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859B1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859B1
KR102445859B1 KR1020177002634A KR20177002634A KR102445859B1 KR 102445859 B1 KR102445859 B1 KR 102445859B1 KR 1020177002634 A KR1020177002634 A KR 1020177002634A KR 20177002634 A KR20177002634 A KR 20177002634A KR 102445859 B1 KR102445859 B1 KR 102445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ies
images
externa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1198A (ko
Inventor
마사노리 가사
요시히로 오츠카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41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04N1/00214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transmission
    • H04N5/23206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29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splay device, e.g. CRT or LCD moni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58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a detachable storage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7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for transmitting client requests to a VOD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9Creating video summaries, e.g. movie trai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3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for controlling interchangeable camera parts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5/23216
    • H04N5/2324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과제]
동영상과 정지 화상을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상하는 경우에도,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장치 사이에서 촬상된 화상을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해결 수단]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외부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일련의 화상을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일련의 화상에 대응하는 일련의 썸네일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의 전송을 받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일련의 화상 중 적어도 일부의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정보 처리 장치.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본 개시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이하에서는 대체로 「디지털 카메라」로 칭하는 경우가 있음) 등의 디바이스 중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 처리 단말에 접속 가능한 것이 있다. 이렇게 다른 기기 사이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기 위한 통신 규격으로서,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등록 상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근래에는 정보 처리 단말과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를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함으로써 해당 정보 처리 단말을 통해 해당 촬상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의 제공에 따라, 해당 촬상 장치 중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정보 처리 단말이 주된 UI(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이용되는 것을 전제로, 해당 촬상 장치 자체에 마련된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제한된(예를 들어, 간소화되거나 배제된) 것도 제공되고 있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9-25582호 공보
한편, 동영상이나 복수의 정지 화상을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상하는 경우에는, 촬상하는 일련의 화상의 데이터 양은 한 장의 정지 화상을 촬상하는 경우에 비해 증대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해, 정보 처리 단말과 촬상 장치 사이에 네트워크를 통해 촬상된 화상을 전송하는 구성에서는, 전송 대상이 되는 화상의 데이터 양의 증가는 해당 네트워크의 트래픽의 증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개시에서는, 동영상이나 복수의 정지 화상을 일련의 화상으로 촬상하는 경우에도,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장치 사이에서 촬상된 화상을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외부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소정의 동작 모드에 따라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일련의 화상을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일련의 화상에 대응하는 일련의 썸네일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의 전송을 받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일련의 화상 중 적어도 일부의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외부 장치에의 일련의 화상의 촬상에 관한 지시에 대한 응답으로서 촬상된 상기 일련의 화상에 대응하는 썸네일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취득부와, 취득된 상기 썸네일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취득부는 상기 일련의 화상 각각의 상기 썸네일 화상 중 적어도 일부의 상기 썸네일 화상의 선택을 받고, 상기 일련의 화상 중 선택된 상기 썸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외부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소정의 동작 모드에 따라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일련의 화상을 취득하는 단계와, 프로세서가 상기 일련의 화상에 대응하는 일련의 썸네일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의 전송을 받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일련의 화상 중 적어도 일부의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외부 장치에의 일련의 화상의 촬상에 관한 지시에 대한 응답으로서 촬상된 상기 일련의 화상에 대응하는 썸네일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단계, 프로세서가 취득된 상기 썸네일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단계와, 상기 일련의 화상 각각의 상기 썸네일 화상 중 적어도 일부의 상기 썸네일 화상의 선택을 받고, 상기 일련의 화상 중 선택된 상기 썸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컴퓨터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외부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소정의 동작 모드에 따라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일련의 화상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일련의 화상에 대응하는 일련의 썸네일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의 전송을 받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일련의 화상 중 적어도 일부의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컴퓨터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외부 장치에의 일련의 화상의 촬상에 관한 지시에 대한 응답으로서 촬상된 상기 일련의 화상에 대응하는 썸네일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단계와, 취득된 상기 썸네일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단계와, 상기 일련의 화상 각각의 상기 썸네일 화상 중 적어도 일부의 상기 썸네일 화상의 선택을 받고, 상기 일련의 화상 중 선택된 상기 썸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르면 동영상이나 복수의 정지 화상을 일련의 화상으로 촬상하는 경우에도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장치 사이에서 촬상된 화상을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또한, 상술한 효과는 반드시 한정적인 것이 아니라 상술한 효과와 함께, 또는 상술한 효과에 대신하여 본 명세서에 나타낸 효과 중 하나 또는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발휘되어도 좋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의 대략적인 시스템 구성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제한된 촬상 장치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동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기능 구성의 일례에 대해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동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GUI를 통한 조작에 의해 촬상 장치에 AF 기능을 동작시켜 1장의 정지 화상을 촬상시키는 경우의 조작 화면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GUI를 통한 조작에 의해 촬상 장치에 AF 기능을 동작시켜 1장의 정지 화상을 촬상시키는 경우의 조작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GUI를 통한 조작에 의해 촬상 장치에 AF 기능을 동작시켜 복수의 정지 화상을 일련의 화상으로 촬상하기 위한 조작 화면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GUI를 통한 조작에 의해 촬상 장치에 AF 기능을 동작시켜 복수의 정지 화상을 일련의 화상으로 촬상시키는 경우의 조작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조작 화면 중에서 슬라이드 스위치의 표시 위치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사용자 조작에 기초한 슬라이드 스위치의 표시 제어와, 해당 표시 제어에 따른 정보 처리 단말의 동작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사용자 조작에 기초한 슬라이드 스위치의 표시 제어와, 해당 표시 제어에 따른 정보 처리 단말의 동작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의 일련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2-1에 관한 슬라이드 스위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 2-1에 관한 슬라이드 스위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는 실시예 2-1에 관한 슬라이드 스위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b는 실시예 2-1에 관한 슬라이드 스위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c는 실시예 2-1에 관한 슬라이드 스위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예 2-2에 관한 정보 처리 단말의 동작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실시예 2-2에 관한 정보 처리 단말의 동작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제3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의 개요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동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의 일련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실시예 3에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개요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한다.
1. 제1 실시 형태
1. 1. 시스템 구성
1. 2. 기능 구성
1. 3. 하드웨어 구성
1. 4. 정리
2. 제2 실시 형태
2. 1. 개요
2. 2. 조작 화면의 구성과 조작 방법
2. 3. 처리
2. 4. 실시예
2. 4. 1. 실시예 2-1: 슬라이드 스위치의 일례
2. 4. 2. 실시예 2-2: 촬상 장치측의 조작부와의 연계
2. 5. 정리
3. 제3 실시 형태
3. 1. 개요
3. 2. 처리
3. 3. 실시예 3
3. 4. 정리
4. 정리
<1. 제1 실시 형태>
[1. 1. 시스템 구성]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은 정보 처리 단말(10)과 촬상 장치(30)를 포함한다. 촬상 장치(30)는 소위 디지털 카메라와 같이 정지 화상이나 동영상 등의 화상을 촬상하기 위한 장치에 해당한다. 또한, 정보 처리 단말(10)은 소위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 해당한다.
정보 처리 단말(10)과 촬상 장치(30)는 무선 네트워크(n11)를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n11)의 구체적인 일례로서는, Wi-Fi(등록 상표) 규격에 기초한 네트워크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등록 상표) 규격에 기초한 네트워크(n11)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정보 처리 단말(10)과 촬상 장치(30) 중 어느 한쪽이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고, 다른 쪽이 스테이션으로서 해당 한쪽에 접속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단말(10)은 네트워크(n11)를 통해 접속된 촬상 장치(30)의 동작(예를 들면, 화상의 촬상에 관련된 동작)을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촬상 장치(30)는 네트워크(n11)를 통해 정보 처리 단말(10)로부터 송신된 지시를 기초로, 동영상이나 정지 화상과 같은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또한, 본 기능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통해 촬상 장치(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을 이용해서 작성된 애플리케이션을 정보 처리 단말(10)에 설치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정보 처리 단말(10)에 미리 통합해도 좋다.
또한, 이후에서는 정보 처리 단말(10)이 스마트폰인 경우를 예로 설명하지만, 해당 정보 처리 단말(10)은 반드시 스마트폰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리모트 컨트롤러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촬상 장치(30)와 접속 가능한 장치를 정보 처리 단말(10)로서 적용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촬상 장치(30)로서,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제한된(예를 들어, 간소화 또는 배제된) 기기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서는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제한된 촬상 장치(30)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촬상 장치(30)는 화상의 촬상에 관한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정보 처리 단말(10)을 이용하는 것을 전제로,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출력 인터페이스가 배제되고, 조작 인터페이스도 제한되고 있다.
또한, 촬상 장치(30)는 정보 처리 단말(1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정보 처리 단말(10)에 대해 촬상 장치(30)를 고정(또는 유지)하는 부가 장치(attachment)를 정보 처리 단말(10) 또는 촬상 장치(30)에 마련함으로써 정보 처리 단말(10)에 대해 촬상 장치(30)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정보 처리 단말(10)에 대해 촬상 장치(30)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는 해당 촬상 장치(30)를,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제한되지 않는 소위 디지털 카메라와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례로서 네트워크(n11)를 통해 접속된 촬상 장치(30)와 정보 처리 단말(10)이 서로 이격된 상태(즉, 정보 처리 단말(10)에 대해 촬상 장치(3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촬상 장치(30)와 정보 처리 단말(10)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사용됨으로써 해당 촬상 장치(30)와 정보 처리 단말(10)은 서로 물리적인 위치의 제약을 받지 않고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촬상 장치(30)의 예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반드시 본 실시 형태와 관련한 촬상 장치(30)의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네트워크(n11)를 통해 정보 처리 단말(10)과 통신 가능하다면, 촬상 장치(30)로서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갖춘 일반적인 촬상 장치를 사용하여도 좋다.
[1. 2. 기능 구성]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의 기능 구성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의 기능 구성의 일례에 대해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 처리 단말(10)은 제어부(11)와 통신부(13)와 UI(15)를 포함한다. 또한, 촬상 장치(30)는 제어부(31)와 통신부(33)와 촬상부(35)와 기억부(37)와 조작부(39)를 포함한다.
통신부(13)는, 정보 처리 단말(10) 내의 각 구성이 무선 네트워크(n11)를 통해 촬상 장치(3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네트워크(n11)의 구체적인 일례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Wi-Fi(등록 상표) 규격에 기초한 네트워크를 들 수 있다.
또한, 이후에서는 정보 처리 단말(10) 내의 각 구성이 네트워크(n11)를 통해 촬상 장치(30)와의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특히 설명이 없는 경우에도 통신부(13)를 통해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UI(15)는, 사용자가 정보 처리 단말(10)을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UI(15)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등과 같이 정보 처리 단말(10)이 사용자에 대해 정보를 제시하기 위한 표시부(151)와, 버튼이나 터치 패널 등과 같이 사용자가 정보 처리 단말(10)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53)를 포함하여도 좋다.
제어부(11)는 네트워크(n11)를 통해 접속된 촬상 장치(30)의 동작을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11)는 처리 실행부(111)와 표시 제어부(113)를 포함한다.
처리 실행부(111)는, 조작부(153)를 통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네트워크(n11)를 통해 촬상 장치(30)를 조작하기 위한 API에 기초하여 생성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촬상 장치(3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처리 실행부(111)가 「처리 제어부」의 일례에 해당한다.
표시 제어부(113)는 네트워크(n11)를 통해 촬상 장치(30)를 조작하기 위한 컴포넌트(GUI: Graphical User Interface)가 제시된 조작 화면을 표시부(151)에 표시시킨다. 또한, 표시 제어부(113)는 촬상 장치(30)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네트워크(n11)를 통해 해당 촬상 장치(30)로부터 취득하고, 취득된 화상을 표시부(151)에 표시시킨다. 또한, 표시 제어부(113) 중 촬상 장치(30)로부터 화상을 취득하는 구성이 「취득부」의 일례에 해당한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제어부(11)는 UI(15)를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네트워크(n11)를 통해 촬상 장치(30)에 화상의 촬상을 지시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제어부(11)는 해당 지시에 대한 응답으로서 촬상된 화상을 네트워크(n11)를 통해 촬상 장치(30)로부터 취득하여도 좋다. 또한, 제어부(11)는 촬상 장치(30)로부터 얻은 화상을 UI(15)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하여도 좋다.
특히, 본 개시에 관한 제어부(11)는, 연속 촬영(소위, 연사), 브래킷 촬영처럼, 촬상 장치(30)에 복수매의 정지 화상을 일련의 화상으로 촬상시켜도 좋다. 여기에서, 블래킷 촬영은 노출, 화이트 밸런스 및 ISO 감도 등의 촬상 조건을 바꾸면서 복수매의 정지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개시에 관한 제어부(11)는 촬상 장치(30)에 동영상을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상시켜도 좋다.
또한, 제어부(11)가 촬상 장치(30)에 동영상과 복수의 정지 화상을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영시키도록 표시부(15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조작 화면에 대해서는 제2 실시 형태로 상세를 후술한다. 또한, 제어부(11)가 촬상 장치(30)에 의해 촬상된 일련의 화상을 표시부(15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는 제3 실시 형태로 상세를 후술한다.
또한, 제어부(11)는 UI(15)를 통한 사용자의 지시에 기초하여 네트워크(n11)를 통해 촬상 장치(30)에 스루 화상(through image)의 출력을 지시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제어부(11)는 해당 지시에 대한 응답으로서 촬상된 스루 화상을 네트워크(n11)를 통해 촬상 장치(30)부터 순차적으로 취득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취득한 스루 화상을 UI(15)를 통해 사용자에게 순차적으로 제시하여도 좋다.
또한, 제어부(11)는 촬상 장치(30)에 유지된 각종 정보를 네트워크(n11)를 통해 참조 또는 갱신하여도 좋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제어부(11)는 촬상 장치(30)에 유지된 촬상 조건 등의 각종 설정을 나타내는 정보를 네트워크(n11)를 통해 해당 촬상 장치(30)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해당 정보를 UI(15)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하여도 좋다. 또한, 제어부(11)는 UI(15)를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촬상 장치(30)에서 유지된 각종 설정을 나타내는 정보의 갱신을 네트워크(n11)를 통해 해당 촬상 장치(30)에 지시하여도 좋다.
통신부(33)는, 촬상 장치(30) 내의 각 구성이 무선 네트워크(n11)를 통해 정보 처리 단말(10)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네트워크(n11)의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Wi-Fi(등록 상표) 규격에 기초한 네트워크를 들 수 있다.
또한, 이후에서는 촬상 장치(30) 내의 각 구성이 네트워크(n11)를 통해 정보 처리 단말(10)과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특히 설명이 없는 경우에도 통신부(33)를 통해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촬상부(35)는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여, 후술하는 제어부(3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정지 화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을 촬상한다. 해당 이미지 센서는 예를 들어,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와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 등의 피사체를 촬상하여 촬상 화상의 디지털 데이터를 얻는 촬상 소자이다. 촬상부(35)는 촬상한 화상을 기억부(37)에 기록하여도 좋다. 또한, 촬상부(35)는 촬상한 화상을 제어부(31)에 직접 출력하여도 좋다.
또한, 촬상부(35)는 제어부(31)로부터의 지시된 촬상 조건에 기초하여 화상을 촬영하여도 좋다. 촬상 조건의 구체적인 일례로서는, 조리개와 셔터 스피드를 기초로 노출, 광학 줌과 디지털 줌 등의 확대율, ISO 감도, 화이트 밸런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촬상부(35)는 제어부(3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소위 스루 화상(예를 들어, 데시메이팅된(decimated) 화상)을 촬영하여, 촬상한 스루 화상을 제어부(31)에 순차적으로 출력하여도 좋다.
기억부(37)는 촬상된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매체이다. 기억부(37)는 촬상 장치(30)에 내장된 기록 매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37)는 촬상 장치(30)에 대해 착탈 가능한 외부 기록 매체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촬상 장치(30)가 촬상부(35)를 내장하는 구성 예에 대해 나타내고 있지만, 촬상부(35)는 촬상 장치(30)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촬상 장치(30)가 기억부(37)를 내장하는 구성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기억부(37)는 촬상 장치(30)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조작부(39)는, 사용자가 촬상 장치(30)를 조작하기 위한 구성이다. 조작부(39)의 구체적인 일례로서 버튼, 스위치 등과 같은 입력 디바이스를 들 수 있다.
제어부(31)는 네트워크(n11)를 통해 접속된 정보 처리 단말(10)과 조작부(39)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촬상부(35)의 동작을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31)는 처리 실행부(311)와 전송 제어부(313)를 포함한다.
처리 실행부(311)는 네트워크(n11)를 통해 정보 처리 단말(10)로부터의 지시를 받고, 해당 지시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촬상부(35)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처리 실행부(311)는 조작부(39)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받고, 해당 조작부(39)에 미리 대응화된(associated)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촬상부(35)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처리 실행부(311)는, 연속 촬영(연사), 브래킷 촬영 및 동영상 촬영 등의 각종 동작 모드에 따라서 촬상부(35)의 동작의 제어 내용을 바꾸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처리 실행부(311)는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른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 모드에 따른 제어를 실현하여도 좋다.
또한, 처리 실행부(311)는 촬상 장치(30)의 상태에 따라 적어도 일부의 동작 모드에 따른 기능의 실행을 제한(억제)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연속 촬영(연사), 브래킷 촬영 및 동영상 촬영은, 촬상된 일련의 화상을 유지 또는 기록하기 위해서, 1장의 정지 화상을 촬상하는 경우에 비해 더 많은 기억 영역이 필요하다. 그래서, 처리 실행부(311)는 예를 들면, 촬상 장치(30)가 미리 정해진 용량 이상의 기억 영역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태에서는 동영상이나 복수의 정지 화상을 촬상하는 모드에서 동작을 제한(억제)해도 좋다. 또한, 촬상 장치(30)가 미리 정해진 용량 이상의 기억 영역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태의 일례로서는, 촬상 장치(30)에 대해 외부 기록 매체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나 기록 매체(예를 들어 기억부(37))의 공간이 부족한 상태 등을 들 수 있다.
전송 제어부(313)는 처리 실행부(311)로부터의 제어에 기초하여 촬상부(35)에 의해 촬상된 화상(정지 화상, 동영상 또는 스루 화상)을 취득하여, 취득한 화상을 네트워크(n11)를 통해 정보 처리 단말(10)에 전송한다. 또한, 전송 제어부(313) 중 촬상부(35)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취득하는 구성이 「취득부」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한, 본 개시에 관한 전송 제어부(313)는 동영상과 복수의 정지 화상이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상되는 동작 모드로 촬상부(35)의 동작이 제어되고 있는 경우에는, 우선 촬상된 일련의 화상의 썸네일 화상을 정보 처리 단말(1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전송 제어부(313)는 해당하는 일련의 화상 중에 정보 처리 단말(10)로부터 지시된 적어도 일부의 화상만을 해당 정보 처리 단말(10)로 전송한다. 또한, 전송 제어부(313)에 의한 일련의 화상의 전송에 관련된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제3 실시 형태로서 별도로 후술한다.
이상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의 기능 구성의 일례에 대해 설명했다.
[1. 3. 하드웨어 구성]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단말(1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단말(1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단말(10)은 프로세서(901)와, 메모리(903)와, 스토리지(905)와, 조작 디바이스(907)와, 표시 디바이스(909)와, 통신 디바이스(913)와, 버스(915)를 포함한다. 또한, 정보 처리 단말(10)은 보고 디바이스(911)을 포함하여도 좋다.
프로세서(901)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SoC(System on Chip)이면 좋고, 정보 처리 단말(10)의 다양한 처리를 실행한다. 프로세서(901)는 예를 들어, 각종 연산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전자 회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제어부(11)는 프로세서(901)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메모리(903)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ROM(Read Only Memory)을 포함하고, 프로세서(90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한다. 스토리지(905)는 반도체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 디바이스(907)는 사용자가 원하는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조작 디바이스(907)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 버튼 및 스위치 등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프로세서(901)에 공급하는 입력 제어 회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조작부(153)는 조작 디바이스(907)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 디바이스(909)는 출력 디바이스의 일례이며,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장치, 유기 EL(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등의 디바이스이면 좋다. 이 경우에는, 표시 디바이스(909)는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표시부(151)는 표시 디바이스(909)로 구성될 수 있다.
보고 디바이스(911)는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이 점등 또는 점멸의 패턴에 의해 소정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고하는 디바이스라도 좋다. 또한, 보고 디바이스(911)는 스피커 등과 같이 소정의 음향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소정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고하는 디바이스라도 좋다.
통신 디바이스(913)는, 정보 처리 단말(10)이 구비한 통신 수단이며,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한다. 통신 디바이스(913)는 유선 또는 무선용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통신 디바이스(913)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해당 통신 디바이스(913)는 통신 안테나, RF(Radio Frequency) 회로,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여도 좋다.
통신 디바이스(913)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각종 신호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가지며, 수신한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생성된 디지털 신호를 프로세서(901)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통신부(13)는 해당 통신 디바이스(913)로 구성될 수 있다.
버스(915)는 프로세서(901), 메모리(903), 스토리지(905), 조작 디바이스(907), 표시 디바이스(909), 보고 디바이스(911) 및 통신 디바이스(913)를 상호 접속한다. 버스(915)는 복수의 종류의 버스를 포함하여도 좋다.
또한, 컴퓨터에 내장되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스토리지 등의 하드웨어를 상술한 정보 처리 단말(10)이 갖는 구성과 동등한 기능을 발휘시키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도 생성 가능하다. 또한, 해당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도 제공될 수 있다.
[1. 4. 정리]
이상, 제1 실시 형태로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주로 본 개시에 관한 정보 시스템의 각종 구성에 주목하여 설명했다. 또한, 이후에는 본 개시에 관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조작 화면과, 정보 처리 단말(10)과 촬상 장치(30) 사이의 화상 전송에 관련된 처리와 각각의 상세 사항을 제2 및 제3 실시 형태로서 설명한다.
<2. 제2 실시 형태>
[2. 1. 개요]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로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정보 처리 시스템(1)에 의해 화상을 촬상하기 위한 조작 화면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단말(10) 등에 UI로서 설치된 터치 패널을 통한 조작과 같이 GUI를 통해 촬상 장치(30) 등의 소정의 디지털 카메라에 복수의 정지 화상을 일련의 화상으로 촬상시키기 위한 조작 화면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와 관련한 조작 화면의 특징을 보다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우선 본 실시 형태의 과제에 대해 정리한다.
소정의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상 장치에서는, 셔터 버튼을 중간까지 누름으로써(소위, 하프 푸쉬(half push)), 오토 포커스 기능(이후에서는, 「AF 기능」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에 의해 피사체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 광학계의 초점 위치가 제어되어 셔터 버튼이 마지막까지 눌림으로써(소위, 풀 푸쉬(full push)) 화상이 촬상된다. 또한, 이후에서는, 셔터 버튼이 중간까지 눌려진 상태를 「하프 푸쉬 상태」로 기재하고, 셔터 버튼이 마지막까지 눌려진 상태를 「풀 푸쉬 상태」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터치 스크린을 통한 조작 등과 같은, GUI를 통한 조작에 의해 촬상 장치(30)에 AF 기능을 동작시켜 화상을 촬상하기 위한 조작 화면의 일례에 대해, 1장의 정지 화상을 촬상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5는 GUI를 통한 조작에 의해 촬상 장치(30)에 AF 기능을 동작시켜 1장의 정지 화상을 촬영하는 경우의 조작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예에서는, 정보 처리 단말(10)은 촬상 장치(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표시부(151)에 셔터 버튼(v80)이 표시된 조작 화면을 표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도 5에 나타낸 조작 화면에 기초하여 촬상 장치(30)에 AF 기능을 동작시켜 화상을 촬상하기 위한 조작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GUI를 통한 조작에 의해 촬상 장치(30)에 AF 기능을 동작시켜 1장의 정지 화상을 촬상하는 경우의 조작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에 나타낸 예에서는, 우선 좌측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 등의 조작체(u11)에 의해 셔터 버튼(v80)을 선택하면(예를 들어, 터치하면), 정보 처리 단말(10)은 해당 선택 상태가 유지되는 사이에(즉, 홀드되는 사이) 촬상 장치(30)에 AF 기능을 동작시킨다. 이 때, 촬상 장치(30)는 미리 결정된 AF 기능의 설정에 기초하여 촬상 광학계 및 촬상 소자를 통해 얻은 화상(v70) 중의 포커스 위치(v60)를 결정하고, 해당 포커스 위치(v60)에서 초점을 맞추도록 촬상 광학계의 초점 위치를 제어한다.
그리고, 우측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셔터 버튼(v80)의 선택 상태를 해제하면(예를 들어, 홀드 상태를 해제하면), 정보 처리 단말(10)은 촬상 장치(30)에 정지 화상을 촬상시킨다.
이와 같이, GUI를 통한 조작이 소위 디지털 카메라의 셔터 버튼에 의해 하프 푸쉬 및 풀 푸쉬를 실현하기 곤란하므로, 예를 들어 소위 홀드 조작을 하프 푸쉬 상태와 대응시키는 해당 홀드 조작의 해제를 풀 푸쉬 상태와 대응시키고 있다.
한편, 소위 디지털 카메라 같은 촬상 장치는 AF 기능을 동작시켜 복수의 정지 화상을 촬상하는 경우(예를 들어 연사 모드)에는, 하프 푸쉬 상태에서 AF 기능을 동작시키고 풀 푸쉬 상태로 이행함으로써 화상의 촬영, 즉 연사를 개시한다. 그리고, 해당 촬상 장치는 풀 푸쉬 상태가 유지되는 한 개시된 연사를 계속하고, 풀 푸쉬 상태의 해제, 즉 셔터 버튼이 눌리지 않은 상태로의 전이에 따라 계속 중의 연사를 종료한다. 즉, 해당 촬상 장치에서는, 「하프 푸쉬 상태」, 「풀 푸쉬 상태 유지」 및 「풀 푸쉬 상태의 해제」의 3개 상태에 의해 「AF 기능의 동작」, 「연사의 개시」 및 「연사의 종료」의 3개 동작을 실현하고 있다.
이에 대해,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조작 화면 및 조작 방법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151)에 표시된 셔터 버튼(v80)에 대한 홀드 조작에 의해 AF 기능이 동작하며, 홀드 조작의 해제에 의해 화상의 촬상이 행해진다. 즉,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예에서는, 셔터 버튼(v80)에 대한 「홀드 조작」 및 「해당 홀드 조작의 해제」의 2개 상태를 표현할 수 있을 뿐이며, 「AF 기능의 동작」, 「연사의 개시」 및 「연사의 종료」의 3개 동작을 실현하기 힘들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GUI를 통한 조작에 의해 촬상 장치(30)에 AF 기능을 작동시켜 복수의 정지 화상을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상하기 위한 조작 화면과, 해당 조작 화면에 기초한 조작 방법의 일례에 대해 제안한다. 또한, 이후에는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조작 화면 및 조작 방법의 일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2. 2. 조작 화면의 구성과 조작 방법]
우선,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조작 화면으로서 표시부(151)에 표시된 GUI를 통한 조작에 의해 촬상 장치(30)에 AF 기능을 작동시켜 복수의 정지 화상을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영시키기 위한 조작 화면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GUI를 통한 조작에 의해 촬상 장치(30)에 AF 기능을 동작시켜 복수의 정지 화상을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상시키기 위한 조작 화면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는 정보 처리 단말(10)의 표시부(151)의 짧은 방향을 x축, 긴 방향을 y축으로서 설명한다. 즉, 도 7에서는 도면의 횡방향이 x축에 해당하며, 도면의 종방향이 y축에 해당한다.
도 7에 나타낸 예에서는, 정보 처리 단말(10)은 복수의 정지 화상을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상시키는 동작 모드(예를 들어, 연사 모드)의 경우에는, 촬상 장치(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표시부(151)에 슬라이드 스위치(v10)가 표시된 조작 화면을 표시시킨다. 슬라이드 스위치(v10)는 표시 객체(v11)가 표시부(151)에 대해 소정의 방향을 따라 설정된 복수의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낸 예에서는 x축을 따라 위치(v120 및 v121)가 설정되어 있어, 표시 객체(v11)는 위치(v120)와 위치(v121) 사이를 x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객체(v11)에는, 촬상 장치(30)의 동작 모드(예를 들어, 연사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v111)이 제시되어 있어도 좋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도 7에 나타낸 조작 화면에 기초하여 촬상 장치(30)에 AF 기능을 동작시켜 복수의 정지 화상을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영하기 위한 조작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GUI를 통한 조작에 의해 촬상 장치(30)에 AF 기능을 동작시켜 복수의 정지 화상을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상시키는 경우의 조작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에 나타낸 예에서는, 우선 좌측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객체(v11)가 위치(v120)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정보 처리 단말(10)은 촬상 장치(30)에 의한 화상의 촬상에 관련된 동작의 제어를 개시하지 않는다. 또한, 위치(v120)를 이후에는 「초기 위치(v120)」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좌측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 등의 조작체(u11)에 의해 초기 위치(v120)에 위치하는 표시 객체(v11)를 선택하여(예를 들어, 터치한다) 해당 선택 상태가 유지되면(즉, 홀드되면), 정보 처리 단말(10)은 촬상 장치(30)에 AF 기능을 동작시킨다. 이 때, 촬상 장치(30)는 예를 들면, 미리 결정된 AF 기능의 설정에 기초하여 촬상 광학계 및 촬상 소자를 통해 얻은 화상(v70) 중의 포커스 위치(v60)를 결정하고 해당 포커스 위치(v60)에서 초점을 맞추도록 촬상 광학계의 초점 위치를 제어한다. 또한, 이와 같이 촬상 장치(30)가 AF 기능에 기초하여 포커스 제어를 행하는 상태가 「촬영 준비 상태」의 일례에 해당한다.
이어서, 중앙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 상태가 유지된 표시 객체(v11)를 위치(v121)를 향해 슬라이드하게 이동시키면, 정보 처리 단말(10)은 촬상 장치(30)에 대해 미리 결정된 동작 모드(이후에는 「소정의 동작 모드」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에 기초하여 동작의 개시를 지시한다. 다시 말하면, 정보 처리 단말(10)은 위치(v121)로 표시 객체(v11)를 이동시키는 조작을 감지하면, 소정의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개시한다.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낸 예에서는, 소정의 동작 모드로서 복수의 정지 화상을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상시키는 동작 모드(예를 들어, 연사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 그래서, 정보 처리 단말(10)은 촬상 장치(30)에 대해 연사 모드에서의 화상의 촬상의 개시를 지시한다. 정보 처리 단말(10)로부터의 지시를 받아서, 촬상 장치(30)는 연사 모드에서의 화상의 촬상을 개시하여, 해당 연사 모드에서의 촬상의 종료가 지시될 때까지 해당 촬상에 관한 동작을 계속한다. 또한, 해당 동작 모드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사전 조작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우측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위치(v121)에 위치하는 표시 객체(v11)를 다시 초기 위치(v120)로 이동시키면, 정보 처리 단말(10)은 촬상 장치(30)에 대해 계속 중의 소정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동작(즉, 종전에 개시를 지시한 동작)의 종료를 지시한다. 다시 말하면, 정보 처리 단말(10)은 초기 위치(v120)로 표시 객체(v11)를 이동시키는 조작을 감지하면, 종전에 개시된 소정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표시부(151)에 표시된 조작 화면 중에서,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표시 위치의 일례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조작 화면 중의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표시 위치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정보 처리 단말(10)이 종방향으로 유지되는 경우와, 횡방향으로 유지되는 경우의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표시 위치의 일례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예에서는, x축은 표시부(151)의 짧은 방향을 나타내고, y축은 표시부(151)의 긴 방향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낸 예의 좌측 도면은, 정보 처리 단말(10)이 종방향으로 유지된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정보 처리 단말(10)이 종방향으로 유지된 상태는 표시부(151)의 긴 방향(즉, y축)이 사용자가 보았을 때 수직 방향이 되도록 해당 정보 처리 단말(10)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좌측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 처리 단말(10)이 종방향으로 유지된 경우에는, 슬라이드 스위치(v10)는 예컨대 표시부(151)의 하단의 근방에 표시 객체(v11)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도 9에 나타낸 예의 우측 도면은, 정보 처리 단말(10)이 횡방향으로 유지된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정보 처리 단말(10)이 횡방향으로 유지된 상태는 표시부(151)의 짧은 방향 (즉, x축)이 사용자가 보았을 때 수직 방향이 되도록 해당 정보 처리 단말(10)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우측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 처리 단말(10)이 횡방향으로 유지된 경우에는, 슬라이드 스위치(v10)는 예컨대 표시부(151)의 우단의 근방에 표시 객체(v11)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표시된다.
이처럼, 도 9에 나타낸 예에서는, 정보 처리 단말(10)이 종방향 및 횡방향의 어느 경우에 대해서도 슬라이드 스위치(v10)는 표시부(151)의 긴 방향(y축) 중 어느 하나의 단부 근방에 표시부(151)의 짧은 방향(x축)을 따라 표시 객체(v11)가 이동 가능하도록 표시된다. 달리 말하면, 슬라이드 스위치(v10)는 예컨대 정보 처리 단말(10)이 종방향 및 횡방향의 어느 경우에 대해서도 표시부(151)에 대한 소정의 상대 위치가 되도록 해당 표시부(151)에 표시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정보 처리 단말(10)을 종방향 및 횡방향의 어느 상태로 유지한 경우에 대해서도 직감적으로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표시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예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표시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슬라이드 스위치(v10)는, 정보 처리 단말(10)이 종방향 및 횡방향의 어느 경우에 대해서도 항상 사용자가 볼 때 일정한 방향이 되도록 표시되어도 좋다.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조작체(u11)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표시 제어와, 해당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표시 제어에 따른 정보 처리 단말(10)의 동작의 일례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은 사용자 조작에 기초한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표시 제어와, 해당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표시 제어에 따른 정보 처리 단말(10)의 동작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은 모두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표시 객체(v11)가 초기 위치(v120)로부터 위치(v121)를 향해 이동하도록 해당 표시 객체(v11)가 조작체(u11)에 의해 조작된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나타낸 예는, 표시 객체(v11)의 초기 위치(v120)의 이동량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 미만의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예는, 표시 객체(v11)의 초기 위치(v120)로부터의 이동량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 이상의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서 참조 부호 v13은 표시 객체(v11)의 초기 위치(v120)로부터의 이동량이 임계값 이상인 경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나타낸 좌측 도면은, 사용자가 손가락 등의 조작체(u11)에 의해 초기 위치(v120)에 위치하는 표시 객체(v11)를 터치하기로 선택하고, 터치한 상태를 홀드함으로써 해당 표시 객체(v11)를 선택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나타낸 예에서는, 사용자는 중앙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한 표시 객체(v11)를 이동량이 임계값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위치(v121)를 향해 슬라이드하게 이동시키고, 그 후 표시 객체(v11)의 홀드 상태를 해제하고 있다. 또한, 표시 객체(v11)의 홀드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표시 객체(v11)의 선택 상태가 해제된다.
즉, 도 10에 나타낸 예는 도 10의 좌측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 위치(v120)에 위치하는 표시 객체(v11)가 중앙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 위치(v120)로부터의 이동량이 임계값 미만이 되는 위치에서 선택 상태가 해제된(즉, 홀드 상태가 해제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 정보 처리 단말(10)은 도 10의 좌측 도면으로부터 중앙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체(u11)에 의한 조작에 기초하여 위치(v121)를 향한 표시 객체(v11)의 이동에 따른 소정의 동작 모드(예를 들어, 연사 모드)에 기초한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개시한다. 다시 말하면, 정보 처리 단말(10)은 위치(v121)를 향한 위치(v120)로부터의 표시 객체(v11)의 이동에 따라, 촬상 장치(30)에 대해 소정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동작(즉, 종전에 개시를 지시한 동작)의 개시를 지시한다.
그리고, 도 10의 중앙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객체(v11)가 초기 위치(v120)로부터 위치(v121)를 향해 이동한 상태(즉, 표시 객체(v11)가 초기 위치(v120)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가 계속되는 한, 정보 처리 단말(10)은 해당 동작 모드에 기초한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계속한다.
도 10의 중앙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 위치(v120)로부터의 이동량이 임계값 미만이 되는 위치에서 표시 객체(v11)의 선택 상태가 해제되면, 정보 처리 단말(10)은 우측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표시 객체(v11)를 초기 위치(v120)로 이동시킨다. 이 때, 정보 처리 단말(10)은 선택 상태가 해제된(즉, 조작체(u11)에 의한 홀드 상태가 해제된) 표시 객체(v11)를 초기 위치(v120)를 향해 이동하도록 애니메이션 표시시킨다.
그리고, 정보 처리 단말(10)은 초기 위치(v120)로의 표시 객체(v11)의 이동에 따라 계속 중인 소정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종료한다. 다시 말하면, 정보 처리 단말(10)은 초기 위치(v120)로의 표시 객체(v11)의 이동에 따라 촬상 장치(30)에 대해 계속 중인 소정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동작(즉, 종전에 개시를 지시한 동작)의 종료를 지시한다.
또한, 다른 일례로서, 도 11은 사용자가 표시 객체(v11)를 이동량이 임계값 이상이 되도록 위치(v121)를 향해 슬라이드하도록 이동시킨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나타내는 좌측 도면은 사용자가 손가락 등의 조작체(u11)에 의해 초기 위치(v120)에 위치하는 표시 객체(v11)를 터치하기로 선택하여 터치한 상태를 홀드함으로써 해당 표시 객체(v11)를 선택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예에서는, 사용자는 중앙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한 표시 객체(v11)를 이동량이 임계값 이상이 되도록 위치(v121)를 향해 슬라이드하도록 이동시키고, 그 후 표시 객체(v11)의 홀드 상태를 해제하고 있다. 또한, 표시 객체(v11)의 홀드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표시 객체(v11)의 선택 상태가 해제되는 것은 도 10에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이다.
즉, 도 11에 나타낸 예는, 도 11의 좌측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 위치(v120)에 위치하는 표시 객체(v11)가 중앙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 위치(v120)로부터의 이동량이 임계값 이상이 되는 위치에서 선택 상태가 해제된(즉, 홀드 상태가 해제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 정보 처리 단말(10)은 도 11의 좌측 도면으로부터 중앙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체(u11)에 의한 조작에 기초하여 위치(v121)를 향한 표시 객체(v11)의 이동에 따라 소정의 동작 모드(예를 들어, 연사 모드)에 기초한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개시한다. 그리고, 도 10의 중앙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객체(v11)가 초기 위치(v120)로부터 위치(v121)를 향해 이동한 상태(즉, 표시 객체(v11)가 초기 위치(v120)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가 계속되는 한, 정보 처리 단말(10)은 해당 동작 모드에 기초한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계속한다. 또한, 이 동작은 도 10에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이다.
도 11의 중앙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 위치(v120)로부터의 이동량이 임계값 이상이 되는 위치에서 표시 객체(v11)의 선택 상태가 해제되면, 정보 처리 단말(10)은 우측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표시 객체(v11)를 위치(v121)로 이동시킨다. 이 때 정보 처리 단말(10)은, 선택 상태가 해제된(즉, 조작체(u11)에 의해 홀드 상태가 해제된) 표시 객체(v11)를 위치(v121)를 향해 이동하도록 애니메이션 표시시킨다.
또한, 위치(v121)로 이동한 표시 객체(v11)는 해당 위치(v121)에 위치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위치(v121)에 위치한 상태가 유지되는 한, 즉 표시 객체(v11)가 초기 위치(v120)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가 계속되면, 정보 처리 단말(10)은 소정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계속한다.
물론, 위치(v121)에 위치하는 표시 객체(v11)가 조작체(u11) 의한 조작에 기초하여 초기 위치(v120)로 이동한 경우에는, 정보 처리 단말(10)은 계속 중인 소정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종료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표시 객체(v11)의 제어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반드시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객체(v11)를 이동시키도록 표시를 제어하는 양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표시 객체(v11)의 이동량에 관계없이 표시 객체(v11)의 선택 상태가 해제된 경우, 해당 표시 객체(v11)를 이동시키지 않고 선택 상태가 해제된 위치에 유지하여도 좋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객체(v11)의 표시를 제어할지 여부를 사용자 조작에 기초한 사전 설정에 의해 바꿀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와 관련한 조작 화면의 일례와, 해당 조작 화면에 기초하여 촬상 장치(30)에 AF 기능을 동작시켜 복수의 정지 화상을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상시키는 조작의 일례에 대해 설명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은 터치 스크린을 통한 조작 등과 같은, GUI를 통한 조작에 의해 「AF 기능의 동작」, 「연사의 개시」 및 「연사의 종료」의 3개의 동작 각각을 개별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은 상술한 슬라이드 스위치(v10)를 입력 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에게 제시함으로써 GUI를 통한 조작에 의해 3개의 다른 동작 각각을 개별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와 관련한 조작 화면의 적용 대상은 반드시 촬상 장치(30)에 AF 기능을 동작시켜 복수의 정지 화상을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상시키는 경우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촬상 장치(30)에 벌브(bulb) 촬영을 행하는 경우의 입력 인터페이스로서, 상술한 슬라이드 스위치(v10)를 사용자에게 제시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AF 기능의 동작」, 「벌브 촬영의 개시(셔터의 개방)」 및 「벌브 촬영의 종료(셔터 개방의 종료)」의 3개의 동작 각각을 상술한 슬라이드 스위치(v10)에 대한 각 조작에 할당하면 좋다.
[2. 3. 처리]
다음으로, 도 12와 상술한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의 일련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에 대해, 촬상 장치(30)에 AF 기능을 동작시켜 복수의 정지 화상을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상시키는 경우(즉, 연사 모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의 일련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스텝 S101)
도 8의 좌측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 등의 조작체(u11)에 의해 초기 위치(v120)에 위치하는 표시 객체(v11)를 선택하여(예를 들어, 터치하여), 해당 선택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한다. 이 때, 정보 처리 단말(10)은 표시 객체(v11)에 대하여 홀드 조작을 감지하여 해당 홀드 조작의 감지에 따라 네트워크(n11)를 통해 접속된 촬상 장치(30)에 대해 AF 기능에 따른 초점 위치의 제어를 지시한다.
(스텝 S301)
촬상 장치(30)는 네트워크(n11)를 통해 접속된 정보 처리 단말(10)로부터 초점 위치의 제어가 지시되면, 미리 결정된 AF 기능의 설정에 기초하여 촬상 광학계 및 촬상 소자를 통해 얻은 화상(v70) 중의 포커스 위치(v60)를 결정한다. 그리고, 촬상 장치(30)는 AF 기능을 동작시킴으로써 결정된 해당 포커스 위치(v60)에 초점을 맞추도록 촬상 광학계의 초점 위치를 제어한다.
(스텝 S103)
이어서, 도 8의 중앙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 상태가 유지된 표시 객체(v11)를, 위치(v121)를 향해 슬라이드하도록 이동시킨 것으로 한다. 이 때, 정보 처리 단말(10)은 표시 객체(v11)를 위치(v121)를 향해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조작을 감지하여, 해당 슬라이드 조작의 감지에 따라 표시 객체(v11)를 위치(v121)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초기 위치(v120)로부터의 표시 객체(v11)의 이동에 따라 정보 처리 단말(10)은 촬상 장치(30)에 대해 소정의 동작 모드(예를 들어, 연사 모드)에 기초한 동작의 개시를 지시한다.
(스텝 S303)
촬상 장치(30)는 정보 처리 단말(10)로부터 소정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동작의 개시가 지시되면, 해당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촬상부(35)의 동작의 제어를 개시한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해당 동작 모드가 복수의 정지 화상을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상시키는 동작 모드(예를 들어, 연사 모드)의 경우에는, 촬상 장치(30)는 미리 결정된 셔터 스피드를 기초로 촬상부(35)에 정지 화상을 순차적으로 촬상시킨다. 또한, 촬상 장치(30)는 개시된 소정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촬상부(35)의 동작의 제어를 해당 동작 모드에 기초한 동작의 종료가 지시될 때까지 계속한다.
(스텝 S105)
그리고, 도 8의 우측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위치(v121)에 위치하는 표시 객체(v11)를 다시 초기 위치(v120)로 이동시킨 것으로 한다. 이 때, 정보 처리 단말(10)은 표시 객체(v11)를 위치(v121)를 향해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조작을 감지하여 해당 슬라이드 조작의 감지에 따라 표시 객체(v11)를 초기 위치(v120)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초기 위치(v120)로의 표시 객체(v11)의 이동에 따라 정보 처리 단말(10)은 촬상 장치(30)에 대해 계속 중인 소정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동작(즉, 종전에 개시를 지시한 동작)의 종료를 지시한다.
(스텝 S305)
촬상 장치(30)는 정보 처리 단말(10)로부터 소정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동작의 종료가 지시되면, 계속 중인 해당 동작 모드에 기초한 촬상부(35)의 동작의 제어를 종료한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촬상 장치(30)는 연사 모드에 기초하여 촬상부(35)의 동작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미리 결정된 셔터 스피드를 기초로 정지 화상을 순차적으로 촬상하는 촬상부(35)에 대해 해당 정지 화상의 촬상에 관련된 동작의 종료를 지시한다.
이상, 도 12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의 일련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에 대해, 촬상 장치(30)에 AF 기능을 동작시켜 복수의 정지 화상을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상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2. 4. 실시예]
<<2. 4. 1. 실시예 2-1: 슬라이드 스위치의 일례>>
다음으로, 실시예 2-1로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일례에 대해 도 13, 도 14 및 도 15a 내지 도 15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스위치를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스위치(v10)와 구별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스위치(v10a)」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 13에서는 도면의 횡방향을 x축, 종방향을 y축으로 나타낸다.
도 13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스위치(v10a)에서는, x축을 따라 초기 위치(v120)와 위치(v122)와 위치(v123)가 설정되어 있어, 표시 객체(v11)는 초기 위치(v120), 위치(v122) 및 위치(v123)의 사이를 x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3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스위치(v10a)에서는 초기 위치(v120) 외에 복수의 위치(즉, 위치(v122 및 v123))가 설정되어 있다.
초기 위치(v120) 이외의 다른 위치(즉, 위치(v122 및 v123))에는 각각 서로 다른 동작 모드가 미리 연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스위치(v10a)에서는, 위치(v122)에는 저속에서의 연속 촬영 모드(이후에는, 「저속 연사 모드」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가 연관되어 있다. 또한, 위치(v123)에는 고속의 연속 촬영 모드(이후에는, 「고속 연사 모드」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가 연관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정보 처리 단말(10)은 조작체(u11)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기초한 표시 객체(v11)의 이동 도착지가 되는 위치에 따라 해당 위치에 연관된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촬상 장치(3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초기 위치(v120)에 위치하는 표시 객체(v11)가 조작체(u11)에 의해 선택되어 해당 선택 상태가 유지되면, 정보 처리 단말(10)은 촬상 장치(30)에 AF 기능을 동작시킨다.
그리고, 선택 상태가 유지된 표시 객체(v11)가 조작체(u11)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위치(v122)로 이동하면, 정보 처리 단말(10)은 해당 위치(v122)와 연관된 저속 연사 모드에 기초한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개시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단말(10)은 표시 객체(v11)가 위치(v122)에 위치하는 한, 저속 연사 모드에 기초한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계속한다.
마찬가지로, 선택 상태가 유지된 표시 객체(v11)가 조작체(u11)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위치(v123)로 이동하면, 정보 처리 단말(10)은 해당 위치(v123)과 연관된 고속 연사 모드에 기초한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개시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단말(10)은 표시 객체(v11)가 위치(v123)에 위치하는 한, 고속 연사 모드에 기초한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계속한다.
또한, 위치(v122 또는 v123)에 위치하는 표시 객체(v11)가 초기 위치(v120)로 이동한 경우에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스위치(v10)를 적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정보 처리 단말(10)은 계속 중인(종전에 개시된)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종료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정보 처리 단말(10)의 터치 패널을 통한 조작 등과 같은, GUI를 통한 조작에 의해 미리 결정된 복수의 동작 모드 중에 원하는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촬상 장치(3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예에서는, 초기 위치(v120)에 대해 위치(v122 및 v123) 모두가 같은 측(예를 들어, 초기 위치(v120)에 대해 좌측)에 위치하도록 각 위치가 설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도 13에 나타내는 예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초기 위치(v120)와 해당 초기 위치(v120) 이외의 복수의 위치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반드시 도 13에 나타낸 초기 위치(v120)와 위치(v122 및 v123) 사이의 위치 관계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스위치를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스위치(v10)와 구별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스위치(v10b)」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스위치(v10b)는 촬상 장치(30)에 의한 동영상 촬상에 관련된 동작을 제어하는 경우의 인터페이스의 일례이다. 또한, 도 14에서는 도 13과 마찬가지로 도면의 횡방향을 x축, 종방향을 y축으로 나타낸다.
도 14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스위치(v10b)에서는, 초기 위치(v120) 이외의 다른 위치(v124 및 v125)가 초기 위치(v120)를 기준으로 x축을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초기 위치(v120)와 위치(v124 및 v125)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 객체(v11)는 초기 위치(v120)와 위치(v124 및 v125) 사이를 x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치(v124)에는 동영상을 재생할 때의 코마 수보다 많은 코마 수(프레임 수)로 동영상을 촬상하는, 소위 빨리 돌리기 촬영(오버크랭크(overcrank)) 모드가 연관되어 있다. 또한, 위치(v125)에는 동영상을 재생할 때 코마 수보다 적은 코마 수(프레임 수)로 동영상을 촬상하는, 소위 늦게 돌리기 촬영(언더크랭크(undercrank)) 모드가 연관되어 있다. 또한, 표시 객체(v11)에는 동영상 촬상을 나타내는 아이콘(v112)이 제시되어 있어도 좋다.
즉, 도 14에 나타낸 예에서는, 표시 객체(v11)가 초기 위치(v120)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정보 처리 단말(10)은 미리 설정된 디폴트 코마 수(예를 들어, 재생시와 같은 코마 수)로 동영상이 촬상되도록 촬상 장치(3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표시 객체(v11)가 조작체(u11)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위치(v124)로 이동하면, 정보 처리 단말(10)은 해당 위치(v124)와 연관된 빨리 돌리기 촬영 모드에 기초한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개시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단말(10)은, 표시 객체(v11)가 위치(v124)에 위치하는 한 빨리 돌리기 촬영 모드에 기초한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계속한다.
마찬가지로, 표시 객체(v11)가 조작체(u11)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위치(v125)로 이동하면, 정보 처리 단말(10)은 해당 위치(v125)에 연관된 늦게 돌리기 촬영 모드에 기초한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개시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단말(10)은, 표시 객체(v11)가 위치(v125)에 위치하는 한 늦게 돌리기 촬영 모드에 기초한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계속한다.
또한, 위치(v124 또는 v125)에 위치하는 표시 객체(v11)가 초기 위치(v120)로 이동한 경우에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스위치(v10)를 적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정보 처리 단말(10)은 계속 중인(종전에 개시된)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종료한다. 즉, 도 14에 나타낸 예에서는 정보 처리 단말(10)은 초기 위치(v120)로의 표시 객체(v11)의 이동에 따라 미리 설정된 디폴트 코마 수로 동영상이 촬상되도록 촬상 장치(3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상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초기 위치(v120)와 해당 초기 위치(v120) 이외의 복수의 위치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반드시 한정되지 않고, 상정되는 이용 형태에 따라 적절히 변경해도 좋다.
다음으로, 도 15a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a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5a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스위치를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스위치(v10)와 구별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스위치(v10c)」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 15a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스위치(v10c)는, 촬상 장치(30)에 의한 복수의 정지 화상의 촬상(예를 들어 연사)에 관련된 동작을 제어하는 경우의 인터페이스의 일례이다. 또한, 도 15a에서는, 도 13 및 도 14와 마찬가지로 도면의 횡방향을 x축, 종방향을 y축으로 나타낸다.
상술한 도 7,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예에서는,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각 위치는 소정의 한 축(다시 말하면, 소정의 한 방향)을 따라 설정되고, 표시 객체(v11)는 해당 한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 도 15a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스위치(v10c)에서는, 슬라이드 스위치(v10c)의 각 위치가 복수의 축을 따라 배치되고, 표시 객체(v11)는 해당 복수의 축 각각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5a에 나타낸 예에서는, 초기 위치(v120)를 기점으로, x축을 따라 위치(v122)와 위치(v12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초기 위치(v120)를 기점으로, y축을 따라 위치(v126)와 위치(v127)가 배치되어 있다. 표시 객체(v11)는 초기 위치(v120), 위치(v122) 및 위치(v123)의 각각 사이를 x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표시 객체(v11)는 초기 위치(v120), 위치(v126) 및 위치(v127) 각각의 사이를 y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치(v122 및 v123)의 각각에는, 도 13에 나타낸 슬라이드 스위치(v10a)와 같은 동작 모드가 연관되어 있다. 즉, 위치(v122)에는 저속 연사 모드가 연관되어 있으며, 위치(v123)에는 고속 연사 모드가 연관되어 있다. 또한, 위치(v122 및 v123) 각각에 표시 객체(v11)를 이동시킨 경우 정보 처리 단말(10)의 동작은 도 13에 나타낸 슬라이드 스위치(v10a)의 경우와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5a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스위치(v10c)에서는, 초기 위치(v120)를 기준으로 y축을 따라 설정된 위치(v126 및 v127)의 각각에는 확대율(줌(zoom))의 제어에 관한 동작 모드가 연관되어 있다. 즉, 위치(v126)에는 확대율을 텔레(tele)측(망원측(telescopic side))으로 시프트시키는 동작 모드가 연관되어 있다. 또한, 위치(v127)에는 확대율을 와이드(wide)측(광각측(wide angle side))으로 시프트시키는 동작 모드가 연관되어 있다.
즉, 표시 객체(v11)가 조작체(u11)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위치(v126)로 이동하면, 정보 처리 단말(10)은 확대율이 텔레측으로 시프트하는 것처럼, 촬상 장치(30)에 촬상 광학계의 위치(즉, 줌 위치)를 제어시킨다. 또한, 정보 처리 단말(10)은 표시 객체(v11)가 위치(v126)에 위치하는 한, 촬상 광학계의 위치가 이동 가능한 범위 내에서(즉, 촬상 광학계가 텔레단(tele-end)에 도달할 때까지)는 촬상 장치(30)의 확대율의 변경에 관련된 동작의 제어를 계속한다.
또한, 표시 객체(v11)가 조작체(u11)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위치(v127)로 이동하면, 정보 처리 단말(10)은 확대율이 와이드측으로 시프트하는 것처럼, 촬상 장치(30)에 촬상 광학계의 위치(즉, 줌 위치)를 제어시킨다. 또한, 정보 처리 단말(10)은 표시 객체(v11)가 위치(v127)에 위치하는 한, 촬상 광학계의 위치가 이동 가능한 범위 내에서(즉, 촬상 광학계가 와이드단(wide-end)에 도달할 때까지)는 촬상 장치(30)의 확대율의 변경에 관련된 동작의 제어를 계속한다.
또한, 위치(v126 또는 v127)에 위치하는 표시 객체(v11)가 초기 위치(v120)로 이동한 경우에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스위치(v10)를 적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정보 처리 단말(10)은 계속 중인(종전에 개시된)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종료한다.
이상, 슬라이드 스위치(v10c)로 설명한 바와 같이, 초기 위치(v120)와 해당 초기 위치(v120) 이외의 다른 위치가 복수의 축을 따라 배치되고, 표시 객체(v11)는 해당 복수의 축 각각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15a에 나타낸 예에서는, 표시 객체(v11)는 x축 및 y축의 2개의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었지만, 축의 수와 각 축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도 15a에 나타낸 예에 한정되지 않은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즉, 표시 객체(v11)는 3개 축 이상의 복수의 축 각각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축의 수와 각 축의 위치 관계는 상정되는 이용 형태에 따라 적절히 변경해도 좋다.
다음으로, 도 15b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b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5b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스위치를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스위치(v10)와 구별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스위치(v10d)」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 15b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스위치(v10d)는 촬상 장치(30)에 의한 복수의 정지 화상의 촬상(예를 들어, 연사)에 관련된 동작을 제어하는 경우의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5b에서는 도 13, 도 14 및 도 15a와 마찬가지로 도면의 횡방향을 x축, 종방향을 y축으로 나타낸다.
도 15b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스위치(v10d)에서는, 열쇠 형태로 굴곡된 경로를 따라 초기 위치(v120)와 해당 초기 위치(v120)와는 다른 위치(v132)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표시 객체(v11)는 해당 열쇠 형태로 굴곡된 경로를 따라 초기 위치(v120)와 위치(v132)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5b에 나타낸 예에서는, 초기 위치(v120)에 위치하는 표시 객체(v11)가 조작체(u11)에 의해 선택되어, 해당 선택 상태가 유지되면 정보 처리 단말(10)은 촬상 장치(30)에 AF 기능을 동작시킨다.
그리고, 선택 상태가 유지된 표시 객체(v11)가 조작체(u11)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초기 위치(v120)로부터 이동하면, 정보 처리 단말(10)은 미리 정해진 동작 모드(예를 들어, 연사 모드)에 기초한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개시한다.
또한, 사용자가 표시 객체(v11)를 참조 부호 v131에서 나타낸 위치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아래 방향으로만 이동시키고, 표시 객체(v11)의 홀드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해당 표시 객체(v11)의 선택 상태를 해제한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정보 처리 단말(10)은 선택 상태가 해제된(즉, 조작체(u11)에 의한 홀드 상태가 해제된) 표시 객체(v11)를 초기 위치(v120)를 향해 이동하도록 애니메이션 표시시킨다.
그리고, 정보 처리 단말(10)은 초기 위치(v120)로의 표시 객체(v11)의 이동에 따라 계속 중인 소정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종료한다. 다시 말하면, 정보 처리 단말(10)은 초기 위치(v120)로의 표시 객체(v11)의 이동에 따라 촬상 장치(30)에 대해 계속 중인 소정의 동작 모드(예를 들어, 연사 모드)에 기초한 동작(즉, 종전에 개시를 지시한 동작)의 종료를 지시한다.
또한, 사용자가 표시 객체(v11)를 위치(v131)를 향해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위치(v132)를 향해 더욱 좌측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고, 표시 객체(v11)의 홀드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해당 표시 객체(v11)의 선택 상태를 해제한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정보 처리 단말(10)은 선택 상태가 해제된(즉, 조작체(u11)에 의한 홀드 상태가 해제된) 표시 객체(v11)를 위치(v132)를 향해 이동하도록 애니메이션 표시시킨다.
또한, 위치(v132)로 이동한 표시 객체(v11)는 해당 위치(v132)에 위치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위치(v132)에 위치한 상태가 유지되는 한, 즉 표시 객체(v11)가 초기 위치(v120)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가 계속되는 한, 정보 처리 단말(10)은 소정의 동작 모드(예를 들어, 연사 모드)에 기초한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계속한다.
물론, 위치(v132)에 위치하는 표시 객체(v11)가 조작체(u11)에 의한 조작에 근거하여 초기 위치(v120)로 이동한 경우에는, 정보 처리 단말(10)은 계속 중인 소정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종료한다.
이상, 도 15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초기 위치(v120)와 해당 초기 위치(v120) 이외의 다른 위치는 소정의 경로를 따라서 설정되어 있다면 반드시 소정의 축(예를 들어, x축과 y축)을 따라 설정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또한, 이 경우에는 표시 객체(v11)는 해당 경로에 따라 초기 위치(v120)와 해당 초기 위치(v120) 이외의 다른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된다.
다음으로, 도 15c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c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5c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스위치를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스위치(v10)와 구별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스위치(v10e)」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 15b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스위치(v10e)는 촬상 장치(30)에 의한 복수의 정지 화상의 촬상(예를 들어, 연사)에 관한 동작을 제어하는 경우의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나타낸다. 또한, 도 15c에서는 표 13, 도 14, 도 15a 및 도 15b와 마찬가지로 도면의 횡방향을 x축, 종방향을 y축으로 나타낸다.
도 15c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스위치(v10e)에서는, 도 15a에 나타낸 슬라이드 스위치(v10c)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스위치(v10e)의 각 위치가 복수의 축을 따라 배치되고, 표시 객체(v11)는 해당 복수의 축 각각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5c에 나타낸 예에서는 초기 위치(v120)를 기점으로 x축을 따라 위치(v13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초기 위치(v120)를 기점으로 y축을 따라 위치(v133)와 위치(v134)가 배치되어 있다. 표시 객체(v11)는 초기 위치(v120) 및 위치(v135) 사이를 x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표시 객체(v11)는 초기 위치(v120), 위치(v133) 및 위치(v134) 각각의 사이를 y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치(v133)에는 1장의 정지 화상을 촬상하는, 소위 단사 모드(single shoot mode)가 연관되어 있다. 또한, 위치(v134 및 v135)에는 연사 모드가 연관되어 있다.
도 15c에 나타낸 예에서는, 초기 위치(v120)에 위치하는 표시 객체(v11)가 조작체(u11)에 의해 선택되어 해당 선택 상태가 유지되면, 정보 처리 단말(10)은 촬상 장치(30)에 AF 기능을 동작시킨다.
그리고, 선택 상태가 유지된 표시 객체(v11)가 조작체(u11)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위치(v133)로 이동하면, 정보 처리 단말(10)은 해당 위치(v133)에 연관된 단사 모드에 기초하여 촬상 장치(30)에 1장의 정지 화상을 촬상시킨다. 또한, 사용자가 위치(v133)로 이동한 표시 객체(v11)의 홀드 상태를 해제한 경우(즉, 선택 상태를 해제한 경우)에는, 정보 처리 단말(10)은 선택 상태가 해제된 표시 객체(v11)를 초기 위치(v120)를 향해 이동하도록 애니메이션 표시시켜도 좋다.
또한, 선택 상태가 유지된 표시 객체(v11)가 조작체(u11)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위치(v134)로 이동하면, 정보 처리 단말(10)은 해당 위치(v134)와 연관된 연사 모드에 기초하여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개시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단말(10)은 표시 객체(v11)가 위치(v134)에 위치하는 한, 연사 모드에 기초한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계속한다.
또한, 사용자가 위치(v134)로 이동한 표시 객체(v11)의 홀드 상태를 해제한 경우(즉, 선택 상태를 해제한 경우)에도, 정보 처리 단말(10)은 선택 상태가 해제된 표시 객체(v11)를 해당 위치(v134)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위치(v134)에 위치하는 표시 객체(v11)가 조작체(u11) 의한 조작에 기초하여 초기 위치(v120)로 이동한 경우에는, 정보 처리 단말(10)은 계속 중인 연사 모드에 기초한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종료한다.
마찬가지로, 선택 상태가 유지된 표시 객체(v11)가 조작체(u11)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위치(v135)로 이동하면, 정보 처리 단말(10)은 해당 위치(v135)에 연관된 연사 모드에 기초하여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개시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단말(10)은 표시 객체(v11)가 위치(v135)에 위치하는 한, 연사 모드에 기초한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계속한다.
한편, 사용자가 위치(v135)로 이동한 표시 객체(v11)의 홀드 상태를 해제한 경우(즉, 선택 상태를 해제한 경우)에는, 정보 처리 단말(10)은 선택 상태가 해제된 표시 객체(v11)를 초기 위치(v120)를 향해 이동하도록 애니메이션 표시시킨다.
그리고, 정보 처리 단말(10)은 초기 위치(v120)로의 표시 객체(v11)의 이동에 따라 계속 중인 소정의 연사 모드에 기초한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종료한다. 다시 말하면, 정보 처리 단말(10)은 초기 위치(v120)로의 표시 객체(v11)의 이동에 따라 촬상 장치(30)에 대해 계속 중인 소정의 연사 모드에 기초한 동작(즉, 종전에 개시를 지시한 동작)의 종료를 지시한다.
이상, 도 15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 다른 위치에 같은 동작 모드를 연관시켜도 좋다. 또한, 이 경우에는 정보 처리 단말(10)은 도 15c의 위치(v134 및 v135)의 각각에 표시 객체(v11)가 이동한 경우와 같이 각 위치에 따라 다른 조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도 좋다.
이상 실시예 2-1로서, 도 13, 도 14 및 도 15a 내지 도 15c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일례에 대해 설명했다.
<<2. 4. 2. 실시예 2-2: 촬상 장치측의 조작부와의 연계>>
다음으로, 실시예 2-2로서, 촬상 장치(30)측의 조작부(39)가 조작된 경우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10)에 의한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표시 제어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에서는 촬상 장치(30) 자체가 해당 촬상 장치(30)를 조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조작부(39)를 갖추고 있어도 좋다. 즉,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에서는, 사용자는 정보 처리 단말(10)을 통한 조작과, 조작부(39)를 통한 조작의 어느 쪽에 의해서도 촬상 장치(30)를 조작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즉, 사용자는 예를 들면, 정보 처리 단말(10)을 통한 조작에 의해 촬상 장치(30)에 연속 촬영(즉, 연사)을 개시시키고, 조작부(39)를 통한 조작에 의해 촬상 장치(30)에 연속 촬영을 종료시키는 조작도 가능하다. 그래서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정보 처리 단말(10)은 촬상 장치(30)측의 조작부(39)를 통한 조작에 의해 해당 촬상 장치(30)의 동작 상태가 바뀐 경우에 해당 동작 상태에 따라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표시 상태를 바꾸어도 좋다.
여기에서, 촬상 장치(30)측의 조작부(39)가 조작된 경우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10)의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표시 제어의 일례에 대해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은 실시예 2-2에 관한 정보 처리 단말(10)의 동작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촬상 장치(30)측의 조작부(39)가 조작된 경우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10)에 의한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표시 제어의 일례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16을 참조하여 촬상 장치(30)가 연사 모드에서 동작 중(즉, 연속 촬영의 계속 중)에 조작부(39)가 조작된 경우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10)에 의한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표시 제어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설명에서는, 조작부(39)는 촬상 장치(30)의 화상의 촬상에 관련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셔터 버튼)인 것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16의 좌측 도면은 표시부(151)에 표시된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표시 객체(v11)를 위치(v121)로 이동시키는 조작을 받고, 정보 처리 단말(10)이 연사 모드에 기초한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개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6의 좌측 도면은 정보 처리 단말(10)로부터 지시에 따라 촬상 장치(30)가 연사 모드에 기초하여 동작하고 있는 상태(즉, 미리 결정된 셔터 스피드로 촬상부(35)에 정지 화상을 순차적으로 촬상시키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촬상 장치(30)가 연사 모드에 기초하여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 16의 중앙의 도면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39)가 조작됨으로써, 해당 촬상 장치(30)에 대해 연사 모드에 기초한 동작의 종료(즉, 복수의 정지 화상의 촬상 동작의 종료)가 지시된 것으로 한다. 이 때, 촬상 장치(30)는 조작부(39)를 통해 조작을 받고, 계속 중인 연사 모드에 기초한 동작을 종료하고, 해당 연사 모드에 기초한 동작의 종료를 네트워크(n11)를 통해 정보 처리 단말(10)에 통지한다.
촬상 장치(30)로부터 연사 모드에 기초한 동작의 종료가 통지되면, 정보 처리 단말(10)은 도 16의 우측 도면과 같이 위치(v121)에 위치하는 표시 객체(v11)가 초기 위치(v120)로 이동하도록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표시를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조작부(39)를 통한 조작에 따라 촬상 장치(30)가 연사 모드에 기초한 동작을 종료했을 경우에, 해당 동작의 종료에 연동하여 정보 처리 단말(10)에 의해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표시가 갱신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슬라이드 스위치(v10)를 조작함으로써 촬상 장치(30)에 대해 다시 연사 모드에 기초한 동작의 개시(즉, 연속 촬영의 개시)를 지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7을 참조하여 조작부(39)를 통한 조작에 의해 촬상 장치(30)가 연사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한 경우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10)에 의한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표시 제어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17의 좌측 도면은, 정보 처리 단말(10)이 연사 모드에 기초한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를 개시하지 않은 상태, 즉 촬상 장치(30)에 의한 복수의 정지 화상의 촬상에 관련된 동작(즉, 연사 모드에 기초한 동작)이 개시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때 정보 처리 단말(10)의 표시부(151)에 표시된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표시 객체(v11)는 초기 위치(v120)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촬상 장치(30)가 정지 화상의 촬상에 관련된 동작을 개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 17의 중앙의 도면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39)가 조작됨으로써, 해당 촬상 장치(30)에 대해 연사 모드에 기초한 동작의 개시가 지시된 것으로 한다. 이 때, 촬상 장치(30)는 조작부(39)를 통한 조작을 받고, 연사 모드에 기초한 동작을 개시하고, 해당 연사 모드에 기초한 동작의 개시를 네트워크(n11)를 통해 정보 처리 단말(10)에 통지한다.
촬상 장치(30)로부터 연사 모드에 기초한 동작의 개시가 통지되면, 정보 처리 단말(10)은 초기 위치(v120)에 위치하는 표시 객체(v11)가 위치(v121)로 이동하도록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표시를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조작부(39)를 통한 조작에 따라 촬상 장치(30)가 연사 모드에 기초한 동작을 개시한 경우, 해당 동작의 개시에 연동하여 정보 처리 단말(10)에 의해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표시가 갱신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슬라이드 스위치(v10)를 조작함으로써 촬상 장치(30)에 대해 개시된 연사 모드에 기초한 동작의 종료(즉, 연속 촬영의 종료)를 지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실시예 2-2로서 촬상 장치(30)측의 조작부(39)가 조작된 경우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10)에 의한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표시 제어의 일례에 대해 설명했다. 또한, 상술한 것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촬상 장치(30)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정보 처리 단말(10)이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면, 해당 제어를 실현하기 위한 구성 및 방법과, 해당 제어 계기(예를 들어, 트리거하는 처리와 동작)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정보 처리 단말(10)이 촬상 장치(30)의 동작 상태를 수시로 감시하여, 감시 결과에 따라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표시를 제어하여도 좋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정보 처리 단말(10)은, 촬상 장치(30)가 동영상과 정지 화상을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상하는 모드에서 동작하기 어려운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스위치(v10)의 표시를 제한(억제)하여도 좋다. 촬상 장치(30)가 동영상과 정지 화상을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상하는 모드에서 동작하기 어려운 상태의 일례로서는, 촬상 장치(30)에 대해 외부 기록 매체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나 기록 매체(예를 들어, 기억부(37))의 공간이 부족한 상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정보 처리 단말(10)은 촬상 장치(30)가 동영상과 복수의 정지 화상을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상하는 모드에서 동작하기가 곤란할 경우, 사용자가 해당 동작 모드에서의 동작의 지시를 행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2. 5. 정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단말(10)은 촬상 장치(30)를 조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슬라이드 스위치(v10)(예를 들어, 도 7 및 도 8 참조)가 표시된 조작 화면을 표시부(15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이 때, 슬라이드 스위치(v10)는 소정의 방향을 따라 설정된 초기 위치(v120)와 해당 초기 위치(v120) 이외의 다른 위치(v121) 사이를 표시 객체(v11)가 해당 소정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정보 처리 단말(10)은, 표시 객체(v11)가 초기 위치(v120) 및 다른 위치(v121) 각각에 위치한 상태와, 표시 객체(v11)의 선택 상태가 유지된 상태(즉, 홀드된 상태)의 3개 상태를 각각 개별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래서, 정보 처리 단말(10)은 예를 들어 표시 객체(v11)가 초기 위치(v120) 및 다른 위치(v121) 각각에 위치한 상태를 소정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촬상 장치(30)의 동작의 제어의 개시와, 해당 제어의 종료에 할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때 정보 처리 단말(10)은 표시 객체(v11)의 선택 상태가 유지된 상태를 촬상 장치(30)에 AF 기능을 동작시키는 제어에 할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에 의하면, 예를 들어 복수의 정지 화상을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상 장치(30)에 촬상시키는 경우, 「AF 기능의 동작」, 「연사의 개시」 및 「연사의 종료」의 각 동작을 GUI를 통한 조작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스위치(v10)가 표시된 조작 화면의 적용 대상은 복수의 정지 화상을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상시키는 경우(즉, 연사의 경우)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촬상 장치(30)에 벌브 촬영을 행하는 경우의 입력 인터페이스로서 슬라이드 스위치(v10)가 표시된 조작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시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AF 기능의 동작」, 「벌브 촬영의 개시(셔터의 개방)」 및 「벌브 촬영의 종료(셔터 개방의 종료)」의 3개 동작 각각을 상술한 슬라이드 스위치(v10)에 대한 각 조작에 할당하면 좋다.
또한, 위에 나타낸 예에서는, 터치 스크린을 통한 조작에 의해 촬상 장치(30)를 조작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조작체(u11)에 의해 슬라이드 스위치(v10)를 조작하는 양태라면 반드시 터치 패널을 통한 조작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마우스 등의 조작 디바이스에 의해 포인터를 조작함으로써 해당 포인터를 조작체(u11)로서 슬라이드 스위치(v10)를 조작하는 구성으로서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스위치(v10)가 표시된 조작 화면의 적용 대상은 터치 스크린을 통한 조작 등과 같이 GUI를 통한 조작에 의해 촬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라면 반드시 위에서 나타낸 정보 처리 시스템(1)의 구성(도 1 참조)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터치 패널을 갖춘 소위 디지털 카메라에 대해서도 슬라이드 스위치(v10)가 표시된 조작 화면을 적용함으로써 위에서 나타낸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3. 제3 실시 형태>
[3. 1. 개요]
다음으로 제3 실시 형태로서 촬상 장치(30)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정보 처리 단말(10)에 전송하는 경우에 있어서 처리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복수의 정지 화상을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상하는 경우에는,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상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의 용량(이후에서는, 「데이터 양」으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은 촬상되는 정지 화상의 장수에 따라 증대한다. 한편, 본 개시에 관한 정보 처리 시스템(1)(도 1 참조)과 같이 촬상 장치(30)와 정보 처리 단말(10)과의 사이에 네트워크(n11)를 통해 화상을 전송하는 구성에서는, 전송 대상이 되는 화상의 데이터 양의 증가(즉, 화상의 장수의 증가)는 해당 네트워크(n11)의 트래픽 증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해당 정보 처리 시스템(1)에 의해 복수의 정지 화상을 촬상하는 경우에는, 촬상 장치(30)에서 촬상된 일련의 화상의 전송에 의해 네트워크(n11)의 폭주가 발생하여 촬상 장치(30)와 정보 처리 단말(10) 사이의 정보의 송수신이 압박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정보 처리 단말(10)과 촬상 장치(30) 사이에는 촬상 장치(30)에 의해 촬상된 화상 이외에도 정보 처리 단말(10)측에 표시시키는 스루 화상과, 정보 처리 단말(10)로부터 촬상 장치(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 등이 네트워크(n11)를 통해 송수신된다. 그래서, 네트워크(n11)를 통해 접속된 촬상 장치(30)와 정보 처리 단말(10) 사이에서 촬상된 화상을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은 촬상 장치(30)에 의해 일련의 화상(예를 들면, 복수의 정지 화상)을 촬상시켰을 경우에, 촬상된 화상을 네트워크(n11)를 통해 정보 처리 단말(10)로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구조(즉, 네트워크(n11)의 트래픽을 경감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18은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의 개요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촬상 장치(30)에 의해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상된 복수의 정지 화상을 정보 처리 단말(10)로 전송하는 경우의 조작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의 좌측 도면은 복수의 정지 화상을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상하는 모드(예를 들어, 연사 모드)에 기초하여 화상의 촬상을 계속하는 촬상 장치(30)에 대해 사용자가 정보 처리 단말(10)을 통해 해당 화상의 촬상의 종료를 지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위치(v121)에 위치하는 표시 객체(v11)를 초기 위치(v120)로 이동시키면, 정보 처리 단말(10)은 촬상 장치(30)에 대해 계속 중인 소정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동작(예를 들어, 연사 모드에 기초한 동작)의 종료를 지시한다. 이 지시를 받고 촬상 장치(30)는 계속 중인 화상의 촬상에 관한 처리를 종료하고 촬상된 일련의 화상(즉, 복수의 정지 화상)을 예를 들어 기억부(37) 등의 기록 매체에 유지 또는 기록한다.
촬상 장치(30)는 정보 처리 단말(10)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일련의 화상의 촬상을 종료하면, 촬상된 일련의 화상 각각의 썸네일 화상을 생성한다.
또한, 본 설명에서는, 썸네일 화상은 복수의 화상을 목록 보기를 위해 축소된 화상을 나타내고, 특히 촬상된 화상에 대해 데이터 양이 더욱 삭감되도록 가공된 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물론, 데이터 양이 더욱 감소된다면, 썸네일 화상의 생성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촬상 장치(30)는 화상의 사이즈(치수)를 작게 함으로써 썸네일 화상을 생성하여도 좋고, 화상의 해상도를 작게 함으로써 썸네일 화상을 생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도 18의 중앙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상 장치(30)는 촬상된 화상 각각에 대해 생성된 일련의 썸네일 화상을 네트워크(n11)를 통해 정보 처리 단말(10)에 전송한다.
정보 처리 단말(10)은 촬상 장치(30)로부터 일련의 썸네일 화상을 취득하면 취득한 해당 썸네일 화상 각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부(151)에 표시시킨다. 예를 들어, 도 18의 중앙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정보 처리 단말(10)은 취득한 각 썸네일 화상(v31)을 선택 가능하게 제시한 목록(v30)을 표시부(151)에 표시시키고 있다.
그리고, 정보 처리 단말(10)은 표시부(151)를 통해 제시한 일련의 썸네일 화상(v31) 중 적어도 일부의 썸네일 화상에 대한 선택을 사용자로부터 받는다. 예를 들어, 도 18의 중앙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정보 처리 단말(10)은 목록(v30) 중에 제시된 썸네일 화상(v31) 중 사용자가 손가락 등의 조작체(u11)에 의해 터치한 썸네일 화상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썸네일 화상으로서 인식하고 있다. 또한, 이후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썸네일 화상을 「썸네일 화상(v33)」으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정보 처리 단말(10)은 표시부(151)를 통해 제시한 일련의 썸네일 화상(v31) 중 적어도 일부의 썸네일 화상(v33)의 선택을 받으면, 도 18의 우측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된 썸네일 화상(v33)에 대응하는 화상(v33')의 전송을 촬상 장치(30)에 지시한다. 이 지시를 받아서 촬상 장치(30)는 촬상된 일련의 화상(즉, 일련의 썸네일 화상의 생성원이 되는 화상)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썸네일 화상(v33)에 대응하는 화상(v33')을 추출하여 추출한 화상(v33')을 정보 처리 단말(10)에 전송한다.
또한, 촬상 장치(30)는 썸네일 화상(v33)에 대응하는 화상(v33')을 정보 처리 단말(10)에 전송할 때, 촬상된 화상의 축소 화상(예를 들면, 스크린 네일(screen nail))을 생성하여 해당 축소 화상을 화상(v33')으로서 정보 처리 단말(10)로 전송해도 좋은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은 촬상 장치(30)에 의해 촬상된 일련의 화상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상만을 축소하지 않고 촬상 장치(30)로부터 정보 처리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은 촬상 장치(30)에 의해 촬상된 일련의 화상 모두를 축소하지 않고 정보 처리 단말(10)로 전송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촬상 장치(30)와 정보 처리 단말(10) 사이의 트래픽이 경감된다. 즉,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은 촬상 장치(30)와 정보 처리 단말(10) 사이에서 촬상된 화상을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3. 2. 처리]
다음으로, 도 19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의 일련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에 대해 촬상 장치(30)에 의해 촬상된 화상이 정보 처리 단말(10)로 전송되는 처리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의 일련의 처리 흐름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스텝 S305)
촬상 장치(30)는 정보 처리 단말(10)로부터 계속 중인 소정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동작(예를 들어, 연사 모드에 기초한 동작)의 종료가 지시되면, 계속 중인 화상의 촬상에 관한 처리를 종료하고 촬상된 일련의 화상(즉, 복수의 정지 화상)을 예를 들어 기억부(37) 등의 기록 매체에 유지 또는 기록한다.
(스텝 S307)
그리고, 촬상 장치(30)는 정보 처리 단말(10)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일련의 화상의 촬상을 종료하면 촬상된 일련의 화상 각각의 썸네일 화상을 생성하여 생성된 일련의 썸네일 화상을 네트워크(n11)를 통해 정보 처리 단말(10)로 전송한다.
(스텝 S107)
정보 처리 단말(10)은 촬상 장치(30)로부터 일련의 썸네일 화상을 취득하면, 취득된 해당 썸네일 화상 각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부(151)에 표시시킨다.
(스텝 S109)
정보 처리 단말(10)은 표시부(151)를 통해 제시한 일련의 썸네일 화상(v31) 중 적어도 일부의 썸네일 화상에 대한 선택을 사용자로부터 받는다.
그리고, 정보 처리 단말(10)은 표시부(151)를 통해 제시한 일련의 썸네일 화상(v31) 중 적어도 일부의 썸네일 화상(v33)의 선택을 받으면, 선택된 썸네일 화상(v33)에 대응하는 화상(v33')의 전송을 촬상 장치(30)에 지시한다.
(스텝 S309)
이 지시를 받고 촬상 장치(30)는, 촬상된 일련의 화상(즉, 일련의 썸네일 화상의 생성원이 되는 화상)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썸네일 화상(v33)에 대응하는 화상(v33')을 추출하여 추출된 화상(v33')을 정보 처리 단말(10)로 전송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에서는, 촬상 장치(30)는 연사 모드 등의 소정의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복수의 정지 화상을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상하면, 우선 해당 일련의 화상 각각의 썸네일 화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촬상 장치(30)는 생성된 썸네일 화상을 정보 처리 단말(10)로 전송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정보 처리 단말(10)의 표시부(151)에 제시된 썸네일 화상에 기초하여 촬상 장치(30)에 의해 촬상된 일련의 화상 중에 원하는 화상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촬상 장치(30)는 촬상된 일련의 화상 중에 정보 처리 단말(10)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상만을 해당 정보 처리 단말(10)로 전송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은 촬상 장치(30)에 의해 촬상된 일련의 화상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상만을 축소하지 않고 촬상 장치(30)로부터 정보 처리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30)는 생성된 일련의 썸네일 화상의 전송 중에(도 19의 스텝 S307), 정보 처리 단말(10)로부터 화상의 촬영에 관련된 새로운 지시를 받은 경우에는, 해당 썸네일 화상의 전송을 중단 또는 중지하여도 좋다. 또한, 썸네일 화상의 전송을 중단한 경우에는, 촬상 장치(30)는 정보 처리 단말(10)로부터의 새로운 지시에 기초한 화상의 촬상이 완료된 후에, 중단된 썸네일 화상의 전송(즉, 종전에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생성된 썸네일 화상의 전송)을 재개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촬상 장치(30)는 촬상된 일련의 화상 중 정보 처리 단말(10)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상(v33')의 전송 중에(도 19의 스텝 S309), 정보 처리 단말(10)로부터 화상의 촬상에 관련된 새로운 지시를 받은 경우에는, 해당 화상(v33')의 전송을 중단 또는 중지하여도 좋다. 또한, 화상(v33')의 전송을 중단한 경우에는, 촬상 장치(30)는 정보 처리 단말(10)로부터의 새로운 지시에 기초한 화상의 촬상이 완료된 후에, 중단한 화상(v33')의 전송을 재개하여도 좋다.
또한, 정보 처리 단말(10)은 촬상 장치(30)로부터 취득된 썸네일 화상의 제시 중에, 촬상 장치(30)로부터 새로 썸네일 화상을 취득한 경우에는 종전에 취득한 썸네일 화상의 제시를 중단 또는 중지하고, 새롭게 취득한 썸네일 화상을 사용자에게 제시하여도 좋다. 또한, 종전에 취득된 썸네일 화상의 제시를 중단한 경우에는, 정보 처리 단말(10)은 새롭게 취득한 썸네일 화상의 제시의 완료 후에(예를 들면, 화상의 선택의 완료 후), 해당 종전에 취득한 썸네일 화상을 사용자에게 다시 제시하여도 좋다.
이상, 도 19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의 일련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에 대해 촬상 장치(30)에 의해 촬영된 화상이 정보 처리 단말(10)에 전송되는 처리에 주목하여 설명했다.
[3. 3. 실시예 3]
다음으로, 실시예 3으로서 촬상 장치(30)에 의해 촬상된 동영상을 정보 처리 단말(10)로 전송하는 경우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동영상을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상하는 경우에는,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상되는 동영상의 데이터 양은 해당 동영상의 촬상 시간에 따라 증대한다. 그래서, 해당 정보 처리 시스템(1)에 의해 동영상을 촬상하는 경우에는 촬상 장치(30)에서 촬상된 일련의 화상(즉, 동영상)의 전송에 의해 네트워크(n11)의 폭주가 발생하여, 촬상 장치(30)와 정보 처리 단말(10) 사이의 정보의 송수신이 압박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실시예 3에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으로서, 도 20을 참조하여 촬상 장치(30)에 동영상을 촬상시켰을 경우에, 촬상된 동영상을 네트워크(n11)를 통해 정보 처리 단말(10)에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구조(즉, 네트워크(n11)의 트래픽을 경감)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은 실시예 3에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의 개요에 대해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0에서 참조 부호 d10은 촬상 장치(30)에 의해 촬상된 동영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면의 횡방향은 시간 축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참조 부호 d30a 내지 d30d는 동영상(d10)으로부터 시간 축을 따라 일부를 잘라낸 부분적인 동영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참조 부호 d31a 내지 d31d는 동영상(d10) 중 일부의 프레임(즉, 정지 화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동영상(d30)a 내지 d30d를 특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순히 「동영상(d30)」으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마찬가지로, 프레임(d31a 내지 d31d)을 특히 구별하지 않을 경우에는 단순히 「프레임(d31)」으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촬상 장치(30)는 정보 처리 단말(10)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동영상의 촬상을 종료하면, 촬상된 일련의 화상(즉, 동영상(d10))을 예를 들어 기억부(37) 등의 기록 매체에 유지 또는 기록한다.
촬상 장치(30)는 정보 처리 단말(10)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동영상(d10)의 촬상을 종료하면, 촬상된 동영상(d10)으로부터 일부의 프레임을 복수개 추출한다. 도 20에 나타낸 예에서는, 촬상 장치(30)는 동영상(d10)으로부터 프레임(d31a 내지 d31d)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촬상 장치(30)는 추출한 프레임(d31a 내지 d31d) 각각의 썸네일 화상을 생성하여 생성된 일련의 썸네일 화상을 네트워크(n11)를 통해 정보 처리 단말(10)로 전송한다.
또한, 촬상 장치(30)가 촬상한 동영상(d10)으로부터 일부의 프레임(예를 들면, 프레임(d31a 내지 d31d))을 추출하는 방법은 운용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하면 좋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촬상 장치(30)는 소정의 시간 폭마다 동영상(d10)으로부터 일부의 프레임을 추출하여도 좋다. 또한, 다른 일례로서 촬상 장치(30)는 동영상(d10)의 각 프레임을 해석하여, 장면이 크게 변화하는 타이밍을 기점으로 장면마다 프레임을 추출하여도 좋다. 물론, 위에서 나타낸 프레임의 추출 방법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위에 나타낸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촬상 장치(30)는 복수의 방법을 조합하여 동영상(d10)으로부터 일부의 프레임을 추출하여도 좋다.
정보 처리 단말(10)은 촬상 장치(30)로부터 일련의 썸네일 화상을 취득하면, 취득된 해당 썸네일 화상 각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부(151)에 표시시킨다. 이 때, 정보 처리 단말(10)은 예를 들어 도 18을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취득된 각 썸네일 화상(v31)을 선택 가능하도록 제시한 목록(v30)을 표시부(151)에 표시시킨다. 예를 들면, 참조 부호 v31a 내지 v31d는 프레임(d31a 내지 d31d) 각각의 썸네일 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썸네일 화상(v31a 내지 v31d)을 특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순히 「썸네일 화상(v31)」으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정보 처리 단말(10)은 표시부(151)를 통해 제시된 일련의 썸네일 화상(v31) 중 적어도 일부의 썸네일 화상에 대한 선택을 사용자로부터 받는다. 그리고, 정보 처리 단말(10)은 표시부(151)를 통해 제시된 일련의 썸네일 화상(v31) 중 적어도 일부의 썸네일 화상(v33)의 선택을 받으면 선택된 썸네일 화상(v33)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전송을 촬상 장치(30)에 지시한다. 또한, 본 설명에서는, 목록(v30) 중의 썸네일 화상(v30a 내지 v30d) 중 썸네일 화상(v30b)이 지정된 것으로서 설명한다.
정보 처리 단말(10)로부터의 지시를 받고 촬상 장치(30)는 촬상된 동영상(d10) 중 지정된 썸네일 화상(v31)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일련의 썸네일 화상(v31)의 생성원이 되는 프레임(d31)으로부터 특정한다. 즉, 썸네일 화상(v31b)이 지정된 경우에는, 촬상 장치(30)는 해당 썸네일 화상(v31b)의 생성원이 되는 프레임(d31b)을 특정한다.
그리고, 촬상 장치(30)는 촬상된 동영상(d10)으로부터 특정된 프레임(d31)을 포함하는 일부 동영상(d30)을 추출한다. 예를 들면, 프레임(d31b)을 특정한 경우에는, 촬상 장치(30)는 해당 프레임(d31b)을 포함하는 부분적인 동영상(d30b)을 촬영한 동영상(d10)으로부터 추출한다.
또한, 촬상 장치(30)가 동영상(d10)으로부터 부분적인 동영상(d30)을 추출할 때의 해당 동영상(d30)의 시간 폭의 설정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촬상 장치(30)는, 촬상한 동영상(d10)으로부터 특정한 프레임(d31)을 포함하는 소정의 시간 폭의 부분적인 동영상(d30)을 추출하여도 좋다. 또한, 다른 일례로서, 촬상 장치(30)는 특정한 프레임(d31)으로부터 해당 프레임(d31)에 인접하는 다른 프레임(d31)까지를 부분적인 동영상(d30)으로서 추출하여도 좋다. 물론, 위에서 나타낸 방법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촬상 장치(30)가 동영상(d10)으로부터 특정한 프레임(d31)을 포함하는 부분적인 동영상(d30)을 추출할 수 있다면, 그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촬상 장치(30)는 특정한 프레임(d31)에 기초하여 촬상된 동영상(d10)으로부터 부분적인 동영상(d30)을 추출하면, 해당 부분적인 동영상(d30)을 네트워크(n11)를 통해 정보 처리 단말(10)로 전송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실시예 3에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은 촬상 장치(30)에 의해 촬상된 동영상(d10)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레임(d31)을 포함하는 부분적인 동영상만을 축소하지 않고 촬상 장치(30)로부터 정보 처리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래서, 실시예 3에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은 촬상 장치(30)에 의해 촬상된 동영상(d10) 전체를 축소하지 않고 정보 처리 단말(10)로 전송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촬상 장치(30)와 정보 처리 단말(10) 사이의 트래픽이 경감된다. 즉, 실시예 3과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은 촬상 장치(30)와 정보 처리 단말(10) 사이에서 촬상된 동영상을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3. 4. 정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은 촬상 장치(30)에 의해 촬상된 일련의 화상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상만을 축소하지 않고 촬상 장치(30)로부터 정보 처리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은 촬상 장치(30)에 의해 촬상된 일련의 화상 전부를 축소하지 않고 정보 처리 단말(10)로 전송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촬상 장치(30)와 정보 처리 단말(10) 사이의 트래픽이 경감된다. 즉,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시스템(1)은 촬상 장치(30)와 정보 처리 단말(10) 사이에서 촬상된 화상을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4. 정리>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는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로 상도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므로,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설명적 또는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이지 않다. 즉,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상술한 효과와 함께 또는 상술한 효과에 대신하여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다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이하와 같은 구성도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1)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외부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소정의 동작 모드에 따라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일련의 화상을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일련의 화상에 대응하는 일련의 썸네일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의 전송을 받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일련의 화상 중 적어도 일부의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일련의 화상으로서 복수의 정지 화상을 촬상하는 모드이고,
상기 취득부는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복수의 정지 화상을 취득하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정지 화상 각각의 썸네일 화상을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으로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3)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의 전송을 받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 중 적어도 일부의 썸네일 화상의 지정을 받고, 상기 복수의 정지 화상 중 상기 일부의 썸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2)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4)
상기 취득부는 상기 복수의 정지 화상으로서 미리 설정된 셔터 스피드를 기초로 연속 촬상된 정지 화상을 취득하는,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5)
상기 취득부는 상기 복수의 정지 화상으로서 서로 다른 촬상 조건에 기초하여 촬상된 복수의 정지 화상을 취득하는,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6)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일련의 화상으로서 동영상을 촬상하는 모드이고,
상기 취득부는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동영상을 취득하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 중 적어도 일부의 프레임 화상의 썸네일 화상을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으로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7)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의 전송을 받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 중 적어도 일부의 썸네일 화상의 지정을 받고, 상기 동영상 중 상기 일부의 썸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상기 프레임 화상을 포함하는 일부의 동영상을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일부의 동영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6)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8)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에의 상기 일부의 화상의 전송 중에 상기 촬상부가 새로운 화상의 촬상에 관한 지시를 받은 경우에는, 상기 일부 화상의 전송을 중단 또는 중지하는,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9)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일부의 화상의 전송을 중단한 경우에는,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상기 새로운 화상을 취득한 후에 중단된 상기 전송을 재개하는, 상기 (8)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0)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동영상 또는 복수의 정지 화상을 상기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상하는 모드의 경우, 상기 일련의 화상에 대응하는 일련의 썸네일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1) 내지 (9)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1)
동영상 또는 복수의 정지 화상을 상기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상하는 모드에 기초한 상기 촬상부의 동작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휴대가능(portable) 보조 기억 매체의, 상기 장치에 대한 착탈 상태에 따라 억제되는, 상기 (10)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2)
동영상 또는 복수의 정지 화상을 상기 일련의 화상으로서 촬상하는 모드에 기초한 상기 촬상부의 동작은 상기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에 대해 상기 보조 기억 매체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 억제되는, 상기 (1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3)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외부 장치에의 일련의 화상의 촬상에 관한 지시에 대한 응답으로서 촬상된 상기 일련의 화상에 대응하는 썸네일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취득부와,
취득된 상기 썸네일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취득부는 상기 일련의 화상 각각의 상기 썸네일 화상 중 적어도 일부의 상기 썸네일 화상의 선택을 받고 상기 일련의 화상 중 선택된 상기 썸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정보 처리 장치.
(14)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일련의 화상의 촬상에 관한 제1 지시에 대한 응답으로서 취득된 제1 썸네일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중에, 상기 제1 지시와는 다른 제2 지시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2 썸네일 화상이 새로 취득된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1 썸네일 화상의 표시를 중단 또는 중지하고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2 썸네일 화상을 표시시키는, 상기 (13)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5)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외부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소정의 동작 모드에 따라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일련의 화상을 취득하는 단계와,
프로세서가 상기 일련의 화상에 대응하는 일련의 썸네일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의 전송을 받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일련의 화상 중 적어도 일부의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16)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외부 장치에의 일련의 화상의 촬상에 관한 지시에 대한 응답으로서 촬상된 상기 일련의 화상에 대응하는 썸네일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단계와,
프로세서가 취득된 상기 썸네일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단계와,
상기 일련의 화상 각각의 상기 썸네일 화상 중 적어도 일부의 상기 썸네일 화상의 선택을 받고 상기 일련의 화상 중 선택된 상기 썸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17)
컴퓨터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외부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소정의 동작 모드에 따라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일련의 화상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일련의 화상에 대응하는 일련의 썸네일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의 전송을 받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일련의 화상 중 적어도 일부의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18)
컴퓨터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외부 장치에의 일련의 화상의 촬상에 관한 지시에 대한 응답으로서 촬상된 상기 일련의 화상에 대응하는 썸네일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단계와,
취득된 상기 썸네일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단계와,
상기 일련의 화상 각각의 상기 썸네일 화상 중 적어도 일부의 상기 썸네일 화상의 선택을 받고 상기 일련의 화상 중 선택된 상기 썸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1: 정보 처리 시스템
10: 정보 처리 단말
11: 제어부
111: 처리 실행부
113: 표시 제어부
13: 통신부
15: UI
151: 표시부
153: 조작부
30: 촬상 장치
31: 제어부
311: 처리 실행부
313: 전송 제어부
33: 통신부
35: 촬상부
37: 기억부
39: 조작부

Claims (19)

  1.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외부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소정의 동작 모드에 따라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일련의 정지 화상을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일련의 정지 화상의 각각에 대응하고 상기 정지 화상보다 데이터 용량이 작은 일련의 썸네일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동작 모드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의 단일 지시에 의해 복수의 정지 화상이 상기 촬상부에 의해 연속적으로 촬상되어 상기 일련의 정지 화상으로서 취득되는 모드이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상기 촬상부의 연속 촬상 동작을 종료시키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의 상기 소정의 동작 모드 종료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을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의 전송을 받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 중 적어도 일부의 썸네일 화상의 지정을 받아, 상기 일련의 정지 화상 중, 상기 일부의 썸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는 상기 일련의 정지 화상으로서 미리 설정된 셔터 스피드를 기초로 연속 촬상된 정지 화상을 취득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는 상기 일련의 정지 화상으로서 서로 다른 촬상 조건에 기초하여 촬상된 복수의 정지 화상을 취득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일부의 썸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의 전송 중에 상기 촬상부가 새로운 화상의 촬상에 관한 지시를 받는 경우에는, 상기 일부의 썸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의 전송을 중단 또는 중지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일부의 썸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의 전송을 중단한 경우에는,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상기 새로운 화상이 취득된 후에 중단된 상기 전송을 재개하는, 정보 처리 장치.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상기 촬상부의 동작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휴대가능(portable) 보조 기억 매체의, 상기 장치에 대한 착탈 상태에 따라 억제되는, 정보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상기 촬상부의 동작은 상기 화상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에 대해 상기 보조 기억 매체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 억제되는, 정보 처리 장치.
  13.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외부 장치에의 소정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일련의 정지 화상의 촬상에 관한 지시에 대한 응답으로서, 촬상된 상기 일련의 정지 화상의 각각에 대응하고 상기 정지 화상보다 데이터 용량이 작은 일련의 썸네일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취득부와,
    취득된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동작 모드는, 상기 외부 장치에 대한 단일 지시에 의해 복수의 정지 화상이 상기 외부 장치에 의해 연속적으로 촬상되어 상기 일련의 정지 화상으로서 얻어지도록 하는 모드이고,
    상기 취득부는, 상기 소정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상기 외부 장치의 연속 촬상 동작을 종료시키는 상기 외부 장치로의 상기 소정의 동작 모드 종료 지시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을 취득하고,
    상기 취득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 중 적어도 일부의 썸네일 화상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일련의 정지 화상 중 선택된 상기 썸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정보 처리 장치.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일련의 정지 화상의 촬상에 관한 제1 지시에 대한 응답으로서 취득된 제1 썸네일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중에, 상기 제1 지시와는 다른 제2 지시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2 썸네일 화상이 새로 취득된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의 상기 제1 썸네일 화상의 표시를 중단 또는 중지하고,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2 썸네일 화상을 표시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
  16.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외부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소정의 동작 모드에 따라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일련의 정지 화상을 취득하는 단계와,
    프로세서가 상기 일련의 정지 화상의 각각에 대응하고 상기 정지 화상보다 데이터 용량이 작은 일련의 썸네일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의 전송을 받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 중 적어도 일부의 섬네일 화상의 지정을 받아, 상기 일련의 정지 화상 중 상기 일부의 썸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동작 모드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의 단일 지시에 의해 복수의 정지 화상이 상기 촬상부에 의해 연속적으로 촬상되어 상기 일련의 정지 화상으로서 취득되는 모드이고,
    상기 외부 장치로의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의 전송은, 상기 소정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상기 촬상부의 연속 촬상 동작을 종료시키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의 상기 소정의 동작 모드 종료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을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인, 정보 처리 방법.
  17.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외부 장치에의 소정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일련의 정지 화상의 촬상에 관한 지시에 대한 응답으로서, 촬상된 상기 일련의 정지 화상의 각각에 대응하고 상기 정지 화상보다 데이터 용량이 작은 썸네일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단계와,
    프로세서가 취득된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단계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 중 적어도 일부의 썸네일 화상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일련의 정지 화상 중 선택된 상기 썸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동작 모드는, 상기 외부 장치에 대한 단일 지시에 의해 복수의 정지 화상이 상기 외부 장치에 의해 연속적으로 촬상되어 상기 일련의 정지 화상으로서 얻어지도록 하는 모드이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의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의 취득은, 상기 소정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상기 외부 장치의 연속 촬상 동작을 종료시키는 상기 외부 장치로의 상기 소정의 동작 모드 종료 지시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을 취득하는 것인, 정보 처리 방법.
  18. 컴퓨터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외부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소정의 동작 모드에 따라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일련의 정지 화상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일련의 정지 화상의 각각에 대응하고 상기 정지 화상보다 데이터 용량이 작은 일련의 썸네일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의 전송을 받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 중 적어도 일부의 썸네일 화상의 지정을 받아, 상기 일련의 정지 화상 중 상기 일부의 썸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소정의 동작 모드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의 단일 지시에 의해 복수의 정지 화상이 상기 촬상부에 의해 연속적으로 촬상되어 상기 일련의 정지 화상으로서 취득되는 모드이고,
    상기 외부 장치로의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의 전송은, 상기 소정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상기 촬상부의 연속 촬상 동작을 종료시키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의 상기 소정의 동작 모드 종료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을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인,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9. 컴퓨터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외부 장치에의 소정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일련의 정지 화상의 촬상에 관한 지시에 대한 응답으로서, 촬상된 상기 일련의 정지 화상의 각각에 대응하고 상기 정지 화상보다 데이터 용량이 작은 썸네일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단계와,
    취득된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단계와,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 중 적어도 일부의 썸네일 화상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일련의 정지 화상 중 선택된 상기 썸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소정의 동작 모드는, 상기 외부 장치에 대한 단일 지시에 의해 복수의 정지 화상이 상기 외부 장치에 의해 연속적으로 촬상되어 상기 일련의 정지 화상으로서 얻어지도록 하는 모드이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의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의 취득은, 상기 소정의 동작 모드에 기초한 상기 외부 장치의 연속 촬상 동작을 종료시키는 상기 외부 장치로의 상기 소정의 동작 모드 종료 지시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일련의 썸네일 화상을 취득하는 것인,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77002634A 2014-08-12 2015-06-08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445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64155 2014-08-12
JPJP-P-2014-164155 2014-08-12
PCT/JP2015/066460 WO2016024432A1 (ja) 2014-08-12 2015-06-08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198A KR20170041198A (ko) 2017-04-14
KR102445859B1 true KR102445859B1 (ko) 2022-09-20

Family

ID=55304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634A KR102445859B1 (ko) 2014-08-12 2015-06-08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64446B2 (ko)
EP (1) EP3182693B1 (ko)
JP (1) JP6308299B2 (ko)
KR (1) KR102445859B1 (ko)
CN (1) CN106537895B (ko)
WO (1) WO20160244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82692B1 (en) * 2014-08-12 2023-12-20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6827860B2 (ja) * 2017-03-16 2021-02-1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7101525B2 (ja) * 2018-04-20 2022-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775550B2 (ja) * 2018-06-27 2020-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出力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10602412B (zh) * 2019-08-30 2022-04-29 北京迈格威科技有限公司 Ipc、图像处理设备、图像处理的***及方法
USD921669S1 (en) * 2019-09-09 2021-06-08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5702569A (zh) * 2020-06-10 2023-02-14 索尼集团公司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成像设备和图像转发***
WO2022034938A1 (ko) * 2020-08-11 2022-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22088193A (ja) * 2020-12-02 2022-06-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3726A (ja) * 1998-06-18 2000-01-14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
JP2000115669A (ja) * 1998-10-08 2000-04-21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4032636A (ja) * 2002-06-28 2004-01-29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送信機器並びに画像受信機器
JP2007150781A (ja) * 2005-11-29 2007-06-1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30141640A1 (en) * 2011-12-01 2013-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photograph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digital photograph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8833A (ja) * 2001-12-27 2003-07-11 Canon Inc 画像通信装置及び画像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画像通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携帯機器装置及び携帯機器装置の制御方法及び携帯機器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4312378A (ja) * 2003-04-07 2004-11-04 Minolta Co Ltd 撮影指示プログラム及び撮影システム
JP4374253B2 (ja) * 2004-01-26 2009-12-02 Hoya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の制御装置および遠隔制御システム
US9910341B2 (en) * 2005-01-31 2018-03-06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hared image device designation
JP2007129433A (ja) * 2005-11-02 2007-05-24 Fujifilm Corp デジタルカメラ
JP2007189503A (ja) * 2006-01-13 2007-07-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102847B2 (ja) 2006-06-30 2008-06-1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データ提供装置、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データ提供装置の制御方法、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0551104C (zh) * 2007-03-12 2009-10-14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IP传输的Iub接口业务传输方法及装置
JP4771986B2 (ja) * 2007-03-30 2011-09-14 三洋電機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4715865B2 (ja) * 2007-06-12 2011-07-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プログラム
JP5320696B2 (ja) 2007-07-20 2013-10-23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5084640B2 (ja) * 2008-06-30 2012-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受信装置、データ送信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18353B2 (ja) * 2009-09-14 2013-06-2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651971B (zh) * 2009-09-15 2012-05-09 新邮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下行切换方法及***
US8811948B2 (en) * 2010-07-09 2014-08-19 Microsoft Corporation Above-lock camera access
JP5652142B2 (ja) * 2010-11-11 2015-01-14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69930B1 (ko) * 2011-01-07 2019-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 수집 방법 및 그 장치
JP5076132B1 (ja) * 2011-05-25 2012-11-21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ホールディングス 描画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描画サーバ、及び描画システム
JP2013013063A (ja) * 2011-06-03 2013-01-17 Panasonic Corp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US20130026223A1 (en) * 2011-07-28 2013-01-31 Thomas Joseph Murray Selecting images using machine-readable codes
US8937667B2 (en) * 2011-10-27 2015-01-2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KR20130069041A (ko) * 2011-12-16 2013-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5957892B2 (ja) * 2012-01-13 2016-07-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JP6075821B2 (ja) * 2012-02-07 2017-02-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再生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43591B1 (ko) * 2012-09-03 2013-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6039328B2 (ja) * 2012-09-14 2016-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影制御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US20140152777A1 (en) * 2012-12-01 2014-06-05 Csr Techology Inc. Camera having additional functionality based on connectivity with a host device
JP2014120815A (ja) * 2012-12-13 2014-06-30 Canon Marketing Japan Inc 情報処理装置、撮像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ならびに記憶媒体
JP6143004B2 (ja) * 2013-10-30 2017-06-07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TWI518439B (zh) * 2014-01-02 2016-01-21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相機裝置
JP2015180043A (ja) * 2014-02-25 2015-10-0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383187B2 (ja) * 2014-06-12 2018-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66386B2 (ja) * 2014-06-30 2018-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撮像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3726A (ja) * 1998-06-18 2000-01-14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
JP2000115669A (ja) * 1998-10-08 2000-04-21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4032636A (ja) * 2002-06-28 2004-01-29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送信機器並びに画像受信機器
JP2007150781A (ja) * 2005-11-29 2007-06-1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30141640A1 (en) * 2011-12-01 2013-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photograph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digital photograph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24432A1 (ja) 2016-02-18
CN106537895A (zh) 2017-03-22
EP3182693A1 (en) 2017-06-21
JP6308299B2 (ja) 2018-04-11
EP3182693B1 (en) 2022-11-30
JPWO2016024432A1 (ja) 2017-06-15
US10764446B2 (en) 2020-09-01
EP3182693A4 (en) 2018-04-11
US20170272583A1 (en) 2017-09-21
KR20170041198A (ko) 2017-04-14
CN106537895B (zh) 202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5859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CN106537891B (zh) 信息处理设备、程序和信息处理方法
JP6039328B2 (ja) 撮影制御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22097567A (ja) 電子機器
US10218897B2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method to display a panoramic image
JP6173060B2 (ja) 撮影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US9641751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8377329B (zh) 摄像装置及其控制方法
US10686979B2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20190356792A1 (en)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6501832B2 (ja) 撮影機器、撮影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撮影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US10992869B2 (en) Image apparatus, object detec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14150508A (ja) 撮像装置
JP2011250046A (ja) 電子機器
JP6218911B2 (ja) 撮影制御装置および撮像制御装置の制御方法
JP6590605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撮像システム、携帯表示機器、撮像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携帯表示機器の制御方法、及びウエアラブル表示機器
JP6153339B2 (ja) 撮影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撮影機器
JP5731087B1 (ja) 画像処理装置、表示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182666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8050148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