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875B1 - 측위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측위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875B1
KR102471875B1 KR1020200137466A KR20200137466A KR102471875B1 KR 102471875 B1 KR102471875 B1 KR 102471875B1 KR 1020200137466 A KR1020200137466 A KR 1020200137466A KR 20200137466 A KR20200137466 A KR 20200137466A KR 102471875 B1 KR102471875 B1 KR 102471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communication base
area
commun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3245A (ko
Inventor
이원호
최성우
김선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137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875B1/ko
Publication of KR20220053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위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집한 통신 환경 정보를 기초로 지속적으로 기계 학습을 수행한 후, 기계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측위 정보를 제공하는 측위 시스템이 수행하는 제어방법은, 통신 서비스 지역을 기 설정된 크기의 세부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와; 상기 각 세부 영역별로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통신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통신 환경 정보를 기초로 각 세부 영역에 속하는 통신 기지국의 상태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통신 기지국의 상태 변경 여부에 따른 각 세부 영역별 통신 기지국의 상태 변경율을 기초로 특정 세부 영역을 학습 대상 영역으로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학습 대상 영역 내의 통신 환경 정보를 기초로, 해당 학습 대상 영역에 대해 기계 학습 갱신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측위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POSITIONING SER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측위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기초로 기계 학습을 통해 정확한 측위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의 위치를 기초로 길 찾기, 맛집 찾기 등과 같은 서비스가 널리 이용되고 있고, 이러한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것이 측위 기술이다.
즉, 통신 단말기의 현재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이 이러한 측위 서비스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가장 중요한데, 종래에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된 바 있다.
그 중에 대표적인 것이 핑거프린트 측위 방식인데, 이는 통신 단말기가 수집한 각 기지국별 신호 패턴을 데이터베이스화한 후, 특정 단말기로부터 특정 기지국에 대한 신호 패턴을 수신한 경우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특정 단말기의 현재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식이다.
특히, 최근에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 즉, 기계 학습에 의해 정밀도를 높인 핑거프린트 측위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에서 수집된 기지국 정보 데이터들(예를 들어 기지국 식별자 및 신호 세기 정보)을 기계 학습의 MLP(Multi Layer Perception) 모델에 입력하여 정답(위치 좌표)에 가까운 값이 나오도록 학습 및 훈련을 수행하고, 결국 최적화된 레이어 파라미터를 가지는 측위 모델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최적화된 측위 모델이 생성된 이후에는, 통신 단말기에서 수집된 기지국 정보 데이터(예를 들어 기지국 식별자 및 신호 세기 정보)를 해당 측위 모델이 입력하게 되면 통신 단말기의 현재의 위치 좌표가 출력되게 된다.
이처럼 기계 학습 그 자체에 대한 기술 또는 기계 학습과 측위를 결합한 기술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기계 학습을 수행함에 있어서 수집되는 정보들을 기초로 전국 단위로 수행함으로써 기계 학습이 완료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기계 학습에 필요한 시스템 구축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즉, 통신 서비스 대상 지역(전국)에서 수신되는 통신 단말기의 신호를 이용하여 수집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전국단위로 기계 학습을 수행해 왔고,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과도한 시간 및 비용을 발생시켜 서비스 제공 업체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
등록번호 제10-1945320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측위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기계 학습을 수행함에 있어서, 과다한 처리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집한 통신 환경 정보를 기초로 지속적으로 기계 학습을 수행한 후, 기계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측위 정보를 제공하는 측위 시스템이 수행하는 제어방법은, 통신 서비스 지역을 기 설정된 크기의 세부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와; 상기 각 세부 영역별로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통신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통신 환경 정보를 기초로 각 세부 영역에 속하는 통신 기지국의 상태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통신 기지국의 상태 변경 여부에 따른 각 세부 영역별 통신 기지국의 상태 변경율을 기초로 특정 세부 영역을 학습 대상 영역으로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학습 대상 영역 내의 통신 환경 정보를 기초로, 해당 학습 대상 영역에 대해 기계 학습 갱신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세부 영역 내에 배치된 통신 기지국 중 상태 변화가 발생한 통신 기지국이 기 설정된 비율 이상인 경우 해당 세부 영역을 학습 대상 영역으로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세부 영역 내에 배치된 통신 기지국 중 기 설정된 반경 이내에서 상태 변화가 발생한 통신 기지국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해당 세부 영역을 학습 대상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환경 정보에 포함된 위치 좌표와 통신 기지국 정보를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각 통신 기지국의 상태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통신 환경 정보에서 위치 좌표와 통신 기지국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위치 좌표를 기준으로 하는 위치 영역을 판단하며, 그 판단된 위치 영역과 상기 통신 기지국 정보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통신 환경 정보로부터 위치 좌표와 통신 기지국 정보를 추출한 후, 그 추출된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위치 영역에 매칭 등록된 통신 기지국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통신 환경 정보로부터 추출한 통신 기지국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통신 기지국 정보를 비교하여 통신 기지국의 상태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위치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위치 좌표를 이용한 판단 결과, 일부 위치 좌표에 기초한 판단에서는 해당 특정 위치 영역에 매칭된 통신 기지국의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고, 나머지 위치 좌표에 기초한 판단에서는 해당 특정 위치 영역에 매칭된 통신 기지국의 상태 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특정 위치 영역에서 상기 일부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소정 영역이 제외되도록 재설정 등록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집한 통신 환경 정보를 기초로 지속적으로 기계 학습을 수행한 후, 기계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측위 정보를 제공하는 측위 시스템은, 통신 서비스 지역을 기 설정된 크기의 세부 영역으로 구분하는 영역 구분부와; 상기 각 세부 영역별로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통신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와; 상기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통신 환경 정보를 기초로 각 세부 영역에 속하는 통신 기지국의 상태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된 통신 기지국의 상태 변경 여부에 따른 각 세부 영역별 통신 기지국의 상태 변경율을 기초로 특정 세부 영역을 학습 대상 영역으로 선정하는 학습 대상 선정부와; 상기 학습 대상 선정부에서 선정된 학습 대상 영역 내의 통신 환경 정보를 기초로, 해당 학습 대상 영역에 대해 기계 학습 갱신 과정을 수행하는 기계 학습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학습 대상 선정부는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세부 영역 내에 배치된 통신 기지국 중 상태 변화가 발생한 통신 기지국이 기 설정된 비율 이상인 경우 해당 세부 영역을 학습 대상 영역으로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학습 대상 선정부는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세부 영역 내에 배치된 통신 기지국 중 기 설정된 반경 이내에서 상태 변화가 발생한 통신 기지국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해당 세부 영역을 학습 대상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환경 정보에 포함된 위치 좌표와 통신 기지국 정보를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각 통신 기지국의 상태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통신 환경 정보에서 위치 좌표와 통신 기지국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위치 좌표를 기준으로 하는 위치 영역을 판단하며, 그 판단된 위치 영역과 상기 통신 기지국 정보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정보 등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정보 수집부에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통신 환경 정보로부터 위치 좌표와 통신 기지국 정보를 추출한 후, 그 추출된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위치 영역에 매칭 등록된 통신 기지국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통신 환경 정보로부터 추출한 통신 기지국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통신 기지국 정보를 비교하여 통신 기지국의 상태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보 등록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특정 위치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위치 좌표를 이용한 판단 결과, 일부 위치 좌표에 기초한 판단에서는 해당 특정 위치 영역에 매칭된 통신 기지국의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고, 나머지 위치 좌표에 기초한 판단에서는 해당 특정 위치 영역에 매칭된 통신 기지국의 상태 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특정 위치 영역에서 상기 일부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소정 영역이 제외되도록 재설정 등록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서비스 지역을 기 설정된 크기의 세부 영역으로 구분한 후에, 각 세부 영역별로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한하여 기계 학습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기계 학습 처리에 걸리는 시간 및 자원 할당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기계학습 시간이 단축됨으로써, 통신 기지국 이동과 같은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측위 시스템에 반영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대로 된 측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위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위 시스템이 측위 서비스 지역을 소정의 세부 영역으로 구분하여 처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측위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4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측위 영역의 모양이 변경 또는 갱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위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 신호는 한 번의 연결 등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거나 상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전송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편의상 하나의 신호명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위 시스템(100)을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우선, 도 1에서 사용자 단말기(300)는 측위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통신망 가입자가 조작하는 단말기 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구축을 위해 서비스 직원이 조작하는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개인이 휴대하는 스마트폰이나, 차량 등에 장착된 내비게이션 등에 해당할 수 있다.
통신망 가입자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측위 시스템(100)에 지도 서비스를 요청하거나, 또는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특정 목적지를 검색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지하나 실내에서와 같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좌표를 획득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 자신의 현재의 위치를 요청할 수도 있다.
이처럼 사용자 단말기(300)가 측위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측위 시스템(100)은 상술한 사용자 단말기(300)와 통신하여 측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측위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신호를 기초로 통신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 환경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300)가 현 위치에서 감지되는 통신 기지국(200)에 한 정보 또는 그 통신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환경 정보는 가장 신호가 센 기지국의 아이디(Reference Cell ID), 그 외 신호가 잡히는 기지국 아이디(Neighbor Cell ID), 각 기지국의 신호의 세기(RSRP), 신호의 품질(RSRQ) 등이 포함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사용자 단말기(300)에 GPS 모듈과 같이 자체적으로 지리적 좌표를 산출할 수 있는 모듈이 구비된 경우 위치 좌표 역시 통신 환경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측위 시스템(100)은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 지역을 소정의 세부 영역으로 구분하여 관리하는데, 도 2에는 이를 설명하는 도면이 도시되었다.
즉, 도 2(a)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300) 주변에는 여러 개의 기지국이 존재할 수 있는데, 측위 시스템(100)은 도 2(b)와 같이 해당 영역을 소정의 세부 영역으로 구분하고,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통신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에도 각 세부 영역별로 구별하여 수집한다.
예를 들어 측위 시스템(100)은 제1 세부 영역에서 수신되는 사용자 단말기(300) 신호로부터 획득한 정보 즉, 통신 환경 정보를 해당 제1 세부 영역에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또한 제2 세부 영역에서 수신되는 사용자 단말기(300) 신호로부터 획득한 정보 즉, 통신 환경 정보를 해당 제2 세부 영역에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측위 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기계학습을 수행하여 각 세부 영역별 특성이 반영된 인공지능 모듈을 생성하고, 이렇게 구축된 인공지능 모듈을 이용하여 추후 사용자 단말기(300)에게 측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기계학습의 처리 과정 역시 세부 영역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계 학습의 결과로 기계 학습시 구성된 레이어(히든 레이어 등)의 파라미터 값이 결정되고, 이렇게 결정된 파라미터에 의해 기계 학습 모듈이 구축되며, 기계 학습 모듈을 이용하여 최종 출력값을 산출하는 과정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구축된 기계 학습 모듈에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환경 정보가 입력값이 되고 최종 출력으로 해당 사용자 단말기(300)의 측위가 산출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측위 시스템(100)의 핵심적인 특징은 통신 서비스 지역을 소정의 세부 영역으로 구분하여 관리한다는 점이고, 특히 기계 학습 처리를 세부 영역별 특정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한다는 점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측위 시스템(100)은 기계 학습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하고(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통신 환경 정보는 즉, 가장 신호가 센 기지국의 아이디(Reference Cell ID), 그 외 신호가 잡히는 기지국 아이디(Neighbor Cell ID), 각 기지국의 신호의 세기(RSRP), 신호의 품질(RSRQ)과 함께 사용자 단말기(300)가 스스로 판단 또는 측정한 위치 좌표를 수신할 수 있음), 이렇게 수신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정밀한 위치 좌표 산출을 위한 기계학습을 수행하게 되는데, 본원 발명의 핵심 특징은 세부 영역들 중에서 일부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기계 학습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이하 이러한 특징을 위주로 설명토록 한다.
이러한 측위 시스템(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의 일 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위 시스템(100)은 영역 구분부(110), 정보 수집부(120), 판단부(130), 학습 대상 선정부(140), 기계 학습 처리부(150), 정보 등록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영역 구분부(110)는 통신 서비스 지역을 기 설정된 크기의 세부 영역으로 구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영역 구분부(110)는 통신 서비스 지역을 소정의 크기를 갖는 세부 영역으로 구분하는데, 여기서 구분된 세부 영역의 크기가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영역 구분부(110)는 이처럼 통신 서비스 지역을 세부 영역으로 구분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지도 데이터, 좌표 데이터 등)를 소정의 서버(미 도시함)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정보 수집부(120)는 각 세부 영역별로 사용자 단말기(300)와의 통신을 통해 통신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정보 수집부(120)에 의해 수집된 통신 환경 정보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변 통신 기지국들(200)에 대한 정보, 각 통신 기지국들(200)의 신호의 세기 또는 품질, 위치 좌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통신 기지국들(200)에 대한 정보, 통신 기지국들(200)의 신호의 세기, 위치 좌표 등은 기계 학습을 위해 필요한 정보이기도 하지만, 본 발명의 핵심적인 특징인 기계 학습 대상 세부 영역을 선별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기도 하다.
정보 등록부(160)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통신 환경 정보에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한 후, 데이터베이스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정보 등록부(160)는 수집되는 통신 환경 정보로부터 위치 좌표와 통신 기지국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위치 좌표와 기지국 정보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정보 등록부(160)는 수집되는 통신 환경 정보로부터 위치 좌표와 통신 기지국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위치 좌표를 기준으로 하는 위치 영역을 판단하며, 그 판단된 위치 영역과 통신 기지국 정보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정보 등록부(160)는 후술하는 판단부(13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위치 영역의 범위를 재설정 등록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토록 한다.
판단부(130)는 정보 수집부(120)에서 수집된 통신 환경 정보를 기초로 각 세부 영역에 속하는 통신 기지국(200)의 상태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판단부(13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환경 정보에 포함된 위치 좌표와 통신 기지국 정보를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각 통신 기지국(200)의 상태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기지국(200)의 상태 변경에는 새로운 통신 기지국(200)의 추가, 기존 통신 기지국(200)의 삭제, 기존 통신 기지국(200)의 위치 이동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위치 좌표와 해당 위치 좌표에서 측정되는 주변 통신 기지국(200)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통신 기지국 아이디)가 데이터베이스에 매칭 등록되어 있는 경우, 판단부(13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환경 정보에서 위치 좌표와 통신 기지국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정보와 비교하여 통신 기지국(200)의 상태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예로 통신 기지국(200)이 없어지거나, 다른 통신 기지국(200)으로 교체된 경우 해당 특정 위치 좌표에서 수집되는 통신 기지국 아이디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통신 기지국(200)의 상태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예로써,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주변 통신 기지국(200)의 아이디와 그 각각의 신호 세기에 대한 정보가 수신된 경우, 판단부(130)는 기 구축된 인공지능 모듈에 해당 정보를 입력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기(300)의 위치 좌표를 추정하고, 그 추정된 위치 좌표와 주변 통신 기지국(200)의 아이디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정보(즉, 통신 기지국 아이디와 위치 좌표 매칭 정보)를 비교하여 통신 기지국(200)의 상태 변경(예를 들어 위치 이동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비교 대상이 각각 '위치 좌표'인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데이터베이스에는 위치 좌표 범위가 등록되어 있을 수도 있고, 이 경우 판단부(13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거나 인공 지능 모듈을 통해 추정된 위치 좌표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위치 좌표 범위를 비교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보 등록부(160)에 의해 위치 좌표에 기초한 소정의 위치 영역과 통신 기지국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판단부(130)는 정보 수집부(120)에서 수집된 통신 환경 정보로부터 위치 좌표와 통신 기지국 정보를 추출한 후, 그 추출된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위치 영역에 매칭 등록된 통신 기지국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통신 환경 정보로부터 추출한 통신 기지국 정보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통신 기지국 정보를 비교하여 통신 기지국(200)의 상태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판단부(130)에서 특정 위치 영역에 포함되는 다양한 위치 좌표에 기초하여 통신 기지국(200)의 상태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데, 만일 특정 위치 영역에 포함되는 위치 좌표 중 일부 위치 좌표에 기초한 판단에서는 해당 특정 위치 영역에 매칭된 통신 기지국(200)의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고, 나머지 위치 좌표에 기초한 판단에서는 해당 특정 위치 영역에 매칭된 통신 기지국(200)의 상태 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정보 등록부(160)는 특정 위치 영역에서 일부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소정 영역이 제외되도록 재설정 등록할 수 있다.
이는 최초에 설정된 위치 영역의 크기 또는 범위의 오차를 보정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도 4(a)와 같은 위치 영역에 대해 통신 기지국 아이디 base1, base2, base3가 매칭되어 있는 상태에서, 판단부(130)의 판단 결과 해당 위치 영역에 포함된 좌표 중 a1, a2, a3 좌표에서는 base1, base2, base4 가 감지되고, a4, a5, a6 좌표에서는 base1, base2, base3이 감지된 경우, 정보 등록부(160)는 도 4(b)와 같이 base1, base2, base3 기지국과 매칭되는 위치 영역을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학습 대상 선정부(140)는 판단부(130)에서 판단된 통신 기지국(200)의 상태 변경 여부에 따른 각 세부 영역별 통신 기지국(200)의 상태 변경율을 기초로 특정 세부 영역을 학습 대상 영역으로 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세부 영역별 통신 기지국(200)의 상태 변경율은 해당 세부 영역에 포함된 통신 기지국(200) 중 상태가 변경된 통신 기지국(200)의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학습 대상 선정부(140)는 판단부(130)의 판단 결과 세부 영역 내에 배치된 통신 기지국(200) 중 상태 변화가 발생한 통신 기지국(200)이 기 설정된 비율 이상인 경우 해당 세부 영역을 학습 대상 영역으로 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든다면, 세부 영역 내에 총 100 개의 통신 기지국(200)이 존재하였었는데, 이 중 10%에 해당하는 10 개 이상의 통신 기지국(200)이 제거된 경우 학습 대상 선정부(140)는 해당 세부 영역을 학습 대상 영역으로 선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학습 대상 선정부(140)는 판단부(130)의 판단 결과 상기 세부 영역 내에 배치된 통신 기지국(200) 중 기 설정된 반경 이내에서 상태 변화가 발생한 통신 기지국(200)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해당 세부 영역을 학습 대상 영역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든다면, 세부 영역 내에 1km 반경 내에 위치한 통신 기지국(200) 중 3개 이상의 통신 기지국(200)이 새로 생긴 경우 학습 대상 선정부(140)는 해당 세부 영역을 학습 대상 영역으로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 대상 선정부(140)는 학습 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비교하는 대상을 날짜 단위로 비교할 수도 있고, 또는 갱신 단위로 비교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세부 영역 내에 배치된 통신 기지국(200)의 상태 변화를 판단함에 있어서, 어제의 상태와 오늘의 상태를 비교하여 판단할 수도 있고, 또는 해당 세부 영역에 대해 기계 학습이 이루어진 마지막 시점의 상태와 현 시점의 상태를 비교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기계 학습 처리부(150)는 학습 대상 선정부(140)에서 선정된 학습 대상 영역 내의 통신 환경 정보를 기초로, 해당 학습 대상 영역에 대해 기계 학습 갱신 과정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기계 학습 처리부(150)는 모든 세부 영역을 대상으로 기계 학습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과정을 거쳐 학습 대상 선정부(140)에서 선정된 학습 대상 영역에 대해서만 선별적으로 기계 학습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그간 해당 학습 대상 영역에 대응하여 수집되었던 통신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기계 학습이 이루지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또한 기계 학습의 결과로 인공 지능 모듈이 갱신되는 것 역시 당연한 것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위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세부 영역은 격자 구조로 이루어졌다고 가정한다.
측위 시스템(100)은 격자별 통신 환경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한다.
수집된 격자별 통신 환경 정보로부터 측위 시스템(100)은 위치 좌표와 통신 기지국 정보를 추출한다.
이어서 측위 시스템(100)은 추출된 위치 좌표와 통신 기지국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정보와 비교하여 통신 기지국(200)의 상태 변화(일 예로 위치 변경)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격자별 배치된 통신 기지국(200)의 10% 이상이 변경된 경우, 측위 시스템(100)은 해당 격자를 기계 학습 대상으로 선정한다.
또는 격자별 단위 반경(일 예로 1km) 내 3 개 이상의 통신 기지국(200)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에도 측위 시스템(100)은 해당 격자를 기계 학습 대상으로 선정한다.
이어서 측위 시스템(100)은 기계 학습 대상으로 선정된 격자에 대해서 선별적으로 기계 학습을 수행 및 갱신한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측위 시스템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측위 시스템 200 : 통신 기지국
300 : 사용자 단말기 110 : 영역 구분부
120 : 정보 수집부 130 : 판단부
140 : 학습 대상 선정부 150 : 기계 학습 처리부
160 : 정보 등록부

Claims (14)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집한 통신 환경 정보를 기초로 지속적으로 기계 학습을 수행한 후, 기계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측위 정보를 제공하는 측위 시스템이 수행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a) 통신 서비스 지역을 기 설정된 크기의 세부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와;
    (b) 상기 각 세부 영역별로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통신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에서 수집된 통신 환경 정보를 기초로 각 세부 영역에 속하는 통신 기지국의 추가, 삭제, 위치 이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에서 판단된 통신 기지국의 상태 변경 여부에 따른 각 세부 영역별 통신 기지국의 상태 변경율을 기초로 특정 세부 영역을 학습 대상 영역으로 선정하는 단계와;
    (e) 상기 (d) 단계에서 선정된 학습 대상 영역 내의 통신 환경 정보를 기초로, 해당 학습 대상 영역에 대해 기계 학습 갱신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시스템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c)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세부 영역 내에 배치된 통신 기지국 중 상태 변화가 발생한 통신 기지국이 기 설정된 비율 이상인 경우 해당 세부 영역을 학습 대상 영역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시스템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c)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세부 영역 내에 배치된 통신 기지국 중 기 설정된 반경 이내에서 상태 변화가 발생한 통신 기지국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해당 세부 영역을 학습 대상 영역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시스템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환경 정보에 포함된 위치 좌표와 통신 기지국 정보를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각 통신 기지국의 상태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시스템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f)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통신 환경 정보에서 위치 좌표와 통신 기지국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위치 좌표를 기준으로 하는 위치 영역을 판단하며, 그 판단된 위치 영역과 상기 통신 기지국 정보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b)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통신 환경 정보로부터 위치 좌표와 통신 기지국 정보를 추출한 후, 그 추출된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위치 영역에 매칭 등록된 통신 기지국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통신 환경 정보로부터 추출한 통신 기지국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통신 기지국 정보를 비교하여 통신 기지국의 상태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시스템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는, 상기 (c) 단계에서 특정 위치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위치 좌표를 이용한 판단 결과, 일부 위치 좌표에 기초한 판단에서는 해당 특정 위치 영역에 매칭된 통신 기지국의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고, 나머지 위치 좌표에 기초한 판단에서는 해당 특정 위치 영역에 매칭된 통신 기지국의 상태 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특정 위치 영역에서 상기 일부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소정 영역이 제외되도록 재설정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8.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9.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집한 통신 환경 정보를 기초로 지속적으로 기계 학습을 수행한 후, 기계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측위 정보를 제공하는 측위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서비스 지역을 기 설정된 크기의 세부 영역으로 구분하는 영역 구분부와;
    상기 각 세부 영역별로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통신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와;
    상기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통신 환경 정보를 기초로 각 세부 영역에 속하는 통신 기지국의 추가, 삭제, 위치 이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된 통신 기지국의 상태 변경 여부에 따른 각 세부 영역별 통신 기지국의 상태 변경율을 기초로 특정 세부 영역을 학습 대상 영역으로 선정하는 학습 대상 선정부와;
    상기 학습 대상 선정부에서 선정된 학습 대상 영역 내의 통신 환경 정보를 기초로, 해당 학습 대상 영역에 대해 기계 학습 갱신 과정을 수행하는 기계 학습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대상 선정부는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세부 영역 내에 배치된 통신 기지국 중 상태 변화가 발생한 통신 기지국이 기 설정된 비율 이상인 경우 해당 세부 영역을 학습 대상 영역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대상 선정부는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세부 영역 내에 배치된 통신 기지국 중 기 설정된 반경 이내에서 상태 변화가 발생한 통신 기지국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해당 세부 영역을 학습 대상 영역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환경 정보에 포함된 위치 좌표와 통신 기지국 정보를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각 통신 기지국의 상태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통신 환경 정보에서 위치 좌표와 통신 기지국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위치 좌표를 기준으로 하는 위치 영역을 판단하며, 그 판단된 위치 영역과 상기 통신 기지국 정보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정보 등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정보 수집부에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통신 환경 정보로부터 위치 좌표와 통신 기지국 정보를 추출한 후, 그 추출된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위치 영역에 매칭 등록된 통신 기지국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통신 환경 정보로부터 추출한 통신 기지국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통신 기지국 정보를 비교하여 통신 기지국의 상태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등록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특정 위치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위치 좌표를 이용한 판단 결과, 일부 위치 좌표에 기초한 판단에서는 해당 특정 위치 영역에 매칭된 통신 기지국의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고, 나머지 위치 좌표에 기초한 판단에서는 해당 특정 위치 영역에 매칭된 통신 기지국의 상태 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특정 위치 영역에서 상기 일부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소정 영역이 제외되도록 재설정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시스템.
KR1020200137466A 2020-10-22 2020-10-22 측위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471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466A KR102471875B1 (ko) 2020-10-22 2020-10-22 측위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466A KR102471875B1 (ko) 2020-10-22 2020-10-22 측위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245A KR20220053245A (ko) 2022-04-29
KR102471875B1 true KR102471875B1 (ko) 2022-11-28

Family

ID=81428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466A KR102471875B1 (ko) 2020-10-22 2020-10-22 측위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8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320B1 (ko) * 2017-11-23 2019-02-0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기계학습을 이용한 실내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149B1 (ko) * 2008-07-16 2011-04-05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차량 항법 장치 및 그의 전자지도 업데이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320B1 (ko) * 2017-11-23 2019-02-0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기계학습을 이용한 실내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245A (ko)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33294B (zh) 网络用户定位方法、装置及终端
CN102204374B (zh) 管理用于基于网络的定位***的位置数据库
CN111464938B (zh) 定位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00305851A1 (en) Device and method for updating cartographic data
CN103929719B (zh) 定位信息的优化方法和优化装置
CN111935820B (zh) 基于无线网络的定位实现方法及相关设备
KR20100068468A (ko) 그리드 기반 피처 구조를 이용한 비주얼 서치 수행의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GB2364617A (en) Locating system
CN110298687B (zh) 一种区域吸引力评估方法及设备
CN102782519B (zh) 用于估计蜂窝塔位置的方法和装置
CN106255054A (zh) 确定移动终端定位间隔的方法、移动终端及服务器
CN112381078B (zh) 基于高架的道路识别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1129808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의 인맥 추천 방법
KR101896405B1 (ko) 사용자 동선 분석을 위한 poi 매핑 방법 및 시스템
KR102471875B1 (ko) 측위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2887910B (zh) 异常覆盖区域的确定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149978B1 (en)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ocial networking services to users of mobile devices
CN114664104B (zh) 一种路网匹配方法和装置
CN107657474B (zh) 一种商圈边界的确定方法及服务端
CN111405464A (zh) 基站位置检测方法及装置
KR102317447B1 (ko) 경로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서버 및 프로그램
KR102253118B1 (ko) 와이파이 핑거프린트 기반 위치인식용 라디오맵 자동 업데이트 방법
CN107704540B (zh) 一种快速提取osm数据中指定行政区内路网的方法
CN115345324A (zh) 故障定位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产品
CN113657340A (zh) 轨迹匹配方法及相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