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334B1 - 고정구 - Google Patents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334B1
KR102462334B1 KR1020227025825A KR20227025825A KR102462334B1 KR 102462334 B1 KR102462334 B1 KR 102462334B1 KR 1020227025825 A KR1020227025825 A KR 1020227025825A KR 20227025825 A KR20227025825 A KR 20227025825A KR 102462334 B1 KR102462334 B1 KR 102462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 teeth
comb
long side
fixtur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5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9563A (ko
Inventor
신이치 센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Publication of KR20220129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04Multi-part comb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08Fasten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08Fastening thereof
    • A41G3/0033Fastening thereof by mechanical fasteners, e.g. clasps or comb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24Hair clasps, i.e. multi-part clasps with pivotal connection of parts at their ends
    • A45D8/30Hair clasps, i.e. multi-part clasps with pivotal connection of parts at their ends with comb-like pro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길이 방향의 중앙 영역이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된 장변부(4a)를 가지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반전 부재(4)와, 장변부(4a)와 일단에서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이며, 장변부(4a)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장변부(4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빗살(10, 12)을 구비하고, 복수의 빗살(10, 12)은, 적어도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길이가 상이한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을 가지고,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이 장변부(4a)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은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나란히 연장되어 있고, 반전 부재(4)의 반전에 의해, 복수의 빗살(10, 12)이 반전 부재(4)와 근접한 상태 및 이격된 상태로 변경되고, 사용 시에 있어서,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은, 근접한 반전 부재와의 사이에 사용자의 모발을 끼워넣는 고정구(2)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정구
본 발명은, 대상물을 끼워넣어 고정시키는 고정구로서, 특히, 의모(擬毛)가 식설(植設)된 가발 베이스를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고정시키기 위해 적용 가능한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의모가 식설된 가발 베이스를 사용자의 두부에 고정하기 위하여, 가발용의 고정구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 가발용 고정구는, 재봉실 등에 의해 가발 베이스의 이면측(裏面側)(사용자의 두부에 접하는 측)에 장착되고, 가발용 고정구로 사용자의 모발을 끼워넣음으로써, 가발 베이스를 사용자의 두부에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가발용 고정구 중에는, 복수의 빗살이 장착된 반전 부재를 사용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가발용 고정구에서는, 빗살을 열고, 빗살로 사용자의 모발을 떠올린 후, 반전 부재를 반전시켜서 빗살이 닫히는 것에 의해, 빗살과 반전 부재 사이에 사용자의 모발을 끼워넣어 고정할 수 있다.
일본실용신안등록 제3221833호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가발용 고정구에서는, 반전 부재에 장착된 복수의 빗살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모발은, 복수 단(段)으로 되어 나고 있고, 상당히 볼륨이 있고, 모발의 길이도 상이하며, 모류(毛流)도 상이하다. 이 때문에, 빗살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 빗살의 선단(先端)이 모발에 접촉했을 때, 일직선 상에 나란하게 되므로, 빗살의 선단가 모발에 접촉했을 때, 모류에 어긋남이 생겨, 모발이 빠져나가, 충분한 양의 모발을 떠올리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빗살의 선단이 일직선 상에 나란하게 되는 경우, 끼워넣어진 모발이 빗살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배향하는 경향이 있어, 고정구를 충분한 힘으로 고정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반전 부재를 반전시킴으로써, 빗살이 닫힌 상태 및 빗살이 열린 상태의 전환이 가능한 고정구로서, 보다 많은 사용자의 모발을 끼워넣을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모발에 강하게 고정할 수 있는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는,
길이 방향의 중앙 영역이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된 장변부을 가지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반전 부재와,
상기 장변부와 일단에서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이며, 상기 장변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장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빗살
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빗살은, 적어도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까지의 길이가 상이한 제1 빗살 및 제2 빗살을 가지고, 상기 제1 빗살 및 상기 제2 빗살이 상기 장변부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반전 부재의 반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빗살이 상기 반전 부재와 근접한 상태 및 이격된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반전 부재를 반전시킴으로써, 빗살이 닫힌 상태 및 빗살이 열린 상태의 전환이 가능한 고정구로서, 보다 많은 사용자의 모발을 끼워넣을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모발에 강하게 고정할 수 있는 고정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를 구성하는 반전 부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a는 도 2의 화살표 C로부터 본 측면도이며, 특히 빗살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도 2의 화살표 C로부터 본 측면도이며, 특히 빗살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의 빗살의 영역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의 빗살의 영역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의 빗살의 영역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고정구를 나타낸 도면(사진)이다.
도 5b는 종래의 고정구인 비교예의 고정구를 나타낸 도면(사진)이다.
도 6은 실시예의 고정구를 사용하여, 빗살로 떠올릴 수 있는 모발의 수를 측정하는 시험을 나타낸 도면(사진)이다.
도 7a는 실시예의 고정구를 사용하여, 빗살과 반전 부재 사이에 모발을 끼워넣었을 때의 모발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사진)이다.
도 7b는 비교예의 고정구를 사용하여, 빗살과 반전 부재 사이에 모발을 끼워넣었을 때의 모발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사진)다.
도 8은 고정구의 빗살과 반전 부재 사이에 모발을 끼워넣고 고정구를 모발에 고정할 수 있는 힘을, 용수철저울을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가 장착된 가발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을 이하의 것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각 도면 중,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요점의 설명 또는 이해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편의 상 실시형태를 나누어서 나타내는 경우가 있지만, 상이한 실시형태로 나타낸 구성의 부분적인 치환 또는 조합은 가능하다.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하는 실시형태와 공통인 사항에 관한 기술을 생략하고,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특히, 동일한 구성에 의한 동일한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실시형태마다 축차적으로 언급하지 않기로 한다. 각 도면이 나타내는 부재의 크기나 위치 관계 등은,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과장해서 나타내고 있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
처음에, 도 1,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의 설명을 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를 구성하는 반전 부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a는, 도 2의 화살표 C로부터 본 측면도이며, 특히 빗살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도 2의 화살표 C로부터 본 측면도이며, 특히 빗살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반전 부재>
도 1은, 변형시키기 전의 초기 상태에서의 반전 부재(4)의 평면 형상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전 부재(4)는, 탄성 재료인 금속 박판(薄板)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탄성을 가지는 재료이면, 수지 재료를 비롯한 그 외의 임의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반전 부재(4)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장변부(4a)와, 장변부(4a)와 대향한 다른 장변부(4b)와, 대향하는 2개의 단변부(4, 4d1/d2)로 구성된 대략 사변형의 평면 형상을 가진다.
도면 좌측의 단변부(4d1/d2)에서는, 단변부(4d1) 및 단변부(4d2) 사이가 이격하고 있고, 초기 상태의 반전 부재(4)는 대략 C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격된 공간을 사이에 두고, 단변부(4d1) 및 단변부(4d2)의 단부 근방에는, 연결구멍(22a) 및 연결구멍(22b)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구멍(22a) 및 연결구멍(22b)의 중심간 거리가 D로 표시되어 있다.
장변부(4a)에는, 장변부(4a)와 일단(도 1의 화살표 A 참조)에서 연결되고, 타단(도 1의 화살표 B 참조)이 자유단인 복수의 빗살(10, 12)이 장착되어 있다. 빗살(10, 12)을 더욱 상세하게 말하면,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길이가 상이한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을 가진다. 제1 빗살(10) 쪽이 제2 빗살(12)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제1 빗살(10)은, 축부(軸部)(10a) 및 축부(10a)의 자유단에 구비된 대략 구형(球形)의 두부(10b)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제2 빗살(12)은, 축부(12a) 및 축부(12a)의 자유단에 구비된 대략 구형의 두부(12b)를 구비한다.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은 금속 재료로 형성되고, 예를 들면, 용접이나 브레이징으로, 반전 부재(4)의 장변부(4a)에 장착되어 있다.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은, 반전 부재(4)의 장변부(4a)의 길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다만, 항상 장변부(4a)의 길이 방향에 직교할 필요는 없으며, 장변부(4a)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다만,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은, 서로 대략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을 정리하여 나타내면,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은, 반전 부재(4)의 장변부(4a)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이, 반전 부재(4)의 장변부(4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반전 부재(4)나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은, 스테인레스강, 탄소강, 알루미늄, 구리, 티탄과 같은 금속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금속 박판의 표면에 코팅을 행할 수도 있고, 특히, 금속 표면의 코팅이 금속 알레르기에 대응하기 때문에 유효하다. 장착 시의 감촉을 개선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러버 터치의 코팅을 실시할 수도 있고, 용도에 맞추어서 그 외의 임의의 재료를 코팅할 수 있다.
반전 부재(4)의 치수에 대하여 기술하면, 두께로서, 0.15∼2 mm를 예시할 수 있고, 장변부 측의 길이(도 1의 W 참조)로서, 20∼50 mm를 예시할 수 있고, 단변부측의 길이로서, 6∼30 mm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빗살(10, 12)의 길이로서, 8∼30 mm를 예시할 수 있고, 빗살(10, 12)의 축부(10a, 12a)의 외경(外徑)으로서, 0.3∼2 mm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빗살(10, 12)의 간격으로서, 1∼3 mm를 예시할 수 있다. 다만, 이들 치수는 가발에 적용할 경우의 예시로서, 용도에 따라, 그 외의 임의의 치수를 채용할 수 있다.
이 초기 상태로부터, 도 1의 점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간 거리가 D인 연결구멍(22a) 및 연결구멍(22b)이 중첩되도록 반전 부재(4)를 변형시키고, 연결 부재(20)로 체결함으로써,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고정구(2)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대향하는 장변부(4a) 및 다른 장변부(4b)는, 그 길이 방향의 중앙 영역이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한다.
예를 들면, 연결 부재(20)로서 금속제 리벳을 사용하여, 리벳 삽입 후, 삽입한 선단부를 소성 변형시켜서 연결할 수 있다. 즉, "코킹하는 것"에 의해 연결할 수 있다. 다만, 연결 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볼트, 너트와 같은 그 외의 연결 부재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고, 용접에 의해 연결할 수 있다. 다만, 연결 부재(20)를 사용하는 편이, 중첩된 연결 영역이 상대적으로 움직일 여유가 있어, 보다 조작성이 우수한 것으로 여겨진다.
<고정구>
이상과 같이 하여 형성된 고정구(2)의 반전 부재(4)는, 4개의 변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진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하는 장변부(4a) 및 다른 장변부(4b)에 있어서, 그 길이 방향의 중앙 영역이 도면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이 반전 부재(4)와 근접한 상태가 되고, 반전 부재(4)의 탄성력에 의해, 그 상태가 유지된다. 즉,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이 닫힌 상태가, 반전 부재(4)의 탄성력에 의해 유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반전 부재(4)를 반전시켜서,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하는 장변부(4a) 및 다른 장변부(4b)에 있어서, 그 길이 방향의 중앙 영역이 도면 위쪽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시킨 경우에는,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이 반전 부재(4)와 이격된 상태로 변경된다. 그리고, 반전 부재(4)의 탄성력에 의해, 그 상태가 유지된다. 즉,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이 열린 상태가, 반전 부재(4)의 탄성력에 의해 유지된다.
이로써, 제1, 제2 빗살(10, 12)이 열린 상태에 있어서, 제1, 제2 빗살(10, 12)로 사용자의 모발을 떠올리고, 제1, 제2 빗살(10, 12) 및 반전 부재(4) 사이에 소정량의 모발을 넣은 후, 반전 부재(4)를 반전시켜서, 제1, 제2 빗살(10, 12)이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 변경함으로써, 제1, 제2 빗살(10, 12) 및 반전 부재(4) 사이에 소정량의 모발을 끼워서 유지할 수 있다.
고정구(2)의 반전 부재(4)가 대략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므로, 제1, 제2 빗살(10, 12)이 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반전 부재(4)를 용히하게 반전시켜서, 제1, 제2 빗살(10, 12)의 개폐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반전 부재(4)의 다른 장변부(4b)의 전체면에 마찰 부재(6)가 구비되어 있다. 마찰 부재(6)에는, 실리콘을 비롯한 고무, 엘라스토머나 우레탄과 같은 마찰계수가 높은 탄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튜브형으로 형성된 마찰 부재(6)를, 초기 상태에 있어서, 반전 부재(4)의 이격 영역(도 1 참조)으로부터 삽입하고, 다른 장변부(4b)를 덮도록 장착하고, 그 후, 반전 부재(4)를 변형시키고 연결함으로써, 반전 부재(4)의 다른 장변부(4b)에 마찰 부재(6)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반전 부재(4)를 변형시키고 연결한 후, 접착 등에 의해 마찰 부재(6)를 다른 장변부(4b)에 장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른 장변부(4b)에 마찰 부재(6)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제1, 제2 빗살(10, 12)이 닫힌 상태에 있어서, 제1, 제2 빗살(10, 12)과 마찰 부재(6) 사이에서 모발을 유지하는 힘이 증가하고, 보다 확실하게 고정구(2)를 모발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반전 부재(4)에는, 도면 좌측에 2개, 우측에 3개의 합계 5개의 장착용 구멍(2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 부재(20)의 중앙부도 개구되어 있어, 실질적으로 좌우 3개씩의 장착용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장착용 구멍(24) 등에 재봉실 등을 끼우고, 고정구(2)를 가발 베이스에 꿰맬 수 있다. 또한, 이 장착용 구멍(24)에 의해, 고정구(2)의 경량화를 꾀할 수 있고, 반전 부재(4)를 변형하기 쉽게 하고 있다.
<빗살이 열리는 상태>
상기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 있어서, 중심간 거리 D만큼 이격된 연결구멍(22a, 22b)의 위치를 일치시킬 때까지, 반전 부재(4)를 변형시킴으로써, 장변부(4a) 및 다른 장변부(4b)가 만곡한다. 이 때, 장변부(4a)의 길이 방향의 길이 W(도 1 참조)에 대하여, 연결구멍(22a, 22b)의 중심간 거리 D가 큰 것이, 반전 부재(4)를 보다 크게 변형시켜서, 장변부(4a) 및 다른 장변부(4b)의 만곡의 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제2 빗살(10, 12)이 열린 상태에서, 제1, 제2 빗살(10, 12) 및 반전 부재(4)이 이루는 개구각도를 보다 크게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2 빗살(10, 12)이 반전 부재(4)에 고정된 밑동 부분의 근방까지 모발을 삽입할 수 있으므로, 보다 많은 모발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빗살(10, 12)이 열린 상태에서의 개구각도가 큰 경우에는, 제1, 제2 빗살(10, 12)의 선단과 반전 부재(4) 사이의 거리를 크게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열린 제1, 제2 빗살(10, 12)과 반전 부재(4) 사이에 모발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제2 빗살(10, 12) 및 반전 부재(4)가 이루는 개구각도를 보다 크게 가지므로, 연결구멍(22a, 22b)의 중심간 거리(즉, 초기 상태로부터 중첩되는 상태까지의 이동량) D와, 장변부(4a)의 길이 방향의 길이 W와의 사이에서, D/W의 값이 0.15 이상이면, 제1, 제2 빗살(10, 12)의 선단과 반전 부재(4)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크게 가질 수 있는 것을 지견(知見)하였다. 예를 들면, 제1 빗살(10)의 길이가 12mm 정도인 경우에 있어서, 열린 상태에서, 제1 빗살(10)의 선단과 반전 부재(4) 사이의 거리를 6mm 정도 가질 수 있다.
다만, 장변부(4a)의 길이 W에 대하여 연결구멍(22a, 22b)의 중심간 거리 D가 지나치게 크면, 반전 부재(4)의 변형이 지나치게 커서, 반전시킬 때 큰 힘을 요하게 된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면, 연결구멍(22a, 22b)의 중심간 거리 D 및 장변부(4a)의 길이 W 사이에
0.15≤(D/W)≤0.17
의 관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변부(4a)의 길이 W에 대하여 연결구멍(22a, 22b)의 중심간 거리 D를 상기한 범위에 가짐으로써, 열린 상태에서 제1, 제2 빗살(10, 12) 및 반전 부재(4)가 이루는 개구각도를 크게 가질 수 있고 또한, 반전 부재(4)를 용이하게 반전할 수 있는 고정구(2)를 실현할 수 있다.
(빗살의 길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2)에서는, 일단(도 1의 화살표 A 참조)으로부터 타단(도 1의 화살표 B 참조)까지의 길이가 상이한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을 가지고,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이 반전 부재(4)의 장변부(4a)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모발은, 복수 단으로 되어 나고 있고, 상당히 볼륨이 있고, 모발의 길이도 상이하고, 모류도 상이하다.
고정구(2)에 사용자의 모발을 끼워넣어 고정구(2)를 모발에 고정하기 위한, 열린 상태의 제1, 제2 빗살(10, 12)과 반전 부재(4) 사이에, 모발을 넣을 필요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2)에서는, 길이가 상이한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길이가 긴 제1 빗살(10)로 모발을 떠올릴 때 빠져나가서 떠올리 수 없었던 모발을, 인접하는 길이가 짧은 제2 빗살(12)로 떠올릴 수 있다. 이로써, 보다 많은 모발을, 용이하게 제1, 제2 빗살(10, 12)과 반전 부재(4) 사이에 넣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길이가 상이한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에 의해 요철이 있는 선단 형상이 형성되는 경우, 빗살(10, 12) 및 반전 부재(4) 사이에 모발을 끼워넣었을 때, 모발은, 빗살(10, 12)이 연장되는 방향뿐만 아니라, 빗살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도 배향한다. 이와 같이, 끼워넣어진 모발이 다양한 각도로 빗살(10, 12)에 얽히므로, 고정구(2)로 모발을 끼워넣어 고정시키는 힘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구(2)를 사용자의 모발에 강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전 부재(4)를 반전시킴으로써, 빗살이 닫힌 상태 및 빗살이 열린 상태의 전환이 가능한 고정구(2)로서, 보다 많은 모발을 용이하게 빗살(10, 12)과 반전 부재(4) 사이에 끼워넣을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모발에 강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구(2)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2)은, 반전 부재(4)의 장변부(4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제1 빗살(10)로 구성된 제1 빗살 영역(10A)과,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제2 빗살(12)로 구성된 제2 빗살 영역(12A)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각각 복수 개의 빗살(10, 12)이 인접하여 배치된 제1 빗살 영역(10A) 및 제2 빗살 영역(12A)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모발을 떠올릴 수 있고 또한, 제1 빗살 영역(10A)으로 떠올릴 수 없었던 모발을, 인접하는 길이가 짧은 제2 빗살 영역(12A)으로 확실하게 떠올릴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전 부재(4)의 장변부(4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제1 빗살 영역(10A)과 제2 빗살 영역(12A)이 교호적으로 배치된 배치 패턴을 가진다. 도 2를 참조하면, 도면 좌측으로부터, 제1 빗살 영역(10A), 제2 빗살 영역(12A), 제1 빗살 영역(10A), 제2 빗살 영역(12A), 제1 빗살 영역(10A)의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 패턴에 의해, 반전 부재(4)의 장변부(4a)의 길이 방향의 거의 전역(全域)에 있어서, 확실하게 모발을 빗살(10, 12)과 반전 부재(4) 사이에 끼워넣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배치 패턴에 의해, 반전 부재(4)의 장변부(4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중심부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대칭인 배치에 의해, 빗살(10, 12)과 반전 부재(4) 사이에 모발을 양호한 밸런스로 끼워넣을 수 있으므로, 고정구(2)가 모발로부터 어긋나기 어려운 고정이 실현된다.
<빗살의 두부의 위치>
제1, 제2 빗살(10, 12)의 자유단에는, 대략 구형의 두부(10b, 12b)가 구비되어 있지만, 이 두부(10b, 12b)가 반전 부재(4)의 대략 사변형의 평면 형상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써, 제1, 제2 빗살(10, 12)에 사용자의 모발을 떠올리기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빗살(10, 12)이 지나치게 연장되면, 고정구(2)를 가발 베이스에 장착했을 때, 두부(10b, 12b)가 가발의 네트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2)에서는, 고정구(2)를 사용자의 모발에 강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반전 부재(4)의 대략 사변형의 평면 형상에 있어서, 대향하는 2개의 단변부(4c, 4d1/d2)의 길이를 짧게 해도, 고정하는 힘을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2 빗살(10, 12)의 두부(10b, 12b)가, 반전 부재(4)의 대략 사변형의 평면 형상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제1, 제2 빗살(10, 12)이 지나치게 연장되지 않는다. 이로써, 사용자의 모발을 떠올리기 쉬우며 또한, 가발이 네트에 걸릴 우려가 적은 고정구(2)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외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
길이가 상이한 빗살의 배치는, 상기한 제1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길이가 상이한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을 가지고,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이 반전 부재(4)의 장변부(4a)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있으면, 그 외의 임의의 빗살의 배치를 채용할 수 있다. 그 일례로서, 도 4a로부터 4c를 참조하면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
도 4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의 빗살의 영역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2)에서는, 반전 부재(4)의 장변부(4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1개의 제1 빗살(10)로 구성된 제1 빗살 영역(10A)과, 1개의 제1 빗살(10)보다 짧은 제2 빗살(12)로 구성된 제2 빗살 영역(12A)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제1 실시형태에서, 각각 복수 개의 제1, 제2 빗살(10, 12)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제1, 제2 빗살 영역(10A, 12A)이 구성되어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 각각 1개의 제1, 제2 빗살(10, 12)에 의해 제1, 제2 빗살 영역(10A, 12A)이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다만,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반전 부재(4)의 장변부(4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제1 빗살 영역(10A)과 제2 빗살 영역(12A)이 교호적으로 배치된 배치 패턴을 가지고, 중심부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제2 빗살 영역(10A, 12A)이, 각각 1개의 제1, 제2 빗살(10, 12)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반전 부재(4)의 장변부(4a)의 길이가 동일해도, 길이가 상이한 빗살이 인접하는 상태를 보다 많이 만들 수 있다. 이로써, 제1 빗살(10)로 떠올릴 수 없는 모발을, 인접하는 길이가 짧은 제2 빗살(12)로 떠올리는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
도 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의 빗살의 영역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2)에서는, 반전 부재(4)의 장변부(4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제1 빗살(10)로 구성된 제1 빗살 영역(10A)과, 1개의 제1 빗살(10)보다 짧은 제2 빗살(12)로 구성된 제2 빗살 영역(12A)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각각 동일 개수의 제1, 제2 빗살(10, 12)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제1, 제2 빗살 영역(10A, 12A)이 구성되어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 상이한 개수의 제1, 제2 빗살(10, 12)에 의해 제1, 제2 빗살 영역(10A, 12A)이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다만,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반전 부재(4)의 장변부(4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제1 빗살 영역(10A)과 제2 빗살 영역(12A)이 교호적으로 배치된 배치 패턴을 가진다. 도 4b를 참조하면, 도면 좌측으로부터, 제2 빗살 영역(12A), 제1 빗살 영역(10A), 제2 빗살 영역(12A), 제1 빗살 영역(10A), 제2 빗살 영역(12A), 제1 빗살 영역(10A), 제2 빗살 영역(12A)의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반전 부재(4)의 장변부(4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중심부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길이가 긴 제1 빗살(10)의 개수가 많으므로, 제1 빗살(10)을 사용하여 보다 많은 모발을 떠올릴 수 있다.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
도 4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의 빗살의 영역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2)에서는, 반전 부재(4)의 장변부(4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제1 빗살(10)로 구성된 제1 빗살 영역(10A)과, 1개의 제1 빗살(10)보다 짧은 제2 빗살(12)로 구성된 제2 빗살 영역(12A)에 더하여, 1개의 제2 빗살(12)보다 짧은 제3 빗살(14)로 구성된 제3 빗살 영역(14A)을 가지는 점에서, 상기한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다만,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중심부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제1 빗살(10), 제2 빗살(12) 및 제3 빗살(14)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빗살(12)보다 짧은 제3 빗살(14)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빗살(10)로 떠올릴 수 없는 모발을, 인접하는 길이의 짧은 제2 빗살(12)로 떠올리고, 또한 제2 빗살(12)로 떠올릴 수 없는 모발을, 인접하는 더욱 길이가 짧은 제3 빗살(14)로 떠올릴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많은 모발을 효과적으로 빗살(10, 12, 14)과 반전 부재(4) 사이에 끼워넣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반전 부재(4)의 장변부(4a)의 길이를 무턱대고 길게 하지 않고, 길이가 상이한 빗살이 인접하는 상태를 많이 만드는 것을 고려하면, 각 빗살 영역(10A, 12A, 14A)에서의 빗살(10, 12, 14)의 개수는 1∼3 개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각 빗살 영역(10A, 12A, 14A)으로 떠올리는 모발의 양의 밸런스를 고려하면, 각 빗살 영역(10A, 12A, 14A)에서의 빗살(10, 12, 14)의 개수는, 동일한 수이거나, 또는 개수의 차이가 있어도 1, 2 개 정도의 차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다음으로, 상기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2)를 실제로 제조하여 실시예로 하고, 종래의 고정구(102)를 비교예로 하여 비교 시험을 한 결과를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고정구를 나타낸 도면(사진)이다. 도 5b는, 종래의 고정구인 비교예의 고정구를 나타낸 도면(사진)이다. 도 5a에 나타낸 실시예는, 상기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2)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길이가 상이한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을 구비한다. 한편, 종래의 고정구인 비교예에서는, 모든 빗살이 동일한 길이로 되어 있다. 그리고, 빗살의 길이 이외에 대해서는, 실시예 및 비교예는,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실시예 1>
처음에, 도 6을 참조하면서, 고정구의 빗살로 떠올리는 모발의 수를 비교한 실시예 1의 설명을 행한다. 도 6은, 실시예의 고정구를 사용하여, 빗살로 떠올릴 수 있는 모발의 수를 측정하는 시험을 나타낸 도면(사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에 모발로 간주한 100개의 재봉실을 고정하고, 도 5a에 나타낸 실시예의 고정구(2), 및 도 5b에 나타낸 비교예의 고정구(102)로, 재봉실을 빗살 및 반전 부재 사이에 끼워넣는 시험을, 각각 10회 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22077512280-pct00001
이상과 같이, 실시예 쪽이 평균 29.5개의 재봉실을 끼워넣을 수 있어, 평균 23.8개의 비교예에 비교하여, 보다 많은 재봉실을 끼워넣을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로써, 길이가 상이한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이 인접하여 배치됨으로써, 보다 많은 모발을 끼워넣을 수 있는 것이 실증되었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서, 모발로 간주한 재봉실을 사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고정구로 끼워넣은 모발이 빗살에 얽인 상태를 비교 관찰한 실시예 2의 설명을 행한다. 도 7a는, 실시예의 고정구(2)를 사용하여, 빗살과 반전 부재 사이에 모발을 끼워넣었을 때의 모발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사진)이다. 도 7b는, 비교예의 고정구(102)를 사용하여, 빗살과 반전 부재 사이에 모발을 끼워넣었을 때의 모발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사진)이다.
도 7a의 화살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의 고정구(2)에서는, 길이가 상이한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에 의해 요철이 있는 선단 형상이 형성되므로, 모발이 빗살(10, 12)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배향할뿐만 아니라, 빗살(10, 12)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도 배향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한편, 모든 빗살의 길이가 동일한 비교예의 고정구(102)에서는, 거의 모든 모발이 빗살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향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로써, 실시예의 고정구(2)를 사용하여 모발을 끼워넣어 고정하는 힘이, 비교예의 고정구(102)를 사용하여 모발을 끼워넣어 고정하는 힘에 비교하여 커지는 요인을 실증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서, 실시예의 고정구(2)로 모발을 끼워넣어 고정하는 힘과, 비교예의 고정구(102)로 모발을 끼워넣어 고정하는 힘을 측정하는 실시예 3의 설명을 행한다. 도 8은, 고정구의 빗살과 반전 부재 사이에 모발을 끼워넣어 고정구를 모발에 고정할 수 있는 힘을, 용수철저울을 사용하여 측정한 것을 나타낸 도면(사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및 비교예의 고정구(2, 102)의 빗살 및 반전 부재의 사이에 모발로 간주한 재봉실를 끼워넣고, 그 고정구(2, 102)에 용수철저울로 당겨서 고정하는 힘을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용수철저울을 당기는 힘을 증가시키면서, 고정구(2, 102)가 움직이기 시작했을 때의 용수철저울의 값을 고정하는 힘으로 했다. 그 결과, 비교예의 고정구(102)에서는, 고정하는 힘이 20∼30 g인 것에 비해, 실시예의 고정구(2)에서는, 고정하는 힘이 40∼50 g이었다.
이로써, 실시예의 고정구(2)의 고정하는 힘이, 비교예의 고정구(102)의 고정하는 힘보다 큰 것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길이가 상이한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에 의해, 끼워넣은 모발이, 빗살이 연장되는 방향뿐만 아니라, 빗살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도 배향하는 실시예의 고정구(2)에서는, 보다 큰힘으로 모발과 고정할 수 있는 것이 실증되었다.
이와 같이, 길이가 상이한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을 구비하는 고정구(2)에서는, 모발을 끼워넣어 고정하는 힘이 크므로, 반전 부재(4)의 대략 사변형의 평면 형상에 있어서, 대향하는 2개의 단변부(4c, 4d1/d2)의 길이를 짧게 해도, 고정하는 힘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전 부재(4)의 대략 사변형의 평면 형상에 있어서, 장변부의 길이를 L1, 단변부의 길이를 L2로 하면, L2/L1의 값을 0.3 이하로 해도 고정하는 힘을 충분히 얻을 수 있는 것을 지견(知見)하였다. 다만, 장변과 단변의 차이가 지나치게 크면 사용하기 어려운 경향도 있으므로,
0.2≤L2/L1≤0.3
의 범위가 바람직한 것으로 고려된다.
이로써,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의 선단이 대략 사변형의 평면 형상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더라도, 고정구(2)를 가발 베이스에 장착했을 때, 가발의 네트에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모발을 떠올리기 쉬우며 또한, 가발의 네트에 걸릴 우려가 적은 고정구(2)를 제공할 수 있다.
(고정구가 장착된 가발의 설명)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서, 상기와 같은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가 장착된 가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가 장착된 가발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에서는, 2개의 고정구(2)가, 가발 베이스(30)의 이면측(사용자의 두부에 접하는 측)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특히, 가발 베이스(30)의 둘레부의 근방으로서, 사용자의 귀 앞(관자놀이)의 영역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가발 베이스(30)에 장착하는 고정구(2)의 수는, 2개로 한정되지 않고, 용도에 따라 임의의 개수를 장착할 수 있다.
고정구(2)를 가발 베이스(30)에 장착하는 방법으로서, 고정구(2)에 설치된 복수의 장착용 구멍(24)이나 연결 부재(20)의 개구에 재봉실을 끼워서, 가발 베이스(30)에 꿰매는 것이 고려된다. 단,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연결 부재를 사용하는 것을 비롯하여, 기지(旣知)의 임의의 방법으로 고정구(2)를 가발 베이스(30)에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발 베이스(30)에 의모(32)가 식설되어 가발(40)이 형성된다. 사용자가, 이 가발(40)을 장착할 때는, 가발 베이스(30)를 두부에 장착한 후, 귀 앞(관자놀이)의 영역에 있는 고정구(2)의 빗살을 여는 상태로 하고, 사용자의 모발을 빗살과 반전 부재 사이에 삽입한 후, 반전 부재를 반전시켜서, 모발을 빗살과 반전 부재 사이에 끼워넣어 유지시킨다. 이로써, 가발(40)을 안정적으로 두부에 고정할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
이상과 같이,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2)에서는, 길이 방향의 중앙 영역이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된 장변부(4a)를 가지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반전 부재(4)와, 장변부(4a)와 일단에서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이며, 장변부(4a)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장변부(4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빗살(10, 12)을 구비하고, 복수의 빗살(10, 12)은, 적어도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길이가 상이한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을 가지고,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이 장변부(4a)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반전 부재(4)의 반전에 의해, 복수의 빗살(10, 12)이 반전 부재(4)와 근접한 상태 및 이격된 상태로 변경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반전 부재를 반전시킴으로써, 빗살(10, 12)이 닫힌 상태 및 빗살(10, 12)이 열린 상태의 전환이 가능한 고정구(2)로서, 보다 많은 사용자의 모발을 끼워넣을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모발에 강하게 고정할 수 있는 고정구(2)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2)에서는, 장변부(4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1개 또는 인접하여 배치된 복수 개의 제1 빗살(10)로 구성된 제1 빗살 영역(10A)과, 1개 또는 인접하여 배치된 복수 개의 제2 빗살(12)로 구성된 제2 빗살 영역(12A)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제1 빗살 영역(10A)으로 떠올릴 수 없는 모발을, 인접하는 길이가 짧은 제2 빗살 영역(12A)으로 확실하게 떠올릴 수 있다.
특히, 상기한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에서는, 장변부(4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제1 빗살 영역(10A)과 제2 빗살 영역(12A)이 교호적으로 배치된 배치 패턴을 가지므로, 장변부(4a)의 길이 방향의 거의 전역에 있어서, 모발을 빗살(10, 12)과 반전 부재(4) 사이에 확실하게 끼워넣을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구(2)에서는, 장변부(4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중심부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제1 빗살(10) 및 제2 빗살(12)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빗살(10, 12)과 반전 부재(4) 사이에 모발을 양호한 밸런스로 끼워넣을 수 있으므로, 고정구(2)가 모발로부터 어긋나기 어려운 고정이 실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는, 전술한 가발 베이스를 고정하는 용도뿐만 아니라, 고정하는 대상물을 빗살과 반전 부재 사이에 삽입시키고, 반전 부재를 반전시켜서, 반전 부재의 탄성력으로 대상물을 끼워넣어 고정시키는 것이면, 그 외의 임의의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나, 개시 내용은 구성의 세부에 있어서 변화되어도 되고, 실시형태에서의 요소의 조합이나 순서의 변화 등은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일탈하지 않고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2: 고정구
4: 반전 부재
4a: 장변부
4b: 다른 장변부
4c: 단변부
4d1: 단변부
4d2: 단변부
6: 마찰 부재
10: 제1 빗살
10a: 축부
10b: 두부
10A: 제1 빗살 영역
12: 제2 빗살
12a: 축부
12b: 두부
12A: 제2 빗살 영역
14: 제3 빗살
14a: 축부
14b: 두부
14A: 제3 빗살 영역
20: 연결 부재
22a, 22b: 연결구멍
24: 장착용 구멍
30: 가발 베이스
32: 의모
40: 가발

Claims (7)

  1. 길이 방향의 중앙 영역이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된 장변부(長邊部)를 가지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반전(反轉) 부재와,
    상기 장변부와 일단(一端)에서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이며, 상기 장변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장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빗살(comb tooth)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빗살은, 적어도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까지의 길이가 상이한 제1 빗살 및 제2 빗살을 가지고, 상기 제1 빗살 및 상기 제2 빗살이 상기 장변부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빗살 및 상기 제2 빗살은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까지 나란히 연장되어 있고,
    상기 반전 부재의 반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빗살이 상기 반전 부재와 근접한 상태 및 이격된 상태로 변경되고,
    사용 시에 있어서, 상기 제1 빗살 및 상기 제2 빗살은, 근접한 상기 반전 부재와의 사이에 사용자의 모발을 끼워넣는, 고정구(fastener).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변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1개 또는 인접하여 배치된 복수 개의 상기 제1 빗살로 구성된 제1 빗살 영역과, 1개 또는 인접하여 배치된 복수 개의 상기 제2 빗살로 구성된 제2 빗살 영역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고정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변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빗살 영역과 상기 제2 빗살 영역이 교호적(交互的)으로 배치된 배치 패턴을 가지는, 고정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변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중심부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상기 제1 빗살 및 상기 제2 빗살이 배치되어 있는, 고정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 부재는, 상기 장변부와, 상기 장변부와 대향하고 길이 방향의 중앙 영역이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된 다른 장변부와, 대향하는 2개의 단변부(短邊部)로 구성된 대략 사변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는, 고정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의 자유단에 두부(頭部)를 구비하고,
    상기 두부가 상기 대략 사변형의 평면 형상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고정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장변부에 마찰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고정구.
KR1020227025825A 2020-05-01 2021-04-30 고정구 KR1024623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81374 2020-05-01
JP2020081374A JP6789433B1 (ja) 2020-05-01 2020-05-01 留め具
PCT/JP2021/017217 WO2021221161A1 (ja) 2020-05-01 2021-04-30 留め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563A KR20220129563A (ko) 2022-09-23
KR102462334B1 true KR102462334B1 (ko) 2022-11-01

Family

ID=73452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5825A KR102462334B1 (ko) 2020-05-01 2021-04-30 고정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028052A1 (ko)
JP (1) JP6789433B1 (ko)
KR (1) KR102462334B1 (ko)
CN (1) CN115460951A (ko)
CA (1) CA3170381A1 (ko)
TW (1) TW202207828A (ko)
WO (1) WO20212211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89433B1 (ja) * 2020-05-01 2020-11-25 株式会社アデランス 留め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8003B2 (ja) 1995-12-22 2000-11-13 東洋電機製造株式会社 電流形変換器の制御装置
JP6598277B1 (ja) 2019-04-03 2019-10-30 マスターズプランナー株式会社 ウィッグ用固定ピン
JP2019189952A (ja) 2018-04-18 2019-10-31 株式会社ユキ かつら用クリップ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81227A (en) * 1918-02-13 1918-10-08 Yuki Sumitani Hair pin and comb.
JPH0731684A (ja) * 1993-04-08 1995-02-03 Tomoko Takase 毛髪育生箇所用発磁石
JP3011609U (ja) * 1994-11-28 1995-05-30 欽儒 林 クリップコーム
CN1066030C (zh) * 1995-03-02 2001-05-23 株式会社安田公司 发夹
JP3221833B2 (ja) 1996-02-13 2001-10-22 日東工器株式会社 スライド式通線ピボット
KR200322694Y1 (ko) * 2003-05-23 2003-08-14 정영길 가발 착용용 클립
JP3108003U (ja) * 2004-09-30 2005-04-07 株式会社アデランス かつら用ストッパー
CN102665463B (zh) * 2009-09-30 2014-11-19 爱德兰丝株式会社 头饰品用止动安装部件及头饰品
JP4612743B1 (ja) * 2010-02-24 2011-01-12 株式会社アートネイチャー かつら用固定具、及び、かつら
US20180077986A1 (en) * 2016-09-16 2018-03-22 Annie International, Inc. Wig clip
KR20160003133U (ko) * 2015-03-05 2016-09-20 주식회사 주산물산 가발용 클립
JP6559449B2 (ja) * 2015-03-30 2019-08-14 株式会社アートネイチャー 取付具、かつら、及び、増毛具
JP6063078B1 (ja) * 2016-03-07 2017-01-18 株式会社アデランス 留め具
JP6789433B1 (ja) * 2020-05-01 2020-11-25 株式会社アデランス 留め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8003B2 (ja) 1995-12-22 2000-11-13 東洋電機製造株式会社 電流形変換器の制御装置
JP2019189952A (ja) 2018-04-18 2019-10-31 株式会社ユキ かつら用クリップ
JP6598277B1 (ja) 2019-04-03 2019-10-30 マスターズプランナー株式会社 ウィッグ用固定ピ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28052A1 (en) 2023-01-26
CA3170381A1 (en) 2021-11-04
TW202207828A (zh) 2022-03-01
KR20220129563A (ko) 2022-09-23
JP2021175832A (ja) 2021-11-04
CN115460951A (zh) 2022-12-09
JP6789433B1 (ja) 2020-11-25
WO2021221161A1 (ja)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2334B1 (ko) 고정구
JP4977134B2 (ja) かつら用クリップ
JP5214807B2 (ja) 頭飾品用止着部材及び頭飾品
TW201633939A (zh) 假髮用固定具以及使用此固定具之假髮
CN108712867B (zh) 固定件
JP4612743B1 (ja) かつら用固定具、及び、かつら
JP6231290B2 (ja) かつら取付具、及び、かつら
US20200405031A1 (en) Fiber Detangler
TWI704875B (zh) 固定具
JP2019189952A (ja) かつら用クリップ
KR101148794B1 (ko) 형상기억합금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가발 및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가발부착용 코일스프링장치
JPH0220175Y2 (ko)
JP3158779U (ja) 増毛用作業プレート
JP3028278U (ja) 髪止め具
JP3037820U (ja) クリップコーム
JP4242916B1 (ja) 装飾用髪止め具
JPH0798003B2 (ja) 安全ピン
JP2005074053A (ja) ヘアピン
JPH0668604U (ja) かつら装着用ピン
JP2006348409A (ja) 帽子の頭部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