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706B1 - Golf club - Google Patents

Golf club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706B1
KR102471706B1 KR1020200110806A KR20200110806A KR102471706B1 KR 102471706 B1 KR102471706 B1 KR 102471706B1 KR 1020200110806 A KR1020200110806 A KR 1020200110806A KR 20200110806 A KR20200110806 A KR 20200110806A KR 102471706 B1 KR102471706 B1 KR 102471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swing
golf
golf club
hollow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8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13868A (en
Inventor
최용수
Original Assignee
최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수 filed Critical 최용수
Priority to PCT/KR2020/01483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025350A1/en
Publication of KR20220013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8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7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63B69/3635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with sound-emitting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클럽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스윙 동작 중의 임팩트 시에 골프 헤드가 최대 속도로 골프공과 타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골프 헤드의 최대 속도에서 소리가 발생하여 골퍼의 올바른 스윙 연습을 보조할 수 있는 골프 클럽에 관한 것으로, 샤프트(110)와, 상기 샤프트(110)의 선단에 구비되는 헤드(120)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상기 헤드(120)는, 내부에 중공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121) 내에 자유 회동 가능하게 힌지 고정되는 회전체(13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club, and more particularly, can assist golfers in correct swing practice by generating sound at the maximum speed of the golf head so that the golf head can hit the golf ball at maximum speed during impact during swing motion. It relates to a golf club with a shaft 110 and a head 120 provided at a tip of the shaft 110, wherein the head 120 has a hollow part 121 therein. It includes a rotating body 130 that is formed and hinge-fixed so as to be freely rotatable in the hollow part 121 .

Description

골프 클럽{Golf club}Golf club {Golf club}

본 발명은 골프 클럽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스윙 동작 중의 임팩트 시에 골프 헤드가 최대 속도로 골프공과 타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골프 헤드의 최대 속도에서 소리가 발생하여 골퍼의 올바른 스윙 연습을 보조할 수 있는 골프 클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club, and more particularly, can assist golfers in correct swing practice by generating sound at the maximum speed of the golf head so that the golf head can hit the golf ball at maximum speed during impact during swing motion. It's about golf clubs.

일반적으로 골프 경기는 드라이버, 아이언, 퍼터 등의 클럽으로 정지된 공을 타격하여 일정 거리의 정해진 홀컵에 홀인시키는 경기로서, 독특한 재미와 함께 운동 효과 또한 뛰어나서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스포츠 종목이다. 이와 같은 골프를 더욱 재미있게 즐기고 경기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과 클럽의 정확한 타격이 이루어져야 하며 그 기초가 되는 것이 바른 스윙 자세를 익히는 것이다.In general, the golf game is a game in which a stationary ball is hit with a club such as a driver, iron, putter, etc. to hole a predetermined hole cup at a certain distance. It is a sport event enjoyed by many people because of its unique fun and excellent exercise effect. In order to enjoy such golf more fun and improve performance, accurate hitting of the ball and club must be made, and the basis for this is learning the correct swing posture.

일반적으로 골프 스윙 자세는 어드레스(address), 백스윙(back swing), 백스윙의 탑, 다운스윙(down swing), 임팩트(impact), 팔로스루(follow through) 및 피니쉬(finish)의 순서로 세분된다.In general, golf swing posture is subdivided in the order of address, back swing, back swing top, down swing, impact, follow through, and finish.

특히, 드라이브 샷 또는 티샷과 같이 골프공을 강하게 타격하여 먼 거리를 날려 보내려고 할 때는 골프 클럽을 백스윙한 이후에 임팩트 시의 속도가 매우 중요하다.In particular, when trying to hit a golf ball hard and send it flying a long distance, such as a drive shot or a tee shot, the speed at impact after the backswing of the golf club is very important.

임팩트 과정에서의 올바른 스윙 동작은 클럽 페이스가 골프공과 직각으로 위치되도록 하는 정확한 스퀘어 각도유지와 함께 클럽 페이스가 공과 접촉하는 순간에 가장 강하고 빠른 속도로 타격을 가하는 임팩트 타이밍 조절이 요구된다. Correct swing motion in the impact process requires maintaining the correct square angle so that the club face is positioned at right angles to the golf ball and adjusting the impact timing to strike the strongest and fastest speed at the moment the club face contacts the ball.

이와 같이 올바른 스윙 동작을 연습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공보 제10-0910724호에서는 액상 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을 개시하고 있으며, 골프 클럽의 샤프트 내에 액상 물질이 일부 충전된 중공부가 형성되어 스윙 속도와 샤프트의 기울기에 따라서 액상 물질이 샤프트의 중공부 내에서 출렁거리는 현상을 이용하여 스윙 과정에서 발생되는 음향과 진동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윙 연습을 보조하도록 하고 있다.In this way, various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to practice the correct swing motion. For example, Patent Registration No. 10-0910724 discloses a golf club using a liquid material, and a hollow part partially filled with the liquid material is formed in the shaft of the golf club, so that the liquid material is released according to the swing speed and the inclination of the shaft. The swinging phenomenon in the hollow part of the shaft is used to assist the user's swing practice by using the sound and vibration generated during the swing process.

등록특허공보 제10-0910724호(공고일자: 2009.08.05.)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910724 (Announcement date: 2009.08.05.)

본 발명은 골프 헤드의 최대 스윙 속도에서 신호음이 발생되어 사용자가 신호음을 인지하여 골프 헤드와 골프공의 정확한 임팩트 시점을 교정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골프 클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olf club in which a signal sound is generated at the maximum swing speed of the golf head, and the user recognizes the signal sound and assists in correcting the exact point of impact between the golf head and the golf ball.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클럽은,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선단에 구비되는 헤드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 내에 자유 회동 가능하게 힌지 고정되는 회전체를 포함한다.A golf cl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s a golf club comprising a shaft and a head provided at a tip of the shaft, wherein the head has a hollow part formed therein and can freely rotate in the hollow part. It includes a rotating body that is hingedly fixed.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체는 상기 헤드의 페이스와 나란하게 힌지축이 마련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체는 상기 중공부의 원위 단면에 힌지 조립된다.Preferably, the rotating body is provided with a hinge axis parallel to the face of the head, and more preferably, the rotating body is hinged to the distal end face of the hollow part.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체는 상기 중공부를 구성하는 면과 면접촉하게 되는 타격면을 갖는 타격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rotating body includes a striking portion having a striking surface brought into surface contact with a surface constituting the hollow part.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클럽은, 헤드의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중공부 내에 자유 회동 가능하게 힌지 고정되는 회전체를 포함하여 골프 헤드의 최대 스윙 속도에서 항시 일정 신호음이 발생됨으로써 골프 헤드와 골프공의 정확한 임팩트 시점을 정확하게 교정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golf cl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ing body in which a hollow part is formed inside the head and hinge-fixed so as to be freely rotatable in the hollow part, so that a constant signal is always generated at the maximum swing speed of the golf head, thereby impro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lf head and the golf ball. It has the effect of assisting in accurately correcting the exact point of impact.

도 1의 (a)는 어드레스 단계로부터 백스윙 및 다운스윙의 과정의 골프 클럽을 몇몇 단계로 구분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며, (b)와 (c)는 골프 클럽의 스윙 과정에서 클럽 헤드의 각속도와 각가속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의 요부 구성도이다.
도 5의 (a)(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a) is a diagram showing a golf club in several steps from the address step to the backswing and downswing process, and (b) and (c) show the angular velocity and angular acceleration of the club head during the swing of the golf club. This is the graph that shows
2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of a golf clu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main parts of a golf clu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a) (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mechanism of the golf clu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present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a)는 어드레스 단계로부터 백스윙 및 다운스윙의 과정의 골프 클럽을 몇몇 단계로 구분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며, (b)와 (c)는 골프 클럽의 스윙 과정에서 클럽 헤드의 각속도와 각가속도를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톱 오프 스윙을 시작점(t=0)으로 나타낸 것이며, t1은 임팩트 시점을 표시한다.Figure 1 (a) is a diagram showing the golf club in the process of backswing and downswing from the address phase by dividing it into several steps, and (b) and (c) show the angular velocity and angular acceleration of the club head during the swing process of the golf club. As the graph shown, the top off swing is shown as the starting point (t=0), and t1 indicates the impact point.

일반적으로 골프 클럽의 스윙 속도(ω)는 올바른 스윙 자세와 함께 비거리를 증가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골퍼는 스윙 연습을 통하여 임팩트 시의 스윙 속도(ω)를 증가시키고자 노력한다.In general, the swing speed ω of a golf club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increasing a carry distance along with a correct swing posture. Therefore, golfers try to increase the swing speed ω at the time of impact through swing practice.

도 1의 (b)(c)는 스윙 과정에서 클럽 헤드의 일반적인 각속도(ω)와 각가속도(

Figure 112020092174043-pat00001
)의 패턴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참고하면, 이상적인 스윙 동작은 톱 오프 스윙에서 각속도(ω)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클럽 헤드가 공을 가격하게 되는 시점인 임팩트 시점(t1)에서 최대 각속도(ωm)가 된 후에 각속도(ω)가 감소한다. 그러나, 초중급의 골퍼들은 임팩트 시점(t1)과 최대 각속도(ωm)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며, 예를 들어, 임팩트 시점(t1) 이전에 최대 각속도(ωm)가 되거나 임팩트 시점(t1) 이후에 최대 각속도(ωm)가 된다.Figure 1 (b) (c) shows the general angular velocity (ω) and angular acceleration of the club head in the swing process (
Figure 112020092174043-pat00001
), and referring to this, the ideal swing motion is the maximum angular velocity (ω m ) at the point of impact (t1), when the angular velocity (ω) starts to increase in the top off swing and the club head strikes the ball. ), then the angular velocity (ω) decreases. However, for beginners and intermediate level golfers,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point of impact (t1) and the maximum angular velocity (ω m ) do not coincide. For example, the maximum angular velocity (ω m ) before the point of impact (t1) or the point of impact ( After t1), the maximum angular velocity (ω m ) becomes.

일반적으로 스윙 동작 중에 임팩트 순간(t1)은 그립을 통해 전달되는 그립감을 통하여 인지가 가능하나, 골프 헤드의 최대 각속도(ωm)의 타이밍은 골퍼가 정확히 인지하기가 어렵다.In general, the moment of impact (t1) during a swing motion can be recognized through a sense of grip transmitted through the grip, but it is difficult for golfers to accurately recognize the timing of the maximum angular velocity (ω m ) of the golf head.

본 발명은 스윙 동작 중에 최대 각속도(ωm)에서 골퍼가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신호음이 발생되는 골프 클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골프 헤드 내에 관성력에 의해 자유 회동이 가능하게 축설되는 회전체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olf club that generates a signal that can be easily recognized by the golfer at the maximum angular velocity (ω m ) during the swing motion, and includes a rotating body that can be rotated freely by inertial force in the golf head. .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의 사시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 선의 단면 구성도이다.2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of a golf clu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taken along line A-A in FIG. 2 .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골프 클럽은, 그립(111)이 마련된 샤프트(110)와, 샤프트(110)의 하측 선단에 구비되는 헤드(12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헤드(120)는 내부에 중공부(121)가 형성되고 그 중공부(121) 내에 자유 회동 가능하게 힌지 고정되는 회전체(130)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헤드(12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자유 회동 가능하게 힌지 고정되는 회전체(130)가 수납 가능한 범위 내에서 클럽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우드 타입의 드라이버를 예시하여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golf club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shaft 110 provided with a grip 111 and a head 120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haft 110 . Preferably, the head 120 further includes a rotating body 130 having a hollow part 121 formed therein and hinge-fixed in the hollow part 121 so as to be freely rotatable.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ype of clu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head 120 and the rotating body 130 hinge-fixed to be freely rotatable is accommodated. In the example, a wood-type driver is exemplified and described.

헤드(120)는 내부에 대략 육면체의 중공부(121)가 형성되며, 이 중공부(121)의 내측 일면에 힌지축(141)에 의해 자유 회동 가능하게 회전체(130)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힌지축(141)은 중공부(121)의 원위단(121b) 일면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중공부(121)는 육면체를 구성하는 6개의 면(plane) 중에서 샤프트(110)와 가장 인접하는 면을 '근위 단면'(proximal end plane)(121a)으로 지칭하며, 근위 단면(121a)과 대면하여 샤프트(110)와 가장 멀리 위치하게 되는 면을 '원위 단면'(distal end plane)으로 지칭한다. 이러한 근위 단면과 원위 단면은 골프 클럽의 스윙 과정에서 스윙 반경을 기준으로 근위 단면은 원위 단면 보다는 안쪽에 위치한다.The head 120 has a substantially hexahedral hollow part 121 formed therein, and a rotating body 130 is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ollow part 121 to be freely rotatable by a hinge shaft 141. Preferably, the hinge shaft 14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istal end 121b of the hollow part 121. In this embodiment, the hollow part 121 refers to the surface closest to the shaft 110 among the six planes constituting the hexahedron as a 'proximal end plane' 121a, and the proximal end plane ( 121a), the surface facing the shaft 110 and located farthest away is referred to as a 'distal end plane'. The proximal end surface and the distal end surface are positioned inside the proximal end surface rather than the distal end surface based on the swing radius during the golf club swing process.

헤드(120)는 외관을 구성하는 일면에 골프공과 타격이 이루어지는 페이스(122)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회전체(130)의 힌지축(141)은 페이스(122)와 나란하게 마련된다.The head 120 has a face 122 formed on one side constituting the exterior of the golf ball and hitting, preferably, the hinge shaft 141 of the rotating body 130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face 12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의 요부 구성도이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main parts of a golf clu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회전체(130)는, 중공부(121)의 원위 단면(121b)에 힌지축(141)을 매개로 하여 힌지 조립되는 암(131)과, 암(131)의 선단에 일체로 구성되어 중공부(121)의 측면(121c)(121d)과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타격면(132a)을 갖는 타격부(132)를 포함한다. 따라서 회전체(130)는 중공부(121) 내에서 힌지축(141)에 의해 자유 회동이 가능하고, 이 과정에서 타격면(132a)과 중공부(121)의 양 측면(121c)(121d)이 면접촉하면서 타격 신호음을 발생시킨다. 참고로, 이하 설명에서 양 측면(121c)(121d)은 헤드의 진행 방향에 따라서 전방에 위치하는 측면을 '선행 측면'이라 하고, 후방에 위치하는 측면을'후행 측면'이라고 구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rotating body 13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n arm 131 hinged to the distal end face 121b of the hollow part 121 via the hinge axis 141, and the arm 131 It is integrally configured at the front end of the hollow portion 121 and includes a striking portion 132 having a striking surface 132a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s 121c and 121d. Therefore, the rotating body 130 can freely rotate within the hollow part 121 by the hinge shaft 141, and in this process, the impact surface 132a and both side surfaces 121c and 121d of the hollow part 121 This surface contact generates a hitting signal. For referenc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ront side of both side surfaces 121c and 121d may be referred to as a 'preceding side' and the rear side may be referred to as a 'trailing side'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ead.

도 5의 (a)(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골프 클럽의 스윙 과정에서 클럽 헤드의 각속도(ω)의 패턴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때 골프 클럽의 스윙 궤적이 180°(π)일 때 최대 각속도(ωm)가 발생되는 것을 가정한 것이다. 도 5의 (b)는 (a)와 같은 각속도 패턴의 경우에 회전체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참고로, 도 5의 (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골프 클럽의 스윙 궤적을 원형으로 가정하였으며, 헤드(120)는 중공부 만을 도시하였다.Figure 5 (a) (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mechanism of the golf clu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ows the pattern of the angular velocity (ω) of the club head in the swing process of the golf club 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the maximum angular velocity (ω m ) is generated when the swing trajectory of the golf club is 180° (π). Figure 5 (b) shows the motion of the rotating body in the case of the angular velocity pattern as in (a). For reference, in (b) of FIG. 5,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swing trajectory of the golf club is circular, and only the hollow part of the head 120 is shown.

도 5의 (a)와 같이 골프 클럽의 스윙 궤적이 180°(π)일 때 최대 각속도(ωm)가 발생되는 경우에, 스윙 궤적이 180°(π) 까지는 스윙 각속도(ω)는 증가하게 되며(ω1<ωm), 각가속도(

Figure 112020092174043-pat00002
)는 (+)이다(도 1의 (c)참고). 이때, 회전체(130)의 힌지축은 중공부의 원위 단면에 힌지 조립되어 양(+)의 각가속도가 작용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회전체(130)의 무게중심(CM)은 반대 방향으로 관성이 작용하여 회전체(130)는 후행 측면(121d)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As shown in FIG. 5 (a), when the maximum angular velocity (ω m ) is generated when the swing trajectory of the golf club is 180 ° (π), the swing angular velocity (ω) increases until the swing trajectory is 180 ° (π) (ω1<ω m ), and the angular acceleration (
Figure 112020092174043-pat00002
) is (+) (see (c) in FIG. 1). At this time, the hinge axis of the rotating body 130 is hinged to the distal end face of the hollow part, so that positive (+) angular acceleration acts, so the center of gravity (CM) of the rotating body 130 relatively act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rotating body 130 maintains contact with the trailing side surface 121d.

한편, 스윙 궤적이 180°(π)인 경우에 스윙 각속도(ω)는 최대 각속도(ωm)에서 변곡점이 되어 각가속도(

Figure 112020092174043-pat00003
)는'영'이 된다((도 1의 (c)참고)). 이후 스윙 궤적의 스윙 각가속도(
Figure 112020092174043-pat00004
)는 음(-)이 되어 회전체(130)의 힌지축은 음(-)의 각가속도가 작용하게 되므로, 스윙 궤적이 180°(π)의 변곡 지점에서 회전체(130)의 무게중심(CM)은 관성에 의해 회전체(130)는 선행 측면(121d)과 접촉하면서 타격이 이루어져 소리가 발생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wing trajectory is 180 ° (π), the swing angular velocity (ω) becomes an inflection point at the maximum angular velocity (ω m ) and the angular acceleration (
Figure 112020092174043-pat00003
) becomes 'zero' ((refer to (c) in Fig. 1)). The swing angular acceleration of the subsequent swing trajectory (
Figure 112020092174043-pat00004
) becomes negative (-), and the hinge axis of the rotating body 130 acts on the negative (-) angular acceleration, so the swing trajectory is the center of gravity (CM) of the rotating body 130 at the inflection point of 180 ° (π) Due to the silver inertia, the rotating body 130 is struck while contacting the leading side surface 121d, and thus a sound is genera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골프 클럽은 스윙 동작 중에서 최대 각속도(ωm)에서 회전체(130)에 의해 항시 일정한 소리가 발생된다. 따라서 골퍼는 이 소리를 인지하여 스윙 동작 중에 최대 각속도 타이밍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으며, 임팩스 시에 그립을 통해 인지되는 임팩트 타이밍과 최대 각속도(ωm) 타이밍에 발생되는 신호 발생 타이밍을 통하여 골프 헤드와 골프공의 정확한 임팩트 시점을 정교하게 교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golf club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ant sound is always generated by the rotating body 130 at the maximum angular velocity (ω m ) during the swing motion. Therefore, the golfer can recognize this sound and accurately recognize the maximum angular velocity timing during the swing motion, and the golf head through the impact timing recognized through the grip during impact and the signal generation timing generated at the maximum angular velocity (ω m ) timing and the exact point of impact of the golf ball can be precisely corrected.

한편, 본 실시예에서 회전체(130)는 중공부(121)의 근위 단면(121a)에 힌지 조립될 수도 있으나, 원위 단면(121b)에 힌지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인 골프 클럽의 스윙 동작은 원형의 궤적이 아닌 타원형의 궤적에 가까우며, 타원형의 스윙 궤적에서는 회전체에 작용하는 원심력 등으로 인하여 근위 단면(121a) 보다는 원위 단면(121b)에 힌지 조립되는 경우에 보다 신뢰성이 있게 회전체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rotating body 130 may be hinged to the proximal end face 121a of the hollow part 121, but is preferably hinged to the distal end face 121b. The actual swing motion of the golf club is closer to an elliptical trajectory rather than a circular trajectory, and in the elliptical swing trajectory,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acting on the rotating body, etc. It was confirmed that the operation of the rotating body was performed reliably.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foregoing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110 : 샤프트
120 : 클럽 헤드
130 : 회전체
110: shaft
120: club head
130: rotating body

Claims (4)

샤프트(110)와, 상기 샤프트(110)의 선단에 구비되는 헤드(120)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상기 헤드(120)는, 내부에 중공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121) 내에 자유 회동 가능하게 힌지 고정되는 회전체(13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130)는 상기 중공부(121)의 원위 단면(distal end plane)(121b)에 상기 헤드(120)의 페이스(122)와 나란하게 힌지축(141)이 마련되어 힌지 조립되며,
상기 회전체(130)는 상기 중공부(121)를 구성하는 면과 면접촉하게 되는 타격면을 갖는 타격부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
In a golf club including a shaft 110 and a head 120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shaft 110,
The head 120 includes a rotating body 130 having a hollow part 121 formed therein and hinge-fixed to be freely rotatable in the hollow part 121,
The rotating body 130 is hingedly assembled by providing a hinge shaft 141 parallel to the face 122 of the head 120 at the distal end plane 121b of the hollow part 121,
The rotating body 130 includes a hitting part having a hitting surface that comes into surface contact with a surface constituting the hollow part 12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10806A 2020-07-27 2020-09-01 Golf club KR1024717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4833 WO2022025350A1 (en) 2020-07-27 2020-10-28 Golf club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250 2020-07-27
KR20200093250 2020-07-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868A KR20220013868A (en) 2022-02-04
KR102471706B1 true KR102471706B1 (en) 2022-11-28

Family

ID=80268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806A KR102471706B1 (en) 2020-07-27 2020-09-01 Golf club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70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477A1 (en) * 2022-09-29 2024-04-04 문남혁 Swing practice device and swing practice system compris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067Y1 (en) * 2006-07-25 2006-10-17 한용빈 Golfclub iron head
US20060252574A1 (en) * 2005-04-05 2006-11-09 Borunda William C Golf club head having internal impact assembly
KR101146337B1 (en) * 2012-02-07 2012-05-21 (주)한국피엔에스 Golf club for putt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724B1 (en) 2007-09-05 2009-08-05 박재섭 The golf club using liqui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2574A1 (en) * 2005-04-05 2006-11-09 Borunda William C Golf club head having internal impact assembly
KR200429067Y1 (en) * 2006-07-25 2006-10-17 한용빈 Golfclub iron head
KR101146337B1 (en) * 2012-02-07 2012-05-21 (주)한국피엔에스 Golf club for pu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868A (en) 202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6222A (en) Golf club head having a weight distributing system
TWI531395B (en) Golf club or golf club head having an adjustable ball striking face
JP2001212267A (en) Wood club
KR102471706B1 (en) Golf club
KR102094571B1 (en) Glof club
US8105179B1 (en) Golf club having improved handle configuration
KR102504994B1 (en) A customizable swing practice bat
US5961400A (en) Putter
WO2022025350A1 (en) Golf club
US20050197201A1 (en) Rotating and axially moving putter grip
KR200432280Y1 (en) Swing Training Device for Golf
JP2002253710A (en) Golf club head
JP2001309998A (en) Golf club head
KR200368128Y1 (en) Golf putter
JP3232874U (en) Golf club for practice
KR101139924B1 (en) Putter for golf
KR102586834B1 (en) Assist Device for practicing golf swing
KR200429068Y1 (en) Golfclub head
JP3001548U (en) Self Adjustable Golf Club
JP2001276282A (en) Wood type club for golf
KR200397962Y1 (en) Grip of golf club
JP3099147U (en) Improved golf club head structure
KR20230126424A (en) Metronome for golf
KR20240037022A (en) Shaft for golf club
JP3129437U (en) Golf putter h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