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382B1 - 쌀밥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쌀밥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382B1
KR102476382B1 KR1020170067865A KR20170067865A KR102476382B1 KR 102476382 B1 KR102476382 B1 KR 102476382B1 KR 1020170067865 A KR1020170067865 A KR 1020170067865A KR 20170067865 A KR20170067865 A KR 20170067865A KR 102476382 B1 KR102476382 B1 KR 102476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turntable
unit
molded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5071A (ko
Inventor
사토시 고마츠
요코 나카히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Publication of KR20180015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26Snacks or the like obtained by binding, shaping or compacting together cereal grains or cereal pieces, e.g. cere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작업 환경에 의존하지 않고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쌀밥 성형 장치를 제공한다.
쌀밥 성형 장치로서, 쌀밥 성형물을 성형하는 성형부와, 성형부에 의해 성형된 쌀밥 성형물을 반송하는 턴테이블과, 턴테이블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고 이루어지며, 턴테이블은 성형부에 의해 성형된 쌀밥 성형물이 놓이는 안착부를 복수 구비하고, 턴테이블은 2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제어부는 성형부에 의해 성형된 쌀밥 성형물이 방출되는 방출 위치로 복수의 안착부 중 어느 하나의 안착부가 이동하도록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쌀밥 성형 장치{Cooked-ric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쌀밥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쌀밥 성형 장치는, 예를 들어 초밥을 취급하는 식품 소매점 등에서 쌀밥 성형물(쌀밥 덩어리)을 생산하는 장치로서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참조).
쌀밥 성형 장치는, 예를 들어 호퍼와 압축부와 성형부와 반송부와 검지부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호퍼는, 쌀밥 덩어리의 원료가 되는 쌀밥을 수납하여 쌀밥을 압축부에 공급한다. 압축부는, 호퍼로부터 공급된 쌀밥을 고르게 하여 밀도가 균일화된 쌀밥을 성형부에 공급한다. 성형부는, 밀도가 균일화된 쌀밥을 소정 형상의 쌀밥 덩어리로 성형한다. 반송부는, 성형부에서 성형된 쌀밥 덩어리를 수취하여 반송한다. 검지부는, 예를 들어 반송부의 소정의 위치에서의 쌀밥 덩어리의 유무를 검지한다.
성형부는, 한 쌍의 회전축과, 회전축에 장착되는 한 쌍의 성형 롤러를 구비한다. 성형 롤러는, 외주면에 복수의 수납부를 구비한다. 한 쌍의 성형 롤러는, 한 쌍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 쌍의 성형 롤러의 회전은, 성형 롤러의 회전에 따라 수납부끼리 서로 대향하도록 동조한다.
쌀밥은, 회전하는 성형 롤러의 수납부에 충전(수납)된다. 수납부끼리 대향되었을 때에, 수납부 내의 쌀밥은 소정 형상(예를 들어, 대략 가마니 형상)의 쌀밥 덩어리로 성형된다. 쌀밥 덩어리는, 성형 롤러의 회전에 따라 수납부로부터 반송부로 방출된다(낙하한다).
반송부는, 예를 들어 쌀밥 덩어리를 놓고 회전하는 턴테이블을 구비한다. 턴테이블은, 소정의 일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한다. 쌀밥 성형 장치는 턴테이블이 회전하면, 다음 쌀밥 덩어리를 성형부로부터 턴테이블 상으로 방출한다. 쌀밥 성형 장치는, 턴테이블 상의 쌀밥 덩어리가 소정 위치(예를 들어, 턴테이블이 한 바퀴 돌기 전의 위치)까지 이동하면 턴테이블의 회전을 정지하고, 소정 위치로 이동한 쌀밥 덩어리가 쌀밥 성형 장치를 조작하는 작업자 등에 의해 취출되면 턴테이블의 회전을 재개한다. 소정 위치에서의 쌀밥 덩어리의 존재 여부는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다.
통상, 턴테이블의 회전 방향은 작업자에 의한 쌀밥 덩어리의 취출이 용이해지도록 작업장에서의 쌀밥 형성 장치의 배치, 작업자의 솜씨, 작업자가 서는 위치 등의 작업 환경에 맞추어 일 방향으로 고정된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04-13565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 2006-197823호 공보
그러나, 작업장에서의 쌀밥 성형 장치의 배치는 자주 변경된다. 이러한 경우, 턴테이블의 회전 방향과 작업자의 위치 관계의 어긋남은 작업자에게 떨어진 위치에 있는 쌀밥 덩어리를 취출하는 작업을 행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예를 들어 2명의 작업자가 1대의 쌀밥 성형 장치의 양측에 서서 작업을 하는 경우, 한쪽의 작업자는 본인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쌀밥 덩어리를 취출하거나 턴테이블이 쌀밥 덩어리를 본인의 주변 부근으로 반송하는 것을 기다려야 한다. 이와 같이, 턴테이블의 회전 방향이 일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종래의 쌀밥 성형 장치에서는, 작업자의 작업 효율은 작업 환경에 의존하여 현저하게 저하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작업 환경에 의존하지 않고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쌀밥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쌀밥 성형 장치는, 쌀밥 성형물을 성형하는 성형부와, 성형부에 의해 성형된 쌀밥 성형물을 반송하는 턴테이블과, 턴테이블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고 이루어지며, 턴테이블은 성형부에 의해 성형된 쌀밥 성형물이 놓이는 안착부를 복수 구비하고, 턴테이블은 2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제어부는 성형부에 의해 성형된 쌀밥 성형물이 방출되는 방출 위치로 복수의 안착부 중 어느 하나의 안착부가 이동하도록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 환경에 의존하지 않고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쌀밥 성형 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쌀밥 성형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쌀밥 성형 장치가 구비하는 패널을 분리한 상태의 쌀밥 성형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쌀밥 성형 장치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쌀밥 성형 장치가 구비하는 한 쌍의 성형 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한 쌍의 성형 롤러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성형 롤러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성형 롤러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쌀밥 성형 장치가 구비하는 턴테이블을 상방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턴테이블의 회전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의 (a)는 제1 상태에서의 도 5의 한 쌍의 성형 롤러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 (b)는 제1 상태에서의 한 쌍의 성형 롤러에 수납된 쌀밥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2의 (a)는 제2 상태에서의 도 5의 한 쌍의 성형 롤러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 (b)는 제2 상태에서의 한 쌍의 성형 롤러에 수납된 쌀밥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3의 (a)는 제3 상태에서의 도 5의 한 쌍의 성형 롤러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 (b)는 제3 상태에서의 한 쌍의 성형 롤러에 수납된 쌀밥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4의 (a)는 제4 상태에서의 도 5의 한 쌍의 성형 롤러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 (b)는 제4 상태에서의 한 쌍의 성형 롤러로부터 방출된 쌀밥 성형물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5의 한 쌍의 성형 롤러로부터 방출된 직후의 쌀밥 성형물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상태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쌀밥 성형물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7은, 최초의 쌀밥 성형물이 턴테이블로 방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다음 쌀밥 성형물이 턴테이블로 방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다음 쌀밥 성형물이 턴테이블로 방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다음 쌀밥 성형물이 턴테이블로 방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상태에서 하나의 쌀밥 성형물이 취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쌀밥 성형 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면에 나타나는 XYZ 좌표계는 X방향을 전후 방향, Y방향을 좌우 방향, Z방향을 상하 방향으로서 각각 나타낸다. 각 방향에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이 +방향이다. X방향에서, +X방향이 전방향, -X방향이 후방향이다. Y방향에서, +Y방향이 좌방향, -Y방향이 우방향이다. Z방향에서, +Z방향이 윗방향, -Z방향이 아랫방향이다. 또한, 도면 중, 「○」 안에 「·」이 기재된 표기는 지면(紙面)의 뒷면에서부터 겉면으로 향하는 화살표(+방향)를 나타낸다.
● 쌀밥 성형 장치 ●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쌀밥 성형 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쌀밥 성형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쌀밥 성형 장치(100)는, 예를 들어 초밥용 밥 등의 쌀밥(R)(도 3 참조. 이하 동일)을 초밥용 쌀밥 성형물(이하, 「쌀밥 덩어리」라고 함)(RB)로 성형한다. 쌀밥 성형 장치(100)에 의해 성형되는 쌀밥 덩어리(RB)는 소정의 형상(예를 들어, 대략 가마니 형상)이다. 쌀밥 성형 장치(100)는, 호퍼(1)와 하우징(2)과 압축부(3)와 성형부(4)와 반송부(5)와 검지부(6)와 제어부(7)와 구동부(8)와 패널(9)과 조작부(10)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 쌀밥 성형 장치의 구성
도 3은 패널(9)이 분리된 상태의 쌀밥 성형 장치(100)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쌀밥 성형 장치(100)의 AA선 단면도이다.
호퍼(1)는 쌀밥(R)의 수납, 교반, 공급을 행한다. 호퍼(1)는 수납부(11)와 교반부(12)와 공급부(13)를 구비한다. 수납부(11)는 내부에 쌀밥(R)을 수납한다. 수납부(11)는 하우징(2)의 상부에 장착된다. 수납부(11)는 하우징(2)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다. 교반부(12)는, 예를 들어 복수의 교반 아암(도시생략)을 구비한다. 교반 아암은 교반부(12) 내의 쌀밥(R)을 교반한다. 교반부(12)는 수납부(11)의 하방에 배치된다. 교반부(12)는 하우징(2)의 상측 전면(前面)에 장착된다. 공급부(13)는 교반부(12)의 하방에 일체로 설치된다. 교반된 쌀밥(R)은 공급부(13)를 통해 공급부(13)의 하방으로 보내진다.
하우징(2)은, 압축부(3)와 성형부(4)와 반송부(5)를 지지함과 동시에 구동부(8) 등을 수납한다. 하우징(2)은 복수의 지지부를 구비한다. 지지부는, 예를 들어 압축부(3)와 성형부(4)를 지지한다.
압축부(3)는, 성형부(4)에 의한 쌀밥 덩어리(RB)의 성형이 용이해지도록 호퍼(1)로부터 공급된 쌀밥(R)을 고르게 하여 성형부(4)에 공급한다. 즉, 압축부(3)로부터 성형부(4)에 공급되는 쌀밥(R)은 적당히 고르게 되어(압축되어) 밀도가 균일화된다. 압축부(3)는, 복수의 회전축(31)과 상단 압축 롤러 쌍(32)과 하단 압축 롤러 쌍(33)과 지지 플레이트 쌍(34)을 구비한다.
회전축(31)은, 상단 압축 롤러 쌍(32)과 하단 압축 롤러 쌍(33)을 지지한다. 회전축(31)은, 하우징(2)의 지지부를 통해 하우징(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단 압축 롤러 쌍(32)은, 호퍼(1)로부터 공급된 쌀밥(R)을 압축하여 균일하게 고르게 한다. 상단 압축 롤러 쌍(32)은, 제1 압축 롤러(32a)와 제2 압축 롤러(32b)로 구성된다. 하단 압축 롤러 쌍(33)은, 상단 압축 롤러 쌍(32)에 의해 압축된 쌀밥(R)을 더욱 고르게 한다. 하단 압축 롤러 쌍(33)은, 제3 압축 롤러(33a)와 제4 압축 롤러(33b)로 구성된다.
상단 압축 롤러 쌍(32)과 하단 압축 롤러 쌍(33)은 회전축(31)을 통해 하우징(2)에 장착된다. 상단 압축 롤러 쌍(32)은,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호퍼(1)의 공급부(13)의 하방에 배치된다. 하단 압축 롤러 쌍(33)은,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단 압축 롤러 쌍(32)의 하방에 배치된다. 제3 압축 롤러(33a)와 제4 압축 롤러(33b)의 간격은, 제1 압축 롤러(32a)와 제2 압축 롤러(32b)의 간격보다 좁다.
회전축(31)은, 구동부(8)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회전축(31)에 지지된 상단 압축 롤러 쌍(32)과 하단 압축 롤러 쌍(33)의 회전 속도나 회전 방향은 제어부(7)에 의해 제어된다. 상단 압축 롤러 쌍(32)과 하단 압축 롤러 쌍(33)의 회전 방향은, 압축부(3)에 공급된 쌀밥(R)을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향하여 이동시키는 방향이다.
지지 플레이트 쌍(34)은, 압축부(3)와 성형부(4)에 공급된 쌀밥(R)을 전후로부터 지지한다. 지지 플레이트 쌍(34)은, 앞쪽 지지 플레이트(도시생략)와 뒤쪽 지지 플레이트(34a)로 구성된다. 뒤쪽 지지 플레이트(34a)는, 하우징(2)의 전면에 장착된다. 앞쪽 지지 플레이트는, 패널(9)의 후면에 장착된다.
또, 압축부(3)의 구성은 본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를 들어 압축부(3)가 구비하는 롤러 쌍은 상단 압축 롤러 쌍(32)과 하단 압축 롤러 쌍(33)의 2단계이지만, 압축부가 구비하는 롤러 쌍은 1단계나 3단계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압축부는 롤러 방식이 아니라 벨트 방식이어도 된다.
성형부(4)는, 압축부(3)에 의해 밀도가 균일화된 쌀밥(R)으로부터 쌀밥 덩어리(RB)를 성형한다. 성형부(4)는, 압축부(3)의 하방에 배치된다. 성형부(4)는, 하우징(2)의 전면에 배치된다. 성형부(4)는,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과 제1 성형 롤러(43)와 제2 성형 롤러(44)를 구비한다.
제1 회전축(41)은, 제1 성형 롤러(43)를 지지한다. 제2 회전축(42)은, 제2 성형 롤러(44)를 지지한다.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 각각의 후반부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우징(2)의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 각각의 축방향은 전후 방향에 따른다.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 각각의 전반부는, 하우징(2)의 지지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다. 즉,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은 지지부에 일단 지지된다.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은, 구동부(8)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의 회전 속도나 회전 방향은 제어부(7)에 의해 제어된다.
제1 성형 롤러(43)와 제2 성형 롤러(44)는, 압축부(3)에 의해 밀도가 균일화된 쌀밥(R)을 쌀밥 덩어리(RB)로 성형한다. 제1 성형 롤러(43)는, 제1 회전축(41)의 전반부에 장착된다. 제2 성형 롤러(44)는, 제2 회전축(42)의 전반부에 장착된다. 제1 성형 롤러(43)의 외주면은 제2 성형 롤러(44)의 외주면과 대향된다.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는, 압축부(3)로부터 공급된 쌀밥(R)을 성형하여 성형된 쌀밥 덩어리(RB)를 하방으로 방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제1 성형 롤러(43)는 정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도 3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성형 롤러(44)는, 정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도 3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성형 롤러(43)의 회전은, 제2 성형 롤러(44)의 회전과 동기한다.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분리된 상태에서, 제1 회전축(41)(제2 회전축(42))의 축방향이 다른 위치에서의 축간 거리(L)는 다르다. 축간 거리(L)는, 제1 회전축(41)의 축심(축 중심)과 제2 회전축(42)의 축심의 거리이다.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의 후단측의 축간을 축간 거리(L1),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의 전단측의 축간을 축간 거리(L2)로 한다. 축간 거리(L1)는 축간 거리(L2)보다 길다. 즉,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분리된 상태에서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은 비평행이다.
다음에, 제1 성형 롤러(43)의 구성과 제2 성형 롤러(44)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성형 롤러(43)의 구성과 제2 성형 롤러(44)의 구성은 후술하는 요철을 제외하고 좌우 대칭이다. 그래서,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구성에 대해 제1 성형 롤러(43)를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5는,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사시도이다.
제1 성형 롤러(43)는, 예를 들어 불소계 수지 등의 합성 수지제이다. 제1 성형 롤러(43)는 원기둥 형상이다. 제1 성형 롤러(43)는, 축구멍(43h)과 복수의 수납부(43a)를 구비한다.
도 6은,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를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의 중앙 부분에서 절단한,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절단면을 나타낸다. 도면 중,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에 인접하는 흰 화살표는,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다(이하, 도 7, 도 12-도 14도 동일).
축구멍(43h)은, 제1 회전축(41)이 삽입 통과되는 구멍이다. 축구멍(43h)은, 제1 성형 롤러(43)의 축심선(중심축선) 상에 제1 성형 롤러(43)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축구멍(43h)은, 정면에서 보아 육각형이다. 제1 회전축(41)의 전반부는 축구멍(43h)에 끼워맞춤된다.
수납부(43a)는, 제2 성형 롤러(44)의 수납부(44a)와 함께 쌀밥(R)을 수납하여 쌀밥(R)을 쌀밥 덩어리(RB)로 성형한다. 수납부(43a)는, 제1 성형 롤러(43)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으로 향하여 대략 배 바닥 형상으로 움푹 패여 있다. 제1 성형 롤러(43)의 축방향에서의 수납부(43a)의 길이는, 제1 성형 롤러(43)의 둘레방향에서의 수납부(43a)의 길이보다 길다(도 5 참조). 수납부(43a)는, 제1 성형 롤러(43)의 둘레방향을 따라 균등한 간격으로 제1 성형 롤러(43)의 외주면의 6개소에 배치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성형 롤러나 제2 성형 롤러가 구비하는 수납부의 수는 「6」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은, 제1 성형 롤러(43)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제1 성형 롤러(43)의 BB선 단면도이다.
수납부(43a)는, 측벽면(43a1)과 상부 벽면(43a2)과 바닥 벽면(43a3)과 전방 벽면(43a4)과 후방 벽면(43a5)을 구비한다. 쌀밥(R)은, 수납부(43a)에 수납됨으로써 쌀밥 덩어리(RB)의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측벽면(43a1)은, 쌀밥 덩어리(RB)의 측면에 대응한다. 상부 벽면(43a2)은, 쌀밥 덩어리(RB)의 상면에 대응한다. 바닥 벽면(43a3)은, 쌀밥 덩어리(RB)의 바닥면에 대응한다. 전방 벽면(43a4)과 후방 벽면(43a5)은, 쌀밥 덩어리(RB)의 길이 방향의 단면(전단면, 후단면)에 대응한다. 수납부(43a) 내의 공간(측벽면(43a1)과 상부 벽면(43a2)과 바닥 벽면(43a3)과 전방 벽면(43a4)과 후방 벽면(43a5)에 둘러싸이는 공간)의 용적은, 쌀밥 덩어리(RB)의 대략 절반의 용적에 상당한다.
측벽면(43a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에서 보아 6개의 측벽면(43a1)끼리 다각형(육각형)이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상부 벽면(43a2)은, 제1 성형 롤러(43)의 회전 방향(도 6의 시계 방향)에서 측벽면(43a1)의 후방(제1 성형 롤러(43)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다. 측벽면(43a1)과 상부 벽면(43a2)이 이루는 모서리의 각도(내각)는 둔각이다.
바닥 벽면(43a3)은, 제1 성형 롤러(43)의 회전 방향에서 측벽면(43a1)의 전방(제1 성형 롤러(43)의 회전 방향)에 위치한다. 측벽면(43a1)과 바닥 벽면(43a3)이 이루는 모서리의 각도(내각)는 예각이다. 즉, 측벽면(43a1)과 바닥 벽면(43a3)이 이루는 모서리의 각도는, 측벽면(43a1)과 상부 벽면(43a2)이 이루는 모서리의 각도보다 작다.
전방 벽면(43a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면(43a1)의 전단측(도 8의 지면 하측)에 위치한다. 후방 벽면(43a5)은, 측벽면(43a1)의 후단측(도 8의 지면 상측)에 위치한다. 측벽면(43a1)과 전방 벽면(43a4)이 이루는 모서리의 각도(내각)는 대략 직각이다. 측벽면(43a1)과 후방 벽면(43a5)이 이루는 모서리의 각도(내각)는, 측벽면(43a1)과 전방 벽면(43a4)이 이루는 모서리의 각도와 동일하다.
제1 성형 롤러(43)의 외주면 중에서 각 수납부(43a) 사이에 위치하는 외주면(43b)은, 볼록부(43b1)와 오목부(43b2)를 구비한다. 볼록부(43b1)와 오목부(43b2)는, 제1 성형 롤러(43)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을 따라 외주면(43b)에 반복하여 마련된다. 즉, 제1 성형 롤러(43)의 외주면(43b)은 측면에서 보아 요철을 갖는 파형(波形)이다. 볼록부(43b1)의 돌출 형상과 오목부(43b2)의 패인 형상은 서로 대칭이다.
다음에, 제1 성형 롤러(43)와 제2 성형 롤러(44)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성형 롤러(43)의 수납부(43a)와 제2 성형 롤러(44)의 수납부(44a)는,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회전에 따라 근접과 이간을 반복한다. 수납부(43a)와 수납부(44a)가 가장 근접하였을 때, 두 수납부(43a, 44a)에 둘러싸인 공간(이하, 「쌀밥 성형 공간」이라고 함)(S)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에서 보아 닫힌 공간이 된다.
제1 성형 롤러(43)의 외주면(43b)과 제2 성형 롤러(44)의 외주면(44b)은,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회전에 따라 접촉과 이간을 반복한다. 제1 성형 롤러(43)의 외주면(43b)과 제2 성형 롤러(44)의 외주면(44b)이 접촉하였을 때, 제1 성형 롤러(43)의 볼록부(43b1)는 제2 성형 롤러(44)의 오목부(44b2)에 끼워맞춤되고, 제1 성형 롤러(43)의 오목부(43b2)는 제2 성형 롤러(44)의 볼록부(44b1)에 끼워맞춤된다.
제1 성형 롤러(43)의 피치원(C1)은, 제2 성형 롤러(44)의 피치원(C2)에 외접한다.
제1 성형 롤러(43)의 피치원(C1)은, 제1 성형 롤러(43)의 지름 방향에서의 제1 성형 롤러(43)의 볼록부(43b1)의 꼭대기부와 오목부(43b2)의 바닥부의 중간부를 제1 성형 롤러(43)의 둘레방향에 따라 연결한 가상원(C1)이다. 제2 성형 롤러(44)의 피치원(C2)은, 제2 성형 롤러(44)의 지름 방향에서의 제2 성형 롤러(44)의 볼록부(44b1)의 꼭대기부와 오목부(44b2)의 바닥부의 중간부를 제2 성형 롤러(44)의 둘레방향에 따라 연결한 가상원(C2)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2개의 가상원(C1, C2) 각각의 반경을 피치원 반경이라고 한다. 즉, 제1 성형 롤러(43)의 피치원(C1)의 반경은 피치원 반경(r1)이며, 제2 성형 롤러(44)의 피치원(C2)의 반경은 피치원 반경(r2)이다. 제1 성형 롤러(43)의 피치원 반경(r1)은, 제2 성형 롤러(44)의 피치원 반경(r2)과 동일하다.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장착 전 상태에서,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의 전단측의 축간 거리(L2)는 피치원 반경(r1)과 피치원 반경(r2)의 합보다 짧다. 그 때문에, 제1 성형 롤러(43)와 제2 성형 롤러(44)는 외주면(43b, 44b)끼리 접촉하였을 때에,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으로부터 제1 성형 롤러(43)와 제2 성형 롤러(44)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응력(이하, 「축간의 응력」이라고 함)을 받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의 전단측의 축간 거리(L2)는 후단측의 축간 거리(L1)보다 짧다. 그 때문에, 제1 성형 롤러(43)와 제2 성형 롤러(44)가 받는 축간의 응력의 영향은, 제1 성형 롤러(43)와 제2 성형 롤러(44)의 후단으로부터 전단으로 향함에 따라 커진다.
또,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장착 전 상태에서,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은 축간 거리가 제1 성형 롤러의 피치원 반경과 제2 성형 롤러의 피치원 반경의 합보다 짧으면 평행해도 된다.
반송부(5)는, 성형부(4)에 의해 성형된 쌀밥 덩어리(RB)를 반송한다. 반송부(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부(4)의 하방에 배치된다. 반송부(5)는, 평면에서 보아 원형의 턴테이블(51)을 구비한다.
턴테이블(51)은, 성형부(4)에 의해 성형된 쌀밥 덩어리(RB)를 턴테이블(51) 상에 놓은 채로, 그 쌀밥 덩어리(RB)를 쌀밥 성형 장치(100)를 조작하는 작업자 등에 의해 취출되는 위치로 반송한다. 턴테이블(51)은, 구동부(8)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간헐적으로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각도씩 회전한다. 턴테이블(51)의 회전각은, 예를 들어 90도로 설정된다. 턴테이블(51)의 회전(회전 방향, 회전각, 회전 속도, 회전의 개시나 정지 등)은 제어부(7)에 의해 제어된다. 턴테이블(51)의 회전각 등의 설정된 정보는, 쌀밥 성형 장치(100) 내의 기억부(도시생략)에 기억된다. 이러한 정보는 제어부(7)에 의해 독출 가능하다.
도 9는, 턴테이블(51)을 상방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9는, 검지부(6)와 제어부(7)와 구동부(8)를 블록도로 나타낸다. 도면 중, 일점쇄선은 후술하는 검지부(6)로부터의 적외선 광로를 나타내고, 이점쇄선은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위치를 나타낸다(이하, 도 17-도 21도 동일).
턴테이블(51)은, 정방향(도 9의 지면 시계 방향)과 반대방향(도 9의 지면 반시계 방향)의 2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턴테이블(51)은, 예를 들어 4개의 안착부(P1-P4)를 구비한다. 각 안착부(P1-P4)는, 성형부(4)에 의해 성형된 쌀밥 덩어리(RB)가 놓이는 턴테이블(51) 상의 부분(위치)이다. 각 안착부(P1-P4)는, 턴테이블(51)의 상면에 턴테이블(51)의 둘레방향에 따라 균등하게(9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안착부의 수는 「4」로 한정되지 않는다. 안착부의 수는 턴테이블의 회전각에 의해 결정된다. 즉, 예를 들어 턴테이블의 회전각이 45도인 경우, 안착부의 수는 「8」이다.
각 안착부(P1-P4)는, 턴테이블(51)의 간헐적인 2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정지 위치에서 정지한다. 정지 위치는, 하나의 방출 위치(Pa)와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대기 위치(Pb)를 포함한다.
방출 위치(Pa)는, 성형부(4)가 성형한 쌀밥 덩어리(RB)가 방출되는 위치이다. 즉, 방출 위치(Pa)는 턴테이블(51)의 회전에 따라 쌀밥 덩어리(RB)가 각 안착부(P1-P4) 각각에 놓이는 위치이다. 방출 위치(Pa)는,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하방에 위치하는 정지 위치이다.
대기 위치(Pb)는, 방출 위치(Pa)에 쌀밥 덩어리(RB)가 방출된 후에, 각 안착부(P1-P4)가 다음 쌀밥 덩어리(RB)를 수취하기 위해 대기하는 정지 위치이다. 즉, 대기 위치(Pb)에 위치하는 각 안착부(P1-P4) 중 어느 하나는 다음 방출 위치(Pa)로 이동하여 쌀밥 덩어리(RB)를 수취할 가능성이 있다. 대기 위치(Pb)는, 제1 대기 위치(Pb1)와 제2 대기 위치(Pb2)를 포함한다.
각 안착부(P1-P4)는, 턴테이블(51)의 2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방출 위치(Pa)나 대기 위치(Pb)로 이동한다. 여기서, 안착부(P1-P4)가 방출 위치(Pa)로 이동한다는 것은, 안착부(P1-P4)가 방출 위치(Pa)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안착부(P1-P4)가 대기 위치(Pb)로 이동한다는 것은, 안착부(P1-P4)가 대기 위치(Pb)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1 대기 위치(Pb1)는, 턴테이블(51)의 회전 방향에서 방출 위치(Pa)로부터 반대방향 측으로 90도 떨어진 정지 위치이다. 제2 대기 위치(Pb2)는, 턴테이블(51)의 회전 방향에서 방출 위치(Pa)로부터 정방향 측으로 90도 떨어진 정지 위치이다. 즉, 제1 대기 위치(Pb1)와 제2 대기 위치(Pb2)는 턴테이블(51)의 회전 방향에서 방출 위치(Pa)로부터 정역(正逆) 방향으로 등거리 위치이다.
턴테이블(51)의 회전 방향으로는, 검지부(6)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우선적으로 회전하는 방향이 설정된다. 즉, 제1 대기 위치(Pb1)와 제2 대기 위치(Pb2) 중 어느 한쪽은, 다음 쌀밥 덩어리(RB)가 우선하여 놓이는 위치(이하, 「우선 대기 위치」라고 함)로서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대기 위치(Pb1)는 우선 대기 위치로 설정된다. 설정된 우선 대기 위치에 관한 정보는, 쌀밥 성형 장치(100) 내의 기억부에 기억된다. 이러한 정보는 제어부(7)에 의해 독출 가능하다. 쌀밥 성형 장치(100)는,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 대기 위치를 특정한다.
또, 우선 대기 위치는 제1 대기 위치(Pb1) 대신에 제2 대기 위치(Pb2)로 설정되어도 된다.
검지부(6)는, 턴테이블(51)의 복수의 안착부(P1-P4) 중에서 대기 위치(Pb)에 위치하는 안착부의 쌀밥 덩어리(RB)의 존재 여부를 검지한다. 검지부(6)는, 하우징(2)의 앞부분으로서 정면에서 보아 성형부(4)와 반송부(5)의 사이에 배치된다(도 3 참조). 검지부(6)는, 제1 센서(61)와 제2 센서(62)를 구비한다. 제1 센서(61)와 제2 센서(62)는, 본 발명에서의 특정 센서의 예이다.
제1 센서(61)와 제2 센서(62)는, 예를 들어 조사한 적외선(도 9의 일점쇄선)이 반사되었는지에 따라 쌀밥 덩어리(RB)의 존재 여부를 검지하는, 이른바 회귀 반사형의 광전 센서이다.
제1 센서(61)는, 제1 대기 위치(Pb1)에 대응하여 하우징(2)의 앞부분 우측(도 3의 지면 좌측)에 배치된다. 제1 센서(61)는, 제1 대기 위치(Pb1)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제1 대기 위치(Pb1)에 위치하는 안착부의 쌀밥 덩어리(RB)의 존재 여부를 항상 검지한다.
제2 센서(62)는, 제2 대기 위치(Pb2)에 대응하여 하우징(2)의 앞부분 좌측(도 3의 지면 우측)에 배치된다. 제2 센서(62)는, 제2 대기 위치(Pb2)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제2 대기 위치(Pb2)에 위치하는 안착부의 쌀밥 덩어리(RB)의 존재 여부를 항상 검지한다.
제1 센서(61)의 검지 결과와 제2 센서(62)의 검지 결과는 검지 신호로서 제어부(7)에 보내진다. 제어부(7)는, 이들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2개의 대기 위치(Pb) 중 어느 하나의 대기 위치(Pb)에 위치하는 안착부가 방출 위치(Pa)로 이동하도록 턴테이블(51)을 회전시킨다.
또, 검지부(6)의 구성은 대기 위치(Pb)에 위치하는 안착부의 쌀밥 덩어리(RB)의 존재 여부를 검지할 수 있으면 본 실시형태의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를 들어, 검지부는 소정의 위치에서의 턴테이블의 중량 변화를 검지하는 중량 센서나, 턴테이블의 경사를 검지하는 경사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제어부(7)는, 성형부(4)나 반송부(5)의 회전 제어 등 쌀밥 성형 장치(100) 전체 동작의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7)는, 예를 들어 하우징(2)에 수납된다.
구동부(8)는, 제어부(7)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예를 들어 교반부(12)와 압축부(3)와 성형부(4)와 반송부(5)에 회전 구동력을 공급한다. 구동부(8)는,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에 수납된다. 구동부(8)는, 예를 들어 복수의 모터로 구성된다. 구동부(8)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은, 기어(도시생략) 등을 통해 각 부재에 공급된다.
패널(9)은, 호퍼(1)의 교반부(12)와 공급부(13)와 압축부(3)와 성형부(4)를 쌀밥 성형 장치(100)의 주위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패널(9)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의 전면에 장착된다.
조작부(10)는, 쌀밥(R)의 중량이나 쌀밥 덩어리(RB)의 성형수 등의 설정을 행한다. 조작부(10)는 표시부나 전원 스위치, 긴급정지 버튼, 모드 선택 버튼 등을 구비한다.
● 턴테이블(51)의 회전의 제어 방법
다음에, 제어부(7)에 의한 턴테이블(51)의 회전의 제어 방법에 대해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은, 제어부(7)에 의한 턴테이블(51)의 회전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검출부(6)는 제1 대기 위치(Pb1)에 위치하는 안착부(P2)와, 제2 대기 위치(Pb2)에 위치하는 안착부(P4)의 쌀밥 덩어리(RB)의 존재 여부를 검지한다(S1). 검출부(6)의 검지 결과는 제어부(7)로 보내진다.
다음으로, 제어부(7)는 제1 센서(61)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센서(61)가 우선 대기 위치로서 설정된 제1 대기 위치(Pb1)에 위치하는 안착부(P2)의 쌀밥 덩어리(RB)를 검지하였는지를 확인한다(S2).
제1 센서(61)가 쌀밥 덩어리(RB)를 검지하지 못하였을 때(S2의 「아니오」), 제어부(7)는 구동부(8)를 통해(이하 동일) 턴테이블(51)을 정방향(도 9의 지면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다(S3). 즉, 제1 센서(61)가 쌀밥 덩어리(RB)를 검지하지 못하였을 때, 제어부(7)는 제1 센서(61)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우선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안착부(P2)가 방출 위치(Pa)로 이동하도록 턴테이블(51)을 회전시킨다. 그 후, 성형부(4)에 의해 성형된 쌀밥 덩어리(RB)는 방출 위치(Pa)에 위치하는 안착부(P2)에 놓인다. 제어부(7)에 의한 처리는 처리 S1로 되돌아간다.
제1 센서(61)가 쌀밥 덩어리(RB)를 검지하였을 때(S2의 「네」), 제어부(7)는 제2 센서(62)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2 센서(62)가 제2 대기 위치(Pb2)에 위치하는 안착부(P4)의 쌀밥 덩어리(RB)를 검지하였는지를 확인한다(S4).
제2 센서(62)가 쌀밥 덩어리(RB)를 검지하지 못하였을 때(S4의 「아니오」), 제어부(7)는 턴테이블(51)을 반대방향(도 9의 지면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다(S5). 즉, 제1 센서(61)가 쌀밥 덩어리(RB)를 검지하고 제2 센서(62)가 쌀밥 덩어리(RB)를 검지하지 못하였을 때, 제어부(7)는 제2 센서(62)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2 대기 위치(Pb2)에 위치하는 안착부(P4)가 방출 위치(Pa)로 이동하도록 턴테이블(51)을 회전시킨다. 그 후, 성형부(4)에 의해 성형된 쌀밥 덩어리(RB)는 방출 위치(Pa)에 위치하는 안착부(P4)에 놓인다. 제어부(7)에 의한 처리는 처리 S1로 되돌아간다.
제2 센서(62)가 쌀밥 덩어리(RB)를 검지하였을 때(S4의 「네」), 제어부(7)는 턴테이블(51)의 회전을 정지한다(S6). 이 때, 제어부(7)는 성형부(4)로부터 쌀밥 덩어리(RB)의 방출을 정지한다. 제어부(7)에 의한 처리는 처리 S1로 되돌아간다.
그 후, 제1 대기 위치(Pb1)와 제2 대기 위치(Pb2)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는 안착부(P2, P4)의 쌀밥 덩어리(RB)가 작업자 등에 의해 취출되었을 때, 제어부(7)는 전술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51)을 정방향과 반대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S1-S5). 즉, 제어부(7)는 검지부(6)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턴테이블(51)의 회전 개시의 타이밍을 결정한다.
또한, 제1 센서(61)와 제2 센서(62) 모두가 쌀밥 덩어리(RB)를 검지하지 못하였을(제1 대기 위치(Pb1)와 제2 대기 위치(Pb2) 각각에 위치하는 안착부(P2, P4)에 쌀밥 덩어리(RB)가 존재하지 않을) 때, 제어부(7)는 우선 대기 위치로서 설정된 제1 대기 위치(Pb1)에 위치하는 안착부(P2)가 방출 위치(Pa)로 이동하도록 턴테이블(51)을 이동(정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제어부(7)는 검지부(6)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턴테이블(51)의 회전 방향을 제어(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51)은 2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즉, 턴테이블(51)의 회전 방향은 작업장에서의 쌀밥 형성 장치(100)의 배치, 작업자의 솜씨, 작업자가 서는 위치 등의 작업 환경에 맞추어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다.
● 쌀밥 성형 장치의 동작
다음에, 쌀밥 성형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초밥용 밥 등의 쌀밥(R)이 작업자에 의해 호퍼(1)의 수납부(11)에 투입된다. 수납부(11)에 쌀밥(R)이 투입된 상태에서 쌀밥 성형 장치(100)의 전원 스위치가 작업자에 의해 넣어지면, 쌀밥(R)은 교반부(12)에 의해 교반되어 풀어진다.
다음으로, 제어부(7)는 구동부(8)를 제어하여 압축부(3)를 구동시킨다(상단 압축 롤러 쌍(32)과 하단 압축 롤러 쌍(33)을 회전시킨다). 상단 압축 롤러 쌍(32)과 하단 압축 롤러 쌍(33)이 회전함으로써, 호퍼(1)의 공급부(13)로부터 공급된 쌀밥(R)은 밀도가 균일화된 상태로 성형부(4)로 보내진다.
쌀밥(R)이 성형부(4)에 도달하면, 제어부(7)는 압축부(3)의 구동을 멈춘다. 이 때, 쌀밥 성형 장치(100)는 스탠바이 상태이다. 쌀밥 성형 장치(100)가 스탠바이 상태일 때,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는 제1 성형 롤러(43)의 외주면(43b)과 제2 성형 롤러(44)의 외주면(44b)이 접촉한 상태(이하, 「제1 상태」라고 함)이다.
다음으로, 제어부(7)는 구동부(8)를 제어하여 상단 압축 롤러 쌍(32)과 하단 압축 롤러 쌍(33)과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를 회전시킨다. 상단 압축 롤러 쌍(32)과 하단 압축 롤러 쌍(33)과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회전함으로써, 성형부(4)는 쌀밥(R)의 수납, 쌀밥 덩어리(RB)의 성형, 쌀밥 덩어리(RB)의 방출을 반복한다.
도 11의 (a)는, 제1 상태에서의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의 (b)는, 제1 상태에서의 성형부(4)에 수납된 쌀밥(R)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제1 상태일 때, 접촉하고 있는 외주면(43b, 44b)에 대해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회전 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는 수납부(43a, 44a)는 정면에서 보아 V자 형상으로 마주본다.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제1 상태일 때, 수납부(43a)와 수납부(44a)는 제1 회전축(41)의 축심과 제2 회전축(42)의 축심의 사이에 위치하지 않는다. 즉,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제1 상태일 때, 제1 회전축(41)의 축심과 제2 회전축(42)의 축심의 사이에는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 제1 회전축(41)의 축심과 제2 회전축(42)의 축심의 사이는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에 의해 조밀한 상태이다.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제1 상태일 때, 압축부(3)로부터 공급된 쌀밥(R)은 정면에서 보아 V자 형상으로 마주보는 수납부(43a, 44a) 내에 수납된다.
다음으로,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제1 상태로부터 더욱 회전하면, 제1 성형 롤러(43)와 제2 성형 롤러(44)는, 수납부(43a, 44a)가 제1 회전축(41)의 축심과 제2 회전축(42)의 축심의 사이에 진출한 상태(이하, 「제2 상태」라고 함)가 된다.
도 12의 (a)는, 제2 상태에서의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2의 (b)는, 제2 상태에서의 성형부(4)에 수납된 쌀밥(R)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제2 상태일 때, 수납부(43a, 44a)의 적어도 일부는 제1 회전축(41)의 축심과 제2 회전축(42)의 축심의 사이에 위치한다. 즉,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제2 상태일 때, 제1 회전축(41)의 축심과 제2 회전축(42)의 축심의 사이에는 수납부(43a, 44a)에 의한 공간(공간 내에는 쌀밥(R)이 저장됨)이 존재한다.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제2 상태일 때, 수납부(43a, 44a)에 수납된 쌀밥(R)은 쌀밥 덩어리(RB)로 성형되기 시작한다.
다음으로,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제2 상태로부터 더욱 회전하면, 제1 성형 롤러(43)와 제2 성형 롤러(44)는 수납부(43a)와 수납부(44a)가 서로 대략 평행하게 마주본 상태(이하, 「제3 상태」라고 함)가 된다.
도 13의 (a)는, 제3 상태에서의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3의 (b)는, 제3 상태에서의 성형부(4)에 수납된 쌀밥(R)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제3 상태일 때, 수납부(43a)는 수납부(44a)와 대향한다. 수납부(43a)와 수납부(44a)가 대향할 때, 수납부(43a)는 수납부(44a)에 가장 근접한다. 수납부(43a)와 수납부(44a)가 대향할 때, 상부 벽면(43a2, 44a2)끼리의 거리는 바닥 벽면(43a3, 44a3)끼리의 거리와 대략 동일하다.
수납부(43a)와 수납부(44a)가 대향할 때, 수납부(43a)의 상부 벽면(43a2)과 수납부(44a)의 상부 벽면(44a2)을 연결하는 선은, 정면에서 보아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회전 방향의 후방(도 13의 지면 상방)으로 볼록한 돔 형상이다. 한편, 수납부(43a)의 바닥 벽면(43a3)과 수납부(44a)의 바닥 벽면(44a3)을 연결하는 선은, 정면에서 보아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회전 방향의 후방으로 볼록한 산 형상이다.
수납부(43a)와 수납부(44a)가 대향할 때, 수납부(43a, 44a)에 의해 형성되는 쌀밥 성형 공간(S)은 정면에서 보아 상부가 상방으로 볼록한 돔 형상, 바닥부가 상방으로 볼록한 산 형상이다.
수납부(43a)와 수납부(44a)가 대향할 때, 쌀밥 성형 공간(S) 내의 쌀밥(R)은 수납부(43a, 44a)에 의해 쌀밥 덩어리(RB)로 성형된다. 이 때, 쌀밥 덩어리(RB)의 바닥면은 오목부(RBa)를 구비한다. 오목부(RBa)는, 쌀밥 덩어리(RB)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에 따라 쌀밥 덩어리(RB)의 중앙으로 향하여 움푹 패여 있다. 오목부(RBa)는, 정면에서 보아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회전 방향의 후방으로 볼록한 산 형상이다.
다음으로,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제3 상태로부터 더욱 회전하면,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는 정면에서 보아 쌀밥 성형 공간(S)의 바닥부가 제3 상태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넓어진 상태(이하, 「제4 상태」라고 함)가 된다.
도 14의 (a)는, 제4 상태에서의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4의 (b)는, 제4 상태에서의 성형부(4)에 의해 성형된 쌀밥 덩어리(RB)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제4 상태일 때,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회전 방향에서 쌀밥 성형 공간(S)의 후방측의 외주면(43b, 44b)끼리는 축간의 응력에 의해 밀착된다. 즉, 외주면(43b)의 볼록부(43b1)는 외주면(44b)의 오목부(44b2)에 밀착되고, 외주면(43b)의 오목부(43b2)는 외주면(44b)의 볼록부(44b1)에 밀착된다. 그 때문에, 쌀밥(R)은 외주면(43b)과 외주면(44b)의 사이에는 잔존하지 않는다. 그 결과, 쌀밥 덩어리(RB)의 상면에는 성형 불량(버(burr))이 형성되지 않는다. 즉, 쌀밥 덩어리(RB)는 버가 없는 양호한 성형 상태로 쌀밥(R)으로부터 분할된다.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제3 상태로부터 제4 상태로 회전하였을 때, 수납부(43a)의 바닥 벽면(43a3)과 수납부(44a)의 바닥 벽면(44a3)은 정면에서 보아 좌우 방향으로 떨어진다.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제4 상태일 때, 바닥 벽면(43a3, 44a3)끼리를 연결하는 선은 정면에서 보아 대략 직선이다.
바닥 벽면(43a3, 44a3)끼리가 좌우 방향으로 떨어지면, 쌀밥 덩어리(RB)의 바닥면은 바닥 벽면(43a3, 44a3)의 이동에 맞추어 좌우 방향으로 넓어진다. 그 결과, 쌀밥 덩어리(RB)의 바닥면측 밀도는 쌀밥 덩어리(RB)의 상면측 밀도에 비해 작아진다. 즉, 쌀밥 덩어리(RB)의 바닥면 측은 쌀밥 덩어리(RB)의 상면 측보다 다수의 공기를 포함한 상태가 된다.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제4 상태일 때, 쌀밥 덩어리(RB)는 상부 벽면(43a2, 44a2)으로부터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회전 방향의 전방으로 향하여 눌린다. 그 때문에, 쌀밥 덩어리(RB)의 바닥면의 오목부(RBa)는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제3 상태일 때에 비해 작아진다.
다음으로,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제4 상태로부터 더욱 회전하면, 쌀밥 덩어리(RB)는 쌀밥 성형 공간(S)으로부터 하방의 방출 위치(Pa)에 위치하는 안착부에 방출된다(낙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쌀밥 덩어리(RB)에는 버가 형성되지 않는다. 버가 없는 쌀밥 덩어리(RB)는, 버가 있는 쌀밥 덩어리에 비해 수납부(43a, 44a)로부터 떨어지기 쉽다. 즉, 버가 없는 쌀밥 덩어리(RB)는, 버가 있는 쌀밥 덩어리에 비해, 수납부(43a, 44a)로부터 빨리 떨어진다. 또한, 쌀밥 성형 공간(S)으로부터 방출되는 쌀밥 덩어리(RB)의 전도(顚倒)나 경사는 없다. 그 때문에, 쌀밥 덩어리(RB)의 턴테이블(51) 상에의 낙하 위치와 낙하 자세는 안정적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턴테이블(51)의 회전각을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턴테이블(51)의 회전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단축된다.
도 15는, 방출(성형) 직후의 쌀밥 덩어리(RB)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성형 직후의 쌀밥 덩어리(RB)의 상태는,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제4 상태일 때의 쌀밥 덩어리(RB)의 상태와 대략 동일하다. 즉, 쌀밥 덩어리(RB)의 바닥면 측은 쌀밥 덩어리(RB)의 상면 측보다 다수의 공기가 포함된 상태이다.
도 16은, 성형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의 쌀밥 덩어리(RB)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성형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의 쌀밥 덩어리(RB)는, 상면측 쌀밥(R)이 자중에 의해 바닥면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성형 직후의 쌀밥 덩어리(RB)에 비해 쌀밥 덩어리(RB)의 상면측에도 공기가 포함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쌀밥 성형 장치(100)에 의해 성형된 쌀밥 덩어리(RB)의 식감은 종래의 쌀밥 성형 장치에 의해 성형된 쌀밥 덩어리의 식감에 비해 공기를 많이 포함하여 부드러워진다. 쌀밥 덩어리(RB)의 바닥면은, 턴테이블(51)의 표면을 따라 평탄해진다.
이와 같이, 쌀밥 덩어리(RB)는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회전에 따라 성형된다. 이 때, 제1 성형 롤러(43)와 제2 성형 롤러(44)는 쌀밥 덩어리(RB)의 성형시에 쌀밥(R)으로부터 탄력 등에 의한 힘(이하, 「반발력」이라고 함)을 받는다.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에 작용하는 반발력의 방향은,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가 떨어지는 방향(도 13의 지면 좌우 방향)이다.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은 일단 지지이기 때문에, 반발력의 영향은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의 자유단(전단)으로 향함에 따라 커진다. 한편, 축간의 응력의 영향도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의 자유단(전단)으로 향함에 따라 커진다. 여기서, 축간의 응력은 제1 회전축(41)의 전단과 제2 회전축(42)의 전단의 간격 조정에 의해 반발력보다 크게 설정된다. 그 때문에, 반발력에 의한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이간은 발생하지 않는다. 즉, 쌀밥 성형 장치(100)가 성형하는 쌀밥 덩어리(RB)에는 버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쌀밥 덩어리(RB)는 수납부(43a, 44a)로부터 떨어지기 쉬워진다. 그 결과, 쌀밥 성형 장치(100)는 성형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고속으로 쌀밥 덩어리(RB)를 성형한다.
또, 축간의 응력 크기는 반발력 크기와 동일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성형 롤러(43)와 제2 성형 롤러(44)는 한 쌍의 성형 롤러(43, 44)의 축방향(전후 방향)에서 균등한 힘으로 접촉한다.
● 반송부(5)의 동작
다음에, 반송부(5)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최초의 쌀밥 덩어리(RB1)가 턴테이블(51)로 방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면 중, 점선의 원호 화살표는 각 안착부(P1-P4)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이하, 도 18-도 21도 동일).
우선, 최초의 쌀밥 덩어리(RB1)가 방출 위치(Pa)에 위치하는 안착부(P1)로 방출된다(놓인다). 이 때, 제1 센서(61)는, 우선 대기 위치로서 설정된 제1 대기 위치(Pb1)에 위치하는 안착부(P2)의 쌀밥 덩어리(RB)를 검지하지 못한다. 마찬가지로 제2 센서(62)는, 제2 대기 위치(Pb2)에 위치하는 안착부(P4)의 쌀밥 덩어리(RB)를 검지하지 못한다.
우선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안착부(P2)에 쌀밥 덩어리(RB)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어부(7)는 턴테이블(51)을 정방향(도 17의 지면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다. 그 결과, 안착부(P2)는 방출 위치(Pa)로 이동한다. 턴테이블(51)의 회전 후, 제1 성형 롤러(43)와 제2 성형 롤러(44)는 안착부(P2)에 2번째 쌀밥 덩어리(RB2)를 방출한다.
도 18은, 2번째 쌀밥 덩어리(RB2)가 턴테이블(51)로 방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최초의 쌀밥 덩어리(RB1)를 놓은 턴테이블(51)이 정방향으로 90도 회전하였을 때, 제1 센서(61)는 제1 대기 위치(Pb1)에 위치하는 안착부(P3)의 쌀밥 덩어리(RB)를 검지하지 못한다. 한편, 제2 센서(62)는 제2 대기 위치(Pb2)에 위치하는 안착부(P1)의 쌀밥 덩어리(RB1)를 검지한다.
우선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안착부(P3)에 쌀밥 덩어리(RB)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어부(7)는 턴테이블(51)을 정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다. 그 결과, 안착부(P3)는 방출 위치(Pa)로 이동한다. 턴테이블(51)의 회전 후, 제1 성형 롤러(43)와 제2 성형 롤러(44)는 안착부(P3)에 3번째 쌀밥 덩어리(RB3)를 방출한다.
도 19는, 3번째 쌀밥 덩어리(RB3)가 턴테이블(51)로 방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2번째 쌀밥 덩어리(RB2)를 놓은 턴테이블(51)이 정방향으로 90도 회전하였을 때, 제1 센서(61)는 제1 대기 위치(Pb1)에 위치하는 안착부(P4)의 쌀밥 덩어리(RB)를 검지하지 못한다. 한편, 제2 센서(62)는 제2 대기 위치(Pb2)에 위치하는 안착부(P2)의 쌀밥 덩어리(RB2)를 검지한다.
우선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안착부(P4)에 쌀밥 덩어리(RB)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어부(7)는 턴테이블(51)을 정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다. 그 결과, 안착부(P4)는 방출 위치(Pa)로 이동한다. 턴테이블(51)의 회전 후, 제1 성형 롤러(43)와 제2 성형 롤러(44)는 안착부(P4)에 4번째 쌀밥 덩어리(RB4)를 방출한다.
도 20은, 4번째 쌀밥 덩어리(RB4)가 턴테이블(51)로 방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3번째 쌀밥 덩어리(RB3)를 놓은 턴테이블(51)이 정방향으로 90도 회전하였을 때, 제1 센서(61)는 제1 대기 위치(Pb1)에 위치하는 안착부(P1)의 쌀밥 덩어리(RB1)를 검지한다. 한편, 제2 센서(62)는 제2 대기 위치(Pb2)에 위치하는 안착부(P2)의 쌀밥 덩어리(RB3)를 검지한다.
제1 센서(61)와 제2 센서(62) 모두가 쌀밥 덩어리(RB)를 검지하였기 때문에, 제어부(7)는 턴테이블(51)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제어부(7)는, 제1 대기 위치(Pb1)에 위치하는 안착부(P1)의 쌀밥 덩어리(RB1)과, 제2 대기 위치(Pb2)에 위치하는 안착부(P3)의 쌀밥 덩어리(RB3) 중 어느 한쪽이 작업자 등에 의해 취출되지 않는 한, 턴테이블(51)의 회전을 개시하지 않는다.
도 21은, 도 20의 상태에서, 제2 대기 위치(Pb2)에 위치하는 안착부(P3)의 쌀밥 덩어리(RB3)가 취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0의 상태에서 제2 대기 위치(Pb2)에 위치하는 안착부(P3)의 쌀밥 덩어리(RB3)가 작업자 등에 의해 취출되었을 때, 제어부(7)는 턴테이블(51)을 반대방향(도 21의 지면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다. 그 결과, 안착부(P3)는 방출 위치(Pa)로 이동한다. 턴테이블(51)의 회전 후, 제1 성형 롤러(43)와 제2 성형 롤러(44)는 안착부(P3)에 5번째 쌀밥 덩어리(도시생략)를 방출한다.
여기서, 도 20의 상태에서 제1 대기 위치(Pb1)에 위치하는 안착부(P1)의 쌀밥 덩어리(RB1)가 작업자 등에 의해 취출되었을 때, 제어부(7)는 턴테이블(51)을 정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다. 그 결과, 안착부(P1)는 방출 위치(Pa)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턴테이블(51)은 작업자 등에 의해 취출되는 쌀밥 덩어리(RB)의 위치에 대응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턴테이블(51)의 회전 방향은 제어부(7)에 의해 작업 환경에 적합한 방향으로 제어(절환)된다. 즉, 쌀밥 성형 장치(100)는, 턴테이블(51)의 회전 방향을 작업 환경(작업장에서의 쌀밥 형성 장치(100)의 배치, 작업자의 솜씨, 작업자가 서는 위치 등)에 따라 변경할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킨다.
● 정리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어부(7)는 제1 센서(61)가 쌀밥 덩어리(RB)를 검지하지 못하였을 때, 턴테이블(51)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제어부(7)는 제2 센서(62)가 쌀밥 덩어리(RB)를 검지하지 못하였을 때, 턴테이블(51)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제어부(7)는 검지부(6)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2방향 중 어느 하나로 턴테이블(51)을 회전시킨다.
또한, 복수의 대기 위치(Pb) 중에서 제1 대기 위치(Pb1)는 우선 대기 위치로서 설정된다. 제어부(7)는, 검지부(6)가 우선 대기 위치(제1 대기 위치(Pb1))에 위치하는 안착부의 쌀밥 덩어리(RB)를 검지하지 못하였을 때, 우선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안착부가 방출 위치(Pa)로 이동하도록 턴테이블(51)을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쌀밥 성형 장치는 턴테이블(51)의 회전 방향이 고정되지 않으므로, 턴테이블의 회전 방향이 고정된 종래의 쌀밥 성형 장치와 비교하여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 제1 대기 위치(Pb1)와 제2 대기 위치(Pb2)의 위치는 본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를 들어 제2 대기 위치는, 턴테이블(51)의 회전 방향에서 방출 위치(Pa)로부터 180도 떨어진 정지 위치이어도 된다. 이 때, 제2 센서는 제2 대기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이 경우, 제어부는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턴테이블의 회전각을 90도와 180도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한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정지 위치는 2개의 대기 위치(Pb)를 포함하였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대기 위치의 수는 「3」이어도 된다. 이 때, 검지부는 3개의 대기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안착부에 대응하는 3개의 센서를 구비한다. 3개의 센서 각각은, 각 센서에 대응하는 대기 위치 각각에 위치하는 안착부의 쌀밥 덩어리(RB)의 존재 여부를 검지한다. 이 경우, 제어부는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턴테이블의 회전각을 90도와 180도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한다. 즉, 제어부는 어느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안착부로부터 쌀밥 덩어리(RB)가 취출되어도 그 안착부가 방출 위치로 이동하도록 턴테이블을 회전시킨다.
또한, 우선 대기 위치는, 3개 이상의 대기 위치에 대해 우선순위를 붙여 설정되어도 된다. 즉, 예를 들어 3개의 대기 위치 각각에 우선 대기 위치가 설정되었을 때, 제어부는 우선순위가 높은 순으로 턴테이블을 회전시킨다.
또한, 제어부는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턴테이블의 회전 후에, 방출 위치(Pa)에 위치하는 안착부에 쌀밥 덩어리(RB)를 방출할지를 판정해도 된다. 즉, 예를 들어 턴테이블의 회전 후에 제1 대기 위치(Pb1)와 제2 대기 위치(Pb2)에 쌀밥 덩어리(RB)가 존재할 때, 수납부 내의 쌀밥 덩어리(RB)는, 제1 대기 위치(Pb1)와 제2 대기 위치(Pb2)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안착부의 쌀밥 덩어리(RB)를 취출될 때까지 방출 위치(Pa)에 위치하는 안착부에 방출되지(놓이지) 않는다.
100 쌀밥 성형 장치
1 호퍼
2 하우징
3 압축부
4 성형부
41 제1 회전축
42 제2 회전축
43 제1 성형 롤러
43a 수납부
43a1 측벽면
43a2 상부 벽면
43a3 바닥 벽면
44 제2 성형 롤러
44a 수납부
44a1 측벽면
44a2 상부 벽면
44a3 바닥 벽면
5 반송부
51 턴테이블
6 검지부
61 제1 센서
62 제2 센서
7 제어부
8 구동부
9 패널
10 조작부
RB 쌀밥 성형물
Pa 방출 위치
Pb1 제1 대기 위치
Pb2 제2 대기 위치
r1 제1 성형 롤러의 피치원 반경
r2 제2 성형 롤러의 피치원 반경
L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의 축간 거리

Claims (10)

  1. 쌀밥 성형물을 성형하는 성형부와,
    상기 성형부에 의해 성형된 상기 쌀밥 성형물을 반송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턴테이블에 놓인 상기 쌀밥 성형물의 존재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부를 가지고 이루어지며,
    상기 턴테이블은, 상기 성형부에 의해 성형된 상기 쌀밥 성형물이 놓이는 안착부를 복수 구비하고,
    상기 턴테이블은 2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검지부는, 상기 복수의 안착부 중에서 소정의 대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안착부의 상기 쌀밥 성형물의 존재 여부를 검지하며,
    상기 대기 위치의 수는 복수이며,
    상기 복수의 대기 위치 중에서 하나의 대기 위치가 우선 대기 위치로서 설정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지부가 상기 우선 대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안착부의 상기 쌀밥 성형물을 검지하지 못하였을 때, 상기 성형부에 의해 성형된 상기 쌀밥 성형물이 방출되는 방출 위치로, 상기 복수의 안착부 중에서 상기 우선 대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안착부가 이동하도록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밥 성형 장치.
  2. 쌀밥 성형물을 성형하는 성형부와,
    상기 성형부에 의해 성형된 상기 쌀밥 성형물을 반송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턴테이블에 놓인 상기 쌀밥 성형물의 존재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부를 가지고 이루어지며,
    상기 턴테이블은, 상기 성형부에 의해 성형된 상기 쌀밥 성형물이 놓이는 안착부를 복수 구비하고,
    상기 턴테이블은 2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검지부는, 상기 복수의 안착부 중에서 소정의 대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안착부의 상기 쌀밥 성형물의 존재 여부를 검지하며,
    상기 대기 위치의 수는 복수이며,
    상기 복수의 대기 위치 중에서 하나의 대기 위치가 우선 대기 위치로서 설정되며,
    상기 검지부는, 상기 복수의 안착부 중에서 상기 우선 대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안착부의 상기 쌀밥 성형물의 존재 여부를 검지하는 특정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센서가 상기 쌀밥 성형물을 검지하지 못하였을 때, 상기 성형부에 의해 성형된 상기 쌀밥 성형물이 방출되는 방출 위치로, 상기 복수의 안착부 중에서 상기 우선 대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안착부가 이동하도록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밥 성형 장치.
  3. 쌀밥 성형물을 성형하는 성형부와,
    상기 성형부에 의해 성형된 상기 쌀밥 성형물을 반송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턴테이블에 놓인 상기 쌀밥 성형물의 존재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부를 가지고 이루어지며,
    상기 턴테이블은, 상기 성형부에 의해 성형된 상기 쌀밥 성형물이 놓이는 안착부를 복수 구비하고,
    상기 턴테이블은 2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검지부는, 상기 복수의 안착부 중에서 소정의 대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안착부의 상기 쌀밥 성형물의 존재 여부를 검지하며,
    상기 대기 위치의 수는 복수이며,
    상기 복수의 대기 위치는 제1 대기 위치와 제2 대기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검지부는 제1 센서와 제2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제1 대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안착부의 상기 쌀밥 성형물의 존재 여부를 검지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제2 대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안착부의 상기 쌀밥 성형물의 존재 여부를 검지하며,
    상기 제1 센서가 상기 쌀밥 성형물을 검지하지 못하였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대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안착부가, 상기 성형부에 의해 성형된 상기 쌀밥 성형물이 방출되는 방출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쌀밥 성형물을 검지하지 못하였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대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안착부가 상기 방출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밥 성형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복수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 각각은, 상기 복수의 대기 위치 중 어느 하나의 대기 위치에 대응하며, 상기 대응하는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안착부에 상기 쌀밥 성형물이 놓여 있는지를 검지하는 쌀밥 성형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대기 위치가 우선 대기 위치로서 설정되고,
    상기 제1 센서가 상기 쌀밥 성형물을 검지하지 못하였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선 대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안착부가 상기 방출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쌀밥 성형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쌀밥 성형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 개시의 타이밍을 결정하는 쌀밥 성형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각을 결정하는 쌀밥 성형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70067865A 2016-08-02 2017-05-31 쌀밥 성형 장치 KR102476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52311 2016-08-02
JP2016152311A JP6784387B2 (ja) 2016-08-02 2016-08-02 米飯成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071A KR20180015071A (ko) 2018-02-12
KR102476382B1 true KR102476382B1 (ko) 2022-12-09

Family

ID=61133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865A KR102476382B1 (ko) 2016-08-02 2017-05-31 쌀밥 성형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784387B2 (ko)
KR (1) KR102476382B1 (ko)
CN (1) CN1076687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05165B2 (ja) * 2019-06-28 2023-07-10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米飯成形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1601A (ja) 2006-09-08 2008-03-21 Suzumo Machinery Co Ltd いなり寿司製造方法と製造装置
JP2011036201A (ja) * 2009-08-13 2011-02-24 Audio Technica Corp 米飯成形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2075345A (ja) * 2010-09-30 2012-04-19 Suzumo Machinery Co Ltd 寿司玉成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5942B2 (ja) * 1996-05-31 2000-07-17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食品材料の搬送構造
DE19740834C2 (de) * 1997-09-17 2002-08-01 Friedrich Backhus Mietenumsetzer, insbesondere sogenannter Trapez-Mietenumsetzer
JP3193685B2 (ja) * 1998-03-02 2001-07-30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食品成形機
JP2000060445A (ja) * 1998-08-18 2000-02-29 Ishino Seisakusho:Kk 食品材料供給装置
JP2000245371A (ja) * 1999-03-05 2000-09-12 Ishino Seisakusho:Kk 握り寿司成形型
JP3796483B2 (ja) 2002-03-11 2006-07-12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米飯成型装置
JP4251366B2 (ja) * 2005-01-06 2009-04-08 株式会社石野製作所 握り寿司製造装置
JP4109260B2 (ja) 2005-01-18 2008-07-02 株式会社トップ 米飯成形装置
KR100864184B1 (ko) * 2007-02-15 2008-10-17 박수관 초밥 제조장치
KR20160045963A (ko) * 2014-10-17 2016-04-28 주식회사대한기계 식품 성형장치
CN204568668U (zh) * 2015-04-22 2015-08-19 江西宜丰国泰化工有限责任公司 一种改性铵油***药圈检测输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1601A (ja) 2006-09-08 2008-03-21 Suzumo Machinery Co Ltd いなり寿司製造方法と製造装置
JP2011036201A (ja) * 2009-08-13 2011-02-24 Audio Technica Corp 米飯成形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2075345A (ja) * 2010-09-30 2012-04-19 Suzumo Machinery Co Ltd 寿司玉成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071A (ko) 2018-02-12
JP6784387B2 (ja) 2020-11-11
CN107668759B (zh) 2021-05-25
JP2018019627A (ja) 2018-02-08
CN107668759A (zh) 2018-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1239B2 (en) Carbide blade grinding forming processing production line
JP5171570B2 (ja) 米飯成形装置
KR101163405B1 (ko) 파이 분리 이송장치
KR102476382B1 (ko) 쌀밥 성형 장치
JP5232900B2 (ja) 移送要素を備えた秤量ステーション
KR102629538B1 (ko) 쌀밥 성형 장치
CN107455785B (zh) 米饭成型装置用辊以及米饭成型装置
JP2009280289A (ja) 皿供給装置
KR102434422B1 (ko) 쌀밥 성형 장치
KR102437688B1 (ko) 쌀밥 성형 장치용 롤러와 쌀밥 성형 장치
CN107455653B (zh) 米饭成型装置
KR102032701B1 (ko) 3d 프린터의 베드 회전장치 및 그 작동방법
JP5700830B2 (ja) 定量材料塊供給装置
JP2006078469A (ja) トレー自動盛付装置
JPH07251915A (ja) キャップ供給装置及びその供給方法
JP2011020771A (ja) 物品整列装置
JP5124078B2 (ja) 米飯成型装置
JP6861455B2 (ja) 米飯供給装置および巻寿司連続製造装置
KR102109546B1 (ko) 막대모양의 가공품 공급 및 정렬 자동화 시스템
JP2838350B2 (ja) 組合せ計量装置
JP5936003B2 (ja) Ptp包装機
JP2018072058A (ja) 組合せ秤への物品供給装置
KR20230174459A (ko) 자동정량 계량장치, 그 배출시스템 및 방법
JP6198148B2 (ja) 食品生地の丸め装置
WO2016009896A1 (ja) 組合せ計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