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087B1 -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087B1
KR102449087B1 KR1020180126708A KR20180126708A KR102449087B1 KR 102449087 B1 KR102449087 B1 KR 102449087B1 KR 1020180126708 A KR1020180126708 A KR 1020180126708A KR 20180126708 A KR20180126708 A KR 20180126708A KR 102449087 B1 KR102449087 B1 KR 102449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thruster
disposed
hatches
azim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5781A (ko
Inventor
이증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6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087B1/ko
Publication of KR20200045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18Arrangement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access to underwater elements, e.g. to propellers ; Externally attached cofferdam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81/00Repairing or maintaining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5/00Special arrang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end fittings of hoses, e.g. safety or protec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은, 선체 내에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트렁크, 선저 및 상부 갑판 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트렁크 내로 인입될 수 있는 아지무스 스러스터, 상기 트렁크의 일 면에 배치되어 작업자가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로 접근 가능한 접근부, 상기 트렁크 내부의 유체 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사운딩 파이프, 상기 트렁크 내부의 유체를 흡입할 수 있는 드레인 파이프,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가 상기 트렁크 내로 인입되면, 상기 트렁크 내부로 더 이상의 유체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상기 트렁크의 하부를 실링하는 하부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접근부는, 상기 접근부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는 개폐 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A VESSEL WITH RETRACTABLE THRUSTER}
본 발명은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지무스 스러스터가 격납되는 트렁크(Trunk) 내부에 유입된 해수를 측정하여 트렁크 내부의 해수 수위를 알려주고, 트렁크로부터 해수를 배출할 수 있는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원유의 확보를 위해 군소 한계 유전(marginal field)이나 심해 유전에 대한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며, 해저 채굴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유전 개발에 적합한 시추 설비를 구비한 선박들이 많이 개발 및 건조 되고 있다.
종래의 해저 시추 선박은, 예인선에 의해서만 항해가 가능하고 계류 장치를 이용하여 해상의 특정지점에 정박한 상태에서 해저 시추 작업을 하는 해저 시추 전용의 리그선(rig ship)이나 고정식 플랫폼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첨단의 시추 장비를 탑재하고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일반 선박과 동일한 형태로 제작된 소위 드릴쉽(drill ship)이 개발되어 해저 시추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드릴쉽과 같은 선박은 그 위치를 자주 옮겨야 하는 작업 조건 때문에 예인선 없이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또한 드릴쉽은 기존의 계류 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험한 해상 조건에서 선박의 위치를 일정 시추 지점에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기위치제어시스템(dynamic positioning system)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자기위치제어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핵심적인 장치는 추진 장치의 일종인 아지무스 스러스터(azimuth thruster)이다.
아지무스 스러스터는 선박의 추진 장치 중에서 선회 방식의 전기 구동식 추진 장치의 일종이다. 아지무스 스러스터는 선박의 추진과 조타 기능을 모두 갖춘 장치로써, 주로 선체의 바닥면 하부에 위치되고, 360도 회전 가능한 프로펠러를 구비하고 있다.
아지무스 스러스터 중 리트렉터블 타입(retractable type)의 아지무스 스러스터는 선박의 장거리 항해 시, 유체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선박 내부에 격납되고, 해양(offshore)에서 선박의 단거리 이동, 다이나믹 포지셔닝(dynamic positioning) 및 웨더 베닝(weather vaning)을 할 경우에는, 선박 외부로 돌출시켜 사용한다.
특히, 아지무스 스러스터가 장착된 선박은 조류 및 파도와 같은 외부 환경적 요소에 의해 선박이 이동할 경우, 목적하는 위치에 선박을 유지시키기 위해 선체의 바닥면 하부로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돌출시켜 다이나믹 포지셔닝을 수행한다. 이렇게 선박이 외력에 대하여 일정한 위치에 머무르고자 자기위치제어하는 모드를 자기위치제어모드 또는 다이나믹 포지셔닝 모드(dynamic positioning mode, DP 모드)라고 한다.
아지무스 스러스터는 주기관 즉, 선박의 메인 엔진과 분리 설치가 가능하므로 선박 내 구획 배치의 유연성이 증가하고 기관실 용적 감소 및 화물창 용적 증가의 효과가 있으며 자체 외전에 의한 조정 성능이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아지무스 스러스터는 선박의 위치제어를 위해 사용될 경우에는 유용한 장치이지만, 메인 엔진과 연결된 프로펠러를 이용하여 항해하는 선박 운항 중에는 아지무스 스러스터가 선체의 바닥면에서 해저를 향해 돌출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저항체가 되어 선박의 운항 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선체에 설치한 후에는 아지무스 스러스터의 모터를 제외한 프로펠러, 축, 기어 등을 점검하거나 정비하기 위해서는 선박을 드라이 도킹(Dry docking)해야 한다. 왜냐하면, 선박 운항 중에는 아지무스 스러스터가 수중으로 돌출되었다가 선체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반복하면서 아지무스 스러스터가 격납되는 트렁크에 해수가 유입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트렁크 내부로 들어가 점검하거나 수리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선박은 한번 운항을 시작하면, 정기 선체 점검 등의 장기 유지 보수 계획이나 선체에 극심한 손상을 일으키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으면 드라이 도킹을 하지 않기 때문에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선박 운항 중에 점검할 수 없어 아지무스 스러스터의 유지 보수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DP모드에서 아지무스 스러스터에 해초나 어망이 유입되어 아지무스 스러스터에 대한 보수 작업을 수행하여야 경우, 다이버가 선체 하부, 즉 해수면 아래로 내려가서 작업을 해야 하므로 보수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작업 자체가 위험하고 복잡하여 전반적으로 아지무스 스러스터에 대한 보수 작업 효율이 크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아지무스 스러스터가 선체의 하부에서 돌출된 구조로 인하여 선체 수리를 위해 도크로 진입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따른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6178호(2015.05.06,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포함하는 선박 및 아지무스 스러스터 정비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박 운항 도중에도 드라이 도킹을 하지 않고 쉽게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점검하고 수리할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체 내에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트렁크, 선저 및 상부 갑판 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트렁크 내로 인입될 수 있는 아지무스 스러스터, 상기 트렁크의 일 면에 배치되어 작업자가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로 접근 가능한 접근부, 상기 트렁크 내부의 유체 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사운딩 파이프, 상기 트렁크 내부의 유체를 흡입할 수 있는 드레인 파이프,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가 상기 트렁크 내로 인입되면, 상기 트렁크 내부로 더 이상의 유체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상기 트렁크의 하부를 실링하는 하부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접근부는, 상기 접근부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는 개폐 감지부를 포함하는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한다.
상기 접근부는 상기 트렁크의 최 외측에 배치되는 제1 해치 및 상기 제1 해치보다 상기 트렁크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제2 해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 감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해치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해치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는 제1 및 제2 리미터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해치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해치 사이의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제2 해치에서 누수된 해수가 상기 제1 및 제2 해치 사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압력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운딩 파이프는 상기 사운딩 파이프의 최 상부에 배치되는 테스트 콕 및 상기 테스트 콕 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아이솔레이션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렁크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트렁크 내부의 유체레벨을 센싱하여 엔진 컨트롤 룸 또는 선교로 알려주는 유체 레벨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은, 선박 운항 중에도 쉽게 아지무스 스러스터의 점검, 유지 및 보수가 가능하므로, 선박이 아지무스 스러스터의 유지, 보수를 위해 드라이 도크에 들어가는 횟수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드라이 도크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며, 아지무스 스러스터 점검 및 보수에 들어가는 시간과 비용이 절약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지무스 스러스터가 트렁크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지무스 스러스터가 트렁크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해치의 배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운딩 파이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10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지무스 스러스터가 트렁크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지무스 스러스터가 트렁크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해치의 배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운딩 파이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100)은 선체(101), 선체 저면(102), 트렁크(110), 아지무스 스러스터(120), 접근부(1100), 사운딩 파이프(1200), 드레인 파이프(1301), 펌프(1302), 유체 레벨 센서(1400), 하부 덮개(1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아지무스 스러스터(120)는 리트렉터블 타입(retractable type)으로 구성될 수 있다. 리트렉터블 타입의 아지무스 스러스터(120)를 구성하는 프로펠러(121)는 선체 저면(102)에서 최상 갑판을 향하는 방향 또는 그와 반대 방향 즉, 도 1에 도시된 화살표 A를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으며, 선체(101) 내에 구비된 트렁크(110)에 격납될 수 있다.
트렁크(110)는 아지무스 스러스터(120)와 프로펠러(121)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가 해저(seabed)를 향해 개방되며, 트렁크 내부(110a)는 프로펠러(121)가 선체(101) 내부로 완전히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크기와 공간을 가지고, 선체(101) 내에 형성된다.
아지무스 스러스터(120)는 트렁크(110)의 외부에 돌출된 상태로 수중에서 구동되므로, 도 1에는 프로펠러(121)가 수중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아지무스 스러스터(120)가 트렁크(110)로부터 해저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아지무스 스러스터(120)를 사용하지 않으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지무스 스러스터(120)를 트렁크 내부(110a)로 격납하게 되며, 프로펠러(121) 역시 트렁크 내부(110a)에 격납된다.
프로펠러(121)를 트렁크(110)에 격납할 경우, 프로펠러(121)는 해저 쪽을 향해 수중으로 돌출되었다가, 선체(101) 내부로 들어오게 되므로, 격납되는 프로펠러(121)를 따라 트렁크 내부(110a)로 해수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프로펠러(121)가 수중에서 동작할 때에는 트렁크(110)의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해수가 트렁크(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접근부(1100)는 트렁크(110)의 일 면에 배치된다.
접근부(1100)는 작업자가 아지무스 스러스터(120) 및 프로펠러(121)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 또는 접근로 역할을 하므로 작업자에 의해 개방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아지무스 스러스터(120) 및 프로펠러(121)에 대한 유지 및 보수 작업을 마친 경우, 트렁크(110)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가 선체(101) 내의 다른 구역으로 누수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해, 접근부(1100)가 수밀되도록 폐쇄할 필요성도 있다.
따라서, 트렁크(110) 내부에 해수가 유입되어 있을 때, 접근부(1100)가 완벽하게 수밀되지 않더라도, 접근부(1100)를 통해 누수된 해수가, 선체(101) 내의 다른 구역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접근부(1100)는 트렁크(110)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접근부(1100)는 트렁크 내부(110a)로 유입된 해수가 접근부(1100)에 의해 누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해치(1101, 1102)를 더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해치(1101, 1102)는 트렁크(110)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이 때, 트렁크(110)를 기준으로, 제1 해치(1101)는 상대적으로 제2 해치(1102)에 비하여 트렁크(110)의 최 외측에 배치되며, 제2 해치(1102)는 상대적으로 제1 해치(1101)에 비하여 트렁크(110)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된다.
한편, 제1 및 제2 해치(1101, 1102)는 트렁크(110)와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제1 및 제2 해치(1101, 1102)에는 각각 볼트와 너트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공(1101a, 1102a)이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볼트와 너트에 의해 제1 및 제2 해치(1101, 1102)가 트렁크(110)에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될 필요는 없으며, 제1 및 제2 해치(1101, 1102)와 트렁크(110) 사이에 경첩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해치(1101, 1102)를 회전하여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1 및 제2 해치(1101, 1102)에는 각각 손잡이(1101b, 1102b)가 형성될 수 있어, 작업자가 필요할 경우, 제1 및 제2 해치(1101, 1102)를 트렁크(110)로부터 분리하여 들어올릴 수 있다.
만약, 제1 및 제2 해치(1101, 1102)가 트렁크(110)의 상면 또는 상측에 배치되면, 트렁크(110)의 내부에는 수직 사다리(1103)가 배치되어, 작업자가 프로펠러(121)까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수직 사다리(110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해치(1101, 1102)로부터 트렁크(110)의 저면까지 연결 또는 연장된다.
또한, 접근부(1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경우가 있으므로, 완벽하게 수밀되지 않은 접근부(1100)를 통해 트렁크(110) 내부에 유입된 해수가 선체 내부로 유입될 위험이 있어, 접근부(1100)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는 개폐 감지부(1110)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개폐 감지부(1110)는 제1 및 제2 리미터 스위치(1111, 1112)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및 제2 해치(1101, 1102)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해치(1101, 1102)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리미터 스위치(1111, 1112)가 각각 제1 및 제2 해치(1101, 1102)의 개폐 여부를 센싱(sensing)하면, 제1 및 제2 리미터 스위치(1111, 1112)는 제1 및 제2 해치(1101, 1102)의 개폐 신호를 엔진 컨트롤 룸 또는 선교로 보내어 그 곳에서 제1 및 제2 해치(1101, 1102)의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외에도, 본 실시 예에 따른 접근부(1100)의 변형 실시 예는 제1 및 제2 해치(1101, 1102) 사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계(1113)를 더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계(1113)는 제1 해치(1101) 상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해치(1101, 1102) 사이의 압력을 측정한다.
만약, 제2 해치(1102)로부터 해수가 누수되어 제1 및 제2 해치(1101, 1102) 사이에 해수가 유입되면, 압력계(1103)는 제1 및 제2 해치(1101, 1102) 사이의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제1 및 제2 해치(1101, 1102) 사이에 해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운딩 파이프(1200)는 트렁크(110)의 상면에서 트렁크 내부(110a)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트렁크(110)의 저면까지 연장되고, 사운딩 파이프(1200)의 하단은 일부 개방된다.
사운딩 파이프(1200)는 트렁크 내부(110a)에 유입된 유체 레벨, 즉 해수의 수위를 작업자가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트렁크 내부(110a)에 해수가 얼마나 높이 차있는지를 작업자로 하여금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운딩 파이프(1200)는 파이프 관(1201)으로 구성되며, 테스트 콕(1202) 및 아이솔레이션 밸브(1203)를 더 포함한다.
파이프 관(1201)은 트렁크 내부의 공간(110a)을 관통하여 트렁크(110)의 저면까지 연장되며, 테스트 콕(test cock)(1202)은 사운딩 파이프(1200)의 최 상부 또는 최 상단에 배치되며,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아이솔레이션 밸브(isolation valve)(1203)는 파이프 관(1201) 상에 설치되며, 테스트 콕(1202)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된다.
아이솔레이션 벨브(1203)는 트렁크 내부(110a)에 유입된 해수가 파이프 관(1201)을 따라 수압에 의해 상승하면서 트렁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파이프 관(1201)을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작업자가 트렁크 내부(110a)의 해수 수위를 측정하고자 할 때, 아이솔레이션 밸브(1203)는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이솔레이션 밸브(1203)는 게이트 타입(gate type)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트렁크 내부(110a)의 해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파이프 관(1201)을 사용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해수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벨브 타입이면 어떠한 벨브 타입이던지 상관없다.
트렁크 내부(110a)에 유입된 해수 수위를 작업자가 직접 측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아이솔레이션 밸브(1203)를 우선 개방하고, 테스트 콕(1202)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해수가 누출되는지 여부를 먼저 확인한다.
테스트 콕(1202)을 통해 해수가 누출되지 않으면, 작업자는 테스트 콕(1202)을 열고, 일단에 추가 부착된 측심 줄자를 테스트 콕(1202)으로 집어 넣는다.
추는 중력에 의해 파이프 관(1201)을 따라 하강하며, 작업자는 추가 트렁크(110)의 저면에 닿을 때까지 측심 줄자를 계속 풀어준다.
한편, 트렁크 내부(110a)에 해수가 유입되어 있으면, 사운딩 파이프(1200)의 파이프 관(1201)을 타고 해수가 수압에 의해 상승하므로, 파이프 관(1201) 내부는 트렁크 내부(110a)의 해수 수위와 동일한 높이까지 해수가 차오르게 된다.
작업자는 설계도에 의해 트렁크(110)의 상부로부터 하부 또는 상면으로부터 저면까지의 높이를 알 수 있으므로, 트렁크(110)의 설계 높이만큼 측심 줄자를 풀어주었다가 다시 감아 올리면서, 측심 줄자의 어느 부분까지 해수가 묻어 있는 지를 파악하여 직접 트렁크 내부의 해수 수위를 파악할 수 있다.
드레인 파이프(1301)는 트렁크(110)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트렁크 내부(110a)의 유체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드레인 파이프(1301)는 트렁크 내부(110a)의 해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트렁크(110)와 유체 연결되며, 해수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 트렁크(110)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레인 파이프(1301)는 펌프(1302)와 유체 연결되어 펌프(1302)와 함께 해수 배출 유닛(1300)을 구성한다.
펌프(1302)는 드레인 파이프(1301)를 통해, 트렁크 내부(110a)에 유입된 유체를 흡입하고, 흡입된 유체를 선체(101)에 설치된 발라스트 탱크 또는 선체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이외에도, 펌프(1302)에 의해 흡입된 유체는 선박의 소방 시스템을 구성하는 소방 라인으로 공급될 수도 있으며, 선박에서 해수를 이용하는 다른 시스템에 공급할 수 있다.
유체 레벨 센서(1400)는 트렁크(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트렁크 내부(110a)에 있는 유체 레벨, 즉 해수의 수위를 정확히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작업자는 사운딩 파이프(1200)를 통해 직접 트렁크 내부(110a)의 해수 수위를 측정할 수도 있으나, 유체 레벨 센서(1400)를 통하여 트렁크 내부(110a)의 해수 수위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아지무스 스러스터(120) 또는 프로펠러(121)에 대한 유지 및 보수 작업을 진행하기 전에 앞서서, 유체 레벨 센서(1400)를 통하여 트렁크 내부(110a)에 작업자가 진입할 수 있을 정도의 유체 레벨이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유체 레벨 센서(1400)가 측정한 트렁크 내부(110a)의 해수 수위에 대한 신호는 엔진 컨트롤 룸(Engine Control Room; ECR) 또는 선교(Bridge)로 보내어져서 그 곳에서 정확한 수치로 트렁크 내부(110a)의 해수 수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유체 레벨 센서(1400)는 플로터 타입(floater type)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레이저 또는 솔레노이드 타입의 센서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트렁크 내부(110a)의 해수 수위를 측정하여 디지털화할 수 있는 센서도 구성될 수 있다.
하부 덮개(1500)는 프로펠러(121)의 하부에 연결되며, 아지무스 스러스터(120)가 트렁크 내부(110a)로 인입되면, 프로펠러(121)와 함께 상승한다.
프로펠러(121)가 트렁크 내부(110a)에 완전히 격납되면, 하부 덮개(1500)의 일부분은 선체 저면(102)에 밀착하게 되고, 트렁크(110)의 하부를 실링(sealing)하여, 트렁크 내부(110a)로 더 이상의 유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하부 덮개(1500)는 플레이트(1501), 플레이트(1501)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미도시) 및 플레이트(1501)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고무 실링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플레이트(1501)는 하부 덮개(1500)의 본체를 이루고, 플레이트(1501)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은 플레이트(1501)를 선체 저면(102)에 고정하기 위하여 볼트가 체결되는 홈이다. 또한, 고무 실링부는 복수의 홈 외측으로 플레이트(1501)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어 플레이트(1501)가 선체 저면(102)에 완벽하게 수밀 고정되지 않을 경우, 플레이트(1501)와 선체 저면(102) 사이의 틈으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요소들을 바탕으로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100)이 항해 중에 아지무스 스러스터(120)를 정비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아지무스 스러스터(120)와 프로펠러(121)가 트렁크 내부(110a)로 인입되어 격납되면, 프로펠러(121)의 하단에 연결된 하부 덮개(1500) 즉, 플레이트(1501)가 선체 저면(102)에 밀착되면서 트렁크 내부(110a)로 더 이상의 해수 유입은 차단된다.
이때, 트렁크 내부(110a)에는 아지무스 스러스터(120)와 프로펠러(121)가 선체(101)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면서 트렁크(110) 하부가 개방됨으로 인해 유입된 해수와, 아지무스 스러스터(120)와 프로펠러(121)가 격납되면서 같이 유입된 해수가 존재하게 된다.
유체 레벨 센서(1400)는 트렁크 내부(110a)에 유입된 해수의 수위를 측정하여 엔진 컨트롤 룸 또는 선교로 측정 신호를 전송한다.
엔진 컨트롤 룸 또는 선교에서는 펌프(1302)를 작동시켜 드레인 파이프(1301)를 통해 해수를 트렁크 내부(110a)로부터 배출시킨다.
트렁크 내부(110a)로부터 충분하게 해수가 배출되고, 유체 레벨 센서(1400)로부터 전송되는 측정 신호가 일정 이하의 수치를 나타내거나, 더 이상 신호 또는 알람을 보내지 않으면, 트렁크 내부(110a)에 작업자가 진입할 수 있을 정도로 해수가 배출되었음을 엔진 컨트롤 룸 또는 선교에서 확인한다.
작업자는 트렁크 내부(110a)로 진입하기 전에, 다시 한번 트렁크 내부(110a)의 해수 수위를 확실히 측정하기 위하여 사운딩 파이프(1200)를 이용하여 트렁크 내부(110a)의 해수 수위를 직접 측정하고, 측정된 수위가 작업자가 트렁크 내부(110a)로 진입하기에 충분한 정도가 되면, 제1 및 제2 해치(1101, 1102)를 순서대로 트렁크(110)에서 분리한다.
제1 및 제2 해치(1101, 1102)가 트렁크(110)로부터 분리되면, 작업자는 수직 사다리(1103)를 타고 트렁크 내부(110a)로 진입하여, 프로펠러(121) 및 아지무스 스러스터(120)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은 항해 중에도 트렁크 내부로 작업자의 접근성을 보장하고 아지무스 스러스터에 대한 유지 및 보수 작업을 가능하게 하므로, 종래에 아지무스 스러스터 유지 보수를 위해 선박이 드라이 도킹할 필요성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은 드라이 도크에 필요한 시간, 비용 및 노동력이 현저히 절감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선박
110: 트렁크
120: 아지무스 스러스터
1100: 접근부
1200: 사운딩 파이프
1300: 해수 배출 유닛
1400: 유체 레벨 센서
1500: 하부 덮개

Claims (5)

  1. 선체 내에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트렁크;
    선저 및 상부 갑판 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트렁크 내로 인입될 수 있는 아지무스 스러스터;
    상기 트렁크의 일 면에 배치되어 작업자가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로 접근 가능한 접근부;
    상기 트렁크 내부의 유체 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사운딩 파이프;
    상기 트렁크 내부의 유체를 흡입할 수 있는 드레인 파이프;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가 상기 트렁크 내로 인입되면, 상기 트렁크 내부로 더 이상의 유체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상기 트렁크의 하부를 실링하는 하부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접근부는,
    상기 접근부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는 개폐 감지부;
    상기 트렁크의 최 외측에 배치되는 제1 해치; 및
    상기 제1 해치보다 상기 트렁크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제2 해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해치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해치 사이의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제2 해치에서 누수된 해수가 상기 제1 및 제2 해치 사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압력계를 더 포함하는,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 감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해치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해치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는 제1 및 제2 리미터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운딩 파이프는,
    상기 사운딩 파이프의 최 상부에 배치되는 테스트 콕; 및
    상기 테스트 콕 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아이솔레이션 밸브를 더 포함하는,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트렁크 내부의 유체레벨을 센싱하여 엔진 컨트롤 룸 또는 선교로 알려주는 유체 레벨 센서를 더 포함하는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20180126708A 2018-10-23 2018-10-23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2449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708A KR102449087B1 (ko) 2018-10-23 2018-10-23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708A KR102449087B1 (ko) 2018-10-23 2018-10-23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781A KR20200045781A (ko) 2020-05-06
KR102449087B1 true KR102449087B1 (ko) 2022-09-29

Family

ID=70737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708A KR102449087B1 (ko) 2018-10-23 2018-10-23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08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06323A1 (de) * 1993-03-01 1994-09-08 Schottel Werft Schiffsantriebsanlage mit einem unter dem vorzugsweise im wesentlichen oder im Bereich der Antriebsanlage ebenen Schiffsboden angeordneten Antriebspropeller
KR101099755B1 (ko) * 2010-05-12 2011-12-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탱크의 레벨 측정 장치
KR101516178B1 (ko) 2013-08-23 2015-05-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포함하는 선박 및 아지무스 스러스터 정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781A (ko) 202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81001B (zh) 浮式钻井储油平台总段下水及旋转合拢对接方法
KR101927571B1 (ko) 해양 선박
JP4814120B2 (ja) 船舶の復原力回復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自動車運搬船
US3868921A (en) Normally vented liquid-storage tank for ships, with closure device for automatically preventing leaking if the ship should sink
KR102449087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US9227702B2 (en) Ballast system for floating offshore platforms
RU2752151C2 (ru) Защитное ограждение для морского сооружения и морское сооружение
RU2538739C1 (ru) Система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текучей среды к плавающему судну
CN108266547B (zh) 海洋核动力平台测深装置及其测深方法
KR101497397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EP1131626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inspection of buoyant objects
KR101444146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1727787B1 (ko) 안전 수밀 시스템을 갖는 선박
KR101422177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20090085233A (ko) 기름회수 및 선체인양이 용이한 유조선 및 상기 유조선의기름회수 및 인양방법
KR101029653B1 (ko) 발라스트 탱크를 가지는 도크게이트 개폐방법 및 그도크게이트
CN218022113U (zh) 一种简易的复合材料船舶坞修平台
US3113544A (en) Underdeck tunnel for tankers
RU2412079C1 (ru) Шланг-швартов для одноопорной швартовки судов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по нему текучей среды
KR101606696B1 (ko)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방법
KR101559412B1 (ko)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배치구조를 갖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
KR101805494B1 (ko) 해양플랜트용 스러스터 리커버리의 하강 운전 제어장치
KR101574284B1 (ko) 해수 유입 감지용 유체 탱크를 갖는 선수추진기 실링장치
KR20240094516A (ko) 침몰 선박 위치식별장치
CN116161174A (zh) 一种半潜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