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473B1 - 화재감시 및 진압을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재감시 및 진압을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473B1
KR102445473B1 KR1020220044946A KR20220044946A KR102445473B1 KR 102445473 B1 KR102445473 B1 KR 102445473B1 KR 1020220044946 A KR1020220044946 A KR 1020220044946A KR 20220044946 A KR20220044946 A KR 20220044946A KR 102445473 B1 KR102445473 B1 KR 102445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re
space
disposed
sprink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천화
Original Assignee
(주)지여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여이앤씨 filed Critical (주)지여이앤씨
Priority to KR1020220044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4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화재감시 및 진압을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은 폐쇄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되고, 화재의 발생 시 하강되면서 화재가 발생된 공간을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방화셔터 조립체, 건축물의 내벽면에 배치되고, 복수의 위치에서 건축물의 내벽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내부공간의 온도정보 및 영상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감지 유닛, 감지 유닛에 설치되고, 화재의 발생 시 경보음을 발산하도록 구성되는 경보유닛, 건축물에 설치되고, 방화셔터 조립체에 의해 폐쇄된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배기유닛, 내부공간의 상부에 배치되고, 방화셔터 조립체에 의해 폐쇄된 공간에 방화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클러 유닛 및 감지 유닛으로부터 온도정보 및 영상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온도정보 및 영상정보를 기설정된 임계정보와 비교하여 화재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며, 화재의 발생 시 방화셔터 조립체, 경보유닛, 배기유닛 및 스프링클러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재감시 및 진압을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본 발명은 화재감시 및 진압을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을 이용하여 폐쇄된 공간의 화재감시 및 진압을 수행할 수 있는 화재감시 및 진압을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조업이 이루어지는 공장은 여러 공정들을 수행하기 위해 다수의 구역들로 구획되고, 전체적으로 폐쇄된 구조를 가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공장에는 화재의 감지 및 경보를 위한 화재감지센서와, 경보기가 마련된다.
따라서,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화재감지센서에서 화재가 감지되면, 화재감지센서에 연결된 화재경보장치가 경보음을 발산하여 주변에 화재의 발생을 알리게 된다.
또한, 공장에는 화재가 발생되면 소방수를 분사하여 화재지점을 소화하는 스프링클러가 마련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화재감지센서와 경보기가 특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됨에 따라, 화재가 화재감지센서에서 상당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발생될 경우 화재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지 못하여 화재의 규모가 커지게 되고, 경보음이 발생되더라도 공장 내의 소음 때문에 경보기에서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위치한 작업자는 화재의 발생을 인지하기 어려워 신속한 대피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경보음을 통해 화재의 발생을 인지하기 때문에, 경보음이 울리더라도 정확한 화재지점을 확인하기 어려움은 물론, 스프링클러가 작동되기 전까지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고, 화재로 인한 연기 및 유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여 대피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스프링클러의 개별 제어가 불가능하여 화재가 발생될 경우 스프링클러가 전부 개방되고, 이로 인해 화재가 발생된 지점 이외의 공간에 소방수가 분사되어 습기에 취약한 제조 장비들에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7652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지점에서 주변환경을 실시간 감지하여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에서 주변환경정보를 이용하여 화재여부를 판단하며, 화재로 인식될 경우 화재가 발생된 지점을 부분적으로 폐쇄하면서 경보음을 울리고, 화재가 발생된 지점에 소방수를 분사하고 해당 지점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화재감시 및 진압을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시 및 진압을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은 폐쇄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되고, 화재의 발생 시 하강되면서 화재가 발생된 공간을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방화셔터 조립체; 상기 건축물의 내벽면에 배치되고,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건축물의 내벽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내부공간의 온도정보 및 영상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감지 유닛; 상기 감지 유닛에 설치되고, 화재의 발생 시 경보음을 발산하도록 구성되는 경보유닛; 상기 건축물에 설치되고, 상기 방화셔터 조립체에 의해 폐쇄된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배기유닛;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방화셔터 조립체에 의해 폐쇄된 공간에 방화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클러 유닛; 및 상기 감지 유닛으로부터 상기 온도정보 및 상기 영상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상기 온도정보 및 상기 영상정보를 기설정된 임계정보와 비교하여 화재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며, 화재의 발생 시 상기 방화셔터 조립체, 상기 경보유닛, 상기 배기유닛 및 상기 스프링클러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방화셔터 조립체는, 제1 횡 방화셔터; 상기 제1 횡 방화셔터에 대향 배치되는 제2 횡 방화셔터; 상기 제1 횡 방화셔터에 교차되어 상기 제1 횡 방화셔터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제1 종 방화셔터; 및 상기 제1 종 방화셔터에 대향 배치되는 제2 종 방화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제1 횡 방화셔터와 상기 제1 종 방화셔터에 의해 폐쇄되는 제1 공간; 상기 제1 종 방화셔터와 상기 제2 횡 방화셔터에 의해 폐쇄되는 제2 공간; 상기 제1 횡 방화셔터와 상기 제2 종 방화셔터에 의해 폐쇄되는 제3 공간; 및 상기 제2 종 방화셔터와 상기 제2 횡 방화셔터에 의해 폐쇄되는 제4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제1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공간의 온도정보 및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어서버에 실시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감지 유닛; 상기 제2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공간의 온도정보 및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어서버에 실시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감지 유닛; 상기 제3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공간의 온도정보 및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어서버에 실시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3 감지 유닛; 상기 제4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4 공간의 온도정보 및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어서버에 실시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4 감지 유닛; 및 상기 건축물의 일 측 내벽면 및 상기 건축물의 타 측 내벽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감지 유닛, 상기 제2 감지 유닛, 상기 제3 감지 유닛 및 상기 제4 감지 유닛을 각각 상기 건축물의 일 측 내벽면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이송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 유닛, 상기 제2 감지 유닛, 상기 제3 감지 유닛 및 상기 제4 감지 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블록; 상기 이송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각도 조절 유닛;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일면에 설치되고, 전방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서버에 온도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온도센서;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일면에 설치되고,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제어서버에 영상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이 지지되는 제1 플레이트부;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경보유닛이 설치되는 제2 플레이트부; 일부분은 상기 제2 플레이트부를 지지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이송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부; 및 상기 브라켓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각도 조절 유닛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브라켓부를 회전시키는 회전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 유닛은, 상기 회전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회전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각도 조절 모터; 및 상기 이송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각도 조절 모터를 지지 및 고정시키는 모터 고정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건축물의 일 측 내벽면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제1 서포트 유닛과 제2 서포트 유닛; 상기 제1 서포트 유닛과 상기 제2 서포트 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모터; 상기 제1 서포트 유닛과 상기 기어박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송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외면에 나사 결합된 상기 이송블록을 이송시키는 제1 스크류 샤프트; 상기 제1 서포트 유닛과 상기 기어박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면에 결합된 상기 이송블록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샤프트; 상기 제2 서포트 유닛과 상기 기어박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송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외면에 나사 결합된 상기 이송블록을 이송시키는 제2 스크류 샤프트; 및 상기 제2 서포트 유닛과 상기 기어박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면에 결합된 상기 이송블록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보유닛은,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외면에 밀착되고, 전원이 공급되면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제2 플레이트부를 매개로 상기 경보음을 방출하는 익사이터;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부에 의해 진동되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전방으로 상기 경보음을 확산시키는 확산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유닛은, 상기 제1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제1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배기유닛; 상기 제2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제2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제2 배기유닛; 상기 제3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제3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제3 배기유닛; 및 상기 제4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제4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제4 배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유닛은, 내부에 공기가 배출되는 제1 유로를 포함하는 제1 배기관; 상기 제1 배기관이 내부에 수용되고, 공기가 배출되는 제2 유로를 포함하는 제2 배기관; 상기 제1 배기관과 상기 제2 배기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유로로 유동되는 공기를 나선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나선핀; 회전력을 발생시켜 외부의 공기를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로 유입시키는 배기팬; 및 상기 배기팬과 상기 제2 배기관을 연결하고, 공기가 유동되는 방향을 따라 내경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배기관은,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배기관의 내부에 복수로 형성되고, 공기가 유동되는 방향을 따라 내경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제3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은,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관에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배기팬의 구동 시 상기 연결관의 외부공기를 상기 연결관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복수의 유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클러 유닛은, 상기 제1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스프링클러 라인; 상기 제2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스프링클러 라인; 상기 제3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3 스프링클러 라인; 상기 제4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4 스프링클러 라인; 상기 제어서버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제1 스프링클러 라인 및 상기 제2 스프링클러 라인에 상기 방화수를 공급하는 제1 공급라인;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제3 스프링클러 라인 및 상기 제4 스프링클러 라인에 상기 방화수를 공급하는 제2 공급라인; 상기 제1 스프링클러 라인과 상기 제1 공급라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서버에 의해 개폐되는 제1 제어밸브; 상기 제2 스프링클러 라인과 상기 제2 공급라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서버에 의해 개폐되는 제2 제어밸브; 상기 제3 스프링클러 라인과 상기 제1 공급라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서버에 의해 개폐되는 제3 제어밸브; 및 상기 제4 스프링클러 라인과 상기 제2 공급라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서버에 의해 개폐되는 제4 제어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클러 유닛은, 상기 제1 스프링클러 라인, 상기 제2 스프링클러 라인, 상기 제3 스프링클러 라인 및 상기 제4 스프링클러 라인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방화수의 수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수격 완화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격 완화 유닛은, 상기 방화수가 유출입되는 유출입부와, 일부분은 상기 유출입부와 연통되고, 다른 일부분은 완충유체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실린더 바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방화수가 상기 수용부로 유입되면 상기 방화수에 가압되어 이동되면서 상기 완충유체를 가압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1 지지부재가 수용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이동 시 상기 제1 지지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 지지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실린더 바디와 상기 가이드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방화수가 상기 수용부로 유입되면 상기 제1 지지부재에 가압되어 상기 실린더 바디와 상기 가이드관 사이로 유입되는 상기 완충유체에 가압되어 이동되는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실린더 바디와 상기 가이드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 유닛이 폐쇄된 건축물의 내부공간을 이동하면서 서로 다른 공간의 온도정보 및 영상정보를 실시간 획득하고, 제어서버가 온도정보 및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화재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므로, 정확한 화재의 감시가 가능하고, 신속히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또한, 경보유닛이 감지 유닛에 의해 이동되면서 복수의 위치에서 경보음을 발산하므로, 공간 내에 위치한 모든 사람들이 신속히 위험 상황을 인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신속한 대피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온도정보뿐만 아니라,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화재여부를 판단하므로, 정확한 화재지점의 확인이 가능하고, 화재의 발생 시 방화셔터 조립체가 화재가 발생된 공간을 부분적으로 폐쇄하므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기유닛이 화재가 발생된 공간의 공기 및 유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므로, 대피 시 시야 확보가 가능하고, 대피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화재의 발생 시 스프링클러 유닛이 방화셔터 조립체에 의해 폐쇄된 공간에만 방화수를 분사하므로, 정확한 화재의 진압이 가능하고, 방화수가 타 장비에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 시에도 타 장비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시 및 진압을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 유닛 및 경보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플레이트와 각도 조절 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격 완화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시 및 진압을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시 및 진압을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1000)(이하 '화재감시 및 진압을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1000)'이라 함)은 방화셔터 조립체(1), 감지 유닛(2), 경보유닛(3), 배기유닛(4), 스프링클러 유닛(5) 및 제어서버(6)를 포함한다.
방화셔터 조립체(1)는 폐쇄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건축물(S)의 천장에 설치되고, 화재의 발생 시 하강되면서 화재가 발생된 공간을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방화셔터 조립체(1)는 화재의 발생 시 건축물(S)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방화셔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화셔터 조립체(1)는 복수의 횡 방향셔터와, 복수의 종 방화셔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화셔터 조립체(1)는 제1 횡 방화셔터(11)와, 제1 횡 방화셔터(11)에 대향 배치되는 제2 횡 방화셔터(12)와, 제1 횡 방화셔터(11)에 교차되어 제1 횡 방화셔터(11)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제1 종 방화셔터(13)와, 제1 종 방화셔터(13)에 대향 배치되는 제2 종 방화셔터(1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방화셔터 조립체(1)는 격자구조로 배치된 복수의 방화셔터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화재의 발생 시 건축물(S)의 내부공간을 적어도 네 개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재의 발생 시 건축물(S)의 내부공간은 제1 횡 방화셔터(11)와 제1 종 방화셔터(13)에 의해 폐쇄되는 제1 공간(S1), 제1 종 방화셔터(13)와 제2 횡 방화셔터(12)에 의해 폐쇄되는 제2 공간(S2), 제1 횡 방화셔터(11)와 제2 종 방화셔터(14)에 의해 폐쇄되는 제3 공간(S3) 및 제2 종 방화셔터(14)와 제2 횡 방화셔터(12)에 의해 폐쇄되는 제4 공간(S4)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횡 방화셔터(11), 제2 횡 방화셔터(12), 제1 종 방화셔터(13) 및 제2 종 방화셔터(14)는 각각 제어서버(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서버(6)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일예로, 제2 공간(S2)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제어서버(6)에서 제1 종 방화셔터(13)와 제2 횡 방화셔터(12)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2 공간(S2)을 폐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횡 방화셔터(11), 제2 횡 방화셔터(12), 제1 종 방화셔터(13) 및 제2 종 방화셔터(14)는 통상의 방화셔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제1 횡 방화셔터(11), 제2 횡 방화셔터(12), 제1 종 방화셔터(13) 및 제2 종 방화셔터(14)에는 각각 화재 시 대피를 위한 방화도어가 마련될 수 있다.
감지 유닛(2)은 건축물(S)의 내벽면에 배치되고, 복수의 위치에서 건축물(S)의 내벽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건축물(S)의 내부공간의 온도정보 및 영상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감지 유닛(2)은 건축물(S)의 내벽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1 공간(S1), 제2 공간(S2), 제3 공간(S3) 및 제4 공간(S4)의 온도정보와 영상정보를 각각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감지 유닛(2)은 제1 감지 유닛(21A)과, 제2 감지 유닛(21B)과, 제3 감지 유닛(21C)과, 제4 감지 유닛(21D)과, 이송유닛(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유닛(21A)은 제1 공간(S1)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제1 공간(S1)의 온도정보 및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제어서버(6)에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제2 감지 유닛(21B)은 제2 공간(S2)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제2 공간(S2)의 온도정보 및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제어서버(6)에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제3 감지 유닛(21C)은 제3 공간(S3)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제3 공간(S3)의 온도정보 및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제어서버(6)에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제4 감지 유닛(21D)은 제4 공간(S4)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제4 공간(S4)의 온도정보 및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제어서버(6)에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 유닛 및 경보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감지 유닛(21A), 제2 감지 유닛(21B), 제3 감지 유닛(21C) 및 제4 감지 유닛(21D)은, 각각, 이송블록(211)과, 회전 플레이트(212)와, 각도 조절 유닛(213)과, 온도센서(214)와, 카메라 모듈(2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블록(211)은 이송유닛(22)에 결합되어 이송유닛(22)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212)는 이송블록(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플레이트와 각도 조절 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회전 플레이트(212)는 온도센서(214) 및 카메라 모듈(215)이 지지되는 제1 플레이트부(212A)와, 제1 플레이트부(212A)의 내부에 수용되고, 경보유닛(3)이 설치되는 제2 플레이트부(212B)와, 일부분은 제2 플레이트부(212B)를 지지하고, 다른 일부분은 이송블록(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부(212C)와, 브라켓부(212C)의 하측에 배치되고, 각도 조절 유닛(213)에 의해 회전되면서 브라켓부(212C)를 회전시키는 회전기어(212D)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조절 유닛(213)은 회전 플레이트(212)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도 조절 유닛(213)은, 회전기어(212D)에 치합되고, 회전기어(212D)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213A)와, 구동기어(213A)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각도 조절 모터(213B)와, 이송블록(211)에 결합되어 각도 조절 모터(213B)를 지지 및 고정시키는 모터 고정 브라켓(213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온도센서(214)는 회전 플레이트(212)의 일면에 설치되고, 전방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서버(6)에 온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15)은 회전 플레이트(212)의 일면에 설치되고,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여 제어서버(6)에 영상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제어서버(6)는 감지 유닛(2)에서 전송된 각 공간의 온도정보와 영상정보를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여 화재의 발생여부를 실시간 판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송유닛(22)은 건축물(S)의 일 측 내벽면 및 건축물(S)의 타 측 내벽면에 각각 설치되고, 제1 감지 유닛(21A), 제2 감지 유닛(21B), 제3 감지 유닛(21C) 및 제4 감지 유닛(21D)을 각각 건축물(S)의 내벽면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송유닛(22)은 건축물(S)의 일 측 내벽면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제1 서포트 유닛(221)과 제2 서포트 유닛(222), 제1 서포트 유닛(221)과 제2 서포트 유닛(222) 사이에 배치되는 기어박스(223) 및 기어박스(2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모터(2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송유닛(22)은 제1 스크류 샤프트(225), 제1 가이드 샤프트(226), 제2 스크류 샤프트(227) 및 제2 가이드 샤프트(2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크류 샤프트(225)는 제1 서포트 유닛(221)과 기어박스(2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이송모터(224)에 의해 회전되면서 외면에 나사 결합된 이송블록(211)을 이송시킬 수 있다.
제1 가이드 샤프트(226)는 제1 서포트 유닛(221)과 기어박스(2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면에 결합된 이송블록(211)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스크류 샤프트(227)는 제2 서포트 유닛(222)과 기어박스(2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이송모터(224)에 의해 회전되면서 외면에 나사 결합된 이송블록(211)을 이송시킬 수 있다.
제2 가이드 샤프트(228)는 제2 서포트 유닛(222)과 기어박스(2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면에 결합된 이송블록(211)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경보유닛(3)은 감지 유닛(2)에 설치되고, 화재의 발생 시 경보음을 발산한다.
경보유닛(3)은 익사이터(31) 및 확산망(32)을 포함할 수 있다.
익사이터(31)는 제2 플레이트부(212B)의 외면에 밀착되고, 제어서버(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서버(6)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진동을 발생시켜 제2 플레이트부(212B)를 매개로 경보음을 방출할 수 있다.
확산망(32)은 제2 플레이트부(212B)의 내부에 수용되어 익사이터(31)와 연결되고, 익사이터(31)의 구동 시 제2 플레이트부(212B)에 의해 진동되면서 제2 플레이트부(212B)의 전방으로 경보음을 확산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배기유닛(4)은 건축물(S)에 복수로 설치되고, 방화셔터 조립체(1)에 의해 폐쇄된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배기유닛(4)은, 제1 공간(S1)과 연통되어 제1 공간(S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배기유닛(4A)과, 제2 공간(S2)과 연통되어 제2 공간(S2)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제2 배기유닛(4B)과, 제3 공간(S3)과 연통되어 제3 공간(S3)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제3 배기유닛(4C)과, 제4 공간(S4)과 연통되어 제4 공간(S4)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제4 배기유닛(4D)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배기유닛(4A), 제2 배기유닛(4B), 제3 배기유닛(4C) 및 제4 배기유닛(4D)은 각각, 제1 배기관(41), 제2 배기관(42), 나선핀(43), 배기팬(44) 및 연결관(4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기관(41)은 내부에 공기가 배출되는 제1 유로(4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기관(42)은 제1 배기관(41)이 내부에 수용되고, 공기가 배출되는 제2 유로(4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배기관(42)은 원주방향을 따라 제2 배기관(42)의 내부에 복수로 형성되고, 공기가 유동되는 방향을 따라 내경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제3 유로(4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선핀(43)은 제1 배기관(41)과 제2 배기관(42)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유로(421)로 유동되는 공기를 나선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배기팬(44)은 제어서버(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서버(6)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회전력을 발생시켜 외부의 공기를 제1 유로(411)와 제2 유로(421)로 유입시킬 수 있다.
연결관(45)은 배기팬(44)과 제2 배기관(42)을 연결하고, 공기가 유동되는 방향을 따라 내경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결관(45)은 원주방향을 따라 연결관(45)에 복수로 형성되고, 배기팬(44)의 구동 시 연결관(45)의 외부공기를 연결관(45)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복수의 유입홀(45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프링클러 유닛(5)은 건축물(S)의 내부공간의 상부에 배치되고, 방화셔터 조립체(1)에 의해 폐쇄된 공간에 방화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스프링클러 유닛(5)은 제1 공간(S1)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스프링클러 라인(5A), 제2 공간(S2)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스프링클러 라인(5B), 제3 공간(S3)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3 스프링클러 라인(5C), 제4 공간(S4)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4 스프링클러 라인(5D) 및 제어서버(6)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5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클러 유닛(5)은 펌프(5E)에 연결되어 제1 스프링클러 라인(5A) 및 제2 스프링클러 라인(5B)에 방화수를 공급하는 제1 공급라인(5F) 및 펌프(5E)에 연결되어 제3 스프링클러 라인(5C) 및 제4 스프링클러 라인(5D)에 방화수를 공급하는 제2 공급라인(5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클러 유닛(5)은 제1 스프링클러 라인(5A)과 제1 공급라인(5F) 사이에 배치되고, 제어서버(6)에 의해 개폐되는 제1 제어밸브(5H), 제2 스프링클러 라인(5B)과 제2 공급라인(5G) 사이에 배치되고, 제어서버(6)에 의해 개폐되는 제2 제어밸브(5I), 제3 스프링클러 라인(5C)과 제1 공급라인(5F) 사이에 배치되고, 제어서버(6)에 의해 개폐되는 제3 제어밸브(5J) 및 제4 스프링클러 라인(5D)과 제2 공급라인(5G) 사이에 배치되고, 제어서버(6)에 의해 개폐되는 제4 제어밸브(5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클러 유닛(5)은 수격 완화 유닛(5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격 완화 유닛(5L)은 제1 스프링클러 라인(5A), 제2 스프링클러 라인(5B), 제3 스프링클러 라인(5C) 및 제4 스프링클러 라인(5D)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밸브의 개방 시 개방된 라인으로 유입되는 방화수의 수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격 완화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수격 완화 유닛(5L)은 실린더 바디(L1), 제1 지지부재(L2), 가이드관(L3), 제1 탄성부재(L4), 제2 지지부재(L5) 및 제2 탄성부재(L6)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 바디(L1)는 방화수가 유출입되는 유출입부(L11)와, 일부분은 유출입부(L11)와 연통되고, 다른 일부분은 완충유체(L13)가 수용되는 수용부(L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L2)는 수용부(L12)에 수용되고, 방화수가 수용부(L12)로 유입되면 방화수에 가압되어 이동되면서 완충유체(L13)를 가압할 수 있다.
가이드관(L3)은 수용부(L12)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1 지지부재(L2)가 수용되며, 제1 지지부재(L2)의 이동 시 제1 지지부재(L2)를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L4)는 수용부(L12)에 수용되고, 제1 지지부재(L2)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L5)는 실린더 바디(L1)와 가이드관(L3) 사이에 배치되고, 방화수가 수용부(L12)로 유입되면 제1 지지부재(L2)에 가압되어 실린더 바디(L1)와 가이드관(L3) 사이로 유입되는 완충유체(L13)에 가압되어 이동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L6)는 실린더 바디(L1)와 가이드관(L3)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지지부재(L5)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서버(6)는 감지 유닛(2)으로부터 온도정보 및 영상정보를 실시간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서버(6)는 온도정보 및 영상정보를 기설정된 임계정보와 비교하여 화재의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화재의 발생 시 방화셔터 조립체(1), 경보유닛(3), 배기유닛(4) 및 스프링클러 유닛(5)을 제어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 유닛(2)이 폐쇄된 건축물(S)의 내부공간을 이동하면서 서로 다른 공간의 온도정보 및 영상정보를 실시간 획득하고, 제어서버(6)가 온도정보 및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화재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므로, 정확한 화재의 감시가 가능하고, 신속히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또한, 경보유닛(3)이 감지 유닛(2)에 의해 이동되면서 복수의 위치에서 경보음을 발산하므로, 공간 내에 위치한 모든 사람들이 신속히 위험 상황을 인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신속한 대피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온도정보뿐만 아니라,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화재여부를 판단하므로, 정확한 화재지점의 확인이 가능하고, 화재의 발생 시 방화셔터 조립체(1)가 화재가 발생된 공간을 부분적으로 폐쇄하므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기유닛(4)이 화재가 발생된 공간의 공기 및 유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므로, 대피 시 시야 확보가 가능하고, 대피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화재의 발생 시 스프링클러 유닛(5)이 방화셔터 조립체(1)에 의해 폐쇄된 공간에만 방화수를 분사하므로, 정확한 화재의 진압이 가능하고, 방화수가 타 장비에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 시에도 타 장비를 보호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0. 정보통신 시스템
1. 방화셔터 조립체
11. 제1 횡 방화셔터
12. 제2 횡 방화셔터
13. 제1 종 방화셔터
14. 제2 종 방화셔터
2. 감지 유닛
21A. 제1 감지 유닛
21B. 제2 감지 유닛
21C. 제3 감지 유닛
21D. 제4 감지 유닛
211. 이송블록
212. 회전 플레이트
212A. 제1 플레이트부
212B. 제2 플레이트부
212C. 브라켓부
212D. 회전기어
213. 각도 조절 유닛
213A. 구동기어
213B. 각도 조절 모터
213C. 모터 고정 브라켓
214. 온도센서
215. 카메라 모듈
22. 이송유닛
221. 제1 서포트 유닛
222. 제2 서포트 유닛
223. 기어박스
224. 이송모터
225. 제1 스크류 샤프트
226. 제1 가이드 샤프트
227. 제2 스크류 샤프트
228. 제2 가이드 샤프트
3. 경보유닛
31. 익사이터
32. 확산망
4. 배기유닛
4A. 제1 배기유닛
4B. 제2 배기유닛
4C. 제3 배기유닛
4D. 제4 배기유닛
41. 제1 배기관
411. 제1 유로
42. 제2 배기관
421. 제2 유로
422. 제3 유로
43. 나선핀
44. 배기팬
45. 연결관
451. 유입홀
5. 스프링클러 유닛
5A. 제1 스프링클러 라인
5B. 제2 스프링클러 라인
5C. 제3 스프링클러 라인
5D. 제4 스프링클러 라인
5E. 펌프
5F. 제1 공급라인
5G. 제2 공급라인
5H. 제1 제어밸브
5I. 제2 제어밸브
5J. 제3 제어밸브
5K. 제4 제어밸브
5L. 수격 완화 유닛
L1. 실린더 바디
L11. 유출입부
L12. 수용부
L13. 완충유체
L2. 제1 지지부재
L3. 가이드관
L4. 제1 탄성부재
L5. 제2 지지부재
L6. 제2 탄성부재
6. 제어서버
S. 건축물
S1. 제1 공간
S2. 제2 공간
S3. 제3 공간
S4. 제4 공간

Claims (14)

  1. 폐쇄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되고, 화재의 발생 시 하강되면서 화재가 발생된 공간을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방화셔터 조립체;
    상기 건축물의 내벽면에 배치되고,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건축물의 내벽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내부공간의 온도정보 및 영상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감지 유닛;
    상기 감지 유닛에 설치되고, 화재의 발생 시 경보음을 발산하도록 구성되는 경보유닛;
    상기 건축물에 설치되고, 상기 방화셔터 조립체에 의해 폐쇄된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배기유닛;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방화셔터 조립체에 의해 폐쇄된 공간에 방화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클러 유닛; 및
    상기 감지 유닛으로부터 상기 온도정보 및 상기 영상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상기 온도정보 및 상기 영상정보를 기설정된 임계정보와 비교하여 화재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며, 화재의 발생 시 상기 방화셔터 조립체, 상기 경보유닛, 상기 배기유닛 및 상기 스프링클러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방화셔터 조립체는,
    제1 횡 방화셔터;
    상기 제1 횡 방화셔터에 대향 배치되는 제2 횡 방화셔터;
    상기 제1 횡 방화셔터에 교차되어 상기 제1 횡 방화셔터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제1 종 방화셔터; 및
    상기 제1 종 방화셔터에 대향 배치되는 제2 종 방화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제1 횡 방화셔터와 상기 제1 종 방화셔터에 의해 폐쇄되는 제1 공간;
    상기 제1 종 방화셔터와 상기 제2 횡 방화셔터에 의해 폐쇄되는 제2 공간;
    상기 제1 횡 방화셔터와 상기 제2 종 방화셔터에 의해 폐쇄되는 제3 공간; 및
    상기 제2 종 방화셔터와 상기 제2 횡 방화셔터에 의해 폐쇄되는 제4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제1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공간의 온도정보 및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어서버에 실시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감지 유닛;
    상기 제2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공간의 온도정보 및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어서버에 실시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감지 유닛;
    상기 제3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공간의 온도정보 및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어서버에 실시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3 감지 유닛;
    상기 제4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4 공간의 온도정보 및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어서버에 실시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4 감지 유닛; 및
    상기 건축물의 일 측 내벽면 및 상기 건축물의 타 측 내벽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감지 유닛, 상기 제2 감지 유닛, 상기 제3 감지 유닛 및 상기 제4 감지 유닛을 각각 상기 건축물의 내벽면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이송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지 유닛, 상기 제2 감지 유닛, 상기 제3 감지 유닛 및 상기 제4 감지 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블록;
    상기 이송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각도 조절 유닛;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일면에 설치되고, 전방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서버에 온도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온도센서;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일면에 설치되고,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제어서버에 영상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건축물의 일 측 내벽면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제1 서포트 유닛과 제2 서포트 유닛;
    상기 제1 서포트 유닛과 상기 제2 서포트 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모터;
    상기 제1 서포트 유닛과 상기 기어박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송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외면에 나사 결합된 상기 이송블록을 이송시키는 제1 스크류 샤프트;
    상기 제1 서포트 유닛과 상기 기어박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면에 결합된 상기 이송블록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샤프트;
    상기 제2 서포트 유닛과 상기 기어박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송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외면에 나사 결합된 상기 이송블록을 이송시키는 제2 스크류 샤프트; 및
    상기 제2 서포트 유닛과 상기 기어박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면에 결합된 상기 이송블록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샤프트;를 포함하는, 화재감시 및 진압을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이 지지되는 제1 플레이트부;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경보유닛이 설치되는 제2 플레이트부;
    일부분은 상기 제2 플레이트부를 지지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이송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부; 및
    상기 브라켓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각도 조절 유닛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브라켓부를 회전시키는 회전기어;를 포함하는, 화재감시 및 진압을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 유닛은,
    상기 회전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회전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각도 조절 모터; 및
    상기 이송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각도 조절 모터를 지지 및 고정시키는 모터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화재감시 및 진압을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유닛은,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외면에 밀착되고, 전원이 공급되면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제2 플레이트부를 매개로 상기 경보음을 방출하는 익사이터;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부에 의해 진동되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전방으로 상기 경보음을 확산시키는 확산망;을 포함하는, 화재감시 및 진압을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닛은,
    상기 제1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제1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배기유닛;
    상기 제2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제2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제2 배기유닛;
    상기 제3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제3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제3 배기유닛; 및
    상기 제4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제4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제4 배기유닛;을 포함하는, 화재감시 및 진압을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닛은,
    내부에 공기가 배출되는 제1 유로를 포함하는 제1 배기관;
    상기 제1 배기관이 내부에 수용되고, 공기가 배출되는 제2 유로를 포함하는 제2 배기관;
    상기 제1 배기관과 상기 제2 배기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유로로 유동되는 공기를 나선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나선핀;
    회전력을 발생시켜 외부의 공기를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로 유입시키는 배기팬; 및
    상기 배기팬과 상기 제2 배기관을 연결하고, 공기가 유동되는 방향을 따라 내경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화재감시 및 진압을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기관은,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배기관의 내부에 복수로 형성되고, 공기가 유동되는 방향을 따라 내경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제3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은,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관에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배기팬의 구동 시 상기 연결관의 외부공기를 상기 연결관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복수의 유입홀;을 포함하는, 화재감시 및 진압을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클러 유닛은,
    상기 제1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스프링클러 라인;
    상기 제2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스프링클러 라인;
    상기 제3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3 스프링클러 라인;
    상기 제4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4 스프링클러 라인;
    상기 제어서버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제1 스프링클러 라인 및 상기 제2 스프링클러 라인에 상기 방화수를 공급하는 제1 공급라인;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제3 스프링클러 라인 및 상기 제4 스프링클러 라인에 상기 방화수를 공급하는 제2 공급라인;
    상기 제1 스프링클러 라인과 상기 제1 공급라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서버에 의해 개폐되는 제1 제어밸브;
    상기 제2 스프링클러 라인과 상기 제2 공급라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서버에 의해 개폐되는 제2 제어밸브;
    상기 제3 스프링클러 라인과 상기 제1 공급라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서버에 의해 개폐되는 제3 제어밸브; 및
    상기 제4 스프링클러 라인과 상기 제2 공급라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서버에 의해 개폐되는 제4 제어밸브;를 포함하는, 화재감시 및 진압을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클러 유닛은,
    상기 제1 스프링클러 라인, 상기 제2 스프링클러 라인, 상기 제3 스프링클러 라인 및 상기 제4 스프링클러 라인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방화수의 수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수격 완화 유닛;을 더 포함하는, 화재감시 및 진압을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격 완화 유닛은,
    상기 방화수가 유출입되는 유출입부와, 일부분은 상기 유출입부와 연통되고, 다른 일부분은 완충유체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실린더 바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방화수가 상기 수용부로 유입되면 상기 방화수에 가압되어 이동되면서 상기 완충유체를 가압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1 지지부재가 수용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이동 시 상기 제1 지지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 지지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실린더 바디와 상기 가이드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방화수가 상기 수용부로 유입되면 상기 제1 지지부재에 가압되어 상기 실린더 바디와 상기 가이드관 사이로 유입되는 상기 완충유체에 가압되어 이동되는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실린더 바디와 상기 가이드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화재감시 및 진압을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
KR1020220044946A 2022-04-12 2022-04-12 화재감시 및 진압을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 KR102445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946A KR102445473B1 (ko) 2022-04-12 2022-04-12 화재감시 및 진압을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946A KR102445473B1 (ko) 2022-04-12 2022-04-12 화재감시 및 진압을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473B1 true KR102445473B1 (ko) 2022-09-21

Family

ID=83452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946A KR102445473B1 (ko) 2022-04-12 2022-04-12 화재감시 및 진압을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4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95970A (zh) * 2022-10-20 2023-02-03 中国通信建设集团设计院有限公司 一种建筑智能化安防监控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522B1 (ko) 2018-07-06 2019-05-10 황성근 고장없이 항시 작동가능한 수도배관연결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
KR102142440B1 (ko) * 2019-11-29 2020-08-07 최재원 화재진압장치
KR20200098317A (ko) * 2019-02-12 2020-08-20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실내용 화재감지 시스템
JP2021188322A (ja) * 2020-05-28 2021-12-13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防災設備制御システム
KR102363658B1 (ko) * 2019-12-11 2022-02-15 김진영 화재진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진압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522B1 (ko) 2018-07-06 2019-05-10 황성근 고장없이 항시 작동가능한 수도배관연결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
KR20200098317A (ko) * 2019-02-12 2020-08-20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실내용 화재감지 시스템
KR102142440B1 (ko) * 2019-11-29 2020-08-07 최재원 화재진압장치
KR102363658B1 (ko) * 2019-12-11 2022-02-15 김진영 화재진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진압방법
JP2021188322A (ja) * 2020-05-28 2021-12-13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防災設備制御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95970A (zh) * 2022-10-20 2023-02-03 中国通信建设集团设计院有限公司 一种建筑智能化安防监控装置
CN115695970B (zh) * 2022-10-20 2023-10-31 中国通信建设集团设计院有限公司 一种建筑智能化安防监控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6206B1 (ko) 화재 탐지와 국소화 방법 및 장치
RU2319530C2 (ru) Роботизированный пожарный комплекс
EP3215237B1 (en) Wall-mountable spray head unit
KR101863516B1 (ko) 화재감지 및 소화시스템
CA2428750C (en) Fire protection valve trim assembly system
KR102445473B1 (ko) 화재감시 및 진압을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
KR101682902B1 (ko) 분사 각도 조절 및 이동이 가능한 스프링클러 설비
KR101628027B1 (ko) 소화 및 방화에 사용하는 회전형 노즐을 이용한 워터셔터장치
KR101681515B1 (ko) 소화설비를 구비한 건물 내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US20210299498A1 (en) A Fire Fighting System for Extinguishing a Fire in a Room of a Building, A Method Thereof and Use of an Array Sensor Therein
KR101700142B1 (ko) 건축공간 제연 기능을 갖는 소방방재 장치
CN114555192A (zh) 可安装在墙壁的喷头单元
KR102306801B1 (ko) 벽면 패널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1532953B1 (ko) 방화 영역별 스프링 클러 모니터링 장치
WO20200210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re fighting in a room, in particular in a residential room
KR101785392B1 (ko) 제연기를 구비한 건물 소방방재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건물 소방방재 방법
KR20080001532U (ko) 알람밸브 작동 시험용 테스트 밸브
CN112843561B (zh) 消防设备、压裂***及压裂***的控制方法
KR101712355B1 (ko) 특정 공간형 화재 조기 진압장치
CN214912925U (zh) 消防设备及压裂***
KR101710948B1 (ko) 건물 내부 특정 공간의 화재 진압 장치
KR20120004022U (ko) 화재초기 진압장치
KR101659431B1 (ko) 가스누출에 의한 주택의 화재폭발 예방장치 및 그 방법
RU2677622C1 (ru) Роботизированный пожарный комплекс на базе пожарных мини-роботов-оросителей с системой удаленного доступа
JP2001000574A (ja)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