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534B1 - Color gamut ratio controller,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lor gamut ratio controller,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534B1
KR102464534B1 KR1020150154802A KR20150154802A KR102464534B1 KR 102464534 B1 KR102464534 B1 KR 102464534B1 KR 1020150154802 A KR1020150154802 A KR 1020150154802A KR 20150154802 A KR20150154802 A KR 20150154802A KR 102464534 B1 KR102464534 B1 KR 102464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yscale
color gamut
input data
data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8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52821A (en
Inventor
김한얼
이문기
박은명
김홍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4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534B1/en
Publication of KR20170052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8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5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09G5/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using colour palettes, e.g. look-up tab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색재현율 제어장치는, 입력 데이터의 고계조 영역과 저계조 영역을 확인하고, 계조별 선택적인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진행함으로써, 색재현율 변경에 따른 저계조 영역에서의 화질 불량을 개선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표시패널과 타이밍 컨트롤러 및 색재현율 제어부를 포함하고, 입력 데이터를 고계조 영역과 저계조 영역에서 분리하여, 색재현율 변경을 진행함으로써, 저계조 영역에서의 화질 불량을 개선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장치 구동방법은, 입력 데이터의 계조를 확인하여, 모드 정보에 따라 선택된 룩 업 테이블에서의 계조 별 색재현율 변경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색재현율을 변경함으로써, 화질 불량을 개선한 효과가 있다.
The color gamut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image quality in the low grayscale region due to the color gamut change by checking the high grayscale region and the low grayscale region of input data and performing a selective color gamut change process for each grayscale. It works.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a timing controller, and a color gamut control unit, and separates input data into a high grayscale region and a low grayscale region, and performs color gamut change, resulting in poor image quality in the low grayscale region has an improved effect.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the gray level of the input data, refers to the color gamut change control information for each gray level in the lookup table selected according to the mode information, and changes the color gamut, thereby improving the image quality. one effect.

Figure R1020150154802
Figure R1020150154802

Description

색재현율 제어장치,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COLOR GAMUT RATIO CONTROLLER,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COLOR GAMUT RATIO CONTROLLER,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입력 데이터의 색재현율을 변경시켜 화질 품위를 개선한 색재현율 제어장치,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lor gamut control device, a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in which image quality is improved by changing the color gamut of input data.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표시장치들(Flat Panel Display, FPD)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등이 있다.Recently, various flat panel displays (FPDs) capable of reducing weight and volume, which are disadvantages of cathode ray tubes, have been developed. Examples of the flat panel displ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There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and the like.

이중, 전계발광소자는 발광층의 재료에 따라 무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유기발광 표시장치로 대별되며 특히,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스스로 발광하는 자발광소자를 이용함으로써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다.Among them, the electroluminescent device is roughly divided into an in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light emitting layer. In particular,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es a self-luminous device that emits light by itself, so that the response speed is fast and the luminous efficiency, luminance and viewing angle are fast. This has great advantages.

이러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색영역(Gamut) 특성이 타 표시장치에 비해 월등히 높기 때문에, 고 채도를 구현하므로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등의 표시장치(Device)들에 비해 색 다양성(Colorfulness) 측면에서는 매우 유리하다. 하지만, 방송용 카메라(Camera)의 촬상 특성으로 인하여, 실제 카메라 인코더(Encoder)에 의해 수신된 영상신호의 색영역(Gamut)을 그대로 재현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Since such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s a gamut characteristic that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display devices, it implements high saturation, so it is suitable for display devic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a plasma display panel (PDP). Compared to that, it is very advantageous in terms of colorfulness. However, due to the imaging characteristics of the broadcast camera,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lor gamut of the video signal received by the actual camera encoder cannot be reproduced as it is.

즉,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액정표시장치의 화질을 비교해보면 BT-709(또는 NTSC) 규격을 목표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경우가 자연스러움(Naturalness) 측면에서 유기발광 표시장치 보다 우수하며, NTSC규격을 상회하는(색재현율 100% 이상)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경우는 색 다양성(Colorfulness)이 우수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특성은 서로 대립되는 요소로서의 균형(Trade off)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색재현율은 BT-709 또는 NTSC 규격이 갖는 색영역의 면적 대비 표시장치가 표현할 수 있는 색영역 면적비를 의미한다.That is, when comparing the image qualit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argeting the BT-709 (or NTSC) standard is superior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terms of naturalness, and the NTSC standard In the cas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a higher than ?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se two characteristics form a trade-off as opposing factors. Here, the color gamut means the ratio of the color gamut area that the display device can express to the area of the color gamut of the BT-709 or NTSC standard.

이와 같이,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표현할 수 있는 색영역(Gamut)이 넓어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BT-709(또는 NTSC) 규격 영상)을 보다 자연스럽게 보기 위해서는 색재현율 변경(감소)을 진행한 후, 영상을 표시해야 한다. 특히, 색재현율은 저계조로 갈수록 색재현 특성이 감소하는 특징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s a wide color gamut that can be expressed, so in order to more naturally view an image to be displayed (BT-709 (or NTSC) standard image), after changing (reducing) the color gamut, the image should be displayed In particular, the color gamut has a characteristic that the color gamut decreases as the gradation goes down.

하지만, 종래 색재현율 변경 방식은 색재현율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입력 데이터의 고계조를 기준(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경우 색재현율 120%)으로 색재현율이 100%(BT-709(또는 NTSC) 규격의 색영역 면적)가 되도록 하는 계조값을 모든 계조에 대해 일괄적으로 적용한다. 이와 같은 방식은 저계조 영역에서의 색재현율을 과도하게 저하시켜 화질 불량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color gamut change method does no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or gamut, and the color gamut is 100% (BT-709 (or NTSC) based on the high gradation of the input data (120% of the color gamut in the cas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e gradation value to be the standard color gamut area) is applied to all gradations at once. This method has a problem of excessively lowering the color gamut in the low grayscale region, resulting in poor image quality.

본 발명은, 입력 데이터를 고계조 영역과 저계조 영역으로 구분한 후, 고계조 영역의 입력 데이터는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저계조 영역의 입력 데이터는 바이패스 시킴으로써, 색재현율 변경에 따른 저계조 영역에서의 화질 불량을 개선한 색재현율 제어장치,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dividing input data into a high grayscale region and a low grayscale region, the color gamut change process is performed on the input data of the high grayscale region, and the input data of the low grayscale region is bypass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lor gamut control apparatus, a display apparatus,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which have improved image quality in a low grayscale region.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색재현율 제어장치는, 입력 데이터의 계조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계조가 고계조 영역인지 저계조 영역에 포함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확인된 계조가 상기 고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입력 데이터를 변환 출력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확인된 계조가 상기 저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입력 데이터를 바이패스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판단부, 상기 변환 출력단을 통해 출력된 상기 입력 데이터를 입력 받고, 모드 정보에 따라 선택된 룩 업 테이블에서의 계조 별 색재현율 변경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입력 데이터를 상기 고계조 영상 데이터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변환부를 포함함으로써, 색재현율 변경에 따른 저계조 영역에서의 화질 불량을 개선한 효과가 있다.The color gamut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checks the grayscale of input data, determines whether the checked grayscale is included in the high grayscale area or the low grayscale area, and the checked grayscale A determination unit that outputs the input data to a conversion output terminal when is included in the high grayscale region, and outputs the input data to a bypass output terminal when the checked grayscale is included in the low grayscale region, through the conversion output terminal Receives the outputted input data, refers to color gamut change control information for each gradation in a lookup table selected according to mode information, and converts the input data to the high gradation image data through a color gamut change process By including the conversion unit,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image quality in a low grayscale region due to a change in color gamut.

또한,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 및 다수의 게이트 라인이 배치된 표시패널, 상기 다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하는 소스 드라이버, 상기 소스 드라이버를 제어하며, 고계조 영상 데이터 또는 저계조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소스 드라이버의 데이터 구동이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소스 드라이버로 제공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입력 데이터의 계조를 확인하여, 확인된 계조가 미리 정의된 고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계조 별 색재현율 변경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입력 데이터를 상기 고계조 영상 데이터로 변경하여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 제공하고, 확인된 계조가 미리 정의된 저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바이패스 시켜 상기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저계조 영상 데이터로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 제공하는 색재현율 제어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색재현율 변경에 따른 저계조 영역에서의 화질 불량을 개선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on which a plurality of data lines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are disposed, a source driver for driving the plurality of data lines, and a source driver for controlling high grayscale image data or low grayscale image data. a timing controller that receives data, converts it into data that can be driven by the source driver, and provides it to the source driver, checks the grayscale of the input data, and the checked grayscale is included in a predefined high grayscale region By referring to color gamut change control information for each gradation, the input data is changed to the high gradation image data through a color gamut change process and provided to the timing controller, and the checked gradation is included in a predefined low gradation region In this case, by further comprising a color gamut control unit that bypasses the color gamut change process and provides the input data as the low grayscale image data to the timing controller, the effect of improving image quality in the low grayscale region due to the color gamut change there is

또한, 본 발명의 표시장치 구동방법은, 다수의 데이터 라인 및 다수의 게이트 라인이 배치된 표시패널, 상기 다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하는 소스 드라이버, 상기 소스 드라이버를 제어하며, 고계조 영상 데이터 또는 저계조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소스 드라이버의 데이터 구동이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소스 드라이버로 제공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입력 데이터의 계조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계조가 상기 고계조 영역인지 상기 저계조 영역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계조가 상기 고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입력 데이터를 변환 출력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확인된 계조가 상기 저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입력 데이터를 바이패스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변환 출력단을 통해 출력된 상기 입력 데이터를 입력 받고, 모드 정보에 따라 선택된 룩 업 테이블에서의 계조 별 색재현율 변경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입력 데이터를 상기 고계조 영상 데이터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색재현율 변경에 따른 저계조 영역에서의 화질 불량을 개선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data lines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are disposed, a source driver driving the plurality of data lines, and controlling the source driver to obtain high grayscale image data or low grayscale image data.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timing controller that receives grayscale image data, converts it into data that can be driven by the source driver, and provides it to the source driver, by checking the grayscale of the input data, determining whether the high gradation region or the low gradation region is included in the high gradation region, outputting the input data to a conversion output terminal when the checked gradation is included in the high gradation region, and the checked gradation is included in the low gradation region outputting the input data to a bypass output terminal, receiving the input data output through the conversion output terminal, and referring to color gamut change control information for each gradation in a lookup table selected according to mode information, By including the step of changing the input data to the high grayscale image data through a color gamut change process,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image quality in a low grayscale region due to the color gamut change.

본 발명에 따른 색재현율 제어장치,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은, 입력 데이터를 고계조 영역과 저계조 영역으로 구분한 후, 고계조 영역의 입력 데이터는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저계조 영역의 입력 데이터는 바이패스 시킴으로써, 색재현율 변경에 따른 저계조 영역에서의 화질 불량을 개선한 효과가 있다.
In a color gamut control apparatus, a display apparatus,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dividing input data into a high grayscale region and a low grayscale region, the input data of the high grayscale region undergoes a color gamut change process, and the low grayscale region By bypassing the input data of ,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image quality in the low grayscale region due to the change in color gamu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표시장치의 색재현율과 계조 관계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에 의해 영상 모드가 변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표시장치의 영상 모드 변경에 따른 색재현율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색재현율 변경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색재현율 제어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6의 색재현율 제어부의 구성부들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영상 모드 변경에 따른 색재현율이 변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따른 색재현율 제어부의 배치 영역에 대한 실시예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이다.
1 is a schematic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gamut and grayscale of a display devic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mage mode is changed by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color gamut according to a change in an image mode of a display device.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changing the color gamut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lor gamut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the color gamut control unit of FIG. 6 .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lor gamut is changed according to a change in an image mod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rangement area of a color gamut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using a color gamut chang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using a color gamut changing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hapes, sizes, proportion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matter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When 'including', 'having', 'consisting',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case in which the plural is included is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it is interpreted as including an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on', 'on', 'beside', etc., 'right' Alternatively,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wo parts unless 'directly' is used.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 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tempor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the temporal relationship is described as 'after', 'following', 'after', 'before', etc., 'immediately' or 'directly' Unless ' is used, cases that are not continuous may be included.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rtially or who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re possible, and each of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may be implemented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may b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devic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1 is a schematic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DL) 및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이 배치되고, 다수의 서브 픽셀(Sub-Pixel)이 매트릭스 타입으로 배치된 표시패널(110)과,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을 구동하는 소스 드라이버(120)와, 다수의 게이트 라인을 구동하는 스캔 드라이버(130)와, 소스 드라이버(120), 스캔 드라이버(1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140) 및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40)에 동기신호(Vsync, Hsync), 클럭신호(CLK), 영상 입력 데이터를 공급하는 호스트 시스템(Host) 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data lines DL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GL are disposed, and a plurality of sub-pixels are disposed in a matrix type. display panel 110 , a source driver 120 driving a plurality of data lines DL, a scan driver 130 driving a plurality of gate lines, a source driver 120 , and a scan driver 130 . and a timing controller 14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 and a host system for supplying synchronization signals Vsync and Hsync, a clock signal CLK, and image input data to the timing controller 140 .

소스 드라이버(120)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한다. 여기서, 소스 드라이버(120)는 "데이터 드라이버"라고도 한다. The source driver 120 drives the plurality of data lines by supplying data voltages to the plurality of data lines. Here, the source driver 120 is also referred to as a “data driver”.

스캔 드라이버(130)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으로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게이트 라인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여기서, 스캔 드라이버(130)는 "게이트 드라이버"라고도 한다. The scan driver 130 sequentially drives the plurality of gate lines by sequentially supplying scan signals to the plurality of gate lines. Here, the scan driver 130 is also referred to as a “gate driver”.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소스 드라이버(120) 및 스캔 드라이버(130)로 각종 제어신호(DCS: Data Control Signal, GCS: Gate Control Signal)를 공급하여, 소스 드라이버(120) 및 스캔 드라이버(130)를 제어한다.The timing controller 140 supplies various control signals (DCS: Data Control Signal, GCS: Gate Control Signal) to the source driver 120 and the scan driver 130 , the source driver 120 and the scan driver 130 . control

이러한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각 프레임에서 구현하는 타이밍에 따라 스캔을 시작하고, 호스트 시스템(Host)에서 입력되는 영상 입력 데이터를 소스 드라이버(12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전환하여 전환된 데이터(Data)를 출력하고, 스캔에 맞춰 적당한 시간에 데이터 구동을 통제한다.The timing controller 140 starts a scan according to the timing implemented in each frame, and converts the image input data input from the host system to match the data signal format used by the source driver 120 . It outputs data and controls the data drive at an appropriate time according to the scan.

스캔 드라이버(130)는, 타이밍 컨트롤러(140)의 제어에 따라, 온(On) 전압 또는 오프(Off) 전압의 스캔 신호를 다수의 게이트 라인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다수의 게이트 라인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The scan driver 130 sequentially drives the plurality of gate lines by sequentially supplying a scan signal of an on voltage or an off voltage to the plurality of gate lines under the control of the timing controller 140 . .

스캔 드라이버(130)는, 구동 방식에 따라서, 도 1에서와 같이, 표시패널(110)의 일 측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양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The scan driver 130 may be positioned on only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110 as shown in FIG. 1 or, in some cases, on both sides, according to a driving method.

또한, 스캔 드라이버(130)는, 하나 이상의 스캔 드라이버 집적회로(GDIC: 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scan driver 130 may include one or more scan driver integrated circuits (GDICs).

스캔 드라이버(13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스캔 드라이버 집적회로 각각은 쉬프트 레지스터, 레벨 쉬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one or more scan driver integrated circuits included in the scan driver 130 may include a shift register, a level shifter, and the like.

소스 드라이버(120)는, 특정 게이트 라인이 열리면, 타이밍 컨트롤러(14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Data)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 라인들로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한다. When a specific gate line is opened, the source driver 120 converts data received from the timing controller 140 into an analog data voltage and supplies it to the data lines, thereby driving a plurality of data lines.

소스 드라이버(120)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여 다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할 수 있다. The source driver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SDIC) to drive a plurality of data lines.

소스 드라이버(120)에 포함된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쉬프트 레지스터, 래치 회로 등을 포함하는 로직부와,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DAC: Digital Analog Converter)와, 출력 버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서브 픽셀의 특성(예: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및 이동도, 유기발광다이오드의 문턱전압, 서브 픽셀의 휘도 등)을 보상하기 위하여 서브 픽셀의 특성을 센싱하기 위한 센싱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Each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included in the source driver 120 may include a logic unit including a shift register, a latch circuit, and the like, a digital analog converter (DAC), an output butter, and the like. Accordingly, a sensing unit (sensor) for sen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pixel in order to compens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pixel (eg, the threshold voltage and mobility of the driving transistor,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the luminance of the sub-pixel, etc.) may include more.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소스 드라이버(12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전환하여 전환된 데이터(Data)를 출력하는 것 이외에, 소스 드라이버(120) 및 스캔 드라이버(130)를 제어하기 위하여,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입력 DE 신호, 클럭 신호 등의 타이밍 신호를 입력 받아, 각종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여 소스 드라이버(120) 및 스캔 드라이버(130)로 출력한다.The timing controller 140 converts the image data input from the outside to match the data signal format used by the source driver 120 and outputs the converted data, as well as the source driver 120 and the scan driver ( 130), by receiving timing signals such as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an input DE signal, a clock signal, etc. 130) is output.

예를 들어,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스캔 드라이버(130)를 제어하기 위하여,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 Gate Start Pulse),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 Gate Shift Clock),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OE: Gate Output Enable) 등을 포함하는 각종 게이트 제어 신호(GCS: Gate Control Signal)를 출력한다. For example, the timing controller 140 controls the scan driver 130 , a gate start pulse (GSP), a gate shift clock (GSC), and a gate output enable signal (GOE). : Outputs various gate control signals (GCS: Gate Control Signal) including Gate Output Enable).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소스 드라이버(120)를 제어하기 위하여, 소스 스타트 펄스(SSP: Source Start Pulse), 소스 샘플링 클럭(SSC: Source Sampling Clock),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 Souce Output Enable) 등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제어 신호(DCS: Data Control Signal)를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timing controller 140 controls the source driver 120 , a source start pulse (SSP), a source sampling clock (SSC), and a source output enable signal (SOE: Source). Output Enable) and output various data control signals (DCS: Data Control Signal).

도 1을 참조하면,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가 본딩된 소스 인쇄회로기판과 연성 플랫 케이블(FFC: Flexible Flat Cable) 또는 연성 인쇄 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연결 매체를 통해 연결된 컨트롤 인쇄회로기판(Control Printed Circuit Board)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timing controller 140 includes a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to which a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is bonded and a connection medium such as a flexible flat cable (FFC)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It may be disposed on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ed through the .

이러한 컨트롤 인쇄회로기판에는, 표시패널(110), 소스 드라이버(120) 및 스캔 드라이버(130) 등으로 각종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해주거나 공급할 각종 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원 컨트롤러(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컨트롤러는 전원 관리 집적회로(PMIC: Power Management IC)라고도 한다.A power controller (not shown) for supplying various voltages or currents to the display panel 110 , the source driver 120 , the scan driver 130 , or controlling various voltages or currents to be supplied is further disposed o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an be Such a power controller is also referred to as a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PMIC).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일 예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Device),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 example, on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plasma display devic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the like. .

이러한 표시장치(100)에서 표시패널(110)에 배치되는 다수의 서브 픽셀 각각에는, 트랜지스터(Transistor), 커패시터(Capacitor) 등의 회로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In the display device 100 , circuit elements such as a transistor and a capacitor may be dispo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ub-pixels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110 .

예를 들어, 표시패널(110)이 유기발광표시패널인 경우, 각 서브 픽셀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둘 이상의 트랜지스터,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 등의 회로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panel 110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each sub-pixel may include circuit elements such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wo or more transistors, and at least one capacitor. have.

각 서브 픽셀을 구성하는 회로 소자의 종류 및 개수는, 제공 기능 및 설계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여기서는, 표시패널이 유기발광표시패널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색재현율 변경이 필요한 표시장치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The type and number of circuit elements constituting each sub-pixel may be variously determined according to a provided function and a design method. Herein, the case where the display panel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will be mainly described, but a display device requiring a change in color gamut may be selectively applied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수신된 입력 데이터를 고계조 영역과 저계조 영역으로 분리한 후, 고계조 영역의 입력 데이터에 대해서만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저계조 영역의 입력 데이터에 대해서는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바이패스(Bypass) 함으로써, 색재현율 변경에 따른 저계조 영역에서의 화질 불량을 개선한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dividing input data received in order to display an image into a high grayscale region and a low grayscale region, a color gamut change process is performed only for the input data of the high grayscale region, and the color gamut change process is performed for the input data in the low grayscale region Bypassing the gamut change process,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image quality in a low grayscale region due to the color gamut change.

일반적으로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표현할 수 있는 색영역(Gamut)은 BT-709 또는 NTSC 규격에 의해 카메라 등에서 촬영한 영상 입력 데이터의 색영역 보다 넓은 특성을 가지고 있어, 색재현율은 100% 이상의 값을 갖는다(대략 120%의 색재현율을 갖는다).In general, the color gamut (Gamut) that can be expressed by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s a wider characteristic than the color gamut of image input data photographed by a camera according to the BT-709 or NTSC standard, and thus the color gamut has a value of 100% or more. (It has a color gamut of about 120%).

도 2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색재현율과 계조 관계 그래프로써,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색재현율은 중간 계조와 고계조 영역에서는 일정한 색재현율(BT-709 또는 NTSC 규격의 색영역 대비 약 120%)을 갖지만, 저계조 영역에서는 색재현율이 100% 이하로 감소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2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or gamu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the gray scale. However, it has a characteristic that the color gamut is reduced to 100% or less in the low grayscale region.

즉, 도 2를 참조하면,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물리적 및 전기적 특성에 의해 색재현율이 저계조 영역에서 100% 이하로 급격히 감소하고, 저계조 영역 이외의 영역(중간 및 고계조 영역)에서는 100% 이상의 색재현율을 갖는 특성이 있다.That is, referring to FIG. 2 , the color gamu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rapidly decreases to 100% or less in the low grayscale region due to phys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100% in the regions other than the low grayscale region (middle and high grayscale regions).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having an above-mentioned color gamu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에 의해 영상 모드가 변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표시장치의 영상 모드 변경에 따른 색재현율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색재현율 변경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mage mode is changed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color gamut according to a change in an image mode of the display device,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image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changing the color gamut of a display device.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에 대해 모드별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진행한 후, 이를 표시패널에 표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데이터를 표시장치가 스탠다드 모드(STAND Mode)로 표시해야 경우, 스탠다드 모드에 따른 색영역을 갖는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표시해야 할 영상은 BT-709 또는 NTSC 규격의 색영역을 기반으로 영상 모드별에 계조값들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장치가 유기발광 표시장치인 경우에는 색재현율이 120%이기 때문에 색재현율을 100%로 감소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3 to 5 ,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color gamut change process for each mode on input data input from the outside, and then displays it on the display panel. As shown in FIG. 3 , when the display device needs to display input data in the standard mode, a color gamut change process having a color gamut according to the standard mode is performed to display an image. In general, for an image to be displayed, grayscale values are set for each image mode based on the BT-709 or NTSC standard color gamut. Therefore, when the display device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since the color gamut is 120%,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color gamut to 100%.

따라서, 시네마 모드(CINEMA Mode)로 표시해야 할 경우, 시네마 모드에 따른 계조값을 갖는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영상을 표시하고, 비비디 모드(VIVID Mode)로 표시해야 할 경우, 비비디 모드에 따른 계조값을 갖는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Therefore, when displaying in CINEMA Mode, an image is displayed by performing a color gamut change process having a gradation value according to the cinema mode, and when displaying in VIVID Mode, the video mode An image is displayed by performing a color gamut change process having a grayscale value according to .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장치가 유기발광 표시장치인 경우, 유기발광 표시장치(Ref)의 색영역(Gamut)이 BT-709 또는 NTSC 규격에 따른 영상 모드의 색영역 보다 넓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4 and 5 , when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e gamu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Ref is greater than that of the image mode according to the BT-709 or NTSC standard. It has broad characteristics.

따라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스탠다드 모드(STAND Mode), 시네마 모드(CINEMA Mode) 또는 비비디 모드(VIVID Mode)의 영상을 표시하고자 할 때, 색영역 맵핑(Gamut Mapping)에 의한 색재현율 변경을 해야 모드에 맞는 자연스러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ants to display an image in the standard mode, the cinema mode, or the VIVID mod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olor gamut by gamut mapping. It can display a natural image suitable for the mod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발광 표시장치(Ref)의 적(R), 녹(G) 및 청색(B)의 색영역(Gamut)은 색재현율이 변경될 모드의 색영역(Gamut) 보다 일반적으로 넓다. 따라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스탠다드 모드, 시네마 모드 또는 비비디 모드로 색재현율을 변경할 때, 해당 모드의 색영역의 면적에 맞추면서(일반적으로 BT-709 또는 NTSC 규격의 색영역 면적) 색영역 맵핑(Gamut Mapping)을 진행한다.As shown in FIG. 5 , the red (R), green (G), and blue (B) color gamut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Ref are higher than the color gamut Gamut of the mode in which the color gamut is to be changed. generally wide. Accordingly, when the color gamut is changed to the standard mode, the cinema mode, or the video mo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matches the color gamut area of the corresponding mode (generally, the color gamut area of BT-709 or NTSC standard) while mapping the color gamut ( Gamut Mapping) is performed.

상기 색영역 맵핑에 의한 색재현율 변경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55 계조와 같이 고계조 영역(변경 기준)의 입력 데이터를 기준으로 변경될 모드의 동일한 고계조로 색재현율로 변경한다. 예를 들어, 255 계조에서 입력 데이터가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는 120%의 색재현율을 가질 경우, 변경 모드에 따라 색재현율이 100%가 되도록 계조를 감소시키는데, 다른 모든 계조의 입력 데이터에 대해서도 동일한 값으로 계조 감소를 진행하여 색재현율을 낮춘다.As shown in FIG. 4 , the color gamut change by the color gamut mapping is changed to the same high gray scale of the mode to be changed based on the input data of the high gray scale region (change reference) such as 255 gray scale. For example, if input data at 255 gray levels has a color gamut of 120%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e gray level is reduced to 100% according to the change mode. to decrease the gradation to lower the color gamut.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계조 영역에서는 유기발광 표시장치(Ref)의 색재현율이 DH1 만큼 감소하여 100%로 변경되지만, 저계조 영역에서는 목표 색재현율(100%)로부터 DH2 만큼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4 , the color gamu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Ref decreases by DH1 and is changed to 100% in the high grayscale region, but is lowered by DH2 from the target color gamut (100%) in the low grayscale region. There is a problem with losing.

이것은 도 2에서 설명한 유기발광 표시장치(Ref)의 고유의 색재현율이 저계조 영역에서 100% 이하로 급격히 낮아지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고계조 영역을 기준으로 색재현율을 일괄적으로 낮추게 되면, 저계조 영역에서는 색재현율이 과도하게 낮아지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inherent color gamu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Ref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has a characteristic of abruptly lowering to 100% or less in the low gradation region. This is because, if lowered, the color gamut is excessively lowered in the low gradation region.

이와 같이, 색재현율 변경을 고계조 영역을 기준으로 일괄적으로 변경할 경우,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저계조 영역에서 화질 불량이 심화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lor gamut change is collectively changed based on the high grayscale region, the qualit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eteriorates in the low grayscale regio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색재현율 제어장치,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은, 입력 데이터를 고계조 영역과 저계조 영역으로 구분한 후, 고계조 영역의 입력 데이터에 대해서만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저계조 영역의 입력 데이터에 대해서는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 없이 바이패스 시킴으로써, 색재현율 변경에 따른 저계조 영역에서의 화질 불량을 개선하고자 한다.Accordingly, in the color gamut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dividing input data into a high grayscale region and a low grayscale region, only the input data in the high grayscale region is subjected to a color gamut change process, By bypassing the input data in the low grayscale region without changing the color gamut, it is intended to improve the image quality in the low grayscale region due to the color gamut chang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색재현율 제어부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7은 상기 도 6의 색재현율 제어부의 구성부들을 도시한 블럭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lor gamut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the color gamut control unit of FIG. 6 .

도 1과 함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장치(100)는, 입력 데이터(RGB)의 계조를 확인하여, 확인된 계조가 고계조 영역에 포함되는가 저계조 영역에 포함되는가에 따라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선택적으로 진행하는 색재현율 제어부(6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6 and 7 together with FIG. 1 , the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the grayscale of the input data RGB, and the checked grayscale is included in the high grayscale region or the low grayscale region and a color gamut control unit 600 selectively performing a color gamut change process according to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색재현율 제어부(600)는 입력 데이터의 계조를 확인하여, 확인된 계조가 미리 정의된 고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계조 별 색재현율 변경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입력 데이터를 상기 고계조 영상 데이터로 변경하여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40)로 제공한다.More specifically, the color gamut control unit 600 checks the grayscale of the input data, and when the checked grayscale is included in a predefined high grayscale region, refers to the color gamut change control information for each grayscale, and performs the color gamut change process. Through this, the input data is converted into the high grayscale image data and provided to the timing controller 140 .

반면, 확인된 계조가 미리 정의된 저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바이패스 시켜 상기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저계조 영상 데이터로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140) 제공한다. 즉, 상기 색재현율 제어부(600)는 입력 데이터(RGB)를 고계조 영상 데이터와 저계조 영상 데이터로 구성된 영상 데이터(R'G'B')로 변환하여 타이밍 컨트롤러(140)에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hecked grayscale is included in the predefined low grayscale region, the color gamut change process is bypassed and the input data is provided to the timing controller 140 as the low grayscale image data. That is, the color gamut control unit 600 converts the input data RGB into image data R'G'B' composed of high grayscale image data and low grayscale image data and provides the converted input data RGB to the timing controller 140 .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색재현율 제어부(600)는, 수신된 입력 데이터의 계조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계조가 고계조 영역인지 저계조 영역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710)와, 상기 판단부(710)로부터 출력된 고계조 영역의 입력 데이터에 대해 모드 정보(Mode Info.)에 따라 선택된 룩 업 테이블(LUT)에서의 계조 별 색재현율 변경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변환부(720)와, 상기 변환부(720)의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에 의해 변경된 고계조 영상 데이터와, 상기 판단부(710)로부터 출력된 저계조 영역의 입력 데이터를 바이패스하여 저계조 영상 영상 데이터로 입력받아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40)로 제공하는 출력부(7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 the color gamut control unit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the grayscale of the received input data and determines whether the checked grayscale is included in the high grayscale region or the low grayscale region. And, with reference to the color gamut change control information for each gray level in the lookup table (LUT) selected according to the mode information (Mode Info.) with respect to the input data of the high gray level region output from the determination unit 710, the color The conversion unit 720 that performs the reproduction ratio change process, the high grayscale image data changed by the color gamut change process of the conversion unit 720 and the input data of the low grayscale area output from the determination unit 710 are read and an output unit 730 that passes and receives the low grayscale image image data and provides it to the timing controller 140 .

보다 구체적으로 색재현율 제어부(600)는, 입력 데이터(RGB)가 판단부(710)로 수신되면, 상기 판단부(710)는 입력 데이터의 계조를 확인한다. 본 발명에서는 입력 데이터의 RGB(a, b, c) 모두가 48 계조(Gray) 이하인 경우를 저계조 영역으로 정의하고, RGB(a, b, c) 중 어느 하나가 48 계조 이상인 경우를 고계조 영역으로 정의한다. 하지만, 이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표시장치의 종류, 크기, 구조에 따라 다양한 기준 계조값이 설정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lor gamut control unit 600 , when the input data RGB is received by the determination unit 710 , the determination unit 710 checks the grayscale of the input data. In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all RGB(a, b, c) of input data is less than 48 grayscales is defined as a low grayscale region, and a case in which any one of RGB(a, b,c) is 48 grayscales or more is defined as a high grayscale region. defined as an area. However, since this is not fixed, various reference grayscale values may be set according to the type, size, and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따라서, 판단부(710)는 확인된 입력 데이터의 RGB가 (0, 0, 10), (0, 10, 40), (10, 10, 30), (15, 20, 47), (25, 35, 45)와 같이, a, b, c 모두가 48 계조 이하인 경우, 저계조 영역의 입력 데이터로 판단한다. 판단부(710)는 저계조 영역의 입력 데이터를 바이패스 출력단(T2)을 통하여 저계조 영상 데이터로 출력부(730)에 전달한다.Accordingly, the determination unit 710 determines that RGB of the checked input data is (0, 0, 10), (0, 10, 40), (10, 10, 30), (15, 20, 47), (25, 35 and 45), when all of a, b, and c are less than or equal to 48 grayscales, it is determined as input data in the low grayscale region. The determination unit 710 transmits the input data of the low grayscale region to the output unit 730 as low grayscale image data through the bypass output terminal T2 .

즉, 저계조 영역의 입력 데이터 RGB(a, b, c)는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바이패스(Bypass) 시키기 때문에 판단부(710)에서 확인된 입력 데이터의 계조와 동일한 계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색재현율 변경시 저계조 영역에서는 색재현율 변경이 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저계조 영역에서의 화질 저하를 방지한 효과가 있다.That is, the input data RGB(a, b, c) of the low grayscale region has the same grayscale as the grayscale of the input data checked by the determination unit 710 because the color gamut change process is bypassed. Accordingl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in the low gradation region by preventing the color gamut from being changed in the low gradation region when the color gamut is changed.

반면, 확인된 계조가 상기 고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판단부(710)는 상기 입력 데이터 RGB(a, b, c)를 변환 출력단(T1)으로 출력하고, 변환부(720)는 상기 변환 출력단(T1)을 통해 수신된 입력 데이터를 모드 정보(Mode Info.)에 따라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통해 고계조 영상 데이터 RGB(a', b', c')로 변경하여 출력부(730)에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hecked grayscale is included in the high grayscale region, the determination unit 710 outputs the input data RGB(a, b, c) to the conversion output terminal T1, and the conversion unit 720 is the conversion output terminal. The input data received through (T1) is converted to high grayscale image data RGB(a', b', c') through a color gamut change process according to the mode information (Mode Info.) and outputted to the output unit 730 do.

예를 들어, 판단부(710)는 확인된 입력 데이터의 RGB(a, b, c)가 (0, 0, 220), (0, 0, 150), (10, 10, 220), (10, 10, 150)와 같이, a, b, c 중 하나 이상이 48 계조 이상인 경우, 고계조 영역의 입력 데이터로 판단한다. 고계조 영역의 입력 데이터로 판단된 경우, 이를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에 따라 RGB(10, 10, 220), (8, 8, 150), (20, 20, 200), (18, 18, 150) 형태로 계조 변경을 한다.For example, the determination unit 710 determines that RGB(a, b, c) of the checked input data is (0, 0, 220), (0, 0, 150), (10, 10, 220), (10) , 10, 150), when at least one of a, b, and c is 48 or more grayscales, it is determined as input data in the high grayscale region. If it is determined as input data in the high gradation area, it is converted into RGB(10, 10, 220), (8, 8, 150), (20, 20, 200), (18, 18, 150) according to the color gamut change process. Change the gradation in the form.

즉, RGB(a, b, c)로 구성되고, c는 48 계조 이상인 고계조 영역의 데이터인 경우, RGB(a', b', c')로 변경하는데, a'=a+오프셋값(offset), b'=b+오프셋값(offset)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오프셋값은 고계조의 c 값의 변경값(계조 낮춤 정도)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고계조 영역의 입력 데이터 RGB의 계조값들(a, b, c)은 c 값은 낮은 계조값으로 변경 설정되고, 저계조의 a, b 값은 높은 계조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하지만, 고계조 영역의 입력 데이터 RGB의 색재현율(120%)은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에 의해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방향으로 변경된다(색재현율 100% 방향).That is, if it is composed of RGB(a, b, c) and c is data in a high grayscale region of 48 grayscales or more, it is changed to RGB(a', b', c'), where a'=a+offset ), b'=b+offset value. The offset value may have various values according to the change value of the high gray level c value (the degree of gray level lowering). Accordingly, in the grayscale values (a, b, c) of the input data RGB of the high grayscale region, the c value may be changed to a low grayscale value, and the a and b values of the low grayscale may be set to a high grayscale value. However, the color gamut (120%) of the input data RGB of the high gradation region is changed in a direction of decreasing overall by the color gamut changing process (the color gamut 100% direction).

본 발명은 모드 정보(Mode Info.)에 대응하는 룩 업 테이블(LUT)을 배치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입력 데이터에 대한 색재현율 변경을 위한 변경된 계조값들을 색재현율 변경 제어 정보(LUT1, LUT2,… LUTn)로 저장해두고, 이를 참조하여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즉, 상기 색재현율 변경 제어 정보(LUT1, LUT2,… LUTn)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다드 모드(SM), 시네마 모드(CM), 비비디 모드(ViD) 등으로 변환되거나, 이들 사이에서 모드 변경이 이루어질 때에 대한 색재현율 변경 계조 값, 기준 색재현율 값 등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a look-up table (LUT) corresponding to the mode information (Mode Info.) and converts the changed grayscale values for changing the color gamut of the input data described above to the color gamut change control information (LUT1, LUT2, ...). LUTn) and refer to this to proceed with the color gamut change process. That is, the color gamut change control information LUT1, LUT2, ... LUTn is converted into a standard mode (SM), a cinema mode (CM), a video mode (ViD), etc., as shown in FIG. 3, or between them. It includes a color gamut change gradation value and a reference color gamut value for when a mode change is made in .

즉, 룩 업 테이블(LUT)의 색재현율 변경 제어 정보(LUT1, LUT2,… LUTn)는 고계조 영역의 입력 데이터의 확인된 계조에서의 기준 색재현율(표시장치의 색재현율)보다 일정 값만큼 감소된 색재현율(변경 예정인 모드의 색재현율)에 대한 계조 정보를 포함한다.That is, the color gamut change control information LUT1, LUT2, ... LUTn of the lookup table LUT is reduced by a predetermined value from the reference color gamut (color gamut of the display device) in the confirmed grayscale of the input data of the high grayscale region. Includes grayscale information on the changed color gamut (color gamut of the mode to be changed).

상기 변환부(720)에서 고계조 영상 데이터가 획득되면, 이를 출력부(730)로 제공하고, 상기 출력부(730)는 판단부(710)에서 바이패스 출력단(T2)으로 제공된 저계조 영상 데이터와 함께 고계조 영상 데이터를 색재현율 변경 영상 데이터(R'B'C')로 하여 이를 타이밍 컨트롤러(140)에 제공한다.When the conversion unit 720 obtains the high grayscale image data, it provides it to the output unit 730 , and the output unit 730 provides the low grayscale image data from the determination unit 710 to the bypass output terminal T2 . together with the high grayscale image data as color gamut change image data R'B'C' and provided to the timing controller 140 .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입력 데이터를 고계조 영역과 저계조 영역으로 구분한 후, 고계조 영역의 입력 데이터는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저계조 영역의 입력 데이터는 바이패스 시킴으로써, 색재현율 변경에 따른 저계조 영역에서의 화질 불량을 개선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dividing input data into a high grayscale region and a low grayscale region, the color gamut change process is performed for the input data of the high grayscale region, and the input data of the low grayscale region is bypassed, so that the color gamut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image quality in the low grayscale region due to the chang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판단부(710)에서 확인된 입력 데이터의 RGB가 (0, 0, 10), (0, 10, 40), (10, 10, 30), (15, 20, 47), (25, 35, 45)와 같이, a, b, c 모두가 48 계조 이하인 경우, 저계조 영역으로 판단 한 후, 저계조 영역의 입력 데이터의 RGB(a, b, c)에서 G(b)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저계조 영역의 입력 데이터로 확인된 경우, 이를 다시 R(a), B(c)에 대해서만 판단부(710)의 바이패스 출력단(T2)을 통하여 저계조 영상 데이터로 출력부(730)에 제공하고, G(b)에 대해서는 변환부(720)에 제공하여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GB of the input data checked by the determination unit 710 is (0, 0, 10), (0, 10, 40), (10, 10, 30), (15, 20, 47), (25, 35, 45), when all of a, b, and c are less than 48 grayscales, the RGB(a, b, c) of the input data in the low grayscale area is determined as a low grayscale area. For G(b), the color gamut change process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That is, when it is confirmed as the input data of the low grayscale region, it is again output as low grayscale image data through the bypass output terminal T2 of the determination unit 710 only for R(a) and B(c). , and G(b) may be provided to the converter 720 to perform a color gamut change process.

왜냐하면, 녹색(G)의 경우에는 계조에 따른 색좌표 변화가 크지 않기 때문에 색재현율 변경을 하여도 화질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green (G), the color coordinate change according to the gradation is not large, and thus the image quality is not greatly affected even if the color gamut is changed.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저계조 영역의 입력 데이터 RGB(a, b, c) 중 R(a)와 B(c)에 대해서만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바이패스(Bypass) 시키기 때문에 고계조 영상 데이터에는 저계조 영역의 입력 데이터 중 G(b)에 대한 색재현율 변경 영상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lor gamut change process is bypassed only for R(a) and B(c) among the input data RGB(a, b, c) of the low grayscale region, the high grayscale The image data may include color gamut change image data for G(b) among the input data of the low grayscale reg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역시, 입력 데이터를 고계조 영역과 저계조 영역으로 구분한 후, 고계조 영역의 입력 데이터와 저계조 영역의 일부 입력 데이터에 대해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진행하지만, 저계조 영역의 입력 데이터(R, B)에 대해 바이패스 시킴으로써, 저계조 영역에서의 색재현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divides input data into a high gradation region and a low gradation region, and then performs a color gamut change process on the input data of the high gradation region and some input data of the low gradation region. By bypassing the input data (R, B) of ,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color gamut in a low grayscale reg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영상 모드 변경에 따른 색재현율이 변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진행한 경우의 표시장치의 색재현율(Ref)과 모드 변경에 따른 색재현율(Mode 변경)의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lor gamu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image mod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 and a graph of color gamut (mode change) according to mode change are shown.

표시장치가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경우, 색재현율 변경을 하면 저계조 영역에서는 색재현율 변경(색재현율 저하)이 일어나지 않고, 저계조 이외의 영역(중간 및 고계조 영역)에서는 변경될 모드에 대응하는 색재현율(100%)로 변경되는 것을 볼 수 있다.When the display device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en the color gamut is changed, the color gamut change (color gamut reduction) does not occur in the low gradation region, and in regions other than the low gradation (middle and high gradation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mode to be changed It can be seen that the color gamut (100%) is changed.

따라서, 본 발명은 표시장치가 색재현율 변경을 할 때, 입력 데이터의 저계조 영역의 색재현율은 변경되지 않도록 하고, 고계조 영역의 색재현율은 목표 색재현율로 변경함으로써, 저계조 영역에서의 화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play device changes the color gamut, the color gamut of the low gradation region of the input data is not changed and the color gamut of the high gradation region is changed to the target color gamut. deterioration can be prevented.

도 9는 본 발명의 따른 색재현율 제어부의 배치 영역에 대한 실시예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rangement area of a color gamut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함께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장치에 포함되는 색재현율 변경 제어부(600)는, 표시장치(100)의 호스트 시스템(Host) 내부에 배치되는 모듈로써,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한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ogether with FIG. 1 , the color gamut change control unit 600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ule disposed inside the host system of the display device 100 and is shown in FIGS. 6 and 7 . You can proceed with the color gamut change process described in .

또한, 색재현율 제어부(600)는 호스트 시스템(Host)과 타이밍 컨트롤러(140) 사이에 배치되어, 호스트 시스템(Host)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에 대해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Also, the color gamut controller 6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ost system Host and the timing controller 140 to perform a color gamut change process for input data input from the host system Host.

또한, 색재현율 제어부(600)는 타이밍 컨트롤러(140) 내측에 배치되는 모듈로써, 호스트 시스템(Host)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에 대해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색재현율이 변경된 영상 데이터가 획득되면, 이를 타이밍 컨트롤러(140)에 제공하고,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색재현율이 변경된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표시패널(110)에 영상을 표시한다.Also, the color gamut control unit 600 is a module disposed inside the timing controller 140 , and may perform a color gamut change process for input data input from the host system. When the color gamut changed image data is obtained, it is provided to the timing controller 140 , and the timing controller 140 displays the image on the display panel 110 based on the changed color gamut image data.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이다.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using a color gamut chang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장치(100)의 구동 방법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입력 데이터(RGB)의 계조를 확인하여(S1001), 확인된 계조가 고계조 영역에 포함되는가 저계조 영역에 포함되는가를 판단한다(S1002).Referring to FIG. 10 , in the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y level of the input data RGB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checked ( S1001 ), and the checked gray level is included in the high gray level region or the low gray level region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included in (S1002).

그런 다음, 입력 데이터(RGB)가 저계조 영역에 해당할 경우에는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바이패스 시켜 저계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Then, when the input data RGB corresponds to the low grayscale region, the color gamut change process is bypassed to obtain the low grayscale image data.

입력 데이터(RGB)가 고계조 영역에 해당할 경우에는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에 따라 계조 변환 과정을 진행하여, 변경될 모드의 색재현율에 대응되는 고계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S1003).When the input data RGB corresponds to the high grayscale region, a grayscale conversion process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lor gamut change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and a high grayscale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lor gamut of the mode to be changed is performed. Data is acquired (S1003).

상기와 같이, 입력 데이터(RGB)에 대해 고계조 영상 데이터와 저계조 영상 데이터로 구성된 영상 데이터(R'G'B')가 획득되면, 이를 표시장치(100)의 타이밍 컨트롤러(140)에 제공하여, 영상을 표시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image data R'G'B' composed of high grayscale image data and low grayscale image data is obtained with respect to the input data RGB, it is provided to the timing controller 140 of the display device 100 . So, the image is displayed.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로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구동방법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입력 데이터(RGB)의 계조를 확인하여(S1101), 확인된 계조가 고계조 영역에 포함되는가 저계조 영역에 포함되는가를 판단한다(S1102).1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using a color gamut changing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grayscale of the input data RGB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checked (S1101),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hecked grayscale is included in the high grayscale area or the low grayscale area (S1102).

그런 다음, 입력 데이터(RGB)가 저계조 영역에 해당할 경우, 다시 R(a), B(b) 데이터인가를 판단하고(1104), R(a)와 B(b) 데이터에 대해서는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바이패스 시켜 저계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S1105).Then, if the input data RGB is in the low grayscale region,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R(a) or B(b) data again (1104), and color gamut for R(a) and B(b) data is determined again. By bypassing the change process, low grayscale image data is acquired (S1105).

만약, 저계조 영역의 입력 데이터(RGB)가 G(b)일 경우에는, 이를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한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에 따라 계조 변환 과정을 진행한다.If the input data RGB of the low grayscale region is G(b), the grayscale conversion process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lor gamut change proces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또한, 입력 데이터(RGB)가 고계조 영역에 해당할 경우에는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에 따라 계조 변환 과정을 진행하여, 변경될 모드에 대응되는 고계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S1103).In addition, when the input data RGB corresponds to the high grayscale region, the grayscale conversion process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lor gamut change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and the high grayscal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mode to be changed is performed. is obtained (S1103).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획득된 고계조 영상 데이터에 저계조 영역으로 분류된 입력 데이터(RGB) 중 G(b) 데이터에 대한 색재현율 변경 영상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or gamut change image data for G(b) data among the input data RGB classified into the low grayscale region may be included in the obtained high grayscale image data.

상기와 같이, 입력 데이터(RGB)에 대해 고계조 영상 데이터와 저계조 영상 데이터로 구성된 영상 데이터(R'G'B')가 획득되면, 이를 표시장치(100)의 타이밍 컨트롤러(140)에 제공하여, 표시패널(110)로 영상을 표시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image data R'G'B' composed of high grayscale image data and low grayscale image data is obtained with respect to the input data RGB, it is provided to the timing controller 140 of the display device 100 . Thus, an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10 .

또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입력 데이터에 대해 고계조 영역에서는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저계조 영역에서는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바이패스 시키기 때문에 상관색온도(Correlated Color Temperature; CCT) 또는 색온도의 변화가 발생한다. 특히, 시네마 모드에서 색온도 변화가 크게 발생된다.Also, as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lor gamut change process is performed in the high gradation region for input data and the color gamut change process is bypassed in the low gradation region, the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CCT) or change in color temperature occurs In particular, a large change in color temperature occurs in the cinema mode.

따라서, 본 발명의 표시장치(100)가 백색(W) 서브픽셀을 포함하고, 시네마 모드에 따라 도 10 및 도 11과 같은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영상 데이터(R'G'B')를 획득한 경우, 표시패널(110)을 통하여 백색(W)을 구현할 때에는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백색(W) 서브픽셀만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white (W) sub-pixels and performs the color gamut change process as shown in FIGS. 10 and 11 according to the cinema mode to convert the image data R'G'B'. When obtained, when realizing white (W) through the display panel 110 ,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timing controller 140 to drive only white (W) sub-pixels.

일반적으로 표시패널(110)을 통하여 백색을 구현하는 방식은, 백색(W) 서브픽셀과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서브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픽셀을 함께 구동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In general, the method of realizing white through the display panel 110 includes driving a white (W) sub-pixel and at least one sub-pixel among red (R), green (G), and blue (B) sub-pixels together. method is being adopted.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저계조 영역의 입력 데이터에 대해 색재현율 변경을 진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백색 색온도(CCT)의 변화가 발생하여 표시패널(110)에서 백색 구현시 색온도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백색(W) 서브픽셀로만 백색을 구현하는 것이 화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lor gamut is not changed with respect to the input data in the low gradation region, a change in the white color temperature (CCT) occurs. Implementing white only in sub-pixels can prevent image quality degrad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은, 입력 영상 데이터에 대해 고계조 영상 데이터와 저계조 영상 데이터에 대해 서로 다른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적용함으로써, 저계조 영역에서의 화질 불량을 개선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 image quality in the low grayscale region by applying different color gamut changing processes to the high grayscale image data and the low grayscale image data to the input image data. one effect.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combine configurations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such as separation, substitution and alteration will be possibl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표시장치
120: 소스 드라이버
130: 스캔 드라이버
140: 타이밍 컨트롤러
600: 색재현율 제어부
100: display device
120: source driver
130: scan driver
140: timing controller
600: color gamut control unit

Claims (14)

입력 데이터의 계조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계조가 고계조 영역인지 저계조 영역에 포함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확인된 계조가 상기 고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입력 데이터를 변환 출력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확인된 계조가 상기 저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입력 데이터를 바이패스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판단부; 및
상기 변환 출력단을 통해 출력된 상기 입력 데이터를 입력 받고, 모드 정보에 따라 선택된 룩 업 테이블에서의 계조 별 색재현율 변경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입력 데이터를 상기 계조 별 색재현율 변경 제어 정보에 따른 고계조 영상 데이터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저계조 영상 데이터는, 상기 입력 데이터의 적색, 녹색 및 청색 데이터가 모두 저계조인 색재현율 제어장치.
Check the grayscale of the input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checked grayscale is included in the high grayscale region or the low grayscale region, and if the checked grayscale is included in the high grayscale region, output the input data to a conversion output terminal; a determination unit outputting the input data to a bypass output terminal when the checked grayscale is included in the low grayscale region; and
Receives the input data output through the conversion output terminal, refers to color gamut change control information for each gradation in a lookup table selected according to mode information, and converts the input data to the color for each gradation through a color gamut change process and a conversion unit for changing and outputting high grayscal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rate change control information,
In the low grayscale image data included in the low grayscale region, red, green, and blue data of the input data are all low graysca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에서 출력된 상기 고계조 영상 데이터와 상기 바이패스 출력단을 통해 출력된 상기 입력 데이터를 저계조 영상 데이터로 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장치에 제공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색재현율 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provide image data using the high grayscale image data output from the conversion unit and the input data output through the bypass output terminal as low grayscale image data to a display device.
다수의 데이터 라인 및 다수의 게이트 라인이 배치된 표시패널;
상기 다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하는 소스 드라이버; 및
상기 소스 드라이버를 제어하며, 고계조 영상 데이터 또는 저계조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소스 드라이버의 데이터 구동이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소스 드라이버로 제공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입력 데이터의 계조를 확인하여, 확인된 계조가 미리 정의된 고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계조 별 색재현율 변경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입력 데이터를 상기 고계조 영상 데이터로 변경하여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 제공하고, 확인된 계조가 미리 정의된 저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바이패스 시켜 상기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저계조 영상 데이터로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 제공하는 색재현율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계조 영상 데이터는 상기 입력 데이터의 적색, 녹색 및 청색 데이터가 모두 저계조인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on which a plurality of data lines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are disposed;
a source driver driving the plurality of data lines; and
a timing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source driver, receives high grayscale image data or low grayscale image data, converts it into data that can be driven by the source driver, and provides the data to the source driver,
When the grayscale of the input data is checked and the checked grayscale is included in the predefined high grayscale region, the input data is converted into the high grayscale image data through a color gamut change process with reference to the color gamut change control information for each grayscale color gamut to provide the input data to the timing controller as the low grayscale image data by bypassing the color gamut change process when the checked grayscale is included in a predefined low grayscale region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In the low grayscale image data, red, green, and blue data of the input data are all low grayscale display devic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색재현율 제어부는,
상기 입력 데이터의 계조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계조가 상기 고계조 영역인지 상기 저계조 영역에 포함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확인된 계조가 상기 고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입력 데이터를 변환 출력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확인된 계조가 상기 저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입력 데이터를 바이패스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판단부;
상기 변환 출력단을 통해 출력된 상기 입력 데이터를 입력 받고, 모드 정보에 따라 선택된 룩 업 테이블에서의 계조 별 색재현율 변경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입력 데이터를 상기 고계조 영상 데이터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변환부에서 출력된 상기 고계조 영상 데이터를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 제공하거나, 상기 바이패스 출력단을 통해 출력된 상기 입력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저계조 영상 데이터로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 제공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lor gamut control unit,
By checking the grayscale of the input data,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hecked grayscale is included in the high grayscale region or the low grayscale region, and when the checked grayscale is included in the high grayscale region, the input data is output to a conversion output terminal and a determination unit outputting the input data to a bypass output terminal when the checked grayscale is included in the low grayscale region;
The input data output through the conversion output terminal is received, and the input data is converted to the high gray level through the color gamut change process by referring to color gamut change control information for each gray level in a lookup table selected according to mode information. 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image data; and
Display comprising an output unit that provides the high grayscale image data output from the converter to the timing controller, or receives the input data output through the bypass output terminal and provides the low grayscale image data to the timing controller as the low grayscale image data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정보에 따라 선택된 룩 업 테이블에서의 계조 별 색재현율 변경 제어 정보는,
상기 확인된 계조에서의 기준 색재현율과,
상기 기준 색재현율보다 일정 값만큼 감소된 변경 색재현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Color gamut change control information for each gradation in the lookup table selected according to the mode information,
The reference color gamut in the confirmed gradation, and
The display devic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changed color gamut reduced by a predetermined value from the reference color gamu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계조 영상 데이터는 상기 확인된 계조와 동일한 계조인 표시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low grayscale image data has the same grayscale as the confirmed graysca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색재현율 제어부는, 상기 입력 데이터를 제공하는 호스트 시스템에 포함되는 모듈이거나,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에 포함되는 모듈이거나,
상기 호스트 시스템과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 사이에 구현되는 표시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lor gamut control unit is a module included in the host system that provides the input data,
or a module included in the timing controller;
A display device implemented between the host system and the timing controller.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계조 영상 데이터는 상기 입력 데이터의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데이터가 모두 저계조이고, 이 중 상기 적색(R) 및 청색(B) 데이터를 바이패스 시켜 획득한 영상 데이터인 표시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low grayscale image data is obtained by bypassing the red (R) and blue (B) data of the red (R), green (G) and blue (B) data of the input data. A display device that is image data.
다수의 데이터 라인 및 다수의 게이트 라인이 배치된 표시패널;
상기 다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하는 소스 드라이버; 및
상기 소스 드라이버를 제어하며, 고계조 영상 데이터 또는 저계조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소스 드라이버의 데이터 구동이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소스 드라이버로 제공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입력 데이터의 계조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계조가 고계조 영역인지 저계조 영역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계조가 상기 고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입력 데이터를 변환 출력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확인된 계조가 상기 저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입력 데이터를 바이패스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 출력단을 통해 출력된 상기 입력 데이터를 입력 받고, 모드 정보에 따라 선택된 룩 업 테이블에서의 계조 별 색재현율 변경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입력 데이터를 상기 고계조 영상 데이터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저계조 영상 데이터는 상기 입력 데이터의 적색, 녹색 및 청색 데이터가 모두 저계조인 표시장치 구동방법.
a display panel on which a plurality of data lines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are disposed;
a source driver driving the plurality of data lines; and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timing controller controlling the source driver, receiving high grayscale image data or low grayscale image data, converting the data into data that can be driven by the source driver, and providing the data to the source driver,
checking the grayscale of the input data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hecked grayscale is included in a high grayscale region or a low grayscale region;
outputting the input data to a conversion output terminal when the checked grayscale is included in the high grayscale region, and outputting the input data to a bypass output terminal when the checked grayscale is included in the low grayscale region; and
The input data output through the conversion output terminal is received, and the input data is converted to the high grayscale image through a color gamut change process by referring to color gamut change control information for each gray level in a lookup table selected according to mode information. changing to data;
In the low grayscale image data, red, green, and blue data of the input data are all low grayscal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통해 변경된 고계조 영상 데이터와, 상기 바이패스 출력단을 통해 출력된 상기 입력 데이터를 저계조 영상 데이터로 입력받아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 제공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구동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receiving the high grayscale image data changed through the color gamut change process and the input data output through the bypass output terminal as low grayscale image data, providing the low grayscale image data to the timing controller to display the image driving method.
입력 데이터의 계조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계조가 고계조 영역인지 저계조 영역에 포함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확인된 계조가 상기 고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입력 데이터를 변환 출력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확인된 계조가 상기 저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입력 데이터를 바이패스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판단부; 및
상기 변환 출력단을 통해 출력된 상기 입력 데이터를 입력 받고, 모드 정보에 따라 선택된 룩 업 테이블에서의 계조 별 색재현율 변경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입력 데이터를 상기 계조 별 색재현율 변경 제어 정보에 따른 고계조 영상 데이터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 및 상기 변환부는,
상기 입력 데이터를 제공하는 호스트 시스템에 포함되는 모듈에 위치하거나,
상기 입력 데이터가 입력되는 타이밍 컨트롤러에 포함된 모듈에 위치하거나,
상기 호스트 시스템과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 사이에 위치하는 색재현율 제어장치.
Check the grayscale of the input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checked grayscale is included in the high grayscale region or the low grayscale region, and if the checked grayscale is included in the high grayscale region, output the input data to a conversion output terminal; a determination unit outputting the input data to a bypass output terminal when the checked grayscale is included in the low grayscale region; and
Receives the input data output through the conversion output terminal, refers to color gamut change control information for each gradation in a lookup table selected according to mode information, and converts the input data to the color for each gradation through a color gamut change process and a conversion unit for changing and outputting high grayscal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rate change control information,
The determination unit and the conversion unit,
located in a module included in the host system that provides the input data, or
It is located in a module included in the timing controller to which the input data is input, or
A color gamut control device positioned between the host system and the timing controller.
다수의 데이터 라인 및 다수의 게이트 라인이 배치된 표시패널;
상기 다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하는 소스 드라이버; 및
상기 소스 드라이버를 제어하며, 고계조 영상 데이터 또는 저계조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소스 드라이버의 데이터 구동이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소스 드라이버로 제공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입력 데이터의 계조를 확인하여, 확인된 계조가 미리 정의된 고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계조 별 색재현율 변경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입력 데이터를 상기 고계조 영상 데이터로 변경하여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 제공하고, 확인된 계조가 미리 정의된 저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바이패스 시켜 상기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저계조 영상 데이터로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 제공하는 색재현율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색재현율 제어부는,
상기 입력 데이터를 제공하는 호스트 시스템에 포함되는 모듈이거나,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에 포함되는 모듈이거나,
상기 호스트 시스템과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 사이에 구현되는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on which a plurality of data lines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are disposed;
a source driver driving the plurality of data lines; and
a timing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source driver, receives high grayscale image data or low grayscale image data, converts it into data that can be driven by the source driver, and provides the data to the source driver,
When the grayscale of the input data is checked and the checked grayscale is included in the predefined high grayscale region, the input data is converted into the high grayscale image data through a color gamut change process with reference to the color gamut change control information for each grayscale color gamut to provide the input data to the timing controller as the low grayscale image data by bypassing the color gamut change process when the checked grayscale is included in a predefined low grayscale region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The color gamut control unit,
or a module included in the host system that provides the input data,
or a module included in the timing controller;
A display device implemented between the host system and the timing controller.
다수의 데이터 라인 및 다수의 게이트 라인이 배치된 표시패널;
상기 다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하는 소스 드라이버;
상기 소스 드라이버를 제어하며, 고계조 영상 데이터 또는 저계조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소스 드라이버의 데이터 구동이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소스 드라이버로 제공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 입력 데이터를 제공하는 색재현율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의 계조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계조가 고계조 영역인지 저계조 영역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계조가 상기 고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입력 데이터를 변환 출력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확인된 계조가 상기 저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입력 데이터를 바이패스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 출력단을 통해 출력된 상기 입력 데이터를 입력 받고, 모드 정보에 따라 선택된 룩 업 테이블에서의 계조 별 색재현율 변경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색재현율 변경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입력 데이터를 상기 고계조 영상 데이터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색재현율 제어부는, 상기 고계조 영상 데이터로 변경된 상기 입력 데이터를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 제공하고, 상기 바이패스 출력단으로 출력된 상기 입력 데이터를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 제공하며,
상기 색재현율 제어부는,
상기 입력 데이터를 제공하는 호스트 시스템에 포함되는 모듈이거나,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에 포함되는 모듈이거나,
상기 호스트 시스템과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 사이에 구현되는 표시장치 구동방법.
a display panel on which a plurality of data lines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are disposed;
a source driver driving the plurality of data lines;
a timing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source driver, receives high grayscale image data or low grayscale image data, converts it into data that can be driven by the source driver, and provides the converted data to the source driver; and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olor gamut controller for providing input data to the timing controller, the method comprising:
checking the grayscale of the input data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hecked grayscale is included in a high grayscale region or a low grayscale region;
outputting the input data to a conversion output terminal when the checked grayscale is included in the high grayscale region, and outputting the input data to a bypass output terminal when the checked grayscale is included in the low grayscale region; and
The input data output through the conversion output terminal is received, and the input data is converted to the high grayscale image through a color gamut change process by referring to color gamut change control information for each gray level in a lookup table selected according to mode information. changing to data;
The color gamut control unit provides the input data converted into the high grayscale image data to the timing controller, and provides the input data output to the bypass output terminal to the timing controller,
The color gamut control unit,
or a module included in the host system that provides the input data,
or a module included in the timing controller;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implemented between the host system and the timing controller.
KR1020150154802A 2015-11-04 2015-11-04 Color gamut ratio controller,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24645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802A KR102464534B1 (en) 2015-11-04 2015-11-04 Color gamut ratio controller,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802A KR102464534B1 (en) 2015-11-04 2015-11-04 Color gamut ratio controller,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821A KR20170052821A (en) 2017-05-15
KR102464534B1 true KR102464534B1 (en) 2022-11-08

Family

ID=58739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802A KR102464534B1 (en) 2015-11-04 2015-11-04 Color gamut ratio controller,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53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9715A (en) * 1999-10-18 2001-04-27 Victor Co Of Japan Ltd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display device and its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2633A (en) * 2006-09-07 2008-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9715A (en) * 1999-10-18 2001-04-27 Victor Co Of Japan Ltd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display device and its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821A (en) 201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2107B1 (en) Luminance control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60992B1 (en) Compensation marging controll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2207190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146107B1 (en) Display device and luminance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3127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a image data
KR10225303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a image data
US20130194494A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signal and method thereof
KR20150077750A (en)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154698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boosting luminance thereof
KR102546309B1 (en) Image Quality Compensation Device And Method Of Display Device
KR10242304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driving therof
US10770021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US20230410733A1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KR102184917B1 (en) Signal generating device, signal generating program, signal generating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2514946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mpensating pixels of display device
KR102463843B1 (en) Controlle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KR102456428B1 (en) Display Device having white sub-pixel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2010109794A (en) Video signal processor,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display device
KR102464534B1 (en) Color gamut ratio controller,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9548040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821716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764606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352613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102582376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1927862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