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211B1 - A granule preheating device and a granule preheating method thereof, and a granule temperature adjustment device and a granule temperature adjustment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granule preheating device and a granule preheating method thereof, and a granule temperature adjustment device and a granule temperature adjustment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211B1
KR102443211B1 KR1020200062959A KR20200062959A KR102443211B1 KR 102443211 B1 KR102443211 B1 KR 102443211B1 KR 1020200062959 A KR1020200062959 A KR 1020200062959A KR 20200062959 A KR20200062959 A KR 20200062959A KR 102443211 B1 KR102443211 B1 KR 102443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emperature
food material
preheating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9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36834A (en
Inventor
타케시 오키야마
야스히사 오가타
마야 우에노
켄타 카츠마타
리코 타나카
아키노리 노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소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소딕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소딕
Publication of KR20200136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8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2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6/00Other treatment of flour or dough before baking, e.g. cooling, irradiating, heating
    • A21D6/003Heat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6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horizontally-mounted mixing or kneading tools; Worm or screw mixers
    • A21C1/065Worm or screw mixers, e.g. with consecutive mix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6/00Other treatment of flour or dough before baking, e.g. cooling, irradiating, heating
    • A21D6/005Ir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60Mixing solids with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60Mixing solids with solids
    • B01F23/69Mixing 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Arrangements, e.g. comprising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1Control or regulation of operational parameters, e.g. level of material in the mixer, temperature or pressure
    • B01F35/221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35/94Heating or cooling systems using radiation, e.g. microwaves or electromagnetic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2035/99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 B01F2101/08Mixing of dough

Abstract

[과제] 분립체의 식품 재료(8)를 가공한 가공 식품의 품질을 더 향상시킬 것이 요망된다.
[해결 수단]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1)는, 저온 저장되어 있던 분립체의 식품 재료를 식품 가공 기계로 가공하기 이전에 가공에 적합한 소정의 예비 가열 온도까지 예비 가열하는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로서, 분립체의 식품 재료를 수용하는 하우징(2)과, 하우징 속에서 교반 날개(32)를 회전시켜 분립체의 식품 재료를 교반하는 교반축(3)과, 하우징 속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의 상방으로부터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4)와, 교반축으로 교반 중인 분립체의 식품 재료를 10분 이내라는 소정의 예비 가열 시간 이내에 가공에 적합한 25℃ 이상 30℃ 이하라는 소정의 예비 가열 온도로 균일하게 승온될 때까지 예비 가열하도록 적어도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7)를 구비한다.
[Problem] It is desired to further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cessed food obtained by processing the food material 8 of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Solution Means] The powder or granular preheating device 1 is a powder or granular preheating device for preheating food ingredients stored at a low temperature to a predetermined preheating temperature suitable for processing before processing them with a food processing machine. , the housing 2 for accommodating the food material in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the stirring shaft 3 for rotating the stirring blade 32 in the housing to stir the food material in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and above the food material in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n the housing A microwave irradiation device 4 irradiating microwaves from A control device 7 for controlling at least the microwave irradiation device is provided so as to preheat until the temperature is uniformly raised.

Description

분립체의 식품 재료를 식품 가공 기계로 가공하기 이전에 예비 가열하는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 및 그 분립체 예비 가열 방법, 및 분립체의 식품 재료를 식품 가공 기계로 가공하기 이전에 예비 가열 또는 예비 냉각하는 분립체 온도 조절 장치 및 그 분립체 온도 조절 방법{A GRANULE PREHEATING DEVICE AND A GRANULE PREHEATING METHOD THEREOF, AND A GRANULE TEMPERATURE ADJUSTMENT DEVICE AND A GRANULE TEMPERATURE ADJUSTMENT METHOD THEREOF}Preheating apparatus for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for preheating the food material in powder or granular material before processing by food processing machine, and method for preheating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and preheating or precooling before processing food material in powder or granular material by food processing machin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저장되어 있던 분립체(粉粒體)의 식품 재료를 식품 가공 기계로 가공하기 이전에 가공에 적합한 소정의 온도까지 예비 가열하기 위한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 및 그 분립체 예비 가열 방법, 및 분립체 온도 조절 장치 및 그 분립체 온도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과자, 빵 또는 면의 반죽(生地)을 제조하는 장치로 가공하기 이전에 저장되어 있던 곡물 또는 콩과 식물(legume)로 이루어지는 분립체를 가공에 적합한 소정의 온도까지 예비 가열하는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 및 분립체 예비 가열 방법, 및 분립체 온도 조절 장치 및 그 분립체 온도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der and granular preheating apparatus for preheating stored powdered or granular food materials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uitable for processing before processing them by a food processing machine, and a method for preheating the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and It relates to a powder or granular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nd a method for temperature control of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e-heats a powder or granular comprising grains or legumes stored before processing with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fectionery, bread or noodle dough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uitable for processing. It relates to a powder or granular preheating apparatus and a powder or granular preheating method, and a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a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temperature control method.

식품 가공 기계로 가공되는 식품 재료의 온도는 가공 이후의 제품의 품질에 직접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식품 가공 기계로 가공되기 직전에 있어서의 식품 재료의 가공에 적합한 온도는, 식품 재료의 각 성분의 가공 특성과 온도의 관계로부터 도출된다. The temperature of food ingredients processed by food processing machines is a factor that directly affects the quality of products after processing. The temperature suitable for the processing of the food material immediately before being processed by the food processing machine is deriv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cessing characteristic of each component of the food material and the temperature.

널리 알려져 있는 대부분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의 경우, 가공 직전에 있어서의 적합한 온도는 25℃ 이상 30℃ 이하의 상온이다. 따라서, 가공 직전까지 분립체의 식품 재료를 예비 가열 또는 예비 냉각하여 전체의 온도를 균일하게 상온까지 승온(昇溫) 또는 강온(降溫)해 둘 필요가 있다. 아울러, 분립체의 식품 재료를 가공하는 식품 가공 기계란, 예를 들면, 믹서, 압출기(extruder), 교반기 및 분쇄기 등이다. In the case of most widely known food ingredients of powder or granular material, the suitable temperature immediately before processing is room temperature of 25°C or more and 30°C or l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heat or precool the powdered or granular food material immediately before processing to uniformly raise or lower the temperature to room temperature as a whole. In addition, the food processing machine which processes the food material of a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s a mixer, an extruder, a stirrer, a grinder, etc., for example.

또한, 일반적인 분립체의 식품 재료는, 예를 들면, 밀가루(wheat flour), 보리가루(barley flour), 옥수수 녹말(cornstarch), 귀리가루(oat flour), 호밀가루(rye flour), 쌀가루(rice flour), 감자가루(potato flour), 고구마 가루(sweet potato flour), 메밀가루(buckwheat flour), 대두 가루(soy flour), 밀 알곡(wheat grain), 보리 알곡(barley grain), 옥수수 알곡(corn grain), 귀리(oats), 호밀 알곡(rye grain), 쌀 알곡(rice grain), 메밀의 열매(buckwheat grain), 설탕(sugar), 소금(salt) 및 콩(soy) 등이다. In addition, the food material of the general powder, for example, wheat flour (wheat flour), barley flour (barley flour), cornstarch (cornstarch), oat flour (oat flour), rye flour (rye flour), rice flour (rice) flour, potato flour, sweet potato flour, buckwheat flour, soy flour, wheat grain, barley grain, corn grain, oats, rye grain, rice grain, buckwheat grain, sugar, salt and soy.

공지의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는, 하우징(筐體) 속에 수용한 분립체의 식품 재료를 각종 히터로 가열한다. 예를 들면, 히터는, 하우징의 외주에 감아두르는 핸드 히터, 하우징 속에 마련되는 카트리지 히터 및 열풍(熱風) 히터 등이 있다. BACKGROUND ART A known powder or granular preheating apparatus heats a food material of a powder or granular material accommodated in a housing with various heaters. For example, the heater includes a hand heater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using, a cartridge heater provided in the housing, and a hot air heater.

그러나, 전분이나 단백(蛋白)과 같은 성분을 포함하는 분립체의 식품 재료는 열에 기인하는 가공 특성의 변화가 크므로, 직접 가열에 의한 승온은 적당하지 않다. 또한, 분립체의 식품 재료가 밀집되어 있는 상태일 때, 각 분립체끼리는 서로 충분한 면적을 가지고 접촉되어 있지 않고 점 접촉되어 있다. 점 접촉되어 있는 각 분립체는 열 전도 면적이 작다. 따라서, 분립체의 식품 재료의 총체(總體) 열전도율은 낮다. 나아가 각 분립체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의 층은 간극(間隙) 내를 통과할 때의 압력 손실에 의해 대류(對流)하는 것을 기대할 수 없고, 따라서, 열 대류의 현상을 거의 기대할 수 없다. However, since a powdery food material containing ingredients such as starch and protein has a large change in processing characteristics due to heat, temperature increase by direct heating is not appropriate. In add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food material of a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s dense, each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has a mutually sufficient area and is not in contact, but is in point contact. Each granular material in point contact has a small heat conduction area. Therefore, the total thermal conductivity of the food material of a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s low. Furthermore, the layer of air existing between each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cannot be expected to convection due to a pressure loss when passing through the gap, and therefore, the phenomenon of thermal convection cannot be expected to be hardly expected.

그 때문에, 이러한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에 의한 식품 재료의 승온은 분립체의 양이 많을수록 식품 재료의 전체를 균일하게 적당한 온도로 할 때까지 보다 긴 시간을 필요로 하고,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온도 구배(句配)를 크게 취하면, 식품 재료 속에 포함되는 전분이나 단백이 보다 변화되기 쉬워 식품 재료를 변질시켜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특히, 식품 재료의 보존 방법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밀가루와 같은 일반적인 분립체의 식품 재료는 거대한 옥외 사일로(silo)와 같은 저장고에 집적되어 보관되어 있으므로, 일본의 겨울철에 평균적으로 0℃부터 9℃ 정도의 저온에서 보존되어 있는 상태이며, 식품 재료를 적당한 온도까지 승온시키기 위하여 훨씬 긴 시간이 소요되게 되어 식품 가공 기계의 가동률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과제가 되고 있다. Therefore, the temperature increase of the food material by such a powder or granular preheating device requires a longer time until the whole food material is uniformly made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so that there is much quantity of a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n order to shorten time, the temperature gradient When the (句配) is large, starch or protein contained in the food material is more likely to change,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ood material may be altered and the quality of the product may be lowered. In particular, although it depends on the preservation method of the ingredients, general food ingredients in powder form, such as flour, are accumulated and stored in a storage such as a huge outdoor silo. It is stored at a low temperature of , and it takes a much longer time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food material to a suitable temperature, which is a factor that lowers the operation rate of the food processing machine.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분체(粉體)의 마이크로파 살균 방법 및 장치는 분체를 종형 믹서 내에 투입하고, 믹서 내에 중앙부를 상승시키고 주변부를 침강시키는 분체류(粉體流)를 발생시키고, 교반 혼합시키면서 복수 단(段) 배치한 마이크로파 발진기(發振器)로부터 각 마이크로파 유도관을 통하여 마이크로파를 분체에 조사하고, 분체를 70 이상 83℃ 이하로 가열하여 살균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믹서 내의 분체는 마이크로파에 의해 1분 동안에 1℃씩 상승하며, 최종적으로 80℃까지 가열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For example, the microwave steri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der of Patent Document 1 put the powder into a vertical mixer, raise the central part in the mixer, and generate a powder stream that settles the peripheral part, and stir Disclosed is sterilization by irradiating the powder with microwaves from a microwave oscillator arranged in multiple stages while mixing, through each microwave guide tube, and heating the powder to 70 or more and 83° C. or less. It is disclosed that the powder in the mixer is raised by 1°C for 1 minute by microwave, and finally heated to 80°C.

일본 특허 3557583호 공보Japanese Patent No. 3557583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마이크로파 살균 장치는, 예를 들면, 9℃에서 저온 저장되어 있던 분체를 25℃의 상온까지 균일하게 승온하려고 하면 16분 소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정된 수분의 분체 속에 존재하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는 미생물은 주로 토양 세포의 포자(胞子)이며, 이러한 포자의 실활(失活, inactivation)을 위하여 100℃를 초과하는 고온 처리인 레토르트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또한, 예를 들면, 식품 재료가 밀가루인 경우에서는, 식품 가공할 때의 특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은 70℃ 부근부터 열 변성(變性)을 일으키기 쉬우며, 따라서 살균이 목적이라고 하더라도 가공 특성이 저하되어 버려서는 아무 소용이 없다. 나아가 생산 현장에서의 믹서의 사용 사이클은 약 10분이기 때문에, 이를 대폭으로 초과하는 시간은 생산 공정 상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It turns out that the microwave sterilization apparatus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akes 16 minutes when it tries to raise the temperature uniformly to the room temperature of 25 degreeC of the powder stored at low temperature at 9 degreeC, for example. Microorganisms whose existence in the powder with limited moisture is a problem are mainly soil cell spores, and for the inactivation of these spores, retort treatment, a high-temperature treatment exceeding 100°C, is being performed. that is the current situation. In addition, for example, when the food material is wheat flour, the protein,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haracteristics of food processing, tends to undergo thermal denaturation from around 70° C. It is of no use to be degraded. Furthermore, since the cycle of use of the mixer at the production site is about 10 minutes, a time significantly exceeding this is not desirable in the production process.

분립체의 식품 재료는 수℃의 저온부터 25℃ 이상 30℃ 이하의 상온까지 보다 단시간에 그리고 전체를 균일하게 예비 가열할 것이 요망된다. 예를 들면, 주 성분인 전분 또는 단백에 대한 열적 변화를 가능한 한 억제하면서, 식품 가공 기계로 가공하기 이전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를 균일하게 그리고 조속히 상온까지 예비 가열할 수 있다면, 각 성분의 가공 특성을 유지하면서 가공 식품의 품질이 안정되고 또 향상되게 된다. It is desired to preheat the whole food ingredients uniformly in a shorter period of time from a low temperature of several degrees C to room temperature of 25 degrees C or more and 30 degrees C or less. For example, if it is possible to uniformly and quickly preheat food ingredients in powder or granular form to room temperature before processing by a food processing machine while suppressing thermal changes to starch or protein, which are the main ingredients, as much as possible, the processing of each ingredient The quality of the processed food is stabilized and improved while maintaining the characteristic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저장되어 있던 분립체의 식품 재료를 식품 가공 기계로 가공하기 이전에 교반하면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균일하게 예비 가열하고, 보다 단시간에, 바람직하게는 10분 이내에 가공에 적합한 소정의 예비 가열 온도라는,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30℃ 이하라는 소정의 예비 가열 온도로 승온시키는,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 및 그 분립체 예비 가열 방법 및 분립체 온도 조절 장치, 및 그 분립체 온도 조절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목적이나 본 발명의 이점은 뒤에 이어지는 설명에 있어서 언급되어 있다.Therefor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uniform preheating by irradiating microwaves while stirring before processing the stored powdered or granular food material with a food processing machine, and in a shorter time, preferably 10 minutes. Preheating apparatus for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and a method for preheating the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and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which raises the temperature to a predetermined preheating temperature suitable for processing withi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t forth in the description that follows.

본 발명의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에서는, 저온 저장되어 있던 분립체의 식품 재료를 식품 가공 기계로 가공하기 이전에 가공에 적합한 예비 가열 온도까지 예비 가열하는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로서, 상기 식품 재료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속에서 교반 날개를 회전시켜 상기 식품 재료를 교반하는 교반축과, 상기 하우징 속의 상기 식품 재료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와, 상기 교반축으로 교반 중인 상기 식품 재료를 10분 이내의 소정의 예비 가열 시간 내에 가공에 적합한 25℃ 이상 30℃ 이하의 상기 소정의 예비 가열 온도로 균일하게 승온될 때까지 예비 가열하도록 적어도 상기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In the powder or granular prehe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der or granular food material stored at a low temperature is preheated to a preheating temperature suitable for processing before being processed by a food processing machine, wherein the food material is accommodated. a housing, a stirring shaft for stirring the food material by rotating a stirring blade in the housing, a microwave irradiation device for irradiating microwaves to the food material in the housing;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t least the microwave irradiation device so as to preheat the temperature uniformly to the predetermined preheating temperature of 25°C or more and 30°C or less suitable for processing within a predetermined preheating time within minutes.

본 발명의 분립체 예비 가열 방법에서는, 저온 저장되어 있던 분립체의 식품 재료를 가공하기 이전에 가공에 적합한 소정의 예비 가열 온도까지 예비 가열하는 분립체 예비 가열 방법에 있어서, 하우징에 수용한 상기 식품 재료를 교반하면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균일하게 예비 가열하고, 10분 이내라는 소정의 예비 가열 시간 이내에 25℃ 이상 30℃ 이하라는 상기 소정의 예비 가열 온도로 승온될 때까지 예비 가열한다. In the powder or granular prehe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owder or granular preheating method of preheating to a predetermined preheating temperature suitable for processing before processing the powdered or granular food material stored at a low temperature, the food contained in a housing The material is uniformly preheated by irradiating microwaves while stirring, and preheated until the temperature is raised to the predetermined preheating temperature of 25°C or higher and 30°C or lower within a predetermined preheating time of 10 minutes or less.

본 발명의 분립체 온도 조절 장치는, 저장되어 있던 분립체의 식품 재료를 식품 가공 기계로 가공하기 이전에 가공에 적합한 소정의 온도까지 예비 가열 또는 예비 냉각하는 분립체 온도 조절 장치로서, 식품 재료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속에서 교반 날개를 회전시켜 상기 식품 재료를 교반하는 교반축과, 상기 하우징 속의 상기 식품 재료를 예비 냉각하는 분립체 예비 냉각부와, 상기 하우징 속의 상기 식품 재료를 예비 가열하는 분립체 예비 가열부와, 상기 하우징 속의 상기 식품 재료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온도 센서가 검출하는 온도에 기초하여 적어도 상기 분립체 예비 냉각부 및 상기 분립체 예비 가열부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분립체 예비 가열부는, 상기 하우징 속의 상기 식품 재료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하우징 속의 상기 식품 재료가 상기 소정의 온도를 밑돌고 있을 때, 상기 교반축으로 교반 중인 상기 식품 재료를 10분 이내라는 소정의 예비 가열 시간 이내에 가공에 적합한 25℃ 이상 30℃ 이하라는 상기 소정의 온도로 균일하게 승온될 때까지 예비 가열하도록 적어도 상기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The powder or granular temperatur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der or granular material temperature control device that preheats or pre-cools stored powdered or granular foodstuffs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uitable for processing before processing them with a food processing machine. a housing for accommodating; a stirring shaft for stirring the food material by rotating a stirring blade in the housing; a granular pre-cooling unit for pre-cooling the food material in the housing; and preheating the food material in the housing control for controlling at least the powder and granular pre-cooling unit and the granular material pre-heating unit based o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nd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food material in the housing a device, wherein the powder or granular preheating unit includes a microwave irradiation device for irradiating microwaves to the food material in the housing, wherein the control devic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ood material in the housing is below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 at least the microwave irradiation device to preheat the food material being stirred by the stirring shaft until it is uniformly heated to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of 25°C or higher and 30°C or lower suitable for processing within a predetermined preheating time of 10 minutes or less.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본 발명의 분립체 온도 조절 방법은, 저장되어 있던 분립체의 식품 재료를 식품 가공 기계로 가공하기 이전에 가공에 적합한 소정의 온도까지 예비 가열 또는 예비 냉각하는 분립체 온도 조절 방법에 있어서, 하우징에 수용한 상기 식품 재료가 상기 소정의 온도를 밑돌고 있을 때, 상기 하우징에 수용한 상기 식품 재료를 교반하면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균일하게 예비 가열하고, 10분 이내라는 소정의 예비 가열 시간 이내에 25℃ 이상 30℃ 이하라는 소정의 온도로 승온될 때까지 예비 가열한다. The powder or granular temperatur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temperature control method of preheating or precooling the stored powdered food material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uitable for processing before processing it with a food processing machine. When the received food material is below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it is uniformly preheated by irradiating microwaves while stirring the food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within a predetermined preheating time of 10 minutes or less, 25° C. or higher 30 Preheating is carried out until the temperature is rais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elow °C.

본 발명의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 및 그 분립체 예비 가열 방법, 및 분립체 온도 조절 장치 및 그 분립체 온도 조절 방법은, 저장되어 있던 분립체의 식품 재료를 식품 가공 기계로 가공하기 이전에 가공에 적합한 25℃∼30℃ 사이의 상온까지 균일하게 그리고 10분 이내에 승온시킴으로써, 식품 가공 기계로 가공한 이후의 가공 식품의 품질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owder and granular preheating apparatus and the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prehe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the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temperature control method, are processed before processing the stored food material of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with a food processing machine. By uniformly raising the temperature to a suitable room temperature between 25° C. and 30° C. and within 10 minutes, the quality of the processed food after processing by a food processing machine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의 내부 구조를 정면에서 본 개요도이다.
도 2는 덮개 부재를 닫았을 때의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의 내부 구조를 좌측에서 본 개요도이다.
도 3은 덮개 부재를 열었을 때의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의 내부 구조를 좌측에서 본 개요도이다.
도 4는 덮개 부재를 연 상태에서 하우징을 옆으로 굴렸을 때의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의 내부 구조를 좌측에서 본 개요도이다.
도 5는 봉 모양의 교반 날개의 선단 형상의 개요도이다.
도 6은 봉 모양의 교반 날개의 다른 선단 형상의 개요도이다.
도 7은 봉 모양의 교반 날개의 또 다른 선단 형상의 개요도이다.
도 8은 분립체의 식품 재료가 사일로로부터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를 통하여 식품 가공 기계까지 이동하는 일련의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다른 실시 형태의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의 정면 모식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 형태의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의 평면 모식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 형태의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의 교반 부재의 정면 모식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 형태의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의 교반 부재의 평면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립체 온도 조절 장치의 정면 모식도이다.
도 14는 분립체 온도 조절 장치의 평면 모식도이다.
도 15는 분립체 온도 조절 장치의 교반 부재의 정면 모식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the schematic diagram which looked a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granular body preheat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rom the front.
It is the schematic diagram which looked a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granular body preheating apparatus at the time of closing a cover member from the left.
It is the schematic diagram which looked a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granular body preheating apparatus when the cover member is opened from the left.
It is the schematic diagram seen from the left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granular material preheating apparatus when the housing is rolled sideways in the state in which the cover member is opened.
5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tip shape of a rod-shaped stirring blade.
6 is a schematic view of another tip shape of the rod-shaped stirring blade.
7 is a schematic view of another tip shape of the rod-shaped stirring blade.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eries of systems in which granular food material moves from a silo through a granular preheater to a food processing machine.
It is a front schematic diagram of the granular body preheating apparatus of another embodiment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top schematic diagram of the powder or granular preheating apparatus of another embodiment.
It is a front schematic diagram of the stirring member of the granular body preheating apparatus of another embodiment.
It is a top schematic diagram of the stirring member of the powder or granular body preheating apparatus of another embodiment.
It is a front schematic diagram of the granular material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14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powder or granular temperature control device.
It is a front schematic diagram of the stirring member of a granular material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의 내부 구조를 정면에서 본 개요도이다. 도 2는 덮개 부재를 닫았을 때의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의 내부 구조를 좌측에서 본 개요도이다. 도 3은 덮개 부재를 열었을 때의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의 내부 구조를 좌측에서 본 개요도이다. 도 4는 덮개 부재를 연 상태에서 하우징을 가로로 굴렸을 때의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의 내부 구조를 좌측에서 본 개요도이다. 도 5는 봉 모양의 교반 날개의 선단 형상의 개요도이다. 도 6은 봉 모양의 교반 날개의 다른 선단 형상의 개요도이다. 도 7은 봉 모양의 교반 날개의 또 다른 선단 형상의 개요도이다. 도 8은 분립체의 식품 재료가 사일로로부터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를 통하여 식품 가공 기계까지 이동하는 일련의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다른 실시 형태의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의 정면 모식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 형태의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의 평면 모식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 형태의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의 교반 부재의 정면 모식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 형태의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의 교반 부재의 평면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립체 온도 조절 장치의 정면 모식도이다. 도 14는 분립체 온도 조절 장치의 평면 모식도이다. 도 15는 분립체 온도 조절 장치의 교반 부재의 정면 모식도이다. 아울러, 상하 방향은 도 1 및 도 9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상하 방향이다. 좌우 방향은 도 1 및 도 9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좌우 방향이다. 전후 방향은 도 1 및 도 9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앞쪽이 전 방향이고 안쪽이 후 방향이다. 수평 방향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서 형성되는 수평 2축 방향이다. 연직(鉛直) 방향은 상하 방향이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the schematic diagram which looked a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granular body preheat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rom the front. It is the schematic diagram which looked a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granular body preheating apparatus at the time of closing a cover member from the left. It is the schematic diagram which looked a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granular body preheating apparatus when the cover member is opened from the left. It is the schematic diagram seen from the left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granular material preheating apparatus when the housing is rolled horizontally in the state which opened the cover member. 5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tip shape of a rod-shaped stirring blade. 6 is a schematic view of another tip shape of the rod-shaped stirring blade. 7 is a schematic view of another tip shape of the rod-shaped stirring blade.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eries of systems in which granular food material moves from a silo through a granular preheating device to a food processing machine. It is a front schematic diagram of the granular body preheating apparatus of another embodiment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top schematic diagram of the powder or granular preheating apparatus of another embodiment. It is a front schematic diagram of the stirring member of the granular body preheating apparatus of another embodiment. It is a top schematic diagram of the stirring member of the powder or granular body preheating apparatus of another embodiment. It is a front schematic diagram of the granular material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ig. 14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t is a front schematic diagram of the stirring member of a granular material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In addition, the up-down direction is the up-down direction when seeing FIGS. 1 and 9 from the front. The left-right direction is a left-right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in FIGS. 1 and 9 . The front-rear direction is the front direction and the inner side is the rear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in FIGS. 1 and 9 . The horizontal direction is a horizontal biaxial direction 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The vertical direction is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의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1)는,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실시 형태와 같이, 하우징(2)과, 교반축(3)과,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4)와, 스터러 팬(stirrer fan, 5)과, 온도 센서(6)와, 제어 장치(7)를 구비하고 있다. The powder or granular preheating apparatus 1 of this invention, like embodiment shown in FIGS. 1-7, for example, the housing 2, the stirring shaft 3, the microwave irradiation apparatus 4, and the stirrer A stirrer fan 5 , a temperature sensor 6 , and a control device 7 are provided.

하우징(2)은 후술되는 식품 가공 기계로 가공하기 이전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8)를 수용한다. 하우징(2)은 수평 방향으로 가로로 놓여져 있다. 하우징(2)은 가로로 길면 좋다. 하우징(2)은 길이 방향이 좌우 방향이 되도록 가로로 놓여져 있다. 하우징(2)의 하부는 하우징(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단면이 원호 형상이면 좋다. 하우징(2)은, 예를 들면, 금속제이면 좋다. 하우징(2)은,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스틸제이면 좋다. The housing 2 accommodates the food material 8 in powder or granular form before being processed by a food processing machin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housing 2 lies transverse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housing 2 should just be horizontally long. The housing 2 is placed horizontally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comes the left-right direc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2 may have an arc-shaped cross sec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2 . The housing 2 may be made of metal, for example. The housing 2 may be made of, for example, stainless steel.

하우징(2)의 상부에 개구하는 재료 급배구(2a)를 개폐 가능한 덮개 부재(21)가 부착되어 있다. 분립체의 식품 재료(8)는 덮개 부재(21)를 열어 재료 급배구(2a)로부터 하우징(2) 속으로 출입된다. 하우징(2) 속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8)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 부재(21)를 연 이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의 길이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하우징(2)을 옆으로 굴려(橫轉) 재료 급배구(2a)로부터 자중(自重)으로 배출될 수도 있다. 하우징(2)을 옆으로 굴렸을 때, 교반축(3)을 회전시킴으로써 분립체의 식품 재료(8)의 유동성을 유지하여 분립체의 식품 재료(8)를 조속히 재료 급배구(2a)로부터 배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cover member 21 which can open and close the material supply and discharge port 2a op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2 is attached. The food material 8 of the granular material opens the cover member 21 and enters and exits into the housing 2 from the material supply outlet 2a. After opening the cover member 21 as shown in FIG. 3, the food material 8 of the granular material in the housing 2 make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2 a rotation axis as shown in FIG. ) may be rolled sideways and discharged under its own weight from the material supply volleyball (2a). When the housing 2 is rolled sideways, by rotating the stirring shaft 3, the fluidity of the food material 8 in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s maintained, and the food material 8 in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s discharged from the material supply outlet 2a promptly. you can make it do

교반축(3)은 하우징(2) 속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8)를 교반한다. 교반축(3)은 하우징(2) 속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교반축(3)의 회전축(31)의 축 방향은 수평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교반축(3)의 회전축(31)의 축 방향은 가로로 놓인 하우징(2)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좌우 방향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교반축용 회전 구동 장치(35)는 교반축(3)의 회전축(31)을 회전시킨다. 교반축(3)은 교반 날개(32)를 구비하고 있다. 교반 날개(32)는 회전축(31)에 부착되어 있다. 하우징(2) 속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8)는 회전하는 교반 날개(32)로 교반된다. 교반축(3)은, 예를 들면, 금속제이면 좋다. 교반축은,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스틸제이면 좋다.The stirring shaft 3 stirs the food material 8 in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n the housing 2 . The stirring shaft 3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housing 2 .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31 of the stirring shaft 3 is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31 of the stirring shaft 3 is provided so that it may become the same left-right direction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2 placed horizontally. The rotation drive device 35 for the stirring shaft rotates the rotation shaft 31 of the stirring shaft 3 . The stirring shaft 3 is provided with the stirring blade 32 . The stirring blade 32 is attached to the rotating shaft 31 . The food material 8 in the granular form in the housing 2 is stirred by the rotating stirring blades 32 . The stirring shaft 3 may be, for example, made of metal. The stirring shaft may be, for example, made of stainless steel.

교반 날개(32)는 봉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교반 날개(32)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2)의 벽(2b)의 내면에 대면해 있는 봉의 선단면(33)의 면적이 해당 봉의 몸체부에 있어서의 해당 봉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34)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봉 모양의 교반 날개(32)의 선단면(33)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90도 굴곡시킨 봉의 선단 부분 중 하우징(2)의 벽(2b)의 내면에 대면해 있는 면이면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봉 모양의 교반 날개(32)의 선단면(33)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깥 테두리의 일부가 곡선인 면이면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봉 모양의 교반 날개(32)의 선단면(33)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깥 테두리의 일부가 직선인 면이면 좋다. 특히, 봉 모양의 교반 날개(32)의 선단면(33)은 마이크로파에 의한 에너지를 집중시키지 않도록, 귀퉁이(모서리)부를 적게 하고 또 평면이면 좋다.The stirring blade 32 may be formed in a rod shape. The stirring blade 32 preferably has a cross section in which the area of the tip surface 33 of the rod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2b of the housing 2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in the body portion of the rod.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form larger than the area of (34).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tip surface 33 of the rod-shaped stirring blade 32 faces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2b of the housing 2 among the tip portions of the rod bent by 90 degrees. If it's cotton, it's fine. Moreov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as for the front-end|tip surface 33 of the rod-shaped stirring blade 32, what is necessary is just a surface in which a part of the outer edge is curved. Moreov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the front-end|tip surface 33 of the rod-shaped stirring blade 32 may just be a surface in which a part of the outer edge is a straight line. In particular, the tip surface 33 of the rod-shaped stirring blade 32 may have a flat surface with a small number of corners so as not to concentrate energy by microwaves.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4)는, 하우징(2) 속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8)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한다. 아울러, 덮개 부재(21)가 닫힌 하우징(2) 속에 조사되는 마이크로파는 하우징(2) 바깥으로 새는 경우가 없어, 분립체의 식품 재료(8)를 효율적으로 가열한다. 분립체의 식품 재료(8)를 하우징(2) 속에 출입시킬 때,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4)는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정지하고 있다. The microwave irradiation apparatus 4 irradiates a microwave to the food material 8 of the granular material in the housing 2 . In addition, the microwave irradiated into the housing 2 in which the cover member 21 is closed does not leak out of the housing 2, and the food material 8 of a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s heated efficiently. When the food material 8 of a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s brought in and out of the housing 2, the microwave irradiation apparatus 4 is stopping irradiation of a microwave.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4)는 마이크로파 발진기(41)와, 아이솔레이터(isolator, 42)와, EH 튜너(EH tuner, 43)와, 도파관(導波管, 44)을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4)는 마이크로파 발진기(41), 아이솔레이터(42), EH 튜너(43), 그리고 하우징(2) 순으로 도파관(44)으로 접속되어 있다. The microwave irradiation device 4 includes at least a microwave oscillator 41 , an isolator 42 , an EH tuner 43 , and a waveguide 44 . The microwave irradiation device 4 is connected to the microwave oscillator 41 , the isolator 42 , the EH tuner 43 , and the housing 2 in this order by a waveguide 44 .

마이크로파 발진기(41)는 마이크로파를 발진한다. 마이크로파 발진기(41)는, 예를 들면, 일반적인 2450 MHz대의 마그네트론이다. 분립체의 식품 재료(8)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은 마이크로파를 흡수하여 발열한다. The microwave oscillator 41 oscillates microwaves. The microwave oscillator 41 is, for example, a general magnetron in the 2450 MHz band. The water contained in the food material 8 of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absorbs microwaves and generates heat.

아이솔레이터(42)는 마이크로파 발진기(41)로부터 발진되는 마이크로파 중 진행파를 전파(傳搬)하고, 마이크로파 중 반사파를 흡수한다. 아이솔레이터(42)는 마이크로파 발진기(41)로부터 발진되는 마이크로파 중 반사파가 마이크로파 발진기(41)로 되돌아오지 않도록 한다. The isolator 42 propagates the traveling wave among the microwaves oscillated from the microwave oscillator 41 and absorbs the reflected wave among the microwaves. The isolator 42 prevents the reflected wave among the microwaves oscillated from the microwave oscillator 41 from returning to the microwave oscillator 41 .

EH 튜너(43)는 하우징(2) 내로부터 되돌아오는 반사파와 동일한 진폭이고 그리고 위상이 반대인 파를 발생한다. EH 튜너(43)는 하우징(2) 내로부터 되돌아오는 반사파를 상쇄시킨 매칭 상태를 만들어낸다. The EH tuner 43 generates a wave of the same amplitude and opposite in phase as the reflected wave returning from within the housing 2 . The EH tuner 43 creates a matching state in which the reflected wave returning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2 is canceled.

도파관(44)은 마이크로파를 전파시킨다. 도파관(44)은 하우징(2) 상부의 덮개 부재(21)의 하우징측 개구(44a)에 접속하여, 하우징(2) 속까지 마이크로파를 전파한다. 마이크로파는 하우징(2) 내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8)의 상방으로부터 조사되면 좋다. The waveguide 44 propagates microwaves. The waveguide 44 is connected to the housing-side opening 44a of the cover member 21 at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2 to propagate the microwave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2 .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irradiate a microwave from the upper direction of the food material 8 of the granular material in the housing 2 .

스터러 팬(5)은 하우징(2) 속에 조사된 마이크로파의 캐비테이션(cavitation)을 증가시킨다. 스터러 팬(5)은 하우징(2) 속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스터러 팬(5)의 회전축(51)의 축 방향은 상하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스터러 팬용 회전 구동 장치(53)는 스터러 팬(5)의 회전축(51)을 회전시킨다. The stirrer fan 5 increases the cavitation of the microwaves irradiated into the housing 2 . The stirrer fan 5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housing 2 .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51 of the stirrer fan 5 is provided in an up-down direction. The rotation drive device 53 for the stirrer fan rotates the rotation shaft 51 of the stirrer fan 5 .

스터러 팬(5)에는 반사판(52)이 부착되어 있다. 스터러 팬(5)의 반사판(52)은, 도파관(44) 하우징측 개구(44a)와 하우징(2) 내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8)와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스터러 팬(5)은 분립체의 식품 재료(8)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스터러 팬(5)은 도파관(44) 하우징측 개구로부터 조사되는 마이크로파를 하우징(2) 내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8)의 상방에서 흩뿌려, 분립체의 식품 재료(8)의 상면을 향하여 마이크로파를 균일하게 조사시킨다. A reflecting plate 52 is attached to the stirrer fan 5 . The reflecting plate 52 of the stirrer fan 5 is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housing-side opening 44a of the waveguide 44 and the food material 8 of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n the housing 2 . The stirrer pan 5 is arrange|positioned above the food material 8 of a powder or granular material. The stirrer fan 5 scatters microwaves irradiated from the opening on the housing side of the waveguide 44 from above the food material 8 in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n the housing 2,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food material 8 in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The microwave is uniformly irradiated.

온도 센서(6)는, 하우징(2) 속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8)의 온도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온도 센서(6)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립체의 식품 재료(8)의 온도를 비접촉으로 검출할 수 있는 방사 온도계일 수도 있다. 온도 센서(6)는, 예를 들면 광섬유 센서를 사용하여 온도를 검출하는 것을 채용할 수도 있다. The temperature sensor 6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food material 8 of the granular material in the housing 2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temperature sensor 6 may be a radiation thermometer which can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food material 8 of a powder or granular material non-contact. The temperature sensor 6 may employ, for example, detecting a temperature using an optical fiber sensor.

제어 장치(7)는,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4)와 접속하여 하우징(2) 속에서 교반축(3)에 의해 교반 중인 분립체의 식품 재료(8)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하우징(2) 속(中)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8)를 소정의 예비 가열 시간 이내에 소정의 예비 가열 온도로 균일하게 승온될 때까지 예비 가열하도록, 적어도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4)를 제어한다. 제어 장치(7)는, 온도 센서(6)와 접속하여 온도 센서(6)가 검출하는 온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여, 온도 센서(6)가 검출하는 온도에 기초하여 적어도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4)를 제어하면 좋다. 또한 제어 장치(7)는 교반축용 회전 구동 장치(35) 및 스터러 팬용 회전 구동 장치(53)와 접속하여, 그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The control device 7 is connected to the microwave irradiation device 4 and irradiates a microwave to the food material 8 of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being stirred by the stirring shaft 3 in the housing 2, and is inside the housing 2 At least the microwave irradiation apparatus 4 is controlled so that the food material 8 of a (medium) powder or granular material may be preheated until it heats up uniformly to predetermined preheating temperature within predetermined preheating time. The control device 7 is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or 6 to receive a signal indicating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6 , and based o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6 at least the microwave irradiation device 4 . It is good to control Moreover, the control apparatus 7 can connect with the rotation drive apparatus 35 for stirring shafts, and the rotation drive apparatus 53 for stirrers, and can also control them.

특히, 본 발명의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1) 및 분립체 예비 가열 방법은, 저온 저장되어 있던 분립체의 식품 재료(8)를 식품 가공 기계로 가공하기 이전에 하우징(2) 속에 수용하고, 하우징(2) 속에서 분립체의 식품 재료(8)를 교반하고, 하우징(2) 속에서 교반되고 있는 중인 분립체의 식품 재료(8)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함으로써, 저온 저장되어 있던 분립체의 식품 재료(8)가 10분 이내라는 소정의 예비 가열 시간 이내에 식품 가공 기계로의 가공에 적합한 25℃ 이상 30℃ 이하라는 소정의 예비 가열 온도로 균일하게 승온될 때까지 예비 가열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owder and granular preheating apparatus 1 and the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prehe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material 8 of the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stored at a low temperature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2 before being processed by a food processing machine, Powdered or granular foodstuffs stored at a low temperature by stirring the powdery food materials 8 in the housing 2 and irradiating microwaves to the powdered or granular foodstuffs 8 being stirred in the housing 2 . Preheating can be performed until the material 8 is uniformly heated to a predetermined preheating temperature of 25°C or more and 30°C or less suitable for processing with a food processing machine within a predetermined preheating time of 10 minutes or less.

대부분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8)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열 에너지의 양은 물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열 에너지의 양보다 작다. 예를 들면, 밀의 비열(比熱)은 1.524 J/g·K이다. 물의 비열은 4.217 J/g·K이다. 밀의 비열은 물의 비열의 3분의 1 정도이다. The amount of thermal energy required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food material 8 of most of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s smaller than the amount of thermal energy required to raise the temperature of water. For example, the specific heat of wheat is 1.524 J/g·K. The specific heat of water is 4.217 J/g·K. The specific heat of wheat is about one-third that of water.

예를 들면, 전분 및 단백을 주 성분으로 하는 것 같은 식품 재료는, 그들 성분의 표층에 자유수(自由水)로서 자연스럽게 존재해 있는 수분의 승온을 이용하면, 온도차가 15℃ 내지 30℃인 범위에서 보다 단시간에 승온될 수 있다. 아울러, 일반적으로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분립체의 식품 재료의 수분량은 일정한 범위로 규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밀가루의 물 함유율은 13∼15% 정도이다. For example, when using the elevated temperature of water naturally present as free water in the surface layer of the ingredients for food ingredients such as starch and protein as main ingredients, the temperature difference is in the range of 15°C to 30°C. It can be heated in a shorter time than in In additio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ood material of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which is generally distributed in the market is regulated in a certain range. For example, the water content of wheat flour is about 13 to 15%.

따라서, 물에 대한 유도 손실 계수가 매우 큰 마이크로파를 예비 가열에 이용한다. 마이크로파는 분립체의 식품 재료(8)에 포함되는 수분 쪽을 적극적으로 가열한다. 마이크로파는 분립체의 식품 재료(8)를 가공하기 이전에 가공에 적합한 상온까지 단시간에 승온시킬 수 있다. 또한 짧은 예비 가열 시간은 전분 및 단백 등과 같은 열에 기인하는 가공 특성의 변화가 큰 성분에, 열에 의한 변화가 발생하는 온도대까지 승온되는 경우 없이 마이크로파로 발열하는 수분의 열을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분립체의 식품 재료(8)의 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Therefore, a microwave having a very large induced loss coefficient for water is used for preheating. The microwave actively heats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food material 8 of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The microwave can raise the temperature to room temperature suitable for processing in a short time before processing the food material 8 of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n addition, the short preheating time suppresses the heat of moisture generated by microwaves to the minimum necessary to reduce the heat of moisture generated by microwaves without raising the temperature to the temperature range where heat-induced changes occur in components with large changes in processing characteristics due to heat, such as starch and protein. The fall of the quality of the food material 8 of a sieve can be suppressed.

나아가 마이크로파는, 분립체의 식품 재료(8)에 포함되는 전분 및 단백 등과 같은 열에 기인하는 가공 특성의 변화가 큰 성분을 직접 가열하지 않으므로, 분립체의 식품 재료(8)의 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Furthermore, since the microwave does not directly heat components with large changes in processing characteristics due to heat such as starch and protein contained in the food material 8 of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the food material 8 of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s suppressed. can do.

하우징(2) 내에 공급된 분립체의 식품 재료(8)는, 각 분체 사이의 틈 또는 각 알곡체(粒體) 사이의 틈이 넓은 장소와 그들의 틈이 좁은 장소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틈이 넓은 장소는 틈이 좁은 장소보다 마이크로파가 감쇄(減殺)되지 않고 침투하는 거리가 길다. 틈이 넓은 장소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8)는 틈이 좁은 장소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8)보다 가열되기 쉽다. In the food material 8 of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supplied in the housing 2, the gap between each powder or the place where the gap between each grain is wide, and the place where those gaps are narrow may arise. In a place with a wide gap, the microwave penetration distance is longer than a place with a narrow gap. The food material 8 of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n a place with a wide gap is easier to heat than the food material 8 of a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n a place with a narrow space.

따라서, 분립체의 식품 재료(8)는, 하우징(2) 속에서 교반되면서 마이크로파가 조사되어 예비 가열된다. 교반에 의해, 분립체의 식품 재료는 보다 균일하게 단시간에 승온될 수 있다. 이 때, 하우징 내에서의 캐비테이션에 의해 분립체의 식품 재료는 훨씬 신속하고 균일한 승온을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food material 8 of a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s irradiated with microwaves while stirring in the housing 2, and is preheated. By stirring, the food material of a powder or granular material can be heated up more uniformly in a short time. At this time, by cavitation in the housing, the food material of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can be heated much more quickly and uniformly.

본 발명의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1)는, 하우징(2) 내에 분립체의 식품 재료(8)가 공급되고, 하우징(2) 내의 교반축(3)으로 분립체의 식품 재료(8)를 교반하면서 하우징(2) 내에서 분립체의 식품 재료(8)에 마이크로파가 조사되고 있음으로써, 분립체의 식품 재료를 효율적으로 예비 가열할 수 있다. 마이크로파는 하우징(2)에 의해 누설이 방지되고 있으므로, 가열 효율이 높다. In the powder or granular preheating apparatus 1 of this invention, the food material 8 of a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s supplied in the housing 2, and the food material 8 of a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s supplied with the stirring shaft 3 in the housing 2. By irradiating a microwave to the food material 8 of a powder or granular material within the housing 2, stirring, the food material of a powder or granular material can be preheated efficiently. Since the microwave is prevented from leaking by the housing 2, the heating efficiency is high.

이제부터는 본 발명의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1)를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해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From now on, the granular material preheating apparatus 1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more detail by another embodiment. In addition,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1)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일로(110)에 저온 저장되어 있던 분립체의 식품 재료(8)를 식품 가공 기계(100)로 가공하기 이전에 가공에 적합한 소정의 예비 가열 온도까지 예비 가열한다. As shown in FIG. 8 , the powder and granular preheating device 1 is a predetermined suitable for processing before processing the food material 8 of the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stored at a low temperature in the silo 110 by the food processing machine 100 . preheat to the preheating temperature of

사일로(110) 속에 저장되어 있는 분립체의 식품 재료(8)는 블러워(blower, 151)에 의해 유스 빈(use bin, 120)으로 보내진다. 유스 빈(120)은 임시 저장 탱크이다. 유스 빈(120) 속에 저장되어 있는 분립체의 식품 재료(8)는 스케일(scale, 130)에 의해 소정량 계량된다. 스케일(130)은 계량 장치이다. 소정량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8)는 블러워(152)에 의해 인라인 시프터(inline shifter, 140)로 보내진다. 인라인 시프터(140)는 분립체의 식품 재료(8)를 진동하는 체에 연속적으로 쳐서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물질이 제거된 분립체의 식품 재료(8)는 블러워(153)에 의해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1)로 보내진다. 블러워(151, 152, 153)는 공기식 이동 장치이다. The granular food material 8 stored in the silo 110 is sent to a use bin 120 by a blower 151 . The youth bin 120 is a temporary storage tank. The granular food material 8 stored in the youth bin 120 is weighed by a scale 130 by a predetermined amount. The scale 130 is a metering device.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food material 8 in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s sent to an inline shifter 140 by the blower 152 . The in-line shifter 140 continuously beats the food material 8 in powder or granular form against a vibrating siev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The food material 8 of the granular material from which the foreign material was removed is sent to the powder/granule preheating apparatus 1 by the blower 153. The blowers 151, 152 and 153 are pneumatic moving devices.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1)로 보내진 분립체의 식품 재료(8)는 식품 가공에 적합한 소정의 예비 가열 온도까지 예비 가열된다. 예비 가열된 분립체의 식품 재료(8)는 자중에 의해 식품 가공 기계(100)로 이동한다. 아울러, 분립체의 식품 재료(8)의 이송 수단은, 필요에 따라 각종 방식을 채용하면 좋다. The powder or granular food material 8 sent to the powder or granular preheating apparatus 1 is preheated to the predetermined|prescribed preheating temperature suitable for food processing. The preheated powdery food material 8 moves to the food processing machine 100 by its own weight. In addition,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employ|adopt various systems as a conveyance means of the food material 8 of a powder or granular material as needed.

식품 가공 기계(100)는, 예를 들면, 과자, 빵 또는 면의 반죽을 생성하는 기계이다. 예를 들면 식품 가공 기계(100)는 분립체의 식품 재료(8)를 가수(加水)하고 혼련하여 반죽을 생성하는 믹서이다. 또한 예를 들면 식품 가공 기계(100)는 회전하는 스크류를 가지며 반죽을 특정한 형상으로 밀어내는 압출기(押出機)이다. The food processing machine 100 is, for example, a machine that produces dough for confectionery, bread or noodles. For example, the food processing machine 100 is a mixer which hydrates and kneads the food material 8 of a powder or granular material, and produces|generates a dough. Also, for example, the food processing machine 100 is an extruder that has a rotating screw and pushes dough into a specific shape.

분립체의 식품 재료(8)는 가루 형태의 식품 재료 또는 알곡(알갱이, grain) 형태의 식품 재료 중 어느 한쪽 또는 그들이 서로 섞인 것이다. 분립체의 식품 재료(8)는, 예를 들면, 밀가루, 보리가루, 옥수수 녹말, 귀리가루, 호밀가루, 쌀가루, 감자가루, 메밀가루, 콩가루, 밀 알곡, 보리 알곡, 옥수수 알곡, 귀리, 호밀 알곡, 쌀 알곡, 메밀의 열매 및 콩이다. The food material 8 in powder or granular form is either a food material in the form of a powder or a food material in the form of a grain, or a mixture thereof. The powdery food ingredients 8 are, for example, wheat flour, barley flour, cornstarch, oat flour, rye flour, rice flour, potato flour, buckwheat flour, soybean flour, wheat grain, barley grain, corn grain, oat, rye. It is a grain, rice grain, buckwheat fruit and soybean.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1)의 하우징(2)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직 방향으로 세로로 놓을 수도 있다. 하우징(2)은 세로로 길면 좋다. 하우징(2)은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이 되도록 세로로 놓여져 있다. 하우징(2)의 상부부터 몸체부까지의 부분은 원통 형상이다. 하우징(2)의 상부에 재료 공급구(2c)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의 하부는 하방을 향하여 축경(縮徑)되고 있는 역원뿔 형상이며, 내측이 깔대기 형상이다. 하우징(2)의 하부에 재료 배출구(2d)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은, 예를 들면, 금속제이면 좋다. 하우징(2)은,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스틸제이면 좋다. As shown in FIG.9 and FIG.10, the housing 2 of the granular material preheating apparatus 1 can also be set vertically in a perpendicular direction. The housing 2 should just be longitudinally long. The housing 2 is placed vertically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comes the vertical direction. A portion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2 to the body portion has a cylindrical shape. A material supply port 2c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2 .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2 is in the shape of an inverted cone which is diametrically reduced toward the bottom, and the inside is a funnel shape. A material outlet 2d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2 . The housing 2 may be made of metal, for example. The housing 2 may be made of, for example, stainless steel.

하우징(2)의 재료 공급구(2c)는 인라인 시프터(140)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이후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8)를 하우징(2) 속에 공급하기 위한 입구이다. 하우징(2)의 재료 배출구(2d)는 하우징(2) 속에서 예비 가열한 분립체의 식품 재료(8)를 식품 가공 기계(100)를 향하여 배출하는 출구이다. 재료 공급구(2c)와 재료 배출구(2d)는 각각 개폐 밸브(161, 162)로 개폐할 수 있다. The material supply port 2c of the housing 2 is an inlet for supplying the food material 8 in powder or granular form after the foreign substances are removed from the in-line shifter 140 into the housing 2 . The material discharge port 2d of the housing 2 is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food material 8 in powder or granular form preheated in the housing 2 toward the food processing machine 100 . The material supply port 2c and the material discharge port 2d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opening/closing valves 161 and 162, respectively.

하우징(2)의 정면 및 후면에 점검 도어(22, 22)가 마련되어 있다. 점검 도어(22, 22)는 하우징의 내부를 청소할 때 개방된다. 하우징(2)의 상부에 점검 창(23)이 마련되어 있다. 점검 창(23)은, 예를 들면 무색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이며, 하우징(2) 속을 육안으로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우징의 상부에 조명 부재(24)가 마련되어 있다. 조명 부재(24)는 점검 창(23)에서 하우징(2) 속을 육안으로 볼 때 하우징(2) 속을 비춘다. 하우징(2)의 측면에 가진(加振) 부재(25)가 마련되어 있다. 가진 부재(25)는, 예를 들면, 에어식 또는 전자식(電磁式)의 노커(knocker) 등이며, 하우징(2)에 진동을 줌으로써, 하우징(2)의 벽(2b)의 내면에 부착된 분립체의 식품 재료를 확실하게 재료 배출구(2d)로부터 낙하시킬 수 있다. Inspection doors 22 , 22 ar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housing 2 . The inspection doors 22 and 22 are opened when clean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An inspection window 23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2 . The inspection window 23 is, for example, colorless and transparent glass or plastic, and makes it possible to visually see the inside of the housing 2 . A lighting member 24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he lighting member 24 illuminates the inside of the housing 2 when visually looking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2 from the inspection window 23 . A vibrating member 25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2 . The vibrating member 25 is, for example, an air-type or electromagnetic knocker, etc., and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2b of the housing 2 by giving vibration to the housing 2 . The food material of the granular material can be reliably dropped from the material discharge port 2d.

하우징(2)의 상부에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4)가 마련되어 있다.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4)는 하우징(2) 속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8)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한다. 마이크로파는 분립체의 식품 재료(8)의 상방으로부터 조사되고 있다. 마이크로파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스틸제의 하우징(2) 속에서 난반사(亂反射)를 반복하여 분립체의 식품 재료(8)를 가열한다. A microwave irradiation device 4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2 . The microwave irradiation device 4 irradiates a microwave to the food material 8 of the granular material in the housing 2 . The microwave is irradiated from above the food material 8 of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Microwaves repeat diffuse reflection in the housing 2 made of stainless steel, for example, and heat the food material 8 of a powder or granular material.

하우징(2)에 복수 개의 온도 센서(6a, 6b, 6c)가 마련되어 있다. 복수 개의 온도 센서(6a, 6b, 6c)는 재료 배출구(2d)로부터의 높이가 각각 다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온도 센서(6a)는 온도 센서(6b) 및 온도 센서(6c)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온도 센서(6c)는 온도 센서(6a) 및 온도 센서(6b)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온도 센서(6b)는 온도 센서(6a)와 온도 센서(6c)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복수 개의 온도 센서(6a, 6b, 6c)는 재료 배출구(2d)로부터의 높이가 각각 다른 위치에 있는 분립체의 식품 재료(8)의 온도를 검출한다. 아울러, 예를 들면 하우징(2) 속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8)가 온도 센서(6b)와 온도 센서(6c) 사이의 높이까지 수용되어 있는 경우, 온도 센서(6c)만 사용하면 좋다. 복수 개의 온도 센서(6a, 6b, 6c)는, 예를 들면, 측온 저항체이면 좋다.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6a, 6b, 6c are provided in the housing 2 .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6a, 6b, 6c are arranged so as to have different heights from the material outlet 2d. For example, the temperature sensor 6a is provid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temperature sensor 6b and the temperature sensor 6c. The temperature sensor 6c is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temperature sensor 6a and the temperature sensor 6b. The temperature sensor 6b is provided between the temperature sensor 6a and the temperature sensor 6c.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6a, 6b, and 6c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food material 8 of the granular material at positions different in height from the material outlet 2d. In addition, when the food material 8 of the granular material in the housing 2 is accommodated to the height between the temperature sensor 6b and the temperature sensor 6c, only the temperature sensor 6c may be used,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6a, 6b, and 6c may be, for example, resistance thermometers.

교반축(3)의 회전축(31)은,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 방향이 수직 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교반축(3)의 회전축(31)은 세로로 놓인 하우징(2)의 상하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회전축(31)의 기단부(基端部)는 하우징(2)의 상부에 마련된 교반축용 회전 구동 장치(35)에 접속되어 있다. 회전축(31)의 선단부(先端部)는 재료 배출구(2d)에 면해 있다. 교반축(3)은 교반 날개(32)를 갖는다. 교반 날개(32)는 주 교반 날개(36)와 보조 교반 날개(37)로 구성되어 있다. 교반축(3)은, 예를 들면, 금속제이면 좋다. 교반축(3)은,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스틸제이면 좋다. The rotation shaft 31 of the stirring shaft 3 is provided so that an axial direction may face a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11 and FIG.12. The rotation shaft 31 of the stirring shaft 3 is provided so as to b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using 2 placed vertically. The base end of the rotating shaft 31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drive device 35 for stirring shaft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2 . The distal end of the rotating shaft 31 faces the material discharge port 2d. The stirring shaft 3 has a stirring blade 32 . The stirring blade 32 is composed of a main stirring blade 36 and an auxiliary stirring blade 37 . The stirring shaft 3 may be, for example, made of metal. The stirring shaft 3 may be made of, for example, stainless steel.

주 교반 날개(36)는 주 날개 본체(36a)와 주 날개 부착축(36b)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 날개 본체(36a)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면 회전축(31)의 둘레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띠 형상의 날개를 하우징(2)의 벽(2b)의 내면을 따르도록 나선형(螺旋狀)으로 감아두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 날개 본체(36a)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면 띠 형상의 날개가 선회함에 따라 회전축(31)에 가까워지도록 소용돌이 형상(渦券狀)으로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2)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곡률 반경이 작아지고 있다. 또한 주 날개 본체(36a)의 외주에 주 날개 노치부(切缺部)(36c, 36c, 36c)가 형성되어 있다. 주 날개 노치부(36c, 36c, 36c)는 하우징(2)에 마련되어 있는 온도 센서(6a, 6b, 6c)에 주 날개 본체(36a)가 충돌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이다. The main stirring blade 36 is comprised by the main blade main body 36a and the main blade attachment shaft 36b. As shown in FIG. 11, the main wing body 36a is spirally (螺旋狀) is formed in a wound shap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the main blade body 36a is formed in a spiral shape so as to approach the rotation shaft 31 as the belt-shaped blade turns in a plan view, and the housing 2 The radius of curvature is decreasing from above to below. Moreover, main blade notch parts 36c, 36c, 36c are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blade body 36a. The main blade notches 36c, 36c, and 36c are formed so that the main blade body 36a does not collide with the temperature sensors 6a, 6b, 6c provided in the housing 2 .

보조 교반 날개(37)는 보조 날개 본체(37a)와 보조 날개 부착축(37b)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조 교반 날개(37)는 주 교반 날개(36)의 하방에 배치된 날개이며, 회전축(31)의 선단부에 보조 날개 부착축(37b)을 통하여 부착된다. 보조 날개 본체(37a)도 주 날개 본체(36a)와 마찬가지로 회전축(31)의 둘레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띠 형상의 날개를 하우징(2)의 벽(2b)의 내면을 따르도록 나선으로 반회전만큼 감아두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띠 형상의 날개가 선회함에 따라 회전축(31)에 가까워지도록 소용돌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 날개 본체(36a)와 보조 날개 본체(37a)는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하여 점대칭인 위치에 마련된다. 보조 날개 본체(37a)도 주 날개 본체(36a)와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보조 날개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The auxiliary stirring blade 37 is comprised by the auxiliary blade main body 37a and the auxiliary blade attachment shaft 37b. The auxiliary stirring blade 37 is a blade disposed below the main stirring blade 36 , and is attached to the tip of the rotating shaft 31 through the auxiliary blade attachment shaft 37b. Auxiliary blade body 37a is also semi-rotated spirally so as to follow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2b of the housing 2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31, similarly to the main blade body 36a. It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wound as much as possible, and is formed in a spiral shape so as to approach the rotational shaft 31 as the band-shaped wing turns. In addition, the main blade body (36a) and the auxiliary blade body (37a) is provided at a point symmetrical position about the rotation shaft (31). The auxiliary blade body 37a may also be formed with an auxiliary blade notch not shown in the same manner as the main blade body 36a.

주 교반 날개(36) 및 보조 교반 날개(37)가 하우징(2)의 벽(2b)의 내면을 따르는 나선 그리고 소용돌이 모양의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교반축(3)이 회전하였을 때 하우징(2) 속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8)를 하우징(2)의 바닥 쪽부터 상하층이 바뀌도록 크게 섞을 수 있고, 분립체끼리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하층의 압밀화(壓密化)를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main stirring blades 36 and the auxiliary stirring blades 37 have spiral and spiral shape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2b of the housing 2, when the stirring shaft 3 rotates, the housing 2 ), the food material 8 of the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can be mix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layers change from the bottom side of the housing 2,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to prevent the consolidation of the lower layer. can do.

교반축(3)의 회전축(31)은 하우징(2)의 벽(2b)을 관통하는 관통홀(2e)에 회전 가능하게 삽통(揷通, 삽입되어 통함)되어 있다. 회전축(31)과 관통홀(2e) 사이는 오일 씰(oil seal) 및 O 링 등의 씰 링(seal ring)으로 실링(밀봉)되어 있다. 씰 부착 부재(39)가 회전축(31)과 관통홀(2e) 사이에 마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씰 부착 부재(39)는, 예를 들면, 제1 씰 링, 제2 씰 링 및 제3 씰 링이 부착되어 있다. 씰 부착 부재(39)와 회전축(31) 사이는, 예를 들면, 제1 씰 링으로 실링되어 있다. 씰 부착 부재(39)와 관통홀(2e) 사이는, 예를 들면, 제2 씰 링 및 제3 씰 링으로 실링되어 있다. The rotating shaft 31 of the stirring shaft 3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e penetrating the wall 2b of the housing 2 . Between the rotating shaft 31 and the through-hole 2e, it is sealed (sealed) with a seal ring, such as an oil seal and an O-ring. A seal attachment member 39 may be provided between the rotation shaft 31 and the through hole 2e. As for the seal attachment member 39, the 1st seal ring, the 2nd seal ring, and the 3rd seal ring are attached, for example. Between the seal attaching member 39 and the rotating shaft 31, it is sealed with the 1st seal ring, for example. The space between the seal attaching member 39 and the through hole 2e is sealed by, for example, a second seal ring and a third seal ring.

교반축(3)의 회전축(31)은 하우징(2) 속에서 그리고 관통홀(2e)의 근방의 외주에 주름관 형상의 고리형상부(38)를 가지면 좋다. 주름관 형상의 고리형상부(38)는 상기 하우징 속에서 그리고 상기 관통홀의 근방에 상기 교반축을 회전 가능하게 삽통하도록 하우징(2)에 마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주름관 형상의 고리형상부(38)는 하우징(2) 속에서 그리고 씰 링 또는 씰 부착 부재(39)의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2)은 씰 링 또는 씰 부착 부재(39)를 포함할 수도 있다. 주름관 형상의 고리형상부(38)는 씰 링 또는 씰 부착 부재(39)에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주름관 형상의 고리형상부(38)는 외경이 큰 부분과 외경이 작은 부분이 중심축의 축 방향으로 교대로 나열되어 있으면 좋다. 주름관 형상의 고리형상부(38)는, 예를 들면, 금속제이면 좋다. 주름관 형상의 고리형상부(38)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스틸제이면 좋다. 하우징(2) 속을 반사하는 마이크로파는 씰 링 및 씰 부착 부재(39)에 도달하기 이전에 주름관 형상의 고리형상부(38)에 의해 반사되어진다. 주름관 형상의 고리형상부(38)는, 예를 들면, 수지제의 씰 부착 부재(39) 및 씰 링이 마이크로파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rotating shaft 31 of the stirring shaft 3 may have a corrugated tube-shaped annular portion 38 in the housing 2 and on the outer periphery in the vicinity of the through hole 2e. A corrugated tube-shaped annular portion 38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2 so as to rotatably insert the stirring shaft in the housing and in the vicinity of the through hole. An annular portion 38 in the form of a corrugated tube is provided in the housing 2 and in the vicinity of the seal ring or seal attachment member 39 . The housing 2 may include a seal ring or seal attachment member 39 . The annular portion 38 in the form of a corrugated tube may be attached to a seal ring or a seal attachment member 39 . As for the corrugated tube-shaped annular portion 38, a portion having a large outer diameter and a portion having a small outer diameter may b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The corrugated tube-shaped annular portion 38 may be, for example, made of metal. The corrugated tube-shaped annular portion 38 may be made of, for example, stainless steel. The microwave reflected in the housing 2 is reflected by the annular portion 38 in the form of a corrugated tube before reaching the seal ring and the seal attachment member 39 . The corrugated tube-shaped annular portion 38 can prevent, for example, the resin seal attaching member 39 and the seal ring from being heated by microwaves.

이제부터는 본 발명의 분립체 온도 조절 장치(10)를 설명하기로 한다. 덧붙여 전술한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1)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 밖에, 식품 가공 기계(100), 사일로(110), 유스 빈(120), 스케일(130), 인라인 시프터(140), 블러워(151, 152, 153) 및 개폐 밸브(161, 162)도 전술한 것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From now on, the granular material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description is abbreviate|omitted about the same component as the granular material preheating apparatus 1 mentioned above. In addition, the food processing machine 100, the silo 110, the youth bin 120, the scale 130, the in-line shifter 140, the blowers 151, 152, 153 and the on/off valves 161, 162 are also shown. Since it is the sam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분립체 온도 조절 장치(1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일로(110)에 저장되어 있던 분립체의 식품 재료(8)를 식품 가공 기계(100)로 가공하기 이전에 가공에 적합한 소정의 온도까지 예비 가열 또는 예비 냉각한다. As shown in FIG. 8 , the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 is configured to process the food material 8 of the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stored in the silo 110 by the food processing machine 100 before processing it with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value suitable for processing. Preheat or precool to temperature.

분립체 온도 조절 장치(10)는, 도 13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과, 교반축(3)과, 분립체 예비 가열부(11)와, 분립체 예비 냉각부(12)와, 온도 센서(6a, 6b, 6c)와, 제어 장치(13)를 구비하고 있다. As shown in FIGS. 13 to 15 , the granular material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 includes a housing 2 , a stirring shaft 3 , a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preheating unit 11 , and a granular material precooling unit 12 . ), temperature sensors 6a, 6b, 6c, and a control device 13 are provided.

분립체 예비 가열부(11)는 하우징(2) 속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8)를 예비 가열한다. 분립체 예비 가열부(11)는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4)를 구비하여 하우징(2) 속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8)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한다. 하우징(2) 속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는 교반축(3)으로 교반되면서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4)가 조사하는 마이크로파로 예비 가열된다. The powder or granular preheating unit 11 preheats the food material 8 of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n the housing 2 . The powder and granular preheating part 11 is equipped with the microwave irradiation device 4, and irradiates a microwave to the food material 8 of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n the housing 2. As shown in FIG. The food material in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n the housing 2 is preheated with microwaves irradiated by the microwave irradiation device 4 while being stirred by the stirring shaft 3 .

분립체 예비 냉각부(12)는, 하우징(2) 속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8)를 예비 냉각한다. 분립체 예비 냉각부(12)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진공 장치를 구비하여 분립체의 식품 재료(8)를 수용한 하우징(2) 속을 감압시킨다. 진공 장치는, 예를 들면, 진공 펌프이며, 하우징(2) 속의 압력을 수분이 증발하는 압력 이하로 저하시켜 하우징(2) 속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8)가 보유하고 있는 수분의 일부를 강제로 증발시켜 그 때의 잠열(潛熱)을 이용하여 하우징(2) 속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8)를 냉각한다. 하우징(2) 속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8)는 교반축(3)으로 교반되면서 냉각됨으로써 균일하게 냉각된다. 또한 하우징(2)과 진공 펌프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콜드 트랩(cold trap)이 마련될 수도 있다. 콜드 트랩은 기체에 포함되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이며, 진공 펌프에 의해 분립체의 식품 재료(8)로부터 강제로 증발시킨 수증기를 신속히 회수할 수 있다. 콜드 트랩은 하우징(2) 속의 수증기량을 급속하게 감소시켜 하우징(2) 속의 진공도의 상승 속도를 빠르게 하여, 하우징(2) 속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8)의 온도를 더 신속히 저하시킨다. 콜드 트랩은, 예를 들면, 냉매를 배관 내에 순환시켜 기체의 수분이 응축되도록 구성된 열교환기 등이다. 아울러, 분립체 예비 냉각부(12)는 전술한 진공 장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종 냉각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The granular material pre-cooling part 12 pre-cools the food material 8 of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n the housing 2 . The powder or granular pre-cooling part 12 is provided with a vacuum device (not shown), for example, and reduces the pressure inside the housing 2 which accommodated the food material 8 of a powder or granular material. The vacuum device is, for example, a vacuum pump, and lowers the pressure in the housing 2 below the pressure at which the moisture evaporates to force a part of the moisture held by the food material 8 in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n the housing 2 . The food material 8 of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n the housing 2 is cooled using the latent heat at that time. The food material 8 in the granular form in the housing 2 is cooled uniformly by being cooled while being stirred by the stirring shaft 3 . Also, a cold trap (not show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housing 2 and the vacuum pump. A cold trap is a device which can remove the moisture contained in gas, and can recover quickly the water vapor|steam which forcibly evaporated from the food material 8 of a powder or granular material by a vacuum pump. The cold trap rapidly reduces the amount of water vapor in the housing 2 to speed up the rise rate of the vacuum degree in the housing 2, thereby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food material 8 in the granular material in the housing 2 more rapidly. The cold trap is, for example, a heat exchanger configured to circulate a refrigerant in a pipe so that moisture in the gas is condensed. In addition, the granular body pre-cooling part 12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vacuum device, Various cooling means can be employ|adopted.

제어 장치(13)는, 분립체 예비 가열부(11) 및 분립체 예비 냉각부(12)와 접속하여 그들을 제어하고 있다. 또한 제어 장치(13)는 온도 센서(6a, 6b, 6c)와 접속하여 온도 센서(6a, 6b, 6c)가 검출하는 온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여, 온도 센서(6a, 6b, 6c)가 검출하는 온도에 기초하여 분립체 예비 가열부(11) 및 분립체 예비 냉각부(12)를 제어하면 좋다. 또한 제어 장치(13)는 교반축용 회전 구동 장치(35)와 접속하여 교반축용 회전 구동 장치(35)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장치(7)는 스터러 팬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터러 팬용 회전 구동 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The control device 13 is connected to the powder or granular preheating unit 11 and the powder or granular precooling unit 12 and is controlling them. 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13 is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ors 6a, 6b, 6c to receive a signal indicating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s 6a, 6b, 6c, and the temperature sensors 6a, 6b, 6c are detected.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control the granular material preheating part 11 and the powder/granular body precooling part 12 based on the temperature to make. Moreover, the control apparatus 13 can connect with the rotation drive apparatus 35 for stirring shafts, and can also control the rotation drive apparatus 35 for stirring shafts. Moreover, when the control device 7 is provided with a stirrer fan, it can also control the rotation drive device for stirrer fans.

제어 장치(13)는 하우징(2) 속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8)가 소정의 온도를 밑돌고 있을 때, 교반축(3)으로 하우징(2) 속에서 식품 재료를 교반시키면서 10분 이내라는 소정의 예비 가열 시간 이내에 가공에 적합한 25℃ 이상 30℃ 이하라는 소정의 온도로 균일하게 승온될 때까지 예비 가열하도록 적어도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4)를 제어한다. 이 때의 소정의 온도는 예비 가열 온도이다. When the food material 8 of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n the housing 2 is below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control device 13 stirs the food material in the housing 2 with the stirring shaft 3 while stirring the food material in the housing 2 within 10 minutes. At least the microwave irradiation device 4 is controlled so as to preheat until the temperature is uniformly rais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f 25° C. or more and 30° C. or less suitable for processing within the pre-heating time of.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at this time is a preheating temperature.

또한 제어 장치(13)는 하우징(2) 속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8)가 소정의 온도를 웃돌고 있을 때, 하우징(2) 속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8)를 소정의 온도로 균일하게 냉각할 때까지 예비 냉각하도록 분립체 예비 냉각부(12)를 제어한다. 이 때의 소정의 온도는 예비 냉각 온도이다. Moreover, when the food material 8 of the granular material in the housing 2 exceed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control apparatus 13 cools the food material 8 of the granular material in the housing 2 uniformly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granular material pre-cooling unit 12 is controlled so as to pre-cool it until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at this time is a pre-cooling temperature.

특히, 본 발명의 분립체 온도 조절 장치(10) 및 분립체 온도 조절 방법은, 저장되어 있던 분립체의 식품 재료(8)를 식품 가공 기계(100)로 가공하기 이전에 하우징(2) 속에 수용하고, 하우징(2) 속의 분립체의 식품 재료(8)가 소정의 온도를 밑돌고 있을 때, 하우징(2) 속에 수용한 분립체의 식품 재료(8)를 교반하면서 마이크로파를 조사함으로써 균일하게 예비 가열하고, 10분 이내라는 소정의 예비 가열 시간 이내에 식품 가공 기계(100)로의 가공에 적합한 25℃ 이상 30℃ 이하라는 소정의 온도로 승온될 때까지 예비 가열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 and the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temperatur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mmodate the stored food material 8 of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n the housing 2 before processing by the food processing machine 100 . Then, when the food material 8 of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n the housing 2 is below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food material 8 of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housing 2 is stirred while irradiating with microwaves to uniformly preheat. And, within a predetermined preheating time of 10 minutes or less, it can be preheated until the temperature is rais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f 25°C or more and 30°C or less suitable for processing in the food processing machine 100 .

실시 형태는 발명의 원리와 그 실용적인 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선택되었다. 위에서 설명한 기술을 참조하여 다양한 개량이 가능하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The embodiments have been chosen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 reference to the technology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
2 하우징
2a 재료 급배구
2b 벽
2c 재료 공급구
2d 재료 배출구
2e 관통홀
3 교반축
4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
5 스터러 팬
6 온도 센서
7 제어 장치
8 분립체의 식품 재료
10 분립체 온도 조절 장치
11 분립체 예비 가열부
12 분립체 예비 냉각부
13 제어 장치
21 덮개 부재
22 점검 도어
23 점검 창
24 조명 부재
25 가진 부재
31 회전축
32 교반 날개
33 선단면
34 몸체부의 단면
35 교반축용 회전 구동 장치
36 주 교반 날개
36a 주 날개 본체
36b 주 날개 부착축
36c 주 날개 노치부
37 보조 교반 날개
37a 보조 날개 본체
37b 보조 날개 부착축
38 주름관 형상의 고리형상부
39 씰 부착 부재
41 마이크로파 발진기
42 아이솔레이터
43 EH 튜너
44 도파관
44a 하우징측 개구
51 회전축
52 반사판
53 스터러 팬용 회전 구동 장치
100 식품 가공 기계
110 사일로
120 유스 빈
130 스케일
140 인라인 시프터
151 블러워
152 블러워
153 블러워
161 개폐 밸브
162 개폐 밸브
1 granular preheating device
2 housing
2a material supply volleyball
2b wall
2c material inlet
2d material outlet
2e through hole
3 stirring shaft
4 microwave irradiation device
5 stirrer pan
6 temperature sensor
7 control unit
8 granular ingredients
10 granular temperature control device
11 Pre-heating part of granular material
12 Pre-cooling part of granular material
13 control unit
21 cover member
22 check door
23 check window
24 lack of light
the absence of 25
31 axis of rotation
32 stirring blades
33 front end
34 Cross section of the body
35 Rotary drive for stirring shaft
36 main stirring blades
36a main wing body
36b Main wing attachment shaft
36c main wing notch
37 Auxiliary Stirring Vane
37a auxiliary wing body
37b Auxiliary blade attachment shaft
38 Corrugated tube-shaped ring-shaped part
39 Seal attachment member
41 Microwave Oscillator
42 isolators
43 EH Tuner
44 waveguide
44a Housing side opening
51 axis of rotation
52 reflector
53 Rotary drive for stirrer fan
100 Food Processing Machines
110 silos
120 youth bin
130 scale
140 inline shifter
151 Blower
152 Blower
153 blower
161 on-off valve
162 on-off valve

Claims (18)

저온 저장되어 있던 분립체의 식품 재료를 식품 가공 기계로 가공하기 이전에 가공에 적합한 소정의 예비 가열 온도까지 예비 가열하는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로서,
상기 식품 재료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속에서 교반 날개를 회전시켜 상기 식품 재료를 교반하는 교반축과,
상기 하우징 속의 상기 식품 재료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와,
상기 교반축으로 교반 중인 상기 식품 재료를 상기 식품 재료의 성분의 표층에 자유수(自由水)로서 자연스럽게 존재해 있는 수분의 승온을 이용하여, 온도차가 15℃ 내지 30℃인 범위에서, 가공에 알맞은 25℃ 이상 30℃ 이하라는 상기 소정의 예비 가열 온도로 균일하게 승온될 때까지 예비 가열하도록, 적어도 상기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상기 하우징 속의 상기 식품 재료의 상방에서 회전하여 상기 마이크로파를 상기 식품 재료의 상방에서 흩뿌리도록, 상기 교반축과 상기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스터러 팬을, 구비하는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
A powder or granular preheating device for preheating food ingredients stored at low temperature to a predetermined preheating temperature suitable for processing before processing with a food processing machine,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food material;
A stirring shaft for stirring the food material by rotating the stirring blade in the housing;
a microwave irradiation device for irradiating microwaves to the food material in the housing;
Using the elevated temperature of the moisture naturally present as free water in the surface layer of the ingredients of the food ingredient being stirred by the stirring shaft, the temperature difference is in the range of 15°C to 30°C, suitable for processing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t least the microwave irradiation device so as to preheat the temperature uniformly to the predetermined preheating temperature of 25° C. or higher and 30° C. or lower;
and a stirrer pan disposed between the stirring shaft and the microwave irradiation device so as to rotate above the food material in the housing to scatter the microwave from above the food materi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터러 팬은, 상기 식품 재료를 교반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이크로파를 흩뿌리기 위해, 상기 교반축과 상기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와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그 회전축의 축 방향이 식품 재료를 교반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irrer pan is rotatably disposed between the stirring shaft and the microwave irradiation device in order to scatter microwave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od material is stirred, and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is the food material is provided in the direction of stirring, a powder preheating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수평 방향으로 가로로 놓여져서,
상기 교반축의 회전축의 축 방향은 수평 방향인,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s placed transversely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said stirring shaft is a horizontal direction, the granular preheating apparatu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연직 방향으로 세로로 놓여져서,
상기 교반축의 회전축의 축 방향은 연직 방향인,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s placed vertic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said stirring shaft is a vertical direction, The granular preheating apparatu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반 날개는 상기 하우징의 벽의 내면을 따르도록 나선형으로 감아두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irring blade is formed in a shape wound in a spiral so as to follow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of the housing, the powder preheating devic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교반 날개는 주 날개와 보조 날개로 구성되어 있는,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irring blade is composed of a main blade and an auxiliary blade, the powder preheating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반 날개는 봉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대면해 있는 상기 봉의 선단면의 면적이 상기 봉의 몸체부에 있어서의 상기 봉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irring blad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od, and the area of the tip surface of the rod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cross-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in the body of the rod. sieve preheating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반축의 회전축은 상기 하우징의 벽을 관통하는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어,
상기 회전축은 상기 하우징 속에서 그리고 상기 관통홀의 근방의 외주에 주름관 형상의 고리형상부를 가지고 있는,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shaft of the stirring shaft is rotatably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wall of the housing,
and the rotary shaft has a corrugated tube-shaped annular portion in the housing and on an outer periphery in the vicinity of the through ho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반축의 회전축은 상기 하우징의 벽을 관통하는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속에서 그리고 상기 관통홀의 근방에 상기 교반축을 회전 가능하게 삽통하는 주름관 형상의 고리형상부를 가지고 있는,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shaft of the stirring shaft is rotatably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wall of the housing,
and the housing has an annular portion in the form of a corrugated tube for rotatably inserting the stirring shaft in the housing and in the vicinity of the through ho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속의 상기 식품 재료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온도 센서가 검출하는 온도에 기초하여, 적어도 상기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를 제어하는,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food material in the housing,
The granular body preheating apparatus in which the said control apparatus controls the said microwave irradiation apparatus at least based on the temperature which the said temperature sensor detect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품 재료는, 밀가루, 보리가루, 옥수수 녹말, 귀리가루, 호밀가루, 쌀가루, 감자가루, 메밀가루, 콩가루, 밀 알곡, 보리 알곡, 옥수수 알곡, 귀리, 호밀 알곡, 쌀 알곡, 메밀의 열매 및 콩을 포함하는,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od ingredients include wheat flour, barley flour, cornstarch, oat flour, rye flour, rice flour, potato flour, buckwheat flour, soybean flour, wheat grain, barley grain, corn grain, oat, rye grain, rice grain, buckwheat fruit and A granular preheating device comprising bean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품 가공 기계는 과자, 빵 또는 면의 반죽을 생성하는,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od processing machine produces a dough for confectionery, bread or noodles.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식품 가공 기계는 상기 식품 재료를 가수하고 혼련하여 상기 반죽을 생성하는 믹서인,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food processing machine is a mixer for adding and kneading the food material to produce the dough.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식품 가공 기계는 회전하는 스크류를 가지며 상기 반죽을 특정한 형상으로 밀어내는 압출기인 분립체 예비 가열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food processing machine is an extruder having a rotating screw and pushing the dough into a specific shape.
저온 저장되어 있던 분립체의 식품 재료를 식품 가공 기계로 가공하기 이전에 가공에 알맞은 소정의 예비 가열 온도까지 예비 가열하는 분립체 예비 가열 방법에 있어서,
하우징에 수용한 상기 식품 재료를 교반하면서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식품 재료를 향하여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며, 상기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와 상기 식품 재료 사이에 마련된 스터러 팬을 회전시켜, 상기 마이크로파를 상기 식품 재료의 상방에서 균일하게 흩뿌려서 상기 식품 재료를 균일하게 예비 가열하고, 상기 식품 재료의 성분의 표층에 자유수로서 자연스럽게 존재해 있는 수분의 승온을 이용하여, 온도차가 15℃ 내지 30℃인 범위에서, 25℃ 이상 30℃ 이하라는 상기 소정의 예비 가열 온도로 승온될 때까지 상기 식품 재료를 예비 가열하는, 분립체 예비 가열 방법.
In the powder and granular preheating method of preheating the food material stored at a low temperature to a predetermined preheating temperature suitable for processing before processing with a food processing machine,
While stirring the food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 microwave irradiation device is used to irradiate the microwave toward the food material, and a stirrer pan provided between the microwave irradiation device and the food material is rotated to transmit the microwave to the food material. The food material is uniformly preheated by uniformly scattering it from above, and using the elevated temperature of moisture naturally present as free water in the surface layer of the component of the food material, the temperature difference is in the range of 15 ° C to 30 ° C, The powder or granular preheating method which preheats the said food material until it heats up to the said predetermined|prescribed preheating temperature of 25 degreeC or more and 30 degrees C or less.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스터러 팬으로 상기 식품 재료의 상방에서, 식품 재료를 교반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마이크로파를 균일하게 흩뿌리는, 분립체 예비 가열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powder or granular preheating method which disperse|distributes the said microwave uniformly in the direction which intersects the direction which stirs the food material above the said food material with the said stirrer pan.
저장되어 있던 분립체의 식품 재료를 식품 가공 기계로 가공하기 이전에 가공에 적합한 소정의 온도까지 예비 가열 또는 예비 냉각하는 분립체 온도 조절 장치로서,
식품 재료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속에서 교반 날개를 회전시켜 상기 식품 재료를 교반하는 교반축과,
상기 하우징 속의 상기 식품 재료를 예비 냉각하는 분립체 예비 냉각부와,
상기 하우징 속의 상기 식품 재료를 예비 가열하는 분립체 예비 가열부와,
상기 하우징 속의 상기 식품 재료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온도 센서가 검출하는 온도에 기초하여, 적어도 상기 분립체 예비 냉각부 및 상기 분립체 예비 가열부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분립체 예비 가열부는,
상기 하우징 속의 상기 식품 재료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와,
상기 하우징 속의 상기 식품 재료의 상방에서 회전하여, 상기 마이크로파를 상기 식품 재료의 상방에서 흩뿌리도록, 상기 교반축과 상기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터러 팬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하우징 속의 상기 식품 재료가 상기 소정의 온도를 밑돌고 있을 때, 상기 교반축으로 교반 중인 상기 식품 재료를 상기 식품 재료의 성분의 표층에 자유수로서 자연스럽게 존재해 있는 수분의 승온을 이용하여, 온도차가 15℃ 내지 30℃인 범위에서, 가공에 알맞은 25℃ 이상 30℃ 이하라는 상기 소정의 온도로 균일하게 승온될 때까지 예비 가열하도록, 적어도 상기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를 제어하는, 분립체 온도 조절 장치.
A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preheating or precooling the stored powdery food material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uitable for processing before processing with a food processing machine,
a housing for accommodating food ingredients;
A stirring shaft for stirring the food material by rotating the stirring blade in the housing;
a granular pre-cooling unit for pre-cooling the food material in the housing;
a powder preheating unit for preheating the food material in the housing;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food material in the housing;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t least the granular material pre-cooling unit and the granular material preheating unit based o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The powder and granular preliminary heating unit,
a microwave irradiation device for irradiating microwaves to the food material in the housing;
and a stirrer pan disposed between the stirring shaft and the microwave irradiation device so as to rotate above the food material in the housing to scatter the microwave from above the food material,
The control device is
When the food material in the housing is below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food material being stirred by the agitation shaft is stirred by using the temperature rise of moisture naturally present as free water in the surface layer of the component of the food material,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In the range of 15 °C to 30 °C, at least the microwave irradiation apparatus is controlled so as to preheat until the temperature is uniformly raised to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of 25 °C or more and 30 °C or less suitable for processing.
저장되어 있던 분립체의 식품 재료를 식품 가공 기계로 가공하기 이전에 가공에 적합한 소정의 온도까지 예비 가열 또는 예비 냉각하는 분립체 온도 조절 방법에 있어서,
하우징에 수용한 상기 식품 재료가 상기 소정의 온도를 밑돌고 있을 때, 상기 하우징에 수용한 상기 식품 재료를 교반하면서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식품 재료를 향하여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며, 상기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와 상기 식품 재료 사이에 마련된 스터러 팬을 회전시켜, 상기 마이크로파를 상기 식품 재료의 상방에서 균일하게 흩뿌려서 상기 식품 재료를 균일하게 예비 가열하고, 상기 식품 재료의 성분의 표층에 자유수로서 자연스럽게 존재해 있는 수분의 승온을 이용하여, 온도차가 15℃ 내지 30℃인 범위에서, 25℃ 이상 30℃ 이하라는 소정의 온도로 승온될 때까지 예비 가열하는, 분립체 온도 조절 방법.
In the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temperature control method of pre-heating or pre-cooling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uitable for processing before processing the stored powder and granular food material with a food processing machine,
When the food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housing is below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microwave irradiation device and the microwave irradiation device and By rotating the stirrer pan provided between the food ingredients, the microwaves are uniformly scattered from above the food ingredients to uniformly preheat the food ingredients, and naturally exist as free water in the surface layer of the ingredients of the food ingredient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n which the temperature difference is 15° C. to 30° C. by using a temperature increase of moisture, and preheating is performed until the temperature is rais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f 25° C. or more and 30° C. or less.
KR1020200062959A 2019-05-28 2020-05-26 A granule preheating device and a granule preheating method thereof, and a granule temperature adjustment device and a granule temperature adjustment method thereof KR10244321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99230 2019-05-28
JPJP-P-2019-099230 2019-05-28
JP2020082332A JP6864135B2 (en) 2019-05-28 2020-05-08 Preheating the food material of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before processing it with the food processing machine The preheating device for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the method of preheating the food material of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and the preheating before processing the food material of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with the food processing machine. Or a powder or granular material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pre-cooling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temperature.
JPJP-P-2020-082332 2020-05-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834A KR20200136834A (en) 2020-12-08
KR102443211B1 true KR102443211B1 (en) 2022-09-14

Family

ID=73648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959A KR102443211B1 (en) 2019-05-28 2020-05-26 A granule preheating device and a granule preheating method thereof, and a granule temperature adjustment device and a granule temperature adjustment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64135B2 (en)
KR (1) KR102443211B1 (en)
TW (1) TWI777168B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5408A (en) 2006-02-14 2007-08-30 M & F Shokuhin Kaihatsu Kenkyusho:Kk Method for processing food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1527B2 (en) 1978-07-03 1983-11-17 群栄化学工業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activated carbon fiber or activated carbon fiber structure
CA2371999A1 (en) * 1999-02-26 2000-08-31 Mcgill Technology Limited Food blending apparatus
US6277186B1 (en) * 1999-06-01 2001-08-21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Thermally-inhibited starch prepared with oligosaccharides
JP3557583B2 (en) * 2000-06-13 2004-08-25 隆夫 小倉 Method and apparatus for microwave sterilization of powder
RU2437587C2 (en) * 2007-07-02 2011-12-27 Бюлер Барт Аг Method for surface heat inactivation of single-piece food products with medium or low water content
CN102056487B (en) * 2008-06-05 2014-12-17 知可飒工业株式会社 Kneading device
CN101690825A (en) * 2009-09-10 2010-04-07 新疆大学 Method and device for microwave continuous heating sterilization of solid materials
CN204320194U (en) * 2014-11-25 2015-05-13 枞阳县新少圩种粮农民专业合作社 A kind of oscillating mode fertilizer agitator
CN104677054B (en) * 2015-02-11 2017-06-06 沈阳师范大学 It is inverted the low temperature fluidized bed drying equipment of microwave
CN204746155U (en) * 2015-05-30 2015-11-11 蔡宝塔 But temperature regulation's mixer
CN206260099U (en) * 2016-12-01 2017-06-16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Microwave generation mechanism and application have the micro-wave oven of the microwave generation mechanism
CN208387842U (en) * 2017-11-09 2019-01-18 武汉市天发有机肥有限公司 A kind of multifunctional feed raw material processing
CN207930908U (en) * 2018-01-24 2018-10-02 湖南映宏新材料股份有限公司 A kind of pellet blender
CN109529712B (en) * 2018-12-21 2024-01-30 厦门帮众科技有限公司 Microwave preheating stirr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5408A (en) 2006-02-14 2007-08-30 M & F Shokuhin Kaihatsu Kenkyusho:Kk Method for processing fo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98298A (en) 2020-12-10
JP6864135B2 (en) 2021-04-28
KR20200136834A (en) 2020-12-08
TWI777168B (en) 2022-09-11
TW202042647A (en) 202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2350B2 (en) Tunnel for conditioning of products, especially for sterilization of food in prepackaged containers
CN103585648B (en) Automatic rotation autoclave and there is the processing method in continued operation stage
US20090283517A1 (en) Tunnel for conditioning of products, especially for sterilization of food in prepackaged containers
NZ206150A (en) Food processor; screw conveyor pitch wider in microwave chamber than preheating chamber
KR102443211B1 (en) A granule preheating device and a granule preheating method thereof, and a granule temperature adjustment device and a granule temperature adjustment method thereof
US20200375225A1 (en) Granule preheating device and a granule preheating method thereof for preheating before processing a granular food material with a food processing machine, and a granule temperature adjustment device and a granule temperature adjustment method thereof for preheating or precooling before processing a granular food material with a food processing machine
US3041185A (en) Aseptic canning
JP35575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crowave sterilization of powder
US3146691A (en) Heating device
US3178066A (en) Solids metering and feeding device
CN110743032B (en) Device for fast sterilizing solid material by overheat steam
JPH065061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incorporating liquid and/or flowable materials into food base materials
JPH0571871A (en) Floating, heating and drying method with microwave
JP6074027B2 (en) Method for mixing products using sonic mixing
EP0740904A1 (en) Improving wettability of powders by microwave treatment
CN209268607U (en) A kind of hollow spiral bactericidal unit
JP2020058287A (en) Rice gel manufacturing system and rice gel manufacturing method
RU2814234C1 (en) Device for preparation of liquid fodder mixtures
US11432564B2 (en) Progressive hydration system
RU2780835C1 (en) Microwave unit with coaxially coupled cylindrical and coaxial resonators for defrosting and heating animal colostrum
JP2024020702A (en) Continuous steam processing equip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teamed agricultural food ingredients
RU2477967C2 (en) Functional purpose milk-and-vegetal desserts production line
JP20012044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food
JPH04197162A (en) Vacuum continuous concentrator for liquid edible substance
AVE-VACUUM-ROTARY et al. Fluid Mechanics, Thermal Engineering and Multiphase Flow Research Laboratory (FU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