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465B1 - Identification friend or foe system and method for swarm drone - Google Patents

Identification friend or foe system and method for swarm dr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465B1
KR102474465B1 KR1020220078075A KR20220078075A KR102474465B1 KR 102474465 B1 KR102474465 B1 KR 102474465B1 KR 1020220078075 A KR1020220078075 A KR 1020220078075A KR 20220078075 A KR20220078075 A KR 20220078075A KR 102474465 B1 KR102474465 B1 KR 102474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drones
cluster
target
respo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0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설윤조
변양헌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주)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220078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46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4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76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 G01S13/78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discriminating between different kinds of targets, e.g. IFF-radar, i.e. identification of friend or fo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4Displ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dentification Friend or Foe (IFF) system for a swarm of drones, which separately designates a drone in charge of identifying friends or foes among a swarm of drones and allows the designated drone to transmit a response signal as a representative when a question signal is received from a friendly force, so that the swarm of drones are displayed as one target,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before launching a swarm of drones, installing a responder in one of the swarm of drones and setting an IFF code for IFF;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by a remote combat management system, a question signal for IFF of the detected swarm drones, receiving a response signal including the IFF code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 signal from the drone in which the responder is installed among the swarm of drones, analyzing the IFF code included in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and controlling the swarm of drones to be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as a single target when the drone belongs to the swarm of drones.

Description

군집 드론을 위한 피아식별 시스템 및 그 방법{Identification friend or foe system and method for swarm drone}Identification friend or foe system and method for swarm drone}

본 발명은 군집 드론을 위한 피아식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군집 드론 운용 시, 해당 군집 드론을 하나의 표적으로 식별하여 이를 전시하는 군집 드론을 위한 피아식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iend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luster dron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iend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luster drones that identify and display a corresponding cluster drone as a target when operating a cluster drone.

최근 들어 무인 비행체의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함에 따라 이에 대한 수요가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상기 무인 비행체는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원격 조정 또는 자동 조종을 통해 무선 전파로 조종할 수 있는 무인 항공기로서, 통상적으로 드론이라 불리며, 카메라, 센서, 초음파 장비, 통신 시스템 등이 탑재되어 있다. 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unmanned aerial vehicle technology, the demand for it is explosively increasing all over the world. The unmanned air vehicle is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can be controlled by radio waves through remote control or automatic control without a pilot on board, and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drone, and is equipped with a camera, sensor, ultrasonic equipment,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like.

상기 무인 비행체는 군사 용도로 시작되었지만, 최근에는 고공 촬영과 상품 배송은 물론, 농약 살포, 공기질 측정, 산불 감시 및 진화, 통신, 재난 환경 대처, 연구 개발 등 다양한 목적으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값 싼 키덜트(Kidult) 제품으로 재 탄생되어 개인도 부담 없이 구매할 수 있는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Although the UAV started for military use, it has recently been widely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high-altitude filming and product delivery, pesticide spraying, air quality measurement, forest fire monitoring and extinguishing, communication, disaster environment response, research and development, etc. It has been reborn as a cheap kidult product, and we have reached an era where individuals can purchase it without any burden.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에는 통신 및 컴퓨팅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단순히 단일 무인 비행체의 비행이 아닌 복수의 무인 비행체가 포메이션(formation)을 형성하여 재난 구호, 정찰 등의 특수하고 복잡한 임무를 수행하는 군집 비행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In this situation, recentl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nd computing technology, multiple UAVs, rather than simply flying a single UAV, form a formation to perform swarm flights that perform special and complex missions such as disaster relief and reconnaissance. Research on this is actively progressing.

한편, 드론 산업의 발달로 함께 발전하는 분야가 이에 대응하는 안티 드론 시스템이다. 안티 드론 시스템은 드론으로 인해 야기되는 범죄나 테러 등을 예방 및 차단하기 위해 불법 혹은 적 무인 비행체를 탐지하고 무력화하는 시스템인데, 이 무력화기술에는 Hard kill과 Soft kill 두가지 방안이 있다. Hard kill은 물리적으로 드론을 무력화하는 기술이며 드론 네트건, 방공망용 대공화기, RF Gun, EMP탄 같은 직사에너지 무기가 있으며 Soft Kill은 소프트웨어적으로 칩을 파괴하는 통신 재밍, 위성 항법 재밍 등이 있다.On the other han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drone industry, the field that develops together is the anti-drone system corresponding to it. The anti-drone system is a system that detects and neutralizes illegal or enemy unmanned aerial vehicles in order to prevent and block crimes or terrorism caused by drones. Hard kill is a technology that physically disables drones, and there are direct energy weapons such as drone netguns, anti-aircraft weapons for air defense networks, RF guns, and EMP bullets. Soft kill includes communication jamming and satellite navigation jamming that destroy chips in software. .

그리고, 전투 관리체계(함정, 지상 전투 관리체계)의 피아식별장비는 크게 질문기와 응답기 및 제어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질문기와 응답기가 설치된 항공기나 함정의 종류에 따라 응답기만 단독형으로 운용되거나, 질문기 및 응답기가 설치되어 함정 전투 관리체계에 연동되어 운용되는 경우가 있다. 추후 드론이나 소형무인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가 전력화 되면 응답기를 설치하여 운용될 것으로 예상된다.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equipment for friend or foe of the combat management system (ship, ground combat management system) is largely composed of an interrogator, a transponder, and a control group. In some cases, interrogators and responders are installed and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ship battle management system. It is expected that a responder will be installed and operated when drones or small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are deployed in the future.

개미, 벌, 새 등 생명체의 군집활동을 모방하여 발달된 군집로봇기술이 최근 드론의 발전에 더해져 군집 비행 기술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통신, 제어, 상황 인식 등 다양한 기술력이 필요한 군집기술은 드론 에어쇼 이외에 재난현장 탐사, 물류 서비스 분야 등 여러 민간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미 해군연구소에서는 선상/지상에서 발사된 30여대의 군집 드론을 1명이 조종하는 기술개발을 진행하기도 했다. The swarm robot technology developed by imitating the swarm activity of living organisms such as ants, bees, and birds has recently been added to the development of drones, and swarm flight technology is being actively performed. Swarm technology, which requires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communication, control, and situational awareness, is applied in various private fields such as disaster site exploration and logistics service fields in addition to drone air shows. In addition, the US Naval Research Institute has also developed technology for one person to control 30 cluster drones launched from the ship/ground.

이와 같이 수백개의 군집 드론이 군사적으로 운용되어 피아식별장비를 적용해야 할 경우, 개별 드론마다 1대1로 응답기를 설치 시 과도한 비용이 들고 불필요한 운용적(코드 주입, 장비 관리 등) 요소가 존재한다.In this way, when hundreds of swarm drones are operated militarily and it is necessary to apply peer identification equipment, installing a one-to-one responder for each individual drone is excessively expensive and unnecessary operational elements (code injection, equipment management, etc.) exist. .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군집 드론 중 피아식별을 담당하는 드론을 별도로 지정하여 아군세력으로부터 질문신호를 수신 시, 응답 신호를 대표로 송신하여 군집 드론이 하나의 표적과 같이 전시되도록 하는 군집 드론을 위한 피아식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caused by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parately designate a drone in charge of identification of peers among cluster drones to represent a response signal when a question signal is received from an ally. It is to provide a peer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luster drones that transmit to cluster drones so that cluster drones are displayed as one target.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problem, and other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군집 드론을 위한 피아식별 시스템의 일 측면에 따르면, 탐지된 표적의 피아 식별을 위한 질문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질문신호에 상응하는 응답 신호를 표적으로부터 수신한 후, 수신된 응답 신호에 포함된 IFF 코드를 분석하여 해당 표적이 군집 드론인 경우, 군집 드론을 하나의 표적으로 전시되도록 제어하는 피아식별 장치; 및 상기 피아식별 장치의 제어에 따라 군집 드론을 하나의 표적으로 전시하는 전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eer identification system for swarm dron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question signal for identifying a friend of a detected target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and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arget Then, if the target is a cluster drone by analyzing the IFF code included in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the identification device controls the cluster drone to be displayed as one target; and an exhibition device displaying the group drones as one target under the control of the identification device.

상기 IFF 코드는, 상기 표적이 단독 드론인지 군집 드론인지를 구분하는 드론 형태 정보 및 군집 드론 규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FF cod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drone type information and cluster drone size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whether the target is a single drone or a cluster drone.

상기 피아식별 장치는, 상기 IFF 코드 분석에 따라 드론의 형태 및 규모 정보를 상기 전시장치에 전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FF code analysis, the identification device may display information on the shape and size of the drone on the display device.

또한, 본 발명의 군집 드론을 위한 피아식별 시스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다수의 드론으로 이루어진 군집 드론; 및 피아 식별을 위한 질문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질문신호에 상응하는 IFF 코드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군집 드론 중 응답기가 설치된 일 드론으로부터 수신한 후, 수신된 응답 신호에 포함된 IFF 코드를 분석하여 해당 드론이 군집 드론에 포함된 드론일 경우, 군집 드론 전체를 하나의 표적으로 전시장치에 전시되도록 제어하는 원격 전투 관리체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system for identifying peers for cluster drones of the present invention, cluster drone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rones; And generates and transmits an interrogation signal for identifying peers, receives a response signal including an IFF code corresponding to the interrogation signal from one of the drones in the cluster where the responder is installed, and then analyzes the IFF code included in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Therefore, if the corresponding drone is a drone included in a cluster drone, a remote combat management system for controlling the entire cluster dron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s a single target may be included.

상기 군집 드론 중 하나의 드론에 응답기를 설치하고, 드론의 형태(단독 또는 군집 드론) 정보와, 드론의 규모 정보를 포함하는 IFF 코드를 설정할 수 있다. A responder may be installed in one of the drones in the cluster, and an IFF code including drone type information (single drone or cluster drone) and size information of the drone may be set.

상기 응답기가 설치된 드론은, 군집 드론 발사 전, 상기 IFF 코드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IFF 코드를 설정 저장하는 저장부; 군집 드론 발사 후, 상기 원격 전투 관리체계로부터 피아식별을 위한 질문 신호를 수신하고, 질문신호에 상응하는 응답 신호를 원격 전투관리체계로 무선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원격 전투 관리체계로부터 전송되는 질문신호에 상응하는 저장부에 설정된 IFF 코드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원격 전투 관리체계로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응답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one in which the responder is installed may include an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IFF code before launching the swarm drone; a storage unit configured to store the IFF cod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fter launching the swarm drone,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question signal for identification of peers from the remote battle management system and wirelessly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 signal to the remote battle management system; And a responder for generating a response signal including an IFF code set in a storage unit corresponding to an interrog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battle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controlling the response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battle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can do.

상기 원격 전투 관리 체계는, 표적이 탐지되면, 질문신호 생성 제어신호에 따라 표적의 피아 식별을 위한 질문 신호를 생성하는 질문기; 상기 질문기를 통해 생성된 피아식별을 위한 질문 신호를 상기 군집 드론으로 전송하고, 군집 드론 중 응답기가 설치된 일 드론으로부터 전송되는 IFF 코드가 포함된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표적이 탐지되면, 상기 질문기로 피아식별을 위한 질문신호 생성을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응답 신호에 포함된 IFF 코드를 분석하여, 해당 드론이 군집 드론인 경우, 군집 드론 전체를 하나의 표적으로 전시되도록 제어하는 정보 처리부; 및 상기 정보 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군집 드론 전체를 하나의 표적으로 전시하고, 드론의 형태 및 규모 정보를 전시하는 전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mote combat management system may include: an interrogator generating an interrogation signal for identifying a target's friend or foe according to an interrogation signal generation control signal when a target is detecte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 interrogation signal for identification of a friend or foe generated through the interrogator to the cluster drone and receiving a response signal including an IFF code transmitted from one drone among the cluster drones in which a responder is installed; When a target is detected, the interrogator provides a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an interrogation signal for identifying peers, analyzes the IFF code included in the respons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if the corresponding drone is a cluster drone, the cluster drone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controls the whole to be displayed as one target; and an exhibition device displaying the entire cluster drones as one target and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shape and size of the drones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상기 군집 드론은, 적어도 3대 이상의 드론에 응답기를 설치하여 동일한 IFF 코드를 설정한 후, 발사하고, 3대 이상의 드론 중 1대의 드론을 active 드론으로 응답기를 운용하고 나머지 드론의 응답기는 대기모드 상태로 발사한 후(드론 1; active 역할, 드론 2; standby 역할, 드론 3; dormant 역할), 상기 응답기가 설치된 드론간 통신을 통해 active 드론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상호간 통신이 설정된 시간 이상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대기 모드 상태인 드론을 active 드론으로 전환하고, active 모드로 전환된 드론에 설치된 응답기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 전투 관리체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warm drones install a responder on at least 3 or more drones, set the same IFF code, launch, and operate a responder with one drone among the 3 or more drones as an active drone, and the responders of the remaining drones are in standby mode After launching (drone 1; active role, drone 2; standby role, drone 3; dormant role), the status of the active drone is checked in real time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drones where the responder is installed, so that communication is over the set time. If not, the drone in standby mode can be converted into an active drone, and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combat management system can be performed using a responder installed in the drone that has been switched to active mode.

한편, 본 발명의 군집 드론을 위한 피아식별 방법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원격 전투 관리체계의 피아식별 장치에서, 탐지된 표적의 피아 식별을 위한 질문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질문신호에 상응하는 응답 신호를 표적으로부터 수신한 후, 수신된 응답 신호에 포함된 IFF 코드를 분석하여 해당 표적이 군집 드론인 경우, 군집 드론을 하나의 표적으로 전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에 따라 군집 드론을 하나의 표적으로 전시장치에 전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eer identification method for swarm dron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eer identification device of the remote combat management system, a question signal for identifying a peer of a detected target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and a response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 signal After receiving the signal from the target, analyzing the IFF code included in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and, if the target is a cluster drone, controlling the cluster drone to be displayed as one target; and displaying the clustered drones as one target on an exhibition device according to the control.

상기 IFF 코드는, 상기 표적이 단독 드론인지 군집 드론인지를 구분하는 드론 형태 정보 및 군집 드론 규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FF cod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drone type information and cluster drone size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whether the target is a single drone or a cluster drone.

상기 전시하는 단계는, 상기 IFF 코드 분석에 따라 드론의 형태 및 규모 정보를 더 전시할 수 있다. In the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shape and size of the drone may be further displayed according to the IFF code analysis.

또한, 본 발명의 군집 드론을 위한 피아식별 방법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군집 드론 발사 전, 군집 드론 중 하나의 드론에 응답기를 설치하고, 피아 식별을 위한 IFF 코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원격 전투 관리체계에서, 탐지된 군집 드론의 피아 식별을 위한 질문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질문신호에 상응하는 IFF 코드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군집 드론 중 상기 응답기가 설치된 드론으로부터 수신한 후, 수신된 응답 신호에 포함된 IFF 코드를 분석하여 해당 드론이 군집 드론에 포함된 경우, 군집 드론을 하나의 표적으로 전시장치에 전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method for identifying peers for cluster drones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launching the cluster drones, installing a responder in one of the cluster drones and setting an IFF code for identifying peers; and in the remote combat management system, afte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question signal for identifying peers of the detected cluster drone, and receiving a response signal including an IFF code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 signal from a drone in which the responder is installed among the cluster drones, The method may include analyzing an IFF code included in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and, if the corresponding drone is included in the cluster drones, controlling the cluster drones to be displayed on the exhibition device as one target.

상기 IFF 코드는, 드론의 형태(단독 또는 군집 드론) 정보와, 군집 드론의 규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FF code may include drone type information (single or cluster drones) and size information of cluster drones.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표적이 탐지되면, 탐지된 표적의 피아 식별을 위한 질문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전송하는 단계; 군집 드론 시스템 중 응답기가 설치된 일 드론으로부터 전송되는 IFF 코드가 포함된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응답 신호에 포함된 IFF 코드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결과, 해당 드론이 군집 드론에 포함된 드론인 경우, 군집 드론을 하나의 표적으로 전시장치에 전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ling may include, when a target is detected, generating and wirelessly transmitting an interrogation signal for identifying a peer of the detected target; Receiving a response signal including an IFF code transmitted from a drone in which a responder is installed among the swarm drone system; analyzing an IFF code included in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and displaying the swarm drones as a target on an exhibition device when the corresponding drone is included in the swarm dron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상기 전시장치에 전시하는 단계는, 드론의 형태 및 규모 정보를 더 전시할 수 있다. In the displaying on the display device, information on the shape and size of the drone may be further displayed.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군집 드론 중 적어도 3대 이상의 드론에 응답기를 설치하여 동일한 IFF 코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3대 이상의 드론 중 1대의 드론을 active 드론으로 응답기를 운용하고 나머지 드론의 응답기는 대기모드 상태(드론 1; active 역할, 드론 2; standby 역할, 드론 3; dormant 역할)로 발사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기가 설치된 드론간 통신을 통해 active 드론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상호간 통신이 설정된 시간 이상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대기 모드 상태인 드론을 active 드론으로 전환하고, active 모드로 전환된 드론에 설치된 응답기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 전투 관리체계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tting may include setting the same IFF code by installing a responder in at least three or more drones among the drones in the cluster; Operating a responder of one of the three or more drones as an active drone and launching the responders of the remaining drones in a standby mode state (drone 1; active role, drone 2; standby role, drone 3; dormant role); and the status of the active drone is checked in real time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drones in which the responder is installed, and if there is no communication for more than the time set for mutual communication, the drone in standby mode is switched to the active drone, and the drone switched to active mod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battle management system using a responder installed in the.

그리고,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저궤도 위성의 RF 신호 처리 방법을 실행하며,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combined with a computer that is hardware to execute the RF signal processing method of the low-orbit satellite, and can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군집 드론 중 피아식별을 담당하는 드론을 별도로 지정하여 아군세력으로부터 질문신호를 수신 시 응답 신호를 대표로 송신하여 군집 드론이 하나의 표적과 같이 전시되도록 함으로써, 군집 드론에 피아식별체계 적용으로 오인사격 방지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군집 드론에 대한 피아식별이 불가능하여 오인사격 가능하나, 본 발명은 군집 드론의 피아식별이 가능하여 아군 식별이 가능함으로써, 오인 사격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y separately designating a drone in charge of identifying peers among the cluster drones and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as a representative when receiving a question signal from an ally, so that the cluster drones are displayed as one target,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al shooting by applying a friend or foe identification system. That is, in the prior art, it is impossible to identify friends of the drones in a group, so it is possible to misfi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효율적인 군집 드론의 피아식별체계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종래에는 수백개의 드론을 동시에 운용하는 군집 드론에서 개별로 응답기를 설치할 경우 수백개의 응답기를 구매 및 관리 필요하나, 본 발명에서는 군집 드론을 대표하는 응답기 담당 드론을 설정하여 최소 개수의 응답기와 최소의 노력으로 피아식별이 가능 한 것이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pply the peer identification system of the efficient cluster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ventionally, when installing individual responders in a cluster drone that simultaneously operates hundreds of drones, it is necessary to purchase and manage hundreds of responders,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cluster By setting a drone in charge of a responder representing drones, it is possible to identify peers with the minimum number of responders and minimum effort.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실시 예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실시 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실시 예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 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군집 드론을 위한 피아식별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 네트워크 연결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군집 드론들 중 피아식별을 담당하는 1대의 드론에 대한 내부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원격 전투 관리체계에 대한 내부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아식별된 군집 드론의 표적 전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표적정보-피아식별기 화면의 드론 형태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군집 드론을 위한 피아식별 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provi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provide embodiments along with detailed descriptions. Howeve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is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specific drawings, and features disclosed in each drawing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a new embodiment.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network connection configuration for a peer identification system for swarm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an internal block configuration of one drone in charge of identifying peers among the cluster drones shown in FIG. 1;
3 is a diagram showing an internal block configuration for the remote combat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 1;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target display screen of cluster drones identified as pe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drone shape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arget information - friend or foe ident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peer identification method for cluster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commo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recited ele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like elem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elem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군집 드론을 위한 피아식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해 보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friend or foe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luster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군집 드론을 위한 피아식별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 네트워크 연결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network connection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identifying peers for swarm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군집 드론을 위한 피아식별 시스템은, 다수의 드론으로 이루어진 군집 드론 시스템(100) 및 군집 드론 시스템(100)과 통신을 수행하여 군집 드론 시스템(100)의 피아를 식별하여 이를 전시하는 원격 전투 관리체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 전투 관리체계(200)는 지상 또는 함정 전투 관리체계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peer identification system for cluster drones communicates with the cluster drone system 100 composed of a plurality of drones and the cluster drone system 100 to identify peers of the cluster drone system 100. It may include a remote battle management system 200 for displaying it. Here, the remote combat management system 200 may be a land or naval combat management system.

군집 드론 시스템(100) 발사전, 군집 드론 시스템(100) 중 하나의 군집 드론에, IFF(Identification Friend or Foe) 코드를 설정한다. 여기서, IFF 코드는 군집을 의미하는 코드와 군집의 규모 및 드론의 형태를 정의하는 코드일 수 있다. Before launching the swarm drone system 100, an identification friend or foe (IFF) code is set for one swarm drone among the swarm drone system 100. Here, the IFF code may be a code meaning a cluster and a code defining the size of the cluster and the shape of the drone.

그리고, 상기 IFF 코드가 설정된 해당 드론에는 피아 식별을 위한 응답기가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responder for identification of a peer may be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drone to which the IFF code is set.

그리고, 상기 IFF 코드가 설정된 해당 드론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전투 관리체계(200)로부터 피아 식별을 위한 질문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설정된 IFF 코드 정보를 포함한 응답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전투 관리체계(200)로 전송한다. In addition, when the drone for which the IFF code is set receives a question signal for identification of a foe from the remote combat management system 200 through the network, a response signal including the set IFF cod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remote combat management system 200 through the network. ) is sent to

원격 전투 관리체계(200)는 군집 드론 시스템(100) 의 피아 식별을 위해 질문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군집 드론 시스템(100) 으로 전송하고, 군집 드론 시스템(100) 내 IFF 코드가 설정된 드론으로부터 질문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응답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드론이 군집 드론인지 아니면 단독 드론인지를 판단한다.The remote combat management system 200 transmits a question signal to the cluster drone system 100 through a network to identify peers of the cluster drone system 100, and sends a question signal from a drone for which the IFF code is set in the cluster drone system 100 Receives a response signal and analyzes the corresponding response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corresponding drone is a group drone or a single drone.

판단 결과, 해당 드론이 군집 드론 시스템(100) 내 포함된 드론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전시장치에 해당 군집 드론을 하나의 표적과 같이 전시하고, 해당 표적이 군집 드론이고 해당 군집 드론의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를 전시 장치의 별도의 창에 전시하는 것이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drone is a drone included in the cluster drone system 100, the corresponding cluster dron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s one target, and the target is the cluster drone and the size of the cluster drone is to some extent. It is to display awareness in a separate window of the exhibition device.

도 1에 도시된 군집 드론 시스템(100) 과, 원격 전투 관리체계(2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자.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warm drone system 100 and the remote combat management system 200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군집 드론 시스템(100) 내 IFF 코드가 설정된 드론의 상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원격 전투 관리체계(200)에 대한 상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block configuration of drones with IFF codes set in the swarm drone system 100 shown in FIG. 1, and FIG. 3 shows the detailed block configuration of the remote combat management system 200 shown in FIG. is the drawing shown.

도 2를 참조하면, 군집 드론 시스템(100) 내 IFF 코드가 설정된 드론은, 입력부(110), 저장부(120), 통신부(130) 및 응답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a drone with an IFF code set in the swarm drone system 100 may include an input unit 110, a storage unit 120, a communication unit 130, and a responder 140.

입력부(110)는 군집 드론 시스템(100)을 발사하기 전, 드론의 형태 및 규모를 나타내는 IFF 코드를 입력하여 저장부(120)에 설정한다. Before launching the swarm drone system 100, the input unit 110 inputs an IFF code representing the shape and scale of the drone and sets it in the storage unit 120.

통신부(130)는 원격 전투 관리체계(200) 예를 들면, 함정 전투 관리체계 또는 지상 전투 관리체계로부터 피아 식별을 위한 질문신호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질문 신호를 응답기(140)로 제공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130 receives a question signal for identifying a foe from the remote battle management system 200, for example, a ship battle management system or a ground battle management system, through a wireless network, and transmits the received question signal to the responder 140. to provide.

응답기(140)는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된 피아식별 질문 신호에 따라 저장부(120)에 설정된 IFF 코드를 리드한 후, 리드된 IFF 코드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통신부(130)를 통해 원격 전투 관리체계(200)로 무선 전송한다. The responder 140 reads the IFF code set in the storage unit 120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friend question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and then transmits a response signal including the read IFF code to the remote terminal via the communication unit 130. It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battle management system 200.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원격 전투 관리체계(200)는 탐지장치(210), 정보 처리부(220), 질문기(230), 통신부(240), 응답기(250) 및 전시장치(2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보 처리부(220), 질문기(230), 통신부(240) 및 응답기(250)는 원격 전투관리체계(200) 내 별도의 피아 식별장치에 구성될 수 있다. And, referring to FIG. 3, the remote combat management system 200 includes a detection device 210,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0, an interrogator 230, a communication unit 240, a responder 250, and a display device 260. can include Here,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0, the interrogator 230, the communication unit 240, and the responder 250 may be configured in a separate foe identification device within the remote battle management system 200.

상기 탐지 장치(210)는 레이더, 센서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표적을 탐지하여, 정보 처리부(210)를 통해 전시장치(260)에 표적들을 전시한다. 여기서, 탐지장치(210)에서 탐지된 표적들을 전시장치(260)에 전시하는 동작은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detection device 210 detects targets using equipment such as radar and sensors, and displays the targets on the display device 260 through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10 . Here, since the operation of displaying the targets detected by the detection device 210 on the display device 260 is a generally 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표적이 탐지되면, 정보 처리부(220)는 표적의 피아식별을 위해 질문기(230)로 질문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When a target is detected,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0 provides a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a question to the interrogator 230 in order to identify the target's friend or foe.

질문기(230)는 정보 처리부(22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피아식별을 위한 질문을 생성하여 통신부(240)를 통해 전송한다. The interrogator 230 generates a question for identifying a friend or fo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0 and transmits i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40 .

이어, 질문을 수신한 도 2에 도시된 군집 드론 시스템(100) 중 IFF 코드가 설정된 드론으로부터 응답신호를 통신부(240)를 통해 수신하여 응답기(250)로 제공한다. Subsequently, a response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40 from the drone for which the IFF code is set among the cluster drone system 100 shown in FIG. 2 that received the question, and is provided to the responder 250.

응답기(250)는 IFF 코드가 설정된 드론으로부터 수신된 응답신호를 정보 처리부(220)로 제공한다. The responder 250 provides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0 with the response signal received from the drone for which the IFF code is set.

정보 처리부(220)는 응답기(250)를 통해 수신된 드론의 응답 신호에 포함된 IFF 코드를 분석한다. The information processor 220 analyzes the IFF code included in the response signal of the drone received through the responder 250.

IFF 코드 분석 결과, 해당 드론이 단독 드론이 아니라 군집 드론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군집 드론 시스템(100)내 다수의 드론을 하나의 표적으로 전시 장치(260)에 전시하고, 상기 IFF 코드에 포함된 드론의 형태(군집) 및 규모 정보를 전시 장치(260)에 전시하는 것이다. As a result of the IFF code analysi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drone is not a single drone but a cluster drone, a plurality of drones in the cluster drone system 100 are displayed on the exhibition device 260 as one target, and the drones included in the IFF code Information on the shape (cluster) and scale of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60.

상기 군집 드론 시스템(100)과 원격 전투 관리체계(200)의 동작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해 보기로 한다. Operations of the swarm drone system 100 and the remote battle management system 200 will be sequenti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

먼저, 군집 드론 시스템(100)을 발사하기 전에, 군집 드론 시스템(100) 중 하나의 드론에 응답기(140)를 설치하고, 입력부(110)를 통해 피아 식별을 위한 IFF 코드를 저장부(120)에 설정한 후, 발사를 수행한다. 여기서, IFF 코드는 드론의 형태(군집 또는 단독 드론) 및 규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First, before launching the cluster drone system 100, the responder 140 is installed in one drone of the cluster drone system 100, and the IFF code for identifying peers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through the input unit 110. After setting to , launch is performed. Here, the IFF code may include drone type (group or single drone) and scale information.

군집 드론 시스템(100) 발사 후, 원격 전투 관리체계(200)의 탐지장치(210)는 주변 표적들을 탐지한 후, 탐지된 표적정보를 정보 처리부(220)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표적을 군집 드론이라 가정하자. After the swarm drone system 100 is launched, the detection device 210 of the remote battle management system 200 detects surrounding targets and provides the detected target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0 . Here, it is assumed that the target is a swarm drone.

정보 처리부(220)는 탐지 장치(210)으로부터 제공되는 표적 정보를 전시 장치(260)에 각각 전시하게 된다.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0 displays the targe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detection device 210 on the display device 260, respectively.

그리고, 정보 처리부(220)는 탐지된 표적의 피아 식별을 위해 질문기(230)로 질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0 provides a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an interrogation signal to the interrogator 230 to identify a friend or foe of the detected target.

질문기(230)는 정보 처리부(22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피아식별을 위한 질문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240)로 제공한다. The interrogator 230 generates an interrogation signal for identifying a friend or fo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0 and provides it to the communication unit 240 .

통신부(240)는 질문기(230)로부터 제공되는 피아 식별 질문신호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240 transmits the peer identification interrogation signal provided from the interrogator 230 through a wireless network.

군집 드론 시스템(100) 중 IFF 코드가 설정된 해당 드론은 상기 원격 전투 관리체계의 통신부(240)를 통해 전송된 질문신호를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질문 신호를 응답기(140)로 제공한다. Among the swarm drone system 100, the drone for which the IFF code is set receives the interroga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40 of the remote combat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and transmits the received interrogation signal to the responder 140. to provide.

이에, 응답기(140)는 수신된 질문신호에 대응하도록 저장부(120)에 설정된 IFF 코드를 리드한 후, 리드한 IFF 코드를 포함하는 응답신호를 생성한 후, 생성된 응답 신호를 통신부(130)로 제공한다. Accordingly, the responder 140 reads the IFF code set in the storage unit 120 to correspond to the received question signal, generates a response signal including the read IFF cod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response signal to the communication unit 130. ) is provided.

통신부(130)는 응답기(140)로부터 제공되는 응답신호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전투 관리체계(200)로 전송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130 transmits the response signal provided from the responder 140 to the remote battle management system 200 through a wireless network.

원격 전투 관리체계(200)의 통신부(240)는 군집 드론 시스템(100) 로부터 전송되는 즉, 군집 드론 시스템(100) 내 IFF 코드가 설정된 드론(응답기가 설치된 드론)으로부터 전송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 신호를 응답기(250)를 통해 정보 처리부(220)로 제공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240 of the remote combat management system 200 receives a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rone swarm system 100, that is, a drone for which the IFF code is set (a drone with a responder installed) in the swarm drone system 100, and ,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is provided to the information processor 220 through the responder 250.

정보 처리부(220)는 수신된 응답신호에 포함된 IFF 코드를 분석하여, 해당 표적(드론)이 군집 드론으로 판단되는 경우, 즉, 해당 코드에 군집 드론을 의미하는 코드가 포함된 경우, 전시장치(260)에 전시된 다수의 군집 드론의 표적을 도 4와 같이 하나의 표적으로 변경 전시하고, IFF 코드에 포함된 군집 드론의 규모 코드에 따라 군집 드론의 형태, 규모 정보를 도 5와 같이 전시장치(260)에 전시하게 된다. 여기서, 드론의 형태, 규모 정보는 도 5와 같이 팝업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으나, 도 4와 같이 표적이 전시된 화면의 일측 일영역에 별도로 전시할 수도 있다.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0 analyzes the IFF code included in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and if the corresponding target (drone) is determined to be a cluster drone, that is, if the corresponding code includes a code indicating a cluster drone, the display device The targets of the multiple cluster drones displayed at 260 are changed to a single target as shown in FIG. 4, and the shape and size information of the cluster drones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5 according to the size code of the cluster drone included in the IFF code. It is displayed on device 260 . Here, the shape and scale information of the drone may be displayed in a pop-up form as shown in FIG. 5, but may also be separately displayed in one area on one side of the screen where the target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4.

상기에서는 하나의 드론에 IFF 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실시에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 응답기 담당 드론이 고장나거나 파괴되었을 경우를 대비하기 위하여, 최초 군집 드론 발사 시 3대(필요시 3+

Figure 112022066763871-pat00001
대)의 드론에 응답기를 설치하여 동일한 응답코드(IFF 코드)를 주입한 후 발사할 수 있다. In the above, setting the IFF code for one drone has been described as an embodiment, but in another embodiment, in order to prepare for the case where the drone in charge of the responder is broken or destroyed, 3 drones (if necessary, 3+
Figure 112022066763871-pat00001
It can be launched after installing a responder on the drone of large) and injecting the same response code (IFF code).

3대의 드론 중 1대만 우선적으로 active 드론으로 응답기를 운용하고 나머지 드론의 응답기는 대기모드 상태로 발사된다(드론 1 active 역할, 드론 2 standby 역할, 드론 3 dormant 역할). Only one of the three drones operates as an active drone and the responder of the remaining drones is launched in standby mode (drone 1 active role, drone 2 standby role, drone 3 dormant role).

이후, 드론간 통신을 통해 active 드론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상호간 통신이 일정 시간(예를 들어, 3초)이상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드론 2가 active 드론으로 전환되어 응답기 담당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fterwards, the status of the active drone is checked in real time through inter-drone communication, and if mutual communication does not occur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eg, 3 seconds), drone 2 is switched to the active drone and takes charge of the responder. can be configured.

이와 같이, active 드론이 결정된 상태에서, active 드론과 원격 전투 관리체계(200)간의 동작은 상기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In this way, in the state where the active drone is determined, the operation between the active drone and the remote battle management system 200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operation described above.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군집 드론을 위한 피아식별 시스템의 동작과 상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군집 드론을 위한 피아식별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 6을 참조하여 단계적으로 설명해 보기로 한다. A step-by-step explanation will be given of a method of identifying a friend or foe for a group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rresponds to the operation of the identification system for group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6 attach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군집 드론을 위한 피아식별 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6 is a diagram showing an operational flow chart for a method for identifying peers for cluster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군집 드론 시스템(100)을 발사하기 전에, 군집 드론 시스템(100) 중 하나의 드론에 응답기(140)를 설치하고, 해당 드론에 IFF 코드를 설정한 후, 발사를 수행한다(S601). 여기서, 상기 IFF 코드는 드론의 형태(군집 또는 단독) 및 규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first, before launching the cluster drone system 100, a responder 140 is installed in one drone of the cluster drone system 100, an IFF code is set in the drone, and then launch is performed. It is performed (S601). Here, the IFF code may include drone type (group or single) and size information.

이어, 군집 드론 시스템(100) 발사 후, 원격 전투 관리체계(200)의 탐지장치에서 주변 표적들을 탐지한 후, 탐지된 표적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표적을 전시장치에 전시한다(S602). Subsequently, after the swarm drone system 100 is launched, surrounding targets are detected by the detection device of the remote combat management system 200, and then the targe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using the detected target information (S602).

이어, 원격 전투 관리체계(200)는 탐지된 표적의 피아 식별을 위해 질문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전송한다(S603). Subsequently, the remote combat management system 200 generates and wirelessly transmits an interrogation signal to identify a friend or foe of the detected target (S603).

군집 드론 시스템(100) 중 IFF 코드가 설정된 해당 드론은 상기 원격 전투 관리체계(200)로부터 전송된 질문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질문 신호에 따라 상기 S601 단계를 통해 설정한 IFF 코드를 리드한 후, 리드한 IFF 코드를 포함하는 응답신호를 생성한 후, 생성된 응답 신호를 원격 전투 관리체계(200)로 전송한다(S604). Among the swarm drone system 100, the drone for which the IFF code is set receives the interrog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mbat management system 200, and reads the IFF code set through the step S601 according to the received interrogation signal. , After generating a response signal including the lead IFF code, the generated respons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mote battle management system 200 (S604).

이어, 원격 전투 관리체계(200)는 군집 드론 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되는, 즉, 군집 드론 시스템(100) 내 IFF 코드가 설정된 드론(응답기가 설치된 드론)으로부터 전송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응답신호에 포함된 IFF 코드를 분석한다(S605).Subsequently, the remote combat management system 200 receives a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luster drone system 100, that is, from a drone for which the IFF code is set (a drone with a responder installed) in the cluster drone system 100, and receives The IFF code included in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is analyzed (S605).

이어, 수신된 응답신호에 포함된 IFF 코드를 분석하여, 해당 표적이 군집 드론 인지를 판단한다(S606).Then, by analyzing the IFF code included in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arget is a swarm drone (S606).

판단 결과, 해당 표적이 군집 드론으로 판단되는 경우, 즉, 해당 IFF 코드에 군집 드론을 의미하는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전시장치에 전시된 표적(다수의 군집 드론)을 도 4와 같이 하나의 표적으로 변경 전시하고, IFF 코드에 포함된 군집 드론의 규모 코드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의 형태, 군집 드론의 규모 정보를 전시장치에 전시하게 된다(S607). 여기서, 드론의 형태, 규모 정보는 도 5와 같이 팝업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으나, 도 4와 같이 표적이 전시된 화면의 일측 일영역에 별도로 전시할 수도 있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target is determined to be a cluster drone, that is, if the corresponding IFF code includes a code indicating a cluster drone, the target (multiple cluster drones) displayed on the exhibition device is classified as a single cluster drone as shown in FIG. It is displayed as a target, and according to the size code of the cluster drone included in the IFF code, as shown in FIG. 5, the drone type and size information of the cluster dron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S607). Here, the shape and scale information of the drone may be displayed in a pop-up form as shown in FIG. 5, but may also be separately displayed in one area on one side of the screen where the target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4.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군집 드론을 위한 피아식별 방법에서는, 하나의 드론에 IFF 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실시에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 응답기 담당 드론이 고장나거나 파괴되었을 경우를 대비하기 위하여, 최초 군집 드론 발사 시 3대(필요시 3+

Figure 112022066763871-pat00002
대)의 드론에 응답기를 설치하여 동일한 응답코드(IFF 코드)를 주입한 후 발사할 수 있다. In the peer identification method for cluster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tting an IFF code for one drone has been described as an embodiment, but in another embodiment, in order to prepare for a case where a drone in charge of a responder is broken or destroyed, the first 3 when launching swarm drones (3+ if needed)
Figure 112022066763871-pat00002
It can be launched after installing a responder on the drone of large) and injecting the same response code (IFF code).

3대의 드론 중 1대만 우선적으로 active 드론으로 응답기를 운용하고 나머지 드론의 응답기는 대기모드 상태로 발사된다(드론 1 active 역할, 드론 2 standby 역할, 드론 3 dormant 역할). Only one of the three drones operates as an active drone and the responder of the remaining drones is launched in standby mode (drone 1 active role, drone 2 standby role, drone 3 dormant role).

이후, 드론간 통신을 통해 active 드론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상호간 통신이 일정 시간(예를 들어, 3초)이상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드론 2가 active 드론으로 전환되어 응답기 담당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fterwards, the status of the active drone is checked in real time through inter-drone communication, and if mutual communication does not occur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eg, 3 seconds), drone 2 is switched to the active drone and takes charge of the responder. can be configured.

이와 같이, active 드론이 결정된 상태에서, active 드론과 원격 전투 관리체계(200)간의 동작은 상기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In this way, in the state where the active drone is determined, the operation between the active drone and the remote battle management system 200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operation described above.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군집 드론을 위한 피아식별 방법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identifying peers for swarm dro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or application) to be executed in combination with a computer, which is hardware, and stored in a medium.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Ruby,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program is C, C++, JAVA, Ruby, C, C++, JAVA, Ruby, which the processor (CPU) of the computer can read through the device interface of the computer so that the computer reads the program and executes the methods implemented as a program. It may include a code coded in a computer language such as machine language. These codes may include functional codes related to functions defining necessary functions for executing the methods, and include control codes related to execution procedures necessary for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to execute the function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cedure. can do. In addition, these codes may further include memory reference related codes for which location (address address) of the computer's internal or external memory should be referenced for additional information or media required for the computer's processor to execute the functions. have. In addition, when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needs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remote computer or server in order to execute the functions, the code uses the computer's communication module to determine how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remote computer or server. It may further include communication-related codes for whether to communicate, what kind of information or media to transmit/receive during communication, and the like.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medium is not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cache, or memory, but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is readable by a device. Specifically, examples of the storage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program may be stored in various recording media on various servers accessible by the computer or various recording media on the user's computer. In addition, the medium may be distributed to computer system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computer readable codes may be stored in a distributed manner.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군집 드론 시스템
110 : 입력부
120 : 저장부
130 : 응답기
140 : 통신부
200 : 원격 전투 관리체계
210 : 탐지장치
220 : 정보 처리부
230 : 질문기
240 : 통신부
250 : 응답기
260 : 전시장치
100: swarm drone system
110: input unit
120: storage unit
130: transponder
140: Ministry of Communication
200: remote combat management system
210: detection device
220: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30: interrogator
240: Ministry of Communication
250: transponder
260: display device

Claims (16)

군집 드론을 위한 피아식별 시스템에 있어서,
탐지된 표적의 피아 식별을 위한 질문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질문신호에 상응하는 응답 신호를 표적으로부터 수신한 후, 수신된 응답 신호에 포함된 IFF 코드를 분석하여 해당 표적이 군집 드론인 경우, 군집 드론을 하나의 표적으로 전시되도록 제어하는 피아식별 장치; 및
상기 피아식별 장치의 제어에 따라 군집 드론을 하나의 표적으로 전시하는 전시장치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피아식별장치와 전시장치는 원격 전투 관리체계내 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IFF 코드는,
상기 표적이 단독 드론인지 군집 드론인지를 구분하는 드론 형태 정보 및 군집 드론 규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피아식별 장치는,
상기 IFF 코드 분석에 따라 드론의 형태 및 규모 정보를 상기 전시장치에 전시하고,
상기 군집 드론 중 하나의 드론에 응답기를 설치하고, 드론의 형태(단독 또는 군집 드론) 정보와, 드론의 규모 정보를 포함하는 IFF 코드를 설정하고,
상기 응답기가 설치된 드론은,
군집 드론 발사 전, 상기 IFF 코드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IFF 코드를 설정 저장하는 저장부;
군집 드론 발사 후, 원격 전투 관리체계의 피아 식별 장치로부터 피아식별을 위한 질문 신호를 수신하고, 질문신호에 상응하는 응답 신호를 원격 전투 관리체계의 피아 식별 장치로 무선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피아 식별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질문신호에 상응하는 저장부에 설정된 IFF 코드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피아 식별 장치로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응답기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 전투 관리 체계 내 피아 식별 장치는,
표적이 탐지되면, 질문신호 생성 제어신호에 따라 표적의 피아 식별을 위한 질문 신호를 생성하는 질문기;
상기 질문기를 통해 생성된 피아식별을 위한 질문 신호를 상기 군집 드론으로 전송하고, 군집 드론 중 응답기가 설치된 일 드론으로부터 전송되는 IFF 코드가 포함된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표적이 탐지되면, 상기 질문기로 피아식별을 위한 질문신호 생성을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응답 신호에 포함된 IFF 코드를 분석하여, 해당 드론이 군집 드론인 경우, 군집 드론 전체를 하나의 표적으로 상기 전시장치에 전시되도록 제어하고, 드론의 형태 및 규모 정보를 상기 전시장치에 전시되도록 제어하는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군집 드론은,
적어도 3대 이상의 드론에 응답기를 설치하여 동일한 IFF 코드를 설정한 후, 발사하고, 3대 이상의 드론 중 1대의 드론을 active 드론으로 응답기를 운용하고 나머지 드론의 응답기는 대기모드 상태로 발사한 후(드론 1; active 역할, 드론 2; standby 역할, 드론 3; dormant 역할), 상기 응답기가 설치된 드론간 통신을 통해 active 드론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상호간 통신이 설정된 시간 이상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대기 모드 상태인 드론을 active 드론으로 전환하고, active 모드로 전환된 드론에 설치된 응답기를 이용하여 원격 전투 관리체계 내 피아식별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인 군집 드론을 위한 피아식별 시스템.
In the peer identification system for cluster drones,
Generates and transmits an interrogation signal for identification of a mate of the detected target, receives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terrogation signal from the target, and analyzes the IFF code included in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to determine if the target is a swarm drone. a peer identification device that controls cluster drones to be exhibited as one target; and
A display device displaying the cluster drones as a target under the control of the friend identification device, wherein the identification friend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are provided within a remote combat management system;
The IFF code,
Includes at least one of drone type information and cluster drone size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whether the target is a single drone or a cluster drone;
The peer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FF code analysis, information on the shape and size of the dron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 responder is installed in one of the drones in the cluster, and an IFF code including drone type (single or cluster drone) information and drone size information is set,
The drone with the responder installed,
an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IFF code before launching the swarm drones;
a storage unit configured to store the IFF cod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fter launching the swarm drone,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question signal for identifying a friend or foe from a peer identification device of the remote battle management system, and wirelessly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 signal to the peer identification device of the remote battle management system; and
a responder for generating a response signal including an IFF code set in a storage unit corresponding to an interrog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evice for identifying a frien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controlling the response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device for identifying a frien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peer identification device in the remote battle management system,
When a target is detected, an interrogator generating an interrogation signal for identifying a friend of the target according to an interrogation signal generation control signal;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 interrogation signal for identification of a friend or foe generated through the interrogator to the cluster drone and receiving a response signal including an IFF code transmitted from one drone among the cluster drones in which a responder is installed;
When a target is detected, the interrogator provides a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an interrogation signal for identifying peers, analyzes the IFF code included in the respons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if the corresponding drone is a cluster drone, the cluster drone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controls the whol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s one target and controls the shape and size information of the dron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The swarm drone,
After setting the same IFF code by installing a responder on at least 3 drones, launching it, operating the responder of one of the 3 or more drones as an active drone, and launching the responder of the remaining drones in standby mode ( Drone 1; active role, drone 2; standby role, drone 3; dormant role), the status of the active drone is checked in real time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drones where the responder is installed, and if communication is not established for more than the set time, A peer identification system for swarm drones that converts a drone in standby mode into an active drone and communicates with a peer identification device in the remote combat management system using a responder installed in the drone that has been switched to active mo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군집 드론을 위한 피아식별 방법에 있어서,
원격 전투 관리체계의 피아식별 장치에서, 탐지된 표적의 피아 식별을 위한 질문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질문신호에 상응하는 응답 신호를 표적으로부터 수신한 후, 수신된 응답 신호에 포함된 IFF 코드를 분석하여 해당 표적이 군집 드론인 경우, 군집 드론을 하나의 표적으로 전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에 따라 군집 드론을 하나의 표적으로 전시장치에 전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IFF 코드는,
상기 표적이 단독 드론인지 군집 드론인지를 구분하는 드론 형태 정보 및 군집 드론 규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전시하는 단계는,
상기 IFF 코드 분석에 따라 드론의 형태 및 규모 정보를 더 전시하고,
상기 전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군집 드론 발사 전, 군집 드론 중 하나의 드론에 응답기를 설치하고, 피아 식별을 위한 IFF 코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원격 전투 관리체계에서, 탐지된 군집 드론의 피아 식별을 위한 질문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질문신호에 상응하는 IFF 코드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군집 드론 중 상기 응답기가 설치된 드론으로부터 수신한 후, 수신된 응답 신호에 포함된 IFF 코드를 분석하여 해당 드론이 군집 드론에 포함된 경우, 군집 드론을 하나의 표적으로 전시장치에 전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IFF 코드는,
드론의 형태(단독 또는 군집 드론) 정보와, 군집 드론의 규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표적이 탐지되면, 탐지된 표적의 피아 식별을 위한 질문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전송하는 단계;
군집 드론 시스템 중 응답기가 설치된 일 드론으로부터 전송되는 IFF 코드가 포함된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응답 신호에 포함된 IFF 코드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결과, 해당 드론이 군집 드론에 포함된 드론인 경우, 군집 드론을 하나의 표적으로 전시장치에 전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시장치에 전시하는 단계는,
드론의 형태 및 규모 정보를 더 전시하는 것인 군집 드론을 위한 피아식별 방법.
In the peer identification method for cluster drones,
In the peer identification device of the remote combat management system, a question signal for identifying a friend or foe of a detected target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and after receiving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 signal from the target, the IFF code included in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is transmitted. analyzing and, if the target is a cluster drone, controlling the cluster drone to display as one target; and
Displaying the cluster drones as one target on an exhibition device according to the control,
The IFF code,
Includes at least one of drone type information and cluster drone size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whether the target is a single drone or a cluster drone;
The displaying step is
According to the IFF code analysis, the shape and size information of the drone is further displayed,
The step of controlling to display,
Before launching the cluster drones, installing a responder in one of the cluster drones and setting an IFF code for peer identification; and
In the remote combat management system, a question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identify a peer of the detected cluster drone, and a response signal including an IFF code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 signal is received from a drone in which the responder is installed among the cluster drones, and then received Analyzing the IFF code included in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and controlling the cluster drones to be displayed on the exhibition device as a target if the corresponding drones are included in the cluster drones,
The IFF code,
Including drone type (single or cluster drone) information and size information of cluster drones,
The control step is
generating and wirelessly transmitting an interrogation signal for identifying a peer of the detected target when the target is detected;
Receiving a response signal including an IFF code transmitted from a drone in which a responder is installed among the swarm drone system;
analyzing an IFF code included in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f the corresponding drone is a drone included in a cluster drone, displaying the cluster drone as a target on an exhibition device;
The step of exhibiting on the display device,
A peer identification method for swarm drones that further displays drone shape and size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군집 드론 중 적어도 3대 이상의 드론에 응답기를 설치하여 동일한 IFF 코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3대 이상의 드론 중 1대의 드론을 active 드론으로 응답기를 운용하고 나머지 드론의 응답기는 대기모드 상태(드론 1; active 역할, 드론 2; standby 역할, 드론 3; dormant 역할)로 발사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기가 설치된 드론간 통신을 통해 active 드론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상호간 통신이 설정된 시간 이상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대기 모드 상태인 드론을 active 드론으로 전환하고, active 모드로 전환된 드론에 설치된 응답기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 전투 관리체계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군집 드론을 위한 피아식별 방법.
According to claim 9,
In the setting step,
setting the same IFF code by installing a responder in at least three or more drones among the drones in the cluster;
Operating a responder of one of the three or more drones as an active drone and launching the responders of the remaining drones in a standby mode state (drone 1; active role, drone 2; standby role, drone 3; dormant role); and
The status of the active drone is checked in real time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drones where the responder is installed. The step of communicating with the remote combat management system using an installed responder.
KR1020220078075A 2022-06-27 2022-06-27 Identification friend or foe system and method for swarm drone KR1024744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075A KR102474465B1 (en) 2022-06-27 2022-06-27 Identification friend or foe system and method for swarm dr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075A KR102474465B1 (en) 2022-06-27 2022-06-27 Identification friend or foe system and method for swarm dr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465B1 true KR102474465B1 (en) 2022-12-06

Family

ID=84407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075A KR102474465B1 (en) 2022-06-27 2022-06-27 Identification friend or foe system and method for swarm dr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46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715B1 (en) * 2023-06-27 2024-01-1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Hybrid type micro identification friend or foe apparatus based on free space optics technology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5767A (en) * 2009-02-12 2010-08-26 Toshiba Denpa Products Kk Laser iff system
KR101971684B1 (en) * 2018-12-14 2019-04-2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System and apparatus for laser identification of friend or foe
KR102028325B1 (en) * 2018-07-31 2019-11-04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for Interworking in Identification Friend or Foe
KR20200131081A (en) * 2019-05-13 2020-11-23 국방과학연구소 Dron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countering hostile dron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5767A (en) * 2009-02-12 2010-08-26 Toshiba Denpa Products Kk Laser iff system
KR102028325B1 (en) * 2018-07-31 2019-11-04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for Interworking in Identification Friend or Foe
KR101971684B1 (en) * 2018-12-14 2019-04-2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System and apparatus for laser identification of friend or foe
KR20200131081A (en) * 2019-05-13 2020-11-23 국방과학연구소 Dron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countering hostile dron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awn M.K. Zoldi. PIFF technology aims for a safer battlefield, [online], 2021년 5월, [2022년 7월 26일 검색], 인터넷: <URL: http://https://militaryembedded.com/>*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715B1 (en) * 2023-06-27 2024-01-1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Hybrid type micro identification friend or foe apparatus based on free space optics technology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2939B2 (en) Integrated live and simulation environment system for an aircraft
US8616883B2 (en) Simulation control system for an integrated live and simulation environment for an aircraft
US9721478B2 (en) Integrated live and simulation environment system for an aircraft
EP1901144B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generating input information to a simulation device
US8909394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reat status for combat aircrafts
KR102474465B1 (en) Identification friend or foe system and method for swarm drone
US8986011B1 (en) Occlusion server for an integrated live and simulation environment for an aircraft
Lemons et al. F-35 mission systems design, development & verification
US9368043B1 (en) Training target tagging system and related method
Beaudoin et al. Potential threats of UAS swarms and the countermeasure’s need
Holland et al. Using agents to model the kill chain of the ballistic missile defense system
Lee Embracing autonomy: The key to developing a new generation of remotely piloted aircraft for operations in contested air environments
KR20200003525A (en) Ground control station for controlling of suicide type unmanned plane
Giampapa et al. Extending the ONESAF Testbed into a C4ISR Testbed
Grant CEC: Sensor netting with integrated fire control
Edmonds et al. Russian Military Autonomy in a Ukraine Conflict
Proietti et al. Modelling and simulation to support the counter drone operations (NMSG-154)
Papasimeon et al. The human agent virtual environment
Teo Closing the gap between research and field applications for multi-UAV cooperative missions
Yi Manned-Unmanned Teaming-An Analysis of UAVs and Their Interoperability with Manned Aircraft
Murray Marine Aviation Readiness
Musick Defense applications
KR20210060834A (en) A multi-access multiple cooperation military education training system
Rees Micro UAVs boost BDA mission: PREDATOR'SILENTEYES'DEMONSTRATED; TASK FORCE ARNOLD MULLS BUY
Martinic 'Drones' or'smart'unmanned aerial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