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091B1 -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 - Google Patents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091B1
KR102461091B1 KR1020220071335A KR20220071335A KR102461091B1 KR 102461091 B1 KR102461091 B1 KR 102461091B1 KR 1020220071335 A KR1020220071335 A KR 1020220071335A KR 20220071335 A KR20220071335 A KR 20220071335A KR 102461091 B1 KR102461091 B1 KR 102461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tchable
wearer
front plate
plate
ba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인
Original Assignee
김경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인 filed Critical 김경인
Priority to KR1020220071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0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41D15/002Convertible garments in their length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동작에 편리하고 체형에 적응하도록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에 있어서, 착용자의 하복부로부터 발등의 인근까지 연장되는 앞판; 상기 앞판에 대응하며 착용자의 허리로부터 엉덩이 및 발꿈치 인근까지 연장되는 뒷판; 상기 앞판과 뒷판의 상단에 연결되며, 착용자의 허리 및 복부 둘레에 대응하는 밸트부; 상기 착용자의 골반 및 양측 허벅지의 각 외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앞판과 상기 뒷판을 잇는 봉제선에 대응하여 상기 앞판의 내면 및 상기 뒷판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에 봉제된 제1 신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ELASTIC CLOTHING ADAPTING TO SHAPE OF BODY}
본 발명은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동작을 편안하게 하고 신체의 각 위치에 대응하여 신축함으로써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에 관한 것이다.
의복은 사람의 신체를 가려주고 체온을 유지시켜주며 심미적인 아름다움이 드러나게 하는 등 다양한 기능이 발휘되게 하는 현대인의 필수품이다. 이러한 의복에는 겉옷과 속옷, 외투와 작업복 등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이 중에서도 겉옷의 하나인 바지는 허리 또는 엉덩이에서 시작되어 발목까지 이어지면서 각각의 다리를 감싸주는 것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착용 가능하다. 이러한 바지는 면바지, 청바지, 반바지, 양복바지, 운동바지, 수영바지 등 그 소재와 목적에 따라서 다양하게 분류된다.
의류는 착용자의 신체에 맞아서 그 몸매가 어느 정도 드러나게 하면서도 착용자가 움직이기에 편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청바지나 양복바지와 같은 의류는 스포츠 의류와 같은 신축성을 가지지는 못하므로, 의류를 착용한 채로 등을 구부리거나, 쭈그리고 않거나, 의자에 앉는 등의 동작시에 대퇴부와 엉덩이, 복부 등에 큰 저항감과 압박을 느낄 수 있고, 이로 인해 불편감을 느낄 수 있다. 더 나아가 의류의 일부의 봉제가 파손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즉, 착용자마다 신체의 크기와 형상이 달라 일률적으로 제조된 바지가 착용자의 몸에 잘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즉, 착 용자마다 허리와 골반의 크기가 모두 다르고, 앉았을 때와 일어섰을 때 그리고 식사 전후의 신체변화가 모두 다른데 종래의 바지 제작에는 이와 같은 요소들이 반영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남성에 비해서 허리와 골반 라인의 굴곡이 큰 여성이 골반 크기에 맞는 바지 사이즈를 선택할 경우 허리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남아 벨트 착용시 바지의 옷감이 울어 피부가 눌리고 옷 맵시가 살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반면에 허리 크기에 맞는 바지 사이즈를 선택할 경우 상대적으로 골반이 조여져 허리는 길어 보이고 골반이 커보이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임산부가 출산 후에 틀어진 골반, 엉덩이, 복부의 살로 인해 일반적인 바지가 잘 맞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체형이 변화하고, 신체의 부피가 증감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과거에는 알맞았던 의류가 현재에는 착용이 불편하게 되거나 힘들어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에 대해 종래의 의류들은 대응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077347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제1 기술적 과제는 착용자의 복부, 허리, 골반, 엉덩이, 허벅지 등 신체의 동작을 편안하게 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제2 기술적 과제는 착용자의 체형과 신체의 부피의 변화에 대응하여 부피적응성 내지 부피팽창성을 구현하도록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제3 기술적 과제는 특히 출산후 틀어진 골반과 복부의 살로 인해 일반적 바지가 맞지 않은 착용자의 체형과 신체의 부피의 변화에 대응하여 부피적응성 내지 부피팽창성을 구현하도록 신축성을 가지는 청바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동작에 편리하고 체형에 적응하도록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에 있어서, 착용자의 하복부로부터 발등의 인근까지 연장되는 앞판; 상기 앞판에 대응하며 착용자의 허리로부터 엉덩이 및 발꿈치 인근까지 연장되는 뒷판; 상기 앞판과 뒷판의 상단에 연결되며, 착용자의 허리 및 복부 둘레에 대응하는 밸트부; 상기 착용자의 골반 및 양측 허벅지의 각 외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앞판과 상기 뒷판을 잇는 봉제선에 대응하여 상기 앞판의 내면 및 상기 뒷판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에 봉제된 제1 신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신축부에 대응하여 상기 앞판과 상기 뒷판이 연결되는 봉제선중 일부가 봉제되지 않고 분리되어 절개선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신축부는 전단이 상기 앞판의 내면에 봉제되며 후단이 상기 뒷판과 일체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며, 착용자의 동작이나 체형에 의해 상기 제1 신축부가 신장시에 상기 절개선에서 상기 앞판과 상기 뒷판이 서로 이격될 때, 상기 앞판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제1 신축부의 면적이 증가하며, 상기 밸트부와 연결되는 상기 앞판의 상단 및 상기 뒷판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복수 개가 연장되며, 상기 앞판 및 상기 뒷판과 일체로 이어지도록 형성된 제2 신축부; 착용자의 양측 엉덩이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뒷판에 연결된 제3 신축부; 상기 제3 신축부의 외면에 봉제되는 뒷포켓부; 및 상기 절개선에 형성되어 상기 앞판과 상기 뒷판을 연결하는 자크부;를 더 포함하며, 착용자의 양측 엉덩이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뒷판에 두 개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두 개의 상기 제3 신축부가 상기 두 개의 개구부를 각각 차폐하도록 상기 뒷판에 이어지도록 연결되며, 상기 뒷포켓부는 상기 제3 신축부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고, 상기 자크부가 잠긴 경우 상기 제2 신축부의 신장이 방지되고, 상기 자크부가 열린 경우 상기 제2 신축부가 신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축부는 상기 밸트부의 하단으로부터 골반 및 허벅지의 일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2 신축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역삼각 형상을 가지고, 하복부 및 등측 허리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밸트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3 신축부의 상단까지 이어지는 제4 신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체 부위별로 대응할 수 있는 신축부들을 구비하여, 착용자의 허리, 골반, 엉덩이, 허벅지 등 신체의 사이즈나 체형에 적응하여 동작을 편안하게 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자의 체형의 변화와 몸무게 증감으로 인한 신체의 부피의 변화에 대응하여 의류 내부 공간의 확대 및 축소가 가능한 부피적응성 내지 부피팽창성을 구현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를 제조하는 공장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의 제조과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의 일 예로 청바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신축부의 신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신축부의 신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바지의 제3 신축부, 제4 신축부 및 포켓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지의 신축부들의 신축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1)를 제조하는 공장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의 제조과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의 일 예로 바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1)(이하, "신축성 의류(1)")는 착용자 동작에 편리하고 체형에 적응하도록 신축부를 가진다. 예를 들어, 신축성 의류(1)는 착용자의 허리, 골반, 엉덩이 및 허벅지 등의 사이즈에 적응하고, 이들 부위의 동작시에 큰 저항없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신축성 의류(1)는 착용자가 의자에 앉을 때 복부측이 신축되어 복부가 압박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신축성 의류(1)는 착용자의 골반, 엉덩이 및 허벅지가 살이찌거나 출산과 같은 사건 후 체형이 변형된 경우에 불편감이 느껴지는 경우, 대응하는 부분이 신축되어 불편감을 줄여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의류(1)는 착용자의 동작의 편안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체형이나 동작에 적응하여 대응하는 부분이 신축됨으로써, 활동성을 증가시키고 불편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신축성 의류(1)는 일종의 부피팽창 형태를 구현할 수 있어서, 몸무게 증가, 출산 등의 사건 후에 체형 변화에 적응하여 신축하므로 착용자에게 좋은 느낌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형에 더욱 알맞은 핏(fitting)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신축성 의류(1)에 있어서, 일 예로 바지는 앞판(10), 뒷판(20), 밸트부(30), 제1 신축부(40) 및 제2 신축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앞판(10)은 착용자의 하복부로부터 발등의 인근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앞판(10)의 상단은 허리 또는 하복부에 대응하며 골반을 지나서 직선형으로 하측으로 연장되거나, 슬림핏으로 폭이 좁아질 수도 있다. 뒷판(20)은 앞판(10)에 대응하며, 착용자의 하측 허리로부터 골반 및 엉덩이를 지나서 발꿈치 인근까지 연장될 수 있다. 앞판(10)과 뒷판(20)은 봉제되어 연결되며, 좌우측 다리의 외측면 및 내측면에 이러한 봉제선(11)이 형성될 수 있다.
양복 바지의 경우 앞판(10)의 안감 및 뒷판(20)의 안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청바지의 경우 이러한 안감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앞판(10)의 내면에 앞포켓부(14)가 봉제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뒷판(20)의 외면에도 뒷포켓부(80)가 봉제되어 연결될 수 있다.
밸트부(30)는 앞판(10)과 뒷판(20)의 상단에 연결되며, 착용자의 허리 및 복부 둘레에 대응할 수 있다. 밸트부(30)는 신축성이 좋은 소재, 예를 들어 스판텍스나 제1 신축부(4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밸트부(30)는 벨크로, 밴드, 후크 앤드 루프형 패스너, 머쉬룸 및 이들의 조합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5는 제1 신축부(40)의 신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신축부(40)의 신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신축부(40)는 탄성이 우수한 소재로서, 고탄성 섬유 또는 비섬유 소재도 채택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제1 신축부(40)는 사방으로 신축되도록 직조되는 탄성메쉬(elastic mesh)와 같은 신축 섬유소재, 파워 네트(power net), 신축성이 우수한 고무사, 합성섬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후술되는 신축부들도 마찬가지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신축부들은 의류(1) 착용자가 움직일 때 신축부가 늘어나서 착용자가 섬유의 저항감이 크게 감소된 상태로 동작을 할 수 있다.
제1 신축부(40)는, 도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골반 및 양측 허벅지의 각 외측면에 위치하는 앞판(10)과 뒷판(20)을 잇는 봉제선(11)에 대응하여 구비되며, 앞판(10)의 내면 및 뒷판(20)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에 봉제될 수 있다. 봉제되는 방식은 여러가지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신축부(40)는 전단이 앞판(10)의 내면에 봉제되며 후단이 뒷판(20)과 일체로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핏이 맞는 청바지와 같은 의류(1)의 경우, 착용자가 앉거나 등을 굽히는 동작시 엉덩이나 골반이 큰 체형 또는 출산 등의 사건 이후 체중이 증가하거나 골반이 틀어지는 등 체형의 변화를 겪은 착용자는 큰 압박감을 느껴서 동작이 불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신축부(40)가 체형 및 동작에 적응하여 신장되며, 다시 원상복귀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신축성이 떨어지는 앞판(10) 및 뒷판(20)에 의한 직접적 압박이 완화되며, 착용자는 제1 신축부(40)로 인해 착용중 편안하고 동작을 편안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부분의 핏은 맞는데, 골반이나 엉덩이가 큰 경우 제1 신축부(40)가 늘어남이 가능하므로 착용감이 더 좋아질 수 있다.
한편, 제1 신축부(40)에 대응하여 앞판(10)과 뒷판(20)이 연결되는 봉제선중 일부가 봉제되지 않고 분리되어 절개선(12)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앞판(10)과 뒷판(20)이 봉제되어 연결될 때, 절개선(12)이 될 부분에서는 봉제가 생략되어 제조공정 중에 자연스럽게 이러한 절개선(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및 도 6을 참조하면, 착용자의 동작이나 체형에 의해 제1 신축부(40)가 신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절개선(12)에서 앞판(10)과 뒷판(20)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신축부(40)의 전단이 앞판(10)의 내면에 봉제(41)되어 있고, 제1 신축부(40)의 후단은 뒷판(20)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신축부(40)가 신장되면 앞판(10)과 뒷판(20) 사이의 제1 신축부(40)의 면적이 증가하게 되며, 동작을 원상복귀 하거나 바지를 탈의한 경우 제1 신축부(40)는 다시 원상회복될 수 있다. 도 6의 하측 그림의 제1 신축부(40)가 신장된 상태가 도 4에 도시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물론, 이와 다르게, 제1 신축부(40)의 후단이 뒷판(20)의 내면에 봉제되고 제1 신축부(40)의 전단이 앞판(10)과 일체로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신축부(40)의 전단이 앞판(10)의 내면에 봉제되고, 제1 신축부(40)의 후단도 뒷판(20)의 내면에 봉제될 수 있다.
제1 신축부(40)는 고탄력 재질로서 착용자가 보통의 동작시에는 절개선(12)이 벌어지지 않는 정도의 탄력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급격한 동작이나 일시적 과도한 힘이 의류(1)에 걸리는 경우, 제1 신축부(40)의 신장, 절개선(12)의 벌어짐(9)으로 과도한 동작에도 편안하게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의류(1)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신축부(50)는 밸트부(30)와 연결되는 앞판(10)의 상단 및 뒷판(20)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복수 개가 연장되며, 앞판(10) 및 뒷판(20)과 일체로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신축부(50)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역삼각 형상을 가지고, 하복부 및 등측 허리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신축부(50)는 하복부나 허리의 동작이나 체형에 적응하여 신축될 수 있다. 제2 신축부(50)는 체형이나 몸무게의 증감에 따른 부피증감에 적응하여 앞판(10) 및 뒷판(20)을 착용자에 더욱 잘 피팅되도록 하고, 착용자의 하복부나 허리에 압박감을 완화할 수 있다.
제2 신축부(50)가 역삼각 형태로 배치되므로 착용자의 대략 복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2 신축부(50)의 신장의 폭이 더 커질 수 있다. 착용자가 의자에 앉거나 쪼그리고 않는 경우, 복부에 압박이 증가하고 골반에 부하가 크게 걸릴 수가 있다. 제2 신축부(50)는 복부측에서 부피증가를 수용하도록 신장될 수 있고 제1 신축부(40)의 신장에 의해 골반 및 엉덩이 부피를 유연하게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편안함을 제공하고 의류(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바지의 제3 신축부(60) 및 뒷포켓부(8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지의 신축부들의 신축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에 제시된 실시예에서, 신축성 의류(1)로서 바지는 앞판(10), 뒷판(20), 제1 신축부(40), 제2 신축부(50), 제3 신축부(60), 제4 신축부(70) 및 뒷포켓부(8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가 전술된 실시예와 주요 차이점은 제3 신축부(60) 및 제4 신축부(70)를 포함하는 점이므로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신축부(60)는 바지 착용자의 양측 엉덩이 부분에 대응하여 뒷판(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양측 엉덩이 부분에 대응하여 뒷판에 두 개의 개구부(25)가 형성되고, 두 개의 제3 신축부(60)가 두 개의 개구부(25)를 각각 차폐하도록 뒷판(20)에 이어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 뒷포켓부(80)는 제3 신축부(60)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며, 제3 신축부(60)의 외면에 봉제될 수 있다. 후방 허리측에 제2 신축부(50)는 삭제되고 제4 신축부(70)가 밸트부(30)와 제3 신축부(60)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엉덩이나 골반에 의해 제3 신축부(60)가 신장될 때, 제4 신축부(70)도 함께 신장될 수 있어서, 제3 신축부(60)의 충분한 신장을 더 잘 보장할 수 있다. 제3 신축부(60)는 뒷포켓부(80)에 의해 일부가 가려지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포켓부(80)의 가장자리로부터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3 신축부(60)가 뒷포켓부(80)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착용자가 앉는 경우, 골반, 엉덩이에 압박이 가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신축성 의류(1)에 의하면, 제3 신축부(60) 및 제4 신축부(70)가 골반과 엉덩이의 부피를 충분히 수용하도록 신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신축부(40)가 골반과 허벅지측의 부피를 수용하도록 신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신축부(50)가 하복부의 부피를 수용하고 편안한 느낌이 들도록 신장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된 실시예들과는 또 다른 예로서,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신축부(50)가 위치된 절개선(12)을 따라 앞판(10) 및 뒷판(20)에 형성된 자크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자크부(90)가 제2 신축부(50)의 신축을 허용하도록 형성된 절개선(12)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자크부(90)가 잠긴 경우(도 10의 상측 그림 참조), 즉 절개선(12)이 자크부(90)에 의해 잠긴 경우, 앞판(10) 및 뒷판(20)이 절개선(12)에 있어서 자크부(90)로 인해 이격되지 못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반대로, 도 10의 하측 그림과 같이, 자크부(90)가 열린 경우 제1 신축부(40)의 신축에 따라 절개선(12)에 있어서 앞판(10) 및 뒷판(20)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크부를 잠그거나 열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자크부를 연 경우, 골반, 엉덩이 등의 부피를 충분히 신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체형이 변화되어 슬림하게 된 경우, 자크부를 잠그고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의류(1)는 그 바지가 전술한 바와 같이 복부, 골반, 엉덩이, 허벅지 등 신체 각부위에서 착용자의 체형이나 동작에 적응하여 신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이나 활동이 편해지고 체형에 더욱 적합하게 핏팅될 수 있다. 신축성 의류(1)는 더 나아가 체형변화나 몸무게 증감에 따른 착용자의 신체의 부피증감에도 적응하여 부피적응성도 함께 가진다. 따라서, 몸무게의 변화에 따라 약간의 몸의 부피가 증가해도 착용시 불편하거나 핏이 망가지는 기존의 의류(1)에 비해서 현저히 우수한 핏과 동작의 편안함과 시간의 경과에 따른 체형 및 부피 변화에도 적응하여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의류
10 : 앞판
20 : 뒷판
11 : 봉제선
12 : 절개선
30 : 밸트부
40 : 제1 신축부
50 : 제2 신축부
60 : 제3 신축부
70 : 제4 신축부
80 : 뒷포켓부
90 : 자크부

Claims (8)

  1. 동작에 편리하고 체형에 적응하도록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에 있어서,
    착용자의 하복부로부터 발등의 인근까지 연장되는 앞판;
    상기 앞판에 대응하며 착용자의 허리로부터 엉덩이 및 발꿈치 인근까지 연장되는 뒷판;
    상기 앞판과 뒷판의 상단에 연결되며, 착용자의 허리 및 복부 둘레에 대응하는 밸트부;
    상기 착용자의 골반 및 양측 허벅지의 각 외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앞판과 상기 뒷판을 잇는 봉제선에 대응하여 상기 앞판의 내면 및 상기 뒷판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에 봉제된 제1 신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신축부에 대응하여 상기 앞판과 상기 뒷판이 연결되는 봉제선중 일부가 봉제되지 않고 분리되어 절개선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신축부는 전단이 상기 앞판의 내면에 봉제되며 후단이 상기 뒷판과 일체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며,
    착용자의 동작이나 체형에 의해 상기 제1 신축부가 신장시에 상기 절개선에서 상기 앞판과 상기 뒷판이 서로 이격될 때, 상기 앞판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제1 신축부의 면적이 증가하며,
    상기 밸트부와 연결되는 상기 앞판의 상단 및 상기 뒷판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복수 개가 연장되며, 상기 앞판 및 상기 뒷판과 일체로 이어지도록 형성된 제2 신축부;
    착용자의 양측 엉덩이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뒷판에 연결된 제3 신축부;
    상기 제3 신축부의 외면에 봉제되는 뒷포켓부; 및
    상기 절개선에 형성되어 상기 앞판과 상기 뒷판을 연결하는 자크부;를 더 포함하며,
    착용자의 양측 엉덩이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뒷판에 두 개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두 개의 상기 제3 신축부가 상기 두 개의 개구부를 각각 차폐하도록 상기 뒷판에 이어지도록 연결되며, 상기 뒷포켓부는 상기 제3 신축부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고,
    상기 자크부가 잠긴 경우 상기 제2 신축부의 신장이 방지되고, 상기 자크부가 열린 경우 상기 제2 신축부가 신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축부는 상기 밸트부의 하단으로부터 골반 및 허벅지의 일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2 신축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역삼각 형상을 가지고, 하복부 및 등측 허리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밸트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3 신축부의 상단까지 이어지는 제4 신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
  8. 삭제
KR1020220071335A 2022-06-13 2022-06-13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 KR102461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335A KR102461091B1 (ko) 2022-06-13 2022-06-13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335A KR102461091B1 (ko) 2022-06-13 2022-06-13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1091B1 true KR102461091B1 (ko) 2022-10-28

Family

ID=83835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335A KR102461091B1 (ko) 2022-06-13 2022-06-13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0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6119A (ko) * 2011-10-27 2013-05-07 라온어패럴 주식회사 허리둘레 조절 바지
JP2017522464A (ja) * 2014-07-30 2017-08-10 ブイエフ・イメージウェア,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作業者運動性を向上させるように構成されているパンツ
KR102077347B1 (ko) 2013-10-25 2020-02-13 주식회사 한스갤러리 체형 보정용 바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6119A (ko) * 2011-10-27 2013-05-07 라온어패럴 주식회사 허리둘레 조절 바지
KR102077347B1 (ko) 2013-10-25 2020-02-13 주식회사 한스갤러리 체형 보정용 바지
JP2017522464A (ja) * 2014-07-30 2017-08-10 ブイエフ・イメージウェア,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作業者運動性を向上させるように構成されているパン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83710A (en) Undergarments
JP4613292B2 (ja) 男性用パンツ兼用ガードル
US5255393A (en) Form fitting garment
JP2000328305A (ja) 運動用被服とその製造方法
CN110475489B (zh) 下半身用衣服
KR20180051124A (ko) 무봉제 접착 속옷 및 이의 제조방법
JP4660630B1 (ja) 姿勢改善の効果が期待できるウエア
KR102461091B1 (ko)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의류
JP2007002345A (ja) 紳士用スラックス
JPH073505A (ja) シェイプアップ衣服
JP3225247U (ja) 肌の快適さを調整可能な肩紐
US5708987A (en) Pantyhose with uncovered thigh regions
JP3147331B2 (ja) 補整機能を備えた股部を有する衣類
US2705801A (en) Pantie girdle
US20120034843A1 (en) Clothes having a waist portion
KR102416532B1 (ko) 동작 및 체형에 적응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양복
JPH07207502A (ja) 婦人用ショーツ
CN212697715U (zh) 腿部雕塑凉感保健衣
JP7429449B2 (ja) 男性用パンツ
CN212678387U (zh) 骨盆保健凉感塑身衣
JP7162118B2 (ja) 下半身用衣類
KR200430652Y1 (ko) 체형보정 기능을 갖는 바지
JP6550183B1 (ja) ウエスト伸縮自在ボトムス
JP4397004B2 (ja) 腹部裏打ち布を有する衣料
KR102003603B1 (ko) 체형 교정 복대 구조의 속옷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속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