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537B1 -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분산형 링크 스케줄링 기술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분산형 링크 스케줄링 기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537B1
KR102442537B1 KR1020187002737A KR20187002737A KR102442537B1 KR 102442537 B1 KR102442537 B1 KR 102442537B1 KR 1020187002737 A KR1020187002737 A KR 1020187002737A KR 20187002737 A KR20187002737 A KR 20187002737A KR 102442537 B1 KR102442537 B1 KR 102442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 power
link
symbol
circuitry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2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2908A (ko
Inventor
정호 전
후아닝 뉴
칭후아 리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180022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383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power control in peer-to-peer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08Closed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무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 접속들을 구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의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장비(UE)의 장치는 링크 가중치를 수신하고 복수의 UE로부터 광대역 심볼들을 수신하는 송수신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채널 이득을 결정하고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변경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분산형 링크 스케줄링 기술
우선권 주장
이 특허 출원은 2015년 6월 30일자로 출원된 "Distributed Link Scheduling Algorithm for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VIA Power Control"이라는 명칭의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187,071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고, 이 가특허 출원은 이로써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통합된다.
기술 분야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은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들, 3GPP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들 및 3GPP LTE-A(LTE Advanced) 네트워크들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들에 관한 것이지만, 실시예들의 범위는 이 점에 있어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은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링크 스케줄링에 관한 것이다.
2020년까지, 수십억 명의 사람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약 7조 개의 무선 디바이스가 존재할 것이라고 일부 전문가들에 의해 추정된다. 디바이스들의 개수의 이러한 폭발적인 증가는 종종 웨어러블 및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디바이스들과 같은 새로운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IoT) 디바이스 타입들의 출현에 기인한다. 대역폭의 제한된 가용성과 스펙트럼 효율의 미미한 잠재적인 개선을 고려하면, 종래의 셀룰러 통신 구조들을 통한 이러한 엄청난 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용량 프로비저닝은 일부 과제들을 제시한다.
반드시 축척대로 그려진 것은 아닌 도면들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들은 상이한 도면들에서도 유사한 컴포넌트들을 설명할 수 있다. 상이한 문자 접미사를 갖는 유사한 참조부호들은 유사한 컴포넌트들의 상이한 상황들을 나타낼 수 있다. 도면들은 일반적으로, 예로서, 그러나 비제한적으로, 본 문서에서 논의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1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갖는 LTE 네트워크의 엔드-투-엔드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비(UE)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복수의 UE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분산형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 통신을 구성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다.
도 5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분산형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기술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일반적으로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기술들(예를 들어, 방법론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이 수행될 수 있는 머신의 블록도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대해,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들은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충분히 예시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이 이들을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실시예들은 구조적, 논리적, 전기적, 프로세스, 및 다른 변경들을 통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의 부분들 및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의 부분들 및 특징들 내에 포함되거나 또는 이를 대체할 수 있다. 청구범위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그러한 청구범위의 모든 이용가능한 등가물을 포괄한다.
도 1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갖는 LTE 네트워크의 엔드-투-엔드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일부를 도시한다. 네트워크(100)는, S1 인터페이스(115)를 통해 함께 연결되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E-UTRAN 또는 진화된 유니버설 지상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101) 및 코어 네트워크(120)(예를 들어, 진화된 패킷 코어(EPC)로서 도시됨)를 포함한다. 편의성 및 간결성을 위해, RAN(101)뿐만 아니라 코어 네트워크(120)의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코어 네트워크(120)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122), 서빙 게이트웨이(서빙 GW)(124)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DN GW)(126)를 포함한다. RAN은 사용자 장비(UE)(102)와 통신하기 위한 진화된 노드 B들(eNB들)(104)(기지국들로서 동작할 수 있음)을 포함한다. eNB들(104)은 매크로 eNB들 및 저전력(LP) eNB들을 포함할 수 있다.
MME는 기능면에서 레거시 서빙 GPRS 지원 노드들(Serving GPRS Support Nodes)(SGSN)의 제어 평면과 유사하다. MME는 게이트웨이 선택 및 추적 영역 리스트 관리와 같이 액세스에서의 이동성 양태들을 관리한다. 서빙 GW(124)는 RAN(101)을 향하는 인터페이스를 종단하고, RAN(101)과 코어 네트워크(120) 사이에 데이터 패킷들을 라우팅한다. 추가로, 그것은 eNB간 핸드오버들을 위한 로컬 이동성 앵커 포인트일 수 있으며, 3GPP간 이동성을 위한 앵커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책임들은 합법적인 인터셉트, 과금 및 일부 정책 시행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빙 GW(124) 및 MME(122)는 하나의 물리 노드 또는 별개의 물리 노드들로 구현될 수 있다. PDN GW(126)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를 향하는 SGi 인터페이스를 종단한다. PDN GW(126)는 EPC(120)와 외부 PDN 사이에 데이터 패킷들을 라우팅하며, 정책 시행 및 과금 데이터 수집을 위한 키 노드일 수 있다. 그것은 비-LTE 액세스들을 이동성을 위한 앵커 포인트에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외부 PDN은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도메인뿐만 아니라 임의의 종류의 IP 네트워크일 수 있다. PDN GW(126) 및 서빙 GW(124)는 하나의 물리 노드 또는 별개의 물리 노드들로 구현될 수 있다.
eNB들(104)(매크로 및 마이크로)은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air interface protocol)을 종단하고, UE(102)에 대한 제1 접촉 포인트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eNB(104)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 기능들, 예컨대 라디오 베어러 관리, 업링크 및 다운링크 동적 라디오 리소스 관리 및 데이터 패킷 스케줄링, 및 이동성 관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RAN(100)에 대한 다양한 논리 기능들을 이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UE들(102)은 OFDMA 통신 기술에 따라 멀티캐리어 통신 채널을 통해 eNB(104)와 OFDM 통신 신호들을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FDM 신호들은 복수의 직교 서브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S1 인터페이스(115)는 RAN(101)과 EPC(120)를 분리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이는 eNB들(104)과 서빙 GW(124) 사이에서 트래픽 데이터를 운반하는 S1-U와, eNB들(104)과 MME(122) 사이의 시그널링 인터페이스인 S1-MME의 두 부분으로 분할된다. X2 인터페이스는 eNB들(104)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X2 인터페이스는 2개의 부분, 즉 X2-C 및 X2-U를 포함한다. X2-C는 eNB들(104) 사이의 제어 평면 인터페이스인 한편, X2-U는 eNB들(104) 사이의 사용자 평면 인터페이스이다.
셀룰러 네트워크들에 있어서, LP 셀들은 실외 신호들이 잘 도달하지 않는 실내 영역들로 커버리지를 확장하거나 또는 기차역들과 같이 매우 밀집한 전화 이용 영역들에서 네트워크 용량을 추가하기 위해 전형적으로 이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저전력(LP) eNB라는 용어는, 펨토셀, 피코셀 또는 마이크로셀과 같이 더 좁은 셀(매크로 셀보다 더 좁음)을 구현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상대적으로 저전력 eNB를 지칭한다. 펨토셀 eNB들은 전형적으로 모바일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그것의 주거 또는 기업 고객들에게 제공된다. 펨토셀은 전형적으로 주거용 게이트웨이의 크기 이하이며,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광대역 라인에 접속된다. 일단 플러그 인되면, 펨토셀은 모바일 운영자의 모바일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주거용 펨토셀들에 대해 전형적으로 30 내지 50 미터의 범위의 추가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따라서, LP eNB는 그것이 PDN GW(126)를 통해 연결되기 때문에 펨토셀 eNB일 수 있다. 유사하게, 피코셀은 빌딩 내부(사무실들, 쇼핑몰들, 기차역들 등) 또는 더 최근에는 항공기 내부와 같은 작은 영역을 전형적으로 커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피코셀 eNB는 그것의 기지국 제어기(BSC) 기능성을 통하여 매크로 eNB와 같은 다른 eNB에 X2 링크를 통해 일반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LP eNB는 그것이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매크로 eNB에 연결되기 때문에 피코셀 eNB로 구현될 수 있다. 피코셀 eNB들 또는 다른 LP eNB들은 매크로 eNB의 기능성의 일부 또는 전부를 통합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이것은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 또는 기업 펨토셀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운링크 리소스 그리드가 eNB로부터 UE로의 다운링크 송신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리드는 리소스 그리드(resource grid)라 불리는 시간-주파수 그리드일 수 있으며, 이것은 각각의 슬롯에서 다운링크에 있는 물리적 리소스이다. 이러한 시간-주파수 평면 표현은 OFDM 시스템들에 대해 일반적인 관행이며, 이는 라디오 리소스 할당에 대해 직관적이게 한다. 리소스 그리드의 각각의 컬럼 및 각각의 로우는 하나의 OFDM 심볼 및 하나의 OFDM 서브캐리어에 각각 대응한다. 시간 도메인에서의 리소스 그리드의 지속기간은 라디오 프레임에서의 하나의 슬롯에 대응한다. 리소스 그리드에서의 최소 시간-주파수 유닛은 리소스 요소로서 표시된다. 각각의 리소스 그리드는 복수의 리소스 블록을 포함하고, 리소스 블록들은 소정의 물리적 채널들을 리소스 요소들로 매핑하는 것을 기술한다. 각각의 리소스 블록은 리소스 요소들의 집합을 포함하고, 주파수 도메인에서, 이것은 현재 할당될 수 있는 리소스들의 가장 작은 양을 표현한다. 이러한 리소스 블록들을 이용하여 전달되는 수개의 상이한 물리 다운링크 채널이 존재한다. 본 개시내용과 특히 관련하여, 이러한 물리 다운링크 채널들 중 2개는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 및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이다.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은 사용자 데이터 및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UE(102)(도 1)로 운반한다.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은, 다른 것들 중에서, PDSCH 채널에 관련된 전송 포맷 및 리소스 할당들에 대한 정보를 운반한다. 그것은 또한, 업링크 공유 채널과 관련되는 전송 포맷, 리소스 할당 및 H-ARQ 정보에 대해 UE에 통지한다. 전형적으로, (제어 및 공유 채널 리소스 블록들을 셀 내의 UE들에 할당하는) 다운링크 스케줄링이 UE들로부터 eNB로 피드백된 채널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eNB에서 수행되고, 이어서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정보가 UE를 위해 사용되는(그에 할당된) 제어 채널(PDCCH) 상에서 UE로 송신된다.
PDCCH는 제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CCE들(control channel elements)을 이용한다. 리소스 요소들에 매핑되기 이전에, PDCCH 복소값 심볼들은 먼저 쿼드러플릿들(quadruplets)로 조직화되고, 이는 다음에 레이트 매칭을 위해 서브블록 인터리버(sub-block inter-leaver)를 이용하여 치환된다. 각각의 PDCCH는 이러한 제어 채널 요소들(CCE들)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송신되며, 각각의 CCE는 리소스 요소 그룹들(REG들)로서 알려진 4개의 물리 리소스 요소의 9개의 세트에 대응한다. 4개의 QPSK 심볼이 각각의 REG에 매핑된다. PDCCH는 채널 상태 및 DCI의 크기에 따라 하나 이상의 CCE를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상이한 수의 CCE들(예로서, 집성 레벨 L=1, 2, 4 또는 8)을 갖는 4개 이상의 상이한 PDCCH 포맷이 LTE에서 정의될 수 있다.
도 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UE의 기능 블록도이다. UE(200)는 도 1에 도시된 UE들(102) 중 임의의 하나 이상으로서 이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UE(20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201)를 사용하여 eNB들(104)(도 1)로 신호들을 송신하고 eNB들(104)(도 1)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물리 계층 회로(202)를 포함할 수 있다. UE(200)는 무선 매체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매체 액세스 제어 계층(MAC) 회로(204)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UE(20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UE의 다양한 요소들을 구성하도록 배열된 처리 회로(206) 및 메모리(208)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MAC 회로(204)는 무선 매체를 위해 경쟁하고 무선 매체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 프레임들 또는 패킷들을 구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고, PHY 회로(202)는 신호들을 송신하고 수신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PHY(202)는 변조/복조, 상향변환/하향변환, 필터링, 증폭 등을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200)의 처리 회로(206)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 이상의 안테나가 신호들을 전송 및 수신하도록 배열된 물리 계층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물리 계층 회로는 셀룰러(예를 들어, LTE) 및 WLAN(예를 들어, IEEE 802.11) 기술들에 따라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라디오(radio)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08)는, HEW 프레임들을 구성 및 송신하기 위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처리 회로(206)를 구성하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는, 예컨대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무선 통신 능력을 갖춘 랩톱 또는 휴대용 컴퓨터, 웹 태블릿, 무선 전화, 스마트폰, 무선 헤드셋, 페이저, 인스턴트 메시징 디바이스, 디지털 카메라, 액세스 포인트, 텔레비전, 의료 디바이스(예를 들어, 심박수 모니터, 혈압 모니터 등),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또는 무선으로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할 수 있는 다른 디바이스와 같은 휴대용 무선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는 키보드, 디스플레이, 비휘발성 메모리 포트, 다수의 안테나, 그래픽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스피커들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LCD 스크린일 수 있다.
UE(200)에 의해 이용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201)는 하나 이상의 지향성 또는 무지향성(omnidirectional)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예를 들어, 다이폴(dipole) 안테나들, 모노폴(monopole) 안테나들, 패치(patch) 안테나들, 루프(loop) 안테나들, 마이크로스트립(microstrip) 안테나들, 또는 RF 신호들의 송신에 적합한 다른 타입들의 안테나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둘 이상의 안테나 대신에, 다수의 어퍼처(apertures)를 갖는 단일 안테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어퍼처는 별개의 안테나로 간주될 수 있다. 일부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ple-input multiple-output)(MIMO) 실시예들에서, 안테나들은, 안테나들 각각과 송신국의 안테나들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간 다이버시티(spatial diversity) 및 상이한 채널 특성들을 이용하기 위해 효율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일부 MIMO 실시예들에서, 안테나들은 파장의 1/10까지 또는 그 이상까지로 분리될 수 있다.
UE(200)가 여러 별개의 기능 요소를 갖는 것으로 예시되지만, 기능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이 조합될 수 있고,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igital signal processors)(DSPs)을 포함하는 처리 요소들 및/또는 다른 하드웨어 요소들과 같은 소프트웨어-구성 요소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들, 주문형 집적 회로들(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ASICs), 라디오 주파수 집적 회로들(radio-frequency integrated circuits)(RFICs), 및 적어도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하드웨어 및 로직 회로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능 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처리 요소 상에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를 지칭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되고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어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머신(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형태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비일시적인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광 저장 매체,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 다른 저장 디바이스들과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UE(200)는 OFDMA 통신 기술에 따라서 멀티캐리어 통신 채널을 통해 OFDM 통신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FDM 신호들은 복수의 직교 서브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광대역 멀티캐리어 실시예들에서, eNB들은,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통신 네트워크 또는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유니버설 지상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UTRAN) 롱-텀-에볼루션(LTE) 또는 롱-텀-에볼루션(LTE)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광대역 무선 액세스(BWA) 네트워크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 점에 있어서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광대역 멀티캐리어 실시예들에서, UE(200) 및 eNB들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기술에 따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존 라디오 액세스 기술 내에서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D2D)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일부 기술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D2D 기능성은 공공 안전 목적으로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릴리즈 12의 일부로서 LTE 시스템에서 도입되었다. 다른 예에서, Wi-Fi Direct는 Wi-Fi 접속을 통해 일부 D2D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Wi-Fi Alliance에서 개발되었다. 또 다른 예에서, 블루투스는 근본적으로 단거리 D2D 통신을 위해 설계되었다. 또 다른 예에서, 분산형 링크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프레임 동기화, 이웃 발견(neighbor discovery) 및 접속 ID 관리를 위해 셀룰러 네트워크 내의 기지국(예를 들어, eNB)과 같은 중앙집중형 엔티티(centralized entity)로부터의 지원을 받아 D2D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기술은 근접도 서비스들(ProSe)이 2개 이상의 디바이스를 접속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ProSe를 사용하여 접속된 디바이스들은, 예컨대 eNB 이외의 더 큰 네트워크 등에 접속하지 않고서 공통 eNB를 통해 접속, 예를 들어 직접 접속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ProSe 접속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링크 스케줄링 기술들에서 D2D 접속으로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셀룰러 통신과 비교할 때, D2D 통신의 이득들은 근접도 이득, 홉 이득, 공간 리소스 재사용 이득 또는 선택 이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2D 통신은 단거리에서의 소스-목적지 쌍이 낮은 전력 소비에서 낮은 레이턴시 및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가질 때 종래 통신보다 근접도 이득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홉 이득은 기지국을 통해 통신하는 것보다는 오히려 직접 통신할 수 있는 서로의 통신 거리 내에서의 소스-목적지 쌍을 포함할 수 있다. 공간 리소스 재사용 이득은 D2D 통신에서 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선택 이득은 라디오 전파 환경에 따라 직접 또는 기지국을 통해 통신하도록 선택할 수 있는 소스-목적지 쌍을 포함할 수 있다.
PowerD2D 라 불리는 분산형 전력 제어 기술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다. 프레임 구조 및 시그널링이 PowerD2D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PowerD2D는 반복 링크 송신 전력 업데이트들을 통해 분산형 링크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안된 PowerD2D 기술의 결과로서, 일부 링크들은 그 송신 전력을 제로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완전히 턴오프될 수 있다. 전역적 목적 함수를 최대화하기 위해, 다른 스케줄링된 링크들에 음이 아닌 송신 전력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역적 목적은 총 장기간의 링크 처리량, 총 장기간의 비례 공정 링크(proportionally fair link) 처리량, 또는 버퍼 안정성을 최대화하는 것이다. PowerD2D 기술은 링크들 사이에 분산형 방식으로 임의의 레벨의 공정성을 시행할 만큼 충분히 유연하다. PowerD2D 기술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UE는 그 전력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링크 레이트를 증가시키는 것이 증가된 간섭 전력으로 인한 다른 UE들의 레이트 손실을 보상할 만큼 충분한지를 평가한다. UE는 이에 따라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프레임 구조 및 시그널링은 분산형 방식으로 링크들을 위한 개별 UE들에 의해 그러한 평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PowerD2D 기술을 사용하면 기존의 분산형 링크 스케줄링 기술들보다 보다 양호한 성능 달성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owerD2D 기술은 다른 분산형 링크 스케줄링 기술보다 100% 초과의 처리량 이득을 야기한다. 추가로, PowerD2D 기술은 분산형 우선순위 규칙 시행을 지원하는 반면, 중앙집중형 기술은 랜덤화된 우선순위 규칙을 넘어선 것에 대해 중앙집중형 엔티티로부터의 개입을 포함한다. PowerD2D 기술은 분산형 사용자들 사이에 처리량 극대화와 공정성 시행 사이의 트레이드오프에 대한 다양한 동작 포인트들을 활용하기 위한 보다 양호한 제어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D2D 통신을 위한 복수의 UE(예를 들어, 302-310)를 포함하는 시스템(300)을 도시한다. 시스템(300)은 D2D 통신을 위한 분산형 링크 스케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시스템(300)은 상이한 UE들 사이의 링크들의 예들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잠재적인 링크들이 각각의 UE들(302-310)의 조합 사이에 도시된다. 일례에서, UE들에 대한 링크들의 상이한 조합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2D 통신은 다양한 UE들 사이의 링크들의 임의의 조합, 예컨대 2개의 UE(302 및 308) 사이의 단일 링크, UE(306)에 대한 UE(302)로부터의 링크 인(link in) 및 UE(304)로의 링크 아웃(link ou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D2D 통신의 링크는 단방향 통신을 위해 또는 양방향 통신을 위해 사용되거나 스케줄링될 수 있다. 링크는 2개의 UE 사이의 접속을 나타낼 수 있다. 일례에서, UE들(302-310)은 관련된 중앙 엔티티 없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시스템(300) 내의 UE들은 스케줄링 기술을 수행하기 전에 통신 셋업 액션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에서, 셋업 액션은 UE(302)와 UE(304) 사이에서 타이밍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동기화는 GPS, LTE 릴리즈 12와 같은 표준에서 설명될 수 있는 네트워크 제공 D2D 동기화 신호(D2DSS), 또는 다른 타입의 타이밍 소스의 사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셋업 액션은 피어 발견 및 소스-목적지 페어링(pai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견 및 페어링은 분산형 링크 스케줄링(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발견 및 페어링, 중앙집중형 엔티티에 의해 결정된 발견 및 페어링 등)보다 긴 시간 규모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례에서, 아날로그 톤-기반 시그널링이 분산형 링크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임의의 코드-기반 또는 패킷-기반 시그널링 메커니즘과 같은 다른 타입들의 시그널링 메커니즘들이 사용될 수 있다. 톤-기반 시그널링 예에서, 링크는 2차원 주파수 및 시간 도메인에서 지정된 고유 톤과 연관될 수 있다. 이러한 톤 할당은 서로의 수신 범위 내에서 이웃하는 노드들과 국부적으로 비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300)에서, UE들(302-310)은 서로의 수신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링크들이 활성일 때 고유 톤이 각각의 UE들(302-310) 사이의 링크들 각각에 할당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UE의 경우, 시스템(300) 내의 UE들의 수신 범위 외에서, 도시되지 않은 UE는 시스템(300)에서의 링크에 대해 중첩되는 톤 할당을 갖는 도시되지 않은 다른 UE와의 링크를 가질 수 있다.
일례에서, 기지국들을 통해 UE들(302-310)을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압도적이거나 비효율적이거나 구성 비용이 너무 높을 경우), 분산형 스케줄링이 시스템(300)에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분산형 D2D 통신을 구성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400)를 도시한다. 프레임은 다수의 서브블록을 포함하고, 다수의 서브블록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슬롯 또는 프레임은 접속 스케줄링을 위한 정보 교환 블록으로 시작한다. 소스 노드(예를 들어, UE)는 프레임 구조(4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Tx) 블록(402)에서 2개의 연속적인 톤을 할당받을 수 있다. 소스 노드가 페어링된 목적지 노드에 전송할 데이터를 갖는 경우, 소스 노드는 소스 노드가 전송할 데이터를 갖는다는 표시로서 제1 톤(412)에 미리 구성된 양의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목적지 노드들은 Tx-블록(402) 동안 청취 모드에 있을 수 있고, 소스 노드들은 알려진 전력을 갖는 아날로그 톤들을 송신하고 있을 수 있다. 의도된 목적지 노드를 포함하는 이웃하는 목적지 노드들은 이웃하는 소스 노드들로부터 이웃하는 목적지 노드들로의 채널 이득을 해석할 수 있다. 송신기로부터 멀어진 목적지 노드는, 채널 이득이 매우 낮거나 송신기가 톤 신호를 전송하고 있지 않고, 송신 또는 송신들을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송신하기 위한 그 의도를 표시한 소스 노드는 그 링크 가중치 정보를 임베딩하는 송신 전력을 갖는 제2 톤(414)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 l의 소스는 주어진 링크 가중치 wl에 대한 그 송신 전력을 Pl = KPmax / wl로 설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K는 미리 구성된 상수이고, Pmax는 D2D 통신에 대해 미리 구성된 최대 송신 전력이다. 목적지 노드는 제1 톤(412) 시그널링으로부터 그것 자체와 그 소스 노드 사이의 채널 이득 Gll을 알 수 있고, 목적지 노드는 제2 톤(414)에서의 수신 전력으로부터 wl을 해석할 수 있다. 각각의 소스에 할당된 2개의 톤(예를 들어, 412 및 414, 및 블록(402)에 도시된 다른 톤들)은 시간 또는 주파수에서 서로 인접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목적지 노드는 그 톤들(412 및 414)을 전송하는 대응하는 소스 노드에 응답하여 알려진 전력 레벨을 갖는 할당된 톤(416)을 사용하여 (Rx 블록(404)에서) 표시를 전송하는 것에 의해 응답할 수 있다. 수신 전력으로부터, 링크 l을 통한 소스 노드는 예를 들어, 채널 상호성을 이용하여 링크 k의 목적지 노드에 대한 채널 이득 Glk를 해석할 수 있다.
PowerD2D 스케줄링 기술은 다음의 수학식에 따라 각각의 시간 슬롯에서 다음의 가중 합 레이트(weighted sum rate) 최대화 문제에 대한 기술적 솔루션을 포함한다:
Figure 112018009778587-pct00001
수학식 1에 있어서, 시간 슬롯 t에서 wl(t)은 링크 l의 가중치이고, Rl(t)는 링크 l를 통해 할당된 레이트이다. 레이트 할당은 그것이 실현가능한 레이트 영역에 있다는 의미에서 제한되고, 이는 다음 수학식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8009778587-pct00002
수학식 2에서,
Figure 112018009778587-pct00003
는 가능한 전력 할당 벡터들
Figure 112018009778587-pct00004
를 고려하는 것에 의해 주어진 채널 상태 벡터
Figure 112018009778587-pct00005
에서 레이트들의 실현가능한 영역이다. 각각의 링크를 통한 레이트는 대응하는 목적지 노드에서 수신된 SINR(signal-to-interference-plus-noise-ratio)의 비선형 함수일 수 있다. 시간 슬롯 t에서의 SINR은 시간 슬롯 t에서의 전력 할당
Figure 112018009778587-pct00006
및 채널 상태
Figure 112018009778587-pct00007
의 함수일 수 있다.
링크들을 통한 가중치 wl(t)는 미리 결정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l의 링크 가중치는 시간 슬롯 t에서의 소스 노드에서의 큐(queue)의 크기일 수 있다. 리아푸노프(Lyapunov) 제어 이론을 사용하여, 각각의 시간 슬롯에서 가중 합 레이트 최대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최대 큐잉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큐가 정상 상태에 도달하고 무한대로 드리프트하지 않으면 큐는 안정적인 것으로 말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가중치 wl(t)는 형태
Figure 112018009778587-pct00008
일 수 있고, 여기서
Figure 112018009778587-pct00009
은 링크 l을 통한 시간-평균 처리량이다. 상수 α는 링크들 사이의 레이트 공정성을 제어한다. 그래디언트-기반 리소스 할당 이론을 사용하여, α가 제로에 접근할수록, 장기간 평균 처리량의 합이 최대화될 수 있다. α가 1과 동일할 때, 비례 공정 장기간 레이트 할당이 달성된다. α가 증가할수록, 공정성은 감소된 전체 처리량의 비용으로 개선되고, α가 무한대로 갈수록, 처리량 할당은 최대-최소 공정하게 된다. 링크 가중치에 대한 다른 값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할당된 링크 가중치들을 사용하여, PowerD2D 기술은 반복적인 그래디언트 방법을 사용하여 위의 가중 합 레이트 최대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함수의 그래디언트는 함수 값의 가장 빠른 증가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owerD2D 기술은 목적 함수를 최대화하는 그래디언트 방향으로 분산형 링크들을 통해 전력 할당을 업데이트한다. PowerD2D 기술은 연속적인 그래디언트 방향들에서 분산형 링크들을 통해 전력 할당을 반복적으로 업데이트하는 반복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반복에서 PowerD2D 기술은 전력 할당이 변경될 때 변경될 수 있는 그래디언트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소스 노드는 그 송신 전력을 증가시킬지를 결정하기 위해 그 자체의 송신 전력에 대한 목적 함수의 그래디언트를 사용할 수 있다. 링크 l의 소스 노드의 송신 전력 Pl에 대한 목적 함수의 그래디언트는 다음 수학식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8009778587-pct00010
수학식 3에서, sk는 링크 k를 통해 지정된 SINR 값에서의 레이트 함수의 기울기이고, 이는 전력 할당 벡터
Figure 112018009778587-pct00011
및 채널 상태
Figure 112018009778587-pct00012
에 종속적이고, 이는 모든 소스들과 목적지들 사이의 채널 이득을 포함하고, 채널 이득은
Figure 112018009778587-pct00013
이다. 그래디언트의 제1 항은 송신 전력 Pl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링크 l을 통한 레이트 증가의 모멘텀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2 항은 송신 전력 Pl이 증가될 때 링크 l 이외의 링크들을 통한 레이트들의 총 감소의 모멘텀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 다음 어느 것이 더 큰지를 결정하기 위해 제1 항이 제2 항과 비교된다. 제1 항이 제2 항보다 큰 경우, 그래디언트는 링크 l의 소스 노드가 그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표시하는 양일 것이다. 다른 예에서, 양의 그래디언트는, 예컨대 소스 노드가 송신 전력이 최대 송신 전력에 있는 경우 그 송신 전력을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항이 제1 항보다 클 때, 그래디언트는 음일 것이다. 그래디언트가 음일 때, 소스 노드가 그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거나 예를 들어 송신 전력이 제로에 있는 경우 그 송신 전력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일례에서, PowerD2D 기술은 각각의 전력 조정시 그래디언트가 양인지 또는 음인지에 기초하여 각각의 소스 노드에서 그 전력을 증가시킬지 또는 감소시킬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송신 전력 벡터
Figure 112018009778587-pct00014
를 반복적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에 의해, 분산형 전력 할당은 최적 할당에 접근할 수 있다.
일례에서, LTE 레이트 함수는 변조 및 코딩 레벨들의 이산성(discreteness)으로 인해 미분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근사는 이산 LTE 레이트 함수에서 PowerD2D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잡음-채널 코딩 방식, 예컨대 섀넌-하틀리(Shannon-Hartley) 방식을 사용하는 것은 LTE(또는 설계된 PowerD2D 통신 기술이 실행되는 임의의 다른 시스템) 레이트 함수로부터 부정확성 비용으로 제한된 최대 달성가능 레이트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LTE 레이트 함수의 구분적 선형 근사는 레이트 함수의 이산 전이 포인트들을 선형 보간하는 것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그 후, 근사가 PowerD2D 기술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전이 포인트들은 변조 및 코딩 방식들 세트에 대한 타깃 패킷 에러 레이트를 충족시키는 최소 신호 품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구조(4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R1(블록(408))으로부터 RN으로의 접속 스케줄링 서브블록들을 통한 분산형 소스들과 목적지들 사이의 상호작용 전력 제어 동작이 후술된다. 전력 제어 라운드의 시작시, 정보 교환 서브블록 동안 (블록(402)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의도를 표시한 소스 노드들은 시스템 설계에 따른 지속기간으로 하나 이상의 OFDM 심볼을 통해 동시에 블록(406) 동안 광대역 파일럿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Rx 블록(406)의 수신된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의 중첩으로부터, 목적지 노드는 소스 노드를 목적지 노드에 접속시키는 링크에 대해 서브대역들(또는 서브캐리어들)에 대한 SINR을 추정할 수 있다. 목적지 노드, 예를 들어, 링크 l의 목적지는 서브대역들에 걸쳐 평균된 의도된 링크 채널 강도(PlGll), 서브대역들에 걸쳐 평균된 총 간섭 플러스 노이즈 전력
Figure 112018009778587-pct00015
, 및 서브대역들에 걸쳐 SINR을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추정들로부터, 목적지 노드는 예를 들어, ESM(exponential effective SINR mapping), MMIB(mean mutual information per-bit) ESM, 또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유효 SINR을 결정할 수 있다. 계산된 유효 SINR에서, 링크 l의 목적지는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선택된 레이트 근사 방법을 사용하여 레이트 함수 sl의 기울기를 추정할 수 있다.
목적지 노드들은 대응하는 소스 노드뿐만 아니라 다른 이웃하는 소스 노드들에 대한 수학식 3의 그래디언트들의 계산을 위해 (물리적으로 또는 논리적으로) Rx 블록(408)에서 2개의 연속적인 톤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일례에서, 제1 톤은 미리 결정된 전력에서 톤에 임베딩된 wlslPlGll의 값들로 송신될 수 있고, 제2 톤은 미리 결정된 전력에서 톤에 임베딩된
Figure 112018009778587-pct00016
의 값들로 송신될 수 있다. 소스 노드는 그 자체를 포함하는 이웃하는 목적지 노드들로부터 시그널링된 정보를 수신한 후에 그 전력 제어의 그래디언트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 l의 소스 노드는 그 자체의 송신 전력 Pl을 알고, 따라서 링크 l의 소스 노드는 그 자체의 목적지 노드에 의해 시그널링된 정보로부터 수학식 3의 제1 항을 계산할 수 있다. 링크 l의 소스 노드가 자체로부터 다른 이웃하는 링크들의 목적지 노드들까지의 교차 채널 이득
Figure 112018009778587-pct00017
을 또한 취득하였기 때문에, 링크 l의 소스 노드는 이웃하는 목적지 노드들에 의해 시그널링된 정보로부터 수학식 3의 제2 항을 또한 계산할 수 있다.
전역적 목적 함수의 그래디언트(예를 들어, 수학식 1)를 계산한 후에, 각각의 소스 노드는 그래디언트가 양이면 그 전력을 증가시키고 그래디언트가 음이면 그 전력을 감소시킨다. 특정 링크의 양의 그래디언트는, 링크를 통한 전력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그 가중된 레이트 증가가 대응하는 링크로부터의 증가된 간섭으로 인해 다른 사람들의 가중된 레이트 감소를 보상하기에 충분히 크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래디언트가 양인 것을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소스 노드는 링크를 통한 전력을 증가시켜서, 전역적 목적 함수(예를 들어, 수학식 1)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음의 그래디언트 경우가 또한 병렬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기술은, 대응하는 소스 노드뿐만 아니라 다른 이웃하는 소스 노드들에 대해서 수학식 3의 그래디언트들의 계산을 위해 Rx 블록(410)에서 연속적인 톤들의 제2 세트를 전송하는 것 및 소스 노드들로부터 광대역 신호들의 제2 세트를 전송하는 것에 의해 반복될 수 있다. 기술은 최종 블록 RN까지 추가로 반복될 수 있다. 각각의 반복에서, 이전에 결정된 송신 전력 변화들은 목적지 노드들이 새로운 송신 전력들에 대한 변화들을 결정할 수 있도록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스가 반복됨에 따라, 다양한 소스 노드들의 송신 전력들이 업데이트되고 전체 분산형 접속 시스템이 프레임 및 링크들에 대해 최적화된다. 일례에서, 링크는 최대 송신 전력 또는 제로 송신 전력에서 최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링크들은 빠지고 전송하지 않을 수 있고(즉, 제로 전력으로 진행), 특정 다른 링크들은 최대 송신 전력으로 진행할 수 있다. 최대 송신 전력에서 링크들에 대한 소스 노드들은 반복 프로세스에서 전송 및 수신을 계속할 수 있고, 일부 경우들에서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례에서, 제로 송신 전력으로 떨어지는 링크들에 대한 소스 노드들은 반복적인 프로세스에서 톤들을 전송하기를 계속하지 않고, 해당 프레임에 대한 고려사항에서 제거될 수 있다.
일례에서, 전력을 변경하는 것(예를 들어, 전력을 증가시키는 것 또는 감소시키는 것)은 임의의 형태의 고정된 또는 감소하는 단계 크기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은 감소하는 경우 1/2로 되고, 증가하는 경우 2배가 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을 증가시키는 경우, 전력은 최대 송신 전력으로 증가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그래디언트 함수에 대한 조건들의 세트를 만족시키는 것은 반복 기술의 수렴을 보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가 목적 함수를 충분히 움직이게 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현재 최상의 추측과 새로운 탐색 방향을 사용하는 부등식인 Armijo 규칙을 만족시킨다. PowerD2D 알고리즘의 전력 제어는 유한 수의 라운드에 걸쳐 실행될 수 있고, 유한 수의 라운드(예를 들어, 최대 RN까지)에 걸쳐 수렴을 보장하기 위한 조건들의 세트를 사용할 수 있다. 전력 업데이트 단계 크기는 수렴을 보장하기 위해 반복들의 수와 함께 설계될 수 있다. 일례에서, PowerD2D 기술은 전력 업데이트 단계 크기 규칙이 Pinit / √n에 의해 주어지는 경우 10 라운드 미만의 임의의 수의 라운드(예를 들어, 최대 RN = R10)로 수렴할 수 있고, 여기서 Pinit는 초기 송신 전력 레벨이고 n은 현재 전력 업데이트 라운드 수이다.
도 5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분산형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기술(500)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기술(500)은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에서 전송된 링크 가중치를 수신하기 위한 동작 502를 포함한다. 일례에서, 제1 심볼은 링크 가중치를 수신하기 전에 UE에서 수신될 수 있다. 제1 심볼은 데이터가 링크 가중치에 대응하는 링크를 통해 전송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링크 가중치는 제2 심볼에서 수신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심볼들은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에서 제2 UE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일례에서, 제1 심볼 및 제2 심볼은 2차원 주파수 및 시간 도메인들에서 지정된 고유 톤들을 갖는 아날로그 톤-기반 신호들이다. 다른 예에서,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은 최대 송신 전력이다. 또 다른 예에서,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은 최대 송신 전력이 아니고, 링크 가중치는 링크에 대한 최대 송신 전력을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으로 나눈 것에 비례한다.
기술(500)은 복수의 UE로부터 광대역 심볼들을 수신하기 위한 동작 504를 포함한다. 광대역 심볼들은 제2 UE를 포함하는 복수의 UE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광대역 심볼일 수 있다. 복수의 광대역 심볼은 UE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대응하는 신호 강도들 및 간섭 레벨들을 가질 수 있다. 기술(500)은 링크에 대한 채널 이득을 결정하기 위한 동작 506을 포함한다. 링크에 대한 채널 이득은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 및 링크를 통한 제2 심볼의 실제 수신된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기술(500)은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증가되어야 하는지 또는 감소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동작 508을 포함한다. 일례에서, 동작 508은 링크에 대한 링크 가중치 및 링크에 대한 채널 이득을 복수의 광대역 심볼의 신호 강도들 및 간섭 레벨들과 비교하기 위해 그래디언트 함수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디언트 함수가 양인 경우,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증가될 수 있다. 그래디언트 함수가 음인 경우,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최대 송신 전력인 경우, 그래디언트 함수가 양이어도,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증가되지 않을 수 있다.
일례에서, 그래디언트 함수는 목적 함수를 최대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목적 함수는 지정된 송신 시간 동안 복수의 링크 가중치에 복수의 레이트 할당을 곱한 것의 합산과 동일하고, 복수의 링크 가중치 및 복수의 레이트 할당은 복수의 UE에 대한 링크들에 대응한다. 레이트 할당들은 수신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들, 전력 할당들 및 채널 상태들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그래디언트 함수는 제2 UE의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에 대한 전력 증가의 모멘텀을 제2 UE 이외의 복수의 UE의 전력 감소들의 모멘텀과 비교한다.
동작 508은 제2 UE의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증가된 송신 전력으로 증가되어야 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500)은 증가된 송신 전력을 표시하는 제3 심볼을 제2 UE에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UE는 제2 UE를 포함하는 복수의 UE로부터 제2 복수의 광대역 심볼을 수신할 수 있고, 제2 복수의 광대역 심볼은 대응하는 신호 강도들 및 간섭 레벨들을 갖는다. 일례에서, 기술(500)은, 링크에 대한 링크 가중치 및 링크에 대한 채널 이득을 제2 복수의 광대역 심볼의 신호 강도들 및 간섭 레벨들과 비교하기 위해 그래디언트 함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제2 UE의 증가된 송신 전력이 증가되거나 감소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에 의해 반복될 수 있다. UE는 증가된 송신 전력에서 제1 심볼에 표시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은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수신될 수 있다. 제3 심볼은 증가된 송신 전력을 표시하고, 프레임의 제2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복수의 광대역 신호는 프레임의 제3 서브프레임에서 수신된다. 일례에서, UE는 제2 UE의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감소된 송신 전력으로 감소되어야 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UE는 감소된 송신 전력을 표시하는 제4 심볼을 제2 UE에 전송할 수 있고,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은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수신되고 제4 심볼은 프레임의 제2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다.
도 6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본 명세서에 논의된 기술들(예를 들어, 방법론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이 수행될 수 있는 머신(600)의 블록도의 예를 일반적으로 도시한다. 대안적 실시예들에서, 머신(600)은 독립형 디바이스로서 동작하거나, 또는 다른 머신들에 접속(예를 들어, 네트워킹)될 수 있다. 네트워킹된 배치에서, 머신(600)은, 서버-클라이언트 네트워크 환경들에서, 서버 머신, 클라이언트 머신, 또는 양자 모두의 자격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일례에서, 머신(600)은 P2P(peer-to-peer)(또는 기타 분산형) 네트워크 환경에서 피어 머신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머신(600)은 개인용 컴퓨터(PC), 태블릿 PC, 셋톱 박스(STB),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모바일 전화, 웹 어플라이언스(web appliance), 네트워크 라우터, 스위치 또는 브리지, 또는 해당 머신에 의해 취해질 액션들을 지정하는 명령어들을 (순차적 또는 다른 방식으로)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머신일 수 있다. 또한, 단일의 머신만이 도시되지만, "머신"이라는 용어는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 SaaS(software as a service), 다른 컴퓨터 클러스터 구성들과 같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방법론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세트(또는 다수의 세트)를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jointly) 실행하는 머신들의 임의의 집합을 포함하는 것으로도 간주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예들은, 로직 또는 다수의 컴포넌트, 모듈들, 또는 메커니즘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모듈들은, 동작시에 지정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유형의 엔티티들(예를 들어, 하드웨어)이다. 모듈은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일례에서, 하드웨어는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명확하게 구성(예컨대, 하드와이어(hardwired))될 수 있다. 일례에서, 하드웨어는 구성 가능한 실행 유닛들(예를 들어, 트랜지스터들, 회로들 등), 및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명령어들은 동작 시에 특정한 동작을 수행하는 실행 유닛들을 구성한다. 이런 구성은, 실행 유닛들 또는 로딩 메커니즘의 지시 하에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실행 유닛들은 디바이스가 동작하고 있을 때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예에서, 실행 유닛들은 하나보다 많은 모듈의 멤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하에, 실행 유닛들은 명령어들의 제1 세트에 의해 제1 모듈을 하나의 시점에서 구현하도록 구성되고, 명령어들의 제2 세트에 의해 제2 모듈을 구현하도록 재구성될 수 있다.
머신(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600)은, 하드웨어 프로세서(602)(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PU), 그래픽 처리 유닛(GPU), 하드웨어 프로세서 코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메인 메모리(604) 및 정적 메모리(606)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인터링크(예를 들어, 버스)(608)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머신(600)은 디스플레이 유닛(610), 영숫자 입력 디바이스(612)(예를 들어, 키보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내비게이션 디바이스(614)(예를 들어, 마우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디스플레이 유닛(610), 영숫자 입력 디바이스(612), 및 UI 내비게이션 디바이스(614)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머신(600)은, 추가적으로, 저장 디바이스(예를 들어, 드라이브 유닛)(616), 신호 발생 디바이스(618)(예를 들어, 스피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620), 및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GPS) 센서, 나침반, 가속도계 또는 다른 센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센서(621)를 포함할 수 있다. 머신(600)은, 하나 이상의 주변 디바이스(예를 들어, 프린터, 카드 판독기 등)와 통신하거나, 또는 이를 제어하기 위해 직렬(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병렬, 또는 다른 유선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IR),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접속과 같은 출력 제어기(628)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616)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술들 또는 기능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구현하거나, 또는 이에 의해 이용되는 데이터 구조들 또는 명령어들(624)(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의 하나 이상의 세트가 저장되어 있는 비일시적인 머신 판독가능 매체(622)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들(624)은 또한, 머신(600)에 의한 그 실행 동안에,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메인 메모리(604) 내에, 정적 메모리(606) 내에, 또는 하드웨어 프로세서(602) 내에 상주할 수 있다. 일례에서, 하드웨어 프로세서(602), 메인 메모리(604), 정적 메모리(606), 또는 저장 디바이스(616)의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이 머신 판독가능 매체를 구성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622)는 단일의 매체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머신 판독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624)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단일의 매체 또는 다수의 매체(예를 들어, 중앙집중형 또는 분산형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연관된 캐시들 및 서버들)를 포함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머신(600)에 의해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 인코딩, 또는 반송할 수 있으며 머신(600)으로 하여금 본 개시내용의 기술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수행하게 하거나, 또는 그러한 명령어들에 의해 사용되거나, 또는 그러한 명령어들과 연관된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 인코딩, 또는 반송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머신 판독가능 매체 예들로는, 고체-상태 메모리들, 및 광 및 자기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의 특정 예들은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전기적 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또는 전기적 소거가능 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내부 하드 디스크들 및 이동식(removable) 디스크들과 같은 자기 디스크들; 자기-광 디스크들; 및 CD-ROM 및 DVD-ROM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들(624)은 또한, 다수의 전송 프로토콜(예를 들어, 프레임 릴레이, 인터넷 프로토콜(IP), 송신 제어 프로토콜(TCP),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등) 중 임의의 하나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620)를 통해 송신 매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626)를 통해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예시적인 통신 네트워크들은 무엇보다도, 근거리 네트워크(LAN), 광역 네트워크(WAN),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 이동 전화 네트워크들(예를 들어, 셀룰러 네트워크들), POTS(Plain Old Telephone) 네트워크들, 및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들(예들 들어, Wi-Fi®로 알려진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계열의 표준들, WiMax®로 알려진 IEEE 802.16 계열의 표준들), IEEE 802.15.4 계열의 표준들, 및 피어-투-피어(P2P)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620)는, 통신 네트워크(626)에 접속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물리적 잭(예를 들어, 이더넷, 동축 또는 전화 잭들) 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620)는, 단일-입력 다중-출력(SIMO),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또는 다중-입력 단일-출력(MISO) 기술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매체"라는 용어는, 머신(600)에 의해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 인코딩 또는 반송할 수 있는 임의의 무형 매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통신 신호들 또는 그러한 소프트웨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른 무형 매체를 포함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대해,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700)의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회로"라는 용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전자 회로, 프로세서(공유형, 전용, 또는 그룹), 및/또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하는 메모리(공유형, 전용, 또는 그룹), 조합 로직 회로, 및/또는 설명된 기능성을 제공하는 다른 적합한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지칭하거나, 그런 것들의 일부일 수 있거나 또는 그런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회로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모듈에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회로와 연관된 기능들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모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회로는 하드웨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작가능한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임의의 적합하게 구성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 디바이스(700)는 적어도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연결된 애플리케이션 회로(702), 기저대역 회로(704), 라디오 주파수(RF) 회로(706), 프론트-엔드 모듈(FEM) 회로(708) 및 하나 이상의 안테나(710)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회로(702)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회로(702)는, 하나 이상의 단일-코어 또는 멀티-코어 프로세서와 같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는 범용 프로세서들 및 전용 프로세서들(예를 들어, 그래픽 프로세서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들 등)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은 메모리/스토리지와 연결될 수 있고/있거나, 메모리/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운영 체제들이 시스템 상에서 실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메모리/스토리지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704)는, 하나 이상의 단일-코어 또는 멀티-코어 프로세서와 같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704)는, RF 회로(706)의 수신 신호 경로로부터 수신된 기저대역 신호들을 처리하고 RF 회로(706)의 송신 신호 경로에 대한 기저대역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기저대역 프로세서 및/또는 제어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처리 회로(704)는 기저대역 신호들의 발생과 처리를 위해 그리고 RF 회로(706)의 동작들을 제어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회로(702)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저대역 회로(704)는 2세대(2G) 기저대역 프로세서(704a), 3세대(3G) 기저대역 프로세서(704b), 4세대(4G) 기저대역 프로세서(704c), 및/또는 다른 기존의 세대들, 개발 중이거나 장래에 개발될 세대들(예를 들어, 5세대(5G), 6G 등)을 위한 다른 기저대역 프로세서(들)(704d)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704)(예를 들어, 기저대역 프로세서들(704a 내지 704d) 중 하나 이상)는 RF 회로(706)를 통해 하나 이상의 라디오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라디오 제어 기능들을 핸들링할 수 있다. 라디오 제어 기능들은 신호 변조/복조, 인코딩/디코딩, 라디오 주파수 시프팅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저대역 회로(704)의 변조/복조 회로는 FFT(Fast-Fourier Transform), 프리코딩 및/또는 콘스텔레이션 매핑/디맵핑 기능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저대역 회로(704)의 인코딩/디코딩 회로는 컨볼루션, 테일-바이팅 컨볼루션(tail-biting convolution), 터보, 비터비 및/또는 저밀도 패리티 체크(LDPC) 인코더/디코더 기능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변조/복조 및 인코더/디코더 기능성의 실시예들은 이들 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들에서 다른 적절한 기능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저대역 회로(704)는, 예를 들어, 물리(PHY), 매체 액세스 제어(MAC), 라디오 링크 제어(RLC),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및/또는 라디오 리소스 제어(RRC) 요소들을 포함하는, 예를 들어 진화된 유니버설 지상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EUTRAN) 프로토콜의 요소들과 같은 프로토콜 스택의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704)의 중앙 처리 유닛(CPU)(704e)은 PHY, MAC, RLC, PDCP 및/또는 RRC 계층들의 시그널링을 위해 프로토콜 스택의 요소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저대역 회로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SP)(704f)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DSP(들)(704f)는 압축/압축해제 및 에코 제거를 위한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다른 적합한 처리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의 컴포넌트들은 단일 칩, 단일 칩셋에서 적합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동일한 회로 보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 회로(702) 및 기저대역 회로(704)의 구성 컴포넌트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시스템 온 칩(SOC) 상에서와 같이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저대역 회로(704)는 하나 이상의 라디오 기술과 호환되는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저대역 회로(704)는 진화된 유니버설 지상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EUTRAN) 및/또는 다른 WMAN(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들,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들,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WPAN)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704)가 하나보다 많은 무선 프로토콜의 라디오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실시예들은 멀티-모드 기저대역 회로로서 지칭될 수 있다.
RF 회로(706)는 비고체 매체를 통한 변조된 전자기 복사(modulated electromagnetic radiation)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들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RF 회로(706)는 무선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위치들, 필터들, 증폭기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F 회로(706)는 FEM 회로(708)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들을 하향 변환하고 기저대역 신호들을 기저대역 회로(704)에 제공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 수신 신호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RF 회로(706)는, 기저대역 회로(704)에 의해 제공된 기저대역 신호들을 상향 변환하고 송신을 위해 RF 출력 신호들을 FEM 회로(708)에 제공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 송신 신호 경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RF 회로(706)는 수신 신호 경로 및 송신 신호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RF 회로(706)의 수신 신호 경로는 믹서 회로(706a), 증폭기 회로(706b) 및 필터 회로(706c)를 포함할 수 있다. RF 회로(706)의 송신 신호 경로는 필터 회로(706c) 및 믹서 회로(706a)를 포함할 수 있다. RF 회로(706)는, 수신 신호 경로 및 송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706a)에 의한 이용을 위해 주파수를 합성하기 위한 합성기 회로(706d)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706a)는 합성기 회로(706d)에 의해 제공되는 합성된 주파수에 기초하여 FEM 회로(708)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들을 하향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증폭기 회로(706b)는 하향 변환된 신호들을 증폭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필터 회로(706c)는, 하향 변환된 신호들로부터 원하지 않는 신호들을 제거하여 출력 기저대역 신호들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저역 통과 필터(LPF) 또는 대역 통과 필터(BPF)일 수 있다. 출력 기저대역 신호들은 추가 처리를 위해 기저대역 회로(704)에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출력 기저대역 신호들은 제로-주파수 기저대역 신호들일 수 있지만, 이것은 요건이 아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706a)는 수동 믹서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실시예들의 범위는 이 점에 있어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706a)는 FEM 회로(708)에 대한 RF 출력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해 합성기 회로(706d)에 의해 제공되는 합성된 주파수에 기초하여 입력 기저대역 신호들을 상향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저대역 신호들은 기저대역 회로(704)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필터 회로(706c)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필터 회로(706c)는 저역 통과 필터(LPF)를 포함할 수 있지만, 실시예들의 범위는 이 점에 있어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706a) 및 송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706a)는 2개 이상의 믹서를 포함할 수 있고, 쿼드러처 하향 변환 및/또는 상향 변환을 위해 각각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706a) 및 송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706a)는 2개 이상의 믹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 리젝션(image rejection)(예를 들어, 하틀리(Hartley) 이미지 리젝션)을 위해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706a) 및 믹서 회로(706a)는 직접 하향 변환 및/또는 직접 상향 변환을 위해 각각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706a) 및 송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706a)는 슈퍼-헤테로다인(super-heterodyne) 동작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출력 기저대역 신호들 및 입력 기저대역 신호들은 아날로그 기저대역 신호들일 수 있지만, 실시예들의 범위는 이 점에 있어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출력 기저대역 신호들 및 입력 기저대역 신호들은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들일 수 있다.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RF 회로(706)는 아날로그-대-디지털 변환기(ADC) 및 디지털-대-아날로그 변환기(DAC)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저대역 회로(704)는 RF 회로(706)와 통신하기 위한 디지털 기저대역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듀얼-모드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스펙트럼에 대한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별개의 라디오 IC 회로가 제공될 수 있지만, 실시예들의 범위는 이 점에 있어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합성기 회로(706d)는 프랙셔널-N 합성기(fractional-N synthesizer) 또는 프랙셔널 N/N+1 합성기일 수 있지만, 다른 타입들의 주파수 합성기들이 적합할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의 범위는 이 점에 있어서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합성기 회로(706d)는 델타-시그마 합성기, 주파수 체배기(frequency multiplier), 또는 주파수 분할기(frequency divider)를 갖는 위상 고정 루프를 포함하는 합성기일 수 있다.
합성기 회로(706d)는 주파수 입력 및 분할기 제어 입력에 기초하여 RF 회로(706)의 믹서 회로(706a)에 의한 이용을 위해 출력 주파수를 합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합성기 회로(706d)는 프랙셔널 N/N+1 합성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주파수 입력은 전압 제어 발진기(VCO)에 의해 제공될 수 있지만, 이것이 요건은 아니다. 분할기 제어 입력은 원하는 출력 주파수에 따라 기저대역 회로(704)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702)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분할기 제어 입력(예를 들어, N)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702)에 의해 표시된 채널에 기초한 룩업 테이블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RF 회로(706)의 합성기 회로(706d)는 분할기, 지연 고정 루프(DLL), 멀티플렉서 및 위상 누산기(phase accumul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분할기는 듀얼 모듈러스 분할기(dual modulus divider)(DMD)일 수 있고, 위상 누산기는 디지털 위상 누산기(DPA)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DMD는 프랙셔널 분할 비(fractional division ratio)를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캐리 아웃(carry out)에 기초하여) N 또는 N+1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입력 신호를 분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DLL은 캐스케이딩되고 튜닝 가능한 지연 요소들, 위상 검출기, 차지 펌프 및 D-타입 플립 플롭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지연 요소들은 VCO 기간을 Nd개의 동등한 위상 패킷(Nd equal packets of phase)으로 나누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Nd는 지연 라인에서의 지연 요소들의 개수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DLL은 지연 라인을 통한 총 지연이 하나의 VCO 사이클이라는 점을 보장하는 것을 돕기 위해 네거티브 피드백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합성기 회로(706d)는 출력 주파수로서 캐리어 주파수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는 한편,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출력 주파수는 캐리어 주파수의 배수(예를 들어, 캐리어 주파수의 2배, 캐리어 주파수의 4배)이며, 캐리어 주파수에서 서로에 대해 다수의 상이한 위상을 갖는 다수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쿼드러처 발생기 및 분할기 회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출력 주파수는 LO 주파수(fLO)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RF 회로(706)는 IQ/극 변환기(polar 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FEM 회로(708)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710)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들에 대해 동작하고, 수신된 신호들을 증폭하고, 추가 처리를 위해 수신된 신호들의 증폭된 버전들을 RF 회로(706)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 수신 신호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FEM 회로(708)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710) 중 하나 이상에 의한 송신을 위해 RF 회로(706)에 의해 제공되는 송신을 위한 신호들을 증폭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 송신 신호 경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FEM 회로(708)는 송신 모드와 수신 모드 동작 사이에 스위칭하기 위한 TX/RX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FEM 회로는 수신 신호 경로 및 송신 신호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FEM 회로의 수신 신호 경로는, 수신된 RF 신호들을 증폭하고 증폭되는 수신된 RF 신호들을 (예를 들어, RF 회로(706)로) 출력으로서 제공하기 위한 저잡음 증폭기(LNA)를 포함할 수 있다. FEM 회로(708)의 송신 신호 경로는 (예를 들어, RF 회로(706)에 의해 제공된) 입력 RF 신호들을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PA), 및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안테나(710) 중 하나 이상에 의한) 후속 송신을 위해 RF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 디바이스(700)는 예를 들어 메모리/스토리지, 디스플레이, 카메라, 센서 및/또는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와 같은 추가적인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부기들 및 예들
이러한 비제한적인 예들 각각이 자립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예들 중 하나 이상과 다양한 치환들 또는 조합들로 결합될 수 있다.
예 1은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D2D) 통신을 위해 구성된 사용자 장비(UE)의 장치이고, 이 장치는: 링크를 통해 제2 UE로부터 제1 심볼 및 제2 심볼을 수신하고- 제1 심볼은 전송되는 데이터를 표시하고, 제2 심볼은 링크에 대한 링크 가중치를 표시함 -; 제2 UE를 포함하는 복수의 UE로부터 복수의 광대역 심볼- 복수의 광대역 심볼은 대응하는 신호 강도들 및 간섭 레벨들을 가짐 -을 수신하는 송수신기 회로;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 및 링크를 통한 제2 심볼의 수신된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링크에 대한 채널 이득을 결정하고; 링크에 대한 링크 가중치와 링크에 대한 채널 이득을 복수의 광대역 심볼의 신호 강도들 및 간섭 레벨들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변경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예 2에서, 예 1의 발명 대상은, 제1 및 제2 심볼들은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에서 제2 UE에 의해 전송되고, 처리 회로는 그래디언트 함수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교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변경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3에서, 예 2의 발명 대상은, 그래디언트 함수는 목적 함수를 최대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목적 함수는 지정된 송신 시간 동안 복수의 링크 가중치에 복수의 레이트 할당을 곱한 것의 합산과 동일하고, 복수의 링크 가중치 및 복수의 레이트 할당은 복수의 UE에 대한 링크들에 대응하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4에서, 예들 2-3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발명 대상은, 송수신기 회로는 프레임의 데이터 송신 서브프레임 동안 증가된 송신 전력에서 제2 UE로부터 링크를 통해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5에서, 예들 2-4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발명 대상은, 그래디언트 함수는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에 대한 증가의 모멘텀을 제2 UE 이외의 복수의 UE의 전력 감소들의 모멘텀과 비교하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6에서, 예들 1-5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발명 대상은, 처리 회로는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증가된 송신 전력으로 증가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이고, 송수신기 회로는 증가된 송신 전력을 표시하는 제3 심볼을 제2 UE에 전송하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7에서, 예 6의 발명 대상은, 송수신기 회로는 제2 UE를 포함하는 복수의 UE로부터 제2 복수의 광대역 심볼을 수신하는 것이고, 제2 복수의 광대역 심볼은 대응하는 신호 강도들 및 간섭 레벨들을 갖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8에서, 예 7의 발명 대상은, 처리 회로는, 링크에 대한 링크 가중치와 링크에 대한 채널 이득을 제2 복수의 광대역 심볼의 신호 강도들 및 간섭 레벨들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2 UE의 증가된 송신 전력이 증가되어야 하는지 또는 감소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9에서, 예들 6-8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발명 대상은, 송수신기 회로는 증가된 송신 전력에서 제1 심볼에 표시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10에서, 예들 6-9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발명 대상은,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은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수신되고, 증가된 송신 전력을 표시하는 제3 심볼은 프레임의 제2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고, 복수의 광대역 신호는 프레임의 제3 서브프레임에서 수신되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11에서, 예들 1-10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발명 대상은, 레이트 할당들은 수신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들, 전력 할당들 및 채널 상태들을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12에서, 예들 1-11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발명 대상은,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최대 송신 전력인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13에서, 예들 1-12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발명 대상은, 처리 회로는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감소된 송신 전력으로 감소되어야 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이고, 송수신기 회로는 감소된 송신 전력을 표시하는 제4 심볼을 제2 UE에 전송하는 것이고,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은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수신되고, 제4 심볼은 프레임의 제2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14에서, 예들 1-13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발명 대상은, 제1 심볼 및 제2 심볼은 2차원 주파수 및 시간 도메인들에서 지정된 고유 톤들을 갖는 아날로그 톤-기반 신호들인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15에서, 예들 1-14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발명 대상은, 처리 회로는 제1 심볼 및 제2 심볼을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기저대역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16에서, 예들 1-15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발명 대상은, 송수신기 회로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17은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D2D) 통신을 위해 구성된 사용자 장비(UE)의 장치이고, 이 장치는: D2D 링크를 통해 제2 UE로부터 직접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에서 전송된 제1 심볼 및 제2 심볼을 수신하고- 제1 심볼은 전송되는 데이터를 표시하고, 제2 심볼은 링크에 대한 링크 가중치를 표시함 -; 제2 UE를 포함하는 복수의 UE로부터 복수의 광대역 심볼- 복수의 광대역 심볼은 대응하는 신호 강도들 및 간섭 레벨들을 가짐 -을 수신하는 송수신기 회로;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 및 D2D 링크를 통한 제2 심볼의 수신된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D2D 링크에 대한 채널 이득을 결정하고; 그래디언트 함수가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의 증가가 목적 함수를 최대화하는 것을 표시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에 의해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증가된 송신 전력으로 변경되어야 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예 18에서, 예 17의 발명 대상은, 송수신기 회로는 증가된 송신 전력을 표시하는 제3 심볼을 제2 UE에 전송하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19에서, 예 18의 발명 대상은, 송수신기 회로는 제2 UE를 포함하는 복수의 UE로부터 제2 복수의 광대역 심볼을 수신하는 것이고, 제2 복수의 광대역 심볼은 대응하는 신호 강도들 및 간섭 레벨들을 갖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20에서, 예 19의 발명 대상은, 처리 회로는, D2D 링크에 대한 링크 가중치와 D2D 링크에 대한 채널 이득을 제2 복수의 광대역 심볼의 신호 강도들 및 간섭 레벨들과 비교하기 위해 그래디언트 함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그래디언트 함수가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의 증가가 목적 함수를 최대화하는 것을 표시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21에서, 예들 18-20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발명 대상은, 송수신기 회로는 증가된 송신 전력에서 제1 심볼에 표시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22에서, 예들 18-21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발명 대상은,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은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수신되고, 증가된 송신 전력을 표시하는 제3 심볼은 프레임의 제2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고, 복수의 광대역 신호는 프레임의 제3 서브프레임에서 수신되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23은 사용자 장비(UE)가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하기 위해 상기 UE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이며, 이 동작들은: 링크를 통해 제2 UE로부터 제1 심볼 및 제2 심볼을 수신하고- 제1 심볼은 전송되는 데이터를 표시하고, 제2 심볼은 링크에 대한 링크 가중치를 표시함 -; 제2 UE를 포함하는 복수의 UE로부터 복수의 광대역 심볼을 수신하고- 복수의 광대역 심볼은 대응하는 신호 강도들 및 간섭 레벨들을 가짐 -; 처리 회로가: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 및 링크를 통한 제2 심볼의 수신된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링크에 대한 채널 이득을 결정하고; 링크에 대한 링크 가중치와 링크에 대한 채널 이득을 복수의 광대역 심볼의 신호 강도들 및 간섭 레벨들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변경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예 24에서, 예 23의 발명 대상은, 제1 및 제2 심볼들은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에서 제2 UE에 의해 전송되고, 처리 회로는 그래디언트 함수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교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변경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25에서, 예 24의 발명 대상은, 그래디언트 함수는 목적 함수를 최대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목적 함수는 지정된 송신 시간 동안 복수의 링크 가중치에 복수의 레이트 할당을 곱한 것의 합산과 동일하고, 복수의 링크 가중치 및 복수의 레이트 할당은 복수의 UE에 대한 링크들에 대응하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26에서, 예들 24-25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발명 대상은, 프레임의 데이터 송신 서브프레임 동안 증가된 송신 전력에서 제2 UE로부터 링크를 통해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동작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27에서, 예들 24-26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발명 대상은, 그래디언트 함수는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에 대한 증가의 모멘텀을 제2 UE 이외의 복수의 UE의 전력 감소들의 모멘텀과 비교하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28에서, 예들 23-27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발명 대상은,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증가된 송신 전력으로 증가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동작들을 더 포함하고, 송수신기 회로는 증가된 송신 전력을 표시하는 제3 심볼을 제2 UE에 전송하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29에서, 예 28의 발명 대상은, 제2 UE를 포함하는 복수의 UE로부터 제2 복수의 광대역 심볼을 수신하는 동작들을 더 포함하고, 제2 복수의 광대역 심볼은 대응하는 신호 강도들 및 간섭 레벨들을 갖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30에서, 예 29의 발명 대상은, 링크에 대한 링크 가중치와 링크에 대한 채널 이득을 제2 복수의 광대역 심볼의 신호 강도들 및 간섭 레벨들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2 UE의 증가된 송신 전력이 증가되어야 하는지 또는 감소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동작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31에서, 예들 28-30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발명 대상은, 증가된 송신 전력에서 제1 심볼에 표시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32에서, 예들 28-31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발명 대상은,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은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수신되고, 증가된 송신 전력을 표시하는 제3 심볼은 프레임의 제2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고, 복수의 광대역 신호는 프레임의 제3 서브프레임에서 수신되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33에서, 예들 23-32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발명 대상은, 레이트 할당들은 수신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들, 전력 할당들 및 채널 상태들을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34에서, 예들 23-33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발명 대상은,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최대 송신 전력인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35에서, 예들 23-34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발명 대상은,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감소된 송신 전력으로 감소되어야 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들을 더 포함하고, 송수신기 회로는 감소된 송신 전력을 표시하는 제4 심볼을 제2 UE에 전송하고,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은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수신되고, 제4 심볼은 프레임의 제2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36에서, 예들 23-35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발명 대상은, 제1 심볼 및 제2 심볼은 2차원 주파수 및 시간 도메인들에서 지정된 고유 톤들을 갖는 아날로그 톤-기반 신호들인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37은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D2D) 통신을 위해 구성된 사용자 장비(UE)를 제어하는 방법이고, 이 방법은: 링크를 통해 제2 UE로부터 제1 심볼 및 제2 심볼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심볼은 전송되는 데이터를 표시하고, 제2 심볼은 링크에 대한 링크 가중치를 표시함 -; 제2 UE를 포함하는 복수의 UE로부터 복수의 광대역 심볼- 복수의 광대역 심볼은 대응하는 신호 강도들 및 간섭 레벨들을 가짐 -을 수신하는 단계;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 및 링크를 통한 제2 심볼의 수신된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링크에 대한 채널 이득을 결정하는 단계; 링크에 대한 링크 가중치와 링크에 대한 채널 이득을 복수의 광대역 심볼의 신호 강도들 및 간섭 레벨들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변경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38에서, 예 37의 발명 대상은, 제1 및 제2 심볼들은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에서 제2 UE에 의해 전송되고, 비교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변경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그래디언트 함수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39에서, 예 38의 발명 대상은, 그래디언트 함수는 목적 함수를 최대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목적 함수는 지정된 송신 시간 동안 복수의 링크 가중치에 복수의 레이트 할당을 곱한 것의 합산과 동일하고, 복수의 링크 가중치 및 복수의 레이트 할당은 복수의 UE에 대한 링크들에 대응하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40에서, 예들 38-39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발명 대상은, 프레임의 데이터 송신 서브프레임 동안 증가된 송신 전력에서 제2 UE로부터 링크를 통해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41에서, 예들 38-40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발명 대상은, 그래디언트 함수는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에 대한 증가의 모멘텀을 제2 UE 이외의 복수의 UE의 전력 감소들의 모멘텀과 비교하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42에서, 예들 37-41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발명 대상은,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증가된 송신 전력으로 증가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증가된 송신 전력을 표시하는 제3 심볼을 제2 UE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43에서, 예 42의 발명 대상은, 제2 UE를 포함하는 복수의 UE로부터 제2 복수의 광대역 심볼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2 복수의 광대역 심볼은 대응하는 신호 강도들 및 간섭 레벨들을 갖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44에서, 예 43의 발명 대상은, 링크에 대한 링크 가중치와 링크에 대한 채널 이득을 제2 복수의 광대역 심볼의 신호 강도들 및 간섭 레벨들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2 UE의 증가된 송신 전력이 증가되어야 하는지 또는 감소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45에서, 예들 42-44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발명 대상은, 증가된 송신 전력에서 제1 심볼에 표시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46에서, 예들 42-45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발명 대상은,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은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수신되고, 증가된 송신 전력을 표시하는 제3 심볼은 프레임의 제2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고, 복수의 광대역 신호는 프레임의 제3 서브프레임에서 수신되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47에서, 예들 37-46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발명 대상은, 레이트 할당들은 수신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들, 전력 할당들 및 채널 상태들을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48에서, 예들 37-47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발명 대상은,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최대 송신 전력인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49에서, 예들 37-48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발명 대상은,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감소된 송신 전력으로 감소되어야 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감소된 송신 전력을 표시하는 제4 심볼을 제2 UE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은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수신되고, 제4 심볼은 프레임의 제2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50에서, 예들 37-49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발명 대상은, 제1 심볼 및 제2 심볼은 2차원 주파수 및 시간 도메인들에서 지정된 고유 톤들을 갖는 아날로그 톤-기반 신호들인 것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51은 머신에 의해 실행될 때 머신으로 하여금 예들 37-50의 방법들 중 임의의 것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팅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머신 판독가능 매체이다.
예 52는 예들 37-50의 방법들 중 임의의 것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예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머신 또는 컴퓨터-구현될 수 있다. 일부 예들은 예들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를 구성하도록 동작 가능한 명령어들이 인코딩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의 구현예는 마이크로코드, 어셈블리 언어 코드, 고급 언어 코드 등과 같은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코드는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코드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의 일부들을 형성할 수 있다. 추가로, 일례에서, 코드는 예를 들어 실행 동안 또는 다른 시간들에서 하나 이상의 휘발성, 비일시적 또는 비휘발성의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유형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예들로는, 하드 디스크들, 이동식 자기 디스크들, 이동식 광디스크들(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들 및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들), 자기 카세트들, 메모리 카드들 또는 스틱들, RAM(random access memory)들, ROM(read only memory)들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25)

  1.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D2D) 통신을 위해 구성된 사용자 장비(UE)로서,
    링크를 통해 제2 UE로부터 제1 심볼 및 제2 심볼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심볼은 전송되는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심볼은 상기 링크에 대한 링크 가중치를 표시함 -;
    상기 제2 UE를 포함하는 복수의 UE로부터 복수의 광대역 심볼- 상기 복수의 광대역 심볼은 대응하는 신호 강도들 및 간섭 레벨들을 가짐 -을 수신하는 송수신기 회로; 및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 및 상기 링크를 통한 상기 제2 심볼의 수신된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링크에 대한 채널 이득을 결정하고;
    상기 링크에 대한 링크 가중치와 상기 링크에 대한 채널 이득을 상기 복수의 광대역 심볼의 상기 신호 강도들 및 상기 간섭 레벨들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변경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심볼들은 상기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에서 상기 제2 UE에 의해 전송되고, 상기 처리 회로는 그래디언트 함수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변경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UE).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디언트 함수는 목적 함수를 최대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목적 함수는 지정된 송신 시간 동안 복수의 링크 가중치에 복수의 레이트 할당을 곱한 것의 합산과 동일하고, 상기 복수의 링크 가중치 및 상기 복수의 레이트 할당은 상기 복수의 UE에 대한 링크들에 대응하는, 사용자 장비(UE).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은 증가된 송신 전력으로 변경되고,
    상기 송수신기 회로는 프레임의 데이터 송신 서브프레임 동안 상기 증가된 송신 전력에서 상기 제2 UE로부터 상기 링크를 통해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UE).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디언트 함수는 상기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에 대한 증가의 모멘텀을 상기 제2 UE 이외의 상기 복수의 UE의 전력 감소들의 모멘텀과 비교하는, 사용자 장비(UE).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증가된 송신 전력으로 증가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이고, 상기 송수신기 회로는 상기 증가된 송신 전력을 표시하는 제3 심볼을 상기 제2 UE에 전송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UE).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 회로는 상기 제2 UE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UE로부터 제2 복수의 광대역 심볼을 수신하는 것이고, 상기 제2 복수의 광대역 심볼은 대응하는 신호 강도들 및 간섭 레벨들을 갖는, 사용자 장비(UE).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링크에 대한 상기 링크 가중치와 상기 링크에 대한 상기 채널 이득을 상기 제2 복수의 광대역 심볼의 상기 신호 강도들 및 상기 간섭 레벨들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UE의 상기 증가된 송신 전력이 증가되어야 하는지 또는 감소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UE).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 회로는 상기 증가된 송신 전력에서 상기 제1 심볼에 표시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UE).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은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수신되고, 상기 증가된 송신 전력을 표시하는 상기 제3 심볼은 상기 프레임의 제2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고, 상기 복수의 광대역 신호는 상기 프레임의 제3 서브프레임에서 수신되는, 사용자 장비(UE).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트 할당들은 수신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들, 전력 할당들 및 채널 상태들을 이용하여 결정되는, 사용자 장비(UE).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은 최대 송신 전력인, 사용자 장비(UE).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감소된 송신 전력으로 감소되어야 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이고, 상기 송수신기 회로는 상기 감소된 송신 전력을 표시하는 제4 심볼을 상기 제2 UE에 전송하는 것이고, 상기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은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수신되고, 상기 제4 심볼은 상기 프레임의 제2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사용자 장비(UE).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볼 및 상기 제2 심볼은 2차원 주파수 및 시간 도메인들에서 지정된 고유 톤들을 갖는 아날로그 톤-기반 신호들인, 사용자 장비(UE).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제1 심볼 및 상기 제2 심볼을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기저대역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 회로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
  17.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D2D) 통신을 위해 구성된 사용자 장비(UE)로서,
    D2D 링크를 통해 제2 UE로부터 직접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에서 전송된 제1 심볼 및 제2 심볼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심볼은 전송되는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심볼은 상기 링크에 대한 링크 가중치를 표시함 -;
    상기 제2 UE를 포함하는 복수의 UE로부터 복수의 광대역 심볼- 상기 복수의 광대역 심볼은 대응하는 신호 강도들 및 간섭 레벨들을 가짐 -을 수신하는 송수신기 회로; 및
    상기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 및 상기 D2D 링크를 통한 상기 제2 심볼의 수신된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링크에 대한 채널 이득을 결정하고;
    그래디언트 함수가 상기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의 증가가 목적 함수를 최대화하는 것을 표시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증가된 송신 전력으로 변경되어야 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 회로는 상기 증가된 송신 전력을 표시하는 제3 심볼을 상기 제2 UE에 전송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UE).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 회로는 상기 제2 UE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UE로부터 제2 복수의 광대역 심볼을 수신하는 것이고, 상기 제2 복수의 광대역 심볼은 대응하는 신호 강도들 및 간섭 레벨들을 갖는, 사용자 장비(UE).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링크에 대한 상기 링크 가중치와 상기 링크에 대한 상기 채널 이득을 상기 제2 복수의 광대역 심볼의 상기 신호 강도들 및 상기 간섭 레벨들과 비교하기 위해 상기 그래디언트 함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그래디언트 함수가 상기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의 증가가 상기 목적 함수를 최대화하는 것을 표시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UE).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 회로는 상기 증가된 송신 전력에서 상기 제1 심볼에 표시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UE).
  22.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은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수신되고, 상기 증가된 송신 전력을 표시하는 상기 제3 심볼은 상기 프레임의 제2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고, 상기 복수의 광대역 신호는 상기 프레임의 제3 서브프레임에서 수신되는, 사용자 장비(UE).
  23. 사용자 장비(UE)가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하기 위해 상기 UE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동작들은:
    링크를 통해 제2 UE로부터 제1 심볼 및 제2 심볼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심볼은 전송되는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심볼은 상기 링크에 대한 링크 가중치를 표시함 -;
    상기 제2 UE를 포함하는 복수의 UE로부터 복수의 광대역 심볼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광대역 심볼은 대응하는 신호 강도들 및 간섭 레벨들을 가짐 -;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 및 상기 링크를 통한 상기 제2 심볼의 수신된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링크에 대한 채널 이득을 결정하고;
    상기 링크에 대한 링크 가중치와 상기 링크에 대한 채널 이득을 상기 복수의 광대역 심볼의 상기 신호 강도들 및 상기 간섭 레벨들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변경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심볼들은 상기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에서 상기 제2 UE에 의해 전송되고, 상기 명령어들은, 그래디언트 함수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변경되어야 하는지를 상기 UE가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디언트 함수는 목적 함수를 최대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목적 함수는 지정된 송신 시간 동안 복수의 링크 가중치에 복수의 레이트 할당을 곱한 것의 합산과 동일하고, 상기 복수의 링크 가중치 및 상기 복수의 레이트 할당은 상기 복수의 UE에 대한 링크들에 대응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87002737A 2015-06-30 2015-12-18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분산형 링크 스케줄링 기술 KR1024425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87071P 2015-06-30 2015-06-30
US62/187,071 2015-06-30
PCT/US2015/066744 WO2017003508A1 (en) 2015-06-30 2015-12-18 Distributed link scheduling technique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908A KR20180022908A (ko) 2018-03-06
KR102442537B1 true KR102442537B1 (ko) 2022-09-08

Family

ID=57609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2737A KR102442537B1 (ko) 2015-06-30 2015-12-18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분산형 링크 스케줄링 기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52834B2 (ko)
EP (1) EP3318092B8 (ko)
KR (1) KR102442537B1 (ko)
CN (1) CN107667563B (ko)
WO (1) WO20170035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52834B2 (en) 2015-06-30 2020-05-12 Apple Inc. Distributed link scheduling technique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CN108496396B (zh) * 2016-02-02 2021-12-03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无线设备、网络节点及由无线设备和网络节点执行的用于彼此通信的方法
KR102442573B1 (ko) * 2017-11-17 2022-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전력 제어 방법
CN110278609A (zh) * 2018-03-16 2019-09-24 诺基亚技术有限公司 通信***中用于链路适配的方法、装置和计算机存储介质
CN109905864B (zh) * 2019-02-28 2020-11-03 华北电力大学 一种面向电力物联网的跨层资源分配方案
CN112788629B (zh) * 2020-12-31 2022-05-03 重庆邮电大学 一种能量收集通信***功率和调制方式在线联合控制方法
WO2023044130A2 (en) * 2021-09-17 2023-03-23 A10 Systems LLC System and method for interference mitigation and congestion control through cross layer cognitive communications and intelligent routing
US12047991B2 (en) * 2021-09-24 2024-07-23 Apple Inc. UE signal to interference power ratio detection for network scheduling assistan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54401A1 (en) * 2013-03-08 2014-09-11 Shilpa Talwar Distributed power control for d2d communications
KR101465901B1 (ko) * 2013-12-12 2014-11-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D2d 통신에서 단말의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d2d 통신 단말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40103B2 (en) * 2007-07-10 2012-03-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caling in peer-to-peer communications
US8750116B2 (en) * 2008-04-15 2014-06-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and/or using load information in support of decentralized traffic scheduling decisions
US8504052B2 (en) * 2010-05-06 2013-08-06 Nokia Corporation Measurements and fast power adjustments in D2D communications
KR101955516B1 (ko) * 2010-12-07 2019-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의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13176592A1 (en) * 2012-05-25 2013-11-2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nterference management for d2d system
CN104349437B (zh) * 2013-08-09 2018-10-19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用于抑制干扰的方法和用户设备
WO2015028357A1 (en) * 2013-08-30 2015-03-05 Alcatel Lucent Channel resource allocation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KR102313625B1 (ko) * 2014-01-10 2021-10-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WO2015113444A1 (en) * 2014-01-28 2015-08-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ower control method in mixed cellular and d2d network and ue
US9847848B2 (en) * 2014-05-09 2017-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y D2D communication terminal
CN104038456B (zh) * 2014-05-30 2018-02-02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设备间直接通信的通信方法及通信节点
US10142946B2 (en) * 2014-08-18 2018-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2D discovery signal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60096798A (ko) * 2015-02-05 2016-08-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장치간 통신에서의 분산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10652834B2 (en) 2015-06-30 2020-05-12 Apple Inc. Distributed link scheduling technique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54401A1 (en) * 2013-03-08 2014-09-11 Shilpa Talwar Distributed power control for d2d communications
KR101465901B1 (ko) * 2013-12-12 2014-11-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D2d 통신에서 단말의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d2d 통신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32190A1 (en) 2018-05-10
WO2017003508A1 (en) 2017-01-05
EP3318092A4 (en) 2019-01-23
KR20180022908A (ko) 2018-03-06
EP3318092B8 (en) 2021-02-24
EP3318092A1 (en) 2018-05-09
US10652834B2 (en) 2020-05-12
CN107667563A (zh) 2018-02-06
CN107667563B (zh) 2021-07-27
EP3318092B1 (en)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5480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robust measurement and data receiving
KR102442537B1 (ko)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분산형 링크 스케줄링 기술
US11006429B2 (en) Antenna panel switching and beam indication
CN110731121B (zh) 窄带物联网(nb-iot)增强
US10390354B2 (en) Evolved node-B (eNB), user equipment (UE) and methods for flexible duplex communication
US11765594B2 (e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underlying cellular networks
US20190191453A1 (en) User equipment (ue), evolved node-b (enb) and methods for multiplexing new radio (nr)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nr pusch) and nr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nr pucch)
TWI782894B (zh) 用於波束成型小區之動態波束成型控制通道
US20190387504A1 (en) Beamform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CN107852635B (zh) 用于多rat聚合的基于多用户的分离
US10609596B2 (en) Network utility maximization with multi-rat aggregation
TWI755378B (zh) 無線通訊裝置及使用者設備
EP3501200B1 (en) Filtering for measurement in fifth generation networks
US11166282B2 (en) Evolved Node-B (eNB), radio access network (RAN) central unit (RCU) and methods for radio resource control (RRC)
US10454623B2 (en) Uplink resource collision reduction in FD-MIMO
CN109076096B (zh) 无线设备的装置
EP3488630B1 (en) Lwa enhancements for tri-band (2.4 ghz, 5 ghz, and 60 ghz) wi-fi equipment
WO2017146751A1 (en)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formats for 5g
WO2017096531A1 (en) Software defined network switch and evolved node-b (enb) for multiple bearer connectivity
EP3437381A1 (en) Staggering unattended traffic in lte after bar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