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689B1 - 전극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전극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689B1
KR102473689B1 KR1020180062420A KR20180062420A KR102473689B1 KR 102473689 B1 KR102473689 B1 KR 102473689B1 KR 1020180062420 A KR1020180062420 A KR 1020180062420A KR 20180062420 A KR20180062420 A KR 20180062420A KR 102473689 B1 KR102473689 B1 KR 102473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ayer
electrode
length
active material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4757A (ko
Inventor
김남원
박필규
송한갑
정안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PCT/KR2018/00632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225994A1/ko
Priority to JP2019530150A priority patent/JP7088600B2/ja
Priority to US16/344,659 priority patent/US11043669B2/en
Priority to PL18813454T priority patent/PL3522282T3/pl
Priority to EP18813454.8A priority patent/EP3522282B1/en
Priority to CN201880004667.5A priority patent/CN110024196B/zh
Publication of KR20180134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24Electrodes for alkaline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5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with shapes other than plane or cylindric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되고 권취되는전극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은, 집전체, 상기 집전체의 표면에 전극활물질을 1차 코팅한 제1 코팅층, 및 상기 제1 코팅층의 외측에 전극활물질을 2차 코팅한 제2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의 권취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코팅층의 일단 길이를 상기 제1 코팅층의 일단 길이 보다 짧게 형성하여, 권취 중심에서 바깥방향으로 나아감에 따라 상기 제1 코팅층의 일단과 상기 제2 코팅층의 일단 사이에 단차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전극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극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어부에 권취되는 전극의 크랙 발생을 방지한 전극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는 것으로서, 휴대폰, PDA, 노트북 컴퓨터 등의 소형 첨단 전자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와, 상기 전극조립체의 권심에 삽입하는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가 삽입된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캔, 및 상기 캔의 개구부에 실장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조립체는 복수의 전극과 복수의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전극은 집전체의 표면에 전극활물질이 코팅된 전극활물질층과, 상기 전극활물질층의 단부에 구비되고 전극활물질이 없는 무지부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이차전지는 복수의 전극과 복수의 분리막이 적층된 적층체를 상기 코어부를 통해 권취하여 전극조립체를 형성하고, 상기 전극조립체를 캔에 삽입하며, 상기 캔의 개구부에 캡 조립체를 결합시켜서 제조한다.
그러나 상기한 복수의 전극은 상기 코어부에 권취시 상기 전극활물질층과 상기 무지부 사이의 단차 부분이 접히면서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 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극활물질층과 무지부 사이의 단차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대되는 전극을 구현하며, 이에 따라 코어부에 전극의 권취시 전극활물질층과 무지부 사이의 단차 부분이 접히지 않고 안정적으로 권취할 수 있고, 그 결과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전극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되고 권취되는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은, 집전체, 상기 집전체의 표면에 전극활물질을 1차 코팅한 제1 코팅층, 및 상기 제1 코팅층의 외측에 전극활물질을 2차 코팅한 제2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의 권취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코팅층의 일단 길이를 상기 제1 코팅층의 일단 길이 보다 짧게 형성하여, 권취 중심에서 바깥방향으로 나아감에 따라 상기 제1 코팅층의 일단과 상기 제2 코팅층의 일단 사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은 권취 시작부에 전극활물질이 없는 제1 무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무지부, 상기 제1 코팅층의 일단 및 상기 제2 코팅층의 일단은 계단형태의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극조립체를 권취하기 위한 코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코팅층의 일단은 상기 제1 코팅층의 일단에서 상기 코어부의 둘레 길이만큼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극은 권취 끝부에 코팅된 상기 제2 코팅층의 끝단의 길이를 상기 제1 코팅층의 끝단 길이 보다 짧게 형성하여 상기 제2 코팅층의 끝단과 상기 제1 코팅층의 끝단 사이에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극은 권취 끝부에 전극활물질이 없는 제2 무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무지부, 상기 제1 코팅층의 끝단 및 상기 제2 코팅층의 끝단은 계단형태의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층과 상기 제2 코팅층은 동일한 코팅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층과 상기 제2 코팅층은 서로 다른 코팅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극은, 상기 제2 코팅층의 외측에 전극활물질을 3차 코팅하는 제3 코팅층과, 상기 제3 코팅층의 외측에 전극활물질을 4차 코팅하는 제4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은 권취 시작부에 코팅된 상기 제3 코팅층의 일단 길이를 상기 제2 코팅층의 일단 길이보다 작게 형성하고, 상기 제4 코팅층의 일단 길이를 상기 제3 코팅층의 일단 길이보다 작게 형성하며,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코팅층의 일단은 계단형태의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지부에는 전극탭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극탭은 상기 제1 코팅층의 일단과 접하는 상기 제1 무지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전극탭과 상기 제1 코팅층 사이에 단차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제2 발명에 따른 전극은, 집전체; 상기 집전체의 표면에 전극활물질을 1차 코팅한 제1 코팅층; 및 상기 제1 코팅층의 외측에 전극활물질을 2차 코팅한 제2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호 대응하는 상기 제2 코팅층의 일단의 길이는 상기 제1 코팅층의 일단 길이 보다 소정 길이 짧게 형성하여 상기 제1 코팅층의 일단과 상기 제2 코팅층의 일단 사이에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집전체의 일단에는 전극활물질이 없는 제1 무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무지부, 상기 제1 코팅층의 일단 및 상기 제2 코팅층의 일단은 계단형태로 연결되는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지부에는 전극탭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탭은 상기 제1 코팅층의 일단에 접하는 상기 제1 무지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전극탭과 상기 제1 코팅층의 일단 사이에 단차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의 이차전지는 집전체의 표면에 제1 및 제2 코팅층을 형성하여 전극을 형성하되, 상기 제1 코팅층의 일단과 상기 제2 코팅층의 일단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는 것에 특징을 가지며,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상기 제1 코팅층의 일단과 상기 제2 코팅층의 일단 사이에 완만한 경사각을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코어부에 전극을 접히지 않고 안정적으로 권취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품성을 높일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이차전지에서 전극은 권취 시작부에 제1 무지부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을 가지며,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제1 무지부, 제1 코팅층 및 제2 코팅층으로 연결되는 단차를 형성하여 보다 완만한 경사각을 구현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코어부에 전극을 보다 안정적으로 권취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전극에서 제1 코팅층의 단부와 제2 코팅층의 단부 사이는 코어부의 둘레 길이만큼 작게 형성하는 것에 특징을 가지며,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코어부에 전극을 안정적으로 권취함과 동시에 전지 성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전극은 권취 끝단부에 위치한 제1 코팅층과 제2 코팅층의 단부를 단차지게 형성하여 완만한 경사각을 구현하는 것에 특징을 가지며,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전극의 끝단부를 보다 면밀착되게 권취할 수 있고, 그 결과 전극 권취력과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전극은 권취 끝단부에 제2 무지부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을 가지며,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제2 코팅층의 끝단, 제1 코팅층의 끝단 및 제2 무지부로 연결되는 단차를 형성하여 보다 완만한 경사각을 구현할 수 있고, 그 결과 코어부에 전극의 끝단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권취할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의 전극은 제1 코팅층과 제2 코팅층의 두께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에 특징을 가지며,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단차를 형성할 수 있고, 그 결과 제1 코팅층과 제2 코팅층 사이를 접히지 않고 안정적으로 권취할 수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의 이차전지는 제1 무지부에 전극탭을 결합하되, 상기 전극탭은 상기 제1 코팅층의 일단부가 연결된 제1 무지부의 표면에 결합하는 것에 특징을 가지며,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전극탭과 제1 코팅층 사이에 단차를 제거할 수 있고, 그 결과 코어부에 전극 권취시 전극탭과 제1 코팅층 사이가 접히지 않고 안정적으로 권취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1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제1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권취 전 전극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제1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제1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제1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극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제1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극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제2 발명에 따른 전극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제1 발명의 이차전지]
제1 발명의 제1 실시예
제1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코어부(110), 상기 코어부(110)의 둘레에 권취되는 전극조립체(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코어부(110)는 상기 전극조립체(120)의 권취가 완료되면 상기 전극조립체(12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즉, 제1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긴 시트 형태의 전극조립체(120)를 상기 코어부(110)에 권취하여 롤 형태의 전극조립체(120)를 형성하며, 상기 전극조립체(120)는 전극(121)과 분리막(122)이 교대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전극(121)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집전체(121z), 상기 집전체(121z)의 표면에 전극활물질을 1차 코팅한 제1 코팅층(121a), 및 상기 제1 코팅층(121a)의 외측에 전극활물질을 2차 코팅한 제2 코팅층(121b)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극(121)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극(121)의 권취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코팅층(121b)의 일단(B) 길이를 상기 제1 코팅층(121a)의 일단(A) 길이 보다 짧게 형성하여, 권취 중심에서 바깥방향으로 나아감에 따라 상기 제1 코팅층(121a)의 일단(A)과 상기 제2 코팅층(121b)의 일단(B) 사이에 단차(도 3에 표시된 점선 참조)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전극(121)은 상기 제1 코팅층(121a)의 일단(A)과 상기 제2 코팅층(121b)의 일단(B) 사이에 단차(도 3에 표시된 점선 참조)를 형성하여 완만한 경사를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완만한 경사를 가진 상기 제1 코팅층(121a)의 일단(A)과 상기 제2 코팅층(121b)의 일단(B)이 순차적으로 코어부(110)에 권취되면서 접히지 않고 안정적으로 권취할 수 있고, 그 결과 이차전지의 품질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어부(110)에 밀착되는 상기 전극(121)의 권취 시작부에는 전극활물질이 없는 제1 무지부(121c)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극(121)은 도 3에서 보았을 때 집전체(121z)의 왼쪽 단부가 연장되면서 제1 무지부(121c)를 형성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무지부(121c), 상기 제1 코팅층(121a)의 일단(A) 및 상기 제2 코팅층(121b)의 일단(B)은 점진적인 높이를 가진 계단형태의 단차(도 3에 표시된 점선 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극(121)은 상기 제1 무지부(121c), 상기 제1 코팅층(121a)의 일단(A) 및 상기 제2 코팅층(121b)의 일단(B)이 상기 코어부(110)에 순차적으로 권취되며, 그 결과 안정된 권취력과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극(121)에서 상기 제2 코팅층(121b)의 일단(B)은 상기 제1 코팅층(121a)의 일단(A)에서 상기 코어부(110)의 둘레 길이만큼 작게,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부(110)의 둘레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코팅층(121b)의 일단(B)과 상기 제1 코팅층(121a)의 일단(A) 사이의 길이가 상기 코어부(110)의 둘레 길이 보다 짧더라도 상기 제2 코팅층(121b)의 일단(B)과 상기 제1 코팅층(121a)의 일단(A) 사이의 계단형태의 단차로 인하여 상기 코어부(110)에 크랙 발생 없이 권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코팅층(121b)의 일단(B)과 상기 제1 코팅층(121a)의 일단(A) 사이가 상기 코어부(110)에 안정적으로 밀착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코팅층(121b)의 일단(B)과 상기 제1 코팅층(121a)의 일단(A) 사이의 길이가 상기 코어부(110)의 둘레 길이 보다 클 경우 상기 전극(121)에 코팅되는 전극활물질이 크게 감소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전지 성능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121)에서 상기 제2 코팅층(121b)의 일단(B)과 상기 제1 코팅층(121a)의 일단(A) 사이의 길이는 상기 코어부(110)의 둘레 길이만큼으로 구비하며, 그 결과 권취력과 전지성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코팅층(121a)과 상기 제2 코팅층(121b)은 동일한 코팅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차 높이를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고, 그 결과 보다 안정된 권취를 유도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코팅층(121a)과 상기 제2 코팅층(121b)은 서로 다른 코팅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이차전지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코팅층(121a)과 상기 제2 코팅층(121b)의 코팅두께를 조절할 수 있고, 그 결과 안정된 권취력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제1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0)는 상기 전극(121)을 포함한 긴 시트 형태의 전극조립체(120)를 코어부(110)에 권취하면, 상기 전극(121)의 일단에 계단 형태로 형성된 단차로 인해 코어부(110)에 안정적으로 권취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전극(121)이 접히거나 또는 크랙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발명의 제2 실시예
제1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극(121)을 포함하되, 상기 전극(121)은 집전체(121z), 상기 집전체(121z)의 표면에 전극활물질을 1차 코팅한 제1 코팅층(121a), 및 상기 제1 코팅층(121a)의 외측에 전극활물질을 2차 코팅한 제2 코팅층(121b)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극(121)은 도 4를 참조하면, 권취 끝부에 코팅된 상기 제2 코팅층(121b)의 끝단(D)의 길이를 상기 제1 코팅층(121a)의 끝단(C) 길이 보다 짧게 형성하여 상기 제2 코팅층(121b)의 끝단(D)과 상기 제1 코팅층(121a)의 끝단(C) 사이에 단차(도 4에 표시된 점선 참조)를 형성한다.
즉, 상기 전극(121)은 상기 제1 코팅층(121a)의 끝단(C)과 상기 제2 코팅층(121b)의 끝단(D) 사이에 단차(도 4에 표시된 점선 참조)를 형성하여 완만한 경사를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코팅층(121b)의 끝단(D)은 상기 제1 코팅층(121a)의 끝단(C) 보다 길이는 짧고, 높이는 높게 단차를 형성하여 완만한 경사를 구현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코팅층(121a)의 끝단(C)과 상기 제2 코팅층(121b)의 끝단(D)는 코어부(110)에 권취된 전극조립체(110)의 최외측에 순차적으로 권취되면서 안정적으로 권취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전극(121)이 접히거나 크랙 발생을 방지하여 이차전지의 품질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극(121)은 권취 끝부(도 4에서 보았을 때 집전체의 오른쪽 단부)에 전극활물질이 없는 제2 무지부(121d)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무지부(121d), 상기 제1 코팅층(121a)의 끝단(C) 및 상기 제2 코팅층(121b)의 끝단(D)은 계단형태의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 무지부(121d), 상기 제1 코팅층(121a)의 끝단(C) 및 상기 제2 코팅층(121b)의 끝단(D)은 점진적인 높이를 가진 계단형태의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극(121)은 상기 제2 무지부(121d), 상기 제1 코팅층(121a)의 끝단(C) 및 상기 제2 코팅층(121b)의 끝단(D)이 상기 코어부(110)에 순차적으로 권취되며, 그 결과 안정된 권취력과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발명의 제3 실시예
제1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0)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극(121)에 구비된 제1 무지부(121c)에 전극탭(123)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극탭(123)은 상기 제1 코팅층(121a)의 일단(A)과 접하는 상기 제1 무지부(121c)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전극탭(123)과 상기 제1 코팅층(121a) 사이에 틈새 및 단차를 제거하여 안정적으로 전극(121)을 권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극탭(123)과 상기 제1 코팅층(121a)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전극탭(123)과 상기 제1 코팅층(121a) 사이에 단차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고, 그 결과 보다 보다 안정적으로 전극(121)을 권취할 수 있다.
제1 발명의 제4 실시예
제1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0)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극(121)을 포함하되, 상기 전극(121)은 집전체(121z), 상기 집전체(121z)의 표면에 전극활물질을 1차 코팅한 제1 코팅층(121a), 상기 제1 코팅층(121a)의 외측에 전극활물질을 2차 코팅한 제2 코팅층(121b), 상기 제2 코팅층(121b)의 외측에 전극활물질을 3차 코팅하는 제3 코팅층(121e) 및 상기 제3 코팅층(121e)의 외측에 전극활물질을 4차 코팅하는 제4 코팅층(121f)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극(121)은 상기 전극(121)의 권취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코팅층(121b)의 일단(B) 길이를 상기 제1 코팅층(121a)의 일단(A) 길이 보다 작게 형성하고, 상기 제3 코팅층(121e)의 일단(E) 길이를 상기 제2 코팅층(121b)의 일단(B) 길이보다 작게 형성하며, 상기 제4 코팅층(121f)의 일단(F) 길이를 상기 제3 코팅층(121e)의 일단(E) 길이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코팅층의 일단은 계단형태의 단차(도 6에 표시된 점선 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121)은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코팅층의 일단이 완만한 경사를 가진 단차를 구현하고, 코어부(110)에 순차적으로 권취되면서 안정된 권취력을 얻을 수 있다.
[제2 발명의 전극]
제2 발명의 전극(121)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집전체(121z), 상기 집전체(121z)의 표면에 전극활물질을 1차 코팅한 제1 코팅층(121a), 및 상기 제1 코팅층의 외측에 전극활물질을 2차 코팅한 제2 코팅층(121b)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121)의 권취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코팅층(121b)의 일단(B) 길이를 상기 제1 코팅층(121a)의 일단(A) 길이 보다 짧게 형성하여, 권취 중심에서 바깥방향으로 나아감에 따라 상기 제1 코팅층(121a)의 일단(A)과 상기 제2 코팅층(121b)의 일단(B) 사이에 단차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 발명의 전극(121)은 일단에 단차를 형성하여 차후 코어부 권취시 안정된 권취력을 얻을 수 있다.
참고로, 제1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이차 전지를 그 대상으로 하나, 제2 발명은 그 이차 전지 내부에 들어가는 전극을 그 대상으로 함에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가능하다.
100: 이차전지
110: 코어부
120: 전극조립체
121: 전극
121a: 제1 코팅층
121b: 제2 코팅층
121c: 제1 무지부
121d: 제2 무지부
121e: 제3 코팅층
121f: 제4 코팅층
122: 분리막

Claims (14)

  1.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되고 권취되는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은,
    집전체, 상기 집전체의 표면에 전극활물질을 1차 코팅한 제1 코팅층, 및 상기 제1 코팅층의 외측에 전극활물질을 2차 코팅한 제2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의 권취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코팅층의 일단 길이를 상기 제1 코팅층의 일단 길이 보다 짧게 형성하여, 권취 중심에서 바깥방향으로 나아감에 따라 상기 제1 코팅층의 일단과 상기 제2 코팅층의 일단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전극조립체를 권취하기 위한 코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코팅층의 일단은 상기 제1 코팅층의 일단에서 상기 코어부의 둘레 길이만큼 작게 형성하는 이차전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권취 시작부에 전극활물질이 없는 제1 무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무지부, 상기 제1 코팅층의 일단 및 상기 제2 코팅층의 일단은 계단형태의 단차를 형성하는 이차전지.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권취 끝부에 코팅된 상기 제2 코팅층의 끝단의 길이를 상기 제1 코팅층의 끝단 길이 보다 짧게 형성하여 상기 제2 코팅층의 끝단과 상기 제1 코팅층의 끝단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는 이차전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권취 끝부에 전극활물질이 없는 제2 무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무지부, 상기 제1 코팅층의 끝단 및 상기 제2 코팅층의 끝단은 계단형태의 단차를 형성하는 이차전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층과 상기 제2 코팅층은 동일한 코팅두께를 가지는 이차전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층과 상기 제2 코팅층은 서로 다른 코팅두께를 가지는 이차전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제2 코팅층의 외측에 전극활물질을 3차 코팅하는 제3 코팅층과, 상기 제3 코팅층의 외측에 전극활물질을 4차 코팅하는 제4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이차전지.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권취 시작부에 코팅된 상기 제3 코팅층의 일단 길이를 상기 제2 코팅층의 일단 길이보다 작게 형성하고, 상기 제4 코팅층의 일단 길이를 상기 제3 코팅층의 일단 길이보다 작게 형성하며,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코팅층의 일단은 계단형태의 단차를 형성하는 이차전지.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지부에는 전극탭을 구비하는 이차전지.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은 상기 제1 코팅층의 일단과 접하는 상기 제1 무지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전극탭과 상기 제1 코팅층 사이에 단차를 제거하는 이차전지.
  12. 코어부에 권취되는 전극으로서,
    집전체;
    상기 집전체의 표면에 전극활물질을 1차 코팅한 제1 코팅층; 및
    상기 제1 코팅층의 외측에 전극활물질을 2차 코팅한 제2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호 대응하는 상기 제2 코팅층의 일단의 길이는 상기 제1 코팅층의 일단 길이 보다 짧게 형성하여 상기 제1 코팅층의 일단과 상기 제2 코팅층의 일단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코팅층의 일단은 상기 제1 코팅층의 일단에서 상기 코어부의 둘레 길이만큼 작게 형성하는 전극.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의 일단에는 전극활물질이 없는 제1 무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무지부, 상기 제1 코팅층의 일단 및 상기 제2 코팅층의 일단은 계단형태로 연결되는 단차를 형성하는 전극.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지부에는 전극탭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탭은 상기 제1 코팅층의 일단에 접하는 상기 제1 무지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전극탭과 상기 제1 코팅층의 일단 사이에 단차를 제거하는 전극.
KR1020180062420A 2017-06-09 2018-05-31 전극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2473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6325 WO2018225994A1 (ko) 2017-06-09 2018-06-01 전극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JP2019530150A JP7088600B2 (ja) 2017-06-09 2018-06-01 電極及びそれを含む二次電池
US16/344,659 US11043669B2 (en) 2017-06-09 2018-06-01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PL18813454T PL3522282T3 (pl) 2017-06-09 2018-06-01 Elektroda i zawierająca ją bateria akumulatorowa
EP18813454.8A EP3522282B1 (en) 2017-06-09 2018-06-01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N201880004667.5A CN110024196B (zh) 2017-06-09 2018-06-01 电极和包括该电极的二次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72588 2017-06-09
KR1020170072588 2017-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757A KR20180134757A (ko) 2018-12-19
KR102473689B1 true KR102473689B1 (ko) 2022-12-05

Family

ID=65009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420A KR102473689B1 (ko) 2017-06-09 2018-05-31 전극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43669B2 (ko)
EP (1) EP3522282B1 (ko)
JP (1) JP7088600B2 (ko)
KR (1) KR102473689B1 (ko)
CN (1) CN110024196B (ko)
PL (1) PL352228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2885B (zh) * 2017-11-09 2022-07-22 株式会社Lg化学 用于圆柱形卷芯的条形电极以及包含其的锂二次电池
CN111430658A (zh) * 2020-04-26 2020-07-17 欣旺达电动汽车电池有限公司 电极极片和二次电池
CN114300644A (zh) * 2021-11-24 2022-04-08 惠州市豪鹏科技有限公司 一种负极片及其制备方法、锂离子电池
CN117790684A (zh) * 2024-02-27 2024-03-29 武汉星纪魅族科技有限公司 锂离子电池及其制备方法、电极片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8808A (ko) 1995-09-04 1997-04-30 윤종용 니켈 수소 전지 음극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JPH09180704A (ja) 1995-12-27 1997-07-11 Toray Ind Inc 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92418A (ja) 1996-09-19 1998-04-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電極板製造装置、製造方法及び電池電極板
JPH11214035A (ja) * 1998-01-20 1999-08-06 Toshiba Battery Co Ltd 電 池
JP4205209B2 (ja) * 1998-07-02 2009-01-07 日機装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3428448B2 (ja) 1998-08-21 2003-07-22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極構造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池
KR100515833B1 (ko) * 2003-05-26 2005-09-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JP4140517B2 (ja) 2003-12-12 2008-08-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その構成法
US20080026293A1 (en) 2006-07-26 2008-01-31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Lithium-iron disulfide cylindrical cell with modified positive electrode
US7867553B2 (en) * 2006-08-23 2011-01-11 The Gillette Company Method of making cathode including iron disulfide
KR100790852B1 (ko) 2006-12-13 2008-01-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KR101163391B1 (ko) 2007-07-12 2012-07-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심 부위의 분리막 상에 고상 입자가 코팅된 이차전지
KR101103499B1 (ko) 2009-10-07 2012-01-0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용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JP2013051028A (ja) 2009-12-28 2013-03-14 Panasonic Corp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11138729A (ja) * 2010-01-04 2011-07-14 Hitachi Ltd 非水系二次電池
US8592065B2 (en) 2010-11-02 2013-11-26 Apple Inc. Rechargeable battery with a jelly roll having multiple thicknesses
DE102011004932A1 (de) 2011-03-01 2012-09-06 Varta Microbattery Gmbh Spiralförmig gewickelte Elektrode, galvanisches Element und Herstellung derselben
DE102011017613A1 (de) * 2011-04-27 2012-10-31 Robert Bosch Gmbh Zellwickel eines Lithium-Ionen-Akkumulators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Zellwickels
KR101407085B1 (ko) 2011-05-02 2014-06-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의 전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US8708321B2 (en) 2011-07-29 2014-04-29 Samsung Sdi Co., Ltd. Insulating film attaching jig and battery cell manufactured by using the same
US9806370B2 (en) 2011-08-18 2017-10-31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having a planarizing member
JP2016514354A (ja) 2013-07-29 2016-05-19 ジョーダン グリーン テクノロジー (ディー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Jordan Green Technology (Dg) Co., Ltd. 電極板、電極板を形成する方法、及び電極板を含むリチウム電池コアを形成する方法
KR101684276B1 (ko) 2013-09-06 2016-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복수의 전극활물질층을 갖는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KR101639209B1 (ko) * 2013-10-30 2016-07-13 주식회사 엘지화학 개선된 구조의 젤리-롤 형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JP2015125832A (ja) 2013-12-25 2015-07-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KR101736545B1 (ko) 2014-10-31 2017-05-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JP6567821B2 (ja) 2014-12-25 2019-08-28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Samsung SDI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巻回素子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16207576A (ja) 2015-04-27 2016-12-08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非水電解液二次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14951A (ja) 2020-05-21
US20200058962A1 (en) 2020-02-20
EP3522282B1 (en) 2021-05-19
CN110024196B (zh) 2022-03-29
PL3522282T3 (pl) 2021-10-11
JP7088600B2 (ja) 2022-06-21
US11043669B2 (en) 2021-06-22
CN110024196A (zh) 2019-07-16
KR20180134757A (ko) 2018-12-19
EP3522282A1 (en) 2019-08-07
EP3522282A4 (en) 2020-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3689B1 (ko) 전극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US9012053B2 (en)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the same
JP4803201B2 (ja) 捲回型電池および捲回型電池の製造方法
CN105047980A (zh) 弯曲二次电池
WO2012026705A3 (ko) 개선된 구조의 젤리-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2124106B1 (ko) 이차전지
JP2011077105A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15712B1 (ko)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JPH1140202A (ja) 電池の極板組立体製造方法及び該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極板組立体
JP7326687B2 (ja) 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EP3518335B1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cylindrical jelly roll
KR102162201B1 (ko) 이차전지
KR102098727B1 (ko) 이차전지
US10700384B2 (en)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70038405A (ko) 이차전지
KR102256478B1 (ko) 전극 조립체
KR20210143595A (ko)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EP3264511B1 (e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20169332A (ko) 전극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 이차전지
KR102256483B1 (ko) 이차전지
WO2018225994A1 (ko) 전극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2187967B1 (ko) 이차전지
JP2023536533A (ja) 二次電池の製造方法及び二次電池
KR20210051994A (ko) 전극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 이차전지
KR20210055882A (ko) 전극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