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377B1 - 개인 몰입형 기기의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개인 몰입형 기기의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377B1
KR102470377B1 KR1020150191800A KR20150191800A KR102470377B1 KR 102470377 B1 KR102470377 B1 KR 102470377B1 KR 1020150191800 A KR1020150191800 A KR 1020150191800A KR 20150191800 A KR20150191800 A KR 20150191800A KR 102470377 B1 KR102470377 B1 KR 102470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pixels
unit
display panel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0348A (ko
Inventor
정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91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377B1/ko
Priority to US15/283,225 priority patent/US10205934B2/en
Priority to CN201610937108.2A priority patent/CN106959511B/zh
Priority to EP16202877.3A priority patent/EP3188167B1/en
Priority to JP2016242818A priority patent/JP6437991B2/ja
Priority to TW105143675A priority patent/TWI621879B/zh
Publication of KR20170080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4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with head-mounted left-right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5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24Colour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9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spati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04Matrix technolog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14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used for selection purposes, e.g. logical AND for partial upda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5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being a dynamic memory with more than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61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with additional control of the display period without amending the charge stored in a pixel memory, e.g. by means of additional select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2013/0074Stereoscopic image analysis
    • H04N2013/0077Colour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몰입형 기기의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좌안 입력 영상이 표시되는 제1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표시패널, 우안 입력 영상이 표시되는 제2 OLED 표시패널, 및 제1 및 제2 OLED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표시패널 구동회로를 구비한다. 제1 OLED 표시패널의 화소 어레이의 각 단위화소는 적색 부화소(R), 녹색 부화소(G) 및 청색 부화소(B) 중 2개의 부화소를 포함하며, 서로 인접한 단위화소 중 제1-1 단위화소는 상기 제1-1 단위화소에 인접한 제1-2 단위화소가 포함하는 부화소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부화소와 상기 제1-2 단위화소가 포함하지 않은 부화소를 포함한다. 제2 OLED 표시패널의 화소 어레이의 각 단위화소는 상기 R, G, B 중 2개의 부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1-1 단위화소에 대응하는 제2-1 단위화소와 상기 제1-2 단위화소에 대응하는 제2-2 단위화소를 포함한다. 제1-1 단위화소는 상기 제2-2 단위화소와 동일한 부화소 배열을 갖고, 상기 제1-2 단위화소는 상기 제2-1 단위화소와 동일한 부화소 배열을 갖는다.

Description

개인 몰입형 기기의 표시장치{DISPLAY DEVICE FOR PERSONAL IMMERSION APPARATUS}
본 발명은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또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을 구현하는 개인 몰입형 장치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상 현실 또는 증강 현실 기술(이하, 간단히 “가상 현실”이라 함)은 국방, 건축, 관광, 영화, 멀티미디어, 게임 분야 등에 적용되고 있다. 가상 현실은 입체 영상 기술을 이용하여 실제 환경과 유사하게 느껴지는 특정한 환경, 상황을 의미한다.
가상 현실의 몰입감을 극대하기 위하여, 개인 몰입형 장치에 가상 현실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개인 몰입형 장치로는 HMD(Head Mounted Display), FMD(Face Mounted Display), EGD(Eye Glasses-type Display) 등이 알려져 있다.
개인 몰입형 장치는 일반적으로 얼굴 또는 머리에 착용하는 방식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화면과 눈 사이의 거리가 매우 가깝다. 이러한 이유로 개인 몰입형 장치는 자발광을 이용하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구현하고 있다. 또한, 화소구조도 종래의 적색 부화소(R), 녹색 부화소(G), 청색 부화소(B)의 3개의 부화소로 단위화소를 구성하던 방식 대신, 4개의 부화소(예를 들면, R, G, B, G)로 2개의 단위화소를 구성하는 펜타일 매트릭스(pen tile matrix)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펜타일 매트릭스 방식의 화소구조가 개인 몰입형 장치에 적용될 경우, 좌안 입력이 표시되는 제1 OLED 표시패널과 우안 입력이 표시되는 제2 OLED 표시패널에 특정 색을 구현할 때 4개의 단위화소 중 일부 화소에는 그 특정 색이 표현되지 않아 각 색상의 접적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이러한 현상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개인형 몰입형 기기에 적용되는 화소 어레이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좌안 영상이 입력되는 제1 OLED 표시패널의 화소 어레이에서 제1 행은 RBGB의 순으로 배열되고, 제2 행은 GBRB의 순으로 배열된다. 또한, 우안 영상이 입력되는 제2 OLED 표시패널 화소 어레이에서 제1 행은 제1 OLED 표시패널의 화소 어레이의 제1 행과 동일하게 RBGB의 순으로 배열되고, 제2 행은 제1 OLED 표시패널의 화소 어레이의 제1 행과 동일하게 GBRB의 순으로 배열된다.
이에 따라, 인간의 좌안을 통해 입력된 좌안 영상과 우안을 통해 입력된 우안 영상은 뇌에서 결합되어, 제1 행의 서로 인접한 2개의 단위화소는 RBGB로 인식되고, 제2 행의 서로 인접한 2개의 단위화소는 GBRB로 인식된다.
따라서, 4개의 단위화소에서 인식되는 색상은 2개의 적색, 2개의 녹색, 2개의 청색으로 되어 4개의 단위화소에서 인식되는 각 색상은 1/2로 된다.
따라서, 종래의 몰입형 장치에서는 화면과 눈 사이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화면에 표시되는 색상의 집적도가 저하되어 인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입력 영상의 색상을 집적도의 저하없이 인식할 수 있는 개인 몰입형 기기의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몰입형 기기의 표시장치는, 좌안 입력 영상이 표시되는 제1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표시패널, 좌안 입력 영상과 결합하여 입체 영상을 구현하는 우안 입력 영상이 표시되는 제2 OLED 표시패널, 및 상기 제1 및 제2 OLED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표시패널 구동회로를 구비한다. 제1 OLED 표시패널의 화소 어레이의 각 단위화소는 적색 부화소(R), 녹색 부화소(G) 및 청색 부화소(B) 중 2개의 부화소를 포함하며, 서로 인접한 단위화소 중 제1-1 단위화소는 상기 제1-1 단위화소에 인접한 제1-2 단위화소가 포함하는 부화소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부화소와 상기 제1-2 단위화소가 포함하지 않은 부화소를 포함한다. 제2 OLED 표시패널의 화소 어레이의 각 단위화소는 상기 R, G, B 중 2개의 부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1-1 단위화소에 대응하는 제2-1 단위화소와 상기 제1-2 단위화소에 대응하는 제2-2 단위화소를 포함한다. 제1-1 단위화소는 상기 제2-2 단위화소와 동일한 부화소 배열을 갖고, 상기 제1-2 단위화소는 상기 제2-1 단위화소와 동일한 부화소 배열을 갖는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제1-1 단위화소는 R, B의 배열을 가지며, 상기 제1-2 단위화소는 G, B의 배열을 갖고, 상기 제2-1 단위화소는 G, B의 배열을 가지며, 상기 제2-2 단위화소는 R, B의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1 단위화소는 G, B의 배열을 가지며, 상기 제1-2 단위화소는 R, B의 배열을 갖고, 상기 제2-1 단위화소는 R, B의 배열을 가지며, 상기 제2-2 단위화소는 G, B의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1 단위화소는 G, R의 배열을 가지며, 상기 제1-2 단위화소는 B, R의 배열을 갖고, 상기 제2-1 단위화소는 B, R의 배열을 가지며, 상기 제2-2 단위화소는 G, R의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몰입형 기기의 표시장치는, 제1 영상이 표시되는 제1 화소 어레이, 제2 영상이 표시되는 제2 화소 어레이, 및 상기 제1 및 제2 화소 어레이들을 구동하는 구동회로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화소 어레이의 각 단위화소는 적색 부화소(R), 녹색 부화소(G) 및 청색 부화소(B) 중 적어도 두개의 부화소를 포함하고, 제1 화소 어레이의 단위화소들의 배열과 제2 화소 어레이의 단위화소들의 배열은 서로 거울상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개인 몰입형 기기의 표시장치의 화소 어레이 구조들에 의하면, 제1 표시패널과 제2 표시패널의 각 단위화소는 각 단위화소에 부족한 색상이 인접한 단위화소에 배치되고, 좌안영상의 단위화소 색상과 우안영상의 단위화소의 색상이 다르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이 결합하였을 때 각 단위화소에 모든 색상이 표시되어 표시장치의 해상도를 유지하면서 색상의 집적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개인형 몰입형 기기에 적용되는 화소 어레이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몰입형 기기를 보여 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제1 및 제2 표시패널을 보여 주는 도면,
도 4은 도 2에 도시된 제1 및 제2 표시패널 간의 거리를 보여 주는 도면,
도 5는 n 타입 MOSFET와 p 타입 MOSFET의 응답 속도를 보여 주는 그래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표시패널의 구성을 보여 주는 블록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픽셀 어레이의 일부를 간략하게 보여 주는 도면,
도 8은 픽셀 회로의 일 예를 보여 주는 등가 회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픽셀에 입력되는 신호들을 보여 주는 파형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셀 회로의 듀티 구동 방법을 보여 주는 파형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셀 회로의 듀티 구동 방법에서 BDI 효과를 보여 주는 도면,
도 12는 1 프레임 기간 내에서 추가적인 데이터 어드레싱 없이 픽셀에서 데이터가 유지되는 원리를 보여 주는 도면,
도 13a는 본 발명의 개인 몰입형 기기의 표시장치의 제1 표시패널(PNL1)과 제2 표시패널(PNLL2)의 화소 어레이들의 제1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b는 도 13a의 화소어레이에 따라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이 뇌에서 합성되어 인식되는 색상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
도 14a는 본 발명의 개인 몰입형 기기의 표시장치의 제1 표시패널(PNL1)과 제2 표시패널(PNLL2)의 화소 어레이들의 제2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b는 도 14a의 화소어레이에 따라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이 뇌에서 합성되어 인식되는 색상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
도 15a는 본 발명의 개인 몰입형 기기의 표시장치의 제1 표시패널(PNL1)과 제2 표시패널(PNLL2)의 화소 어레이들의 제3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b는 도 15a의 화소어레이에 따라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이 뇌에서 합성되어 인식되는 색상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개인 몰입형 기기는 렌즈 모듈(12), 디스플레이 모듈(13), 메인 보드(14), 헤드 기어(11), 사이드 프레임(side frame)(15), 프론트 커버(front cover)(16)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3)은 두 개의 표시패널들 각각을 구동하기 위한 표시패널 구동회로를 포함하여 메인 보드(14)로부터 수신된 입력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패널들은 사용자의 좌안으로 보이는 제1 표시패널과, 사용자의 우안으로 보이는 제2 표시패널로 분리된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메인 보드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패널들에 표시한다. 영상 데이터는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또는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의 비디오 이미지를 구현하는 2D/3D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3)은 메인 보드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정보를 텍스트, 기호 등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렌즈 모듈(12)은 사용자의 좌우안 화각을 넓히기 위한 초광각 렌즈 즉, 한 쌍의 어안 렌즈(Fisheye Lens)를 포함한다. 한 쌍의 어안 렌즈는 제1 표시패널 앞에 배치된 좌안 렌즈와, 제2 표시패널 앞에 배치된 우안 렌즈를 포함한다.
메인 보드(14)는 가상 현실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고 좌안 입력 영상과 우안 입력 영상을 디스플레이 모듈(13)에 공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메인 보드(14)는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모듈, 센서 모듈 등을 더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모듈은 Universal serial bus(USB),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기기와 연결된다. 센서 모듈은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포함한다. 메인 보드(14)의 프로세서는 센서 모듈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좌안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고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수신된 입력 영상의 좌안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13)로 전송한다. 프로세서는 2D 영상의 뎁쓰(depth) 정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표시패널의 해상도에 맞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3)로 전송할 수 있다.
헤드 기어(11)는 어안 렌즈들을 노출하는 백 커버(back cover), 백 커버에 연결된 밴드(band)를 포함한다. 헤드 기어(11)의 백 커버, 사이드 프레임(15) 및 프론트 커버(16)는 조립되어 개인 몰입형 기기의 구성 요소들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확보하고 그 구성 요소들을 보호한다. 구성 요소들은 렌즈 모듈(12), 디스플레이 모듈(13), 및 메인 보드(14)을 포함한다. 밴드는 백 커버에 연결된다. 사용자는 밴드로 자신의 머리에 개인 몰입형 기기를 착용한다. 사용자가 개인 몰입형 기기를 자신의 머리에 쓰면, 어안 렌즈들을 통해 좌안과 우안으로 서로 다른 표시패널을 바라 보게 된다.
사이드 프레임(15)은 헤드 기어(11)와 프론트 커버(16) 사이에 고정되어 렌즈 모듈(12), 디스플레이 모듈(13), 메인 보드(14)가 배치된 내부 공간의 갭(gap)을 확보한다. 프론트 커버(16)는 개인 몰입형 기기의 전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개인 몰입형 기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HMD(head mounted display)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나 도 2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안경 구조의 EGD(Eye Glasses-type Display)로 설계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13)에서 제1 및 제2 표시패널들(PNL1, PNL2)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및 제2 표시패널들(PNL1, PNL2) 간의 거리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제1 및 제2 표시패널들(PNL1, PNL2) 각각은 응답속도가 빠르고 색재현 특성이 우수하며 광시야각 특성을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라 함) 표시패널로 구현된다. EGD의 경우에, 표시패널들(PNL1, PNL2)은 투명 OLED 표시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표시패널(PNL1, PNL2)은 별도로 제작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3) 상에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1 및 제2 표시패널들(PNL1, PNL2) 사이에는 표시패널 구동회로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서 DIC(Drive Integrated Circuit)는 도 6에 도시된 타이밍 콘트롤러(timing controller)와 데이터 구동부가 집적된 IC 칩이다. GIP(Gate In Panel)는 도 6에 도시된 게이트 구동부와 EM 구동부가 화소 어레이(Pixel array)와 함께 동일 기판 상에 집적된 회로이다.
제1 표시패널(PNL1)의 화소 어레이 중심과 제2 표시패널(PNL2)의 화소 어레이 중심은 사용자의 양안간 거리(Le)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1 표시패널(PNL1)의 화소 어레이 중심과 제2 표시패널(PNL2)의 화소 어레이 중심 간의 거리(Lp)는 Le ± α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양안간 거리(Le)는 좌안 눈동자와 우안 눈동자 사이의 거리로서 대략 6.5cm 이고, 개인 차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α는 제1 표시패널(PNL1)과 제2 표시패널(PNL2)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패널 구동 회로 부분, 공정 편차 등을 고려한 설계 마진(margin)으로서, Le의 10%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표시패널(PNL1, PNL2) 각각의 화소 어레이(AA)는 상하 시야각과 좌우 시야각을 고려하여 가로 방향(x)의 길이가 세로 방향(y)의 길이 보다 긴 랜드스케이프(landscape) 타입의 화면 비율을 갖는다. 개인 몰입형 기기에서, 상하 시야각 보다 좌우 시야각을 넓힐 때 시야각 개선 효과가 크다. 본 발명은 개인 몰입형 기기에서 좌우 시야각을 최대로 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표시패널들(PNL1, PNL2) 각각을 랜드스케이프(landscape) 타입의 OLED 표시패널로 제작한다.
랜드스케이프 타입의 화면비율은 가로 방향(x)의 화소 개수가 세로 방향(y)의 화소 개수 보다 많고, 가로 방향(x)의 길이가 세로 방향(y)의 길이 보다 길다. 한편, 포트레이트(portrait) 타입의 화면비율은 세로 방향(y)의 화소 개수가 가로 방향(x)의 화소 개수 보다 많고, 세로 방향(y)의 길이가 가로 방향(x)의 길이 보다 길다.
본원 발명자들은 개인 몰입형 기기에서 다양한 표시패널들을 바꿔가면서 사용자가 느끼는 입체감, 몰입감, 피로감 등을 비교 실험하였다. 이 실험 결과에 의하면, 도 3과 같이 사용자의 양안간 거리만큼 이격된 표시패널들(PNL1, PNL2)의 화소 어레이가 분리될 때 사용자가 느끼는 입체감 개선 효과가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시패널들(PNL1, PNL2)의 화소 어레이들이 분리되고 그 화소 어레이들의 중심간 거리가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일치될 때 시야각이 넓고 입체감 개선 효과가 크다. 또한, 포트레이트 타입의 화면 비율에 비하여 랜드스케이프 타입의 화면 비율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입체감이 더 우수하다. 본 발명은 개인 몰입형 기기에 랜드스케이프 타입의 좌안용 표시패널과 우안용 표시패널을 분리 배치함으로써 입체감을 높일 수 있다.
제1 및 제2 표시패널(PNL1, PNL2)은 별도의 기판 상에 제작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3) 상에 분리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및 제2 표시패널(PNL1, PNL2)은 동일 기판 상에서 분리된 화소 어레이들(AA)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표시패널(PNL1)은 좌안 영상이 표시되는 제1 화소 어레이(AA)와 같은 의미이고, 제2 표시패널(PNL2)는 우안 영상이 표시되는 제2 화소 어레이(AA)와 같은 의미이다.
개인 몰입형 기기에서, 사용자의 눈과 표시패널 사이에 어안 렌즈(LENS)가 존재하고, 사용자의 눈과 표시패널 사이의 거리는 수 Cm 정도로 매우 짧다. 사용자가 어안 렌즈를 통해 표시패널들(PNL1, PNL2) 상에서 재현된 영상을 보면, 표시패널들(PNL1, PNL2)에서 표시되는 실제 화면보다 4~5 배 확대된 영상을 보게 된다. 이러한 근접 시인과 어안 렌즈 적용 환경에서 표시패널의 해상도가 낮으면 화소들의 비발광 영역이 확대되어 스크린 도어 효과(Screen Door Effect)가 강하게 인지되어 몰입감을 떨어뜨린다. 개인 몰입형 기기의 몰입감을 높이기 위하여 제1 및 제2 표시패널들(PNL1, PNL2) 각각의 화소 어레이는 QHD(1440ⅹ1280) 이상의 해상도와 500 ppi(pixels per inch) 이상의 화소 밀도를 가지며, 14% 이상의 화소 개구율을 갖는다. 1440ⅹ1280에서, 1440은 화소 어레이에서 가로 방향(x)의 화소 개수이고, 1280은 세로 방향(y)의 화소 개수이다. 양산 가능한 OLED 표시패널의 기술 수준을 고려할 때 500 ppi ~ 600 ppi의 화소 밀도와 14%~20%의 화소 개구율이 될 수 있다.
개인 몰입형 기기에서 3D 동영상을 표시할 때 총 지연 시간(Total Latency)이 길어지면 화면 끌림이나 모션 블러(Motion blur)가 인지될 수 있다. 3D 동영상의 화면 끌림이나 모션 블러는 영상 품질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사용자의 피로감을 크게 한다. 총 지연 시간은 메인 보드(14)에서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3)로 전송하기까지 소요되는 시스템 처리 시간(system processing time)과, 디스플레이 모듈(13)의 지연 시간(display time)을 더한 시간이다. 디스플레임 모듈(13)의 지연 시간은 입력 영상이 1 프레임 기간 동안 지연되는 프레임 지연 시간(frame delay time)과, 화소의 응답속도(response)를 합한 시간이다.
본 발명은 화소의 응답 속도를 줄이고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또는 refresh rate)를 높여 개인 몰입형 기기에서 3D 동영상을 표시할 때 사용자의 피로감을 줄인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표시패널들(PNL1, PNL2) 각각에서 화소의 스위치 소자 및 구동 소자를 n 타입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로 제작하여 화소 회로의 응답 속도를 2ms 이내로 빠르게 하고, 프레임 레이트를 90Hz 이상으로 높여 데이터 업데이트(data update) 주기를 빠르게 한다. 프레임 레이트가 90Hz 이면 데이터 업데이트 주기인 1 프레임 기간은 대략 11.1ms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인 몰입형 기기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3)의 지연 시간을 대략 13 ms 수준으로 줄여 총 지연 시간을 25 ms 이하로 줄일 수 있다. 데이터 업데이터 주기로 입력 영상의 데이터가 화소들에 어드레싱(addressing)된다.
도 5는 n 타입 MOSFET와 p 타입 MOSFET의 응답 속도를 보여 주는 그래프이다. 도 5에서, 4T2C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개의 n 타입 MOSFET 구조의 트랜지스터들과 2 개의 커패시터들을 포함한 화소 회로의 응답 시간이다. 6T1C는 6 개의 p 타입 MOSFET 구조의 트랜지스터들과 1 개의 커패시터를 포함한 화소 회로(도시하지 않음)의 응답 시간이다. 도 5에서, A, B, C는 적용 모델을 구분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60Hz의 프레임 레이트에서 n 타입 MOSFET를 적용한 화소 회로는 2 ms 이내에 화소의 휘도를 목표 휘도(% Lum)의 90% 이상으로 빠르게 상승시킨다. 따라서, n 타입 MOSFET를 적용한 화소 회로는 1 프레임 기간(약 16.67ms) 보다 훨씬 짧은 2 ms 이내의 응답 시간을 갖는다. 이에 비하여, 60Hz의 프레임 레이트에서 p 타입 MOSFET를 적용한 화소 회로는 화소의 휘도를 3 프레임 기간(약 3 x 16.67ms)이 경과된 후에 목표 휘도의 90% 이상의 휘도로 상승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응답 속도가 3 프레임 기간 이상이다.
본 발명은 표시패널들(PNL1, PNL2) 각각을 듀티 구동하여 개인 몰입형 기기에서 3D 동영상을 표시할 때 화소들의 듀티비를 50% 이하로 제어함으로써 BDI(Black Data Insertion) 효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로도를 더 줄일 수 있다. 화소들의 듀티비(%)는 주어진 발광 시간에서 발광하는 시간의 비율이다. 예를 들어, 주어진 발광 시간이 1 프레임 기간이라 할 때, 화소들이 듀티비 50% 이하로 발광한다는 것은 1 프레임 기간의 1/2 이하의 시간 동안 발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화소들의 듀티 구동은 BDI 효과를 이용하여 모션 블러(motion blur) 개선과 이미지 유지 시간 감소(Low persistence)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고, 잔상과 플리커(flcker)를 방지하고 저계조에서 화소의 전류양을 줄임으로써 3D 동영상에서 사용자의 피로도를 줄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표시패널의 구성을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화소 어레이의 일부를 간략하게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8은 화소 회로의 일 예를 보여 주는 등가 회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화소에 입력되는 신호들을 보여 주는 파형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들(PNL1, PNL2) 각각은 입력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 어레이(AA)와, 화소 어레이(AA)에 입력 영상의 데이터를 기입하기 위한 표시패널 구동회로를 구비한다. 표시패널 구동회로는 데이터 구동부(102), 게이트 구동부(104), EM 구동부(106), 및 타이밍 콘트롤러(110)를 포함한다. 또한, 표시패널 구동 회로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 회로를 포함한다. 전원 회로는 데이터 구동부(102), 게이트 구동부(104), EM 구동부(106), 타이밍 콘트롤러(110) 및 표시패널(PNL1, PNL2)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들을 발생한다. 표시패널 구동회로(102, 104, 106, 11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표시패널들(PNL1, PNL2)에서 공유될 수 있다. 표시패널 구동회로(102, 104, 106, 110)는 90Hz 이상의 높은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표시패널들(PNL1, PNL2)의 화소들(10)에 데이터를 어드레싱하여 그 화소들에 데이터를 기입한다.
화소 어레이(AA)에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11)과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12a, 12b, 12c)이 교차되고, 화소들(10)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화소 어레이(AA)는 화소들(10)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기준 전압 라인(이하 “REF 라인”이라 함)(16), 고전위 구동 전압(VDD)을 화소들(10)에 공급하는 VDD 라인(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REF 라인(16)을 통해 화소들(10)에 소정의 초기화 전압(Vini)이 공급될 수 있다.
게이트 라인들(12a, 12b, 12c)은 제1 스캔 펄스(SCAN1)가 공급되는 다수의 제1 스캔 라인들(12a)과, 제2 스캔 펄스(SCAN2)가 공급되는 다수의 제2 스캔 라인들(12b)과, EM(Emission) 신호(EM)가 공급되는 다수의 EM 신호 라인들(12c)을 포함한다.
화소들(10) 각각은 컬러 구현을 위하여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로 나뉘어진다. 화소들(10) 각각은 백색 부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소들 각각에 하나의 데이터 라인(11), 게이트 라인들(12a, 12b, 12c), REF 라인(16), VDD 라인 등의 배선이 연결된다.
1 프레임 기간은 화소들에 데이터가 어드레싱되어 화소들 각각에 입력 영상의 데이터가 기입되는 스캐닝 기간과, 스캐닝 기간 이후 교류 EM 신호(EM)에 따라 미리 설정된 듀티비(duty ratio)로 화소들이 발광하는 듀티 구동 기간으로 나뉘어진다. 교류 EM 신호(EM)는 듀티 구동 기간 동안 50% 이하의 듀티비로 발생되어 화소들을 50% 이하의 듀티비로 발광시킨다. 스캐닝 기간은 대략 1 수평 기간에 불과하므로 1 프레임 기간의 대부분이 듀티 구동 기간이다. 화소들(10)은 스캐닝 기간에 데이터 전압을 캐패시터(capacitor)에 충전한다. 화소들(10)은 교류 EM 신호(EM)에 따라 발광(또는 점등)과 비발광(또는 소등)을 반복한다. 화소들(10) 각각은 1 프레임 기간 내에서 점등과 소등을 반복하여 50% 이하의 듀티비로 발광하여 온/오프(On/Off)를 반복한다. 화소들(10)은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으로 소등 후 발광함으로써 스캐닝 기간 이후 듀티 구동 기간 동안 추가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 받지 않고 50% 이하의 듀티비로 구동되어 1 프레임 기간 동안 동일한 휘도로 데이터를 표시한다.
데이터 구동부(102)는 타이밍 콘트롤러(110)로부터 수신된 입력 영상의 데이터(DATA)를 타이밍 콘트롤러(110)의 제어 하에 감마 보상 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 전압을 발생하고, 그 데이터 전압을 데이터 라인들(11)로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102)는 화소들(10)의 구동 소자를 초기화하기 위하여 초기화 기간(ti) 동안 소정의 기준 전압(Vref)을 데이터 라인들(11)로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104)는 타이밍 콘트롤러(110)의 제어 하에 제1 및 제2 스캔 펄스(SCAN1, SCAN2)를 스캔 라인들(12a, 12b)에 공급한다. 제1 및 제2 스캔 펄스(SCAN1, SCAN2)는 데이터 전압에 동기된다. 제1 스캔 펄스(SCAN1)는 데이터 전압이 화소들에 공급될 때 온 레벨을 유지하여 스위치 소자(T3)를 턴-온(turn-on)시킴으로써 데이터 전압이 충전될 화소들(10)을 선택한다. 제2 스캔 펄스(SCAN2)는 제1 스캔 펄스(SCAN1)와 동시에 라이징(rising)되고 제1 스캔 펄스(SCAN1) 보다 앞서 폴링되어 초기화 기간(ti) 동안 화소들(10)을 초기화한다. 제2 스캔 펄스(SCAN2)는 화소들(10)에 제1 스캔 펄스(SCAN1)와 동시에 라이징되고 샘플링 기간(ts) 이전에 폴링(falling)된다.
게이트 구동부(104)는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를 이용하여 스캔 펄스들(SCAN1, SCAN2)을 시프트(shift)시킴으로써 그 펄스들을 스캔 라인들(12a, 12b)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게이트 구동부(104)의 시프트 레지스터는 GIP 공정으로 화소 어레이(AA)와 함께 표시패널(100)의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EM 구동부(106)는 타이밍 콘트롤러(110)의 제어 하에 EM 신호(EM)를 출력하여 EM 신호 라인들(12c)에 공급하는 듀티 구동부이다. EM 구동부(106)는 시프트 레지스터를 이용하여 EM 신호(EM)를 시프트시킴으로써 EM 신호(EM)를 EM 신호라인들(12c)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EM 구동부(106)는 타이밍 콘트롤러(110)의 제어 하에 듀티 구동 기간 동안 EM 신호(EM)를 반복적으로 토글(toggle)하여 화소들을 50% 이하의 듀티비로 구동한다. EM 구동부(106)의 시프트 레지스터는 GIP 공정으로 화소 어레이와 함께 표시패널(100)의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타이밍 콘트롤러(110)는 메인 보드(14)로부터 수신된 좌안/우안 입력 영상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와, 그와 동기되는 타이밍 신호를 수신한다. 타이밍 신호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클럭 신호(CLK) 및 데이터 인에이블신호(DE) 등을 포함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10)는 메인 보드(14)로부터 수신된 타이밍 신호와 미리 설정된 레지스터 설정값을 바탕으로 데이터 구동부(102)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 신호, 게이트 구동부(104)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 신호, 그리고 EM 구동부(106)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듀티 타이밍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10)는 듀티 타이밍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EM 신호의 듀티비를 제어한다.
화소들(10) 각각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OLED, 다수의 TFT들(Thin Film Transistor)(T1~T4), 및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를 포함한다. 캐패시터(C)가 제2 TFT(T2)의 드레인과 제2 노드(B)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도 8에서 “Coled”는 OLED의 기생 용량을 나타낸다. TFT들은 n 타입 MOSFET로 구현된다. 화소들(10)은 스캐닝 기간에 구동 소자(T1)의 문턱 전압을 샘플링하고 입력 영상의 데이터 전압을 공급 받으며, 듀티 구동 기간(tem) 동안 50% 이하의 듀티비로 발광한다. 스캐닝 기간은 화소들(10)을 초기화하는 초기화 기간(ti), 화소들(10)에서 구동 소자의 문턱 전압을 샘플링하는 샘플링 기간(ts), 및 입력 영상의 데이터 전압을 화소들(10)에 공급하는 프로그래밍 기간(tw)으로 나뉘어진다.
OLED는 데이터 구동부(102)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전압에 따라 제1 TFT(T1)에 의해 조절되는 전류량으로 발광한다. OLED의 전류패스는 제2 TFT(T2)에 의해 스위칭된다. OLED는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형성된 유기 화합물층을 포함한다. 유기 화합물층은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발광층(Emission layer, EML),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OLED의 애노드는 제2 노드(B)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저전위 전원 전압 또는 기저 전압(VSS)이 인가되는 VSS 전극에 연결된다. “Coled”는 OLED의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형성된 기생 용량(parasitic capacitance)이다.
제1 TFT(T1)는 게이트-소스 간 전압(Vgs)에 따라 OLED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는 구동 소자이다. 제1 TFT(T1)는 제1 노드(A)에 연결된 게이트, 제2 TFT(T2)의 소스에 연결되는 드레인, 및 제2 노드(B)에 접속된 소스를 포함한다.
제2 TFT(T2)는 EM 신호(EM)에 응답하여 OLED에 흐르는 전류를 스위칭하는 스위치 소자이다. EM 신호(EM)는 상기 샘플링 기간 동안 온 레벨로 발생하고 상기 듀티 구동 기간 동안 상기 온 레벨과 오프 레벨을 반복하여 50% 이하의 듀티비로 발생된다. 제2 TFT(T2)의 드레인은 고전위 구동 전압(VDD)이 공급되는 VDD 라인에 연결된다. 제2 TFT(T2)의 소스는 제1 TFT(T1)의 드레인에 연결된다. 제2 TFT(T2)의 게이트는 EM 신호 라인(12c)에 연결되어 EM 신호를 공급 받는다. EM 신호(EM)는 샘플링 기간(ts) 내에서 온 레벨(또는 high logic level)로 발생되어 제2 TFT(T2)를 턴-온(turn-on)시키고, 초기화 기간(ti)과 프로그래밍 기간(tw) 동안 오프 레벨(또는 low logic level)로 반전되어 제2 TFT(T2)를 턴-오프(turn-off)시킨다. 그리고, EM 신호(EM)는 듀티 구동 기간(tem) 동안 PWM 듀티비에 따라 온 레벨과 오프 레벨을 반복하여 50% 이하의 듀티비로 발생한다. OLED는 EM 신호(EM)에 따라 스위칭하는 제2 TFT(T2)로 인하여 50% 이하의 듀티비로 발광한다.
제3 TFT(T3)는 제1 스캔 펄스(SCAN1)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압(Vdata)을 제1 노드(A)에 공급하는 스위치 소자이다. 제3 TFT(T3)는 제1 스캔 라인(12a)에 연결된 게이트, 데이터 라인(11)에 연결된 드레인, 및 제1 노드(A)에 연결된 소스를 포함한다. 제1 스캔 펄스(SCAN1)는 제1 스캔 라인(12a)을 통해 화소들(10)에 공급된다. 제1 스캔 신호(SCAN1)는 대략 1 수평 기간(1H) 동안 온 레벨로 발생되어 제3 TFT(T3)를 턴-온시키고, 듀티 구동 기간(tem) 동안 오프 레벨로 반전되어 제3 TFT(T3)를 턴-오프시킨다.
제4 TFT(T4)는 제2 스캔 펄스(SCAN2)에 응답하여 기준 전압(Vref)을 제2 노드(B)에 공급하는 스위치 소자이다. 제4 TFT(T4)는 제2 스캔 라인(12b)에 연결된 게이트, REF 라인(16)에 연결된 드레인, 및 제2 노드(B)에 연결된 소스를 포함한다. 제2 스캔 펄스(SCAN2)는 제2 스캔 라인(12b)을 통해 화소들(10)에 공급된다. 제2 스캔 신호(SCAN2)는 초기화 기간(ti) 내에서 온 레벨로 발생되어 제4 TFT(T4)를 턴-온시키고, 나머지 기간 동안 오프 레벨을 유지하여 제4 TFT(T4)를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제1 노드(A)와 제2 노드(B) 사이에 접속되어 양단 간의 차 전압을 저장하여 TFT(T1)의 게이트-소스간 전압(Vgs)을 유지한다.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소스 팔로워(source-follower) 방식으로 구동 소자인 제1 TFT(T1)의 문턱 전압(Vth)을 샘플링한다. 캐패시터(C)는 VDD 라인과 제2 노드(B) 사이에 접속된다. 커패시터들(Cst, C)은 프로그래밍 기간(tw) 동안 데이터 전압(Vdata)에 따라 제1 노드(A)의 전위가 변할 때, 그 변화분을 전압 분배하여 제2 노드(B)의 전압에 반영한다.
화소(10)의 스캐닝 기간은 초기화 기간(ti), 샘플링 기간(ts), 및 프로그래밍 기간(tw)으로 나뉘어 진다. 스캐닝 기간은 대략 1 수평 기간(1H)으로 설정되어 화소 어레이의 1 수평 라인에 배열된 화소들에 데이터를 기입한다. 스캐닝 기간 동안, 화소(10)의 구동 소자인 제1 TFT(T1)의 문턱 전압이 샘플링되고 그 문턱 전압만큼 데이터 전압을 보상한다. 따라서, 1 수평 기간(1H) 동안, 입력 영상의 데이터(DATA)가 구동 소자의 문턱 전압만큼 보상되어 화소(10)에 기입된다.
초기화 기간(ti)이 시작될 때, 제1 및 제2 스캔 펄스(SCAN1, SCAN2)가 라이징되어 온 레벨로 발생된다. 이와 동시에, EM 신호(EM)는 폴링되어 오프 레벨로 변한다. 초기화 기간(ti) 동안, 제2 TFT(T2)는 턴-오프되어 OLED의 전류 패스(current path)를 차단한다. 제3 및 제4 TFT들(T3, T4)은 초기화 기간(ti) 동안 턴-온된다. 초기화 기간(ti) 동안, 데이터 라인(11)에 소정의 기준 전압(Vref)이 공급된다. 초기화 기간(ti) 동안 제1 노드(A)의 전압은 기준 전압(Vref)으로 초기화되고, 제2 노드(B)의 전압은 소정의 초기화 전압(Vini)으로 초기화된다. 초기화 기간(t1) 후에 제2 스캔 펄스(SCAN2)는 오프 레벨로 변하여 제4 TFT(T4)를 턴-오프시킨다. 온 레벨은 화소의 스위치 소자들(T2~T4)이 턴-온(turn-on)되는 TFT의 게이트 전압 레벨이다. 오프 레벨은 화소의 스위치 소자들(T2~T4)을 턴-오프(turn-off)되는 게이트 전압 레벨이다.
샘플링 기간(ts) 동안, 제1 스캔 펄스(SCAN1)는 온 레벨을 유지하고, 제2 스캔 펄스(SCAN2)는 오프 레벨을 유지한다. EM 신호(EM)는 샘플링 기간(ts)이 시작될 때 라이징되어 온 레벨로 변한다. 샘플링 기간(ts) 동안, 제2 및 제3 TFT들(T2, T3)이 턴-온된다. 샘플링 기간(ts) 동안, 제2 TFT(T2)가 온 레벨의 EM 신호(EM)에 응답하여 턴-온된다. 샘플링 기간(ts) 동안, 제3 TFT(T3)는 온 레벨의 제1 스캔 신호(SCAN1)에 의해 온 상태를 유지한다. 샘플링 기간(ts) 동안, 데이터 라인(11)에는 기준 전압(Vref)이 공급된다. 샘플링 기간(ts) 동안, 제1 노드(A)의 전압은 기준전압(Vref)으로 유지되는데 반하여, 제2 노드(B)의 전압은 드레인-소스 간 전류(Ids)에 의해 상승한다. 이러한 소스 팔로워(source-follower) 방식에 따라 제1 TFT(T1)의 게이트-소스 간 전압(Vgs)은 제1 TFT(T1)의 문턱 전압(Vth)으로서 샘플링되며, 이렇게 샘플링된 문턱전압(Vth)은 스토리지 캐패시터 (Cst)에 저장된다. 샘플링 기간(ts) 동안 제1 노드(A)의 전압은 기준 전압(Vref)이고, 제2 노드(B)의 전압은 Vref-Vth 이다.
프로그래밍 기간(tw) 동안 제3 TFT(T3)는 온 레벨의 제1 스캔 신호(SCAN1)에 따라 온 상태를 유지하고 나머지 TFT(T1, T2, T4)는 턴-오프된다. 프로그래밍 기간(tw) 동안 데이터 라인(11)에 입력 영상의 데이터 전압(Vdata)이 공급된다. 데이터 전압(Vdata)이 제1 노드(A)에 인가되고, 제1 노드(A)의 전위 변화분(Vdata-Vref)에 대한 커패시터들(Cst,C) 간의 전압 분배 결과가 제2 노드(B)의 전압에 반영됨으로써 제1 TFT(T1)의 게이트-소스 간 전압(Vgs)이 프로그래밍된다. 프로그래밍 기간(tw) 동안, 제1 노드(A)의 전압은 데이터 전압(Vdata)이고, 제2 노드(B)의 전압은 샘플링 기간(ts)을 통해 설정된 "Vref-Vth"에 커패시터들(Cst,C) 간의 전압 분배 결과(C'*(Vdata-Vref))가 더해져 "Vref-Vth+C'*(Vdata-Vref)"가 된다. 결국, 제1 TFT(T1)의 게이트-소스 간 전압(Vgs)은 프로그래밍 기간(tw)을 통해 "Vdata-Vref+Vth-C'*(Vdata-Vref)"으로 프로그래밍된다. 여기서, C'는 Cst/(Cst+C)이다.
듀티 구동 기간(tem)이 시작될 때, EM 신호(EM)는 라이징되어 다시 온 레벨로 변하는 반면, 제1 스캔 펄스(SCAN1)는 폴링되어 오프 레벨로 변한다. 듀티 구동 기간(tem) 동안, 제2 TFT(T2)는 온 상태를 유지하여 OLED의 전류 패스를 형성한다. 제1 TFT(T1)는 듀티 구동 기간(tem) 동안 데이터 전압에 따라 OLED에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한다.
듀티 구동 기간(tem)은 프로그래밍 기간(tw) 이후부터 그 다음 프레임의 초기화 기간(ti)까지 연속된다. 본 발명은 이 듀티 구동 기간(tem) 동안 화소들을 연속적으로 발광시키지 않고 EM 신호(EM)를 스위칭함으로써 화소들(10)을 50% 이하의 듀티비로 발광시킨다. EM 신호(EM)가 온 레벨로 발생될 때 제2 TFT(T2)는 턴-온되어 OLED의 전류 패스를 형성한다. 듀티 구동 기간(tem) 동안, 제1 TFT(T1)의 게이트-소스 간 전압(Vgs)에 따라 조절되는 전류(Ioled)가 OLED에 흘러 OLED가 발광된다. 듀티 구동 기간(tem) 동안, 제1 및 제2 스캔신호(SCAN1, SCAN2)는 오프 레벨을 유지하므로 제3 및 제4 TFT(T3, T4)는 오프된다.
듀티 구동 기간(tem) 동안 OLED에 흐르는 전류(Ioled)는 수학식 1과 같다. OLED는 이 전류에 의해 발광되어 입력 영상의 밝기를 표현한다.
Figure 112015129534903-pat00001
수학식 1에서, k는 제1 TFT(T1)의 이동도, 기생 커패시턴스 및 채널 용량 등에 의해 결정되는 비례 상수이다.
프로그래밍 기간(tw)을 통해 프로그래밍 된 Vgs에 Vth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수학식1의 Ioled 에서 Vth가 소거된다. 따라서, 구동 소자 즉, 제1 TFT(T1)의 문턱전압(Vth)이 OLED의 전류(Ioled)에 미치는 영향이 제거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소 회로의 듀티 구동 방법을 보여 주는 파형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소 회로의 듀티 구동 방법에서 BDI 효과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11에서 (a)는 1 프레임의 영상이다. 도 11의 (b)는 (a)와 같은 영상을 듀티 구동 방법으로 화소들에 표시할 때 비듀티 구동 기간(소등 구간)이 순차적으로 시프트되는 예를 보여 준다. 도 12는 1 프레임 기간 내에서 추가적인 데이터 어드레싱 없이 화소에서 데이터가 유지되는 원리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수직 동기신호(Vsync)는 1 프레임 기간을 정의하는 타이밍 신호이다. 1 프레임 기간 동안, 1 프레임 분량의 영상 데이터가 어드레싱되어 화소들(10)에 기입된다.
입력 영상의 데이터는 1 프레임 기간의 초기 스캐닝 기간에만 화소들에 어드레싱되어 기입된다. 화소들은 EM 신호(EM)의 오프 레벨 구간에서 소등되지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압을 유지하여 소등 기간 이후의 점등 기간 동안 소등 기간 이전 점등 기간과 같은 휘도로 발광한다.
EM 신호(EM)의 온 레벨 구간(On)은 화소 어레이에서 점등 구간을 정의한다. 온 레벨의 EM 신호(EM)는 화소들(10)에서 OLED의 전류 패스를 형성하여 OLED를 점등 시킨다. 이에 비하여, EM 신호(EM)의 오프 레벨 구간(Off)은 화소 어레이에서 소등 구간을 정의한다. 소등 구간 동안은 오프 레벨의 EM 신호(EM)가 화소들(10)에 인가된다. 소등 구간의 화소들(10)은 OLED의 전류 패스가 차단되어 OLED에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블랙 계조를 표시한다.
EM 신호(EM)는 1 프레임 기간의 듀티 구동 기간(tem) 내에서 2 이상의 주기를 갖는다. EM 신호(EM)의 1 주기는 하나의 온 레벨 구간과 하나의 오프 레벨 구간을 포함한다. 따라서, 듀티 구동 기간(tem) 동안 EM 신호(EM)의 온 레벨 구간(On)과 오프 레벨 구간(Off)이 교번하여 이웃한 온레벨 구간(On)이 오프 레벨 구간(Off)을 사이에 두고 단절된다. EM 신호(EM)에 의해 화소들(10) 각각은 듀티 구동 기간(Off) 내에서 1 회 이상 소등된다. 표시패널의 스캔 방향을 따라 EM 신호(EM)의 오프 레벨 구간(Off)이 시프트되기 때문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어레이(AA)에서 소등 구간도 EM 신호(EM)의 오프 레벨 구간(Off)을 따라 시프트된다.
이러한 듀티 구동 방법은 화소들(10)을 50& 이하의 듀티비로 구동하여 잔상과 플리커를 개선하고, 특히 개인 몰입형 기기에서 3D 동영상을 표시할 때 사용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듀티 구동 기간 동안 데이터를 추가로 기입하지 않아도 화소들의 데이터 전압이 유지된다. 이를 도 12를 결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를 참조하면, 데이터 어드레싱으로 화소들에 데이터를 기입한 후에 제1 스캔 펄스(SCAN1)는 1 프레임 기간 동안 오프 레벨을 유지한다. 그 결과, 데이터 전압이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에 충전된 후 제1 TFT(T1)의 게이트가 연결된 제1 노드(A)는 플로팅(floating)된다. 제1 TFT(T1)의 소스 전압(Vs)이 변하면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전하는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Vs를 따라 게이트 전압(Vg)이 변한다. 그 결과, EM 신호(EM)의 온 레벨 구간과 오프 레벨 구간에 의해 화소들(10)이 소등된 후 다시 데이터를 기입하지 않더라도 구동 소자인 제1 TFT(T1)의 게이트-소스간 전압(Vgs)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렇게 구동 소자(T1)의 Vgs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화소(10)에 기입된 데이터가 유지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개인 몰입형 기기의 표시장치의 제1 표시패널과 제2 표시패널의 화소 어레이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a 내지 도 15b는 본 발명의 개인 몰입형 기기의 표시장치의 제1 표시패널과 제2 표시패널의 화소 어레이들의 구성에 대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3a 내지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인 몰입형 기기의 제1 OLED 표시패널(PNL1)의 화소 어레이의 각 단위화소는 적색 부화소(R), 녹색 부화소(G) 및 청색 부화소(B) 중 2개의 부화소를 포함한다. 또한, 서로 인접한 단위화소 중 제1 단위화소는 상기 제1 단위화소에 인접한 제2 단위화소가 포함하는 부화소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부화소와 상기 제2 단위화소가 포함하지 않은 부화소를 포함한다. 제2 OLED 표시패널의 화소 어레이의 각 단위화소는 R, G, B 중 2개의 부화소를 포함하며, 제 1 단위화소에 대응하는 제 3 단위화소와 상기 제 2 단위화소에 대응하는 제 4 단위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 1 단위화소는 상기 제 4 단위화소와 동일한 부화소 배열을 갖고, 상기 제 2 단위화소는 상기 제 3 단위화소와 동일한 부화소 배열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화소 어레이 구조들에 의하면, 제1 표시패널과 제2 표시패널의 각 단위화소는 각 단위화소에 부족한 색상이 인접한 단위화소에 배치되고, 좌안영상의 단위화소 색상과 우안영상의 단위화소의 색상이 다르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이 결합하였을 때 각 단위화소에 모든 색상이 표시되어 표시장치의 해상도를 유지하면서 색상의 집적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 13a 내지 도 1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인 몰입형 기기의 표시장치의 제1 표시패널과 제2 표시패널의 화소 어레이들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a는 본 발명의 개인 몰입형 기기의 표시장치의 제1 표시패널(PNL1)과 제2 표시패널(PNLL2)의 화소 어레이들의 제1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b는 도 13a의 화소어레이에 따라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이 뇌에서 합성되어 인식되는 색상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제1 표시패널(PNL1)의 제1 행은 R, B, G, B의 부화소들이 2개의 단위화소를 이루는 배열이 반복되며, 제2 행은 G, B, R, B의 부화소들이 2개의 단위화소를 이루는 배열이 반복된다. 3행부터는, 제1 행 및 제2 행과 같은 방식으로 홀수 행과 짝수 행의 부화소들이 반복적으로 배열된다.
한편, 제2 표시패널(PNL2)의 제1 행은 G, B, R, B의 부화소들이 2개의 단위화소를 이루는 배열이 반복되며, 제2 행은 R, B, G, B의 부화소들이 2개의 단위화소를 이루는 배열이 반복된다.
이와 달리, 제1 표시패널(PNL)의 제1 행은 G, B, R, B의 부화소들이 2개의 단위화소를 이루는 배열이 반복되며, 제2 행은 R, B, G, B의 부화소들이 2개의 단위화소를 이루는 배열이 반복될 수도 있다. 3행부터는, 제1 행 및 제2 행과 같은 방식으로 홀수 행과 짝수 행의 부화소들이 반복적으로 배열된다.
이 경우, 2 표시패널(PNL2)의 제1 행은 R, B, G, B의 부화소들이 2개의 단위화소를 이루는 배열이 반복되며, 제2 행은 G, B, R, B의 부화소들이 2개의 단위화소를 이루는 배열이 반복된다.
본 발명의 제1 예의 화소 어레이 구조에 의하면, 제1 표시패널(PNL1)의 제1 행에 배치된 2개의 인접한 단위화소는 R, B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 제1-1 단위화소와, G, B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 제1-2 단위화소로 구성되고, 제2 행에 배치된 2개의 인접한 단위화소는 G, B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 제1-3 단위화소와 R, B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 제1-4 단위화소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1-1 단위화소에 부족한 녹색의 색상은 그에 근접한 제1-2 단위화소에 배치된 G의 부화소에 의해 보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제1-2 단위화소에 부족한 적색의 색상은 그에 근접한 제1-1 단위화소에 배치된 R의 부화소에 의해 보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3 단위화소에 부족한 적색의 색상은 그에 근접한 제1-4 단위화소에 배치된 R의 부화소에 의해 보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제1-4 단위화소에 부족한 녹색의 색상은 그에 근접한 제1-3 단위화소에 배치된 G의 부화소에 의해 보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표시패널(PNL2)의 제1 행에 배치된 2개의 인접한 단위화소는 G, B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 제2-1 단위화소와, R, B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 제2-2 단위화소로 구성되고, 제2 행에 배치된 2개의 인접한 단위화소는 R, B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 제2-3 단위화소와 G, B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 제2-4 단위화소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2-1 단위화소에 부족한 적색의 색상은 그에 근접한 제2-2 단위화소에 배치된 R의 부화소에 의해 보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제2-2 단위화소에 부족한 녹색의 색상은 그에 근접한 제2-1 단위화소에 배치된 G의 부화소에 의해 보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3 단위화소에 부족한 녹색의 색상은 그에 근접한 제2-4 단위화소에 배치된 G의 부화소에 의해 보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제2-4 단위화소에 부족한 적색의 색상은 그에 근접한 제2-3 단위화소에 배치된 R의 부화소에 의해 보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표시패널(PNL1)에 입력되는 좌안 영상과 제2 표시패널(PNL2)에 입력되는 우안 영상은 좌안과 우안을 통해 각각 입력되어 뇌에서 결합된다. 결국, 제1-1 단위화소(R, B)와 제2-1 단위화소(G, B)의 결합, 제1-2 단위화소(G, B)와 제2-2 단위화소(R, B)의 결합, 제1-3 단위화소(G, B)와 제2-3 단위화소(R, B)의 결합, 및 제1-4 단위화소(R, B)와 제2-4 단위화소(G, B)의 결합에 의해, 모든 단위화소들은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R, G, B의 부화소들에 의해 적색, 녹색, 청색의 색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예에 따르는 화소 어레이 구조에 의하면 해상도를 유지하면서 색상의 집적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4a는 본 발명의 개인 몰입형 기기의 표시장치의 제1 표시패널(PNL1)과 제2 표시패널(PNLL2)의 화소 어레이들의 제2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b는 도 14a의 화소어레이에 따라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이 뇌에서 합성되어 인식되는 색상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제1 표시패널(PNL1)의 제1 행은 R, G, B, G의 부화소들이 2개의 단위화소를 이루는 배열이 반복되며, 제2 행은 B, G, R, G의 부화소들이 2개의 단위화소를 이루는 배열이 반복된다. 3행부터는, 제1 행 및 제2 행과 같은 방식으로 홀수 행과 짝수 행의 부화소들이 반복적으로 배열된다.
한편, 제2 표시패널(PNL2)의 제1 행은 B, G, R, G의 부화소들이 2개의 단위화소를 이루는 배열이 반복되며, 제2 행은 R, G, B, G의 부화소들이 2개의 단위화소를 이루는 배열이 반복된다.
이와 달리, 제1 표시패널(PNL)의 제1 행은 R, G, B, G의 부화소들이 2개의 단위화소를 이루는 배열이 반복되며, 제2 행은 B, G, R, G의 부화소들이 2개의 단위화소를 이루는 배열이 반복될 수도 있다. 3행부터는, 제1 행 및 제2 행과 같은 방식으로 홀수 행과 짝수 행의 부화소들이 반복적으로 배열된다.
이 경우, 2 표시패널(PNL2)의 제1 행은 B, G, R, G의 부화소들이 2개의 단위화소를 이루는 배열이 반복되며, 제2 행은 R, G, B, G의 부화소들이 2개의 단위화소를 이루는 배열이 반복된다.
본 발명의 제2 예의 화소 어레이 구조에 의하면, 제1 표시패널(PNL1)의 제1 행에 배치된 2개의 인접한 단위화소는 R, G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 제1-1 단위화소와, B, G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 제1-2 단위화소로 구성되고, 제2 행에 배치된 2개의 인접한 단위화소는 B, G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 제1-3 단위화소와 R, G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 제1-4 단위화소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1-1 단위화소에 부족한 청색의 색상은 그에 근접한 제1-2 단위화소에 배치된 B의 부화소에 의해 보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제1-2 단위화소에 부족한 적색의 색상은 그에 근접한 제1-1 단위화소에 배치된 R의 부화소에 의해 보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3 단위화소에 부족한 적색의 색상은 그에 근접한 제1-4 단위화소에 배치된 R의 부화소에 의해 보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제1-4 단위화소에 부족한 청색의 색상은 그에 근접한 제1-3 단위화소에 배치된 B의 부화소에 의해 보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표시패널(PNL2)의 제1 행에 배치된 2개의 인접한 단위화소는 B, G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 제2-1 단위화소와, R, G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 제2-2 단위화소로 구성되고, 제2 행에 배치된 2개의 인접한 단위화소는 R, G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 제2-3 단위화소와 B, G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 제2-4 단위화소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2-1 단위화소에 부족한 적색의 색상은 그에 근접한 제2-2 단위화소에 배치된 R의 부화소에 의해 보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제2-2 단위화소에 부족한 청색의 색상은 그에 근접한 제2-1 단위화소에 배치된 B의 부화소에 의해 보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3 단위화소에 부족한 청색의 색상은 그에 근접한 제2-4 단위화소에 배치된 B의 부화소에 의해 보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제2-4 단위화소에 부족한 적색의 색상은 그에 근접한 제2-3 단위화소에 배치된 R의 부화소에 의해 보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표시패널(PNL1)에 입력되는 좌안 영상과 제2 표시패널(PNL2)에 입력되는 우안 영상은 좌안과 우안을 통해 각각 입력되어 뇌에서 결합된다. 결국, 제1-1 단위화소(R, G)와 제2-1 단위화소(B, G)의 결합, 제1-2 단위화소(B, G)와 제2-2 단위화소(R, G)의 결합, 제1-3 단위화소(B, G)와 제2-3 단위화소(R, G)의 결합, 및 제1-4 단위화소(R, G)와 제2-4 단위화소(B, G)의 결합에 의해, 모든 단위화소들은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R, G, B의 부화소들에 의해 적색, 녹색, 청색의 색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예에 따르는 화소 어레이 구조에 의하면 해상도를 유지하면서 색상의 집적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5a는 본 발명의 개인 몰입형 기기의 표시장치의 제1 표시패널(PNL1)과 제2 표시패널(PNLL2)의 화소 어레이들의 제3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b는 도 15a의 화소어레이에 따라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이 뇌에서 합성되어 인식되는 색상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제1 표시패널(PNL1)의 제1 행은 G, R, B, R 의 부화소들이 2개의 단위화소를 이루는 배열이 반복되며, 제2 행은 B, R, G, R의 부화소들이 2개의 단위화소를 이루는 배열이 반복된다. 3행부터는, 제1 행 및 제2 행과 같은 방식으로 홀수 행과 짝수 행의 부화소들이 반복적으로 배열된다.
한편, 제2 표시패널(PNL2)의 제1 행은 B, R, G, R의 부화소들이 2개의 단위화소를 이루는 배열이 반복되며, 제2 행은 G, R, B, R의 부화소들이 2개의 단위화소를 이루는 배열이 반복된다.
이와 달리, 제1 표시패널(PNL)의 제1 행은 B, R, G, R의 부화소들이 2개의 단위화소를 이루는 배열이 반복되며, 제2 행은 G, R, B, R의 부화소들이 2개의 단위화소를 이루는 배열이 반복될 수도 있다. 3행부터는, 제1 행 및 제2 행과 같은 방식으로 홀수 행과 짝수 행의 부화소들이 반복적으로 배열된다.
이 경우, 2 표시패널(PNL2)의 제1 행은 G, R, B, R의 부화소들이 2개의 단위화소를 이루는 배열이 반복되며, 제2 행은 B, R, G, R의 부화소들이 2개의 단위화소를 이루는 배열이 반복된다.
본 발명의 제3 예의 화소 어레이 구조에 의하면, 제1 표시패널(PNL1)의 제1 행에 배치된 2개의 인접한 단위화소는 G, R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 제1-1 단위화소와, B, R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 제1-2 단위화소로 구성되고, 제2 행에 배치된 2개의 인접한 단위화소는 B, R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 제1-3 단위화소와 G, R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 제1-4 단위화소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1-1 단위화소에 부족한 청색의 색상은 그에 근접한 제1-2 단위화소에 배치된 B의 부화소에 의해 보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제1-2 단위화소에 부족한 녹색의 색상은 그에 근접한 제1-1 단위화소에 배치된 G의 부화소에 의해 보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3 단위화소에 부족한 녹색의 색상은 그에 근접한 제1-4 단위화소에 배치된 G의 부화소에 의해 보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제1-4 단위화소에 부족한 청색의 색상은 그에 근접한 제1-3 단위화소에 배치된 B의 부화소에 의해 보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표시패널(PNL2)의 제1 행에 배치된 2개의 인접한 단위화소는 B, R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 제2-1 단위화소와, G, R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 제2-2 단위화소로 구성되고, 제2 행에 배치된 2개의 인접한 단위화소는 G, R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 제2-3 단위화소와 B, R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 제2-4 단위화소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2-1 단위화소에 부족한 녹색의 색상은 그에 근접한 제2-2 단위화소에 배치된 G의 부화소에 의해 보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제2-2 단위화소에 부족한 청색의 색상은 그에 근접한 제2-1 단위화소에 배치된 B의 부화소에 의해 보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3 단위화소에 부족한 청색의 색상은 그에 근접한 제2-4 단위화소에 배치된 B의 부화소에 의해 보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제2-4 단위화소에 부족한 녹색의 색상은 그에 근접한 제2-3 단위화소에 배치된 G의 부화소에 의해 보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표시패널(PNL1)에 입력되는 좌안 영상과 제2 표시패널(PNL2)에 입력되는 우안 영상은 좌안과 우안을 통해 각각 입력되어 뇌에서 결합된다. 결국, 제1-1 단위화소(G, R)와 제2-1 단위화소(B, R)의 결합, 제1-2 단위화소(B, R)와 제2-2 단위화소(G, R)의 결합, 제1-3 단위화소(B, R)와 제2-3 단위화소(G, R)의 결합, 및 제1-4 단위화소(G, R)와 제2-4 단위화소(B, R)의 결합에 의해,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단위화소들은 R, G, B의 부화소들에 의해 적색, 녹색, 청색의 색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예에 따르는 화소 어레이 구조에 의하면 해상도를 유지하면서 색상의 집적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의 설명에서 제1 화소 어레이의 단위화소들의 배열과 제2 화소 어레이의 단위화소들의 배열은 서로 거울상 관계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PNL1, PNL2 : 표시패널 AA : 화소 어레이
LENS : 어안 렌즈 110 : 타이밍 콘트롤러
102 : 데이터 구동부 104 : 게이트 구동부
106 : EM 구동부

Claims (5)

  1. 좌안 입력 영상이 표시되는 제1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표시패널;
    상기 좌안 입력 영상과 결합하여 입체 영상을 구현하는 우안 입력 영상이 표시되는 제2 OLED 표시패널; 및
    상기 제1 및 제2 OLED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표시패널 구동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OLED 표시패널의 화소 어레이의 각 단위화소는 적색 부화소(R), 녹색 부화소(G) 및 청색 부화소(B) 중 2개의 부화소를 포함하며, 서로 인접한 단위화소 중 제1-1 단위화소는 상기 제1-1 단위화소에 인접한 제1-2 단위화소가 포함하는 부화소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부화소와 상기 제1-2 단위화소가 포함하지 않은 부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OLED 표시패널의 화소 어레이의 각 단위화소는 상기 R, G, B 중 2개의 부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1-1 단위화소에 대응하는 제2-1 단위화소와 상기 제1-2 단위화소에 대응하는 제2-2 단위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1-1 단위화소는 상기 제2-2 단위화소와 동일한 부화소 배열을 갖고, 상기 제1-2 단위화소는 상기 제2-1 단위화소와 동일한 부화소 배열을 갖는 개인 몰입형 기기의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단위화소는 R, B의 배열을 가지며, 상기 제1-2 단위화소는 G, B의 배열을 갖고,
    상기 제2-1 단위화소는 G, B의 배열을 가지며, 상기 제2-2 단위화소는 R, B의 배열을 갖는 개인 몰입형 기기의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단위화소는 G, B의 배열을 가지며, 상기 제1-2 단위화소는 R, B의 배열을 갖고,
    상기 제2-1 단위화소는 R, B의 배열을 가지며, 상기 제2-2 단위화소는 G, B의 배열을 갖는 개인 몰입형 기기의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단위화소는 G, R의 배열을 가지며, 상기 제1-2 단위화소는 B, R의 배열을 갖고,
    상기 제2-1 단위화소는 B, R의 배열을 가지며, 상기 제2-2 단위화소는 G, R의 배열을 갖는 개인 몰입형 기기의 표시장치.

  5. 제1 영상이 표시되는 제1 화소 어레이;
    제2 영상이 표시되는 제2 화소 어레이; 및
    상기 제1 및 제2 화소 어레이들을 구동하는 구동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화소 어레이의 각 단위화소는 적색 부화소(R), 녹색 부화소(G) 및 청색 부화소(B) 중 적어도 두개의 부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어레이의 단위화소들의 배열과 상기 제2 화소 어레이의 단위화소들의 배열은 서로 거울상 관계인 개인 몰입형 기기의 표시장치.
KR1020150191800A 2015-12-31 2015-12-31 개인 몰입형 기기의 표시장치 KR102470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800A KR102470377B1 (ko) 2015-12-31 2015-12-31 개인 몰입형 기기의 표시장치
US15/283,225 US10205934B2 (en) 2015-12-31 2016-09-30 Display device for personal immersive device
CN201610937108.2A CN106959511B (zh) 2015-12-31 2016-10-25 用于个人沉浸式装置的显示装置
EP16202877.3A EP3188167B1 (en) 2015-12-31 2016-12-08 Display device for personal immersive device
JP2016242818A JP6437991B2 (ja) 2015-12-31 2016-12-15 個人没入型機器の表示装置
TW105143675A TWI621879B (zh) 2015-12-31 2016-12-28 用於個人沉浸式裝置之顯示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800A KR102470377B1 (ko) 2015-12-31 2015-12-31 개인 몰입형 기기의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348A KR20170080348A (ko) 2017-07-10
KR102470377B1 true KR102470377B1 (ko) 2022-11-23

Family

ID=57530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800A KR102470377B1 (ko) 2015-12-31 2015-12-31 개인 몰입형 기기의 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05934B2 (ko)
EP (1) EP3188167B1 (ko)
JP (1) JP6437991B2 (ko)
KR (1) KR102470377B1 (ko)
CN (1) CN106959511B (ko)
TW (1) TWI6218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7973B2 (en) 2016-06-01 2023-12-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of uniform brightness
KR102513988B1 (ko) * 2016-06-01 2023-03-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72303A (ko) * 2016-12-21 2018-06-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102388478B1 (ko) * 2017-08-09 2022-04-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520710B1 (ko) 2017-09-05 2023-04-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930709B2 (en) 2017-10-03 2021-02-23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tacked transparent pixel structures for image sensors
CN107633802B (zh) * 2017-10-31 2021-09-14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0510812B2 (en) 2017-11-09 2019-12-17 Lockheed Martin Corporation Display-integrated infrared emitter and sensor structures
US10594951B2 (en) 2018-02-07 2020-03-17 Lockheed Martin Corporation Distributed multi-aperture camera array
US10979699B2 (en) 2018-02-07 2021-04-13 Lockheed Martin Corporation Plenoptic cellular imaging system
US10652529B2 (en) 2018-02-07 2020-05-12 Lockheed Martin Corporation In-layer Signal processing
US10951883B2 (en) 2018-02-07 2021-03-16 Lockheed Martin Corporation Distributed multi-screen array for high density display
US11616941B2 (en) 2018-02-07 2023-03-28 Lockheed Martin Corporation Direct camera-to-display system
US10690910B2 (en) 2018-02-07 2020-06-23 Lockheed Martin Corporation Plenoptic cellular vision correction
US10838250B2 (en) 2018-02-07 2020-11-17 Lockheed Martin Corporation Display assemblies with electronically emulated transparency
US10129984B1 (en) 2018-02-07 2018-11-13 Lockheed Martin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electronics distribution by geodesic faceting
US10827164B2 (en) * 2018-03-01 2020-11-03 Google Llc Active LCD shutters for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low persistence
TWI685700B (zh) * 2018-08-14 2020-02-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與畫素結構
US11081069B2 (en) * 2018-09-21 2021-08-03 Appe Inc. Data rendering and driving of electronic device displays
WO2020065965A1 (ja) * 2018-09-28 2020-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デバイス
KR102619291B1 (ko) 2018-11-28 2023-12-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0866413B2 (en) 2018-12-03 2020-12-15 Lockheed Martin Corporation Eccentric incident luminance pupil tracking
KR102581375B1 (ko) * 2018-12-31 2023-09-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00110489A (ko) 2019-03-13 2020-09-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표시 장치와 그를 포함한 증강 현실 제공 장치
US10698201B1 (en) 2019-04-02 2020-06-30 Lockheed Martin Corporation Plenoptic cellular axis redirection
CN110133862B (zh) * 2019-05-15 2021-06-15 合肥工业大学 一种基于透明oled阵列的增强现实显示装置及图像重建方法
US11481026B2 (en) 2019-08-22 2022-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mersive device and method for streaming of immersive media
JP7463074B2 (ja) * 2019-10-17 2024-04-08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KR20210077092A (ko) * 2019-12-16 2021-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부 동작 방법
CN113764462A (zh) * 2020-06-04 2021-12-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和显示装置
US11783729B2 (en) * 2020-09-10 2023-10-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lorblind assistive technology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image rendering for color vision deficient users by determining an estimated color value having a minimum color distance from a target color value
CN113010020A (zh) * 2021-05-25 2021-06-22 北京芯海视界三维科技有限公司 一种时序控制器和显示设备
KR20230057494A (ko) * 2021-10-21 2023-05-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강 현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9886A (ja) 1998-10-30 2000-07-18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フィ―ルドシ―ケンシャル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ならびに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2006511829A (ja) 2002-08-30 2006-04-06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20100141693A1 (en) 2007-04-24 2010-06-10 Tae-Joong Lee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2014225725A (ja) 2013-05-15 2014-12-0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用光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8232B1 (en) 1998-02-25 2007-07-2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P2309482A3 (en) 1998-10-30 2013-04-2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Field sequanti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head mounted display
US8508830B1 (en) 2011-05-13 2013-08-13 Google Inc. Quantum dot near-to-eye display
JP5982751B2 (ja) * 2011-08-04 2016-08-31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705177B1 (en) 2011-12-05 2014-04-22 Google Inc. Integrated near-to-eye display module
KR20140082480A (ko) * 2012-12-24 2014-07-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나안용 입체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9886A (ja) 1998-10-30 2000-07-18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フィ―ルドシ―ケンシャル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ならびに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2006511829A (ja) 2002-08-30 2006-04-06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20100141693A1 (en) 2007-04-24 2010-06-10 Tae-Joong Lee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2014225725A (ja) 2013-05-15 2014-12-0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用光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348A (ko) 2017-07-10
TWI621879B (zh) 2018-04-21
CN106959511B (zh) 2019-05-07
US20170195658A1 (en) 2017-07-06
JP6437991B2 (ja) 2018-12-12
US10205934B2 (en) 2019-02-12
TW201725425A (zh) 2017-07-16
JP2017135697A (ja) 2017-08-03
EP3188167A1 (en) 2017-07-05
CN106959511A (zh) 2017-07-18
EP3188167B1 (en) 201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0377B1 (ko) 개인 몰입형 기기의 표시장치
KR102570950B1 (ko) 개인 몰입형 장치의 표시장치
KR102458645B1 (ko)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2469869B1 (ko) 표시장치와 그 게이트 구동 회로
US10274734B2 (en) Personal immersiv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004344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576523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와 이를 이용한 개인 몰입형 장치
US9324265B2 (en) Pix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289024B2 (en) Display device
KR102617290B1 (ko) 표시장치
JP2011022341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