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466B1 - 3차원 지하시설물의 부분갱신을 위한 영상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지하시설물의 부분갱신을 위한 영상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466B1
KR102448466B1 KR1020200145214A KR20200145214A KR102448466B1 KR 102448466 B1 KR102448466 B1 KR 102448466B1 KR 1020200145214 A KR1020200145214 A KR 1020200145214A KR 20200145214 A KR20200145214 A KR 20200145214A KR 102448466 B1 KR102448466 B1 KR 102448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data
data
map
image processing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9709A (ko
Inventor
이민규
김성수
최성식
Original Assignee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5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466B1/ko
Publication of KR20220059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영상 처리 장치는, 제1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제2지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부; 및 제1지도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 간의 업데이트된 오브젝트를 확인하고, 제2지도 데이터 내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 및 수치 표고 모델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고,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가 제1지도 데이터 내의 3차원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의 심도 데이터와 제1지도 데이터 내의 3차원 오브젝트들의 심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심도 보간을 수행하고, 심도 보간이 수행된 3차원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제1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3차원 지하시설물의 부분갱신을 위한 영상 처리 장치 {IMAGE PROCESSING DEVICE FOR PARTIAL RENEWAL OF 3D UNDERGROUND FACILITIES}
본 발명은 업데이트된 지도 데이터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는 위한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3차원 모델링이란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에서 가상의 3차원 공간 속에 특정 모형을 재현시키는 과정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모델링은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3차원 모델링은 가상공간의 3차원 모델을 통해 실 세계의 물체를 묘사하거나 물리적 환경을 모델링하여 가상 환경 속에서 물체의 모습을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시뮬레이션 등 실제 공간에서 수행하기에는 다소 곤란한 작업을 가능케 해 준다는 점에서 유용성을 가진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3차원 모델링을 영화, 애니메이션, 광고 등의 엔터테인먼트 분야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추세이며, 각종 실험 시뮬레이션, 건축, 디자인 등의 설계 및 예술의 표현 수단으로도 각광 받고 있다.
한편, 3차원 모델링이 가능한 시설물을 지상 및 지하의 시설물로 나눌 때, 기존 지상 시설물 모델링은 3차원 모델링 프로그램을 통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즉, 지상에 존재하는 시설물들은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각 시설물들의 주요 수치를 직접 측정함으로써 3차원 모델의 구현이 가능하다.
그러나 시각적으로 확인이 불가능한 지하 매설 시설물의 경우, 해당 시설물의 정확한 위치 및 깊이 정보를 가지는 3차원 모델의 생성이 곤란하였으며, 이에 지하 시설물에 대한 관련 데이터들은 지상 시설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부족할 수 밖에 없어 시설물 관리 등에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에는 새로운 지하 시설물이나 변경된 지하 시설물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작업으로 수행하였기 때문에 이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10-2020-0065797 ㅁ (2020.06.09.)
일 측면은 변화가 생긴 오브젝트만을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한 오브젝트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여 지하 시설물에 대한 3차원 지도 데이터를 신속하게 생성하는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업데이트된 3차원 오브젝트와 미리 저장된 3차원 오브젝트에 대한 심도 보간을 수행하여 미리 저장된3차원 오브젝트와 업데이트된 3차원 오브젝트를 부드럽게 연결하는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제1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제2지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부; 및 제1지도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 간의 변경된 오브젝트를 확인하고, 제2지도 데이터 내 변경된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 및 수치 표고 모델에 기초하여 변경된 오브젝트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고,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가 제1지도 데이터 내의 3차원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의 심도 데이터와 제1지도 데이터 내의 3차원 오브젝트들의 심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심도 보간을 수행하고, 심도 보간이 수행된 3차원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제1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제1지도 데이터 내 교차 지점의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 내 교차 지점의 데이터 간의 차이가 존재하고, 제1지도 데이터 내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와 제2지도 데이터 내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가 상이하면, 제2 지도 데이터 내에 신규로 추가된 오브젝트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신규로 추가된 오브젝트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한다.
제어부는, 제1지도 데이터 내 교차 지점의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 내 교차 지점의 데이터가 동일하면, 제1지도 데이터 내 오브젝트 중 제2지도 데이터 내에 존재하지 않는 오브젝트를 저장부의 제1지도 데이터에서 삭제하도록 한다.
제어부는, 제1지도 데이터 내 변경된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 내 변경된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고, 속성 데이터가 상이하다고 판단되면 변경된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를 제2지도 데이터의 속성 데이터로 변경한다.
제어부는, 제1지도 데이터 내의 3차원 오브젝트들 중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와 교차하거나 연결되는 3차원 오브젝트를 확인하고 확인한 3차원 오브젝트의 심도 데이터와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의 심도 데이터가 상이하면 심도 보간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 장치는 제 2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변경된 오브젝트의 관경값을 변경하고, 관경값이 변경된 오브젝트를 기존의 지도 데이터에 저장하여 3차원 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지하시설물에 대한 3차원 지도 데이터를 최소 비용으로 신속하게 구축할 수 있고, 메모리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업데이트된 3차원 오브젝트와 미리 저장된 3차원 오브젝트 간 심도 보간을 수행함으로써 미리 저장된 3차원 오브젝트와 업데이트된 3차원 오브젝트를 부드럽게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과 같이 실물의 시각적 확인이 어려운 지하시설물에 대한 3차원 지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 내 제어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4는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각 지도 데이터의 예시도이다.
도 5는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교차 지점의 예시도이다.
도 6은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업데이트된 오브젝트를 판단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속성 데이터의 비교 예시도이다.
도 8은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속성 데이터의 변경 예시도이다.
도 9는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업데이트된 오브젝트들의 표시 예시도이다.
도 10은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오브젝트의 3차원 모델링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심도 변경 시 심도 변경 지점에 대한 예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하", "전후좌우"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 내 제어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영상 처리 장치(1)는 입력부(10), 통신부(20), 제어부(30), 저장부(40) 및 표시부(50)를 포함한다.
입력부(1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한다.
입력부(10)는 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를 위한 영역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경위도의 좌표 정보나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지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는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표시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업데이트된 오브젝트들 중 3차원 모델링을 위한 오브젝트의 선택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0)는 3차원 모델링 명령, 3차원 지도 데이터의 검색 명령 및 표시 명령, 3차원 지도 데이터의 전송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0)는 지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지도 데이터는 지하 시설물에 대한 지도 데이터로, 2차원 지도 데이터나 3차원 지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지도 데이터는 교차 지점의 식별 정보나 위치 정보에 대한 데이터와, 오브젝트의 식별 정보, 위치 정보 및 타입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지하 시설물은 상수도, 하수도, 통신, 전력, 가스, 난방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해 각종 버튼이나 스위치,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는 지도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장치로서, 스캐너,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해 터치 패드(touch pad) 등과 같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즉 소프트웨어인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로 구현되어 표시부(5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통신부(2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0)는 제어부(3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3차원 지도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송신하거나 2차원 지도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20)는 외부 장치로부터 3차원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2차원 지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2차원 지도 데이터 및 3차원 지도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일 수도 있고, 업데이트된 지도 데이터일 수 있다.
통신부(2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직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지하공간통합 지도를 관리하는 서버일 수도 있고, 지하공간 통합 지도를 관리하기 위한 2차원 지도 데이터나 3차원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단말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 처리 장치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는 지하시설물 탐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시설물 탐사장치는 지하에 매설된 오브젝트인 관로 상의 지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부와, 지하에 매설된 관로에 설치된 RFID 태그(RFID Ta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의 위치를 인식하는 RFID 리더(RFID Reader)와, RFID 리더, GPS 수신기 및 영상 처리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 안테나와, RFID 리더에 의해 인식된 RFID 태그의 위치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이동부의 이동 제어를 수행하는 동안 GPS 수신기와 연동하는 전자지도에 RFID 리더에서 인식한 RFID 태그의 점과 이들을 잇는 선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이에 대응하는 2차원 지도 데이터를 영상 처리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입력부(10)에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 명령 및 3차원 모델링을 위한 영상 처리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거나, 또는 각종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는 3차원 지도 데이터의 검색 명령의 수신과 위치 정보의 수신에 대응하여 저장부(40)에 저장된 3차원 지도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지도 데이터의 표시 명령의 수신에 대응하여 저장부(4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한 지도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표시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지도 데이터의 전송 명령의 수신 및 위치 정보의 수신에 대응하여 저장부(4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한 지도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통신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3차원 모델링 명령의 수신에 대응하여 2차원 지도 데이터 및 속성 정보에 대응하는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함으로써 3차원 지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속성 데이터는, 심도 값과 관경 값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속성 데이터는 오브젝트인 관로의 타입 및 관로의 단면 형상에 대한 데이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 명령의 수신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즉 제1 지도 데이터), 업데이트된 지도 데이터(제2지도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함으로써 지하시설물에 대한 새로운 3차원 지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데이터 수신부(31), 데이터 비교부(32), 모델 생성부(33) 및 보간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부(31)는 입력부(10) 및 통신부(2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된 제2지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2지도 데이터는 교차 지점의 위치 정보와 식별 정보에 대한 데이터와, 오브젝트의 타입, 시종점의 위치 정보, 속성 정보 및 식별 정보에 대한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비교부(32)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제1지도 데이터와 수신된 제2지도 데이터를 비교한다.
데이터 비교부(32)는 제1 지도데이터의 교차 지점의 위치 정보와 제2지도 데이터의 교차 지점의 위치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데이터 비교부(32)는 제1 지도데이터의 교차 지점의 개수와 제2지도 데이터의 교차 지점의 개수를 비교할 수 있다.
데이터 비교부(32)는 제1 지도데이터의 교차 지점과 제2 지도데이터의 교차 지점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제1 지도데이터의 교차 지점의 위치 정보와 개수, 제2지도 데이터의 교차 지점의 위치 정보와 개수를 비교할 수 있다.
데이터 비교부(32)는 제1 지도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시종점의 위치 정보와 제2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시종점의 위치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모델 생성부(33)는 데이터 비교부(32)에서 비교된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제1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와 제2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 간의 변화가 생긴 오브젝트나 신규로 추가된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삭제된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모델 생성부(33)는 변경화 생긴 오브젝트 및 신규로 추가된 오브젝트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되, 수치 표고 모델을 이용하여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다.
보간부(34)는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제1지도 데이터 내 3차원 오브젝트들 중 3차원 모델링된 오브젝트와 인접한 오브젝트를 확인하고, 확인한 3차원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와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심도 보간을 수행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간부(34)는 확인한 3차원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지도 데이터 내 3차원 오브젝트의 심도값을 확인하고,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의 심도값을 확인하며, 두 심도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심도 보간을 수행할 수 있다.
보간부(34)는 심도 보간에 의한 데이터를 3차원 모델 파일(3DS)로 변환하고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제어부(30)의 각각의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 및 3차원 모델링을 위해 제어부(30)에서 수행되는 각 기능은, 각각의 구성요소에서 수행할 수 있다.
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 및 3차원 모델링의 수행 구성을 제어부 하나로 통합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30)는 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 명령이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지도 데이터를 리드하고, 제2지도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1지도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제2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변경이나 신규로 추가된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삭제된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제1지도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를 비교할 때 공간 검색을 통해 제1, 2 지도 데이터 내의 오브젝트들의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고, 제1지도 데이터 내의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 내의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공간 검색 및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1지도 데이터의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의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제1지도 데이터의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의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가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제2지도 데이터가 업데이트된 지도 데이터가 아니거나, 이미 제1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를 보류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제1지도 데이터의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의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가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제1, 2지도 데이터 내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2지도 데이터 상에서 삭제된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는 제2지도 데이터 내에 존재하지 않는 제1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0)는 제1지도 데이터 내의 오브젝트 중 제2지도 데이터 내에 존재하지 않는 오브젝트를 삭제할 오브젝트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제1지도 데이터 중 결정된 오브젝트를 삭제한 후, 결정된 오브젝트가 삭제된 지도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다시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제1지도 데이터의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의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가 상이하다고 판단되면 제2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된 지도 데이터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제1지도 데이터의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의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가 상이하다고 판단되고 상이한 교차 지점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예, 두 개)를 초과하면 제2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된 지도 데이터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제2지도 데이터가 업데이트된 지도 데이터라고 판단되면 제1지도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베이스를 다시 비교하되, 제1, 2 지도 데이터 내의 오브젝트별로 제1지도 데이터 내 오브젝트의 시점과 종점의 위치 정보와 제2지도 데이터 내 오브젝트의 시점과 종점의 위치 정보를 각각 비교함으로써 오브젝트 별로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하고,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에 있어 업데이트된 오브젝트가 변경된 오브젝트인지, 신규로 추가된 오브젝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경위도의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지도 데이터 상의 X, Y축의 값일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부(30)는 제1, 2 지도 데이터의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제1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와 제2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제1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와 제2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의 동일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30)는 위치 정보가 동일한 제1, 2 지도 데이터 내의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에 대해 변경된 오브젝트라고 판단(1차 판단)하고, 위치 정보가 상이한 제1, 2 지도 데이터 내의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에 대해 신규로 추가된 오브젝트라고 판단한다.
제어부(30)는 1차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된 제1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업데이트된 오브젝트가 변경된 오브젝트인지를 최종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1차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된 오브젝트에 대해 제1, 2 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속성 데이터가 상이하면 업데이트된 오브젝트를 변경된 오브젝트로 최종 판단(2차 판단)할 수 있고, 제1, 2 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가 동일하면 업데이트된 오브젝트를 변경 사항이 없는 오브젝트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변경된 오브젝트에 대해, 제1지도 데이터 내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를 제2 지도 데이터 내의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속성 데이터는 관경값에 대응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제어부(30)는 제2지도 데이터의 제1위치에 존재하는 오브젝트가, 제1지도 데이터의 제1위치에 존재하지 않으면 제2지도 데이터의 1위치에 존재하는 오브젝트를 신규 오브젝트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는 제1지도 데이터 내 존재하지 않는 제2 지도 데이터 내의 오브젝트에 대해 신규로 추가된 오브젝트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업데이트된 오브젝트, 즉 변경된 오브젝트 및 신규로 추가된 오브젝트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업데이트된 오브젝트들 중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할 오브젝트를 선택받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부(30)는 선택된 오브젝트의 2차원 지도 데이터, 심도값, 관경값 및 수치 표고 모델(DEM)에 기초하여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수치 표고 모델(DEM)에 기초하여 선택된 오브젝트가 매립된 위치에 대응하는 지표의 높이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가 반영된 3차원 지도 데이터를 획득 및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심도 데이터(예, 평균 심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공간정보 형태의 데이터(Polyline z)로 자동 변환한 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른 3차원 오브젝트가 연결되는 연결 부분의 심도값을 각각 확인하고, 두 심도 값이 상이한지 판단하며 연결 부분의 심도값이 상이하다고 판단되면 연결 부분에 대한 심도 보간을 수행한다.
제어부(30)는 심도 보간이 수행된 오브젝트들에 대한 데이터를 최종적으로 3차원 모델 파일(3DS)로 변환하고 심도 보간에 의해 생성된 심도값에 대응하는 속성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한다.
제어부(30)는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표시 명령에 대응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업데이트된 오브젝트들을 확인하고 확인한 오브젝트들에 대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업데이트 및 3차원 모델링된 오브젝트의 표시 명령의 수신에 대응하여 업데이트 및 3차원 모델링된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변경되거나 추가된 오브젝트(즉 관로)만을 업데이트하기 때문에 지하시설물에 대한 3차원 지도 데이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영상 처리 장치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30)는 예컨대, CPU(또는 DSP, MPU 등),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SoC, MICOM(MICRO COMPUT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제어부(3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6종(상하수, 광역상수, 하수, 가스, 전력, 열수송, 통신) 지하시설물 2차원 지도 데이터를 3차원 지도 데이터로 자동 변환시키는 3차원 모델링에 대한 것이다.
이와 같이 지하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링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지하 구조물 정보나 지반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지하 공간 통합 지도가 구축되도록 할 수 있다.
지하공간 통합지도는 지하 공간을 개발, 이용, 관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15종의 지하 정보(지하시설물, 지하구조물, 지반)를 3차원 기반으로 통합한 지도를 말한다.
15종의 지하정보는 6종의 지하시설물 정보(상하수도, 통신, 전력, 가스 난방), 6종의 지하구조물정보(공동구, 지하철, 지하보도, 지하차도, 지하상가, 지하 주차장), 3종의 지반정보(시추, 관정, 지질)을 포함한다.
저장부(40)는 영상 처리 장치에 포함된 구성 및 자원(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관리하는 OS (operating system)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0)는 평균 심도 값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0)는 복수 개의 데이터 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지하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종 지하 시설물들은, 상수도, 하수도, 통신, 전력, 가스, 난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종 시설물들에 대한 정보에는 2차원 지도 데이터, 심도 데이터, 속성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속성 데이터에는 심도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2차원 지도 데이터는 x축과 y축이 직교하는 평면을 가정할 때, x축 방향의 크기 및 y축 방향의 크기로 나타내어진 점, 복수 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선 또는 면이 될 수 있다. 즉, 2차원 평면 데이터는 하나의 좌표점 또는 복수개의 좌표점 집합의 형태로 나타내어 질 수 있다.
또한 심도 데이터는 시설물이 매설된 깊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시설물의 가로/세로 단면에 의해 형성되는 직선이 상호 교차하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해당 중심점이 지표면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낸다.
속성 데이터는 시설물의 입체 구조를 정의하는데 필요한 값 또는 값들의 집합으로서, 속성 데이터는 시설물의 입체 구조에 따라 그 구성 값들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시설물이 관 형상의 입체 구조인 경우, 속성 데이터는 관 지름의 크기를 나타내는 관경 값이 될 수 있다.
저장부의 복수 개의 데이터 베이스는 비 갱신된 2차원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비 갱신된 3차원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데이터 베이스는 제어부의 명령에 대응하여 비 갱신된 2차원 또는 3차원 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0)는 업데이트를 위해 수신된 제2지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저장부(40)의 복수 개의 데이터베이스는 갱신되는 지역의 지하 시설물에 대한 2차원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갱신되는 지역의 지하 시설물에 대한 3차원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갱신되는 지역은, 현재 시점으로부터 과거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지하시설물에 변화가 생긴 지역일 수 있다.
저장부(40)는 지하 시설물의 오브젝트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DEM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0)는 위치별 오브젝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오브젝트별 정보는, 타입, 시점 위치 정보, 종점 위치 정보 및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40)는 제어부의 명령에 대응하여 저장된 제1지도 데이터의 일부를 삭제할 수 있다.
저장부(40)는 제어부의 명령에 대응하여 저장된 제1지도 데이터에 새로 생성된 지도 데이터를 더 포함시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0)는 제어부의 명령에 대응하여 저장된 제1지도 데이터의 일부를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저장부(40)는 제어부의 명령에 대응하여 제1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4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는 제어부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표시부(50)는 업데이트된 지도 데이터,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50)는 3차원 모델링된 지하시설물의 3차원 지도 데이터를 표시한다.
표시부(50)는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위치(지역 위치)에 대한 지하시설물의 3차원 지도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50)는 업데이트 및 3차원 모델링 과정에 대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50)는 심도 보간 전후의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와 미리 저장된 다른 3차원 오브젝트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50)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디지털 광원 처리(Digital Light Processing: DLP)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enal),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전기 발광(Electro Luminescence: EL) 패널,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 전기변색 디스플레이(Electrochromic Display: E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지도 업데이트의 제어 순서도로,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영상 처리 장치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제1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 명령이 수신되면 제2 지도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영상 처리 장치는 제1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 명령이 수신되면 제2 지도 데이터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제2지도 데이터의 입력을 요청하는 것은, 2차원 지도 데이터 또는 3차원 지도 데이터의 입력을 요청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2지도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 정보, 위치 정보, 시점의 위치 정보, 종점의 위치 정보, 속성 정보 및 타입에 대한 데이터와, 오브젝트인 관로들의 교차 지점에 대한 식별 정보와 위치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도 데이터는 3차원으로 모델링된 지하시설물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
제2지도 데이터는 컴퓨터 내 프로그램에 의해 설계된 데이터일 수 있고, 전산 데이터일 수 있으며, 외부 장치에서 전송된 영상 데이터일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처리 장치는 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 명령의 수신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지도 데이터를 리드하고, 제1지도 데이터와 수신된 제2지도 데이터를 비교(102)함으로써 제2지도 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처리 장치는 제1지도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를 비교할 때 공간 검색을 통해 제1, 2 지도 데이터 내의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를 각각 획득하고 각각 획득한 제1, 2 지도 데이터 내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들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는, 교차 지점의 식별 정보와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교차 지점의 개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는 제1지도 데이터 내 교차 지점의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 내 교차 지점의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영상 처리 장치는 제1, 2지도 데이터의 교차 지점 중 일부가 상이하다고 판단되면 제2지도데이터를 업데이트된 지도 데이터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영상 처리 장치는 제1, 2지도 데이터의 교차 지점 중 상이한 교차 지점의 개수를 확인하고 확인한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면 제2지도데이터를 업데이트된 지도 데이터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는 제2지도 데이터가 업데이트된 지도 데이터라고 판단되면 제1지도 데이터 내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 내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각각 비교하여, 제1지도 데이터 내 삭제된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제2지도 데이터 내에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103)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영상 처리 장치는 제1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들 중 제2지도 데이터에 존재하지 않는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영상 처리 장치는 제2지도 데이터 내에 존재하지 않는 제1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처리 장치는 제1지도 데이터 내의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 중 제2지도 데이터 내에 존재하지 않는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삭제할 오브젝트의 데이터로 결정(104)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는 제1지도 데이터 중 결정된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삭제(105)한 후, 결정된 오브젝트의 데이터가 삭제된 제1지도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다시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제1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106)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는 제1지도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의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지도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를 다시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지도 데이터 중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데이터는 변경되거나 추가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즉 영상 처리 장치는 제1지도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를 다시 비교함으로써 변경된 오브젝트의 데이터를 확인하고 또한 신규로 추가된 오브젝트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도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를 다시 비교할 때, 영상 처리 장치는 제1지도 데이터 내 오브젝트의 시점의 위치정보와 종점의 위치 정보 및 제2지도 데이터 내 오브젝트의 시점의 위치 정보와 종점의 위치 정보를 각각 비교(107)할 수 있다.
아울러, 영상 처리 장치는 각 교차 지점에서 교차하는 오브젝트들의 시점과 종점에 대응하는, 제1지도 데이터에서의 위치 정보와 제2지도 데이터에서의 위치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제2지도 데이터에 변경되거나 새롭게 추가된 오브젝트의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경위도의 좌표 정보 및 지도 상의 X, Y축의 좌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영상 처리 장치는 오브젝트의 타입,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지도 데이터 중에서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영상 처리 장치는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제1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와 제2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의 동일 여부를 판단(108)한다.
영상 처리 장치는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데이터 중 위치 정보가 동일한 제1, 2 지도 데이터 내의 오브젝트에 대해 변경된 오브젝트라고 판단(1차 판단)하고,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데이터 중 제1지도 데이터와 위치 정보가 상이한 제 2 지도 데이터 내의 오브젝트에 대해 신규로 추가된 오브젝트라고 판단(109)한다.
예를 들어, 영상 처리 장치는 제2지도 데이터의 제1위치에 존재하는 오브젝트가, 제1지도 데이터의 1위치에 존재하지 않으면 제2지도 데이터의 제1위치에 존재하는 오브젝트를 신규 오브젝트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영상 처리 장치는 제1지도 데이터 내 존재하지 않는 제2 지도 데이터 내의 오브젝트의 데이터에 대해 신규로 추가된 오브젝트의 데이터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는 제2지도 데이터의 제2위치에 존재하는 오브젝트가 제1지도 데이터의 제2위치에 존재하면 제2위치에 존재하는 오브젝트를 제1, 2 지도 데이터에 모두 존재하는 오브젝트로 판단하되 변경된 오브젝트로 1차 판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처리 장치는 1차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된 제1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를 비교(110)하고, 제1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가 상이하면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데이터를 변경된 오브젝트의 데이터로 최종 판단할 수 있다.
즉 영상 처리 장치는 1차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된 오브젝트의 데이터에 대해 제1, 2 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가 동일한지를 판단(111)하고, 제1, 2 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가 상이하다고 판단되면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데이터를 변경된 오브젝트의 데이터로 최종 판단(2차 판단)할 수 있고, 제1, 2 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데이터를 업데이트 오류 데이터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데이터를 변경 사항이 없는 오브젝트의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데이터에 대해, 속성 데이터가 아닌 오브젝트의 식별 정보, 시종점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었다고 판단하여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데이터를 제2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데이터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속성 데이터는 관경값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처리 장치는 변경된 오브젝트에 대해, 제1지도 데이터 내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를 제2 지도 데이터 내의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로 변경(112)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처리 장치는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표시 명령에 대응하여 업데이트된 오브젝트들을 확인하고 확인한 오브젝트들에 대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된 오브젝트는, 속성 데이터가 변경된 오브젝트일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는 업데이트된 오브젝트들 중 입력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선택(113)되면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3차원 모델링(114)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영상 처리 장치는 선택된 오브젝트의 2차원 지도 데이터, 수치 표고 모델 및 심도값에 기초하여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는 오브젝트를 선택받을 때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을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는 3차원 모델링을 통해 오브젝트에 대한 3차원 오브젝트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처리 장치는 3차원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모델 생성부를 통해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에 대한 3차원 형상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는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에 대한 심도값과 제1지도 데이터 내 다른 3차원 오브젝트의 심도값을 비교(115)한다.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와 제1지도 데이터 내 다른 3차원 오브젝트 사이에 심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다른 3차원 오브젝트는, 제1지도 데이터 내의 오브젝트들 중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와 연결되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아울러 다른 3차원 오브젝트는, 제1지도 데이터 내의 오브젝트들 중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와 인접한 오브젝트 또는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와 교차하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처리 장치는 연결 부분의 심도값을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연결 부분의 두 심도 값이 상이한지를 판단(116)한다.
영상 처리 장치는 연결 부분의 심도값이 상이하다고 판단되면, 연결 부분에 대한 심도 보간을 수행(117)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처리 장치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3차원 관로와 모델링된 3차원 관로에 대한 심도 보간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3차원 관로와 모델링된 3차원 관로를 자연스럽게 연결할 수 있다.
심도 보간된 오브젝트들에 대한 데이터는 최종적으로 3차원 모델 파일(3DS)로 변환되고 심도 보간에 의해 생성된 속성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영상 처리 장치는 심도 보간된 3차원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데이터 베이스를 업데이트(106)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업데이트된 3차원 지도 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는 변화가 생기거나 새롭게 추가된 오브젝트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여 지하시설물에 대한 3차원 지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게시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게시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영상 처리 장치
10: 입력부
20: 통신부
30: 제어부
40: 저장부
50: 표시부

Claims (6)

  1. 제1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제2지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지도 데이터와 상기 제2지도 데이터 간의 변경된 오브젝트를 확인하고, 상기 제2지도 데이터 내 상기 변경된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 및 수치 표고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된 오브젝트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고, 상기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가 상기 제1지도 데이터 내의 3차원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상기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의 심도 데이터와 상기 제1지도 데이터 내의 3차원 오브젝트들의 심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심도 보간을 수행하고, 상기 심도 보간이 수행된 3차원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1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지도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 간 변경된 오브젝트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제1지도 데이터 및 제2지도 데이터 내에서 오브젝트들의 교차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 및 교차 지점의 개수를 비교하고, 상기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가 상이하고 상이한 교차 지점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면 상기 제2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된 지도 데이터로 판단하며, 상기 제1지도 데이터 및 제2지도 데이터 내에서 상기 교차 지점을 구성하는 오브젝트들의 시점 위치 정보 및 종점 위치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1지도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 간 변경된 오브젝트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도 데이터 내 교차 지점의 데이터와 상기 제2지도 데이터 내 교차 지점의 데이터가 동일하면, 상기 제1지도 데이터 내 오브젝트 중 상기 제2지도 데이터 내에 존재하지 않는 오브젝트를 상기 저장부의 제1지도 데이터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도 데이터 내 상기 변경된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와 상기 제2지도 데이터 내 상기 변경된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고, 속성 데이터가 상이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변경된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를 상기 제2지도 데이터의 속성 데이터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심도 보간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에 대한 심도값과 상기 제1지도 데이터 내 다른 3차원 오브젝트 - 상기 다른 3차원 오브젝트는, 상기 제1지도 데이터 내 오브젝트들 중 상기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와 연결되는 오브젝트임 - 의 심도값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와 상기 다른 3차원 오브젝트 간 연결 부분의 심도값이 상이하면 연결 부분에 대한 심도 보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145214A 2020-11-03 2020-11-03 3차원 지하시설물의 부분갱신을 위한 영상 처리 장치 KR102448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214A KR102448466B1 (ko) 2020-11-03 2020-11-03 3차원 지하시설물의 부분갱신을 위한 영상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214A KR102448466B1 (ko) 2020-11-03 2020-11-03 3차원 지하시설물의 부분갱신을 위한 영상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709A KR20220059709A (ko) 2022-05-10
KR102448466B1 true KR102448466B1 (ko) 2022-09-30

Family

ID=81591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214A KR102448466B1 (ko) 2020-11-03 2020-11-03 3차원 지하시설물의 부분갱신을 위한 영상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4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7509B1 (ko) * 2023-08-21 2024-06-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하시설물에 대한 3차원 정보 취득이 가능한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918B1 (ko) 2013-07-10 2013-12-09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지하시설물 3차원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572413B1 (ko) 2015-02-27 2015-11-26 한국마커스 주식회사 휴대용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하시설물 관리 방법
KR101659779B1 (ko) 2016-02-23 2016-09-27 (주)이지스 3차원 지리 공간 시스템에서의 3차원 도면 구축 방법
KR101720755B1 (ko) * 2016-07-27 2017-03-30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지하시설물의 3차원 모델링 데이터의 영상처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174B1 (ko) * 2015-07-22 2017-03-08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구조물 영상 관리 방법,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조회장치
KR102032974B1 (ko) * 2017-05-30 2019-11-08 주식회사 차후 모바일 단말, 지하 시설물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3d 공간정보에 기반한 지하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2097416B1 (ko) * 2018-03-30 2020-04-06 주식회사 지오멕스소프트 표고차를 고려한 지하관로의 관리를 위한 증강 현실 표현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200065797A (ko) 2018-11-30 2020-06-09 (주) 지오씨엔아이 3차원 공간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64219B1 (ko) * 2019-08-20 2021-06-11 주식회사 버넥트 지하시설물 관련 혼합현실 제공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918B1 (ko) 2013-07-10 2013-12-09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지하시설물 3차원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572413B1 (ko) 2015-02-27 2015-11-26 한국마커스 주식회사 휴대용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하시설물 관리 방법
KR101659779B1 (ko) 2016-02-23 2016-09-27 (주)이지스 3차원 지리 공간 시스템에서의 3차원 도면 구축 방법
KR101720755B1 (ko) * 2016-07-27 2017-03-30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지하시설물의 3차원 모델링 데이터의 영상처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709A (ko)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0990B1 (ko) 객체 기반의 3d 도시 모델링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US20190371055A1 (en) 3d monitoring server using 3d bim object model and 3d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it
KR102032974B1 (ko) 모바일 단말, 지하 시설물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3d 공간정보에 기반한 지하 시설물 관리 시스템
US10699484B2 (en) Mixed-reality and CAD architectural design environment
CN106463056B (zh) 用于高度定制的交互式移动地图的解决方案
US9424371B2 (en) Click to accept as built modeling
EP2748561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splaying items on multiple floors in multi-level maps
CN106980633A (zh) 室内地图数据的生成方法及装置
KR20200005951A (ko) 3차원 bim 객체 모델링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bim 객체 모델링 시스템
CN105575253A (zh) 一种室内地图生成方法及装置
JP609032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30128282A1 (en) Method for fusing map data, and electronic device
KR101044252B1 (ko) 공간모델을 이용한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및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CN103177649A (zh) 一种像素坐标聚合的方法及装置
JP4606898B2 (ja) 情報生成装置及び検索装置
KR102448466B1 (ko) 3차원 지하시설물의 부분갱신을 위한 영상 처리 장치
KR20210040294A (ko) 과거 스트리트 뷰 조회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KR102453427B1 (ko) 3차원 지하시설물 가공을 위한 영상 처리 장치
KR20230163900A (ko) 단독건축물 자동건축설계 장치 및 방법
JP2013257280A (ja) 地図表示装置、地図表示方法および地図表示用プログラム
KR102553567B1 (ko) 실측 기반의 평면도를 사용하는 실내 지도와 그 작성 방법
US8872831B2 (en) Semantic-driven profile curve interpolation for swept-surface extrusion
KR20050073647A (ko)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측량 방법
KR102125683B1 (ko) 건축물의 실내공간정보에 관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14757996A (zh) 使用数字孪生与城市模型交互的***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