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228B1 - 에어 마스크 필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에어 마스크 필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228B1
KR102466228B1 KR1020200074088A KR20200074088A KR102466228B1 KR 102466228 B1 KR102466228 B1 KR 102466228B1 KR 1020200074088 A KR1020200074088 A KR 1020200074088A KR 20200074088 A KR20200074088 A KR 20200074088A KR 102466228 B1 KR102466228 B1 KR 102466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air filter
thin film
po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6465A (ko
Inventor
권순창
Original Assignee
권순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창 filed Critical 권순창
Priority to KR1020200074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228B1/ko
Publication of KR20210156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35Electr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고분자 소재를 기반으로 제조되는 에어 필터 원단에 대해 효소 반응을 통해 필름의 다공성을 유도하여 제조된 박막 필름의 표면 개질 과정을 통해 양전하 또는 음전하 물질을 도입하여 표면 전하 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정전기가 부여되어 여과 성능이 향상된 에어 필터 소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 마스크 필터 및 그 제조방법 {Air mask filter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 중의 미세먼지 등 입자성 물질을 제거하여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에어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천연 소재를 시작 물질로 하여 제조된 다공
성 박막 필름에 화학적인 방법으로 표면 개질을 이루어 수분과 접촉이 되어
도 부여된 정전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즉 물 세척이 가능하며 여과 성능이
향상된 에어 필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전과 함께 공업지대는 물론 도시 집중화와 자동차의 급속한 보급에 의해 주거 지역의 대기까지도 오염이 점차 심각해지고 있으며 매년 중국에서 불어오는 황사 및 오염된 공기로 인해 전 지역의 대기오염이 가속화되는 상 황이다. 이러한 미세먼지와 대기오염은 감기, 기관지염, 아토피성 피부염 등 호흡기 및 피부 관련 질병의 발생 빈도를 크게 증가시키고 있는 것이 현실이 다.
이에 따라 각종 대형 빌딩, 산업 현장은 물론, 일반 가정에도 공기를 정화하 기 위한 다양한 공기 정화 장치가 빠르게 보급되고 있으며 외출 시 미세먼지 흡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마스크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공기 정화 장치나 마스크에는 미세먼지를 걸러내기 위한 에어 필터가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에어 필터는 단순히 미세한 공 극을 갖도록 제작되어 공기는 통과할 수 있지만 일정 크기 이상의 먼지는 통 과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공극 크기에 따라 여과 성능이 결정되도 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에어 필터의 공극 크기를 작게 제작할수록 크기가 작은 미세먼지까지 걸러낼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에어 필터의 공극 크기를 작게 제작하기 위해서 는 제조상의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기술적인 한계가 있으므로 제조비용 이 매우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에어 필터의 공극이 작아지면 먼지를 걸러내는 여과 성능은 높아지지 만 공기 투과율이 낮아져 활용성이 떨어진다는 문제도 발생된다. 예를 들어 공극이 매우 작은 에어 필터로 마스크를 제작하는 경우 마스크를 착용한 사 용자는 호흡을 하기가 매우 어려워지므로 장시간 동안 마스크를 착용하기가 불가하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즉, 공극의 크기를 일정 크기 이상 으로 유지하면서도 여과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정전기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를 끌어 당겨 걸러내는 정전기 에어 필터(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10274 호)가 제안된 바 있다. 종래의 에어 필터는 기공이 20~30 ㎛ 이어서 미세 분 진의 제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종래의 에어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는 운전 초기에 분진이 유출될 뿐만 아니라 탈진 후에도 필터 표면에 분진이 잔재하게 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상기 정전기 에어 필터는 필터 섬 유 제작 시 섬유에 정전기가 발생되도록 하여 섬유 원단의 공극보다 크기가 작은 미세먼지도 정전기에 의해 부착되어 걸러지도록 구성되는 바, 즉 공극 이 매우 작지 아니 하더라도 미세먼지까지 걸러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전기 에어필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부직포용 고분자 수지를 침착시키는 과정과 코로나 방전 하에서 방전시키는 과정이 필 수적으로 요구되는 바 제조공정이 매우 복잡하여 생산성이 매우 낮으며 제조 원가가 높아 상용화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즉 공극의 크기를 일정 크기 이상으로 유 지하면서도 여과 성능을 개선하고자 정전기 대신 점착성을 가진 물질을 에어 필터 원단에 분사하고 이의 경화가 완료되었을 때 겔(gelation)화가 됨으로 써 유입되는 공기중의 미세먼지 등이 점착성 겔에 흡착하여 제거되는 에어 필터(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08115)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의 점착성 에어 필터는 정전기와는 다른 작동 원리로 미세먼지가 제거될 수 있으나 제조 공 정이 복잡할 수 있고 세척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마스크를 필요로 하는 소비 자 요구와는 다소 거리감이 있다.
한편 기존 마스크 공기 정화 필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세척한 필터를 장착 하고 양단에서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새롭게 정전기를 부여하는 마스크 에어 필터(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23106)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의 교체 가능한 에어 필터는 마스크에 간단한 압전소자 장치가 결합되어 수시로 정전 기능을 새로이 부여할 수 있어 공기 정화 능력의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팬이 부 착된 송풍기와 결합되어 사용된다면 필터를 경유한 정화된 공기를 지속적으 로 공급할 수가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에어 필터가 부착된 마스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여러가 지 부착물이 많이 요구되고 전원 연결 등 제조 공정이 매우 복잡해지며 생산 성이 매우 낮으며 부착물이 증가함에 따라 제조 원가가 높아져서 일반 소비 자를 대상으로 하는 저렴하게 대량공급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를 수 밖에 없 다.
대한민국 공고특허 10-1923106 대한민국 공고특허 10-0310274 대한민국 공고특허 10-1808115
삭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서의 단점, 즉 직포 또는 부직포를 기반으로 제조되는 기존의 에어 필터 소재에 부여된 정전 기능의 약화와 수분에 의한 직접적인 정전기 소실 문제를 개선하고자, 경제성 및 여과 특성 조절이 개선된 천연 소재로 제조되는 기공성 필름을 제조하고 그의 표면이 양전하 또는 음전하의 대전 물질이 각각 화학적으로 표면에 부여됨으로써 물 세척이 가능하고 미세먼지 입자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지속적 사용이 가능한 에어 필터 소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에어 필터 제조 방법은,
공극을 갖는 필터 원단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필터 원단 표면에 전하성 물질을 화학적으로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양전하 부가 기공성 박막과 음전하 부가 기공성 박막을 각각 중 첩하여 하나의 세트로서 사용하여 정전기 힘에 기반한 공기 정화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 필터는,
천연 소재의 배합 및 가공 공정을 통해 제조된 필터 원단;
상기 제조된 필터 원단에 대하여 효소를 사용하여 공극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천연 고분자가 포함된 소재로 제조되는 필터 원단은 내구성 및 구조적 강화 를 위해 가교 반응(crosslinking)을 통해 제조된다.
상기 필터 원단의 공극 생성을 위해서는 단백질 분해효소가 사용될 수 있으 며 천연 소재의 원료 배합비율에 따른 다당류와 단백질 사이의 함량 비율 차 이를 통해 최종 필터 원단의 기공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공극 크기 조절이 가능하며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 필터는 공극의 크기를 기준치 이상으로 확보하면서도 미세먼지나 초미세입자를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고 제조 공정이 비교적 단 순하여 생산성 향상 및 제조 원가 절감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에어 필터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에어 필터의 공극 크기 조절이 비교적 용이하며 다공성 필름의 표면 개질로 인해 여과 성능이 우수한 에어 필터를 제조할 수 있고 에어 필터의 생산성 향상 및 제조 원가 절감을 가능 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 필터 제조과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양전하로 코팅된 에어 필터의 수직 절단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 필터의 다층 기공성 박막의 모습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에어 필터 및 그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 필터 제조 과정을 도식화한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 필터의 수직 절단 단면도이며, 도 3은 기공이 생성된 박막 에어 필터의 모습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 필터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나 초 미세입자 등을 효율적으로 걸러내기 위한 에어 필터의 일종으로서, 기준치 이상의 공극 크기를 가지면서도 크기가 매우 작은 미세먼지까지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제공하는 기능 대비 제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조되는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에어 필터는 천연 고분자 다당류 소재와 단백질 소재 그리고 이들 간의 가교제 역할을 담당하는 유기산 등이 일정 비율로 배합되고 균질화 된 이후 적절한 용기에 분주 되고 가온 상태에서 건조 공정을 거쳐서 가교(crosslink)가 완성되는 박막 필름을 제조하게 된다.
에어 필터용 박막 필름 제조를 위해 본 실시 예에서 원료로 사용되는 천연 소재는 키토산이며 단백질 원료로는 콜라젠,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 필터 제조에 사용이 가능한 천연 소재로는 키토산 이외에도 셀룰로오스, 녹말, 알긴산 등 천연 유래의 다당류가 될 수 있다. 한편 가교제로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 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 외 다른 가교 반응 기전에 의해 가교(crosslink)를 형성하는 화합물도 원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들 성분의 적절한 용해 및 배합을 거쳐 최종 원료 용액이 조제된다.
분자량 10~30만 크기의 키토산 소재를 최종 2% 키토산 용액이 되도록 50도 1% 아세트산 혹은 개미산에 투입하고 1시간 정도 교반하여 용해한다. 한편 별도의 용기에 젤라틴 원료도 동일한 과정을 통해 최종 2% 단백질 용액이 되도록 조제한다.
상기 각 원료 용액을 1:1 중량 비율로 배합하고 배합 용액의 온도는 50도로 유지하면서 교반을 통해 균질화 한다. 본 교반과정에서 가교제 역할을 하는 유기산을 1-10mM 농도 범위 내로 적절히 투입하여 혼합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가교제 역할을 하는 유기산으로서 구연산(citric acid)를 사용한다. 구연산이 투입된 배합 용액을 50도 조건에서 추가적으로 1시간 정도 교반하여 최종 배합 용액을 조제한다.
모든 원료가 배합된 용액의 온도를 40도로 낮추고 박막 필름의 유연성 확보를 위해 필요하다면 본 단계에서 0.05% 글리세린을 투입할 수 있다.
40도에서 미리 가열된 유리 재질의 용기에 상기 혼합액을 적당량 분주한다. 분주 용량에 따라 최종 건조되는 박막 필름의 두께는 달라질 수 있기에 이러한 방법을 통해 용기당 분주 용량을 결정하고 실시함으로써 제조하고자 하는 최종 박막 필름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분주한 혼합 용액은 40도의 환경에서 24시간 방치하여 건조를 진행한다. 필요 시 건조 시간 단축 등을 위해 건조 공정 온도를 40~70도 범위 내에서 노출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의 온도에서 건조가 진행되면서 유기산이 매개하는 가교 반응이 진행되며 최종 건조된 박막 필름은 기공이 형성되지 않은 평판 형태의 박막이며 이후 후속 공정을 거쳐 기공이 생성된 박막을 제조하게 된다. 천연 소재의 가교화 반응은 에어 필터의 내구성을 강화시켜 줌과 동시에 물에 노출되었을 경우 비용해성을 부여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 필터는 유동하는 미세먼지가 박막 필름의 기공을 통해 물리적인 공극 크기 차이에 의해 공기를 정화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조된 박막 필름에 대해 기공 형성을 유도하고자 단백질 분해 효소를 처리한다.
기공성 필름 제조를 위해 투입되는 단백질 분해 효소는 트립신(Trypsin), 파파인(Papain) 및 브로멜레인 (Bromelain) 등 산업적으로 유용한 효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미생물(Streptomyces griseus)에서 생산하는 프로네이즈(Pronase) 단백질 분해 효소도 사용이 가능하다.
각 효소의 사용 농도는 1~5% 농도가 적절하며 미리 준비된 효소 반응 용액에 상기의 건조된 필름을 투입하고 적절한 시간 동안 용액을 순환처리하여 박막 필름을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 성분을 분해하여 제거한다.
반응이 완료되면 필름을 다른 용기로 이동하여 잔존 효소의 활성을 중지 및 추가적인 세척 등으로 다공 구조를 지닌 필름을 회수하고 실온에서 건조한다. 단백질 분해 효소를 사용하여 제조한 박막 필름의 기공은 비선형적 특성이 있고 박막이 두꺼울수록 다층(multi-layered)의 비선형 기공 구조를 갖게 된다.
도 2의 수직단면도에서 보듯이 이상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에어 필터는 물리적인 공극 크기가 10~15um 범위로 형성이 될 수 있고 다층의 기공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원료 배합액 조제 단계에서 투입하는 다당류와 단백질의 구성비 변화를 통해 최종 생성되는 공극의 크기는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키토산과 젤라틴의 중량 배합비는 키토산 중량 대비 100% 중량 상당의 젤라틴을 투입하였으나 박막 필름의 기공 크기를 더 작거나 크게 제조하기 위해서는 다당류 중량 대비 투입되는 단백질 중량을 줄일 수 있다. 가령, 배합을 위해 투입되는 키토산 100 중량 대비 단백질을 50 중량 혹은 150을 투입하여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필름의 기공은 박막 필름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직선적으로 관통하는 선형적 공극이 아닌 필름 내부를 지그재그 연장된 경로로 공기가 통과함에 따라 오염된 미세입자의 통과 시간이 다소 연장되고 그로 인해 미세먼지 흡착 및 제거의 기회가 증가하는 효과를 부여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 필터의 공극 보다도 큰 미세먼지 혹은 물리적 입자는 이러한 지그재그식의 기공을 통과하기가 쉽지 않으며 특히 5-10um 크기의 입자 지름보다 큰 비말인 경우 기공을 직접 통과하기가 쉽지 않다. 그런 대형 입자들은 에어 필터의 전반부에 기존 공기 정화 마스크 등에서 사용하는 겉감 즉 스펀본드 (spunbond) 부직포를 사용하여 쉽게 제거가 가능하다. 미세입자의 지름이 5um 크기보다 작은 비말핵 혹은 에어로졸 등급은 연기가 안개처럼 기체 중에 고체 또는 액체의 미립자가 부유하고 있는 입자를 총칭하는데 그 크기는 100nm~5um 정도가 된다.
기공 크기보다 작은 미세입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에어 필터는 기공성 박막에 대하여 추가 공정을 통해 표면 개질 과정을 거치게 되는 바, 기공 박막 필름 표면에 전하를 띠는 물질을 화학적인 결합으로서 반영구적인 정전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한 필름의 기공 내부에 정전기를 부여하기 위해서 양전하를 띠는 물질 혹은 음전하를 띠는 물질을 구분하여 부여할 수가 있다. 즉, 상기의 기공성 박막 필터를 미리 조제된 알칼리 용액에 담가 표면 개질 반응을 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알칼리 용액은 1~100mM 농도 범위의 가성소다 용액이 될 수 있으며 표면 개질 정도는 목적하는 바에 따라 가성소다 사용 농도는 가변적으로 조절 변경이 가능하다. 표면 개질 반응은 실온 혹은 적절한 온도에서 용액을 순환시키면서 진행이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필름의 기공 내부 표면에 양전하성 물질을 결합하기 위해서 상기의 알칼리 용액을 준비할 때 몰 비율(molar ratio)로서는 가성소다(sodium hydroxide) 농도 대비 약 2배 상당의 양전하 화합물을 투입할 수가 있다. 가령, 50mM 가성소다 수용액인 경우 이의 2배에 해당되는 100mM 농도의 양전하성 화합물 농도가 되게 조제하여 사용한다.
기공성 박막 필터에 양전하성 물질을 부여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하는 양전하 물질은 chloro diethylaminoethyl 이 될 수 있으며 양전하를 띠는 물질이 기공 내부 표면에 부착되면 유동하는 공기에 포함된 음전하성 표면 입자나 미세먼지 등이 정전기적 힘에 의해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양전하 코팅 목적으로 선택 가능한 다른 물질로서는 3-chloro-2-hydroxypropyltrimethylammonium chloride 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는 단지 예시로서 열거된 것일 뿐 유사 기능과 목적성을 지닌 다른 화합물의 사용도 가능하다.
상기와 유사한 제조방식으로 새로운 기공성 박막 필름에 음전하 화합물을 부여할 수가 있으며 음전하성 화합물은 sodium chloroacetate 가 사용될 수 있고 표면 개질 과정은 상기와 동일한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로써 결합이 완료된 음전하를 띠는 기공성 박막 필터는 유동하는 공기에 포함된 양전하성 표면 입자나 미세먼지가 기공을 통과할 때 정전기적 힘에 의해 포집되고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표면 개질 반응은 실온에서 약 1시간 정도 진행되며 부여되는 전하 밀도의 조정 및 반응 시간 단축 등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용하는 반응 온도와 투입하는 화합물 농도 등의 반응 변수들은 가변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표면 개질 반응이 완료되면 에어 필터를 다른 용기로 이동하고 중화와 물 세척 등으로 반응 공정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에어 필터 제조 방법을 이용하면 공극 크기 차이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와 공극 크기 보다 작은 미세먼지 입자 등도 표면에 반영구적으로 부가된 정전기 힘으로 제거할 수가 있으며 가격 대비 여과 성능이 우수한 에어 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양전하성 필터와 음전하성 필터를 연속으로 배열하여 사용하는 경우 정전기 원리로 미세먼지를 포집하고 제거하는 방식과 유사한 원리로 공기 정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되는 에어 필터는 공기 여과기나 공기 정화 장치 등의 필터로 산업적인 활용이 가능하며 고 코로나 방전과 같은 일시적인 대전 효과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되는 것이 아닌 표면 개질을 통해 반영구적으로 표면 전하를 부여하여 얻는 정전 기능이므로 지속적으로 공기 정화 기능성이 확보되며 특히 수분 환경하에서도 정전기력을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사용 후 물 세척으로 흡착된 미세먼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어서 재사용이 가능하며 가성비가 높은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한 에어 필터는 공기 뿐만 아니라 다습 환경에서도 정전 기능을 유지할 수가 있어 기존 MB (melt-blown)필터가 장착된 공기 정화 필터 혹은 마스크의 최대 단점인 수분에 의한 정전 기능 소실 문제를 근본적으로 극복할 수가 있어 기존 MB 필터 대체제로서의 산업적 활용이 가능하다.
상기 필터 원단의 구성은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적인 소재로 선택되어 제조되므로 마스크나 붕대 등과 같이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제품으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정화 필터는 세척 후 재사용이 가능하며 다습 환경에서도 정전 기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어서 마스크에 적용되었을 때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
210 : 표면 음전하를 띠는 오염원
220 : 다공성 박막의 평균 공극 크기(10~15um)
230 : 양전하 표면 개질 박막

Claims (5)

  1.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천연 소재로 제조되는 필터;
    상기 필터가 구조적 내구성을 갖추도록 천연 소재 사이의 가교 결합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터가 기준치 이상의 공극을 갖추도록 상기 필터에 대하여 단백질 분해효소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가 정전기를 갖추도록 기공이 형성된 박막 필름 표면에 전하 밀도를 부여하기 위해 양전하 혹은 음전하 물질을 결합시켜 필터 표면을 화학적으로 개질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는,
    세척을 통해 상기 이물질이 제거되어 재사용이 가능한 것으로서,
    천연 다당류와 단백질 및 가교제인 유기산을 일정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는 필터 원단,
    기공성 필터 제조를 위해 배합되는 원료 중 특정한 원료 성분을 분해하여 제조하는 필터,
    정전기를 갖추도록 기공성 필터에 양전하 혹은 음전하 밀도를 부여하고자 화 학적으로 결합하여 제조하는 것이고,
    상기 천연 다당류는 키토산이며,
    상기 단백질은 콜라젠 혹은 젤라틴이며,
    상기 가교제는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 중 어느 하나인 유기산(organic acid)이며,
    상기 단백질 분해 효소는 트립신(Trypsin), 파파인(Papain), 브로멜레인(Bromelain), 프로네이즈(Pronase) 중 어느 하나인 것이고,
    에어 필터는 기공이 생성된 박막에 양전하가 결합되어 코팅된 박막과 음전하가 결합되어 코팅된 박막 필름을 하나의 세트로 사용함으로써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원료 조제 단계에서 다당류와 단백질의 배합 비는 다당류 중량 대비 50~150% 범위로 배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가교제로서 사용하는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가진 유기산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필터
  4. 삭제
  5. 삭제
KR1020200074088A 2020-06-18 2020-06-18 에어 마스크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102466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088A KR102466228B1 (ko) 2020-06-18 2020-06-18 에어 마스크 필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088A KR102466228B1 (ko) 2020-06-18 2020-06-18 에어 마스크 필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465A KR20210156465A (ko) 2021-12-27
KR102466228B1 true KR102466228B1 (ko) 2022-11-10

Family

ID=79177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088A KR102466228B1 (ko) 2020-06-18 2020-06-18 에어 마스크 필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2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745B1 (ko) 2013-11-18 2015-11-03 한국원자력연구원 초음파 및 방사선을 이용한 수용성 키토산-알진-젤라틴 다공성 폼의 제조방법
KR101917737B1 (ko) 2016-10-31 2018-11-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무기 복합 - 다공성 생분해성 고분자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2675B1 (ko) 2017-11-01 2019-03-27 주식회사 엔바이오니아 수처리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0274B1 (ko) 1999-05-25 2001-11-02 박호군 정전기 에어 필터 소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08115B1 (ko) 2017-02-13 2017-12-14 박헌수 점착제가 도포된 에어필터 및 그 제조방법
CN110799257A (zh) * 2017-04-21 2020-02-14 卡伯恩解决方案株式会社 多孔性基材层、包括cnt/壳聚糖纳米混合物涂敷层的膜以及包括该膜的静电式吸尘***
KR101923106B1 (ko) 2017-05-29 2018-11-28 박상혁 정전기 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745B1 (ko) 2013-11-18 2015-11-03 한국원자력연구원 초음파 및 방사선을 이용한 수용성 키토산-알진-젤라틴 다공성 폼의 제조방법
KR101917737B1 (ko) 2016-10-31 2018-11-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무기 복합 - 다공성 생분해성 고분자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2675B1 (ko) 2017-11-01 2019-03-27 주식회사 엔바이오니아 수처리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465A (ko) 2021-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94627C1 (ru) Не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включающий ультрамелкие или наноразмерные порошки
JPWO2003066193A1 (ja) 流体清浄フィルター及びフィルター装置
KR101358486B1 (ko) 초미세 또는 나노크기 분말을 혼입한 부직 매체
KR100749966B1 (ko) 항균성 공기필터재
KR20100075456A (ko) 여과재 및 필터 유닛
US20080026041A1 (en) Non-woven media incorporating ultrafine or nanosize powders
CN100410182C (zh) 具有固有的安全特征的微孔过滤介质
CN204816222U (zh) 一种空气净化滤网
CN106237876A (zh) 一种多功能复合膜材料及其生产工艺
CN110465134B (zh) 一种新型的复合过滤材料及其制备方法
Sheng-Shih Wang et al. Dye-affinity nanofibrous membrane for adsorption of lysozyme: Prepar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JP2017014643A (ja) 空気濾過用改質不織布、これを構成材料とする空気濾過装置、及び、改質不織布の製造方法。
CN107019959A (zh) 一种空气净化材料
CN109972456A (zh) 可降解空气净化复合滤纸及其制备方法
KR102466228B1 (ko) 에어 마스크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061566B1 (ko) 다공성 탈취 필터의 제조방법
CN107174868B (zh) 一种车载空气净化片及其制备方法
KR102369829B1 (ko) 절곡가능한 자동차용 콤비필터의 여재
JP3434142B2 (ja) 空気清浄装置
Liu et al. Adsorption behaviors of acidic and basic dyes by thiourea-modified nanocomposite aerogels based on nanofibrillated cellulose
JP4030146B2 (ja) 光反応性有害物除去材
KR20220125053A (ko) 박막정전필터 모듈이 탑재된 친환경 공기정화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1190628B1 (ko) 다공성 습식 탈취제 필터의 제조방법
CN206138884U (zh) 一种具有除醛功能的空气滤清器
JP2000153115A (ja) 空気清浄化フィル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