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611B1 - 제어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제어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611B1
KR102466611B1 KR1020170128155A KR20170128155A KR102466611B1 KR 102466611 B1 KR102466611 B1 KR 102466611B1 KR 1020170128155 A KR1020170128155 A KR 1020170128155A KR 20170128155 A KR20170128155 A KR 20170128155A KR 102466611 B1 KR102466611 B1 KR 102466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terminal
power module
connecto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8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8102A (ko
Inventor
송건용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8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611B1/ko
Priority to CN201880063839.6A priority patent/CN111201699B/zh
Priority to EP18861426.7A priority patent/EP3691094A4/en
Priority to PCT/KR2018/008514 priority patent/WO2019066233A1/ko
Priority to JP2020515702A priority patent/JP7148603B2/ja
Priority to US16/647,813 priority patent/US11545878B2/en
Publication of KR20190038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611B1/ko
Priority to US18/074,626 priority patent/US2023009810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실시예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개구에 배치되는 제1 커버부; 상기 제1 커버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넥터부; 상기 커넥터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필터부; 상기 제1 커버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파워모듈부; 상기 파워모듈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판; 및 상기 제1 커버부를 관통하여 일측이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파워모듈부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제1 커버부 사이에 배치되는 파워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에 의해 상기 파워모듈의 일면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 상기 제1 커버부에 밀착되는 제어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파워모듈부의 발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어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조립체{CONTROLLER AND MOTOR ASSEMBLY HAVING THE SAME}
실시예는 제어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도체가 자기장 속에서 받는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바꾸는 장치이다. 최근 모터의 용도가 확대되면서 모터의 역할이 중요해 지고 있다. 특히, 자동차의 전장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조향 시스템, 제동 시스템 및 의장 시스템 등에 적용되는 모터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모터의 경우 모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를 포함한 모터 어셈블리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에 대전류가 사용되면서 발열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예컨데, 제어기에 사용되는 기판의 경우 기판 내에 DC 파워회로, 제어회로, 인버터 회로가 배치된다. 그리고, 대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기판에서는 발열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기판의 사이즈가 커져야 하기 때문에, 소형화 및 경량화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컴팩트(compact)하면서 상기 기판에 발생하는 발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모터 어셈블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시예는 파워모듈의 발열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어기 및 모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소형화 및 경량화를 구현하면서 일부 부품을 공용화할 수 있는 제어기 및 모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개구에 배치되는 제1 커버부; 상기 제1 커버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넥터부; 상기 커넥터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필터부; 상기 제1 커버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파워모듈부; 상기 파워모듈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판; 및 상기 제1 커버부를 관통하여 일측이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파워모듈부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제1 커버부 사이에 배치되는 파워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에 의해 상기 파워모듈의 일면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 상기 제1 커버부에 밀착되는 제어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파워모듈은 제5 본체; 상기 제5 본체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핀; 및 상기 제5 본체의 타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다섯 개의 터미널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핀의 단부는 상기 기판과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파워모듈이 배치되는 캐비티와 하방으로 돌출되는 세 개의 제4 보스가 형성된 제6 본체; 및 일측이 상기 제4 보스 각각의 내부에 노출되게 배치되고 타측은 하방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6 본체에 배치되는 세 개의 제4 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캐비티를 가로지르게 상기 제6 본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6 본체에서 돌출된 적어도 두 개의 후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크에 의해 상기 파워모듈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는 상기 파워모듈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선(L)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크의 단부가 배치되게 상기 제1 커버부의 하면에는 제2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6 본체는 하방으로 돌출된 제4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돌출부는 상기 제1 핀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핀의 돌출높이는 상기 제4 돌출부의 돌출높이보다 큰 수 있다.
한편, 상기 제5 본체와 상기 제1 커버부 사이에는 열전달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터미널은 수평상으로 배치되는 제4 몸체; 상기 제4 몸체의 일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4 프레임; 및 상기 제4 몸체의 타측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4 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4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프레임은 상기 터미널 핀과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단부에는 제6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제어기, 및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개구에 배치되는 제1 커버부; 상기 제1 커버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넥터부; 상기 커넥터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필터부; 상기 제1 커버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파워모듈부; 상기 파워모듈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판; 및 상기 제1 커버부를 관통하여 일측이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파워모듈부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제1 커버부 사이에 배치되는 파워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에 의해 상기 파워모듈의 일면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 상기 제1 커버부에 밀착되는 모터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 외측에 배치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의 상부에 배치되는 버스바; 상기 로터, 상기 스테이터 및 상기 버스바를 수용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개구에 배치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스바는 버스바 몸체; 및 버스바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파워모듈이 배치되는 캐비티와 하방으로 돌출되는 세 개의 제4 보스가 형성된 제6 본체; 및 일측이 상기 제4 보스 각각의 내부에 노출되게 배치되고 타측은 하방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6 본체에 배치되는 세 개의 제4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바 터미널의 일측은 상기 제4 터미널의 제6 홀과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를 포함하는 모터 조립체는 발열량이 높은 파워모듈을 금속재질로 형성된 제1 커버부에 밀착하여 발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사이즈가 큰 엘리멘트를 수직상으로 배치하여 컴팩트(compact)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에 다른 종류의 모터를 결합할 때마다 함께 기판만을 교체하여 제어기의 일부 부품을 공용화할 수 있다.
또한, 기판에 배치된 모스펫을 이용하여 전원의 역접속을 방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모터 조립체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평면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제1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제1 하우징을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필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필터부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제2 터미널, 제2-1 터미널, 제2-2 터미널, 씨엠 필터 및 제1 캐패시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제1 하우징의 제1 터미널과 필터부의 제2 터미널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제1 하우징의 제1 돌기와 필터부의 제1 홀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제1 하우징의 제1 돌기가 융착되어 제1 홀에 고정되는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커넥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커넥터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커넥터부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커넥터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의 제3 터미널, 제3-1 터미널, 제3-2 터미널, 제3-3 터미널, 디엠 필터 및 제2 캐패시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의 제3 터미널, 제3-1 터미널, 제3-2 터미널, 제3-3 터미널, 디엠 필터 및 제2 캐패시터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19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필터부와 커넥터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0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제1 커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제1 커버부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22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제1 커버부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23은 도 3의 A영역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24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파워모듈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5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파워모듈부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26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파워모듈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7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파워모듈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8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파워모듈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9는 실시예에 따른 파워모듈부의 파워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0은 실시예에 따른 파워모듈부의 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1은 실시예에 따른 파워모듈부의 제4 터미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2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기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3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제1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4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제2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5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버스바 터미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 3은 도 1의 A-A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1)는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2)와 모터(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3)는 제어기(2)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기(2)의 일부 부품을 공용화하더라도 다양한 모터(3)를 제어기(2)에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어기(2)와 모터(3) 사이에는 교체 가능하게 기판이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다른 종류의 모터(3)를 결합할 때마다 함께 상기 기판만을 교체함으로써, 상기 제어기(2)의 일부 부품을 공용화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기(2)는 제1 하우징(100), 필터부(200), 커넥터부(300), 제1 커버부(400), 파워모듈부(500), 기판(600), 제1 커넥터(700) 및 제2 커넥터(8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커버부(400)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1 커넥터(700) 및 제2 커넥터(800) 각각의 일측은 기판(60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700)의 타측은 제2 보스(112)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2 커넥터(800)의 타측은 제3 보스(11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2)는 외부 커넥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필터부(200) 및 커넥터부(300)에서 노이즈가 제거된 후 기판(600)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기판(600)에서 역접속이 방지된 전원은 커넥터부(300)로 전달된 후 파워모듈부(500)와 기판(600)으로 공급된다.
제1 하우징(100)과 제1 하우징(100)의 개구에 배치되는 제1 커버부(400)는 상기 제어기(2)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과 제1 커버부(400)의 결합에 의해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에는 필터부(200)와 커넥터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커버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하우징(100)은 제1 본체(110)와 제1 터미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본체(110)는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200)와 커넥터부(300)의 배치를 위해 제1 본체(110)에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본체(110)에는 제1 보스(111), 제2 보스(112), 제3 보스(113), 복수 개의 제1 돌기(114) 및 제1 돌출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보스(111), 제2 보스(112), 제3 보스(113), 제1 돌기(114) 및 제1 돌출부(115)는 제1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스(111), 제2 보스(112) 및 제3 보스(113)는 제1 본체(110)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보스(111), 제2 보스(112) 및 제3 보스(113)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스(111), 제2 보스(112) 및 제3 보스(113) 각각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보스(111), 제2 보스(112) 및 제3 보스(113) 각각에는 외부에서 전원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외부 커넥터(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1 보스(111), 제2 보스(112) 및 제3 보스(113) 각각은 상기 외부 커넥터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돌기(11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110)의 하부측 내면(116)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돌기(114)를 통해 필터부(200)는 제1 하우징(1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15)는 제1 본체(110)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돌출부(115)는 제1 커버부(4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터미널(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로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보스(111)에 결합되는 외부 커넥터를 통해 제1 터미널(120)에는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제1 터미널(120)은 인서트 사출 방식을 통해 제1 본체(110)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터미널(12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제1 터미널(120)은 동판과 같은 판금을 프레스 가공하여 성형할 수 있다.
제1 터미널(120)의 일측은 제1 보스(111)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측 단부(121)는 제1 본체(110)의 내면(116)에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터미널(120)은 볼트 또는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4)에 의해 제1 본체(11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보스(111), 제2 보스(112) 및 제3 보스(113)가 형성된 제1 본체(11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본체(110)는 설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 조립체(1)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한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필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필터부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제1 하우징의 제1 터미널과 필터부의 제2 터미널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제1 하우징의 제1 돌기와 필터부의 제1 홀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제1 하우징의 제1 돌기가 융착되어 제1 홀에 고정되는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필터부(200)는 커넥터부(3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필터부(200)는 제1 하우징(100)의 내면(116)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필터부(200)는 제2 본체(210), 제2 터미널(220), 제2-1 터미널(230), 제2-2 터미널(240), 씨엠(CM, Common Mode) 필터(250) 및 두 개의 제1 캐패시터(2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터미널(220), 제2-1 터미널(230) 및 제2-2 터미널(240) 각각에는 제1 홀(225, 235, 245)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본체(21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터미널(220), 제2-1 터미널(230) 및 제2-2 터미널(24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인서트 사출 방식을 통해 제2 터미널(220), 제2-1 터미널(230) 및 제2-2 터미널(240)은 제2 본체(2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터미널(220), 제2-1 터미널(230) 및 제2-2 터미널(240) 각각은 동판과 같은 판금을 프레스 가공하여 우선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제2 본체(21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본체(210)에는 제2 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홀(211)에는 제1 하우징(100)의 제1 돌기(114)가 배치될 있다. 그에 따라, 제1 돌기(114)에 제2 홀(211)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제2 본체(210)는 제1 하우징(100)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필터부(200)의 조립 위치가 구속된다. 나아가, 제1 돌기(114)와 제2 홀(211)의 결합은 수평 방향에 대한 필터부(200)의 유동을 방지한다.
제2 터미널(220)의 일측은 제1 터미널(120)의 타측 단부(121)와 접촉되고, 타측은 씨엠 필터(250)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2 터미널(220)은 제1 터미널(120)의 갯수에 대응하여 두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제2 터미널(220)은 수평상으로 배치되는 제2 몸체(221), 제2 몸체(221)의 일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2 프레임(222), 제2 몸체(221)의 타측 단부를 절곡하여 형성되는 제2 절곡부(223), 제2 단부(224) 및 제1 홀(2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미널(120)과 접촉되는 제2 터미널(220)의 일측 단부인 제2 프레임(222)은 제2 몸체(221)의 일측을 하방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116)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1 터미널(120)의 일측 단부(121)와 하방으로 절곡된 제2 터미널(220)의 제2 프레임(222)은 접촉된다. 이때, 제1 터미널(120)의 일측 단부(121)와 제2 터미널(220)의 제2 프레임(222)은 퓨징 공정을 통해 접촉력이 향상될 수 있다.
제2 터미널(220)의 타측 단부 중 하나인 제2 절곡부(223)는 씨엠 필터(250)에 배치되는 제1 와이어(251)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제2 몸체(221)의 타측에 형성된 제2 절곡부(223)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퓨징 공정을 통해 제1 와이어(251)와 제2 터미널(220)의 타측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터미널(220)의 타측에서 분기된 제2 단부(224)는 제1 캐패시터(260)에 배치되는 제2 와이어(26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컨데, 제2 단부(224)는 두 개의 돌기가 이격되게 배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 사이에 제2 와이어(261)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퓨징 공정을 통해 제2 와이어(261)와 제2 터미널(220)의 제2 단부(224)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2 터미널(220)에는 제1 홀(22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홀(225)에는 제1 하우징(100)의 제1 돌기(114)가 배치될 있다. 그에 따라, 제1 돌기(114)에 제1 홀(225)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제1 돌기(114)에 제1 홀(225)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기(114)의 단부는 가열에 의해 제2 터미널(220)에 융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필터부(200)는 제1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1 터미널(230)의 일측은 커넥터부(300)를 향해 절곡되고, 타측은 씨엠 필터(250)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2-1 터미널(230)은 두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제2-1 터미널(230)은 수평상으로 배치되는 제2-1 몸체(231), 제2 몸체(221)의 일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2-1 프레임(232), 제2 몸체(221)의 타측 단부를 절곡하여 형성되는 제2-1 절곡부(233) 및 제1 홀(2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프레임(232)은 제2-1 몸체(231)의 일측 단부를 하방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하방으로 절곡된 제2-1 터미널(230)의 일측 단부인 제2-1 프레임(232)은 커넥터부(300)의 제3 터미널(32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1 프레임(232)에는 두 개의 제2 돌기(234)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2 돌기(234)와 제3 터미널(320)과의 결합력 및 접촉력은 향상될 수 있다.
제2-1 터미널(230)의 타측은 씨엠 필터(250)에 배치되는 제1 와이어(251)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제2-1 터미널(230)의 제2-1 절곡부(233)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퓨징 공정을 통해 제1 와이어(251)와 제2-1 터미널(230)의 타측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2-1 터미널(230)에는 제1 홀(23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홀(235)에는 제1 하우징(100)의 제1 돌기(114)가 배치될 있다. 그에 따라, 제1 돌기(114)에 제1 홀(235)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제1 돌기(114)에 제1 홀(235)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기(114)의 단부는 가열에 의해 제2-1 터미널(230)에 융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필터부(200)는 제1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2 터미널(240)은 접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2 터미널(240)의 일측은 커넥터부(300)를 향해 절곡되고, 타측은 제1 캐패시터(260)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2-2 터미널(240)의 타측 단부(242)는 두 개로 제공되는 제1 캐패시터(260)에 각각 연결되기 위해 분기될 수 있다.
제2-2 터미널(240)은 수평상으로 배치되는 제2-2 몸체(241), 제2 몸체(241)의 일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2-2 프레임(242), 제2-2 단부(244) 및 제1 홀(24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2 프레임(242)은 제2-2 몸체(241)의 일측을 하방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하방으로 절곡된 제2-2 터미널(240)의 일측의 단부인 제2-2 프레임(242)은 커넥터부(300)의 제3-3 터미널(35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2 프레임(242)에는 두 개의 제2 돌기(243)가 서로 이격되게 더 배치될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2 돌기(243)와 제3-4 터미널(360)과의 결합력 및 접촉력은 향상될 수 있다.
제2-2 터미널(240)의 타측은 제1 캐패시터(260)에 배치되는 제2 와이어(26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제2-2 터미널(240)의 타측 단부인 제2-2 단부(244)는 두 개의 돌기가 이격되게 배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 사이에 제2 와이어(261)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퓨징 공정을 통해 제2 와이어(261)와 제2-2 터미널(240)의 타측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2-2 터미널(240)에는 제1 홀(24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홀(245)에는 제1 하우징(100)의 제1 돌기(114)가 배치될 있다. 그에 따라, 제1 돌기(114)에 제1 홀(245)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제1 돌기(114)에 제1 홀(245)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기(114)의 단부는 가열에 의해 제2-2 터미널(240)에 융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필터부(200)는 제1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다.
씨엠 필터(250)는 제2 터미널(220)과 제2-1 터미널(230) 사이에 배치될 있다. 이때, 씨엠 필터(250)는 제2 본체(2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서로 이격되게 수평상으로 배치되는 제2 본체(210)의 두 개의 다리 사이에 배치될 있다.
씨엠 필터(250)는 공통모드 노이즈를 줄일 수 있다. 예컨데, 제1 터미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터미널(220)은 전원선으로 이용되며, 상기 전원선으로 이용됨에 따라 발생하는 전도 노이즈 중 공통모드 전류 성분에 의한 공통모드 노이즈를 줄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씨엠 필터(250)에는 복수 개의 제1 와이어(251)가 배치되며, 제1 와이어(251)는 상기 다리 사이에서 제2 터미널(220) 및 제2-1 터미널(230)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캐패시터(260)는 제2 본체(2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캐패시터(260)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와이어(261)는 제2 터미널(220) 및 제2-2 터미널(240)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커넥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커넥터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커넥터부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커넥터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의 제3 터미널, 제3-1 터미널, 제3-2 터미널, 제3-3 터미널, 디엠 필터 및 제2 캐패시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은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의 제3 터미널, 제3-1 터미널, 제3-2 터미널, 제3-3 터미널, 디엠 필터 및 제2 캐패시터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19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필터부와 커넥터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커넥터부(300)는 제1 커버부(4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커넥터부(300)는 필터부(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커넥터부(300)는 제3 본체(310), 제3 터미널(320), 제3-1 터미널(330), 제3-2 터미널(340), 제3-3 터미널(350), 제3-4 터미널(360), 디엠(DM, Differential Mode) 필터(370) 및 세 개의 제2 캐패시터(3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본체(31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터미널(320), 제3-1 터미널(330), 제3-2 터미널(340), 제3-3 터미널(350), 제3-4 터미널(36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인서트 사출 방식을 통해 제3 터미널(320), 제3-1 터미널(330), 제3-2 터미널(340), 제3-3 터미널(350), 제3-4 터미널(360)은 제3 본체(3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3 터미널(320), 제3-1 터미널(330), 제3-2 터미널(340), 제3-3 터미널(350), 제3-4 터미널(360) 각각은 동판과 같은 판금을 프레스 가공하여 우선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제3 본체(310)에는 제4 홀(311) 및 복수 개의 제2 돌출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4 홀(311)에 배치되는 체결부재(4)에 의해 터미널부(300)는 제1 커버부(4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돌출부(312)는 제3 본체(310)에서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돌출부(312)는 제3 본체(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부(312)는 제1 커버부(400)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돌출부(312)의 내부에 일 영역이 각각 배치되는 제3 터미널(320), 제3-1 터미널(330), 제3-2 터미널(340) 및 제3-3 터미널(350)은 제1 커버부(400)와 절연될 수 있다.
제3 터미널(320)은 제2-1 터미널(230)과 기판(6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때, 제3 터미널(320)은 두 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터미널(320)의 일 영역은 제1 커버부(400)를 관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커버부(400)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터미널(320)은 수평상으로 배치되는 제3 몸체(321), 제3 몸체(321)의 일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3 프레임(322) 및 제3 홀(3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몸체(321) 각각에는 제3 홀(32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홀(323)에는 제2-1 터미널(230)의 일측 단부인 제2-1 프레임(232)이 결합될 수 있다.
만일, 제3 홀(323)이 두 개로 형성되면, 제2-1 프레임(232)에 형성된 제2 돌기(234)가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1 터미널(230)과 제3 터미널(320)의 결합력 및 접촉력은 향상될 수 있다.
제3 터미널(320)의 일 영역은 기판(600)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예컨데, 절곡된 제3 터미널(320)의 일측 단부인 제3 프레임(322)은 하방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터미널(320)의 제3 프레임(322)은 제2 돌출부(312)의 단부에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돌출부(312)는 제3 프레임(322)의 일 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제3 터미널(320)이 제1 커버부(400)와 절연되게 한다.
그리고, 제2 돌출부(312)에서 노출된 제3 프레임(322)의 단부는 솔더링(soldering)을 통해 기판(6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3-1 터미널(330)의 일측은 기판(600)과 연결되고, 타측은 디엠 필터(370)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3-1 터미널(330)은 디엠 필터(370)와 기판(600)을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이때, 제3-1 터미널(330)의 일 영역은 제1 커버부(400)를 관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커버부(400)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3-1 터미널(330)은 수평상으로 배치되는 제3-1 몸체(331), 제3-1 몸체(331)의 일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3-1 프레임(332) 및 제3-1 몸체(331)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3-1 단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1 몸체(331)의 일 영역은 기판(600)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예컨데, 절곡된 제3-1 터미널(330)의 일측 단부인 제3-1 프레임(332)은 제3-1 몸체(331)의 일측을 하방을 향해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3-1 프레임(332)의 단부인 제3-1 프레임(332)은 제2 돌출부(312)의 단부에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돌출부(312)는 제3-1 프레임(332)의 일 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제3-1 터미널(330)이 제1 커버부(400)와 절연되게 한다.
그리고, 제2 돌출부(312)에서 노출된 제3-1 프레임(332)의 단부는 솔더링(soldering)을 통해 기판(6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3-1 터미널(330)의 타측 단부인 제3-1 단부(333)는 디엠 필터(370)에 배치되는 제3 와이어(37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제3-1 단부(333)는 두 개의 돌기가 이격되게 배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 사이에 제3 와이어(371)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퓨징 공정을 통해 제3 와이어(371)와 제3-1 터미널(330)의 제3-1 단부(333)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2 터미널(340)은 디엠 필터(370), 제2 캐피시터(380), 파워모듈부(500) 및 기판(600)을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제3-2 터미널(340)은 수평상으로 배치되는 제3-2 몸체(341), 제3-2 몸체(341)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3-2 프레임(342) 및 제3-2 몸체(341)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3-2 단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2 프레임(342)은 파워모듈부(500)에 단부가 결합하는 제3-2-1 프레임(342a)과 기판(600)에 단부가 결합하는 제3-2-2 프레임(342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3-2 단부(343)는 디엠 필터(370)와 결합하는 제3-2-1 단부(343a)와 제2 캐피시터(380)와 결합하는 제3-2-2 단부(34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2 몸체(341)의 일 영역은 하방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예컨데, 절곡된 제3-2 터미널(340)의 일측 단부인 제3-2 프레임(342)은 제3-1 몸체(331)의 일측을 하방을 향해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3-2 프레임(342) 중 하나인 제3-2-1 프레임(342a)의 단부는 파워모듈부(500)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3-2 프레임(342) 중 다른 하나인 제3-2-2 프레임(342b)의 단부는 기판(60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3-2-1 프레임(342a)의 길이는 제3-2-2 프레임(342b)의 길이보다 작다.
제3-2 터미널(340)의 제3-2 프레임(342)은 제1 커버부(400)를 관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커버부(400)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3-2 터미널(340)의 제3-2 프레임(342)은 제2 돌출부(312)의 단부에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돌출부(312)는 제3-2 프레임(342)의 일 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제1 커버부(400)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3-2 터미널(340)이 제1 커버부(400)와 절연되게 한다.
그리고, 제2 돌출부(312)에서 노출된 제3-2-2 프레임(342b)의 단부는 솔더링(soldering)을 통해 기판(6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3-2 터미널(340)의 타측 단부 중 하나인 제3-2-1 단부(343a)는 디엠 필터(370)에 배치되는 제3 와이어(37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제3-2-1 단부(343a)는 두 개의 돌기가 이격되게 배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 사이에 제3 와이어(371)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퓨징 공정을 통해 제3 와이어(371)와 제3-1 터미널(330)의 제3-2-1 단부(343a)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2 터미널(340)의 타측 단부 중 다른 하나인 제3-2-2 단부(343b)는 제2 캐패시터(380)에 배치되는 제4 와이어(38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컨데, 제3-2-2 단부(343b)는 두 개의 돌기가 이격되게 배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 사이에 제4 와이어(381)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퓨징 공정을 통해 제4 와이어(381)와 제3-1 터미널(330)의 제3-2-2 단부(343b)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3 터미널(350)은 제2 캐피시터(380), 파워모듈부(500) 및 기판(600)을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제3-3 터미널(350)은 수평상으로 배치되는 제3-3 몸체(351), 제3-3 몸체(351)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3-3 프레임(352) 및 제3-3 몸체(351)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3-3 단부(3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3 몸체(351)의 일 영역은 하방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예컨데, 절곡된 제3-3 터미널(350)의 일측 단부인 제3-3 프레임(352)은 제3-1 몸체(331)의 일측을 하방을 향해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3-3 프레임(352)은 기판(600)에 단부가 결합하여 전원을 전달받는 제3-3-1 프레임(352a), 기판(600)에 단부가 결합하여 전원을 전달하는 제3-3-2 프레임(352b) 및 파워모듈부(500)에 단부가 결합하여 전원을 전달하는 제3-3-3 프레임(352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3-3 프레임(352c)의 길이는 제3-3-1 프레임(352a)의 길이보다 작다. 그리고, 제3-3-1 프레임(352a)의 길이는 제3-3-2 프레임(352b)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3-3 터미널(350)의 제3-3 프레임(352)은 제1 커버부(400)를 관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커버부(400)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3 터미널(350)의 제3-3 프레임(352)은 제2 돌출부(312)의 단부에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돌출부(312)는 제3-3 프레임(352)의 일 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제1 커버부(400)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3-3 터미널(350)이 제1 커버부(400)와 절연되게 한다.
그리고, 제2 돌출부(312)에서 노출된 제3-3 프레임(352)의 단부는 솔더링(soldering)을 통해 기판(6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3-3 터미널(350)의 타측 단부인 제3-3 단부(353)는 제2 캐패시터(380)에 배치되는 제4 와이어(38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컨데, 제3-3 단부(353)는 두 개의 돌기가 이격되게 배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 사이에 제4 와이어(381)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퓨징 공정을 통해 제4 와이어(381)와 제3-1 터미널(330)의 제3-3 단부(353)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4 터미널(360)은 제2-2 터미널(240) 및 제1 커버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4 터미널(360)은 제3-3 터미널(350)의 일 영역을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인서트 사출 방식을 통해 제3 본체(310)에 제3-3 터미널(350)을 배치할 때, 제3-3 터미널(350)의 일 영역을 가압하여 절개함으로써, 제3-4 터미널(360)을 형성할 수 있다.
제3-4 터미널(360)은 수평상으로 배치되는 제3-4 몸체(361), 제3-4 몸체(361)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3-4 프레임(362) 및 제3-4 몸체(361)에서 수평상으로 돌출되는 제3-4 단부(3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4 몸체(361)의 일 영역은 하방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예컨데, 절곡된 제3-4 터미널(360)의 일측 단부인 제3-4 프레임(362)은 제3-4 몸체(361)의 일측을 하방을 향해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3-4 프레임(362)의 단부를 수평상으로 절곡함으로써, 제3-4 프레임(362)의 단부는 제1 커버부(400)와 접촉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3-4 프레임(362)은 접지를 수행할 수 있다.
제3-4 단부(363)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돌기로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4 단부(363)는 제2-2 프레임(242)의 제2 돌기(243)와 결합될 수 있다.
디엠 필터(370)는 제3-1 터미널(330)과 제3-2 터미널(340) 사이에 배치될 있다.
디엠 필터(370)는 차동모드 노이즈를 줄일 수 있다. 예컨데, 제3-1 터미널(330)과 제3-2 터미널(340)은 전원선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선으로 이용됨에 따라 발생하는 전도 노이즈 중 차동모드 전류 성분에 의한 공통모드 노이즈를 줄일 수 있다.
디엠 필터(370)에는 복수 개의 제3 와이어(271)가 배치되며, 제3 와이어(271)는 제3-1 터미널(330)과 제3-2 터미널(340)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캐패시터(380)는 제3 본체(3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캐패시터(380)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4 와이어(281)는 제3-2 터미널(340) 및 제3-3 터미널(350)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0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제1 커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제1 커버부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22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제1 커버부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23은 도 3의 A영역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제1 커버부(400)는 제1 하우징(100)의 개구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제1 커버부(400)는 제1 하우징(100)의 개구에 배치되는 제4 본체(410)와 제4 본체(410)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제3 돌출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커버부(400)는 실링부재(430) 및 오링(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본체(410)와 제3 돌출부(4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커버부(4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제1 커버부(400)는 다이캐스팅 방식을 통해 열전도성이 좋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본체(4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본체(410)의 상면(411)에는 제3-4 프레임(362)의 단부가 접촉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제4 본체(410)는 접지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3 돌출부(420)는 모터(3)의 제2 하우징(10)과 접촉될 수 있다.
제4 본체(410)의 상면(4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 홈(4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홈(412)은 제1 하우징(100)의 제1 돌출부(115)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돌출부(115)는 제1 홈(41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홈(412)은 두 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제1 하우징(100)과 제1 커버부(400)의 결합력 및 기밀성은 향상된다.
제1 홈(412)에는 실링부재(43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재(430)는 제1 돌출부(115)와 제1 홈(412) 사이에 배치되어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4 본체(410)에는 복수 개의 제5 홀(413)이 형성된다. 제5 홀(413)은 제4 본체(410)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커넥터(700), 제2 커넥터(800) 및 제3 터미널(320)의 프레임 등은 제5 홀(413)을 통해 제4 본체(410)를 관통할 수 있다.
제4 본체(410)의 하면(414)에는 제2 홈(41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돌기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제4 돌기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돌기는 제4 본체(4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돌출부(420)는 제4 본체(410)에서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돌출부(42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돌출부(420)는 모터(3)의 제2 하우징(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3 돌출부(420)의 외주면은 제2 하우징(10)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접지를 수행한다.
제3 돌출부(420)에는 외주면을 따라 제2 홈(4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홈(421)에는 오링(44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링(440)은 제2 하우징(10)의 내주면과 제3 돌출부(420) 사이에 배치되어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4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파워모듈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5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파워모듈부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26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파워모듈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7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파워모듈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8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파워모듈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9는 실시예에 따른 파워모듈부의 파워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0은 실시예에 따른 파워모듈부의 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파워모듈부(500)는 모터(3)를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송출한다.
도 24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파워모듈부(500)는 파워모듈(510) 및 브라켓(520)을 포함할 수 있다.
파워모듈(510)은 모터(3)를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송출한다. 여기서, 파워모듈(510)로는 APM(Automotive Power Module)이 이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어기(2)의 다른 구성에 비해 파워모듈(510)은 발열량이 높다.
파워모듈(510)은 제5 본체(511), 제5 본체(511)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핀(512) 및 제5 본체(511)의 타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다섯 개의 터미널 핀(51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파워모듈(510)은 제3 홈(5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핀(512)과 터미널 핀(513)은 서로 마주보게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핀(512)의 단부는 기판(600) 결합되어 기판(6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제1 핀(512)은 솔더링을 통해 기판(6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터미널 핀(513)은 제1 터미널 핀(513a)과 제2 터미널 핀(513b)을 포함할 수 있다.
세 개의 제1 터미널 핀(513a)은 브라켓(520)의 제4 터미널(5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원은 제4 터미널(522)을 통해 상기 모터(3)에 공급될 수 있다.
두 개의 제2 터미널 핀(513b) 각각은 제3-2 터미널(340)의 제3-2-1 프레임(342a) 및 제3-3 터미널(350)의 제3-3-3 프레임(352c)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파워모듈(510)을 브라켓(520)에 배치할 때, 제3 홈(514)은 파워모듈(510)의 조립을 안내한다.
제3 홈(514)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본체(511)의 양측에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홈(514)은 제5 본체(511)를 지나는 가상의 선(L)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파워모듈(510)은 제3 돌기(5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제3 돌기(515)는 제1 터미널 핀(513a)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제3 돌기(515)는 제1 터미널 핀(513a)의 돌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 돌기(515)의 단부는 솔더링을 통해 기판(600)에 고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기판(600)에 배치되는 센서는 제3 돌기(515)를 통해 상기 모터(3)에 신호가 전달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기판(600)은 상기 모터(3)에 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모터(3)를 셧 오프(Shut off)할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돌기(515)의 폭(W1)은 제1 터미널 핀(513a)의 폭(W2)보다 작다. 그에 따라, 제3 돌기(515)는 기판(600)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3 돌기(515)의 폭(W1)은 기판(600)에 대한 점유 공간 및 솔더링 량을 좌우한다.
브라켓(520)은 파워모듈(510)을 제1 커버부(400)의 하면(414)에 밀착시킨다. 이때,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4)가 이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파워모듈(510)에서 발생하는 열은 제1 커버부(400)로 전도되고, 전도된 열은 상기 모터(3)의 제2 하우징(1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즉,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제1 커버부(400)에 의해 상기 제어기(2)의 방열 효과는 증대될 수 있다.
브라켓(520)은 제6 본체(521) 제4 터미널(5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6 본체(521)는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제4 터미널(522)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4 터미널(522)은 인서트 사출 방식을 통해 제6 본체(521)에 배치될 수 있다.
제6 본체(521)는 제6 본체(521)에 형성된 캐비티(523), 제4 보스(524), 제1 플레이트(525), 서로 이격되게 제6 본체(521)에 배치되는 후크(526), 제4 돌기(527) 및 제4 돌출부(52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보스(524), 제1 플레이트(525), 후크(526), 제4 돌기(527) 및 제4 돌출부(528)는 제6 본체(5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523)에는 파워모듈(510)의 제5 본체(511)가 배치될 수 있다.
세 개의 제4 보스(524)는 제6 본체(521)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4 보스(524) 각각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4 보스(524)의 내부에는 제4 터미널(522)의 일측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보스(524) 각각은 상기 모터(3)의 버스바 터미널(62)의 일 영역과의 결합을 안내한다. 그에 따라, 버스바 터미널(62)의 일 영역은 제4 터미널(522)의 일측과 결합되어 3상(U, V, W) 전원 중 어느 하나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1 플레이트(525)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523)를 가로지르게 제6 본체(52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플레이트(525)는 제5 본체(511)의 하면(511a)과 접촉하여 파워모듈(511)이 제1 커버부(400)에 밀착되게 한다.
후크(526)는 서로 이격되게 제6 본체(52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후크(526)는 제6 본체(521)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파워모듈(510)을 캐비티(523)에 배치시, 후크(526)는 제5 본체(511)를 제6 본체(521)에 고정시킨다. 이때, 제4 본체(410)의 하면(414)에는 제2 홈(415)이 형성될 수 있는바, 제1 커버부(400)의 제2 홈(415)에 후크(426)의 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커버부(400)와 파워모듈부(500)의 결합시, 후크(526)에 의한 간섭이 방지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526)는 제5 본체(511)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선(L)에서 소정의 간격(d)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커버부(400)와 파워모듈부(500)의 결합시, 제2 홈(415)과 후크(526)의 결합에 의해 파워모듈부(500)가 기 설정된 위치에 조립될 수 있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돌기(527)는 캐비티(523)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돌기(527)는 파워모듈(510)의 제3 홈(514)과 결합된다. 그에 따라, 파워모듈(510)과 브라켓(420)의 결합시, 제4 돌기(527)가 제3 홈(514)에 배치됨으로써, 제4 돌기(527)는 파워모듈(510)의 결합을 안내할 수 있다.
제4 돌출부(528)는 제6 본체(521)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4 돌출부(528)는 제1 핀(512)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인접이라함은 접촉 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4 돌출부(528)는 제1 핀(512)을 보호할 수 있다. 예컨데, 제1 핀(512)이 기판(600)과 결합시, 제4 돌출부(528)는 제1 핀(512)의 일 영역을 지지함으로써, 제1 핀(512)이 휘는 현상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돌출부(528)는 제4-1 돌출부(528a)와 복수 개의 제4-2 돌출부(528b)를 포함할 수 있다.
제4-1 돌출부(528a)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있다. 그리고, 제4-2 돌출부(528b)는 제4-1 돌출부(528a)의 일면에서 제1 핀(512)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4-2 돌출부(528b) 사이에는 제1 핀(512)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핀(512)의 단부와 기판(600)과 결합을 위해, 제1 커버부(400)의 하면(414)을 기준으로 제4 돌출부(528)의 돌출높이(H1)는 제1 핀(512)의 돌출높이(H2)보다 작다. 즉, 제1 핀(512)의 돌출높이(H2)는 제4 돌출부(528)의 돌출높이(H1)보다 크다. 여기서, 상기 돌출높이는 돌출길이라 불리울 수 있다.
제4 터미널(522)은 제1 터미널 핀(513a)과 상기 모터(3)의 버스바 터미널(62)을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도 25 및 도 27을 참조하면, 제4 터미널(522)의 일측 단부는 하방을 향해 절곡되어 노출되면, 타측 단부는 제4 보스(524)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1은 실시예에 따른 파워모듈부의 제4 터미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제4 터미널(522)은 수평상으로 배치되는 제4 몸체(522a), 제4 몸체(522a)의 일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4 프레임(522b) 및 제4 몸체(522a)의 타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후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제4 단부(522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단부(522c)에는 제6 홀(522d)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4 단부(522c)는 제4 보스(524)의 내부에 노출되게 배치된다.
제4 프레임(522b)은 제1 터미널 핀(513a)과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4 프레임(522b)과 제1 터미널 핀(513a)은 퓨징 공정을 통해 접촉력이 향상될 수 있다.
제6 홀(522d)에는 버스바 터미널(62)의 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6 홀(522d)은 두 개가 형성되어 버스바 터미널(62)의 단부와의 결합력 및 접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파워모듈부(500)의 파워모듈(510)과 제1 커버부(400) 사이에는 열전달부재(530)가 더 배치될 있다. 그에 따라, 파워모듈(410)에 의해 발생하는 열은 열전달부재(530)를 통해 제1 커버부(400)에 전도된다.
도 32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기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판(600)은 전원의 역접속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역접속이라 함은 전원의 양극과 음극이 기 설정된 바와 다르게 인가되는 것을 의미하며, 그에 따라, 상기 모터 조립체(1)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600)은 전원의 양극과 음극이 기 설정된 바와 다르게 인가되더라도 모스펫을 이용하여 그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기(2)는 제1 보스(111)에 결합되는 외부 커넥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필터부(200) 및 커넥터부(300)에서 노이즈를 제거한 후 기판(60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기판(600)에서 역접속이 방지된 전원은 커넥터부(300)로 전달된 후 파워모듈부(500)와 기판(600)으로 공급된다.
또한, 기판(600)은 제1 커넥터(700) 및 제2 커넥터(800)를 통해 상기 외부 커넥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기판(600)은 파워모듈부(5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기판(600)은 회로배선이 배치되는 제7 본체(610), 복수 개의 제7 홀(620), 모스펫(630) 및 센서(6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7 홀(620)은 제7 본체(61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7 홀(620)에는 제3 프레임(322)의 단부, 제3-1 프레임(332)의 단부, 제3-2-2 프레임(342b)의 단부, 제3-3 프레임(352)의 단부, 제1 핀(512)의 단부 및 제3 돌기(515)의 단부 등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단부는 제7 본체(610)에 솔더링되어 고정될 수 있다.
모스펫(630)은 제7 본체(6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모스펫(630)은 필터부(200)와 커넥터부(300)에 의해 노이즈가 제거되어 제7 본체(610)로 공급된 전원의 역접속을 방지한다.
센서(640)는 제7 본체(6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640)는 제3 돌기(515)를 통해 상기 모터(3)에 신호가 제대로 전달되는지 감지한다.
도 33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제1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커넥터(700)는 제2 보스(112)에 결합되는 외부 커넥터와 기판(6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33을 참조하면, 제1 커넥터(700)는 제8 본체(710)와 복수 개의 제2 핀(7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8 본체(71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제2 핀(720)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핀(720)의 일측은 제2 보스(112)에 결합되는 외부 커넥터와 연결되고, 타측은 기판(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4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제2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2 커넥터(800)는 제3 보스(113)에 결합되는 외부 커넥터와 기판(6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33을 참조하면, 제2 커넥터(800)는 제9 본체(810)와 복수 개의 제3 핀(8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9 본체(81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제3 핀(820)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핀(820)의 일측은 제3 보스(113)에 결합되는 외부 커넥터와 연결되고, 타측은 기판(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모터(3)는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제2 하우징(10), 제2 하우징(10)의 상기 개구를 덮는 제2 커버부(20), 하우징(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30), 스테이터(30)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로터(40), 로터(40)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50) 및 버스바(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회전축(50)의 회전을 위해 회전축(50)의 외주면에는 베어링(7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하우징(10)과 제2 커버부(20)는 상기 모터(3)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하우징(10)과 제2 커버부(20)의 결합에 의해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터(30), 로터(40), 회전축(50) 및 버스바(6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0)은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게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하우징(10)의 내주면은 제3 돌출부(420)의 외주면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하우징(1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커버부(20)를 통해 전달되는 열은 제2 하우징(1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그리고, 제2 하우징(10)은 제2 커버부(20)와 접촉되기 때문에, 접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커버부(20)은 제2 하우징(10)의 상부측 개구에 배치된다. 이때, 제2 커버부(20)의 내부에는 베어링(70)이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30)는 제2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스테이터(30)는 로터(40)와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테이터(30)는 스테이터 코어(31), 스테이터 코어(31)에 권취되는 코일(33) 및 터미널(3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테이터(30)는 스테이터 코어(31)와 코일(33) 사이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32)는 스테이터 코어(31)와 코일(33)을 절연시킨다.
스테이터 코어(31)는 판상의 플레이트들을 소정의 높이로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로터(40)는 스테이터(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회전축(50)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로터(40)는 스테이터(3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로터(40)는 디스크 형상의 코어 플레이트가 복수 매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로터(40)에 배치된 마그넷들은 스테이터(30)와 마주하게 배치되며, 각 마그넷들은 로터(40)에 내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로터(4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IPM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터(40)는 로터 코어의 외주면에 마그넷이 배치되는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코일(33)과 마그넷의 전기적 상호 작용으로 로터(40)가 회전한다. 그리고, 로터(4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50)이 회전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회전축(50)은 로터(40)의 중앙부에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30)에 구동전류가 인가되면, 스테이터(30)와 로터(40)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로터(40)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회전축(50)이 로터(4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버스바(60)는 스테이터(30)의 상측에 배치된다.
버스바(60)는 버스바 몸체(61)와 버스바 몸체(61)의 내부에 버스바 터미널(6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버스바 몸체(61)는 사출 성형을 통해 형성된 몰드물일 수 있다.
버스바 터미널(62)은 U,V,W 상의 전원과 연결되는 상터미널일 수 있다.
버스바 터미널(62)의 연결단들은 버스바 몸체(61)에서 노출되게 배치된다. 그에 따라, 버스바 터미널(62)의 연결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33)과 연결될 수 있다.
도 35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버스바 터미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버스바 터미널(62)은 제10 본체(62a)와 제10 본체(62a)에서 상부로 돌출된 제5 프레임(6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프레임(62b)은 제2 커버부(20)를 관통하여 제2 커버부(20)의 상부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5 프레임(62b)의 단부는 제4 보스(524)에 의해 안내되어 제4 보스(524)의 내부에 배치된 제4 터미널(522)의 일측과 결합된다. 이때, 제5 프레임(62b)의 단부에는 두 개의 돌기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는 제4 터미널(522)의 제6 홀(522d)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모터 조립체
10: 제2 하우징 20: 제2 커버부
60: 버스바
100: 제1 하우징 200: 필터부
300: 커넥터부 400: 제1 커버부
500: 파워모듈부
600: 기판 630: 모스펫
700: 제1 커넥터 800: 제2 커넥터

Claims (15)

  1.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개구에 배치되는 제1 커버부;
    디엠(DM) 필터를 포함하는 커넥터부;
    상기 커넥터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씨엠(CM)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제1 커버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파워모듈부;
    상기 파워모듈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판; 및
    일측이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버부를 관통하고,
    상기 커넥터부와 상기 파워모듈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커버부에 의해, 상기 커넥터부와 상기 파워모듈부는 수직상 이격되고,
    상기 파워모듈부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제1 커버부 사이에 배치되는 파워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파워모듈이 배치되는 캐비티와 하방으로 돌출되는 세 개의 제4 보스가 형성된 제6 본체;
    일측이 상기 제4 보스 각각의 내부에 노출되게 배치되고 타측은 하방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6 본체에 배치되는 제4 터미널; 및
    상기 캐비티를 가로지르게 상기 제6 본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에 의해 상기 파워모듈의 일면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 상기 제1 커버부에 밀착되는 제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모듈은
    제5 본체;
    상기 제5 본체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핀; 및
    상기 제5 본체의 타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다섯 개의 터미널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핀의 단부는 상기 기판과 결합하는 제어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터미널은 상기 터미널 핀 중 세 개와 각각 접촉하는 제어기.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6 본체에서 돌출된 적어도 두 개의 후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크에 의해 상기 파워모듈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후크는 상기 파워모듈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선(L)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후크의 단부가 배치되게 상기 제1 커버부의 하면에는 제2 홈이 형성되는 제어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6 본체는 하방으로 돌출된 제4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돌출부는 상기 제1 핀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어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핀의 돌출높이는 상기 제4 돌출부의 돌출높이보다 큰 제어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본체와 상기 제1 커버부 사이에는 열전달부재가 더 배치되는 제어기.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터미널은
    수평상으로 배치되는 제4 몸체;
    상기 제4 몸체의 일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4 프레임; 및
    상기 제4 몸체의 타측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4 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4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프레임은 상기 터미널 핀과 접촉되는 제어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부에는 제6 홀이 형성되는 제어기.
  12. 제어기, 및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개구에 배치되는 제1 커버부;
    디엠(DM) 필터를 포함하는 커넥터부;
    상기 커넥터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씨엠(CM)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제1 커버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파워모듈부;
    상기 파워모듈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판; 및
    상기 제1 커버부를 관통하여 일측이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버부를 관통하고,
    상기 커넥터부와 상기 파워모듈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커버부에 의해, 상기 커넥터부와 상기 파워모듈부는 수직상 이격되고,
    상기 파워모듈부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제1 커버부 사이에 배치되는 파워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파워모듈이 배치되는 캐비티와 하방으로 돌출되는 세 개의 제4 보스가 형성된 제6 본체;
    일측이 상기 제4 보스 각각의 내부에 노출되게 배치되고 타측은 하방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6 본체에 배치되는 제4 터미널; 및
    상기 캐비티를 가로지르게 상기 제6 본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에 의해 상기 파워모듈의 일면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 상기 제1 커버부에 밀착되는 모터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 배치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의 상부에 배치되는 버스바;
    상기 로터, 상기 스테이터 및 상기 버스바를 수용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개구에 배치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스바는
    버스바 몸체; 및
    버스바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파워모듈이 배치되는 캐비티와 하방으로 돌출되는 세 개의 제4 보스가 형성된 제6 본체; 및
    일측이 상기 제4 보스 각각의 내부에 노출되게 배치되고 타측은 하방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6 본체에 배치되는 세 개의 제4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바 터미널의 일측은 상기 제4 터미널의 제6 홀과 결합하는 모터 조립체.
  14. 삭제
  15. 삭제
KR1020170128155A 2017-09-29 2017-09-29 제어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조립체 KR102466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155A KR102466611B1 (ko) 2017-09-29 2017-09-29 제어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조립체
CN201880063839.6A CN111201699B (zh) 2017-09-29 2018-07-27 控制器和包括该控制器的马达部件
EP18861426.7A EP3691094A4 (en) 2017-09-29 2018-07-27 CONTROL DEVICE AND ENGINE ASSEMBLY INCLUDING IT
PCT/KR2018/008514 WO2019066233A1 (ko) 2017-09-29 2018-07-27 제어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조립체
JP2020515702A JP7148603B2 (ja) 2017-09-29 2018-07-27 制御器およびこれを含むモータ組立体
US16/647,813 US11545878B2 (en) 2017-09-29 2018-07-27 Controller and motor assembly comprising same
US18/074,626 US20230098103A1 (en) 2017-09-29 2022-12-05 Controller and motor assembly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155A KR102466611B1 (ko) 2017-09-29 2017-09-29 제어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102A KR20190038102A (ko) 2019-04-08
KR102466611B1 true KR102466611B1 (ko) 2022-11-14

Family

ID=66164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8155A KR102466611B1 (ko) 2017-09-29 2017-09-29 제어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6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24401B2 (ja) * 2018-04-10 2022-08-24 株式会社デンソー 駆動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4885A (ja) 2002-09-06 2004-04-02 Asmo Co Ltd モータ及びワイパ用モータ
US20120098391A1 (en) * 2009-06-24 2012-04-26 Denso Corporation Drive apparatus
US20130088128A1 (en) 2010-10-27 2013-04-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evice for controlling drive of motor for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US20160347353A1 (en) * 2014-02-05 2016-12-01 Nidec Elesys Corporation Vehicle-mounted electronic control unit and vehicle-mounted mechanically/electrically integrated electric mo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263B1 (ko) * 2010-03-29 2012-02-22 전자부품연구원 Bldc 전동기의 센서 장치
KR101658094B1 (ko) * 2014-12-31 2016-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4885A (ja) 2002-09-06 2004-04-02 Asmo Co Ltd モータ及びワイパ用モータ
US20120098391A1 (en) * 2009-06-24 2012-04-26 Denso Corporation Drive apparatus
US20130088128A1 (en) 2010-10-27 2013-04-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evice for controlling drive of motor for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US20160347353A1 (en) * 2014-02-05 2016-12-01 Nidec Elesys Corporation Vehicle-mounted electronic control unit and vehicle-mounted mechanically/electrically integrated electric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102A (ko) 201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6610B1 (ko) 제어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조립체
CN103548246B (zh) 驱动装置一体型旋转电机
KR102504424B1 (ko) 모터용 제어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조립체
US8319382B2 (en) Electric motor having wire connection structure and wire connection method for the same
US8063594B2 (en) Motor drive apparatus
US8704417B2 (en) Motor control unit and brushless motor
US20230098103A1 (en) Controller and motor assembly comprising same
US11018544B2 (en) Motor
JP2010104205A (ja) 制御装置一体型回転電機
JP2020022357A (ja) バスバーデバイスとパワーコンバータハウジングとを備えたシステム、その生産方法、車両用パワーコンバータ、および車両
KR102327471B1 (ko) 접속 장치 및 전기 모터
EP3343736B1 (en) Terminal block of rotating electric machine
KR102466611B1 (ko) 제어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조립체
JP3902219B1 (ja) 集中配電部品
KR102421880B1 (ko) 제어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조립체
CN217282421U (zh) 紧凑型无刷电机
CN219627577U (zh) 逆变器及具有其的车辆
CN218182662U (zh) 用于双定子轴向磁通电机的接线板及双定子轴向磁通电机
JP2014161174A (ja) モータ装置
KR102663851B1 (ko) 전기 모터 및 이에 사용되는 코일 커넥터
KR20110064245A (ko) 모터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