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7831B1 -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nano-island structur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nano-island structur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831B1
KR102477831B1 KR1020210042075A KR20210042075A KR102477831B1 KR 102477831 B1 KR102477831 B1 KR 102477831B1 KR 1020210042075 A KR1020210042075 A KR 1020210042075A KR 20210042075 A KR20210042075 A KR 20210042075A KR 102477831 B1 KR102477831 B1 KR 102477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nano
layer
organic light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0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22710A (en
Inventor
서민철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21/00404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201621A1/en
Publication of KR20210122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27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8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4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 H01L51/5268
    • H01L51/5209
    • H01L51/5271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3An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섬 구조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는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가 구비된 기판 및 기판 상에 형성된 발광 구조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나노-섬 구조체는 기판 상에 증착된 무기물층의 디웨팅(dewetting) 과정을 통해 형성되되, 증착된 무기물층의 두께, 디웨팅 과정에서의 온도 조건 및 습도 조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직경(diameter) 및 높이(height)가 결정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a nano-island structur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substrate having a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and a light emitting structure formed on the substrate , Here, the nano-island structure is formed through a dewetting process of an inorganic material layer deposited on a substrate, and the diameter ( diameter and height can be determined.

Description

나노-섬 구조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NANO-ISLAND STRUCTUR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nano-island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기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나노-섬 구조체를 이용하여 유기 발광소자의 발광 특성을 개선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cal idea of improving light emitting characteristics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ing a nano-island structure.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의 외부 양자 효율은 이론적으로 아래의 식과 같이 산출이 된다. The external quantum efficiency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s theoretically calculated as follows.

[수학식1][Equation 1]

Figure 112021037956041-pat00001
Figure 112021037956041-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21037956041-pat00002
은 외부 양자 효율,
Figure 112021037956041-pat00003
은 내부 양자 효율,
Figure 112021037956041-pat00004
은 광추출 효율,
Figure 112021037956041-pat00005
는 exciton의 생성량,
Figure 112021037956041-pat00006
는 efficiency of radiative decay of excitons를 의미한다.here,
Figure 112021037956041-pat00002
is the external quantum efficiency,
Figure 112021037956041-pat00003
is the internal quantum efficiency,
Figure 112021037956041-pat00004
silver light extraction efficiency,
Figure 112021037956041-pat00005
is the amount of exciton produced,
Figure 112021037956041-pat00006
Means the efficiency of radiative decay of excitons.

수학식1에 의거하였을 때, 밖으로 나오는 외부 양자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내부 양자 효율이 높아야 한다. 내부 양자 효율을 높이기 위해선 엑시톤(exciton)의 생성량이 많아야 하며 이를 위해선 이상적인 전하 밸런스(charge balance)를 갖춰야 한다. 또한 전하 밸런스를 이상적으로 맞출 경우 계면에서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어 수명 향상에 도움이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OLED의 전하 밸런스를 맞추고 소자를 최적화 시키는 작업은 상당한 중요성을 갖는다.Based on Equation 1, in order to increase the external quantum efficiency coming out, the internal quantum efficiency must be high. In order to increase the internal quantum efficiency, the amount of exciton generation must be high, and for this, an ideal charge balance must be provided. In addition, when the charge balance is ideally matched, deterioration at the interface can be suppressed, which helps to improve the lifespan. For this reason, the task of adjusting the charge balance of the OLED and optimizing the device is of great importance.

OLED 소자의 전하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서는 전극에서 주입되는 캐리어(carrier)들이 엑시톤을 형성하고 재결합(recombination)하는 재결합 존(recombination zone)이 발광층(emission layer, EML)의 중앙부분에서 형성되어야 한다. 이 때, 재결합 존은 전자와 정공의 주입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계면 간 에너지 장벽이 0.3eV 내외로 이상적이라고 했을 때, 전자와 정공의 주입특성은 각각의 물질이 갖는 이동성(mobility)에 따른 차이를 보인다. In order to balance the charge of the OLED device, a recombination zone in which carriers injected from the electrode form excitons and recombine must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emission layer (EML). At this time, the recombination zone is affected by the injection characteristics of electrons and holes. When the energy barrier between interfaces is assumed to be ideal around 0.3 eV, the injection characteristics of electrons and holes show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mobility of each material.

이와 같이 재료에 따른 이동도나 주입특성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두께 최적화를 통해 효율을 극대화하는 경우 내부 양자효율이 100%까지도 얻어진다는 보고가 많다. In this way, there are many reports that when efficiency is maximized through thickness optimization to compensate for differences in mobility or implant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materials, internal quantum efficiency is obtained up to 100%.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외부양자효율은 20%를 넘기가 어려운데, 이는 빛이 소자를 빠져 나오면서, 도파관 모드(waveguide mode), 기판 모드(substrate mode), 표면 플라즈몬 소자 모드(surface plasomon polariton mode), 흡수 모드(absorption) 등의 모드를 통해 소실이 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소실되는 빛의 양은 80%에 육박하는데, 이를 최소화 하기 위해, 다양한 외광추출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안타까운 것은 그러한 기술들이 디스플레이 기술에는 적용이 될 수 없다는 것인데, 가장 큰 이유로는 나노 및 마이크로 구조체의 적용에 따른 화소의 헤이즈(haze) 현상을 극복하기 어렵다는 것이다.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external quantum efficiency is difficult to exceed 20%, which is due to the waveguide mode, substrate mode, surface plasmon polariton mode, and absorption as light exits the device. This is because it is lost through modes such as absorption. The amount of light lost through this is close to 80%. To minimize this, various external light extraction techniques can be used. Unfortunately, such technologies cannot be applied to display technology. The biggest reason is that it is difficult to overcome the haze phenomenon of pixels due to the application of nano and micro structures.

따라서, 현재 많은 패널 업체들은 마이크로 캐비티 구조를 통해 효율을 극대화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시야각 특성이 떨어지는 비이상적인 소자를 생산하고 있다.Therefore, many panel makers are currently maximizing efficiency through micro-cavity structures, and as a result, produce non-ideal devices with poor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시야각 특성 열화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방위 산란체의 도입을 고민해야 하며, 실제로 나노 다공성 박막(nanoporous film)을 도입하여 시야각 의존도를 억제했다는 보고들이 발표 되었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deterior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an omnidirectional scatterer, and reports have been published that the viewing angle dependence was suppressed by actually introducing a nanoporous film.

하지만, 이러한 기술은 프로세스가 복잡함에 따라, 실제 공정상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However, as the process is complicated, these techniques are difficult to apply to actual processes.

한국등록특허 제10-1973287호, "복합체를 포함하는 정공 수송층을 구비하는 유기 발광소자"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73287,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Having a Hole Transport Layer Containing a Composite"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32275호, "계면 보호층(IPL: Interface Protection Layer)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소자"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132275,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ntaining an Interface Protection Layer (IPL)"

본 발명은 기판 상에 나노-섬 구조체를 형성하여 유기 발광소자의 시야각 의존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유기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controlling the viewing angle dependen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by forming a nano-island structure on a substrat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은 기판 상에 형성된 나노-섬 구조체로 인한 낮은 화소 블러링 효과(pixel blurring effect)의 구현을 통해 각 색도 변화(angular chromaticity change)를 개선할 수 있는 유기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angular chromaticity change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a low pixel blurring effect due to a nano-island structure formed on a substrat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ant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진공증착법(thermal evaporation)을 이용하여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용이하게 나노-섬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는 유기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apable of easily forming a nano-island structure even in a large-area display device using thermal evaporation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은 정공 수송층과 애노드 전극의 두께 최적화에 기초한 마이크로 캐비티 특성의 강화를 통해 각 색도 변화와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each chromaticity change and luminous efficiency through enhancement of microcavity characteristics based on thickness optimization of a hole transport layer and an anode electrod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는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가 구비된 기판 및 기판 상에 형성된 발광 구조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나노-섬 구조체는 기판 상에 증착된 무기물층의 디웨팅(dewetting) 과정을 통해 형성되되, 증착된 무기물층의 두께, 디웨팅 과정에서의 온도 조건 및 습도 조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직경(diameter) 및 높이(height)가 결정될 수 있다.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having a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and a light emitting structure formed on the substrate, wherein the nano-island structures dewet the inorganic layer deposited on the substrate ( It is formed through a dewetting process, and the diameter and height may be determined by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of the deposited inorganic material layer, temperature conditions and humidity conditions during the dewetting process.

일측에 따르면, 나노-섬 구조체는 기판 상에 50nm 내지 10nm의 두께로 증착된 무기물층의 디웨팅 과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nano-island structure may be formed through a dewetting process of an inorganic material layer deposited on a substrate to a thickness of 50 nm to 10 nm.

일측에 따르면, 증착된 무기물층은 염화 세슘(CsCl), 플루오린화 세슘(CsF), 아이오딘화 세슘(CsI), 브롬화 세슘(CsBr), 염화 칼슘(CaCl2) 및 염화 란탄(LaCl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deposited inorganic material layer is composed of cesium chloride (CsCl), cesium fluoride (CsF), cesium iodide (CsI), cesium bromide (CsBr), calcium chloride (CaCl 2 ) and lanthanum chloride (LaCl 3 ). may contain at least one.

일측에 따르면, 나노-섬 구조체는 30℃의 온도와 60%의 상대습도의 환경에서 증착된 무기물층에 대한 디웨팅 과정을 수행하여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nano-island structure may be formed by performing a dewetting process on the deposited inorganic material layer in an environment of a temperature of 30°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60%.

일측에 따르면, 기판은 나노-섬 구조체의 공기 중 노출을 차단하는 패시베이션층(passivation laye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substrate may further include a passivation layer that blocks exposure of the nano-island structure to air.

일측에 따르면, 발광 구조체는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애노드 전극,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캐소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may include an anode electrode, a hole transport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 cathode electrode sequentially formed on a substrate.

일측에 따르면, 발광 구조체는 기판 및 애노드 전극 사이에 형성된 금속 박막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metal thin film layer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anode electrode.

일측에 따르면, 정공 수송층은 애노드 전극의 인접면에 형성된 제1 정공 수송층, 제1 정공 수송층 상에 형성된 정공 생성층 및 정공 생성층 상에 형성된 제2 정공 수송층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hole transport layer may include a first hole transport layer formed on an adjacent surface of the anode electrode, a hole exnihilation layer formed on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and a second hole transport layer formed on the hole exnihilation lay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기판 상에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기판 상에 발광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나노-섬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기판 상에 증착된 무기물층의 디웨팅(dewetting) 과정을 통해 나노-섬 구조체를 형성하되, 증착된 무기물층의 두께, 디웨팅 과정에서의 온도 조건 및 습도 조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나노-섬 구조체의 직경(diameter) 및 높이(height)가 결정할 수 있다.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ming a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on a substrate and forming a light emitting structure on a substrate, wherein the nano-island structures are formed. The step is to form a nano-island structure through a dewetting process of the inorganic material layer deposited on the substrate, and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of the deposited inorganic material layer, temperature conditions and humidity conditions in the dewetting process determines the nano-island structure. The diameter and height of the island structures can be determined.

일측에 따르면, 나노-섬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염화 세슘(CsCl), 플루오린화 세슘(CsF), 아이오딘화 세슘(CsI), 브롬화 세슘(CsBr), 염화 칼슘(CaCl2) 및 염화 란탄(LaCl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기물층을 기판 상에 50nm 내지 10nm의 두께로 증착하고, 증착된 무기물층의 디웨팅 과정을 수행하여 나노-섬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step of forming the nano-island structure is cesium chloride (CsCl), cesium fluoride (CsF), cesium iodide (CsI), cesium bromide (CsBr), calcium chloride (CaCl 2 ) and lanthanum chloride ( A nano-island structure may be formed by depositing an inorganic layer containing at least one of LaCl 3 ) on a substrate to a thickness of 50 nm to 10 nm, and performing a dewetting process on the deposited inorganic layer.

일측에 따르면, 나노-섬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30℃의 온도와 60%의 상대습도의 환경에서 증착된 무기물층에 대한 디웨팅 과정을 수행하여 나노-섬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in the step of forming the nano-island structure, the nano-island structure may be formed by performing a dewetting process on the deposited inorganic material layer in an environment of a temperature of 30°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60%.

일측에 따르면, 나노-섬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나노-섬 구조체의 공기 중 노출을 차단하는 패시베이션층(passivation layer)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forming of the nano-island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forming a passivation layer to block exposure of the nano-island structure to air.

일측에 따르면, 발광 구조체는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애노드 전극,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캐소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may include an anode electrode, a hole transport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 cathode electrode sequentially formed on a substrate.

일측에 따르면, 발광 구조체는 기판 및 애노드 전극 사이에 형성된 금속 박막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metal thin film layer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anode electrode.

일측에 따르면, 정공 수송층은 애노드 전극의 인접면에 형성된 제1 정공 수송층, 제1 정공 수송층 상에 형성된 정공 생성층 및 정공 생성층 상에 형성된 제2 정공 수송층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hole transport layer may include a first hole transport layer formed on an adjacent surface of the anode electrode, a hole exnihilation layer formed on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and a second hole transport layer formed on the hole exnihilation layer.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판 상에 나노-섬 구조체를 형성하여 유기 발광소자의 시야각 의존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control the viewing angle dependen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by forming a nano-island structure on a substrate.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판 상에 형성된 나노-섬 구조체로 인한 낮은 화소 블러링 효과(pixel blurring effect)의 구현을 통해 각 색도 변화(angular chromaticity change)를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angular chromaticity change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a low pixel blurring effect due to the nano-island structure formed on the substrate.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진공증착법(thermal evaporation)을 이용하여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용이하게 나노-섬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form a nano-island structure even in a large-area display device using a thermal evaporation method.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정공 수송층과 애노드 전극의 두께 최적화에 기초한 마이크로 캐비티 특성의 강화를 통해 각 색도 변화와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each chromaticity change and luminous efficiency through enhancement of microcavity characteristics based on optimizing the thickness of the hole transport layer and the anode electrode.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의 기판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구조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내지 도 4c는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섬 구조체의 FS-SEM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은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섬 구조체의 광학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의 정공 수송층 및 금속 박막층의 두께 변화에 따른 발광 효율 특성 및 각 색도 변화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구조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소자의 광학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f는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구조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소자의 각 색도 변화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구조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소자의 각 색도 궤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구조체 및 나노-섬 구조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소자의 광학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구조체 및 나노-섬 구조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소자의 각 색도 변화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b는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의 화소 블러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에서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를 형성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ubstrat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more detail.
3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light emit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 more detail.
4A to 4C are views for explaining FS-SEM images of a nano-isl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A to 5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optical characteristics of a nano-isl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6A to 6B are views for explaining luminous efficiency characteristics and chromaticity chang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ickness changes of a hole transport layer and a metal thin film layer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7A to 7D are views for explaining optical characteristics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light emit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8A to 8F are diagrams for explaining chromaticity change characteristics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light emit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9A to 9B are views for explaining each chromaticity trajectory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light emit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0A to 10D are views for explaining optical characteristics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light emitting structure and a nano-isl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1A to 11D are views for explaining chromaticity change characteristics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light emitting structure and a nano-isl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2A to 12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pixel blur characteristics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4A to 14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forming a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more detail.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o the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ures, and includes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 In short,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directly between" or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xample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100)는 기판 상에 나노-섬 구조체를 형성하여 유기 발광소자의 시야각 의존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orms a nano-island structure on a substrate to effectively control the viewing angle dependen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또한, 유기 발광소자(100)는 기판 상에 형성된 나노-섬 구조체로 인한 낮은 화소 블러링 효과(pixel blurring effect)의 구현을 통해 각 색도 변화(angular chromaticity change)를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0 may improve angular chromaticity change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a low pixel blurring effect due to the nano-island structure formed on the substrate.

또한, 유기 발광소자(100)는 진공증착법(thermal evaporation)을 이용하여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도 용이하게 나노-섬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0 can easily form a nano-island structure even in a large-area display device using a thermal evaporation method.

또한, 유기 발광소자(100)는 정공 수송층과 애노드 전극의 두께 최적화에 기초한 마이크로 캐비티 특성의 강화를 통해 각 색도 변화와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0 may improve each chromaticity change and luminous efficiency through enhancement of microcavity characteristics based on optimiz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hole transport layer and the anode electrode.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100)는 전면 발광소자 또는 배면 발광소자일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배면 발광소자에 대한 예시를 통해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 front light emitting device or a bottom light emitting device, but hereinaft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rough an example of a bottom light emitting device.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100)는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nano-island, NI)가 구비된 기판(110) 및 기판(110) 상에 형성된 발광 구조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substrate 110 having a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NI) and a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formed on the substrate 110. .

예를 들면, 일실시에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100)는 기판(110) 상에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NI)가 나노-섬 어레이(nano-island array, NIA)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NI) may be formed on a substrate 110 in the form of a nano-island array (NIA). there is.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섬 구조체(NI)는 기판(110) 상에 증착된 무기물층의 디웨팅(dewetting) 과정을 통해 형성되되, 증착된 무기물층의 두께, 디웨팅 과정에서의 온도 조건 및 습도 조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직경(diameter) 및 높이(height)가 결정될 수 있다. The nano-island structure NI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formed through a dewetting process of the inorganic material layer deposited on the substrate 110, and the thickness of the deposited inorganic material layer, the temperature conditions in the dewetting process, and A diameter and a height may be determined by at least one of humidity conditions.

일측에 따르면, 나노-섬 구조체(NI)는 기판 상에 50nm 내지 10nm의 두께로 증착된 무기물층의 디웨팅 과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nano-island structure NI may be formed through a dewetting process of an inorganic material layer deposited on a substrate to a thickness of 50 nm to 10 nm.

또한, 증착된 무기물층은 염화 세슘(CsCl), 플루오린화 세슘(CsF), 아이오딘화 세슘(CsI), 브롬화 세슘(CsBr), 염화 칼슘(CaCl2) 및 염화 란탄(LaCl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증착된 무기물층은 염화 세슘층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eposited inorganic material layer is at least one of cesium chloride (CsCl), cesium fluoride (CsF), cesium iodide (CsI), cesium bromide (CsBr), calcium chloride (CaCl 2 ) and lanthanum chloride (LaCl 3 ). can include Preferably, the deposited inorganic material layer may be a cesium chloride layer.

일측에 따르면, 나노-섬 구조체(NI)는 30℃의 온도와 60%의 상대습도의 환경에서 증착된 무기물층에 대한 디웨팅 과정을 수행하여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nano-island structure NI may be formed by performing a dewetting process on the deposited inorganic layer in an environment of a temperature of 30°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60%.

보다 구체적으로, 나노-섬 구조체(NI)는 기판(110) 상에 염화 세슘층을 50nm 내지 100nm의 두께로 증착 형성하고, 30℃의 온도와 60%의 상대습도의 환경에서 증착된 염화 세슘층에 대한 디웨팅 과정을 수행하여 600nm 이하의 직경과 200nm 내지 250 nm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nano-island structure (NI) is formed by depositing a cesium chloride layer on the substrate 110 to a thickness of 50 nm to 100 nm, and depositing the cesium chloride layer in an environment of a temperature of 30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60%. It may be formed with a diameter of 600 nm or less and a height of 200 nm to 250 nm by performing a dewetting process for .

일측에 따르면, 기판(110)은 나노-섬 구조체(NI)의 공기 중 노출을 차단하는 패시베이션층(passivation layer)(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substrate 110 may further include a passivation layer 130 blocking exposure of the nano-island structure NI to air.

일측에 따르면, 발광 구조체(120)은 기판(110)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애노드 전극(anode),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발광층(emission layer, EML),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캐소드 전극(cathode)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includes an anode, a hole transport layer (HTL), an emission layer (EML), and an electron transport layer sequentially formed on the substrate 110. ETL) and a cathode electrode.

바람직하게는, 발광 구조체(120)는 기판(110)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애노드 전극, 정공 수송층, 전자 차단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및 캐소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includes an anode electrode, a hole transport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a light emitting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sequentially formed on the substrate 110. and a cathode electrode.

일측에 따르면, 발광 구조체(120)는 기판 및 애노드 전극 사이에 형성된 금속 박막층과, 기판 및 금속 박막층 사이에 형성된 캡핑층(capping laye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속 박막층은 은(Ag) 박막층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may further include a metal thin film layer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anode electrode, and a capping layer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metal thin film layer. For example, the metal thin film layer may be a silver (Ag) thin film layer.

일측에 따르면, 정공 수송층은 애노드 전극의 인접면에 형성된 제1 정공 수송층, 제1 정공 수송층 상에 형성된 정공 생성층 및 정공 생성층 상에 형성된 제2 정공 수송층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hole transport layer may include a first hole transport layer formed on an adjacent surface of the anode electrode, a hole exnihilation layer formed on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and a second hole transport layer formed on the hole exnihilation layer.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의 기판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ubstrat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more detail.

도 2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기판(200)은 유리 기판(210), 유리 기판 상에 형성된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NI) 및 패시베이션층(22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a substrate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glass substrate 210 , a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NI formed on the glass substrate, and a passivation layer 220 .

구체적으로, 유리 기판(210) 상에는 염화 세슘층이 진공증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유리 기판(210) 상에 증착된 염화 세슘층은 3분 동안 30℃의 온도와 60%의 상대습도의 환경에 노출되면, 디웨팅 과정을 통해 수증기를 흡수하여 무작위로 분포된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NI)로 변형될 수 있다. Specifically, a cesium chloride layer may be formed on the glass substrate 210 through a vacuum deposition method, and the cesium chloride layer deposited on the glass substrate 210 is in an environment of a temperature of 30°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60% for 3 minutes. When exposed to , it absorbs water vapor through a dewetting process and can be transformed into a plurality of randomly distributed nano-island structures (NI).

예를 들면,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NI)는 반구형, 타원형 및 부정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NI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a hemispherical shape, an elliptical shape, and an irregular shape.

일측에 따르면, 패시베이션층(220)은 유리 기판(210) 상에 무작위로 분포된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NI)가 공기 중에 용해 또는 휘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시베이션층(220)은 SPC-370 (FOSPIA Co., Ltd.)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passivation layer 220 may prevent the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NI randomly distributed on the glass substrate 210 from being dissolved or volatilized in the air. For example, the passivation layer 220 may include SPC-370 (FOSPIA Co., Ltd.).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구조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light emit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 more detail.

도 3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구조체(300)는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되는 캡핑층(310), 금속 박막층(320), 애노드 전극(330), 정공 수송층(340), 전자 차단층(350), 발광층(360), 전자 수송층(370), 전자 주입층(380) 및 캐소드 전극(39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apping layer 310, a metal thin film layer 320, an anode electrode 330, a hole transport layer 340, and an electron blocking layer ( 350), an emission layer 360, an electron transport layer 370, an electron injection layer 380, and a cathode electrode 390.

또한, 정공 수송층(340)은 애노드 전극(330)의 인접면에 형성된 제1 정공 수송층(341), 제1 정공 수송층(341) 상에 형성된 정공 생성층(342) 및 정공 생성층(342) 상에 형성된 제2 정공 수송층(343)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e transport layer 340 may be formed on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341 formed on the adjacent surface of the anode electrode 330, the hole exchange layer 342 formed on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341, and the hole exchange layer 342. It may include a second hole transport layer 343 formed on.

구체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구조체(300)는 애노드 전극(330)의 반사율을 높여 강력한 마이크로 캐비티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얇은 금속 박막층(320)이 애노드 전극(330) 하부에 증착 형성될 수 있으며,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금속 박막층(320) 증착 이전에 형성되는 캡핑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thin metal thin film layer 320 may be deposited and formed under the anode electrode 330 to realize a strong micro-cavity effect by increasing the reflectance of the anode electrode 330, , A capping layer formed before deposition of the metal thin film layer 320 may be further included in order to increase luminous efficiency.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구조체(300)는 정공 수송층(340)의 두께 최적화를 통해 마이크로 캐비티 효과의 강화와 정공 수송 효율의 향상을 위해 정공 수송층(340) 내에 정공 생성층(342)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hole exnihilation layer 342 within the hole transport layer 340 to enhance the microcavity effect and improve hole transport efficiency through optimiz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hole transport layer 340. It can be.

이하에서는,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구조체(300)의 제조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anufacturing exampl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캡핑층(310)은 55nm의 두께로 형성되고, ITO(Indium tin oxide)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pping layer 310 is formed to a thickness of 55 nm and may include indium tin oxide (ITO).

금속 박막층(320)은 16nm 내지 24nm의 두께로 형성되고, 은(Ag)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etal thin film layer 320 is formed to a thickness of 16 nm to 24 nm and may include silver (Ag).

애노드 전극(330)은 10nm의 두께로 형성되고, ITO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node electrode 330 is formed to a thickness of 10 nm and may include ITO.

제1 정공 수송층(341)는 75 nm 내지 85nm의 두께로 형성되고, 제2 정공 수송층(343)은 85nm의 두께로 형성되며, 제1 정공 수송층(341) 및 제2 정공 수송층(343)은 NPB(N, N'-bis (naphthalen-1-yl)-N, N'-bis (phenyl) benzidine)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341 is formed to a thickness of 75 nm to 85 nm,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343 is formed to a thickness of 85 nm, and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341 and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343 are NPB (N, N'-bis (naphthalen-1-yl) -N, N'-bis (phenyl) benzidine).

정공 생성층(342)은 7nm의 두께로 형성되고, HAT-CN(1,4,5,8,9,11-hexaazatriphenylene hexacarbonitrile)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ole exnihilation layer 342 is formed to a thickness of 7 nm and may include 1,4,5,8,9,11-hexaazatriphenylene hexacarbonitrile (HAT-CN).

전자 차단층(350)은 18nm의 두께로 형성되고, TCTA(Tris (4-carbazol-9-ylphenyl) amine)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n blocking layer 350 is formed to a thickness of 18 nm and may include Tris (4-carbazol-9-ylphenyl) amine (TCTA).

발광층(360)은 20nm의 두께로 형성되고, 청색 인광에 대응되는 Bepp2(beryllium bis(2-(20-hydroxyphenyl) pyridine)) 및 Ir(ppy)2(acac) (bis(2-phenylpyridine) acetylacetonato)iridium(III))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Bepp2 및 Ir(ppy)2(acac)은 각각 호스트 및 도펀트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layer 360 is formed to a thickness of 20 nm, and Bepp2 (beryllium bis (2- (20-hydroxyphenyl) pyridine)) and Ir (ppy) 2 (acac) (bis (2-phenylpyridine) acetylacetonato) corresponding to blue phosphorescence iridium(III)), where Bepp2 and Ir(ppy) 2 (acac) may be used as a host and dopant material, respectively.

전자 수송층(370)은 35nm의 두께로 형성되고, BPhen(4,7-diphenyl-1,10-phenanthroline)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n transport layer 370 may have a thickness of 35 nm and include BPhen (4,7-diphenyl-1,10-phenanthroline).

전자 주입층(380)은 1.5nm의 두께로 형성되고, 플루오린화 리튬(lithium fluoride, LiF)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n injection layer 380 is formed to a thickness of 1.5 nm and may include lithium fluoride (LiF).

캐소드 전극(390)은 100nm의 두께로 형성되고, 알루미늄(Al)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thode electrode 390 is formed to a thickness of 100 nm and may include aluminum (Al).

도 4a는 내지 도 4c는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섬 구조체의 FS-SEM(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A to 4C are views for explaining a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S-SEM) image of a nano-isl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410은 기판 상에 염화 세슘층(CsCl)을 증착하여 형성된 나노-섬 구조체의 전면 이미지를 도시하고, 참조부호 420은 나노-섬 구조체의 측면 이미지를 도시하며, 참조부호 430은 유기 기판, 나노-섬 구조체 및 패시베이션층으로 구성되는 일실시예에 따른 기판의 측면 이미지를 도시한다. 4A to 4C, reference numeral 410 shows a front image of a nano-island structure formed by depositing a cesium chloride layer (CsCl) on a substrate, and reference numeral 420 shows a side image of the nano-island structure. Reference numeral 430 shows a side image of a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ing an organic substrate, a nano-island structure, and a passivation layer.

참조부호 410 내지 430에 따르면,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섬 구조체는 염화 세슘층의 증착 두께에 따라 직경(diameter) 및 높이(height)가 변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reference numerals 410 to 430, the nano-isl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have a diameter and a height that vary according to the deposition thickness of the cesium chloride layer.

예를 들면, 기판 상에 증착되는 염화 세슘층은 50nm 또는 100nm의 두께로 증착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esium chloride layer deposited on the substrate may be deposited to a thickness of 50 nm or 100 nm.

구체적으로, 400nm의 직경과 200nm의 높이를 갖는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는 50nm 두께로 증착된 염화 세슘층을 30℃의 온도와 60%의 상대습도의 환경에 10분 동안 노출시켜 유리 기판 상에 무작위로 분포될 수 있다.Specifically, a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having a diameter of 400 nm and a height of 200 nm are formed on a glass substrate by exposing a 50 nm thick cesium chloride layer to an environment of a temperature of 30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60% for 10 minutes. may be randomly distributed.

또한, 600nm 이하의 직경과 250nm의 높이를 갖는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는 100nm 두께로 증착된 염화 세슘층을 30℃의 온도와 60%의 상대습도의 환경에 10분 동안 노출시켜 유리 기판 상에 무작위로 분포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having a diameter of 600 nm or less and a height of 250 nm are formed on a glass substrate by exposing a 100 nm thick cesium chloride layer to an environment of 30 ° C. and 60% relative humidity for 10 minutes. may be randomly distributed.

이후,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가 형성된 유리 기판 상에 패시베이션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패시베이션층 형성 이후에도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의 형상이 잘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ereafter, a passivation layer may be formed on the glass substrate on which the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are formed, and it may be confirmed that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is well maintained even after the passivation layer is formed.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유리 기판 상에 증착 형성된 염화 세슘층은 공기 중의 수증기를 흡수하여 디웨팅 과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 디웨팅 과정을 통해 형성된 염화 세슘 기반의 나노-섬 구조체는 패시베이션층을 오버 코팅하여 공기 중의 추가 노출을 차단해야하며, 이와 동시에 산란 효과를 증대를 위해 패시베이션층으로 SPC-370을 사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the cesium chloride layer deposited on the glass substrate absorbs water vapor in the air to perform a dewetting process, and the cesium chloride-based nano-island structure formed through the dewetting process forms a passivation layer. must be over-coated to block additional exposure in the air, and at the same time, SPC-370 can be used as a passivation layer to increase the scattering effect.

도 5a 내지 도 5d은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섬 구조체의 광학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A to 5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optical characteristics of a nano-isl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510은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NIAs)의 파장(wavelength) 변화에 따른 평행 투과율(parallel transmittance) 특성을 도시하고, 참조부호 520은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의 파장 변화에 따른 확산 투과율(diffused transmittance) 특성을 도시하며, 참조부호 530은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의 파장 변화에 따른 총 투과율(total transmittance) 특성을 도시하고, 참조부호 540은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의 파장 변화에 따른 헤이즈(haze) 특성을 도시한다. Referring to FIGS. 5A to 5D , reference numeral 510 denotes parallel transmittan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wavelength changes of the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NIAs), and reference numeral 520 denotes a plurality of nano-islands. It shows the diffused transmittan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wavelength change of the structure, reference numeral 530 shows the total transmittan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wavelength change of the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and reference numeral 540 shows the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 Shows the haz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wavelength change of the island structure.

또한, 참조부호 510 내지 540에 도시된 'NIAs(50nm)'는 두께 50nm의 염화 세슘층을 통해 형성된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의 광학 특성을 도시하고, 'NIAs(100nm)'는 두께 100nm의 염화 세슘층을 통해 형성된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의 광학 특성을 도시하며, 'NIAs(50nm)/passivation layer'는 두께 50nm의 염화 세슘층을 통해 형성되고 패시베이션층이 코팅된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의 광학 특성을 도시하고, 'NIAs(100nm)/passivation layer'는 두께 100nm의 염화 세슘층을 통해 형성되고 패시베이션층이 코팅된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의 광학 특성을 도시한다. In addition, 'NIAs (50 nm)' shown at reference numerals 510 to 540 show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a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formed through a cesium chlorid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50 nm, and 'NIAs (100 nm)' represent chloride having a thickness of 100 nm. It shows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a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formed through a cesium layer, and 'NIAs (50 nm)/passivation layer' is a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formed through a cesium chlorid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50 nm and coated with a passivation layer. Optical properties are shown, and 'NIAs (100 nm)/passivation layer' shows the optical properties of a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formed through a cesium chlorid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00 nm and coated with a passivation layer.

참조부호 510 내지 520에 따르면, 'NIAs(50nm)'의 비확산 투과율 및 확산 투과율은 550nm 파장에서 각각 66% 및 23%로 나타났고, 'NIAs(100nm)'의 비확산 투과율 및 확산 투과율은 550nm 파장에서 각각 45% 및 40%로 나타났다.According to reference numerals 510 to 520, the non-diffuse transmittance and diffuse transmittance of 'NIAs (50 nm)' were 66% and 23%, respectively, at a wavelength of 550 nm, and the non-diffuse transmittance and diffuse transmittance of 'NIAs (100 nm)' at a wavelength of 550 nm 45% and 40%, respectively.

반면, 'NIAs(50nm)/passivation layer'의 비확산 투과율 및 확산 투과율은 550nm 파장에서 각각 89% 및 4%로 나타났고, 'NIAs(100nm)'의 비확산 투과율 및 확산 투과율은 550nm 파장에서 각각 84% 및 9%로 나타났다. On the other hand, the non-diffuse transmittance and diffuse transmittance of 'NIAs (50nm)/passivation layer' were 89% and 4%, respectively, at a wavelength of 550 nm, and the non-diffuse transmittance and diffuse transmittance of 'NIAs (100 nm)' were 84%, respectively, at a wavelength of 550 nm. and 9%.

즉,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는 패시베이션층이 형성되었을 때, 비확산 투과율 특성 및 확산 투과율 특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at 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non-diffusion transmittance characteristics and the diffuse transmittance characteristics of the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are improved when the passivation layer is formed.

참조부호 530 따르면,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의 총 투과율은 평행 투과율과 확산 투과율의 산술 합계의 연산을 통해 산출될 수 있으며, 패시베이션층이 없는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즉, 'NIAs(50nm)' 및 'NIAs(100nm)')의 총 투과율은 패시베이션층이 형성된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즉, ' NIAs(50nm)/passivation layer ' 및 ''NIAs(100nm)/passivation layer ')의 총 투과율 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According to reference numeral 530, the total transmittance of the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may be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arithmetic sum of the parallel transmittance and the diffuse transmittance, and the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without a passivation layer (ie, 'NIAs (50 nm)) ' and 'NIAs (100 nm)') is greater than the total transmittance of the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on which the passivation layer is formed (ie, 'NIAs (50 nm)/passivation layer' and ''NIAs (100 nm)/passivation layer'). appeared relatively low.

참조부호 540에 따르면, 'NIAs(50nm)'의 광학 헤이즈 값은 26%, 'NIAs(100nm)'의 광학 헤이즈 값은 47%, 'NIAs(50nm)/passivation layer'의 광학 헤이즈 값은 4%, 'NIAs(100nm)/passivation layer'의 광학 헤이즈 값은 10%로 나타났다. According to reference numeral 540, the optical haze value of 'NIAs (50 nm)' is 26%, the optical haze value of 'NIAs (100 nm)' is 47%, and the optical haze value of 'NIAs (50 nm)/passivation layer' is 4% , the optical haze value of 'NIAs (100nm)/passivation layer' was 10%.

즉, 염화 세슘층의 초기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나노-섬 구조체의 직경과 증가하여 Mie 산란 효과(mie scattering effect)가 감소하고 확산 투과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두께 100nm의 염화 세슘층을 통해 형성된 나노-섬 구조체의 헤이즈 값이 두께 50nm의 염화 세슘층을 통해 형성된 나노-섬 구조체 보다 크게 나타났다. That is, as the initial thickness of the cesium chloride layer increase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iameter of the nano-island structure and the Mie scattering effect decrease and the diffusion transmittance increases. Accordingly, the cesium chlorid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00 nm increases. The haze value of the nano-island structure formed through the caesium chloride layer with a thickness of 50 nm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nano-island structure formed through the cesium chloride layer.

도 6a 내지 도 6b는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의 정공 수송층 및 금속 박막층의 두께 변화에 따른 발광 효율 특성 및 각 색도 변화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A to 6B are views for explaining luminous efficiency characteristics and chromaticity chang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ickness changes of a hole transport layer and a metal thin film layer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6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610은 정공 수송층 및 금속 박막층의 두께 변화에 따른 발광 효율의 등고선도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하고, 참조부호 620은 정공 수송층 및 금속 박막층의 두께 변화에 따른 각 색도 변화의 등고선도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다. Referring to FIGS. 6A and 6B , reference numeral 610 denotes simulation results of contour plots of luminous efficiency according to changes in the thickness of the hole transport layer and the metal thin film layer, and reference numeral 620 indicates each chromaticity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thickness of the hole transport layer and the metal thin film layer. The contour plot of the change shows the simulation results.

또한, 참조부호 610 내지 620에서 'A'는 정공 수송층의 두께가 165nm이고 금속 박막층의 두께가 16nm인 경우를 나타내고, 'B'는 정공 수송층의 두께가 165nm이고 금속 박막층의 두께가 24nm인 경우를 나타내며, 'C'는 정공 수송층의 두께가 175nm이고 금속 박막층의 두께가 16nm인 경우를 나타내고, 'D'는 정공 수송층의 두께가 175nm이고 금속 박막층의 두께가 24nm인 경우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금속 박막층은 은(Ag) 박막층일 수 있다.In addition, in reference numerals 610 to 620, 'A' indicates a case where the thickness of the hole transport layer is 165 nm and a thickness of the metal thin film layer is 16 nm, and 'B' indicates a case where the thickness of the hole transport layer is 165 nm and the thickness of the metal thin film layer is 24 nm. 'C' represents the case where the thickness of the hole transport layer is 175 nm and the thickness of the metal thin film layer is 16 nm, and 'D' represents the case where the thickness of the hole transport layer is 175 nm and the thickness of the metal thin film layer is 24 nm. For example, the metal thin film layer may be a silver (Ag) thin film layer.

참조부호 610에 따르면,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는 정공 수송층의 두께가 165nm인 상태에서 금속 박막층의 두께를 16nm에서 24nm로 변경한 경우에, 발광 효율이 2% 이하로 미미한 증가를 보이나, 정공 수송층의 두께를 165nm에서 175nm로 변경하면 발광 효율이 1.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ccording to reference numeral 610, when the thickness of the metal thin film layer is changed from 16 nm to 24 nm in a state where the thickness of the hole transport layer is 165 n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s a slight increase in luminous efficiency of 2% or less, When the thickness of the hole transport layer was changed from 165 nm to 175 nm, the luminous efficiency increased by 1.3 times.

또한, 유기 발광소자는 'D'의 조건에서의 발광 효율이 'A'의 조건에서의 발광 효율 대비 1.4배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In addi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showed that the luminous efficiency under the condition of 'D' was improved by 1.4 times compared to the luminous efficiency under the condition of 'A'.

참조부호 620에 따르면, 유기 발광소자는 'B'의 조건에서 각 색도 변화가 0.036 이하로 나타났으며, 'D'의 조건에서 각 색도 변화가 0.019로 나타났다. According to reference numeral 620, each chromaticity chang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as 0.036 or less under the condition of 'B', and each chromaticity change was 0.019 under the condition of 'D'.

즉, 일반적으로 강력한 마이크로 캐비티에서 발광 효율과 각 색도 안정성은 트레이드-오프 관계를 보이는데,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는 참조부호 610 내지 620의 광학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하여 정공 수송층의 두께를 최적화 설계하여 높은 발광효율과 안정적인 각 색도 변화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That is, in general, the luminous efficiency and the stability of each chromaticity show a trade-off relationship in a strong microcavity,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designed to optimize the thickness of the hole transport layer based on the optical simulation results of reference numerals 610 to 620. Thus, high luminous efficiency and stable color change can be realized at the same time.

도 7a 내지 도 7d는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구조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소자의 광학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7A to 7D are views for explaining optical characteristics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light emit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710은 서로 다른 조건으로 설계된 유기 발광소자(BEOLED A 내지 BEOLED F)의 전류 밀도-전압-휘도(current density-voltage-luminance, J-V-L) 특성을 도시하고, 참조부호 720은 서로 다른 조건으로 설계된 유기 발광소자의 전류 효율-휘도(current efficacy-luminance) 특성을 도시하며, 참조부호 730은 서로 다른 조건으로 설계된 유기 발광소자의 전력 효율-휘도(power efficacy-luminance) 특성을 도시하며, 참조부호 740은 서로 다른 조건으로 설계된 유기 발광소자의 정규화된 휘도-시야각(normalized luminance-viewing angle) 특성을 도시한다. 7A to 7D, reference numeral 710 denotes current density-voltage-luminance (J-V-L) characteristics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BEOLED A to BEOLED F) design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Reference numeral 720 denotes current efficacy-luminance characteristics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esign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and reference numeral 730 denotes power efficacy-luminance characteristics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esign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 characteristics, and reference numeral 740 denotes normalized luminance-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esign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또한, 참조부호 710 내지 740에서 서로 다른 조건으로 설계된 유기 발광소자(BEOLED A 내지 BEOLED F)의 발광 구조체는 하기 표1의 조건으로 설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structure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BEOLED A to BEOLED F) design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s 710 to 740 may be designed under the conditions of Table 1 below.

Figure 112021037956041-pat00007
Figure 112021037956041-pat00007

즉, 이하에서 참조부호 710 내지 740를 통해 설명하는 유기 발광소자의 광학 특성은 발광 구조체의 금속 박막층의 두께를 16nm 내지 24nm로 변경하고, 제1 정공 수송층의 두께를 75nm 내지 85nm로 변경할 때의 광학특성을 나타낸다. That is,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escribed below by reference numerals 710 to 740 are obtained when the thickness of the metal thin film layer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is changed to 16 nm to 24 nm 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is changed to 75 nm to 85 nm. represents a characteristic.

참조부호 710에 따르면, 두께 75nm의 정공 수송층을 갖는 BEOLED A, BEOLED B 및 BEOLED C는 1000cd/m2의 휘도를 구현하기 위해 각각 4.20V, 4.23V 및 4.23V의 구동 전압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두께 85nm의 정공 수송층을 갖는 BEOLED D, BEOLED E 및 BEOLED F는 1000cd/m2의 휘도를 구현하기 위해 각각 4.20V, 4.23V 및 4.23V의 구동 전압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ccording to reference numeral 710, BEOLED A, BEOLED B, and BEOLED C having a hole transport layer having a thickness of 75 nm require driving voltages of 4.20V, 4.23V, and 4.23V, respectively, to achieve a luminance of 1000 cd/m 2 . It was found that BEOLED D, BEOLED E, and BEOLED F having a hole transport layer having a thickness of 85 nm required driving voltages of 4.20V, 4.23V, and 4.23V, respectively, to achieve a luminance of 1000 cd/m 2 .

이러한 결과는 두께 85nm의 정공 수송층을 갖는 유기 발광소자의 전류 및 전력 효율이 두께 75nm의 정공 수송층을 갖는 유기 발광소자 보다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urrent and power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hole transport layer having a thickness of 85 nm is higher than tha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hole transport layer having a thickness of 75 nm.

구체적으로, 참조부호 720 내지 730에 따르면, 두께 75nm의 정공 수송층을 갖는 BEOLED A, BEOLED B 및 BEOLED C는 1000cd/m2의 휘도에서 각각 100.7 cd/A, 97.9 cd/A 및 92.1 cd/A의 전류 효율이 실현되었고, 두께 85nm의 정공 수송층을 갖는 BEOLED D, BEOLED E 및 BEOLED F는 1000cd/m2의 휘도에서 각각 113.6 cd/A, 129.1 cd/A 및 134.1 cd/A의 전류 효율이 실현되었으며, 이는 광학 시뮬레이션을 통해 도출된 효율 특성과 상당히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Specifically, according to reference numerals 720 to 730, BEOLED A, BEOLED B, and BEOLED C having a hole transport layer having a thickness of 75 nm have 100.7 cd/A, 97.9 cd/A, and 92.1 cd/A at a luminance of 1000 cd/m 2 , respectively. Current efficiency was realized, and BEOLED D, BEOLED E and BEOLED F having a hole transport layer with a thickness of 85 nm achieved current efficiencies of 113.6 cd/A, 129.1 cd/A and 134.1 cd/A, respectively, at a luminance of 1000 cd/m 2 . , which is in good agreement with the efficiency characteristics derived through optical simulation.

또한, 두께 75nm의 정공 수송층을 갖는 BEOLED A, BEOLED B 및 BEOLED C는 1000cd/m2의 휘도에서 각각 61.3 lm/W, 52.5 lm/W 및 44.2 lm/W의 전력 효율이 실현되었고, 두께 85nm의 정공 수송층을 갖는 BEOLED D, BEOLED E 및 BEOLED F는 1000cd/m2의 휘도에서 각각 74.2 lm/W, 76.0 lm/W 및 72.6 lm/W의 전력 효율이 실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BEOLED A, BEOLED B, and BEOLED C having a hole transport layer having a thickness of 75 nm realized power efficiencies of 61.3 lm/W, 52.5 lm/W, and 44.2 lm/W, respectively, at a luminance of 1000 cd/m 2 , and It can be seen that BEOLED D, BEOLED E and BEOLED F having a hole transport layer achieve power efficiencies of 74.2 lm/W, 76.0 lm/W, and 72.6 lm/W, respectively, at a luminance of 1000 cd/m 2 .

즉, BEOLED F의 전류 효율과 전력 효율은 BEOLED C 대비 1.46배 및 1.64배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BEOLED E의 전류 효율과 전력 효율은 BEOLED B 대비 1.32배 및 1.21배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BEOLED D의 전류 효율과 전력 효율은 BEOLED A 대비 1.16배 및 1.21배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That is, the current efficiency and power efficiency of BEOLED F were improved by 1.46 and 1.64 times compared to BEOLED C, and the current and power efficiency of BEOLED E were improved by 1.32 and 1.21 times compared to BEOLED B. Current efficiency and power efficiency were found to be improved by 1.16 times and 1.21 times compared to BEOLED A.

전류 효율의 향상과 전력 효율 향상 간의 불일치는 각 유기 발광소자(BEOLED A 내지 BEOLED F)의 휘도 변화로 인해 발생될 수 있으며, 전력 효율은 각 유기 발광소자(BEOLED A 내지 BEOLED F)의 휘도 변화를 통합하여 연산될 수 있다. A mismatch between the improvement of current efficiency and the improvement of power efficiency may be caused by the luminance change of each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BEOLED A to BEOLED F), and the power efficiency is the luminance change of each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BEOLED A to BEOLED F). It can be computed by integrating.

따라서, 전력 효율의 증가율은 휘도 변화가 Lambertian 거동의 방향으로 확대 될 때 전류 효율의 증가율보다 상당히 크게 나타날 수 있다. Therefore, the rate of increase in power efficiency can appear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rate of increase in current efficiency when the luminance change expands in the direction of Lambertian behavior.

참조부호 740에 따르면, 두께 85nm의 정공 수송층을 갖는 BEOLED D, BEOLED E 및 BEOLED F의 동작이 두께 75nm의 정공 수송층을 갖는 BEOLED A, BEOLED B 및 BEOLED C의 동작보다 Lambertian 거동에 더 가깝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reference numeral 740, it can be seen that the operations of BEOLED D, BEOLED E and BEOLED F having a hole transport layer of 85 nm in thickness are closer to the Lambertian behavior than the operations of BEOLED A, BEOLED B and BEOLED C having a hole transport layer of 75 nm in thickness. can

도 8a 내지 도 8f는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구조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소자의 각 색도 변화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A to 8F are diagrams for explaining chromaticity change characteristics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light emit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8a 내지 도 8f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810 내지 860은 도 7a 내지 도 7d를 통해 설명한 BEOLED A 내지 BEOLED F 각각에서의 파장-EL 강도(wavelength - EL intensity)(즉, 각 EL(angular EL) 스펙트럼 변화) 특성을 도시하고, 참조부호 810 내지 860에 삽입된 플롯은 CIE1976 색공간에서의 연산을 통해 획득한 BEOLED A 내지 BEOLED F 각각에서의 각 색도 변화(angular chromaticity changes)를 도시한다. Referring to FIGS. 8A to 8F , reference numerals 810 to 860 denote the wavelength-EL intensity (that is, each EL (angular EL)) in each of BEOLEDs A to BEOLED F described through FIGS. 7A to 7D spectral change) characteristics, and plots inserted at reference numerals 810 to 860 show angular chromaticity changes in each of BEOLED A to BEOLED F obtained through calculation in the CIE1976 color space.

참조부호 810 내지 830을 참조하면, 두께 75nm의 정공 수송층을 갖는 유기 발광소자는 금속 박막층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색도 변화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reference numerals 810 to 830,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hole transport layer having a thickness of 75 nm increases in chromaticity as the thickness of the metal thin film layer increases.

구체적으로, 0° 내지 60° 범위의 각도에 대한 각 색도 변화 및 각 EL 피크 파장(Wp) 변화는 BEOLED A가 0.017 및 2nm, BEOLED B가 0.028 및 3nm, BEOLED C가 0.037 및 5nm로 나타났다.Specifically, each chromaticity change and each EL peak wavelength (W p ) change for angles in the range of 0 ° to 60 ° were 0.017 and 2 nm for BEOLED A, 0.028 and 3 nm for BEOLED B, and 0.037 and 5 nm for BEOLED C.

참조부호 840 내지 860을 참조하면, 두께 85nm의 정공 수송층을 갖는 유기 발광소자는 금속 박막층의 두께가 증가에 따른 각 EL 피크 파장(Wp) 변화가 두께 75nm의 정공 수송층을 갖는 유기 발광소자 대비 크게 나타났으나, 각 색도 변화는 두께 75nm의 정공 수송층을 갖는 유기 발광소자 보다 적게 나타났다. Referring to reference numerals 840 to 860,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hole transport layer having a thickness of 85 nm has a larger change in each EL peak wavelength (W p ) as the thickness of the metal thin film layer increases than tha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hole transport layer having a thickness of 75 nm. However, each chromaticity change was less than tha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hole transport layer having a thickness of 75 nm.

구체적으로, 0° 내지 60° 범위의 각도에 대한 각 색도 변화 및 각 EL 피크 파장(Wp) 변화는 BEOLED D가 0.015 및 10nm, BEOLED E가 0.017 및 13nm, BEOLED F가 0.019 및 16nm로 나타났다.Specifically, each chromaticity change and each EL peak wavelength (W p ) change for angles in the range of 0 ° to 60 ° were 0.015 and 10 nm for BEOLED D, 0.017 and 13 nm for BEOLED E, and 0.019 and 16 nm for BEOLED F.

도 9a 내지 도 9b는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구조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소자의 각 색도 궤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9A to 9B are views for explaining each chromaticity trajectory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light emit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9a 내지 도 9b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910은 두께 75nm의 정공 수송층을 갖는 BEOLED A 내지 BEOLED C의 각 색도 궤적(angular chromaticity loci)을 도시하고, 참조부호 920은 두께 85nm의 정공 수송층을 갖는 BEOLED D 내지 BEOLED F의 각 색도 궤적을 도시하며, 참조부호 910 내지 920의 궤적은 CIE 1976 색 공간(L', u', v')으로부터 평가될 수 있다. 9A to 9B, reference numeral 910 denotes angular chromaticity loci of BEOLEDs A to BEOLED C having a hole transport layer having a thickness of 75 nm, and reference numeral 920 indicates a BEOLED having a hole transport layer having a thickness of 85 nm. Each chromaticity trajectory of D to BEOLED F is shown, and the trajectories of reference numerals 910 to 920 can be evaluated from the CIE 1976 color space (L', u', v').

참조부호 910 내지 920에 따르면, 각 색도 궤적의 길이는 BEOLED D는 0.023, BEOLED E는 0.033, 'BEOLED F'는 0.041로 나타났으며, BEOLED D, BEOLED E 및 BEOLED F 각각의 최대 색도 변화 각도는 40°로 나타났다. According to reference numerals 910 to 920, the length of each chromaticity trajectory was 0.023 for BEOLED D, 0.033 for BEOLED E, and 0.041 for 'BEOLED F', and the maximum chromaticity change angle of each of BEOLED D, BEOLED E and BEOLED F was It turned out to be 40°.

이러한 결과는 반투명 전극 또는 유기층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각색도 궤적의 길이가 증가 함을 나타내며, 반대로, 궤적에 변곡점이 있는 경우 이러한 두께 증가는 색도 변화 값의 증가를 가져 오지 않음을 의미한다.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length of the angularity trajectory increases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translucent electrode or organic layer.

따라서, 도 6a 내지 도 6b를 통해 설명한 광학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는 전류 효율을 줄이지 않고 소자의 두께를 조절하여 각 색도 변화를 줄일 수 있다. Accordingly, as can be seen from the optical simulation resul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and 6B ,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can reduce each chromaticity change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device without reducing current efficiency.

도 10a 내지 도 10d는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구조체 및 나노-섬 구조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소자의 광학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0A to 10D are views for explaining optical characteristics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light emitting structure and a nano-isl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0a 내지 도 10d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1010은 서로 다른 조건으로 설계된 유기 발광소자(BEOLED D' 내지 BEOLED F')의 전류 밀도-전압-휘도(current density-voltage-luminance, J-V-L) 특성을 도시하고, 참조부호 1020은 서로 다른 조건으로 설계된 유기 발광소자의 전류 효율-휘도(current efficacy-luminance) 특성을 도시하며, 참조부호 1030은 서로 다른 조건으로 설계된 유기 발광소자의 전력 효율-휘도(power efficacy-luminance) 특성을 도시하며, 참조부호 1040은 서로 다른 조건으로 설계된 유기 발광소자의 정규화된 휘도-시야각(normalized luminance-viewing angle) 특성을 도시한다. 10A to 10D, reference numeral 1010 shows current density-voltage-luminance (J-V-L) characteristics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BEOLED D' to BEOLED F') design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Reference numeral 1020 denotes current efficacy-luminance characteristics of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design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and reference numeral 1030 denotes power efficiency-luminance characteristics of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design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luminance characteristics, and reference numeral 1040 denotes normalized luminance-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esign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또한, 참조부호 1010 내지 1040에서 BEOLED D' 내지 BEOLED F' 각각은 8μm의 두께로 형성된 패시베이션층과 250nm 이하의 높이를 갖는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를 구비하는 BEOLED D' 내지 BEOLED F'를 나타낸다. In addition, reference numerals 1010 to 1040 denote BEOLED D' to BEOLED F' having a passivation layer formed to a thickness of 8 μm and a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having a height of 250 nm or less, respectively.

참조부호 1010에 따르면, BEOLED D', BEOLED E' 및 BEOLED F'는 1000cd/m2의 휘도를 구현하기 위해 각각 4.24V, 4.21V 및 4.19V의 구동 전압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도 7a를 통해 설명한 BEOLED D, BEOLED E 및 BEOLED F의 구동 전압과 비교를 통해 BEOLED D', BEOLED E' 및 BEOLED F'는 기판 상에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를 형성함에 따라 구동 전압이 약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reference numeral 1010, BEOLED D', BEOLED E', and BEOLED F' require driving voltages of 4.24V, 4.21V, and 4.19V, respectively, to realize luminance of 1000cd/m 2 , which is Compared to the driving voltages of BEOLED D, BEOLED E, and BEOLED F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a, the driving voltages of BEOLED D', BEOLED E', and BEOLED F' slightly increased as a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were formed on the substrate. can confirm that

참조부호 1020 내지 1040에 따르면, 전류 효율 및 전력 효율은 BEOLED D'가 107.7cd/A 및 73.0 lm/ W, BEOLED E'가 125.4cd/A 및 74.2 lm/W, BEOLED F'가 130.7cd/A 및 71.5 lm/W으로 나타났다. According to reference numerals 1020 to 1040, current efficiency and power efficiency are 107.7cd/A and 73.0 lm/W for BEOLED D', 125.4cd/A and 74.2 lm/W for BEOLED E', and 130.7cd/A for BEOLED F'. and 71.5 lm/W.

즉, BEOLED D'의 전류 효율 및 전력 효율은 BEOLED D 대비 5% 및 2% 감소하였고, BEOLED E'의 전류 효율 및 전력 효율은 BEOLED E 대비 3% 및 2% 감소하였으며, BEOLED F'의 전류 효율 및 전력 효율은 BEOLED F 대비 3% 및 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BEOLED D' 내지 BEOLED F'의 각 휘도 변화가 BEOLED D 내지 BEOLED F 보다 약간(약 2%)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at is, the current efficiency and power efficiency of BEOLED D' decreased by 5% and 2% compared to BEOLED D, the current efficiency and power efficiency of BEOLED E' decreased by 3% and 2% compared to BEOLED E, and the current efficiency of BEOLED F' and power efficiency decreased by 3% and 2% compared to BEOLED F, and each luminance change of BEOLED D' to BEOLED F' was slightly (about 2%) greater than that of BEOLED D to BEOLED F'.

다시 말해,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구조체 및 나노-섬 구조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소자(BEOLED D' 내지 BEOLED F')는 나노-섬 구조체를 구비하지 않은 유기 발광소자(BEOLED D 내지 BEOLED F) 대비 광학 효율이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효율의 감소율이 크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other words,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BEOLED D′ to BEOLED F′) having a light emitting structure and a nano-isl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compared to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BEOLED D to BEOLED F) not having a nano-island structure. It was found that the optical efficiency decreased slightly, but the rate of decrease in efficiency was not large.

도 11a 내지 도 11d는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구조체 및 나노-섬 구조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소자의 각 색도 변화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1A to 11D are views for explaining chromaticity change characteristics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light emitting structure and a nano-isl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1a 내지 도 11d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1110 내지 참조부호 1130은 도 10a 내지 도 10d를 통해 설명한 BEOLED D' 내지 BEOLED F' 각각의 파장-EL 강도(wavelength - EL intensity)(즉, 각 EL(angular EL) 스펙트럼 변화) 특성을 도시하고, 참조부호 1110 내지 참조부호 1130에 삽입된 플롯은 CIE1976 색공간에서의 연산을 통해 획득한 BEOLED D' 내지 BEOLED F' 각각에서의 각 색도 변화(angular chromaticity changes)를 도시한다.Referring to FIGS. 11A to 11D, reference numerals 1110 to 1130 denote the wavelength-EL intensity of each of BEOLED D' to BEOLED F' described through FIGS. 10A to 10D (that is, each EL angular EL) spectral change) characteristics, and the inserted plots at reference numerals 1110 to 1130 are angular chromaticity changes in each of BEOLED D' to BEOLED F' obtained through calculation in the CIE1976 color space ) is shown.

또한, 참조부호 1140은 BEOLED D' 내지 BEOLED F'의 각 색도 궤적(angular chromaticity loci)을 도시한다. Also, reference numeral 1140 denotes angular chromaticity loci of BEOLED D' to BEOLED F'.

참조부호 1110 내지 1130에 따르면, 0° 내지 60° 범위의 각도에 대한 각 색도 변화 및 각 EL 피크 파장(Wp) 변화는 BEOLED D'가 0.013 및 9nm, BEOLED E'가 0.014 및 12nm, BEOLED F'가 0.016 및 13nm으로 나타났다. According to reference numerals 1110 to 1130, each chromaticity change and each EL peak wavelength (W p ) change for angles in the range of 0 ° to 60 ° are 0.013 and 9 nm for BEOLED D', 0.014 and 12 nm for BEOLED E', and 0.014 and 12 nm for BEOLED F ' appeared at 0.016 and 13 nm.

즉,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섬 구조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소자(BEOLED D' 내지 BEOLED F')는 도 10a 내지 도 10d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섬 구조체를 구비하지 않은 유기 발광소자(BEOLED D 내지 BEOLED F)에 비해 광학 효율은 다소 감소하였으나, 각 색도 변화는 보다 크게 개선(억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at i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BEOLED D' to BEOLED F') having a nano-isl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o not have a nano-isl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A to 10D. Compar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BEOLED D to BEOLED F), the optical efficiency was slightly reduced, but each chromaticity change was greatly improved (suppressed).

구체적으로, 참조부호 1140에 따르면, 각 색도 궤적의 길이는 BEOLED D'가 0.013, BEOLED E가 0.014, 'BEOLED F'는 0.016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섬 구조체가 각 색도 궤적의 형상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궤적의 길이는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섬 구조체에 의한 각 색도 변화의 억제는 강한 마이크로 캐비티 거동을 보이는 유기 발광소자에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Specifically, according to reference numeral 1140, the length of each chromaticity trajectory was 0.013 for BEOLED D', 0.014 for BEOLED E, and 0.016 for 'BEOLED F'. This result means that the nano-isla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oes not affect the shape of each chromaticity locus, but the length of the trajectory can be reduced. Suppression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for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with strong micro-cavity behavior.

도 12a 내지 도 12b는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의 화소 블러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2A to 12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pixel blur characteristics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2a 내지 도 12b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1210은 유기 발광소자(BEOLED D, BEOLED D' 및 BEOLED D'')에 대응되는 화소 이미지의 밝기 정보 변환(brightness information conversion) 결과를 도시하고, 참조부호 1220은 유기 발광소자 각각의 에지(edge)로부터 도출된 화소 블러 거리 프로파일(pixel blur distance profiles)을 도시한다. 또한, 참조부호 1210 내지 1220에서 BEOLED D''는 에 80μm 직경을 갖는 복수의 마이크로렌즈(microlens arrays, MLAs)를 적용한 유기 발광소자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S. 12A and 12B , reference numeral 1210 denotes a result of brightness information conversion of pixel images corresponding to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BEOLED D, BEOLED D', and BEOLED D''), and reference numeral 1210 indicates that Reference numeral 1220 shows pixel blur distance profiles derived from edges of each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In addition, BEOLED D'' in reference numerals 1210 to 1220 denot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o which a plurality of microlens arrays (MLAs) having a diameter of 80 μm are applied.

참조부호 1210 내지 1220에 따르면, 화소 영역이 각각 4mm2인 BEOLED D, BEOLED D' 및 BEOLED D''의 화소 블러 거리(pixel blur distances)는 각각 160 μm, 191 μm 및 594 μm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기존 마이크로 렌즈에 비해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섬 구조체가 낮은 헤이즈 특성 및 나노 크기의 산란 패턴으로 인해 화소의 블러 현상을 억제하는데 훨씬 효과적이다는 것을 나타낸다.According to reference numerals 1210 to 1220, it was confirmed that pixel blur distances of BEOLED D, BEOLED D', and BEOLED D'' each having a pixel area of 4 mm 2 were 160 μm, 191 μm, and 594 μm, respectively. This indicates that the nano-isla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much more effective in suppressing the blurring of pixels due to the low haze characteristics and the nano-sized scattering patter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icrolenses.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다시 말해, 도 13은 도 1 내지 도 12b를 통해 설명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이하에서 도 13을 통해 설명하는 내용 중 도 1 내지 도 12b를 통해 설명한 내용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other words, 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B, and the cont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B among cont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below. Duplicat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도 13을 참조하면, 131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기판 상에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 in step 1310 of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may be formed on a substrate.

131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기판 상에 증착된 무기물층의 디웨팅(dewetting) 과정을 통해 나노-섬 구조체를 형성하되, 증착된 무기물층의 두께, 디웨팅 과정에서의 온도 조건 및 습도 조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나노-섬 구조체의 직경(diameter) 및 높이(height)가 결정될 수 있다. In step 1310,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ms a nano-island structure through a dewetting process of an inorganic material layer deposited on a substrate. The diameter and height of the nano-island structure may be determined by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condition and a humidity condition.

일측에 따르면, 131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염화 세슘(CsCl), 플루오린화 세슘(CsF), 아이오딘화 세슘(CsI), 브롬화 세슘(CsBr), 염화 칼슘(CaCl2) 및 염화 란탄(LaCl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기물층을 기판 상에 50nm 내지 10nm의 두께로 증착하고, 증착된 무기물층의 디웨팅 과정을 수행하여 나노-섬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무기물층은 염화 세슘층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in step 1310,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cesium chloride (CsCl), cesium fluoride (CsF), cesium iodide (CsI), cesium bromide (CsBr), and calcium chloride (CaCl). 2 ) and lanthanum chloride (LaCl 3 ) depositing an inorganic material layer containing at least one of 50 nm to 10 nm on a substrate, and performing a dewetting process on the deposited inorganic material layer to form a nano-island structure. . Preferably, the inorganic material layer may be a cesium chloride layer.

또한, 131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30℃의 온도와 60%의 상대습도의 환경에서 증착된 무기물층에 대한 디웨팅 과정을 수행하여 나노-섬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1310,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orm a nano-island structure by performing a dewetting process on the deposited inorganic layer in an environment of a temperature of 30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60%. there is.

일측에 따르면, 131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나노-섬 구조체의 공기 중 노출을 차단하는 패시베이션층(passivation layer)을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step 1310, a passivation layer may be formed to block exposure of the nano-island structure to air.

다음으로, 132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기판 상에 발광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Next, in step 1320,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orm a light emitting structure on a substrate.

일측에 따르면, 발광 구조체는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애노드 전극,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캐소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may include an anode electrode, a hole transport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 cathode electrode sequentially formed on a substrate.

일측에 따르면, 발광 구조체는 기판 및 애노드 전극 사이에 형성된 금속 박막층과, 기판과 금속 박막층 사이에 형성된 캡핑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속 박막층은 은(Ag) 박막층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metal thin film layer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anode electrode, and a capping layer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metal thin film layer. For example, the metal thin film layer may be a silver (Ag) thin film layer.

또한, 정공 수송층은 애노드 전극의 인접면에 형성된 제1 정공 수송층, 제1 정공 수송층 상에 형성된 정공 생성층 및 정공 생성층 상에 형성된 제2 정공 수송층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e transport layer may include a first hole transport layer formed on an adjacent surface of the anode electrode, a hole exchange layer formed on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and a second hole transport layer formed on the hole exchange layer.

즉, 132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기판 상에 캡핑층, 금속 박막층, 애노드 전극, 제1 정공 수송층, 정공 생성층, 제2 정공 수송층, 전자 차단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및 캐소드 전극을 순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at is, in step 1320,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apping layer, a metal thin film layer, an anode electrode, a first hole transport layer, a hole generating layer, a second hole transport layer, an electron blocking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nd an electron blocking layer on a substrate. A transport layer, an electron injection layer, and a cathode electrode may be sequentially formed.

예를 들면, 132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유기층(organic layer)을 5 x 10-5 Pa의 진공 조건에서 1

Figure 112021037956041-pat00008
/ s 이하의 증착 속도(deposition rate)로 증착하고, 전자 주입층 및 캐소드 전극을 각각 0.15
Figure 112021037956041-pat00009
/ s 및 2.5
Figure 112021037956041-pat00010
/ s의 증착 속도로 증착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step 1320, an organic layer is formed in a vacuum condition of 5 x 10 -5 Pa 1
Figure 112021037956041-pat00008
/ s or less,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and the cathode electrode are each 0.15
Figure 112021037956041-pat00009
/ s and 2.5
Figure 112021037956041-pat00010
/ s deposition rate.

도 14a 내지 도 14c는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에서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를 형성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4A to 14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forming a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more detail.

다시 말해, 도 14a 내지 도 14c는 도 13의 1310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FIGS. 14A to 14C may be performed in step 1310 of FIG. 13 .

도 14a 내지 도 14c를 참조하면, 141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유리 기판(1411) 상에 무기물층(1412)을 증착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무기물층(1412)은 염화 세슘층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4A to 14C , in step 1410 of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inorganic material layer 1412 may be deposited on a glass substrate 1411 . Preferably, the inorganic material layer 1412 may be a cesium chloride layer.

일측에 따르면, 141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염화 세슘층 증착 이전에 유리 기판(1411)을 아세톤, 이소 프로필 알코올 및 탈 정제수(deionized water, DI)로 연속적으로 세척한 후, UV(ultraviolet rays)와 오존에 노출시키는 전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in step 1410,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glass substrate 1411 is successively washed with acetone, isopropyl alcohol, and deionized water (DI) before depositing the cesium chloride layer. After that, a pretreatment process of exposing to UV (ultraviolet rays) and ozone may be performed.

구체적으로, 141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전처리된 유리 기판(1411)을 진공 챔버 내에 삽입한 후, 진공증착법(thermal evaporation)이용하여 유리 기판(1411) 상에서 무기물질 분말(일례로, 염화 세슘 분말)을 1

Figure 112021037956041-pat00011
/ s 이하의 증착 속도(deposition rate)로 증착하여 무기물층(1412)을 형성할 수 있다. Specifically, in step 1410,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retreated glass substrate 1411 is inserted into a vacuum chamber, and then inorganic material powder is deposited on the glass substrate 1411 using a thermal evaporation method. (e.g., cesium chloride powder) to 1
Figure 112021037956041-pat00011
The inorganic material layer 1412 may be formed by depositing at a deposition rate equal to or less than / s.

다음으로, 142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증착된 무기물층(1412)의 디웨팅 과정을 통해 유리 기판(1411) 상에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NI)를 형성할 수 있다.Next, in step 1420,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NI) are formed on the glass substrate 1411 through a dewetting process of the deposited inorganic layer 1412. can

구체적으로, 142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30℃의 온도와 60%의 상대습도의 환경에서 증착된 무기물층(1412)을 공기 중에 노출시킬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공기 중에 노출된 무기물층(1412)은 디웨팅 과정을 통해 수증기를 흡수하여,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NI)로 변화할 수 있으며, 이때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NI)는 유리 기판(1411) 상에 무작위로 분포될 수 있다. Specifically, in step 1420,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expose the deposited inorganic material layer 1412 to the air in an environment of a temperature of 30°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60%. In this process, the air The inorganic material layer 1412 exposed in the middle absorbs water vapor through a dewetting process and can be changed into a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NI), and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NI) may be randomly distributed over the

다음으로, 143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스핀 코팅법을 이용하여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NI)가 형성된 유리 기판(1411) 상에 패시베이션층(1431)을 코팅하여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NI)가 공기 중으로 노출되어 용해 또는 휘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Next, in step 1430,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ats a passivation layer 1431 on a glass substrate 1411 on which a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NI) are formed using a spin coating method. Dissolution or volatilization of the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NI) exposed to air may be prevented.

일측에 따르면, 143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패시베이션층(1431)을 코팅한 후, UV 처리를 통해 코팅된 패시베이션층(1431)을 경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step 1430, after coating the passivation layer 1431, the coated passivation layer 1431 may be cured through UV treatment.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면, 기판 상에 나노-섬 구조체를 형성하여 유기 발광소자의 시야각 의존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Consequently,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viewing angle dependen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by forming the nano-island structure on the substrate.

또한, 본 발명은 기판 상에 형성된 나노-섬 구조체로 인한 낮은 화소 블러링 효과(pixel blurring effect)의 구현을 통해 각 색도 변화(angular chromaticity change)를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angular chromaticity change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a low pixel blurring effect due to the nano-island structure formed on the substrate.

또한, 본 발명은 진공증착법(thermal evaporation)을 이용하여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용이하게 나노-섬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form a nano-island structure even in a large-area display device using a thermal evaporation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정공 수송층과 애노드 전극의 두께 최적화에 기초한 마이크로 캐비티 특성의 강화를 통해 각 색도 변화와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each chromaticity change and luminous efficiency through enhancement of microcavity characteristics based on optimiz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hole transport layer and the anode electrode.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장치,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device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even if it is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유기 발광소자 110: 기판
120: 발광 구조체 130: 패시베이션층
NI: 나노-섬 구조체
100: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110: substrate
120: light emitting structure 130: passivation layer
NI: nano-island structure

Claims (14)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가 구비된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발광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구조체는,
상기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애노드 전극,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 및 상기 애노드 전극 사이에 16nm 내지 24nm 두께로 형성된 금속 박막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정공 수송층은,
상기 애노드 전극의 인접면에 75nm 내지 85nm 두께로 형성된 제1 정공 수송층, 상기 제1 정공 수송층 상에 형성된 정공 생성층 및 상기 정공 생성층 상에 85nm의 두께로 형성된 제2 정공 수송층을 포함하고,
상기 나노-섬 구조체는,
상기 기판 상에 증착된 무기물층의 디웨팅(dewetting) 과정을 통해 형성되되, 상기 증착된 무기물층의 두께, 상기 디웨팅 과정에서의 온도 조건 및 습도 조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직경(diameter) 및 높이(height)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소자.
A substrate having a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and a light emitting structure formed on the substrate;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It includes an anode electrode, a hole transport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 cathode electrode sequentially formed on the substrate, and further comprising a metal thin film layer formed to a thickness of 16 nm to 24 nm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anode electrode,
The hole transport layer,
A first hole transport layer formed on a surface adjacent to the anode electrode to a thickness of 75 nm to 85 nm, a hole exchange layer formed on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and a second hole transport layer formed on the hole exchange layer to a thickness of 85 nm,
The nano-island structure,
It is formed through a dewetting process of the inorganic material layer deposited on the substrate, and the diameter and height are determined by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of the deposited inorganic material layer and the temperature condition and humidity condition in the dewetting proc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is determin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 구조체는,
상기 기판 상에 50nm 내지 10nm의 두께로 증착된 무기물층의 상기 디웨팅 과정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증착된 무기물층은,
염화 세슘(CsCl), 플루오린화 세슘(CsF), 아이오딘화 세슘(CsI), 브롬화 세슘(CsBr), 염화 칼슘(CaCl2) 및 염화 란탄(LaCl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소자.
According to claim 1,
The nano-island structure,
Formed through the dewetting process of the inorganic material layer deposited on the substrate to a thickness of 50 nm to 10 nm,
The deposited inorganic material lay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cesium chloride (CsCl), cesium fluoride (CsF), cesium iodide (CsI), cesium bromide (CsBr), calcium chloride (CaCl 2 ) and lanthanum chloride (LaCl 3 )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 구조체는,
30℃의 온도와 60%의 상대습도의 환경에서 상기 증착된 무기물층에 대한 상기 디웨팅 과정을 수행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소자.
According to claim 1,
The nano-islan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performing the dewetting process on the deposited inorganic layer in an environment of a temperature of 30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60%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나노-섬 구조체의 공기 중 노출을 차단하는 패시베이션층(passivation layer)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소자.
According to claim 1,
the substrat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assivation layer that blocks exposure of the nano-island structure to ai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기판 상에 복수의 나노-섬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 상에 발광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구조체는,
상기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애노드 전극,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 및 상기 애노드 전극 사이에 16nm 내지 24nm 두께로 형성된 금속 박막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정공 수송층은,
상기 애노드 전극의 인접면에 75nm 내지 85nm 두께로 형성된 제1 정공 수송층, 상기 제1 정공 수송층 상에 형성된 정공 생성층 및 상기 정공 생성층 상에 85nm의 두께로 형성된 제2 정공 수송층을 포함하고,
상기 나노-섬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 상에 증착된 무기물층의 디웨팅(dewetting) 과정을 통해 상기 나노-섬 구조체를 형성하되, 상기 증착된 무기물층의 두께, 상기 디웨팅 과정에서의 온도 조건 및 습도 조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나노-섬 구조체의 직경(diameter) 및 높이(height)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Forming a plurality of nano-island structures on a substrate and forming a light emitting structure on the substrate
including,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It includes an anode electrode, a hole transport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 cathode electrode sequentially formed on the substrate, and further comprising a metal thin film layer formed to a thickness of 16 nm to 24 nm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anode electrode,
The hole transport layer,
A first hole transport layer formed on a surface adjacent to the anode electrode to a thickness of 75 nm to 85 nm, a hole exchange layer formed on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and a second hole transport layer formed on the hole exchange layer to a thickness of 85 nm,
Forming the nano-island structure,
The nano-island structure is formed through a dewetting process of the inorganic material layer deposited on the substrate, by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of the deposited inorganic material layer, temperature conditions and humidity conditions in the dewetting proc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and height of the nano-island structure are determine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염화 세슘(CsCl), 플루오린화 세슘(CsF), 아이오딘화 세슘(CsI), 브롬화 세슘(CsBr), 염화 칼슘(CaCl2) 및 염화 란탄(LaCl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기물층을 상기 기판 상에 50nm 내지 10nm의 두께로 증착하고, 상기 증착된 무기물층의 상기 디웨팅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나노-섬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step of forming the nano-island structure,
An inorganic material layer containing at least one of cesium chloride (CsCl), cesium fluoride (CsF), cesium iodide (CsI), cesium bromide (CsBr), calcium chloride (CaCl 2 ) and lanthanum chloride (LaCl 3 ) Depositing on a substrate to a thickness of 50 nm to 10 nm, and performing the dewetting process of the deposited inorganic layer to form the nano-island structur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30℃의 온도와 60%의 상대습도의 환경에서 상기 증착된 무기물층에 대한 상기 디웨팅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나노-섬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step of forming the nano-islan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nano-island structure is formed by performing the dewetting process on the deposited inorganic layer in an environment of a temperature of 30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60%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나노-섬 구조체의 공기 중 노출을 차단하는 패시베이션층(passivation layer)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step of forming the nano-islan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forming a passivation layer (passivation layer) to block exposure of the nano-island structure to the ai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42075A 2020-04-01 2021-03-31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nano-island structur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4778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4043 WO2021201621A1 (en) 2020-04-01 2021-04-01 Organic light-emitting diode comprising nano-island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39749 2020-04-01
KR1020200039749 2020-04-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710A KR20210122710A (en) 2021-10-12
KR102477831B1 true KR102477831B1 (en) 2022-12-15

Family

ID=78078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075A KR102477831B1 (en) 2020-04-01 2021-03-31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nano-island structur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83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58798A1 (en) * 2011-11-30 2016-06-09 Corning Incorporated Metal dewetting methods and articles produced thereb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331B1 (en) * 2013-03-05 2016-09-23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Substrate for oled with enhance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method for fabricating thereof and oled including the same
KR101973287B1 (en) 2017-11-16 2019-04-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hole transffer layer comprising an complex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58798A1 (en) * 2011-11-30 2016-06-09 Corning Incorporated Metal dewetting methods and articles produced thereb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710A (en) 202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9806B1 (en) OLED with improved light outcoupling
US9508957B2 (en) OLED with improved light outcoupling
US20080238310A1 (en) OLED with improved light outcoupling
US929373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having emission layers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including fullerene and lithium quinolate
US20120211782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display including same
TWI823257B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s with uv-cured fill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73207B1 (en) Anode including metal oxides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the anode
Park et al. Low absorption semi-transparent cathode for micro-cavity top-emitt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US20200028121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display device, and illumination device
KR20110027484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Kanno et al. High efficiency stack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employing Li2O as a connecting layer
TWI517471B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evice with efficiency roll-up property
KR102317267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KR102009804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20052262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perovskite light emitting device by inkjet printing
KR10247783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nano-island structur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804483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with a plurality of stacked light emitting units
US20200013978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illumination device
US1173734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perovskite light emitting device by inkjet printing
JP2012156075A (en) Display device
KR102122710B1 (en) Nanopixel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771253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KR10204252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Zhang et al. Independently controllable stacked OLEDs with high efficiency by using semitransparent Al/WO3/Ag intermediate connecting layer
KR20110056713A (en) Manufactuing method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