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163B1 -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전기집진필터 - Google Patents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전기집진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163B1
KR102449163B1 KR1020220047496A KR20220047496A KR102449163B1 KR 102449163 B1 KR102449163 B1 KR 102449163B1 KR 1020220047496 A KR1020220047496 A KR 1020220047496A KR 20220047496 A KR20220047496 A KR 20220047496A KR 102449163 B1 KR102449163 B1 KR 102449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lectrode
charging
voltag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기학
Original Assignee
성진코퍼레이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진코퍼레이션(주) filed Critical 성진코퍼레이션(주)
Priority to KR1020220047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1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17Combinations of electrostatic separation with other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3C3/0175Amassing particles by electric fields, e.g. agglom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전기집진필터는 제1 전압이 인가되는 제1 대전부; 및 상기 제1 대전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압과 상이한 제2 전압이 인가되는 제2 대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대전부는 사각틀 형상을 갖는 제1 대전 프레임, 상기 제1 대전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제1 대전 전극들, 및 상기 복수의 제1 대전 전극들의 일 단부들이 결합된 제1 외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대전 프레임은 제1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된 제1 프레임과 제4 프레임,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된 제2 프레임과 제3 프레임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대전 전극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환봉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전기집진필터{Electric dust filter that collects fine dust}
본 발명은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전기집진필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 살균 장치는 비말 형태로 전파되는 바이러스, 또는 세균 등의 유해 입자와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해 투입구로부터 비말 형태로 전파되는 바이러스, 또는 세균 등의 유해 입자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 챔버와 상기 유입 챔버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유입 챔버와 연결되어 상기 유입 챔버의 토출구로부터 투입구로 상기 유해 입자와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필터부로서, 상기 유해 입자와 상기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부재를 포함하는 필터부를 포함하였다.
필터 부재를 통해 상기 비말 형태로 전파되는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유해 입자가 필터 부재에 의해 필터링되어 상기 필터 부재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상기 유해 입자를 제거하였으나, 상기 필터 부재의 사용 기간이 누적되면 부착된 유해 입자들이 증가되어 상기 필터 부재의 교체를 해주어야하는 상황이 초래하였다.
또한, 필터 부재를 통해 상기 유해 입자가 필터링되기 전까지 아무런 저항없이 상기 필터 부재에 도달하게 되므로, 부착되는 유해 입자의 누적량이 현저하게 증가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공기 살균 장치의 내구성 및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다양한 살균 방식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는 추세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전부 세트에 의해 대전된 입자들이 상부의 집진부에 의해 완벽히 집진될 수 있는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전기집진필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전기집진필터는 제1 전압이 인가되는 제1 대전부; 및 상기 제1 대전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압과 상이한 제2 전압이 인가되는 제2 대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대전부는 사각틀 형상을 갖는 제1 대전 프레임, 상기 제1 대전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제1 대전 전극들, 및 상기 복수의 제1 대전 전극들의 일 단부들이 결합된 제1 외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대전 프레임은 제1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된 제1 프레임과 제4 프레임,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된 제2 프레임과 제3 프레임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대전 전극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환봉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제1 통공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대전 전극은 제1 폭을 갖고, 상기 제1 통공은 제2 폭을 갖되, 상기 제2 폭은 상기 제1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대전 전극들은 각각 상기 복수의 제1 통공들을 관통하고, 상기 제1 외부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의 외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4 프레임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제1 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은 제3 폭을 갖되, 상기 제3 폭은 상기 제2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대전 전극들의 타 단부들은 각각 상기 제1 홈들에 안착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대전부 세트에 의해 대전된 입자들이 상부의 집진부에 의해 완벽히 집진될 수 있는 공기살균기에 설치되는 전기집진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집진필터의 제1 대전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대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1 대전부의 제1 프레임 및 제1 전극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제1 대전부의 제4 프레임 및 제1 전극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제2 대전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2 대전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전기집진필터의 집진부 및 후면 커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전기집진필터의 케이스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C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집진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D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대전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따른 제1 대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필터(10)가 적용되는 공기 살균 장치는 필요에 따라 소용량 공기 살균 장치, 또는 대용량 공기 살균 장치로 이용된다. 소용량 공기 살균 장치로는 예컨대, 실내 가정에서 이용되는 공기 살균 장치, 또는 팬 필터 장치(Fan Filter Unit, FFU)로 적용될 수 있고, 대용량 공기 살균 장치로는 예컨대, 공조 장치(Air Handling Unit, AHU)로 적용될 수 있다.
소용량 공기 살균 장치나 대용량 공기 살균 장치는 그 규모나 몇몇 부수적인 장치의 부가 및/또는 생략면에서만 차이가 있을뿐, 실질적인 구성들을 서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소용량 공기 살균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서 특별히 구분될 필요성이 없는 경우에는 대용량 공기 살균 장치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집진필터(10)는 전면 커버(100), 전면 커버(100)와 대향하는 후면 커버(200), 전면 커버(100)와 후면 커버(200) 사이의 제1 대전부(300), 제1 대전부(300)와 후면 커버(200) 사이의 제2 대전부(400), 및 제2 대전부(400)와 후면 커버(200) 사이의 집진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커버(100)는 사각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전면 커버(100)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제1 프레임들, 및 상기 제1 프레임들과 각각 연결되고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제2 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미세먼지들은 전면 커버(100)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전면 커버(100)를 통해 유입된 미세먼지들은 제1 대전부(300)와 제2 대전부(400) 사이에서 암방전된 후, 집진부(500)에서 포집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전기집진필터의 제1 대전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대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1 대전부의 제1 프레임 및 제1 전극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제1 대전부의 제4 프레임 및 제1 전극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대전부(300)는 제1 대전 프레임(310), 및 제1 전극(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대전 프레임(3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대전 프레임(310)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제1 프레임(311), 제1 프레임(311)과 대향하고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제4 프레임(314),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고 제1 프레임(311) 및 제4 프레임(314)과 각각 연결된 제2 프레임(312),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고 제2 프레임(312)과 대향하며, 제1 프레임(311) 및 제4 프레임(314)과 각각 연결된 제3 프레임(3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311)은 복수개의 제1 대전 홀(H_311)을 포함하고, 제4 프레임(314)는 복수개의 제1 대전 홈(H_3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320)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전극(320)들은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되고, 각각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전극(320)들의 일 단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대전 외부 프레임(330)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전극(320)들은 상술한 복수개의 제1 대전 홀(H_311)들을 각각 관통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1 전극(320)은 제1 폭(W1)을 갖고, 각 제1 대전 홀(H_311)은 제2 폭(W2)을 가질 수 있다. 제2 폭(W2)은 제1 폭(W1)보다 커서, 복수개의 제1 전극(320)들은 상술한 복수개의 제1 대전 홀(H_311)들을 각각 관통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1 전극(320)들의 타단부들은 제4 프레임(314)의 복수의 제1 대전 홈(H_314)들에 내장될 수 있다. 제1 대전 홈(H_314)은 제4 프레임(314)의 제1 프레임(311)을 바라보는 면으로부터 일정 두께 이상 만입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제1 데전 홈(H_314)은 제3 폭(W3)을 갖고, 제3 폭(W3)은 제1 폭(W1)보다 크되, 제2 폭(W2)보다는 작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복수개의 제1 전극(320)들의 타단부들이 각각 복수의 제1 대전 홈(H_314)의 최외곽을 통과하여 복수의 제1 대전 홈(H_314)들에 내장된 경우, 복수개의 제1 전극(320)들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제4 프레임(314) 내부에는 제1 자성을 갖는 제1 자석체(MP1)가 더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극(320)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1 자성과 반대 자성을 갖는 제2 자성을 갖는 제2 자석체가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자성은 N극이고, 상기 제2 자성은 S극일 수 있으나, 그 반대일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자성이 형성된 제1 전극(320)의 타단부와 제1 자석체(MP1) 간에 형성된 인력(제2 방향(DR2)으로 형성된 인력)으로 인해, 복수개의 제1 전극(320)들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자석체는 제1 전극(320)의 타단부중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면에 추가적으로 부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자석체는 제1 전극(320)의 타단부중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면 및 상기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면과 연결되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면 중 전단부(제1 자석체(MP1)를 바라보는 방향으로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1 전극(320)에는 제1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은 접지 전압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전압은 음전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압은 음전압일 수 있다. 제1 전극(320)들은 각각 2mm 환봉으로 재질은 SUS 재질일 수 있다. 제1 전극(320)들은 10개일 수 있다. 제1 대전 홀(H_311)들 간의 간격은 약 20mm간격일 수 있고, 상술한 제2 폭(W2)은 2.1mm일 수 있고, 제1 대전 홀(H_311)은 10개일 수 있다. 제1 전극(320)들 간의 간격은 약 20mm일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제2 대전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2 대전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2 대전부(400)는 제2 프레임(410_S1, 410_S2, 410_S3, 410_S4, 410_S5, 410_S6), 제2 전극(430), 수용부(421, 425), 및 걸림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410_S1, 410_S2, 410_S3, 410_S4, 410_S5, 410_S6)의 평면 형상은 대체로 격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프레임(410_S1, 410_S2, 410_S3, 410_S4, 410_S5, 410_S6)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제2-1 프레임(410_S1), 및 제2-3 프레임(410_S3),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제2-2 프레임(410_S2), 및 제2-4 프레임(410_S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프레임(410_S1)은 제2-2 프레임(410_S2)과 직접 연결되고, 제2-2 프레임(410_S2)은 제2-3 프레임(410_S3)과 직접 연결될 수 있고, 제2-3 프레임(410_S3)은 제2-4 프레임(410_S4)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제2-1 프레임(410_S1)과 제2-4 프레임(410_S4)은 별도의 체결 수단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1 프레임(410_S1) 및 제2-4 프레임(410_S4)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1 프레임(410_S1)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을 관통하는 볼트가 별도로 배치되고, 상기 볼트가 제2-4 프레임(410_S4)의 외측면으로부터 만입되는 홈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상호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4 프레임(410_S4)의 홈은 상기 볼트가 결합되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1 프레임(410_S1) 및 제2-4 프레임(410_S4) 사이에는 별도의 결합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결합 부재를 통해 제2-1 프레임(410_S1) 및 제2-4 프레임(410_S4)이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제2 프레임(410_S1, 410_S2, 410_S3, 410_S4, 410_S5, 410_S6)은 제2-5 프레임(410_S5), 및 제2-6 프레임(410_S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5 프레임(410_S5) 및 제2-6 프레임(410_S6)은 각각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5 프레임(410_S5)은 제2-1 프레임(410_S1)과 직접 연결되고, 제2-4 프레임(410_S4)과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제2-6 프레임(410_S6)은 제2-1 프레임(410_S1)과 직접 연결되고, 제2-2 프레임(410_S2)과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제2-5 프레임(410_S5) 및 제2-4 프레임(410_S4) 사이의 이격 공간과 제2-6 프레임(410_S6) 및 제2-2 프레임(410_S2)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각각 후술할 제2 대전부(400)의 고정부(44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1 프레임(410_S1)과 제2-4 프레임(410_S4)은 별도의 체결 수단을 통해 연결되고, 제1 방향(DR1)에서 대칭 관계에 있는 제2-1 프레임(410_S1)과 제2-2 프레임(410_S2)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는, 제2-5 프레임(410_S5) 및 제2-4 프레임(410_S4) 사이의 이격 공간과 제2-6 프레임(410_S6) 및 제2-2 프레임(410_S2)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각각 배치된 고정부(440)들 및/또는 제2 전극(430)의 교체에 유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5 프레임(410_S5) 및 제2-4 프레임(410_S4) 사이의 이격 공간과 제2-6 프레임(410_S6) 및 제2-2 프레임(410_S2) 사이의 이격 공간에 각각 배치된 고정부(440)들 및/또는 제2 전극(430)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제2-5 프레임(410_S5)과 제2-4 프레임(410_S4), 및 제2-6 프레임(410_S6)과 제2-2 프레임(410_S2)을 각각 분해하여야 하는데, 일 실시예에 의한 경우, 제2-1 프레임(410_S1)과 제2-4 프레임(410_S4)은 별도의 체결 수단을 통해 연결되고, 제1 방향(DR1)에서 대칭 관계에 있는 제2-1 프레임(410_S1)과 제2-2 프레임(410_S2)은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 제2-1 프레임(410_S1)과 제2-4 프레임(410_S4) 사이의 상기 체결 수단의 제거를 통해 제2-1 프레임(410_S1) 및 제2-4 프레임(410_S4) 간의 분해(또는 분리)만 하더라도, 제2-2 프레임(410-S2)은 제2-3 프레임(410_S3)을 통해 분리된 제2-4 프레임(410_S4)과 직접 연결되어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제2-2 프레임(410_S2)은 분리되어 고정부(440)들 및/또는 제2 전극(430)의 교체가 용이하게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제2 대전부(400)는 내부 프레임(421, 4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프레임(421, 425)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내부 프레임(421, 425)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내부 프레임(421, 425)은 제2 방향(DR2) 일측에 배치되어 제2-1 프레임(410_S1)과 제2 방향(DR2)에서 이격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내부 프레임(421, 425)은 제2 방향(DR2) 타측에 배치되어 제2-3 프레임(410_S3)과 제2 방향(DR2)에서 이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방향(DR2) 일측에 배치된 하나의 내부 프레임(421, 425)을 일측 내부 프레임(421, 425)이라 지칭하고, 제2 방향(DR2) 타측에 배치된 다른 하나의 내부 프레임(421, 425)을 타측 내부 프레임(421, 425)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각각의 내부 프레임(421, 425)은 제1 내부 프레임(421) 및 제1 내부 프레임(421)과 연결된 제2 내부 프레임(4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부 프레임(42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DR1)을 따라 완전히 연장되고, 인접한 제2-5 프레임(410_S5)의 하단부 및 제2-6 프레임(410_S6)의 하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부 프레임(421)의 상면은 제2 내부 프레임(425)과 직접 연결되고, 제1 내부 프레임(421)의 상면은 제2 내부 프레임(425)의 하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내부 프레임(421)의 상면은 후술할 홈부(HP)의 하단면과 동일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내부 프레임(425)은 제1 내부 프레임(421)과 달리, 복수의 분리된 패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분리된 패턴들은 제1 내부 프레임(421)의 상면과 직접 결합되고, 제1 방향(DR1)을 따라 소정의 이격 거리를 갖고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리된 패턴들 간의 이격 공간은 이하에서, 홈부(HP)라고 정의될 수 있다. 즉, 홈부(HP)는 상기 인접한 분리된 패턴들의 상면들을 연장한 연장선, 인접한 분리된 패턴들의 측면들, 및 제1 내부 프레임(421)의 상면으로 둘러싸인 공간일 수 있다. 홈부(HP)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개의 홈부(HP)들은 제2 전극(430)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전극(430)의 일단은 제2-2 프레임(410_S2), 및 제2-6 프레임(410_S6)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된 고정부(440)에 고정되고, 제2 전극(430)의 타단은 제2-4 프레임(410_S4), 및 제2-5 프레임(410_S5)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된 고정부(44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440)는 용수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용수철은 제2-2 프레임(410_S2), 및 제2-6 프레임(410_S6) 사이의 이격 공간 및 제2-4 프레임(410_S4), 및 제2-5 프레임(410_S5) 사이의 이격 공간에 각각 배치된 지지부(도 9의 평면 형상이 원형인 부재)에 고정되는 제1 용수철부, 및 상기 제1 용수철부와 연결되고 제2 방향(DR2)을 따라 이완 및/또는 수축이 가능한 제2 용수철부, 및 제2 전극(430)의 일단 또는 타단과 연결되는 제3 용수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극(430)의 일단은 제2-2 프레임(410_S2), 및 제2-6 프레임(410_S6)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된 고정부(440)에 고정되고, 제2 방향(DR2) 타측 및 제1 방향(DR1) 일측에 마련된 홈부(HP) 사이에까지 절곡되어 연장되다가 다시 제2 방향(DR2) 일측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DR2) 일측 및 제1 방향(DR1) 일측에 마련된 홈부(HP)에 절곡되어 연장되고 다시 제2 방향(DR2) 타측으로 연장된다. 즉, 제2 전극(430)은 일체로 형성되고 일체로 형성된 제2 전극(430)은 지그재그(Zigzag) 배열 방식으로 배치된 홈부(HP)들에 차례로 걸리면서 최종적으로 제2 전극(430)의 타단은 제2-4 프레임(410_S4), 및 제2-5 프레임(410_S5)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된 고정부(440)에 고정될 수 있다.
우선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극(430)은 상술한 제1 전극(420)과 달리, 일체로 형성(또는 하나로 마련됨)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즉, 제2 전극(430)은 제1 전극(420)과 달리, 일체로 형성(또는 하나로 마련됨)으로써, 설계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전극(430)에는 제2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압은 상기 제1 전압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압은 양 전압일 수 있다. 상기 제2 전압은 고전압일 수 있다. 상기 제2 전압은 암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압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전압은 8.0~9.0kV일 수 있다.
나아가, 제2 전극(430)은 상기 제2 전압, 즉, 고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제2 전극(430)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이유는, 제1 대전부(300)와 제2 대전부(400)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통해, 전면 커버(100)에 유입되는 미세먼지들을 암방전시키기 때문이다. 암방전을 시키기 위해서는, 양전압의 크기가 음전압의 크기보다 커야한다. 다만, 제2 전극(430)에 고전압의 제2 전압이 인가되면 제2 전극(430)의 일시적으로 온도가 높아지게 되어, 제2 전극(430)의 텐션(또는 장력)이 작아져 이완될 수 있다. 제2 전극(430)의 텐션(또는 장력)이 작아져 이완되면, 후술할 제1 전극(320)들과 제2 전극(430) 간의 배열(두께 방향으로의 중첩, 또는 배열)이 무너져 제1 전극(320)과 제2 전극(430) 간의 전기장 형성이 어려워지거나,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균일한 세기를 갖는 전기장 형성이 어려워질 수 있다. 다만,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전극(430)의 일단은 제2-2 프레임(410_S2), 및 제2-6 프레임(410_S6)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된 고정부(440)에 고정되고, 제2 전극(430)의 타단은 제2-4 프레임(410_S4), 및 제2-5 프레임(410_S5)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된 고정부(440)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제2 전극(430)의 상기 제2 전압 인가에 따른 이완/수축에 기민하게 대응하여, 제2 전극(430)이 미리 정해진 텐션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전극(430)의 일단은 제2-2 프레임(410_S2), 및 제2-6 프레임(410_S6)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된 고정부(440) 및 제2-4 프레임(410_S4), 및 제2-5 프레임(410_S5)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된 고정부(440)는 각각 제2 전극(430)의 텐션(또는 이완과 수축)을 감지하는 센서(SS)와 연동될 수도 있다. 고정부(4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전극(430)의 상기 제2 전압 인가에 따른 이완/수축에 기민하게 대응하여, 제2 전극(430)이 미리 정해진 텐션을 갖도록 할 수 있으나, 탄성 계수에 따라 미세한 길이 변화에 대해서는 감지하지 못할 경우가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센서(SS)가 제2 전극(430)의 변화된 길이(증가하거나, 수축하거나)를 감지하여 센서(SS)와 연동된 고정부(440)를 제어함으로써, 제2 전극(430)이 미리 정해진 텐션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제2 전극(430)의 폭은 0.2mm이고, 재질은 텅스텐일 수 있다.
고정부(440)는 제2 전극(430)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용수철(또는 텐션스프링)로 마련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제2 전극(430) 간의 이격 거리는 20mm일 수 있다. 제1 전극(320)들 간의 간격과 제2 전극(430) 간 간격은 동일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전극(320)들과 제2 전극(430)은 두께 방향(또는 제3 방향(DR3))에서 서로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320)에는 상기 제1 전압이 인가되고 제2 전극(430)에는 제2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제1 전극(320)과 제2 전극(430)의 각 전압이 인가되면 제1 전극(320)과 제2 전극(430) 사이에는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장을 통해 제1 대전부(300)에 유입된 미세먼지는 제1 대전부(300)와 제2 대전부(400) 사이에서 표면이 양극성을 띠도록 대전화될 수 있다. 즉, 제1 전극(320)과 제2 전극(430)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을 통해 전극(320, 430) 사이의 공기 중 질소(N)는 전자를 방출하게 되고 상기 미세먼지는 상기 방출된 전자들을 통해 표면이 양극성을 띠도록 대전화되는 것이다.
도 10은 도 1의 전기집진필터의 집진부 및 후면 커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전기집진필터의 케이스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C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집진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D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집진부(500)는 케이스(550), 및 케이스(550) 상에 배치되는 집진필터(51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케이스(550)에 대해 설명하면, 케이스(550)는 원형의 홈부가 형성된 제1 케이스부(551), 제1 케이스부(551)의 상기 원형의 홈부 내에 배치되며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제4 케이스부(554), 라인 형상을 가지며 제1 케이스부(551)와 제4 케이스부(554)를 연결하는 제2 케이스부(5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케이스부(552)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케이스부(552)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케이스(550)는 제2 케이스부(552)의 중간부에 연결되며, 인접한 제2 케이스부(552)들 사이를 연결하는 제3 케이스부(5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케이스부(553)는 상기 원형의 홈부 내에 배치된 제4 케이스부(554)의 외면을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3 케이스부(553)는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케이스부(550)는 제4 케이스부(554) 상에 배치된 돌출부재(556) 및 결착부(5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재(556)는 제4 케이스부(554)의 상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평면 형상은 원형일 수 있고, 결착부(555)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DR2) 일측 및 제1 방향(DR1) 타측에 배치된 3개의 제2 케이스부(552)들과 인접하고 평면상 제4 케이스부(554)의 곡면의 외측 단부와 정렬되도록 연장된 제1 결착부, 상기 제1 결착부와 연결되고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제2 결착부, 및 상기 제2 결착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결착부의 중심(또는 제4 케이스부(554)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결착부와 좌우 대칭인 제3 결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결착부(555)는 후술할 집진필터(510)의 필름 부재(511, 512)들이 초기에 결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돌출부재(556)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하나의 돌출부재(556)는 제4 케이스부(554)의 평면상 상측에 위치하고 다른 돌출부재(556)는 제4 케이스부(554)의 평면상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돌출부재(556)들은 후술할 필름 부재(511, 512)들의 유동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필터(510)는 상기 제1 결착부에 부착된 제1 필름부(511), 상기 제3 결착부에 부착된 제2 필름부(512), 제1 지지체(513), 및 제2 지지체(515)를 포함할 수 있다. 필름부(511, 512)는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름부(511)는 은나노필름부(511a), 은나노필름부(511a)의 일면 상의 제1 PET 필름부(511b), 및 은나노필름부(511a)의 타면 상의 제2 PET 필름부(51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PET 필름부(511b)와 제2 PET 필름부(511c)는 상호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PET 필름부(511b, 511c)는 PET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은나노필름부(511a)은 기존 카본 필름은 길이 당 저항 값이 9.7kΩ/m이나 은나노 필름의 경우 28.05Ω/m로 저항이 낮아 전극에 전기 인가 시 손실이 적어 전면적에 동등한 전압 인가가 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은나노필름부(511a)의 폭은 약 13mm일 수 있고, PET 필름부(511b, 511c)의 폭은 8mm일 수 있다. PET 필름부(511b, 511c)는 은나노필름부(511a)와 달리, 절연 물질의 PET를 포함하는데, PET 필름부(511b, 511c)의 폭이 8mm임으로써,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집진부(500)에 제공되는 미세먼지와 정전기적 인력을 발생시키는 은나노필름부(511a)의 집진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제1 필름부(511) 및 제2 필름부(512) 간의 쇼트(Short)를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1 필름부(511)에는 제1 필름 전압이 인가되고, 제2 필름부(512)에는 제2 필름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 전압과 상기 제2 필름 전압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필름 전압은 양전압이고, 상기 제2 필름 전압은 음전압일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 전압의 크기 및 상기 제2 필름 전압의 크기는 각각 8~9kV 고전압일 수 있다.
한편, 필름부(511, 512)는 상술한 지지체(513, 515)에 의해 배치될 수 있다. 지지체(513, 515)는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513, 515)는 전극(또는 필름부(511, 512))간 거리유지 및 유전체(Dielectric Material)로서 전기는 통하지 않지만 제1 및 제2 대전부(300, 400)의 전기장안에서 극성을 지녀 대전된 미세 먼지가 필름부(511, 512)들뿐 아니라 지지체(513, 515)에도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집진될 수 있다. 지지체(513, 515)는 물결무늬형태로 가공하여 집진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제1 지지체(513)는 평면상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513a), 및 제1 돌출부(513a)와 연결되고 평면상 내측으로 만입된 제1 만입부(513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름부(511)는 상기 제1 결착부의 내면에 부착되고, 평면상 하나의 돌출부재(556)를 둘러싸다가 상기 제2 결착부의 일면에 접하면서 상기 제1 결착부의 외면을 둘러싸면서 평면상 상기 결착부(555)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필름부(512)는 상기 제3 결착부의 내면에 부착되고, 평면상 다른 하나의 돌출부재(556)를 둘러싸다가 상기 제2 결착부의 타면에 접하면서 상기 제3 결착부의 외면을 둘러싸면서 평면상 상기 결착부(555)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체(513, 515)는 필름부(511, 512) 간 거리유지를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체(513)의 일단부를 포함하는 제1 돌출부(513a)는 일단부가 상기 제2 결착부의 일면에 고정되고 제1 돌출부(513a)는 제2 필름부(512)를 지지하고 제1 돌출부(513a)와 인접한 제1 만입부(513b)는 각 필름부(511, 512)가 제4 이격 거리(d4)를 갖고 이격될 수 있도록 만입되고, 제1 필름부(511)(또는 제1 필름부(511)의 외면)와 접함으로써, 각 필름부(511, 512) 간의 이격 거리(d4)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제1 지지체(513)는 각 필름부(511, 512)와 마찬가지로 평면상 상기 결착부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배치되며 제1 지지체(513)의 제1 돌출부(513a)와 제1 만입부(513b)는 상기 배치 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돌출부(513a)는 제2 필름부(51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제1 돌출부(513a)와 인접한 제1 만입부(513b)는 제2 필름부(512)와는 제4 이격 거리(d4)를 갖고 이격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2 필름부(512)의 지지를 위해 제1 돌출부(513a)의 폭(W_513a)은 제1 만입부(513b)의 폭(W_513b)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돌출부(513a)의 폭(W_513a)은 제1 만입부(513b)의 폭(W_513b)의 1.5 배 이상임으로써 제2 필름부(512)의 지지역할을 용이하게 수행하고, 2배 이내 임으로써, 제2 이격 거리(d4)를 갖는 역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2 지지체(515)의 일단부를 포함하는 제2 돌출부(515a)는 일단부가 상기 제2 결착부의 타면에 고정되고 제2 돌출부(515a)는 제1 필름부(511)를 지지하고 제2 돌출부(515a)와 인접한 제2 만입부(515b)는 각 필름부(511, 512)가 제4 이격 거리(d4)를 갖고 이격될 수 있도록 만입되고, 제2 필름부(515)(또는 제2 필름부(515)의 외면)와 접함으로써, 각 필름부(511, 512) 간의 이격 거리(d4)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제2 지지체(515)는 각 필름부(511, 512)와 마찬가지로 평면상 상기 결착부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배치되며 제2 지지체(515)의 제2 돌출부(515a)와 제2 만입부(515b)는 상기 배치 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돌출부(515a)는 제1 필름부(51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제2 돌출부(515a)와 인접한 제2 만입부(515b)는 각 필름부(511, 512)가 제4 이격 거리(d4)를 갖고 이격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1 필름부(511)의 지지를 위해 제2 돌출부(515a)의 폭은 제2 만입부(515b)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2 돌출부(515a)의 폭은 제2 만입부(515b)의 폭의 1.5 배 이상임으로써 제1 필름부(511)의 지지역할을 용이하게 수행하고, 2배 이내 임으로써, 제2 이격 거리(d4)를 갖는 역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외측 방향(상기 결착부의 중심점(또는 제2 결착부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외측을 바라보는 방향)을 따라 제1 돌출부(513a)와 제2 만입부(515b)는 서로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평면상 인접한 제1 만입부(513b)들 사이에는 제2 만입부(515b)가 배치되고, 인접한 제2 만입부(515b)들 사이에는 제1 만입부(513b)가 배치되는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평면상 인접한 제1 만입부(513b)들 사이에는 제2 만입부(515b)가 배치되고, 인접한 제2 만입부(515b)들 사이에는 제1 만입부(513b)가 배치됨으로써, 각 필름부(511, 512)들의 지지가 가능할 수 있다.
외측 방향에서 인접한 제1 돌출부(513a)와 제2 만입부(515b)는 제3 이격 거리(d3)를 따라 이격되고, 외측 방향에서 인접한 제1 돌출부(513a)와 제2 돌출부(515a)는 제1 이격 거리(d1)를 따라 이격되며, 외측 방향에서 인접한 제1 만입부(513b)와 제2 돌출부(515a)는 제2 이격 거리(d2)를 따라 이격될 수 있다. 제2 이격 거리(d2)는 제1 필름부(511)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대전부(300, 400)를 통해 표면이 양극성을 띠도록 대전화된 상기 미세먼지들은 집진필터(500)를 통해 집진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필름부(511)에는 상기 제1 필름 전압(또는 양전압)이 인가되고, 제2 필름부(512)에는 상기 제2 필름 전압(또는 음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음전압이 인가된 제2 필름부(512)에 상기 표면이 양극성을 띠도록 대전화된 상기 미세먼지들이 집진될 수 있다. 나아가, 서로 대향하고 있는 제1 필름 전압이 인가된 제1 필름부(511)와 제2 필름 전압이 인가된 제2 필름부(512) 사이에도 소정의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장을 통해 제1 필름부(511)와 제2 필름부(512) 사이의 지지체(513, 515)들에도 표면에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필름부(511)와 인접한 지지체(513, 515)들의 일부 영역은 음극성을 띠게 되고, 제2 필름부(512)와 인접한 지지체(513, 515)들의 다른 일부 영역은 양극성을 띠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표면이 양극성을 띠도록 대전화된 상기 미세먼지들은 상술한 제2 필름부(512)에만 집진되는 것이 아니라, 제1 필름부(511)와 인접한 지지체(513, 515)들의 일부 영역에도 집진될 수 있어, 집진 면적이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각 필름부(511, 512)의 일단부가 상기 제1 결착부, 및 상기 제3 결착부의 측면에까지 연장된다는 점에서, 도 13에 따른 집진부와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각 필름부(511, 512)의 일단부가 상기 제1 결착부, 및 상기 제3 결착부의 측면에까지 연장되어 부착됨으로써, 필름부(511, 512)의 유동이 매우 최소화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대전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따른 제1 대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대전부(300_1)의 제1 전극(320_1)들의 형상이 도 4와 상이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의 제1 전극(320)은 환봉 형상을 갖는 반면, 도 16 및 도 17의 제1 전극(320_1)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고 두께 방향(또는 제3 방향(DR3))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판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 전극(320_1)의 타 단부는 각 모서리가 곡면 형상을 갖도록 모따기될 수 있다. 제1 전극(320_1)의 타 단부의 각 모서리들이 각각 직각 형상을 가지면 제1 대전부(300_1)와 제2 대전부(400) 간에 전기장이 형성될 때, 제1 전극(320_1)의 타 단부의 각 모서리들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할 수 있다.
코로나 방전(corona discharge)이란 도체 주위의 유체의 이온화로 인해 발생하는 전기적 방전이며, 전위 경도(전기장의 세기)가 특정값을 초과하지만 완전한 절연 파괴나 아크를 발생하기에는 불충분한 조건일 때 발생할 수 있다. 코로나 방전(corona discharge)는 특히, 도체(본 실시예에서, 제1 전극)의 아주 뽀족한 부위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많을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전극(320_1)의 타 단부는 각 모서리가 곡면 형상을 갖도록 모따기되어, 제1 전극(320_1)의 타 단부의 각 모서리들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유입부 11: 유입 챔버
13: 투입부 20: 자외선 램프 및 필터부
21: 자외선 램프 및 필터 챔버 22: 필터 부재
23: 제1 자외선 램프 24: 제2 자외선 램프
25: 온도계 및 습도계 26: 풍량계
27: 제1 전기장 필터 28: 제2 전기장 필터
30: 팬케이스부 31: 팬케이스 챔버
33: 팬부재

Claims (5)

  1. 제1 전압이 인가되는 제1 대전부; 및
    상기 제1 대전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압과 상이한 제2 전압이 인가되는 제2 대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대전부는 사각틀 형상을 갖는 제1 대전 프레임, 상기 제1 대전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제1 대전 전극들, 및 상기 복수의 제1 대전 전극들의 일 단부들이 결합된 제1 외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대전 프레임은 제1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된 제1 프레임과 제4 프레임,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된 제2 프레임과 제3 프레임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제1 통공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대전 전극은 제1 폭을 갖고, 상기 제1 통공은 제2 폭을 갖되, 상기 제2 폭은 상기 제1 폭보다 크며,
    상기 복수의 제1 대전 전극들은 각각 상기 복수의 제1 통공들을 관통하고, 상기 제1 외부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의 외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4 프레임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제1 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은 제3 폭을 갖되, 상기 제3 폭은 상기 제2 폭보다 작되,
    상기 복수의 제1 대전 전극들의 타 단부들은 각각 상기 제1 홈들에 안착되고,
    상기 제4 프레임 내부에는 제1 자성을 갖는 제1 자석체가 더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의 타 단부에 상기 제1 자성과 반대 자성을 갖는 제2 자성을 갖는 제2 자석체가 더 형성되며, 상기 제2 자성이 형성된 상기 제1 전극의 타 단부와 상기 제1 자석체 간에 인력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대전부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평면 형상은 격자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1 프레임, 및 제2-3 프레임과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2 프레임, 및 제2-4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1 프레임은 상기 제2-2 프레임과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2-2 프레임은 상기 제2-3 프레임과 직접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3 프레임은 상기 제2-4 프레임과 직접 연결되며, 상기 제2-1 프레임과 상기 제2-4 프레임은 별도의 체결 수단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2-1 프레임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을 관통하는 볼트가 별도로 배치되고, 상기 볼트가 상기 제2-4 프레임의 외측면으로부터 만입되는 홈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상호 체결되고, 상기 상기 제2-4 프레임의 홈은 상기 볼트가 결합되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제2-5 프레임, 및 제2-6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5 프레임 및 상기 제2-6 프레임은 각각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5 프레임은 상기 제2-1 프레임과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2-4 프레임과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상기 제2-6 프레임은 상기 제2-1 프레임과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2-2 프레임과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상기 제2-5 프레임 및 제2-4 프레임 사이의 이격 공간과 제2-6 프레임 및 제2-2 프레임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상기 제2 대전부의 고정부들이 더 배치되고,
    상기 제2 대전부는 내부 프레임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프레임들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하나의 상기 내부 프레임은 상기 제2 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1 프레임과 상기 제2 방향에서 이격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내부 프레임은 상기 제2 방향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3 프레임과 상기 제2 방향에서 이격되고,
    각각의 상기 내부 프레임은 제1 내부 프레임 및 상기 제1 내부 프레임과 연결된 제2 내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부 프레임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완전히 연장되고, 인접한 상기 제2-5 프레임의 하단부 및 상기 제2-6 프레임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내부 프레임의 상면은 상기 제2 내부 프레임과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1 내부 프레임의 상면은 상기 제2 내부 프레임의 하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1 내부 프레임의 상면은 홈부의 하단면과 동일선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내부 프레임은 복수의 분리된 패턴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분리된 패턴들은 상기 제1 내부 프레임의 상면과 직접 결합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소정의 이격 거리를 갖고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분리된 패턴들 간의 이격 공간은 상기 홈부라고 정의되며,
    상기 홈부는 상기 인접한 분리된 패턴들의 상면들을 연장한 연장선, 인접한 분리된 패턴들의 측면들, 및 상기 제1 내부 프레임의 상면으로 둘러싸인 공간이고, 상기 홈부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개의 홈부들은 상기 제2 전극들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2 전극의 일 단부는 상기 제2-2 프레임, 및 상기 제2-6 프레임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된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전극의 타 단부는 상기 제2-4 프레임, 및 상기 제2-5 프레임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된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는 용수철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수철은 상기 제2-2 프레임 및 상기 제2-6 프레임 사이의 이격 공간 및 상기 제2-4 프레임, 및 상기 제2-5 프레임 사이의 이격 공간에 각각 배치된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1 용수철부, 및 상기 제1 용수철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완 및/또는 수축이 가능한 제2 용수철부, 및 제2 전극의 일 단부 또는 타 단부와 연결되는 제3 용수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의 일 단부는 상기 제2-2 프레임, 및 상기 제2-6 프레임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된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방향 타측 및 상기 제1 방향 일측에 마련된 상기 홈부 사이에까지 절곡되어 연장되다가 다시 상기 제2 방향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방향 일측 및 상기 제1 방향 일측에 마련된 상기 홈부에 절곡되어 연장되고 다시 상기 제2 방향 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일체로 형성되고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2 전극은 지그재그(Zigzag) 배열 방식으로 배치된 상기 홈부들에 차례로 걸리면서 최종적으로 상기 제2 전극의 타 단부는 상기 제2-4 프레임, 및 상기 제2-5 프레임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된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전압은 암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압 크기를 갖고, 상기 제2 전압은 8.0~9.0kV이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전극의 텐션을 감지하는 센서와 연동되는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전기집진필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47496A 2022-04-18 2022-04-18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전기집진필터 KR102449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496A KR102449163B1 (ko) 2022-04-18 2022-04-18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전기집진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496A KR102449163B1 (ko) 2022-04-18 2022-04-18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전기집진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9163B1 true KR102449163B1 (ko) 2022-09-29

Family

ID=83462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496A KR102449163B1 (ko) 2022-04-18 2022-04-18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전기집진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1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615A (ja) * 1991-07-19 1993-02-02 Toshiba Corp 電気集塵機
JPH0518657U (ja) * 1991-08-22 1993-03-09 株式会社ゼクセル 電気集塵装置の放電線保持構造
KR20120058827A (ko) * 2010-11-30 2012-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집진 장치
KR20180090563A (ko) * 2017-02-03 2018-08-13 (주)동일기연 대전부를 포함하는 필터링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615A (ja) * 1991-07-19 1993-02-02 Toshiba Corp 電気集塵機
JPH0518657U (ja) * 1991-08-22 1993-03-09 株式会社ゼクセル 電気集塵装置の放電線保持構造
KR20120058827A (ko) * 2010-11-30 2012-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집진 장치
KR20180090563A (ko) * 2017-02-03 2018-08-13 (주)동일기연 대전부를 포함하는 필터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79800B (zh) 电晕等离子体设备和等离子体反应器
RU2418636C2 (ru)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 с поляризуемым под действием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поля материалом с электропроводными утолщениями
EP3544130B1 (en) Bipolar ion generator for air purification and diffuser using bipolar ion generator
KR101119078B1 (ko) 부유물 포집장치
WO2005035133A1 (en) Low pressure drop deep electrically enhanced filter
KR20100122274A (ko) 전기집진장치
KR20180101844A (ko) 전기집진장치 및 집진유닛의 제조방법
KR102047762B1 (ko) 전기 집진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 장치
US2847082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s
KR20160094615A (ko) 전기집진기 및 그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 시스템
US20170014757A1 (en) Plasma filtration device
KR20180090569A (ko) 집진부를 포함하는 필터링 장치
KR102449163B1 (ko)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전기집진필터
KR102449162B1 (ko) 전기집진필터를 이용한 미세먼지들의 전기집진필터방법
CA2794927A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with dual energy zone discharge electrodes
KR102407747B1 (ko) 전기 집진 장치
KR101032612B1 (ko)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N114502285A (zh) 电除尘器
CN109967247B (zh) 一种高压静电净化装置
KR102634227B1 (ko)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KR20150027430A (ko) 전기집진 장치
KR102278181B1 (ko) 전기집진장치
KR102572534B1 (ko)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KR102409978B1 (ko) 전기집진장치
KR102190076B1 (ko) 공기청정기용 집진부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