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710B1 - 리니어 압축기 - Google Patents

리니어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710B1
KR102443710B1 KR1020210003339A KR20210003339A KR102443710B1 KR 102443710 B1 KR102443710 B1 KR 102443710B1 KR 1020210003339 A KR1020210003339 A KR 1020210003339A KR 20210003339 A KR20210003339 A KR 20210003339A KR 102443710 B1 KR102443710 B1 KR 102443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ffler
refrigerant
piston
suction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1387A (ko
Inventor
노기원
최기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3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710B1/ko
Priority to CN202111409862.6A priority patent/CN114753987B/zh
Priority to US17/559,448 priority patent/US12044225B2/en
Priority to EP22150719.7A priority patent/EP4027012B1/en
Publication of KR20220101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04B35/045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using soleno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0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adaptations of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61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using muffler vol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83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using blow off silenc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리니어 압축기가 제공된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aspect)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는, 냉매를 흡입하는 흡입 파이프를 구비하는 쉘; 상기 쉘의 내부에 제공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며, 피스톤 본체 및 피스톤 플랜지를 구비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며, 상기 흡입 파이프를 통하여 흡입된 냉매를 상기 피스톤 본체의 내부로 유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흡입된 냉매의 유동 소음을 저감하는 흡입 머플러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 머플러는, 상기 피스톤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머플러와, 상기 제1 머플러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머플러와 연통하는 제2 머플러, 및 상기 제1 머플러의 후단부 일부와 상기 제2 머플러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3 머플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머플러와 상기 제2 머플러는 냉매 유로를 형성하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 머플러의 플랜지와 상기 제2 머플러의 플랜지에는 각각 연통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리니어 압축기{LINEAR COMPRESSOR}
본 명세서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피스톤의 선형 왕복 운동에 의해 냉매를 압축하는 리니어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압축기는 모터나 터빈 등의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공기나 냉매 등의 작동 유체를 압축하는 장치로서, 가전 제품 및 산업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방식에 따라 왕복동식 압축기(Reciprocating compressor), 회전식 압축기(로터리 압축기, Rotary compressor), 스크롤 압축기(Scroll compressor)로 구분될 수 있다.
왕복동식 압축기는 피스톤(piston)과 실린더(cylinder) 사이에 작동 가스가 흡입 또는 토출되는 압축실이 형성되도록 하여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냉마를 압축하는 방식이고, 회전식 압축기는 편심 회전되는 롤러(roller)와 실린더 사이에 작동 가스가 흡입 또는 토출되는 압축실이 형성되고 롤러가 실린더 내벽을 따라 편심 회전되면서 냉매를 압축하는 방식이며, 스크롤 압축기는 선회 스크롤(orbiting scroll)과 고정 스크롤(fixed scroll) 사이에 작동 가스가 흡입 또는 토출되는 압축실이 형성되고 상기 선회 스크롤이 고정 스크롤을 따라 회전하면서 냉매를 압축하는 방식이다.
최근에는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 중에서 왕복 직선 운동하는 구동 모터에 피스톤을 직접 연결하여 운동 전환에 의한 기계적인 손실이 없이 압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는 리니어 압축기(Linear Compressor)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리니어 압축기는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 내부에서 피스톤이 리니어 모터에 의해 실린더 내부에서 축 방향으로 왕복 직선 운동하면서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시킨 다음 토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축 방향"은 피스톤이 왕복 운동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피스톤이 축 방향으로 실린더 내부를 왕복 운동하면서 냉매를 지속적으로 흡입, 압축, 토출시키는 과정에서는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흡입 머플러(Muffler)를 설치한 리니어 압축기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9026호(이하, "선행 특허"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선행 특허의 리니어 압축기에 구비된 흡입 머플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선행 특허의 리니어 압축기에 구비된 흡입 머플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상기 선행 특허에 개시된 흡입 머플러(2000)는 피스톤 본체(13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머플러(2100), 제1 머플러(2100)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머플러(2300), 및 제1 머플러(2100)의 적어도 일부와 제2 머플러(2300)를 수용하는 제3 머플러(2500)를 포함한다.
제1 머플러(2100)는 냉매 유로를 형성하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2110), 본체(2110)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2120), 및 플랜지(2120)의 플랜지 연결부로부터 축 방향 후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 연장부(2130)를 포함한다.
제1 머플러(2100)는 플랜지 연장부(2130)가 제3 머플러(2500)의 내부에 압입되는 것에 의해 제3 머플러(2500)와 결합된다.
그리고 제2 머플러(2300)는 제1 머플러(2100)의 후방에서 제3 머플러(2500)의 내부에 압입되는 것에 의해 제3 머플러(2500)와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의 흡입 머플러(2000)에 있어서, 제1 머플러(2100)의 본체(2110)는 피스톤 본체(130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1 머플러(2100)의 플랜지(2120)는 피스톤의 플랜지(1320)에 결합된다.
따라서, 피스톤 본체(1300)와 제1 머플러(2100)의 본체(2110)의 사이에는 배출 공간부(2110e)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머플러(2100)의 플랜지(2120)에는 배출 공간부(2110e)와 연통하는 연통공(2150)이 복수 개 형성된다.
연통공(2150)은 압축실(P)로 냉매의 흡입이 이루어질 때 흡입 공간부(2600)의 냉매 압력이 빠르게 상승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압축실(P)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 커버 측으로 배출되면, 피스톤(1300)은 상사점으로부터 하사점으로 이동하며, 이 과정에서 압축기로 흡입되는 냉매는 흡입 머플러(2000)를 통하여 피스톤(1300)의 내부로 유동하게 된다.
이 때, 흡입 공간부(2600)에서의 냉매 압력이 높고 이러한 상태가 오래 지속될수록 흡입 밸브(1350)는 더 빨리 개방되고 오랫동안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어 압축실(P)로 많은 양의 냉매가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흡입 밸브(1350)가 개방되는 시점에, 흡입 공간부(2600)에서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으면, 개방된 흡입 밸브(1350)를 통하여 압축실(P)로 유입되는 냉매량이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흡입 밸브(1350)가 개방되는 시점에 맞추어, 흡입 공간부(2600)에서의 압력이 빠르게 상승될 필요가 있다.
한편, 상기 압축실(P)에서 냉매의 배출이 이루어진 후 피스톤(1300)이 후방으로, 즉 하사점을 향하여 이동할 때 피스톤(1300)과 제1 머플러(2100)의 사이에 잔재하는 냉매의 체적에 의하여 냉매가 제1 머플러(2100)로 신속하게 유입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플랜지(2120)의 연통공(2150)은 상기 잔재하는 냉매가 후방으로 유동하여 피스톤(1300)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피스톤이 하사점을 향하여 이동할 때 냉매가 제1 머플러(2100)로 신속하게 유입되도록 한다.
도 3은 선행 특허의 리니어 압축기에 있어서, 흡입 머플러를 통하여 피스톤의 흡입 포트로 흡입되는 냉매의 유동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선행 특허의 리니어 압축기에 있어서, 종래 기술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 대비 흡입 유량이 증가됨을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는 제1 플랜지(2120)에 연통공(2150)이 구비되지 않은 리니어 압축기를 의미한다.
압축기로 흡입된 냉매는 제3 머플러(2500)의 관통공(2520)을 통하여 흡입 머플러(2000)의 내부로 유동하고, 제2 머플러(2300)의 유입공(2320a)과 제1 머플러(2100)의 유입공(2110a)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1 머플러(2100)의 본체(2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머플러(2100)의 본체(2110)의 내부의 냉매는 흡입 공간부(2600)로 유동하며, 흡입 공간부(2600)로 유동한 냉매는 흡입 밸브(1350)가 개방되면 피스톤(1300)의 흡입 포트(1330)를 통하여 압축실(P)로 흡입된다.
여기에서, 흡입 공간부(2600)는 피스톤(1300)의 본체 전면부와 제1 머플러(2100)의 전단부 사이의 공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압축실(P)의 압력이 흡입 공간부(2600)의 압력보다 높아지면, 흡입 밸브(1350)는 닫혀지며, 피스톤(130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압축실(P)의 체적은 작아져 냉매의 압축이 이루어진다.
이후, 압축실(P)의 압력이 상승하여 토출 공간의 압력보다 높아지면, 토출 밸브(도시하지 않음)가 개방되면서 냉매의 토출이 이루어진다.
이 때, 피스톤(1300)의 위치는 시간 t0에서 상사점(도 4의 P1)을 형성한다.
냉매의 토출이 이루어지면, 피스톤(1300)과 흡입 머플러(2000)는 후방으로 이동하며, 상기한 설명과 같이 흡입 머플러(2000)의 내부로 냉매의 흡입이 이루어진다. 이 때, 피스톤(1300)의 내부, 즉 피스톤(1300)과 제1 머플러(2100) 사이의 공간 또는 상기 흡입 공간부(2600)에 잔재하는 냉매는 제1 머플러(2100)의 플랜지(2110)에 구비된 연통공(2150)을 통하여 후방으로 배출되므로, 냉매는 흡입 머플러(2000)의 내부로 빠르게 흡입된다.
따라서, 흡입 공간부(2600)에서의 냉매의 감압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 피스톤 본체(1310)의 내주면과 상기 제1 머플러(2100)의 본체(2110)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잔재하는 냉매가 배출하는 유로를 가지는 배출 공간부(2110e)가 형성된다.
냉매는 흡입 공간부(2600)로부터 배출 공간부(2110e)를 통하여 후방으로 유동하며, 제1 머플러(2100)의 플랜지(2110)에 형성된 연통공(2150)을 통하여 제1 머플러(2100)로부터 배출된다.
이와 같이, 피스톤(1300)이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피스톤(1300)의 내부에는 냉매의 배출과 흡입이 함께 이루어지면서 냉매 유동의 순환이 발생될 수 있다.
도 4에는, 선행 특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경우(굵은 점선)와, 선행 특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의 구조에서 제1 머플러의 플랜지에 연통공을 형성하지 않은 종래의 리니어 압축기의 경우(얇은 점선), 흡입 공간부에서 측정된 압력분포가 도시된다.
피스톤(1300)이 상사점(P1)으로부터 하사점(P2, 시간 t3)을 향하여 이동할 때, 종래의 리니어 압축기의 경우에는 흡입 공간부에서의 압력이 감소하다가 다시 상승하는 반면, 선행 특허의 리니어 압축기의 경우에는 상사점(P1)에서의 흡입 공간부(2600)의 압력이 거의 유지됨을 알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선행 특허의 리니어 압축기의 경우가 종래의 리니어 압축기보다 면적 (A)만큼, 흡입 공간부(2600)에서의 압력이 높게 유지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흡입 공간부(2600)에서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됨으로써, 흡입 밸브(1350)가 개방되었을 때 압축실(P)로 흡입되는 냉매량이 증가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선행 특허의 리니어 압축기의 경우(굵은 실선)가, 종래의 리니어 압축기의 경우(얇은 실선)보다, 면적 (B)만큼 압축실(P)로 흡입되는 냉매량이 많음을 알 수 있다.
도 4에서, 시간 t1에서 t2 까지의 시간 구간은 흡입 밸브(1350)의 개방 구간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제1 머플러(2100)의 플랜지(2110)에 연통공(2150)을 형성하면, 냉매가 흡입 머플러(2000)를 통하여 빠르게 흡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흡입 공간부(2600)에서의 압력을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압축실(P)로 흡입되는 냉매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그런데, 도 5에 도시한 머플러 각 부분의 압력 분포를 참조하면, 선행 특허의 경우 제1 머플러(2100)의 입구 부분에서의 압력 감소를 종래의 리니어 압축기에 비해 개선함으로써 제1 머플러(2100)의 입구 부분, 제1 머플러(2100)의 출구 부분 및 흡입 포트(1330)의 입구 부분에서의 압력 감소를 종래의 리니어 압축기에 비해 각각 개선할 수는 있지만, 제3 머플러(2500)의 입구, 구체적으로는 흡입 파이프(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 유입 가이드부(1560)로부터 제2 머플러(2300)의 입구까지의 압력은 종래의 리니어 압축기와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전체적으로 압력 감소의 개선 효과가 낮고, 이에 따라 리니어 모터의 압축 효율을 효과적으로 개선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9026 (2018.07.10. 공개)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흡입 머플러의 입구단 측에서의 압력 감소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리니어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흡입 머플러의 출구단에서의 압력을 높게 형성할 수 있는 리니어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압축 효율을 효과적으로 개선한 리니어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의 일 면(aspect)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는 피스톤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머플러와, 제1 머플러의 후방에 배치되며 제1 머플러와 연통하는 제2 머플러, 및 제1 머플러의 후단부 일부와 제2 머플러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3 머플러를 포함하며, 제1 머플러와 제2 머플러는 냉매 유로를 형성하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각각 구비하고, 제1 머플러의 플랜지와 제2 머플러의 플랜지에는 각각 연통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피스톤 본체와 제1 머플러의 본체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 공간부에 잔재하는 냉매는 피스톤이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이동할 때 제1 머플러와 제2 머플러의 연통부를 통해 제3 머플러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한다.
제1 머플러의 연통부와 제2 머플러의 연통부는 해당 플랜지에 형성된 연통공을 각각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연통공에 연통하는 연통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흡입 머플러를 구비한 리니어 압축기는 제1 머플러의 플랜지에 형성된 연통부(연통공)와 연통하는 연통부를 제2 머플러의 플랜지에 형성하고 있으므로, 제3 머플러의 입구 부분에서의 압력 감소를 선행 특허에 비해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제3 머플러의 입구 부분에서의 압력 감소를 개선함에 따라, 제1 머플러의 입구 부분, 제1 머플러의 출구 부분 및 흡입 포트의 입구 부분에서의 압력 감소를 선행 특허에 비해 각각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흡입 머플러의 입구단 측에서의 압력 감소를 선행 특허에 비해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흡입 머플러의 출구단에서의 압력을 선행 특허에 비해 높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선행 특허에 비해 압축 효율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선행 특허에 따른 흡입 머플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선행 특허에 따른 흡입 머플러를 통하여 피스톤의 흡입 포트로 흡입되는 냉매의 유동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선행 특허에 따른 흡입 머플러가 채용된 리니어 압축기의 경우, 종래 기술 대비 흡입 유량이 증가됨을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다.
도 5는 선행 특허에 따른 흡입 머플러가 채용된 리니어 압축기의 경우, 종래 기술 대비 압력 감소가 개선됨을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쉘 및 쉘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Ⅵ-Ⅵ'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흡입 머플러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흡입 머플러에 구비된 제2 머플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제1 실시 예의 흡입 머플러가 채용된 리니어 압축기의 경우, 선행 특허 대비 압력 감소가 개선됨을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흡입 머플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흡입 머플러에 구비된 제2 머플러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흡입 머플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흡입 머플러에 구비된 제2 머플러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흡입 머플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흡입 머플러에 구비된 제1 머플러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흡입 머플러에 구비된 제2 머플러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discloser)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명세서(discloser)의 용어는 document, specification, description 등의 용어로 대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쉘 및 쉘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Ⅵ-Ⅵ'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10)에는 쉘(101) 및 상기 쉘(101)에 결합되는 쉘 커버(102, 103)가 구비된다. 넓은 의미에서, 상기 제1 쉘 커버(102)와 제2 쉘 커버(103)는 상기 쉘(101)의 일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쉘(101)의 하측에는 레그(5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그(50)는 상기 리니어 압축기(10)가 설치되는 제품의 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한 예로, 상기 제품에는 냉장고가 포함되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냉장고의 기계실 베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품에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가 포함되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실외기의 베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쉘(101)은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가로 방향 또는 수평 방향 또는 축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6을 기준으로, 상기 쉘(101)은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반경 방향으로는 다소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리니어 압축기(10)는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으므로, 상기 리니어 압축기(10)가 냉장고의 기계실 베이스에 설치될 때, 상기 기계실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쉘(101)의 외면에는 터미널(108)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108)은 외부 전원을 리니어 압축기의 모터 어셈블리에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이해된다. 상기 터미널(108)은 코일(141c, 도 8 참조)의 리드선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108)의 외측에는 브라켓(109)이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109)에는 상기 터미널(108)을 둘러싸는 다수의 브라켓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09)은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상기 터미널(108)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쉘(101)의 양 측부는 개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구된 쉘(101)의 양측부에는 상기 쉘 커버(102, 103)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쉘 커버(102, 103)는 상기 쉘(101)의 개구된 일 측부에 결합되는 제1 쉘 커버(102) 및 상기 쉘(101)의 개구된 타 측부에 결합되는 제2 쉘 커버(103)를 포함한다. 상기 쉘 커버(102,103)에 의하여 상기 쉘(101)의 내부 공간은 밀폐될 수 있다.
도 6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쉘 커버(102)는 상기 리니어 압축기(10)의 우측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 쉘 커버(103)는 상기 리니어 압축기(10)의 좌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쉘 커버(102, 103)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니어 압축기(10)에는 상기 쉘(101) 또는 쉘 커버(102, 103)에 구비되어, 냉매를 흡입, 토출 또는 주입시킬 수 있는 다수의 파이프(104, 105, 106)가 더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파이프(104, 105, 106)에는, 냉매가 상기 리니어 압축기(10)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 파이프(104)와, 압축된 냉매가 상기 리니어 압축기(10)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토출 파이프(105) 및 냉매를 상기 리니어 압축기(10)에 보충하기 위한 프로세스 파이프(106)가 포함된다.
상기 흡입 파이프(104)는 상기 제1 쉘 커버(102)에 결합될 수 있다. 냉매는 상기 흡입 파이프(104)를 통하여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리니어 압축기(1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토출 파이프(105)는 상기 쉘(101)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흡입 파이프(104)를 통하여 흡입된 냉매는 축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된 냉매는 상기 토출 파이프(105)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토출 파이프(105)는 상기 제1 쉘 커버(102)보다 상기 제2 쉘 커버(103)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는 상기 쉘(101)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를 통하여 상기 리니어 압축기(10)의 내부로 냉매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 토출 파이프(105)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는 상기 토출 파이프(105)와 다른 높이에서 상기 쉘(101)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높이"는 상기 레그(50)로부터의 수직 방향(또는 반경 방향)으로의 거리로서 이해된다.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가 결합되는 지점에 대응하는 쉘(101)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 쉘 커버(103)의 적어도 일부분이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2 쉘 커버(103)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를 통하여 주입된 냉매의 저항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냉매의 유로 관점에서, 상기 프로세스 파이프(106)를 통하여 유입되는 냉매의 유로의 크기는, 상기 쉘(101)의 내부공간으로 진입하면서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냉매의 압력이 감소하여 냉매의 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고, 냉매에 포함된 유분이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유분이 분리된 냉매가 피스톤(130)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냉매의 압축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유분은 냉각 시스템에 존재하는 작동유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1 쉘 커버(102)의 내측면에는 커버 지지부(102a)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 지지부(102a)에는 후술할 제2 지지장치(18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지지부(102a) 및 상기 제2 지지장치(102a)는 리니어 압축기(10)의 본체를 지지하는 장치로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의 본체는 상기 쉘(101)의 내부에 구비되는 부품을 의미하며, 한 예로 전후 왕복 운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에는 피스톤(130), 마그넷 프레임(138), 영구자석(146), 서포터(137) 및 흡입 머플러(200)등과 같은 부품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에는 공진 스프링(176a, 176b), 리어 커버(170), 스테이터 커버(149), 제1 지지장치(165) 및 제2 지지장치(185)등과 같은 부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쉘 커버(102)의 내측면에는 스토퍼(102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02b)는 상기 리니어 압축기(10)의 운반 중 발생하는 진동 또는 충격등에 의하여 상기 압축기의 본체, 특히 모터 어셈블리(도시하지 않음)가 상기 쉘(101)에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이해된다.
상기 스토퍼(102b)는 후술할 리어 커버(170)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리니어 압축기(10)에 흔들림이 발생할 때, 상기 리어 커버(170)가 상기 스토퍼(102b)에 간섭됨으로써, 상기 모터 어셈블리(도시하지 않음)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쉘(101)의 내주면에는 스프링 체결부(10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체결부(101a)는 상기 제2 쉘 커버(103)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체결부(101a)는 후술할 제1 지지장치(165)의 제1 지지 스프링(16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체결부(101a)와 상기 제1 지지장치(165)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압축기의 본체는 상기 쉘(101)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Ⅵ-Ⅵ'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10)에는, 상기 쉘(101)의 내부에 제공되는 실린더(120)와, 상기 실린더(120)의 내부에서 왕복 직선 운동하는 피스톤(130) 및 상기 피스톤(130)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리니어 모터를 구비한 모터 어셈블리(도시하지 않음)가 포함된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도시하지 않음)가 구동하면, 상기 피스톤(130)은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상기 리니어 압축기(10)에는 상기 피스톤(130)에 결합되며, 상기 흡입 파이프(104)를 통하여 흡입된 냉매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흡입 머플러(2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흡입 파이프(104)를 통하여 흡입된 냉매는 상기 흡입 머플러(200)를 거쳐 상기 피스톤(130)의 내부로 유동한다. 한 예로, 냉매가 상기 흡입 머플러(2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매의 유동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머플러(200)에는 다수의 머플러(210, 230, 250)가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머플러(210, 230, 250)에는 서로 결합되는 제1 머플러(210), 제2 머플러(230) 및 제3 머플러(250)가 포함된다.
상기 제1 머플러(210)는 상기 피스톤(130)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 머플러(230)는 상기 제1 머플러(210)의 후방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3 머플러(250)는 상기 제2 머플러(230)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제1 머플러(210)의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냉매의 유동 방향 관점에서, 상기 흡입 파이프(104)를 통하여 흡입된 냉매는 상기 제3 머플러(250), 제2 머플러(230) 및 제1 머플러(210)를 차례로 통과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냉매의 유동 소음은 저감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머플러(200)에는 머플러 필터(28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머플러 필터(280)는 상기 제1 머플러(210)와 상기 제2 머플러(230)가 결합되는 경계면에 위치될 수 있다. 한 예로, 상기 머플러 필터(280)는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머플러 필터(280)의 외주부는 상기 제1 및 제2 머플러(210, 230)의 사이에 지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축 방향"은 상기 피스톤(130)이 왕복 운동하는 방향, 즉 도 8에서 가로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 방향" 중에서, 상기 흡입 파이프(104)로부터 압축실(P)을 향하는 방향, 즉 냉매가 유동하는 방향은 "전방"으로 이해될 수 있고, 그 반대 방향은 "후방"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반경 방향"은 상기 피스톤(130)이 왕복 운동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서, 도 8의 세로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130)은 대략 원통 형상의 피스톤 본체(131) 및 상기 피스톤 본체(13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스톤 플랜지(132)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 본체(131)는 상기 실린더(120)의 내부에서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며, 상기 피스톤 플랜지(132)는 상기 실린더(120)의 외측에서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20)는 상기 제1 머플러(210)의 적어도 일부분 및 상기 피스톤 본체(131)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120)의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130)에 의하여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실(P)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본체(131)의 전면부에는 상기 압축실(P)로 냉매를 유입시키는 흡입 포트(133)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 포트(133)의 전방에는 상기 흡입 포트(133)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흡입 밸브(135)가 제공된다. 상기 흡입 밸브(135)의 대략 중심부에는 밸브 체결부재(134)가 결합되는 제2 체결공(135a)이 형성된다.
상기 밸브 체결부재(134)는 상기 흡입 밸브(135)를 상기 피스톤(130)의 제1 체결공(131b)에 결합시키는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공(131b)은 상기 피스톤(130)의 전단면의 대략 중심부에 형성된다. 상기 밸브 체결부재(134)는 상기 흡입 밸브(135)의 제2 체결공(135a)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체결공(131b)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130)은 대략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스톤 본체(131) 및 상기 피스톤 본체(131)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피스톤 플랜지(132)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 본체(131)의 전방부에는 상기 제1 체결공(131b)이 형성되는 본체 전면부(131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 전면부(131a)에는 상기 흡입 밸브(135)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차폐되는 흡입 포트(133)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 포트(133)는 다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 개의 흡입 포트(133)는 상기 제1 체결공(131b)의 외측에 형성된다.
상기 다수 개의 흡입 포트(133)는 상기 제1 체결공(131b)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예로, 흡입 포트(133)는 8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본체(131)의 후방부는 냉매의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개구된다. 상기 흡입 머플러(200) 중 적어도 일부, 즉 제1 머플러(210)는 피스톤 본체의 개구된 후방부를 통하여 상기 피스톤 본체(13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플랜지(132)는 상기 피스톤 본체(131)의 후방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 본체(132a) 및 상기 플랜지 본체(132a)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연장되는 피스톤 체결부(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체결부(132b)에는 소정의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피스톤 체결공(132c)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피스톤 체결공(132c)을 관통하여, 마그넷 프레임(138) 및 상기 서포터(137)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체결부(132b)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피스톤 체결부(132b)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플랜지 본체(132a)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축실(P)의 전방에는, 상기 압축실(P)에서 배출된 냉매의 토출 공간(160a)을 형성하는 토출 커버(160) 및 상기 토출 커버(160)에 결합되며 상기 압축실(P)에서 압축된 냉매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토출 밸브 어셈블리(161, 163)가 제공된다. 상기 토출 공간(160a)은 토출 커버(160)의 내부 벽에 의하여 구획되는 다수의 공간부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공간부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며,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토출 밸브 어셈블리(161, 163)는 상기 압축실(P)의 압력이 토출 압력 이상이 되면 개방되어 냉매를 상기 토출 커버(160)의 토출 공간(160a)으로 유입시키는 토출 밸브(161) 및 상기 토출 밸브(161)와 토출 커버(160)의 사이에 제공되어 축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조립체(163)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 조립체(163)는 밸브 스프링(도시하지 않음) 및 상기 밸브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상기 토출 커버(160)에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지지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예로, 상기 밸브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은 판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지지부(도시하지 않음)는 사출 공정에 의하여 상기 밸브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토출 밸브(161)는 상기 밸브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결합되며, 상기 토출 밸브(161)의 후방부 또는 후면은 상기 실린더(120)의 전면에 지지 가능하도록 위치된다.
상기 토출 밸브(161)가 상기 실린더(120)의 전면에 지지되면 상기 압축실(P)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토출 밸브(161)가 상기 실린더(120)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압축실(P)은 개방되어, 상기 압축실(P) 내부의 압축된 냉매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압축실(P)은 상기 흡입 밸브(135)와 상기 토출 밸브(161)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밸브(135)는 상기 압축실(P)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 밸브(161)는 상기 압축실(P)의 타측, 즉 상기 흡입 밸브(135)의 반대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130)이 상기 실린더(120)의 내부에서 축 방향으로 왕복 직선운동 하는 과정에서, 상기 압축실(P)의 압력이 토출 압력보다 낮고 흡입 압력 이하가 되면 상기 토출 밸브(161)는 닫히고 상기 흡입 밸브(135)가 개방되어 냉매는 상기 압축실(P)으로 흡입된다.
반면에, 상기 압축실(P)의 압력이 상기 흡입 압력 이상이 되면 상기 흡입 밸브(135)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압축실(P)의 냉매가 압축된다.
한편, 상기 압축실(P)의 압력이 상기 토출 압력 이상이 되면, 상기 밸브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전방으로 변형하면서 상기 토출 밸브(161)를 개방시키고, 냉매는 상기 압축실(P)로부터 토출되어, 토출 커버(160)의 토출 공간(160a)으로 배출된다.
상기 냉매의 배출이 완료되면, 상기 밸브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은 상기 토출 밸브(161)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토출 밸브(161)가 닫혀지도록 한다.
상기 리니어 압축기(10)에는, 상기 토출 커버(160)에 결합되며 상기 토출 커버(160)의 토출 공간(160a)을 유동한 냉매를 배출시키는 커버 파이프(162a)가 더 포함된다. 한 예로, 상기 커버 파이프(162a)는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니어 압축기(10)에는, 상기 커버 파이프(162a)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 파이프(162a)를 유동하는 냉매를 상기 토출 파이프(105)로 전달하는 루프 파이프(162b)가 더 포함된다. 상기 루프 파이프(162b)의 일측부는 상기 커버 파이프(162a)에 결합될 수 있고, 타측부는 상기 토출 파이프(10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루프 파이프(162b)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루프 파이프(162b)는 상기 커버 파이프(162a)로부터 상기 쉘(101)의 내주면을 따라 라운드지게 연장되어 상기 토출 파이프(105)에 결합될 수 있다. 한 예로, 상기 루프 파이프(162b)는 감겨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리니어 압축기(10)에는 상기 실린더(120)를 고정시키는 프레임(110)이 더 포함된다. 한 예로, 상기 실린더(120)는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에 압입(壓入, press fitting)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20) 및 프레임(110)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실린더(1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실린더(120)는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 커버(160)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11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도시하지 않음)에는, 상기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1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아우터 스테이터(141)와,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너 스테이터(148) 및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와 이너 스테이터(148)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는 영구자석(146)이 포함된다.
상기 영구자석(146)은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 및 이너 스테이터(148)와의 상호 전자기력에 의하여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구자석(146)은 1개의 극을 가지는 단일 자석으로 구성되거나, 3개의 극을 가지는 다수의 자석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146)은 마그넷 프레임(138)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 프레임(138)은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와 이너 스테이터(148)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8의 단면도를 기준으로, 상기 마그넷 프레임(138)은 상기 피스톤 플랜지(132)에 결합되어 외측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146)은 상기 마그넷 프레임(138)의 전방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146)이 왕복 운동할 때, 상기 피스톤(130)은 상기 영구자석(146)과 함께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에는 코일 권선체(141b, 141c 141d) 및 스테이터 코어(141a)가 포함된다. 상기 코일 권선체(141b, 141c, 141d)에는 보빈(141b) 및 상기 보빈의 원주 방향으로 권선된 코일(141c)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 권선체(141b, 141c, 141d)에는 상기 코일(141c)에 연결되는 전원선이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의 외부로 인출 또는 노출되도록 가이드 하는 단자부(141d)가 더 포함된다. 상기 단자부(141d)는 프레임(110)의 단자 삽입부에 삽입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141a)에는 복수 개의 라미네이션(lamination)이 원주 방향으로 적층되어 구성된 다수의 코어 블럭이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코어 블럭은 상기 코일 권선체(141b, 141c)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의 일측에는 스테이터 커버(149)가 제공된다. 즉,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41)의 일측부는 상기 프레임(110)에 의하여 지지되며, 타측부는 상기 스테이터 커버(149)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리니어 압축기(10)에는 상기 스테이터 커버(149)와 상기 프레임(110)을 체결하기 위한 커버 체결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더 포함된다. 상기 커버 체결부재(도시하지 않음)는 상기 스테이터 커버(149)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110)을 향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110)의 제1 체결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스테이터(148)는 상기 프레임(110)의 외주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 스테이터(148)는 복수 개의 라미네이션이 상기 프레임(110)의 외측에서 원주 방향으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상기 리니어 압축기(10)에는 상기 피스톤(130)을 지지하는 서포터(137)가 더 포함된다. 상기 서포터(137)는 상기 피스톤(130)의 후측에 결합되며, 그 내측에는, 상기 흡입 머플러(200)가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플랜지(132), 마그넷 프레임(138) 및 상기 서포터(137)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137)에는 밸런스 웨이트(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밸런스 웨이트(도시하지 않음)의 중량은 압축기 본체의 운전 주파수 범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리니어 압축기(10)에는 상기 스테이터 커버(149)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며 제2 지지장치(185)에 의하여 지지되는 리어 커버(1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리어 커버(170)에는 3개의 지지 레그가 포함되며, 상기 3개의 지지 레그는 상기 스테이터 커버(149)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3개의 지지 레그와 상기 스테이터 커버(149)의 후면 사이에는 스페이서(도시하지 않음)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도시하지 않음)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스테이터 커버(149)로부터 상기 리어 커버(170)의 후단부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커버(170)는 상기 서포터(137)에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리니어 압축기(10)에는 상기 리어 커버(170)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 머플러(200)로의 냉매 유입을 가이드 하는 유입 가이드부(156)가 더 포함된다. 상기 유입 가이드부(156)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흡입 머플러(20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리니어 압축기(10)에는 상기 피스톤(130)이 공진 운동할 수 있도록 각 고유 진동수가 조절된 복수의 공진 스프링(176a, 176b)이 더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공진 스프링(176a, 176b)에는 상기 서포터(137)와 스테이터 커버(149)의 사이에 지지되는 제1 공진 스프링(176a) 및 상기 서포터(137)와 리어 커버(170)의 사이에 지지되는 제2 공진 스프링(176b)이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공진 스프링(176a, 176b)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리니어 압축기(10)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는 구동부의 안정적인 움직임이 수행되며, 상기 구동부의 움직임에 따른 진동 또는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서포터(137)에는 상기 제1 공진 스프링(176a)에 결합되는 제1 스프링 지지부(도시하지 않음)가 포함된다.
상기 리니어 압축기(10)에는 상기 토출 커버(160)에 결합되며 상기 압축기(10)의 본체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장치(16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1 지지장치(165)는 상기 제2 쉘 커버(103)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압축기(10)의 본체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장치(165)에는, 제1 지지 스프링(166)이 포함된다. 상기 제1 지지 스프링(166)은 상기 스프링 체결부(101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니어 압축기(10)에는 상기 리어 커버(170)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기(10)의 본체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장치(18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2 지지장치(185)는 상기 제1 쉘 커버(102)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기(10)의 본체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장치(185)에는 제2 지지 스프링(186)이 포함된다.
상기 제2 지지 스프링(186)은 상기 커버 지지부(102a)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흡입 머플러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구비된 제2 머플러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제1 실시 예의 흡입 머플러가 채용된 리니어 압축기의 경우, 선행 특허 대비 압력 감소가 개선됨을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입 머플러(200)에는 다수의 머플러(210, 230, 250)가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머플러(210, 230, 250)는 서로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머플러(210, 230, 250)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어 용이하게 압입 결합되며, 냉매의 유동과정에서 상기 다수의 머플러(210, 230, 250)를 통한 열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흡입 머플러(200)는 제1 머플러(210), 상기 제1 머플러(210)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2 머플러(230), 상기 제1 머플러(210)와 제2 머플러(230)에 의하여 지지되는 머플러 필터(280), 상기 제1 및 제2 머플러(210, 230)에 결합되며 상기 유입 가이드부(156)가 삽입되는 제3 머플러(25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3 머플러(250)는 상기 제2 머플러(230)의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3 머플러(250)에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본체(251)가 포함된다. 상기 제3 머플러(250)의 본체(251)는 전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3 머플러(250)의 후면부에는 상기 유입 가이드부(156)가 삽입되는 관통공(25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52)은 상기 흡입 머플러(200)로 냉매의 유입을 가이드 하는 "유입구"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3 머플러(250)에는 상기 제3 머플러(250)의 후면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돌출부(253)가 더 포함된다. 상기 돌출부(253)는 상기 관통공(252)의 외주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유입 가이드부(156)는 상기 돌출부(253)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3 머플러(250)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머플러(210, 230)가 결합될 수 있다. 한 예로, 상기 제1 및 제2 머플러(210, 230)는 상기 제3 머플러(250)의 내주면에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 머플러(25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 머플러(230)가 결합되는 단차부(254)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머플러(230)가 상기 제3 머플러(250)의 내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3 머플러(250)에 압입될 때, 상기 제2 머플러(230)는 상기 단차부(254)에서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차부(254)는 상기 제2 머플러(230)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1 머플러(210)는 상기 제2 머플러(230)의 전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3 머플러(250)의 내주면에 압입된다. 상기 제1 및 제2 머플러(210, 230)가 결합되는 경계부에는 상기 머플러 필터(280)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2 머플러(230)는 냉매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로부터 하류를 향하여 냉매의 유로 단면적이 변화하도록 구성되는 본체(231)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머플러(230)의 본체(231)의 후단부에는 상기 유입 가이드부(156)에서 배출된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공(232a)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머플러(230)의 본체(231)는 상기 유입공(232a)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일정한 내경을 가지도록 연장되는 제1 파트(231a) 및 상기 제1 파트(231a)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파트(231a)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제2 파트(231b)가 포함된다. 상기 제2 머플러(230)의 유입공(232a)은 상기 제1 파트(231a)의 후단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2 머플러(230)의 유입공(232a)을 통하여 상기 제2 머플러(23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제1 파트(231a)에서 상기 제2 파트(231b)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감소된 유동 단면적을 가지는 유로를 지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머플러(230)의 본체(231)의 전단부에는 상기 제2 파트(231b)를 통과한 냉매를 배출하는 배출공(232b)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머플러(230)의 배출공(232b)은 상기 제2 파트(231b)의 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머플러(230)에는 상기 본체(231)의 전방부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233) 및 상기 플랜지(233)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 연장부(234)가 포함된다. 상기 플랜지 연장부(234)는 상기 제3 머플러(250)의 내주면에 압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머플러(230)의 플랜지(233)와 상기 플랜지 연장부(234)의 경계부, 즉 반경 방향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꺽여지는 부분은 상기 제3 머플러(250)의 단차부(254)에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턱"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 연장부(234)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 단면적은 상기 제2 파트(231b)의 유로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머플러(230)의 본체(231)에서 배출된 냉매는 상기 플랜지 연장부(234)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확산될 수 있다. 상기 냉매의 확산에 의하여 냉매의 유속은 감소하므로 소음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 예로, 제2 머플러(230)는 4 내지 5kHz 범위의 고주파 대역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머플러(230)에서 배출된 냉매는 상기 머플러 필터(280)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머플러(21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머플러(210)에는 상기 머플러 필터(280)의 전방, 즉 냉매의 유동을 기준으로 하류측에 위치하는 본체(211)가 포함된다. 상기 제1 머플러(210)의 본체(21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머플러 본체(211)의 내부공간은 냉매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제1 머플러(210)의 본체(211)의 후단부에는 상기 머플러 필터(280)를 통과한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공(21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머플러(210)의 본체(211)의 전단부에는 상기 본체(211)를 통과한 냉매가 배출되는 배출공(211b)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머플러(210)에는 상기 본체(211)의 후방부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212)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1 머플러(210)의 플랜지(212)는 상기 피스톤(130)의 피스톤 플랜지부(1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머플러(210)의 플랜지(212)의 반경 방향 외측부에는 피스톤(130)의 체결홈(도시하지 않음)에 결합되는 피스톤 결합부(212a)가 포함된다. 상기 체결홈(도시하지 않음)은 피스톤 플랜지부(13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머플러(250)에는 상기 피스톤 결합부(212a)에 결합되는 피스톤 결합부(251a)가 포함된다.
상기 제3 머플러(250)의 피스톤 결합부(251a)는 상기 제3 머플러 본체(251)의 전방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결합부(212a, 251a)는 상기 서포터(137)와 상기 피스톤 플랜지부(132)의 사이에 개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결합부(251a)는 상기 제3 머플러 본체(251)에 대하여 외측 반경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3 머플러(250)의 본체(251)와 상기 피스톤 결합부(251a)가 이루는 각도(θ)는 60도보다는 크고 90도보다는 작은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결합부(251a)는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피스톤 결합부(212a, 251a)가 상기 서포터(137)와 상기 피스톤 플랜지부(132)의 사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 머플러(2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관성력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 결합부(212a, 251a)는 서로 밀착 또는 이격되는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흡입 머플러(200)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머플러(210)에는 상기 플랜지(21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 연장부(213)가 포함된다. 상기 플랜지 연장부(213)는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랜지 연장부(213)는 상기 제3 머플러(250)의 내주면에 압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머플러(210)의 플랜지(212)에는 상기 플랜지 연장부(213)가 연결되는 플랜지 연결부(214)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 연장부(213)는 상기 머플러 필터(280)의 전방부를 지지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머플러 필터(280)는 상기 제1 머플러(210)의 플랜지 연장부(213)와 상기 제2 머플러(230)의 플랜지 연장부(234)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1 머플러(210)의 본체(211)는 냉매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로부터 하류를 향하여 냉매의 유로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머플러(210)의 배출공(211b)의 주위로 제1 머플러(210)의 본체(211)에는 상기 배출공(211b)에서 배출된 냉매를 상기 흡입 포트(133) 측으로 가이드 하는 흡입 가이드부(220)가 포함된다.
상기 흡입 가이드부(220)는 상기 제1 머플러(210)의 본체(211)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상기 흡입 가이드부(220)에는 상기 제1 머플러(210)의 본체(211)의 외주면 일 지점으로부터 외측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221) 및 상기 제1 연장부(221)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는 제2 연장부(223)가 포함된다.
상기 제1 머플러(210)의 플랜지(212)에는 플랜지 연통공(215)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공(215)은 상기 압축실(P)로 냉매의 흡입이 이루어질 때 흡입 공간부(260, 도 8 참조)의 냉매 압력이 빠르게 상승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압축실(P)에서 압축된 냉매가 상기 토출 커버(160)측으로 배출되면, 상기 피스톤(130)은 상사점으로부터 하사점으로 이동하며, 이 과정에서 압축기(10)로 흡입되는 냉매는 상기 흡입 머플러(200)를 통하여 상기 피스톤(130)의 내부로 유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흡입 공간부(260)에서의 냉매 압력이 높고 이러한 상태가 오래 지속될수록 흡입 밸브(135)는 더 빨리 개방되고 오랫동안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압축실(P)로 많은 양의 냉매가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흡입 밸브(135)가 개방되는 시점에, 상기 흡입 공간부(260)에서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으면 상기 개방된 흡입 밸브(135)를 통하여 상기 압축실(P)로 유입되는 냉매량이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 밸브(135)가 개방되는 시점에 맞추어, 상기 흡입 공간부(260)에서의 압력이 빠르게 상승될 필요가 있다.
한편, 상기 압축실(P)에서 냉매의 배출이 이루어진 후 상기 피스톤(130)이 후방으로, 즉 하사점을 향하여 이동할 때 상기 피스톤(130)과 제1 머플러(210)의 사이에 잔재하는 냉매의 체적에 의하여 냉매가 상기 제1 머플러(210)로 신속하게 유입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통공(215)은 상기 잔재하는 냉매가 후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피스톤(130)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구성으로서 이해된다.
상기 연통공(215)은 상기 제1 머플러(210)의 플랜지(212)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공(215)은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연통공(215)이 상기 제1 머플러(210)의 플랜지(212)의 특정 위치에 치우쳐져 배치되는 경우에는 냉매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 개의 연통공(215)이 상기 제1 머플러(210)의 본체(211)를 기준으로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고르게 분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잔재하는 냉매가 후방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플랜지 연통공(215)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상기 연통공(215)은 상기 플랜지 연결부(214)와 상기 제1 머플러(210)의 본체(211)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통공(215)을 통하여 후방으로 배출되는 냉매는 상기 플랜지 연장부(213)의 내부로 유동되며, 상기 흡입 머플러(200)로 흡입된 냉매와 함께, 상기 제1 머플러(210)의 유입공(211a)을 통하여 상기 제1 머플러 본체(21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 머플러(200)의 입구단 측에서의 압력 감소를 개선하기 위해, 상기 제2 머플러(230)의 플랜지(233)에는 제1 머플러(210)의 플랜지 연통공(215)과 연통하는 연통공(235)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공(235)은 상기 제2 머플러(230)의 플랜지(233)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공(235)은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예로, 제1 머플러(210)를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2 머플러(230)의 연통공(235)은 제1 머플러(210)의 연통공(215)과 중첩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머플러(210)의 연통공(215)을 통하여 후방으로 배출되는 냉매는 제2 머플러(230)의 연통공(235)을 통해 제3 머플러(250)의 내부로 유동되며, 상기 흡입 머플러(200)로 흡입된 냉매와 함께, 상기 제1 머플러 유입공(211a)을 통하여 상기 제1 머플러 본체(21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흡입 머플러가 채용된 리니어 압축기의 경우, 선행 특허 대비 압력 감소가 개선됨을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다.
압축기(10)로 흡입된 냉매는 상기 제3 머플러(250)의 관통공(252)을 통하여 상기 흡입 머플러(200)의 내부로 유동한다.
상기 냉매는 상기 제2 머플러(230)를 거치며, 상기 제1 머플러(210)의 유입공(211a)을 통하여 상기 제1 머플러(210)의 본체(21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머플러(210)의 본체(211)의 내부의 냉매는 흡입 공간부(260)로 유동하며, 상기 흡입 밸브(135)가 개방되면 피스톤(130)의 흡입 포트(133)를 통하여 압축실(P)로 흡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 공간부(260)는 상기 피스톤(130)의 본체 전면부(131a)와 상기 흡입 머플러(200)의 전단부, 즉 상기 제1 머플러(210)의 전단부 사이의 공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압축실(P)의 압력이 상기 흡입 공간부(260)의 압력보다 높아지면, 상기 흡입 밸브(135)는 닫혀지며, 상기 피스톤(13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압축실(P)의 체적은 작아져 냉매의 압축이 이루어진다.
상기 압축실(P)의 압력이 상승하여 상기 토출 공간(160a)의 압력보다 높아지면, 상기 토출 밸브(161)는 개방되면서 냉매의 토출이 이루어진다.
냉매의 토출이 이루어지면, 상기 피스톤(130)과 흡입 머플러(200)는 후방으로 이동하며, 상기한 설명과 같이 상기 흡입 머플러(200)의 내부로 냉매의 흡입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피스톤(130)의 내부, 즉 상기 피스톤(130)과 상기 제1 머플러(210) 사이의 공간 또는 상기 흡입 공간부(260)에 잔재하는 냉매는 상기 제1 머플러(210)의 연통공(215)과 제2 머플러(230)의 연통공(235)을 통하여 후방으로 배출되므로, 냉매는 상기 흡입 머플러(200)의 내부로 빠르게 흡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 공간부(260)에서의 냉매의 감압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 피스톤 본체(131)의 내주면과 상기 제1 머플러(210)의 본체(211)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잔재하는 냉매가 배출하는 유로를 가지는 배출 공간부(211e)가 형성된다. 냉매는 상기 흡입 공간부(260)로부터 상기 배출 공간부(211e)를 통하여 후방으로 유동하며, 상기 제1 머플러(210)의 연통공(215)과 상기 제2 머플러(230)의 연통공(235)을 통하여 상기 제3 머플러(250)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스톤(130)이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피스톤(130)의 내부에는 냉매의 배출과 흡입이 함께 이루어지면서 냉매 유동의 순환이 발생될 수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흡입 머플러의 경우와, 선행 특허의 흡입 머플러의 여러 지점에서 측정한 압력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 특허의 경우, 유입 가이드부(156)에서 측정된 압력과 제2 머플러(230)의 내부에서 측정된 압력의 차이가 대략 7,000 파스칼(Pa) 정도이지만, 본 실시 예의 경우, 유입 가이드부(156)에서 측정된 압력과 제2 머플러(230)의 내부에서 측정된 압력의 차이가 대략 5,000 파스칼(Pa) 정도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흡입 머플러(200)의 입구단 측에서의 압력 감소를 선행 특허에 비해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경우, 흡입 머플러(200)의 입구단 측에서의 압력 감소가 개선됨으로 인해 흡입 머플러(200)의 출구단에서의 압력도 선행 특허에 비해 개선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선행 특허의 경우 유입 가이드부에서 측정된 압력과 흡입 포트 입구에서 측정된 압력의 차이가 대략 9,000 파스칼(Pa) 정도이지만, 본 실시 예의 경우, 유입 가이드부(156)에서 측정된 압력과 제2 머플러(230)의 내부에서 측정된 압력의 차이가 대략 7,000 파스칼(Pa) 정도인 것을 알 수 있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흡입 머플러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제1 실시 예의 흡입 머플러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흡입 머플러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흡입 머플러에 구비된 제2 머플러의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예에 따른 흡입 머플러는 기본적으로 전술한 제1 실시 예의 흡입 머플러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제2 머플러(230A)의 구조에 있어서만 전술한 제1 실시 예의 흡입 머플러와 차이가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흡입 머플러(200A)의 제2 머플러(230A)는 연통공(235)과 연결되는 연통관(237A)을 더 구비하며, 연통관(237A)은 플랜지 연장부(234)와 동일한 방향으로 플랜지(233)로부터 연장되며, 플랜지 연장부(234)보다는 짧게 형성된다.
한 예로, 연통관(237A)의 단부는 제2 파트(231b)의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연통관(237A)의 단부와 제2 파트(231b)의 단부는 축 방향으로 서로 일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연통관(237A) 및 연통공(235)이 각각 제1 머플러(210)의 연통공(215)과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지만, 연통관(237A) 및 연통공(235)은 연통공(215)보다 적은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통관(237A) 및 연통공(235)은 각각 1개 또는 2개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연통관(237A)의 개수는 연통공(235)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연통공(235)의 개수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머플러(230B)에 있어서, 연통공(235)과 연결되는 연통관(237B)은 플랜지 연장부(234)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예로, 연통관(237B)은 제1 머플러(210)의 플랜지(212)와 접촉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머플러(210)의 연통공(215)으로 유동하는 냉매는 연통관(237B)과 연통공(235)을 통해 유동되므로, 배출 공간부(211e)의 냉매는 제1 머플러(210)의 후단부와 제2 머플러(230)의 전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유동되지 않고 제3 머플러(25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연통공(215), 연통공(235) 및 연통관(237B)이 각각 1개만 구비된 것을 예로 들었지만,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연통관(237B)의 개수는 연통공(235)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연통공(235)의 개수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의 흡입 머플러(200B)에 있어서, 연통관(237B)에는 다른 연통공(239)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머플러(210)의 후단부와 제2 머플러(230)의 전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잔재하는 냉매도 연통공(239)을 통해 제3 머플러(250)의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머플러(210C)는 연통공(215)과 연결되는 연통관(217C)을 구비할 수 있고, 제2 머플러(230C)는 연통공(235)과 연결되는 연통관(237C)를 구비할 수 있다.
연통관(217C)은 제2 머플러(230C)를 향해 후방으로 돌출되며, 연통관(237C)은 제1 머플러(210C)를 향해 전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연통관(217C)의 한쪽 단부와 연통관(237C)의 한쪽 단부는 서로 접촉한다. 하지만, 연통관(217C)의 한쪽 단부와 연통관(237C)의 한쪽 단부가 서로 이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르면, 제1 머플러(210)의 연통공(215)으로 유동하는 냉매는 연통관(217C)과 연통관(237C) 및 연통공(235)을 통해 유동되므로, 배출 공간부(211e)의 냉매는 제1 머플러(210)의 후단부와 제2 머플러(230)의 전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유동되지 않고 제3 머플러(25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연통공(215), 연통관(217C), 연통공(235), 및 연통관(237C)이 각각 1개만 구비된 것을 예로 들었지만,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 예에서와 같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 예의 흡입 머플러(200C)에 있어서, 연통관(217C)과 연통관(237C)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3 실시 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연통공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머플러(210C)의 후단부와 제2 머플러(230C)의 전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잔재하는 냉매도 연통공을 통해 제3 머플러(250)의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명세서의 어떤 실시 예들 또는 다른 실시 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명세서의 어떤 실시 예들 또는 다른 실시 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 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 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된다.
200: 흡입 머플러 210: 제1 머플러
215: 연통공 230: 제2 머플러
235: 연통공 250: 제3 머플러

Claims (18)

  1. 냉매를 흡입하는 흡입 파이프를 구비하는 쉘;
    상기 쉘의 내부에 제공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며, 피스톤 본체 및 피스톤 플랜지를 구비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며, 상기 흡입 파이프를 통하여 흡입된 냉매를 상기 피스톤 본체의 내부로 유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흡입된 냉매의 유동 소음을 저감하는 흡입 머플러
    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머플러는, 상기 피스톤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머플러와, 상기 제1 머플러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머플러와 연통하는 제2 머플러, 및 상기 제1 머플러의 후단부 일부와 상기 제2 머플러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3 머플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머플러와 상기 제2 머플러는 냉매 유로를 형성하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 머플러의 플랜지와 상기 제2 머플러의 플랜지에는 각각 연통부가 형성되는 리니어 압축기.
  2. 제1항에서,
    상기 피스톤 본체와 상기 제1 머플러의 본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 내부의 냉매를 상기 제1 머플러의 연통부로 가이드하는 배출 공간부를 더 포함하는 리니어 압축기.
  3. 제2항에서,
    상기 제1 머플러의 연통부와 상기 제2 머플러의 연통부는 각각 연통공을 포함하는 리니어 압축기.
  4. 제3항에서,
    상기 제2 머플러의 연통부는 상기 제2 머플러의 플랜지에 형성된 연통공과 연통하는 연통관을 더 포함하는 리니어 압축기.
  5. 제4항에서,
    상기 연통관은 상기 제1 머플러의 연통공을 향해 전방으로 돌출되는 리니어 압축기.
  6. 제5항에서,
    상기 제2 머플러의 본체는, 유입공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일정한 내경을 가지도록 연장되는 제1 파트 및 상기 제1 파트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파트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제2 파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머플러의 플랜지는 상기 제2 파트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연통관은 상기 제2 파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에 구비되는 리니어 압축기.
  7. 제6항에서,
    상기 연통관은 상기 연통관의 단부가 상기 제2 파트의 단부와 축 방향으로 서로 일치하는 길이를 갖는 리니어 압축기.
  8. 제6항에서,
    상기 연통관은 상기 연통관의 단부가 상기 제1 머플러의 플랜지와 접촉하는 길이를 갖는 리니어 압축기.
  9. 제8항에서,
    상기 연통관은 상기 제1 머플러의 후단부와 상기 제2 머플러의 전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잔재하는 냉매를 상기 제3 머플러의 내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연통공을 더 구비하는 리니어 압축기.
  10. 제6항에서,
    상기 제1 머플러의 연통부는 상기 제1 머플러의 플랜지에 형성된 연통공과 연통하는 연통관을 더 포함하는 리니어 압축기.
  11. 제10항에서,
    상기 제1 머플러의 연통관은 상기 제2 머플러의 연통공을 향해 후방으로 돌출되는 리니어 압축기.
  12. 제11항에서,
    상기 제1 머플러의 연통관과 상기 제2 머플러의 연통관은 서로 접촉하여 서로 연통하는 리니어 압축기.
  13. 제12항에서,
    상기 제1 머플러의 연통관과 상기 제2 머플러의 연통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머플러의 후단부와 상기 제2 머플러의 전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잔재하는 냉매를 상기 제3 머플러의 내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연통공을 더 구비하는 리니어 압축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 머플러의 플랜지에 형성되는 연통부가 복수 개인 리니어 압축기.
  15. 제14항에서,
    상기 제2 머플러의 플랜지에 형성되는 연통부가 복수 개인 리니어 압축기.
  16. 제14항에서,
    상기 제1 머플러와 상기 제2 머플러는 상기 제3 머플러의 내주면에 압입 결합되는 리니어 압축기.
  17. 제14항에서,
    상기 제1 머플러와 상기 제2 머플러가 결합되는 경계면에 위치되는 머플러 필터를 더 포함하는 리니어 압축기.
  18. 제14항에서,
    상기 제1 머플러의 본체는 냉매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로부터 하류를 향하여 냉매의 유로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구성되는 리니어 압축기.
KR1020210003339A 2021-01-11 2021-01-11 리니어 압축기 KR102443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339A KR102443710B1 (ko) 2021-01-11 2021-01-11 리니어 압축기
CN202111409862.6A CN114753987B (zh) 2021-01-11 2021-11-25 线性压缩机
US17/559,448 US12044225B2 (en) 2021-01-11 2021-12-22 Linear compressor
EP22150719.7A EP4027012B1 (en) 2021-01-11 2022-01-10 Linear compr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339A KR102443710B1 (ko) 2021-01-11 2021-01-11 리니어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387A KR20220101387A (ko) 2022-07-19
KR102443710B1 true KR102443710B1 (ko) 2022-09-15

Family

ID=79288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339A KR102443710B1 (ko) 2021-01-11 2021-01-11 리니어 압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027012B1 (ko)
KR (1) KR102443710B1 (ko)
CN (1) CN114753987B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479B1 (ko) * 2008-03-04 2014-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용 머플러
CN102121472A (zh) * 2010-01-07 2011-07-13 美的集团有限公司 一种涡旋压缩机的止回阀装置
KR102257493B1 (ko) * 2016-05-03 2021-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KR102259660B1 (ko) * 2016-10-11 2021-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KR102606142B1 (ko) 2016-12-30 2023-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KR20180093526A (ko) * 2017-02-14 2018-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KR102209340B1 (ko) * 2019-08-23 2021-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27012B1 (en) 2023-10-04
KR20220101387A (ko) 2022-07-19
CN114753987B (zh) 2023-11-07
EP4027012A1 (en) 2022-07-13
US20220220953A1 (en) 2022-07-14
CN114753987A (zh) 2022-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3859A (ko) 리니어 압축기
KR20180083075A (ko) 리니어 압축기
EP3343033B1 (en) Linear compressor
KR102259638B1 (ko) 리니어 압축기
US11248594B2 (en) Linear compressor
KR102390176B1 (ko) 리니어 압축기
KR20180093526A (ko) 리니어 압축기
KR102443710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438572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443707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432487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424602B1 (ko) 리니어 압축기
US12044225B2 (en) Linear compressor
KR20180041018A (ko) 리니어 압축기
KR20200098291A (ko) 리니어 압축기
KR102622659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209350B1 (ko) 리니어 압축기
KR20180077774A (ko) 왕복동식 압축기
KR20220092022A (ko) 리니어 압축기
KR20200042219A (ko) 리니어 압축기
KR20240041122A (ko) 리니어 압축기의 흡입장치
KR20240043311A (ko) 리니어 압축기
KR20200053781A (ko) 리니어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