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154B1 - 무릎근력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무릎근력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154B1
KR102455154B1 KR1020200100589A KR20200100589A KR102455154B1 KR 102455154 B1 KR102455154 B1 KR 102455154B1 KR 1020200100589 A KR1020200100589 A KR 1020200100589A KR 20200100589 A KR20200100589 A KR 20200100589A KR 102455154 B1 KR102455154 B1 KR 102455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knee
exercise
muscle strength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0464A (ko
Inventor
박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헬스브릿지
박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헬스브릿지, 박성민 filed Critical 주식회사헬스브릿지
Priority to KR1020200100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154B1/ko
Publication of KR20220020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85Evaluating the kn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8L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25Displaying combinations of multiple images regardless of image source, e.g. displaying a reference anatomical image with a live imag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9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kne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63B2024/0065Evaluating the fitness, e.g. fitness level or fitness index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6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muscle strain, i.e. measured on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heu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무릎과 그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착용부를 이용하여 무릎에 움직임이 발생할 때의 근력과 운동량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공지의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릎 측의 근력을 측정 또는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운동방법과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무릎근력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무릎과 그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는 착용부, 착용부에 장착된 상태로 사용자의 무릎에 움직임이 발생할 때 무릎 측의 근력과 운동량을 측정하여 데이터화하는 복수의 센서들로 구성되는 측정부, 착용부에 장착된 상태로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통신부 및,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무릎 측의 근력을 측정 또는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운동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무선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저장된 데이터를 가공 및 분석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릎근력 측정 장치{Knee strength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의 무릎 근력과 운동량을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무릎과 그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착용부를 이용하여 무릎에 움직임이 발생할 때의 근력과 운동량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공지의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릎 측의 근력을 측정 또는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운동방법과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무릎근력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릎의 관절을 펴는 작용을 하는 근육인 슬관절의 신전근은 나이가 들수록 다리의 다른 근육들에 비해 손실의 정도가 크게 발생하며, 이와 같은 슬관절 신전근의 약화는 노인들의 평상시 자세를 불안정하게 하고 더 나아가 낙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나이가 들수록 무릎의 근력과 건강 상태의 주기적인 측정과 약화된 근력의 강화를 위한 꾸준한 운동이 필요하나 무릎의 근력과 건강 상태의 측정을 위해서는 의료 기관에 방문하여 다리 근육의 단면적을 CT 촬영하여야 하는 등 그 절차가 번거롭고 그에 따른 비용이 주기적으로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꾸준히 실천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4379호의 “슬관절 운동 측정방법 및 시스템”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39947호의 “무릎 보호대 및 이를 이용한 IoT 기반의 질병 정보 예측 방법” 등의 발명들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우선,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4379호의 “슬관절 운동 측정방법에는 대퇴골 원위부의 외측상과의 위치와 비골 근위부의 위치에 자이로센서를 각각 부착한 상태에서 슬관절 운동각, 슬관절의 이동범위 그리고 슬관절 회전각을 측정하기 위한 각 동작을 수행하여 정확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39947호의 “무릎 보호대 및 이를 이용한 IoT 기반의 질병 정보 예측 방법”에는 사용자의 무릎 주변을 감싸도록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무릎과 관련된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측정된 상태 정보를 통해 질병 정보를 예측할 수 있고 예측된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운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 발명들은 모두 사용자의 무릎에 장치를 착용하는 간단한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의료 기관에의 방문이 없이는 무릎의 근력과 건강 상태의 측정을 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측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발명들의 방식이 정기적으로 의료 기관에 방문하기 어려운 우리나라 노인층의 무릎 건강 관리에 가장 효과적인 방식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상기와 같은 종래 발명들의 방식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을 채택하되 더욱 효과적이고 단점은 보완할 수 있는 무릎 건강 관리 장치 등에 관한 발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4379호(2011. 09. 0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39947호(2020. 04. 17)
본 발명에 의한 무릎근력 측정 장치는,
나이가 들수록 무릎의 근력과 건강 상태의 주기적인 측정과 약화된 근력의 강화를 위한 꾸준한 운동이 필요하나 무릎의 근력과 건강 상태의 측정을 위해서는 의료 기관에 방문하여 다리 근육의 단면적을 CT 촬영하여야 하는 등 그 절차가 번거롭고 그에 따른 비용이 주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사용자의 무릎과 그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에 장착된 상태로 사용자의 무릎에 움직임이 발생할 때 무릎 측의 근력과 운동량을 측정하여 데이터화하는 복수의 센서들로 구성되는 측정부; 상기 착용부에 장착된 상태로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통신부; 및,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무릎 측의 근력을 측정 또는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운동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무선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저장된 데이터를 가공 및 분석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근력 측정 장치를 제시한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한 무릎근력 측정 장치는,
사용자의 무릎과 그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고, 무릎 측의 근력과 운동량을 측정하여 데이터화하는 복수의 센서들이 장착되는 착용부의 구성과 무릎 측의 근력을 측정 또는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운동 방법을 제공하고,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를 가공 및 분석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 등의 구성을 통해 의료 기관에의 주기적인 방문이 어렵거나 번거로운 노인층이 각 가정 등 어디에서나 무릎의 근력과 건강 상태를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약화된 근력의 강화를 위한 꾸준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릎근력 측정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릎근력 측정 장치의 착용부의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의한 무릎근력 측정 장치의 착용부에 측정부가 장착된 다양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무릎근력 측정 장치를 이용한 무릎 근력 운동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사용자의 무릎 근력과 운동량을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무릎과 그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는 착용부(100); 상기 착용부(100)에 장착된 상태로 사용자의 무릎에 움직임이 발생할 때 무릎 측의 근력과 운동량을 측정하여 데이터화하는 복수의 센서들로 구성되는 측정부(110); 상기 착용부(100)에 장착된 상태로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통신부(120); 및,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무릎 측의 근력을 측정 또는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운동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무선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저장된 데이터를 가공 및 분석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상기 착용부(100)는 사용자의 무릎과 그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는 장치로써, 사용자의 무릎과 그 주변을 압박하는 형태로 착용되는 슬리브 타입이나 슬리브 타입에 비하여 착용시 상대적으로 압박감이 덜하고 착용 및 분리가 간편하되 크기가 상당히 증가하여 그에 따른 제약이 발생하는 힌지형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착용부(100)의 일 실시 형태인 힌지형 타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지의 무릎 보조기의 형상을 의미하며, 사용자는 자신의 무릎의 상태를 고려하여 가벼운 정도의 무릎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고 관절염에 효과적인 슬리브 타입 또는 수술 직후 등 상당한 수준의 보호와 지지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되는 힌지형 타입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부(100)는 사용자의 양측 무릎에 하나씩 착용될 수 있도록 전체적인 외형과 사용자의 무릎 측 근력을 측정하는 장치 등이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사용자가 자신의 다리 둘레와 다리 길이 등을 고려하여 최적화된 크기의 제품을 장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의 제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상기 착용부(100)는 남자 성인 기준 키 170㎝ 미만으로는 무릎을 기준으로 하여 아래와 위로 각각 10㎝ 정도의 길이가 확보될 수 있는 제품이 착용되는 것이 좋고, 키 170㎝ 이상이되 180㎝ 미만인 경우에는 무릎을 기준으로 하여 아래와 위로 각각 12.5㎝ 정도의 길이가 확보될 수 있는 제품이 착용되는 것이 좋으며, 키 180㎝ 이상인 경우에는 무릎을 기준으로 하여 아래와 위로 각각 15㎝ 정도의 길이가 확보될 수 있는 제품이 착용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착용부(100)는 상기 착용부(100)는 여자 성인 기준 키 160㎝ 미만인 경우에는 무릎을 기준으로 하여 아래와 위로 각각 5㎝ 정도의 길이가 확보될 수 있는 제품이 착용되는 것이 좋고, 키 160㎝ 이상이되 170㎝ 미만인 경우에는 무릎을 기준으로 하여 아래와 위로 각각 7.5㎝ 정도의 길이가 확보될 수 있는 제품이 착용되는 것이 좋으며, 키 170㎝ 이상인 경우에는 무릎을 기준으로 하여 아래와 위로 각각 10㎝ 정도의 길이가 확보될 수 있는 제품이 착용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착용부(100)는 사용자의 성별과 키에 따라 다른 크기의 제품이 착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크기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한편,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용부(100)에는 사용자의 무릎에 움직임이 발생할 때 무릎 측의 근력과 운동량을 측정하여 데이터화 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들로 구성되는 측정부(110)가 장착되며, 상기 측정부(110)를 구성하는 센서의 종류로는 무릎 측의 근력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압력 센서(111)와 사용자의 운동량을 감지하기 위한 3축 가속도 센서(112)가 있다.
이때, 상기 3축 가속도 센서(112)가 장착되는 위치에는 별다른 제한이 없으나 상기 복수의 압력 센서(111)는 스프링을 매개로 하여 서로 연결되는 한 쌍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 무릎의 상방 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하나가 사용자 무릎의 하방 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무릎을 굽히거나 펼 때의 힘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측정부(110)를 구성하는 복수의 압력 센서(111)는 어느 하나가 상기 착용부(100)의 상부에 구비되고 다른 하나가 착용부(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쌍으로 구성되되,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되는 위치와 연결되는 방향이 각 쌍마다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압력 센서(111)는 무릎 측의 근력을 측정하거나 강화하기 위한 운동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착용부(100)에 탈장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용자는 상기 착용부(100)에 장착되는 압력 센서(111)의 개수를 늘리거나 장착된 압력 센서(111)를 탈착하는 방식으로 운동의 강도 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전제 조건으로, 착용부(100)에는 복수의 압력 센서(111)를 탈장착할 수 있도록 지정된 위치의 다수의 장착홈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측정부(110)를 구성하는 3축 가속도 센서(112)에서 측정되는 사용자의 운동량과 복수의 압력 센서(111)에서 측정되는 사용자의 무릎 측의 근력은 상기 착용부(100)의 일측에 장착되는 통신부(120)를 통해 즉시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200)로 무선 전송될 수 있으며, 무선 전송 방식으로는 공지의 통신 방식 중 약 10m의 도달 반경을 가진 2.4GHz 주파수 대역에서 저전력으로 저용량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본 발명의 이용을 위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공지의 스마트폰이나 본 발명에 전용되는 전용 기기이며,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무릎 측의 근력을 측정 또는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운동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저장된 데이터를 가공 및 분석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한다.
즉, 본 발명을 이용하여 자신의 무릎 측의 근력을 측정하거나 강화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상기 착용부(100)를 하나 이상 착용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다양한 운동 방법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공된 운동 방법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 수행에 의하여 상기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로 즉시 전송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가공 및 분석하여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정보의 종류로는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사용자 무릎 측의 근력 정보,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되는 운동 방법에 의한 운동량 정보 및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측정된 사용자 무릎 측의 근력 정보를 모두 반영한 근력 비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측정부(110)를 구성하는 복수의 압력 센서(111)는 상기 착용부(100)에 탈장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므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기 통신부(120)로부터 전송되어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착용부(100)에 장착된 압력 센서(111)의 개수를 파악하고, 이를 데이터의 분석에 반영하여 사용자 무릎 측의 근력을 수치화하거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운동 방법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착용부(100)에 장착되는 압력 센서(111)의 개수가 증가하거나 감소함에 따라 스프링의 개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여 사용자가 무릎을 굽히거나 펼 때 필요한 힘의 세기가 변화하는 경우에도 수치화되는 사용자 무릎 측의 근력은 항상 동일하거나 유사한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착용부(100)에 형성된 각 장착홈에는 다른 장착홈과의 구분을 위한 번호, 색깔 등의 식별 수단이 표시될 수 있으며, 각각의 압력 센서(111)에도 다른 압력 센서(111)와 구분되되, 어느 하나 이상의 장착홈과 동일한 식별 수단이 표시되어 각각의 압력 센서(111)가 항상 동일한 위치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부(110)를 구성하는 복수의 압력 센서(111)가 장착되는 위치와 연결되는 방향이 서로 다르게 형성됨에 따라 한 쌍의 압력 센서(111)를 연결하는 스프링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가 상기 착용부(100)에 장착된 압력 센서(111)의 개수를 데이터의 분석에 반영함에 있어 압력 센서(111) 각각이 장착되는 위치 또한 반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압력 센서(111) 각각이 장착된 위치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압력 센서(111)의 개수와 수신된 데이터의 분석에 따른 압력 센서(111)의 개수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무릎 측의 근력을 수치화하거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운동 방법을 선택하게 되나,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함으로써 사용자가 복수의 압력 센서(111) 각각이 장착된 위치를 다시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복수의 압력 센서(111) 각각이 장착된 위치를 입력하는 방식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에 그림이나 사진으로 표시되는 착용부(100)의 장착홈을 사용자가 직접 터치하는 방식이 가장 간편하고 효율적인 방식이라 하겠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무릎 근력과 운동량을 측정하는 장치를 이용한 무릎 근력 운동 방법에 관한 것이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용부(100)를 무릎 측에 착용한 사용자가 앉거나 서는 동작 또는 앉은 상태로 무릎을 곧게 펴는 동작을 일회 이상 반복하도록 하여 사용자 무릎 측의 근력을 측정하는 측정 단계(S100); 측정된 사용자의 무릎 측의 근력을 반영하여 사용자 무릎 측의 근력을 강화하기 위한 운동 방법을 선택하는 선택 단계(S110); 선택된 운동 방법을 음성으로 제공하여 그 음성에 따라 사용자가 운동하도록 하는 운동 단계(S120); 및,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사용자의 무릎 측의 근력과 운동량을 통해 음성으로 제공되는 운동 방법에 의한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 단계(S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상기 측정 단계(S100)는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운동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용도로 운동을 실시하기 전인 사용자의 무릎 측의 근력을 사전에 측정하는 단계이며, 사용자는 상기 착용부(100)를 무릎 측에 착용한 상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지시되는 내용에 따라 간단한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측정부(110)가 자신의 무릎 측의 근력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지시되는 내용은 사용자가 의자에 앉고 일어서는 동작을 일회 이상 반복하도록 하거나 의자에 앉은 상태로 무릎을 수평으로 곧게 펴는 동작을 일회 이상 반복하도록 하는 것이며, 동작이 수회이상 반복되는 경우에는 복수회 측정된 사용자 무릎 측의 근력에 대한 평균값을 계산하여 이를 사용자 무릎 측의 근력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기 측정 단계(S100)가 실시되기 전,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무릎 측의 근육을 미리 풀어줄 수 있도록 하는 준비 운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사용자의 준비 운동은 상기 착용부(100)가 미착용된 상태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택 단계(S110)는 상기 측정 단계(S10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무릎 측의 근력과 기입력된 다양한 운동 방법 그리고 기 설정된 선택방식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가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운동 방법을 선택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이전에 사용자에게 제공된 운동 방법을 고려하여 동일한 운동 방법이 사용자에게 연속으로 3회이상 제공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반복되는 운동 방법과 그에 따른 지루함에 의한 사용자의 운동 의지의 상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 단계(S12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가 상기 선택 단계(S110)에서 선택된 운동 방법을 음성으로 제공하여 그 음성에 따라 사용자가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확인 단계(S130)는 상기 측정부(11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사용자의 무릎 측의 근력과 운동량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제공되는 운동 방법에 의한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운동 단계(S1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운동 방법이 제공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무릎 측의 근력을 강화하기 위한 운동을 전혀 실시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운동 방법이 계속 제공될 필요가 없고, 사용자가 운동의 실시중 다음 동작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다음 동작을 실시할 때까지 운동 방법의 제공을 중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운동 방법에 따라 운동을 실시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운동을 실시하고 있는 속도에 따라 운동 방법이 제공되는 속도가 적정하게 조정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운동 단계(S120)의 진행과 동시에 상기 확인 단계(S130)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되는 운동 방법에 따라 운동을 실시중인 사용자에게 운동 방법이 적정한 속도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운동을 중단한 상태일 때 운동 방법의 제공이 중단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운동을 전혀 실시하는 않은 상태로 일정시간이 경과하는 경우에는 운동 방법의 제공이 중단되도록 할 수 있다.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100 : 착용부
110 : 측정부 → 111 : 압력 센서
112 : 가속도 센서
120 : 통신부
200 : 사용자 단말기
S100 : 측정 단계
S110 : 선택 단계
S120 : 운동 단계
S130 : 확인 단계

Claims (4)

  1. 사용자의 무릎과 그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고, 다수의 장착홈이 다른 장착홈과의 구분을 위한 식별 수단과 함께 구비되는 착용부(100);
    스프링을 매개로 하여 서로 연결되는 한 쌍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착용부(100)의 상부에 구비된 장착홈에 장착되고, 다른 하나가 착용부(100)의 하부에 구비된 장착홈에 장착되되, 장착되는 위치가 각 쌍마다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복수의 압력 센서(111)와 사용자의 운동량을 감지하는 3축 가속도 센서(112)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들로 구성되어, 착용부(100)에 장착된 상태로 사용자의 무릎에 움직임이 발생할 때 무릎 측의 근력과 운동량을 측정하여 데이터화하는 측정부(110);
    상기 착용부(100)에 장착된 상태로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통신부(120); 및,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무릎 측의 근력을 측정 또는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운동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무선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저장된 데이터를 가공 및 분석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압력 센서(111)는,
    무릎 측의 근력을 측정 또는 강화하기 위한 운동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착용부(100)에 탈장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착용부(100)에 장착된 압력 센서(111)의 개수를 파악하고, 이를 데이터의 분석에 반영하여 사용자 무릎 측의 근력을 수치화하거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운동 방법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압력 센서(111)가 장착되는 착용부(100)의 장착홈을 화면에 그림이나 사진으로 표시하여 압력 센서(111) 각각이 장착된 위치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하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압력 센서(111)의 개수와 데이터의 분석에 따른 압력 센서(111)의 개수를 비교하여, 서로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화면에 그림이나 사진을 다시 표시하여 사용자가 장착홈의 위치를 재입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근력 측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00589A 2020-08-11 2020-08-11 무릎근력 측정 장치 KR102455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589A KR102455154B1 (ko) 2020-08-11 2020-08-11 무릎근력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589A KR102455154B1 (ko) 2020-08-11 2020-08-11 무릎근력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464A KR20220020464A (ko) 2022-02-21
KR102455154B1 true KR102455154B1 (ko) 2022-10-18

Family

ID=80475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589A KR102455154B1 (ko) 2020-08-11 2020-08-11 무릎근력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515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678B1 (ko) * 2016-10-22 2017-05-22 주식회사 리라이브 운동성 평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379B1 (ko) 2010-03-03 2011-09-16 한용섭 슬관절 운동 측정방법 및 시스템
KR101784075B1 (ko) * 2015-12-21 2017-10-10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테이핑 삽입형 무릎 재활 보조기
KR102177136B1 (ko) * 2017-12-12 2020-11-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착용형 근력 측정 장치 및 시스템
KR102269659B1 (ko) 2018-10-08 2021-06-25 (주) 와키 무릎 보호대, 및 이를 이용한 IoT 기반의 질병 정보 예측 방법
KR102412164B1 (ko) * 2020-05-22 2022-06-23 주식회사 파라밴드 장력조절수단이 포함된 전신 근력 운동 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678B1 (ko) * 2016-10-22 2017-05-22 주식회사 리라이브 운동성 평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464A (ko) 202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63123T3 (es) Cámara de presión y elevador para sistema de presión de aire diferencial con capacidad de recogida de datos médicos
JP7056904B2 (ja) マッサージ機システム並びにそれに用いられるマッサージ機及びウェアラブル測定機器
KR100750597B1 (ko) 운동 처방 기능을 포함하는 걷기 운동 기구
Sanchez et al. Monitoring functional arm movement for home-based therapy after stroke
US20110033830A1 (en) Cts pep prevention educational products
JP2011078728A (ja) 身体状態評価装置、状態推測装置、歩幅推測装置、及び、健康管理システム
KR101879209B1 (ko) 생체신호 인식을 통한 건강관리가 가능한 안마의자
KR101929347B1 (ko) 손 재활을 위한 악력 측정 장치
CN106361551A (zh) 一种具有多项健康指标检测功能的按摩椅
KR102426939B1 (ko) 가상현실 기반 인지게임 점수에 따른 인지장애 분석을 이용한 맞춤형 인지개선 훈련 시스템 및 방법
Cortell-Tormo et al. Lumbatex: a wearable monitoring system based on inertial sensors to measure and control the lumbar spine motion
KR20170049171A (ko) 안마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KR20200026420A (ko) 재활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활훈련 방법
KR102259078B1 (ko) 가상현실과 경사 테이블을 이용한 하지 근육 활동을 유발하는 재활 훈련 시스템 및 그 재활 훈련 방법
KR102026312B1 (ko) 3축 센서 기반의 자세 시각화 및 관리 시스템
KR102455154B1 (ko) 무릎근력 측정 장치
Brutovsky et al. Low-cost motivated rehabilitation system for post-operation exercises
KR100987092B1 (ko) 지능형 척추변형 교정기
JP7101404B2 (ja) 本人認証システム及びこの本人認証システムを備えた装置
JP7258323B2 (ja) マッサージ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マッサージ機システム
US10926136B1 (en) Health monitoring with 3D printed sensors
KR101759338B1 (ko) 오픈 api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 헬스 케어 코칭 인공지능 시스템
KR20040051264A (ko) 햅틱인터페이스 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현실재활시스템 및 방법
KR102331549B1 (ko) 손가락 움직임 보조용 장갑
KR101945338B1 (ko) 체력 측정 진단에 대한 체력 개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