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285B1 - 유니버셜모듈 접합구조물 - Google Patents

유니버셜모듈 접합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285B1
KR102482285B1 KR1020220123936A KR20220123936A KR102482285B1 KR 102482285 B1 KR102482285 B1 KR 102482285B1 KR 1020220123936 A KR1020220123936 A KR 1020220123936A KR 20220123936 A KR20220123936 A KR 20220123936A KR 102482285 B1 KR102482285 B1 KR 102482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shaft
plate
fixing
universal modu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한
이호준
이민섭
김은숙
윤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쓰리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쓰리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쓰리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220123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 E04B1/4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적층되는 모듈이 마주하게 되는 보와 기둥 외측에서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측판을 접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유니버셜모듈 접합구조물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니버셜모듈 접합구조물{Universal module joint structure}
본 발명은 유니버셜모듈 접합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적층되는 모듈이 마주하게 되는 보와 기둥 외측에서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측판을 접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유니버셜모듈 접합구조물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는 플랜트구조물의 건설 시에 플랜트구조물을 구성하는 복수의 기둥부재와,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 등의 플랜트구조물의 구성품들을 먼저 공장에서 별도로 제작한 후, 시공현장으로 운반하여 현장에서 모든 부재를 연결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공장에서 블록 또는 모듈을 제작한 후 현장에서 블록 또는 모듈을 조립하여 설치하는 모듈러방식으로 플랜트구조물의 건설공사를 실시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의 경우에는, 플랜트모듈의 복수 개의 연결부를 모두 볼트체결 해야 하는바, 연결부의 시공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연결부의 시공오차의 발생으로 인해 재시공 등으로 인해 시공기간이 지연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플랜트모듈을 상하방향으로 접합하여 플랜트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 현장에서의 시공오차나 구성품의 제작 오차에 의해서 다수의 기둥부재의 연결부를 동시에 일치시키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플랜트모듈 자체가 대형 구조물이고, 각각의 플랜트모듈 연결부는 수평방향으로 상당한 이격거리를 두고 형성되므로, 최전방의 플랜트모듈 연결부와 최후방의 플랜트모듈 연결부의 이격거리는 더욱 커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대형화되 플랜트구조물에서는 플랜트모듈의 복수의 연결부를 동시에 일치시키는 것이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004960호
본 발명은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적층되는 모듈이 마주하게 되는 보와 기둥 외측에서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측판을 접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적층되는 모듈에 형성되는 접합플레이트가 상호 접합되도록 형성되는 유니버셜모듈 접합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합구조물은, 규격에 따라 수직방향과 수평방향 측으로 가변이 가능하도록 사각의 틀로 형성되는 유니버셜모듈과, 유니버셜모듈의 둘레로 각 모서리 측에 수직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직기둥과, 유니버셜모듈의 상부와 하부 둘레로 수직기둥과 수직기둥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며, 수평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평보와, 적층되는 유니버셜모듈 간의 접합을 위해 상측과 하측 모서리와, 상측 둘레와 하측 둘레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는 접합플레이트와, 상호 맞닿는 접합플레이트가 볼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접합플레이트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플레이트연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접합구조물은, 하나의 유니버셜모듈과 또다른 하나의 유니버셜모듈의 접합시 각 측의 유니버셜모듈에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접합플레이트를 상호 당기도록 형성되는 플레이트당김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당김고정부는, 일측의 유니버셜모듈에 형성되는 접합플레이트 상면으로 고정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와, 회전되는 스크류축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고정플레이트 상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고정하우징과, 스크류축을 고정하우징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이 관통될 수 있도록 고정하우징 일측 상면으로 형성되는 핀관통홈과, 스크류축의 회전시 고정하우징측으로 스크류축이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해 고정하우징 일측으로 형성되는 축지지부재와, 당김바를 고정하우징 측으로 당겨 조임스프링을 압축시키도록 일측이 축지지부재에 결합되고, 타측이 이동하우징 내부의 당김바에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스크류축과, 핀관통홈을 관통하여 스크류축은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스크류축 일측으로 형성되는 핀삽입홈과, 핀관통홈을 관통하여 핀삽입홈에 삽입됨으로 스크류축이 고정하우징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핀과, 스크류축의 회전 이동시 고정하우징 내면에 밀착됨을 감지하며, 밀착되는 정보를 사용자단말기 측으로 실시간 제공하여 접합플레이트 간의 밀착상태를 알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정하우징 내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밀착센서와, 타측의 유니버셜모듈에 형성되는 접합플레이트 상면으로 고정 형성되는 이동플레이트와, 회전되는 스크류축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이동플레이트 상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이동하우징과, 스크류축의 회전 이동시 조임스프링을 압축시키도록 스크류축 일측으로 형성되는 당김바와, 당김바에 의해 압축되거나, 스크류축의 역회전시 이완될 수 있도록 당김바와 이동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조임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적층되는 모듈을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접합함으로 시공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유니버셜모듈 접합구조물에 대한 제품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수직 접합 상태를 나타낸 제품도이다.
도 3은 도 1에 대한 수평상태 접합상태를 나타낸 제품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플레이트당김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결속자성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접합탄성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대한 상세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유니버셜모듈(100) 접합구조물(10)에 대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수직 접합 상태를 나타낸 제품도이며, 도 3은 도 1에 대한 수평상태 접합상태를 나타낸 제품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접합구조물(10)은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모듈에 형성되는 접합플레이트(112)가 상호 접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합구조물(10)은 유니버셜모듈(100), 수직기둥(110), 수평보(111), 접합플레이트(112), 플레이트연결홈(11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니버셜모듈(100)은 규격에 따라 수직방향과 수평방향 측으로 가변이 가능하도록 사각의 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니버셜모듈(100)의 규격은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의 값에 따라 가변시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기둥(110)은 유니버셜모듈(100)의 둘레로 각 모서리 측에 수직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보(111)는 유니버셜모듈(100)의 상부와 하부 둘레로 수직기둥(110)과 수직기둥(110)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며, 수평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합플레이트(112)는 적층되는 유니버셜모듈(100) 간의 접합을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접합플레이트(112)는 상측과 하측 모서리와, 상측 둘레와 하측 둘레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연결홈(113)은 상호 맞닿는 접합플레이트(112)가 볼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연결홈(113)은 접합플레이트(112)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니버셜모듈(100) 접합구조물(10)은 하나의 모듈단위로 형성되는 유니버셜모듈(100)과 또다른 하나의 유니버셜모듈(100)이 수직방향으로 접합플레이트(112) 간의 접합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수평방향으로 접합플레이트(112) 간의 접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플레이트당김고정부(2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당김고정부(200)는 유니버셜모듈(100) 접합구조물(1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플레이트당김고정부(200)는 하나의 유니버셜모듈(100)과 또다른 하나의 유니버셜모듈(100)의 접합시 각 측의 유니버셜모듈(100)에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접합플레이트(112)를 상호 당기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당김고정부(200)는 고정플레이트(210), 고정하우징(211), 핀관통홈(212), 축지지부재(213), 스크류축(214), 핀삽입홈(215), 고정핀(216), 밀착센서(217), 이동플레이트(218), 이동하우징(219), 당김바(220), 조임스프링(22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10)는 일측의 유니버셜모듈(100)에 형성되는 접합플레이트(112) 상면으로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하우징(211)은 회전되는 스크류축(214)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하우징(211)은 고정플레이트(210) 상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관통홈(212)은 스크류축(214)을 고정하우징(211)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216)이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핀관통홈(212)은 고정하우징(211) 일측 상면으로 형성되는 것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지지부재(213)는 스크류축(214)의 회전시 고정하우징(211)측으로 스크류축(214)이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축지지부재(213)는 고정하우징(21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축(214)은 당김바(220)를 고정하우징(211) 측으로 당겨 조임스프링(221)을 압축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축(214)은 일측이 축지지부재(213)에 결합되고, 타측이 이동하우징(219) 내부의 당김바(220)에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삽입홈(215)은 핀관통홈(212)을 관통하여 스크류축(214)은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216)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핀삽입홈(215)은 스크류축(214)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핀(216)은 핀관통홈(212)을 관통하여 핀삽입홈(215)에 삽입됨으로 스크류축(214)이 고정하우징(211)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센서(217)는 스크류축(214)의 회전 이동시 고정하우징(211) 내면에 밀착됨을 감지하며, 밀착되는 정보를 사용자단말기 측으로 실시간 제공하여 접합플레이트(112) 간의 밀착상태를 알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센서(217)는 고정하우징(211) 내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플레이트(218)는 타측의 유니버셜모듈(100)에 형성되는 접합플레이트(112) 상면으로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하우징(219)은 회전되는 스크류축(214)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이동플레이트(218) 상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당김바(220)는 스크류축(214)의 회전 이동시 조임스프링(221)을 압축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당김바(220)는 스크류축(214)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임스프링(221)은 당김바(220)에 의해 압축되거나, 스크류축(214)의 역회전시 이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조임스프링(221)은 당김바(220)와 이동하우징(219)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결속자성부(3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결속자성부(300)는 유니버셜모듈(100) 접합구조물(1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결속자성부(300)는 하나의 유니버셜모듈(100)과 또다른 하나의 유니버셜모듈(100)의 접합시 자성에 의해 결속력을 높여주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자성부(300)는 가변측고정판(310), 가변부재(311), 고정대매립홈(312), 가변고정대(313), 가변힌지(314), 가변너트(315), 삽입측고정판(316), 삽입부재(317), 고정대홈(318), 마그네틱판(319), 마그네틱레버(3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측고정판(310)은 하나의 유니버셜모듈(100)에 형성되는 접합플레이트(112) 상면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부재(311)는 가변고정대(313)가 회전 매립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변부재(311)는 가변측고정판(310) 상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대매립홈(312)은 가변고정대(313)가 매립보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대매립홈(312)은 가변부재(311) 상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고정대(313)는 고정대매립홈(312) 일측으로 형성되는 가변힌지(314)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삽입측고정판(316)에 형성되는 고정대홈(318)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형성되고, 유니버셜모듈(100)과 유니버셜모듈(100) 간의 간격에 따라 가변너트(315)의 구동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힌지(314)는 가변고정대(313)가 고정대매립홈(312)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변힌지(314)는 고정대매립홈(312) 일측으로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너트(315)는 가변고정대(313)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변너트(315)는 가변고정대(313) 중앙측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측고정판(316)은 또다른 하나의 유니버셜모듈(100)에 형성되는 접합플레이트(112) 상면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재(317)는 삽입측고정판(316) 상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대홈(318)은 가변고정대(313)가 삽입되어 결속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대홈(318)은 삽입부재(317) 상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그네틱판(319)은 결속되는 가변고정대(313)를 자성에 의해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마그네틱판(319)은 고정대홈(318) 바닥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그네틱레버(320)는 마그네틱판(319)에 자성 구동을 온/오프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마그네틱레버(320)는 삽입부재(317)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접합탄성부(4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도 8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접합탄성부(400)는 유니버셜모듈(100) 접합구조물(1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접합탄성부(400)는 수직방향으로 하나의 유니버셜모듈(100)과 또다른 하나의 유니버셜모듈(100)의 접합시 탄성을 갖도록 하여 진동 및 충격에 상호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합탄성부(400)는 안착플레이트(410), 지지플레이트(411), 플레이트결속부재(412), 결속스크류(413), 결속너트(414), 압착하우징(415), 하우징단(416), 압착부재(417), 부재돌기(418), 압착스프링(419), 스프링부재(420), 탄성스프링(42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플레이트(410)는 수직방향으로 유니버셜모듈(100)을 접합시 유니버셜모듈(100) 하면에 형성되는 접합플레이트(112) 하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411)는 수직방향으로 유니버셜모듈(100)을 접합시 유니버셜모듈(100) 상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결속부재(412)는 안착플레이트(410)와 지지플레이트(411)를 결속스크류(413)를 통해 결합시 결속스크류(413)가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결속부재(412)는 안착플레이트(410)와 지지플레이트(411) 일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스크류(413)는 일측이 안착플레이트(410)와 나사결합되고, 타측이 지지플레이트(411)와 나사결합되어 결속너트(414)의 회전시 회전되어 안착플레이트(410)와 지지플레이트(411)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너트(414)는 결속스크류(413)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속너트(414)는 결속스크류(413)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하우징(415)은 압착스프링(419)이 내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착하우징(415)은 안착플레이트(410) 하면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단(416)은 압착스프링(419)의 빠짐을 방지하며, 삽입되는 부재돌기(418)가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단(416)은 압착하우징(415) 하부 끝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부재(417)는 압착하우징(415)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압착하우징(415) 내부로 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착부재(417)는 지지플레이트(411) 상면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재돌기(418)는 압착하우징(415)에 삽입되어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는 압착부재(417)가 압착하우징(415)에서 빠지지 않고 하우징단(416)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부재돌기(418)는 압착부재(417)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스프링(419)은 진동 및 충격발생시 유니버셜모듈(100) 간의 유격이 발생됨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착스프링(419)은 압착하우징(415)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부재(420)는 탄성스프링(421)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부재(420)는 안착플레이트(410) 하면 중앙과 지지플레이트(411) 상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스프링(421)은 수직으로 접합된 유니버셜모듈(100) 간의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스프링(421)은 안착플레이트(410)와 지지플레이트(411)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접합구조물
100 : 유니버셜모듈 110 : 수직기둥
111 : 수평보 112 : 접합플레이트
113 : 플레이트연결홈
200 : 플레이트당김고정부 210 : 고정플레이트
211 : 고정하우징 212 : 핀관통홈
213 : 축지지부재 214 : 스크류축
215 : 핀삽입홈 216 : 고정핀
217 : 밀착센서 218 : 이동플레이트
219 : 이동하우징 220 : 당김바
221 : 조임스프링
300 : 결속자성부 310 : 가변측고정판
311 : 가변부재 312 : 고정대매립홈
313 : 가변고정대 314 : 가변힌지
315 : 가변너트 316 : 삽입측고정판
317 : 삽입부재 318 : 고정대홈
319 : 마그네틱판 320 : 마그네틱레버
400 : 접합탄성부 410 : 안착플레이트
411 : 지지플레이트 412 : 플레이트결속부재
413 : 결속스크류 414 : 결속너트
415 : 압착하우징 416 : 하우징단
417 : 압착부재 418 : 부재돌기
419 : 압착스프링 420 : 스프링부재
421 : 탄성스프링

Claims (3)

  1.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적층되는 모듈에 형성되는 접합플레이트가 상호 접합되도록 형성되는 유니버셜모듈 접합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접합구조물은,
    규격에 따라 수직방향과 수평방향 측으로 가변이 가능하도록 사각의 틀로 형성되는 유니버셜모듈과,
    유니버셜모듈의 둘레로 각 모서리 측에 수직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직기둥과,
    유니버셜모듈의 상부와 하부 둘레로 수직기둥과 수직기둥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며, 수평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평보와,
    적층되는 유니버셜모듈 간의 접합을 위해 상측과 하측 모서리와, 상측 둘레와 하측 둘레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는 접합플레이트와,
    상호 맞닿는 접합플레이트가 볼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접합플레이트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플레이트연결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접합구조물은,
    하나의 유니버셜모듈과 또다른 하나의 유니버셜모듈의 접합시 각 측의 유니버셜모듈에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접합플레이트를 상호 당기도록 형성되는 플레이트당김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당김고정부는,
    일측의 유니버셜모듈에 형성되는 접합플레이트 상면으로 고정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와,
    회전되는 스크류축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고정플레이트 상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고정하우징과,
    스크류축을 고정하우징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이 관통될 수 있도록 고정하우징 일측 상면으로 형성되는 핀관통홈과,
    스크류축의 회전시 고정하우징측으로 스크류축이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해 고정하우징 일측으로 형성되는 축지지부재와,
    당김바를 고정하우징 측으로 당겨 조임스프링을 압축시키도록 일측이 축지지부재에 결합되고, 타측이 이동하우징 내부의 당김바에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스크류축과,
    핀관통홈을 관통하여 스크류축은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스크류축 일측으로 형성되는 핀삽입홈과,
    핀관통홈을 관통하여 핀삽입홈에 삽입됨으로 스크류축이 고정하우징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핀과,
    스크류축의 회전 이동시 고정하우징 내면에 밀착됨을 감지하며, 밀착되는 정보를 사용자단말기 측으로 실시간 제공하여 접합플레이트 간의 밀착상태를 알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정하우징 내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밀착센서와,
    타측의 유니버셜모듈에 형성되는 접합플레이트 상면으로 고정 형성되는 이동플레이트와,
    회전되는 스크류축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이동플레이트 상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이동하우징과,
    스크류축의 회전 이동시 조임스프링을 압축시키도록 스크류축 일측으로 형성되는 당김바와,
    당김바에 의해 압축되거나, 스크류축의 역회전시 이완될 수 있도록 당김바와 이동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조임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모듈 접합구조물.
  2. 삭제
  3. 삭제
KR1020220123936A 2022-09-29 2022-09-29 유니버셜모듈 접합구조물 KR102482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936A KR102482285B1 (ko) 2022-09-29 2022-09-29 유니버셜모듈 접합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936A KR102482285B1 (ko) 2022-09-29 2022-09-29 유니버셜모듈 접합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285B1 true KR102482285B1 (ko) 2022-12-29

Family

ID=84539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936A KR102482285B1 (ko) 2022-09-29 2022-09-29 유니버셜모듈 접합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2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100B1 (ko) * 2023-03-08 2024-03-21 썬에스지엠 주식회사 점자 패턴 형성 장치
KR102682950B1 (ko) 2023-03-08 2024-07-08 썬에스지엠 주식회사 정밀도가 향상된 점자 인쇄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792B1 (ko) * 2010-12-29 2011-06-27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운송이 용이한 모듈러 유닛 및 모듈러 구조물
KR102004960B1 (ko) 2017-11-01 2019-07-30 대림산업 주식회사 수중 내에서의 결합이 가능한 원형관 모듈의 연직 접합시공방법, 연직 접합구조 및 이에 의한 원형관 모듈의 접합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792B1 (ko) * 2010-12-29 2011-06-27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운송이 용이한 모듈러 유닛 및 모듈러 구조물
KR102004960B1 (ko) 2017-11-01 2019-07-30 대림산업 주식회사 수중 내에서의 결합이 가능한 원형관 모듈의 연직 접합시공방법, 연직 접합구조 및 이에 의한 원형관 모듈의 접합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100B1 (ko) * 2023-03-08 2024-03-21 썬에스지엠 주식회사 점자 패턴 형성 장치
KR102682950B1 (ko) 2023-03-08 2024-07-08 썬에스지엠 주식회사 정밀도가 향상된 점자 인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2285B1 (ko) 유니버셜모듈 접합구조물
KR101498270B1 (ko) 내진용 수배전반
US10410785B2 (en) Cast resin transformer
KR101899855B1 (ko)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JP7252910B2 (ja) マウント
JP2017508431A (ja) ソーラエネルギーパネルのための角部への接続ブラケット
CN2633099Y (zh) Cd搁架的分隔件
US9182030B2 (en) Slew drive gearbox with spherical adjusting mount
TWI763724B (zh) 接合金屬材
JP2011149230A (ja) 木造建築物の補強構造
KR20140105643A (ko)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물
CN106735959B (zh) 激光点焊夹具
JP2013217051A (ja) 接合部構造
KR200494494Y1 (ko) 테이블 다리 조립구조
KR101751651B1 (ko) 이중 및 대칭구조 3축 코너편을 적용한 볼팅구조 내진 배전반
JP2011127384A (ja) 免震装置
JP2002188319A (ja) 住宅用免震装置
KR101829883B1 (ko) 테이블 프레임 결합구조
KR20180085304A (ko) 스프링을 이용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모듈형 마루틀 시스템
CN111246776A (zh) 一种铁制家具用框架以及框架装配体
CN218734771U (zh) 一种便于拆装的小型静音箱
FI20185136A1 (en) Arrangement and procedure for the prevention of earthquake damage
CN213352502U (zh) 一种机械手用底座固定装置
KR101480730B1 (ko) 조립식 체결핀 결합구조를 이루는 모듈 적층방식 건축물
US6314702B1 (en) Assembled fram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