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888B1 - beverge capsule - Google Patents

beverge caps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888B1
KR102446888B1 KR1020200122583A KR20200122583A KR102446888B1 KR 102446888 B1 KR102446888 B1 KR 102446888B1 KR 1020200122583 A KR1020200122583 A KR 1020200122583A KR 20200122583 A KR20200122583 A KR 20200122583A KR 102446888 B1 KR102446888 B1 KR 102446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edge portion
edge
capsul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5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39466A (en
Inventor
이성배
Original Assignee
이성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배 filed Critical 이성배
Priority to KR1020200122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888B1/en
Priority to PCT/KR2020/012852 priority patent/WO2022065538A1/en
Publication of KR20220039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4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8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캡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캡슐은, 커피 분말 또는 차 분말이 수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테두리부; 상기 제1 테두리부의 외측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테두리부; 상기 제1 테두리부에 밀착되어 상기 몸체부를 밀봉하는 덮개부; 상기 제1 테두리부와 상기 제2 테두리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며, 선택적으로 제거 가능한 연결편을 포함하여서, 서로 다른 크기의 커피캡슐투입구를 갖는 커피머신에 대하여, 제1 테두리부 또는 제2 테두리부를 선택적으로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apsule. Beverage caps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ffee powder or tea powder is accommodated in the body portion; a first edge portion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 second edge portion dispos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edge portion; a cover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edge part and sealing the body part; At least one is provided to connect the first edge portion and the second edge portion to each other, and includes a selectively removable connecting piece, for a coffee machine having a coffee capsule inlet of different sizes, the first edge portion or the second edge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dge part is selectively mounted so that it can be used.

Description

음료 캡슐{beverge capsule}beverage capsules

본 발명은 음료 캡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로 다른 크기의 투입구를 가지는 캡슐용 커피 머신에 모두 사용 가능하고 안정적으로 커피 또는 차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 음료 캡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aps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capsule that can be used in both coffee machines for capsules having different sizes of inlets and can stably extract coffee or tea.

커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커피머신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캡슐에 분쇄된 커피분말을 담고 이 캡슐을 캡슐용 커피머신을 이용해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방식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캡슐용 커피머신에 사용되는 음료 캡슐에 관한 것이다. As the demand for coffee increases, various types of coffee machines are being developed. Among them, there is a method in which the coffee powder is placed in a capsule and the coffee extract is extracted from the capsule using a coffee machine for capsul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apsule used in such a coffee machine for capsules.

캡슐용 커피머신은 다양한 회사에서 다양한 종류의 제품이 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커피 캡슐을 커피머신의 캡슐수용부에 넣고, 작동법에 따라 동작을 시키면, 커피 캡슐에 고온 고압의 물을 공급되어 액상의 커피를 얻을 수 있다. Coffee machines for capsules are available in various types from various companies. When the user puts the coffee capsule into the capsule accommodating part of the coffee machine and operates 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method,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water is supplied to the coffee capsule to obtain liquid coffee.

이러한 캡슐방식은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맛과 향의 원두분말이 담긴 커피 캡슐을 선택할 수 있고, 또한 구매 후에도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This capsule method is popular because the user can select a coffee capsule containing the coffee bean powder of the desired taste and aroma,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store after purchase.

종래 커피 캡슐들은, 제품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전체적으로 보아, 원통형이되 상부보다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약간 줄어드는 형태의 원통형의 몸체를 포함한다. 몸체의 상단에는 수평으로 돌출 형성된 테두리부가 구비되어 있고, 테두리부에는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덮개부가 밀착 결합되어 있다. 몸체의 내부공간에는 커피분말이 담겨져 있다. Conventional coffee capsules,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for each product, as a whole, include a cylindrical body having a cylindrical shape, but a diameter slightly decreasing toward the lower part than the upper part. The upper end of the body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ly protruding edge portion, and the edge portion is closely coupled with a cover for sealing the inner space. Coffee powder is contain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그러나, 커피캡슐용 커피머신에 따라서 요구되는 커피캡슐의 형태 내지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소비자의 선택이 제한되는 한계가 있다. 예컨대, A회사의 A 캡슐용 커피머신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는 그 A 커피머신에 맞는 형태 내지 크기를 갖는 커피 캡슐만을 이용할 수 있고, B회사의 B 캡슐용 커피머신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는 그 B 커피머신에 맞는 형태 내지 크기를 갖는 커피 캡슐만을 이용할 수 밖에 없다. 즉, A 캡슐용 커피머신을 가진 사용자는 자신이 좋아하는 맛과 향기를 가지는 B 커피 캡슐을 발견했다고 하여도 그 B 커피 캡슐을 구매하여 이용할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However, since the shape or size of the coffee capsules required 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for coffee capsules are different, there is a limit in which the choice of the consumer is limited. For example, a user who has a coffee machine for capsule A of company A can use only coffee capsules having a shape or size suitable for the coffee machine A, and a user who has a coffee machine for capsule B of company B can use the coffee machine for B. There is no choice but to use coffee capsules having a shape or size suitable for the 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a user who has a coffee machine for capsule A cannot purchase and use the coffee capsule B even if he or she finds a coffee capsule B having a taste and aroma that he or she likes.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종의 커피머신에서 이용가능한 커피캡슐(등록특허 제2114428호)에 대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는 이종의 커피머신에서 이용 가능하지만, 커피가 추출되어 낙하하는 지점이 커피머신에 따라 상이한 점 등에 단점이 있는 바,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한 음료 캡슐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applicant has been registered for a coffee capsule (Registration Patent No. 2114428) that can be used in different types of coffee machines. Although the registered patent of the present applicant can be used in different types of coffee machine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oint where coffee is extracted and dropped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ffee machin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capsule that solves this problem. .

한편, 커피와 함께, 차에 대한 수요도 꾸준하다. 본 발명은 캡슐용 커피 머신에 사용되는 캡슐에 커피 분말 대신, 차 분말 또는 잘게 썬 차 잎을 담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한 음료 캡슐에 제공하고자 한다. Meanwhile, along with coffee, demand for tea is also stead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capsule that can be used instead of coffee powder in a capsule used in a coffee machine for capsules, which can be used with tea powder or chopped tea leaves.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서로 다른 크기의 투입구를 가지는 캡슐용 커피 머신에 모두 사용 가능하고 안정적으로 커피 또는 차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 음료 캡슐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need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verage capsule that can be used in both coffee machines for capsules having different sizes of inlets and can stably extract coffee or tea. do it with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캡슐은, 커피 분말 또는 차 분말이 수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테두리부; 상기 제1 테두리부의 외측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테두리부; 상기 제1 테두리부에 밀착되어 상기 몸체부를 밀봉하는 덮개부; 상기 제1 테두리부와 상기 제2 테두리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며, 선택적으로 제거 가능한 연결편을 포함하여서, 서로 다른 크기의 커피캡슐투입구를 갖는 커피머신에 대하여, 제1 테두리부 또는 제2 테두리부를 선택적으로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Beverage caps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ffee powder or tea powder is accommodated in the body portion; a first edge portion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 second edge portion dispos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edge portion; a cover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edge part and sealing the body part; At least one is provided to connect the first edge portion and the second edge portion to each other, and includes a selectively removable connecting piece, for a coffee machine having a coffee capsule inlet of different sizes, the first edge portion or the second edge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dge part is selectively mounted so that it can be used.

또한, 상기 제2 테두리부의 하측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턱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edge portion is formed with a protruding engaging projection downward.

또한,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는, 상기 커피 분말 또는 차 분말이 수용된 내측을 향하여 가압할 때, 상기 몸체부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함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is pressed toward the inside in which the coffee powder or tea powder is accommodated, it is preferable to be concavely depressed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또한, 일단이 상기 제1 테두리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테두리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테두리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부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first connection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edge part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oward the second edge part an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connected to the second edge part and having a thickness greater than a thickness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또한, 외부에서 상기 커피 분말 또는 차 분말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을 따라서 커피추출액과 섞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테두리부의 하측 둘레에는 제1 높이를 갖는 제1 방수벽과, 상기 제1 방수벽의 외측 둘레에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제2 방수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방수벽의 외측 둘레에는 커피머신에 거치되는 거치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first waterproofing wall having a first height on the lower periphery of the first edge portion to prevent the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coffee powder or tea powder from mixing with the coffee extract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econd waterproofing wall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e first height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waterproofing wall, and a mounting protrusion mounted on the coffee machin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waterproofing wall.

또한, 상기 연결편은, 2개 내지 4개가 서로 일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wo to four connecting pieces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걸림턱부는, 2개 내지 4개가 서로 일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wo to four of the locking jaws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제1 테두리부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테두리부는 상기 제1 테두리부의 직경보다 큰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edge portion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second edge portion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larger than a diameter of the first edge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캡슐은, 서로 다른 크기의 투입구를 가지는 캡슐용 커피 머신에 모두 사용 가능하고 안정적으로 커피 또는 차를 추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 beverage caps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both coffee machines for capsules having different sizes of inlets and provides the effect of stably extracting coffee or tea.

또한, 커피 캡슐을 높이를 변경하여 서로 다른 깊이를 갖는 커피 머신에 대하여 모두 사용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Also, by changing the height of the coffee capsules,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be used for coffee machines having different depths.

도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음료 캡슐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3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저면도,
도4는 몸체부가 가압되어 함몰부가 형성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lower side of a beverage caps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portion is pressed and the depression is formed.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the related detailed description is described.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and/or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component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such as “comprises” or “may include” that may be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 the existence of a corresponding disclosed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and may include one or more additional functions, operations, or components, etc. are not limited. 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exist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 new component is formed between the component and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erms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terms not interpreted as meanin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음료 캡슐(100)은, 몸체부(10), 제1 테두리부(20), 제2 테두리부(30), 덮개부(40) 및 연결편(50)을 포함한다. First, 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beverage caps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10 , a first edge portion 20 , a second edge portion 30 , and a cover portion 40 . ) and a connecting piece 50 .

상기 몸체부(10)는 커피 분말이 수용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몸체부(1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또는 펄프(종이)로도 형성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10 is a portion in which the coffee powder is accommodated. In this embodiment, the body portion 1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f course, the material of the body portion 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metal such as aluminum or pulp (paper).

한편, 본 실시예는 음료 캡슐(100)에 커피 분말이 수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음료 캡슐에는 커피 분말 뿐 아니라, 녹차, 보이차, 꽃차 등 다양한 종류의 차의 분말, 혹은 잘게 썬 차의 조각이 수용될 수 있다. '커피 분말'로 기재되어 있어도, 커피 분말 뿐 아니라 차 분말도 포함하며, 차 분말에는 상술한 다향한 형태의 차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커피 추출액이라고 하면, 상황에 따라 차 추출액도 포함한다. 이하 같다. On the other hand,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the coffee powder is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capsule (100). However, the beverage capsule may contain not only coffee powder, but also powders of various types of tea, such as green tea, Pu'er tea, flower tea, or finely chopped tea pieces. Even if it is described as 'coffee powder', i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not only coffee powder but also tea powder, and the tea powder includes various types of tea described above. In addition, when it comes to coffee extract, it also includes tea extract depending on the situation. as below.

상기 몸체부(10)는 내부에 커피 분말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10)는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를 포함한다. The body 10 forms a space in which coffee powder can be accommodated, an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body 10 includes an upper body 11 and a lower body 12 .

상기 상부몸체(11)는 덮개부(40)가 결합되는 부위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몸체(12)는 상기 상부몸체(11)의 하단으로부터 꺾이면서 하방으로 더 연장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의 하부를 마감한다. 도1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몸체(12)는 접시 모양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The upper body 11 is a portion to which the cover portion 40 is coupled,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diameter decreasing toward the lower portion. The lower body 12 is bent from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11 and further extends downward, and is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oward the lower side, thereby clos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0 . 1 and 4, the lower body 12 is formed similarly to a plate shape.

물론, 상기 몸체부(10)의 형상은 위와 같은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몸체부(10)의 상단부의 형태는 다각형일 수 있으며, 전체적인 형태가 다각기둥 또는 다각뿔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예컨대, 삼각 기둥이거나, 삼각뿔, 혹은 사각 기둥이거나 사각뿔, 또는 오각 기둥이거나 오각뿔 등이 될 수도 있다. 다만, 뿔, 기둥 등이라고 하여, 수학적으로 뿔이나, 기둥의 정의를 만족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대략적으로 보아, 기둥형태 뿔 형태로 해석되는 것을 의미한다.Of course, the shape of the body portion 1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shape. The upper end of the body 10 may have a polygonal shape, and the overall shape may have a polygonal prism or a polygonal pyramid shape. For example, it may be a triangular prism, a triangular pyramid, a quadrangular prism, a quadrangular pyramid, or a pentagonal prism or a pentagonal pyramid. However, horns, columns, etc. do not mean that mathematically satisfy the definition of a horn or a column, but mean that it is interpreted in the form of a columnar horn when viewed roughly.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10)의 하단부는, 상기 커피 분말이 수용된 내측을 향하여 가압될 때,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함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10)는 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몸체(12)를 뒤쪽에서 가압하면 상기 하부몸체(12)와 상기 상부몸체(11)의 경계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하부몸체(12)가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으로 함몰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10, when the coffee powder is pressed toward the accommodated inside, is recessed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body portion 1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when the lower body 12 is pressed from the back, the lower body 12 and the upper body 11 are based on the boundary. Thus, the lower body 12 is depressed 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10).

상기 하부몸체(12)가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으로 함몰되는 경우, 상기 몸체부(1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의 높이 내지 깊이가 줄어들게 되므로, 음료캡슐의 투입구의 높이 내지 깊이가 서로 다른 커피머신에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lower body 12 is recessed inside the body portion 10, the height or depth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body portion 10 is reduced, so the height or depth of the inlet of the beverage capsule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compatible with coffee machines and can be used.

상기 제1 테두리부(20)는 상기 몸체부(10)의 상단부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커피머신의 캡슐 투입구에 걸려지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10)의 상단부가 원형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제1 테두리부(20)는 상기 몸체부(10)를 360°감싸면서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테두리부(20)가 상기 몸체부(10)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는 커피머신의 커피캡슐 투입구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The first edge portion 20 is a portion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10, and is provided to be hung on the capsule inlet of the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1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first edge portion 2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while surrounding the body portion 10 by 360°. The length of the first edge portion 20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10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coffee capsule inlet of the coffee machin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테두리부(20)의 하면에는 제1 방수벽(21), 제2 방수벽(22), 및 거치돌기(23)가 마련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first waterproof wall 21 , a second waterproof wall 22 , and a roughening protrusion 23 ar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edge portion 20 .

상기 제1 방수벽(21) 및 제2 방수벽(22)은, 커피의 추출을 위해서 외부에서 커피 분말을 향하여 물을 공급할 때, 상기 물이 상기 몸체부(10)의 외주면을 따라서 이동하여 상기 커피추출액과 섞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방수벽(21)은 상기 제1 테두리부(20)의 하측 둘레에 제1 높이를 가지면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방수벽(22)은 상기 제1 방수벽(21)의 외측 둘레에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면서 형성된다. The first waterproof wall 21 and the second waterproof wall 22, when wat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oward the coffee powder for extraction of coffee, the water mov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the It is provided to prevent mixing with the coffee extract. As shown in FIG. 4 , the first waterproof wall 21 is formed to have a first height around the lower side of the first edge portion 20 . In addition, the second waterproof wall 22 is form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waterproof wall 21 to have a height lower than the first height.

예컨대, 상기 몸체부(10)의 뒤쪽, 즉 하부몸체(12) 측에서 물을 공급하는 경우, 고온 고압의 물이 상기 몸체부(10)의 내부로 주입되고, 상기 몸체부(10)의 외주면을 따라서 상기 물의 일부가 흘러서 커피추출액과 섞일 수 있다. 상기 제1 방수벽(21)은 1차적으로 상기 물이 커피추출액과 섞이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 방수벽(22)은 상기 제1 방수벽(21)의 기능을 보충하여 추가적으로 제1 방수벽(21)을 넘어오는 물을 막아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 방수벽(21)과 상기 제2 방수벽(22) 사이에는 소정의 홈이 형성되게 되므로, 상기 물이 상기 제1 방수벽(21)에 불구하고 넘어오더라고 상기 제2 방수벽(22)과 상기 제1 방수벽(21) 사이에 수용되게 되어, 커피추출액에 물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방수벽은 커피 추출액이 외부로 새어 나가는 것도 방지해 준다. For example, when water is supplied from the rear of the body 10 , that is, from the lower body 12 sid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water is injected into the body 10 ,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10 . Accordingly, a portion of the water may flow and be mixed with the coffee extract. The first waterproofing wall 21 primarily prevents the water from mixing with the coffee extract, and the second waterproofing wall 22 supplements the function of the first waterproofing wall 21 to additionally a first waterproofing wall. (21) It performs the function of blocking the water coming over. Since a predetermined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waterproofing wall 21 and the second waterproofing wall 22 , even if the water flows over the first waterproofing wall 21 , the second waterproofing wall ( 22) and the first waterproofing wall 21 is accommod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ffee extract from mixing with water. On the other hand, the waterproof wall also prevents the coffee extract from leaking out.

상기 거치돌기(23)는, 상기 제2 방수벽(22)의 외측 둘레에 커피머신의 투입구에 거치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거치돌기(23)는, 상기 제1 테두리부(20)를 이용하는 커피머신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마련되며, 상기 제1 테두리부(20)를 이용하는 커피머신에 상기 거치돌기(23)가 삽입 또는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가 마련될 수 있다. The mounting protrusion 23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waterproof wall 22 to be mounted on the inlet of the coffee machine. In the coffee machine using the first edge portion 20 , the roughening protrusion 23 is provided to more firmly support the body portion 10 , and coffee using the first edge portion 20 . A mounting portion into which the mounting protrusion 23 can be inserted or mounted may be provided in the machine.

상기 제2 테두리부(30)는, 상기 제1 테두리부(20)를 이용할 수 있는 커피캡슐 투입구보다 크기가 큰 커피캡슐 투입구를 갖는 커피머신에 이용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제2 테두리부(30)는, 상기 제1 테두리부(20)의 외측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The second edge portion 30 is provided for use in a coffee machine having a coffee capsule inlet that is larger in size than the coffee capsule inlet that can use the first edge portion 20 . The second edge portion 30 is dispos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edge portion 20 .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테두리부(30)는 상기 제1 테두리부(20)와 마찬가지로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테두리부(30)의 중심은 상기 제1 테두리부(20)의 중심과 같으며, 상기 제2 테두리부(30)의 직경은 상기 제1 테두리부(20)의 직경보다 크다. 상기 제2 테두리부(30)는 상기 제1 테두리부(20)와 소정의 공간부(80)을 가지면서 이격되어 배치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edge portion 3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like the first edge portion 20 . The center of the second edge part 30 is the same as the center of the first edge part 20 , and the diameter of the second edge part 30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edge part 20 . The second edge portion 3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dge portion 20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80 .

상기 제1,2 테두리부(20,30)가 동심원을 이루므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캡슐(100)이 이종(異種)의 커피 머신 투입구에 투입될 때 항상 투입구의 중심측에 배치될 수 있게 되어 커피를 안정적으로 추출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first and second edge portions 20 and 30 form concentric circles, the beverage caps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ways be placed on the center side of the inlet when it is put into the coffee machine inlet of different types. This enables stable extraction of coffe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테두리부(30)의 하측에는 걸림턱부(60)가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locking jaw portion 6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edge portion 30 .

상기 걸림턱부(60)는, 상기 제2 테두리부(30)를 사용하여 커피 캡슐을 거치하는 커피머신에 이용하는 경우, 상기 제2 테두리부(30)를 상기 커피 머신에 안정적으로 지지시킨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캡슐(100)을 커피캡슐 투입구에 투입할 때, 상기 걸림턱부(60)는 상기 커피캡슐 투입구에 삽입되고, 상기 걸림턱부(6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2 테두리부(30)의 부분은 상기 커리캡슐 투입구의 가장자리에 걸리게 되어서 커피 캡슐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The locking jaw part 60 stably supports the second edge part 30 to the coffee machine when the second edge part 30 is used for a coffee machine that holds a coffee capsule. Specifically, when the beverage caps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ut into the coffee capsule inlet, the locking jaw part 60 is inserted into the coffee capsule inlet, and the first extending outward from the locking jaw part 60 2 A portion of the edge portion 30 is caught on the edge of the curry capsule inlet, so that the coffee capsule can be stably supported without shaking.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턱부(60)는 상기 제2 테두리부(3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부(60)는 상기 제2 테두리부(30)의 하면에 원호 형태로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부(60)는 4 개가 90°간격으로 마련되어 있으나, 그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2개 내지 4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부(60)는 서로 마주하여 2개가 180°간격으로 배치되거나, 3개가 120°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부(60)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커피 캡슐의 몸체부(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의 경우, 걸림턱부가 하나의 연장된 원의 형태가 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locking jaw part 60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edge part 30 . The locking jaw part 60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edge part 30 in a circular arc shape. In the present embodiment, four of the locking jaws 60 are provided at intervals of 90°, but the number is not limited thereto, and for example, two to four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wo of the locking jaws 60 face each other and may be disposed at intervals of 180°, or three may be disposed at intervals of 120°. The locking jaws 60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o stably support the body portion 10 of the coffee capsul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other embodiment, the locking jaw portion may be in the form of one extended circle.

상기 덮개부(4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테두리부(20)에 밀착되어 상기 몸체부(10)를 밀봉한다. 상기 덮개부(40)에 의해 상기 몸체부(10) 내부에 수용된 커피 분말은 완전히 밀봉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40)는 제1 테두리부(20) 및 제2 테두리부(30)에 모두 밀착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덮개부(40)는 상기 제1 테두리부(20)의 상면에만 밀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cover part 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edge part 20 to seal the body part 10 . The coffee powder accommodated in the body portion 10 by the cover portion 40 is completely seale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over part 40 is in close contact with both the first edge part 20 and the second edge part 30 . In another embodiment, the cover part 40 may be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only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dge part 20 .

상기 연결편(50)은, 상기 제1 테두리부(20)와 상기 제2 테두리부(3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연결편(50)은 선택적으로 제거 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연결편(50)이 선택적으로 제거 가능하다고 함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연결편(50)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연결편(50)이 제거하여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제1 테두리부(20)를 사용하여 몸체부(10)를 거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편(50)을 제거하고, 상기 제2 테두리부(30)를 사용하여 몸체부(10)를 거치하고자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편(50)을 그대로 두고 사용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piece 50 is provided to connect the first edge part 20 and the second edge part 30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piece 50 is provided to be selectively removabl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that the connecting piece 50 is selectively removable means that the connecting piece 50 may be used without being removed, or the connecting piece 50 may be removed and us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do. When the user wants to mount the body part 10 using the first rim part 20 , the connection piece 50 is removed and the body part 10 is mounted using the second rim part 30 . If desired, the connection piece 50 may be left as it is.

상기 연결편(50)은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며,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4개가 서로 일정 간격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편(50)은 2개가 서로 마주하여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연결편(50)이 3개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원주 방향으로 120°의 간격으로 배치되고, 4개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90°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편(50)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2 테두리부(30)를 커피머신에 거치하여 사용할 때, 몸체부(10)가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게 된다. At least one connecting piece 50 is provided, and preferably two to four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wo connecting pieces 50 ar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When three connecting pieces 50 are provided, they may be arranged at intervals of 12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when four are provided, they may be arranged at intervals of 90°. Since the connecting pieces 50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he body 10 can be stably mounted when the second edge 30 is mounted on a coffee machine and us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편(50)은 제1 연결부(51) 및 제2 연결부(52)를 포함한다. 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ng piece 50 includes a first connecting portion 51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52 .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연결부(51)는 일단이 상기 제1 테두리부(2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테두리부(30)를 향하여 연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 연결부(5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 제2 연결부(52)는 상기 제1 연결부(51)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테두리부(30)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부(51)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1 , the first connection part 51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edge part 20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oward the second edge part 30 . The first connection part 51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second connection part 52 extends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51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edge part 30 and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51 .

상기 연결편(50)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1 테두리부(20) 및 제2 테두리부(30) 사이의 연결편(50)이 꺾이거나 뒤틀리도록 가압하여 상기 제1 연결부(51)가 상기 제1 테두리부(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부(51)의 두께가 상기 제2 연결부(52)의 두께보다 얇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한 가압력이 상기 제1 연결부(51)에 집중되어 상기 연결편(50)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When the user wants to remove the connecting piece 50, the user presses the connecting piece 50 between the first edge part 20 and the second edge part 30 to be bent or twisted so that the first connecting part 51 is to be separated from the first edge portion 20 .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thickness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51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52, the pressing force by the user is concentrated on the first connection part 51, and the connection piece 50 is It can be easily removed.

또한,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편(50)은 상기 제2 연결부(52)로부터 상기 제1 연결부(51)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면서 대략 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연결편(50)을 제거하기 위해 힘을 가할 때, 상기 제1 연결부(51)에 힘이 집중되어 연결편(50)이 용이하게 제거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connecting piece 50 has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as the width decreases from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52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51 , so the connecting piece When a force is applied to remove the 50 , the force is concentrated o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51 so that the connecting piece 50 is easily removed.

이하, 상기 구성에 따른 음료 캡슐의 작용 내지 효과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action or effect of the beverage capsul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음료 캡슐(100)은, 제1 테두리부(20) 및 제2 테두리부(30)를 형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커피캡슐 투입구를 갖는 커피머신과,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커피캡슐 투입구를 갖는 커피머신에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몸체부(10)의 하단부를 내측으로 함몰시켜서 상기 몸체부(10)의 깊이(내지 높이)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깊이의 커피캡슐 투입구를 갖는 커피머신에 대하여도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Beverage capsu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first rim portion 20 and the second rim portion 30, and a coffee machine having a coffee capsule inlet of a relatively small size, and a relatively large size It can be used in both coffee machines having a coffee capsule inlet of It provides the effect that it can be used interchangeably even with respect to a coffee machine having a capsule inlet.

좀 더 구체적으로, 커피캡슐 투입구가 상대적으로 큰 커피머신에 대하여 제2 테두리부(30)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편(50)을 제거하지 않고 상기 커피캡슐 투입구에 투입하고, 이때 상기 걸림턱부(60)는 상기 투입구의 내측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2 테두리부(30)가 상기 투입구의 주변부에 걸려서 상기 몸체부(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어서, 고온, 고압의 물이 상기 몸체부(10)의 내부로 투입되어 커피추출액을 뽑아내며, 상기 제1 테두리부(20)의 하면에 마련되는 제1 방수벽(21) 및 제2 방수벽(22)은 상기 물이 몸체부(10)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여 커피추출액과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More specifically, it can be used by mounting the second edge portion 30 for a coffee machine with a relatively large coffee capsule inlet. In this case, without removing the connecting piece 50, it is put into the coffee capsule inlet, and at this time, the engaging jaw part 60 is inserted inside the inlet and the second edge part 30 is caught in the periphery of the inlet. The body portion 10 is stably supported. Then,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body portion 10 to extract the coffee extract, and the first and second waterproof walls 21 and second waterproof walls ar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edge portion 20 . (22) prevents the water from flowing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and mixing with the coffee extract.

한편, 커피캡슐 투입구가 상대적으로 작은 커피머신에 대하여 제1 테두리부(20)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편(50)을 상기 제1 테두리부(20)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제2 테두리부(30)를 분리한다. 상기 연결편(50)은 상기 제2 테두리부(30)를 비틀거나 꺾어서 상기 연결편(50)에 힘이 집중되도록 하여 제거하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부(51)는 상기 제2 연결부(52)보다 두께가 얇고, 그 폭이 좁아서 용이하게 힘이 집중되므로, 연결편(50)을 쉽게 게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ffee capsule inlet port can be used by mounting the first edge portion 20 for a relatively small coffee machine. In this case, the connection piece 50 is removed from the first edge part 20 to separate the second edge part 30 . The connecting piece 50 is removed by twisting or bending the second edge portion 30 so that the force is concentrated on the connecting piece 50 ,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51 is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Since the thickness is thinner than (52) and the width is narrow and the force is easily concentrated, the connecting piece (50) can be easily removed.

상기 제2 테두리부(30)를 제거하면, 상기 제1 테두리부(20)를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커피캡슐 투입구에 투입하여 거치한다. 이때, 거치돌기(23)가 상기 투입구에 끼워지면서 거치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몸체부(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고온 및 고안의 물을 이용하여 커피추출액을 뽑아내며, 이때 상기 제1 방수벽(21) 및 제2 방수벽(22)은 상기 제2 테두리부(30)를 사용하여 커피추출액을 뽑아내는 경우와 동일하게 상기 물이 커피추출액으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하는 농도의 커피추출액을 추출해 낼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second edge portion 30 is removed, the first edge portion 20 is put into a coffee capsule inlet having a relatively small size and mounted. At this time, the mounting protrusion 23 can be moun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let, so that the body portion 10 can be stably supported. Then, the coffee extract is extracted using high temperature and devised water, and at this time, the first waterproofing wall 21 and the second waterproofing wall 22 use the second edge portion 30 to extract the coffee extract. As in the case of preventing the water from being mixed into the coffee extract,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coffee extract of the desired concentration.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캡슐(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직경이 상이한 커피캡슐 투입구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피캡슐의 깊이(내지 높이)가 다른 이종의 커피 머신에도 효과적으로 호환하여 사용될 수 있다. And, the beverage caps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not only can be applied to the coffee capsule inlet having different diameters, but also can be effectively used interchangeably with different types of coffee machines having different depths (to heights) of the coffee capsules. have.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음료 캡슐(100)은, 상기 덮개부(40)로부터 하부몸체(12)까지의 높이가 변경될 수 있다. 즉, 하부몸체(12)가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으로 가압되어 함몰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음료 캡슐(100)의 높이는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큰 높이를 갖는 투입구에 대하여는 하부몸체(12)를 함몰시키지 않고 사용하며, 상대적으로 작은 높이를 갖는 투입구에 대하여는 하부몸체(12)를 함몰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4, the beverage capsu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from the cover portion 40 to the lower body 12 can be changed. That is, depending on whether the lower body 12 is depressed by being pressed inside the body portion 10, the height of the beverage capsule 100 may be divided into two. For the inlet having a relatively large height, the lower body 12 is not depressed, and for the inlet having a relatively small height, the lower body 12 can be depressed.

이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음료 캡슐(100)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이종의 커피머신과 서로 다른 깊이를 갖는 이종의 커피머신에 모두 사용가능하고, 결과적으로 4가지 타입(큰 직경과 큰 깊이를 갖는 타입, 큰 직경과 작은 깊이를 갖는 타입, 작은 직경과 큰 깊이를 갖는 타입, 작은 직경과 작은 깊이를 갖는 타입)의 커피 머신에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호환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다.As such, the beverage capsu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both different types of coffee machin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nd different types of coffee machines having different depths, and as a result, four types (large diameter and large diameter) are available. Since it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coffee machines of a type having a depth, a type having a large diameter and a small depth, a type having a small diameter and a large depth, a type having a small diameter and a small depth), the compatibility is greatly improved.

뿐만 아니라,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커피 캡슐은, 제1 테두리부(20)와 제2 테두리부(30)가 동심원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커피 캡슐의 중심이 항상 캡슐커피 투입구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커피추출액을 안정적으로 뽑아낼 수 있다. 즉,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커피 캡슐은 몸체부(10)의 둘레에 배치되는 제1 테두리부(20) 또는 제2 테두리부(30)를 선택적으로 택일하여 직경만을 변경하여 사용 가능하므로, 몸체부의 중심은 위치가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 형성된 커피머신의 커피캡슐 투입구의 중심부에 정확히 삽입되어 커피추출액이 양호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in the coffee caps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edge portion 20 and the second edge portion 30 are concentrically formed, the center of the coffee capsule can always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ffee capsule inle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tably extract the coffee extract. That is, the coffee caps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selectively changing only the diameter by selectively selecting the first edge portion 20 or the second edge portion 30 disposed on the periphery of the body portion 10, so that the body The center of wealth does not change position. Therefore, it is precisely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coffee capsule inlet of the pre-formed coffee machine to provide the effect of maintaining good quality of the coffee extract.

또한, 음료 캡슐에,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차 분말이 담겨져 있는 경우, 커피 추출액 대신에 차 추출액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when various types of tea powder are contained in the beverage capsule as described above, tea extract can be obtained instead of coffee extract.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provi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몸체부 11... 상부몸체
12... 하부몸체 20... 제1 테두리부
21... 제1 방수벽 22... 제2 방수벽
23... 거치돌기 30... 제2 테두리부
40... 덮개부 50... 연결편
51... 제1 연결부 52... 제2 연결부
60... 걸림턱부 80... 공간부
100... 음료캡슐
10... Body 11... Upper body
12... Lower body 20... First edge part
21... first bulkhead 22... second bulkhead
23... Cradle 30... Second edge part
40... Cover 50... Connection piece
51... first connection 52... second connection
60... Hanging jaw 80... Space
100... beverage capsules

Claims (8)

커피 분말 또는 차 분말이 수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테두리부;
상기 제1 테두리부의 외측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테두리부;
상기 제1 테두리부에 밀착되어 상기 몸체부를 밀봉하는 덮개부;
상기 제1 테두리부와 상기 제2 테두리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며, 선택적으로 제거 가능한 연결편을 포함하여서,
서로 다른 크기의 커피캡슐투입구를 갖는 커피머신에 대하여, 제1 테두리부 또는 제2 테두리부를 선택적으로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는, 상기 커피 분말 또는 차 분말이 수용된 내측을 향하여 가압할 때, 상기 몸체부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함몰되고,
외부에서 상기 커피 분말 또는 차 분말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을 따라서 추출액과 섞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테두리부의 하측 둘레에는 제1 높이를 갖는 제1 방수벽과, 상기 제1 방수벽의 외측 둘레에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제2 방수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방수벽의 외측 둘레에는 커피머신에 거치되는 거치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캡슐.
a body portion in which coffee powder or tea powder is accommodated;
a first edge portion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 second edge portion dispos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edge portion;
a cover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edge part and sealing the body part;
At least one is provided to connect the first edge portion and the second edge portion to each other, and includes a selectively removable connecting piece,
For coffee machines having coffee capsule inlets of different sizes, the first edge part or the second edge part can be selectively mounted and used,
When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is pressed toward the inside in which the coffee powder or tea powder is accommodated, it is concavely depressed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A first waterproofing wall having a first height around the lower periphery of the first edge portion so as to prevent the water supplied to the coffee powder or tea powder from being mixed with the extract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first waterproofing wall A second waterproofing wall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e first height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everage caps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waterproof wall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radle to be mounted on the coffee mach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테두리부의 하측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캡슐.
According to claim 1,
Beverage caps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edge portion is formed with a protruding engaging jaw portion formed downwar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은,
일단이 상기 제1 테두리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테두리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테두리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부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캡슐.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piece is
a first connection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edge part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oward the second edge part an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Beverage capsule comprising a; a second connection part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connected to the second edge part and having a thicknes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은, 2개 내지 4개가 서로 일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캡슐.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piece, two to four beverage capsule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부는, 2개 내지 4개가 서로 일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캡슐.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ngaging jaw portion, two to four beverage capsule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두리부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테두리부는 상기 제1 테두리부의 직경보다 큰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캡슐.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dge portion is made in a circular shape,
The second edge portion beverage capsule, characterized in that made in a larger circle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edge portion.
KR1020200122583A 2020-09-22 2020-09-22 beverge capsule KR1024468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583A KR102446888B1 (en) 2020-09-22 2020-09-22 beverge capsule
PCT/KR2020/012852 WO2022065538A1 (en) 2020-09-22 2020-09-23 Beverage caps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583A KR102446888B1 (en) 2020-09-22 2020-09-22 beverge caps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466A KR20220039466A (en) 2022-03-29
KR102446888B1 true KR102446888B1 (en) 2022-09-23

Family

ID=80845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583A KR102446888B1 (en) 2020-09-22 2020-09-22 beverge capsu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46888B1 (en)
WO (1) WO2022065538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08011A1 (en) * 2012-02-22 2015-04-23 Sarong Societa' Per Azioni Capsule for beverage
KR102114428B1 (en) * 2019-05-14 2020-05-22 이성배 coffee capsule
JP2020515475A (en) * 2017-04-04 2020-05-28 ソシエテ・デ・プロデュイ・ネスレ・エス・アー Beverage preparation capsule having integrally molded sealing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O20130214A1 (en) * 2013-07-26 2015-01-27 Sarong Spa CAPSULE FOR BEVERAGES AND ITS APPARATUS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101877045B1 (en) * 2017-11-15 2018-08-09 이찬호 Capsule for preparing bever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08011A1 (en) * 2012-02-22 2015-04-23 Sarong Societa' Per Azioni Capsule for beverage
JP2020515475A (en) * 2017-04-04 2020-05-28 ソシエテ・デ・プロデュイ・ネスレ・エス・アー Beverage preparation capsule having integrally molded sealing member
KR102114428B1 (en) * 2019-05-14 2020-05-22 이성배 coffee caps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65538A1 (en) 2022-03-31
KR20220039466A (en)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3663C2 (en) Containment body for making capsule for making beverages and method for making capsules with different quantities of powdered food substances using single type of containment body
US6777007B2 (en) Pod and method for making fluid comestible
US9179797B2 (en) Disposable single serving beverage pod adapter
KR100236858B1 (en) Device for the extraction of cartridges
AU2015203869B2 (en) Non-pre-pierced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US6726946B1 (en) Method of infusing a drink
RU2693508C1 (en) Disposable capsule for cooked brew preparation machines
EP1576912A2 (en) Beverage filter cartridge and filter basket assembly
CN109689531B (en) Coffee capsule for preparing turkish coffee
KR102446888B1 (en) beverge capsule
JP6328371B2 (en) Drink cup lid and drink cup
NL2018247B1 (en) A system for preparing a liquid beverage from a capsule, a capsule holder configured to be used in such a system, a capsule configured to be used in a system, and a kit of parts
KR102114428B1 (en) coffee capsule
KR20180135159A (en) Container beverage
CN210354360U (en) Brewing capsule cup
JP2016202325A (en)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KR102601076B1 (en) beverage capsule
KR101711415B1 (en) Portable pressure drink extraction apparatus
JP5940137B1 (en) Beverage extractor
WO2010004687A1 (en) Extraction vessel
KR20170004404U (en) Cosmetic containers having separation layer
KR102057924B1 (en) Portable hand drip extraction equipment of bottle type
JPH0418516Y2 (en)
US20170251861A1 (en) Reusable filter cartridge for multiple brewer types
EP2404533A1 (en) Receptacle device for holding coffee caps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