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440B1 - 복합 광전커넥터 - Google Patents

복합 광전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440B1
KR102472440B1 KR1020200079152A KR20200079152A KR102472440B1 KR 102472440 B1 KR102472440 B1 KR 102472440B1 KR 1020200079152 A KR1020200079152 A KR 1020200079152A KR 20200079152 A KR20200079152 A KR 20200079152A KR 102472440 B1 KR102472440 B1 KR 102472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optical cable
optical
accommodating par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166A (ko
Inventor
이재철
이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씨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씨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씨콤
Priority to KR1020200079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440B1/ko
Publication of KR20220001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74Electrical aspects
    • G02B6/4283Electrical aspects with electrical insulation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56Details of housings
    • G02B6/4262Details of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o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소형화되며 광신호의 전송품질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내부에 전선이 수용되는 전선수용공간이 복수개소 형성되며, 내부에 광케이블이 수용되는 광케이블수용공간이 상기 전선수용공간과 이격되며 복수개소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외면 중앙측에 배치되며 각 상기 전선수용공간과 각각 연통되되 극성을 갖는 한쌍의 전선이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한쌍 이상의 전선케이블포트를 포함하는 전선수용부; 상기 하우징부의 외면 일측에 구비되되 광케이블 중 어느 하나가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도록 상기 광케이블수용공간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제1광케이블포트를 포함하는 제1광섬유수용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외면 타측에 구비되되 광케이블 중 다른 하나가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도록 상기 광케이블수용공간 중 다른 하나와 연통되며 상기 제1광케이블포트와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제2광케이블포트를 포함하는 제2광섬유수용부를 포함하는 복합 광전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복합 광전커넥터{hybrid electro-optical connector}
본 발명은 복합 광전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화되며 광신호의 전송품질이 개선되는 복합 광전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커넥터는 광섬유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광통신 부품으로, 특히 외부환경의 영향을 받지않고 안전하게 정보를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 전송되는 정보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지정위치까지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는 장점으로 국내외 광산업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정보화의 급속한 발전으로 선박, 군사, 항공, 자동차, 로봇분야 등에서 광통신의 활용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도 1은 종래의 복합 광전커넥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광전커넥터(1,electro-optical connector)는 이러한 광전커넥터(1)는 전선을 수용하는 전선수용부(2)와, 광섬유를 수용하는 광섬유수용부(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선수용부(2)는 복수개의 전선커넥터(2a)를 포함하며, 상기 광섬유수용부(3)는 복수개의 광커넥터(3a)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선수용부(2)는 상기 광전커넥터(1)의 일측에 배치되되, 각 상기 전선커넥터(2a)가 군집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광섬유수용부(3)는 상기 전선수용부(2)와 이격된 상기 광전커넥터(1)의 타측에 배치되되, 각 상기 광커넥터(3a)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때, 종래의 상기 광섬유수용부(3)는 광전커넥터(1) 내부의 구조물을 최소화하며 상기 전선수용부(2)가 형성된 영역과 구분이 용이하도록 상호간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광전커넥터(1)는 각 상기 광커넥터(3a)가 이격 배치되나 각 상기 광커넥터(3a) 사이에 차폐물이 배치되지 않아 절연성의 확보가 어려우며 광섬유 간의 상호간섭이 발생하므로 광신호의 전송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광전커넥터를 소형화하기 위해서는 각 상기 광커넥터(3a) 간의 간격이 더욱 축소되어야 하나, 간격이 축소됨으로 인해 절연성의 확보가 더 어려워지므로 소형화와 절연성 확보를 동시에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205239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형화되며 광신호의 전송품질이 개선되는 복합 광전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전선이 수용되는 전선수용공간이 복수개소 형성되며, 내부에 광케이블이 수용되는 광케이블수용공간이 상기 전선수용공간과 이격되며 복수개소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외면 중앙측에 배치되며 각 상기 전선수용공간과 각각 연통되되 극성을 갖는 한쌍의 전선이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한쌍 이상의 전선케이블포트를 포함하는 전선수용부; 상기 하우징부의 외면 일측에 구비되되 광케이블 중 어느 하나가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도록 상기 광케이블수용공간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제1광케이블포트를 포함하는 제1광섬유수용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외면 타측에 구비되되 광케이블 중 다른 하나가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도록 상기 광케이블수용공간 중 다른 하나와 연통되며 상기 제1광케이블포트와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제2광케이블포트를 포함하는 제2광섬유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부에는 상기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의 사이와, 상기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의 사이에 제1절연홈 및 제2절연홈이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방향으로 각각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에 접속된 광케이블 및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에 접속된 광케이블 간의 신호 간섭을 다중으로 차폐하도록 상기 제1절연홈 및 상기 제2절연홈의 내면 윤곽에 대응되는 외면 윤곽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절연홈 및 상기 제2절연홈에 개재되는 절연재질의 절연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절연수단은 상기 제1절연홈 및 상기 제2절연홈에 각각 개재되되 상기 제1광케이블포트 및 상기 제2광케이블포트 사이에 횡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며 다중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광전커넥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 및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는 상기 전선수용부를 사이에 두고 상호 구획 배치되되,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 상기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가 횡방향을 따라 상호 교번 배치되며, 상기 전선수용부가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에 접속된 광케이블 및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에 접속된 광케이블 간의 신호 간섭을 차폐하도록 상기 전선수용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가 배치되고, 타측에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가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절연홈 및 상기 제2절연홈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제1광케이블포트 및 상기 제2광케이블포트의 상하방향 최대 길이의 1.0~1.3배로 설정되며, 상기 제1절연홈 및 상기 제2절연홈의 폭은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의 외곽 테두리 및 상기 전선수용부의 외곽 테두리 사이 간격과, 상기 전선수용부의 외곽 테두리 및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의 외곽 테두리 사이 간격의 0.4~0.6배로 각각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그리고, 상기 제1광케이블포트 및 상기 제2광케이블포트의 내부에는 제1단차부 및 제2단차부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 및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에는 상기 제1단차부 및 제2단차부를 각각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방향으로 제1내경을 갖는 제1광케이블수용홈 및 제2광케이블수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 및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에는 상기 제1광케이블수용홈 및 상기 제2광케이블수용홈으로부터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방향으로 상기 제1내경보다 작은 제2내경을 갖되 각 상기 광케이블수용공간에 각각 연통되는 제1광케이블연결홀 및 제2광케이블연결홀이 각각 단차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광케이블이 삽입되는 제1광섬유수용부와 제2광섬유수용부 사이에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수용부가 배치되어 각 광섬유수용부가 전선수용부에 의해 구획 이격됨에 따라 제품을 소형화하더라도 공간 이격이 극대화되며 상호간의 절연성이 확보되므로 전송되는 광신호의 전송품질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제1광섬유수용부, 전선수용부 제2광섬유수용부가 횡방향을 따라 상호 교번 배치되어 소형화 제조시 상호간의 간격이 좁아지더라도 각 광섬유수용부가 전선수용부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광케이블의 삽입시 오조립이 예방되며 절연성이 확보되면서도 제품을 더욱 소형화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전선수용부 및 제1광섬유수용부의 사이와, 전선수용부 및 제2광섬유수용부의 사이에 형성된 제1절연홈 및 제2절연홈에 절연재질의 절연수단이 다중으로 개재되어 소형화된 하우징부에 형성된 전선수용부, 제1광섬유수용부 및 제2광섬유수용부 간의 신호간섭을 다중 차폐하므로 제품의 내구도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넷째, 제1절연홈 및 제2절연홈의 상하 길이가 제1광케이블포트 및 제2광케이블포트의 상하 최대 길이의 1.0~1.3배로 설정되며 폭이 제1광섬유수용부 및 전선수용부의 외곽 테두리 간의 간격과, 전선수용부의 및 제2광섬유수용부의 외곽 테두리 간의 간격의 0.4~0.6배로 각각 설정되어 접속된 광케이블 간의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인 비용으로 전송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복합 광전커넥터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광전커넥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광전커넥터를 상측에서 바라본 단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광전커넥터에서 제1광전케이블포트 및 제2광전케이블포트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광전커넥터의 변형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광전커넥터의 변형예를 상측에서 바라본 단면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광전커넥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광전커넥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광전커넥터를 상측에서 바라본 단면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광전커넥터에서 제1광전케이블포트 및 제2광전케이블포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광전커넥터(100)는 하우징부(10), 전선수용부(20), 제1광섬유수용부(30) 및 제2광섬유수용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광전커넥터(electro-optical connector)는 광신호를 전송하는 광케이블과,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케이블이 동시에 접속되도록 구비되어 다양한 기능을 요구하는 산업분야에 적용되는 장치이다.
상세히,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부(10)는 내부에 전선이 수용되는 전선수용공간(11a,11b)이 복수개소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전선수용공간(11a,11b)이 4개소 구비되어 종방향 및 횡방향을 따라 상호 구획되며 이격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10)는 절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전선수용공간(11a,11b)은 상기 하우징부(10)의 내부 중앙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전선수용공간(11a,11b)에는 외부로부터 접속되는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내부전선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선수용부(20)는 상기 하우징부(10)의 외면 중앙측에 배치되며, 각 상기 전선수용공간(11a,11b)과 각각 연통되되 극성을 갖는 한쌍의 전선이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한쌍 이상의 전선케이블포트(21,22,23,2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전선케이블포트(21,22,23,24)가 4개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또한, 각 상기 전선케이블포트(21,22,23,24)는 종방향 및 횡방향을 따라 상호 구획되며 격자 형태로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선케이블포트(21,22,23,24)는 각 상기 전선수용공간(11a,11b) 중 어느 하나에 개별적으로 각각 연통되는 제1전선케이블포트(21), 제2전선케이블포트(22), 제3전선케이블포트(23) 및 제4전선케이블포트(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전선케이블포트(21), 상기 제2전선케이블포트(22), 상기 제3전선케이블포트(23) 및 상기 제4전선케이블포트(24)가 좌측 상단, 우측 상단, 좌측 하단, 우측 하단에 격자 형태로 상호 구획되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상기 전선케이블포트(21,22,23,24)에 외부로부터 접속되는 전선이 각각 삽입되어 각 상기 내부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부(10)는 내부에 광케이블이 수용되는 광케이블수용공간(12,13)이 각 상기 전선수용공간(11a,11b)과 폭방향 양측으로 이격되며 복수개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광케이블수용공간(12,13)은 상기 하우징부(10)의 내부 폭방향 일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광케이블수용공간(12)과, 상기 하우징부(10)의 내부 폭방향 타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광케이블수용공간(13)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광케이블수용공간(12) 및 상기 제2광케이블수용공간(13)에는 외부로부터 접속되는 광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내부광케이블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30)는 상기 하우징부(10)의 외면 폭방향 일측에 구비되되 광케이블 중 어느 하나가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도록 상기 광케이블수용공간(12,13)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제1광케이블포트(3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1광케이블포트(31)는 상기 하우징부(10)의 외면 폭방향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1광케이블수용공간(12)과 상호 연통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광케이블포트(31)의 내부에는 제1단차부(32)가 형성되되,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30)에는 상기 제1단차부(32)를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부(10)의 외측방향으로 제1내경을 갖는 제1광케이블수용홈(3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30)에는 상기 제1광케이블수용홈(33)으로부터 상기 하우징부(10)의 내측방향으로 상기 제1내경보다 작은 제2내경을 갖되 상기 제1광케이블수용공간(12)에 연통되는 제1광케이블연결홀(34)이 단차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30)에는 상기 제1광케이블수용홈(33)과 상기 제1광케이블연결홀(34)이 단차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40)는 상기 하우징부(10)의 외면 폭방향 타측에 구비되되 광케이블 중 다른 하나가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도록 상기 광케이블수용공간(12,13) 중 다른 하나와 연통되며 상기 제1광케이블포트(31)와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제2광케이블포트(4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2광케이블포트(41)는 상기 하우징부(10)의 외면 폭방향 타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2광케이블수용공간(13)과 상호 연통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광케이블포트(41)의 내부에는 제2단차부(42)가 형성되되,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40)에는 상기 제2단차부(42)를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부(10)의 외측방향으로 제1내경을 갖는 제1광케이블수용홈(4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40)에는 상기 제2광케이블수용홈(43)으로부터 상기 하우징부(10)의 내측방향으로 상기 제1내경보다 작은 제2내경을 갖되 상기 제2광케이블수용공간(13)에 연통되는 제2광케이블연결홀(44)이 단차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40)에는 상기 제2광케이블수용홈(43)과 상기 제2광케이블연결홀(44)이 단차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30) 및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40)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대칭되어 상기 하우징부(10)의 외면 폭방향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30) 및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40)는 상기 전선수용부(20)를 사이에 두고 상호 구획 배치되되,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30), 상기 전선수용부(20) 및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40)가 횡방향을 따라 상호 교번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선수용부(20)가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30)에 접속된 광케이블 및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40)에 접속된 광케이블 간의 신호 간섭을 차폐하며 절연성이 확보되도록 상기 전선수용부(20)를 기준으로 폭방향 일측에 상기 제1광케이블포트(31)가 배치되고, 폭방향 타측에 상기 제2광케이블포트(32)가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광전커넥터(100)는 광케이블이 삽입되는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30)와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40) 사이에 전선이 삽입되는 상기 전선수용부(20)가 배치되어 각 광섬유수용부(30,40)가 상기 전선수용부(20)에 의해 구획 이격됨에 따라 제품을 소형화하더라도 공간 이격이 극대화되며 상호간의 절연성이 확보되어 신호 간섭이 최소화되므로 전송되는 광신호의 전송품질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30), 상기 전선수용부(20) 및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40)가 횡방향을 따라 상호 교번 배치되어 소형화 제조시 상호간의 간격이 좁아지더라도 각 광섬유수용부(30,40)가 상기 전선수용부(20)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광케이블의 삽입시 오조립이 예방되며 절연성이 확보되면서도 제품을 더욱 소형화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광케이블포트(31) 및 상기 제2광케이블포트(41)의 각 내부의 제1단차부(32) 및 제2단차부(42)를 기준으로 외측방향으로 제1내경을 갖는 제1광케이블수용홈(33) 및 제2광케이블수용홈(43)이 각각 형성되고, 내측방향으로 상기 제1내경보다 작은 제2내경을 갖되 각 상기 광케이블수용공간(12,13)에 각각 연통되는 제1광케이블연결홀(34) 및 제2광케이블연결홀(44)이 각각 단차지게 형성되므로 광섬유케이블의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광전커넥터의 변형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광전커넥터의 변형예를 상측에서 바라본 단면예시도이다. 본 변형예에서, 하우징부(110) 및 절연수단(150)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로 도시한다.
도 5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복합 광전커넥터(200)는 하우징부(110), 전선수용부(20), 제1광섬유수용부(30), 제2광섬유수용부(40) 및 절연수단(1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110)에는 상기 전선수용부(20) 및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30)의 사이와, 상기 전선수용부(20) 및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40)의 사이에 제1절연홈(114) 및 제2절연홈(115)이 상기 하우징부(110)의 내측방향으로 각각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절연홈(114) 및 상기 제2절연홈(115)은 상호 대응되는 폭 및 상하방향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절연홈(114)은 상기 전선수용부(20) 및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30)의 사이에 상기 하우징부(110)의 내측방향으로 함몰되며, 상기 제2절연홈(115)은 상기 전선수용부(20) 및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40)의 사이에 상기 제1절연홈(114)과 폭방향으로 구획 이격되며 상기 하우징부(110)의 내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절연홈(114) 및 상기 제2절연홈(115)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제1광케이블포트(31) 및 상기 제2광케이블포트(41)의 상하방향 최대 길이를 초과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절연홈(114) 및 상기 제2절연홈(115)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제1광케이블포트(31) 및 상기 제2광케이블포트(41)의 상하방향 최대 길이의 1.0~1.3배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절연홈(114) 및 상기 제2절연홈(115)의 상하방향 길이가 상기 제1광케이블포트(31) 및 상기 제2광케이블포트(41)의 상하방향 최대 길이의 1.0배 미만인 경우 상기 제1광케이블포트(31) 및 상기 제2광케이블포트(41)에 각각 접속된 광케이블 간의 신호 간섭이 발생하여 전송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반면에, 상기 제1절연홈(114) 및 상기 제2절연홈(115)의 상하방향 길이가 상기 제1광케이블포트(31) 및 상기 제2광케이블포트(41)의 상하방향 최대 길이의 1.3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하우징부(110)의 크기가 증가되고 제조비용이 증가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절연홈(114) 및 상기 제2절연홈(115)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제1광케이블포트(31) 및 상기 제2광케이블포트(41)의 상하방향 최대 길이의 1.0~1.3배로 설정되어 상기 제1광케이블포트(31) 및 상기 제2광케이블포트(41)에 각각 접속된 광케이블 간의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인 비용으로 전송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절연홈(114) 및 상기 제2절연홈(115)의 폭은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30)의 외곽 테두리 및 상기 전선수용부(20)의 외곽 테두리 사이 간격, 그리고 상기 전선수용부(20)의 외곽 테두리 및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40)의 외곽 테두리 사이 간격의 0.4~0.6배로 각각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절연홈(114)의 폭은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30)의 외곽 테두리 및 상기 전선수용부(20)의 외곽 테두리 사이 간격의 0.4~0.6배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절연홈(115)의 폭은 상기 전선수용부(20)의 외곽 테두리 및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40)의 외곽 테두리 사이 간격의 0.4~0.6배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절연홈(114) 및 상기 제2절연홈(115)의 폭이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30)의 외곽 테두리 및 상기 전선수용부(20)의 외곽 테두리 사이 간격, 그리고 상기 전선수용부(20)의 외곽 테두리 및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40)의 외곽 테두리 사이 간격의 0.4배 미만으로 각각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1광케이블포트(31) 및 상기 제2광케이블포트(41)에 각각 접속된 광케이블 간의 신호 간섭이 발생하여 전송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반면에, 상기 제1절연홈(114) 및 상기 제2절연홈(115)의 폭이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30)의 외곽 테두리 및 상기 전선수용부(20)의 외곽 테두리 사이 간격, 그리고 상기 전선수용부(20)의 외곽 테두리 및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40)의 외곽 테두리 사이 간격의 0.6배를 초과하는 경우 전선케이블 및 광케이블의 삽입시 마모 등의 원인으로 인해 각 절연홈(114,115)과 각 수용부(20,30,40)가 상호 연통되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절연홈(114) 및 상기 제2절연홈(115)의 폭은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30)의 외곽 테두리 및 상기 전선수용부(20)의 외곽 테두리 사이 간격, 그리고 상기 전선수용부(20)의 외곽 테두리 및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40)의 외곽 테두리 사이 간격의 0.4~0.6배로 각각 설정되어 상기 제1광케이블포트(31) 및 상기 제2광케이블포트(41)에 각각 접속된 광케이블 간의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인 비용으로 전송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합 광전커넥터(200)는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30)에 접속된 광케이블 및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40)에 접속된 광케이블 간의 신호 간섭을 다중으로 차폐하도록 상기 제1절연홈(114) 및 상기 제2절연홈(115)의 내면 윤곽에 대응되는 외면 윤곽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절연홈(114) 및 상기 제2절연홈(115)에 각각 개재되는 절연재질의 복수개의 절연수단(150)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절연수단(150)은 상기 제1절연홈(114) 및 상기 제2절연홈(115)에 각각 개재되되 상기 제1광케이블포트(31) 및 상기 제2광케이블포트(41) 사이에 횡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며 다중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절연수단(150)은 합성수지,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니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수단(150)의 폭 및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제1절연홈(114) 및 상기 제2절연홈(115)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술된 상기 제1절연홈(114) 및 상기 제2절연홈(115)의 폭 및 상하방향 길이와 상기 절연수단(150)의 폭 및 상하방향 길이가 상호 대응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의 사이와, 상기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의 사이에 함몰 형성된 제1절연홈 및 제2절연홈에 절연재질의 절연수단이 다중으로 개재되어 소형화된 하우징부에 형성된 전선수용부, 제1광섬유수용부 및 제2광섬유수용부 간의 신호간섭을 다중 차폐하므로 제품의 내구도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200: 복합 광전커넥터 10,110: 하우징부
20: 전선수용부 30: 제1광섬유수용부
40: 제2광섬유수용부 114: 제1절연홈
115: 제2절연홈 150: 절연수단

Claims (5)

  1. 내부에 전선이 수용되는 전선수용공간이 복수개소 형성되며, 내부에 광케이블이 수용되는 광케이블수용공간이 상기 전선수용공간과 이격되며 복수개소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외면 중앙측에 배치되며 각 상기 전선수용공간과 각각 연통되되 극성을 갖는 한쌍의 전선이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한쌍 이상의 전선케이블포트를 포함하는 전선수용부;
    상기 하우징부의 외면 일측에 구비되되 광케이블 중 어느 하나가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도록 상기 광케이블수용공간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제1광케이블포트를 포함하는 제1광섬유수용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외면 타측에 구비되되 광케이블 중 다른 하나가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도록 상기 광케이블수용공간 중 다른 하나와 연통되며 상기 제1광케이블포트와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제2광케이블포트를 포함하는 제2광섬유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부에는 상기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의 사이와, 상기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의 사이에 제1절연홈 및 제2절연홈이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방향으로 각각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에 접속된 광케이블 및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에 접속된 광케이블 간의 신호 간섭을 다중으로 차폐하도록 상기 제1절연홈 및 상기 제2절연홈의 내면 윤곽에 대응되는 외면 윤곽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절연홈 및 상기 제2절연홈에 개재되는 절연재질의 절연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절연수단은 상기 제1절연홈 및 상기 제2절연홈에 각각 개재되되 상기 제1광케이블포트 및 상기 제2광케이블포트 사이에 횡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며 다중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광전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 및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는 상기 전선수용부를 사이에 두고 상호 구획 배치되되,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 상기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가 횡방향을 따라 상호 교번 배치되며,
    상기 전선수용부가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에 접속된 광케이블 및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에 접속된 광케이블 간의 신호 간섭을 차폐하도록 상기 전선수용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가 배치되고, 타측에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가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광전커넥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홈 및 상기 제2절연홈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제1광케이블포트 및 상기 제2광케이블포트의 상하방향 최대 길이의 1.0~1.3배로 설정되며,
    상기 제1절연홈 및 상기 제2절연홈의 폭은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의 외곽 테두리 및 상기 전선수용부의 외곽 테두리 사이 간격과, 상기 전선수용부의 외곽 테두리 및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의 외곽 테두리 사이 간격의 0.4~0.6배로 각각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광전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케이블포트 및 상기 제2광케이블포트의 내부에는 제1단차부 및 제2단차부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 및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에는 상기 제1단차부 및 제2단차부를 각각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방향으로 제1내경을 갖는 제1광케이블수용홈 및 제2광케이블수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광섬유수용부 및 상기 제2광섬유수용부에는 상기 제1광케이블수용홈 및 상기 제2광케이블수용홈으로부터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방향으로 상기 제1내경보다 작은 제2내경을 갖되 각 상기 광케이블수용공간에 각각 연통되는 제1광케이블연결홀 및 제2광케이블연결홀이 각각 단차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광전커넥터.
KR1020200079152A 2020-06-29 2020-06-29 복합 광전커넥터 KR102472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152A KR102472440B1 (ko) 2020-06-29 2020-06-29 복합 광전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152A KR102472440B1 (ko) 2020-06-29 2020-06-29 복합 광전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166A KR20220001166A (ko) 2022-01-05
KR102472440B1 true KR102472440B1 (ko) 2022-11-30

Family

ID=79348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152A KR102472440B1 (ko) 2020-06-29 2020-06-29 복합 광전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4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3022A (ja) * 2000-07-03 2002-01-23 Yazaki Corp ハイブリッドコネクタ
US20090142022A1 (en) 2007-11-30 2009-06-04 Chuang Yi-Fang Multi-port connector having esata connector and optical fiber transmitting connector
JP2014102441A (ja) * 2012-11-21 2014-06-0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ハイブリッドコネクタ
KR101419503B1 (ko) 2013-01-07 2014-07-14 한국광기술원 전자기기의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광모듈 일체형 능동 광전 커넥터 유니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399B1 (ko) 2018-05-04 2019-12-05 주식회사 지디티 광전 복합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3022A (ja) * 2000-07-03 2002-01-23 Yazaki Corp ハイブリッドコネクタ
US20090142022A1 (en) 2007-11-30 2009-06-04 Chuang Yi-Fang Multi-port connector having esata connector and optical fiber transmitting connector
JP2014102441A (ja) * 2012-11-21 2014-06-0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ハイブリッドコネクタ
KR101419503B1 (ko) 2013-01-07 2014-07-14 한국광기술원 전자기기의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광모듈 일체형 능동 광전 커넥터 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166A (ko) 202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78378B2 (ja) デュプレックスミニlcコネクタ
JP3646979B2 (ja) ハイブリッドコネクタ
US6599025B1 (en) Hybrid data plug
KR100248970B1 (ko) 광 섬유 커넥터용 어댑터 조립체
US7736159B1 (en) Pluggable connector with differential pairs
US20100266245A1 (en) Fiber termination for fiber optic connection system
EP1170612B1 (en) Hybrid optical and electrical connector
EP2942841A2 (en) Connector
US11038330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CN111897060B (zh) 一种光模块
US8241068B2 (en) Pluggable connector with differential pairs having an air core
JP3803073B2 (ja) 光コネクタ
US20190271811A1 (en) Optical-Electrical Complex Connector
US9748750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KR102472440B1 (ko) 복합 광전커넥터
EP1079250B1 (en) Light coupled device
KR100869701B1 (ko) 광 트랜시이버
EP2715424B1 (en) Optical fiber connecting structure
US20200313361A1 (en) Connector
CN215528002U (zh) 一种电连接器组件的接地共电位结构
KR102088326B1 (ko) 파크라 단자
KR20180117897A (ko) 광커넥터
JP2001083377A (ja) レセプタクル、レセプタクルの製造方法、及び光コネクタ
CN106058590A (zh) 混合插头连接器
JP2002023027A (ja) 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