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090B1 -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090B1
KR102479090B1 KR1020170172417A KR20170172417A KR102479090B1 KR 102479090 B1 KR102479090 B1 KR 102479090B1 KR 1020170172417 A KR1020170172417 A KR 1020170172417A KR 20170172417 A KR20170172417 A KR 20170172417A KR 102479090 B1 KR102479090 B1 KR 102479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duct
housing
air
blow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1391A (ko
Inventor
장엄지
신세훈
윤준호
김권진
윤연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2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090B1/ko
Priority to PCT/KR2018/015487 priority patent/WO2019117544A1/ko
Priority to US16/769,322 priority patent/US11536485B2/en
Publication of KR20190071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5Cross-flow or tangent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공기조화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공기조화장치는 유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기 유입구 측의 제1 공간과 상기 토출구 측의 제2 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구비한 격벽;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공간을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며 상기 제1 공간의 공기를 상기 제2 공간으로 방출하는 덕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 유닛; 및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된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AIR CONDITIO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장치는 외부의 공기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맞는 공기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에 따라 공기조화장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열교환기와 외부의 공기를 공기조화장치로 유입시키는 송풍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 유닛에 의해 공기조화장치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변화하게 된다.
이때, 온도가 변화된 공기가 다시 송풍 유닛으로 되돌아가지 않게 하기 위해 송풍 유닛과 열교환기 사이에 격벽이 배치된다. 격벽에는 송풍 유닛에서 이동되는 공기를 열교환기로 가이드 하기 위한 별도의 가이드 부품이 필요하였다. 하지만, 격벽에 배치되는 가이드 부품은 별도의 생산과정이 필요하며, 가이드 부품이 송풍 유닛과 연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는 제한이 있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부품을 송풍 유닛과 연통되는 위치에 고정 배치하기 위한 별도의 시간 및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698910호 (공고일: 2007.03.22)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송풍 유닛에서 이동되는 공기를 열교환기로 가이드 할 수 있는 덕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기 유입구 측의 제1 공간과 상기 토출구 측의 제2 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구비한 격벽;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공간을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며 상기 제1 공간의 공기를 상기 제2 공간으로 방출하는 덕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 유닛; 및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된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송풍 유닛은,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 및 송풍팬을 포함하며, 상기 덕트는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부 하부 케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덕트는 상기 상부 케이스에 결합된 상면, 상기 상면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양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는 상기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양측면의 하단과 접하는 하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개구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을 향해 절곡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양측면의 하단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 공간을 향해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덕트의 양측면은 각각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부의 양단과 접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연장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장부를 향해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장부의 상단과 접하는 지지돌기; 상기 지지돌기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격벽과 접하는 결합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덕트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격벽과 접하는 결합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버가 분해된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송풍 유닛과 열교환기를 생략한 하우징과 격벽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송풍 유닛과 격벽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A-A 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송풍 유닛과 격벽 일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 유닛과 격벽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송풍 유닛과 격벽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 유닛과 격벽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 유닛과 격벽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송풍 유닛과 격벽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 유닛과 격벽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C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 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커버(11)가 분해된 공기조화장치(1)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송풍 유닛(200)과 열교환기(300)를 생략한 하우징(10)과 격벽(100)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며, 도 5는 송풍 유닛과 격벽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할 때, 공기조화장치(1)는 내부에 격벽(100), 송풍 유닛(200) 및 열교환기(300)가 배치된 하우징(1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직육면체 형상의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다만, 하우징(1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격벽(100), 송풍 유닛(200) 및 열교환기(300)를 포함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든 충분하다.
도 1을 참조할 때, 하우징(10)의 외부에는 결합부재(14)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재(14)는 공기조화장치(1)의 하우징(10)을 외부의 지지체(미도시)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나사결합, 스냅결합 등 다양한 방식의 결합으로 하우징(10)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할 때, 하우징(10)은 적어도 하나의 커버(11)를 포함한다. 커버들(11)은 유입구(12, 도 3 참조)와 토출구(13, 도 3 참조)를 제외한 각 면에 배치되고 하우징(10)의 내부를 외부와 구획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일면에는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가 형성된다. 유입구(12)의 대향하는 하우징(10)의 타면에는 열교환기(300)에 의해 온도가 변화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13)가 형성된다. 다만, 토출구(13)는 유입구(12)에서 유입된 공기가 토출구(13)를 통해 공기조화장치(1)에서 토출될 수 있으면 충분하며, 토출구(13)는 유입구(12)의 대향되는 하우징(10)의 타면 외에도 하우징(10)의 다양한 위치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할 때, 격벽(10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어 하우징(10)의 내부를 유입구(12) 측의 제1 공간(S1)과 토출구(13)측의 제2 공간(S2)으로 구획한다.
격벽(100)에 의해 구획된 하우징(10) 내부의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은 격벽(100)의 개구부(110)에 의해 서로 연통된다. 즉, 격벽(100)의 개구부(110)를 통해서만 공기가 제1 공간(S1)에서 제2 공간(S2)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격벽(100)의 개구부(110)를 제외한 격벽(100)의 나머지 부분으로는 공기가 이동할 수 없다.
격벽(100)은 하우징(10) 내부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다만, 격벽(100)이 하우징(10)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면 충분하며, 고정되는 방식은 스냅 결합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개구부(110)의 형상은 후술하는 송풍 유닛(200)의 덕트(400, 도 6 참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덕트(400)는 개구부(110)에 삽입되어 관통할 수 있다.
개구부(110)의 개수는 송풍 유닛(200)의 개수와 동일하다. 따라서 각 개구부(110)에 송풍 유닛(200)의 덕트(400)가 결합되는 경우에, 제2 공간(S2)의 공기는 덕트(400)를 통해 제1 공간(S1)으로부터 이동할 수 있으며, 공기는 덕트(400) 이외의 공간을 통해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 사이를 이동할 수 없다.
도 4를 참조할 때, 송풍 유닛(200)은 하우징(10)의 제1 공간(S1)에 배치되고, 열교환기(300)는 하우징(10)의 제2 공간(S2)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송풍 유닛(200)에 의해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300)로 이동할 수 있다.
송풍 유닛(200)은 하우징(10) 외부의 공기를 하우징(10) 내부로 유입하며, 유입된 공기를 덕트(400)를 통해 제2 공간(S2)으로 토출함으로써, 제2 공간(S2)에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기(300)를 통과하여 하우징(10)의 토출구(13)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송풍 유닛(200)은 상부 케이스(220, 도 7 참조), 상부 케이스(220)와 결합하는 하부 케이스(230, 도 7 참조) 및 송풍팬(240, 도 7 참조)을 포함한다. 도 7에서는 송풍팬(240)을 원심팬으로 도시하였으나, 송풍팬(240)은 필요에 따라 측류팬, 횡류팬 등 공지된 다양한 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송풍 유닛(200)은 필요에 따라 다수 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3개의 송풍 유닛(200)이 배치된다. 이때, 각각의 송풍 유닛(200)은 모두 하나의 축(211, 도 5 참조)으로 연결되어 있다. 하나의 축(211)에는 다수의 송풍 유닛(200)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210, 도 5 참조)가 연결된다.
열교환기(300)는 하우징(10) 내부의 제2 공간(S2)에 배치된다. 열교환기(300)는 다수의 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온 또는 저온의 물질은 열교환기(300)의 다수의 관의 내부에서 유동한다. 고온의 물질이 열교환기(300)의 관을 유동할 경우에는 열교환기(300)를 통과하는 공기는 열교환을 통해 온도가 상승하며, 저온의 물질이 열교환기(300)의 관을 유동할 경우에는 열교환기(300)를 통과하는 공기는 열교환을 통해 온도가 떨어진다. 이로써, 공기조화장치(1)는 사용자에 필요에 따라 외부의 공기의 온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할 때, 송풍 유닛(200)은 제2 공간(S2)을 향해 돌출하도록 개구부(110)를 관통하며 제1 공간(S1)의 공기를 제2 공간(S2)으로 방출하는 덕트(40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덕트(400)는 송풍 유닛(200)에 의해 제2 공간(S2)으로 이동하는 공기를 송풍 유닛(2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열교환기(300)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덕트(400)는 별도로 부재로 생산되어 송풍 유닛(200)에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덕트(400)는 상부 케이스(220) 및 하부 케이스(23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덕트(400)는 상부 케이스(220) 또는 하부 케이스(230)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덕트(400)를 생산하는 공정 및 덕트(400)를 송풍 유닛(200)과 결합하는 공정이 필요치 않아 부품의 수, 체결수를 줄여 생산비용 및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격벽(100)과 평행한 덕트(400)의 단면은 개구부(1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덕트(400)는 개구부(110)를 관통하고 삽입되어 개구부(110)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덕트(400)를 개구부(110)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것으로 덕트(400)와 연결된 송풍 유닛(200)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송풍 유닛(200)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를 열교환기(300)로 가이드할 수 있다.
송풍 유닛(200)의 상부 케이스(220) 또는 하부 케이스(230)는 덕트(400)의 양측에 배치되어 격벽(100)과 접하는 결합연장부(250)를 포함한다.
결합연장부(250)는 상부 케이스(220) 또는 하부 케이스(230)를 격벽(100)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연장부(250)는 격벽(100)과 접촉하며 나사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격벽(100)과 결합연장부(250)의 결합의 편의를 위해, 결합연장부(250)는 격벽(100)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격벽(100)과 결합연장부(250)의 결합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스냅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공기조화장치(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A-A 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송풍 유닛(200)에 의해 외부의 공기는 하우징(10)의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송풍 유닛(200)의 측면으로 유입되어 덕트(400)를 통해 제2 공간(S2)의 열교환기(300)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공간(S2)으로 이동한 공기는 열교환기(30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기(300)와의 열교환을 통해 온도가 변화한다. 온도가 변화된 공기는 하우징(10)의 토출구(13)를 지나 외부로 배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송풍 유닛(200)과 격벽(100) 일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송풍 유닛(200) 및 하나의 송풍 유닛(200)과 결합하는 격벽(100)의 일부만을 도시하였다.
송풍 유닛(200)의 상부 케이스(220)와 하부 케이스(230)는 상호 결합되어 송풍 유닛(2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상부 케이스(220)에는 덕트(400)의 상면(400d) 및 양측면(400b, 400c)이 형성되며, 하부 케이스(230)에는 덕트(400)의 하면(400a)이 형성된다. 즉, 덕트(400)는 상부 케이스(220)에 결합된 상면(400d) 및 상면(400d)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양측면(400b, 400c)을 포함하며, 하부 케이스(230)에 결합되고 양측면(400b, 400c)의 하단과 접하는 하면(400a)을 포함한다.
상부 케이스(220)와 하부 케이스(230)가 결합함으로써 덕트(400)는 격벽(100)의 개구부(11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덕트(400)를 형성하게 된다.
다만,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상부 케이스(220)와 하부 케이스(230) 각각에 덕트(400)의 일부가 결합되고, 상부 케이스(220)와 하부 케이스(230)가 결합되어 덕트(400)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케이스(220)는 덕트(400)의 일면을 구성하게 되고 하부 케이스(230)는 덕트(400)의 나머지 면을 구성한다. 필요에 따라 상부 케이스(220)와 하부 케이스(230) 각각은 덕트(400)를 구성하는 면을 다양하게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케이스(220)가 대향하는 2개의 면이 없는 직육면체 형상의 덕트(400)의 2면을 형성하고, 하부 케이스(230)가 덕트(400)의 나머지 2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 유닛과 격벽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송풍 유닛과 격벽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 유닛과 격벽의 단면도이다.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 번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관해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설명하지 않은 동일한 부재 번호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아울러,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송풍 유닛(200) 및 하나의 송풍 유닛(200)과 결합하는 격벽(100)의 일부만을 도시하였다.
격벽(100)은 개구부(110)의 하단(110a)으로부터 제2 공간(S2)을 향해 절곡 형성된 연장부(120)를 포함한다. 연장부(120)는 덕트(500)의 양측면(500b, 500c)과 접촉한다. 이에 따라 덕트(500) 및 덕트(500)와 접하는 연장부(120)는 송풍 유닛(200)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를 열교환기(300)로 가이드 할 수 있다.
연장부(120)는 격벽(100)의 일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연장부(120)는 별도의 생산이 필요하지 않아 부품의 개수와 각 부품의 체결수를 줄여 생산 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
아울러, 연장부(120)는 덕트(500)의 양측면(500b, 500c)과 접촉하여 송풍 유닛(200)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를 열교환기(300)로 가이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 유닛(200)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가 덕트(500)의 하측으로 새어나가지 않고 열교환기(300)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연장부(120)는 개구부(11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구부(110)가 직사각형 형상일 경우, 연장부(120)는 격벽(100)의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부(120)가 유로의 적어도 하나의 면을 형성할 경우에는, 송풍 유닛(200)의 덕트(500)는 유로의 나머지 면(500b, 500c, 500d)을 형성한다.
전술한 상면(500d) 및 양측면(500b, 500c)으1로 구성된 덕트(500)는 상부 케이스(220)에 결합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500)와 상부 케이스(2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송풍 유닛(200)으로부터 제2 공간(S2)을 향해 토출되는 공기는, 덕트(500)의 상면(500d) 및 양측면(500b, 500c)과 격벽(100)의 연장부(120)를 통해 형성된 유로를 따라 제2 공간(S2)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220)와 덕트(500)는 상호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격벽(100)과 연결된 송풍 유닛(200)은 격벽(1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고정부재가 없는 경우에도, 송풍 유닛(200)은 격벽(100)과의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 유닛과 격벽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송풍 유닛과 격벽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 유닛과 격벽의 단면도이다.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 번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관해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설명하지 않은 동일한 부재 번호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아울러, 도 11 내지 도 1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송풍 유닛(200) 및 하나의 송풍 유닛(200)과 결합하는 격벽(100)의 일부만을 도시하였다.
덕트(600)는 상부 케이스(220)에 결합된 상면(600d) 및 상면(600d)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양측면(600b, 600c)을 포함한다. 다만, 필요에 따라 덕트(600)는 상부 케이스(2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덕트(600)는 덕트(600)의 양측면(600b, 600c)의 하단(B 점선, 도 11 참조)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610)를 포함한다. 돌출부(610)는 후술하는 연장부(121)의 양단(121a, 121b)과 접한다.
격벽(100)은 돌출부(610)가 삽입되는 삽입홈(130)을 포함한다. 삽입홈(130)은 개구부(110)의 모서리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돌출부(610)는 삽입홈(130)에 삽입되어 격벽(100)에 고정된다.
격벽(100)은 개구부(110)의 하단(110a)으로부터 제2 공간(S2)을 향해 절고 형성된 연장부(121)를 포함한다. 연장부(121)는 제2 공간(S2)을 향해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덕트(600)의 돌출부(610)와 접하는 연장부(121)와 덕트(600)는 열교환기(300)에 가까워 질수록, 연장부(121)와 덕트(600)가 접촉하여 이루는 형상의 단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송풍 유닛(200)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는 열교환기(300)에 가까워 질수록 공기의 이동 속도가 느려지게 되고, 느려진 속도의 공기는 열교환기(300)에서 충분한 열교환 시간을 거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300)에서 공기의 열교환 효율을 높힐 수 있다.
하부 케이스(230)는 연장부(121)와 연결되는 연결부(230a)를 포함한다. 연결부(230a)는 연장부(121)를 향해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열교환기(300)에 가까워 질수록, 상부 케이스(220)와 하부 케이스(230)가 결합한 형상의 단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송풍 유닛(200)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는 열교환기(300)에 가까워 질수록 공기의 이동 속도가 느려지게 되고, 느려진 속도의 공기는 열교환기(300)에서 충분한 열교환 시간을 거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300)에서 공기의 열교환 효율을 높힐 수 있다.
하부 케이스(230)는 덕트(600)와 결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하부 케이스(230)는 격벽(100)을 관통하여 고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송풍 유닛(200)이 격벽(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송풍 유닛(200)의 수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송풍 유닛(200)의 하부 케이스(230)만을 분리하여 송풍 유닛(200) 내부의 수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부 케이스(220)에만 덕트(600)가 결합된 경우에는 하부 케이스(230)의 분리로 손쉬운 수리가 가능하다.
도 14는 도 13의 C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할 때, 연결부(230a)는 연장부(121)의 상단부(121a)와 접하는 지지돌기(231)와 지지돌기(231)의 하측에 배치되어 격벽(100)과 접하는 결합연장부(250)를 포함한다.
결합연장부(250)는 연결부(230a)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결합연장부(250)는 격벽(100)과 접촉하여 상호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결합연장부(250)는 격벽(100)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다만 필요에 따라 결합연장부(250)는 격벽(100)과 스냅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지지돌기(213)는 하측 케이스(230)로부터 개구부(110)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 송풍 유닛(200)이 격벽(100)에 결합할 경우에, 지지돌기(231)는 하부 케이스(230)의 연결부(230a)와 격벽(100)의 연장부(121)를 자연스럽게 이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 유닛(200)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는 형상의 단차로 인한 와동(eddy motion)의 발생 없이 열교환기(300)로 이동할 수 있다. 지지돌기(231)는 개구부(110)에 하부 케이스(230)를 지지할 수 있으면 충분하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공기조화장치 100: 격벽
110: 개구부 120, 121: 연장부
200: 송풍 유닛 220: 상부 케이스
230: 하부 케이스 300: 열교환기
400, 500, 600: 덕트

Claims (13)

  1. 유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기 유입구 측의 제1 공간과 상기 토출구 측의 제2 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구비한 격벽;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공간을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며 상기 제1 공간의 공기를 상기 제2 공간으로 방출하는 덕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 유닛; 및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된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 유닛은,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는 덕트;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 및 송풍팬을 포함하며,
    상기 덕트는, 상기 상부 케이스에 연장된 상면; 상기 상면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양측면; 및 양측면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개구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인입되도록 절곡 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개구부의 모서리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연장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며 상기 연장부와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장부의 상단과 접하는 지지돌기; 및 상기 지지돌기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격벽과 접하는 결합연장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양측면의 하단과 접하는 공기조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 공간을 향해 하향 경사진 공기조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하측으로 연장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장부의 양단과 접하는 공기조화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70172417A 2017-12-14 2017-12-14 공기조화장치 KR102479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417A KR102479090B1 (ko) 2017-12-14 2017-12-14 공기조화장치
PCT/KR2018/015487 WO2019117544A1 (ko) 2017-12-14 2018-12-07 공기조화장치
US16/769,322 US11536485B2 (en) 2017-12-14 2018-12-07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417A KR102479090B1 (ko) 2017-12-14 2017-12-14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391A KR20190071391A (ko) 2019-06-24
KR102479090B1 true KR102479090B1 (ko) 2022-12-19

Family

ID=66820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417A KR102479090B1 (ko) 2017-12-14 2017-12-14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36485B2 (ko)
KR (1) KR102479090B1 (ko)
WO (1) WO20191175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3755A1 (ja) * 2018-04-06 2019-10-1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2584453B1 (ko) 2018-11-30 2023-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양흡입 팬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CN214746397U (zh) * 2021-01-25 2021-11-1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密封机构、通风组件以及空气调节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0495A (ja) * 2003-05-16 2004-12-02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2005069177A (ja) * 2003-08-27 2005-03-17 Daikin Ind Ltd 遠心送風機のスクロールケーシング、それを備えた遠心送風機、その組立方法、及び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702B1 (ko) * 2001-06-22 2007-07-30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덕트형 공기 조화기
KR100471437B1 (ko) 2002-05-15 2005-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형 공기 조화기의 팬 하우징 착탈구조
JP4202822B2 (ja) 2003-05-26 2008-12-2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0529905B1 (ko) * 2003-06-17 2005-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형 공기조화기
KR20050018010A (ko) 2003-08-12 2005-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송풍장치 체결 구조
KR100698910B1 (ko) 2005-12-21 2007-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덕트형 공기조화기
KR100745583B1 (ko) * 2006-11-09 2007-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537589B1 (ko) * 2008-05-01 2015-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형 공기조화기
KR101434191B1 (ko) 2013-10-08 2014-08-27 (주)센도리 공기순환기
US9982900B2 (en) * 2014-01-29 2018-05-29 Trane International Inc. Method of attaching electrodes to plated thermoset plastic heated blower housing
KR102337163B1 (ko) * 2014-11-12 2021-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덕트형 공기조화장치 및 그 조립 및 분해방법
JP6020543B2 (ja) * 2014-12-17 2016-11-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6489310B2 (ja) * 2015-05-26 2019-03-27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ダクト型空気調和機
JP6508465B2 (ja) * 2015-05-29 2019-05-0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ダクト型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0495A (ja) * 2003-05-16 2004-12-02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2005069177A (ja) * 2003-08-27 2005-03-17 Daikin Ind Ltd 遠心送風機のスクロールケーシング、それを備えた遠心送風機、その組立方法、及び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17544A1 (ko) 2019-06-20
KR20190071391A (ko) 2019-06-24
US20200292204A1 (en) 2020-09-17
US11536485B2 (en)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9090B1 (ko) 공기조화장치
CN111201403B (zh) 空调
US10663180B2 (en) In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WO2016136351A1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US10299394B2 (en) Electrical function cassette having waterproof function and ventilating fan employing the same
DK177870B1 (en) A cooling unit for a climatized cabinet
KR20050019444A (ko) 공기조화기
KR10232629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1442397B (zh) 立式空调器室内机
CN111442401B (zh) 立式空调器室内机
CN111699351A (zh) 热交换器、热交换模块以及制冷循环装置
KR20200122942A (ko) 모듈형 실내기
CN204611956U (zh) 一种混流空调
KR10136450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00042566A (ko) 공기조화기
CN219607202U (zh) 一种模块化拼接式浴霸
CN220852355U (zh) 一种空调室内机
CN220624195U (zh) 一种空调室内机
KR102649580B1 (ko)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EP3762661A1 (en) Slim fan coil unit
CN209655453U (zh) 一种蒸发器管路固定结构及空调器
CN111442407B (zh) 立式空调器室内机
KR20090132766A (ko) 와류방지 기능을 갖는 환기장치
CN111442405B (zh) 立式空调器室内机
KR20240071741A (ko) 냉각구조를 갖는 드라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