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209B1 - Beverage maker - Google Patents

Beverage m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209B1
KR102445209B1 KR1020200077436A KR20200077436A KR102445209B1 KR 102445209 B1 KR102445209 B1 KR 102445209B1 KR 1020200077436 A KR1020200077436 A KR 1020200077436A KR 20200077436 A KR20200077436 A KR 20200077436A KR 102445209 B1 KR102445209 B1 KR 102445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amount
fermenter
water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4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58716A (en
Inventor
유준석
박범철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7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209B1/en
Publication of KR20210158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87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2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3/00Brew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C12C1/00 - C12C12/04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47J31/5251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of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47J31/5253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of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12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 B67D1/0425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comprising an air pump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1/00Fermentation processes for beer
    • C12C11/003Fermentation of beerwort
    • C12C11/006Fermentation tank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5Constructional details
    • B67D2001/0096Means for pressurizing liquid
    • B67D2001/0098Means for pressurizing liquid using a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9Temperature control

Abstract

본 개시의 발효조, 발효조 내부의 공간에 수용된 음료 제조팩, 음료 제조팩과 연통되는 음료 취출유로, 음료 취출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발효조에서 취출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감지센서, 음료 취출 시, 상기 유량감지센서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발효조 온도 또는 발효조와 상기 음료 제조팩 사이 공간의 압력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를 제공한다.The fermenter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accommodated in the space inside the fermenter, the beverage extrac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a flow rate sensor installed in the beverage extraction passage and measuring the flow rate taken out from the fermenter, the flow rate when the beverage is taken out It provides a beverage maker comprising a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fermenter temperature or the pressure of the space between the fermenter and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based on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or.

Description

음료 제조기{BEVERAGE MAKER}Beverage maker {BEVERAGE MAKER}

본 개시는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 보관 또는 취출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음료 제조기 및 그 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beverage m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maker that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storage or extraction of a beverag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음료는 술이나 차 등의 음용 가능한 액체를 총칭한다. 예컨대, 음료는 갈증을 해결하기 위한 물(음료수), 독특한 향과 맛을 갖는 과즙음료, 청량감을 주는 청량음료, 각성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호음료, 또는 알코올 효과가 있는 알코올 음료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Beverage is a generic term for drinkable liquids such as alcohol or tea. For example, beverages are divided into various categories such as water (drinks) to quench thirst, juice drinks with a unique flavor and taste, soft drinks that give a refreshing feeling, preference drinks that can be expected to have arousal effect, or alcoholic drinks with alcohol effects can be

이러한 음료의 대표적인 예로서 음료가 있다. 음료는 보리를 싹틔워 만든 맥아(麥芽. 엿기름)로 즙을 만들어 여과한 후, 홉(hop)을 첨가하고 효모로 발효시켜 만든 술이다.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 홉(hop), 이스트, 향 첨가제 등 일 수 있다. 이스트는 효모라 불릴 수 있고, 맥아에 첨가되어 맥아를 발효시킬 수 있고 알코올과 탄산을 생성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향 첨가제는 과일이나 시럽, vanilla beans와 같이 음료의 맛을 높이는 첨가물이다.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uch a beverage is a beverage. Beverage is an alcoholic beverage made from malt made by sprouting barley, filtered, and fermented with yeast after adding hops. The material for preparing the beverage may be water, malt, hops, yeast, flavor additives, and the like. Yeast can be called yeast and can be added to the malt to ferment the malt and help produce alcohol and carbonic acid. Flavor additives are additives that enhance the flavor of beverages, such as fruit, syrup, or vanilla beans.

통상적으로 하우스 음료는 맥즙생성단계, 발효단계, 숙성단계의 총 3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맥즙생성단계에서 숙성단계까지 2주에서 3주 정도 소요될 수 있다. Typically, a house beverage may include a total of three stages of a wort production step, a fermentation step, and a maturation step, and it may take 2 to 3 weeks from the wort production step to the aging step.

최근에는 상업용 음료 제조 시장이 커짐에 따라 술집이나 펍과 같은 장소에서 직접 음료를 제조하여 판매하는 일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발효조에 수용된 음료의 취출량에 기초한 음료 보관 방법 및 효율적인 음료 판매를 위한 제어 방법이 필요하였다.Recently, as the commercial beverage manufacturing market grows, it is frequently made to manufacture and sell beverages directly in places such as pubs or pubs. Accordingly, a beverage storage method and a control method for efficient beverage sales based on the extraction amount of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fermenter were required.

본 개시의 목적은 음료 취출량에 기초하여 발효조에 수용된 음료 보관 상태를 최적으로 유지하기 위함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optimally maintain the beverage storage state accommodated in the fermenter based on the beverage extraction amount.

본 개시의 목적은 음료 취출량에 기초하여 음료 취출속도를 조절하기 위함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adjust a beverage dispensing speed based on the beverage dispensing amount.

본 개시의 목적은 설정 시간동안 음료 취출량을 주기적으로 획득하여 음료 소진시기를 산출하기 위함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calculate a beverage exhaustion time by periodically acquiring a beverage extraction amount for a set time.

본 개시의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 발효조 내부의 공간에 수용된 음료 제조팩, 음료 제조팩과 연통되는 음료 취출유로, 음료 취출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발효조에서 취출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감지센서 및 음료 취출 시, 상기 유량감지센서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발효조 온도 또는 상기 발효조와 상기 음료 제조팩 사이 공간의 압력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beverage maker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installed in the fermenter,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accommodated in the space inside the fermenter, the beverage extraction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the beverage extraction flow path and a flow rate sensor for measuring the flow rate taken out from the fermenter and beverage extraction , It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pressure of the space between the fermenter temperature or the fermenter and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based on the sensing value of the flow rate sensor.

또한, 컨트롤러는 음료 취출 시, 상기 유량감지센서가 센싱한 누적취출값을 획득하고, 누적취출값과 상기 음료 제조팩 용량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잔여 음료 양을 획득하고, 상기 잔여 음료 양에 기초하여 상기 발효조의 온도 또는 상기 발효조와 상기 음료 제조팩 사이 공간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acquires the cumulative extraction value sensed by the flow rate sensor when taking out the beverage, and acquires the remaining beverage amount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mulative extraction value and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capacity, and based on the remaining beverage amount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er or the pressure of the space between the fermenter and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또한, 컨트롤러는 잔여 음료 양이 작을수록 상기 발효조의 온도 또는 상기 발효조와 상기 음료 제조팩 사이 공간의 압력을 높게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set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er or the pressure of the space between the fermenter and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higher as the amount of the remaining beverage is smaller.

또한, 컨트롤러는 잔여 음료 양이 기 설정된 제1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음료 취출을 종료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mount of the remaining beverage is less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may end the beverage dispensing.

또한, 컨트롤러는 상기 유량감지센서가 센싱한 유량속도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유량속도 데이터가 기 설정된 제1 속도값 이상이면 음료 판매모드를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acquires the flow rate data sensed by the flow rate sensor, and when the flow rate dat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first speed value, the beverage sales mode may be implemented.

또한, 컨트롤러는 상기 음료 판매모드 시, 상기 발효조와 상기 음료 제조팩 사이 공간의 압력을 증가시켜 음료 취출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increase the beverage extraction speed by increasing the pressure in the space between the fermenter and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during the beverage sales mode.

또한, 컨트롤러는 상기 발효조에 잔존하는 음료 양이 기 설정된 제2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음료 판매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mount of the beverage remaining in the fermenter is less than a preset second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may end the beverage sales mode.

음료 제조기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음료 제조기는 적어도 하나의 발효조, 발효조와 연통되는 음료 취출유로, 음료 취출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발효조에서 취출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감지센서, 음료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유량감지센서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음료 관련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beverage maker, the beverage maker is installed in at least one fermenter, a beverage extrac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fermenter, and a beverage extraction passage, and a flow rate sensor for measuring the flow rate taken out from the fermenter, beverage-related information an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the beverage-related information to the display based on the sensing value of the display and the flow rate sensor.

또한, 컨트롤러는 상기 유량감지센서가 센싱한 누적취출값을 획득하고, 누적취출값과 상기 음료 제조팩 용량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잔여 음료 양을 획득하고, 상기 잔여 음료 양과 기 설정된 1회당 음료 취출량의 비율에 따라 가용 판매량을 획득하고, 상기 음료 관련 정보는 상기 가용 판매량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acquires the cumulative extraction value sensed by the flow rate sensor, acquires the remaining beverage amount based on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cumulative extraction value and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capacity, and obtains the remaining beverage amount and the preset beverage extraction per one time The available sales volume may be acquired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amount, and the beverage-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the available sales volume.

또한, 컨트롤러는, 상기 발효조에 수용된 음료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1회당 음료 취출량을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amount of beverage taken out per one time based on the type of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fermenter.

또한, 컨트롤러는 상기 유량감지센서가 설정 시간동안 센싱한 누적취출값인 제1 출수량을 획득하고, 기 설정된 주기 이후, 상기 유량감지센서가 상기 설정 시간동안 센싱한 누적취출값인 제2 출수량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출수량과 상기 제2 출수량의 평균에 기초하여 음료 소진시기를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acquires a first water extraction amount, which is the cumulative extraction value sensed by the flow rate sensor for a set time, and after a preset period, acquires a second water extraction amount that is the cumulative extraction value sensed by the flow rate sensor for the set time after a preset period and the beverage exhaustion time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average of the first water extraction amount and the second water extraction amount.

또한, 컨트롤러는 제1 출수량과 상기 제2 출수량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1 변화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출수량에 제1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제1 출수량과 상기 제1 가중치가 부여된 제2 출수량의 평균에 기초하여 음료 소진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water extraction amount and the second water extraction amount exceeds a preset first change amount, the controller assigns a first weight to the second water extraction amount, and provides a second weight to the first water extraction amount and the first weigh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n the beverage is exhausted based on the average of the amount of water dispensed.

또한 제1 가중치는 1보다 작고, 상기 제1 출수량과 상기 제2 출수량의 차이가 클수록 작은 값이 부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weight may be less than 1, and a smaller value may be given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water output and the second water output is greater.

또한, 컨트롤러는 제2 출수량 획득한 뒤, 기 설정된 주기 이후 상기 유량감지센서가 특정 시간동안 센싱한 누적취출값인 제3 출수량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출수량과 상기 제2 출수량의 차이 및 상기 제1 출수량과 상기 제3 출수량의 차이가 상기 제1 변화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가중치보다 높은 제2 가중치를 상기 제3 출수량에 부여하고, 상기 제1 출수량, 상기 제1 가중치가 부여된 제2 출수량 및 상기 제2 가중치가 부여된 제3 출수량의 평균에 기초하여 음료 소진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acquiring the second water extraction amount, the controller acquires a third water extraction amount that is a cumulative extraction value sensed by the flow rate sensor for a specific time after a preset period, and determin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water extraction amount and the second water extraction amount and the second water extraction amount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water discharge amount and the third water discharge amount exceeds the first change amount, a second weight higher than the first weight is given to the third water output amount, and the first water output amount and the first water output amount to which the first weight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rink exhaustion time based on the average of the second water extraction amount and the third water extraction amount to which the second weight is assigned.

또한, 발효조는 복수개가 구비되는 경우 컨트롤러는 상기 음료 소진시기가 기 설정된 시간 이하면, 비어있는 발효조에 음료 제조를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fermenters are provided, the controller may perform beverage production in an empty fermenter when the beverage exhaustion time is less than a preset time.

컨트롤러는 제조할 음료 종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음료 제조 실시 시 수신한 음료의 종류에 대응하는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type of beverage to be prepared, and prepare a beverage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beverage received when manufacturing the beverage.

본 개시의 음료 제조기는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컨트롤러는 음료 취출 시 상기 유량감지센서에서 측정한 누적취출값에 기초하여 음료 가격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음료 가격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The beverage maker of the present disclosure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and the controller acquires beverage price information based on the accumulated extraction value measured by the flow rate sensor when the beverage is taken out, and transmits the beverage pric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can

본 개시의 음료 제조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발효조 내부의 공간에 수용된 음료 제조팩에서 유동된 음료의 취출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단계; 음료 취출 시, 유량감지센서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발효조 온도 또는 상기 발효조와 상기 음료 제조팩 사이 공간(s1)의 압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발효조에서 취출되는 유량을 유량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 상기 유량감지센서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음료 관련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beverage maker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ethod comprising: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beverage flowing out of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accommodated in the space inside the fermenter; When the beverage is taken out, based on the sensing value of the flow rate sensor, it may include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er or the pressure of the space (s1) between the fermenter and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In addition, measuring the flow rate taken out from the at least one fermenter using a flow rate sensor; It may include outputting the beverage-related information to the display based on the sensing value of the flow rate sensor.

본 개시는 음료 취출 시 유량감지센서에서 센싱한 누적취출값을 이용하여 발효조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발효조에 수용된 음료를 최적의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The present disclosure can store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fermenter in an optimal state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er using the accumulated extraction value sensed by the flow rate sensor when the beverage is taken out.

본 개시는 음료 취출 시 유량감지센서에서 센싱한 누적취출값을 이용하여 발효조와 음료 제조팩 사이 공간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음료 취출 압력을 적정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The present disclosure can maintain the beverage extraction pressure in an appropriate state by adjusting the pressure in the space between the fermenter and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using the accumulated extraction value sensed by the flow rate sensor during beverage extraction.

본 개시는 설정 시간동안 유량감지센서에서 센싱한 유량 속도가 제1 속도값 이상이면 음료 취출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해당 시간에 신속하게 음료를 취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if the flow rate sensed by the flow rate sensor for a set tim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speed value, the beverage can be quickly taken out at the corresponding time by increasing the beverage dispensing speed.

본 개시는 해당 주기마다 설정 시간동안 센싱한 누적취출값을 획득하여 음료 소진시기를 산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음료 소진시기를 제공하고 추가적인 음료 제조를 제안할 수 있다.The present disclosure may provide a beverage exhaustion time to the user and suggest additional beverage production by calculating the beverage exhaustion timing by acquiring the accumulated extraction value sensed for a set time for each corresponding cyc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보관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취출압력 증가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용 판매량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소진시기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 실시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beverag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beverag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beverage storage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increase in beverage ejection press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alculating an available sales volu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calculating the beverage exhaustion ti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erforming beverage prepa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발효모듈을 제공하는 음료 제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beverage maker that provides a plurality of fermentation modu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음료 제조기는 복수개의 발효모듈(101,102,10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발효모듈(101)로 설명한다. 한편 복수개의 발효모듈 각각은 발효모듈(101)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beverage maker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plurality of fermentation modules 101 , 102 , 103 and will be described as the fermentation module 101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elow. Meanwhile, each of the plurality of fermentation modules may include a configuration of the fermentation module 101 .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발효모듈(101)과 메인유로(2)로 연결된 디스펜서(미도시)와, 디스펜서와 급수유로로 연결된 급수모듈(미도시)과, 발효모듈(101)에서 발효된 음료가 외부로 취출되는 음료 취출기(6)를 포함할 수 있다.The beverag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dispens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fermentation module 101 and the main flow path 2, a water supply module (not shown) connected to the dispenser and a water supply path, and the fermentation module 101. It may include a beverage ejector 6 through which the fermented beverage is ejected to the outside.

발효모듈(101)은 내부에 공간(S1)이 형성된 발효조 어셈블리(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fermentation module 101 may include a fermenter assembly 11 having a space S1 therein.

발효조 어셈블리(11)는 상부에 개구부(111)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S1)이 형성된 발효조(112)와, 개구부(111)를 덮는 발효조 덮개(11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ermenter assembly 11 may include a fermenter 112 having an opening 111 formed therein and a space S1 formed therein, and a fermenter cover 114 covering the opening 111 .

발효조(112)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The fermenter 112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embers.

발효조 덮개(114)는 발효조(112) 내부를 밀폐시키는 것으로서, 발효조(112)의 상부에 배치되어 개구부(111)를 덮을 수 있다. 발효조 덮개(114)에는 메인유로(2)와 연결되는 메인유로 연결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The fermenter cover 114 is to seal the inside of the fermenter 112 , and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ermenter 112 to cover the opening 111 . The fermenter cover 114 may be provided with a main flow path connection part 115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2 .

그리고, 발효모듈(101)은 발효조 어셈블리(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수용되는 음료 제조팩(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은 내부에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가 수용된 팩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fermentation module 101 may further include a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inserted and accommodated in the fermenter assembly 11 .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may be a pack in which the material for beverage preparation is accommodated therein.

음료 제조팩(12)은 발효조 어셈블리(1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S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는 내부에 재료가 수용된 상태에서 발효조(11)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은 발효조(112)의 개구부(111)가 개방된 상태에서, 발효조(112) 내부로 삽입되어 발효조(112)에 수용될 수 있다. 발효조 덮개(114)는 음료 제조팩(12)이 발효조(112) 내부로 삽입된 후 발효조(112)의 개구부(111)를 덮을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은 발효조(112)와 발효조 덮개(114)에 의해 밀폐된 공간(S1)에 수용된 상태에서 재료의 발효를 도울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는 음료의 제조가 진행되는 동안 그 내부의 압력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space S1 formed inside the fermenter assembly 11 .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may be accommoda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fermenter 11 in a state in which the material is accommodated therein.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may be inserted into the fermenter 112 and accommodated in the fermenter 112 while the opening 111 of the fermenter 112 is opened. The fermenter cover 114 may cover the opening 111 of the fermenter 112 after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is inserted into the fermenter 112 .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may help the fermentation of the material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space S1 closed by the fermenter 112 and the fermenter cover 114 .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may be inflated by the pressure therein while the preparation of the beverage is in progress.

한편,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와,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for manufacturing the beverage may include water, malt, yeast, hops, flavor additives, and the like.

음료 제조기는 디스펜서와 음료 제조팩(12)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는 디스펜서와 음료 제조팩(12)에 분산되어 수용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에는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 중 일부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디스펜서에는 나머지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에 수용되어 있던 나머지 재료는 급수모듈에서 급수된 물과 함께 음료 제조팩(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 내에 수용되어 있던 일부 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The beverage maker may include both the dispenser and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 and materials for beverage preparation may be dispersedly accommodated in the dispenser and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may contain some of the ingredients for beverage preparation, and the dispenser may contain the remaining ingredients. The remaining materials accommodated in the dispenser may be supplied to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together wit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module, and may be mixed with some of the ingredients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

음료 제조팩(12)에는 음료 제조에 필수적인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디스펜서에는 주재료에 첨가되는 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펜서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는 급수모듈에서 급수된 물과 혼합되어 음료 제조팩(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에 수용되어 있던 주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may contain a main material essential for beverage production, and the dispenser may contain an additive added to the main material. In this case, the additive accommodated in the dispenser may be mixed wit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module and supplied to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 and may be mixed with the main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

음료 제조팩(12)에 수용된 주 재료는 타 재료 보다 용량이 많은 재료이고, 맥아와, 이스트, 홉, 향 첨가제 중 맥아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펜서에 수용된 첨가제는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 중 맥아를 제외한 타 재료일 수 있고,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The main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is a material having a larger capacity than other materials, and may be malt, yeast, hops, or malt among flavor additives. And, the additive accommodated in the dispenser may be a material other than malt among the materials for manufacturing a beverage, and may be yeast, hops, flavor additives, and the like.

한편, 음료 제조기는 상기와 같이, 음료 제조팩(12)과 디스펜서를 모두 포함하지 않고, 별도의 음료 제조팩(12) 없이, 디스펜서만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고, 디스펜서에는 음료 제조를 위한 모든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펜서에 수용된 모든 재료는 급수모듈에서 급수된 물과 함께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디스펜서에는 주재료와 첨가제가 함께 수용될 수 있고, 디스펜서에 수용된 주재료와 첨가제는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로 동시에 공급되거나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everage maker does not include both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and the dispenser as described above, and without a separat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only a dispenser may be provided, and all materials for beverage manufacturing are provided in the dispenser. can be accepted. In this case, all the materials accommodated in the dispenser may be supplied into the fermenter assembly 11 together with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module. The dispenser may contain the main material and the additive together, and the main material and the additive accommodated in the dispenser may be simultaneously supplied into the fermenter assembly 11 or sequentially supplied with a time difference.

또한, 음료 제조기는 별도의 음료 제조팩(12)를 포함하지 않고, 사용자가 음료 제조를 위한 일부 재료를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로 직접 투입하고, 음료 제조를 위한 나머지 재료는 디스펜서에 수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는 주 재료를 발효조 어셈블리(11)로 직접 투입하고, 디스펜서에는 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는 급수모듈에서 급수된 물과 혼합되어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로 공급될 수 있고, 발효조 어셈블리(11) 내에 기 투입되어 있던 주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verage maker does not include a separat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and the user directly inputs some materials for beverage production into the fermenter assembly 11, and the remaining materials for beverage production are accommodated in the dispenser. It is possible. In this case, the user may directly input the main material into the fermenter assembly 11, and the additive may be accommodated in the dispenser. The additive accommodated in the dispenser may be mixed wit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module and supplied into the fermenter assembly 11 , and may be mixed with the main material previously put in the fermenter assembly 11 .

또한, 음료 제조기는 디스펜서를 포함하지 않고, 음료 제조팩(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음료 제조팩(12)에는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음료 제조팩(12)에 첨가제를 투입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everage maker does not include a dispenser, and may include a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 in which case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may contain a main material, and the user may add additives to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 can be put in

또한, 음료 제조기는 디스펜서와 음료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하지 않고, 사용자가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에 주재료와 첨가제를 동시에 또는 시간차를 두고 직접 투입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beverage maker does not include both the dispenser and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 and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for the user to directly input the main material and additives into the fermenter assembly 11 at the same time or with a time difference.

음료 제조기는 디스펜서와 음료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할 경우, 보다 간편하게 음료를 제조할 수 있고, 이하, 디스펜서와 음료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하는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디스펜서와 음료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When the beverage maker includes both the dispenser and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 it is possible to more conveniently manufacture a beverage, and an example including both the dispenser and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will be described below. However,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including both the dispenser and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

음료 제조팩(12) 내로 투입된 재료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효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 내에서 제조 완료된 음료는 메인유로 연결부(115)를 통해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유로(2)에서 음료 취출기(6)로 유동되어 음료 취출기(6)로 취출될 수 있다. The material input into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may be fermented over time, and the beverage manufactured in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may flow to the main flow path 2 through the main flow path connection part 115, and , may flow from the main flow path 2 to the beverage dispenser 6 and be taken out by the beverage dispenser 6 .

발효모듈(101)은 발효조 어셈블리(11)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온도조절기(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13)는 발효조 어셈블리(11)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음료 발효를 위한 최적 온도로 발효조 어셈블리(11)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fermentation module 101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controller 13 for changing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er assembly 11 . The temperature controller 13 heats or cools the fermenter assembly 11 , and may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er assembly 11 to an optimal temperature for beverage fermentation.

온도조절기(13)는 압축기(131)와, 응축기(132)와, 팽창기구(133)와, 증발기(134)를 갖는 냉동사이클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응축기와 증발기 중 어느 하나는 발효조 어셈블리(11)에 배치될 수 있다. The temperature controller 13 may include a refrigeration cycle device having a compressor 131, a condenser 132, an expansion mechanism 133, and an evaporator 134, any one of the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is a fermenter assembly ( 11) can be placed.

응축기(132)가 발효조(112)에 접촉되게 배치될 경우, 냉동사이클 장치는 발효조(112)를 가열시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응축기(132)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132)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긴 응축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condenser 132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fermenter 112 ,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may heat the fermenter 112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er 112 . In this case, the condenser 132 may be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ermenter 112 . The condenser 132 may include a condensing tube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ermenter 112 .

증발기(134)가 발효조(112)에 접촉되게 배치될 경우, 냉동사이클 장치는 발효조(112)를 냉각시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긴 증발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튜브는 발효조(112)와 단열벽의 사이에 수용될 수 있고, 단열벽에 의해 단열된 단열공간 내부를 냉각할 수 있다. When the evaporator 134 is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ermenter 112 ,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may cool the fermenter 112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er 112 . In this case, the evaporator 134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ermenter 112 . The evaporator 134 may include an evaporation tube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ermenter 112 . The evaporation tube may be accommodated between the fermenter 112 and the insulating wall, and may cool the inside of the insulating space insulated by the insulating wall.

온도조절기(13)는 발효조(112)를 가열시키는 히터(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1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는 히터(14)는 발효조(112)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히터(14)는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되는 발열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히터(14)는 라인 히터(Line Heater)로 구성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controller 13 may further include a heater 14 for heating the fermenter 112 . The heater 14 may be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ermenter 112 . Alternatively, the heater 14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ermenter 112 . The heater 14 may be configured as a heating heater that generates heat when power is applied. The heater 14 may be configured as a line heater.

냉동사이클 장치는 히트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냉동사이클 장치는 유로절환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절환밸브는 사방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유로절환밸브는 압축기(131)의 흡입유로 및 압축기(131)의 토출유로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응축기(132)와 응축기 연결유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증발기(134)와 증발기 연결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may be configured as a heat pump.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may include a flow path switching valve (not shown).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may be configured as a four-way valve.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passage of the compressor 131 and the discharge passage of the compressor 131, respectively, may be connected to the condenser 132 and the condenser connection passag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evaporator 134 and the evaporator connection passage. .

유로절환밸브는 발효조(112)의 냉각시 압축기(131)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132)로 안내함과 증발기(134)에서 유출된 냉매를 압축기(131)로 안내할 수 있다.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may guide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131 to the condenser 132 when the fermenter 112 is cooled, and guide the refrigerant leaked from the evaporator 134 to the compressor 131 .

유로절환밸브는 발효조(112)의 가열시 압축기(131)에서 압축된 냉매를 증발기(134)로 안내함과 아울러 응축기(132)에서 유출된 냉매를 압축기(131)로 안내할 수 있다.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may guide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131 to the evaporator 134 when the fermenter 112 is heated, and also guide the refrigerant leaked from the condenser 132 to the compressor 131 .

음료 제조기는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 어셈블리(11)의 사이로 에어를 주입하는 음료 취출 가압기구(15)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이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음료 취출 가압기구(15)는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 어셈블리(11)의 사이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고,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로 주입된 에어는 음료 제조팩(12)을 가압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 내의 음료는 에어에 의해 눌린 음료 제조팩(12)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메인유로 연결부(115)를 통과해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에서 메인유로(2)로 유동된 음료는 음료 취출기(6)를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The beverage maker may include a beverage extraction pressurization mechanism 15 for injecting air between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and the fermenter assembly 11 . In a state in which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is accommodated in the fermenter assembly 11, the beverage take-out pressurization mechanism 15 may inject air between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and the fermenter assembly 11, and the fermenter assembly ( 11) The air injected into the inside may pressurize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 The beverage in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may be pressurized by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pressed by air, and may flow through the main passage connection part 115 to the main passage 2 . The beverage flowing from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to the main flow path 2 may be taken out through the beverage ejector 6 .

즉, 음료 제조기는 음료 제조가 완성되면, 음료 제조팩(12)를 발효조 어셈블리(11)의 외부로 꺼내지 않고, 발효조 어셈블리(11)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음료 제조팩(12) 내의 음료를 음료 취출기(6)로 취출할 수 있다. That is, the beverage maker does not take out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to the outside of the fermenter assembly 11 when the beverage production is completed, and the beverage in the beverage production pack 12 is placed inside the fermenter assembly 11 . It can take out with the beverage ejector 6 .

음료 취출 가압기구(15)는 에어를 펌핑하는 에어펌프(152)와, 에어펌프(152)와 발효조 어셈블리(11)의 내부를 연결하는 에어 공급유로(154)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 가압기구(15)는 에어 공급유로(154)에 설치된 에어 조절밸브(1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 가압기구(15)는 에어 공급유로(154)에 구비된 에어 릴리프밸브(158, Relief valv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릴리프밸브(158)는 에어 공급유로(154) 중 에어 공급 방향으로 에어 조절밸브(156) 이후에 설치될 수 있다.The beverage ejection pressurization mechanism 15 may include an air pump 152 for pumping air, and an air supply passage 154 connecting the air pump 152 and the inside of the fermenter assembly 11 . The beverage ejection pressurization mechanism 15 may further include an air control valve 156 installed in the air supply passage 154 . The beverage ejection pressurization mechanism 15 may further include an air relief valve 158 provided in the air supply passage 154 . The air relief valve 158 may be installed after the air control valve 156 in the air supply direction of the air supply flow path 154 .

에어 조절밸브(156)는 음료가 취출될 경우에만 개방되어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게 할 수 있고, 음료가 취출되지 않는 동안 클로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air control valve 156 may be opened only when a beverage is taken out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 fermenter assembly 11, and may maintain a closed state while the beverage is not taken out.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1)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16)는 발효조(112)의 온도를 측정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16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er assembly 11 . The temperature sensor 16 may be install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er 112 .

이하, 디스펜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dispenser will be described.

디스펜서는 발효 어셈블리(11)와 메인유로(2)로 연결될 수 있다. The dispenser may be connected to the fermentation assembly 11 and the main flow path 2 .

디스펜서는 음료 제조에 필요한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급수모듈에서 공급된 물이 통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에 수용되는 재료는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 The dispenser may accommodate the ingredients required for beverage production, and may be configured to pass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module.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dispenser may be yeast, hops, flavor additives, and the like.

디스펜서에 수용되는 재료는 디스펜서에 형성된 재료 수용부에 직접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에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 수요부는 디스펜서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는 서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dispenser may be directly contained in a material receptacle formed in the dispenser. The dispenser may be formed with at least one material receptacle. A plurality of material demanding units may be formed in the dispenser, and in this case, a plurality of material receiving portions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한편, 디스펜서에 수용되는 재료는 캡슐 내에 수용될 수 있고, 디스펜서에는 이러한 캡슐이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가 캡슐에 수용될 경우, 디스펜서는 캡슐의 안착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디스펜서는 캡슐이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킷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dispenser may be accommodated in the capsule, the dispenser may be formed with at least one capsule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capsule is accommodated. When the material is contained in the capsule, the dispenser may be configured to allow seating and withdrawal of the capsule, and the dispenser may be configured as a capsule kit assembly in which the capsule is removably accommodated.

디스펜서에는 메인유로(2)와 급수유로가 각각 연결될 수 있고, 급수유로로 급수된 물은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을 통과하면서 재료와 혼합될 수 있고,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에 수용되어 있던 재료는 물과 함께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다. The dispenser may have a main flow path 2 and a water supply passag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assage may be mixed with the material while passing through the material container or capsule, and the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material container or capsule may be water. together with the main flow path (2).

디스펜서는 종류가 상이한 다수의 첨가제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에 수용되는 다수의 첨가제는 이스트와 홉과 향 첨가제일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In the dispenser, a plurality of additives of different types may be accommodat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The plurality of additives accommodated in the dispenser may be yeast, hops and flavor additives, which may be accommodat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디스펜서에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 각각은 급수유로와 디스펜서 입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고, 메인유로(2)와 디스펜서 출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When a plurality of material receiving portions are formed in the dispenser, each of the plurality of material receiving portions may b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assage and a dispenser inlet passage, and may be connected to a main passage 2 and a dispenser outlet passage.

디스펜서에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가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 각각은 급수유로와 디스펜서 입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고, 메인유로(2)와 디스펜서 출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capsule accommodating parts are formed in the dispenser,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 accommodating parts may b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flow path and a dispenser inlet flow path, and may be connected to a main flow path 2 and a dispenser outlet flow path.

디스펜서의 재료 수용부와 디스펜서의 캡슐 수용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재료가 캡슐에 수용된 상태에서 캡슐이 디스펜서에 삽입되는 경우, 캡슐 수용부로 칭할 수 있으며, 재료가 캡슐에 담겨지지 않는 상태에서 디스펜서에 직접 수용될 경우 재료 수용부로 칭할 수 있다. 재료 수용부와 캡슐 수용부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펜서에 캡슐 수용부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The material receptacle of the dispenser and the capsule receptacle of the dispenser may be of substantially the same construction. When the capsule is inserted into the dispenser in a state in which the material is accommodated in the capsule, it may be referred to as a capsule accommodating part, and when the material is directly accommodated in the dispenser in a state where the material is not contained in the capsule, it may be referred to as a material accommodating part. Since the material accommodating part and the capsule accommodating part have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capsule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in the dispenser.

디스펜서는 첨가제가 수용된 캡슐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수용부가 형성되고, 급수유로와 디스펜서 입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고, 메인유로(2)와 디스펜서 출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In the dispenser, a capsule receiving portion in which a capsule containing an additive is removably accommodated is formed, and may b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assage and a dispenser inlet passage, and may be connected to a main passage 2 and a dispenser outlet passage.

디스펜서 입구유로에는 디스펜서 입구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An opening/closing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penser inlet flow path may be installed in the dispenser inlet flow path.

디스펜서 출구유로에는 메인유로(2)의 유체가 캡슐 수용부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체크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A check valve may be installed in the dispenser outlet flow path to prevent the fluid of the main flow path 2 from flowing back into the capsule receiving part.

디스펜서는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이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는 서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는 그 각각의 디스펜서 입구유로 및 그 각각의 디스펜서 출구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The dispenser may have a plurality of capsule accommodating parts, and a plurality of capsule accommodating parts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The plurality of capsule accommodating units may be connected to their respective dispenser inlet passages and their respective dispenser outlet passages.

이하, 디스펜서에는 제1첨가제와, 제2첨가제와, 제3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제1첨가제는 이스트일 수 있으며, 제2첨가제는 홉일 수 있으며, 제3첨가제는 향 첨가제일 수 있다. Hereinafter, the dispenser may accommodate the first additive, the second additive, and the third additive. The first additive may be yeast, the second additive may be hops, and the third additive may be a flavor additive.

음료 제조기는 급수유로에서 급수된 물이 캡슐 수용부를 바이패스하여 메인유로(2)로 공급될 수 있는 바이패스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everage maker may include a bypass flow path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flow path bypasses the capsule accommodating part to be supplied to the main flow path 2 .

바이패스 유로는 급수유로 및 메인유로(2)와 연결되고 급수유로의 물 또는 공기는 캡슐 수용부를 바이패스하여 메인유로(2)로 유동되게 바이패스 유로에 안내될 수 있다.The bypass flow path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flow path and the main flow path 2 , and water or air in the water supply flow path may be guided to the bypass flow path to flow into the main flow path 2 by bypassing the capsule accommodation unit.

바이패스 유로에는 바이패스 유로를 개폐하는 바이패스 밸브(35)가 설치될 수 있다. A bypass valve 3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ypass flow path may be installed in the bypass flow path.

메인유로(2)는 발효조 어셈블리(11)에 연결될 수 있고, 발효조 어셈블리(11) 중 발효조 덮개(114)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유로(2)는 발효조 덮개(114)에 구비된 메인유로 연결부(115)에 연결될 수 있다.The main flow path 2 may be connected to the fermenter assembly 11 ,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ermenter cover 114 of the fermenter assembly 11 . The main flow path 2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connection part 115 provided in the fermenter cover 114 .

급수모듈은 물이 담겨지는 수조와 수조의 물을 펌핑하는 급수펌프와 급수펌프에서 펌핑된 물을 가열하는 급수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module may include a water tank containing water, a water pump for pumping water in the water tank, and a water heater for heating the water pumped from the water pump.

수조에는 수조 출수유로가 연결될 수 있고, 급수펌프는 수조 출수유로에 연결될 수 있다.A water tank outlet flow path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supply pump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outlet water flow path.

급수펌프에는 급수펌프 출수유로가 연결될 수 있고, 급수히터는 급수펌프 출수유로에 연결될 수 있다. A feed water pump outlet passage may be connected to the feed water pump, and the feed water heater may be connected to the feed water pump outlet passage.

급수펌프 출수유로에는 급수펌프 출수유로의 유량을 측정하는 플로우 미터가 설치될 수 있다. A flow meter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feed water pump outlet passage may be installed in the feed water pump outlet flow path.

급수펌프의 구동시, 수조의 물은 수조 출수유로, 급수펌프, 급수펌프 출수유로를 통해 급수히터로 안내될 수 있고, 급수히터로 안내된 물은 급수히터에서 가열된 후 급수유로로 안내될 수 있다.When the feed water pump is driven, the water in the water tank may be guided to the water heater through the water tank outlet flow path, the feed water pump, and the feed water pump outlet flow path, and the water guided to the feed water heater may be heated in the feed water heater and then guided to the feed water channel. have.

음료 취출기(6)는 메인유로(2)에 연결될 수 있다. 음료 취출기(6)는 메인유로(2)에 연결되고 메인유로(2)의 음료가 안내되는 음료 취출유로(61)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기(6)는 음료 취출유로(61)에 연결된 음료 취출밸브(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everage dispenser 6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2 . The beverage dispensing machine 6 may include a beverage dispensing flow path 61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2 and guiding the beverage of the main flow path 2 . The beverage dispensing machine 6 may further include a beverage dispensing valve 62 connected to the beverage dispensing passage 61 .

음료 취출기(6)는 음료 취출유로(61)에 설치되고 발효조(112)에서 취출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감지센서(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everage extractor 6 may further include a flow rate sensor 65 installed in the beverage extraction passage 61 and measuring the flow rate taken out from the fermenter 112 .

음료 취출기(6)는 음료 취출유로(61)에 설치되고 음료 취출방향으로 유량감지센서(65) 이전에 설치된 개폐밸브(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everage extractor 6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closing valve 64 installed in the beverage extraction passage 61 and installed before the flow rate sensor 65 in the beverage extraction direction.

유량감지센서(65)는 음료 취출 시 음료 취출유로(61)에 유동되는 음료의 양과 관련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The flow rate sensor 65 may sens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mount of beverage flowing in the beverage extraction flow path 61 when the beverage is taken out.

개폐밸브(64)의 오픈 또는 클로즈 제어에 따라 유량감지센서(65)는 음료 취출유로(61)에 유동되는 음료의 유량을 센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open or close control of the opening/closing valve 64 , the flow rate sensor 65 may sense the flow rate of the beverage flowing in the beverage extraction flow path 61 .

음료 취출유로(61)에는 거품차단부(63, Anti-Foaming path)가 구비될 수 있고, 메인유로(2)에서 음료 취출유로(61)로 유동된 음료의 거품은 거품차단 패스를 통과하면서 최소화될 수 있다. 거품차단부(63)에는 거품이 걸러지는 메쉬(Mesh) 등이 구비될 수 있다. The beverage extraction path 61 may be provided with an anti-foaming path 63, and the foam of the beverage flowing from the main flow path 2 to the beverage extraction path 61 is minimized while passing through the bubble blocking path. can be The bubble blocking part 63 may be provided with a mesh (Mesh), etc. through which the bubbles are filtered.

음료 취출밸브(62)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레버와,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Micro Switch)를 갖는 탭 밸브(Tap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everage dispensing valve 62 may include a lever operated by the user, and a tap valve having a limit switch (Micro Switch) for detecting the user's operation.

한편, 음료 제조기는 발효모듈(101)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 배출기(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include a gas discharger 7 for discharging the gas in the fermentation module 101 to the outside.

가스 취출유로는 발효조 어셈블리(11) 특히, 발효조 덮개(114)에 연결될 수 있다. The gas outlet passage may be connected to the fermenter assembly 11 , in particular, the fermenter cover 114 .

가스 개폐밸브는 음료 제조팩(12)으로 에어를 주입할 때 온되어 오픈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음료 제조팩(12)으로 에어를 주입하여 맥아와 물을 고르게 혼합하게 할 수 있고, 이때, 액상 맥아에서 발생된 기포는 음료 제조팩(12)의 상부에서 가스 취출유로 및 가스 개폐밸브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The gas opening/closing valve may be turned on and opened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 The beverage maker may inject air into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to evenly mix malt and water, and at this time,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liquid malt are gener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by the gas outlet flow path and the gas opening/closing valv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가스 개폐밸브는 발효공정 도중의 발효도 감지를 위해 오픈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 내의 가스는 압력 센서로 유동될 수 있으며, 압력 센서는 음료 제조팩(12) 내에서 유출된 가스의 압력은 감지될 수 있다. The gas opening/closing valve may be opened to detect the degree of fermentation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and the gas in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may flow to the pressure sensor, and the pressure sensor is the gas leaked from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 The pressure can be sensed.

압력센서, 가스 개폐밸브와, 에어 필터는 가스 취출유로에 가스 배출방향으로 순차 배치될 수 있다. The pressure sensor, the gas opening/closing valve, and the air filter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in the gas discharge path in the gas discharge direction.

가스 배출기(7)는 가스 취출유로에 구비된 가스배출 릴리프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배출 릴리프밸브는 가스 취출유로 중 가스 배출 방향으로 압력센서 이전에 설치될 수 있다. The gas discharger 7 may further include a gas discharge relief valve provided in the gas discharge passage. The gas discharge relief valve may be installed before the pressure sensor in the gas discharge direction in the gas discharge flow path.

음료 제조기는 메인유로(2)와 급수유로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 주입기(8)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include an air injector 8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main flow path 2 and the water supply flow path to inject air.

에어 주입기(8)는 급수유로에 연결될 경우, 급수유로를 통해 디스펜서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고, 급수유로로 주입된 에어는 디스펜서와 메인유로(2)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음료 제조팩(12)로 주입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급수유로에 연결될 경우, 급수유로와 바이패스 유로와, 메인유로(2)를 통해 음료 제조팩(12)으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 내의 재료에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When the air injector 8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assage, air can be injected into the dispenser through the water supply passage, and the air injected into the water supply passage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dispenser and the main passage 2, and then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 can be injected. When the air injector 8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assage, air can be injected into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through the water supply passage, the bypass passage, and the main passage 2, and to the material in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Air can be supplied.

에어 주입기(8)는 급수유로에 연결될 경우, 급수유로를 통해 캡슐 수용부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고, 디스펜서 내의 잔수나 찌꺼기를 메인유로(2)로 유동시킬 수 있고, 디스펜서를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When the air injector 8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assage, air can be injected into the capsule receiving portion through the water supply passage, and residual water or debris in the dispenser can flow into the main passage 2, and the dispenser can be kept clean. have.

에어 주입기(8)는 급수유로에 연결된 에어 주입유로와, 에어 주입유로로 에어를 펌핑하는 에어 주입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injector 8 may include an air injection passag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assage and an air injection pump for pumping air into the air injection passage.

에어 주입기(8)는 급수유로의 물이 에어 주입유로를 통해 에어 주입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크밸브는 에어 주입방향으로 에어 주입펌프의 이후에 설치될 수 있다. The air injector 8 may further include a check valve for preventing the water of the water supply passage from flowing into the air injection pump through the air injection passage. The check valve may be installed after the air injection pump in the air injection direction.

에어 주입기(8)는 에어 주입유로에 연결되고 에어 주입방향으로 에어 주입펌프 이전에 설치된 에어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injector 8 may further include an air filter connected to the air injection passage and installed before the air injection pump in the air injection direction.

에어 주입펌프의 구동시, 공기는 에어필터에 의해 먼지 등이 걸러질 수 있고, 에어필터(84)를 통과한 공기는 에어 주입펌프에 의해 유동되어 급수유로로 유동될 수 있다. When the air injection pump is driven, dust and the like may be filtered out of the air by the air filter,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filter 84 may be flowed by the air injection pump to flow into the water supply passage.

음료 제조기는 메인유로(2)를 개폐하는 메인밸브(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include a main valve 9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flow path 2 .

메인밸브(9)는 메인유로(2) 중 메인유로(2)와 음료 취출유로(61)의 연결부(91)과 메인유로(2)와 발효조 어셈블리(11)의 연결부(9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The main valve 9 is installed between the connection part 91 of the main flow path 2 and the beverage extraction flow path 61 of the main flow path 2 and the connection part 92 of the main flow path 2 and the fermenter assembly 11 to be installed. can

메인밸브(9)는 음료 제조팩(12)으로 온수를 주입할 때 오픈되어 메인유로(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발효조 어셈블리(11)를 냉각하는 동안 클로즈되어 메인유로(2)를 폐쇄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음료 제조팩(12)에 에어를 주입할 때 오픈되어 메인유로(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첨가제를 음료 제조팩(12) 내부로 공급할 때 오픈되어 메인유로(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재료의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클로즈되어 음료 제조팩(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음료 숙성 및 보관시 클로즈되어 음료 제조팩(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음료 취출기(6)에 의한 음료 취출시 오픈되어 메인유로(2)를 개방할 수 있다.The main valve 9 may be opened when hot water is injected into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to open the main flow path 2 . The main valve 9 may be closed while cooling the fermenter assembly 11 to close the main flow path 2 . The main valve 9 may be opened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to open the main flow path 2 . The main valve 9 may be opened when the additive is supplied into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to open the main flow path 2 . The main valve 9 may be closed while the fermentation of the material is in progress to seal the inside of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 The main valve 9 may be closed during aging and storage of the beverage to seal the inside of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 The main valve 9 may be opened when the beverage is taken out by the beverage dispenser 6 to open the main flow path 2 .

음료 제조기는 복수개의 발효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fermenters.

예를 들어, 음료 제조기는 제1 발효조(101), 제2 발효조(102), 제3 발효조(103) 및 N 번째 발효조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everage maker may include a first fermenter 101 , a second fermenter 102 , a third fermenter 103 , and an N-th fermenter.

제1 발효조(101), 제2 발효조(102), 제3 발효조(103) 및 N 번째 발효조 각각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fermenter 101, the second fermenter 102, the third fermenter 103, and the N-th fermenter may include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FIGS. 1 and 2 as it is.

한편, 복수개의 발효조 내부에 수용된 음료는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종류일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발효조 각각에서 동시에 음료가 취출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발효조 각각과 연통되어 연결된 메인유로(2)는 메인유로 연결부(91)에서 합지되어 음료 취출유로(61)와 연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plurality of fermenter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types.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a case in which beverages are simultaneously taken out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fermenters, the main flow path 2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ermenters is combined in the main flow path connection part 91 to communicate with the beverage extraction flow path 61. can

유량감지센서(65)는 음료 취출유로(61)와 연결되고 음료 취출방향으로 음료 취출기(6) 이전에 설치될 수 있다.The flow rate sensor 65 is connected to the beverage dispensing passage 61 and may be installed before the beverage dispensing machine 6 in the beverage dispensing direc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음료 제조기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beverage m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개시의 음료 제조기에 따르면 급수모듈, 음료 취출기(6), 온도 조절기(13), 음료 취출 가압기구(15) 및 가스배출기(7) 등 음료 제조기의 동작과 관련된 구성은 컨트롤러(28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beverage maker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maker, such as the water supply module, the beverage dispenser 6, the temperature controller 13, the beverage dispensing pressurization mechanism 15, and the gas discharger 7, is to the controller 280. can be performed by

또한, 음료 제조기는 각종 센서에서 획득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290)에는 유량감지센서(65)에서 센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verage maker may further include a data storage unit 290 for stor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various sensors. The data storage unit 290 may store data sensed by the flow rate sensor 65 .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보관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beverage storage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음료 보관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료 보관모드는 음료가 취출되면, 상기 유량감지센서(65)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발효조(112) 온도를 조절하는 동작를 포함할 수 있다.A beverag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provide a beverage storage mode. Specifically, the beverage storage mode may include an operation of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er 112 based on the sensing value of the flow rate sensor 65 when the beverage is taken out.

또는 음료 보관모드는 음료가 취출되면, 유량감지센서(65)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발효조(112)와 상기 음료 제조팩(12) 사이 공간(S1)의 압력을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음료 보관모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lternatively, the beverage storage mode may include an operation of adjusting the pressure of the space S1 between the fermenter 112 and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based on the sensing value of the flow rate sensor 65 when the beverage is taken out. have. Hereinafter, the beverage storage mod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컨트롤러(280)는 음료 취출기(6) 및 음료 취출 가압기구(15)를 제어하여 음료 제조팩(12) 내부에 수용된 음료를 취출할 수 있다(S100). The controller 280 of the beverag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take out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by controlling the beverage ejector 6 and the beverage ejection pressing mechanism 15 (S100). ).

구체적으로 취출밸브(62)가 오픈제어되면 컨트롤러(280)는 음료 취출가압기구(15)를 제어하여 음료 제조팩(12)에 수용된 음료가 음료 메인유로(2)로 유동되도록 하고, 메인유로(2)에서 유동된 음료는 음료 취출유로(61)를 통하여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ejection valve 62 is controlled open, the controller 280 controls the beverage ejection and pressure mechanism 15 so that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flows into the beverage main passage 2, and the main passage ( The beverage flowing in 2) may be taken out through the beverage extraction passage 61 .

컨트롤러(280)는 음료 취출 시, 유량감지센서(65)가 센싱한 누적취출값을 획득할 수 있다(S101).The controller 280 may acquire a cumulative dispensing value sensed by the flow rate sensor 65 when dispensing a beverage (S101).

이때 유량감지센서(65)가 센싱한 누적취출값은 데이터 저장부(290)에 저장될 수 있으며, 누적취출값은 음료 취출유로를 지나 외부로 유동된 음료의 누적량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umulative extraction value sensed by the flow rate sensor 65 may b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90, and the cumulative extraction value may include the cumulative amount of beverage flow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beverage extraction path.

컨트롤러(280)는 유량감지센서(65)가 센싱한 누적취출값과 음료 제조팩(12) 용량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잔여 음료 양을 획득하고, 잔여 음료 양에 기초하여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S102).The controller 280 acquires the remaining beverage amount based on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accumulated extraction value sensed by the flow rate sensor 65 and the capacity of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and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er 112 based on the remaining beverage amount can be adjusted (S102).

이때, 잔여 음료 양은 음료 제조팩(12) 내부에 수용되어 취출 가능한 음료의 양을 의미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maining beverage amount may mean the amount of beverage that is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and can be taken out.

음료 제조기는 음료 제조팩(12) 내부에 수용된 음료를 적정 온도로 보관하기 위하여 발효 모듈(1)은 온도 조절기(13)와 히터(14)를 제공한다. 온도 조절기(13)의 동작에 따라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와 접촉되게 배치되어 음료 제조팩(112)에 수용된 음료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beverage maker provides a temperature controller 13 and a heater 14 in the fermentation module 1 to store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13, the evaporator 134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fermenter 112 may serve to cool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12).

반면, 히터(14)는 발효조(112)의 하부에 설치되어 음료 제조팩(112)에 수용된 음료를 가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ater 14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ermenter 112 may serve to heat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12).

온도 조절기(13)와 히터(14)의 동작에 따라 음료 제조팩(12)에 수용된 음료는 적정 온도를 유지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음료 제조팩(12)에 수용된 음료의 용량이 줄어들수록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간(S1)은 증대되고, 공간(S1)이 증대됨에 따라 온도 조절기(13)와 히터(14)로부터 음료 제조팩(12)에 전달되는 열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13 and the heater 14,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is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The space S1 between the 12 and the fermenter 112 is increased, and as the space S1 is increased, the thermal efficiency transferred from the temperature controller 13 and the heater 14 to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is reduced. there was a problem with

예를 들어, 히터(14)는 발효조(112)의 하부에 설치되고,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상부에 설치되므로 다량의 음료가 취출되어 음료 제조팩(12)이 수축되고 그에 따라 음료 제조팩(12)이 발효조 상부(112)에 위치하게 되면 음료 제조팩(12) 내부의 온도는 히터(14)에 비해 증발기(134)의 온도에 과도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음료 제조팩(12)의 온도는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For example, the heater 14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ermenter 112, and the evaporator 134 is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ermenter 112, so a large amount of beverage is taken out,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is contracted and accordingly When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is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ermenter 112 , the temperature inside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may be excessively affected by th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134 compared to the heater 14 . Accordingly,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cannot b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본 개시의 음료 제조기는 종래의 음료 제조팩(12)이 적정 온도를 유지될 수 없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컨트롤러(280)는 음료 제조팩(12)의 잔여 음료 양이 작을수록 히터(14)의 온도를 상승시켜 발효조(112)의 온도를 기존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beverage maker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not maintain the proper temperature of the conventional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the controller 280 controls the heater 14 as the amount of remaining beverage of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is small. )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er 112 can be set higher than before.

예를 들어, 음료 제조팩(12)의 총량이 5L이고, 음료 취출에 따라 음료 제조팩(12)의 잔여 음료 양이 3L인 경우 컨트롤러(280)는 히터(14)의 온도를 1 도 상승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otal amount of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is 5L, and the remaining beverage amount of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is 3L according to beverage extraction, the controller 280 increases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14 by 1 degree. can

이후 추가적인 음료 취출에 따라 음료 제조팩(12)의 잔여 음료 양이 2L인 경우, 컨트롤러(280)는 히터(14)의 온도를 2도 상승시킬 수 있다.After the additional beverage is taken out, when the remaining beverage amount of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is 2L, the controller 280 may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14 by 2 degrees.

히터(14)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발효조(112) 내부의 온도는 상승하게 되므로 공간(S1)이 증대되더라도 음료 제조팩(12)에 전도되는 열은 일정 값으로 유지될 수 있다.As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14 rises, the temperature inside the fermenter 112 rises, so even if the space S1 is increased, the heat conducted to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may be maintained at a constant value.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히터(14)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음료 제조팩(12)의 온도를 조절하였으나 증발기(134)의 냉각 온도를 상승시켜 음료 제조팩(12)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was adjusted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14, but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by increasing the cooling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134. do.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280)는 유량감지센서(65)가 센싱한 누적취출값과 음료 제조팩(12) 용량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잔여 음료 양을 획득하고, 잔여 음료 양에 기초하여 상기 발효조와 상기 음료 제조팩 사이 공간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S102).In addition, the controller 2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obtains the remaining beverage amount based on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accumulated extraction value sensed by the flow rate sensor 65 and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capacity, and the remaining beverag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ressure of the space between the fermenter and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based on the amount (S102).

음료 제조팩(12)에 수용된 음료가 음료 취출기(6)로 취출되기 위해서는, 음료 취출가압기구(15)가 발효조(112)와 음료 제조팩(12) 사이 공간(S1)에 기체를 유입시켜야 한다. 공간(S1)에 유입된 기체가 음료 제조팩(12)을 가압하면 압력에 의하여 음료 제조팩(12) 내부에 수용된 음료는 메인유로(2)를 따라 유동될 수 있다.In order for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to be taken out into the beverage ejector 6 , the beverage ejection pressure mechanism 15 must introduce gas into the space S1 between the fermenter 112 and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 do. When the gas introduced into the space S1 presses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by the pressure may flow along the main flow path 2 .

음료 제조팩(12)에 수용된 음료가 취출되면, 음료 제조팩(12)의 크기는 줄어들고 그에 따라 공간(S1)압력이 감소하므로, 음료의 적정 취출 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공간(S1)에 압력 보상이 필요하다.When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is taken out, the size of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is reduced and thus the space (S1) pressure is reduced, so the pressure compensation in the space (S1) to maintain an appropriate take-out speed of the beverage I need this.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280)는 잔여 음료 양이 작을수록 발효조와 음료 제조팩(12) 사이 공간(S1)의 압력을 높게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ler 280 may set the pressure of the space S1 between the fermenter and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to be higher as the amount of the remaining beverage is smaller.

예를들어, 잔여 음료 양이 3L 인 경우, 컨트롤러(280)는 음료 취출 가압기구(15)를 제어하여 공간(S1)에 0.5bar의 압력을 보상할 수 있다. 또한 잔여 음료 양이 2L 인 경우, 컨트롤러(280)는 음료 취출 가압기구(15)를 제어하여 공간(S1)에 1.5bar의 압력을 보상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amount of the remaining beverage is 3L, the controller 280 may compensate the pressure of 0.5 bar in the space S1 by controlling the beverage extraction and pressure mechanism 15 . In addition, if the amount of the remaining beverage is 2L, the controller 280 may compensate the pressure of 1.5 bar in the space (S1) by controlling the beverage extraction and pressurization mechanism (15).

공간(S1)에 제공되는 압력 보상에 따라 음료 제조팩(12) 내부의 음료는 적정 압력을 유지한 채 취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sure compensation provided in the space (S1), the beverage inside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can be taken out while maintaining an appropriate pressur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280)는 잔여 음료 양이 기 설정된 제1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음료 취출을 종료할 수 있다(S103).The controller 2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terminate the beverage dispensing when the remaining beverage amount is less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S103).

즉, 컨트롤러(280)는 음료 제조팩(12)에 수용된 음료가 적어 더 이상 음료 취출 가압기구(15)를 통하여 음료 제조팩(12)으로부터 음료를 취출하기 어려운 경우 음료 취출을 종료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ler 280 may end the beverage extraction when it is difficult to take out the beverage from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through the beverage extraction pressurization mechanism 15 because there is littl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판매모드에서 음료 취출압력 증가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ure 4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increase in the beverage ejection pressure in the beverage sales m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개시의 음료 제조기의 컨트롤러(280)는 음료 취출기(6) 및 음료 취출 가압기구(15)를 제어하여 음료 제조팩(12) 내부에 수용된 음료를 취출할 수 있다(S200).The controller 280 of the beverage maker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take out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by controlling the beverage ejector 6 and the beverage ejection pressurizing mechanism 15 (S200).

컨트롤러(280)는 음료 취출 시, 유량감지센서(65)가 센싱한 유량 속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201). 이때 유량 속도 데이터는 기 설정된 시간동안 취출된 음료양을 기 설정된 시간으로 나눈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280)는 기 설정된 시간마다 유량 속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산출된 유량 속도 데이터는 데이터 저장부(290)에 저장될 수 있다.The controller 280 may acquire flow rate data sensed by the flow rate sensor 65 when the beverage is taken out (S201). In this case, the flow rate data may include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amount of beverage taken out for a preset time by a preset time. The controller 280 may calculate the flow rate data in real time for each preset time. The calculated flow rate data may b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90 .

컨트롤러(280)는 연속적으로 유량속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280)는 연속적으로 획득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한 유량속도 데이터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제1 속도값 이상이면 음료 판매모드를 실시할 수 있다(S202, S203).The controller 280 may continuously acquire flow rate data. The controller 280 may perform the beverage sales mode when the amount of change of the flow rate data acquired for a preset time continuously acquire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first speed value (S202, S203).

음료 판매모드는 설정시간 동안 취출되는 음료의 양의 변화량이 일정 값을 초과하는 경우, 음료 취출속도를 높여 음료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The beverage sales mode may be a mode for smoothly supplying beverages by increasing the beverage dispensing speed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amount of beverage taken out for a set time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컨트롤러(280)는 상기 음료 판매모드 시, 음료 취출 가압기구(15)를 제어하여 발효조와 상기 음료 제조팩 사이 공간의 압력을 증가시켜 음료 취출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S204).The controller 280 may increase the pressure of the space between the fermenter and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by controlling the beverage extraction pressurization mechanism 15 in the beverage sales mode to increase the beverage extraction speed (S204).

음료 제조기는 음료 취출속도가 증가되면, 단기간 증대된 음료 취출 수요에 적절한 음료 취출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beverage extraction speed is increased, the beverage maker may perform beverage extraction suitable for the increased beverage extraction demand in a short period of time.

컨트롤러(280)는 발효조에 잔존하는 음료 양이 기 설정된 제2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음료 판매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S205).When the amount of beverage remaining in the fermenter is less than a preset second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280 may end the beverage sales mode (S205).

즉, 컨트롤러(280)는 음료 제조팩(12)에 수용된 음료가 적어 더 이상 음료 취출 가압기구(15)를 통하여 음료 제조팩(12)으로부터 음료를 취출하기 어려운 경우 음료 취출을 종료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ler 280 may end the beverage extraction when it is difficult to take out the beverage from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through the beverage extraction pressurization mechanism 15 because there is littl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

이하 도 6 내지 도 8에서 본 개시의 음료 제조기의 또 다른 실시예인 음료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4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for outputting beverage-related information,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beverage maker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FIGS. 6 to 8 . Descriptions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will be omitted.

도 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용 판매량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alculating an available sales volu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상업용 음료를 제조 및 판매하는 경우, 사용자는 특정 규격(예를 들어, 500 ml)의 용기에 음료를 담아 판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When a user manufactures and sells a commercial beverage using a beverage maker, it is common for the user to put the beverage in a container of a specific size (eg, 500 ml) and sell it.

본 개시의 음료 제조기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특정 규격의 용기에 기초하여 가용 판매량을 산출하고, 산출한 가용 판매량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beverage maker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calculate the available sales volume based on a container of a specific standard used by the user, and output the calculated available sales volume to the display.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본 개시의 음료 제조기는 1회당 음료 취출량을 획득할 수 있다(S301).The beverage maker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obtain a beverage ejection amount per one time (S301).

이때, 1회당 음료 취출량은 음료 1회 취출 시 특정 규격의 용기에 수용되는 음료의 양을 의미할 수 있다. 1회당 음료 취출량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거나, 음료 제조기 내부적으로 기 설정된 값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mount of beverage taken out per one time may mean the amount of beverage accommodated in a container of a specific standard when the beverage is taken out once. The beverage ejection amount per one time may be set by the user or may include a preset value internally in the beverage maker.

예를 들어, 음료 제조기 내부적으로 기 설정된 값을 사용할 경우, 컨트롤러(280)는 발효조에 수용된 음료 종류에 기초하여 1회당 음료 취출량을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when using a preset value internally in the beverage maker, the controller 280 may determine the amount of beverage taken out per one time based on the type of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fermenter.

컨트롤러(280)는 음료 취출기(6) 및 음료 취출 가압기구(15)를 제어하여 음료 제조팩(12) 내부에 수용된 음료를 취출할 수 있다(S302).The controller 280 may take out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by controlling the beverage ejector 6 and the beverage extraction pressurization mechanism 15 (S302).

컨트롤러(280)는 음료 취출 시, 유량감지센서(65)가 센싱한 누적취출값을 획득할 수 있다(S303). 이때, 누적취출값은 데이터 저장부(290)에 저장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280 may acquire a cumulative dispensing value sensed by the flow rate sensor 65 when dispensing beverages (S303). In this case, the accumulated retrieval value may b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90 .

컨트롤러(280)는 누적취출값과 음료 제조팩 용량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잔여 음료 양을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280)는 잔여 음료 양과 기 설정된 1회당 음료 취출량의 비율에 따라 가용 판매량을 획득할 수 있다(S304). The controller 280 may acquire the remaining beverage amount based on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accumulated extraction value and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capacity. The controller 280 may acquire the available sales volume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remaining beverage amount and the preset beverage extraction amount per one time (S304).

구체적으로 가용 판매량은 사용자가 음료 제조팩 내부에 수용된 음료를 취출 할 때, 잔여 음료 양을 1회당 음료 취출량으로 나눈 값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vailable sales volume may include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amount of the remaining beverage by the amount of beverage taken out per one time when the user takes out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컨트롤러(280)는 디스플레이(미도시)를 제어하여 가용 판매량을 포함하는 음료 관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304).The controller 280 may control a display (not shown) to output beverage-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the available sales volume (S304).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는 가용 판매량으로 'IPA 500 ml 10잔 판매가능'또는 'Stout 300ml 6잔 판매가능'와 같이 음료 종류 및 1회당 음료 취출량에 따라 다른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may output different notifica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beverage and the amount of beverage dispensed per one time, such as '10 cups of IPA 500ml can be sold' or '6 cups of Stout 300ml can be sold' as the available sales volume.

본 개시의 음료 제조기는 가용 판매량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취출 가능한 음료의 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용 판매량을 인지하고, 음료를 추가로 제조하거나 판매를 종료할 수 있다.The beverage maker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beverage that can be taken out to the user by outputting the available sales volume on the display. The user may be aware of the available sales volume, and may further manufacture a beverage or end the sale.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소진시기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calculating the beverage exhaustion ti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개시의 음료 제조기의 컨트롤러(280)는 음료 취출기(6) 및 음료 취출 가압기구(15)를 제어하여 음료 제조팩(12) 내부에 수용된 음료를 취출할 수 있다(S401).The controller 280 of the beverage maker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take out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by controlling the beverage ejector 6 and the beverage ejection pressurizing mechanism 15 (S401).

컨트롤러(280)는 음료 취출 시, 설정 시간동안 유량감지센서(65)가 센싱한 누적취출값을 획득할 수 있다(S402).The controller 280 may acquire a cumulative dispensing value sensed by the flow rate sensor 65 for a set time during beverage dispensing (S402).

컨트롤러(280)는 S402 이후, 기 설정 주기마다 반복적으로, 설정 시간 동안 유량감지센서(65)가 센싱한 누적취출값을 획득할 수 있다(S403). 컨트롤러(280)는 기 설정 주기마다 반복적으로 센싱한 누적취출값을 이전 주기의 누적취출값과 비교하여 출수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After S402, the controller 280 may repeatedly acquire the accumulated extraction value sensed by the flow rate sensor 65 for a preset time at every preset period (S403). The controller 280 may calculate the amount of change in water extraction by comparing the accumulated extraction value repeatedly sensed for each preset period with the accumulated extraction value of the previous period.

컨트롤러(280)는 출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제1 변화량 미만이면, 설정 시간 동안 유량감지센서(65)가 센싱한 누적취출값들의 평균에 기초하여 음료 소진시기를 산출할 수 있다(S404).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brewed water is less than the first change amount, the controller 280 may calculate the beverage exhaustion time based on the average of the accumulated brew values sensed by the flow rate sensor 65 for the set time (S404).

이때 음료 소진시기는 음료 제조팩(12)에 수용된 음료 잔여 량을 누적취출값들의 평균의 비율로 산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everage exhaustion time may be calculated as a ratio of the average of the accumulated beverage extraction values for the remaining amount of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

컨트롤러(280)는 산출한 음료 소진시기를 디스플레이(미도시)에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80 may output the calculated beverage exhaustion time to a display (not shown).

구체적으로 컨트롤러(280)는 상기 유량감지센서가 설정 시간동안 센싱한 누적취출값인 제1 출수량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280)는 기 설정된 주기 이후, 유량감지센서가 상기 설정 시간동안 센싱한 누적취출값인 제2 출수량을 획득할 수 있다(S403).Specifically, the controller 280 may acquire a first water discharge amount that is an accumulated discharge value sensed by the flow rate sensor for a set time. Then, after a preset period, the controller 280 may acquire a second water discharge amount, which is an accumulated discharge value sensed by the flow rate sensor during the set time (S403).

컨트롤러(280)는 제1 출수량과 제2 출수량의 차이인 출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제1 변화량 미만이면(S404-NO), 제1 출수량과 상기 제2 출수량의 평균과 음료 제조팩(12)에 수용된 음료 잔여량의 비율에 기초하여 음료 소진시기를 산출할 수 있다(S406).If the change amount of water dispensed,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water extraction amount and the second water extraction amount, is less than the preset first change amount (S404-NO), the controller 280 controls the average of the first water extraction amount and the second water extraction amount and the amount of water received in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beverage exhaustion time based on the ratio of the remaining beverage (S406).

예를 들어, 설정 시간이 24시간이고 기 설정된 주기가 일주일인 경우, 컨트롤러(280)는 설정 시간인 24시간 동안 센싱한 음료 누적취출값인 10L를 제1 출수량으로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280)는 기 설정된 주기인 일주일이 지난 후, 설정 시간인 24시간 동안 센싱한 음료 누적취출값인 12L를 제2 출수량으로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t time is 24 hours and the preset cycle is one week, the controller 280 may acquire 10L, which is the accumulated beverage dispensing value sensed for the set time, which is 24 hours, as the first dispensed water amount. In addition, the controller 280 may acquire 12L, which is the accumulated beverage dispensing value sensed for 24 hours, which is a set time, as the second dispensing amount after a preset period of one week has elapsed.

컨트롤러(280)는 출수 변화량으로 2L를 산출하고, 출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제1 변화량인 3L 미만이면 제1 출수량인 10L 와 제2 출수량인 12L의 평균인 11L를 평균 출수량으로 산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80 may calculate 2L as the amount of change in water output, and if the amount of change in water output is less than 3L, which is a preset first change amount, 11L, which is an average of the first water output amount of 10L and the second water output amount of 12L, may be calculated as the average water output amount.

컨트롤러(280)는 음료 제조팩(12)에 수용된 음료 잔여량과 평균 출수량 비율에 기초하여 음료 소진시기를 산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80 may calculate the beverage exhaustion time based on the ratio of the remaining amount of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12 and the average amount of water dispensed.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280)는, 제1 출수량과 상기 제2 출수량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1 변화량을 초과하는 경우(S404-YES), 상기 제2 출수량에 제1 가중치를 부여하고(S405), 제1 출수량과 상기 제1 가중치가 부여된 제2 출수량의 평균에 기초하여 음료 소진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S406).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water extraction amount and the second water extraction amount exceeds a preset first change amount (S404-YES), the controller 280 assigns a first weight to the second water extraction amount and (S405), based on the average of the first water extraction amount and the second water extraction amount to which the first weight is give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n the beverage is exhausted (S406).

구체적으로 제2 출수량에 부여되는 제1 가중치는 제1 출수량과 제2 출수량의 차이가 제1 변화량을 초과하는 경우 부여되는 것으로, 제2 출수량이 제1 출수량에 비하여 일시적으로 크게 증대되는 경우 설정 시간동안 판매되는 누적취출값의 평균 또한 크게 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시적인 취출량 증대에 따라 누적취출값의 평균이 크게 변하게 되면 일반적인 음료 취출량에 따른 음료 소진시기를 정확하게 예측하지 못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weight given to the second water extraction amount is given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water extraction amount and the second water extraction amount exceeds the first change amount. The average of the cumulative extraction values sold during the period may also vary significantly. As such, if the average of the accumulated extraction values is greatly changed according to the temporary increase in the amount of the beverage, it may not be possible to accurately predict the time of consumption of the beverage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beverage taken out in general.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2 출수량에 부여되는 제1 가중치는 1보다 작고, 상기 제1 출수량과 상기 제2 출수량의 차이가 클수록 작은 값이 부여될 수 있다. 제1 가중치가 작은 값을 가지면, 제1 가중치가 부여된 제2 출수량은 평균 출수량에 영향을 덜 미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first weight given to the second water output may be less than 1, and a smaller value may be given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water output and the second water output is greater. When the first weight has a small value, the second water output to which the first weight is assigned may have less influence on the average water discharge amount.

한편, 제2 출수량이 제1 변화량을 초과하였으나 일시적인 출수량 증대가 아닌, 음료 제조기의 음료 수요가 꾸준히 증대되는 경우, 주기적으로 획득되는 누적취출값의 평균에는, 일시적인 출수량 증대에 부여되는 가중치보다 높은 값이 부여될 필요성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water dispensed amount exceeds the first change amount, but the beverage demand of the beverage maker is steadily increasing, rather than a temporary increase in water dispensed, the average of the periodically acquired cumulative withdrawal values has a value higher than the weight given to the temporary increase in water dispensed water This needs to be given.

구체적으로 컨트롤러(280)는 제2 출수량 획득한 뒤, 기 설정된 주기 이후 유량감지센서(65)가 특정 시간동안 센싱한 누적취출값인 제3 출수량을 획득하고,Specifically, after acquiring the second water outlet, the controller 280 obtains a third water outlet, which is the accumulated discharge value sensed by the flow rate sensor 65 for a specific time after a preset period,

제1 출수량과 상기 제2 출수량의 차이 및 제1 출수량과 상기 제3 출수량의 차이가 상기 제1 변화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가중치보다 높은 제2 가중치를 상기 제3 출수량에 부여할 수 있다.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water output amount and the second water output amount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water output amount and the third water output amount exceed the first change amount, a second weight higher than the first weight may be given to the third water output amount .

컨트롤러(280)는 제1 출수량, 제1 가중치가 부여된 제2 출수량 및 상기 제2 가중치가 부여된 제3 출수량의 평균에 기초하여 음료 소진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80 may determine when the beverage is exhausted based on an average of the first water extraction amount, the second water extraction amount to which the first weight is given, and the third water extraction amount to which the second weight is applied.

이후, 컨트롤러(280)는 잔여 음료 양이 기 설정된 제1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음료 취출을 종료할 수 있다(S407).Thereafter, the controller 280 may end the beverage dispensing when the remaining beverage amount is less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S407).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가 음료 제조 실시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7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performing additional beverage manufacturing pract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개시의 음료 제조기는 도 3과 같이 복수개의 발효조를 구비할 수 있다.The beverage maker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plurality of fermenters as shown in FIG. 3 .

본 개시의 컨트롤러(280)는 음료 취출 시, 유량감지센서(65)가 센싱한 누적취출값을 획득할 수 있다(S501). 컨트롤러(280)는 음료 소진시기가 기 설정된 시간 이하면, 비어있는 발효조를 선정하고 비어있는 발효조에 음료 제조를 실시할 수 있다(S503, S504, S505). 이때, 비어있는 발효조 중 음료 제조를 실시할 발효조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troller 280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acquire a cumulative dispensing value sensed by the flow rate sensor 65 when dispensing a beverage (S501). The controller 280 may select an empty fermenter and perform beverage production in the empty fermenter when the beverage exhaustion time is less than a preset time (S503, S504, S505).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the fermenter to be performed beverage production among the empty fermenter by the user.

컨트롤러(280)는 디스플레이(미도시)를 제어하여 복수개의 발효조 각각에 수용된 음료의 종류, 음료 소진시기, 음료 제조가능 여부 및 비어있는 발효조를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80 may control a display (not shown) to output the type of beverage accommodat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fermenters, a beverage exhaustion time, whether beverages can be manufactured, and an empty fermenter.

컨트롤러(280)는 음료 소진시기가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취출하기에 충분한 음료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음료 취출을 진행하거나 음료 보관모드를 실시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80 may determine that there is enough beverage to take out when the beverage exhaustion time exceeds a preset time and proceed with beverage extraction or perform beverage storage mode.

한편, 음료 제조기는 사용자로부터 제조할 음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280)는 사용자로부터 제조할 음료 종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음료 제조 실시 시 수신한 음료의 종류에 대응하는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everage maker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beverage to be prepared from the user. That is, the controller 28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type of beverage to be manufactured from the user, and manufacture a beverage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beverage received when manufacturing the beverage.

한편, 본 개시의 음료 제조기는 외부 단말기(미도시)와 통신하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everage maker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terminal (not shown).

컨트롤러(280)는 음료 취출 시 상기 유량감지센서에서 측정한 누적취출값에 기초하여 음료 가격 정보를 획득하고, 데이터 저장부(290)에 음료 가격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80 may obtain beverage price information based on the accumulated extraction value measured by the flow rate sensor when the beverage is taken out, and store the beverage price information in the data storage unit 290 .

컨트롤러(280)는 통신부를 제어하여 산출한 음료 가격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80 may transmit the beverage price information calculated by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the external terminal.

단말기는 음료 제조기와 통신하여 산출된 음료 가격정보를 수신하고 결재프로그램을 통하여 음료 제조기에서 취출한 음료의 가격을 출력할 수 있다.The terminal may communicate with the beverage maker to receive the calculated beverage price information, and output the price of the beverage taken out from the beverage maker through the payment program.

또한, 본 개시의 음료 제조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발효조 내부의 공간에 수용된 음료 제조팩에서 유동된 음료의 취출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단계, 음료 취출 시, 유량감지센서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발효조 온도 또는 상기 발효조와 상기 음료 제조팩 사이 공간(s1)의 압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beverage maker of the present disclosure,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beverage flowing out of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accommodated in the space inside the fermenter, when the beverage is taken out, the fermenter based on the sensing value of the flow rate sensor It may include adjusting the temperature or the pressure of the space (s1) between the fermenter and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발효조에서 취출되는 유량을 유량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 상기 유량감지센서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음료 관련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measuring the flow rate taken out from the at least one fermenter using a flow rate sensor, based on the sensing value of the flow rate sensor may include the step of outputting the beverage-related information to the display.

전술한 본 개시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ard Disk Drive (HDD), Solid State Disk (SSD), Silicon Disk Drive (SDD),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There is this. In addition, the computer may include a processor of the terminal.

Claims (19)

발효조;
상기 발효조 내부의 공간에 수용된 음료 제조팩;
상기 음료 제조팩과 연통되는 음료 취출유로;
상기 음료 취출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발효조에서 취출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감지센서; 및
음료 취출 시, 상기 유량감지센서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발효조 온도 또는 상기 발효조와 상기 음료 제조팩 사이 공간(s1)의 압력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유량감지센서가 설정 시간동안 센싱한 누적취출값인 제1 출수량을 획득하고,
기 설정된 주기 이후, 상기 유량감지센서가 상기 설정 시간동안 센싱한 누적취출값인 제2 출수량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출수량과 상기 제2 출수량의 평균에 기초하여 음료 소진시기를 산출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출수량과 상기 제2 출수량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1 변화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출수량에 제1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제1 출수량과 상기 제1 가중치가 부여된 제2 출수량의 평균에 기초하여 음료 소진시기를 판단하는,
음료 제조기.
fermenter;
a beverage preparation pack accommodated in the space inside the fermenter;
a beverage extrac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a flow rate sensor installed in the beverage extraction passage and measuring the flow rate taken out from the fermenter; and
Comprising a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er or the pressure of the space (s1) between the fermenter and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based on the sensing value of the flow rate sensor when the beverage is taken out,
the controller acquires a first water discharge amount that is a cumulative discharge value sensed by the flow rate sensor for a set time,
After a preset period, the flow rate sensor acquires a second water discharge amount, which is the accumulated discharge value sensed during the set time,
Calculating the drink exhaustion time based on the average of the first water extraction amount and the second water extraction amount,
The controller is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water output amount and the second water output amount exceeds a preset first change amount, a first weight is given to the second water output amount;
determining the beverage exhaustion time based on the average of the first water extraction amount and the second water extraction amount to which the first weight is given;
beverage mak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음료 취출 시, 상기 유량감지센서가 센싱한 누적취출값을 획득하고,
상기 누적취출값과 상기 음료 제조팩 용량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잔여 음료 양을 획득하고, 상기 잔여 음료 양에 기초하여 상기 발효조의 온도 또는 상기 발효조와 상기 음료 제조팩 사이 공간의 압력을 조절하는 음료 제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is
When the beverage is taken out, the accumulated extraction value sensed by the flow rate sensor is acquired,
A beverage for obtaining a residual beverage amount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mulative extraction value and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capacity, and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er or the pressure of the space between the fermenter and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based on the remaining beverage amount mak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잔여 음료 양이 작을수록 상기 발효조의 온도 또는 상기 발효조와 상기 음료 제조팩 사이 공간의 압력을 높게 설정하는, 음료 제조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ler is
The smaller the amount of the remaining beverage, the higher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er or the pressure of the space between the fermenter and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the beverage make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잔여 음료 양이 기 설정된 제1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음료 취출을 종료하는, 음료 제조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ler is
If the remaining beverage amount is less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the beverage maker to end the beverage dispen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유량감지센서가 센싱한 유량속도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유량속도 데이터가 기 설정된 제1 속도값 이상이면 음료 판매모드를 실시하는,
음료 제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acquires the flow rate data sensed by the flow rate sensor, and if the flow rate dat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first speed value, the beverage sales mode is performed,
beverage make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음료 판매모드 시, 상기 발효조와 상기 음료 제조팩 사이 공간의 압력을 증가시켜 음료 취출속도를 증가시키는, 음료 제조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ler increases the pressure of the space between the fermenter and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during the beverage sales mode to increase the beverage extraction speed.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발효조에 잔존하는 음료 양이 기 설정된 제2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음료 판매모드를 종료하는, 음료 제조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controller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set in the amount of the beverage remaining in the fermenter, the beverage maker to end the beverage sales mode.
적어도 하나의 발효조;
상기 발효조와 연통되는 음료 취출유로;
상기 음료 취출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발효조에서 취출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감지센서;
음료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유량감지센서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음료 관련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유량감지센서가 설정 시간동안 센싱한 누적취출값인 제1 출수량을 획득하고,
기 설정된 주기 이후, 상기 유량감지센서가 상기 설정 시간동안 센싱한 누적취출값인 제2 출수량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출수량과 상기 제2 출수량의 평균에 기초하여 음료 소진시기를 산출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출수량과 상기 제2 출수량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1 변화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출수량에 제1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제1 출수량과 상기 제1 가중치가 부여된 제2 출수량의 평균에 기초하여 음료 소진시기를 판단하는,
음료 제조기.
at least one fermenter;
a beverage extrac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fermenter;
a flow rate sensor installed in the beverage extraction passage and measuring the flow rate taken out from the fermenter;
a display for outputting beverage-related information; and
An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the beverage-related information to the display based on the sensing value of the flow rate sensor,
the controller acquires a first water discharge amount that is a cumulative discharge value sensed by the flow rate sensor for a set time,
After a preset period, the flow rate sensor acquires a second water discharge amount, which is the accumulated discharge value sensed during the set time,
Calculating the drink exhaustion time based on the average of the first water extraction amount and the second water extraction amount,
The controller is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water output amount and the second water output amount exceeds a preset first change amount, a first weight is given to the second water output amount;
determining the beverage exhaustion time based on the average of the first water extraction amount and the second water extraction amount to which the first weight is given;
beverage maker.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유량감지센서가 센싱한 누적취출값을 획득하고,
상기 누적취출값과 음료 제조팩 용량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잔여 음료 양을 획득하고,
상기 잔여 음료 양과 기 설정된 1회당 음료 취출량의 비율에 따라 가용 판매량을 획득하고,
상기 음료 관련 정보는 상기 가용 판매량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ler acquires the accumulated extraction value sensed by the flow rate sensor,
Obtaining the remaining beverage amount based on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cumulative extraction value and the beverage preparation pack capacity,
Obtaining the available sales volume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amount of the remaining beverage and the amount of beverage taken out per one time,
The beverage-related information includes the available sales volume,
beverage maker.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발효조에 수용된 음료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1회당 음료 취출량을 결정하는,
음료 제조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amount of beverage taken out per one time based on the type of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fermenter,
beverage mak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중치는 1보다 작고, 상기 제1 출수량과 상기 제2 출수량의 차이가 클수록 작은 값이 부여되는, 음료 제조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weight is less than 1, and a smaller value is given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water extraction amount and the second water extraction amount increases.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제2 출수량 획득한 뒤,
기 설정된 주기 이후 상기 유량감지센서가 특정 시간동안 센싱한 누적취출값인 제3 출수량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출수량과 상기 제2 출수량의 차이 및
상기 제1 출수량과 상기 제3 출수량의 차이가 상기 제1 변화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가중치보다 높은 제2 가중치를 상기 제3 출수량에 부여하고,
상기 제1 출수량, 상기 제1 가중치가 부여된 제2 출수량 및 상기 제2 가중치가 부여된 제3 출수량의 평균에 기초하여 음료 소진시기를 판단하는,
음료 제조기.
9. The method of claim 8,
After the controller acquires the second water output,
After a preset period, the flow rate sensor acquires a third water discharge amount, which is the accumulated discharge value sensed for a specific time,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water output amount and the second water output amount; an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water discharge amount and the third water discharge amount exceeds the first change amount,
a second weight higher than the first weight is given to the third water output;
determining a beverage exhaustion time based on an average of the first water extraction amount, the second water extraction amount to which the first weight is given, and the third water extraction amount to which the second weight is assigned;
beverage maker.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조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음료 소진시기가 기 설정된 시간 이하면, 비어있는 발효조에 음료 제조를 실시하는,
음료 제조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ermenter is provided in plurality,
the controller is
When the beverage exhaustion time is less than a preset time, the beverage is prepared in an empty fermenter,
beverage maker.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제조할 음료 종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음료 제조 실시 시 수신한 음료의 종류에 대응하는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 제조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ntroller is
Receive information on the type of beverage to be prepared, and prepare a beverage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beverage received when manufacturing the beverage;
beverage maker.
제 8항에 있어서,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음료 취출 시 상기 유량감지센서에서 측정한 누적취출값에 기초하여 음료 가격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음료 가격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료 제조기.
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The controller acquires beverage price information based on the accumulated extraction value measured by the flow rate sensor when the beverage is taken out,
Transmitting the drink pric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beverage make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77436A 2020-06-24 2020-06-24 Beverage maker KR1024452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436A KR102445209B1 (en) 2020-06-24 2020-06-24 Beverage 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436A KR102445209B1 (en) 2020-06-24 2020-06-24 Beverage ma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716A KR20210158716A (en) 2021-12-31
KR102445209B1 true KR102445209B1 (en) 2022-09-20

Family

ID=79177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436A KR102445209B1 (en) 2020-06-24 2020-06-24 Beverage m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20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56442A (en) * 2023-06-25 2023-08-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Fermentation control method, device, medium and fermentation equip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034B1 (en) * 2009-06-15 2009-12-15 홍유택 Charge system of draught be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905B1 (en) * 2018-07-12 2024-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Baverage maker
KR20200058969A (en) * 2018-11-20 2020-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Beverage mak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034B1 (en) * 2009-06-15 2009-12-15 홍유택 Charge system of draught be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716A (en) 2021-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08644B1 (en) Beer production apparatus
KR102118089B1 (en) Beer Maker
CA2550111C (en) System for dispensing metered volumes of heated water to the brew chamber of a single beverage brewer
EP3739030B1 (en) Fermentation and 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ermentation and aging apparatus
KR20200062706A (en) Beverage mak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445209B1 (en) Beverage maker
KR20200068301A (en) Beverage maker
EP3666874A1 (en) Beverage maker
KR102397733B1 (en) Beverage mak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11572535B2 (en) Fermentation and aging apparatus
EP3739031B1 (en) Fermentation and 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ermentation and aging apparatus
KR102339174B1 (en) Beverage mak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2397153B1 (en) Beverage mak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180052435A (en) Beer maker
US20200017809A1 (en) Beverage maker
KR102481851B1 (en) Baverage maker
KR102434281B1 (en) Baverage maker
US20200239817A1 (en) Beverage mak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beverage maker
KR20190051372A (en) Beverage maker
KR102420989B1 (en) Beer maker
KR20190016301A (en) Beverage maker and method for making beverage
EP3739034A1 (en) Fermentation and aging apparatus
KR102533780B1 (en) Baverage maker
KR102570610B1 (en) Baverage maker
KR102457782B1 (en) Baverage m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