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605B1 -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및 살균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및 살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605B1
KR102454605B1 KR1020220048192A KR20220048192A KR102454605B1 KR 102454605 B1 KR102454605 B1 KR 102454605B1 KR 1020220048192 A KR1020220048192 A KR 1020220048192A KR 20220048192 A KR20220048192 A KR 20220048192A KR 102454605 B1 KR102454605 B1 KR 102454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urification
indoor space
ozone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근화
최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랩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랩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랩죤
Priority to KR1020220048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6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4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zoni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 복수의 실내 공간마다 공기 정화/살균 장치와 오염도 감지수단을 설치하고, 실내 공간의 오염도가 설정치 이상이면 공기 정화/살균 장치를 동작시켜 실내 공간의 오염도를 낮추되, 공기 정화/살균 장치는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해 오염된 공기를 정화 및 살균하고, 정화 및 살균된 공기에 포함된 오존을 제거하여 오존이 포함되지 않는 안전하고 청정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할 수 있어, 인체에 유해하나 살균 효과가 뛰어난 오존을 안전하게 공기 살균에 이용할 수 있는 효과와 특정 실내 공간에 설치된 공기 정화/살균 장치의 필터 교체가 필요한 경우, 해당 실내 공간에 이웃한 다른 실내 공간에 설치된 공기 정화/살균 장치를 이용해 필터 교체가 필요한 공기 정화/살균 장치가 설치된 실내 공간의 청정도를 유지할 수 있어, 다수의 실내 공간으로 이루어진 다중 복합공간의 공기 정화 및 살균을 효율적으로 관리 운영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으로,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와 오염도 감지수단(2000)을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관리 서버(3000)가 추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및 살균 시스템{An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system using electric precipitation and ozone}
본 발명은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및 살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건물 내 복수의 실내 공간마다 공기 정화/살균 장치와 오염도 감지수단을 설치하고, 실내 공간의 오염도가 설정치 이상이면 공기 정화/살균 장치를 동작시켜 실내 공간의 오염도를 낮추되, 공기 정화/살균 장치는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해 오염된 공기를 정화 및 살균하고, 정화 및 살균된 공기에 포함된 오존을 제거하여 오존이 포함되지 않는 안전하고 청정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며, 특정 실내 공간에 설치된 공기 정화/살균 장치의 필터 교체가 필요한 경우, 해당 실내 공간에 이웃한 다른 실내 공간에 설치된 공기 정화/살균 장치를 이용해 필터 교체가 필요한 공기 정화/살균 장치가 설치된 실내 공간의 청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청결하고 위생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기술, 예를 들면, 각종 산업기술, 생활기술, 의료기술 등의 발달로, 국민의 삶은 건강하고 쾌적해지고 있다.
한편, 청결하고 위생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기술과 제도가 발달하고 있지만, 사스(SARS), 메르스(MERS), 코로나바이러스 19(Corona virus 19)와 같은 호흡기 감염병, 각종 공해로 인한 유해가스, 환경적 요인에 의한 황사 등에 의해, 국민의 건강하고 쾌적한 삶이 각종 위험 요소로부터 위협받고 있다.
특히, 코로나바이러스 19와 같은 호흡기 감염병이 유행할 때,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이 특정 공간 내부로 출입하면 감염자가 출입한 공간 내부 공기 중에 바이러스가 부유하면서 건강한 다른 사람들에게 전파되어 집단 감염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건물 내 공간에 대한 살균 대책과 각종 공해로 인한 유해가스나 황사와 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한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는 공기 정화 대책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가정 및 각종 건물 실내에 공기를 정화하고 살균하는 장치들이 설치 운영되고 있다.
한편, 살균 효과가 매우 우수한 오존이 있으나, 오존은 인체에 해로운 성분이어서, 오존을 이용해 살균된 공기 중에 오존이 잔류하게 되면 인체에 문제를 유발할 수 있어, 종래의 공기 정화 장치들은 공기 살균 시, 오존을 이용해 살균하는 기술 적용에 소극적이거나 한계성이 있었다.
한편, 공기 정화는 정화 필터를 이용하게 되는데, 정화 필터에 이상이 생겨 필터 교체가 필요한 경우, 필터 교체가 완료될 때까지 실내 공간은 원하는 청정도로 유지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도록, 건물 내 복수의 실내 공간마다 공기 정화/살균 장치와 오염도 감지수단을 설치하고, 실내 공간의 오염도가 설정치 이상이면 공기 정화/살균 장치를 동작시켜 실내 공간의 오염도를 낮추되, 공기 정화/살균 장치는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해 오염된 공기를 정화 및 살균하고, 정화 및 살균된 공기에 포함된 오존을 제거하여 오존이 포함되지 않는 안전하고 청정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며, 특정 실내 공간에 설치된 공기 정화/살균 장치의 필터 교체가 필요한 경우, 해당 실내 공간에 이웃한 다른 실내 공간에 설치된 공기 정화/살균 장치를 이용해 필터 교체가 필요한 공기 정화/살균 장치가 설치된 실내 공간의 청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49056호 공기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공기정화 방법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72150호 살균유닛 프레임의 착탈용이성 및 청정외기도입구조를 갖는 IoT 스마트 공기정화장치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42252호 복합살균식 공기 살균기
본 발명은 건물 내 복수의 실내 공간마다 공기 정화/살균 장치와 오염도 감지수단을 설치하고, 실내 공간의 오염도가 설정치 이상이면 공기 정화/살균 장치를 동작시켜 실내 공간의 오염도를 낮추되, 공기 정화/살균 장치는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해 오염된 공기를 정화 및 살균하고, 정화 및 살균된 공기에 포함된 오존을 제거하여 오존이 포함되지 않는 안전하고 청정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실내 공간에 설치된 공기 정화/살균 장치의 필터 교체가 필요한 경우, 해당 실내 공간에 이웃한 다른 실내 공간에 설치된 공기 정화/살균 장치를 이용해 필터 교체가 필요한 공기 정화/살균 장치가 설치된 실내 공간의 청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및 살균 시스템은,
실내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실내 공기를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해 정화 및 살균하여 배출하고, 동작 상태 정보를 오염도 감지수단(2000)으로 제공하도록, 건물 내 실내 공간마다 설치되는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와;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가 설치되는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실내 공간의 오염도를 감지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감지한 오염도가 설정치 이상인 경우,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로 동작 신호를 제공하고, 동작 신호 제공 후, 실내 공간의 오염도가 설정치 이하인 경우,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로 정지 신호를 제공하는 오염도 감지수단(20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물 내 복수의 실내 공간마다 공기 정화/살균 장치와 오염도 감지수단을 설치하고, 실내 공간의 오염도가 설정치 이상이면 공기 정화/살균 장치를 동작시켜 실내 공간의 오염도를 낮추되, 공기 정화/살균 장치는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해 오염된 공기를 정화 및 살균하고, 정화 및 살균된 공기에 포함된 오존을 제거하여 오존이 포함되지 않는 안전하고 청정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할 수 있어, 인체에 유해하나 살균 효과가 뛰어난 오존을 안전하게 공기 살균에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실내 공간에 설치된 공기 정화/살균 장치의 필터 교체가 필요한 경우, 해당 실내 공간에 이웃한 다른 실내 공간에 설치된 공기 정화/살균 장치를 이용해 필터 교체가 필요한 공기 정화/살균 장치가 설치된 실내 공간의 청정도를 유지할 수 있어, 다수의 실내 공간으로 이루어진 다중 복합공간의 공기 정화 및 살균을 효율적으로 관리 운영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공기 정화/살균 장치 세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본체 하우징 세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본체 하우징 내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정화부 세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정화부, 제2 정화부 작동 원리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정화부 세부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공기 배출부 세부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관리 서버가 이웃한 실내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어 상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및 살균 시스템(10, 이하 ‘본 발명)은 건물 내 복수의 실내 공간마다 공기 정화/살균 장치와 오염도 감지수단을 설치하고, 실내 공간의 오염도가 설정치 이상이면 공기 정화/살균 장치를 동작시켜 실내 공간의 오염도를 낮추되, 공기 정화/살균 장치는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해 오염된 공기를 정화 및 살균하고, 정화 및 살균된 공기에 포함된 오존을 제거하여 오존이 포함되지 않는 안전하고 청정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할 수 있어, 인체에 유해하나 살균 효과가 뛰어난 오존을 안전하게 공기 살균에 이용할 수 있는 효과와 특정 실내 공간에 설치된 공기 정화/살균 장치의 필터 교체가 필요한 경우, 해당 실내 공간에 이웃한 다른 실내 공간에 설치된 공기 정화/살균 장치를 이용해 필터 교체가 필요한 공기 정화/살균 장치가 설치된 실내 공간의 청정도를 유지할 수 있어, 다수의 실내 공간으로 이루어진 다중 복합공간의 공기 정화 및 살균을 효율적으로 관리 운영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으로,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와 오염도 감지수단(2000)을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관리 서버(3000)가 추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인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및 살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실내 공기를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해 정화 및 살균하여 배출하고, 동작 상태 정보를 오염도 감지수단(2000)으로 제공하도록, 건물 내 실내 공간마다 설치되는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와;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가 설치되는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실내 공간의 오염도를 감지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감지한 오염도가 설정치 이상인 경우,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로 동작 신호를 제공하고, 동작 신호 제공 후, 실내 공간의 오염도가 설정치 이하인 경우,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로 정지 신호를 제공하는 오염도 감지수단(20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는 실내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를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해 정화 및 살균하여 배출하고, 동작 상태 정보를 오염도 감지수단(2000)으로 제공하도록, 건물 내 실내 공간마다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는 오염도 감지수단(2000)에서 제공하는 동작 신호 또는 정지 신호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며, 건물의 실내 공간에 형성된 천장이나 벽면에 매립형으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정화 및 살균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본체 하우징(100)과;
본체 하우징(100) 표면에 설치되어, 본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일정 입자 크기 이상의 먼지를 거르는 프리 필터(200)와;
프리 필터(200) 후단의 본체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전기 집진을 이용해 제거하고,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세균을 오존을 이용해 살균하는 제1 정화부(300)와;
제1 정화부(300) 후단의 본체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어, 미세먼지가 제거되고 살균된 공기에 포함된 오존과 유해가스 성분을 제거하는 제2 정화부(400)와;
제2 정화부(400) 후단의 본체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어, 제2 정화부(400)에서 배출되는 정화 및 살균된 공기가 본체 하우징(1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력을 제공하는 공기 배출부(500)와;
본체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 정화 및 살균을 위해 제1 정화부(300)와 제2 정화부(400)와 공기 배출부(500)의 동작을 제어하고, 동작 상태 정보를 오염도 감지수단(2000)으로 제공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 하우징(100)은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정화 및 살균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일정 크기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프리 필터(200)와 제1 정화부(300)와 제2 정화부(400)와 공기 배출부(500)와 제어부(600)가 설치되고, 실내 공간에 형성된 천장이나 벽면에 매립형으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 필터(200)가 설치되고,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정화 및 살균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실내 공간 측으로 노출되는 저면 프레임(110)과,
제1 정화부(300)와 제2 정화부(400)와 공기 배출부(500)와 제어부(600)가 내부에 설치되고, 벽이나 천장에 매립 설치되는 함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면 프레임(110)은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정화 및 살균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실내 공간 측으로 노출되는 구성으로, 도 3과 같이,
프리 필터(200)가 설치되고, 실내 공기가 프리 필터(200)를 통해 유입될 수 있도록 저면 프레임(110) 중앙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구(111)와,
정화 및 살균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저면 프레임(110)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기 배출구(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 유입구(111)는 프리 필터(200)가 설치되고, 실내 공기가 프리 필터(200)를 통해 유입될 수 있도록 저면 프레임(110)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공기 배출구(112)는 정화 및 살균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저면 프레임(110) 둘레에 형성된다.
상기 공기 배출구(112)는 저면 프레임(110) 중앙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111) 주변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공기 배출구(112) 끝단에는 공기 배출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병목 구조물이 도 4와 같이 형성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실내 확산을 유도한다.
상기 함체(120)는 제1 정화부(300)와 제2 정화부(400)와 공기 배출부(500)와 제어부(600)가 내부에 설치되고, 실내 공간에 형성된 벽이나 천장에 매립 설치되는 구성으로, 도 3과 같이,
제1 정화부(300)와 제2 정화부(400)와 공기 배출부(500)와 제어부(600)가 설치되는 설치 공간(121)과,
공기 배출부(500)가 제공하는 배출력에 의해 제2 정화부(400)에서 배출되는 정화 및 살균되고 오존과 유해가스 성분이 제거된 공기가 저면 프레임(110)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배출구(112)로 이송되어 배출되도록 설치 공간(121) 주변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출 덕트(122)와,
프리 필터(200)와 제1 정화부(300)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유입 덕트(700)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로(123)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배출 덕트(122) 끝단은 복수의 공기 배출구(112)에 각각 연결되고,
복수의 배출 덕트(122) 끝단에는 공기 배출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병목 구조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치 공간(121)은 제1 정화부(300)와 제2 정화부(400)와 공기 배출부(500)와 제어부(600)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설치된 제1 정화부(300), 제2 정화부(400), 공기 배출부(500)와 제어부(60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된다.
상기 복수의 배출 덕트(122)는 공기 배출부(500)가 제공하는 배출력에 의해 제2 정화부(400)에서 배출되는 정화 및 살균되고 오존과 유해가스 성분이 제거된 공기가 저면 프레임(110)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배출구(112)로 이송되어 배출되도록 설치 공간(121) 주변 둘레에 형성되며, 복수의 배출 덕트(122) 끝단은 복수의 공기 배출구(112)에 각각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설치 공간(121)에 설치된 제1 정화부(300)와 제2 정화부(400)를 통과하면서 정화 및 살균되고 오존과 유해가스 성분이 제거된 공기가 설치 공간(121)에 설치된 공기 배출부(500)에 의해 복수의 배출 덕트(122) 측으로 방향이 전환되고, 방향이 전환된 정화 및 살균되고 오존과 유해가스 성분이 제거된 공기는 배출 덕트(122)를 통해 저면 프레임(110)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112) 측으로 이송이 안내된다.
또한, 공기 배출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병목 구조물이, 도 4와 같이, 상기 복수의 배출 덕트(122) 끝단에 형성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실내 확산을 유도한다.
상기 연통로(123)는 프리 필터(200)와 제1 정화부(300)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유입 덕트(700)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구성으로, 도 4와 같이, 상기 연통로(123)에 연결된 유입 덕트(700)를 통해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된다.
실내 공간의 CO2 농도가 높은 경우, 유입 덕트(700)를 통해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프리 필터(200)와 제1 정화부(3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환기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프리 필터(200)는 본체 하우징(100) 표면에 설치되어, 본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일정 입자 크기 이상의 먼지를 거르는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리 필터(200)는 저면 프레임(110)의 공기 유입구(111)에 설치되어, 공기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 공기에 포함된 큰 입자의 먼지를 여과한다.
상기 제1 정화부(300)는 프리 필터(200) 후단의 본체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전기 집진을 이용해 제거하고,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세균을 오존을 이용해 살균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정화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도록 전면 개방구(311)와 후면 개방구(312)가 형성되고, 전면 개방구(311)가 본체 하우징(100)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111)에 인접 위치하는 제1 정화 하우징(310)과,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대전을 위해, 제1 정화 하우징(310)의 전면 개방구(311) 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방전 와이어(320)와,
복수의 방전 와이어(320)에 의해 대전 된 미세먼지의 포집을 위해, 복수의 방전 와이어(320) 후방의 제1 정화 하우징(310) 내측에 열 배치 타입으로 설치되어 (-) 전기가 인가되는 복수의 제1 먼지 포집판(330)과,
먼지 포집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복수의 제1 먼지 포집판(330) 사이마다 열 배치 타입으로 설치되어 (-) 전기가 인가되되, 제1 먼지 포집판(330) 높이보다 낮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2 먼지 포집판(3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정화 하우징(310)은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도록, 도 5와 같이, 전면 개방구(311)와 후면 개방구(312)가 형성된 구성으로, 프리 필터(200)를 통과한 실내 공기가 정화 및 살균을 위해 전면 개방구(311)를 통해 제1 정화 하우징(310) 내부로 유입되고, 후면 개방구(312)를 통해 정화 및 살균된 공기가 제2 정화부(400) 측으로 배출된다.
상기 복수의 방전 와이어(320)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대전과 오존 발생을 위해, 제1 정화 하우징(310)의 전면 개방구(311) 측에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기 복수의 제1 먼지 포집판(330)은 복수의 방전 와이어(320)에 의해 대전 된 미세먼지의 포집을 위해, 복수의 방전 와이어(320) 후방의 제1 정화 하우징(310) 내측에 열 배치 타입으로 설치되어 (-) 전기가 인가되는 구성이다.
상기 복수의 제2 먼지 포집판(340)은 먼지 포집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복수의 제1 먼지 포집판(330) 사이마다 열 배치 타입으로 설치되어 (-) 전기가 인가되되, 제1 먼지 포집판(330) 높이보다 낮게 설치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적 특징을 갖는 제1 정화부(300)로 유입된 실내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제1 먼지 포집판(330)과 제2 먼지 포집판(340)에 포집되어 제거되고, 방전 와이어(320)의 방전에 의해 발생한 오존에 의해 유입된 실내 공기에 포함된 세균이 살균된다.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복수의 방전 와이어(320)에 (+) 전기가 인가되어 코로나 방전이 되면, 오존(O3)이 발생함과 동시에 유입된 실내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들이 (+) 극성으로 대전된다.
(+) 극성으로 대전 된 미세먼지들은 (-) 전기가 인가되는 복수의 제1 먼지 포집판(330)에 전기적 인력에 의해 1차로 흡착 포집 되고, 이어서 제2 정화부(400) 측으로 이동하는 포집 되지 않은 (+) 극성으로 대전 된 미세먼지들이 (-) 전기가 인가되는 복수의 제2 먼지 포집판(340)에 전기적 인력에 의해 2차로 흡착 포집 되어 미세먼지가 전기 집진에 의해 제거된다.
특히, (+) 전기가 인가되는 복수의 방전 와이어(320)의 코로나 방전으로 오존(O3)이 발생하게 되는데, 발생 된 오존(O3)은 유입된 실내 공기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게 된다.
상기 제2 정화부(400)는 제1 정화부(300) 후단의 본체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어, 미세먼지가 제거되고 살균된 공기에 포함된 오존과 유해가스 성분을 제거하는 구성이다.
제1 정화부(300)을 통해 미세먼지가 제거되고 살균된 공기에는 살균에 사용되고 잔류하는 인체에 해로운 오존과 유해가스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제거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구성이 제2 정화부(400)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정화부(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도록 전면 개방구(411)와 후면 개방구(412)가 형성되고, 전면 개방구(411)가 제1 정화부(300)의 후면 개방구(312)에 결합 되는 제2 정화 하우징(410)과,
UV LED 램프(44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해, 제2 정화 하우징(410)의 전면 개방구(411) 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방열판(420)과,
전면 개방구(411)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존과 유해가스 성분이 흡착되어 소멸되도록, 복수의 방열판(420) 후방의 제2 정화 하우징(410) 내부에 설치되는 광 촉매형 하이브리드 필터(430)와,
광 촉매형 하이브리드 필터(430)의 광촉매 활성화를 위해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복수의 방열판(420)마다 설치되는 UV LED 램프(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정화 하우징(410)은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도록 전면 개방구(411)와 후면 개방구(412)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전면 개방구(411)는 제1 정화부(300)의 후면 개방구(312)에 결합된다.
제1 정화부(300)를 통과한 미세먼지가 제거되고 살균된 공기가 오존과 유해가스 성분 제거를 위해 전면 개방구(411)를 통해 제2 정화 하우징(410) 내부로 유입되고, 후면 개방구(412)를 통해 오존과 유해가스 성분이 제거된 공기가 공기 배출부(500) 측으로 배출된다.
상기 복수의 방열판(420)은 UV LED 램프(44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해, 제2 정화 하우징(410)의 전면 개방구(411) 측에 형성되는 구성이다.
광 촉매형 하이브리드 필터(430)의 활성화를 위해 UV LED 램프(440)는 자외선을 조사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고, 복수의 방열판(420)은 UV LED 램프(44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킨다.
상기 광 촉매형 하이브리드 필터(430)는 전면 개방구(411)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존과 유해가스 성분이 흡착되어 소멸되도록, 복수의 방열판(420) 후방의 제2 정화 하우징(410)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오존과 유해가스 성분을 흡착 소멸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 촉매형 하이브리드 필터(4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촉매와 나노 결정 금속 산화물이 일정 비율로 혼합된 나노 복합 소재가 세라믹 비드 표면에 코팅된 입자 형태의 필터 알갱이들이 충진 된 복수의 필터 카세트(431)들로 구성된다.
상기 나노 복합 소재를 구성하는 나노 결정 금속 산화물은 이산화티타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라믹 비드는 제올라이트, 활성탄소, 황토, 일라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고, 세라믹 비드 표면에 나노 복합 소재가 코팅되도록 하는 바인더는 실리카졸, 규산소다, 규산칼륨, 알루미늄옥사이드, 점토질 분말, PVA(Polyvinyl alcohol), PEO(Polyethylen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즉, 세라믹 비드(제올라이트, 활성탄소, 황토, 일라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 표면에 광촉매와 나노 결정 금속 산화물이 일정 비율로 혼합된 나노 복합 소재를 바인더(실리카졸, 규산소다, 규산칼륨, 알루미늄옥사이드, 점토질 분말, PVA(Polyvinyl alcohol), PEO(Polyethylen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를 이용해 코팅 처리하여 필터 알갱이를 제조하고, 필터 알갱이들이 충진 된 복수의 필터 카세트(431)들로 광 촉매형 하이브리드 필터(430)를 구성한다.
도 6을 참조하여 광 촉매형 하이브리드 필터(430)를 이용한 오존과 유해가스 성분 제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광 촉매형 하이브리드 필터(430)를 구성하는 필터 카세트(431)에 충진 된 필터 알갱이 표면에 존재하는 나노 복합 소재 중, 나노 결정 금속 산화물은 오존과 유해가스 성분을 흡착하는 성질이 있어, 미세먼지가 제거되고 살균된 공기에 포함된 오존과 유해가스 성분이 필터 알갱이 표면에 흡착된다.
오존과 유해가스 성분의 흡착이 진행될수록 필터 알갱이 표면에는 오존과 유해가스 성분 층이 생겨 필터 알갱이의 흡착 능력은 떨어지게 되는데, UV LED 램프(440)에서 자외선이 조사되면, 필터 알갱이 표면에 존재하는 나노 복합 소재 중, 광촉매가 활성화되어 필터 알갱이 표면에 흡착된 오존과 유해가스 성분이 분해되어 필터 알갱이의 흡착 능력이 다시 복원된다.
상기 UV LED 램프(440)는 광 촉매형 하이브리드 필터(430)의 광촉매 활성화를 위해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복수의 방열판(420)마다 설치되는 구성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UV LED 램프(440)는 광 촉매형 하이브리드 필터(430)를 향해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방열판(420) 양면 중, 광 촉매형 하이브리드 필터(430)의 대향면에 설치된다.
UV LED 램프(440)에서 자외선이 조사되면, 필터 알갱이 표면에 존재하는 나노 복합 소재 중, 광촉매가 활성화되어 필터 알갱이 표면에 흡착된 오존과 유해가스 성분이 분해되어 필터 알갱이의 흡착 능력이 다시 복원된다.
상기 공기 배출부(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정화부(400) 후단의 본체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어, 제2 정화부(400)에서 배출되는 정화 및 살균되고 오존과 유해가스 성분이 제거된 공기가 본체 하우징(1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 배출부(5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팬(520)을 회전시키는 모터(510)와,
제2 정화부(400)에서 배출되는 정화 및 살균되고 오존과 유해가스 성분이 제거된 공기가 팬 중앙으로 흡입되도록 중앙이 개방되고, 중앙으로 흡입된 공기가 팬 측면으로 배출되도록 측면이 개방되고, 모터(510)에 의한 팬 회전 시, 중앙으로 흡입된 공기가 팬 측면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팬 내부 둘레에 형성되는 터빈 구조의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는 배출 팬(5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510)는 배출 팬(520)을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모터(510)는 후술할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회전하여 배출 팬(520)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배출 팬(520)은 제2 정화부(400)에서 배출되는 정화 및 살균되고 오존과 유해가스 성분이 제거된 공기가 팬 중앙으로 흡입되도록 중앙이 개방되고, 중앙으로 흡입된 공기가 팬 측면으로 배출되도록 측면이 개방되고, 모터(510)에 의한 팬 회전 시, 중앙으로 흡입된 공기가 팬 측면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팬 내부 둘레에 형성되는 터빈 구조의 복수의 날개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배출 팬(520)이 회전하면, 회전하는 터빈 구조의 복수의 날개에 의해 형성된 흡입력에 의해 배출 팬(520) 중앙으로 정화 및 살균되고 오존과 유해가스 성분이 제거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터빈 구조의 복수의 날개 사이 공간으로 빠져나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배출 덕트(122) 측으로 방향이 전환되고, 방향이 전환된 정화 및 살균되고 오존과 유해가스 성분이 제거된 공기는 배출 덕트(122)를 통해 저면 프레임(110)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112) 측으로 이송이 안내된다.
상기 제어부(600)는 본체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 정화 및 살균을 위해 제1 정화부(300)와 제2 정화부(400)와 공기 배출부(500)의 동작을 제어하고, 동작 상태 정보를 오염도 감지수단(2000)으로 제공하는 구성이다.
즉, 제어부(600)는 오염도 감지수단(2000)에서 동작 신호가 제공되면, 제1 정화부(300)의 복수의 방전 와이어(320)에 (+) 전기가, 복수의 제1 먼지 포집판(330)과 복수의 제2 먼지 포집판(340)에는 (-) 전기가 인가되도록 하고, 제2 정화부(400)의 UV LED 램프(440)가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하고, 공기 배출부(500)의 모터(510)가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가 동작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동작 상태 정보를 오염도 감지수단(2000)으로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600)는 오염도 감지수단(2000)에서 정지 신호가 제공되면, 제1 정화부(300)의 복수의 방전 와이어(320)와 복수의 제1 먼지 포집판(330)과 복수의 제2 먼지 포집판(340)에 전기가 인가되지 않도록 하고, 제2 정화부(400)의 UV LED 램프(440)가 소등되도록 하고, 공기 배출부(500)의 모터(510)가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가 동작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동작 상태 정보를 오염도 감지수단(2000)으로 제공한다.
한편, 상기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는 외부의 공기가 본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도 2와 같이, 본체 하우징(100)의 함체(120) 일측에 연결되는 유입 덕트(7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유입 덕트(700)에는 오염도 감지수단(20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흡기 팬(71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가 동작 중, 실내 공간의 CO2 농도가 높은 경우, 환기를 위해 외부의 신선한 공기(CO2 농도가 낮은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유입시킬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환기를 위해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 중에 미세먼지, 세균, 유해가스 성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만일, 환기를 위해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직접 실내 공간으로 유입시키면 실내 공간의 청정도가 떨어지게 되고,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의 동작에 의한 실내 공간의 정화 및 살균 효과가 감소 될 수 있다.
따라서 환기를 위한 외부의 신선한 공기는 실내 공간으로 직접 유입시키지 않고,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 내부로 유입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구성이 흡기 팬(710)이 설치된 유입 덕트(700)이다.
유입 덕트(700)가 추가 구성되는 경우, 상기 오염도 감지수단(2000)은 실내 공간의 CO2 농도가 설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흡기 팬(710)이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흡기 팬(710)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 덕트(7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100)의 함체(120)에 형성된 연통로(123)에 연결된다.
따라서 유입 덕트(700)를 통해 외부의 신선한 공기(CO2 농도가 낮은 공기)가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 내부인 프리 필터(200)와 제1 정화부(3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외부의 신선한 공기는 프리 필터(200)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와 합쳐져 미세먼지 제거와 살균을 위해 제1 정화부(300)로 유입된다.
상기 오염도 감지수단(2000)은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가 설치되는 실내 공간에 단말기 형태로 설치되어 실내 공간의 오염도를 감지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감지한 오염도가 설정치 이상인 경우,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로 동작 신호를 제공하고, 동작 신호 제공 후, 실내 공간의 오염도가 설정치 이하인 경우,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로 정지 신호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상기 오염도 감지수단(20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이 구성된 단말기 형태의 구성으로, 오염도 감지수단(2000)이 감지하는 실내 공간의 오염도는 초미세먼지, 미세먼지, 휘발성 유기 화합물에 관한 오염도이다.
즉, 오염도 감지수단(2000)은 실내 공간의 초미세먼지 농도, 미세먼지 농도, 휘발성 유기 화합물 농도를 감지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 실내 공간의 초미세먼지 농도, 미세먼지 농도, 휘발성 유기 화합물 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치 이상인 경우,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로 동작 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오염도 감지수단(2000)은 실내 공간의 CO2 농도가 설정치 이상인 경우, 유입 덕트(700)에 설치된 흡기 팬(710)이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흡기 팬(710)으로 제공한다.
즉, CO2 농도 감지는 실내 공간 환기를 위한 흡기 팬(710) 동작 제어에 필요한 감지로,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 동작 제어와는 무관하며, 감지한 CO2 농도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오염도 감지수단(2000)은 동작 신호 제공 후, 초미세먼지 농도, 미세먼지 농도, 휘발성 유기 화합물 농도 모두가 설정치 이하가 되면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로 정지 신호를 제공하고, CO2 농도가 설정치 이하가 되면 유입 덕트(700)에 설치된 흡기 팬(710)으로도 정지 신호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서버(30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3000)는 건물 내 실내 공간마다 설치된 오염도 감지수단(2000)이 제공하는 오염도 정보를 이용해 실내 공간별 청정도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건물 내 실내 공간마다 설치된 오염도 감지수단(2000)이 제공하는 실내 공간의 오염도 정보와 공기 정화/살균 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를 이용해, 해당 실내 공간에 설치된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가 동작 중임에도 해당 실내 공간의 오염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실내 공간에 설치된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의 필터 교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리 서버(3000)가 추가 구성되는 경우, 상기 오염도 감지수단(2000)은 자신이 설치된 실내 공간의 오염도 정보와 실내 공간에 설치된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의 동작 상태 정보를 관리 서버(3000)로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관리 서버(3000)는 복수의 실내 공간마다 설치된 오염도 감지수단(2000)들이 각각 제공하는 해당 실내 공간의 오염도 정보를 이용해 실내 공간별 청정도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실내 공간별 청정도 통계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관리자가 실내 공간별로 청정도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3000)는 건물 내 실내 공간마다 설치된 오염도 감지수단(2000)이 제공하는 실내 공간의 오염도 정보와 공기 정화/살균 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를 이용해, 해당 실내 공간에 설치된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가 동작 중임에도 해당 실내 공간의 오염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실내 공간에 설치된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의 필터 교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필터 교체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관리자가 실내 공간별로 필터 교체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필터 교체를 인지한 관리자는 필터 교체 정보가 생성된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의 필터를 교체하게 되는데, 필터 교체가 완료될 때까지 해당 실내 공간은 원하는 청정도로 유지될 수 없게 된다.
즉, 필터 교체 시점까지 해당 실내 공간의 청정도 유지를 위한 방안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관리 서버(3000)는 필터 교체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사전 저장된 건물 설계도면 정보를 이용해 필터 교체가 필요한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가 설치된 실내 공간에 이웃한 실내 공간이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웃한 실내 공간이 있으면, 이웃한 실내 공간에 설치된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가 동작 중인지를 파악하여 동작 중이 아니면 동작시키고, 필터 교체가 필요한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가 설치된 실내 공간과 이웃한 실내 공간을 연통시켜 필터 교체가 필요한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가 설치된 실내 공간의 청정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필터 교체가 필요한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가 설치된 실내 공간의 청정도 유지를 위한 상기 연통은 필터 교체가 필요한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가 설치된 실내 공간과 이웃한 실내 공간을 구분 구획하는 벽면에 설치된 흡기 팬과 배기 팬을 동작시키는 것이거나, 필터 교체가 필요한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가 설치된 실내 공간과 이웃한 실내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 덕트를 개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도 9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01~#3 실내 공간에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와 오염도 감지수단(2000)이 설치 운영되던 중, #01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가 동작 중임에도 #01 실내 공간의 오염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파악되는 경우, 관리 서버(3000)는 #01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의 필터 교체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01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의 필터 교체 정보를 생성한 관리 서버(3000)는 필터 교체가 필요한 공기 정화/살균 장치가 설치된 #01 실내 공간에 이웃한 실내 공간이 있는지를 사전 저장된 건물 설계도면 정보를 이용해 파악하고, 도 9처럼 이웃한 #02 실내 공간이 있으면, #02 실내 공간에 설치된 #02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가 동작 중인지를 파악하고, 동작 중이 아니면, #02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실내 공간(#01)과 실내 공간(#02) 사이 벽면에 설치된 연통 덕트를 개방하거나 실내 공간(#01)과 실내 공간(#02) 사이 벽면에 설치된 흡기 팬과 배기 팬을 동작시켜 필터 교체가 필요한 공기 정화/살균 장치가 설치된 #01 실내 공간과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공기 정화/살균 장치가 설치된 #02 실내 공간을 상호 연통시켜, 필터 교체가 필요한 공기 정화/살균 장치가 설치된 #01 실내 공간의 청정도를 유지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주 내에서 변형한 것까지 포함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한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및 살균 시스템
1000 : 공기 정화/살균 장치
200 : 프리 필터
300 : 제1 정화부
400 : 제2 정화부
500 : 공기 배출부
600 : 제어부
700 : 유입 덕트
2000 : 오염도 감지수단
3000 : 관리 서버

Claims (10)

  1.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및 살균 시스템에 있어서,
    실내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실내 공기를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해 정화 및 살균하여 배출하고, 동작 상태 정보를 오염도 감지수단(2000)으로 제공하도록, 건물 내 실내 공간마다 설치되는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와;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가 설치되는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실내 공간의 오염도를 감지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감지한 오염도가 설정치 이상인 경우,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로 동작 신호를 제공하고, 동작 신호 제공 후, 실내 공간의 오염도가 설정치 이하인 경우,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로 정지 신호를 제공하는 오염도 감지수단(2000)을 포함하되,

    상기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는,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정화 및 살균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본체 하우징(100)과;
    본체 하우징(100) 표면에 설치되어, 본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일정 입자 크기 이상의 먼지를 거르는 프리 필터(200)와;
    프리 필터(200) 후단의 본체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전기 집진을 이용해 제거하고,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세균을 오존을 이용해 살균하는 제1 정화부(300)와;
    제1 정화부(300) 후단의 본체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어, 미세먼지가 제거되고 살균된 공기에 포함된 오존과 유해가스 성분을 제거하는 제2 정화부(400)와;
    제2 정화부(400) 후단의 본체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어, 제2 정화부(400)에서 배출되는 정화 및 살균되고 오존과 유해가스 성분이 제거된 공기가 본체 하우징(1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력을 제공하는 공기 배출부(500)와;
    본체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 정화 및 살균을 위해 제1 정화부(300)와 제2 정화부(400)와 공기 배출부(500)의 동작을 제어하고, 동작 상태 정보를 오염도 감지수단(2000)으로 제공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100)은,
    프리 필터(200)가 설치되고,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정화 및 살균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실내 공간 측으로 노출되는 저면 프레임(110)과,
    제1 정화부(300)와 제2 정화부(400)와 공기 배출부(500)와 제어부(600)가 내부에 설치되고, 벽이나 천장에 매립 설치되는 함체(120)를 포함하고,

    상기 저면 프레임(110)은,
    프리 필터(200)가 설치되고, 실내 공기가 프리 필터(200)를 통해 유입될 수 있도록 저면 프레임(110) 중앙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구(111)와,
    정화 및 살균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저면 프레임(110)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기 배출구(112)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120)는,
    제1 정화부(300)와 제2 정화부(400)와 공기 배출부(500)와 제어부(600)가 설치되는 설치 공간(121)과,
    공기 배출부(500)가 제공하는 배출력에 의해 제2 정화부(400)에서 배출되는 정화 및 살균된 공기가 저면 프레임(110)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배출구(112)로 이송되어 배출되도록 설치 공간(121) 주변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출 덕트(122)와,
    프리 필터(200)와 제1 정화부(300)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유입 덕트(700)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로(123)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배출 덕트(122) 끝단은 복수의 공기 배출구(112)에 각각 연결되고,
    복수의 공기 배출구(112) 끝단과 복수의 배출 덕트(122) 끝단에는 공기 배출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병목 구조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및 살균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는,
    실내 공간 외부의 공기가 본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본체 하우징(100)의 함체(120) 일측에 연결되는 유입 덕트(7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입 덕트(700)에는 오염도 감지수단(20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흡기 팬(710)이 설치되고,
    상기 오염도 감지수단(2000)은 실내 공간의 CO2 농도가 설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흡기 팬(710)이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흡기 팬(710)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및 살균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정화부(300)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도록 전면 개방구(311)와 후면 개방구(312)가 형성되고, 전면 개방구(311)가 본체 하우징(100)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111)에 인접 위치하는 제1 정화 하우징(310)과,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대전을 위해, 제1 정화 하우징(310)의 전면 개방구(311) 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방전 와이어(320)와,
    복수의 방전 와이어(320)에 의해 대전 된 미세먼지의 포집을 위해, 복수의 방전 와이어(320) 후방의 제1 정화 하우징(310) 내측에 열 배치 타입으로 설치되어 (-) 전기가 인가되는 복수의 제1 먼지 포집판(330)과,
    먼지 포집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복수의 제1 먼지 포집판(330) 사이마다 열 배치 타입으로 설치되어 (-) 전기가 인가되되, 제1 먼지 포집판(330) 높이보다 낮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2 먼지 포집판(3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및 살균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정화부(400)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도록 전면 개방구(411)와 후면 개방구(412)가 형성되고, 전면 개방구(411)가 제1 정화부(300)의 후면 개방구(312)에 결합 되는 제2 정화 하우징(410)과,
    UV LED 램프(44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해, 제2 정화 하우징(410)의 전면 개방구(411) 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방열판(420)과,
    전면 개방구(411)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존과 유해가스 성분이 흡착되어 소멸되도록, 복수의 방열판(420) 후방의 제2 정화 하우징(410) 내부에 설치되는 광 촉매형 하이브리드 필터(430)와,
    광 촉매형 하이브리드 필터(430)의 광촉매 활성화를 위해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복수의 방열판(420)마다 설치되는 UV LED 램프(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및 살균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부(500)는
    배출 팬(520)을 회전시키는 모터(510)와,
    제2 정화부(400)에서 배출되는 정화 및 살균되고 오존과 유해가스 성분이 제거된 공기가 팬 중앙으로 흡입되도록 중앙이 개방되고, 중앙으로 흡입된 공기가 팬 측면으로 배출되도록 측면이 개방되고, 모터(510)에 의한 팬 회전 시, 중앙으로 흡입된 공기가 팬 측면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팬 내부 둘레에 형성되는 터빈 구조의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는 배출 팬(5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및 살균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건물 내 실내 공간마다 설치된 오염도 감지수단(2000)이 제공하는 오염도 정보를 이용해 실내 공간별 청정도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건물 내 실내 공간마다 설치된 오염도 감지수단(2000)이 제공하는 실내 공간의 오염도 정보와 공기 정화/살균 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를 이용해, 해당 실내 공간에 설치된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가 동작 중임에도 해당 실내 공간의 오염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실내 공간에 설치된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의 필터 교체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서버(30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염도 감지수단(2000)은 자신이 설치된 실내 공간의 오염도 정보와 실내 공간에 설치된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의 동작 상태 정보를 관리 서버(300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및 살균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3000)는,
    필터 교체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사전 저장된 건물 설계도면 정보를 이용해 필터 교체가 필요한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가 설치된 실내 공간에 이웃한 실내 공간이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웃한 실내 공간이 있으면, 이웃한 실내 공간에 설치된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가 동작 중인지를 파악하여 동작 중이 아니면 동작시키고, 필터 교체가 필요한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가 설치된 실내 공간과 이웃한 실내 공간을 연통시켜 필터 교체가 필요한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가 설치된 실내 공간의 청정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및 살균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필터 교체가 필요한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가 설치된 실내 공간의 청정도 유지를 위한 상기 연통은,
    필터 교체가 필요한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가 설치된 실내 공간과 이웃한 실내 공간을 구분 구획하는 벽면에 설치된 흡기 팬과 배기 팬을 동작시키는 것이거나,
    필터 교체가 필요한 공기 정화/살균 장치(1000)가 설치된 실내 공간과 이웃한 실내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 덕트를 개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및 살균 시스템.
KR1020220048192A 2022-04-19 2022-04-19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및 살균 시스템 KR102454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192A KR102454605B1 (ko) 2022-04-19 2022-04-19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및 살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192A KR102454605B1 (ko) 2022-04-19 2022-04-19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및 살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4605B1 true KR102454605B1 (ko) 2022-10-17

Family

ID=83809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192A KR102454605B1 (ko) 2022-04-19 2022-04-19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및 살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60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3155B2 (ja) * 2009-08-24 2012-02-22 マックス株式会社 空気清浄機
KR101594142B1 (ko) * 2015-04-29 2016-02-16 주식회사 랩죤 사물인터넷 기반의 오존살균 공기정화 시스템
KR20180126943A (ko) * 2017-05-19 2018-11-28 전자부품연구원 Uv led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49056B1 (ko) 2019-11-29 2020-08-28 주식회사 디케이인텍스 공기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공기정화 방법
KR102172150B1 (ko) 2020-07-24 2020-10-30 (주)구츠 살균유닛 프레임의 착탈용이성 및 청정외기도입구조를 갖는 IoT 스마트 공기정화장치
KR20210142252A (ko) 2020-05-18 2021-11-25 이예찬 복합살균식 공기 살균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3155B2 (ja) * 2009-08-24 2012-02-22 マックス株式会社 空気清浄機
KR101594142B1 (ko) * 2015-04-29 2016-02-16 주식회사 랩죤 사물인터넷 기반의 오존살균 공기정화 시스템
KR20180126943A (ko) * 2017-05-19 2018-11-28 전자부품연구원 Uv led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49056B1 (ko) 2019-11-29 2020-08-28 주식회사 디케이인텍스 공기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공기정화 방법
KR20210142252A (ko) 2020-05-18 2021-11-25 이예찬 복합살균식 공기 살균기
KR102172150B1 (ko) 2020-07-24 2020-10-30 (주)구츠 살균유닛 프레임의 착탈용이성 및 청정외기도입구조를 갖는 IoT 스마트 공기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9323B1 (en) System for cleaning air and method for using same
KR101594142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오존살균 공기정화 시스템
KR100503258B1 (ko) 실내공기의 살균 정화기
KR100665475B1 (ko) 공기 정화기능을 갖춘 순수 음이온 발생 환기유닛
US20080031783A1 (en) Photocatalytic fabric
KR20200107336A (ko) 다기능성의 공기 청정기
KR102275945B1 (ko) 건축물,병원,학교,군대의 막사,공장,동물을 사육하는 축사,식물을 재배하는 농장,사무실,지하주차장,지하철에 존재하는 비중이 가벼운 유해물질성 물질분자와 미세먼지제거 기능, 세균 및 바이러스 살균기능, 습도조절기능, 산소 및 음이온 발생 기능을 발휘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여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다기능 공기 정화시스템
EP2959232B1 (en) Device for air filtration and purification
KR20050013858A (ko) 공기청정장치 및 공기청정방법
WO2021240526A1 (en) Multi-function air purifing and sterilizing system
KR101043967B1 (ko) 출입구 공기 정화장치
KR102278240B1 (ko) 축광성 광촉매 반응기가 구비되는 공기청정기 시스템
JP2018110689A (ja) 互換性を有する通気継手で連結した清浄・浄化システム
KR102454605B1 (ko) 전기 집진과 오존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및 살균 시스템
CN113531743A (zh) 一种室内空气净化装置
JPH1147635A (ja) 空気清浄化装置
JP2002369868A (ja) 空気清浄装置
CN212204888U (zh) 一种感染科病房灭菌换气装置
CN211876228U (zh) 一种空气消毒净化装置
WO2022036293A1 (en) Device containing air detection, filtering, disinfecting and conditioning elements with display
JP2004057298A (ja) 空気清浄システム
JP2000055432A (ja) 空気清浄装置
JP3103406U (ja) 病院用空気浄化設備
KR20210059095A (ko) 다공성 세라믹 유전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발생장치
KR102521537B1 (ko) 다중이용시설 방역 공조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