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251B1 - 공동주택의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용 신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용 신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251B1
KR102467251B1 KR1020220073031A KR20220073031A KR102467251B1 KR 102467251 B1 KR102467251 B1 KR 102467251B1 KR 1020220073031 A KR1020220073031 A KR 1020220073031A KR 20220073031 A KR20220073031 A KR 20220073031A KR 102467251 B1 KR102467251 B1 KR 102467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ensor
controller
fire hydrant
hyd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앤에스
Priority to KR1020220073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2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용 신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화재 발생시 이를 감지한 관리서버가 관할 소방서로 실시간으로 자동 신고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와 함께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인공지능의 분석과 판단을 통해 화재를 신속하게 검출하며, 검출결과에 따라 즉시 진압할 수 있도록 화재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화재 발생 초기에 즉시 1차 진화가 개시되도록 하여 화재 발생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차단하며, 유선이 아닌 무선통신으로도 정확하고 오류없는 정보 송수신을 통해 지속적인 관리 감시 감독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의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용 신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용 신고 시스템{Fire-fighting reporting system for fire suppression in apartment houses}
본 발명은 소방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용 신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화재 발생시 이를 감지한 관리서버가 관할 소방서로 실시간으로 자동 신고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와 함께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인공지능의 분석과 판단을 통해 화재를 신속하게 검출하며, 검출결과에 따라 즉시 진압할 수 있도록 화재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화재 발생 초기에 즉시 1차 진화가 개시되도록 하여 화재 발생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차단하며, 유선이 아닌 무선통신으로도 정확하고 오류없는 정보 송수신을 통해 지속적인 관리 감시 감독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의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용 신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을 포함한 공동주택 등에서의 화재발생 위험에 대처하고 정확하고 신속한 화재경보 알림은 필수적이다.
화재경보 및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누구나 공감하고 있으며 종래의 홈기기나 화재수신기를 이용한 경보 방법은 화재감지기로부터 전달되는 화재발생 신호에 대해 경종 또는 램프 점등의 단순한 방법으로 화재를 알리고 있다.
그러면, 화재경보에 따라 소방작업이 진행되게 되는데, 이때 관할 소방서로 화재발생 사실이 통지되어 곧바로 소방차들이 출동하게 된다.
하지만, 화재가 발생된 공동주택 정보만 전달될 뿐 구체적으로 어느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했는지 정확히 알 수 없어 해당 공동주택 도착 후 관리자들로부터 정보를 다시 입수한 후 발화지점으로 이동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초기 진압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공동주택의 각 세대내에는 주로 조리기구가 있는 주방 천정에만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을 뿐이어서 주로 가구당 하나씩 비치된 분말소화기를 이용하여 화재시 초기 화재진압에 나서야하는데, 이 경우 분말소화기를 급한 마음에 찾기도 어렵고 찾는다 해도 발화지점까지 이동하여 분무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계단참의 경우에는 화재시 이를 진화할 수 있는 소화수를 분사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초기 화재 진압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292304호(2013.07.26.), 화재발생 위치정보를 포함한 화재 알림 경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공동주택의 화재 발생시 이를 감지한 관리서버가 관할 소방서로 실시간으로 자동 신고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와 함께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인공지능의 분석과 판단을 통해 화재를 신속하게 검출하며, 검출결과에 따라 즉시 진압할 수 있도록 화재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화재 발생 초기에 즉시 1차 진화가 개시되도록 하여 화재 발생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차단하며, 유선이 아닌 무선통신으로도 정확하고 오류없는 정보 송수신을 통해 지속적인 관리 감시 감독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의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용 신고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공동주택의 각 세대내에 설치된 세대화재감지기(10)와, 상기 세대화재감지기(10)와 연결되고 소화전에 설치된 소화전컨트롤러(20)와, 상기 소화전에 설치되고 소화전컨트롤러(20)에 의해 제어되어 화재검출시 경종을 울리는 세대경보기(12)와, 상기 소화전이 설치된 계단참에 세팅되어 실시간으로 촬영한 영상을 상기 소화전컨트롤러(20)로 송신하는 CCD카메라(14)와, 상기 계단참에 설치되고 상기 소화전컨트롤러(20)와 연결되어 소화전컨트롤러(20)가 송신하는 화재검출신호에 따라 소화동작을 수행하는 자동진화기(500)와, 상기 소화전컨트롤러(2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어느 동 어느 세대에서 화재가 발생했는지를 식별하는 관리서버(400)와, 상기 관리서버(40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관리서버(400)가 송신한 화재검출 정보를 실시간 공유하여 소방차를 출동시키는 관할소방서버(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용 신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의 화재 발생시 이를 감지한 관리서버가 관할 소방서로 실시간으로 자동 신고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와 함께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인공지능의 분석과 판단을 통해 화재를 신속하게 검출하며, 검출결과에 따라 즉시 진압할 수 있도록 화재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화재 발생 초기에 즉시 1차 진화가 개시되도록 하여 화재 발생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차단하며, 유선이 아닌 무선통신으로도 정확하고 오류없는 정보 송수신을 통해 지속적인 관리 감시 감독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소화전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수감지센서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자동진화기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관리서버에 설치된 수신안테나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수신안테나를 구성하는 패치안테나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의 예시와 같이, 공동주택의 각 세대내에 설치된 세대화재감지기(10)와, 상기 세대화재감지기(10)와 연결되고 소화전에 설치된 소화전컨트롤러(20)와, 상기 소화전에 설치되고 소화전컨트롤러(20)에 의해 제어되어 화재검출시 경종을 울리는 세대경보기(12)와, 상기 소화전이 설치된 계단참에 세팅되어 실시간으로 촬영한 영상을 상기 소화전컨트롤러(20)로 송신하는 CCD카메라(14)와, 상기 계단참에 설치되고 상기 소화전컨트롤러(20)와 연결되어 소화전컨트롤러(20)가 송신하는 화재검출신호에 따라 소화동작을 수행하는 자동진화기(500)와, 상기 소화전컨트롤러(2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어느 동 어느 세대에서 화재가 발생했는지를 식별하는 관리서버(400)와, 상기 관리서버(40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관리서버(400)가 송신한 화재검출 정보를 실시간 공유하여 소방차를 출동시키는 관할소방서버(30)를 포함한다.
이때, 소화전에 구비된 소방호스(22)는 소방수관(24)을 통해 연결되어 소방수를 공급받게 되는데, 이때 소방수관(24)에는 솔레노이드밸브(26)와 수감지센서(2400, 도 3 참조)가 더 설치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6)는 상기 소화전컨트롤러(20)에 의해 개폐동작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아이들이 소방호스(22)를 가지고 장난을 치거나 혹은 비행청소년 등이 악용할 우려를 차단하기 위해 소방수관(24)을 통해 소방호스(22)에 물이 차 있도록 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급박한 상황에서 즉시 소화수를 분사할 수 없어 초기 화재진압이 어려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세대내에 설치된 세대화재감지기(10)를 통해 화재가 감지되면 소화전컨트롤러(20)가 화재검출 정보를 관리서버(400)로 송신할 때, 수감지센서(2400)를 통해 수감지신호를 검출하여 소방수관(24)에 물이 있는지 없는지 유무를 먼저 검출하고, 이를 확인함으로써 소화수를 즉시 사용할 수 있는지 없는지 여부까지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소방관 출동시 소화전컨트롤러(20)에 할당되어 있는 밸브개폐스위치(28)를 눌러 솔레노이드밸브(26)를 개방시키면 즉시 소화수를 사용할 수 있어 화재진압에 즉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소화수가 검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소화수를 공급하는 라인을 먼저 점검하거나 혹은 다른 방법으로 소화수를 공급할 수 있는 방편을 사전에 검토한 후 소방작업에 참여하도록 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이를 위해, 도 3의 예시와 같이 소화수관(24)의 길이 일부에는 수감지센서(2400)를 더 설치하고, 상기 수감지센서(2400)는 소화전컨트롤러(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화수관(24) 내부에 물이 차 있는지 없는지를 실시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수감지센서(2400)는 상기 소화수관(24)을 관통하여 내부와 연통되도록 나사체결된다.
또한, 상기 수감지센서(2400)는 내부가 비어 있고 상단 및 나사체결되는 하단이 개방되어 있는 센서하우징(2412)과, 상기 센서하우징(2412)의 내경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2414)과, 상기 걸림턱(2414)에 걸림되는 센서플랜지(2416)를 갖고 수압에 따라 유동되는 유동자(2418)와, 상기 유동자(2418)의 하단면에 요입 형성되어 수압이 집중되도록 구비된 압력유도홈(2420)과, 상기 유동자(2418)의 상단면에 볼록하게 돌출된 반원형돌부(2422)와, 상기 센서하우징(2412)의 개방된 상단을 밀폐하도록 체결되는 센서커버(2424)와, 상기 센서커버(2424)의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반원형돌부(2422)가 접촉되었을 때 압력검출신호를 송신하는 압력센서(2426)와, 상기 압력센서(2426)와 소화전컨트롤러(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리드선(2428)과, 상기 센서플랜지(2416)와 센서커버(2424)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유동자(2418)를 탄성운동시키는 코일스프링(2430)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소화수관(24) 상에 물이 차 있으면 수압을 받아 유동자(2418)의 반원형돌부(2422)가 압력센서(2426)를 가압하고, 그 압력신호를 소화전컨트롤러(20)로 송신하여 이상이 없다고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물이 차 있지 않으면 유동자(2418)가 가압되지 않기 때문에 코일스프링(2430)에 의해 밀려나면서 압력센서(2426)를 가압하지 않게 되므로 압력신호가 없음을 소화전컨트롤러(20)가 인식함으로써 이상이 발생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이에 따라, 소방시설을 자동으로 상시 점검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상기 CCD카메라(14)는 실시간으로 영상을 촬영하되, 정해진 시간단위로 촬영된 영상을 압축 저장하고, 저장된 압축영상을 소화전컨트롤러(20)로 송신하도록 제어된다.
이 경우, 촬영된 압축영상은 소화전컨트롤러(20)의 제어하에 관리서버(400)로 송신되고, 관리서버(400)에서는 압축이 풀린 후 인공지능에 의해 판독되는데, 이러한 촬영 영상은 계단참 내부이며, 계단참 내부에서 평상시와 다른 상황이 연출되면 관리서버(400)는 1차적으로 특징점이 있다고 보고 이를 학습했던 화재와 관련된 영상과 비교 분석하여 화재발생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게 된다.
이러한 분석은 딥러닝기법이 활용되는 인공지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계단참에 설치된 자동진화기(500)의 경우, 상기 소화전컨트롤러(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계하여 화재검출신호를 송신할 때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상용전원을 공급받도록 설계된다.
물론, 자동진화기(500)의 경우, 소화전컨트롤러(20)에 의해 가동되도록 제어되기 전이라도 화재로 인해 발생한 고열에 의해 미리 동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동진화기(500)는 도 4의 예시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자동진화기(500)는 일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유닛하우징(510)과, 상기 유닛하우징(510)에 내장된 사각형상의 제1튜브(520)와, 상기 제1튜브(520) 앞에 배치된 압력판(530)과, 상기 압력판(530) 앞에 장입된 소화분말(540)과, 상기 소화분말(540) 앞에 배치된 사각형상의 제2튜브(550)와, 상기 제2튜브(550)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상기 유닛하우징(510)의 개방된 부분에 후크결합되는 창살커버(560)와, 상기 창살커버(560)를 관통하여 상기 제1튜브(520)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파이프(570)와, 상기 열전달파이프(570)에 연결된 히터(580)와, 상기 화재감지기(200)의 검출신호 송신과 동시에 상기 히터(580)를 가동시키도록 유닛하우징(510)의 외벽에 고정된 히터제어기(59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2튜브(520,550)에는 메탄가스가 압축된 상태로 주입되며, 열을 받아 일정이상의 온도에 이르게 되면 폭발하면서 전방에 있는 구조물, 이를 테면 창살커버(560), 소화분말(540), 압력판(530)을 개방된 부분을 통해 비산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화분말(540)은 얇은 비닐에 싸여 밀봉된 상태로 장입되며, 압력판(530)은 제1튜브(520) 폭발시 상기 소화분말(540)을 균일하게 밀어 비산시키기 위해 존재한다.
또한, 상기 창살커버(560)는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하우징(510)에 둘레단의 일부분이 후크(562) 결합되고, 가로와 세로방향으로는 리브(564)와 세그먼트(566)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폭발시 상대적으로 얇은 리브(564)가 잘 떨어지도록 구성된다.
특히, 리브(564)들 사이로는 구멍이 생기기 때문에 화재시 열기가 제2튜브(550) 쪽으로 쉽고 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뿐만 아니라, 열전달파이프(570)는 화재시 받은 열기가 제1튜브(520)로 빠르게 전달되게 공간을 형성하여 제1튜브(520)도 빠르게 팽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리하여, 화재 초기에 열을 받아 팽창 후 폭발하는 제1,2튜브(520.550)에 의해 소화분말(540)이 전방으로 쏟아져 화재 원점을 즉시 진압함으로써 화재가 커지는 것을 막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히터(580)와 히터제어기(590)는 화재 초기에 팽창 폭발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소화전컨트롤러(20)의 제어신호를 받아 히터제어기(590)가 히터(580)를 가동시키고, 히터(580)에 의해 열전달파이프(570)가 달아 오르면서 가열되어 강제적으로 폭발을 일으키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유닛하우징(510)은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리튬실리케이트 5중량부, 실리콘수지 30중량부, 과황산 암모늄 10중량부, 질화규소 5중량부, 콘드로이틴-황산 10중량부, 탄화규소 5중량부, 칼슘메틸실란트리오레이트 5중량부, 이산화티탄 5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하여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ABS 수지는 고내열성, 고내구성 수지재료이며; 실리콘수지는 완충성, 신축성을 제공하기 위해 첨가되고; 리튬실리케이트(Lithium silicate)는 방수성 도막 형성에 기여하고 내오염성을 강화시키며; 과황산 암모늄(Ammonium Persulfate)은 산도를 조절하여 산화를 방지하여 보존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며; 질화규소는 가볍고 열팽창율이 적어 상온이나 고온에서 강도, 파괴에 대한 인성, 열충격 저항성, 내산화성, 내식성이 우수하고; 콘드로이틴-황산은 건조화를 방지하여 점착성이 장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며; 탄화규소는 내용해성·내용융성·내산화성 외에 열전도도가 크다.
그리고, 칼슘메틸실란트리오레이트는 내화학성, 내약품성을 증대시키며; 이산화티탄은 방열효율을 높이고, 전열면적을 넓히기 위해 첨가되고; 페트로레이텀은 내부식성, 그 내침식성과 크랙발생을 억제하여 장수명화, 즉 내구성을 갖추게 한다.
뿐만 아니라, 도 5 및 도 6의 예시와 같이 무선통신시 전송오류, 잡음, 장애를 최소화하여 무선통신 에러를 막고, 전송품질을 높이며, 수신감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소화전컨트롤러(20)에 탑재되는 송신안테나모듈은 원형편파(Circular polarization)를 발진시키는 안테나모듈이며, 원형편파의 회전방향은 왼쪽 또는 오른쪽 중 하나로서 임의 선택이 가능하다.
이 경우, 원형편파를 사용하도록 한정하는 이유는 관리서버(400)에 설치된 수신안테나(3000)를 패치안테나(Patch Antenna)로 구현하기 위함이며, 무엇보다도 타이밍 조절로 한주파수에서 두 개 이상의 채널을 송수신할 수 있고, 또한 장애물 잡음에 강해서 건물투과성이 높고 다중반사간섭에 강하며, 편파손실이 적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각 소화전컨트롤러(20)에 탑재된 송신안테나모듈은 의도적으로 원형편파를 발생시키는 모듈을 사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안테나(3000)는 패치안테나로서 마이크로스트립 기판 위에 특정 형상의 금속패턴을 만든 후 여러가지 형태로 급전하는 형태를 갖는다.
특히, RF 원형편파에 대한 신호수신이 뛰어나 안테나이득(게인)을 높일 수 있어 정확한 제어신호 수신이 가능하여 오류 발생을 줄인다.
이를 위해, 상기 수신안테나(3000)는 관리서버(400)가 구비된 관리사무실 옥상에 설치된 후 관리서버(400)와 연결된다.
이러한 수신안테나(300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막혀 있는 사각통 형상의 제1유전체하우징(3112)과, 상기 제1유전체하우징(3112)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2유전체하우징(3114)이 상기 제1유전체하우징(3112)의 상단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유전체하우징(3112)의 하단면에는 'ㅜ'형상의 전송단자(3116)가 고정되고, 상기 전송단자(3116)는 관리서버(400)와 전송선로를 통해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제1,2유전체하우징(3112,3114)은 유전체로 구성하여 전파 손실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에폭시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디메틸폴리실록산 25중량부, 티탄산바륨(BaTiO3) 10중량부, 4-디아조디페닐아민 바이황산염(4-Diazodiphenylamine sulfate) 5중량부, 실리콘디옥사이드 10중량부,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5중량부를 혼합 조성한 후 사각틀 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조된다.
이때, 에폭시수지는 비전도성 유전체를 구현하여 안테나 이득 손실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베이스수지이고, 디메틸폴리실록산은 미세구조 내에서 일어나는 전자기파의 상호 작용에 의해 안테나 효율을 상승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티탄산바륨은 고유전율을 확보하고 유지하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4-디아조디페닐아민 바이황산염(4-Diazodiphenylamine sulfate)은 CAS 넘버 4477-28-5에 해당하는 물질로서, 변색을 방지하면서 내화학성과 내약품성을 강화시켜 내부식, 내열, 피로한계 증대를 통해 장수명화를 유지시킨다.
또한, 실리콘디옥사이드는 전파간섭을 줄여 안테나 게인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며,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는 표면 광택성을 높이고 오염방지 및 열화 억제를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유전체하우징(3112)의 내부 바닥면에는 승강모터(3118)가 고정되고, 상기 승강모터(3118)의 회전축에는 볼스크류(3120)가 연결되며, 상기 볼스크류(3120)는 제2유전체하우징(3114)의 내부 바닥면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배열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유전체하우징(3114)의 내부 바닥면 중심에는 스크류부쉬(3122)가 인서트 성형되어 있고, 상기 볼스크류(3120)가 상기 스크류부쉬(3122)를 관통하여 스크류 결합되어 있다.
특히, 상기 볼스크류(3120)의 상단은 상기 제2유전체하우징(3114)의 상하 길이의 1/2 정도까지만 상승된 위치를 위지하고, 상단에는 스토퍼(3124)가 고정되어 있어 상기 제2유전체하우징(3114)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도록 설계된다.
아울러, 상기 제1유전체하우징(3112)의 4면 둘레에는 각각 다른 형상의 하부패턴안테나(3200)가 고정되고, 상기 하부패턴안테나(3200)의 내부에는 슬라이딩홈(3210)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슬라이딩홈(3210)은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은 막혀 있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하부패턴안테나(3200)는 설계자유도를 높이고, 설치 위치 및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ABS수지로 사출 성형된 사출체의 표면에 도전성 금속을 도금한 구조를 갖는다.
이때, 도금은 구리, 은 등이 될 수 있고, 사출체가 입체를 띈 경우 모든 면이 도금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하부패턴안테나(3200)는 수신감도를 높이기 위해 'I'형, 'ㄹ'형, 'ㄷ'형, '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테스트를 거쳐 가장 수신이 잘되는 형상을 취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2유전체하우징(3114)의 4면 둘레에도 상기 하부패턴안테나(3200)와 각각 대응되는 상부패턴안테나(3300)가 고정되되, 길이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며, 상기 상부패턴안테나(3300)의 하단에는 상기 슬라이딩홈(3210)에 삽입되는 슬라이더부(3310)가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이 경우, 슬라이딩 과정에서도 접촉상태를 유지하여 항상 통전 가능하도록 이들의 접촉면에는 모두 도전체로 도금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승강모터(3118)의 회전에 따라 제2유전체하우징(3114)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패턴안테나들 때문에 제2유전체하우징(3114)은 회전하지 못하고 그대로 수직방향으로 상승만 하게 된다.
이때, 상부패턴안테나(3300)도 함께 상승하므로 슬라이더부(3310)도 상승하면서 패턴안테나의 다양한 높이차로 인해 수신효율, 즉 안테나의 이득이 증가되어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승강모터(3118)가 후술되는 관리서버(400)와 연결되어 이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신감도가 떨어질 경우 승강되도록 관리서버(400)에 의해 동작제어되게 된다.
10: 세대화재감지기 20: 소화전컨트롤러
30: 관할소방서버

Claims (2)

  1. 공동주택의 각 세대내에 설치된 세대화재감지기(10)와, 상기 세대화재감지기(10)와 연결되고 소화전에 설치된 소화전컨트롤러(20)와, 상기 소화전에 설치되고 소화전컨트롤러(20)에 의해 제어되어 화재검출시 경종을 울리는 세대경보기(12)와, 상기 소화전이 설치된 계단참에 세팅되어 실시간으로 촬영한 영상을 상기 소화전컨트롤러(20)로 송신하는 CCD카메라(14)와, 상기 계단참에 설치되고 상기 소화전컨트롤러(20)와 연결되어 소화전컨트롤러(20)가 송신하는 화재검출신호에 따라 소화동작을 수행하는 자동진화기(500)와, 상기 소화전컨트롤러(2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어느 동 어느 세대에서 화재가 발생했는지를 식별하는 관리서버(400)와, 상기 관리서버(40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관리서버(400)가 송신한 화재검출 정보를 실시간 공유하여 소방차를 출동시키는 관할소방서버(3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용 신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화전에는 소방호스(22)가 구비되고, 상기 소방호스(22)는 소방수관(24)에 연결되며, 상기 소방수관(24)에는 상기 소화전컨트롤러(20)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밸브(26)와 수감지센서(2400)가 더 설치되고; 상기 수감지센서(2400)는 내부가 비어 있고 상단 및 나사체결되는 하단이 개방되어 있는 센서하우징(2412)과, 상기 센서하우징(2412)의 내경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2414)과, 상기 걸림턱(2414)에 걸림되는 센서플랜지(2416)를 갖고 수압에 따라 유동되는 유동자(2418)와, 상기 유동자(2418)의 하단면에 요입 형성되어 수압이 집중되도록 구비된 압력유도홈(2420)과, 상기 유동자(2418)의 상단면에 볼록하게 돌출된 반원형돌부(2422)와, 상기 센서하우징(2412)의 개방된 상단을 밀폐하도록 체결되는 센서커버(2424)와, 상기 센서커버(2424)의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반원형돌부(2422)가 접촉되었을 때 압력검출신호를 송신하는 압력센서(2426)와, 상기 압력센서(2426)와 소화전컨트롤러(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리드선(2428)과, 상기 센서플랜지(2416)와 센서커버(2424)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유동자(2418)를 탄성운동시키는 코일스프링(2430)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진화기(500)는 일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유닛하우징(510)과, 상기 유닛하우징(510)에 내장된 사각형상의 제1튜브(520)와, 상기 제1튜브(520) 앞에 배치된 압력판(530)과, 상기 압력판(530) 앞에 장입된 소화분말(540)과, 상기 소화분말(540) 앞에 배치된 사각형상의 제2튜브(550)와, 상기 제2튜브(550)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상기 유닛하우징(510)의 개방된 부분에 후크결합되는 창살커버(560)와, 상기 창살커버(560)를 관통하여 상기 제1튜브(520)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파이프(570)와, 상기 열전달파이프(570)에 연결된 히터(580)와, 상기 화재감지기(200)의 검출신호 송신과 동시에 상기 히터(580)를 가동시키도록 유닛하우징(510)의 외벽에 고정된 히터제어기(59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용 신고 시스템.
  2. 삭제
KR1020220073031A 2022-06-15 2022-06-15 공동주택의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용 신고 시스템 KR102467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031A KR102467251B1 (ko) 2022-06-15 2022-06-15 공동주택의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용 신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031A KR102467251B1 (ko) 2022-06-15 2022-06-15 공동주택의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용 신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251B1 true KR102467251B1 (ko) 2022-11-16

Family

ID=84235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031A KR102467251B1 (ko) 2022-06-15 2022-06-15 공동주택의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용 신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2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304B1 (ko) 2012-01-12 2013-08-01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발생 위치정보를 포함한 화재 알림 경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684374B1 (ko) * 2016-05-18 2016-12-08 (주)한동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KR102160459B1 (ko) * 2020-02-10 2020-09-28 (주) 인곡기술사사무소 건축물과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활용한 소방안전 장치
KR102384551B1 (ko) * 2021-07-19 2022-04-11 주식회사 경민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알림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304B1 (ko) 2012-01-12 2013-08-01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발생 위치정보를 포함한 화재 알림 경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684374B1 (ko) * 2016-05-18 2016-12-08 (주)한동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KR102160459B1 (ko) * 2020-02-10 2020-09-28 (주) 인곡기술사사무소 건축물과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활용한 소방안전 장치
KR102384551B1 (ko) * 2021-07-19 2022-04-11 주식회사 경민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알림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74248A2 (en) Interconnecting detector
JP3874122B2 (ja) 携帯アラームシステム
JP6181967B2 (ja) 警報システム
CA29353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WO2001093220A1 (en) Modular communication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JP2008517376A (ja) 遠隔危険状態検出器の自己試験を開始する方法および遠隔危険状態検出器の相互接続を試験する方法
CN103593936B (zh) 消防报警远程监控方法和嵌入式主板
KR102384551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알림시스템
CN103550896A (zh) 基于物联网技术的悬挂式干粉智能灭火***
KR102426278B1 (ko)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원격 소방 제어 시스템
KR102467251B1 (ko) 공동주택의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용 신고 시스템
US7158023B2 (en) Method for testing the interconnection of remote hazardous condition detectors
CN108871456B (zh) 安防智能传感器***
KR102591000B1 (ko)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층간 차단 시스템
KR102589172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 피난 시스템
KR102520041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 관리 시스템
KR101704409B1 (ko)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
KR102490276B1 (ko)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위험 감지 시스템
KR102395973B1 (ko) 로봇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시설 관리시스템
KR102439565B1 (ko) 가정에서의 통합 화재감지 정보 전파 및 화재 소화 방법
CN111540155B (zh) 一种智能家居火灾探测器
KR102420278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세대별 소방 시스템
JP6491705B2 (ja) 警報システム
KR102435608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자동 신고 시스템
CN112863102A (zh) 探测火灾隐患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