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893B1 - 딥러닝 기반의 강수량 예측 방법 - Google Patents

딥러닝 기반의 강수량 예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893B1
KR102457893B1 KR1020210170689A KR20210170689A KR102457893B1 KR 102457893 B1 KR102457893 B1 KR 102457893B1 KR 1020210170689 A KR1020210170689 A KR 1020210170689A KR 20210170689 A KR20210170689 A KR 20210170689A KR 102457893 B1 KR102457893 B1 KR 102457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ipitation
value
neural network
scal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금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아이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아이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아이에이
Priority to KR1020210170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8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893B1/ko
Priority to PCT/KR2022/019207 priority patent/WO202310141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0Devices for predicting weather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2201/00Weather detection, monitoring or forecasting for establishing the amount of global war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딥러닝 기반의 강수량 예측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강수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의 강수값에 대한 스케일을 변환하는 단계; 및 신경망 모델을 사용하여, 상기 스케일이 변환된 픽셀의 강수값을 기초로 상기 픽셀에 대한 미래 시점의 강수량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딥러닝 기반의 강수량 예측 방법{METHOD FOR PREDICTING PRECIPITATION BASED ON DEEP LEARNING}
본 발명은 이미지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딥러닝을 통해 이미지를 기반으로 미래 시점의 강수량을 예측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를 기반으로 미래 시점의 강수량을 예측하려는 기존의 알고리즘은 대부분 이미지를 구성하는 각 픽셀에 대한 딥러닝 기반의 회귀(regression) 분석을 통해 예측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강수량을 나타내는 강수값은 0 내지 300 정도의 범위값으로 이미지에 구성되기 때문에, 픽셀 별로 각 강수값이 나타내는 범위가 이미지에서 균일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기존의 알고리즘을 통해 예측을 수행하는 경우, 예측 결과로 0에 가까운 값들이 지배적으로 많이 나타나는 현상이 나타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6805호(2019.12.17)는 데이터 분석 기반의 강수량 예측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미래 시점의 강수량을 예측을 회귀가 아닌 분류(classification) 문제로 처리할 수 있도록, 이미지에 나타나는 강수값의 스케일을 변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딥러닝 기반의 강수량 예측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강수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의 강수값에 대한 스케일을 변환하는 단계; 및 신경망 모델을 사용하여, 상기 스케일이 변환된 픽셀의 강수값을 기초로 상기 픽셀에 대한 미래 시점의 강수량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강수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의 강수값에 대한 스케일을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강수 이미지를 시간 순으로 연결(concatenation)하는 단계; 및 스케일 변환 함수를 기초로, 상기 시간 순으로 연결된 강수 이미지들 각각에 포함된 픽셀의 강수값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스케일 변환 함수는, 상기 시간 순으로 연결된 강수 이미지들 각각에 포함된 픽셀의 강수값을 이산화(discretization) 하기 위한 로그 함수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스케일 변환 함수를 기초로, 상기 시간 순으로 연결된 강수 이미지들 각각에 포함된 픽셀의 강수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순으로 연결된 강수 이미지들 각각에 포함된 픽셀의 강수값을 상기 스케일 변환 함수의 미리 결정된 입력 변수로 근사화(approximation) 하는 단계; 상기 스케일 변환 함수의 입력 변수로 근사화 된 강수값을 기초로, 상기 스케일 변환 함수의 출력에 대응되는 클래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 순으로 연결된 강수 이미지들 각각에 포함된 픽셀의 강수값을 상기 결정된 클래스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신경망 모델을 사용하여, 상기 스케일이 변환된 픽셀의 강수값을 기초로 상기 픽셀에 대한 미래 시점의 강수량을 예측하는 단계는, 신경망 모델을 사용하여, 상기 스케일 변환 함수를 기초로 조정된 강수값을 기초로, 상기 픽셀에 대한 미래 시점의 강수값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일 변환 함수를 기초로, 상기 추정된 미래 시점의 강수값에 대한 스케일을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스케일 변환 함수를 기초로, 상기 추정된 미래 시점의 강수값에 대한 스케일을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추정된 미래 시점의 강수값을 상기 스케일 변환 함수의 출력에 대응되는 클래스에 매칭하는 단계; 상기 클래스에 매칭된 미래 시점의 강수값을 기초로, 상기 스케일 변환 함수의 입력 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미래 시점의 강수값을 상기 산출된 입력 변수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신경망 모델은, 시간 순으로 연결(concatenation)된 강수 이미지들을 입력받아 미래 시점의 단일 강수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사전 학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경우, 딥러닝 기반으로 강수량 예측을 수행하기 위한 이하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동작들은: 강수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의 강수값에 대한 스케일을 변환하는 동작; 및 신경망 모델을 사용하여, 상기 스케일이 변환된 픽셀의 강수값을 기초로 상기 픽셀에 대한 미래 시점의 강수량을 예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딥러닝을 기반으로 강수량 예측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코어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및 강수 이미지를 수신하는 네트워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강수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의 강수값에 대한 스케일을 변환하고, 신경망 모델을 사용하여 상기 스케일이 변환된 픽셀의 강수값을 기초로 상기 픽셀에 대한 미래 시점의 강수량을 예측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연속적인 범위값을 갖는 강수값의 스케일 변환을 통해 강수값을 이산화(discretization) 함으로써, 과거 시점의 강수량의 실제 분포를 예측에 충분히 반영하면서 미래 시점의 강수량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망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강수량 예측을 위한 연산 과정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의 전처리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 함수를 기초로 강수값의 스케일이 변환되는 과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수량 예측 과정 및 후처리 일부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 일부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 함수를 기초로 예측값의 스케일이 변환되는 과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러닝 기반의 강수량 예측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환경의 개략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개시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procedure), 프로세서, 객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다.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 될 수 있다. 일 컴포넌트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리고,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라는 용어는, "A만을 포함하는 경우", "B 만을 포함하는 경우", "A와 B의 구성으로 조합된 경우" 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들은 추가적으로 여기서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되어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 논리적 블록들, 구성들, 모듈들, 회로들, 수단들, 로직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쪽 모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교환성을 명백하게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 컴포넌트들, 블록들, 구성들, 수단들, 로직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그들의 기능성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전반적인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설계 제한들에 달려 있다. 숙련된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해 다양한 방법들로 설명된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그러한 구현의 결정들이 본 개시내용의 영역을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 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 걸쳐 이용된 "이미지" 라는 용어는 이산적 영상 요소들(예컨대, 2차원 영상에 있어서는 픽셀)로 구성된 다차원 데이터를 지칭할 수 있다. 달리 말하자면, "이미지" 는 (예컨대, 비디오 화면에 표시된) 눈으로 볼 수 있는 대상 또는 (예컨대, 등의 픽셀 출력에 대응되는 파일과 같은) 그 대상의 디지털 표현물을 지칭하는 용어일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컴퓨팅 장치(100)의 구성은 간략화 하여 나타낸 예시일 뿐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컴퓨팅 장치(100)의 컴퓨팅 환경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성들이 포함될 수 있고, 개시된 구성들 중 일부만이 컴퓨팅 장치(1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30), 네트워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하나 이상의 코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컴퓨팅 장치의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범용 그래픽 처리 장치 (GPGPU: general purpose graphics processing unit), 텐서 처리 장치(TPU: tensor processing unit) 등의 데이터 분석, 딥러닝을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 학습을 위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신경망의 학습을 위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딥러닝(DL: deep learning)에서 학습을 위한 입력 데이터의 처리, 입력 데이터에서의 피처 추출, 오차 계산, 역전파(backpropagation)를 이용한 신경망의 가중치 업데이트 등의 신경망의 학습을 위한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의 CPU, GPGPU, 및 TPU 중 적어도 하나가 신경망의 학습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PU 와 GPGPU가 함께 신경망의 학습, 신경망을 이용한 데이터 분류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를 함께 사용하여 신경망의 학습, 신경망을 이용한 데이터 분류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CPU, GPGPU 또는 TPU 실행가능 프로그램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신경망 모델을 사용하여 강수 이미지를 기초로 미래 시점의 강수량을 예측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강수 이미지를 신경망 모델에 입력하여 미래 시점의 강수량을 표현하는 강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신경망 모델의 입력에 해당하는 강수 이미지는 시간 순으로 정렬된 시계열 이미지일 수 있다. 따라서, 신경망 모델이 예측하는 미래 시점은 시계열 이미지의 최종 시점 이후의 임의의 시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강수 이미지들이 정렬된 시계열 이미지의 최종 시점이 t라고 하면, 신경망 모델이 예측하는 미래 시점은 t 이후의 t+1을 포함한 임의의 시점일 수 있다. 임의의 시점은 신경망 모델의 학습 과정에서 미리 결정된 시점일 수 있다. 다만, 임의의 시점은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10)는 강수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의 강수값의 스케일을 변환할 수 있다. 스케일 변환 없이 강수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의 강수값을 그대로 신경망 모델의 입력으로 사용하는 경우, 강수량을 표현하는 강수값이 나타내는 범위가 강수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 별로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0에 가까운 값들이 지배적으로 많이 나타나는 결과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신경망 모델의 예측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로세서(110)는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는 강수값이 균일한 범위 내 값을 갖도록 조정하는 스케일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프로세서(110)는 강수 이미지에 존재하는 픽셀 별로 강수값의 스케일을 변환하고, 스케일이 변환된 강수값을 신경망 모델에 입력하여 미래 시점의 강수값을 추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신경망 모델에 의한 예측값의 스케일을 변환할 수 있다. 신경망 모델의 예측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케일이 변환된 상태이므로, 프로세서(110)는 신경망 모델이 예측한 미래 시점의 강수값이 강수량을 표현하는 강수값이 나타내는 원래 분포에 가깝게 스케일을 변환할 수 있다. 즉, 예측값의 스케일을 변환하는 작업은 스케일이 변환된 미래 시점의 강수값을 강수값이 나타내는 원래 스케일로 복원하는 작업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술한 스케일 변환 작업들을 통해 강수 이미지에 포함된 0과 가까운 강수값에 대한 표현을 풍부하게 만들어 예측 결과에 0에 가까운 값들이 지배적으로 많이 나타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10)가 생성하거나 결정한 임의의 형태의 정보 및 네트워크부(150)가 수신한 임의의 형태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상기 메모리(13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전술한 메모리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부(150)는 임의의 형태의 공지된 유무선 통신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부(150)는 강수 이미지를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부(150)는 강수 이미지를 기상 관측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등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강수 이미지는 신경망 모델의 학습용 데이터 또는 추론용 데이터일 수 있다. 강수 이미지는 인공위성의 레이더, 지상 관측 장비 등을 기반으로 측정된 강수량에 관한 정보가 가공된 이미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강수 이미지는 RGB의 3채널을 갖는 일반적인 컬러 이미지가 아닌 단일 채널의 강수량을 나타내는 이미지로 이해될 수 있다. 강수 이미지는 위성 레이더 혹은 직접 관측 등을 통해 기록된 강수량을 나타내는 강수값이 단일 채널의 메타 정보로 포함된 이미지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부(150)는 프로세서(110)에 의해 처리된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타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부(150)는 프로세서(110)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클라이언트(e.g.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부(150)는 클라이언트로 인가된 사용자의 외부 입력을 수신하여 프로세서(1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네트워크부(15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의 외부 입력을 기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의 출력, 수정, 변경, 추가 등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컴퓨팅 장치(100)는 입력부 및 출력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키 및/또는 버튼들, 또는 물리적인 키 및/또는 버튼들을 구비할 수 있다.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 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신호를 수신하거나, 카메라 또는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사용자 등의 음성 또는 동작을 수신하여 이를 입력 신호로 변환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인식(speech recognition) 기술 또는 동작 인식(motion recognition)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
입력부는 컴퓨팅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입력 장비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비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 패드, 터치 펜, 키보드 또는 마우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는 사용자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는 출력부와 동일한 구성일 수도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현되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광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SAW) 방식, 압전 방식, 저항막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터치 스크린에 대한 자세한 기재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일 뿐이며, 다양한 터치 스크린 패널이 컴퓨팅 장치(100)에 채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입력부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입력부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입력부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 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프로세서(110)로 전송한다. 이로써, 프로세서(110)는 입력부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는 프로세서(110)가 생성하거나 결정한 임의의 형태의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네트워크부(150)가 수신한 임의의 형태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 모듈은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이라 지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LED) 등이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는 클라이언트와 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는 컴퓨팅 시스템으로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엑세스(access)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의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인 컴퓨팅 장치(100)는 인공위성 시스템으로부터 강수 이미지를 수신하여 미래 시점의 강수량 예측을 수행하고, 예측 결과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서버인 컴퓨팅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정보를 입력 받거나 처리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임의의 서버에서 생성된 데이터 리소스를 전달받아 추가적인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임의의 형태의 단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망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망 모델은 강수량 예측을 수행하기 위한 신경망을 포함할 수 있다. 신경망은 일반적으로 노드라 지칭될 수 있는 상호 연결된 계산 단위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노드들은 뉴런(neuron)들로 지칭될 수도 있다. 신경망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신경망들을 구성하는 노드(또는 뉴런)들은 하나 이상의 링크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신경망 내에서, 링크를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노드들은 상대적으로 입력 노드 및 출력 노드의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입력 노드 및 출력 노드의 개념은 상대적인 것으로서, 하나의 노드에 대하여 출력 노드 관계에 있는 임의의 노드는 다른 노드와의 관계에서 입력 노드 관계에 있을 수 있으며, 그 역도 성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노드 대 출력 노드 관계는 링크를 중심으로 생성될 수 있다. 하나의 입력 노드에 하나 이상의 출력 노드가 링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그 역도 성립할 수 있다.
하나의 링크를 통해 연결된 입력 노드 및 출력 노드 관계에서, 출력 노드의 데이터는 입력 노드에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값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노드와 출력 노드를 상호 연결하는 링크는 가중치(weight)를 가질 수 있다. 가중치는 가변적일 수 있으며, 신경망이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또는 알고리즘에 의해 가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출력 노드에 하나 이상의 입력 노드가 각각의 링크에 의해 상호 연결된 경우, 출력 노드는 상기 출력 노드와 연결된 입력 노드들에 입력된 값들 및 각각의 입력 노드들에 대응하는 링크에 설정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출력 노드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경망은 하나 이상의 노드들이 하나 이상의 링크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신경망 내에서 입력 노드 및 출력 노드 관계를 형성한다. 신경망 내에서 노드들과 링크들의 개수 및 노드들과 링크들 사이의 연관관계, 링크들 각각에 부여된 가중치의 값에 따라, 신경망의 특성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개수의 노드 및 링크들이 존재하고, 링크들의 가중치 값이 상이한 두 신경망이 존재하는 경우, 두 개의 신경망들은 서로 상이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신경망은 하나 이상의 노드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신경망을 구성하는 노드들의 부분 집합은 레이어(layer)를 구성할 수 있다. 신경망을 구성하는 노드들 중 일부는, 최초 입력 노드로부터의 거리들에 기초하여, 하나의 레이어(layer)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 입력 노드로부터 거리가 n인 노드들의 집합은, n 레이어를 구성할 수 있다. 최초 입력 노드로부터 거리는, 최초 입력 노드로부터 해당 노드까지 도달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링크들의 최소 개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레이어의 정의는 설명을 위한 임의적인 것으로서, 신경망 내에서 레이어의 차수는 상술한 것과 상이한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들의 레이어는 최종 출력 노드로부터 거리에 의해 정의될 수도 있다.
최초 입력 노드는 신경망 내의 노드들 중 다른 노드들과의 관계에서 링크를 거치지 않고 데이터가 직접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노드들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신경망 네트워크 내에서, 링크를 기준으로 한 노드 간의 관계에 있어서, 링크로 연결된 다른 입력 노드들을 가지지 않는 노드들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최종 출력 노드는 신경망 내의 노드들 중 다른 노드들과의 관계에서, 출력 노드를 가지지 않는 하나 이상의 노드들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히든 노드는 최초 입력 노드 및 최후 출력 노드가 아닌 신경망을 구성하는 노드들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망은 입력 레이어의 노드의 개수가 출력 레이어의 노드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으며, 입력 레이어에서 히든 레이어로 진행됨에 따라 노드의 수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형태의 신경망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망은 입력 레이어의 노드의 개수가 출력 레이어의 노드의 개수 보다 적을 수 있으며, 입력 레이어에서 히든 레이어로 진행됨에 따라 노드의 수가 감소하는 형태의 신경망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망은 입력 레이어의 노드의 개수가 출력 레이어의 노드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으며, 입력 레이어에서 히든 레이어로 진행됨에 따라 노드의 수가 증가하는 형태의 신경망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망은 상술한 신경망들의 조합된 형태의 신경망일 수 있다.
딥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심층신경망)는 입력 레이어와 출력 레이어 외에 복수의 히든 레이어를 포함하는 신경망을 의미할 수 있다. 딥 신경망을 이용하면 데이터의 잠재적인 구조(latent structures)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사진, 글, 비디오, 음성, 음악의 잠재적인 구조(예를 들어, 어떤 물체가 사진에 있는지, 글의 내용과 감정이 무엇인지, 음성의 내용과 감정이 무엇인지 등)를 파악할 수 있다. 딥 신경망은 컨볼루션 신경망(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리커런트 신경망(RNN: recurrent neural network), 오토 인코더(auto encoder),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제한 볼츠만 머신(RBM: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심층 신뢰 네트워크(DBN: deep belief network), Q 네트워크, U 네트워크, 샴 네트워크, 적대적 생성 네트워크(GA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딥 신경망의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신경망은 오토 인코더(autoencoder)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오토 인코더는 입력 데이터와 유사한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인공 신경망의 일종일 수 있다. 오토 인코더는 적어도 하나의 히든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홀수 개의 히든 레이어가 입출력 레이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레이어의 노드의 수는 입력 레이어의 노드의 수에서 병목 레이어(인코딩)라는 중간 레이어로 축소되었다가, 병목 레이어에서 출력 레이어(입력 레이어와 대칭)로 축소와 대칭되어 확장될 수도 있다. 오토 인코더는 비선형 차원 감소를 수행할 수 있다. 입력 레이어 및 출력 레이어의 수는 입력 데이터의 전처리 이후에 차원과 대응될 수 있다. 오토 인코더 구조에서 인코더에 포함된 히든 레이어의 노드의 수는 입력 레이어에서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병목 레이어(인코더와 디코더 사이에 위치하는 가장 적은 노드를 가진 레이어)의 노드의 수는 너무 작은 경우 충분한 양의 정보가 전달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특정 수 이상(예를 들어, 입력 레이어의 절반 이상 등)으로 유지될 수도 있다.
신경망은 교사 학습, 비교사 학습(unsupervised learning), 반교사 학습(semi 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학습될 수 있다. 신경망의 학습은 신경망이 특정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지식을 신경망에 적용하는 과정일 수 있다.
신경망은 출력의 오류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학습될 수 있다. 신경망의 학습에서 반복적으로 학습 데이터를 신경망에 입력시키고 학습 데이터에 대한 신경망의 출력과 타겟의 에러를 계산하고, 에러를 줄이기 위한 방향으로 신경망의 에러를 신경망의 출력 레이어에서부터 입력 레이어 방향으로 역전파(backpropagation)하여 신경망의 각 노드의 가중치를 업데이트 하는 과정이다. 교사 학습의 경우 각각의 학습 데이터에 정답이 라벨링 되어있는 학습 데이터를 사용하며(즉, 라벨링된 학습 데이터), 비교사 학습의 경우는 각각의 학습 데이터에 정답이 라벨링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데이터 분류에 관한 교사 학습의 경우의 학습 데이터는 학습 데이터 각각에 카테고리가 라벨링 된 데이터 일 수 있다. 라벨링된 학습 데이터가 신경망에 입력되고, 신경망의 출력(카테고리)과 학습 데이터의 라벨을 비교함으로써 오류(error)가 계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데이터 분류에 관한 비교사 학습의 경우 입력인 학습 데이터가 신경망 출력과 비교됨으로써 오류가 계산될 수 있다. 계산된 오류는 신경망에서 역방향(즉, 출력 레이어에서 입력 레이어 방향)으로 역전파 되며, 역전파에 따라 신경망의 각 레이어의 각 노드들의 연결 가중치가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업데이트 되는 각 노드의 연결 가중치는 학습률(learning rate)에 따라 변화량이 결정될 수 있다. 입력 데이터에 대한 신경망의 계산과 에러의 역전파는 학습 사이클(epoch)을 구성할 수 있다. 학습률은 신경망의 학습 사이클의 반복 횟수에 따라 상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경망의 학습 초기에는 높은 학습률을 사용하여 신경망이 빠르게 일정 수준의 성능을 확보하도록 하여 효율성을 높이고, 학습 후기에는 낮은 학습률을 사용하여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신경망의 학습에서 일반적으로 학습 데이터는 실제 데이터(즉, 학습된 신경망을 이용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부분집합일 수 있으며, 따라서, 학습 데이터에 대한 오류는 감소하나 실제 데이터에 대해서는 오류가 증가하는 학습 사이클이 존재할 수 있다. 과적합(overfitting)은 이와 같이 학습 데이터에 과하게 학습하여 실제 데이터에 대한 오류가 증가하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노란색 고양이를 보여 고양이를 학습한 신경망이 노란색 이외의 고양이를 보고는 고양이임을 인식하지 못하는 현상이 과적합의 일종일 수 있다. 과적합은 머신러닝 알고리즘의 오류를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적합을 막기 위하여 다양한 최적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과적합을 막기 위해서는 학습 데이터를 증가시키거나, 레귤러라이제이션(regularization), 학습의 과정에서 네트워크의 노드 일부를 비활성화하는 드롭아웃(dropout), 배치 정규화 레이어(batch normalization layer)의 활용 등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강수량 예측을 위한 연산 과정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4 내지 도 8은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강수 이미지(11)를 기초로 스케일 변환을 수행하여 제 1 스케일 변환 이미지(12)를 생성하는 제 1 모듈(210), 제 1 스케일 변환(12) 이미지를 기초로 강수값 추정을 수행하여 제 1 스케일 예측 이미지(13)를 생성하는 제 2 모듈(220), 제 1 스케일 예측 이미지(13)를 기초로 스케일 변환을 수행하여 제 2 스케일 예측 이미지(14)를 생성하는 제 3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제 1 모듈(210)을 통해, 강수 이미지(11)에 포함된 픽셀의 강수값에 대한 스케일을 변환하고, 제 1 스케일 변환 이미지(12)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제 2 모듈(220)을 통해, 제 1 스케일 변환 이미지(12)에 포함된 강수값을 기초로 픽셀에 대한 미래 시점의 강수값을 추정하여 제 1 스케일 예측 이미지(13)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제 3 모듈(230)을 통해, 제 1 스케일 예측 이미지(13)에 포함된 미래 시점의 강수값에 대한 스케일을 변환하고, 제 2 스케일 예측 이미지(14)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모듈(210)의 입력 데이터에 해당하는 강수 이미지(11)는 단일 이미지일 수도 있고, 복수의 이미지들로 구성된 시계열 이미지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강수 이미지(11)는 t-2 시점의 강수 이미지, t-1 시점의 강수 이미지, 및 t 시점의 강수 이미지를 모두 포함하는 시계열 이미지일 수 있다. 이때, 강수 이미지(11)는 복수의 강수 이미지들이 시간 순으로 연결(concatenation)된 시계열 이미지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t-2 시점, t-1 시점, 및 t 시점의 강수 이미지들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10)는 강수 이미지들을 t-2 시점, t-1 시점, 및 t 시점의 순서대로 연결하여 시계열 이미지인 강수 이미지(11)를 생성하고, 시계열 이미지로 생성된 강수 이미지(11)를 제 1 모듈(210)로 입력할 수 있다.
제 1 모듈(210)은 강수 이미지(11)에 포함된 픽셀의 강수값에 대한 스케일을 변환할 수 있다. 제 1 모듈(210)은 스케일 변환 함수를 기초로 강수 이미지(11)에 포함된 픽셀 별 강수값의 스케일을 변환할 수 있다. 제 1 모듈(210)은 강수 이미지(11)를 입력받아 강수 이미지(11)에 존재하는 픽셀 별 강수값의 스케일을 조정하고, 이를 반영하여 제 1 스케일 변환 이미지(12)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 1 모듈(210)에 의한 스케일 변환은 연속적인 분포를 갖는 픽셀 별 강수값을 스케일 변환 함수를 통해 이산화(discretization) 하여 소정의 클래스로 분류하는 작업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모듈(210)은 t-3 시점, t-2 시점, t-1 시점, 및 t 시점의 강수 이미지가 시간 순으로 연결된 강수 이미지(21)를 입력받아 픽셀 별 강수값을 확인할 수 있다. 제 1 모듈(210)은 스케일 변환 함수를 기초로 강수 이미지(21)에서 확인된 픽셀 별 강수값을 조정함으로써, 스케일 변환 이미지(22)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모듈(210)은 스케일 변환 함수를 기초로 시간 순으로 연결된 강수 이미지들 각각에 포함된 픽셀의 강수값을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스케일 변환 함수는 시간 순으로 연결된 강수 이미지들 각각에 포함된 픽셀의 강수값을 이산화하기 위한 로그 함수일 수 있다. 제 1 모듈(210)은 스케일 변환 함수를 통해 강수 이미지들 각각에 포함된 픽셀의 강수값을 로그 스케일로 변환하고 균등하게 분할된 클래스로 분류함으로써, 픽셀 별 강수값을 조정할 수 있다. 로그 함수는 0에 가까운 지점에 분포하는 값을 조밀한 간격으로 분류할 수 있어서 0과 가까운 지점에 분포하는 값을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제 1 모듈(210)은 로그 함수인 스케일 변환 함수를 통해 강수 이미지에 포함된 0과 가까운 강수값에 대한 표현을 풍부하게 만들어 예측 결과에 0에 가까운 값들이 지배적으로 많이 나타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제 1 모듈(210)은 시간 순으로 연결된 강수 이미지들 각각에 포함된 픽셀의 강수값을 스케일 변환 함수의 미리 결정된 입력 변수로 근사화(approximation) 할 수 있다. 제 1 모듈(210)은 픽셀의 강수값이 스케일 변환 함수의 미리 결정된 입력 변수 중 어느 하나로 근사화 할 수 있다. 이때, 근사화는 특정 픽셀의 강수값을 특정 픽셀의 강수값과 가장 인접한 값을 갖는 입력 변수에 매칭시키는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모듈(210)은 픽셀 별 강수값을 스케일 변환 함수를 통해 정의되는 x축 상에 존재하는 변수(30) 중에서 미리 결정된 6개의 입력 변수들(31, 32, 33, 34, 35, 36) 중 하나에 매칭할 수 있다. 특정 픽셀의 강수값이 1.53이라고 가정하면, 제 1 모듈(210)은 1.53의 값을 갖는 강수값을 가장 인접한 제 2 입력 변수(32)에 해당하는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제 1 모듈(210)은 시간 순으로 연결된 강수 이미지들 각각에 존재하는 모든 픽셀들에 대하여 상술한 근사화를 수행할 수 있다.
제 1 모듈(210)은 스케일 변환 함수의 입력 변수로 근사화 된 강수값을 기초로, 스케일 변환 함수의 출력에 대응되는 클래스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모듈(210)은 스케일 변환 함수의 입력 변수로 근사화 된 강수값을 스케일 변환 함수로 연산하여 균등하게 분할된 스케일 변환 함수의 출력에 대응하는 클래스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모듈(210)은 시간 순으로 연결된 강수 이미지들 각각에 포함된 픽셀의 강수값을 스케일 변환 함수의 연산을 통해 결정된 클래스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모듈(210)은 근사화 된 강수값을 스케일 변환 함수에 입력하여 스케일 변환 함수의 출력 변수(40)로 정의된 6개의 클래스들 중 어느 하나로 추출할 수 있다. 스케일 변환 함수에 의해 정의되는 입출력 관계를 통해 6개의 입력 변수들(31, 32, 33, 34, 35, 36) 각각은 출력 변수(40)에 해당하는 class 0 내지 class 5에 대응될 수 있다. 상술한 근사화를 통해 1.53의 값을 갖는 강수값이 가장 인접한 제 2 입력 변수(32)에 해당하는 값으로 변경되면, 제 1 모듈(210)은 제 2 입력 변수(32)에 해당하는 값으로 변경된 강수값을 스케일 변환 함수로 입력하여 class 1으로 정의된 클래스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래스 결정을 위한 스케일 변환 함수의 연산이 완료되면, 제 1 모듈(210)은 1.53의 값을 갖는 특정 픽셀의 강수값을 class 1이 나타내는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스케일 변환 함수의 입출력 변수와 관련된 구체적인 수치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당업자가 이해 가능한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 2 모듈(220)은 제 1 모듈(210)을 통해 스케일이 변환된 픽셀의 강수값을 기초로 각 픽셀에 대한 미래 시점의 강수량을 예측할 수 있다. 제 2 모듈(220)은 스케일 변환 함수를 기초로 조정된 픽셀 별 강수값을 기초로 미래 시점에 해당하는 픽셀의 강수값을 추정할 수 있다. 제 2 모듈(220)은 제 1 모듈(210)을 통해 생성된 제 1 스케일 변환 이미지(12)를 입력받아 미래 시점의 강수값을 추정하고, 이를 반영한 제 1 스케일 예측 이미지(13)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 2 모듈(220)은 강수량 예측을 수행하기 위한 신경망 모델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제 2 모듈(220)에 대응되는 신경망 모델(300)은 제 1 모듈(210)을 통해 생성된 스케일 변환 이미지(22)를 입력받아 미래 시점인 t+1 시점의 강수량을 나타내는 강수값을 각 픽셀 별로 추정할 수 있다. 신경망 모델(300)은 추정된 t+1 시점의 픽셀 별 강수값을 기초로 t+1 시점의 추정값을 반영한 확률 맵(23)을 생성할 수 있다. 신경망 모델(300)은 t+1 시점의 추정값을 반영한 확률 맵(23)을 기초로 t+1 시점의 강수값을 나타내는 예측 강수 이미지(24)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스케일 변환 이미지(22)는 복수의 타임스텝(timestep)을 갖는 시계열 강수 이미지이고, 예측 강수 이미지(24)는 특정 미래 시점의 강수량 분포를 나타내는 단일 강수 이미지일 수 있다. 따라서, 신경망 모델(300)은 시간 순으로 연결된 강수 이미지들을 입력받아 미래 시점의 단일 강수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사전 학습될 수 있다. 따라서, 신경망 모델(300)은 복수의 이미지를 입력으로 하여 단일 이미지를 출력하는 의미론적 분할(semantic segmentation) 기반의 모델일 수 있다.
제 3 모듈(230)은 제 2 모듈(220)을 통해 추정된 픽셀의 강수값에 대한 스케일을 변환할 수 있다. 제 3 모듈(230)은 스케일 변환 함수를 기초로 제 1 스케일 예측 이미지(13)에 포함된 픽셀 별 예측값의 스케일을 변환할 수 있다. 제 3 모듈(230)은 제 2 모듈(220)을 통해 생성된 제 1 스케일 예측 이미지(13)를 입력받아 제 1 스케일 예측 이미지(13)에 존재하는 픽셀 별 예측값의 스케일을 조정하고, 이를 반영하여 최종 출력 이미지인 제 2 스케일 변환 이미지(14)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 3 모듈(230)에 의한 스케일 변환은 이산적 분포를 갖는 픽셀 별 예측값을 스케일 변환 함수를 통해 역변환함으로써, 예측값을 실제 강수량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는 값으로 가공하는 작업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를 참조하면, 제 3 모듈(230)은 제 2 모듈(220)을 통해 생성된 예측 강수 이미지(24)를 입력받아 픽셀 별 예측값을 확인할 수 있다. 제 3 모듈(230)은 스케일 변환 함수를 기초로 예측 강수 이미지(24)에서 확인된 픽셀 별 예측값을 조정함으로써, 최종 출력 이미지(25)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3 모듈(230)은 스케일 변환 함수를 기초로 제 2 모듈(220)을 통해 추정된 미래 시점의 강수값을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스케일 변환 함수는 제 1 모듈(220)의 스케일 변환에 사용된 로그 함수일 수 있다. 제 3 모듈(230)은 스케일 변환 함수를 통해 강수 이미지들 각각에 포함된 픽셀의 강수값을 로그 스케일로 역변환하고 스케일 변환 함수의 입력 변수들 중 하나로 도출함으로써, 미래 시점의 픽셀 별 강수값을 실측값에 최대한 가깝도록 조정할 수 있다.
제 3 모듈(230)은 제 2 모듈(220)을 통해 추정된 미래 시점의 픽셀의 강수값을 스케일 변환 함수의 출력에 대응되는 클래스에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제 3 모듈(230)은 픽셀 별 예측값을 스케일 변환 함수의 출력 변수(50)로 정의된 6개의 클래스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제 2 모듈(220)을 통해 추정된 특정 픽셀의 예측값이 1이라고 가정하면, 제 3 모듈(230)은 1에 해당하는 class 1을 역변환 연산을 위한 스케일 변환 함수의 출력 변수로 결정할 수 있다.
제 3 모듈(230)은 클래스에 매칭된 미래 시점의 강수값을 기초로, 스케일 변환 함수의 입력 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제 3 모듈(230)은 스케일 변환 함수의 출력 변수에 매칭된 미래 시점의 강수값을 스케일 변환 함수로 역연산하여 스케일 변환 함수의 미리 결정된 입력 변수 중 어느 하나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 3 모듈(230)은 미래 시점의 강수값을 산출된 스케일 변환 함수의 입력 변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제 3 모듈(230)은 클래스에 매칭된 예측값을 스케일 변환 함수의 출력으로 입력하여 스케일 변환 함수를 통해 정의되는 x축 상에 존재하는 변수(60) 중에서 미리 결정된 6개의 입력 변수들(61, 62, 63, 64, 65, 66) 중 하나를 도출할 수 있다. 스케일 변환 함수에 의해 정의되는 입출력 관계를 통해 6개의 입력 변수들(61, 62, 63, 64, 65, 66) 각각은 출력 변수(50)에 해당하는 class 0 내지 class 5에 대응될 수 있다. 상술한 클래스 매칭을 통해 1의 값을 갖는 예측값이 class 1에 매칭되면, 제 3 모듈(230)은 class 1에 매칭된 강수값을 스케일 변환 함수로 입력하여 예측값을 제 2 입력 변수(62)에 해당하는 값 0.6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케일 변환 함수의 역연산을 통해 로그 스케일로 변환되었던 미래 시점의 픽셀 별 강수값을 실측값의 분포에 가까운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8를 참조하여 설명한 스케일 변환 함수의 입출력 변수와 관련된 구체적인 수치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당업자가 이해 가능한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러닝 기반의 강수량 예측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S100 단계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는 강수 이미지에 존재하는 픽셀 각각의 강수값의 스케일을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강수량을 예측하고자 하는 미래 시점 이전의 과거 시점에 해당하는 복수의 강수 이미지들을 수신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과거 시점에 해당하는 복수의 강수 이미지들을 시간 순으로 연결하여 시계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스케일 변환 함수를 기초로, 시계열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 별 강수값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시계열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의 강수값을 스케일 변환 함수의 미리 결정된 입력 변수로 근사화(approximation)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스케일 변환 함수의 입력 변수로 근사화 된 강수값을 기초로, 스케일 변환 함수의 출력에 대응되는 클래스를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시계열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의 강수값을 앞서 결정된 클래스로 변경함으로써, 시계열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 별 강수값을 조정할 수 있다.
S200 단계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신경망 모델을 사용하여, S100 단계를 통해 스케일이 변환된 강수값을 기초로 픽셀 각각에 대한 미래 시점의 강수값을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신경망 모델은 복수의 강수 이미지들로 구성된 시계열 이미지를 입력받아 예측값이 반영된 단일 강수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사전 학습된 모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경망 모델은 U-net 구조의 모델일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의 신경망 모델의 구조는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이해 가능한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S300 단계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S200 단계를 통해 추정된 픽셀 각각에 대한 미래 시점의 강수값의 스케일을 다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스케일 변환 함수를 기초로, S200 단계를 통해 추정된 미래 시점의 강수값에 대한 스케일을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미래 시점의 강수값을 상기 스케일 변환 함수의 출력에 대응되는 클래스에 매칭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클래스에 매칭된 미래 시점의 강수값을 기초로, 스케일 변환 함수의 입력 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미래 시점의 강수값을 앞서 산출된 입력 변수로 변경함으로써, 미래 시점의 강수값에 대한 스케일을 변환할 수 있다. S300 단계의 스케일 변환은 S100 단계의 스케일 변환을 역연산하는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에 대한 간략하고 일반적인 개략도이다.
본 개시가 일반적으로 컴퓨팅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전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개시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및/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들과 결합되어 및/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의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의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기타 등등을 포함한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방법이 단일-프로세서 또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는 물론 퍼스널 컴퓨터, 핸드헬드(handheld) 컴퓨팅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가능 가전 제품, 기타 등등(이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연관된 장치와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음)을 비롯한 다른 컴퓨터 시스템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본 개시의 설명된 실시예들은 또한 어떤 태스크들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원격 처리 장치들에 의해 수행되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 둘 다에 위치할 수 있다.
컴퓨터는 통상적으로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매체는 그 어떤 것이든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될 수 있고,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transitory) 및 비일시적(non-transitory)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 및 비-일시적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CD-ROM, DVD(digital video disk)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통상적으로 반송파(carrier wave)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transport mechanism)과 같은 피변조 데이터 신호(modulated data signal)에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 등을 구현하고 모든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피변조 데이터 신호라는 용어는 신호 내에 정보를 인코딩하도록 그 신호의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설정 또는 변경시킨 신호를 의미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배선 접속(direct-wired connection)과 같은 유선 매체, 그리고 음향, RF, 적외선, 기타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된 매체들 중 임의의 것의 조합도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의 범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컴퓨터(1102)를 포함하는 본 개시의 여러가지 측면들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환경(1100)이 나타내어져 있으며, 컴퓨터(1102)는 처리 장치(1104), 시스템 메모리(1106) 및 시스템 버스(1108)를 포함한다. 시스템 버스(1108)는 시스템 메모리(1106)(이에 한정되지 않음)를 비롯한 시스템 컴포넌트들을 처리 장치(1104)에 연결시킨다. 처리 장치(1104)는 다양한 상용 프로세서들 중 임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듀얼 프로세서 및 기타 멀티프로세서 아키텍처도 역시 처리 장치(1104)로서 이용될 수 있다.
시스템 버스(1108)는 메모리 버스, 주변장치 버스, 및 다양한 상용 버스 아키텍처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는 로컬 버스에 추가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는 몇 가지 유형의 버스 구조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106)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1110)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112)를 포함한다.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은 ROM, EPROM,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1110)에 저장되며, 이 BIOS는 시동 중과 같은 때에 컴퓨터(1102) 내의 구성요소들 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일을 돕는 기본적인 루틴을 포함한다. RAM(1112)은 또한 데이터를 캐싱하기 위한 정적 RAM 등의 고속 RAM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1102)는 또한 내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1114)(예를 들어, EIDE, SATA)-이 내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14)는 또한 적당한 섀시(도시 생략) 내에서 외장형 용도로 구성될 수 있음-, 자기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DD)(1116)(예를 들어, 이동식 디스켓(1118)으로부터 판독을 하거나 그에 기록을 하기 위한 것임),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120)(예를 들어, CD-ROM 디스크(1122)를 판독하거나 DVD 등의 기타 고용량 광 매체로부터 판독을 하거나 그에 기록을 하기 위한 것임)를 포함한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14),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116)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120)는 각각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4),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6) 및 광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8)에 의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될 수 있다. 외장형 드라이브 구현을 위한 인터페이스(1124)는 USB(Universal Serial Bus) 및 IEEE 1394 인터페이스 기술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둘 다를 포함한다.
이들 드라이브 및 그와 연관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데이터, 데이터 구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기타 등등의 비휘발성 저장을 제공한다. 컴퓨터(1102)의 경우, 드라이브 및 매체는 임의의 데이터를 적당한 디지털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에 대응한다. 상기에서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대한 설명이 HDD, 이동식 자기 디스크, 및 CD 또는 DVD 등의 이동식 광 매체를 언급하고 있지만, 당업자라면 집 드라이브(zip drive), 자기 카세트, 플래쉬 메모리 카드, 카트리지, 기타 등등의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다른 유형의 매체도 역시 예시적인 운영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또 임의의 이러한 매체가 본 개시의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운영 체제(1130),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32), 기타 프로그램 모듈(1134) 및 프로그램 데이터(1136)를 비롯한 다수의 프로그램 모듈이 드라이브 및 RAM(1112)에 저장될 수 있다.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모듈 및/또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그 일부분이 또한 RAM(1112)에 캐싱될 수 있다. 본 개시가 여러가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운영 체제 또는 운영 체제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유선/무선 입력 장치, 예를 들어, 키보드(1138) 및 마우스(1140) 등의 포인팅 장치를 통해 컴퓨터(1102)에 명령 및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장치(도시 생략)로는 마이크, IR 리모콘, 조이스틱, 게임 패드, 스타일러스 펜, 터치 스크린, 기타 등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 및 기타 입력 장치가 종종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 장치 인터페이스(1142)를 통해 처리 장치(1104)에 연결되지만, 병렬 포트, IEEE 1394 직렬 포트, 게임 포트, USB 포트, IR 인터페이스, 기타 등등의 기타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모니터(1144) 또는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도 역시 비디오 어댑터(1146)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된다. 모니터(1144)에 부가하여,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스피커, 프린터, 기타 등등의 기타 주변 출력 장치(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컴퓨터(110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통한 원격 컴퓨터(들)(1148) 등의 하나 이상의 원격 컴퓨터로의 논리적 연결을 사용하여 네트워크화된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원격 컴퓨터(들)(1148)는 워크스테이션, 컴퓨팅 디바이스 컴퓨터, 라우터, 퍼스널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오락 기기, 피어 장치 또는 기타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컴퓨터(1102)에 대해 기술된 구성요소들 중 다수 또는 그 전부를 포함하지만, 간략함을 위해, 메모리 저장 장치(1150)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논리적 연결은 근거리 통신망(LAN)(1152) 및/또는 더 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원거리 통신망(WAN)(1154)에의 유선/무선 연결을 포함한다. 이러한 LAN 및 WAN 네트워킹 환경은 사무실 및 회사에서 일반적인 것이며, 인트라넷 등의 전사적 컴퓨터 네트워크(enterprise-wide computer network)를 용이하게 해주며, 이들 모두는 전세계 컴퓨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L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10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어댑터(1156)를 통해 로컬 네트워크(1152)에 연결된다. 어댑터(1156)는 LAN(1152)에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으며, 이 LAN(1152)은 또한 무선 어댑터(1156)와 통신하기 위해 그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고 있다. W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102)는 모뎀(1158)을 포함할 수 있거나, WAN(1154) 상의 통신 컴퓨팅 디바이스에 연결되거나, 또는 인터넷을 통하는 등, WAN(1154)을 통해 통신을 설정하는 기타 수단을 갖는다. 내장형 또는 외장형 및 유선 또는 무선 장치일 수 있는 모뎀(1158)은 직렬 포트 인터페이스(1142)를 통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된다. 네트워크화된 환경에서, 컴퓨터(1102)에 대해 설명된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그의 일부분이 원격 메모리/저장 장치(1150)에 저장될 수 있다. 도시된 네트워크 연결이 예시적인 것이며 컴퓨터들 사이에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기타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컴퓨터(1102)는 무선 통신으로 배치되어 동작하는 임의의 무선 장치 또는 개체, 예를 들어, 프린터, 스캐너, 데스크톱 및/또는 휴대용 컴퓨터, PDA(portable data assistant), 통신 위성, 무선 검출가능 태그와 연관된 임의의 장비 또는 장소, 및 전화와 통신을 하는 동작을 한다. 이것은 적어도 Wi-Fi 및 블루투스 무선 기술을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은 종래의 네트워크에서와 같이 미리 정의된 구조이거나 단순하게 적어도 2개의 장치 사이의 애드혹 통신(ad hoc communication)일 수 있다.
Wi-Fi(Wireless Fidelity)는 유선 없이도 인터넷 등으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해준다. Wi-Fi는 이러한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가 실내에서 및 실외에서, 즉 기지국의 통화권 내의 아무 곳에서나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게 해주는 셀 전화와 같은 무선 기술이다. Wi-Fi 네트워크는 안전하고 신뢰성 있으며 고속인 무선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IEEE 802.11(a, b, g, 기타)이라고 하는 무선 기술을 사용한다. 컴퓨터를 서로에, 인터넷에 및 유선 네트워크(IEEE 802.3 또는 이더넷을 사용함)에 연결시키기 위해 Wi-Fi가 사용될 수 있다. Wi-Fi 네트워크는 비인가 2.4 및 5GHz 무선 대역에서, 예를 들어, 11Mbps(802.11a) 또는 54 Mbps(802.11b) 데이터 레이트로 동작하거나, 양 대역(듀얼 대역)을 포함하는 제품에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구조를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개시된다.
데이터 구조는 데이터에 효율적인 접근 및 수정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의 조직, 관리, 저장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 구조는 특정 문제(예를 들어, 최단 시간으로 데이터 검색, 데이터 저장, 데이터 수정) 해결을 위한 데이터의 조직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 구조는 특정한 데이터 처리 기능을 지원하도록 설계된, 데이터 요소들 간의 물리적이거나 논리적인 관계로 정의될 수도 있다. 데이터 요소들 간의 논리적인 관계는 사용자 정의 데이터 요소들 간의 연결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요소들 간의 물리적인 관계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예를 들어, 영구 저장 장치)에 물리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요소들 간의 실제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조는 구체적으로 데이터의 집합, 데이터 간의 관계,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는 함수 또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효과적으로 설계된 데이터 구조를 통해 컴퓨팅 장치는 컴퓨팅 장치의 자원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면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는 효과적으로 설계된 데이터 구조를 통해 연산, 읽기, 삽입, 삭제, 비교, 교환, 검색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데이터 구조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에 따라 선형 데이터 구조와 비선형 데이터 구조로 구분될 수 있다. 선형 데이터 구조는 하나의 데이터 뒤에 하나의 데이터만이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선형 데이터 구조는 리스트(List), 스택(Stack), 큐(Queue), 데크(Deque)를 포함할 수 있다. 리스트는 내부적으로 순서가 존재하는 일련의 데이터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리스트는 연결 리스트(Linked List)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리스트는 각각의 데이터가 포인터를 가지고 한 줄로 연결되어 있는 방식으로 데이터가 연결된 데이터 구조일 수 있다. 연결 리스트에서 포인터는 다음이나 이전 데이터와의 연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리스트는 형태에 따라 단일 연결 리스트, 이중 연결 리스트, 원형 연결 리스트로 표현될 수 있다. 스택은 제한적으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 나열 구조일 수 있다. 스택은 데이터 구조의 한 쪽 끝에서만 데이터를 처리(예를 들어, 삽입 또는 삭제)할 수 있는 선형 데이터 구조일 수 있다. 스택에 저장된 데이터는 늦게 들어갈수록 빨리 나오는 데이터 구조(LIFO-Last in First Out)일 수 있다. 큐는 제한적으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 나열 구조로서, 스택과 달리 늦게 저장된 데이터일수록 늦게 나오는 데이터 구조(FIFO-First in First Out)일 수 있다. 데크는 데이터 구조의 양 쪽 끝에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일 수 있다.
비선형 데이터 구조는 하나의 데이터 뒤에 복수개의 데이터가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비선형 데이터 구조는 그래프(Graph) 데이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프 데이터 구조는 정점(Vertex)과 간선(Edge)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간선은 서로 다른 두개의 정점을 연결하는 선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프 데이터 구조 트리(Tree) 데이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 데이터 구조는 트리에 포함된 복수개의 정점 중에서 서로 다른 두개의 정점을 연결시키는 경로가 하나인 데이터 구조일 수 있다. 즉 그래프 데이터 구조에서 루프(loop)를 형성하지 않는 데이터 구조일 수 있다.
데이터 구조는 신경망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신경망을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신경망을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또한 신경망에 의한 처리를 위하여 전처리된 데이터, 신경망에 입력되는 데이터, 신경망의 가중치, 신경망의 하이퍼 파라미터, 신경망으로부터 획득한 데이터, 신경망의 각 노드 또는 레이어와 연관된 활성 함수, 신경망의 학습을 위한 손실함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경망을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상기 개시된 구성들 중 임의의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신경망을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신경망에 의한 처리를 위하여 전처리된 데이터, 신경망에 입력되는 데이터, 신경망의 가중치, 신경망의 하이퍼 파라미터, 신경망으로부터 획득한 데이터, 신경망의 각 노드 또는 레이어와 연관된 활성 함수, 신경망의 학습을 위한 손실함수 등 전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들 이외에도, 신경망을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신경망의 특성을 결정하는 임의의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구조는 신경망의 연산 과정에 사용되거나 발생되는 모든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한 사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및/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신경망은 일반적으로 노드라 지칭될 수 있는 상호 연결된 계산 단위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노드들은 뉴런(neuron)들로 지칭될 수도 있다. 신경망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 구조는 신경망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신경망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신경망에 입력되는 데이터는 신경망 학습 과정에서 입력되는 학습 데이터 및/또는 학습이 완료된 신경망에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신경망에 입력되는 데이터는 전처리(pre-processing)를 거친 데이터 및/또는 전처리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는 데이터를 신경망에 입력시키기 위한 데이터 처리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구조는 전처리 대상이 되는 데이터 및 전처리로 발생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데이터 구조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데이터 구조는 신경망의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중치, 파라미터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신경망의 가중치를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신경망은 복수개의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중치는 가변적일 수 있으며, 신경망이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또는 알고리즘에 의해 가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출력 노드에 하나 이상의 입력 노드가 각각의 링크에 의해 상호 연결된 경우, 출력 노드는 상기 출력 노드와 연결된 입력 노드들에 입력된 값들 및 각각의 입력 노드들에 대응하는 링크에 설정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출력 노드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데이터 구조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가중치는 신경망 학습 과정에서 가변되는 가중치 및/또는 신경망 학습이 완료된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신경망 학습 과정에서 가변되는 가중치는 학습 사이클이 시작되는 시점의 가중치 및/또는 학습 사이클 동안 가변되는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신경망 학습이 완료된 가중치는 학습 사이클이 완료된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신경망의 가중치를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신경망 학습 과정에서 가변되는 가중치 및/또는 신경망 학습이 완료된 가중치를 포함한 데이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술한 가중치 및/또는 각 가중치의 조합은 신경망의 가중치를 포함한 데이터 구조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전술한 데이터 구조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신경망의 가중치를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직렬화(serialization) 과정을 거친 후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 디스크)에 저장될 수 있다. 직렬화는 데이터 구조를 동일하거나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저장하고 나중에 다시 재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데이터 구조를 직렬화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직렬화된 신경망의 가중치를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역직렬화(deserialization)를 통해 동일한 컴퓨팅 장치 또는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재구성될 수 있다. 신경망의 가중치를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직렬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신경망의 가중치를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컴퓨팅 장치의 자원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면서 연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데이터 구조(예를 들어, 비선형 데이터 구조에서 B-Tree, Trie, m-way search tree, AVL tree, Red-Black Tree)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사항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데이터 구조는 신경망의 하이퍼 파라미터(Hyper-para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신경망의 하이퍼 파라미터를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하이퍼 파라미터는 사용자에 의해 가변되는 변수일 수 있다. 하이퍼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학습률(learning rate), 비용 함수(cost function), 학습 사이클 반복 횟수, 가중치 초기화(Weight initialization)(예를 들어, 가중치 초기화 대상이 되는 가중치 값의 범위 설정), Hidden Unit 개수(예를 들어, 히든 레이어의 개수, 히든 레이어의 노드 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데이터 구조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정보 및 신호들이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설명에서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지시들, 명령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입자들, 광학장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는)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또는 이들 모두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저장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딥러닝 기반의 강수량 예측 방법으로서,
    강수 이미지를 시간 순으로 연결(concatenation)하는 단계;
    스케일 변환 함수를 기초로, 상기 시간 순으로 연결된 강수 이미지들 각각에 포함된 픽셀의 강수값을 상기 스케일 변환 함수의 미리 결정된 입력 변수로 근사화(approximation) 하는 단계;
    상기 스케일 변환 함수의 입력 변수로 근사화 된 강수값을 기초로, 상기 스케일 변환 함수의 출력에 대응되는 클래스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시간 순으로 연결된 강수 이미지들 각각에 포함된 픽셀의 강수값을 상기 결정된 클래스로 변경하는 단계; 및
    신경망 모델을 사용하여, 상기 변경된 픽셀의 강수값을 기초로 상기 픽셀에 대한 미래 시점의 강수량을 예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강수 이미지는 강수값이 메타 정보로 포함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 변환 함수는,
    상기 시간 순으로 연결된 강수 이미지들 각각에 포함된 픽셀의 강수값을 이산화(discretization) 하기 위한 로그 함수인,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딥러닝 기반의 강수량 예측 방법으로서,
    강수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의 강수값에 대한 스케일을 변환하는 단계;
    신경망 모델을 사용하여, 스케일 변환 함수를 기초로 강수 이미지들 각각에 포함된 픽셀의 강수값을 조정하고, 조정된 강수값을 기초로, 상기 픽셀에 대한 미래 시점의 강수값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미래 시점의 강수값을 상기 스케일 변환 함수의 출력에 대응되는 클래스에 매칭하는 단계;
    상기 클래스에 매칭된 미래 시점의 강수값을 기초로, 상기 스케일 변환 함수의 입력 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미래 시점의 강수값을 상기 산출된 입력 변수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강수 이미지는 강수값이 메타 정보로 포함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망 모델은,
    시간 순으로 연결(concatenation)된 강수 이미지들을 입력받아 미래 시점의 단일 강수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사전 학습된,
    방법.
  8.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경우, 딥러닝을 기반으로 강수량 예측을 수행하기 위한 이하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동작들은:
    강수 이미지를 시간 순으로 연결(concatenation)하는 동작;
    스케일 변환 함수를 기초로, 상기 시간 순으로 연결된 강수 이미지들 각각에 포함된 픽셀의 강수값을 상기 스케일 변환 함수의 미리 결정된 입력 변수로 근사화(approximation) 하는 동작;
    상기 스케일 변환 함수의 입력 변수로 근사화 된 강수값을 기초로, 상기 스케일 변환 함수의 출력에 대응되는 클래스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시간 순으로 연결된 강수 이미지들 각각에 포함된 픽셀의 강수값을 상기 결정된 클래스로 변경하는 동작; 및
    신경망 모델을 사용하여, 상기 변경된 픽셀의 강수값을 기초로 상기 픽셀에 대한 미래 시점의 강수량을 예측하는 동작;
    을 포함하고,
    상기 강수 이미지는 강수값이 메타 정보로 포함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9. 딥러닝을 기반으로 강수량 예측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코어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및
    강수 이미지를 수신하는 네트워크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강수 이미지를 시간 순으로 연결(concatenation)하고,
    스케일 변환 함수를 기초로, 상기 시간 순으로 연결된 강수 이미지들 각각에 포함된 픽셀의 강수값을 상기 스케일 변환 함수의 미리 결정된 입력 변수로 근사화(approximation) 하고,
    상기 스케일 변환 함수의 입력 변수로 근사화 된 강수값을 기초로, 상기 스케일 변환 함수의 출력에 대응되는 클래스를 결정하고,
    상기 시간 순으로 연결된 강수 이미지들 각각에 포함된 픽셀의 강수값을 상기 결정된 클래스로 변경하고, 그리고
    신경망 모델을 사용하여, 상기 변경된 픽셀의 강수값을 기초로 상기 픽셀에 대한 미래 시점의 강수량을 예측하고,
    상기 강수 이미지는 강수값이 메타 정보로 포함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장치.
KR1020210170689A 2021-12-02 2021-12-02 딥러닝 기반의 강수량 예측 방법 KR102457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689A KR102457893B1 (ko) 2021-12-02 2021-12-02 딥러닝 기반의 강수량 예측 방법
PCT/KR2022/019207 WO2023101417A1 (ko) 2021-12-02 2022-11-30 딥러닝 기반의 강수량 예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689A KR102457893B1 (ko) 2021-12-02 2021-12-02 딥러닝 기반의 강수량 예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893B1 true KR102457893B1 (ko) 2022-10-24

Family

ID=83805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689A KR102457893B1 (ko) 2021-12-02 2021-12-02 딥러닝 기반의 강수량 예측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57893B1 (ko)
WO (1) WO202310141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417A1 (ko) * 2021-12-02 2023-06-08 주식회사 에스아이에이 딥러닝 기반의 강수량 예측 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8674A (ja) * 1997-04-16 1998-10-2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降水パターン変化予測方法および装置
KR20170119260A (ko) * 2016-04-18 2017-10-26 주식회사 월드텍 카메라를 이용한 기상관측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170140662A (ko) * 2016-06-13 2017-12-21 주식회사 바이텍코리아 영상 처리를 이용한 강수 관측 시스템, 및 방법
US20190019008A1 (en) * 2015-09-21 2019-01-17 The Climate Corporation Ponding water detection on satellite imagery
US20200202127A1 (en) * 2018-12-21 2020-06-25 The Climate Corporation In-season field level yield forecasting
KR20200087347A (ko) * 2018-12-31 2020-07-2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Tsn을 이용한 도로 감시 카메라 영상의 강우량 인식방법 및 장치
WO2021080107A1 (ko) * 2019-10-22 2021-04-29 (주)한국해양기상기술 고해상도 기상기후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학습 방법 및 테스트 방법, 이를 이용한 테스트 방법 및 테스트 장치
KR102308751B1 (ko) * 2021-02-19 2021-10-05 주식회사 에스아이에이 딥러닝 기반의 강수량 예측 방법
WO2021204913A1 (en) * 2020-04-08 2021-10-14 Basf Se Method for estimating precipitation distribution for a geographical reg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893B1 (ko) * 2021-12-02 2022-10-24 주식회사 에스아이에이 딥러닝 기반의 강수량 예측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8674A (ja) * 1997-04-16 1998-10-2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降水パターン変化予測方法および装置
US20190019008A1 (en) * 2015-09-21 2019-01-17 The Climate Corporation Ponding water detection on satellite imagery
KR20170119260A (ko) * 2016-04-18 2017-10-26 주식회사 월드텍 카메라를 이용한 기상관측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170140662A (ko) * 2016-06-13 2017-12-21 주식회사 바이텍코리아 영상 처리를 이용한 강수 관측 시스템, 및 방법
US20200202127A1 (en) * 2018-12-21 2020-06-25 The Climate Corporation In-season field level yield forecasting
KR20200087347A (ko) * 2018-12-31 2020-07-2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Tsn을 이용한 도로 감시 카메라 영상의 강우량 인식방법 및 장치
WO2021080107A1 (ko) * 2019-10-22 2021-04-29 (주)한국해양기상기술 고해상도 기상기후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학습 방법 및 테스트 방법, 이를 이용한 테스트 방법 및 테스트 장치
WO2021204913A1 (en) * 2020-04-08 2021-10-14 Basf Se Method for estimating precipitation distribution for a geographical region
KR102308751B1 (ko) * 2021-02-19 2021-10-05 주식회사 에스아이에이 딥러닝 기반의 강수량 예측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i Zhun 외 2명. TSN을 이용한 도로 감시 카메라 영상의 강우량 인식 방법. 한국대기환경학회지. 한국대기환경학회. 2018. 10. 발행, Vol.34, No. 5, pp. 735-747 1부.*
LI, ZHUN; HYEON, JONGHWAN; CHOI, HO-JIN: "Rainfall Recognition from Road Surveillance Videos Using TS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ol. 34, no. 5, 1 October 2018 (2018-10-01), pages 735 - 747, XP009546786, ISSN: 1598-7132, DOI: 10.5572/KOSAE.2018.34.5.735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417A1 (ko) * 2021-12-02 2023-06-08 주식회사 에스아이에이 딥러닝 기반의 강수량 예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1417A1 (ko)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5805B1 (ko) 학습 데이터 관리 방법
KR102313626B1 (ko) 신경망을 학습시키는 방법
KR102362679B1 (ko) 심전도 신호 기반의 만성질환 예측 방법
US20210264209A1 (en) Method for generating anomalous data
KR102285530B1 (ko) 영상 정합을 위한 이미지 처리 방법
KR102362678B1 (ko) 생체신호 분석 방법
KR102337412B1 (ko) 딥러닝 기반 초해상도 이미징 방법
KR20220099409A (ko) 딥러닝 모델을 사용한 분류 방법
KR20220129995A (ko) 딥러닝 기반 초해상도 이미징 방법
US116695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object
KR102345892B1 (ko) 변화 탐지 방법 및 장치
KR102358472B1 (ko) 딥러닝 기반 위성영상의 촬영 스케줄링 방법
KR102438189B1 (ko) 비정상 데이터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2457893B1 (ko) 딥러닝 기반의 강수량 예측 방법
KR102357531B1 (ko) 딥러닝 기반의 강수 유형 분류 방법
KR20210138893A (ko) 아이템 추천 방법
KR102437285B1 (ko) 모호한 라벨을 이용한 객체 예측 모델 학습 방법
KR102437396B1 (ko) 모델 학습 방법
KR102292703B1 (ko) 피처 셋 정보에 기초한 전이 학습 방법
KR102452378B1 (ko) 도메인 특화된 언어 규칙 생성이 가능한 텍스트 데이터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2364881B1 (ko) 전문가 모사 모델 학습 방법 및 그 학습을 위한 장치
KR20220057268A (ko) 신경망을 이용한 특허 문서 분류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79636B1 (ko) 딥러닝 기반의 어노테이션 방법
KR102285240B1 (ko) 모델 학습 방법
KR102440629B1 (ko) 반도체 설계를 위한 신경망 모델 학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