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693B1 -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uos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uos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693B1
KR102450693B1 KR1020220064542A KR20220064542A KR102450693B1 KR 102450693 B1 KR102450693 B1 KR 102450693B1 KR 1020220064542 A KR1020220064542 A KR 1020220064542A KR 20220064542 A KR20220064542 A KR 20220064542A KR 102450693 B1 KR102450693 B1 KR 102450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uos1
lactobacillus paracasei
culture
antibac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4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호삼
백준석
윤성건
최용준
정선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비오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비오,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비오
Priority to KR1020220064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693B1/ko
Priority to PCT/KR2023/006893 priority patent/WO202322930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1/00Disinfectants; Antimicrobial compounds or mixtur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3/00Fungic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i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UOS1 균주에 관한 것으로, 이의 배양물, 파쇄물, 추출물 또는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UOS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A LACTOBACILLUS PARACASEI UOS1 STRAIN AND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UOS1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에는 다양한 미생물들이 존재하며 대부분은 인간에 해를 미치지 않지만 리스테리아 모노키토게네스, 살모넬라 속, 황색 포도상구균과 일부 병원성 대장균같은 세균이나 칸디다 알비칸스 같은 진균은 기회적 병원체로서 인간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최근 화장품에는 천연 성분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미생물에 의한 오염이 쉽게 발생하게 되어 변색, 변취, 점도 및 pH 변화 등 품질저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화장품은 고분자성 지질이나 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기타 여러 가지 물질들이 혼합되어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물질들 중 미생물의 탄소원이 되는 글리세린이나 소르비톨 등이 함유되어 있고, 질소원으로 아미노산 유도체 및 단백질 등이 배합된 것이 많아 탄소원 및 질소원을 매개체로 하는 세균과 곰팡이 등이 쉽게 번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장품은 사용에 따른 미생물 오염에 취약하므로 화장품을 장기간 보호하기 위해서는 방부제가 사용될 수 밖에 없으며, 화장품은 피부에 반복적으로 사용되므로 생체 안전성이 우수하고 피부 자극이 적은 방부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화장품을 포함하는 다양한 제품에 있어서 미생물에 대한 적절한 방부 시스템은 제품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화장품, 약물 및 가공식품 등에 널리 사용되어 온 방부제인 파라벤류는 그람양성균 및 그람음성균에 대한 항균력의 스펙트럼이 넓고 효과적이어서 오랜 기간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파라벤류는 체내 호르몬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유방암 등 발암에 관한 문제로 최근 사용의 제한과 논란이 꾸준히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합성원료는 뛰어난 항균 활성이 있으나, 피부염, 알러지 및 호르몬 분비 이상 등을 유발할 수 있고 생분해가 되지 않고 피부에 잔류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어, 합성원료를 대체할 수 있는 안전하고 항균력이 우수한 대체 소재의 발굴 및 제품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합성 방부제를 대체하기 위한 천연 방부제는 잇꽃 추출물, 자몽 추출물, 히노키티올(hinokitol), 마그놀롤(magnolol)과 같은 식물 추출물이 있으나, 이는 생산 단가가 높아 대중적으로 사용되기 어려우며 방부 효능이 낮아 미생물이 번식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독성이 없고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천연항균물질을 생산하는 미생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의약품 분야에서는 화학기반의 항생제를 생물유래 물질로 전환하거나 미생물 자체 혹은 미생물 대사산물을 이용한 항균제 시장 진출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는 미생물의 경우 서식환경에서의 생존 및 우점을 위한 대사물질을 분비하는데 이러한 대사물질은 다른 미생물 개체의 생장을 저해하거나 사멸하는 효능을 지니고 있다.
미생물에 의해서 생산된 항균 활성을 가지는 대사 물질에는 biosurfactant, bacteriocin 등이 있으며(Jiang et al., 2012; Sharma and Saharan, 2014), 이외에도 미생물에 의해서 생산된 항균, 항진균 물질인 다양한 효소 및 siderophore 등이 보고되었다(Nagarajkumar et al., 2004).
이러한 미생물 유래 대사산물은 화학 합성 성분과 유사한 구조 및 효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천연물로써 현재 여러 위해성이 존재하는 화학 합성 성분의 대체물질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조작이 쉽고 대량 배양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성 및 효용성 측면에서 장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3개월 이상 숙성된 배추 김치로부터 분리한 미생물을 배양하고 연구한 결과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하는 대사산물을 생산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며, 넓은 범위의 pH에서도 안정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90820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67990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합성 방부제를 대체할 수 있는 생체 안전성이 및 항균 활성이 우수한 새로운 균주에서 유래한 천연 항균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탁번호 KACC 81213B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UOS1 균주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시트르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및 초산(acetic acid) 생산능을 가지고, 상기 시트르산, 젖산, 및 초산을 35 내지 40 : 15 내지 20 : 44 내지 46의 중량비로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균주, 이의 배양물, 파쇄물, 추출물 또는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및 아스페르길루스 브라질리엔시스(Aspergillus brasiliensi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pH 4.0 내지 9.0 범위에서 항균 활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수탁번호 KACC 81213B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UOS1 균주를 전배양하는 단계; (b) 상기 균주를 배양 배지에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및 (c) 균주를 제거하고 상등액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균주의 대사 산물은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의약품, 식품 및 화장품에 첨가되어 상기 제품의 보존 기간을 증가시키는 방부제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균주의 대사 산물을 포함하는 배양액은 넓은 범위에서 pH에서도 안정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내므로 다양한 종류의 제품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인체에 대한 독성이 낮고 항균 효과가 우수하므로 종래의 합성 방부제를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USO1 균주에 대한 16s rDNA 염기 서열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UOS1 균주 배양액에 대한 성분 분석 결과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UOS1 균주 배양액의 항균 활성을 평가한 결과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탁번호 KACC 81213B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UOS1 균주가 제공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UOS1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NRIC 1938균주와 98.11%의 16s rDNA 염기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신규 유산균이다.
본 발명자들은 장시간 숙성된 배추 김치로부터 상기 균주를 분리하였고, 그 중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며, 넓은 범위의 pH에서도 안정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UOS1 균주를 분리하였다.
상기 균주는 대사 산물로서 시트르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및 초산(acetic acid) 등의 유기산을 생산하여 화장품이나 식품에 대한 미생물 생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이와 더불어 다양한 미생물 증식 저해 물질을 통해 오염 원인균, 병원성균, 부패균의 생육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UOS1 균주는 대사산물로 시트르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및 초산(acetic acid)을 최적의 비율로 생산하여 항균 활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UOS1 균주는 상기 시트르산, 젖산, 및 초산을 35 내지 40 : 15 내지 20 : 44 내지 46의 중량비로 생산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최적의 항균 활성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배지 최적화 기술을 통해 상기 균주를 최적의 조건에서 배양하고, 배양에 따른 대사 산물을 분석하였으며 배양액이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의 생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균주, 이의 배양물, 파쇄물, 추출물 또는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균주의 대사 산물은 여러 종류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 등이 천연 항균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될 수 있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파쇄물, 추출물 또는 정제물을 포함하며, 유기산 등의 미생물 억제 대사 산물을 포함하므로 뛰어난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배양물은 상기 균주를 배양하여 수득된 배양물 자체, 또는 이로부터 균주를 제거하여 수득된 배양 상층액, 또는 배양 상층액의 농축물 또는 동결건조물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양물은 (a) 수탁번호 KACC 81213B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UOS1 균주를 전배양하는 단계; (b) 상기 균주를 배양 배지에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및 (c) 균주를 제거하고 상등액을 회수하는 단계;를 통해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배양물은 상기 균주를 글루코오스, 락토오스, 프룩토오스, 만노오스, 갈락토오스, 자일로스, 리보오스,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덱스트린, 글리세린, 및 이눌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탄소원; 및 대두단백 가수분해물, 탈지분유, 질산칼륨, 질산암모늄, 황산암모늄, 옥살산암모늄, 및 인산이암모늄 이눌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질소원을 포함하는 배지에 상기 균주를 배양시켜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배양 배지에서 사용되는 탄소원 또는 질소원은 예컨대, 약 0.1 내지 30 w/v%, 1 내지 25 w/v%, 1 내지 20 w/v%, 1 내지 10 w/v%, 1 내지 5w/v%, 또는 1 내지 1.5 w/v%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배양 배지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염은 예컨대 질산칼륨, 황산칼륨, 탄산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및 질산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염은 예컨대, 약 0.001 내지 10 w/v%, 0.1 내지 7 w/v%, 또는 0.5 내지 5 w/v%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배양 배지는 약 0.01 내지 10 w/v%, 0.05 내지 5 w/v%, 또는 0.1 내지 2 w/v%의 효모 자가 용해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양 배지는 약 2.0 내지 7.0의 pH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배양물은 상기 균주를 예컨대, 약 20 내지 42℃, 약 25 내지 35 ℃, 또는 약 27 내지 30 ℃ 의 온도 조건 하에 예컨대 약 24내지 144시간, 48 내지 120시간, 또는 15 내지 96시간 동안 배양하여 수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균주의 배양 조건은 배지에서 상기 균주를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발효시키는 단계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발효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방법은 유가식(fed batch) 발효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분리된 상기 균주의 배양물을 여러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파쇄물은 상기 균주의 배양물로부터 균주를 분리한 후 기계적인 방법(mechanical methods) 또는 비기계적인 방법(nonmechanical methods)을 통해 세포벽 또는 세포막을 파쇄시키고 세포 내 생성물(intracellular products)을 방출시켜 수득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정제물은 상기 균주를 배양하고 발효 과정이 완료된 액체 배지 또는 이로부터 유효성분을 성분을 추출 및 정제하여 수득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을 타나낼 수 있으며, 예컨대 대장균(Escherichia coli),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및 아스페르길루스 브라질리엔시스(Aspergillus brasiliensi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pH 4.0 내지 9.0 범위에서 항균 활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넓은 범위의 pH 변화에도 불구하고 항균 활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여러 형태로 제형화된 화장료 제품뿐만 아니라 식품이나, 피부 외용제 등 다양한 제품에 대한 적용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가 제공된다.
상기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형화될 수 있다. 피부 외용제의 제형화에 있어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고,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화에 있어서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6th ed.,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1995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의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의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의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 등의 메이크업 제거제; 또는 클렌징 폼, 비누, 바디워시 등의 세정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피부 외용제는,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 필수성분 외에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고, 스프레이의 경우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이 용액 또는 유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사용될 수 있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브틸글리콜 오일이 사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이 현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 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은 최종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에 따라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 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조제 및 그 혼합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김치로부터 유산균의 분리 동정
3개월 이상 숙성된 배추김치 10g을 분쇄하여 수득된 시료로부터 액상부분만을 분리한 시료 1 mL을 취하여, 멸균증류수를 이용하여 십진희석법으로 희석 후 100 ㎕를 MRS 고체 배지(1% 펩톤, 1% 비프 추출물, 0.4% 효모 추출물, 2% 글루코오스, 0.5% 아세트산나트륨 수화물, 0.1% tween 80, 0.2% 제일인산칼륨, 0.2% 트리암모늄구연산, 0.02% 황산마그네슘, 0.005% 황산망간제일수화물, 1.5% 한천)에 도말하고 30℃에서 3일 동안 정치 배양하였다.
배양 후 형성된 단일 콜로니를 취하여 동일 배지에 획선평판법으로 분리 접종 후 30 ℃에서 3일간 배양하여 순수 단일종을 수득하였다.
분리된 단일 균주를 MRS 액체배지 3 mL에 접종하여 30 ℃에서 2일간 진탕 배양하고 배양된 균체액을 80% glycerol solution과 1:1(v/v)로 혼합하여 초저온냉동고(-80℃)에 보관하며, 필요에 따라 재 접종하여 추후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시예 : 분리한 균주의 동정
분리한 상기 균주의 분류학적 동정을 위하여 하기와 같이 16s rDNA 염기 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리한 균주의 16s rDNA 유전자의 증폭
배추 김치로부터 순수 배양된 상기 균주의 단일 콜로니를 MRS 액체 배지(3 mL)에 접종하여 30 ℃에서 3일 동안 진탕 배양하였다.
그 후, 배양액을 13,000rpm, 4℃에서 3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DNA isolation kit(Intron lifetechnology) 및 상기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균주세포로부터 염색체 DNA(gDNA)를 추출하고, 추출된 DNA를 주형으로 하여 하기 표 1에 기재된 염기 서열을 갖는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16s rDNA 염기 서열을 증폭하였다.
구분 서열(5'-3')
서열번호 1 agagtttgatcmtggctcag
서열번호 2 tacggytaccttgttacgactt
구체적으로, 1 μL의 추출한 DNA용액, 1 μL의 프라이머 혼합액(10 pmole / μL) 및 18 μL의 멸균증류수를 각각pfu polymerase PCR mix(Bioneer)에 첨가한 후, T-100 Thermal cycler DNA 증폭기(Bio-rad)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PCR은 95℃에서 5분 동안 반응시킨 후, 95℃ 30초, 60℃ 30초 및 72℃ 3분의 반응과정을 25회 반복함으로써 수행되었다.
수득된 PCR 산물을 1% 아가로오스 겔에서 120V의 전압을 걸어 20분 동안 전기영동하여 확인하고, 약 1.5 kb길이의 DNA증폭물을 잘라내어 DNA fragment purification kit(Intron lifetechnology)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16s rDNA 염기 서열 분석
수득한 상기 16s rDNA유전자의 염기서열을 판별하기 위하여 주식회사 바이오닉스에 의뢰하고 판독된 16s rDNA염기서열(서열번호 3)을 NCBI의 BLAST program(http://blast.ncbi.nlm.nih.gov/Blast.cgi)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배추김치에서 분리한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NRIC 1938 균주와 98.11%의 상동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1).
이에 식물 유래 신규 유산균으로써 상기 분리 균주를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UOS1로 명명하고 2022년 5월 10일 자로 국립농업과학원 미생물은행(KACC)에 수탁번호 81213BP로 기탁하였다.
[서열번호 3]
tagagttatgatcatggctcaggatgaacgctggcggcgtgcctaatacatgcaagtcgaacgagttctcgttgatgatcggtgcttgcaccgagattgaacatggaacgagtggcggacgggtgagtaacacgtgggtaacctgcccttaagtgggggataacatttggaaacagatgctaataccgcatagatccaagaaccgcatggttcttggctgaaagatggcgtaagctatcgcaaaaggatggacccgcggcgtattagctagggggtgaggtaatggctcaccaaggcgatgatacgtagccgaactgagaggttgatcggaaacattgggactgagacacggcccaaactcctacgggaggcagcagtagggaatcttccacaatggacgcaagtctgatggagcaacgccgcgtgagtgaagaaggctttcgggtcgtaaaactctgttgttggagaagaatggtcggcagagtaactgttgtcggcgtgacggtatccaaccagaaagccacggctaactacgtgccagcagccgcgggtaatacgtaggtgccaagcgttatccggatttattgggcgtaaagcgagcgcaggcggtttcccaagtctgatgtgaaagccctcggcttaaccgaggaagcgcatcggaaactgggaaacttgagtgcagaagaggacagtggaactccatgtgtagcggtgaaatgcgtagatatatggaagaacaccagtggcgaaggcggctgtctggtctgtaactgacgctgaggctcgaaagcatgggtagcgaacaggattagataccctggtagtccatgccgtaaacgatgaatgctaggtgttggagggtttccgcccttcagtgccgcagctaacgcattaagcattccgcctggggagtacgagggcaaggttgaaactcagaggaattgacgggggcccgcacaagcggtggagcatgtggtttaattcgaagcaacgcgaagaaccttaccaggtcttgacatcaaaagatcacctgagagatcaggtttccccttcgggggcaaaatgacaggtggtgccaggttgtcgtcagctcgtgtcgtgagatgatgggttaagtcccgcaacgagcgcaacccttatgactagttgccagcatttagttgggcactctagtttgactgccggtgacaaaccggaggaaggtggggatgacgtcaaatcatcatgccccttatgacctgggctacacacgtgctacaatggatggtacaacgagttgcgagagggcgaggtcaagctaatctcttaaagccattctcagttcggactgtaggctgcaactcgcctacacgaagtcggaatcgctagtaatcgcggatcagcacgccgcggtgaatacgttcccgggccttgtacacaccgcccgtcacaccatgagagtttgtaacacccgaagccggtggcgtaacccttttagggagcgagccgtctaaggtgggacaaatgattagggtgaagtcgtaacaaggtagccgta
실시예 : 균주 배양물 및 발효 정제물 제조
배양물 제조
상기 동정 미생물은 발효를 통해 유기산 등 미생물 생장 억제 물질을 생성하여 세포 외로 분비하므로, 상기 미생물을 배양하고 이로부터 배양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동정 미생물의 적정 배양 배지 조건은 글루코오스 또는 락토오스 1 내지 1.5 w/v%, 탈지분유(skim milk) 또는 대두단백 가수분해물은 1 내지 7 w/v%, 효모 자가분해물 yeast extract 0.2 내지 0.4 w/v%, malt extract 0.001 내지 0.4 w/v%, 각각의 무기염류는 0.001 내지 1.5 w/v% 로 포함하고, 121 ℃에서 15분간 멸균하여 사용하였다.
제조한 배양액으로25 내지 35 ℃에서 200rpm으로 48시간 내지 96시간 배양한 후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고, 12,000rpm으로 15분 내지 30분간 분리 한 상등액을 0.22 μm 멤브레인 필터를 사용하여 제균 후 회수하였다.
배양 정제물 제조
회수 및 여과한 배양액을 불순물 제거제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불순물 제거제 종류로는 활성탄, 이온교환수지, 백토, 마그네슘실리케이트, 규조토, 귤껍질 및 레몬껍질 등이 있다.
불순물 제거제 사용량은 회수한 배양액 대비 0.1% 내지 10% 를 투입하여 25 내지 35 ℃에서 20분 내지 90분간 교반한 후 0.22 μm 멤브레인 필터를 사용하여 제균 후 회수하였다.
비교예 1: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actobacillus paracasei ) 발효 정제물 제조
시중에서 구득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단일 균주를 121 ℃에서 15분간 멸균한 MRS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25 내지 35℃에서 200rpm으로 48시간 내지 96시간 배양한 후 원심분리기에서 12,000rpm으로 15분 내지 30분간 분리한 상등액을 0.22 μm 멤브레인 필터를 사용하여 제균 후 회수하였다.
회수한 배양액을 불순물 제거제를 사용하여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 후 회수하였다.
비교예 2: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 ) 발효 정제물 제조
시중에서 구득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단일 균주를 사용하여 비교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배양 및 회수하였다.
비교예 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actobacillus plantarum ) 발효 정제물 제조
시중에서 구득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단일 균주를 사용하여 비교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배양 및 회수하였다.
실험예 1: 균주 배양물 성분 분석
실시예에서 수득한 배양물에 포함된 성분을 하기와 같이 분석하였다.
상기 배양물에 대하여 1:1 비율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0.2 μm 멤브레인 필터를 사용하여 분석하기 위한 시료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액에 포함된 성분을 HPLC(Waters Alliance HPLC 2695, USA) 시스템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컬럼은 MetaCarb 87H(250 × 4.6 mm, Agilent)를 사용하였다. 검출기는 PDA(Photodiode Array Detector)를 사용하였다.
시료를 컬럼 내 10 μL 주입하여 Flow rate 는 0.5 mL/min로 검출하였다.
220nm 파장(Wavelength)으로 분석하였고, 시료 및 오븐의 온도는 25℃로 유지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추출 용매 피크를 제외하고 3개의 피크 머무름 시간(Retention time)에서 가장 높은 농도의 물질이 검출되었고, 이를 선택적 이온 모니터링 모드 및 Agilent MassHunter 워크스테이션 소프트웨어에 포함된 화합물의 라이브러리를 통해 분석한 결과 검출된 피크는 시트르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및 초산(acetic acid)으로 확인되었다.
시트르산, 젖산 및 초산 각 물질별 일정 농도의 용해액을 제조하여 분석 후 시료 분석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시료 내 시트르산, 젖산 및 초산의 함량을 확인하였다(표 2).
구분 시트르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초산(Acetic acid)
실시예 0.7 0.3 0.8
비교예 1 0.1 1.0 0.5
비교예 2 0.05 1.1 0.3
비교예 3 0.2 0.6 0.6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대한 성분 분석을 진행한 결과 시트르산은 0.7%, 젖산은 0.3%, 초산은 0.8% 로 분석되었다.
반면, 비교군의 경우에는 성분마다 미차가 있으나 시트르산은 0.05 내지 0.2% 수준, 젖산은 0.6 내지 1.5% 수준, 초산은 0.3 내지 0.6% 수준으로 분석되어, 유기산 비율이 상이하였다.
실험예 2: 항균력 평가
실시예에서 수득한 균주 배양물의 최소저해농도(MIC) 및 최소사멸농도(MBC)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2에 사용된 방법은 임상검사표준연구소(CLSI)의 M07-A9 및 M27방법을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에서 수득한 균주 배양물을 96 well plate 를 이용하여 각 well 당 100 ul 의 부피가 되도록 멸균수를 이용하여 2배 희석법으로 배양물 농도를 희석하였다.
희석한 배양물에 1.0 내지 9.0 × 105 CFU/mL로 현탁한 E. coli, S. aureus, P. aeruginosa 균주를 처리구 배양물이 있는 well에 각각 100 μL 씩 접종하였다.
C. albicansA. brasiliensis 는 1.0 내지 9.0 x 104 CFU / mL로 현탁한 현탁액으로 배양물이 있는 well에 각각 100 μL씩 접종하였다.
실험예 2에서 사용된 각각의 균주는 최적생장배지 및 최적생장온도에서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E. coli, S. aureus, P. aeruginosa 는 시중에 유통되는 difco사의 TSB 배지(Tryptic Soy Broth)를 121℃에서 15분간 멸균하여, 37℃ 배양기에 24시간 진탕 배양하여 수득한 배양물을 사용하였다.
C. albicans 는 멸균 증류수에 glucose 4%, peptone 1%를 첨가하여 멸균한 배양물에 30℃ 배양기에 48시간 진탕 배양하여 수득한 배양물을 사용하였다.
A. brasiliensis 는 시중에 유통되는 difco사의 PDB 배지(Potato Dextrose Broth)를 멸균하여, 30℃ 배양기에 48시간 진탕 배양하여 수득한 배양물을 사용하였다.
현탁 방법은 각 균주에 사용한 최적 배지로 희석하여 제조하였다.
접종이 완료 된 96 well plate는 각 균주별 최적생장온도에서 24시간 혹은 48시간 정치 배양 후 탁도를 확인하고, 탁도가 보이지 않는 well의 배양물 농도를 균의 생장이 저해되는 최소의 농도인 MIC로 결정하였다.
MIC 농도 결정 이후, 각 균주 별 최적생장배지에 agar를 1.5% 첨가하여 petri dish에 굳힌 평판배지에 각 20 μL씩 도말하여 균주별 최적생장온도에서 24시간 혹은 48시간 배양 후 균의 생장이 보이지 않은 최소 농도를 MBC로 결정하였다.
실시예에서 수득한 시료를 5종의 미생물에 대한 MIC와 MBC를 측정한 결과는 표 3, 및 도 3, 4에 나타내었다.
구분 MIC MBC
실시예 E. coli ≤1.0% ≤1.0%
S. aureus ≤1.0% ≤1.0%
P. aeruginosa ≤1.0% ≤1.0%
C. albicans ≤1.0% ≤1.0%
A. brasiliensis 2.0% 2.0%
비교예 1 E. coli 15% 15%
S. aureus 25% 25%
P. aeruginosa 15% 15%
C. albicans 30% 40%
A. brasiliensis 50% >50%
비교예 2 E. coli 15% 15%
S. aureus 20% 25%
P. aeruginosa 15% 15%
C. albicans 40% 40%
A. brasiliensis 40% 50%
비교예 3 E. coli 20% 15%
S. aureus 20% 25%
P. aeruginosa 20% 20%
C. albicans 40% 50%
A. brasiliensis >50% >50%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시료는 유해균인 E. coli, S. aureus, P. aeruginosa C. albicans 의 MIC 및 MBC 결과 모두 1.0% 이하로 강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 brasiliensis 는 약 2.0% 농도에서 미생물의 생장을 효과적으로 억제시켰다.
반면, 비교군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ilus plantarum) 균주 배양물의 경우 E. coli, S. aureus, P. aeruginosa에서 MIC 및 MBC 모두 15.0% 내지 20.0% 수준에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 albicans, A. brasiliensis 에서 약 30.0% 내지 50.0% 이상 수준에서 미생물의 생장이 억제되어 항균 활성에서 현저한 차이가 나타났다.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를 비교할 때, 유해균인 E. coli, S. aureus, P. aeruginosa에 대하여 실시예 대비 최소 15배에서 최대 30배 이상의 항균력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C. albicans, A. brasiliensis의 경우 약 40 내지 50% 수준의 농도에서 항균력을 나타내어 실시예 대비 최소 25배에서 최대 33배의 항균력 차이가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는 실시예의 시료가 동일 종의 세균 비교군 3종 대비 높은 수준의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소정의 농도에서 미생물의 생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험예 3: 경시 안정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동일한 조건으로 유리병에 보관 후 차광될 수 있는 챔버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25℃에서 48주 동안 보관하면서 색(Color) 변화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평가기준>
색 변화 이상 없음 : O, 미미한 갈변 : △, 갈변 : X
구분 1주
경과
4주
경과
8주
경과
12주
경과
16주
경과
20주
경과
24주
경과
36주
경과
48주
경과
실시예 O O O O O O O O O
비교예 1 O O O X X
비교예 2 O O X X X X
비교예 3 O O X X X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시료는 색 변화가 관찰되지 않아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반면,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 시간 경과에 따라 점차적으로 갈변이 생겨 경시 안정성이 비교적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기 결과는 실시예의 시료가 높은 항균 활성을 보유할 뿐만 아니라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여 화장품의 원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탁기관명 : 국립농업과학원
수탁번호 : KACC81213BP
수탁일자 : 20220523

Claims (8)

  1. 수탁번호 KACC 81213B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UOS1 균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시트르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및 초산(acetic acid) 생산능을 가지고,
    상기 시트르산, 젖산, 및 초산을 35 내지 40 : 15 내지 20 : 44 내지 46의 중량비로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UOS1 균주.
  3. 수탁번호 KACC 81213B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UOS1 균주, 이의 배양물, 파쇄물, 추출물 또는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대장균(Escherichia coli),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및 아스페르길루스 브라질리엔시스(Aspergillus brasiliensi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항균 조성물.
  4. 삭제
  5. 제 3항에 있어서,
    pH 4.0 내지 9.0 범위에서 항균 활성을 가지는 항균 조성물.
  6. 제3항 또는 제5항의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3항 또는 제5항의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8. (a) 수탁번호 KACC 81213B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UOS1 균주를 전배양하는 단계;
    (b) 상기 균주를 배양 배지에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및
    (c) 균주를 제거하고 상등액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220064542A 2022-05-26 2022-05-26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uos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450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542A KR102450693B1 (ko) 2022-05-26 2022-05-26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uos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PCT/KR2023/006893 WO2023229309A1 (ko) 2022-05-26 2023-05-22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uos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542A KR102450693B1 (ko) 2022-05-26 2022-05-26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uos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693B1 true KR102450693B1 (ko) 2022-10-06

Family

ID=83597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4542A KR102450693B1 (ko) 2022-05-26 2022-05-26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uos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50693B1 (ko)
WO (1) WO20232293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309A1 (ko) * 2022-05-26 2023-11-30 주식회사 라비오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uos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26892A1 (en) * 2009-03-04 2010-09-09 L'oreal Use of probiotic microorganisms to limit skin irritation
KR20130118625A (ko) * 2012-04-20 2013-10-3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항진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이를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WO2015120098A1 (en) * 2014-02-04 2015-08-13 Micro-Nature Llc Systems, methods, and compositions relating to combiomics
KR101990820B1 (ko) 2017-05-22 2019-06-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균주 배양액의 항균 활성 예측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균주 배양액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134820B1 (ko) * 2019-06-05 2020-07-1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아종 톨러란스 sw1 균주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693B1 (ko) * 2022-05-26 2022-10-06 주식회사 라비오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uos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26892A1 (en) * 2009-03-04 2010-09-09 L'oreal Use of probiotic microorganisms to limit skin irritation
KR20130118625A (ko) * 2012-04-20 2013-10-3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항진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이를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WO2015120098A1 (en) * 2014-02-04 2015-08-13 Micro-Nature Llc Systems, methods, and compositions relating to combiomics
KR101990820B1 (ko) 2017-05-22 2019-06-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균주 배양액의 항균 활성 예측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균주 배양액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134820B1 (ko) * 2019-06-05 2020-07-1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아종 톨러란스 sw1 균주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ront Microbiol., Vol.9, Article No.1787(Epub.2018.08.07.)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309A1 (ko) * 2022-05-26 2023-11-30 주식회사 라비오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uos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29309A1 (ko) 2023-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315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병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50693B1 (ko)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uos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CN103893022A (zh) 抗菌肽作为防腐剂在制备化妆品中的应用
KR102588346B1 (ko) 신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34820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아종 톨러란스 sw1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060108964A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cbt―sl(5), 이를 이용한항균 배양액 분리농축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조성물
KR102155716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mi-1103 균주를 이용한 당근 발효물 제조방법
KR101211669B1 (ko) 무릇으로부터 얻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CN115227592A (zh) 抑菌剂组合物及其应用
KR20190050357A (ko) 영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JP4424643B2 (ja) 抗真菌剤の製造方法
KR102408301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sbc-4 및 이의 용도
KR101968243B1 (ko)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ami-1110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039883B1 (ko) 코코넛 슈가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36522B1 (ko) 인간 피부 유래의 신규한 박테리오신 및 여드름치료제로서의 용도
KR101796710B1 (ko) 리보핵산 및 제비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746091B2 (ja) 皮膚外用剤
KR102227751B1 (ko) 오미자, 백리향 및 꽃향유의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대체제 및 이의 용도
JP2012170377A (ja) 新規乳酸菌
KR102363112B1 (ko) 1,2-헥산디올과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미생물 증식 억제용 조성물
KR102001237B1 (ko) 백편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364548B1 (ko) 항균 활성 및 염료 탈색 활성을 나타내는 울릉구멍장이버섯 및 이의 용도
KR20190050358A (ko) 자화지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155717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mi-1103 균주를 이용한 브로콜리 발효물 제조방법
JP2012170378A (ja) 新規乳酸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