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066B1 -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해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 Google Patents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해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066B1
KR102474066B1 KR1020220052939A KR20220052939A KR102474066B1 KR 102474066 B1 KR102474066 B1 KR 102474066B1 KR 1020220052939 A KR1020220052939 A KR 1020220052939A KR 20220052939 A KR20220052939 A KR 20220052939A KR 102474066 B1 KR102474066 B1 KR 102474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height
cas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종배
Original Assignee
(주)원지리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지리정보 filed Critical (주)원지리정보
Priority to KR1020220052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4Map manufacture or repair; Tear or ink or water resistant maps; Long-life m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2Picture tak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mmetry or photographic surveying, e.g. controlling overlapping of pi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4Interpretation of pi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5/0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ometry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지DB, 이미지검색모듈, 이미지출력모듈, 지점선택모듈, 이미지탐색모듈, 이미지수정모듈 및 이미지갱신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기준지상물에 인접한 지표면에 설치되어 수정지상물을 촬영하며 기준지상물과 수정지상물 사이의 중심거리 및 수정지상물의 높이 정보를 연산하는 지상측정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지상물의 평면부 이미지만을 표현할 수 있도록 수정되어 사용자가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해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해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SYNTHESIS OF COORDINATE INFORMATION AND TOPOGRAPHIC INFORMATION}
본 발명은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해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치지도는 기존의 아날로그 형태의 종이지도를 측량지도, 항공사진, 위성영상 등에 의해 얻어진 각종 지형자료를 해석하여 수치 편집하여 디지털 형태의 지도로 제작한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수치지도의 구축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종이지도를 디지타이징(digitizing)이나 스캐닝(scanning)하여 수치지도의 형태의 도화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도화에 좌표 변환을 통해 사용자의 목적에 맞도록 실제 좌표계로 변환한다.
이후, 공간 객체 간의 상호 위치성과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한 위상 구조를 정립한 수치지도에 속성자료를 입력한다. 이때 상기 속성자료는 다양한 식별자 정보들이 포함되며, 일 예로써 국토지리정보원의 수치지도의 지형지물에 대한 식별자로는 지형지물 전자식별자(UFID : Unique Feature Identifier)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지형물에 부여되는 위치정보, 관리기관, 타 속성정보 등을 나타내는 단일 식별자로 지형지물의 유일하게 부여되는 식별자를 말하여, 기관코드, 도엽번호, 지형지물 식별코드, 일련번호 필드 등으로 구성되어 지형지물의 관리, 검색 및 활용을 위해 다른 지리정보와의 연계 또는 지형지물간의 상호참조를 위한 식별자로 사용된다.
그러나 생성된 도화는 항공사진, 위성영상의 판독을 통해 입력되기 때문에 도화의 지형지물의 정확도를 보장하기 어려우며, 또한 이에 따라 각 지형지물에 부여되는 속성자료의 정확도도 보장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수치지도 제작자들은 수치지도의 정확도를 보장하기 위해 도 1에서 기재하고 있는 수치지도 생성 방법의 과정을 통해 보다 정확한 수치지도를 제작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수치지도 제작자는 측량지도, 항공사진, 위성영상 등 디지타이징(digitizing)이나 스캐닝(scanning)을 통해 생성된 도화를 종이에 프린트하여(S10), 프린트된 도화의 해당 지역으로 현장조사를 수행한다(S20).
이때, 상기 현장조사에서는 실제 장소에 프린트된 도화에 표시된 건물, 도로(포장, 비포장), 철도, 공원, 하천, 산, 논, 밭 등의 다양한 인공지물과 자연지형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또는 실제 장소에 위치하는 인공지물과 자연지형의 크기, 방향, 형태가 도화에도 정확히 표시되어 있는지 등을 직접 확인하고, 다른 부분이 있으면 도화에 수작업으로 직접 수정한다.
아울러, 해당 인공지물 및 자연지형의 상호, 명칭 및 기본정보(건물의 층수, 도로나 하천의 폭 등)등의 속성자료들을 도화의 해당 위치에 일일이 수작업으로 표기한다.
이렇게 현장조사를 통해 도화에 잘못 묘사된 인공지물 및 자연지형과, 각 인공지물과 자연지형의 속정자료들의 표기가 완료되면, 상기 표기된 도화를 이용하여 전산화 작업을 통한 최초 생성된 도화에 상기 변경정보 및 속성자료를 표시하여 도화 및 지도입력 성과를 수정하고 보완함으로써, 지형, 지물의 지리적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정위치 편집을 수행한다(S30).
이어 상기 정위치 편집을 통해 편집된 지형, 지물을 기하학적 형태로 구성하고 필요한 대상을 점, 선, 면 및 네트워크 영역분할의 모델 또는 이를 조합한 기하모델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정의한 점, 선, 면 형태화를 기반으로 일일이 해당되는 인공지물 및 자연지형에 전산화 작업을 통한 수작업으로 표시하고 편집하는 구조화 편집을 수행한다(S40). 이때, 상기 구조화 편집에서는 도화에 표시되는 속성자료는 숨겨진(화면에 표지되지 않고 저장된) 상태로 편집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상기 구조화 편집까지 완료되면,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치지도를 제작 및 인쇄하여 수치지도 제작을 요청한 국토지리정보원에 제공한다(S50). 이때 상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구조화 편집된 도화를 정의된 형태로 변경시키는 프로그램으로 이는 통상적으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공지된 프로그램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수치지도 제작방법은 항공촬영이미지의 제공이 반드시 전제되어야 하고, 항공촬영이미지는 지상으로부터 일정한 고도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촬영된 것이므로 항공기의 연직 방향에 위치한 지상물을 제외하곤 이와 인접하는 다른 지상물들은 측면이 포함돼 촬영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종래 수치지도 제작방법을 통해 제작된 수치지도는 동일한 지도임에도 불구하고 인접하는 건물들이 전혀 다른 방향으로 기울어져 보이게 되고, 사용자는 낯선 지역에 대한 지도 해석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상물의 평면부 이미지만을 표현할 수 있도록 수정되어 사용자가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해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GPS좌표가 적용된 촬영이미지 데이터, 촬영 고도 정보 및 지상물의 높이 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DB; 이미지DB의 데이터 및 정보를 검색하는 이미지검색모듈; 이미지검색모듈이 검색한 촬영이미지 데이터를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하는 이미지출력모듈; 이미지출력모듈에 출력된 촬영이미지 내에 지정된 한 쌍의 초기점과 한 쌍의 말기점의 좌표값을 확인하고, 좌표값을 잇는 기준직선을 설정하여 초기점과 말기점으로 둘러싸인 범위를 도로이미지의 범위로 확정하는 지점선택모듈; 미리 설정된 탐색 기준에 따라 수정지상물이미지를 탐색하는 이미지탐색모듈; 기준지상물과 수정지상물 사이의 중심거리, 촬영 고도 및 수정지상물의 높이를 확인하여 카메라의 촬영각을 연산하고, 수정지상물이미지의 평면부 폭과 카메라의 촬영각을 확인하여 수정된 평면부 폭을 연산하며, 수정지상물이미지의 수정 전 평면부 이미지를 분리해서 수정된 평면부 폭에 맞춰 그 크기를 조정하고, 수정지상물이미지의 측면부 이미지는 제거하는 이미지수정모듈; 및 측면부 이미지가 제거된 촬영이미지에 수정된 평면부를 합성하고, 수정지상물이미지의 측면부 이미지 제거로 형성된 음영부분의 GPS좌표를 확인해서 이미지DB에서 음영부분의 실제이미지를 포함한 다른 촬영이미지를 이미지검색모듈을 매개로 검색하며, 다른 항공촬영이미지의 실제이미지를 크기 및 해상도를 일치시켜서 음영부분에 합성하고, 이미지DB의 촬영이미지 데이터를 갱신하는 이미지갱신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해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은, 상기 기준지상물에 인접한 지표면에 설치되어 수정지상물을 촬영하며 기준지상물과 수정지상물 사이의 중심거리 및 수정지상물의 높이 정보를 연산하는 지상측정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해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서 상기 지상측정기는, 지면에 설치되는 탄성지지유닛; 하부가 탄성지지유닛에 수용되어 탄성 지지되며, 회전모터 및 회전스크류를 구비하는 회전부; 회전부와 통신하여 회전부를 제어할 수 있는 회전제어부; 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 및 높이조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카메라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해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서 상기 탄성지지유닛부는, 회전모터의 외벽을 감싸도록 회전모터에 결합되는 클램프부; 일측부가 클램프부에 탈착 결합되어 클램프부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 클램프부와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가 내부에 수용되며,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의 타측부가 탈착 결합되고 탄성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용바디; 및 일측부는 수용바디의 외벽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탄성케이스의 내벽에 탈착 결합되어 수용바디를 탄성지지하는 복수의 제2탄성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해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서 상기 클램프부는, 회전모터의 일측부를 둘러싸며 양단부에 제1플랜지가 마련된 제1클램프바디; 회전모터의 타측부를 둘러싸며 양단부에 제2플랜지가 마련된 제2클램프바디; 서로 마주보는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에 결합되어 제1클램프바디와 제2클램프바디를 회전모터에 체결시키는 체결부; 및 제1클램프바디와 제2클램프바디에 마련되어 자력으로 제1클램프바디와 제2클램프바디를 회전모터에 부착시키는 복수의 클램프자석부재;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해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서 상기 제2탄성지지부는, 일측부는 수용바디의 외벽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탄성케이스의 내벽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 양단부가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에 각각 결합되는 제2스프링;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제2자석부재; 및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제2스프링을 밀폐하는 주름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해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서 상기 회전제어부는, 원통형의 삽입구가 형성된 회전케이스; 삽입구의 내측 하부면에 장착되는 버튼통신부; 삽입구에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어모듈; 제어모듈의 하부면과 삽입구의 하부면 사이에 장착되는 다수의 회전탄성부재; 및 삽입구의 상단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회전제어커버;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해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서 상기 높낮이부는, 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높이케이스; 높이케이스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높이로드; 높이로드의 측부에 결합되어 높이로드의 외측면과 높이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높이조절판; 높이케이스와 연결되어 높이케이스 내부의 유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유압펌프; 및 일측이 높이케이스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1열교환기와 연결되며, 높이케이스 내부의 유체를 선택적으로 제1열교환기에 공급할 수 있는 공급밸브;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해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서 상기 공급밸브는, 내부가 온도감지실 및 유체배출실로 구획되어 있는 밸브케이스; 온도감지실과 높이케이스 사이를 연결하는 공급유로; 온도감지실 내부에 장착되어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제1이동부; 온도감지실과 유체배출실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유로; 유체배출실 내부에 장착되어 온도감지실로부터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제2이동부; 유체배출실과 제1열교환기 사이를 연결하는 제1배출유로; 및 유체배출실과 제2열교환기 사이를 연결하는 제2배출유로;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해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서 상기 제1이동부는, 온도감지실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1이동케이스; 제1이동케이스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1이동로드; 제1이동로드의 단부에 결합되어 중간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제1개폐유닛; 및 제1이동케이스와 제1개폐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제1이동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해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서 상기 제2이동부는, 유체배출실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2이동케이스; 제2이동케이스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2이동로드; 제2이동로드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2배출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제2개폐유닛; 및 제2이동케이스와 제2개폐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제2이동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지상물이미지에서 측면부 이미지를 제거하고 평면부 이미지만 출력되도록 하여 이웃하는 다른 지상물이미지와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도심지와 같이 수많은 지상물이 위치한 지역에서 효과적으로 길안내를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지상측정기를 이용하여 기준지상물과 수정지상물 사이의 중심거리 및 수정지상물의 높이 정보를 정확하게 연산할 수 있으므로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수치지도 제작 및 갱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해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제작시스템이 적용되는 촬영이미지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제작시스템의 처리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 의해 수정된 지상물이미지의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 따라 보정된 수직 영상을 도시한 이미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제작시스템 적용을 위한 항공 촬영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측정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유닛의 종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부의 횡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제어부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밸브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커버부가 하부로 이동되어 결합바가 결합홈에 치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바디가 카메라바디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해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제작시스템이 적용되는 촬영이미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제작시스템은 이미지DB(210), 이미지검색모듈(220), 이미지출력모듈(230), 지점선택모듈(240), 이미지탐색모듈(250), 이미지수정모듈(260) 및 이미지갱신모듈(2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미지DB(210)는 GPS좌표가 적용된 촬영이미지 데이터, 항공기의 촬영 고도 정보 및 지상물의 높이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이미지검색모듈(220)은 이미지DB(210)의 특정 데이터 및 정보를 검색한다.
상기 이미지출력모듈(230)은 이미지검색모듈(220)이 검색한 촬영이미지 데이터를 읽고 출력한다. 상기 이미지출력모듈(230)은 화면 입력기능을 가지는 공지의 터치스크린에 촬영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이미지출력모듈(230)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터치한 지점을 확인하여 해당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출력모듈(230)은 '포토샵(어도비 시스템즈사에서 개발한 레스터 그래픽 편집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대표적인 운영체제인 윈도우의 그래픽 편집기인 '그림판' 등과 같이 이미지 데이터를 확인해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는 통상적인 프로그램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점선택모듈(240)은 촬영이미지에서 수정해야 할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탐색 기준을 설정한다. 이러한 탐색 기준으로는 촬영이미지에 포함된 도로이미지(30)가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기준지상물(10)과 수정지상물(20)의 인접 지역에는 아스팔트와 같이 균일한 색상의 골재가 포장된 도로가 위치한다. 이러한 도로는 기준지상물(10) 또는 수정지상물(20)과 매우 근접하므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수정지상물(20)의 측면부가 촬영되어 도로 쪽으로 기울어진 외관을 보이게 되는 수정지상물이미지(20a)는 도로이미지(30)의 가장자리 부분을 점유할 수밖에 없다.
상기 지점선택모듈(240)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지정한 한 쌍의 초기점(P1)과 한 쌍의 말기점(P2)을 기준으로 해당 범위 내에 있는 이미지를 도로이미지(30)로 확정한다. 즉, 지점선택모듈(240)은 사용자가 선택한 초기점(P1) 및 말기점(P2)의 각 좌표값을 확인해서 이를 기준직선으로 연결해 잇고, 이렇게 형성된 기준직선은 도로의 경계가 되면서 도로이미지(30)의 범위가 확정되는 것이다.
상기 이미지탐색모듈(250)은 지점선택모듈(240)에 의해 설정된 탐색 기준에 따라 수정지상물이미지(20a)를 탐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미지탐색모듈(250)은 지점선택모듈(240)에 의해 범위와 그 경계가 확정된 도로이미지(30)의 색상을 확인한 후, 도로이미지(30)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픽셀의 지정된 색상을 확인하여 도로이미지(30)의 색상과 비교해 그 일치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이미지탐색모듈(250)은 앞서 설정한 기준직선에 해당하는 픽셀의 지정된 색상을 확인하고, 이렇게 확인된 색상과 도로이미지(30)의 색상을 비교하여 일정 길이 이상 도로이미지(30)의 색상과는 불일치하면서 서로는 동일한 색상이 지정된 픽셀의 구간(T)이 확인되면, 해당 구간(T)은 수정지상물이미지(20a)가 위치한 것으로 간주해 이를 수정대상으로 설정한다.
만약, 수정지상물이미지(20a)에 해당하는 픽셀의 지정 색상과 도로이미지(30)에 해당하는 픽셀의 지정 색상이 일치하여 구간(T)이 확인되지 않는다면, 기준직선의 주변 픽셀의 지정 색상도 아울러 확인해서 기준직선으로부터 일정간격이상 벗어난 위치의 픽셀에도 도로이미지(30)의 색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이 연속적으로 확인되면, 이를 수정지상물이미지(20a)로 간주해서 수정대상으로 설정한다.
상기 이미지수정모듈(260)은 설정된 수정지상물이미지(20a)를 수정하고, 상기 이미지갱신모듈(270)은 수정된 수정지상물이미지(20a)를 기존의 촬영이미지 데이터에 적용해 합성 및 갱신 처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제작시스템의 처리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 의해 수정된 지상물이미지의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 따라 보정된 수직 영상을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제작시스템 적용을 위한 항공 촬영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제작시스템은 항공촬영시 촬영되는 지상물의 측면부를 보정하여 지도로서 완성된 이미지가 지상물의 평면만을 정확히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촬영이미지가 지도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S11 : 수정대상 선택단계
상기 이미지출력모듈(230)은 다양한 지상물이미지(10a, 20a)를 포함하는 항공촬영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지점선택모듈(240)과 이미지탐색모듈(250)은 수정지상물이미지(20a)를 탐색해 결정한다.
S12 : 수정대상 기준점 설정단계
수정지상물이미지(20a)가 결정되면, 촬영이미지에서 수정지상물이미지(20a)가 점유하고 있는 범위를 확인하고, 수정지상물이미지(20a)가 갖는 경계선을 기준점(a1 내지 a6)으로 설정한다.
기준점(a1 내지 a6)으로 선택되는 경계선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평면부와 측면부의 경계부에 위치한 경계선(a3, a4)도 포함된다.
상기 이미지탐색모듈(250)은 수정지상물이미지(20a)에 해당하는 픽셀의 지정색상을 확인하여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경계를 확정하고, 이렇게 확정된 경계에서 모서리부분을 확인해서 기준점(a1 내지 a6)으로 설정한다.
이미지탐색모듈(250)은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기준점(a1 내지 a6)이 설정되면, 이러한 기준점(a1 내지 a6)을 기준으로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전체 폭(w1)과 평면부 폭(w2)을 각각 연산한다.
아울러, 기준점(a1 내지 a6)이 설정되면, 이미지탐색모듈(250)은 픽셀을 매개로 해당 지점에 대한 좌표값을 확인하고, 이러한 좌표값들을 이용해 공지의 연산방법으로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전체 폭(w1)과 평면부 폭(w2)을 연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체 폭(w1)과 평면부 폭(w2)이란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기울어진 방향으로의 전체 및 평면부의 길이가 될 것이다.
S13 : 기준대상 선택단계
비행 중인 항공기에서 지상을 촬영할 시에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특정 지상물의 평면이 정확히 촬영될 수 있다. 물론, 기준지상물(10)의 평면만을 100%로 촬영해서 항공촬영이미지에 출력할 수는 없으므로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때 평면으로 지각되면서 주변 도로이미지(30)를 식별할 수 있다면 기준지상물이미지(10a)로 선택되기에 충분하다.
한편, 사용자는 전술한 조건을 충족하는 기준지상물(10)을 기준대상으로 선택하되, 수정대상으로 선택된 수정지상물(20)의 위치를 고려해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기준지상물(10)은 수정지상물(20)의 측면이 보이도록 기울어진 방향과 동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지상물을 선택해서 이를 기준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미지탐색모듈(250)은 수정지상물이미지(20a)가 도로이미지(30)를 덮은 방향으로 검색직선을 형성하고, 이미지출력모듈(230)은 이러한 검색직선을 터치스크린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검색직선 상에 위치한 이미지들 중 기준지상물이미지(10a)로 선택할 지점을 터치해 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S14 : 기준대상 기준점 설정단계
기준지상물이미지(10a)가 선택되면, 이미지탐색모듈(250)은 사용자가 터치한 지점 픽셀의 지정 색상을 확인하여 당해 색상과 동일/유사한 픽셀의 범위를 기준지상물이미지(10a)의 경계로 확정하고, 이렇게 확정된 경계선을 기준점(b1 내지 b4)으로 설정한다.
상기 기준점(b1 내지 b4)이 설정되면, 이미지탐색모듈(250)은 기준점(b1 내지 b4)을 기준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기준지상물이미지(10a)의 평면 폭(L1)을 연산한다.
S15 : 촬영각 연산단계
기준지상물이미지(10a)가 선택되면, 이미지수정모듈(26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 중인 항공기가 기준지상물(10)의 직상방에 위치하면서 해당 기준지상물(10)을 촬영하는 것으로 구조화한다.
상기 이미지수정모듈(260)은 기준지상물(10)과 수정지상물(20) 간의 실제 중심거리(d)를 확인한다. 기준지상물(10)과 수정지상물(20) 간의 실제 중심거리(d)는 후술되는 지상측정기(100)를 통해 정밀하게 획득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미지검색모듈(220)은 이미지DB(210)에서 당해 촬영이미지 촬영시 항공기의 고도(h2)와 수정지상물(20)의 실제 높이(h1)를 확인한다. 수정지상물의 실제 높이(h1) 역시 후술되는 지상측정기(100)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수정모듈(260)은 항공기에서 촬영된 수정지상물(20)의 촬영각(θ)을 연산한다. 여기서 촬영각(θ)이란 카메라의 촬영방향과 수정지상물(20)의 배치방향의 각을 가리키는 것이다. 따라서, 항공기가 기준지상물(10)의 직상방에 위치하면서 항공기의 카메라가 기준지상물(10)을 촬영하는 촬영각(θ)은 '0도'가 될 것이다.
촬영각(θ) 연산은 [tanθ = (h2 - h1) / d]로 이루어진다.
S16 : 수정대상 범위연산단계
도시한 바와 같이, 항공기의 카메라가 수정지상물(20)의 직상방에 위치하지 못하면, 촬영된 수정지상물이미지(20a)는 수정지상물(20)의 평면부와 측면부가 포함돼 출력된다.
즉, 수정지상물이미지(20a)가 점유하는 것처럼 보이는 항공촬영이미지 내 면적은 수정지상물(20)이 지상을 점유하는 평면적을 항공촬영이미지의 축척 정도로 연산해 얻은 면적과 차이가 있는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수정지상물이미지(20a)는 항공촬영시 수정지상물(20)이 비스듬히 촬영되면서 그 수정지상물이미지(20a)에 수정지상물(20)의 평면부와 측면부가 포함되고, 이로 인해 수정지상물(20)이 실제로 점유하지 않은 지상부분이 수정지상물(20)에 의해 가려진다.
이렇게 촬영된 항공촬영이미지에는 수정지상물(20)이 가린 부분도 수정지상물(20)의 일부분으로 확인되어서 수정지상물이미지(20a)는 수정지상물(20)의 실제 모습보다 큰 구조물로 보이게 된다.
이러한 오류는 수정지상물이미지(20a)에 인접하는 도로이미지(30)까지도 가려서 보이지 않게 하므로 당해 항공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된 지도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혼란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항공촬영이미지에 출력된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크기를 보정하여 항공기가 수정지상물(20)의 직상방에서 촬영한 것과 같은 효과를 발하는 항공촬영이미지 수정을 진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미지수정모듈(260)은 보정해야 할 항공촬영이미지 내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평면부 폭(w2)과 촬영각(θ)을 연산하여 수정지상물(20)의 평면을 직상방에서 촬영했을 때의 수정된 평면부 폭(L2)을 구한다.
평면부의 폭(L2) 연산은 [sin(90-θ) = w2 / L2]로 이루어진다.
S17 : 수정대상 이미지보정단계
상기 이미지수정모듈(260)은 수정된 평면부 폭(L2)에 맞춰 보정된 수정지상물이미지(20a')를 완성한다. 보정된 수정지상물이미지(20a')는 기존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측면부는 제거되고, 평면부의 크기는 수정된 평면부 폭(L2)에 맞춰 보정된다.
우선, 기존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평면부 만을 절개해 독립된 평면이미지로 확보한다. 이렇게 확보된 평면이미지는 기존의 수정지상물이미지(20a) 평면부의 폭(w2) 대비 수정된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수정된 평면부 폭(L2)의 비율에 따라 변형되는데, 이러한 변형은 공지의 이미지변형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갱신모듈(270)을 이용한 수정된 평면부를 합성할 때의 기준은 기준지상물이미지(10a)와 직접 마주하는 경계선(a1, a2)으로 한다. 이는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기울어진 모습과는 상관없이 기준지상물이미지(10a)와 비교해 상기 경계선(a1, a2)은 지상에서 항시 고정된 위치이기 때문이다.
S18 : 이미지합성단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수정이 완료되면, 기존 수정지상물이미지(20a)가 점유해 출력되지 못했던 음영부분(D)의 처리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이미지갱신모듈(270)은 이미지검색모듈(220)을 통해 이미지DB(210)에서 음영부분(D)의 실제이미지가 촬영된 다른 항공촬영이미지를 검색하고, 이렇게 검색된 다른 항공촬영이미지를 수정지상물이미지(20a')가 포함된 항공촬영이미지의 크기 및 해상도에 일치시킨다.
참고로, 이미지DB(210)에 저장된 항공촬영이미지는 수치지도로서 그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이므로 상기 항공촬영이미지에는 GPS좌표가 적용된 수치지도데이터이다.
따라서, 이미지갱신모듈(270)은 음영부분(D)에 대한 GPS좌표를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이미지DB(210)를 검색해서 음영부분(D) 전체가 정상적으로 출력된 다른 항공촬영이미지를 검색할수 있다.
상기 실제이미지와 항공촬영이미지의 크기 및 해상도가 일치되면, 이미지갱신모듈(270)은 다른 항공촬영이미지에서 절개된 음영부분(D)의 실제이미지를 수정지상물이미지(20a')를 포함한 항공촬영이미지의 음영부분(D)에 합성하여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음영부분(D)을 제거하고, 완전한 수직영상이 출력되도록 한다.
S19 : 수직영상 데이터갱신단계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보정이 완료되면, 상기 이미지갱신모듈(270)은 실제이미지가 합성된 항공촬영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DB(210)에 입력해 갱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측정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유닛의 종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부의 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지상측정기(100)는 기준지상물(10)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수정지상물을 촬영하며 기준지상물과 수정지상물 사이의 중심거리(d) 및 수정지상물의 높이 정보(h1)을 연산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상측정기(100)는 지면에 설치되는 탄성지지유닛(700), 하부가 탄성지지유닛(700)에 수용되어 탄성 지지되며, 회전모터(610) 및 회전스크류(620)를 구비하는 회전부(600), 회전부(600)와 통신하여 회전부(600)를 제어할 수 있는 회전제어부(300), 회전부(6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400) 및 높이조절부(4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카메라부(80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600)의 작동에 따라 카메라부(800)가 수정지상물(20)을 직선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배치되면 지상측정기로부터 수정지상물까지의 거리 정보(d')를 획득할 수 있으며, 지상측정기로부터 수정지상물의 상단까지의 각도 정보(θ')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기준지상물과 수정지상물 사이의 중심거리(d)는 [d = d' + L1/2 + L2/2]로 구해지고, 수정지상물의 높이 정보(h1)는 [tanθ' = h1 / d']로 구해진다.
물론, 이때 상기 지상측정기(100) 자체의 크기와 높이로 인해 기준지상물과 수정지상물 사이의 중심거리(d) 및 수정지상물의 높이 정보(h1)의 약간의 오차가 있을 수 있으나, 수십, 수백 미터에 달하는 건물의 크기나 높이에 비해서는 무시할만한 수준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지지유닛(700)은, 회전모터(610)의 외벽을 감싸도록 회전모터(610)에 결합되는 클램프부(710)와, 일측부가 클램프부(710)에 탈착 결합되어 클램프부(710)를 탄성지지하는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720)와, 클램프부(710)와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720)가 내부에 수용되며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720)의 타측부가 탈착 결합되고 탄성케이스(750)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용바디(730)와, 일측부는 수용바디(730)의 외벽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탄성케이스(750)의 내벽에 탈착 결합되어 수용바디(730)를 탄성지지하는 복수의 제2탄성지지부(74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600)는 회전모터(610) 및 회전스크류(620)를 구비하며, 상부에 결합된 높이조절부(400) 및 카메라부(8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클램프부(710)는, 회전모터(610)의 일측부를 둘러싸며 양단부에 제1플랜지(711a)가 마련된 제1클램프바디(711)와, 회전모터(610)의 타측부를 둘러싸며 양단부에 제2플랜지(712a)가 마련된 제2클램프바디(712)와, 서로 마주보는 제1플랜지(711a)와 제2플랜지(712a)에 결합되어 제1클램프바디(711)와 제2클램프바디(712)를 회전모터(610)에 체결시키는 체결부(713)와, 제1클램프바디(711)와 제2클램프바디(712)에 마련되어 자력으로 제1클램프바디(711)와 제2클램프바디(712)를 회전모터(610)에 부착시키는 복수의 클램프자석부재(714)를 포함한다.
상기 제1클램프바디(711)에는 복수의 제1돌기(711b)가 마련되어 제1클램프바디(711)가 회전모터(610)로부터 미끄러지거나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클램프바디(712)에도 복수의 제2돌기(712b)가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제2돌기(712b)는 복수의 제1돌기(711b)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클램프바디(711)와 제2클램프바디(712)는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720)에 의해 지지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으므로 긴급을 요하는 경우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부(713) 없이도 회전모터(610)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720)는, 일측부는 수용바디(131)의 내벽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클램프부(710)의 제1플랜지(711a)와 제2플랜지(712a)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1탄성지지바디(721)와, 양단부가 한 쌍의 제1탄성지지바디(721)에 각각 결합되는 제1스프링(722)과, 한 쌍의 제1탄성지지바디(721)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제1자석부재(72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720)는 외부에서 수용바디(730)의 내부로 전달되는 충격을 상쇄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720)는 자력에 의해 클램프부(710), 수용바디(730)에 탈착 결합되므로 탈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클램프부(710), 수용바디(730)가 자석이 부착되는 금속 재질로 마련되지 않는 경우 자석과 부착되는 금속 부재를 클램프부(710), 수용바디(730)에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클램프자석부재(714)와 제1자석부재(723)는, 알니코 분말 70 내지 89중량% 및 사마리움-코발트 분말 11 내지 30중량%를 혼합하여 자성분말을 제조하고, 상기 자성분말 80 내지 88중량%에 에폭시수지, 경화제 및 경화촉진제 혼합물인 바인더 12 내지 20중량%를 아세톤에 용해시켜 혼합한 후 건조, 분쇄, 압축 성형 및 경화하여 제조되며 그 두께가 4,000~5,000㎛인 알니코계 복합자석에, 용융염법으로 제조되며 두께가 600~700㎛인 스트론튬-페라이트 자석층이 접합된 이종접합형 복합자석을 적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이종접합형 복합자석을 적용하면, 희토류 자성체 사마리움-코발트 분말을 첨가시켜서 적정 잔류 자속밀도를 유지하면서 보자력을 높여 자기 특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며, 더 나아가 스트론튬 페라이트 복합자석 층을 접합시킴으로써 더욱 더 높은 보자력을 얻을 수 있다.
수용바디(730)에는, 클램프부(710)와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720)가 내부에 수용되며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720)의 타측부가 탈착 결합되고 탄성케이스(7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탄성지지부(740)는, 일측부는 수용바디(730)의 외벽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탄성케이스(750)의 내벽에 탈착 결합되어 수용바디(730)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제2탄성지지부(740)는 일측부가 수용바디(730)의 외벽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가 탄성케이스(750)의 내벽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741)와, 양단부가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741)에 각각 결합되는 제2스프링(742)과,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741)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제2자석부재(743)와,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741)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제2스프링(742)을 밀폐하여 제2스프링(742)을 보호하는 주름부(744)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제2탄성지지부(740)는 수용바디(730)의 외부에 배치되어 탄성케이스(750)의 외부에서 수용바디(73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수용바디의 내부에서는 물론 수용바디의 외부에서 회전부(600)로 가해지는 충격을 이중으로 완충시킬 수 있어 회전부(600)를 더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제2탄성지지부(740)는, 각각의 제2탄성지지부(74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7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745)는 각각의 제2탄성지지부(740)를 연결하므로 제2탄성지지부(74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보관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제어부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회전제어부(300)는, 원통형의 삽입구(311)가 형성된 회전케이스(310), 삽입구(311)의 내측 하부면에 장착되는 버튼통신부(320), 삽입구(311)에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어모듈(340), 제어모듈(340)의 하부면과 삽입구(311)의 하부면 사이에 장착되는 다수의 회전탄성부재(330) 및 삽입구(311)의 상단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회전제어커버(35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600)는 그 상부에 결합된 카메라부(800)를 수평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회전제어부(300)는 회전부(6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회전부(60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카메라부(8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회전제어부(300)를 작동시키면 이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회전부(600)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카메라부(800)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회전케이스(31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회전부(60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원격지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케이스(310)에는 제어모듈(3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형의 삽입구(311)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구(311)의 상단에는 회전제어커버(35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구(312)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구(312)는 삽입구(311)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진다.
상기 제어모듈(34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삽입구(311)에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상기 제어모듈(340)에는 사용자가 손을 넣어 제어모듈(34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투입구(341)가 형성된다.
상기 제어모듈(340)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회전감지부(343)가 종방향으로 배치된다. 다수의 회전감지부(343)는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어모듈(340)의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회전감지부(343)는 자석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회전케이스(310)의 삽입구(311) 내측에 자력을 감지하는 모듈을 설치하여 회전감지부(343)의 이동에 따른 제어모듈(340)의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340)의 상단에는 다수의 제어톱니(342)가 돌출 형성된다. 다수의 제어톱니(342)는 후술되는 다수의 커버톱니(351)와 치합될 수 잇으며, 제어모듈(340)의 회전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어모듈(340)의 하부면과 삽입구(311)의 하부면 사이에는 다수의 회전탄성부재(330)가 장착된다. 다수의 회전탄성부재(330)는 제어모듈(34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투입구(341)에 손을 넣어 제어모듈(340)을 가압하지 않으면, 제어모듈(340)은 회전탄성부재(330)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한다.
상기 버튼통신부(320)는 삽입구(311)의 내측 하부면에 장착된다. 사용자가 투입구(341)에 손을 넣어 제어모듈(340)을 가압하였을 때, 제어모듈(340)의 하부면은 버튼통신부(320)의 상부면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버튼통신부(320)는 사용자가 제어모듈(340)을 이용하여 회전부(600)의 회전 정도를 변경하고자 한다는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모듈(340)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회전부(600)의 회전 각도를 연산하며, 회전제어부(300)에서 발생한 신호와 데이터를 회전부(600)로 통신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회전제어커버(35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안착구(312)에 결합된다. 상기 회전제어커버(350)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제어톱니(342)와 치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커버톱니(351)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제어커버(350)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제어눈금(352)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제어모듈(340)의 회전량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제어커버(350)의 내측면 직경은 제어모듈(340)의 직경과 동일하고, 회전제어커버(350)의 외측면 직경은 안착구(312)의 직경과 동일하다.
상기 회전제어부(300)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회전부(600)의 회전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 제어모듈(340)의 투입구(341)에 손을 넣고 제어모듈(340)을 가압하면, 제어모듈(340)이 회전탄성부재(330)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하부로 이동하여 제어모듈(340)의 하부면이 버튼통신부(320)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버튼통신부(320)는 회전제어부(300)의 작동 시작을 인식하여 회전부(600)와 통신하고, 회전부(600)는 회전모터(610)를 작동시킬 준비를 한다.
그 다음, 사용자가 제어모듈(340)을 회전시키면, 다수의 회전감지부(343)의 위치가 가변되어 제어모듈(340)의 회전량이 변경되고, 버튼통신부(320)는 이를 연산 처리하여 회전부(600)의 회전 각도를 결정한다.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제어모듈(340)의 회전이 모두 완료되면, 사용자는 투입구(341)로부터 손을 빼고, 회전탄성부재(330)의 탄성력에 의해 제어모듈(340)은 다시 상부로 이동한다.
이때, 제어모듈(340)의 제어톱니(342)는 회전제어커버(350)의 내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커버톱니(351)에 치합되고, 제어모듈(340)의 회전이 방지되며 제어모듈(340)의 회전 각도가 고정된다.
상기 제어모듈(340)의 하부면이 버튼통신부(320)로부터 떨어지면, 버튼통신부(320)는 회전제어부(300)의 작동이 완료되었음을 인식하여 회전부(600)와 통신하고, 회전부(600)는 회전모터(610)의 작동을 완료하여 카메라부(800)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밸브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400)는 회전부(600)의 상부에 설치되며, 높이케이스(410), 높이로드(420), 높이조절판(430), 유압펌프(440) 및 공급밸브(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높이케이스(410)는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높이케이스(410)의 내부에는 유체(예를 들어, 오일 등)가 수용된다.
상기 높이로드(420)는 높이케이스(4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높이로드(420)의 상단에는 카메라부(800)가 결합된다. 높이로드(420)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카메라부(800)도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높이조절판(430)은 높이로드(420)의 측부에 결합되어 높이로드(420)의 외측면과 높이케이스(410)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유압펌프(440)는 높이케이스(410)와 연결되어 높이케이스(410) 내부의 유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유압펌프(440)는 제어유닛(미도시)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유압펌프(440)가 높이조절판(430) 하부의 유체 압력이 높이조절판(430) 상부의 유체 압력보다 더 높아질 수 있도록 작동되면, 높이조절판(430) 및 높이로드(420)는 상승되고, 유압펌프(440)가 높이조절판(430) 상부의 유체 압력이 높이조절판(430) 하부의 유체 압력보다 더 높아질 수 있도록 작동되면, 높이조절판(430) 및 높이로드(420)는 하강된다.
이때, 상기 높이로드(420)의 승강이 반복됨에 따라 높이케이스(410) 내부의 유체는 온도가 점차 올라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급밸브(500), 제1열교환기(450) 및 제2열교환기(460)를 추가로 더 구비한다.
상기 공급밸브(500)는 일측이 높이케이스(410)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1열교환기(450)와 연결되며, 높이케이스(410) 내부의 유체를 선택적으로 제1열교환기(45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450)와 연결된 제1열교환유로(451)와 접하는 높이케이스(410)의 내측에는 역류방지판(411)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역류방지판(411)은 높이케이스(410)의 내측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여 높이케이스(410) 내부의 유체가 제1열교환기(450)로 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급밸브(500)는 밸브케이스(510), 공급유로(520), 제1이동부(530), 중간유로(540), 제2이동부(550), 제1배출유로(560) 및 제2배출유로(570)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3의 (a)는 제1개폐유닛(534)이 중간유로(540)를 폐쇄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의 (b)는 제1개폐유닛(534)이 중간유로(540)를 개방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의 (c)는 제2개폐유닛(554)이 제2배출유로(570)를 개방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밸브케이스(510)는 내부가 온도감지실(511) 및 유체배출실(512)로 구획되어 있다. 온도감지실(511)의 하단에는 온도감지실(511)과 높이케이스(410) 사이를 연결하는 공급유로(520)가 형성되고, 온도감지실(511)의 상단에는 온도감지실(511)과 유체배출실(512)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유로(540)가 형성된다. 유체배출실(512)의 상단 좌측에는 유체배출실(512)과 제1열교환기(450) 사이를 연결하는 제1배출유로(560)가 형성되고, 유체배출실(512)의 상단 우측에는 유체배출실(512)과 제2열교환기(460) 사이를 연결하는 제2배출유로(570)가 형성된다.
상기 제1이동부(530)는 온도감지실(511) 내부에 장착되어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고, 제2이동부(550)는 유체배출실(512) 내부에 장착되어 온도감지실(511)로부터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1이동부(530)는, 온도감지실(511)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1이동케이스(531), 제1이동케이스(531)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1이동로드(532), 제1이동로드(532)의 단부에 결합되어 중간유로(540)를 개폐할 수 있는 제1개폐유닛(534) 및 제1이동케이스(531)와 제1개폐유닛(534) 사이에 설치되는 제1이동스프링(533)을 포함한다.
상기 온도감지실(511)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온도(예를 들어, 40도) 이하일 경우, 도 13(a)에 도시된 것처럼 제1개폐유닛(534)은 제1이동스프링(53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여 중간유로(540)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높이케이스(410) 내부의 유체는 제1열교환기(450)로 전달되지 않고, 높이케이스(410) 내부의 유체는 적정 온도를 유지하여 높이조절부(400)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온도감지실(511)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온도(예를 들어, 40도) 이상일 경우, 도 13(b)에 도시된 것처럼 제1이동케이스(531) 내부의 왁스는 팽창하여 제1이동로드(532)를 우측으로 밀고, 제1개폐유닛(534)은 제1이동스프링(533)의 탄성복원력을 이겨내고 우측으로 이동하여 중간유로(540)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중간유로(540)를 통과한 유체는 제1배출유로(560)를 통과하여 제1열교환기(450)로 전달된다. 제1열교환기(450)로 전달된 유체는 외부와 열교환을 통해 온도가 낮아지고, 다시 제1열교환유로(451)를 통해 높이케이스(4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중간유로(540)와 제1배출유로(56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유체가 더욱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2개폐유닛(554)은 제1배출유로(560)와 제2배출유로(570) 사이에 배치되어 유체가 제1배출유로(560)는 통과할 수 있지만 제2배출유로(570)는 통과할 수 없도록 한다.
상기 제2이동부(550)는, 유체배출실(512)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2이동케이스(551), 제2이동케이스(551)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2이동로드(552), 제2이동로드(552)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2배출유로(570)를 개폐할 수 있는 제2개폐유닛(554) 및 제2이동케이스(551)와 제2개폐유닛(554) 사이에 설치되는 제2이동스프링(553)을 포함한다.
상기 유체배출실(512)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온도(예를 들어, 40도) 이상이고 제2온도(예를 들어, 80도) 이하일 경우, 도 13(b)에 도시된 것처럼 제2개폐유닛(554)은 제2이동스프링(55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1배출유로(560)와 제2배출유로(570) 사이에 배치되고, 유체는 제1배출유로(560)는 통과할 수 있지만 제2배출유로(570)는 통과할 수 없다.
상기 유체배출실(512)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2온도(예를 들어, 80도) 이상일 경우, 도 13(c)에 도시된 것처럼 제2이동케이스(551) 내부의 왁스는 팽창하여 제2이동로드(552)를 우측으로 밀고, 제2개폐유닛(554)은 제2이동스프링(553)의 탄성복원력을 이겨내고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2배출유로(570)를 개방한다.
즉, 상기 제1이동케이스(531) 내부의 왁스는 미리 설정된 제1온도 이상일 때 팽창하고, 제2이동케이스(551) 내부의 왁스는 미리 설정된 제1온도 이상일 때에는 팽창하지 않으며 제2온도 이상일 때 팽창한다.
이에 따라, 제1배출유로(560)를 통과한 유체는 제1열교환기(450)로 전달되고, 제2배출유로(570)를 통과한 유체는 제2열교환기(460)로 전달되며, 제2열교환기(460)로 전달된 유체는 외부와 열교환을 통해 온도가 낮아지고, 다시 제2열교환유로(461)를 통해 높이케이스(410)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높이케이스(410) 내부의 유체가 미리 설정된 제2온도 이상으로 고온일 경우 제1열교환기(450)와 제2열교환기(460)를 통해 열교환이 더욱 활발하게 일어나도록 할 수 있고, 더 빨리 냉각된 유체를 다시 공급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커버부가 하부로 이동되어 결합바가 결합홈에 치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바디가 카메라바디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카메라부(800)는 수정지상물을 촬영하며 거리 측정 기능이 내장되어 기준지상물과 수정지상물 사이의 중심거리 및 수정지상물의 높이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부(800)는, 카메라바디(810)와, 그 상부는 카메라바디(810)의 하부에 카메라바디(810)와 경사지게 탈착 결합되며 그 상부는 높이조절부(400)에 탈착 결합되는 탈착바디(820)와, 카메라바디(810)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카메라바디(810)로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킴과 아울러 외부 이물질이 카메라바디(8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카메라커버부(830)와, 카메라바디(810)에 마련되며 카메라커버부(830)와 연결되어 카메라커버부(83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카메라커버구동부(8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바디(810)는, 카메라바디(810)의 상부면에 마련되는 카메라렌즈(811)와, 카메라바디(810)의 측부에 마련되어 카메라커버부(830)와 카메라커버구동부(840)가 서로 접하는 영역을 덮는 보호커버(812)와, 카메라바디(810)의 하단에 마련되며 탈착바디(820)가 분리 시 카메라바디(810)를 높이조절부(400)에 결합시키는 제1결합플랜지(813)와, 보호커버(812)와 근접되게 상기 카메라바디(810)에 마련되는 결합홈(814)과, 카메라바디(810)의 일측부(도시된 실시예에서 좌측부)에 마련되며 카메라커버부(830)의 외벽과 접촉되어 카메라커버부(83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지지기어(815)를 포함한다.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카메라바디(810)는 탈착바디(820)와 분리될 수 있고, 카메라바디(810)만을 제1결합플랜지(813)를 이용하여 높이조절부(400)에 볼트 또는 용접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바디(810)의 하부면이 경사지게 마련되어 별도의 구조없이도 카메라바디(810)를 높이조절부(400)에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촬영각을 사용자가 각도로 손쉽게 가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기어(815)는 카메라커버바디(831)의 외벽에 마련된 기어이와 기어 맞물림되어 카메라커버부(830)의 상하 이동할 때 카메라커버부의 궤적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탈착바디(820)는 탈착바디(820)의 하부에 마련되어 높이조절부(400)에 용접 또는 볼트 결합되는 제2결합플랜지(821)와, 탈착바디(820)를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탈착바디(820)를 상기 카메라바디(810)에 결합시키는 볼트 부재의 결합 장소로 제공되는 체결홀(822)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체결홀(822)의 상단부에는 볼트 부재의 헤드가 지지되는 단턱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커버부(830)는, 카메라바디(810)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되며 카메라바디(810)의 상부를 덮어 카메라바디(810)로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킴과 아울러 외부 이물질이 카메라바디(8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카메라커버바디(831)와, 카메라커버바디(831)의 상부에 마련되는 투명부(832)와, 카메라커버바디(831)의 하부에 마련되어 결합홈(814)에 결합되는 결합바(83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카메라커버바디(831)는 카메라바디(810)의 외벽에 나사 결합되어 있고, 카메라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카메라바디(8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결합바(833)는 카메라커버바디(831)의 하 이동 시, 카메라바디(810)에 마련된 결합홈(814)에 완전히 치합되어 카메라커버바디(831)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카메라가 환경이 좋지 않은 장소에서 과다하게 흔들릴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투명부(832)는 카메라커버바디(831)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카메라렌즈(811)의 촬상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고, 이물질이 카메라렌즈(81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카메라커버구동부(840)는, 카메라커버바디(83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카메라바디(810)에 마련되는 구동모터(841)와, 구동모터(841)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카메라커버바디(831)의 외벽에 마련된 기어와 기어 맞물림 되어 카메라커버바디(831)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기어(84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카메라바디(810)에 마련되는 제어모듈(미도시)에 의해 외부 환경이나 태양의 조도, 운행 등에 따라 카메라커버구동부(840)를 작동시켜 카메라렌즈(811)의 노출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에서 조사되는 빛이 강한 경우 카메라커버부(830)가 카메라렌즈(811)를 더 덮도록 이동시킬 수 있고, 작업 환경이 좋지 못할 때에는 카메라커버부(830)를 하부로 이동시켜 카메라커버부(830)에 마련된 결합바(833)를 카메라바디(810)에 마련된 결합홈(814)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지상측정기 210 : 이미지DB 220 : 이미지검색모듈
230 : 이미지출력모듈 240 : 지점선택모듈 250 : 이미지탐색모듈
260 : 이미지수정모듈 270 : 이미지갱신모듈 300 : 회전제어부
310 : 회전케이스 311 : 삽입구 312 : 안착구
320 : 버튼통신부 330 : 회전탄성부재 340 : 제어모듈
341 : 투입구 342 : 제어톱니 343 : 회전감지부
350 : 회전제어커버 351 : 커버톱니 352 : 제어눈금
400 : 높이조절부 410 : 높이케이스 411 : 역류방지판
420 : 높이로드 430 : 높이조절판 440 : 유압펌프
450 : 제1열교환기 451 : 제1열교환유로 460 : 제2열교환기
461 : 제2열교환유로 500 : 공급밸브 510 : 밸브케이스
511 : 온도감지실 512 : 유체배출실 520 : 공급유로
530 : 제1이동부 531 : 제1이동케이스 532 : 제1이동로드
533 : 제1이동스프링 534 : 제1개폐유닛 540 : 중간유로
550 : 제2이동부 551 : 제2이동케이스 552 : 제2이동로드
553 : 제2이동스프링 554 : 제2개폐유닛 560 : 제1배출유로
570 : 제2배출유로 600 : 회전부 610 : 회전모터
620 : 회전스크류 700 : 탄성지지유닛 710 : 클램프부
711 : 제1클램프바디 711a : 제1플랜지 711b : 제1돌기
712 : 제2클램프바디 712a : 제2플랜지 712b : 제2돌기
713 : 체결부 714 : 클램프자석부재 720 : 제1탄성지지부
721 : 제1탄성지지바디 722 : 제1스프링 723 : 제1자석부재
730 : 수용바디 740 : 제2탄성지지부 741 : 제2탄성지지바디
742 : 제2스프링 743 : 제2자석부재 744 : 주름부
745 : 연결부재 750 : 탄성케이스 800 : 카메라부
810 : 카메라바디 811 : 카메라렌즈 812 : 보호커버
813 : 제1결합플랜지 814 : 결합홈 815 : 지지기어
820 : 탈착바디 821 : 제2결합플랜지 822 : 체결홀
830 : 카메라커버부 831 : 카메라커버바디 832 : 투명부
833 : 결합바 840 : 카메라커버구동부 841 : 구동모터
842 : 구동기어

Claims (1)

  1. GPS좌표가 적용된 촬영이미지 데이터, 촬영 고도 정보 및 지상물의 높이 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DB;
    이미지DB의 데이터 및 정보를 검색하는 이미지검색모듈;
    이미지검색모듈이 검색한 촬영이미지 데이터를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하는 이미지출력모듈;
    이미지출력모듈에 출력된 촬영이미지 내에 지정된 한 쌍의 초기점과 한 쌍의 말기점의 좌표값을 확인하고, 좌표값을 잇는 기준직선을 설정하여 초기점과 말기점으로 둘러싸인 범위를 도로이미지의 범위로 확정하는 지점선택모듈;
    미리 설정된 탐색 기준에 따라 수정지상물이미지를 탐색하는 이미지탐색모듈;
    기준지상물과 수정지상물 사이의 중심거리, 촬영 고도 및 수정지상물의 높이를 확인하여 카메라의 촬영각을 연산하고, 수정지상물이미지의 평면부 폭과 카메라의 촬영각을 확인하여 수정된 평면부 폭을 연산하며, 수정지상물이미지의 수정 전 평면부 이미지를 분리해서 수정된 평면부 폭에 맞춰 그 크기를 조정하고, 수정지상물이미지의 측면부 이미지는 제거하는 이미지수정모듈; 및
    측면부 이미지가 제거된 촬영이미지에 수정된 평면부를 합성하고, 수정지상물이미지의 측면부 이미지 제거로 형성된 음영부분의 GPS좌표를 확인해서 이미지DB에서 음영부분의 실제이미지를 포함한 다른 촬영이미지를 이미지검색모듈을 매개로 검색하며, 다른 항공촬영이미지의 실제이미지를 크기 및 해상도를 일치시켜서 음영부분에 합성하고, 이미지DB의 촬영이미지 데이터를 갱신하는 이미지갱신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기준지상물에 인접한 지표면에 설치되어 수정지상물을 촬영하며 기준지상물과 수정지상물 사이의 중심거리 및 수정지상물의 높이 정보를 연산하는 지상측정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상측정기는,
    지면에 설치되는 탄성지지유닛; 하부가 탄성지지유닛에 수용되어 탄성 지지되며, 회전모터 및 회전스크류를 구비하는 회전부; 회전부와 통신하여 회전부를 제어할 수 있는 회전제어부; 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 및 높이조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카메라부;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지지유닛은,
    회전모터의 외벽을 감싸도록 회전모터에 결합되는 클램프부; 일측부가 클램프부에 탈착 결합되어 클램프부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 클램프부와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가 내부에 수용되며,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의 타측부가 탈착 결합되고 탄성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용바디; 및 일측부는 수용바디의 외벽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탄성케이스의 내벽에 탈착 결합되어 수용바디를 탄성지지하는 복수의 제2탄성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부는,
    회전모터의 일측부를 둘러싸며 양단부에 제1플랜지가 마련된 제1클램프바디; 회전모터의 타측부를 둘러싸며 양단부에 제2플랜지가 마련된 제2클램프바디; 서로 마주보는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에 결합되어 제1클램프바디와 제2클램프바디를 회전모터에 체결시키는 체결부; 및 제1클램프바디와 제2클램프바디에 마련되어 자력으로 제1클램프바디와 제2클램프바디를 회전모터에 부착시키는 복수의 클램프자석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2탄성지지부는,
    일측부는 수용바디의 외벽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탄성케이스의 내벽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 양단부가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에 각각 결합되는 제2스프링;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제2자석부재; 및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제2스프링을 밀폐하는 주름부;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제어부는,
    원통형의 삽입구가 형성된 회전케이스; 삽입구의 내측 하부면에 장착되는 버튼통신부; 삽입구에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어모듈; 제어모듈의 하부면과 삽입구의 하부면 사이에 장착되는 다수의 회전탄성부재; 및 삽입구의 상단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회전제어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높이케이스; 높이케이스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높이로드; 높이로드의 측부에 결합되어 높이로드의 외측면과 높이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높이조절판; 높이케이스와 연결되어 높이케이스 내부의 유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유압펌프; 및 일측이 높이케이스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1열교환기와 연결되며, 높이케이스 내부의 유체를 선택적으로 제1열교환기에 공급할 수 있는 공급밸브; 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밸브는,
    내부가 온도감지실 및 유체배출실로 구획되어 있는 밸브케이스; 온도감지실과 높이케이스 사이를 연결하는 공급유로; 온도감지실 내부에 장착되어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제1이동부; 온도감지실과 유체배출실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유로; 유체배출실 내부에 장착되어 온도감지실로부터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제2이동부; 유체배출실과 제1열교환기 사이를 연결하는 제1배출유로; 및 유체배출실과 제2열교환기 사이를 연결하는 제2배출유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동부는,
    온도감지실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1이동케이스; 제1이동케이스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1이동로드; 제1이동로드의 단부에 결합되어 중간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제1개폐유닛; 및 제1이동케이스와 제1개폐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제1이동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제2이동부는,
    유체배출실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2이동케이스; 제2이동케이스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2이동로드; 제2이동로드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2배출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제2개폐유닛; 및 제2이동케이스와 제2개폐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제2이동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해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0220052939A 2022-04-28 2022-04-28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해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474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939A KR102474066B1 (ko) 2022-04-28 2022-04-28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해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939A KR102474066B1 (ko) 2022-04-28 2022-04-28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해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066B1 true KR102474066B1 (ko) 2022-12-05

Family

ID=84392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939A KR102474066B1 (ko) 2022-04-28 2022-04-28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해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0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303B1 (ko) * 2023-04-27 2023-11-23 (주)엔토포스 Gnss를 이용하여 3차원 좌표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190B1 (ko) * 2019-05-27 2019-08-26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좌표정보와 지형정보를 합성하여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017818B1 (ko) * 2019-06-12 2019-09-03 주식회사 지아이에스21 지상물이미지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정밀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174822B1 (ko) * 2020-07-30 2020-11-05 (주)디에스정보기술 지도 데이터와 이미지 합성을 통한 지형 정보의 영상처리시스템
KR102337846B1 (ko) * 2021-03-24 2021-12-09 삼부기술 주식회사 지형정보와 좌표정보의 합성을 통한 수치지도제작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190B1 (ko) * 2019-05-27 2019-08-26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좌표정보와 지형정보를 합성하여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017818B1 (ko) * 2019-06-12 2019-09-03 주식회사 지아이에스21 지상물이미지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정밀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174822B1 (ko) * 2020-07-30 2020-11-05 (주)디에스정보기술 지도 데이터와 이미지 합성을 통한 지형 정보의 영상처리시스템
KR102337846B1 (ko) * 2021-03-24 2021-12-09 삼부기술 주식회사 지형정보와 좌표정보의 합성을 통한 수치지도제작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303B1 (ko) * 2023-04-27 2023-11-23 (주)엔토포스 Gnss를 이용하여 3차원 좌표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932B1 (ko) 초정밀 영상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지도 제작과 분석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KR102014190B1 (ko) 좌표정보와 지형정보를 합성하여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CN104236522B (zh) 三维可视化测量***
US5774826A (en) Optimization of survey coordinate transformations
AU629624B2 (en) A method of surveying for the compilation of detailed three-dimensional topographic data
CN104704424B (zh) 基础设施测绘***和方法
US20050057745A1 (en) Measurement methods and apparatus
CN100450152C (zh) 地质数码影像编录***及其使用方法
CN105716590A (zh) 确定大地测量装置的位置和定向偏移的方法及测量装置
KR102408570B1 (ko) 3차원으로 건물의 입체 외곽선을 자동 도화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474068B1 (ko) 지형이미지의 기준점 확인처리를 통해 영상이미지로부터 도화이미지를 간편하게 도시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017818B1 (ko) 지상물이미지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정밀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474066B1 (ko)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해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CN112334733A (zh) 拍摄装置的校正装置、监视装置、作业机械及校正方法
CN109146958A (zh) 一种基于二维图像的交通标志空间位置测量方法
CN110986888A (zh) 一种航空摄影一体化方法
CN116883604A (zh) 一种基于天、空、地影像的三维建模技术方法
KR102427817B1 (ko) 도로좌표정보를 모바일맵핑시스템을 통해 취득할 수 있는 도로지도 구축시스템
JP2974316B1 (ja) 俯瞰写真から現地座標の2次元位置情報を復元する方法及びその2次元位置情報復元システム、並びにその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2337846B1 (ko) 지형정보와 좌표정보의 합성을 통한 수치지도제작시스템
Doytsher et al. FORTRAN programs for coordinate resection using an oblique photograph and high-resolution DTM
CN114140397A (zh) 全数字地面成像法重力近区地形改正方法及***
Alfarhan et al. 3D digital photorealistic models from the field to the lab
KR102462903B1 (ko)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여 신규 데이터를 갱신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573678B1 (ko) 공간정보와 좌표정보의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