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036B1 - 다공성 유출관 - Google Patents

다공성 유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036B1
KR102462036B1 KR1020160039784A KR20160039784A KR102462036B1 KR 102462036 B1 KR102462036 B1 KR 102462036B1 KR 1020160039784 A KR1020160039784 A KR 1020160039784A KR 20160039784 A KR20160039784 A KR 20160039784A KR 102462036 B1 KR102462036 B1 KR 102462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outlet pipe
protective tape
porous outlet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2600A (ko
Inventor
권오준
조여응
김강진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9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036B1/ko
Publication of KR20170112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02Forward osmosis or direct osmosis
    • B01D61/0022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02Forward osmosis or direct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02Forward osmosis or direct osmosis
    • B01D61/0023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10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6Tubular membran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10Spiral-wound membrane mod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forward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8Flow guidance means within the module or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2Specific discharge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기재의 다공성 유출관은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와 부착되는 면의 가장자리가 상기 파이프에 부착되게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의 양단에 각각 부착되는 보호 테이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공성 유출관{perforated flux pipe}
본 발명은 다공성 유출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를 여과하는 필터 장치에 설치되어 유체가 이동되게 하는 다공성 유출관에 관한 것이다.
필터 장치는 유체의 정수를 실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필터 장치는 다공성 유출관과 분리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공성 유출관과 분리막의 결합 방법은 일례로, 우선 다공성 유출관의 양단 각각에 보호 필름을 권취시킨다. 여기서, 보호 필름으로 사용되는 것은 일반적인 스티커의 탈부착이 용이한 이형지일 수 있다.
계속해서 다공성 유출관과 분리막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면, 보호 필름을 다공성 유출관에 고정하기 위한 접착 테이프를 일부분이 상기 보호 필름과 중첩되지 않도록 부착한다. 다음으로, 다공성 유출관의 둘레면에 접착 물질을 도포한 다음, 분리막으로 사용되는 원단을 다공성 유출관에 권취한다.
그리고 나서, 다공성 유출관에 권취된 분리막의 양단 각각을 일정 길이만큼 절단한다. 절단된 분리막을 다공성 유출관으로부터 제거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다공성 유출관과 분리막의 결합 방법은 보호 필름과 접착 테이프 각각을 다공성 유출관에 부착되는 위치를 정렬하는 공정과 일정 길이마다 보호 필름과 접착 테이프를 절단해야 하는 공정을 실시해야 함으로써, 제조 시간이 장시간 소요됨에 따라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보호 필름에서 접착 테이프가 중첩되지 않은 부분에서 들뜸 현상이 발생되어 접착 물질이 보호 필름이 들뜬 부분으로 이동하여 다공성 유출관의 둘레면에 잔류하여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97296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조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다공성 유출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호 필름의 들뜸이 방지될 수 있는 다공성 유출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다공성 유출관은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와 부착되는 면의 가장자리가 상기 파이프에 부착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의 양단에 각각 부착되는 보호 테이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보호 테이프는, 일단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가 경사지게 형성된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파이프와 부착되는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접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은 상기 접착부로부터 멀어질수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에서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의 경사각은 상기 접착부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30˚내지 80˚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부의 폭은 3mm 내지 7mm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호 테이프는 상기 접착부가 상기 파이프의 중앙을 향하도록 상기 파이프에 권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이프에는 유체가 출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부는 상기 파이프와 부착되는 면에 접착된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부는 접착 물질을 베이스부에 도포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유출관은 파이프의 양단 각각에 보호 테이프가 부착된다. 다공성 유출관 제조시 보호 테이프를 파이프에 신속하게 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공성 유출관 제조시 보호 테이프가 파이프에 신속하게 부착될 수 있으므로, 다공성 유출관에 보호 필름과 접착 테이프를 각각 부착하는 종래의 다공성 유출관 제조 방법과 비교하여 단위 시간당 생산량이 증가됨에 따라 생산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 테이프에 포함된 베이스부는 일단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호 테이프가 파이프에 부착된 상태에서 베이스부의 일단이 다공성 유출관으로부터 들뜨게 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리막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 물질이 파이프에 도포되는 과정에서 접착 물질이 파이프의 양단의 둘레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장치 제조시 다양한 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베이스부의 들뜸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파이프가 다른 공정 진행을 위하여 다른 위치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보호 테이프가 외부의 접촉으로부터 손상되지 않게 되어 보호 테이프가 접착된 다공성 유출관의 안정적인 취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막이 다공성 유출관에 권취된 이후 분리막의 양단을 일정한 길이만큼 절단한 다음 잔여하는 분리막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보호 테이프에 의해 분리막 제거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보호 테이프가 파이프에 부착되는 과정에서 보호 테이프의 일부분이 접히지 않고 파이프의 둘레면에 밀착되면서 접착됨으로써, 보호 테이프의 일부분에서 굽힘(단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필터 장치 제조시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유출관이 적용될 수 있는 필터 장치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필터 장치의 부분절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유출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다공성 유출관에 부착되는 보호 테이프가 이형지에 보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보호 테이프가 파이프의 일단에 부착되고, 분리막이 파이프에 권취된 다음, 분리막의 일부분이 절단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보호 테이프를 파이프에 부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보호 테이프 부착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9는 보호 테이프가 파이프에 부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유출관이 적용될 수 있는 필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유출관이 적용될 수 있는 필터 장치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필터 장치의 부분절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필터 장치(10)는 일례로 다공성 유출관(100), 분리막(20) 및 하우징(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 장치(10)는 정삼투 장치일 수 있으나, 필터 장치(10)가 반드시 정삼투 장치인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공성 유출관(100)은 유체가 출입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다공성 유출관(10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분리막(20)은 상기 다공성 유출관(100)의 외주면에 권취된다. 이러한 분리막(20)은 2장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2장의 분리막(20)들이 서로 겹쳐져서 포켓 형상을 이루는 통상적인 구성일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분리막(20) 및 하우징(30)은 일반적인 필터 장치에 포함된 분리막 및 하우징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다공성 유출관(100)은 필터 장치(10)의 중앙에 위치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유출관(100)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되면서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분리막(20) 측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유출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다공성 유출관에 부착되는 보호 테이프가 이형지에 보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유출관(100)은 파이프(110) 및 보호 테이프(120)를 포함한다.
상기 파이프(110)에는 유체가 출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과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과홀(111)은 복수 개가 파이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배열될 수도 있고, 나선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통과홀(111)의 배치 관계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통과홀(111)은 전술한 필터 장치(10, 도 1 참조)의 동작 과정에서 다공성 유출관(100)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거나, 외부의 유체가 다공성 유출관(100) 내부로 유입되게 한다.
보호 테이프(120)는 상기 파이프(110)와 부착되는 면의 가장자리가 상기 파이프(110)에 부착되게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110)의 양단에 각각 접착된다. 이를 위한 보호 테이프(120)는 일례로 베이스부(121)와 접착부(122)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21)는 리본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일단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베이스부(121)의 일단은 상기 접착부(122)로부터 멀어질수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부(121)에서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L)의 경사각(A)은 상기 접착부(122)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30˚내지 80˚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21)에서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L)의 경사각(A)이 30˚미만인 경우, 베이스부(121)의 면적이 지나치게 감소되어 파이프(110)를 감싸지 못함으로써 파이프(110)의 표면에 접착 물질을 도포하는 과정에서 파이프(110)에서 접착 물질이 도포되지 않아야 할 부분까지 도포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베이스부(121)에서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L)의 경사각(A)이 80˚를 초과하는 경우, 베이스부(121)의 모서리에서 들뜨는 형상을 방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베이스부(121)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의 중합체이다. 폴리프로필렌은 내화학성, 내구성, 내열성이 우수하다. 탄소 원자가 하나 많은 프로필렌이 중합되면 폴리에틸렌보다 투명하고 굴절에 강한 폴리프로필렌이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유출관(100)은 상기와 같은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베이스부(121)가 파이프(110)에 권취되어 있으므로, 취급 과정에서 외부의 접촉으로부터 파이프(110)가 안정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보호 테이프(120)는 다공성 유출관(100)에 분리막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 물질이 파이프(110)에 도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착부(122)는 상기 베이스부(121)에서 상기 파이프(110)와 부착되는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접착부(122)의 폭은 일례로 3mm 내지 7mm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부(122)의 형성 방법은 일례로 상기 파이프(110)와 부착되는 면에 접착된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접착부(122)의 형성 방법은 다른 일례로 접착 물질을 베이스부(121)에 도포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착부(122)는 보호 테이프(120)가 파이프(110)에 안정적으로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유출관(100)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보호 테이프(120)가 파이프(1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테이프(120)는 상기 접착부(122)가 상기 파이프(110)의 중앙을 향하도록 상기 파이프(110)에 권취될 수 있다. 즉, 보호 테이프(120)에서 접착부(122)를 제외한 베이스부(121)는 파이프(110)와 접착되지 않으며, 접착 물질에 의해 분리막과 베이스부(121)는 접착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추후 분리막(20, 도 2 참조)의 일부분이 제거되는 과정에서 절단되어 잔여하는 분리막(20, 도 2 참조)이 보호 테이프(120)에 의해 파이프(110)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다.
도 5는 보호 테이프가 파이프의 일단에 부착되고, 분리막이 파이프에 권취된 다음, 분리막의 일부분이 절단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유출관(100)의 제조는 방법의 일부 단계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우선,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테이프(120)에서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의 반대쪽 끝 부분을 파이프(11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도록 파이프(110)의 둘레면에 부착한다. 다음으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10)를 회전시켜서 보호 테이프(120)가 파이프(110)에 감기게 한다. 다음으로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테이프(120)가 권취된 파이프(110)에 분리막(20)을 귄취시킨다. 최종적으로,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10)에 권취된 분리막(20)의 일부분(20a)을 절단하여 파이프(110)로부터 제거한다.
여기서, 분리막(20)에서 제거되는 부분(20a)은 보호 테이프(120)에 의해 파이프(110)와 접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파이프(11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보호 테이프(120)를 파이프(110)에 부착하는 방법은 일례로 작업자가 보호 테이프(120)를 파이프(110)에 수작업으로 부착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별도의 자동화 장치를 사용하여 보호 테이프(120)를 파이프(110)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자동화 장치에 의해 보호 테이프(120)가 파이프(110)에 부착되는 것이 수작업으로 하는 것보다 생산성 측면에서 더욱 유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호 테이프(120)를 파이프(110)에 자동으로 부착할 수 있는 보호 테이프(120) 부착 유닛(10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보호 테이프를 파이프에 부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보호 테이프 부착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 및 도 9은 보호 테이프가 파이프에 부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보호 테이프(120) 부착 유닛(1000)은 일례로 이송부(1100), 공급부(1200) 및 부착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1100)는 일례로 이송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벨트는 복수의 파이프(110)를 일방향으로 이송한다. 이송 벨트는 복수의 롤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롤러들 사이에 파이프(110)가 위치되어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공급부(1200)는 보호 테이프(120)가 이송되는 파이프(110)를 향하여 공급되게 한다. 공급부(1200)는 롤러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롤러 부재에는 보호 테이프(120)가 부착된 이형지(130)가 권취될 수 있다. 복수의 보호 테이프(120)가 이형지(130)의 일면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위치될 수 있다. 공급부(1200)에서 보호 테이프(120)가 하나씩 파이프(110)를 향하여 공급될 수 있다.
부착부(1300)는 이송중인 파이프(110)와 접촉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부착부(1300)는 일례로 회전 벨트일 수 있다. 회전 벨트의 일부분이 이송중인 파이프(110)와 접촉될 수 있다. 회전 벨트가 지속적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회전 벨트와 파이프(110) 사이로 보호 테이프(120)가 공급부(1200)로부터 하나씩 공급되면서 파이프(110)의 일단의 둘레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필터 장치의 제조시 파이프(110)에 보호 테이프(120)를 부착하는 것만으로 다공성 유출관(100)의 제조가 완료될 수 있으므로, 보호 필름과 접착 테이프를 각각 부착하는 종래의 다공성 유출관 제조 방법과 비교하여 단위 시간당 생산량이 증가됨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다공성 유출관 제조 방법에서는 분당 5개 내지 7개의 파이프에 보호 필름과 접착 테이프를 부착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분당 80개 내지 100개의 파이프(110)에 보호 테이프(120)를 부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유출관(100)은 파이프(110)의 양단 각각에 보호 테이프(120)가 부착된다. 즉, 다공성 유출관(100) 제조시 보호 테이프(120)를 파이프(110)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후공정을 위한 파이프(110)의 양단의 처리를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공성 유출관(100) 제조시 보호 테이프(120)가 파이프(110)에 신속하게 부착될 수 있으므로, 다공성 유출관에 보호 필름과 접착 테이프를 순차적으로 각각 부착하는 종래의 다공성 유출관 제조 방법과 비교하여 단위 시간당 생산량이 증가됨에 따라 생산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 테이프(120)에 포함된 베이스부(121)는 일단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호 테이프(120)가 파이프(110)에 부착된 상태에서 베이스부(121)의 일단이 다공성 유출관(100)으로부터 들뜨게 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리막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 물질이 파이프(110)에 도포되는 과정에서 접착 물질이 파이프(110)의 양단의 둘레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장치 제조시 다양한 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베이스부(121)의 들뜸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파이프(110)가 다른 공정 진행을 위하여 다른 위치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보호 테이프(120)가 외부의 접촉으로부터 손상되지 않게 되어 보호 테이프(120)가 접착된 다공성 유출관(100)의 안정적인 취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막이 다공성 유출관(100)에 권취된 이후 분리막의 양단을 일정한 길이만큼 절단한 다음 잔여하는 분리막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보호 테이프(120)에 의해 분리막 제거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보호 테이프(120)가 파이프(110)에 부착되는 과정에서 보호 테이프(120)의 일부분이 접히지 않고 파이프(110)의 둘레면에 밀착되면서 접착됨으로써, 보호 테이프(120)의 일부분에서 굽힘(단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필터 장치 제조시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필터 장치
20: 분리막 30: 하우징
100: 다공성 유출관
110: 파이프 111: 통과홀
120: 보호 테이프 121: 베이스부
122: 접착부 130: 이형지
1000: 보호 테이프 부착 유닛
1100: 이송부 1200: 공급부
1300: 부착부

Claims (10)

  1.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와 부착되는 면의 가장자리가 상기 파이프에 부착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의 양단에 각각 부착되는 보호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테이프는,
    일단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가 경사지게 형성된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파이프와 부착되는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은 상기 접착부로부터 멀어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 다공성 유출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진 다공성 유출관.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서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의 경사각은 상기 접착부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30˚내지 80˚ 범위에 포함된 다공성 유출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폭은 3mm 내지 7mm의 범위에 포함된 다공성 유출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테이프는 상기 접착부가 상기 파이프의 중앙을 향하도록 상기 파이프에 권취되는 다공성 유출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에는 유체가 출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과홀이 형성된 다공성 유출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상기 파이프와 부착되는 면에 접착된 양면 테이프인 다공성 유출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접착 물질을 베이스부에 도포한 것인 다공성 유출관.
KR1020160039784A 2016-03-31 2016-03-31 다공성 유출관 KR102462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784A KR102462036B1 (ko) 2016-03-31 2016-03-31 다공성 유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784A KR102462036B1 (ko) 2016-03-31 2016-03-31 다공성 유출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600A KR20170112600A (ko) 2017-10-12
KR102462036B1 true KR102462036B1 (ko) 2022-11-01

Family

ID=60141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784A KR102462036B1 (ko) 2016-03-31 2016-03-31 다공성 유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036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6367A (ko) * 2003-02-25 2004-09-01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보호용 간지 고정 롤러 장치
JP2005103516A (ja) * 2003-10-02 2005-04-21 Nitto Denko Corp 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97296B1 (ko) 2013-12-27 2014-05-22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정삼투용 또는 압력지연 삼투용 다공성 유출관 및 이를 포함하는 정삼투 또는 압력지연 삼투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600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8642B2 (ja) ハンドリングタブを連続的なガラスリボンに貼り付ける方法および装置
CN103201021B (zh) 具有外流动凹槽的螺旋卷式膜元件产品水管
US10137416B2 (en) Filter assembly including spiral wound membrane module and brine seal
KR101788534B1 (ko) 나선형 권취 모듈의 외주부에 테이프층을 도포하기 위한 방법
US10183255B2 (en) Filter assembly including spiral wound module, brine seal and end cap
KR101651305B1 (ko) 나선형으로 권취된 멤브레인 분리기 조립체
US20180311600A1 (en) Activated carbon fiber filter media laminate
KR101785133B1 (ko) 절단기, 이를 구비하는 슬리터기 및 필름의 절단 방법
KR20150142678A (ko) 향상된 나선형 감김 구성 요소의 형성
US9522363B2 (en) Material efficiency and fabrication of membrane elements
JP6820256B2 (ja) 複数のプリーツパックを有するフィルターの使用点又は分注点
KR102462036B1 (ko) 다공성 유출관
KR102462035B1 (ko) 다공성 유출관 제조 장치
KR102615827B1 (ko) 막 엘리먼트 및 이것에 사용하는 막 엘리먼트용 단부 부재
KR102467960B1 (ko) 다공성 유출관 제조용 부착체
JP6599897B2 (ja) 統合された透過物流動制御器を有するスパイラル巻きモジュール
JP2006218345A (ja) 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06884B1 (ko) 시트 이송 장치
JP2012183464A (ja) 流体分離素子用テレスコープ防止板および流体分離素子
US20200353592A1 (en) Abrasive ro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brasive roller
JP2010082575A (ja) スパイラル型流体分離膜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2009195870A (ja) 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
KR102617616B1 (ko) 분리막 엘리먼트 및 그 사용 방법, 그리고 수 처리 장치
JP2014240045A (ja) 筒型濾過膜の形成方法および筒型濾過膜
US20170036218A1 (en) Self-support electrostatic filter and a filtering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