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948B1 - 수도꼭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수도꼭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948B1
KR102474948B1 KR1020200167531A KR20200167531A KR102474948B1 KR 102474948 B1 KR102474948 B1 KR 102474948B1 KR 1020200167531 A KR1020200167531 A KR 1020200167531A KR 20200167531 A KR20200167531 A KR 20200167531A KR 102474948 B1 KR102474948 B1 KR 102474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ap water
housing
impurities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8775A (ko
Inventor
배상대
김주희
문성진
조원우
하승우
Original Assignee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67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948B1/ko
Publication of KR20220078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01D35/043Reversible faucet fil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꼭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도관, 상기 수도관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도관으로 수돗물의 유입을 조절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수도꼭지부; 상기 수도꼭지부의 일측에 마련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형성되며, 상기 수도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돗물을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시키는 수돗물유입부; 상기 하우징부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로 유입된 수돗물의 불순물을 여과시키는 여과필터부; 상기 여과필터부를 통해 상기 여과된 수돗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형성된 수돗물배출부; 상기 수돗물배출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켜 상기 여과된 수돗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수돗물배출개폐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로 유입된 수돗물을 세척수로 사용하여 상기 여과필터부에 부착된 불순물을 세척하고, 상기 불순물이 포함된 세척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형성된 세척수배출부; 상기 세척수배출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켜 상기 불순물이 포함된 세척수의 배출을 조절하는 세척수배출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하우징부 내에서 여과필터부를 세척하여 미립자 불순물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여과필터부의 교체 시기를 연장시켜 유지 및 보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잔류 불순물 농도를 측정 및 확인할 수 있어 여과필터부의 교체 시기를 확인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수도꼭지 어셈블리{Faucet assembly}
본 발명은 수도꼭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부 내에서 여과필터부를 세척하여 미립자 불순물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여과필터부의 교체 시기를 연장시켜 유지 및 보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수도꼭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 또는 지하수와 같은 식수원에는 여러가지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는데, 불순물은 염소, 칼륨, 마그네슘과 같은 이온, 철, 납, 알루미늄, 망간, 크롬과 같은 금속이온, 수은, 납,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이온 등의 이온 불순물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이 뿐만 아니라 부유물질이나 고분자물질과 같은 미립자 불순물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불순물들이 포함된 수돗물 또는 지하수를 통상 센물 또는 경수(hard water)라 지칭한다. 근래들어 수돗물 또는 지하수에 불순물이 다수 함유되거나 또는 배관의 녹에 의해 적수가 공급되는 등 식수원의 오염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국가나 공공기관에서는 상수원의 원수를 보호하는 대책을 다각도로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그에 대한 비용이 막대하게 소요되기 때문에 단시일 내에 수질을 개선시키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수돗물이 배출되는 수도꼭지에 별도의 연수기를 설치하여 경수인 수돗물을 연수기를 거쳐 연수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연수(soft water)는 경수로부터 상기한 불순물들을 제거한 물을 의미하며, 이러한 연수를 사용할 경우 피부미용, 온천욕 효과, 각종 피부염 예방, 모발 보호 등에 있어서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수돗물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배출하는 수도꼭지는 종래기술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20-0278146호 동섬유를 이용한 염소제거 및 살균 수도꼭지 어셈블리'와 같이, 수돗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수도밸브체와, 상기 수도밸브체에 일단이 조립되는 플랙시블 파이프와, 상기 플랙시블 파이프의 타단에 조립되어 수돗물에 함유된 잡균이나 염소성분을 제거하게 동섬유 필터를 내장한 살균 정수식 수돗물 가변 분출기를 포함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동섬유 필터에 수돗물의 불순물이 쌓이게 되면 여과 성능이 점점 낮아지게 되어 지속적으로 필터를 교체하여 여과 성능을 유지해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수도꼭지를 사용할 경우 필터 교체에 따른 유지 및 보수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는 사용자가 수도꼭지를 계속 사용하기 부담스럽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20-027814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우징부 내에서 여과필터부를 세척하여 미립자 불순물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여과필터부의 교체 시기를 연장시켜 유지 및 보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수도꼭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도관, 상기 수도관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도관으로 수돗물의 유입을 조절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수도꼭지부; 상기 수도꼭지부의 일측에 마련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형성되며, 상기 수도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돗물을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시키는 수돗물유입부; 상기 하우징부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로 유입된 수돗물의 불순물을 여과시키는 여과필터부; 상기 여과필터부를 통해 상기 여과된 수돗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형성된 수돗물배출부; 상기 수돗물배출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켜 상기 여과된 수돗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수돗물배출개폐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로 유입된 수돗물을 세척수로 사용하여 상기 여과필터부에 부착된 불순물을 세척하고, 상기 불순물이 포함된 세척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형성된 세척수배출부; 상기 세척수배출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켜 상기 불순물이 포함된 세척수의 배출을 조절하는 세척수배출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어셈블리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여과필터부는, 기공구조를 가지는 지지층; 상기 지지층에 적층되며, 상기 지지층과 상이한 직경의 기공구조를 가지는 활성층; 상기 활성층에 적층되며, 상기 활성층보다 큰 직경의 기공구조를 가지는 카본층; 상기 카본층에 적층되며, 상기 카본층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섬모 형상의 돌기가 형성된 카본휘스커층;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의 중앙 영역에서부터 외주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층, 상기 활성층, 상기 카본층 및 상기 카본휘스커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돗물배출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돗물의 투과유량 및 불순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수돗물의 투과유량 및 불순물의 농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부 내에서 여과필터부를 세척하여 미립자 불순물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여과필터부의 교체 시기를 연장시켜 유지 및 보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잔류 불순물 농도를 측정 및 확인할 수 있어 여과필터부의 교체 시기를 확인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꼭지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세척수배출부가 폐쇄되고 수돗물배출부가 개방되어 수돗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수도꼭지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수돗물배출부가 폐쇄되어 세척수배출부가 개방되어 세척수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수도꼭지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여과필터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꼭지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세척수배출부가 폐쇄되고 수돗물배출부가 개방되어 수돗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수도꼭지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수돗물배출부가 폐쇄되어 세척수배출부가 개방되어 세척수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수도꼭지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여과필터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 어셈블리(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꼭지부(110), 하우징부(120), 수돗물유입부(130), 여과필터부(140), 수돗물배출부(150), 수돗물배출개폐부(160), 세척수배출부(170), 세척수배출개폐부(180), 센서부(190) 및 디스플레이부(191)를 포함한다.
수도꼭지부(1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수도꼭지와 동일한 형상으로, 본체(111), 본체(111)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도관(미도시), 수도관의 일단에 결합되어 수도관으로 수돗물의 유입을 조절하는 밸브(11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수도꼭지부(110)는 외부에서 수도관으로 수돗물을 제공하도록 외부의 수도 공급 장치와 연결되고, 이를 통해 공급되는 수돗물은 밸브(112)를 통해 수도관에 유입여부 및 유입량이 조절된다.
하우징부(120)는, 수도꼭지부(110)의 일측에 마련된 구성으로, 내부로 수돗물이 유입되어 수돗물 내의 불순물이 여과된 후 하우징부(120)의 외부로 배출되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러한 하우징부(120)는 외부에서 하우징부(120)의 내부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개폐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돗물유입부(130)는, 하우징부(120)에 형성되며 수도관의 타단에 결합되어 수돗물을 하우징부(120)의 내부로 유입시킨다. 즉, 수돗물유입부(130)를 이용하여 수도꼭지부(110)와 하우징부(120)가 연결되며, 수돗물은 수도꼭지부(110)-수돗물유입부(130)-하우징부(120) 순서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수돗물유입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120)의 상면과 가까운 측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하우징부(12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과필터부(140)는, 하우징부(120)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어 하우징부(120)의 내부로 유입된 수돗물의 불순물을 여과시킨다. 이러한 여과필터부(140)는 하우징부(120) 중앙 영역에 원형 또는 다각형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여과필터부(140)의 하단은 하우징부(120)의 하면과 결합된다. 또한 여과필터부(140)의 상단은 하우징부(120)와 결합되거나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120)와 결합되지 않고 일측이 폐쇄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돗물 내의 불순물의 경우 염소, 철, 납 등과 같은 이온 불순물 또는 용존성물질이나 저분자물질과 같은 마이크로미터 직경의 미립자 불순물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여과필터부(140)는 복수 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이온 불순물과 미립자 불순물을 모두 여과시킬 수 있다.
여과필터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층(141), 활성층(142), 카본층(143) 및 카본휘스커층(144)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여과필터부(140)는 하우징부(120)의 중앙 영역에서부터 외주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지지층(141), 활성층(142), 카본층(143) 및 카본휘스커층(144)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여과필터부(140)는 활성층(142) 및 카본층(143)을 통해 수돗물 내의 이온 불순물이 여과되며, 카본휘스커층(144)을 통해 직경이 큰 미립자 불순물이 여과됨과 동시에 여과필터부(140)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여과필터부(140)의 파울링(fouling) 또는 블로킹(blocki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기공구조를 가지는 지지층(141)은, 여과필터부(140)가 제 형상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진 몸체에 해당하며, 지지층(141)에 적층되는 활성층(14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지층(141)은 세라믹의 성상으로 Quartz(SiO2), Alumina(Al2O3), Silica-Alumina(SiO2-Al2O3), Alumina Nitride(AlN), Silicon Carbide(SiC), Titania(TiO2), Zirconia(ZrO2)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층(142)은, 지지층(141)에 적층되며 지지층(141)과 상이한 직경을 기공구조를 가지는데, 이때 활성층(142)은 지지층(141)보다 작은 직경의 기공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활성층(142)은 지지층(141)을 폴리머라텍스에 침적및 건조한 뒤 전기로에서 열분화 과정을 거쳐 폴리머라텍스를 탄화시켜 형성되는 활성탄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활성탄을 포함하는 활성층(142)은 후술할 카본층(143)의 기공구조에 비해 작은 직경의 기공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온 불순물이 카본층(143)의 기공구조를 통과하여 활성층(142)에 흡착된다.
여기서 폴리머라텍스는,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Polyvinylidene Chlooride, PVDC),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PVC),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polyvinylid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olypropylene oxide), 폴리부틸렌옥사이드(polybutylene oxid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acetat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polytetraethylene glycol diacrylate), 폴리술폰(polysulfone), 폴리페닐렌옥사이드(polyphenylene ox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polyvinylidene chloride), 폴리실록산(polysiloxane)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본층(143)은, 활성층(142)에 적층되며 지지층(141) 및 활성층(142)과 마찬가지로 기공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활성층(142)의 기공구조보다 큰 직경의 기공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카본층(143)을 통과한 이온 불순물이 활성층(142)에 흡착하게 된다. 이때 카본층(143)의 기공구조는 수 내지 수백 나노미터인 것이 바람직하며, 카본층(143)은 하이드로카본의 열분해로 만들어진다.
카본휘스커층(144)은, 카본층(143)에 적층되며 카본층(143)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수 많은 섬모 형상의 돌기(144a)를 포함한다. 카본휘스커층(144)이 수 많은 섬모 형상의 돌기(144a)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유물질이나 고분자물질과 같은 미립자 불순물이 여과필터부(140)에 쌓이지 않는다. 이러한 미립자 불순물이 만약 돌기(144a)에 부착되더라도 지속적인 수돗물의 유속에 의해 돌기(144a)로부터 떨어져나가 다시 수돗물 속을 부유하게 된다. 따라서 돌기(144a)가 존재하기 때문에 미립자 불순물에 의해 여과필터부(140)가 막히는 현상이 줄어들게 되며, 이를 통해 여과필터부(140)의 교체 시기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수 많은 돌기(144a)는 카본층(143)의 기공구조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직경이 큰 미립자 불순물이 돌기(144a) 사이로 들어가서 카본층(143)을 막거나 또는 돌기(144a) 사이에 끼여 빠져나오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카본층(143) 및 카본휘스커층(144)은, 활성층(142)을 Fe계, Co계 또는 Ni계 촉매 수용액에 침지 및 건조시키고, 전기로에서 일정온도 및 일정시간 동안 열분해를 진행한 뒤 탄소/질소 혼합 가스를 사용해 탄소원에 화학기상증착법으로 증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카본층(143)과 카본휘스커층(144)을 형성하면 카본층(143)의 표면에 섬모 형상의 돌기(144a)로 구성된 카본휘스커층(144)이 형성된다. 이때, 돌기(144a)의 직경과 카본층(143)의 기공구조 직경은 투과 유속의 정도, 역세척시 투과 유속의 재생율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여기서 촉매 수용액은, Ferric Sulfate(Fe2(SO4)3·nH2O), Ferrous Sulfate(Fe(SO4)3·nH2O), ferric nitrate(Fe2(NO3)3·9H2O, Ferrocene(C10H10Fe), Co(NO3)2·6H2O, Co(H3C-CO2)2·4H2O, Ni(NO3)2·6H2O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와 같은 여과필터부(140)는 이온 불순물이 많이 흡착되면 점점 여과 성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사용한 후 하우징부(120)를 열어 여과필터부(140)를 꺼낼 수 있다. 꺼낸 여과필터부(140)를 전자렌지 등을 이용하여 3 내지 5분정도 고온에서 가열하게 되면 이온 불순물이 제거되고, 이온 불순물이 제거된 여과필터부(140)를 다시 하우징부(120) 안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여과필터부(140)는 고온 열처리를 통해 형성된 카본 소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전자렌지 등의 고온에서 손상되지 않으며, 따라서 이온 불순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수돗물배출부(150)는, 여과필터부(140)를 통해 여과된 수돗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우징부(120)에 형성된다. 이때 수돗물배출부(150)는 시중에 판매되는 수도꼭지와 같이 수돗물이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우징부(120)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수돗물배출부(150)는 여과필터부(140)를 통해 미립자 불순물 및 이온 불순물이 여과된 연수(soft water) 상태의 수돗물을 수돗물배출부(150)를 통해 하우징부(120)의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가 수돗물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수돗물배출개폐부(160)는,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또는 전기적 신호를 통해 자동으로 수돗물배출부(150)를 개방 또는 패쇄시켜 여과된 수돗물의 배출을 조절한다. 평소에는 수돗물배출개폐부(160)가 수돗물배출부(150)를 개방하여 사용자가 여과된 수돗물을 사용하다가, 하우징부(120)의 내부 및 여과필터부(140)를 세척해야할 필요가 있을 경우 수돗물배출부(150)를 폐쇄시켜 수돗물을 하우징부(120)의 내부에 가두게 된다. 이와 같이 가두어진 수돗물을 이용하여 하우징부(120)의 내부 및 여과필터부(140)를 세척하게 된다.
세척수배출부(170)는, 하우징부(120)의 내부로 유입된 수돗물을 세척수로 사용하여 여과필터부(140)에 부착된 불순물을 제거하고, 불순물이 포함된 세척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우징부(120)에 형성된다. 이때 세척수배출부(170)는 하우징부(120)의 상면과 가까운 여과필터부(140)까지 전부 세척가능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120)에서 상면과 가까운 측면 또는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수돗물배출개폐부(160)를 이용하여 수돗물배출부(150)를 폐쇄시키게 되면 하우징부(120)의 내부에 세척 용도의 수돗물인 세척수가 가둬진다. 가둬진 세척수는 유입되는 수돗물보다 유속이 감소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에 의해 여과필터부(140)의 돌기(144a)에 일시적으로 붙어있던 미립자 불순물이 돌기에서 떨어져나와 세척수에 부유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세척수가 하우징부(120) 안으로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쌓이게 되면 세척수배출부(170)를 통해 세척수가 미립자 불순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어 여과필터부(140)로부터 미립자 불순물이 제거된다.
여과필터부(140)로부터 미립자 불순물이 제거되지 않을 경우 미립자 불순물이 여과필터부(140)를 막아서 여과필터부(140)의 교체 주기가 빨라지는 데 비해, 본 발명에서는 여과필터부(140)의 돌기에 의해 미립자 불순물이 여과필터부(140)에 잘 부착되지 않을 뿐더러 세척수에 의해 미립자 불순물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여과필터부(140)를 오래 사용할 수 있다.
세척수배출개폐부(180)는,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또는 전기적 신호를 통해 자동으로 세척수배출부(170)를 개방 또는 폐쇄시켜 미립자 불순물이 포함된 세척수의 배출을 조절 가능하다.
이때, 수돗물배출개폐부(160) 및 세척수배출개폐부(180)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면, 다른 하나는 폐쇄되어 하우징부(120) 안으로 들어온 수돗물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가 사용하는 수돗물 또는 하우징부(120) 및 여과필터부(140)를 세척하는 세척수로 이용되는지 결정된다. 즉, 수돗물배출개폐부(160)가 개방되고 세척수배출개폐부(180)가 폐쇄될 경우 수돗물배출부(150)를 통해 수돗물로 배출되고, 세척수배출개폐부(180)가 개방되고 수돗물배출개폐부(160)가 폐쇄될 경우 세척수배출부(170)를 통해 세척수가 배출된다.
센서부(190)는, 수돗물배출부(150)에 설치되어 수돗물의 투과유량 및 불순물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91)는, 센서부(190)를 통해 측정된 투과유량 및 불순물의 농도를 표시가능하다. 이와 같은 센서부(190) 및 디스플레이부(191)를 통해 밸브를 이용하여 수돗물의 투과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여과된 수돗물의 불순물 농도를 측정하여 여과필터부(140)의 교체 시기를 확인할 수 있다.
종래의 여과가 가능한 수도꼭지의 경우, 필터에 수돗물의 불순물이 쌓이게 되면 여과 성능이 점점 낮아지게 되어 지속적으로 필터를 교체하여 여과 성능을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필터 교체에 따른 유지 및 보수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는 사용자가 수도꼭지를 계속 사용하기 부담스럽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경우, 하우징부(120)의 내에서 여과필터부(140)를 세척하여 미립자 불순물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여과필터부(140)의 교체 시기를 연장시켜 유지 및 보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잔류 불순물 농도를 측정 및 확인할 수 있어 여과필터부(140)의 교체 시기를 확인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수도꼭지 어셈블리
110: 수도꼭지부
111: 본체
112: 밸브
120: 하우징부
130: 수돗물유입부
140: 여과필터부
141: 지지층
142: 활성층
143: 카본층
144: 카본휘스커층
144a: 돌기
150: 수돗물배출부
160: 수돗물배출개폐부
170: 세척수배출부
180: 세척수배출개폐부
190: 센서부
191: 디스플레이부

Claims (3)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도관, 상기 수도관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도관으로 수돗물의 유입을 조절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수도꼭지부;
    상기 수도꼭지부의 일측에 마련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형성되며, 상기 수도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돗물을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시키는 수돗물유입부;
    상기 하우징부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로 유입된 수돗물의 불순물을 여과시키는 여과필터부;
    상기 여과필터부를 통해 여과된 상기 수돗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하면에 형성된 수돗물배출부;
    상기 수돗물배출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켜 상기 여과된 수돗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수돗물배출개폐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로 유입된 수돗물을 세척수로 사용하여 상기 여과필터부에 부착된 불순물을 세척하고, 상기 불순물이 포함된 세척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과 가까운 측면에 형성된 세척수배출부; 및
    상기 세척수배출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켜 상기 불순물이 포함된 세척수의 배출을 조절하는 세척수배출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필터부는,
    기공구조를 가지는 지지층과, 상기 지지층에 적층되며 상기 지지층과 상이한 직경의 기공구조를 가지는 활성층과, 상기 활성층에 적층되며 상기 활성층보다 큰 직경의 기공구조를 가지는 카본층과, 상기 카본층에 적층되며 상기 카본층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섬모형상의 돌기가 형성된 카본휘스커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의 중앙 영역에서부터 외주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층, 상기 활성층, 상기 카본층 및 상기 카본휘스커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상기 수돗물배출개폐부를 이용하여 상기 수돗물배출부를 폐쇄시켜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상기 세척수를 가두어 유속이 감소된 상태에서 상기 여과필터부의 상기 돌기에 일시적으로 붙어있던 불순물이 부유하게 되며, 상기 세척수가 상기 하우징부 안으로 지속적으로 유입됨에 의해 상기 세척수배출개폐부를 이용하여 개방된 상기 세척수배출부를 통해 상기 세척수가 상기 불순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어셈블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돗물배출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돗물의 투과유량 및 불순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수돗물의 투과유량 및 불순물의 농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어셈블리.
KR1020200167531A 2020-12-03 2020-12-03 수도꼭지 어셈블리 KR102474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531A KR102474948B1 (ko) 2020-12-03 2020-12-03 수도꼭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531A KR102474948B1 (ko) 2020-12-03 2020-12-03 수도꼭지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775A KR20220078775A (ko) 2022-06-13
KR102474948B1 true KR102474948B1 (ko) 2022-12-06

Family

ID=81984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531A KR102474948B1 (ko) 2020-12-03 2020-12-03 수도꼭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9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72728A1 (en) 2003-10-07 2005-04-07 Chin- Ching Chang Simple faucet water-filtering device
KR100769969B1 (ko) * 2007-01-30 2007-10-25 주식회사 에코넷 기능성 분리막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JP2010513918A (ja) * 2006-12-19 2010-04-30 スンジュン ソン 最適の水質測定及び水質通知装置及び方法
US20160152488A1 (en) 2014-03-11 2016-06-02 Basic Co., Ltd. Water purifi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882U (ja) * 1991-10-08 1993-04-30 宇部興産株式会社 逆洗用切換弁
JP3585586B2 (ja) * 1995-07-28 2004-11-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浄水器付混合水栓
KR200278146Y1 (ko) 2002-03-04 2002-06-20 노현범 동섬유를 이용한 염소제거 및 살균 수도꼭지 어셈블리
KR101122294B1 (ko) * 2008-11-21 2012-03-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밸러스트수의 여과 및 살균 장치
KR101772995B1 (ko) * 2016-02-18 2017-09-12 김선홍 샤워 필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72728A1 (en) 2003-10-07 2005-04-07 Chin- Ching Chang Simple faucet water-filtering device
JP2010513918A (ja) * 2006-12-19 2010-04-30 スンジュン ソン 最適の水質測定及び水質通知装置及び方法
KR100769969B1 (ko) * 2007-01-30 2007-10-25 주식회사 에코넷 기능성 분리막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US20160152488A1 (en) 2014-03-11 2016-06-02 Basic Co., Ltd. Water pur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775A (ko) 202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6249B (zh) 過濾裝置及其製造方法
KR101705529B1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TW201634101A (zh) 淨水匣及淨水器
CN101143303B (zh) 一种家用全自动双膜自冲洗净水装置
KR102474948B1 (ko) 수도꼭지 어셈블리
CN206345699U (zh) 一种具有长效反冲洗功能的多级复合超微滤膜滤芯
CN106348479B (zh) 小型污水处理装置
WO2009025413A1 (en) Water purifier filter having a filter washing function
JP2007167742A (ja) 浄水カートリッジ
CN204400762U (zh) 一种具有灭菌功能的***
KR200391447Y1 (ko) 활성탄 정수필터
CN101737529B (zh) 流体流向转换器
JP2006348966A (ja) チューブ構造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浄水器、浄水システム、浄水方法
KR100916940B1 (ko) 나선형 지지구가 구비된 여과장치
CN201055753Y (zh) 一种家用全自动双膜自冲洗净水装置
JP2012091150A (ja) 水処理用逆浸透膜構造体及び逆浸透膜モジュール
CN103157317A (zh) 一种水过滤器装置及其冲洗方法
JP3112927B2 (ja) 浄水器
CN206642586U (zh) 一种自来水净化器过滤滤芯
Neufert et al. Dead‐end silicon carbide micro‐filters for liquid filtration
KR101313631B1 (ko) 필터관 및 이를 이용한 정수장치
KR100699039B1 (ko) 반영구적 정수장치
WO2018129762A1 (zh) 净水设备
KR100769969B1 (ko) 기능성 분리막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JP2518110B2 (ja) 浄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