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466B1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466B1
KR102457466B1 KR1020150016349A KR20150016349A KR102457466B1 KR 102457466 B1 KR102457466 B1 KR 102457466B1 KR 1020150016349 A KR1020150016349 A KR 1020150016349A KR 20150016349 A KR20150016349 A KR 20150016349A KR 102457466 B1 KR102457466 B1 KR 102457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pixel
transistor
channel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5306A (ko
Inventor
최정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6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466B1/ko
Priority to US14/957,451 priority patent/US10019946B2/en
Publication of KR20160095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3211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5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
    • H01L27/3248
    • H01L27/3262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1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used for counteracting undesired variations, e.g. feedback or autozero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16Interleaved control phases for different scan lines in the same sub-field, e.g. initialization, addressing and sustaining in plasma displays that are not simultaneous for all scan li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2The addressing of the pixel, in a display other than an active matrix LCD, involving the control of two or more scan electrodes or two or more data electrodes, e.g. pixel voltage dependent on signals of two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5Compensation of drifts in the characteristics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스캔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개의 스캔선, 상기 스캔선과 교차하며 데이터 전압 및 구동 전압을 각각 전달하는 복수개의 데이터선 및 복수개의 구동 전압선, 상기 복수개의 스캔선 및 상기 복수개의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화소, 제2 화소 및 제3 화소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화소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화소는 상기 스캔선 및 상기 데이터선과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 트랜지스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제2 화소 및 제3 화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는 나머지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와 다를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두 개의 전극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하나의 전극인 캐소드(cathode)로부터 주입된 전자(electron)와 다른 전극인 애노드(anode)로부터 주입된 정공(hole)이 유기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여기자가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발광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캐소드, 애노드 및 유기 발광층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D)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화소를 포함하며, 각 화소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하기 위한 복수개의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Capacitor)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개의 트랜지스터는 기본적으로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구동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구동 트랜지스터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흐르는 구동 전류를 제어하며, 복수개의 화소에 형성되는 구동 트랜지스터는 모두 동일한 크기를 가지므로 동일한 구동 범위(driving range)를 가진다.
그러나, 복수개의 화소에 사용되는 유기 발광층의 종류에 따라 발광 효율이 달라 각화소에 흐르는 전류에 따른 휘도인 전류-휘도비가 서로 다르게 된다. 즉, 청색 화소에 비해 적색 화소 및 녹색 화소는 전류-휘도비가 커서 동일 전류에 따른 휘도가 밝게 나타난다. 즉, 청색 화소에 비해 적색 화소 및 녹색 화소는 전류에 따른 휘도가 민감하다.
이 때, 제조 공정 상의 산포로 인해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에 편차가 발생하기 쉽고, 이 경우 전류에 따른 휘도가 민감한 적색 화소 또는 녹색 화소는 색편차가 발생하기 쉽고, 특히 저계조에서 색편차가 심하게 시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계조에서 심화되는 색편차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스캔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개의 스캔선, 상기 스캔선과 교차하며 데이터 전압 및 구동 전압을 각각 전달하는 복수개의 데이터선 및 복수개의 구동 전압선, 상기 복수개의 스캔선 및 상기 복수개의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화소, 제2 화소 및 제3 화소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화소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화소는 상기 스캔선 및 상기 데이터선과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 트랜지스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제2 화소 및 제3 화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는 나머지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와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 화소, 제2 화소 및 제3 화소의 각각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는 최대 계조에 대응하는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최대 구동 게이트-소스 전압과 최소 계조에 대응하는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최소 구동 게이트-소스 전압간의 차이이고, 상기 화소의 전류에 따른 휘도는 전류-휘도비라고 할 때, 상기 제1 화소, 제2 화소 및 제3 화소 중에서 상기 전류-휘도비가 큰 화소일수록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는 커질 수 있다.
상기 제1 화소, 제2 화소 및 제3 화소는 각각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이고, 상기 녹색 화소의 전류-휘도비는 상기 적색 화소의 전류-휘도비보다 크고, 상기 적색 화소의 전류-휘도비는 상기 청색 화소의 전류-휘도비보다 크며, 상기 녹색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는 상기 적색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보다 크고, 상기 적색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는 상기 청색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는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구동 채널, 상기 구동 채널과 중첩하고 있는 구동 게이트 전극, 상기 구동 채널의 양 옆에 위치하고 있는 구동 소스 전극 및 구동 드레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녹색 화소의 구동 채널의 폭은 상기 적색 화소의 구동 채널의 폭보다 작고, 상기 적색 화소의 구동 채널의 폭은 상기 청색 화소의 구동 채널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녹색 화소의 구동 채널의 길이는 상기 적색 화소의 구동 채널의 길이보다 크고, 상기 적색 화소의 구동 채널의 길이는 상기 청색 화소의 구동 채널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구동 채널과 상기 구동 게이트 전극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게이트 절연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녹색 화소의 제1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는 상기 적색 화소의 제1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적색 화소의 제1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는 상기 청색 화소의 제1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녹색 화소의 구동 채널의 채널 도핑도는 상기 적색 화소의 구동 채널의 채널 도핑도보다 낮고, 상기 적색 화소의 구동 채널의 채널 도핑도는 상기 청색 화소의 구동 채널의 채널 도핑도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제1 화소, 제2 화소 및 제3 화소 중 어느 두 개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는 서로 동일하고, 나머지 하나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와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 화소, 제2 화소 및 제3 화소 중 어느 하나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는 나머지 두 개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와 다를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는 나머지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와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저계조에서 심화되는 색편차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즉,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 중에서 전류-휘도비가 큰 화소일수록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를 크게 형성함으로써, 전류에 따른 휘도가 민감한 화소에서 색편차를 최소화하여 저계조에서 심화되는 색편차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복수개의 신호선에 연결된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하나의 화소에 인가되는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복수개의 화소의 개략적인 배치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를 이루는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의 개략적인 배치도이다.
도 5는 도 4의 하나의 화소의 구체적인 배치도이다.
도 6은 도 5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VI-V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VII-VII선 및 VII'-V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VIII-VIII선, VIII'-VIII'선 및 VIII"-V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의 전류 밀도에 따른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를 이루는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의 배치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를 이루는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의 배치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XII-XII선, XII'-XII'선 및 XII"-X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단면도로서, 도 1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XII-XII선, XII'-XII'선 및 XII"-XII"선에 대응하는 위치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를 이루는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의 배치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발명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 상에" 또는 "~ 위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서는, 하나의 화소에 7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와 1개의 커패시터(capacitor)를 구비하는 7 트랜지스터 1 커패시터 구조의 능동 구동(active matrix, AM)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하나의 화소에 복수개의 트랜지스터와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배선이 더 형성되거나 기존의 배선이 생략되어 다양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화소는 화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를 말하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을 통해 화상을 표시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복수개의 신호선에 연결된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개의 신호선(151, 152, 153, 158, 171, 172, 192), 복수개의 신호선에 연결되어 있으며 대략 행렬(matrix)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개의 화소(PX)를 포함한다.
하나의 화소(PX)는 복수개의 신호선(151, 152, 153, 158, 171, 172, 192)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트랜지스터(T1, T2, T3, T4, T5, T6, T7), 스토리지 커패시터(storage capacitor, Cst)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D)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T1, T2, T3, T4, T5, T6, T7)는 구동 트랜지스터(driving transistor)(T1), 스위칭 트랜지스터(switching transistor)(T2), 보상 트랜지스터(compensation transistor)(T3), 초기화 트랜지스터(initialization transistor)(T4),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operation control transistor)(T5),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light emission control transistor)(T6) 및 바이패스 트랜지스터(bypass transistor)(T7)를 포함한다.
신호선(151, 152, 153, 158, 171, 172, 192)은 스캔 신호(Sn)를 전달하는 스캔선(151), 초기화 트랜지스터(T4)에 전단 스캔 신호(Sn-1)를 전달하는 전단 스캔선(152),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 및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에 발광 제어 신호(EM)를 전달하는 발광 제어선(153), 바이패스 트랜지스터(T7)에 바이패스 신호(BP)를 전달하는 바이패스 제어선(158), 스캔선(151)과 교차하며 데이터 신호(Dm)를 전달하는 데이터선(171), 구동 전압(ELVDD)을 전달하며 데이터선(171)과 거의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구동 전압선(172), 구동 트랜지스터(T1)를 초기화하는 초기화 전압(Vint)을 전달하는 초기화 전압선(192)을 포함한다.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1)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일단(Cst1)과 연결되어 있고,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S1)은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를 경유하여 구동 전압선(172)과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전극(D1)은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를 경유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OLD)의 애노드(anode)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T1)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데이터 신호(Dm)를 전달받아 유기 발광 다이오드(OLD)에 구동 전류(Id)를 공급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극(G2)은 스캔선(151)과 연결되어 있고, 스위칭 트랜지스터(T2)의 소스 전극(S2)은 데이터선(171)과 연결되어 있으며, 스위칭 트랜지스터(T2)의 드레인 전극(D2)은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S1)과 연결되어 있으면서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을 경유하여 구동 전압선(172)과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스위칭 트랜지스터(T2)는 스캔선(151)을 통해 전달받은 스캔 신호(Sn)에 따라 턴 온되어 데이터선(171)으로 전달된 데이터 신호(Dm)을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S1)으로 전달하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보상 트랜지스터(T3)의 게이트 전극(G3)은 스캔선(151)에 연결되어 있고, 보상 트랜지스터(T3)의 소스 전극(S3)은 구동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전극(D1)과 연결되어 있으면서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를 경유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OLD)의 애노드(anode)와 연결되어 있으며, 보상 트랜지스터(T3)의 드레인 전극(D3)은 초기화 트랜지스터(T4)의 드레인 전극(D4),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일단(Cst1) 및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1)에 함께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보상 트랜지스터(T3)는 스캔선(151)을 통해 전달받은 스캔 신호(Sn)에 따라 턴 온되어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1)과 드레인 전극(D1)을 서로 연결하여 구동 트랜지스터(T1)를 다이오드 연결시킨다.
초기화 트랜지스터(T4)의 게이트 전극(G4)은 전단 스캔선(152)과 연결되어 있고, 초기화 트랜지스터(T4)의 소스 전극(S4)은 초기화 전압선(192)과 연결되어 있으며, 초기화 트랜지스터(T4)의 드레인 전극(D4)은 보상 트랜지스터(T3)의 드레인 전극(D3)을 거쳐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일단(Cst1) 및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1)에 함께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초기화 트랜지스터(T4)는 전단 스캔선(152)을 통해 전달받은 전단 스캔 신호(Sn-1)에 따라 턴 온되어 초기화 전압(Vint)을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1)에 전달하여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1)의 게이트 전압(Vg)을 초기화시키는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다.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의 게이트 전극(G5)은 발광 제어선(153)과 연결되어 있으며,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의 소스 전극(S5)은 구동 전압선(172)와 연결되어 있고,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의 드레인 전극(D5)은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S1) 및 스위칭 트랜지스터(T2)의 드레인 전극(D2)에 연결되어 있다.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의 게이트 전극(G6)은 발광 제어선(153)과 연결되어 있으며,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의 소스 전극(S6)은 구동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전극(D1) 및 보상 트랜지스터(T3)의 소스 전극(S3)과 연결되어 있고,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의 드레인 전극(D6)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D)의 애노드(anode)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 및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는 발광 제어선(153)을 통해 전달받은 발광 제어 신호(EM)에 따라 동시에 턴 온되고 이를 통해 구동 전압(ELVDD)이 다이오드 연결된 구동 트랜지스터(T1)를 통해 보상되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D)에 전달된다.
바이패스 트랜지스터(T7)의 게이트 전극(G7)은 바이패스 제어선(158)과 연결되어 있고, 바이패스 트랜지스터(T7)의 소스 전극(S7)은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의 드레인 전극(D6)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D)의 애노드에 함께 연결되어 있고, 바이패스 트랜지스터(T7)의 드레인 전극(D7)은 초기화 전압선(192) 및 초기화 트랜지스터(T4)의 소스 전극(S4)에 함께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바이패스 제어선(158)은 전단 스캔선(15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바이패스 신호(BP)는 전단 스캔 신호(Sn-1)와 동일하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타단(Cst2)은 구동 전압선(172)과 연결되어 있으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D)의 캐소드(cathode)는 공통 전압(ELVSS)을 전달하는 공통 전압선(741)과 연결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바이패스 트랜지스터(T7)를 포함하는 7 트랜지스터 1 커패시터 구조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트랜지스터의 수와 커패시터의 수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하나의 화소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을 도 2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하나의 화소에 인가되는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초기화 기간 동안 전단 스캔선(152)을 통해 로우 레벨(low level)의 전단 스캔 신호(Sn-1)가 공급된다. 그러면, 로우 레벨의 전단 스캔 신호(Sn-1)에 대응하여 초기화 트랜지스터(T4)가 턴 온(Turn on)되며, 초기화 전압선(192)으로부터 초기화 트랜지스터(T4)를 통해 초기화 전압(Vint)이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1)에 연결되고, 초기화 전압(Vint)에 의해 구동 트랜지스터(T1)가 초기화된다.
이 후, 데이터 프로그래밍 기간 중 스캔선(151)을 통해 로우 레벨의 스캔 신호(Sn)가 공급된다. 그러면, 로우 레벨의 스캔 신호(Sn)에 대응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T2) 및 보상 트랜지스터(T3)가 턴 온된다. 이 때,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온된 보상 트랜지스터(T3)에 의해 다이오드 연결되고, 순방향으로 바이어스 된다.
그러면, 데이터선(171)으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신호(Dm)에서 구동 트랜지스터(T1)의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 Vth)만큼 감소한 보상 전압(Dm+Vth, Vth는 (-)의 값)이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1)에 인가된다. 즉,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1)에 인가된 게이트 전압(Vg)은 보상 전압(Dm+Vth)이 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양단에는 구동 전압(ELVDD)과 보상 전압(Dm+Vth)이 인가되고,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는 양단 전압 차에 대응하는 전하가 저장된다.
이 후, 발광 기간 동안 발광 제어선(153)으로부터 공급되는 발광 제어 신호(EM)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변경된다. 그러면, 발광 기간 동안 로우 레벨의 발광 제어 신호(EM)에 의해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 및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가 턴 온된다.
그러면,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1)의 게이트 전압(Vg)과 구동 전압(ELVDD) 간의 전압차에 따르는 구동 전류(Id)가 발생하고,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를 통해 구동 전류(Id)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D)에 공급된다. 발광 기간동안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의해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구동 게이트-소스 전압(Vgs)은 '(Dm+Vth)-ELVDD'으로 유지되고,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전류-전압 관계에 따르면, 구동 전류(Id)는 구동 게이트-소스 전압에서 문턱 전압을 차감한 값의 제곱 '(Dm-ELVDD)2'에 비례한다. 따라서 구동 전류(Id)는 구동 트랜지스터(T1)의 문턱 전압(Vth)에 관계 없이 결정된다.
이 때, 바이패스 트랜지스터(T7)는 바이패스 제어선(158)으로부터 바이패스 신호(BP)를 전달받는다. 바이패스 신호(BP)는 바이패스 트랜지스터(T7)를 항상 오프시킬 수 있는 소정 레벨의 전압으로서, 바이패스 트랜지스터(T7)는 트랜지스터 오프 레벨의 전압을 게이트 전극(G7)에 전달받게 됨으로써, 바이패스 트랜지스터(T7)가 항상 오프되고, 오프된 상태에서 구동 전류(Id)의 일부는 바이패스 전류(Ibp)로 바이패스 트랜지스터(T7)를 통해 빠져나가게 한다.
블랙 영상을 표시하는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최소 전류가 구동 전류로 흐를 경우에도 유기 발광 다이오드(OLD)가 발광하게 된다면 제대로 블랙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바이패스 트랜지스터(T7)는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최소 전류의 일부를 바이패스 전류(Ibp)로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쪽의 전류 경로 외의 다른 전류 경로로 분산시킬 수 있다. 여기서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최소 전류란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구동 게이트-소스 전압(Vgs)이 문턱 전압(Vth)보다 작아서 구동 트랜지스터(T1)가 오프되는 조건에서의 전류를 의미한다. 이렇게 구동 트랜지스터(T1)를 오프시키는 조건에서의 최소 구동 전류(예를 들어 10pA 이하의 전류)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D)에 전달되어 블랙 휘도의 영상으로 표현된다. 블랙 영상을 표시하는 최소 구동 전류가 흐르는 경우 바이패스 전류(Ibp)의 우회 전달의 영향이 큰 반면, 일반 영상 또는 화이트 영상과 같은 영상을 표시하는 큰 구동 전류가 흐를 경우에는 바이패스 전류(Ibp)의 영향이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블랙 영상을 표시하는 구동 전류가 흐를 경우에 구동 전류(Id)로부터 바이패스 트랜지스터(T7)를 통해 빠져나온 바이패스 전류(Ibp)의 전류량만큼 감소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D)의 발광 전류(Iold)는 블랙 영상을 확실하게 표현할 수 있는 수준으로 최소의 전류량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바이패스 트랜지스터(T7)를 이용하여 정확한 블랙 휘도 영상을 구현하여 콘트라스트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에서는 바이패스 신호(BP)는 전단 스캔 신호(Sn-1)와 동일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를 복수개 배치한 구조에 대해 도 3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복수개의 화소의 개략적인 배치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행(1N)에는 제2 화소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녹색 화소(G)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고, 인접한 제2 행(2N)에는 제1 화소에 대응하는 적색 화소(R)와 제3 화소에 대응하는 청색 화소(B)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으며, 인접한 제3 행(3N)에는 복수개의 녹색 화소(G)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고, 인접한 제4 행(4N)에는 청색 화소(B)와 적색 화소(R)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화소의 배치가 제N 행까지 반복되어 있다. 이 때, 청색 화소(B) 및 적색 화소(R)는 녹색 화소(G)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제1 행(1N)에 배치된 복수개의 녹색 화소(G)와 제2 행(2N)에 배치된 복수개의 적색 화소(R) 및 청색 화소(B)는 서로 엇갈려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열(1M)에는 적색 화소(R) 및 청색 화소(B)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으며, 인접한 제2 열(2M)에는 복수개의 녹색 화소(G)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고, 인접한 제3 열(3M)에는 청색 화소(B) 및 적색 화소(R)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으며, 인접한 제4 열(4M)에는 복수개의 녹색 화소(G)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화소의 배치가 제M 열까지 반복되어 있다.
이러한 화소 배치 구조를 펜타일 매트릭스(PenTile Matrix)라고 하며, 인접한 화소를 공유하여 색상을 표현하는 렌더링(Rendering) 구동을 적용함으로써, 작은 수의 화소로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에 도시한 화소 배치 구조가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도 4, 도 5, 도 6, 도 7 및 도 8 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를 이루는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를 개략적인 배치도이고, 도 5는 도 4의 하나의 화소의 구체적인 배치도이며, 도 6은 도 5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VI-V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VII-VII선 및 VII'-V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4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VIII-VIII선, VIII'-VIII'선 및 VIII"-V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평면상 구조에 대해 우선 상세히 설명하고, 도 6,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구체적인 단면상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스캔 신호(Sn), 전단 스캔 신호(Sn-1), 발광 제어 신호(EM) 및 바이패스 신호(BP)를 각각 인가하며 행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스캔선(151), 전단 스캔선(152), 발광 제어선(153) 및 바이패스 제어선(158)을 포함한다. 그리고, 스캔선(151), 전단 스캔선(152), 발광 제어선(153) 및 바이패스 제어선(158)과 교차하고 있으며 화소(PX)에 데이터 신호(Dm) 및 구동 전압(ELVDD)을 각각 인가하는 데이터선(171) 및 구동 전압선(172)을 포함한다. 초기화 전압(Vint)은 초기화 전압선(192)에서 초기화 트랜지스터(T4)를 경유하여 보상 트랜지스터(T3)로 전달된다. 초기화 전압선(192)은 직선부와 사선부를 교대로 가지며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화소(PX)에는 구동 트랜지스터(T1), 스위칭 트랜지스터(T2), 보상 트랜지스터(T3), 초기화 트랜지스터(T4),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 바이패스 트랜지스터(T7),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그리고 유기 발광 다이오드(OLD)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화소(PX)는 펜타일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적색 화소(R), 녹색 화소(G) 및 청색 화소(B)에 해당할 수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D)는 화소 전극(191), 유기 발광층(370) 및 공통 전극(270)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보상 트랜지스터(T3)와 초기화 트랜지스터(T4)는 누설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듀얼 게이트(dual gate) 구조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T1), 스위칭 트랜지스터(T2), 보상 트랜지스터(T3), 초기화 트랜지스터(T4),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 및 바이패스 트랜지스터(T7)의 각각의 채널(channel)은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반도체(13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반도체(13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굴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반도체(130)는 다결정 규소 또는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산화물 반도체는 티타늄(Ti), 하프늄(Hf), 지르코늄(Zr), 알루미늄(Al), 탄탈륨(Ta), 게르마늄(Ge), 아연(Zn), 갈륨(Ga), 주석(Sn) 또는 인듐(In)을 기본으로 하는 산화물, 이들의 복합 산화물인 인듐―갈륨―아연 산화물(InGaZnO4), 인듐―아연 산화물(Zn―In―O), 아연―주석 산화물(Zn―Sn―O) 인듐―갈륨 산화물 (In―Ga―O), 인듐―주석 산화물(In―Sn―O), 인듐―지르코늄 산화물(In―Zr―O), 인듐―지르코늄―아연 산화물(In―Zr―Zn―O), 인듐―지르코늄―주석 산화물(In―Zr―Sn―O), 인듐―지르코늄―갈륨 산화물(In―Zr―Ga―O), 인듐―알루미늄 산화물(In―Al―O), 인듐―아연―알루미늄 산화물(In―Zn―Al―O), 인듐―주석―알루미늄 산화물(In―Sn―Al―O), 인듐―알루미늄―갈륨 산화물(In―Al―Ga―O), 인듐―탄탈륨 산화물(In―Ta―O), 인듐―탄탈륨―아연 산화물(In―Ta―Zn―O), 인듐―탄탈륨―주석 산화물(In―Ta―Sn―O), 인듐―탄탈륨―갈륨 산화물(In―Ta―Ga―O), 인듐―게르마늄 산화물(In―Ge―O), 인듐―게르마늄―아연 산화물(In―Ge―Zn―O), 인듐―게르마늄―주석 산화물(In―Ge―Sn―O), 인듐―게르마늄―갈륨 산화물(In―Ge―Ga―O), 티타늄―인듐―아연 산화물(Ti―In―Zn―O), 하프늄―인듐―아연 산화물(Hf―In―Zn―O)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130)가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고온 등의 외부 환경에 취약한 산화물 반도체 물질를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보호층이 추가될 수 있다.
반도체(130)는 N형 불순물 또는 P형 불순물로 채널 도핑이 되어 있는 채널 (channel)과, 채널의 양 옆에 형성되어 있으며 채널에 도핑된 도핑 불순물보다 도핑 농도가 높은 소스 도핑 영역 및 드레인 도핑 영역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소스 도핑 영역 및 드레인 도핑 영역은 각각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에 해당한다. 반도체(130)에 형성되어 있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은 해당 영역만 도핑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130)에서 서로 다른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의 사이 영역도 도핑되어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채널(131)은 구동 트랜지스터(T1)에 형성되는 구동 채널(131a), 스위칭 트랜지스터(T2)에 형성되는 스위칭 채널(131b), 보상 트랜지스터(T3)에 형성되는 보상 채널(131c), 초기화 트랜지스터(T4)에 형성되는 초기화 채널(131d),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에 형성되는 동작 제어 채널(131e),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에 형성되는 발광 제어 채널(131f) 및 바이패스 트랜지스터(T7)에 형성되는 바이패스 채널(131g)을 포함한다.
구동 트랜지스터(T1)는 구동 채널(131a), 구동 게이트 전극(155a), 구동 소스 전극(136a) 및 구동 드레인 전극(137a)을 포함한다. 구동 채널(131a)은 굴곡되어 있으며, 사행 형상 또는 지그재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굴곡된 형상의 구동 채널(131a)을 형성함으로써, 좁은 공간 내에 길게 구동 채널(131a)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길게 형성된 구동 채널(131a)에 의해 구동 게이트 전극(155a)과 구동 소스 전극(136a) 간의 구동 게이트-소스 전압(Vgs)의 구동 범위(driving range)는 넓어지게 된다.
구동 게이트-소스 전압(Vgs)의 구동 범위(driving range)는 최대 계조에 대응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최대 구동 게이트-소스 전압과 최소 계조에 대응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최소 구동 게이트-소스 전압간의 차이 또는 계조 표현을 위한 단계별 구동 게이트-소스 전압(Vgs)간의 차이를 의미하며, 구동 게이트-소스 전압(Vgs)의 구동 범위가 넓으므로 구동 게이트-소스 전압(Vgs)의 크기를 변화시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D)에서 방출되는 빛의 계조를 보다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해상도를 높이고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동 채널(131a)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역S', 'S', 'M', 'W' 등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구동 게이트 전극(155a)은 구동 채널(131a)과 중첩하고 있으며, 구동 소스 전극(136a) 및 구동 드레인 전극(137a)은 구동 채널(131a)의 양 옆에 인접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다. 구동 게이트 전극(155a)은 접촉 구멍(61)을 통해 제1 데이터 연결 부재(174)와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2)는 스위칭 채널(131b), 스위칭 게이트 전극(155b), 스위칭 소스 전극(136b) 및 스위칭 드레인 전극(137b)을 포함한다. 스캔선(151)에서 아래쪽으로 확장된 일부인 스위칭 게이트 전극(155b)은 스위칭 채널(131b)과 중첩하고 있으며, 스위칭 소스 전극(136b) 및 스위칭 드레인 전극(137b)은 스위칭 채널(131b)의 양 옆에 인접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다. 스위칭 소스 전극(136b)은 접촉 구멍(62)을 통해 데이터선(171)과 연결되어 있다.
보상 트랜지스터(T3)는 보상 채널(131c), 보상 게이트 전극(155c), 보상 소스 전극(136c) 및 보상 드레인 전극(137c)을 포함한다. 스캔선(151)의 일부인 보상 게이트 전극(155c)은 누설 전류 방지를 위해 2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보상 채널(131c)과 중첩하고 있다. 보상 소스 전극(136c) 및 보상 드레인 전극(137c)은 보상 채널(131c)의 양 옆에 인접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보상 드레인 전극(137c)은 접촉 구멍(63)을 통해 제1 데이터 연결 부재(174)와 연결되어 있다.
초기화 트랜지스터(T4)는 초기화 채널(131d), 초기화 게이트 전극(155d), 초기화 소스 전극(136d) 및 초기화 드레인 전극(137d)을 포함한다. 전단 스캔선(152)의 일부인 초기화 게이트 전극(155d)은 누설 전류 방지를 위해 2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초기화 채널(131d)과 중첩하고 있다. 초기화 소스 전극(136d) 및 초기화 드레인 전극(137d)은 초기화 채널(131d)의 양 옆에 인접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다. 초기화 소스 전극(136d)은 접촉 구멍(64)을 통해 제2 데이터 연결 부재(175)와 연결되어 있다.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는 동작 제어 채널(131e), 동작 제어 게이트 전극(155e), 동작 제어 소스 전극(136e) 및 동작 제어 드레인 전극(137e)을 포함한다. 발광 제어선(153)의 일부인 동작 제어 게이트 전극(155e)은 동작 제어 채널(131e)과 중첩하고 있으며, 동작 제어 소스 전극(136e) 및 동작 제어 드레인 전극(137e)은 동작 제어 채널(131e)의 양 옆에 인접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동작 제어 소스 전극(136e)은 접촉 구멍(65)을 통해 구동 전압선(172)에서 확장된 일부와 연결되어 있다.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는 발광 제어 채널(131f), 발광 제어 게이트 전극(155f), 발광 제어 소스 전극(136f) 및 발광 제어 드레인 전극(137f)을 포함한다. 발광 제어선(153)의 일부인 발광 제어 게이트 전극(155f)은 발광 제어 채널(131f)과 중첩하고 있으며, 발광 제어 소스 전극(136f) 및 발광 제어 드레인 전극(137f)은 발광 제어 채널(131f)의 양 옆에 인접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발광 제어 드레인 전극(137f)은 접촉 구멍(66)을 통해 제3 데이터 연결 부재(179)와 연결되어 있다.
바이패스 트랜지스터(T7)는 바이패스 채널(131g), 바이패스 게이트 전극(155g), 바이패스 소스 전극(136g) 및 바이패스 드레인 전극(137g)을 포함한다. 바이패스 제어선(158)의 일부인 바이패스 게이트 전극(155g)은 바이패스 채널(131g)과 중첩하고 있으며, 바이패스 소스 전극(136g) 및 바이패스 드레인 전극(137g)은 바이패스 채널(131g)의 양 옆에 인접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바이패스 소스 전극(136g)은 발광 제어 드레인 전극(137f)과 직접 연결되어 있고, 바이패스 드레인 전극(137g)은 초기화 소스 전극(136d)과 직접 연결되어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구동 채널(131a)의 일단은 스위칭 드레인 전극(137b) 및 동작 제어 드레인 전극(137e)과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 채널(131a)의 타단은 보상 소스 전극(136c) 및 발광 제어 소스 전극(136f)과 연결되어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제2 게이트 절연막(142)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1 스토리지 전극(155a)과 제2 스토리지 전극(156)을 포함한다. 제1 스토리지 전극(155a)은 구동 게이트 전극(155a)에 해당하고, 제2 스토리지 전극(156)은 스토리지선(157)에서 확장된 부분으로서, 구동 게이트 전극(155a)보다 넓은 면적을 차지하며 구동 게이트 전극(155a)을 전부 덮고 있다.
여기서, 제2 게이트 절연막(142)은 유전체가 되며,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서 축전된 전하와 양 축전판(155a, 156) 사이의 전압에 의해 스토리지 커패시턴스(Storage Capacitance)가 결정된다. 이와 같이, 구동 게이트 전극(155a)을 제1 스토리지 전극(155a)으로 사용함으로써, 화소 내에서 큰 면적을 차지하는 구동 채널(131a)에 의해 좁아진 공간에서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구동 게이트 전극(155a)인 제1 스토리지 전극(155a)은 접촉 구멍(61) 및 스토리지 개구부(51)를 통하여 제1 데이터 연결 부재(174)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다. 스토리지 개구부(51)는 제2 스토리지 전극(156)에 형성된 개구부이다. 따라서, 스토리지 개구부(156) 내부에 제1 데이터 연결 부재(174)의 일단과 구동 게이트 전극(155a)을 연결하는 접촉 구멍(6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데이터 연결 부재(174)는 데이터선(171)과 거의 평행하게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데이터 연결 부재(174)의 타단은 접촉 구멍(63)을 통해 보상 트랜지스터(T3)의 보상 드레인 전극(137c) 및 초기화 트랜지스터(T4)의 초기화 드레인 전극(137d)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데이터 연결 부재(174)는 구동 게이트 전극(155a)과 보상 트랜지스터(T3)의 보상 드레인 전극(137c) 및 초기화 트랜지스터(T4)의 초기화 드레인 전극(137d)을 서로 연결하고 있다.
제2 스토리지 전극(156)은 접촉 구멍(69)을 통해 구동 전압선(172)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구동 전압선(172)을 통해 제2 스토리지 전극(156)에 전달된 구동 전압(ELVDD)과 구동 게이트 전극(155a)의 구동 게이트 전압(Vg)간의 차에 대응하는 스토리지 커패시턴스를 저장한다.
제3 데이터 연결 부재(179)는 접촉 구멍(81)을 통해 화소 전극(191)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2 데이터 연결 부재(175)는 접촉 구멍(82)을 통해 초기화 전압선(192)과 연결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의 전류 밀도에 따른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류에 따른 휘도인 전류-휘도비는 녹색 화소(G)가 가장 크고, 그 다음으로 적색 화소(R)가 크며, 청색 화소(B)가 가장 낮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색 화소(R)의 구동 채널(131aR)의 폭(WR)은 녹색 화소(G)의 구동 채널(131aG)의 폭(WG)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청색 화소(B)의 구동 채널(131aB)의 폭(WB)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녹색 화소(G)의 구동 트랜지스터(T1G)의 구동 범위는 적색 화소(R)의 구동 트랜지스터(T1R)의 구동 범위보다 크고, 적색 화소(R)의 구동 트랜지스터(T1R)의 구동 범위는 청색 화소(B)의 구동 트랜지스터(T1B)의 구동 범위보다 크게 된다. 예컨대, 녹색 화소(G)의 구동 트랜지스터(T1G)의 구동 범위는 3V, 적색 화소(R)의 구동 트랜지스터(T1R)의 구동 범위는 2.4V, 청색 화소(B)의 구동 트랜지스터(T1B)의 구동 범위는 2V로 조절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구동 범위를 크게 할수록 전류에 따른 휘도가 둔감해지므로, 전류에 따른 휘도가 민감한 화소에서 색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전류-휘도비가 가장 큰 녹색 화소(G)의 구동 트랜지스터(T1G)의 구동 범위를 전류-휘도비가 중간인 적색 화소(R)의 구동 트랜지스터(T1R)의 구동 범위보다 크게 형성하고, 전류-휘도비가 가장 작은 청색 화소(B)의 구동 트랜지스터(T1B)의 구동 범위는 적색 화소(R)의 구동 트랜지스터(T1R)의 구동 범위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전류에 따른 휘도가 가장 민감한 화소에서 전류에 따른 휘도를 둔감하게 하고, 전류에 따른 휘도가 가장 둔감한 화소에서 전류에 따른 휘도를 민감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화소간의 색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저계조에서 심화되는 색편차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도 5, 도 6,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상 구조에 대해 적층 순서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때,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는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의 적층 구조와 대부분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판(110) 위에는 버퍼층(120)이 형성되어 있다. 기판(110)은 유리, 석영, 세라믹,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성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고, 버퍼층(120)은 다결정 규소를 형성하기 위한 결정화 공정 시 기판(110)으로부터 불순물을 차단하여 다결정 규소의 특성을 향상시키고, 기판(110)이 받는 스트레스를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버퍼층(120) 위에는 구동 채널(131a), 스위칭 채널(131b), 보상 채널(131c), 초기화 채널(131d), 동작 제어 채널(131e), 발광 제어 채널(131f) 및 바이패스 채널(131g)을 포함하는 채널(131)을 포함하는 반도체(130)가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130) 중 구동 채널(131a)의 양 옆에는 구동 소스 전극(136a) 및 구동 드레인 전극(137a)이 형성되어 있고, 스위칭 채널(131b)의 양 옆에는 스위칭 소스 전극(136b) 및 스위칭 드레인 전극(137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상 채널(131c)의 양 옆에는 보상 소스 전극(136c) 및 보상 드레인 전극(137c)이 형성되어 있고, 초기화 채널(131d)의 양 옆에는 초기화 소스 전극(136d) 및 초기화 드레인 전극(137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동작 제어 채널(131e)의 양 옆에는 동작 제어 소스 전극(136e) 및 동작 제어 드레인 전극(137e)이 형성되어 있고, 발광 제어 채널(131f)의 양 옆에는 발광 제어 소스 전극(136f) 및 발광 제어 드레인 전극(137f)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이패스 채널(131g)의 양 옆에는 바이패스 소스 전극(136g) 및 바이패스 드레인 전극(137g)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 채널(131a)은 적색 화소(R)의 구동 채널(131aR), 녹색 화소(G)의 구동 채널(131aG), 그리고, 청색 화소(B)의 구동 채널(131aB)을 포함한다. 이 때, 적색 화소(R)의 구동 채널(131aR)의 폭(WR)은 녹색 화소(G)의 구동 채널(131aG)의 폭(WG)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적색 화소(R)의 구동 채널(131aR)의 폭(WR)은 청색 화소(B)의 구동 채널(131aB)의 폭(WB)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130) 위에는 이를 덮는 제1 게이트 절연막(14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위에는 스위칭 게이트 전극(155b), 보상 게이트 전극(155c)을 포함하는 스캔선(151), 초기화 게이트 전극(155d)을 포함하는 전단 스캔선(152), 동작 제어 게이트 전극(155e) 및 발광 제어 게이트 전극(155f)을 포함하는 발광 제어선(153), 바이패스 게이트 전극(155g)을 포함하는 바이패스 제어선(158), 그리고 구동 게이트 전극(제1 스토리지 전극)(155a)을 포함하는 제1 게이트 배선(151, 152, 153, 158, 155a, 155b, 155c, 155d, 155e, 155f)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게이트 배선(151, 152, 153, 158, 155a, 155b, 155c, 155d, 155e, 155f) 및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위에는 이를 덮는 제2 게이트 절연막(14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게이트 절연막(141) 및 제2 게이트 절연막(142)은 질화 규소(SiNx) 또는 산화 규소(SiO2)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게이트 절연막(142) 위에는 스캔선(151)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스토리지선(157), 스토리지선(157)에서 확장된 부분인 제2 스토리지 전극(156)을 포함하는 제2 게이트 배선(157, 156)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스토리지 전극(156)은 구동 게이트 전극으로 역할하는 제1 스토리지 전극(155a)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 스토리지 전극(156)은 구동 게이트 전극(155a)을 모두 덮게 된다.
제2 게이트 절연막(142) 및 제2 게이트 배선(157, 156) 위에는 층간 절연막(160)이 형성되어 있다. 층간 절연막(160)은 질화 규소(SiNx) 또는 산화 규소(SiO2)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160)에는 접촉 구멍(61, 62, 63, 64, 65, 66, 69)이 형성되어 있다. 층간 절연막(160) 위에는 데이터선(171), 구동 전압선(172), 제1 데이터 연결 부재(174), 제2 데이터 연결 부재(175), 그리고 제3 데이터 연결 부재(179)를 포함하는 데이터 배선(171, 172, 174, 175, 179)이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선(171)은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제2 게이트 절연막(142) 및 층간 절연막(160)에 형성된 접촉 구멍(62)을 통해 스위칭 소스 전극(136b)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데이터 연결 부재(174)의 일단은 제2 게이트 절연막(142) 및 층간 절연막(160)에 형성된 접촉 구멍(61)을 통하여 제1 스토리지 전극(155a)과 연결되어 있고, 제1 데이터 연결 부재(174)의 타단은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제2 게이트 절연막(142) 및 층간 절연막(160)에 형성된 접촉 구멍(63)을 통해 보상 드레인 전극(137c) 및 초기화 드레인 전극(137d)과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선(171)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제2 데이터 연결 부재(175)는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제2 게이트 절연막(142) 및 층간 절연막(160)에 형성된 접촉 구멍(64)을 통해 초기화 소스 전극(136d)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3 데이터 연결 부재(179)는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제2 게이트 절연막(142) 및 층간 절연막(160)에 형성된 접촉 구멍(66)을 통해 발광 제어 드레인 전극(137f)과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 배선(171, 172, 174, 175, 179) 및 층간 절연막(160) 위에는 이를 덮는 보호막(180)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막(180)은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막(180) 위에는 화소 전극(191) 및 초기화 전압선(192)이 형성되어 있다. 제3 데이터 연결 부재(179)는 보호막(180)에 형성된 접촉 구멍(81)을 통해 화소 전극(191)과 연결되어 있고, 제2 데이터 연결 부재(175)는 보호막(180)에 형성된 접촉 구멍(82)을 통해 초기화 전압선(192)과 연결되어 있다.
보호막(180), 초기화 전압선(192) 및 화소 전극(191)의 가장자리 위에는 이를 덮는 화소 정의막(Pixel Defined Layer, PDL)(350)이 형성되어 있고, 화소 정의막(350)은 화소 전극(191)을 드러내는 화소 개구부(351)를 가진다. 화소 정의막(350)은 폴리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및 폴리이미드계(polyimides) 등의 수지 또는 실리카 계열의 무기물 등으로 만들 수 있다.
화소 개구부(351)에 의해 노출된 화소 전극(191) 위에는 유기 발광층(370)이 형성되고, 유기 발광층(370) 상에는 공통 전극(270)이 형성된다. 공통 전극(270)은 화소 정의막(350) 위에도 형성되어 복수의 화소(PX)에 걸쳐 형성된다. 이와 같이, 화소 전극(191), 유기 발광층(370) 및 공통 전극(270)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D)가 형성된다.
여기서, 화소 전극(191)은 정공 주입 전극인 애노드이며, 공통 전극(270)은 전자 주입 전극인 캐소드가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더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따라 화소 전극(191)이 캐소드가 되고, 공통 전극(270)이 애노드가 될 수도 있다. 화소 전극(191) 및 공통 전극(270)으로부터 각각 정공과 전자가 유기 발광층(370) 내부로 주입되고,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한 엑시톤(exiton)이 여기상태로부터 기저상태로 떨어질 때 발광이 이루어진다.
유기 발광층(370)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PEDOT(Poly 3,4-ethylenedioxythiophene) 등의 고분자 유기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유기 발광층(370)은 발광층과,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HTL),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 모두를 포함할 경우, 정공 주입층이 양극인 화소 전극(191) 상에 배치되고, 그 위로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이 차례로 적층된다.
유기 발광층(370)은 적색을 발광하는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을 발광하는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을 발광하는 청색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유기 발광층은 각각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에 형성되어 컬러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또한, 유기 발광층(370)은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유기 발광층을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에 모두 함께 적층하고, 각 화소별로 적색 색필터, 녹색 색필터 및 청색 색필터를 형성하여 컬러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백색을 발광하는 백색 유기 발광층을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 모두에 형성하고, 각 화소별로 각각 적색 색필터, 녹색 색필터 및 청색 색필터를 형성하여 컬러 화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백색 유기 발광층과 색필터를 이용하여 컬러 화상을 구현하는 경우,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유기 발광층을 각각의 개별 화소 즉,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에 증착하기 위한 증착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다른 예에서 설명한 백색 유기 발광층은 하나의 유기 발광층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복수 개의 유기 발광층을 적층하여 백색을 발광할 수 있도록 한 구성까지 포함한다. 예로, 적어도 하나의 옐로우 유기 발광층과 적어도 하나의 청색 유기 발광층을 조합하여 백색 발광을 가능하게 한 구성, 적어도 하나의 시안 유기 발광층과 적어도 하나의 적색 유기 발광층을 조합하여 백색 발광을 가능하게 한 구성, 적어도 하나의 마젠타 유기 발광층과 적어도 하나의 녹색 유기 발광층을 조합하여 백색 발광을 가능하게 한 구성 등도 포함할 수 있다.
공통 전극(270) 상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D)를 보호하는 봉지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으며, 봉지 부재는 실런트에 의해 기판(110)에 밀봉될 수 있으며, 유리, 석영, 세라믹, 플라스틱, 및 금속 등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실런트를 사용하지 않고 공통 전극(270) 상에 무기막과 유기막을 증착하여 박막 봉지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일 실시예에서는 각 화소의 구동 채널의 폭을 조절하여 각 화소의 구동 범위를 조절하였으나, 각 화소의 구동 채널의 길이를 조절하여 각 화소의 구동 범위를 조절하는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를 이루는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의 배치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각 화소의 구동 채널의 길이가 다른 것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적색 화소(R)의 구동 채널(131aR)의 길이(LR)는 녹색 화소(G)의 구동 채널(131aG)의 길이(LG)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고, 적색 화소(R)의 구동 채널(131aR)의 길이(LR)는 청색 화소(B)의 구동 채널(131aB)의 길이(LB)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녹색 화소(G)의 구동 트랜지스터(T1G)의 구동 범위는 적색 화소(R)의 구동 트랜지스터(T1R)의 구동 범위보다 크고, 적색 화소(R)의 구동 트랜지스터(T1R)의 구동 범위는 청색 화소(B)의 구동 트랜지스터(T1B)의 구동 범위보다 크게 된다. 이와 같이, 전류-휘도비가 가장 큰 녹색 화소(G)의 구동 트랜지스터(T1G)의 구동 범위를 전류-휘도비가 중간인 적색 화소(R)의 구동 트랜지스터(T1R)의 구동 범위보다 크게 형성하고, 전류-휘도비가 가장 작은 청색 화소(B)의 구동 트랜지스터(T1B)의 구동 범위는 적색 화소(R)의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구동 범위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전류에 따른 휘도가 가장 민감한 화소에서 전류에 따른 휘도를 둔감하게 하고, 전류에 따른 휘도가 가장 둔감한 화소에서 전류에 따른 휘도를 민감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화소간의 색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저계조에서 심화되는 색편차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 실시예에서는 각 화소의 구동 채널의 폭을 조절하여 각 화소의 구동 범위를 조절하였으나, 각 화소의 제1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를 조절하여 각 화소의 구동 범위를 조절하는 또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를 이루는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의 배치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XII-XII선, XII'-XII'선 및 XII"-X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는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각 화소의 제1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가 다른 것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적색 화소(R)의 제1 게이트 절연막(141R)의 두께(tR)는 녹색 화소(G)의 제1 게이트 절연막(141G)의 두께(tG)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고, 적색 화소(R)의 제1 게이트 절연막(141R)의 두께(tR)는 청색 화소(B)의 제1 게이트 절연막(141B)의 두께(tB)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녹색 화소(G)의 구동 트랜지스터(T1G)의 구동 범위는 적색 화소(R)의 구동 트랜지스터(T1R)의 구동 범위보다 크고, 적색 화소(R)의 구동 트랜지스터(T1R)의 구동 범위는 청색 화소(B)의 구동 트랜지스터(T1B)의 구동 범위보다 크게 된다. 이와 같이, 전류-휘도비가 가장 큰 녹색 화소(G)의 구동 트랜지스터(T1G)의 구동 범위를 전류-휘도비가 중간인 적색 화소(R)의 구동 트랜지스터(T1R)의 구동 범위보다 크게 형성하고, 전류-휘도비가 가장 작은 청색 화소(B)의 구동 트랜지스터(T1B)의 구동 범위는 적색 화소(R)의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구동 범위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화소간의 색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저계조에서 심화되는 색편차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각 화소의 제1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를 조절하여 각 화소의 구동 범위를 조절하였으나, 각 화소의 구동 채널의 채널 도핑도를 조절하여 각 화소의 구동 범위를 조절하는 또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도 1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단면도로서, 도 1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XII-XII선, XII'-XII'선 및 XII"-XII"선에 대응하는 위치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와 비교하여 각 화소의 구동 채널의 채널 도핑도가 다른 것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적색 화소(R)의 구동 채널(131aR)의 채널 도핑도는 녹색 화소(G)의 구동 채널(131aG)의 채널 도핑도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고, 적색 화소(R)의 구동 채널(131aR)의 채널 도핑도는 청색 화소(B)의 구동 채널(131aB)의 채널 도핑도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녹색 화소(G)의 구동 트랜지스터(T1G)의 구동 범위는 적색 화소(R)의 구동 트랜지스터(T1R)의 구동 범위보다 크고, 적색 화소(R)의 구동 트랜지스터(T1R)의 구동 범위는 청색 화소(B)의 구동 트랜지스터(T1B)의 구동 범위보다 크게 된다. 이와 같이, 전류-휘도비가 가장 큰 녹색 화소(G)의 구동 트랜지스터(T1G)의 구동 범위를 전류-휘도비가 중간인 적색 화소(R)의 구동 트랜지스터(T1R)의 구동 범위보다 크게 형성하고, 전류-휘도비가 가장 작은 청색 화소(B)의 구동 트랜지스터(T1B)의 구동 범위는 적색 화소(R)의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구동 범위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화소간의 색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저계조에서 심화되는 색편차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는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 모두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었으나, 어느 두 개의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는 서로 동일하고 나머지 하나의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가 다르거나 어느 하나의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가 나머지 두 개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와 다른 또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도 14를 참고하여, 어느 두 개의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는 서로 동일하고 나머지 하나의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가 다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를 이루는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의 배치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는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적색 화소와 청색 화소의 구동 채널의 길이가 동일하고, 이들과 녹색 화소의 구동 채널의 길이는 서로 다른 것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적색 화소(R)의 구동 채널(131aR)의 폭(WR)은 청색 화소(B)의 구동 채널(131aB)의 폭(WB)과 동일하고, 녹색 화소(G)의 구동 채널(131aG)의 폭(WG)은 적색 화소(R)의 구동 채널(131aR)의 폭(WR)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적색 화소(R)의 구동 트랜지스터(T1R)의 구동 범위와 청색 화소(B)의 구동 트랜지스터(T1B)의 구동 범위는 서로 동일하고, 녹색 화소(G)의 구동 트랜지스터(T1G)의 구동 범위는 적색 화소(R)의 구동 트랜지스터(T1R)의 구동 범위 또는 청색 화소(B)의 구동 트랜지스터(T1B)의 구동 범위보다 크게 된다.
이와 같이, 전류-휘도비가 가장 큰 녹색 화소(G)의 구동 트랜지스터(T1G)의 구동 범위를 전류-휘도비가 작은 적색 화소(R)의 구동 트랜지스터(T1R) 또는 청색 화소(B)의 구동 트랜지스터(T1B)의 구동 범위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전류에 따른 휘도가 가장 민감한 녹색 화소에서 전류에 따른 휘도를 둔감하게 하고, 전류에 따른 휘도가 둔감한 적색 화소 또는 청색 화소에서는 전류에 따른 휘도를 민감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화소간의 색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저계조에서 심화되는 색편차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31a: 구동 채널 132b: 스위칭 채널
141: 제1 게이트 절연막 142: 제2 게이트 절연막
151: 스캔선 152: 전단 스캔선
153: 발광 제어선 158: 바이패스 제어선
155a: 구동 게이트 전극 155b: 스위칭 게이트 전극
156: 제2 스토리지 전극 157: 스토리지선
160: 층간 절연막 171: 데이터선
172: 구동 전압선 174: 제1 데이터 연결 부재
175: 제2 데이터 연결 부재 179: 제3 데이터 연결 부재
180: 보호막 191: 화소 전극
192: 초기화 전압선 270: 공통 전극
350: 화소 정의막 370: 유기 발광층
131aR: 적색 화소의 구동 채널 131aG: 녹색 화소의 구동 채널
131aB: 청색 화소의 구동 채널
141R: 적색 화소의 제1 게이트 절연막
141G: 녹색 화소의 제1 게이트 절연막
141B: 청색 화소의 제1 게이트 절연막

Claims (16)

  1.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스캔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개의 스캔선,
    상기 스캔선과 교차하며 데이터 전압 및 구동 전압을 각각 전달하는 복수개의 데이터선 및 복수개의 구동 전압선,
    상기 복수개의 스캔선 및 상기 복수개의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화소, 제2 화소 및 제3 화소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화소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화소는
    상기 스캔선 및 상기 데이터선과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 트랜지스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제2 화소 및 제3 화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는 나머지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와 다르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는 최대 계조에 대응하는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최대 구동 게이트-소스 전압과 최소 계조에 대응하는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최소 구동 게이트-소스 전압간의 차이이고,
    상기 화소의 전류에 따른 휘도는 전류-휘도비라고 할 때,
    상기 제1 화소, 제2 화소 및 제3 화소 중에서 상기 전류-휘도비가 큰 화소일수록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는 커지며,
    상기 제1 화소, 제2 화소 및 제3 화소는 각각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이고,
    상기 녹색 화소의 전류-휘도비는 상기 적색 화소의 전류-휘도비보다 크고, 상기 적색 화소의 전류-휘도비는 상기 청색 화소의 전류-휘도비보다 크며, 상기 녹색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는 상기 적색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보다 크고, 상기 적색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는 상기 청색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범위보다 큰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는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구동 채널, 상기 구동 채널과 중첩하고 있는 구동 게이트 전극, 상기 구동 채널의 양 옆에 위치하고 있는 구동 소스 전극 및 구동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녹색 화소의 구동 채널의 폭은 상기 적색 화소의 구동 채널의 폭보다 작고, 상기 적색 화소의 구동 채널의 폭은 상기 청색 화소의 구동 채널의 폭보다 작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녹색 화소의 구동 채널의 길이는 상기 적색 화소의 구동 채널의 길이보다 크고, 상기 적색 화소의 구동 채널의 길이는 상기 청색 화소의 구동 채널의 길이보다 큰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5항에서,
    상기 구동 채널과 상기 구동 게이트 전극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게이트 절연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녹색 화소의 제1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는 상기 적색 화소의 제1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적색 화소의 제1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는 상기 청색 화소의 제1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보다 두꺼운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5항에서,
    상기 녹색 화소의 구동 채널의 채널 도핑도는 상기 적색 화소의 구동 채널의 채널 도핑도보다 낮고, 상기 적색 화소의 구동 채널의 채널 도핑도는 상기 청색 화소의 구동 채널의 채널 도핑도보다 낮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서,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
    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50016349A 2015-02-02 2015-02-02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57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349A KR102457466B1 (ko) 2015-02-02 2015-02-02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4/957,451 US10019946B2 (en) 2015-02-02 2015-12-02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349A KR102457466B1 (ko) 2015-02-02 2015-02-02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306A KR20160095306A (ko) 2016-08-11
KR102457466B1 true KR102457466B1 (ko) 2022-10-21

Family

ID=56553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349A KR102457466B1 (ko) 2015-02-02 2015-02-02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19946B2 (ko)
KR (1) KR1024574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774B1 (ko) 2015-03-26 2022-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73916B1 (ko) 2016-11-29 2023-09-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448030B1 (ko) * 2017-09-21 2022-09-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90895B1 (ko) * 2017-12-14 2023-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87500B1 (ko) * 2018-01-02 2023-0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90126963A (ko) 2018-05-02 2019-1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7077152B2 (ja) * 2018-06-12 2022-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電気装置および車両
US10885843B1 (en) * 2020-01-13 2021-01-05 Sharp Kabushiki Kaisha TFT pixel threshold voltage compensation circuit with a source follower
KR20210141820A (ko) 2020-05-13 2021-1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표시 장치
CN113963667B (zh) 2020-07-21 2023-04-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20220018119A (ko) * 2020-08-05 2022-0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170719B1 (en) * 2020-12-10 2021-11-09 Sharp Kabushiki Kaisha TFT pixel threshold voltage compensation circuit with a source follower
CN112614829A (zh) * 2020-12-17 2021-04-06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封装载板以及显示装置
CN113192458B (zh) * 2021-01-12 2022-04-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像素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面板
KR20220164851A (ko) * 2021-06-04 2022-1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KR20230013676A (ko) * 2021-07-16 2023-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WO2024103344A1 (zh) * 2022-11-17 2024-05-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和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6513A (ja) 2006-05-29 2007-12-06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JP2012237931A (ja) * 2011-05-13 2012-12-06 Japan Display Central Co Ltd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有機発光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911B1 (ko) * 2003-11-26 2006-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류 역다중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류 기입형 표시 장치
KR100599657B1 (ko) * 2005-01-05 2006-07-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635509B1 (ko) 2005-08-16 2006-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160838B1 (ko) 2005-11-14 2012-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US20070222908A1 (en) 2006-02-07 2007-09-27 Joo-Han Kim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35465B1 (ko) * 2012-07-02 2019-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947019B1 (ko) * 2012-10-26 2019-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85298B1 (ko) 2012-10-26 2019-06-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06352B1 (ko) * 2012-11-20 2019-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60013B1 (ko) * 2013-04-24 2019-12-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6513A (ja) 2006-05-29 2007-12-06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JP2012237931A (ja) * 2011-05-13 2012-12-06 Japan Display Central Co Ltd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有機発光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306A (ko) 2016-08-11
US20160225318A1 (en) 2016-08-04
US10019946B2 (en)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746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9111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9267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9472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7306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8983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2210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6733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7277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7277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1776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7111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0756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5561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0088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1826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5150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0950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5166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9628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0781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4014096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54210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3331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01503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