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232B1 - 헬멧 턱끈용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 Google Patents

헬멧 턱끈용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232B1
KR102478232B1 KR1020220108525A KR20220108525A KR102478232B1 KR 102478232 B1 KR102478232 B1 KR 102478232B1 KR 1020220108525 A KR1020220108525 A KR 1020220108525A KR 20220108525 A KR20220108525 A KR 20220108525A KR 102478232 B1 KR102478232 B1 KR 102478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gear
chinstrap
catcher
b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8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태욱
Original Assignee
장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태욱 filed Critical 장태욱
Priority to KR1020220108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2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26Safety buckles with an operating lever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헬멧 턱끈용 버클은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할 때 턱끈을 조일 수 있도록 마련되고, 턱끈을 일방향으로 당겨 이동된 상태가 고정되게 구비되는 버클로서, 헬멧에 고정된 턱끈을 일측의 인입구로 인입시켜 타측의 인출구으로 인출시키거나, 인입구로 후퇴시킬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샤시부, 샤시부 상에서 제1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샤시부로 삽입된 턱끈이 인출구에서 인입구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캐처부 및 제1 축과 이격된 제2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캐처부와 맞물려 캐처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레버부를 포함하되, 레버부는, 턱끈이 인입구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캐처부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캐처부를 턱끈으로부터 이격시킨다.

Description

헬멧 턱끈용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BUCKLE FOR HELMET CHIN STRAP AND HELMET COMPRISING SAME}
본 발명은 헬멧 턱끈용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리 정해진 회동 각도 구간 내에서는 레버만이 회동할 수 있는 안전각도 범위를 확장시켜 의도하지 않은 헬멧의 탈거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한손으로도 쉽게 버클과 턱끈을 해제할 수 있는 헬멧 턱끈용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멧에 포함되는 버클은 턱끈 등을 걸어 멈추는 장치로서, 버클을 이용해 턱끈의 길이를 조절할 때 사용된다.
버클은 턱끈을 걸어 멈출 때 턱끈을 견고하게 고정해야 할 뿐만 아니라, 버클로부터 턱끈을 이탈시킬 때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어야 한다.
종래의 헬멧에 포함된 버클은, 스프링의 탄력을 받는 단속레버가 축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버클과, 단속레버에 형성되는 스토퍼에 단계적으로 걸려 고정되는 다단의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턱끈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헬멧에 포함되는 버클은, 턱끈을 끼워 넣으면 턱끈에 형성된 다단의 걸림돌기가 스프링의 탄력을 받는 캐처에 형성된 고정기어에 단계적으로 걸리면서 턱끈과 버클을 결속시킨다.
이때, 버클의 레버는 캐처의 일측을 누르거나 들어올려 고정기어를 걸림돌기로부터 이격시킴에 따라 버클의 결속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즉, 레버에 외력을 전달하게되면 레버가 회동하여 캐처의 고정기어가 걸림돌기로부터 이격되고, 결속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버클은 버클의 레버가 살짝만 눌리거나 들어 올려지게 되더라도 결속 상태가 해제되므로 턱끈을 버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는 있지만, 외부로부터 충격 발생시에 버클이 턱끈과 우발적으로 분리되면서 헬멧이 사용자의 머리에서 탈거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턱끈의 이동을 안내하는 베이스, 베이스에 결합되어 스트랩부의 기어산과 교합되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캐처, 캐처의 상부에 결합되는 레버를 포함하여 미리 정해진 회동 각도 구간 내에서는 레버만이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이 연구되고 있으나, 종래의 헬멧에 포함된 버클은 회동 각도 구간을 20 내지 30도 밖에 구현할 수 없어 외부의 큰 충격 또는 사용자의 실수로 주행중에 헬멧이 탈거되는 상황을 완벽히 막을 수 없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종래의 헬멧에 포함된 버클은, 주행이 종료된 안전한 상태에서 버클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손으로는 레버를 아래방향(1)으로 회동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다른 한손으로는 버클에 헬멧의 외측 (2)번 방향으로 외력을 전달해야만 버클과 턱끈이 분리되어 헬멧을 사용자의 머리에서 탈거할 수 있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의 버클은 미리 정해진 회동 각도 구간 내에서는 레버만이 회동할 수 있는 안전각도 범위를 확장시켜 의도하지 않은 헬멧의 탈거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한손으로도 쉽게 버클과 턱끈을 해제할 수 있도록 유기적으로 결합된 샤시부, 캐처부, 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용 버클은,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할 때 턱끈을 조일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턱끈을 일방향으로 당겨 이동된 상태가 고정되게 구비되는 버클로서, 상기 헬멧에 고정된 턱끈을 일측의 인입구로 인입시켜 타측의 인출구으로 인출시키거나, 상기 인입구로 후퇴시킬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샤시부; 상기 샤시부 상에서 제1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샤시부로 삽입된 상기 턱끈이 상기 인출구에서 상기 인입구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캐처부; 및 상기 제1 축과 이격된 제2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캐처부와 맞물려 상기 캐처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레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턱끈이 상기 인입구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캐처부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캐처부를 상기 턱끈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버부는, 외력이 전달되면 상기 인입구에서 상기 인출구를 향한 방향으로 축회동하여 상기 캐처부를 상기 턱끈에서 이격시키고, 축회동이 제한되면 상기 캐처부 및 상기 턱끈의 이격을 유지하며 상기 외력을 상기 샤시부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헬멧에 고정된 상기 턱끈에서 상기 베이스가 탈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레버부는, 외력이 전달되면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을 포함한 가상을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인입구에서 상기 인출구를 향해 기설정된 각도로 축회동할 때까지 상기 캐처부 및 상기 턱끈이 잠금상태가 유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각도는 21도 내지 62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버부는, 외력이 전달되면 상기 인입구에서 상기 인출구를 향한 기설정된 각도 범위로 축회동할 때까지 상기 캐처부 및 상기 턱끈이 잠금상태가 유지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버부는, 상기 제2 축을 따라 축회동하되, 초기위치로 복귀하도록 마련된 플레이트;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샤시부의 상기 인입구를 향해 돌출되는 레버; 및 상기 캐처부 상에 마련된 종동기어를 들어올려 상기 캐처부를 회동시키는 구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레버와 소정 각도를 이루며 상기 샤시부에 인입된 상기 턱끈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부는, 기설정된 각도 범위로 회동할 때까지, 상기 레버와 상기 제1 기어의 사이공간인 안전공간에 상기 종동기어를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부는, 상기 기설정된 각도 범위를 넘어서 회동하는 경우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종동기어에 맞물림으로써 상기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종동기어는, 상기 턱끈에 맞물리도록 마련된 고정기어 및 상기 고정기어와 이격되어 상기 레버부를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기어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종동기어는, 상기 턱끈에 맞물리도록 마련된 상기 캐처부에마련된 고정기어의 일측에 형성된 제3 기어 및 상기 제3 기어와 이격된 제4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 사이에 상기 제3 기어가 인입되면서 상기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은, 상술한 헬멧 턱끈용 버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헬멧 턱끈용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은, 강한 외부충격으로부터 헬멧이 머리로부터 강제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주행이 종료된 안전한 상태에서 한손으로 간편하게 버클과 턱끈을 분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헬멧 턱끈용 버클을 포함한 헬멧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용 버클을 포함한 헬멧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용 버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용 버클의 제1 축과 제2 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용 버클의 샤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용 버클의 샤시부의 인입구,인출구 및 내부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용 버클의 레버부에서 버클로 외력이 전달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턱끈에 마련된 턱끈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용 버클의 레버부의 기설정된회동각도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 내지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용 버클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헬멧 턱끈용 버클을 포함한 헬멧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용 버클을 포함한 헬멧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용 버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용 버클의 제1 축과 제2 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용 버클의 샤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용 버클의 샤시부의 인입구,인출구 및 내부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용 버클의 레버부에서 버클로 외력이 전달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턱끈에 마련된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용 버클의 레버부의 기설정된 회동각도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 내지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용 버클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자전거, 오토바이, 킥보드, 전동킥보드를 포함한 이륜차를 탈 때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헬멧은 헬멧은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할 때 턱끈을 조일 수 있도록 마련되고, 턱끈을 일방향으로 당겨 이동된 상태가 고정되게 구비되는 버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멧의 일측에는 끝단에 버클이 마련된 짧은 끈이 형성되고, 헬멧의 타측에는 상술한 버클에 고정되는 턱끈이 길게 마련되고 턱끈이 버클의 일측에 위치한 인입지점으로 인입되어 버클의 타측에 위치한 인출지점으로 나오는 구조이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헬멧은 레버를 아래방향(1), 다시 말해 상술한 버클의 인출지점에서 인입지점을 향해 회동시켜 레버와 연동되는 캐처를 턱끈과 이격된 상태로 만든다.
이를 유지한 상태로, 사용자가 버클을 잡고 버클을 기준으로 외측 (2)번 방향으로 외력을 전달해야만 버클과 턱끈이 완전히 분리되어 헬멧을 사용자의 머리에서 탈거될 수 있는 구성이다.
정리하자면, 종래의 헬멧은 한손으로는 레버를 잡고 회동시켜 캐처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다른 한손으로는 버클을 잡고 외력을 전달해야 헬멧을 사용자의 머리에서 탈거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즉, 주행이 종료된 안전한 상태에서도 버클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양손이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있다.
전술한 종래의 헬멧과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10)은 턱끈(100)이 마련되며, 후술할 헬멧 턱끈용 버클(2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턱끈(100)은 후술할 헬멧 턱끈용 버클(200)에 체결하기 위해 기어산이 마련되어 후술할 캐처부(240)와 단계적으로 교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술할 헬멧 턱끈용 버클(200)의 샤시부(220)에 마련된 탄성부(25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캐처부(240)에 의해 턱끈(100)의 기어산이 캐처부(240)와 탄력적 및 단계적으로 교합하게 된다.
또한 턱끈(100)의 일측에는 턱끈스토퍼(101)가 마련되어 헬멧 턱끈용 버클(200)에 인입길이를 미리 설정할 수도 있다.
후술할 캐처부(240)는 상술한 턱끈(100)의 기어산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고정기어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캐처부(240)의 고정기어가 기어산과 일단 교합하고 나면 캐처부의 고정기어에 의해 기어산이 구속되어 턱끈(100)의 이동이 방지되어, 이에 따라 턱끈(100)과 버클(200)이 단단하게 결속된다.
여기서 턱끈(100)의 기어산은 고정기어와 교합할 수 있다면 그 형상 재질 등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원하는 만큼 턱끈(100)을 진입시킴으로써 턱끈(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10)에 포함된 헬멧 턱끈용 버클(200)은 크게, 샤시부(220), 캐처부(240), 레버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샤시부(220)는 내부공간(221)이 형성되고, 헬멧(10)에 고정된 턱끈(100)을 샤시부(220) 일측에 형성된 인입구(224)로 인입시켜 샤시부(220) 타측에 형성된 인출구(226)으로 인출시키거나, 인입구(224)로 다시 후퇴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샤시부(220)는 양단에 인입구(224) 및 인출구(226)가 각각 마련되고, 인입구(224)와 인출구(226)를 연결하는 내부공간(221)이 마련됨으로써, 버클(200) 내부에서 턱끈(100)이 이동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통해 상술한 샤시부(220)의 구조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샤시부(220)는 턱끈(100)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인출구(226), 인입구(224), 내부공간(221)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샤시부(220)는 양단에 형성된 인출구(226)와 인입구(224)가 서로 연통되면서 내부공간(221)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턱끈(100)의 이동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샤시부(220)는 내부공간(221)을 기준으로 일면이 완전히 개방된 'ㄷ'자 형태를 가지고 개방된 영역에 레버부(260)와 캐처부(2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관통공(222)은 샤시부(220)의 양측면에 대칭 형성되어 제1 축(A1)을 형성하고, 캐처부(24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관통공(223)도 제1 관통공(222)과 평행하도록 샤시부(220)의 양측면에 대칭 형성되어 제2 축(A2)을 형성하고, 레버부(260)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단면도를 살펴보면, 샤시부(220)는 상술한 내부공간(221)을 기준으로 인입구(224)와 인출구(226)를 향한 방향이 샤시부(220)의 길이방향이라고 한다면, 제1 관통공(222)은 샤시부(220)의 길이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내부공간(221)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제1 관통공(22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캐처부(240)가 회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제2 관통공(223)은 샤시부(220)의 길이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내부공간(221)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며, 제1 관통공(222)과 평행하도록 서로 소정거리 이격됨으로써, 레버부(260)와 캐처부(24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맞물리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샤시부(220)는 제1 절개영역(227), 제2 절개영역(228)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절개영역(227)은 샤시부(220)의 양측면 중 제1 관통공(222)과 제2 관통공(223) 사이에 절개된 영역으로 샤시부(220)의 양측면에 서로 대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절개영역(227)을 통해 샤시부(220)의 어느 한 측면에서 제1 관통공(222)이 형성된 일측과 제2 관통공(223)이 형성된 다른 일측을 구분할 수 있으며, 샤시부(220) 자체의 무게를 경량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절개영역(228)은 샤시부(220)에 양 측면에 형성되되, 내부공간(221)을 기준으로 샤시부(220)의 폐쇄된 일면 및 상술한 인출구(226)와 가깝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2 절개영역(228)은 인입구(224)에서 인출구(226)를 향한 방향으로 상향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관통공(223) 및 제1 관통공(222)의 일측에는 레버스토퍼(229)가 마련됨으로써, 레버부(260)의 최대 회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캐처부(240)는 상술한 샤시부(220) 상에서 제1 축(A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캐처부(240)는 상술한 샤시부(220)로 삽입된 턱끈(100)이 인출구(226)에서 인입구(224)로 후퇴하거나 또는 인입구(224)에서 인출구(226)로 전진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캐처부(240)는 제1 축(A1)을 중심으로 회동하되 탄성부(25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캐처부(240)는 샤시부(220) 내부에서 이동하는 턱끈(100)의 기어산에 대향되는 고정기어가 마련됨으로써 턱끈(100)과 탄력적 및 단계적으로 교합될 수 있다.
레버부(260)는 캐처부(240)와 맞물려 캐처부(240)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상술한 캐처부(240)의 제1 축(A1)과 이격된 제2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축(A1)과 이격된 제2 축(A2)은 서로 평행일 수 있다.
또한, 레버부(260)도 캐처부(240)와 같이 탄성부(25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캐처부(240)와 맞물릴 수 있다.
이때, 레버부(260)는 종래의 버클(200)과는 달리 턱끈(100)이 인입구(224)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캐처부(240)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캐처부(240)로 동력을 전달하여 캐처부(240)를 턱끈(100)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외력을 가하여 레버부(260)를 샤시부(220)의 인입구(224)에서 인출구(226)를 향한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레버부(260)가 회동하면서 캐처부(240)는 레버부(260)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맞물려 회동하게 되고, 캐처부(240)는 레버부(26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턱끈(100)과 교합이 해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레버부(260)는 제1 축(A1)을 기준으로 회동하되 턱끈(100)이 샤시부(220)에 초입되어 전진하는 방향을 따라 회동하여 캐처부(240)로 동력을 전달하고, 캐처부(240)는 레버부(26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레버부(260)의 회동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정리하자면, 레버부(2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구(224)에서 인출구(226)를 향한 방향으로 축회동하도록 외력이 전달되면 캐처부(240)를 턱끈(100)에서 이격시키고, 축회동이 제한되게 되면 캐처부(240) 및 턱끈(100)의 이격을 유지하면서 상술한 외력을 샤시부(220)로 전달함으로써, 헬멧(10)에 고정된 턱끈(100)에서 샤시부(220)가 탈거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도 8을 참조하면, 턱끈(100)의 양측면에는, 턱끈(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턱끈스토퍼(101) 마련될 수 있으며,턱끈스토퍼(101)는 턱끈(100)을 기준으로 대칭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도면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헬멧 턱끈용 버클(200)은 파지부(280)를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는 레버부(260)에 연결된 파지부(280)를 파지하여 레버부(260)로 외력을 쉽게 전달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통해 한손만으로도 턱끈(100)을 간편하게 버클(200)에서 완전히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용 버클(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턱끈(100)을 간편하게 버클(200)에서 해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설정된 각도 범위로 축회동할 때까지 캐처부(240) 및 턱끈(100)이 잠금상태가 유지되게 하면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9 내지 13을 통해 이와 같이 두가지 효과를 모두 가지는 본 발명의 헬멧 턱끈용 버클(20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레버부(260)는, 외력이 전달되면 인입구(224)에서 인출구(226)를 향한 기설정된 각도 범위로 축회동할 때까지 캐처부(240)와 턱끈(100)이 잠금상태가 유지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의해 잠금상태가 풀리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버부(260)는, 외력이 전달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축(A1) 및 제2 축(A2)을 포함한 가상을 평면을 기준으로, 인입구(224)에서 인출구(226)를 향해 기설정된 각도로 축회동할 때까지 캐처부(240) 및 턱끈(100)이 잠금상태가 유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첫번째 단계로 레버부(260)는 상술한 가상을 평면을 기준으로 A구간까지는 본 발명의 헬멧 턱끈용 버클(200)이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A구간은 0도 내지 20도일 수 있다.
두번째 단계로 레버부(260)는 B구간 동안 잠금 상태가 오픈 상태로 변하는 단계인 안전 상태 구간을 형성함으로써, 외력이나 사용자의 실수로 버클(200) 및 턱끈(100)의 잠금이 해제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B구간, 즉 상술한 기설정된 각도는 21도 내지 62도 일 수 있다.
마지막 단계로 레버부(260)가 C구간에 위치하게 되면 캐처부(240)가 턱끈(100)에서 이격되면서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C구간은 63도 내지 80도 일 수 있다.
정리하자면, 레버부(260)는 A,B 및 C 구간의 합(예를 들어 총 80도)을 회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A와 C 사이의 구간인 B구간, 즉 기설정된 각도에서 버클(200) 및 턱끈(100)의 잠금이 해제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레버부(260)는, 구체적으로 플레이트(262), 레버(264), 구동기어(266)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는 레버부(260)가 제2 축(A2)을 따라 축회동하되, 탄성부(250)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레버(264)는 상술한 초기위치에서 샤시부(220)의 인입구(224)를 향해 돌출되도록 플레이트(262)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262)는 모서리가 없는 원형으로 마련됨으로써, 회동시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기어(266)는 레버부(260)와 맞물리기 위해 캐처부(240) 상에 마련된 종동기어(242)를 들어올려 캐처부(240)를 회동시킬 수 있다.
다시말하면, 구동기어(266)는 종동기어(242)와 맞물려 사용자가 전달한 외력을 캐처부(240)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구동기어(266)는 복수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1 기어(266a), 제2 기어(266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어(266a)는 구체적으로 레버부(260)의 레버(264)와 소정 각도를 이루며 샤시부(220)에 인입된 턱끈(100)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플레이트(262) 상에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기어(266b) 역시 플레이트(262) 상에 돌출되며, 제1 기어(266a)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캐처부(240)의 종동기어(242)가 인입될 수 있는 사이 공간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260)는 기설정된 각도 범위로 회동할 때까지, 레버(264)와 제1 기어(266a)의 사이공간인 안전공간(261)에 종동기어(242)를 위치시킴으로써, 버클(200)과 턱끈(100)의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턱끈용 버클(200)은 의도되지 않은 외력에 의해 레버부(260)가 회동되더라도, 상술한 안전공간(261)으로 인해 기설정된 각도 범위 동안에는 레버부(260)의 구동기어(266)와 캐처부(240)의 종동기어(242)가 맞물리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주행이 끝난 안전한 상태에서 버클(200)과 턱끈(100)을 해제하기 위한 외력을 가한 경우, 즉, 레버(264)가 기설정된 각도 범위를 넘어서 회동하는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1 기어(266a) 및 제2 기어(266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종동기어(242)에 맞물림으로써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동기어(242)는 턱끈(100)에 맞물리도록 마련된 고정기어 및 고정기어와 이격되어 레버부(260)를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기어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동기어(242)는 턱끈(100)에 맞물리도록 마련된 고정기어의 일측에 형성된 제3 기어 및 상기 제3 기어와 이격된 제4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종동기어(242)는 구동기어(266)인 제1 기어(266a) 및 제2 기어(266b) 사이에 상술한 제3 기어가 인입되면서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회동 각도 구간을 20 내지 30도 밖에 구현할 수 없는 종래 버클과 비교해서, 레버의 안전 회동구간을 확장시킴으로써, 종래 버클 구조의 한계로 해결하지 못한 한계점인 외부의 큰 충격 또는 사용자의 실수로 주행중에 헬멧이 탈거되는 사고를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헬멧 턱끈용 버클(200) 및 이를 포함한 헬멧(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설정된 각도 범위로 축회동할 때까지 캐처부(240) 및 턱끈(100)이 잠금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안전각도 범위를 확장하여 안정성을 높임과 동시에 주행이 끝난 안전한 상태에서는 한손만으로 턱끈(100)을 간편하게 버클(200)에서 해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헬멧
100: 턱끈
101: 턱끈스토퍼
200: 버클
220: 샤시부
221: 내부공간
222: 제1 관통공
223: 제2 관통공
224: 인입구
226: 인출구
227: 제1 절개영역
228: 제2 절개영역
229: 레버스토퍼
240: 캐처부
242: 종동기어
250: 탄성부
260: 레버부
261: 안전공간
262: 플레이트
264: 레버
266: 구동기어
266a: 제1 기어
266b: 제2 기어
280: 파지부
A1: 제1 축
A2: 제2 축

Claims (10)

  1.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할 때 턱끈을 조일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턱끈을 일방향으로 당겨 이동된 상태가 고정되게 구비되는 버클로서,
    상기 헬멧에 고정된 턱끈을 일측의 인입구로 인입시켜 타측의 인출구으로 인출시키거나, 상기 인입구로 후퇴시킬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샤시부; 상기 샤시부 상에서 제1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샤시부로 삽입된 상기 턱끈이 상기 인출구에서 상기 인입구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캐처부; 및 상기 제1 축과 이격된 제2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캐처부와 맞물려 상기 캐처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레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레버부는,
    상기 턱끈이 상기 인입구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캐처부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캐처부를 상기 턱끈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외력이 전달되면, 상기 인입구에서 상기 인출구를 향한 방향으로 축회동하여 상기 캐처부를 상기 턱끈에서 이격시키되,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을 포함한 가상을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인입구에서 상기 인출구를 향해 기설정된 각도로 축회동할 때까지 상기 캐처부 및 상기 턱끈이 잠금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축회동이 제한되면 상기 캐처부 및 상기 턱끈의 이격을 유지하며 상기 외력을 상기 샤시부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샤시부가 상기 헬멧에 고정된 상기 턱끈에서 탈거되도록,
    상기 제2 축을 따라 축회동하되, 초기위치로 복귀하도록 마련된 플레이트;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샤시부의 상기 인입구를 향해 돌출되는 레버; 및 상기 캐처부 상에 마련된 종동기어를 들어올려 상기 캐처부를 회동시키도록, 상기 레버와 소정 각도를 이루며 상기 샤시부에 인입된 상기 턱끈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기어 및 상기 제1 기어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되는 제2 기어를 포함 구동기어를 포함하여,
    기설정된 각도 범위로 회동할 때까지, 상기 레버와 상기 제1 기어의 사이공간인 안전공간에 상기 종동기어를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잠금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기설정된 각도 범위를 넘어서 회동하는 경우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종동기어에 맞물림으로써 상기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되,
    상기 종동기어는,
    상기 턱끈에 맞물리도록 상기 캐처부에 마련된 고정기어의 일측에 형성된 제3 기어 및 상기 제3 기어와 이격된 제4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 사이에 상기 제3 기어가 인입되면서 상기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턱끈용 버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각도는,
    21도 내지 62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턱끈용 버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일측에 턱끈이 마련되고 타측에 헬멧 턱끈용 버클이 마련되는 헬멧으로서,
    제1항 또는 제4항의 헬멧 턱끈용 버클을 포함하는,
    헬멧 턱끈용 버클을 포함하는 헬멧.
KR1020220108525A 2022-08-29 2022-08-29 헬멧 턱끈용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KR102478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525A KR102478232B1 (ko) 2022-08-29 2022-08-29 헬멧 턱끈용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525A KR102478232B1 (ko) 2022-08-29 2022-08-29 헬멧 턱끈용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8232B1 true KR102478232B1 (ko) 2022-12-16

Family

ID=84535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525A KR102478232B1 (ko) 2022-08-29 2022-08-29 헬멧 턱끈용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82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1024A (ko) * 2009-04-06 2010-10-14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길이 조절용 버클 장치
US20130008056A1 (en) * 2010-01-15 2013-01-10 Gv Snowshoes Locking Device For A Buck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1024A (ko) * 2009-04-06 2010-10-14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길이 조절용 버클 장치
US20130008056A1 (en) * 2010-01-15 2013-01-10 Gv Snowshoes Locking Device For A Buck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44948B2 (ja) 紐破損張力補償装置及び方法
JP6112798B2 (ja) 安全ヘルメットのストラップを調整して留めるための係留装置
US9032557B2 (en) Protective helmet
RU2698334C9 (ru) Защитная каска
US10492559B1 (en) Helmet with removable chin bar
US20140262610A1 (en) Systems for Assisted Braking Belay with a Lever Disengagement Mechanism
KR101430435B1 (ko) 버클 장치
KR102478232B1 (ko) 헬멧 턱끈용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US10870492B2 (en) Parachute separation device
US9717296B2 (en) Locking clip and anchor assembly for a tether
US20230405365A1 (en) Cable grab
CN220595197U (zh) 乘务员安全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