, 클라이언트와 타업체와의 컨택이 가능한 PC,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등이 메인 장치가 되어 정보가 세팅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피스 모드 유닛(100)에서 입력되는 프로덕션 정보는 공정 작업을 수행하는 사업장 정보, 거래처 정보, 조업 시간 정보, 환율 정보, 코드 정보, 직급 정보, 부서 정보, 조직 정보, 근무조 정보, 상기 미리 등록된 유저 정보, 품목 관리 정보, 창고 정보, 생상 정보, 점검 기준 정보, 영업 정보, 구매 정보, 재고 정보, 생산 정보, 추적성 정보, 설비 정보, 금형 정보, 측정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로서 정의할 수 있다.
미리 등록된 유저는 사원, 관리자, 임원 중에서 접근 권한이 부여된 사람으로 정의할 수 있다.
아울러, 오피스 모드 유닛(100)에서는 사용자 관리(결재 문서함, 개인 정보 관리, 메시지 관리, 공지 사항, 권한 관리), 기준 정보(회사, 사업장, 거래처, 조업시간, 환율, 코드 정보), 사용자 관리(직급, 부서, 조직, 사용자, 근무조), 거래처 정보, 품목 관리(제품, 반제품, 자재, 설비 금형, 측정기, 기타), 창고 정보, 생산 정보(공정, 라우팅, BOM), 점검 기준, 영업(판매 관리, 출하, 반품, 현황 조회), 구매(구매 단가, 구매 요청, 구매 발주, 입고 라벨 출력), 재고(입출고 관리, 창고 이동, 재고 현황), 생산(생산 기준 정보, 생산 계획, 자재 출고, 생산 관리, 생산 현황, 외주 관리, 외주 현황), 추적성(WO-NO, LOT-NO, SERIAL-NO, 원재료 NO 추적), 설비(설비 기준 정보, 설비 점검, 설비 수리), 금형(금형 기준 정보, 금형 현황, 생산 투입 횟수, 금형 점검, 금형 수리) 등을 각각 모듈화 하여 선택적으로 정보를 입력하고 관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오피스 모드 유닛(100)의 경우, 세일즈 관리부(110), 자재 관리부(120), 및 작업 오더부(130)를 포함하게 된다.
먼저, 세일즈 관리부(110)의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의 주문에 따른 견적서 또는 수주서를 선택적으로 전산적으로 발행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구성이다.
세일즈 관리부(110)는 거래처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주문 정보에 따라서 견적서 또는 수주서를 전산적으로 발행하도록 하며, 여기서 견적서 또는 수주서는 각각의 기업에서 사용하는 양식에 맞춰서 작성된 문서 파일 형식으로 발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일즈 관리부(110)는 제1단말기(101)를 통해서 견적서나 수주서는 클라이언트에게 이메일로 전송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세일즈 관리부(110)에서는 영업, 구매, 재고 등의 모듈을 통해서 클라이언트와의 거래를 조율하고 거래에 대한 정보를 세팅할 수 있다.
세일즈 관리부(110)에서 생성되는 견적서 또는 수주서 등의 정보는 메인 모드 유닛(10)으로 제공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재 관리부(120)의 경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일즈 관리부(110)로부터 발행된 견적서 또는 수주서를 토대로 미리 등록된 유저를 통해서 공정에 필요한 자재 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 받으며, 자재 정보를 제2단말기(201)로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구성이다.
자재 관리부(120)는 클라이언트와의 거래가 확정되면, 견적서 또는 수주서에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제품 생산과 제조를 위한 자재 정보가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구성이다.
자재 관리부(120)는 미리 등록된 유저로 하여금 필요한 자재 정보가 전산적으로 입력되며, 입력된 자재 정보는 제2단말기(201)로 전송되어 필드 모드 유닛(200)으로 공유되도록 한다. 또한, 입력된 자재 정보는 메인 모드 유닛(10)에 저장되며, 메인 모드 유닛(10)을 통해서 필드 모드 유닛(200)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작업 오더부(130)의 경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적서, 수주서, 또는 자재 정보를 필드 모드 유닛(200)으로 선택적으로 전송하며, 작업 현장의 작업자에게 공정 작업 지시를 선택적으로 전산적으로 요청하는 구성이다.
작업 오더부(130)는 필드 모드 유닛(200)에 마련된 제2단말기(201)로 견적서, 수주서, 또는 자재 정보를 포함한 프로덕션 정보를 전달하여, 작업 현장에 있는 작업자에게 공정 작업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공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작업 오더부(130)에서 입력되는 공정 작업 지시에 대한 정보는 메인 모드 유닛(10)으로도 전송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드 모드 유닛(200)의 경우,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현장에 선택적으로 마련되어, 작업 현장의 작업자에게 제공되는 제2단말기(201)를 통해 작업자로 하여금 공정 작업과 관련된 필드 인풋 정보가 선택적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제2단말기(201)는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단말기의 일종으로서, 주로 작업 현장 내에서 데이터를 입력하기 하고, 생산 설비와 연동되어 데이터 입력이 가능하고 생산 설비 장치를 콘트롤할 수 있는 태블릿 등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드 모드 유닛(200)에서 작업자를 통해 제2단말기(201)로 입력되는 필드 인풋 정보는 작업 현장에서 영업(납품), 구매(입고 관리), 생산(실적 등록), 금형(입출고), 설비(점검, 수리), 외주(입출고), 체크리스트, 재고 관리, 구매 관리, 생산 관리, 검사/점검, 납품 관리, 설비 관리, 금형 관리 등을 각각 모듈화하여 작업자를 통해서 선택적으로 정보를 입력되고 관리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필드 모드 유닛(200)의 경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재 정보 입력부(210), 생산 관리부(220), 스토리지 관리부(230), 서플라잉 관리부(240)를 포함하게 된다.
먼저, 자재 정보 입력부(210)의 경우,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현장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자재 관리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자재 정보를 토대로 공정 작업에 필요한 자재의 입고 정보, 출고 정보, 수입 검사 정보, 재고 정보, 또는 보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구성이다.
자재 정보 입력부(210)는 작업 현장에서 입고되거나 출고되는 자재에 대한 정보가 작업자로 하여금 제2단말기(201)를 통해서 전산적으로 입력되는 구성이다.
자재 정보 입력부(210)는 작업 현장으로 입고되는 자재가 생산 현장으로 가는지 스토리지 또는 창고로 입고되는지 여부, 입고되는 자재의 물량, 품질 검사 등의 정보가 입력되며, 입력된 정보는 메인 모드 유닛(10)으로 전산적으로 자동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하며, 오피스 모드 유닛(100)으로도 자동으로 업데이트되어 오피스의 미리 등록된 유저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자재 정보 입력부(210)의 경우, 코드 어태칭부(211) 및 자재 인스펙팅부(212)를 포함하게 된다,
코드 어태칭부(211)의 경우,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현장으로 입고되는 자재 각각에 미리 설정된 인커밍 코드를 선택적으로 발행하여 미리 지정된 위치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미리 설정된 인커밍 코드는 자재의 자재명, 거래처명, 입고 일자, 품명, 규격, 수량, 단가, 공급가, 부가세, 창고명, 검수인, 용도 등의 정보를 함유하는 이차원 형식의 패턴화된 코드로 정의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인커밍 코드는 자재마다 각각 상이하게 형성되어, 자재 정보가 함유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미리 설정된 인커밍 코드는 제2단말기(201) 중 바코드 장비와 프린터 장비를 통해서 생성되고 프린팅되며, 프린팅된 미리 설정된 인커밍 코드는 미리 지정된 위치에 부착되도록 한다.
이때, 미리 지정된 위치는 작업자로 하여금 전산적으로 지정된 가상의 위치로 정의할 수 있으며, 미리 지정된 위치는 육안으로 관찰되는 것은 아니나, 미리 설정된 인커밍 코드가 부착되면서 육안으로 관찰될 수 있게 된다.
자재 인스펙팅부(212)의 경우,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 현장에 입고되는 자재의 소정의 검사 결과가 선택적으로 전산적으로 입력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말하는 소정의 검사 결과는 자재의 수입 검사에 대한 결과로서, 외부로부터 입고되는 자재의 적합, 부적합 판정을 내리거나 품질 요구 조건을 기준으로 감사된 결과로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재 인스펙팅부(212)를 통해서 원재료의 품명, 품번, 규격, 수량에 따른 샘플 수량, 검사 수량, 부적합 수량, 성적서 등의 정보가 입력되도록 한다.
생산 관리부(220)의 경우,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피스 모드 유닛(100)으로부터 제공되거나 요청되는 공정 작업 지시에 따라서 자재가 선택적으로 투입되며 완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필드 인풋 정보가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구성이다.
생산 관리부(220)에서는 작업 지시에 따른 작업 LOT번호가 전산적으로 부여되고, 작업 지시 일자, 품명, 품번, 작업자, 공정 이동표가 등록되고 자재가 투입됨에 따라서 생산 실적이 등록될 수 있도록 한다.
생산 관리부(220)는 작업 현장의 작업자가 필드 인풋 정보를 제2단말기(201)를 통해서 전산적으로 입력하여 정보를 세팅하도록 한다.
또한, 생산 관리부(220)에서 작업자를 통해 입력되는 필드 인풋 정보에는 작업LOT번호, 공정명, 공정 시작 시간 정보, 종료 시간 정보, 작업 수량 정보, 양품 수량 정보, 불량 수량 정보, 완료 수량 정보, 생산 라인 정보, 생산 설비 정보, 작업자 정보, 상태 정보, 공정 검사 정보, 공정 검사 결과 정보, 외주 여부, 품명 정보, BOM 수량, BOM 합계, 필요 수량 정보, 투입 수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리지 관리부(230)의 경우,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현장의 선택적으로 제공되어, 스토리지로부터 입출고되는 자재 또는 완제품을 선택적으로 카운팅하여 전산적인 정보로 산출하는 구성이다.
스토리지 관리부(230)는 작업 현장의 창고가 되는 스토리지의 현황 정보를 카운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스토리지 관리부(230)의 경우, 원재료 카운팅부(231), 금형 카운팅부(232) 및 금형 카운팅부(233)를 포함하게 된다.
원재료 카운팅부(231)의 경우, 자재 정보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자재가 스토리지로 입고되거나 출고될 때, 자재의 수량을 카운팅하는 구성이다.
원재료 카운팅부(231)는 자재의 품목, 품목명, 품번 등의 정보에 따라서 자재의 수량을 카운팅하여 전산적으로 저장되도록 한다.
금형 카운팅부(232)의 경우, 생산 관리부(220)를 통해서 공정 작업을 거쳐서 생산된 완제품이 스토리지로 입고되거나 출고될 때, 완제품의 수량을 카운팅하는 구성이다.
금형 카운팅부(233)의 경우, 작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금형을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금형의 위치 정보, 타수 정보, 품질 정보, 수명 정보 등을 산출하여 유지보수 관리를 하기 위한 것이다.
서플라잉 관리부(240)의 경우,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 작업을 통해서 제작된 완제품에 따른 미리 설정된 릴리징 코드를 선택적으로 발행하며, 클라이언트에게 납품하기 위한 거래 명세서를 선택적으로 발행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말하는 미리 설정된 릴리징 코드는 완제품의 완제품명, 제조 일자, 품번, 규격, 수량, 단가, 공급가, 부가세, 창고명, 작업인 검수인, 용도 등의 완제품의 정보를 함유하는 이차원 형식의 패턴화된 코드로 정의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릴리징 코드는 완제품마다 상이하게 형성되어, 완제품의 정보가 함유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필드 모드 유닛(200)은 코드 시큐리티부(250)를 더 포함하게 된다.
코드 시큐리티부(250)는 필드 모드 유닛(200)으로부터 발행되는 각종 코드를 예컨대, 미리 설정된 인커밍 코드 또는 미리 설정된 릴리징 코드를 전산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코드 시큐리티부(250)는 입고되는 자재에 부착하기 위하여 발행되는 미리 설정된 인커밍 코드 또는 완제품에 부착되기 위하여 발행되는 미리 설정된 릴리징 코드 정보를 보호하여 자재 정보와 완제품 정보 등의 기업의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코드 시큐리티(code security)부(250)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 파티션(code partition)부(251), 핀 할당부(252), 코드 얼라이닝(code aligning)부(253), 코드 세이빙(code saving)부(254), 익스포팅(exporting)부(255)를 포함하게 된다.
코드 파티션부(251)의 경우, 발행되는 코드 영역을 임의로 구획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영역으로 나누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코드 파티션부(251)는 코드 영역을 임의로 분할하여 구획할 때, 복수 개의 개별 영역의 크기와 개수에는 제한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드 파티션부(251)에서는 코드 영역을 소정의 경계 라인에 따라서 구획하게 되며, 소정의 경계 라인은 가상의 경계 라인으로 코드 영역을 각각의 개별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도록 한다.
핀 할당부(252)의 경우, 코드 파티션부(251)로부터 구획된 복수 개의 개별 영역에 각각의 고유한 핀넘버(pin number)를 전산적으로 할당하는 구성이다.
핀 할당부(252)는 코드 파티션부(251)로부터 나누어진 복수 개의 개별 영역의 각각에 a1, a2, a3, a3, a4, a5, a6와 같이 고유한 핀넘버를 지정할 수 있다.
이때, 고유한 핀넘버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코드 얼라이닝부(253)의 경우, 고유한 핀넘버가 지정된 복수 개의 개별 영역을 임의의 규칙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정렬하는 구성이다.
코드 얼라이닝부(253)에서는 유저 또는 작업자로부터 설정된 정렬 규칙에 따라서 복수 개의 개별 영역을 선택적으로 정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유저 또는 작업자로부터 설정된 정렬 규칙에는 원형으로 나열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롤링하여 전산적으로 정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미리 설정된 인커밍 코드의 복수 개의 개별 영역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정렬하며, 미리 설정된 릴리징 코드의 복수 개의 개별 영역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정렬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서 미리 설정된 인커밍 코드와 미리 설정된 릴리징 코드의 보안 방법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단, 각각의 회전 횟수는 랜덤하게 결정되며, 정렬 규칙과 회전 횟수에 대한 정보는 송신단과 수신단만이 공유하도록 하며, 여기서 말하는 송신단과 수신단은 오피스 모드 유닛(100)과 필드 모드 유닛(200), 모니터링 유닛(300)이 될 수 있다.
즉, 개별 영역이 정렬되는 규칙과 정렬 방법에 대해서는 미리 등록된 유저 또는 작업자만이 공유하도록 한다.
코드 세이빙부(254)는 임의의 규칙이 적용되어 물리적으로 분리된 공간에 핀넘버가 할당된 복수 개의 개별 영역을 선택적으로 저장하고 보호하기 위한 구성이다.
코드 세이빙부(254)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저장 공간이나 저장소 또는 메인 모드 유닛(10) 내부의 저장소가 될 수 있으며, 코드 파티션부(251)로부터 출력되는 코드 영역, 임의로 구획된 개별 영역, 핀넘버가 할당되어 각각의 핀넘버가 적용될 개별영역, 작업 도중 시스템 실행 도중 모든 데이터가 저장되는 시스템 내의 모든 전산적인 장소가 되며 그 내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코드 세이빙부(254)는 핀넘버가 할당된 복수 개의 개별 영역을 개별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익스포팅부(255)는 코드 얼라이닝부(253)로부터 유저에 의해 적용된 임의의 규칙을 전산적으로 입력하면, 개별 영역으로 구획되었던 코드 영역이 복원되어 불러오도록 하는 구성이다.
익스포팅부(255)는 개별 영역으로 분할되었던 코드를 복원하게 되며, 이는 코드 얼라이닝부(253)로부터 적용된 규칙을 입력해야만 완전하게 복원이 가능하게 된다.
즉, 미리 등록된 유저 또는 작업 현장의 작업자만이 공유하여, 외부로부터 코드가 유출되더라도 미리 설정된 인커밍 코드 또는 미리 설정된 릴리징 코드에 함유된 기업의 자재 정보와 제품 정보를 리딩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기업의 내부 정보들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오피스 모드 유닛(100)은 상기 필드 모드 유닛(200)으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제공 받아 핵심 성과 지표를 산출하여 공정에 대한 성과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니터링 유닛(300)의 경우, 메인 모드 유닛(10)과의 네트워킹을 통해 프로덕션 정보 또는 필드 인풋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공정 작업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구성이다.
모니터링 유닛(300)에서는 오피스 모드 유닛(100)에서 요청한 작업 지시에 따라서 공정 작업 진행률을 전산적인 수치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오피스의 미리 등록된 유저는 추가 작업 지시를 요청할 수도 있도록 한다.
예컨대, 공정 작업의 내용이 변동되는 경우에도 모니터링 유닛(300)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여 작업 내용 변동이 있을 경우, 오피스의 미리 등록된 유저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모니터링 유닛(300)을 통해 공정 작업의 문제가 발생되면 제1 단말기 또는 제2단말기(201)로 시그널을 송출하여 미리 등록된 유저 또는 작업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 유닛(300)의 경우,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런트 정보 산출부(310) 및 인디케이팅부(320)를 포함하게 된다.
커런트 정보 산출부(310)의 경우, 프로덕션 정보와 필드 인풋 정보를 상호 매칭시켜 작업 현장으로부터 실시간으로 발행되는 생산 실적 정보, 품질 정보, 매입 정보, 매출 정보, 자재 소요 정보, 또는 재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런트 정보를 전산적으로 산출하여 선택적으로 분석하는 구성이다.
인디케이팅부(320)의 경우, 커런트 정보 산출부(310)로부터 수집된 커런트 정보를 소정의 형식으로 선택적으로 컨버팅하여,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 상에 연동시켜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구성이다.
인디케이팅부(320)는 메인 모드 유닛(10)으로부터 송수신되는 커런트 정보를 소정의 형식으로 변환시켜 가공하여 커런트 정보를 세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는 사전에 제작된 UI로서, 가공된 데이터를 오피스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메인 모드 유닛
100: 오피스 모드 유닛
101: 제1단말기
110: 세일즈 관리부
120: 자재 관리부
130: 작업 오더부
200: 필드 모드 유닛
201: 제2단말기
210: 자재 정보 입력부
211: 코드 어태칭부
212: 자재 인스펙팅부
220: 생산 관리부
230: 스토리지 관리부
231: 원재료 카운팅부
232: 완제품 카운팅부
233: 금형 카운팅부
240: 서플라잉 관리부
300: 모니터링 유닛
310: 커런트 정보 산출부
320: 인디케이팅부

Claims (10)

  1. 오피스 또는 작업 현장의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상호 연동되어,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송수신 받아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메인 모드 유닛(main mode unit);
    상기 오피스에 선택적으로 마련되어 미리 등록된 유저에게 제공되는 제1단말기를 통해 공정에 필요한 프로덕션(production) 정보가 선택적으로 세팅 되며, 상기 프로덕션 정보에 따라서 공정 작업을 선택적으로 전산적으로 지시하는 오피스 모드 유닛(office mode unit);
    상기 작업 현장에 선택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작업 현장의 작업자에게 제공되는 제2단말기를 통해 상기 작업자로 하여금 상기 공정 작업과 관련된 필드 인풋(field input) 정보가 선택적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필드 모드 유닛(field mode unit); 및
    상기 메인 모드 유닛과의 네트워킹을 통해 상기 프로덕션 정보 또는 상기 필드 인풋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상기 공정 작업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유닛(monitoring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피스 모드 유닛은,
    클라이언트의 주문에 따른 견적서 또는 수주서를 선택적으로 발행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세일즈 관리부; 및
    상기 세일즈 관리부로부터 발행된 상기 견적서 또는 상기 수주서를 토대로 상기 미리 등록된 유저를 통해서 상기 공정에 필요한 자재 정보가 선택적으로 입력 받으며, 상기 자재 정보를 상기 제2단말기로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자재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피스 모드 유닛은,
    상기 견적서, 상기 수주서 또는 상기 자재 정보를 상기 필드 모드 유닛으로 선택적으로 전송하며, 상기 작업 현장의 상기 작업자에게 상기 공정 작업 지시를 선택적으로 요청하는 작업 오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 모드 유닛은,
    상기 작업 현장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자재 관리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자재 정보를 토대로 상기 공정 작업에 필요한 자재의 입고 정보, 출고 정보, 수입 검사 정보, 재고 정보, 또는 보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자재 정보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재 정보 입력부는,
    상기 작업 현장으로 입고되는 상기 자재에 각각에 미리 설정된 인커밍 코드(incoming code)를 선택적으로 발행하여 미리 지정된 위치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도록 하는 코드 어태칭부; 및
    상기 작업자로 하여금 상기 작업 현장으로 입고되는 상기 자재의 소정의 검사 결과가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자재 인스펙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 모드 유닛은,
    상기 오피스 모드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공정 작업 지시에 따라서 상기 자재가 선택적으로 투입되며, 완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상기 필드 인풋 정보가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생산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 모드 유닛은,
    상기 작업 현장의 스토리지에 선택적으로 제공되어, 상기 스토리지로부터 입출고되는 상기 자재 또는 상기 완제품을 선택적으로 카운팅하는 스토리지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 모드 유닛은,
    상기 공정 작업을 통해서 제작된 상기 완제품에 따른 미리 설정된 릴리징 코드(releasing code)를 선택적으로 발행하며,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납품하기 위한 거래 명세서를 선택적으로 발행하는 서플라잉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프로덕션 정보와 상기 필드 인풋 정보를 상호 매칭시켜, 상기 작업 현장으로부터 실시간으로 발생되는 생산 실적 정보, 품질 정보, 매입 정보, 매출 정보, 자재 소요 정보 또는 재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런트 정보를 전산적으로 산출하여 선택적으로 분석하는 커런트 정보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커런트 정보 산출부로부터 수집된 상기 커런트 정보를 소정의 형식으로 선택적으로 컨버팅하여,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 상에 연동시켜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인디케이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20115616A 2022-09-14 2022-09-14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83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616A KR102483758B1 (ko) 2022-09-14 2022-09-14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616A KR102483758B1 (ko) 2022-09-14 2022-09-14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3758B1 true KR102483758B1 (ko) 2023-01-02

Family

ID=84925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616A KR102483758B1 (ko) 2022-09-14 2022-09-14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7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879A (ko) * 2018-05-03 2019-12-05 손영욱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음성인식을 이용한 맞춤형 스마트팩토리 생산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74652A (ko) 2018-12-17 2020-06-25 김홍규 스마트팩토리 데이터 관리 및 플랫폼 서비스를 위한 장치
KR102251050B1 (ko) 2019-11-13 2021-05-12 주식회사 팩앤롤 스마트 공장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자동 생성 장치
KR20220000529A (ko) 2020-06-26 2022-01-04 주식회사 화림무역 실시간으로 재고 추적이 가능한 스마트 물류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879A (ko) * 2018-05-03 2019-12-05 손영욱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음성인식을 이용한 맞춤형 스마트팩토리 생산관리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74652A (ko) 2018-12-17 2020-06-25 김홍규 스마트팩토리 데이터 관리 및 플랫폼 서비스를 위한 장치
KR102251050B1 (ko) 2019-11-13 2021-05-12 주식회사 팩앤롤 스마트 공장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자동 생성 장치
KR20220000529A (ko) 2020-06-26 2022-01-04 주식회사 화림무역 실시간으로 재고 추적이 가능한 스마트 물류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03843A1 (en) Integrating information for maintenance
CN100468246C (zh) 生产过程的实时监控***及监控方法
US20080255968A1 (en) Time-based physical inventory management
US8195532B2 (en) Generating information for use in performing physical operations
CN102262757A (zh) Aps/mes精益制造管理***
KR102321417B1 (ko) 제품제조 및 판매관리 자동화 플랫폼 시스템
Telukdarie et al. Enterprise definition for Industry 4.0
CN110809028B (zh) 一种基于Handle标识服务的设备全生命周期管理方法及***
CN112150125A (zh) 工业信息***和工业信息***构建方法
KR20210136234A (ko) Cps 기반의 물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75501A (ko) 기계가공물품의 생산정보 관리시스템 및 생산정보 관리방법
CN117151624A (zh) 一种基于scada***的车间数字化综合管理平台
KR102255695B1 (ko) 확장형 제조 실행 시스템
Kim et al. A Study on Smart Factory Construction Method for Efficient Production Management in Sewing Industry.
KR102483758B1 (ko)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CN112990886A (zh) 基于手机终端的航空行业数据管理显示***
KR20080006971A (ko)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과이를 이용한 방법
CN111178838A (zh) 一种基于云计算的智能数字化工厂***
CN116993529A (zh) 企业管理信息化建设数据统计智能分析***
KR20080009882A (ko) 의약품 업무관리를 위한 erp 시스템
CN105868924A (zh) 一种基于数字化制造家具企业生产质量管控***
Salvadorinho et al. Shop floor data in Industry 4.0: study and design of a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Sharma et al. Internet of Things: The new Rx for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and supply chains
Jahani et al. Application of Industry 4.0 in the Procurement Processes of Supply Chain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Sustainability 2021, 13, 7520
Edsman et al. Analysis of the software ecosystem in the Automotive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