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628B1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628B1
KR102470628B1 KR1020170075103A KR20170075103A KR102470628B1 KR 102470628 B1 KR102470628 B1 KR 102470628B1 KR 1020170075103 A KR1020170075103 A KR 1020170075103A KR 20170075103 A KR20170075103 A KR 20170075103A KR 102470628 B1 KR102470628 B1 KR 102470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ube
dispenser housing
guide
supp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1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36312A (en
Inventor
윤종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5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628B1/en
Publication of KR20180136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3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6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B67D2001/008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34Modules
    • B67D2210/00036Modules for use with or in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디스펜서 하우징;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포터; 상기 서포터에 설치되며, 물이 배출되기 위한 물 배출구; 및 상기 물 배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냉장고 도어 내부로 연장되는 워터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dispenser provided on a refrigerator door, and the dispenser includes: a dispenser housing; a supporte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dispenser housing; a water outlet installed on the supporter and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and a water tube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and extending into the refrigerator door.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명세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가전 기기로서, 음식물을 냉장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냉장실과, 음식물을 냉동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냉동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가진다.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for storing food at a low temperature and has either or both of a refrigerating chamber for storing food in a refrigerated state and a freezing chamber for storing food in a frozen state.

또한, 최근에는 냉장고의 도어 전면에 디스펜서가 장착되어,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도 디스펜서를 통하여 음용수를 취출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recently, a dispenser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and drinking water can be dispensed through the dispenser without opening the refrigerator door.

그리고, 냉장고의 도어 또는 저장공간의 내부에는 얼음을 만들어 저장하는 아이스 메이커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를 통해서 얼음의 취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ice maker for making and storing ice may be provided at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or inside the storage space, and the ice may be taken out through the dispenser.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28340호에는, 냉장고용 음료 취출 장치의 배관구조가 개시된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28340, which is a prior document, discloses a piping structure of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for a refrigerator.

선행문헌에는, 디스펜서 케이스의 일측에 홀더 튜브가 고정되고, 홀더 튜브의 일측에 급수 튜브가 연결되고, 타측에 취출구가 연결된다. In the prior literature, the holder tube is fixed to one side of the dispenser case, the water supply tub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older tube, and the outlet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그리고, 상기 급수 튜브 및 취출구는 상기 홀더 튜브 각각에서 분리될 수 있다. Also, the water supply tube and the outlet may be separated from each of the holder tubes.

그런데, 선행문헌에 의하면, 홀더 튜브의 양측에서 급수 튜브 및 취출구를 각각 분리 또는 결합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literature, since the water supply tube and the outlet must be separated or combined from both sides of the holder tube, the work is cumbersome.

또한, 상기 홀더 튜브의 일부는 도어 내부에 존재하므로, 사용자가 도어 내부에 위치되는 홀더 튜브에 접근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since a part of the holder tube exists inside the door,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access the holder tube located inside the door.

또한, 급수 튜브 및 취출구 각각을 상기 홀더 튜브에 연결하여야 하므로, 홀더 튜브 연결 과정, 또는 연결된 후에 누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In addition, since each of the water supply tube and the outlet must be connected to the holder tube, water leakage may occur during or after connecting the holder tube.

또한, 홀더 튜브는 고정된 상태로 존재하므로, 홀더 튜브의 교체가 어려워 홀더 튜브 내의 위생상의 문제가 존재한다. In addition, since the holder tube exists in a fixed state, it is difficult to replace the holder tube, resulting in a sanitary problem in the holder tube.

본 발명의 과제는 물 배출구와 워터 튜브가 결합된 상태에서 디스펜서의 외부로 쉽게 인출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be easily drawn out of a dispenser in a state in which a water outlet and a water tube are coupled.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워터 튜브의 교체 과정에서 물의 누수가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water leakage is prevented during a water tube replacement process.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제빙 장치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의 교체가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a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to an ice maker can be replaced.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디스펜서 하우징;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포터; 상기 서포터에 설치되며, 물이 배출되기 위한 물 배출구; 및 상기 물 배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냉장고 도어 내부로 연장되는 워터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A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dispenser provided on a refrigerator door, and the dispenser includes a dispenser housing; a supporte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dispenser housing; a water outlet installed on the supporter and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and a water tube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and extending into the refrigerator door.

본 발명에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er may be coupled to the dispenser hous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dispenser housing.

상기 서포터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관통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걸릴 수 있다. The supporter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may be caught on the dispenser housing while penetrating the penetrating portion of the dispenser housing.

상기 서포터는 상기 물 배출구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어, 상기 서포터에 설치된 상기 물 배출구의 일부도 상기 관통부를 관통할 수 있다. The supporter may be coupled to the dispenser housing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outlet is connected, so that a portion of the water outlet installed in the supporter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portion.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냉장고 도어 내에 배치되며, 상기 워터 튜브가 상기 냉장고 도어 내의 단열재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기 위한 가이드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uide mechanism disposed inside the refrigerator door and preventing the water tube from contacting an insulator in the refrigerator door.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튜브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튜브 가이드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결합되기 위한 가이드 결합부와, 상기 가이드 결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워터 튜브가 통과하는 튜브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uide mechanism includes a first tube guide coupled to the dispenser housing, the first tube guide includes a guid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dispenser housing, and extending from the guide coupl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water tube passes It may include a tube guide to do.

본 발명에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배면에는 상기 가이드 결합부가 결합되기 위한 하우징 결합부가 구비되며, 발포액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상기 하우징 결합부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관통부를 관통한 상기 커넥터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enser housing is provided with a housing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he guide coupling portion, and to prevent leakage of the foam liquid, the housing coupling portion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connector passing through the penetrating portion of the dispenser housing can be placed.

상기 냉장고 도어 내에 구비되는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튜브 안내부를 지난 상기 워터 튜브는 상기 밸브의 튜브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valve provided in the door, and the water tube passing through the tube guide may be connected to a tube connector of the valve.

본 발명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에는 제빙실과, 상기 제빙실에 구비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와, 상기 제빙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tor door may further include an ice making chamber, an ice maker provided in the ice making chamber to generate ice, and a wat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water to the ice maker.

상기 급수기구는, 물이 유동하기 위한 급수 튜브와, 상기 급수 튜브와 연결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물을 상기 제빙기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device may include a water supply tube through which water flows,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tube, and a water supply pip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to supply water to the ice maker.

상기 커넥터 및 상기 급수 튜브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heater disposed to contact the connector and the water supply tube may be further included.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디스펜서 하우징에 분리 가능한 서포터에 물 배출구가 고정되고, 물 배출부에 워터 튜브가 결합되므로, 물 배출구와 워터 튜브가 결합된 상태에서 디스펜서의 외부로 쉽게 인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since the water outlet is fixed to the supporter detachable from the dispenser housing and the water tube is coupled to the water outlet, the water outlet and the water tube can be easily drawn out of the dispenser in a coupled state. have.

또한, 워터 튜브가 물 배출구에 연결된 상태에서 디스펜서 하우징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워터 튜브의 교체 과정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 내부로 물이 누수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ater tube can be drawn out toward the front of the dispenser housing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water leakage into the refrigerator door is prevented during the process of replacing the water tube.

또한, 상기 급수기구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한 히터를 분해하지 않고도 제빙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의 분리가 가능하므로, 상기 급수관 만을 분리하여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급수관의 청결성이 유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to the ice maker can be separated without disassembling the heater for preventing freezing of the water supply device,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replace only the water supply pipe. Thus, the cleanliness of the water supply pipe can be main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
도 3은 워터 튜브가 물 배출구에 연결된 상태에서 냉장고 도어의 내부에서 디스펜서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포터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포터가 디스펜서 하우징에 결합될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 하우징의 배면에 튜브 가이드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커버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제빙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이 제빙실로 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제빙기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수기구에 히터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tube is drawn from the inside of a refrigerator door toward the front of a dispenser in a state connected to a water outlet;
4 is a view showing a suppo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er is coupled to a dispenser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ube guide is installed on a rear surface of a dispenser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ver of a refrigerator door is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to an ice maker is exposed to an ice making chamber;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supply mechanism for supplying water to an ice maker;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eater is installed in a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compon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to,”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at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another element between the ele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워터 튜브가 물 배출구에 연결된 상태에서 냉장고 도어의 내부에서 디스펜서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tube is drawn out from inside a refrigerator door toward the front of a dispenser while being connected to a water outlet.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냉장실(10A)과 냉동실(10B)을 구비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에 힌지에 의해서 연결되어 상기 냉장실(10A)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11)와, 상기 캐비닛(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힌지 결합되어 상기 냉동실(10B)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14)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3, a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10 having a refrigerating compartment 10A and a freezing compartment 10B, and a hinge attached to the cabinet 10. It may include a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1 connected to open and clos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0A, and a freezing compartment door 14 slidably or hingedly coupled to the cabinet 10 to open and close the freezing compartment 10B.

도 1에는 일 예로 냉장실(10A)이 냉동실(10B)의 상방에 위치되는 타입의 냉장고가 도시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FIG. 1 shows a refrigerator in which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0A is positioned above the freezing compartment 10B as an example, bu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냉장실 도어(11)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냉장실 도어(12)와 제2냉장실 도어(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냉장실 도어(12)와 제2냉장실 도어(13) 중 하나 이상에는 물 및/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20)가 구비된다.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1 may include a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2 and a second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3 dispose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least one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2 and the second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3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20 for dispensing water and/or ice.

상기 냉동실 도어(14)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냉동실 도어(15)와 제2냉동실 도어(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하나의 냉동실 도어(14)가 상기 냉동실(10B)을 개폐하거나, 복수의 냉동실 도어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냉동실(10B)을 개폐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freezing chamber door 14 may include a first freezing chamber door 15 and a second freezing chamber door 16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Unlike this, it is possible to open and close the freezing chamber 10B with one freezing chamber door 14 or to open and close the freezing chamber 10B by arranging a plurality of freezing chamber doors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냉장실 도어(11)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11)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1)의 후측에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1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아우터 케이스(111)와 상기 도어 라이너(112) 사이에는 단열재가 구비된다.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1 may include an outer case 111 forming an exterior and a door liner 112 coupled to a rear side of the outer case 111 . Although not shown, an insulating material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case 111 and the door liner 112 .

상기 도어 라이너(112)는, 제빙실(11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빙실(113)에는 제빙장치(31)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빙장치(31)는 자동으로 급수되어 얼음을 만들고 이빙시키는 제빙기(32)와, 상기 제빙기(32)의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빙기(32)에서 이빙되는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 뱅크(3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oor liner 112 may form an ice making chamber 113 . An ice maker 31 may be accommodated in the ice making chamber 113 . The ice maker 31 includes an ice maker 32 that automatically supplies water to make ice and leaves it, and an ice bank 33 that is provided below the ice maker 32 and stores ice released from the ice maker 32. can include

상기 도어 라이너(112)에는 상기 제빙실(113)을 개폐하는 제빙실 도어(114)가 연결될 수 있다. An ice-making compartment door 114 that opens and closes the ice-making compartment 113 may be connected to the door liner 112 .

또한, 상기 도어 라이너(112)는, 후술할 워터 탱크 등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115)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112)에는 상기 수용부(115)를 커버하는 커버(116)가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oor liner 112 forms an accommodating portion 115 in which a water tank or the lik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accommodated. A cover 116 covering the accommodating portion 115 may be coupled to the door liner 112 .

일 예로 상기 수용부(115)는 상기 도어 라이너(112)의 일부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1)를 향하여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ccommodating part 115 may be formed as a part of the door liner 112 is depressed toward the outer case 111 .

한편, 상기 디스펜서(20)는, 디스펜서 하우징(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은 상기 냉장실 도어(11)의 후방을 향하여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dispenser 20 may include a dispenser housing 200 . The dispenser housing 200 may be formed by being recessed toward the rear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1 .

상기 디스펜서(20)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물 배출구(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구(2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이 형성하는 디스펜싱 공간(201) 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dispenser 20 may further include a water outlet 22 for discharging water.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outlet 22 may be located within the dispensing space 201 formed by the dispenser housing 200 .

상기 디스펜서(20)는, 얼음을 배출하기 위한 얼음 배출구(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얼음 배출구(2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이 형성하는 디스펜싱 공간(201) 내에 위치되거나 또는 상기 얼음 배출구(22)가 상기 디스펜싱 공간(201)과 연통될 수 있다. The dispenser 20 may further include an ice outlet 29 for dispensing ice. At least a portion of the ice outlet 22 may be located within the dispensing space 201 formed by the dispenser housing 200, or the ice outlet 22 may communicate with the dispensing space 201.

그리고, 상기 디스펜싱 공간(201) 내에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에는 물 및/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하여 선택되는 푸시 패드(28)가 구비될 수 있다. In the dispensing space 201, the dispenser housing 200 may include a push pad 28 selected to dispense water and/or ice.

상기 디스펜서(20)는 상기 물 배출구(22)를 지지하는 서포터(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23)에 상기 물 배출구(22)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서포터(23)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구(22)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dispenser 2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er 23 supporting the water outlet 22 . In a state where the water outlet 22 is supported by the supporter 23 , the supporter 23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dispenser housing 200 . The water outlet 22 is not limited, but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상기 물 배출구(22)에는 물이 유동하는 워터 튜브(24)가 연결될 수 있다. A water tube 24 through which water flows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22 .

상기 물 배출구(22)에 상기 워터 튜브(24)가 연결됨에 따라서, 상기 서포터(23)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에서 분리하는 경우, 상기 서포터(23)와 함께 상기 물 배출구(22)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As the water tube 24 is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22, when the supporter 23 is separated from the dispenser housing 200, the water outlet 22 together with the supporter 23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dispenser housing 200.

그리고, 상기 물 배출구(22)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에서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물 배출구(22)와 함께 상기 워터 튜브(24)가 상기 냉장실 도어(11)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Also,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water outlet 22 from the dispenser housing 200, the water tube 24 together with the water outlet 22 may be drawn out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1.

상기 워터 튜브(24)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을 통하여 상기 냉장실 도어(11)에서 상기 냉장실 도어(11)의 전방을 향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The water tube 24 may be drawn out from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1 toward the front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1 through the dispenser housing 200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포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포터가 디스펜서 하우징에 결합될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 하우징의 배면에 가이드 기구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4 is a view showing a suppo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er is coupled to a dispenser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uide mechanism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a dispenser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서포터(23)는, 상기 물 배출구(22)를 둘러싼 상태로 상기 물 배출구(22)를 지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 to 7 , the supporter 23 may support the water outlet 22 while surrounding the water outlet 22 .

상기 물 배출구(22)는 1회 이상 절곡될 수 있으며, 상기 서포터(23)는 절곡된 상기 물 배출구(22)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water outlet 22 may be bent one or more times, and the supporter 23 may be formed to support the bent water outlet 22 .

상기 서포터(23)는, 상기 물 배출구(22)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바디(2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물 배출구(22)는 상기 바디(23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The supporter 23 may include a body 231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outlet 22 . Although not limited, the water outlet 22 may be fitted to the body 231 .

이 경우, 상기 물 배출구(22)를 상기 서포터(23)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물 배출구(22)의 교체를 위하여 상기 물 배출구(22)를 상기 서포터(23)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tructure for coupling the water outlet 22 to the supporter 23 is simplified, and the water outlet 22 is removed from the supporter 23 to replace the water outlet 22. can be easily separated.

상기 서포터(23)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에 결합되기 위한 한 쌍의 결합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er 23 may include a pair of coupling parts 232 to be coupled to the dispenser housing 200 .

상기 한 쌍의 결합부(232)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바디(231)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결합부(232)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상기 한 쌍의 결합부(232)는 외력에 의해서 서로 까워지는 방향 및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The pair of coupling parts 232 may extend from the body 231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ince the pair of coupling parts 23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air of coupling parts 232 can be deformed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and away from each other by an external force.

상기 한 쌍의 결합부(232) 각각에는 후크(2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결합부(232)의 후크(233)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결합부(232)에서 돌출될 수 있다. A hook 233 may be provided at each of the pair of coupling parts 232 . The hooks 233 of each coupling part 232 may protrude from the coupling part 232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에는 상기 서포터(23)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부(202)가 형성될 수 있다. A penetrating portion 202 throug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er 23 passes may be formed in the dispenser housing 200 .

일 예로 상기 서포터(23)의 한 쌍의 결합부(232) 및 상기 물 배출구(22)의 일부가 상기 관통부(202)를 관통할 수 있다. For example, a pair of coupling parts 232 of the supporter 23 and a part of the water outlet 22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part 202 .

이때, 상기 서포터(23)의 한 쌍의 결합부(232)는 상기 관통부(202)의 전방(냉장고 도어의 전방임)에서 상기 관통부(202)를 관통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air of coupling parts 232 of the supporter 23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part 202 at the front of the through part 202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door).

상기 한 쌍의 결합부(232)가 상기 관통부(202)를 관통하는 과정에서 상기 한 쌍의 결합부(232)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상기 관통부(202)를 완전하게 관통된 상태에서는 상기 한 쌍의 결합부(232)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상기 각 결합부(232)의 후크(233)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의 배면에 형성되는 걸림면(203)에 걸리게 된다. While the pair of coupling portions 232 pass through the through portion 202 , the pair of coupling portions 232 are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y come closer to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penetrating part 202 is completely penetrated, the pair of coupling parts 232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s, so that the hook 233 of each coupling part 232 is attached to the dispenser housing 200. It is caught on the locking surface 203 formed on the rear surface.

상기 각 결합부(232)의 후크(233)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의 걸림면(203)에 걸린 상태에서는, 상기 각 결합부(232)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상기 서포터(23)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 state where the hook 233 of each coupling portion 232 is caught on the hooking surface 203 of the dispenser housing 200, unless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upling portions 232 come closer to each other, the Separation of the supporter 23 from the dispenser housing 200 may be prevented.

상기 서포터(23)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물 배출구(22)의 일부는 상기 디스펜싱 공간(201) 내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을 관통하여 상기 냉장실 도어(11)의 내에 위치될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er 23 is coupled to the dispenser housing 200, a part of the water outlet 22 is positioned within the dispensing space 201, and the other part penetrates the dispenser housing 200 to It may be located with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1.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물 배출구(22)에는 상기 워터 튜브(24)가 직접 연결된다. And,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tube 24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22 .

한편,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과 상기 도어 라이너(112) 사이에도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an insulating material may also be provided between the dispenser housing 200 and the door liner 112 .

본 발명에서는 상기 워터 튜브(24)의 교체가 가능하기 위하여 상기 워터 튜브(24)가 상기 단열재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냉장실 도어(11) 내에는 상기 워터 튜브(24)를 둘러싸는 가이드 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nable replacement of the water tube 24, a guide mechanism surrounding the water tube 24 is provid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1 to prevent the water tube 24 from contacting the insulator. may be provided.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의 배면에 결합되는 제1튜브 가이드(25)와, 상기 도어 라이너(112)에 형성되는 수용부(115)에 결합되는 제2튜브 가이드(2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uide mechanism includes a first tube guide 25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enser housing 200 and a second tube guide 26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115 formed in the door liner 112. can include

상기 제1튜브 가이드(25)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에 결합되기 위한 가이드 결합부(252)와, 상기 가이드 결합부(252)에서 연장되며 상기 워터 튜브(24)가 통과하는 튜브 안내부(25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tube guide 25 includes a guide coupling portion 252 coupled to the dispenser housing 200 and a tube guide portion extending from the guide coupling portion 252 and through which the water tube 24 passes (254).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의 배면에는 상기 가이드 결합부(252)가 결합되기 위한 하우징 결합부(20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결합부(205)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의 관통부(202)를 관통한 상기 커넥터(23)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A housing coupling part 205 to which the guide coupling part 252 is coupled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enser housing 200 . The housing coupling part 205 is dispos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connector 23 penetrating the penetrating part 202 of the dispenser housing 200 .

그리고, 상기 하우징 결합부(205)가 상기 가이드 결합부(252)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 결합부(205)와 상기 가이드 결합부(252)가 결합된다. The housing coupling portion 205 and the guide coupling portion 252 are coupled in such a way that the housing coupling portion 205 is fitted into the guide coupling portion 252 .

즉, 상기 하우징 결합부(205)와 상기 가이드 결합부(25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결합부(252)가 상기 하우징 결합부(205)의 둘레를 감싼다.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coupling portion 205 and the guide coupling portion 252 are coupled, the guide coupling portion 252 surrounds the housing coupling portion 205 .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 결합부(252)가 상기 하우징 결합부(205)의 둘레를 감싸게 되면, 단열재를 형성하기 위한 발포액을 상기 냉장실 도어(11) 내부로 충진하는 과정에서 발포액이 상기 관통부(202)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guide coupling part 252 wraps around the housing coupling portion 205, the foam liquid for forming the insulating material is filled into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1, and the foam liquid is applied to the penetrating portion ( 202), leakage to the outside can be prevented.

상기 튜브 안내부(254)는 상기 워터 튜브(24)가 통과할 수 있도록 내경이 상기 워터 튜브(24)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e guide part 254 may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water tube 24 so that the water tube 24 can pass therethrough.

상기 제2튜브 가이드(26)에는 상기 튜브 안내부(254)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튜브 가이드(26)의 내부 공간은 상기 수용부(115)와 연통될 수 있다. The tube guide part 254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tube guide 26 . Also,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tube guide 26 may communicate with the receiving part 115 .

따라서, 상기 튜브 안내부(254)를 통과한 워터 튜브(24)는 상기 제2튜브 가이드(26)에 의해서 상기 수용부(115)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water tube 24 passing through the tube guide part 254 may be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part 115 by the second tube guide 26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의 커버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8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 cover of a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실 도어(11)의 수용부(115)에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워터 탱크(40)와, 상기 워터 탱크(40)와 연결되는 밸브(42)가 위치될 수 있다. 3 and 8 , a water tank 40 for storing water and a valve 42 connected to the water tank 40 are position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15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1. can

이때, 상기 워터 탱크(40)와 상기 밸브(42)는 상기 커버(116)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116)가 상기 도어 라이너(112)와 결합되면, 상기 워터 탱크(40) 및 상기 밸브(42)가 상기 수용부(115)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워터 탱크(40) 및 상기 밸브(42)가 상기 수용부(115)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water tank 40 and the valve 42 are installed on the cover 116, and when the cover 116 is combined with the door liner 112, the water tank 40 and the valve ( 42) may be loc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15.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water tank 40 and the valve 42 are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15 .

상기 밸브(42)에는 상기 워터 튜브(24)가 연결되는 튜브 커넥터(44)가 구비될 수 있다. A tube connector 44 to which the water tube 24 is connected may be provided in the valve 42 .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워터 튜브(24)의 일단은 상기 물 배출구(22)와 직접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튜브 커넥터(44)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water tube 24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22, and the other end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tube connector 44.

이하에서는 상기 워터 튜브(24)의 교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replacing the water tube 24 will be described.

상기 워터 튜브(24)를 교체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116)를 상기 냉장실 도어(11)에 분리한 후에 상기 워터 튜브(24)를 상기 밸브(42)의 튜브 커넥터(44)에서 분리할 수 있다. In order to replace the water tube 24, the water tube 24 can be separated from the tube connector 44 of the valve 42 after the cover 116 is separated from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1. .

그 다음, 상기 서포터(23)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포터(23)의 한 쌍의 결합부(232)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각 결합부(232)의 후크(233)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 걸림면(203)의 걸림이 해제된다. Then, the supporter 23 is separated from the dispenser housing 200 . Specifically, when the pair of coupling parts 232 of the supporter 23 are pressed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the hook 233 of each coupling part 232 and the hooking surface 203 of the dispenser housing 200 is released.

이 상태에서 상기 서포터(23)를 잡아당기면 상기 한 쌍의 결합부(232)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의 관통부(202)를 통해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의 전방으로 인출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supporter 23 is pulled, the pair of coupling parts 232 are drawn out toward the front of the dispenser housing 200 through the penetrating part 202 of the dispenser housing 200 .

상기 서포터(23)에 상기 물 배출구(22)가 결합되고, 상기 물 배출구(22)에 상기 워터 튜브(24)가 결합되므로, 상기 서포터(23)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에서 분리되면, 상기 물 배출구(22) 및 상기 워터 튜브(24)가 함께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의 전방으로 인출된다. Since the water outlet 22 is coupled to the supporter 23 and the water tube 24 is coupled to the water outlet 22, when the supporter 23 is separated from the dispenser housing 200, the The water outlet 22 and the water tube 24 are drawn out of the dispenser housing 200 together.

그 다음, 상기 워터 튜브(24)를 상기 물 배출구(22)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Then, the water tube 24 may be separated from the water outlet 22 .

이 상태에서 상기 물 배출구(22)를 청소하거나 상기 물 배출구(22)에 새로운 워터 튜브(24)를 연결할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water outlet 22 may be cleaned or a new water tube 24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22 .

다음으로, 상기 워터 튜브(24)를 상기 냉장고 도어(20) 내부로 인입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 process of introducing the water tube 24 into the refrigerator door 20 will be described.

상기 물 배출구(22)와 연결된 워터 튜브(24)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의 관통부(202)를 통과시킨다. 그러면, 상기 관통부(202)를 통과한 상기 워터 튜브(24)는 상기 제1튜브 가이드(25) 및 상기 제2튜브 가이드(26)를 통과한 후에 상기 수용부(115) 내로 인입된다. The water tube 24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22 passes through the through portion 202 of the dispenser housing 200 . Then, the water tube 24 passing through the through part 202 passes through the first tube guide 25 and the second tube guide 26 and then is drawn into the receiving part 115 .

그 다음, 상기 워터 튜브(24)를 상기 밸브(42)의 튜브 커넥터(44)에 연결하고, 상기 서포터(23)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00)에 결합시키면, 상기 워터 튜브(24)의 설치가 완료된다. Then, when the water tube 24 is connected to the tube connector 44 of the valve 42 and the supporter 23 is coupled to the dispenser housing 200, the water tube 24 is installed It is done.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물 배출구와 워터 튜브가 결합된 상태에서 디스펜서의 외부로 쉽게 인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water outlet and the water tube can be easily drawn out of the dispenser in a coupled state.

또한, 워터 튜브가 물 배출구에 연결된 상태에서 디스펜서 하우징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느므로, 상기 워터 튜브의 교체 과정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 내부로 물이 누수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ater tube can be drawn out toward the front of the dispenser housing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water leakage into the refrigerator door is prevented during the process of replacing the water tube.

도 9는 제빙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이 제빙실로 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제빙기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수기구에 히터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to an ice maker is exposed to an ice making room,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water to an ice maker, and FIG. 11 is a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showing the state where the heater is installed.

도 2,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급수기구는 정수를 공급받아 상기 제빙기(32)로 공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and 9 to 11 , the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receive purified water and supply it to the ice maker 32 .

상기 급수기구는, 안내 튜브(53)와, 상기 안내 튜브(53)에 연결되는 커넥터(52)와, 상기 커넥터(52)에 연결되는 급수관(5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mechanism may include a guide tube 53, a connector 52 connected to the guide tube 53, and a water supply pipe 51 connected to the connector 52.

상기 안내 튜브(53)와 상기 급수관(51)은 일 예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52)는 플라스틱 재질의 사출물일 수 있다. The guide tube 53 and the water supply pipe 51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And, the connector 52 may be an injection-molded product made of a plastic material.

상기 급수관(51)은 상기 커넥터(5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pipe 51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52 .

상기 커넥터(52) 및 상기 안내 튜브(53) 중 하나 이상은 내부를 유동하는 물이 결빙을 방지하기 위한 히터(54)와 접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히터(54)는 상기 안내 튜브(53)의 일 지점에서 상기 커넥터(52)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connector 52 and the guide tube 53 may contact a heater 54 to prevent freezing of water flowing therein. For example, the heater 54 may extend toward the connector 52 from one point of the guide tube 53 .

상기 제빙기(32)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급수관(51)의 출구는 상기 제빙기(32)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제빙실(113) 내로 노출될 수 있다. To supply water to the ice maker 32 , the outlet of the water supply pipe 51 may be located above the ice maker 32 and may be exposed into the ice maker 113 .

급수기구에서 공기와 노출되는 부분이 오염 정도가 제일 크다. 즉, 상기 급수관(51)은 상기 제빙실(113) 내로 노출되므로, 상기 급수관(51)은 공기와 접촉할 수 있어, 오염 가능성이 높다. The part that is exposed to the air in the water supply system is the most contaminated. That is, since the water supply pipe 51 is exposed in the ice-making chamber 113, the water supply pipe 51 may come into contact with air and is highly likely to be contaminated.

상기 급수관(51)의 청결을 위해서는 상기 급수관(51)을 교체하여야 한다. To keep the water supply pipe 51 clean, the water supply pipe 51 must be replaced.

본 발명의 경우, 상기 급수관(51)은 상기 커넥터(5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히터(54)는 상기 커넥터(52) 및 상기 안내 튜브(53)와 접촉한다.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pipe 51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52, and the heater 54 contacts the connector 52 and the guide tube 53.

따라서, 상기 히터(54)를 분해하지 않고도 상기 급수관(51)의 분리가 가능하므로, 상기 급수관(51) 만을 분리하여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급수관(51)의 청결성이 유지될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water supply pipe 51 can be separated without disassembling the heater 54,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replace only the water supply pipe 51. Thus, the cleanliness of the water supply pipe 51 can be maintained.

또한, 상기 급수관(51)이 상기 커넥터(52)에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52)에 히터(54)가 접촉하므로, 상기 히터(54)의 열이 상기 급수관(51)으로 전달될 수 있어, 상기 급수관(51)의 결빙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ater supply pipe 51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52 and the heater 54 contacts the connector 52, the heat of the heater 54 can be transferred to the water supply pipe 51, Freezing of the water supply pipe 51 may be prevented.

위의 실시 예에서는 디스펜서가 냉장실 도어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디스펜서가 냉동실 도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워터 튜브의 교체 구조 및 급수관 교체 구조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밝혀둔다. In the above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dispenser is disposed on the door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but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dispenser is provided on the door of the freezer compartment. In this case, the water tube replacement structure and the water supply pipe replacemen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reveal

20: 디스펜서 22: 물 배출구
23: 서포터 24: 워터 튜브
25, 26: 튜브 가이드 42: 밸브
51: 급수관 52: 커넥터
53: 안내 튜브 54: 히터
20: dispenser 22: water outlet
23: supporter 24: water tube
25, 26: tube guide 42: valve
51: water supply pipe 52: connector
53 guide tube 54 heater

Claims (12)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 및
상기 냉장고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디스펜서 하우징;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포터;
상기 서포터에 설치되며, 물이 배출되기 위한 물 배출구; 및
상기 물 배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냉장고 도어 내부로 연장되는 워터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서 분리되면 상기 물 배출구와 상기 워터 튜브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냉장고.
a cabinet equipp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a refrigerator door connected to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nd
Including a dispenser provided on the refrigerator door,
The dispenser may include a dispenser housing;
a supporte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dispenser housing;
a water outlet installed on the supporter and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and
A water tube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and extending into the refrigerator door;
When the supporter is separated from the dispenser housing, the water outlet and the water tube are drawn out toward the front of the dispenser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은 상기 서포터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전방에서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여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결합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enser housing includes a through portion through which the supporter passes,
The supporter is coupled to the dispenser housing through the penetrating portion at the front of the dispenser hous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에 설치된 상기 물 배출구의 일부도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2,
A part of the water outlet installed in the supporter also passes through the through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물 배출구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결합되기 위한 한 쌍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2,
The supporter includes a body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outlet;
A refrigerator comprising a pair of coupling parts extending from the body and coupled to the dispenser hous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결합부에는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는 상기 관통부를 관통한 상기 각 결합부의 후크가 걸리기 위한 걸림면이 구비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4,
A hook is formed at each coupling part,
The dispenser housing is provided with a hooking surface for hooking each of the coupling parts penetrating the penetrating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도어 내에 배치되며, 상기 워터 튜브가 상기 냉장고 도어 내의 단열재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기 위한 가이드 기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refrigerator further includes a guide mechanism disposed in the refrigerator door to prevent the water tube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an insulator in the refrigerator doo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튜브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튜브 가이드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결합되기 위한 가이드 결합부와, 상기 가이드 결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워터 튜브가 통과하는 튜브 안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6,
The guide mechanism includes a first tube guide coupled to the dispenser housing,
The first tube guide includes a guid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dispenser housing, and a tube guide portion extending from the guide coupling portion and through which the water tube passe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배면에는 상기 가이드 결합부가 결합되기 위한 하우징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결합부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관통부를 관통한 커넥터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7,
The rear surface of the dispenser housing is provided with a housing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he guide coupling portion,
The housing coupling part is disposed to surround an outer side of a connector penetrating through the penetrating part of the dispenser housing.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도어 내에 구비되는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튜브 안내부를 지난 상기 워터 튜브는 상기 밸브의 튜브 커넥터에 연결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valve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door,
The water tube passing through the tube guide is connected to the tube connector of the valv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도어는,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밸브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며, 상기 워터 튜브가 통과하는 제2튜브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9,
The refrigerator door includes an outer case and a door liner forming a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valve is accommodated,
The guide mechanism further includes a second tube guide connected to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rough which the water tube pas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도어에는 제빙실과,
상기 제빙실에 구비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와,
상기 제빙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기구는, 물이 유동하기 위한 급수 튜브와,
상기 급수 튜브와 연결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물을 상기 제빙기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을 포함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An ice-making chamber in the refrigerator door;
an ice maker provided in the ice making chamber to produce ice;
Further comprising a wat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water to the ice maker,
The water supply mechanism includes a water supply tube through which water flows;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tube;
A refrigerator comprising a water supply pip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and supplying water to the ice mak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및 상기 급수 튜브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히터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1,
The refrigerator further comprises a heater disposed to contact the connector and the water supply tube.
KR1020170075103A 2017-06-14 2017-06-14 Refrigerator KR1024706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103A KR102470628B1 (en) 2017-06-14 2017-06-14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103A KR102470628B1 (en) 2017-06-14 2017-06-14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312A KR20180136312A (en) 2018-12-24
KR102470628B1 true KR102470628B1 (en) 2022-11-25

Family

ID=65010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103A KR102470628B1 (en) 2017-06-14 2017-06-14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62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0771A (en) * 2021-11-30 2023-06-07 주식회사 인더케그 brew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1450A (en) * 2010-10-21 2012-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with water tnak for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312A (en) 201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37492B (en) Refrigerator with a door
US8429927B2 (en) Refrigerator
US10502477B2 (en) Refrigerator appliance
KR101810685B1 (en) Refrigerator and water tank assembly for refrigerator
KR101548263B1 (en) Refrigerator
EP2908075B1 (en) Refrigerator
US20080307823A1 (en) Refrigerator
KR102470628B1 (en) Refrigerator
US20240053093A1 (en) Refrigerator
KR101639442B1 (en) Refrigerator
KR101584888B1 (en) Refrigerator
KR101621660B1 (en) Refrigerator
KR100568203B1 (en) Refrigerator
KR100819512B1 (en) Dispensor device for refrigerator
KR100846902B1 (en) A refrigerator door
KR20220026371A (en) Refrigerator
KR101361361B1 (en) Water Supply Line of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057559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30031150A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