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494B1 - IoT management hub apparatus for construction sites - Google Patents

IoT management hub apparatus for construction sit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494B1
KR102470494B1 KR1020210116332A KR20210116332A KR102470494B1 KR 102470494 B1 KR102470494 B1 KR 102470494B1 KR 1020210116332 A KR1020210116332 A KR 1020210116332A KR 20210116332 A KR20210116332 A KR 20210116332A KR 102470494 B1 KR102470494 B1 KR 102470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data
hub device
management hub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3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로
이동욱
김진현
강한수
안현수
전호성
김동봉
한대윤
최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티
Priority to KR1020210116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49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4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4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using dedicated network management hard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net of Things (IoT) management hub device for construction sites that can integrate and manage IoT devices for smooth connection between IoT devices at a construction site where communication signals are weak. The Internet of Things (IoT) management hub device for construction sites that manages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in a construction site and performs Internet networking with a remote control server compris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an IoT device through an IoT network using any one of ZigBee, Z-Wave, and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a wireless access device responsible for relaying data with the control server through Wi-Fi HaLow; a sensor module detect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n IoT management hub device; a control module generating transmission data by combining state data with received data receiv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based on a communication protocol negotiated in advance with the control server,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control server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at each predetermined transmission period,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to a corresponding IoT devic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a battery providing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Description

건설현장용 사물인터넷(IoT) 관리 허브 장치{IoT management hub apparatus for construction sites}Internet of Things (IoT) management hub device for construction sites {IoT management hub apparatus for construction sites}

본 발명은 건설 현장 내 통신 커버리지를 넓히면서 통신 품질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현장용 사물인터넷 관리 허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 management hub device for a construction site, which can ensure communication quality while expanding communication coverage within a construction site.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information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constitute prior art.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 IoT)기술이란 사물지능통신(Machine to Machine, M2M)의 확장으로서 단말 노드들을 인터넷에 연결시켜 발생되는 정보들을 이용하여 실체화하고 사용자들의 접근을 용이하게 만들어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기술이다. The Internet of Thing (IoT) technology is an extension of machine-to-machine (M2M) communication, which is materialized using information generated by connecting terminal nodes to the Internet, and makes it easy for users to access various services. It is a technology implemented to

최근 건설현장에서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건설안전시스템과 정보통신 기술을 융합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건설현장 안전 시스템은 건설장비와 근로자 작업모에 센서를 붙이고 센서를 통해 현장 위험 여부를 판단해 작업자와 장비 조종자 등에게 경보 및 알람음을 보내주는 기술이다.Recently, in order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studies on the convergence of construction safety systems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In particular, the construction site safety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is a technology that attaches sensors to construction equipment and workers' helmets, determines whether the site is dangerous through the sensors, and sends alerts and alarms to workers and equipment operators.

건설 현장에서는 사용되고 있는 IoT 기기들은 RF 신호를 기반으로 작업자와 장비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상대적인 거리를 측정하여 알림을 주는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IoT devices used in construction sites ar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locating workers and equipment based on RF signals or measuring relative distances and giving notifications.

대부분의 건설 현장은 지하 공간, 지상 공간 등을 비롯해 광범위한 면적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고, 각 건설 현장에 설치된 IoT 기기들을 관리하고, 원격의 서버와 통신을 하기 위해 인터넷 네트워킹이 가능하도록 허브, 중계기 등의 필요하다. Most construction sites are working on a wide area, including underground and ground spaces, and hubs, repeaters, etc. are installed to manage IoT devices installed at each construction site and enable Internet networking to communicate with remote servers. of need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허브는 IoT 서비스를 위하여 인터넷 연결이 필요기 때문에 AP에 접근하기 위하여 SSID의 검색과 선택, 그리고 보안키의 입력이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SSID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보안키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장치가 허브에 장착되어야 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와 입력 장치가 허브에 구성되어 있다면 허브 자체 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질 것이고, 장치의 가격 또한 상승될 될 우려가 있다. Common hubs used at construction sites require an Internet connection for IoT service, so SSID search and selection, and security key input are required to access the AP. Therefore, a display device that can check the SSID and an input device that can input the security key must be installed in the hub. However, if the display device and the input device are configured in a hub, the size of the hub itself may unnecessarily increase and the price of the device may also increase.

무엇보다도, 건설 현장에 설치되는 수십 개에서 수백 개의 허브에 디스플레이 장치와 입력 장치가 구성되는 경우에, 허브의 관리와 수거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다. 만일 허브에 디스플레이 장치와 입력 장치가 구성되지 않더라도, 관리자가 자신의 단말(PC 등)과 유선으로 허브를 연결하여 SSID의 검색과 선택, 그리고 보안키의 입력,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경우에 허브 관리와 인터넷 연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Above all, when display devices and input devices are configured in tens to hundreds of hubs installed at a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and collection of hubs may become difficult. Even if the display device and input device are not configured in the hub, the manager connects the hub to his/her terminal (PC, etc.) by wire, searches and selects the SSID, enters the security key, and manages the hub when performing firmware upgrade.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connect to the Internet.

또한, 기존의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건설현장 안전 시스템은 허브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전송하기 위해 와이파이 기반의 액세스 포인트(AP)를 사용하고 있지만, 와이파이 통신 방식은 AP가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30~200m) 이내에서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고, 통신 간섭에 취약하여 통신 장애가 발생하기 쉬울 뿐 아니라, 콘크리트벽, 전파환경(건물 지하, 엘리베이터 내부, 밀폐공간 등), 금속 성분의 장애물 등에 의해 전파 손실과 전파 방해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통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5G/LTE 이동통신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통신 음영 지역, 전파 손실, 전파 방해 요소를 해소할 경우에 건설 현장의 규모에 따라 통신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existing construction site safety systems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use a Wi-Fi-based access point (AP) to transmit data collected from a hub to a server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but the Wi-Fi communication method requires an AP The Internet can be used only within a certain distance (30 to 200 m) from the place where it is installed, and it is vulnerable to communication interference and is prone to communication failure, as well as concrete walls, radio wave environments (underground buildings, inside elevators, confined spaces, etc.), There is a problem in that radio wave loss and radio wave interference are large due to obstacles made of metal components or the like. In order to solve these communication problems, when wireless Internet using 5G / LTE mobile communication is used to solve communication shadow areas, radio wave loss, and radio interference facto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mmunication costs increas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struction sit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 신호가 약한 건설 현장에서 IoT 기기들 간의 원활한 연결을 위해 IoT 기기들을 통합해 관리할 수 있는 건설현장용 사물인터넷(IoT) 관리 허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net of Things (IoT) for construction sites that can integrate and manage IoT devices for smooth connection between IoT devices at a construction site where communication signals are wea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aims to provide a management hub device.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용 사물인터넷(IoT) 관리 허브 장치는, 건설 현장 내 사물인터넷(IoT) 기기를 관리하고, 원격의 관제 서버와의 인터넷 네트워킹을 수행하는 건설현장용 사물인터넷(IoT) 관리 허브 장치에 있어서, 지그비, 지-웨이브, 블루투스 중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사물 인터넷망을 통해 IoT 기기와 연결되는 제1 통신 모듈; 와이파이-헤일로(Wi-Fi HaLow)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와의 데이터 중계를 담당하는 무선접속장치와 연결되는 제2 통신 모듈; IoT 관리 허브 장치의 내외부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 상기 관제 서버와 사전에 협의된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한 수신 데이터에 자신의 상태 데이터를 결합한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송신주기마다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관제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관제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IoT 기기로 전송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IoT 관리 허브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이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Internet of Things (IoT) management hub device for construction si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in the construction site and communicates with a remote control server. An Internet of Things (IoT) management hub device for a construction site that performs Internet networking, comprising: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an IoT device through an Internet of Things network using any one of ZigBee, Z-Wave, and Bluetooth;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a wireless access device responsible for relaying data with the control server through Wi-Fi HaLow; A sensor module that detects the internal and external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Based on a communication protocol negotiated in advance with the control server, transmission data obtained by combining state data with received data receiv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is generated, and control is performed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at each predetermined transmission period. A control module for transmitting to a server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to a corresponding IoT devic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a battery providing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또한, 건설현장용 사물인터넷(IoT) 관리 허브 장치는, 상기 제어 모듈에 대한 디버깅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버그 포트; 상기 IoT 관리 허브 장치의 전원 온/오프, 리셋,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 구비되는 버튼; 및 상기 제어 모듈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간 클록(Real-Time Clock, RTC)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net of Things (IoT) management hub device for construction sites includes a debug port providing an interface for debugging the control module; a button provided to select power on/off, reset, and WPS (Wi-Fi Protected Setup) functions of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and a Real-Time Clock (RTC) providing time information through an interface with the control module.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송신 데이터는, 헤더 데이터, 상기 IoT 관리 허브 장치의 식별 데이터, 전송 데이터 개수, 상태 데이터, IoT 기기의 식별 데이터, IoT 기기의 수신 데이터를 포함하고, 각 데이터 경계를 구분자를 이용하여 구분하는 데이터 패킷 구조로 생성되는 것이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data includes header data, identification data of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the number of transmission data, state data, identification data of IoT devices, and reception data of IoT devices, and each data boundary It is created as a data packet structure that distinguishes using a separator.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태 데이터는, 상기 IoT 관리 허브 장치의 현재 온도 데이터, 습도 데이터, 배터리 잔량 데이터, 펌웨어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data includes current temperature data, humidity data, remaining battery capacity data, and firmware version information of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수신 데이터에 비상상황 알림을 표시한 데이터값이 설정된 경우에, 상기 송신 주기와 상관없이 상기 수신 데이터를 수신한 시점에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관제 서버로 송신하는 것이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odule generates transmission data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received data regardless of the transmission period when a data value indicat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is set in the received data, It is sent to the control server.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 모듈은, 사전에 허가된 관리자 단말이 네트워크 설정 권한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주변의 무선 접속장치에 대한 검색, 타겟 무선 접속장치의 선택, 보안키 설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odule stores an application for a manager terminal authorized in advance to perform network setting authority, and is connected to the manager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to access a nearby wireless access device. It is to perform a search for, selection of a target wireless access device, and security key setting.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건설 현장 내 통신 커버리지를 넓히면서 통신 품질을 보장할 수 있도록 와이파이-헤일로, 지그비, 지웨이브, 블루투스 등의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고, 각종 IoT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할 수 있는 IoT 관리 허브 장치를 제공하고, 무선 접속 장치에 접속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입력 장치가 필요없이 관리자 단말을 통해 간단히 원하는 무선접속장치에 접속할 수 있어 허브 자체를 소형화 및 저가격화로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Wi-Fi-Halo, ZigBee, Z-Wave, and Bluetooth to ensure communication quality while expanding communication coverage in a construction site, and various IoT devices. It provides an IoT management hub device that can collect and manage data from, and miniaturizes the hub itself by simply accessing the desired wireless access device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display device and input device when accessing the wireless access device. And it can be provided at a low pr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용 사물인터넷(IoT) 관리 허브 장치가 건설 현장에 적용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용 사물인터넷(IoT) 관리 허브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의 작업자 충격 감지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의 옹벽 붕괴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관리 허브 장치의 데이터 포맷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관리 허브 장치의 데이터 패킷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용 사물인터넷(IoT) 관리 허브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용 사물인터넷(IoT) 관리 허브 장치의 초기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용 사물인터넷(IoT) 관리 허브 장치의 AP 접속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nternet of Things (IoT) management hub device for a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onstruction site.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ternet of Things (IoT) management hub device for a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lgorithm for detecting worker impact of a safety b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lgorithm for collapsing a retaining wall of a safety b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format of an IoT management hub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packet structure of an IoT management hub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n Internet of Things (IoT) management hub device for a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itial operation process of an Internet of Things (IoT) management hub device for a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P access process of an Internet of Things (IoT) management hub device for a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nd one or more other characteristic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단말’은 휴대성 및 이동성이 보장된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단말 또는 서버 등에 접속할 수 있는 PC 등의 유선 통신 장치인 것도 가능하다. 또한,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In this specification, a 'terminal'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guaranteed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may be, for example, any type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or a laptop computer. Also, the 'terminal' may be a wired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PC capable of accessing other terminals or servers through a network. In addition, a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nodes such as terminals and servers,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the Internet (WWW : World Wide Web),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network, telephone network, and wired and wireless television communications network.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 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Examples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3G, 4G, 5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Wi-Fi, Bluetooth commun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ultrasonic communicati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 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LiFi,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The following examples are detailed description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nventions of the same scope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configuration, process, process or method included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har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contradict each other technical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용 사물인터넷(IoT) 관리 허브 장치가 건설 현장에 적용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용 사물인터넷(IoT) 관리 허브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기인 안전벨의 작업자 충격 감지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기인 안전벨의 옹벽 붕괴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nternet of Things (IoT) management hub device for a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onstruction site, and FIG. 2 is an Internet of Things (IoT) for a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s a block diagram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nagement hub device.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or impact detection algorithm of a safety bell, which is an I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taining wall collapse algorithm of a safety bell, an I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 char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건설현장 안전 시스템은 다양한 IoT 기기(10), IoT 관리 허브 장치(100) 및 관제 서버(200)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1 and 2, a construction site safety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includes various IoT devices 10, an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and a control server 2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IoT 기기(10)는 안전벨 뿐만 아니라 GPS 위치, 모션, 장비 중량, 위치, 이동, 무게중심, 온도, 가스감지, 화재 감지 등을 감지할 수 있는 각종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건설 현장에서 대표적인 IoT 기기인 안전벨은 작업자의 안전모, 벨트, 안전 의복, 옹벽 등에 설치되고, 가속도, 자이로, 지자기 각각 3축(X, Y, Z)을 지원하는 9축 센서를 비롯해 GPS 센서, 위치인식/동작 센서 등을 포함한다. The IoT device 10 may include various sensors capable of detecting GPS location, motion, equipment weight, location, movement, center of gravity, temperature, gas detection, fire detection, and the like, as well as safety bells. In particular, safety bells, a representative IoT device at construction sites, are installed on workers’ helmets, belts, safety clothing, retaining walls, etc. It includes sensors, location recognition/motion sensors, and the like.

이러한 안전 벨은 사용 용도에 따라 안전벨 모드 또는 옹벽벨 모드로 동작될 수 있고, 모드에 따라 임계값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관제 서버(200)는 IoT 관리 허브 장치(100)를 통해 안전벨의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벨은 안전벨 모드로 동작시, 가속도와 자이로를 이용하여 충격 정도를 계산하여 작업자의 쓰러짐을 감지할 수 있고, 옹벽벨 모드로 동작시 가속도, 자이로, 지자기 모두를 사용하여 옹벽의 경사가 변하거나 금이 갈 때의 붕괴 또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Such a safety bell may be operated in a safety bell mode or a retaining wall bell mod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nd a threshold value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mode. At this time, the control server 200 may set the threshold of the safety bell through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 Therefore, when the safety bell operates in safety bell mode, it can detect the fall of a worker by calculating the degree of impact using acceleration and gyro. Collapse or shock can be sensed when changes or cracks occur.

이러한 안전벨은 안전벨의 충격값/회전값, 옹벽의 충격값/회전값/지자기, 지그비의 RF 파워, SOS 지연 시간, 안전모 확인 주기, 안전모 착용 여부 판단에 대한 데이터 값을 포함하여 IoT 관리 허브 장치(100)를 통해 관제 서버(2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These safety bells include data values for impact value/rotation value of safety bell, impact value/rotation value/geomagnetism of retaining wall, RF power of ZigBee, SOS delay time, safety helmet check cycle, and determination of whether to wear a safety helmet.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200 through the device 100 .

구체적으로, IoT 기기인 안젠벨은 작업자 충격감지, 옹벽붕괴 및 헬멧 또는 안전모 미착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Specifically, Anzenbell, an IoT device, can detect worker impact, collapse of a retaining wall, and a helmet or hard hat not worn stat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에서 수행되는 작업자 충격 알고리즘은 가속도, 자이로, 지자기 각각 3축(X, Y, Z)을 지원하는 9축 센서를 비롯해 GPS 센서, 위치인식/동작 센서를 통해 감지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하고(S31), 수신한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가속도 또는 각속도에서 X, Y, Z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확인한다(S32). 이때, RMS(Root Mean Square)는 x, y, z 축의 값을 이전 값과 제곱하여 제곱근(squared root)을 한 값이고, 지연 시간과 IMU(Inertial Measurement Unit)의 임계값은 통합 관제 서버(200)에서 조정 가능하다.As shown in FIG. 3, the worker impact algorithm performed in the safety bell uses a 9-axis sensor that supports 3 axes (X, Y, Z) of acceleration, gyro, and geomagnetism, respectively, as well as a GPS sensor and a location recognition/motion sensor. The detection signal is continuously received (S31), and the received detection signal is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acceleration or angular velocity exceeds threshold values of X, Y, and Z (S32). At this time, RMS (Root Mean Square) is a value obtained by squareing the values of the x, y, and z axes with the previous value and taking the square root, and the delay time and the threshold of the IMU (Inertial Measurement Unit) are integrated control server (200 ) is adjustable.

안전벨은 가속도와 각속도가 작업자의 정상적인 모션(위치 및 자세)에서 나올수 없는 값, 즉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초기에 비상버튼을 이용하여 경고를 준다(S33). 만일, 작업자가 작은 찰과상이나 통화 가능한 의식 상태인 경우이면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비상 버튼을 3초 이상 눌러 SOS 메시지가 관제 서버(200)로 송신되는 비상모드가 해제된다(S14, S15).The safety bell initially gives a warning using the emergency button when the acceleration and angular velocity are values that cannot come from the worker's normal motion (position and posture), that is, a threshold value or more (S33). If the worker has a small abrasion or is in a state of consciousness capable of talking, the emergency mode in which an SOS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200 is released by pressing the emergency button for 3 seconds or more within a preset time (S14, S15).

그러나, 작업자가 의식이 없으면 기 설정된 시간 동안(예를 들어, 30초) 비상 버튼의 누름 동작이 수행되지 않게 되고, 안전벨은 비상상황 정보(SOS 메시지)를 바로 IoT 허브 관리 장치(100)를 거쳐 관제 서버(200)로 송신한다(S14, S15). However, if the operator is unconscious,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emergency button is not performed for a preset time (eg, 30 seconds), and the safety bell sends the emergency situation information (SOS message) directly to the IoT hub management device 100.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200 (S14, S15).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에서 수행되는 옹벽 붕괴 감지 알고리즘은, 작업자가 안전벨을 옹벽 설치시, 전원을 켜면서 초기 IMU 값(경사값)이 저장된다(S41). 이후에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8시간)이 경과된 후에 충격 가속도값이 웨이크업되면 초기 경사값과 현재 RMS 값을 비교한 결과가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확인한다(S42, S43, S44). As shown in FIG. 4 , in the retaining wall collapse detection algorithm performed by the safety bell, when the worker installs the safety bell on the retaining wall, the initial IMU value (inclination value) is stored while turning on the power (S41). Then, when the impact acceleration value wakes up after a predetermined time (eg, 18 hours) has elapsed, it is checked whether the result of comparing the initial slope value and the current RMS value exceeds the threshold value (S42, S43, S44) .

안전벨은 가속도, 각속도, 지자기를 통해 확인한 초기 경사값이 현재 RMS 값과 비교한 결과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바로 IoT 허브 관리 장치(100)를 통해 관제 서버(200)로 SOS 메시지를 송신한다(S25). The safety bell transmits an SOS message to the control server 200 through the IoT hub management device 100 as soon as the result of comparing the initial inclination value confirmed through acceleration, angular velocity, and geomagnetism with the current RMS value exceeds the threshold value ( S25).

안전벨이 헬멧 또는 안전모에 부착된 경우에, 기 설정된 주기로 IMU 값을 수신하고, 이전의 IMU 값과 현재 IMU 값을 비교하여 임계값보다 작으면 현재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상태를 IoT 허브 관리 장치(100)를 통해 관제 서버(200)에 알려주게 된다. 이때 주기는 분 단위이고, IMU 값은 관제 서버(200)에서 조정 가능하다. When a safety bell is attached to a helmet or hard hat, the IMU value is received at a preset cycle, the previous IMU value and the current IMU value are compared, and if it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worker is not wearing the hard hat, and the corresponding The status is notified to the control server 200 through the IoT hub management device 100. At this time, the period is in units of minutes, and the IMU value can be adjusted in the control server 200.

다시 도 1 및 도 2를 설명하면, IoT 관리 허브 장치(100)는 유선통신, Zigbee, Bluetooth, WLAN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사용하여 메쉬업 서비스를 제공하고, 코디네이터(Coordinator) 역할을 하여 IoT 기기(10)를 적절하게 제어한다. IoT 관리 허브 장치(100)는 각종 센서값을 수집하기 위한 제1 허브(101)와 레이다 등의 거리측정 값을 수집하기 위한 제2 허브(102)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again,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provides a mesh-up service using wired communicatio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Zigbee, Bluetooth, and WLAN, and serves as a coordinator to provide IoT devices (10) is appropriately controlled.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may include both a first hub 101 for collecting various sensor values and a second hub 102 for collecting distance measurement values such as radar.

이때, 제1 허브(101)는 안젠벨 등 많은 수의 IoT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고, 제2 허브(102)는 광범위한 지역에 산재되어 있는 레이다 센서로부터 데이터(거리측정값)를 수집하는 것으로서, 제1 허브(101)는 제2 허브(102)에 비해 많은 수의 허브가 설치되어야 하고, 그만큼 많은 양의 데이터들을 수신해야 한다. 따라서, IoT 관리 허브 장치(100)는 IoT 기기(10)에서 송출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제1 허브(101)와 제2 허브(102)로 구분하여 수신함으로써 신호 간섭이나 신호 송출 지연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hub 101 collects data from a large number of IoT sensors such as Anzenbell, and the second hub 102 collects data (distance measurement values) from radar sensors scattered over a wide area. , the first hub 101 should have a larger number of hubs installed than the second hub 102, and should receive a correspondingly large amount of data. Therefore,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divides and receive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IoT device 10 into the first hub 101 and the second hub 102 according to the type of data, thereby preventing signal interference or signal transmission delay in advance. It can be prevented.

관제 서버(200)는 IoT 기기(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작업 현장내 위험요소를 확인하여 작업자 또는 현장 관리자의 단말로 통보한다. 또한, 관제 서버(200)는 IoT 기기(10)에 대한 관리, 건설 현장 내 출입하는 작업자 또는 중장비를 포함한 출입 현황 확인, 작업구역별 안전 현황, 긴급/재난 알림, 보고서/통계, 과거안전사고 이력 정보를 포함한 안전 관리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사전에 허가된 단말의 요청에 따라 모니터링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rol server 200 analyzes the data received from the IoT device 10, checks the risk factors in the work site, and notifies them to the terminal of the worker or site manager. In addition, the control server 200 manages the IoT device 10, checks the access status including workers entering or exiting the construction site or heavy equipment, safety status by work area, emergency/disaster notification, reports/statistics, history of past safety accidents Safety management monitoring including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and monitoring results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 request of a pre-approved terminal.

이러한 통합 관제 서버(200)는 일반적인 의미의 서버용 컴퓨터 본체일 수 있고, 그 외에 서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합 관제 서버(200)는 통신 모듈(미도시), 메모리(미도시), 프로세서(미도시) 및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구현될 수 있는데, 스마트폰이나 TV, PDA, 태블릿 PC, PC, 노트북 PC 및 기타 사용자 단말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integrated control server 200 may be a computer body for a server in a general sense,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of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a server role. Specifically, the integrated control server 200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 memory (not shown), a processor (not shown), and a database (not shown), such as a smartphone or TV, It may be implemented in a PDA, tablet PC, PC, notebook PC, and other user terminal device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 기기(10)를 관리하고, 관제 서버(200)와의 인터넷 네트워킹을 수행하는 건설현장용 IoT 관리 허브 장치(100)는, 제1 통신 모듈(130), 제2 통신 모듈(120), 센서 모듈(110), 제어 모듈(140), 배터리(150), 디버그 포트(180), 버튼(170) 및 실시간 클록(160)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IoT 관리 허브 장치(100)는 각 구성요소들이 내부에 배치되어 구성요소들을 보호하는 케이스(미도시)와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LED들을 구비하고 있고, 케이스는 방수, 방한 및 내화, 충격에 강한 재질로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2,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for managing the IoT device 10 and performing Internet networking with the control server 200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130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30. module 120 , sensor module 110 , control module 140 , battery 150 , debug port 180 , button 170 and real time clock 160 .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includes a case (not shown) in which each component is disposed inside to protect the components and LEDs to display an operating state, and the case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waterproof, cold, fireproof, and resistant to shock. is formed with

제1 통신 모듈(130)은 지그비, 지-웨이브, 블루투스 중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사물 인터넷망을 통해 IoT 기기(10)와 연결되는데, 저전력, 저비용, 낮은 전송률 등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기술인 지그비(zigbee) 모듈로 동작될 수 있다.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30 is connected to the IoT device 10 through the Internet of Things network using any one of ZigBee, G-Wave, and Bluetooth, which is a short-rang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low power, low cost, and low transmission rate. It can be operated as a zigbee module.

제2 통신 모듈(120)은 와이파이-헤일로(Wi-Fi HaLow)를 통해 관제 서버(200)와의 데이터 중계를 담당하는 무선접속장치(AP)와 연결된다. IEEE 802.11ah 표준 기반의 와이 파이-헤일로는 IoT 환경에서 기대되는 연결 범위, 데이터 속도, 투과 능력, 낮은 전력 소비를 제공하고, 전용 컨트롤러, 허브 또는 게이트웨이 필요 없이 효율적인 설치와 저렴한 운영이 가능한 개방형 표준 기술이다. 또한, 와이파이-헤일로는 OWE(Opportunistic Wireless Encryption) 기반의 Wi-Fi CERTIFIED WPA3 및 Wi-Fi CERTIFIED Enhanced Open 같은 최신 고급 Wi-Fi 보안 기술을 지원하고 있어, 공용 환경에서 개인정보보호를 제공한다.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20 is connected to a wireless access device (AP) responsible for relaying data with the control server 200 through Wi-Fi HaLow. Based on the IEEE 802.11ah standard, Wi-Fi-Halo is an open standard technology that provides the connectivity range, data rate, penetration capability, and low power consumption expected in an IoT environment, and enables efficient installation and low-cost operation without the need for a dedicated controller, hub, or gateway. to be. In addition, Wi-Fi-Halo supports the latest advanced Wi-Fi security technologies such as OWE (Opportunistic Wireless Encryption)-based Wi-Fi CERTIFIED WPA3 and Wi-Fi CERTIFIED Enhanced Open, providing privacy in public environments.

제2 통신 모듈(120)은 와이파이-헤일로 통신을 지원하고 있어, 2km 정도의 통신 커버리지로 장거리 통신이 가능하고, 와이파이 메쉬 모드 적용으로 통신 음영 지역 해소 및 병목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20 supports WiFi-halo communication, enabling long-distance communication with a communication coverage of about 2 km, and solving communication shadow areas and bottlenecks by applying the WiFi mesh mode.

이러한 제2 통신 모듈(120)은 무선 접속 장치(AP)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웨이크업(wake up) 모드로 동작한다.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20 operates in a wake up mode capable of transmitting/receiving data to and from a wireless access device (AP).

센서 모듈(110)은 IoT 관리 허브 장치(100)의 내외부 온도와 습도를 감지한다. The sensor module 110 detects internal and external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

제어 모듈(140)은 관제 서버(200)와 사전에 협의된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제1 통신 모듈(130)을 통해 수신한 수신 데이터에 자신의 상태 정보를 결합한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2 통신 모듈(120)을 통해 관제 서버(200)로 송신하고, 관제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제1 통신 모듈(130)을 통해 해당 IoT 기기(10)로 전송한다.The control module 140 generates transmission data obtained by combining its own state information with the received data receiv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30 based on a communication protocol agreed upon in advance with the control server 200 to generate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I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200 through 120,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200 to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1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30.

제어 모듈(140)은 시스템 태스크, 디바이스 태스크, 지그비 태스크, 와이파이 태스크 등의 독립적인 태스크가 동시에 실행될 수 있는 멀티태스크 환경을 제공하고, 각 태스크들 사이에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실시간 운영 시스템(RTOS, Real Time Operating System)에서 제공되는 메시지 큐(Message Queue)를 사용한 통신 방법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The control module 140 provides a multi-task environment in which independent tasks such as system tasks, device tasks, ZigBee tasks, and Wi-Fi tasks can be simultaneously executed, and provides a real-time operating system (RTOS, Communication is performed using the message queue provided by the Real Time Operating System.

배터리(150)는 IoT 관리 허브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한다.The battery 150 provides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

디버그 포트(180)는 제어 모듈(140)에 대한 디버깅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JTAG(Joint Test Action Group)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The debug port 180 provides an interface for debugging the control module 140, and a Joint Test Action Group (JTAG) interface may be used.

버튼(170)에는 IoT 관리 허브 장치(100)의 전원 온/오프, 리셋,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 구비된다. The button 170 is provided to select power on/off, reset, and Wi-Fi Protected Setup (WPS) functions of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실시간 클록(160)은 제어 모듈(140)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데, 최저전력 절전 모드 상태에서도 시스템에서 시간(WCT) 정보를 정확하게 유지하고 예약된 이벤트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실시간 클록(160)은 초전력 모드의 제어모듈(140)과 함께 사용되어 다양한 작동 전압, 내부 메모리 기능, 배터리 수명 연장을 위한 저전력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The real-time clock 160 provides time information through an interface with the control module 140, and is used to accurately maintain time (WCT) information and manage scheduled events in the system even in the lowest power saving mode. In particular, the real-time clock 160 can be used together with the control module 140 in the super power mode to provide various operating voltages, internal memory functions, and low power options for extending battery life.

IoT 관리 허브 장치(100)는 자신의 통신 커버리지에 속한 IoT 기기(10)들의 경우에만 데이터 수집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고, 자신의 통신 커버리지에 속하지 않은 IoT 기기(10)들은 아무런 절차를 수행하지 않는다.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performs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functions only for IoT devices 10 belonging to its own communication coverage, and IoT devices 10 that do not belong to its own communication coverage do not perform any procedures. .

즉, IoT 기기(10)들은 자신의 통신 커버리지 내에서 검색되는 IoT 관리 허브 장치(100) 중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IoT 관리 허브 장치(100)에게 데이터를 보내고, IoT 관리 허브 장치(100)는 주변의 IoT 기기(10)들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들을 일정 시간 동안 수집한 후에 기 설정된 송신 주기(예를 들어, 3초 정도)마다 와이파이-헤일로 무선접속장치(AP)를 통해 관제 서버(200)로 전송한다. That is, the IoT devices 10 send data to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having the strongest signal strength among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s 100 found within their communication coverage, and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After collecting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surrounding IoT devices 10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y are sent to the control server 200 through the Wi-Fi-Halo wireless access device (AP) at every predetermined transmission period (eg, about 3 seconds). send.

일례로, IoT 기기(10)는 자신의 통신 커버리지 내에서 검색한 IoT 관리 허브 장치(100)들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값들을 측정하고, 측정된 RSSI 값들이 -55dBm, -80dBm, -35dBm일 경우에 -35dBm의 신호 세기를 갖는 IoT 관리 허브 장치(1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For example, the IoT device 10 measures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values of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s 100 searched within its own communication coverage, and the measured RSSI values are -55dBm, -80dBm, -35dBm In one case, a communication channel is formed with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having a signal strength of -35dBm.

지그비 네트워크에서 IoT 기기(10)를 기준으로 통신 커버리지 내 수신 신호 세기는 -35dBm ~-90dBm 정도의 범위를 가지므로, IoT 기기(10)와 IoT 관리 허브 장치(100) 간의 안정적인 통신 연결이 가능하도록 -90dBm을 초과하는 신호들은 잡음 신호로 판단하고, -35dBm 정도의 신호 세기가 강한 IoT 관리 허브 장치(100)를 최적의 무선 통신 채널로 결정함으로써 우수한 통신 성능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e ZigBee network,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within the communication coverage based on the IoT device 10 ranges from -35dBm to -90dBm, so that a stabl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IoT device 10 and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is possible. Signals exceeding -90dBm are determined as noise signals, and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having a strong signal strength of -35dBm is determined as an optimal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to ensure excellent communication performanc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관리 허브 장치의 데이터 포맷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관리 허브 장치의 데이터 패킷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format of an IoT management hub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diagram explaining a data packet structure of an IoT management hub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oT 관리 허브 장치(100)는 관제 서버(200)와 UDP(User Datagram Protocol) 방식으로 통신하고, IoT 기기(10)로부터 수신한 수신 데이터를 기 설정된 송신 주기(예를 들어, 5초)마다 관제 서버(200)로 송신한다.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server 200 in a User Datagram Protocol (UDP) method, and controls the received data received from the IoT device 10 at every preset transmission period (eg, 5 seconds). It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만일, IoT 관리 허브 장치(100)는 수신 데이터가 없더라도 전송 데이터 개수를 '0'으로 설정하여 송신 데이터를 관제 서버(200)로 전송한다. If there is no received data,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sets the number of transmission data to '0' and transmits the transmission data to the control server 200.

제어 모듈(140)은 수신 데이터에 비상상황 알림을 표시한 데이터값(예를 들어, 'SOS')이 설정된 경우에, 송신 주기와 상관없이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자마자 바로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여 관제 서버(200)로 송신한다. The control module 140 immediately generates transmission data as soon as it receives the reception data regardless of the transmission period when a data value indicat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eg, 'SOS') is set in the reception data, and the control server ( 20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모듈(140)은 IoT 기기(10)로부터 수신한 모든 수신 데이터(1번~n번)를 포함하여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고, 안전벨의 경우에 현재 설정된 모드(안전벨 모드/옹벽 모드)을 메모에 설정한다. 이때, IoT 기기(10)로부터 수신한 수신 데이터의 사이즈가 30~35바이트이고,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패킷 사이즈는 헤더 데이터(30바이트) + 수신 데이터(35바이트)×최대 접속자수(20)로 하여 최대 730 바이트 이하가 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5, the control module 140 generates transmission data including all received data (numbers 1 to n) received from the IoT device 10, and in the case of a safety bell, the currently set mode ( safety bell mode/retaining wall mode) in the memo.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received data received from the IoT device 10 is 30 to 35 bytes, and the data packet size of the transmission data is header data (30 bytes) + received data (35 bytes) × maximum number of users (20) It should be less than 730 bytes at maximum.

송신 데이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 데이터, IoT 관리 허브 장치의 식별 데이터(허브 ID), 전송 데이터 개수, 상태 데이터, IoT 기기(10)의 식별 데이터, IoT 기기(10)의 수신 데이터를 포함하고, 각 데이터 경계를 구분자를 이용하여 구분하는 데이터 패킷 구조로 생성된다. 여기서, 구분자는 대괄호([])를 이용하여 구분하며,각각의 사용자 데이터는 소괄호(())를 사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transmission data includes header data, identification data (hub ID) of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number of transmission data, state data, identification data of the IoT device 10, and received data of the IoT device 10. , and is generated in a data packet structure in which each data boundary is divided using a delimiter. Here, the delimiters are classified using square brackets ([]), and each user data can use parentheses (()).

IoT 기기(10)와 IoT 허브장치(100)는 노드 구분자(Node Identifier)를 사용하여 IoT 기기(10)인지, IoT 허브장치(100)인지를 구분한다. 예를 들어, IoT기기(#), IoT 허브 장치(*) 로 시작하는 구분자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각 IoT 기기(10) 간의 구분과 IoT 허브장치(100) 간의 구분 방식은 64 비트(bits)에 달하는 고유 시리얼번호(serial number)를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고유 시리얼 번호는 0x0013a200_41D85445의 값으로 표시될 수 있다.The IoT device 10 and the IoT hub device 100 distinguish whether they are the IoT device 10 or the IoT hub device 100 using a node identifier. For example, it can have a separator starting with IoT device (#) or IoT hub device (*). In addition, a method of distinguishing between each IoT device 10 and distinguishing between IoT hub devices 100 may use a unique serial number of up to 64 bits. For example, the unique serial number may be displayed as a value of 0x0013a200_41D85445.

송신 데이터의 상태 데이터는 IoT 관리 허브 장치(100)의 현재 온도 데이터, 습도 데이터, 배터리 잔량 데이터, 펌웨어 버전 정보를 포함한다. The state data of the transmission data includes current temperature data, humidity data, battery level data, and firmware version information of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

IoT 관리 허브 장치(100)로부터 송신 데이터를 전송받은 관제 서버(200)는 시간 정보와 함께 응답 메시지를 IoT 관리 허브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때, 관제 서버(200)에서 IoT 관리 허브 장치(100)로 전송하는 응답 데이터의 포맷은 헤더 시작, 응답 메시지, 구분자, 날짜 정보, 구분자, 시간 정보, 헤더 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ntrol server 200 receiving the transmission data from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together with time information to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At this time, the format of the response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server 200 to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may include header start, response message, separator, date information, separator, time information, and header end.

또한, 관제 서버(200)는 IoT 기기(10)의 설정 값을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 제어 신호를 IoT 관리 허브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 신호의 데이터 포맷은 헤더 시작, 응답 메시지, 구분자, 날짜 정보, 구분자, 시간 정보, 헤더 끝, IoT 기기의 설정값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server 2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when the setting value of the IoT device 10 needs to be changed. In this case, the data format of the control signal may include a header start, a response message, a delimiter, date information, a delimiter, time information, an end of the header, and a set value of the IoT devic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용 사물인터넷(IoT) 관리 허브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n Internet of Things (IoT) management hub device for a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IoT 관리 허브 장치(100)는 전원의 버튼이 온 동작되면 기 설정된 반경 내에서 IoT 기기(예를 들어, 안전벨)로부터 송신되는 감지 정보를 지그비 통신을 통해 수집한다(S11). Referring to FIG. 7 , when the power button is turned on,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collects sens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IoT devices (eg, safety bells) within a preset radius through ZigBee communication (S11 ).

IoT 관리 허브 장치(100)는 자신의 온도와 습도 상태를 감지하고,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하여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S12, S13).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detects its own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checks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and generates status information (S12 and S13).

IoT 관리 허브 장치(100)는 식별 정보, 수신 데이터(감지 정보), 온도/습도, 배터리 잔량, 펌웨어 버전 정보를 포함한 상태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 데이터를 생성한다(S14).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generates transmission data including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data (sensing information), temperature/humidity, remaining battery level, and firmware version information (S14).

IoT 관리 허브 장치(100)는 기 설정된 송신 주기마다 송신 데이터를 와이파이-헤일로 통신으로 관제 서버(200)로 전송한다(S15).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transmits transmission data to the control server 200 through Wi-Fi-Halo communication at each predetermined transmission period (S15).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용 사물인터넷(IoT) 관리 허브 장치의 초기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용 사물인터넷(IoT) 관리 허브 장치의 AP 접속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itial operation process of an Internet of Things (IoT) management hub device for a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Internet of Things (IoT) management for a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 chart explaining the AP access process of the hub device.

IoT 관리 허브 장치(100)는 와이파이-헤일로 통신을 지원하는 AP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Io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IoT 관리 허브 장치(100)가 AP에 접근하기 위해 SSID 검색, 선택, 보안키의 입력이 필요하다.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provides an IoT service by accessing the wireless Internet using an AP supporting Wi-Fi-Halo communication. Therefore, in order for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to access the AP, SSID search, selection, and security key input are required.

이를 위해, IoT 관리 허브 장치(100)는 대기중에 AP를 검색하고(S21), 검색된 AP에 접속을 시도한다(S22). IoT 관리 허브 장치(100)는 접속하고자 하는 타겟 AP에 어드레스 할당을 요청하고(S23), 관제 서버(200)와 통신을 위한 소켓 생성을 요청하여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S24). To this end,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searches for an AP while in standby (S21) and attempts to access the searched AP (S22).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requests address allocation from a target AP to be connected to (S23) and requests creation of a socket for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server 200 to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S24).

이렇게 하여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IoT 관리 허브 장치(100)는 지그비 통신을 통해 안전벨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관제 서버(200)로 송신하고(S25, S26), 관제 서버(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안전벨에 전송한다(S27). When the communication channel is formed in this way,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transmits the data received from the safety bell to the control server 200 through ZigBee communication (S25, S26), and receives the data from the control server 200 and transmits to the safety bell (S27).

이때, IoT 관리 허브 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입력 장치 없이도 관리자 단말을 통해 SSID와 보안키를 설정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에는 무선랜 AP 모드를 지원하는 무선랜 카드 여부 확인, 설정 파일 변경, 권한 설정 등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7 ,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may implement an application for setting an SSID and a security key through an administrator terminal without a separate display device and input device. At this time, the application may include functions such as checking whether a wireless LAN card supports the wireless LAN AP mode, changing a setting file, and setting authority.

이를 위해, IoT 관리 허브 장치(100)는 무선랜 AP 모드로 동작되고, 무선랜 AP 모드로 동작되는 IoT 관리 허브 장치(100)에 사전에 허가된 관리자 단말이 접속하게 된다. To this end,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is operated in a wireless LAN AP mode,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authorized in advance is connected to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operated in the wireless LAN AP mode.

IoT 관리 허브 장치(100)는 주변 AP를 검색하여 AP 리스트를 요청하고, AP 리스트 응답을 받게 되면 타겟 AP를 선택하고 보안키를 입력한다.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searches for nearby APs, requests an AP list, and upon receiving an AP list response, selects a target AP and inputs a security key.

관리자 단말과 IoT 관리 허브 장치(100)의 네트워크 커버리지는 거의 같기 때문에, 관리자 단말이 접속 가능한 AP 리스트와 IoT 관리 허브 장치(100)가 접속 가능한 AP 리스트는 거의 동일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 단말의 AP 리스트에 있는 특정 AP를 타겟 AP로 선택하여, SSID와 보안키를 IoT 관리 허브 장치(100)의 네트워크 설정(예를 들어, "jt_smart_ap(타겟 AP)","wpa2(WPA 설정)", "safety1234(보안키)")에 저장한다. 그 후에 원격이나 수동으로 IoT 관리 허브 장치(100)를 재부팅시키면, IoT 관리 허브 장치(100)는 무선랜 AP 모드가 종료되고, 네트워크 설정에 등록되어 있는 타겟 AP를 찾아 연결요청과 연결 응답 과정을 통해 접속을 완료할 수 있다. Since the network coverage of the manager terminal and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are almost the sam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AP list accessible to the manager terminal and the AP list accessible to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are substantially the same. Therefore, by selecting a specific AP in the AP list of the manager terminal as the target AP, the SSID and security key are entered into the network settings of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eg, "jt_smart_ap (target AP)", "wpa2 (WPA settings) )", "safety1234 (security key)"). After that, when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is rebooted remotely or manually,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terminates the wireless LAN AP mode, finds a target AP registered in the network settings, and performs a connection request and connection response process. You can complete the connection through

이와 같이, 관리자 단말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Wifi API를 활용하여 AP 리스트가 나열되고, AP 리스트에 있는 SSID를 클릭하면 URI 파싱을 통하여 WAS에서 실행되고 있는 페이지에 SSID 값이 고정으로 입력되고, 보안키를 입력하여 IoT 관리 허브 장치(100)와 타겟 AP를 연결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manager terminal utilizes the Wifi API through the application to list the AP list, click the SSID in the AP list, the SSID value is fixedly input to the page running in the WAS through URI parsing, and the security key is entered. By inputting it,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and the target AP can be connected.

따라서, IoT 관리 허브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입력 장치가 필요없어져 소형화 및 저가격화가 가능해질 수 있고, 관리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해 편리하게 AP 접속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100 has the advantage that a display device and an input device are not required, so that miniaturization and low price can be achieved, and a manager can conveniently access an AP using his/her terminal.

한편, 도 7 내지 도 9의 각 단계들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Meanwhile, each step of FIGS. 7 to 9 may be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some steps may be omitted if necessary, and the order of steps may be chang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program modules executed by a computer. Such recording media includes computer readable media, which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Computer readable media also includes computer storage media,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 including both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IoT 관리 허브 장치
110 : 센서 모듈
120 : 제2 통신 모듈
130 : 제1 통신 모듈
140 : 제어 모듈
150 : 배터리
160 : 실시간 클록
170 : 버튼
180 : 디버그 포트
100: IoT management hub device
110: sensor module
120: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30: first communication module
140: control module
150: battery
160: real time clock
170: button
180: debug port

Claims (6)

건설 현장 내 사물인터넷(IoT) 기기를 관리하고, 원격의 관제 서버와의 인터넷 네트워킹을 수행하는 건설현장용 사물인터넷(IoT) 관리 허브 장치에 있어서,
지그비, 지-웨이브, 블루투스 중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사물 인터넷망을 통해 IoT 기기와 연결되는 제1 통신 모듈;
와이파이-헤일로(Wi-Fi HaLow)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와의 데이터 중계를 담당하는 무선접속장치와 연결되는 제2 통신 모듈;
IoT 관리 허브 장치의 내외부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
상기 관제 서버와 사전에 협의된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한 수신 데이터에 자신의 상태 데이터를 결합한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송신주기마다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관제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관제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IoT 기기로 전송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IoT 관리 허브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사전에 허가된 관리자 단말이 네트워크 설정 권한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상기 IoT 관리 허브 장치가 무선랜 AP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의 AP 리스트에 있는 특정 AP를 타겟 AP로 선택하고, 상기 타겟 AP에 대한 SSID와 보안키를 네트워크 설정으로 저장하고,
상기 IoT 관리 허브 장치가 재부팅되어 상기 무선랜 AP 모드가 종료되고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상기 AP 리스트의 상기 타겟 AP가 선택되면, 상기 네트워크 설정에 저장된 상기 타겟 AP에 대한 SSID와 보안키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AP로 연결요청 및 상기 연결요청에 대한 연결응답을 수행하여 상기 IoT 관리 허브 장치와 상기 타겟 AP가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용 사물인터넷(IoT) 관리 허브 장치.
In the Internet of Things (IoT) management hub device for a construction site that manages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in a construction site and performs Internet networking with a remote control server,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an IoT device through an IoT network using any one of ZigBee, Z-Wave, and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a wireless access device responsible for relaying data with the control server through Wi-Fi HaLow;
A sensor module that detects the internal and external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Based on a communication protocol negotiated in advance with the control server, transmission data obtained by combining state data with received data receiv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is generated, and control is performed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at each predetermined transmission period. A control module for transmitting to a server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to a corresponding IoT devic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Including; a battery that provides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The control module,
A pre-approved manager terminal stores an application for performing network setting authority, controls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to operate in a wireless LAN AP mode, and connects to the manager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so that the manager Selecting a specific AP in the AP list of the terminal as a target AP, storing the SSID and security key for the target AP as network settings,
When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is rebooted and the wireless LAN AP mode is terminated and the target AP of the AP list is selected in the manager terminal, the SSID and security key for the target AP stored in the network settings are used to determine the target AP. An Internet of Things (IoT) management hub device for a construction site, characterized in that by performing a connection request to an AP and a connection response to the connection request, so that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and the target AP are conn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에 대한 디버깅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버그 포트;
상기 IoT 관리 허브 장치의 전원 온/오프, 리셋,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 구비되는 버튼; 및
상기 제어 모듈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간 클록(Real-Time Clock, RTC)을 더 포함하는 것인, 건설현장용 사물인터넷(IoT) 관리 허브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debug port providing an interface for debugging the control module;
a button provided to select power on/off, reset, and WPS (Wi-Fi Protected Setup) functions of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and
A real-time clock (Real-Time Clock, RTC) providing time information through an interface with the control module, further comprising an Internet of Things (IoT) management hub device for a construction si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데이터는,
헤더 데이터, 상기 IoT 관리 허브 장치의 식별 데이터, 전송 데이터 개수, 상태 데이터, IoT 기기의 식별 데이터, IoT 기기의 수신 데이터를 포함하고, 각 데이터 경계를 구분자를 이용하여 구분하는 데이터 패킷 구조로 생성되는 것인, 건설현장용 사물인터넷(IoT) 관리 허브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mission data is
It includes header data, identification data of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the number of transmitted data, state data, identification data of IoT devices, and received data of IoT devices, and is generated in a data packet structure that distinguishes each data boundary using a separator. It is an Internet of Things (IoT) management hub device for construction si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데이터는,
상기 IoT 관리 허브 장치의 현재 온도 데이터, 습도 데이터, 배터리 잔량 데이터, 펌웨어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건설현장용 사물인터넷(IoT) 관리 허브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tate data is
An Internet of Things (IoT) management hub device for a construction site, including current temperature data, humidity data, battery remaining amount data, and firmware version information of the IoT management hub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수신 데이터에 비상상황 알림을 표시한 데이터값이 설정된 경우에, 상기 송신 주기와 상관없이 상기 수신 데이터를 수신한 시점에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관제 서버로 송신하는 것인, 건설현장용 사물인터넷(IoT) 관리 허브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module,
When a data value indicat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is set in the received data, the Internet of Things (IoT) for a construction site, generating transmission data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received data regardless of the transmission period and transmitting it to the control server ( IoT) management hub device.
삭제delete
KR1020210116332A 2021-09-01 2021-09-01 IoT management hub apparatus for construction sites KR1024704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332A KR102470494B1 (en) 2021-09-01 2021-09-01 IoT management hub apparatus for construction sit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332A KR102470494B1 (en) 2021-09-01 2021-09-01 IoT management hub apparatus for construction sit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494B1 true KR102470494B1 (en) 2022-11-28

Family

ID=84236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332A KR102470494B1 (en) 2021-09-01 2021-09-01 IoT management hub apparatus for construction sit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494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752A (en) * 2005-10-04 2007-04-09 (주)인와이저 Data communication protocol of multi-guardian service system
KR20080036268A (en) * 2006-10-23 2008-04-28 (주) 엘지텔레콤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peater using service zon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zone setting device built-in type repeater
JP2013172179A (en) * 2012-02-17 2013-09-02 Kddi Corp Gateway, sensor network system, and sensor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648012B1 (en) * 2015-12-03 2016-08-12 (주)에이스콘트롤스 The apparatus of smart internet of things with embeded module
KR20190093390A (en) * 2018-02-01 2019-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air-conditioner system
JP6845536B1 (en) * 2020-10-19 2021-03-17 株式会社エムエスピー Temperature / humidity monitoring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752A (en) * 2005-10-04 2007-04-09 (주)인와이저 Data communication protocol of multi-guardian service system
KR20080036268A (en) * 2006-10-23 2008-04-28 (주) 엘지텔레콤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peater using service zon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zone setting device built-in type repeater
JP2013172179A (en) * 2012-02-17 2013-09-02 Kddi Corp Gateway, sensor network system, and sensor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648012B1 (en) * 2015-12-03 2016-08-12 (주)에이스콘트롤스 The apparatus of smart internet of things with embeded module
KR20190093390A (en) * 2018-02-01 2019-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air-conditioner system
JP6845536B1 (en) * 2020-10-19 2021-03-17 株式会社エムエスピー Temperature / humidity monitor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38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location for a de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CN107431889B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low energy links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US10440595B2 (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verage hole detec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9813873B2 (en) Mobile device tracking prevention method and system
Rawat et al. Towards efficient disaster management: 5G and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KR10116965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rvicing authentication by using portable device and authentication service system thereof, recordable medium which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is recorded
US20140187143A1 (en) Wireless Sensor Network
CA3054563A1 (en) Detecting an intruder's wireless device during a break in to a premises
KR101421170B1 (en) Real time location system by using the tag node based on wi-fi
JP6114813B1 (en)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WO2016123491A1 (en) Route determination using neighbor awareness network devices
Spadacini et al. Wireless home automation networks for indoor surveillance: technologies and experiments
KR102428896B1 (en) System for smart safety management system of construction sites
CN113940100B (en) Position tracking service providing method based on position tracker condi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CN112866909B (en) Device interaction method, system,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2470494B1 (en) IoT management hub apparatus for construction sites
KR101276989B1 (en) A method for alarming using mobile terminal and wireless tag and an alarm system using it
CN112470197B (en) Method for providing low power IoT communication based geofencing services based on context aware information of location tracking devices
JP7127162B2 (en) Mobile terminal region monitoring control method, stay situation monitoring method and stay situation monitoring system
WO2015100743A1 (en) Network device discovery method, network device and network device discovery system
KR101512745B1 (en) Plug and play sensor network system using peer-to-peer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service using the system
KR10086274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ir interface quality based on oma dm
CN110557271B (en) Information interaction method and terminal
CN113804073A (en) Safety management and signal interference prevention system for electronic detonator detonation region and control method
KR101320424B1 (en) Wireless consol device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