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8676B1 - 층간진동소음 저감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층간진동소음 저감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8676B1
KR102468676B1 KR1020210149464A KR20210149464A KR102468676B1 KR 102468676 B1 KR102468676 B1 KR 102468676B1 KR 1020210149464 A KR1020210149464 A KR 1020210149464A KR 20210149464 A KR20210149464 A KR 20210149464A KR 102468676 B1 KR102468676 B1 KR 102468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locks
thickness
vibration noise
installing
danp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남
이한구
김형태
Original Assignee
박재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남 filed Critical 박재남
Priority to KR1020210149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6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1Insulating layer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looring or the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층간진동소음 저감재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1지지블록; 상기 제1지지블록들의 상부에 직교된 상태로 나란하게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스틸밴드; 상기 스틸밴드들의 상부에 직교된 상태로 나란하게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2지지블록; 상기 제2지지블록들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단프라; 상기 단프라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진동소음 저감재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a) 콘크리트 슬래브를 양생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에 다수개의 제1지지블록을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제1지지블록들의 상부에 직교된 상태로 다수개의 스틸밴드를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스틸밴드들의 상부에 직교된 상태로 다수개의 제2지지블록을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의 제2지지블록들의 상부에 단프라를 설치하는 단계; f) 상기 e)단계의 단프라 상부에 단열재를 설치하는 단계; g) 상기 f)단계의 단열재 상부에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h) 상기 g)단계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상부에 난방용 배관을 설치하고 모르타르를 타설하는 단계; i) 상기 h)단계의 모르타르 상부에 바닥 마감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층간진동소음 저감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Inter-floor vibration noise reduction materia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층간진동소음 저감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층 구조의 건물구조체를 구성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상에 시공되어 상층에서 발생한 진동소음을 상쇄시키거나 저감시키는 층간진동소음 저감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2층 이상 층수를 갖는 대부분의 건축물들은 유럽이나 북아메리카 지역, 그리고 여타 국가와는 달리 바닥 난방 방식 구조로 건축되고 있다. 이러한 난방 방식 구조는 바닥에 온수배관을 설치한 다음,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를 순환시켜 바닥을 가열하고, 그 가열된 바닥으로부터의 복사열에 의해 난방을 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난방 방식 구조로 건축된 바닥은 그 마감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고 무거운 것이 특징이다. 물론, 두께가 두꺼울수록 층간소음이나 층간진동 제어에는 유리한 면이 있으나, 우리나라 대부분의 건축물은 벽식 구조 형식으로 설계되고 시공되기 때문에 강성이 커지면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의 상·하층 전달이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즉, 물리적 충격에 의한 생활 소음이 바닥과 벽체를 통하여 고체 전달음 형태로 인접 층에 전달되고, 이것은 곧 전달음으로 바뀌는데 이러한 매커니즘에 따르면 대부분 벽식 구조 형식으로 시공된 우리나라의 건축물에서는 오히려 층간소음 면에서 매우 취약할 수 밖에 없다.
이 같은 층간소음은 물건을 바닥으로 떨어뜨리거나 가구 등을 바닥면에서 끌 때와 같이 비교적 가볍고 딱딱한 물체의 물리적 충격에 의하여 발생하는 경량 충격음과, 아이들이 거실이나 방을 뛰어다닐때와 같이 무거우면서 부드러운 충격이 바닥에 가해질 때 발생하는 중량 충격음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경량 충격음은 높은 Hz의 고음역대이지만 충격력이 약하고 지속 시간이 짧은 물리적 특성을 가지는 반면, 중량 충격음은 낮은 Hz의 저음역대이고 충격력이 크며 지속 시간도 긴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경량 충격음의 크기는 표면 마감재의 유연성에 크게 영향을 받지만, 중량 충격음의 크기는 전달체 또는 매개체, 즉 바닥이나 벽체의 강성, 밀도, 면적, 고정 조건 등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특성들을 감안한다면 경량 충격음의 제어를 위해서는 바닥에 카페트나 고무매트와 같은 부드러운 재질로 된 마감재를 설치하는 것이 효율적이겠지만, 중량 충격음의 경우에는 슬래브 두께 등 구조체의 강성을 조절하여 제어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할 것이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건설교통부 고시로서 공동주택의 구조 형식에 따라 일정 두께 이상의 슬래브로 시공할 것을 법규로 규정하고 있다.
한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5993호에 개시되어 있는 '복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재'를 살펴보면, 기초바닥층과 경량 기포콘크리트층 사이에 완충패널을 설치하고, 완충패널의 하부를 받치는 받침부를 설치하여 소음 전달의 차단을 도모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층간소음 방지재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완충패널이 받침부에 받쳐져 기초바닥층으로부터 떠 있는 상태이므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하부 방향으로 쳐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완충패널은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예: 거주자의 몸무게에 의해 눌리는 변동하중이나 반복하중 등)에 의해 피로해져 점차 하부방향으로 늘어지고, 하중이 계속해서 누적될 경우에는 파손될 우려가 매우 높다.
예를 들면, 완충패널이 하부로 늘어지거나 파괴되면 그 상부에 타설되어 있는 경량 기포콘크리트층이 갈라지거나 함몰되고 급기야 온수배관이 절단될 가능성도 매우 높아진다.
또한, 점탄성 물질로 제작된 받침부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경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받침부가 경화되면 받침부 자체가 진동이나 소음을 통과시키는 하나의 통로로서 작용하게 된다. 즉, 바닥에 가해진 진동이 받침부를 통과하며 집중된 상태로 기초바닥층에 전달되는 것으로, 층간소음 방지재가 소음의 전달을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소음을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셈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5993호(복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재, 2014.09.15. 공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63097호(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2006.03.27. 공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3194호(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에서 들뜬 구조의 층간소음방지재, 2018.07.20.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층에서 하층으로 전달되는 바닥 충격음의 진동소음을 매개체를 통한 과정에서 상쇄시키거나 저감시킬 수 있는 층간진동소음 저감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은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층간진동소음 저감재는, 다층 건물구조체의 기초 뼈대를 형성하는 구조물인 콘크리트 슬래브(S)상에 시공되는 층간진동소음 저감재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S)의 상부에 3 - 30㎜ 두께로서 100 - 300㎜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1지지블록(10); 상기 제1지지블록(10)들의 상부에 0.3 - 1.0㎜ 두께로서 100 - 300㎜ 간격을 두고 상기 제1지지블록(10)들에 직교된 상태로 나란하게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스틸밴드(20); 상기 스틸밴드(20)들의 상부에 3 - 30㎜ 두께로서 100 - 300㎜ 간격을 두고 상기 스틸밴드(20)들에 직교된 상태로 나란하게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2지지블록(30); 상기 제2지지블록(30)들의 상부에 3 - 10㎜ 두께로 고정 설치되는 단프라(40); 및 상기 단프라(40)의 상부에 20 - 50㎜ 두께로 고정 설치되는 단열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단열재(50)는 판상형 단열재인 발포폴리스티렌(EPS), 압출보드, 우레탄 단열재, 페놀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단열재(50)는 충격파에 의한 진동소음을 흡수하여 상쇄시키는 가운데 단열 또는 보온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블록(10) 및 제2지지블록(30)은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우레탄(PU), 에틸렌-비닐렌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목재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스틸밴드(20)들의 상부 및 하부에 직교된 상태로 설치된 다수개의 제1지지블록(10) 및 제2지지블록(30)은 상기 스틸밴드(20)들을 사이에 두고 서로 엇갈리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단프라(40)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목재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단프라(40)는 물리적 충격에 의해 발생된 진동소음을 전달받아 사방으로 균등하게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층간진동소음 저감재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a) 130 - 300㎜ 두께로 콘크리트 슬래브(S)를 양생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콘크리트 슬래브(S) 상부에 3 - 30㎜ 두께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제1지지블록(10)을 100 - 300㎜ 간격마다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제1지지블록(10)들의 상부에 0.3 - 1.0㎜ 두께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스틸밴드(20)를 100 - 300㎜ 간격마다 상기 제1지지블록(10)들에 직교된 상태로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스틸밴드(20)들의 상부에 3 - 30㎜ 두께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제2지지블록(30)을 100 - 300㎜ 간격마다 상기 스틸밴드(20)들에 직교된 상태로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의 제2지지블록(30)들의 상부에 3 - 10㎜ 두께로 이루어진 단프라(40)를 설치하는 단계; f) 상기 e)단계의 단프라(40) 상부에 20 - 50㎜ 두께로 이루어진 단열재(50)를 설치하는 단계; g) 상기 f)단계의 단열재(50) 상부에 35 - 45㎜ 두께로 경량기포 콘크리트(C)를 타설하는 단계; h) 상기 g)단계의 경량기포 콘크리트(C) 상부에 다수개의 난방용 배관(P)을 설치하고 35 - 45㎜ 두께로 모르타르(M)를 타설하는 단계; 및 i) 상기 h)단계의 모르타르(M) 상부에 3 - 12㎜ 두께로 이루어진 바닥 마감재(B)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e)단계의 단프라(40)는 i)단계의 바닥 마감재(B)로부터 물리적 충격에 의해 발생된 진동소음을 전달받아 사방으로 균등하게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c)단계의 스틸밴드(20)는 물리적 충격에 의한 진동소음을 자체적으로 상쇄시키거나 또는 주변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이 제공되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f)단계의 단열재(50)는 충격파에 의한 진동소음을 흡수하여 상쇄시키는 가운데 단열 또는 보온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층간진동소음 저감재는, 고층건물 또는 아파트와 같은 주거공간에 시공되어, 하층으로 전달되는 바닥 충격음의 진동소음을 매개체를 통한 전달 과정에서 상쇄시키거나 저감시킴으로써 층간진동소음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고, 나아가 쾌적한 주거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층간진동소음 저감재가 콘크리트 슬래브상에 시공되었을 때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진동소음 저감재의 공정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층간진동소음 저감재의 실사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진동소음 저감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층간진동소음 저감재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층 건물구조체의 기초 뼈대를 구성하는 구조물인 콘크리트 슬래브(S)상에 시공되는 것으로, 크게 제1지지블록(10), 스틸밴드(20), 제2지지블록(30), 단프라(40) 및 단열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지블록(10) 및 제2지지블록(30)은 다수개가 각각 상기 스틸밴드(20)들의 상부와 하부에 3 내지 30㎜ 두께로서 100 내지 300㎜ 간격을 두고 상기 스틸밴드(20)들에 직교된 상태로 나란하게 고정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지지블록(10) 및 제2지지블록(30)은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우레탄(PU), 에틸렌-비닐렌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목재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틸밴드(20)들의 상부 및 하부에 직교된 상태로 고정 설치된 다수개의 제1지지블록(10) 및 제2지지블록(30)은 상기 스틸밴드(20)들을 사이에 두고 서로 엇갈리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배열된 다수개의 제1지지블록(10) 및 제2지지블록(30)에 의하면, 상부로부터 최초 발생된 진동을 제2지지블록(30)들이 전달받아 상기 스틸밴드(20)들의 길이방향으로 90° 회전시켜 전달시킨 다음, 다시 스틸밴드(20)들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지지블록(10)들의 길이방향으로 90° 회전시켜 전달시킴으로서, 선형상의 진동을 전이함에 따른 분산기능 내지 감쇄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수개의 상기 제1지지블록(10) 및 제2지지블록(30)으로 전이된 진동소음은 상기 스틸밴드(20)들을 통해 선형으로 치환된다. 즉, 상기 제1지지블록(10)들과 제2지지블록(30)들의 사이에 구비된 스틸밴드(20)들이 강한 강성으로 진동을 감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스틸밴드(2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얇은 강판을 띠 형상으로 가공한 것으로, 상기 제1지지블록(10)들의 상부에 0.3 내지 1.0㎜ 두께로서 100 내지 300㎜ 간격을 두고 상기 제1지지블록(10)들에 직교된 상태로 다수개가 나란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스틸밴드(20)는 물리적 충격에 의한 진동을 자체적으로 상쇄시키거나 또는 주변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이 제공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진동소음 감쇄를 효율적으로 도모하기 위한 측면에서 인장강도가 75 내지 100g/㎟ 인 금속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통상적인 판스프링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프라(40)는 다층 건물구조체의 바닥을 통해서 최초로 발생된 진동을 전달받아 좌우측 사방으로 균등하게 분산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프라(40)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목재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재(50)는 판상형 단열재인 발포폴리스틸렌(EPS), 압출보드, 우레탄 단열재, 페놀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로 구성됨에 따라 진동소음을 상쇄시키거나 또는 저감시키는 기능을 충분히 도모함은 물론 단열 또는 보온 효과도 동시에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진동소음 저감재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층간진동소음 저감재의 시공방법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a) 130 - 300㎜ 두께로 콘크리트 슬래브(S)를 양생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콘크리트 슬래브(S) 상부에 3 - 30㎜ 두께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제1지지블록(10)을 100 - 300㎜ 간격마다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제1지지블록(10)들의 상부에 0.3 - 1.0㎜ 두께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스틸밴드(20)를 100 - 300㎜ 간격마다 상기 제1지지블록(10)들에 직교된 상태로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스틸밴드(20)들의 상부에 3 - 30㎜ 두께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제2지지블록(30)을 100 - 300㎜ 간격마다 상기 스틸밴드(20)들에 직교된 상태로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의 제2지지블록(30)들의 상부에 3 - 10㎜ 두께로 이루어진 단프라(40)를 설치하는 단계; f) 상기 e)단계의 단프라(40) 상부에 20 - 50㎜ 두께로 이루어진 단열재(50)를 설치하는 단계; g) 상기 f)단계의 단열재(50) 상부에 35 - 45㎜ 두께로 경량기포 콘크리트(C)를 타설하는 단계; h) 상기 g)단계의 경량기포 콘크리트(C) 상부에 다수개의 난방용 배관(P)을 설치하고 35 - 45㎜ 두께로 모르타르(M)를 타설하는 단계; 및 i) 상기 h)단계의 모르타르(M) 상부에 3 - 12㎜ 두께로 이루어진 바닥 마감재(B)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f)단계의 단열재(50)는 충격파에 의한 진동소음을 흡수하여 상쇄시키는 가운데 단열 또는 보온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단계의 스틸밴드(20)는 탄성력이 제공되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이는 물리적 충격에 의한 진동을 자체적으로 상쇄시키거나 또는 주변으로 분산시켜 상층에서 최초 발생되어 전달되는 진동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e)단계의 단프라(40)는 i)단계의 바닥 마감재(B)로부터 물리적 충격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전달받아 사방으로 균등하게 분산시킴에 따라, 바닥 충격음의 진동소음을 매개체를 통한 전달 과정에서 상쇄시키거나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3000㎜ × 4000㎜ × 210㎜ 크기로 양생된 콘크리트 슬래브의 상부에 두께가 1000㎜ × 20㎜ × 5㎜인 제1지지블록들을 콘크리트 슬래브의 폭 방향으로 150㎜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고정 설치하였다.
2. 2000㎜ × 15㎜ × 0.5㎜ 크기의 스틸밴드를 다수개 구비하여 각각의 스틸밴드가 200㎜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1지지블록들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지지블록들의 상부에 고정 설치하였다.
3. 1000㎜ × 20㎜ × 5㎜ 크기의 제2지지블록을 다수개 구비하여 각각의 제2지지블록이 콘크리트 슬래브의 폭 방향으로 150㎜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스틸밴드들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틸밴드들의 상부에 고정 설치하였다.
4. 제2지지블록들의 상부에 5㎜ 두께로 이루어진 단프라를 설치한 후, 그 상부에 20㎜ 두께로 이루어진 EPS 단열재를 적층하였다.
5. EPS 단열재 상부에 40㎜ 두께로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였다.
6.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상부에 40㎜ 두께로 모르타르를 타설하였으며, 모르타르 내부에는 다수개의 난방용 배관을 200㎜ 간격을 두고 내설하였다.
7. 모르타르의 상부에 6㎜ 두께로 이루어진 바닥 마감재를 접착 고정시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진동소음 저감재를 시공하였다.
한편, 상기 실시예를 통해 시공된 본 발명의 층간진동소음 저감재 적용 유무에 따른 경량충격음 레벨과 중량충격음 레벨을 측정하기 위해 시험규격에 부합되는 사이즈로 절단시킨 후, 절단된 샘플을 공인시험기관에 제공하여 시험을 의뢰하였다. 공인시험기관에 의뢰하여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경량충격음 레벨과 중량충격음 레벨의 측정방법은 KS F 2810-1:2001, KS F 2810-2:2001, KS F 2863-1:2002, KS F 2863-2:2002를 이용하였으며, 환경조건은 온도 26±0.3℃, 습도 58±1% RH에서 측정함)
시험항목 구분 중심주파수별 음압레벨(dB) 단일수치값
(dB)
63Hz 125Hz 250Hz 500Hz 1kHz 2kHz
경량충격음
레벨
미적용 - 67.1 71.2 68.4 67.3 67.2 67
적용 - 38.8 38.2 32.3 32.4 33.4 32
중량충격음
레벨
미적용 78.4 63.8 61.3 46.5 - - 52
적용 76.8 57.2 53.3 40.8 - - 42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층간진동소음 저감재는 경량충격음 레벨과 중량충격음 레벨의 차단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기 표 1에 나타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다층 건물의 상층에서 하층으로 전달되는 바닥 충격음의 진동소음을 매개체를 통한 전달 과정에서 상쇄시키거나 저감시키는 효과가 탁월하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층간진동소음 저감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B : 바닥 마감재 C : 경량기포 콘크리트
S : 콘크리트 슬래브 M : 모르타르
P : 난방용 배관 10 : 제1지지블록
20 : 스틸밴드 30 : 제2지지블록
40 : 단프라 50 : 단열재

Claims (11)

  1. 다층 건물구조체의 기초 뼈대를 형성하는 구조물인 콘크리트 슬래브(S)상에 시공되는 층간진동소음 저감재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S)의 상부에 3 - 30㎜ 두께로서 100 - 300㎜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고정 설치되는 에틸렌-비닐렌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소재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제1지지블록(10);
    상기 제1지지블록(10)들의 상부에 0.3 - 1.0㎜ 두께로서 100 - 300㎜ 간격을 두고 상기 제1지지블록(10)들에 직교된 상태로 나란하게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스틸밴드(20);
    상기 스틸밴드(20)들의 상부에 3 - 30㎜ 두께로서 100 - 300㎜ 간격을 두고 상기 스틸밴드(20)들에 직교된 상태로 나란하게 고정 설치되는 목재질 소재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제2지지블록(30);
    상기 제2지지블록(30)들의 상부에 3 - 10㎜ 두께로 고정 설치되는 단프라(40); 및
    상기 단프라(40)의 상부에 20 - 50㎜ 두께로 고정 설치되는 단열재(50);로 구성되고,
    상기 스틸밴드(20)들의 상부 및 하부에 직교된 상태로 설치된 다수개의 제1지지블록(10) 및 제2지지블록(30)은 상기 스틸밴드(20)들을 사이에 두고 서로 엇갈리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진동소음 저감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50)는, 판상형 단열재인 발포폴리스티렌(EPS), 압출보드, 우레탄 단열재, 페놀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진동소음 저감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50)는, 충격파에 의한 진동소음을 흡수하여 상쇄시키는 가운데 단열 또는 보온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진동소음 저감재.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프라(40)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목재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진동소음 저감재.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프라(40)는, 물리적 충격에 의해 발생된 진동소음을 전달받아 사방으로 균등하게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진동소음 저감재.
  8. 청구항 1의 층간진동소음 저감재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a) 130 - 300㎜ 두께로 콘크리트 슬래브(S)를 양생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콘크리트 슬래브(S) 상부에 3 - 30㎜ 두께로, 에틸렌-비닐렌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소재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제1지지블록(10)을 100 - 300㎜ 간격마다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제1지지블록(10)들의 상부에 0.3 - 1.0㎜ 두께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스틸밴드(20)를 100 - 300㎜ 간격마다 상기 제1지지블록(10)들에 직교된 상태로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스틸밴드(20)들의 상부에 3 - 30㎜ 두께로, 목재질 소재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제2지지블록(30)을 100 - 300㎜ 간격마다 상기 스틸밴드(20)들에 직교된 상태로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의 제2지지블록(30)들의 상부에 3 - 10㎜ 두께로 이루어진 단프라(40)를 설치하는 단계;
    f) 상기 e)단계의 단프라(40) 상부에 20 - 50㎜ 두께로 이루어진 단열재(50)를 설치하는 단계;
    g) 상기 f)단계의 단열재(50) 상부에 35 - 45㎜ 두께로 경량기포 콘크리트(C)를 타설하는 단계;
    h) 상기 g)단계의 경량기포 콘크리트(C) 상부에 다수개의 난방용 배관(P)을 설치하고 35 - 45㎜ 두께로 모르타르(M)를 타설하는 단계; 및
    i) 상기 h)단계의 모르타르(M) 상부에 3 - 12㎜ 두께로 이루어진 바닥 마감재(B)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진동소음 저감재의 시공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의 단프라(40)는, i)단계의 바닥 마감재(B)로부터 물리적 충격에 의해 발생된 진동소음을 전달받아 사방으로 균등하게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진동소음 저감재의 시공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스틸밴드(20)는, 물리적 충격에 의한 진동소음을 자체적으로 상쇄시키거나 또는 주변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이 제공되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진동소음 저감재의 시공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의 단열재(50)는, 충격파에 의한 진동소음을 흡수하여 상쇄시키는 가운데 단열 또는 보온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진동소음 저감재의 시공방법.
KR1020210149464A 2021-11-03 2021-11-03 층간진동소음 저감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468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464A KR102468676B1 (ko) 2021-11-03 2021-11-03 층간진동소음 저감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464A KR102468676B1 (ko) 2021-11-03 2021-11-03 층간진동소음 저감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8676B1 true KR102468676B1 (ko) 2022-11-22

Family

ID=84236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464A KR102468676B1 (ko) 2021-11-03 2021-11-03 층간진동소음 저감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867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1418A (ko) * 2004-06-22 2005-12-27 박재남 층간 방음부재
KR100563097B1 (ko) 2005-06-21 2006-03-27 엠에스건설(주)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100783117B1 (ko) * 2006-09-25 2007-12-07 박해존 바닥 충격음 저감을 위한 층간 차음재
KR101435993B1 (ko) 2013-04-18 2014-09-15 주식회사 양지이엔지 복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재
KR101530822B1 (ko) * 2014-06-12 2015-07-06 박재남 공동주택용 층간진동소음 저감재
KR20180083194A (ko) 2017-01-12 2018-07-20 이종헌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에서 들뜬 구조의 층간소음방지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1418A (ko) * 2004-06-22 2005-12-27 박재남 층간 방음부재
KR100563097B1 (ko) 2005-06-21 2006-03-27 엠에스건설(주)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100783117B1 (ko) * 2006-09-25 2007-12-07 박해존 바닥 충격음 저감을 위한 층간 차음재
KR101435993B1 (ko) 2013-04-18 2014-09-15 주식회사 양지이엔지 복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재
KR101530822B1 (ko) * 2014-06-12 2015-07-06 박재남 공동주택용 층간진동소음 저감재
KR20180083194A (ko) 2017-01-12 2018-07-20 이종헌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에서 들뜬 구조의 층간소음방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055B1 (ko) 건물에서의 사용을 위한 바닥 및 천장 패널
KR101530822B1 (ko) 공동주택용 층간진동소음 저감재
KR20120007999A (ko) 완충 및 제진 성능을 갖는 복합 바닥 구조
WO2018158231A1 (en) A framed element and its use
EP3004480B1 (en) An acoustic damping building material
KR101509586B1 (ko) 이중 바닥 구조의 차음 난방장치
KR102403744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479167B1 (ko)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KR101828708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10017532A (ko) 복층건물의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시공구조
KR100922009B1 (ko) 직물기재를 이용한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KR101492208B1 (ko) 공동주택의 바닥과 벽체로 전달되는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 및 시공방법
KR102468676B1 (ko) 층간진동소음 저감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92508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
KR20130131518A (ko) 층간 소음 방지 완충구조 및 바닥구조 시공방법
KR100750890B1 (ko) 층간소음 방지재와 측벽소음 방지재 및 이들을 이용한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KR102119407B1 (ko) 층간소음 저감용 고강성 방진구
KR101428590B1 (ko) 바닥충격음 전달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KR20160019831A (ko) 층간소음방지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방지 시공방법
KR102535739B1 (ko) 층간진동소음 저감용 적층패널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5509771A (ja) 音響伝播を減衰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487106Y1 (ko) 난방 및 설치가 용이한 층간소음 방지패드
KR100546445B1 (ko) 건축물의 층간바닥구조
KR20130104145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GB2508878A (en) Sound insulating device for location between joists of a floor or cei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