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457B1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457B1
KR102442457B1 KR1020170149878A KR20170149878A KR102442457B1 KR 102442457 B1 KR102442457 B1 KR 102442457B1 KR 1020170149878 A KR1020170149878 A KR 1020170149878A KR 20170149878 A KR20170149878 A KR 20170149878A KR 102442457 B1 KR102442457 B1 KR 102442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isplay area
signal
auxiliary display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3713A (ko
Inventor
덕 띠엔 뷔
띠엔 안 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9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457B1/ko
Priority to US16/139,651 priority patent/US11016584B2/en
Publication of KR20190053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7Pen manipulated men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메인 표시 영역, 및 메인 표시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곡면 영역을 포함하는 보조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상에 위치하는 전자 펜의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및 감지된 신호에 따라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신호가 감지된 영역이 보조 표시 영역 중 제1 영역인 경우, 신호에 의해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신호가 감지된 영역이 보조 표시 영역 중 제2 영역인 경우, 신호에 의해 제2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보조 표시 영역에서 전자 펜과 같은 입력 장치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보다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곡면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입니다.
최근,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는 메인 표시 영역 및 보조 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보조 표시 영역이 곡면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메인 표시 영역 및 보조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UI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는 전자 펜과 같은 입력 장치의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에 따라, 메인 표시 영역 및 보조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된 UI 혹은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같은 전자 장치(100)는 보조 표시 영역 상에서 전자 펜과 같은 입력 장치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감지할 경우,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만 입력 장치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만 보조 표시 영역 상에 위치한 입력 장치의 신호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보조 표시 영역에 대해서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상술한 기술 개발 요청에 응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메인 표시 영역 및 보조 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보조 표시 영역이 곡면 형태로 구현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전자 펜과 같은 입력 장치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보다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곡면 형태로 구현된 보조 표시 영역에서 감지된 입력 장치의 신호에 기초하여 다양한 제어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메인 표시 영역, 및 상기 메인 표시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곡면 영역을 포함하는 보조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위치하는 전자 펜의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가 감지된 영역이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중 제1 영역인 경우, 상기 신호에 의해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신호가 감지된 영역이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중 제2 영역인 경우, 상기 신호에 의해 제2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중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 표시 영역과 연속된 영역이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중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 표시 영역과 불연속된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선은, 아래 식을 만족하는 지점을 이은 선이며, D1+D2 =D3 여기서, D1은 상기 곡면 영역이 시작하는 제1 지점과 상기 신호가 감지된 제2 지점 사이의 최단 거리이며, D2는 상기 신호가 감지된 제2 지점과 상기 전자 펜의 위치에서 상기 곡면 영역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한 연장선 사이의 최단 거리이며, 상기 D3는 상기 곡면 영역이 시작하는 제1 지점과 상기 곡면 영역이 끝나는 제2 지점 사이의 최단 거리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가 상기 제1 영역에서 감지되면, 상기 보조 표시 영역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며, 상기 신호가 상기 제2 영역에서 감지되면, 상기 메인 표시 영역 및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스크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가 상기 제1 영역에서 감지되면, 상기 보조 표시 영역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며, 상기 신호가 상기 제2 영역에서 감지되면,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상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표시 영역 및 상기 보조 표시 영역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신호가 상기 제2 영역에서 감지되면,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보조 표시 영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표시 영역은, 상기 메인 표시 영역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1 보조 표시 영역과 상기 메인 표시 영역의 타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2 보조 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신호가 상기 제1 보조 표시 영역의 제2 영역에서 감지되면, 상기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신호가 상기 제2 보조 표시 영역의 제2 영역에서 감지되면, 상기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2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표시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엣지 영역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메인 표시 영역, 및 상기 메인 표시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곡면 영역을 포함하는 보조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상에 위치하는 전자 펜의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가 감지된 영역이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중 제1 영역인 경우, 상기 신호에 의해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신호가 감지된 영역이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중 제2 영역인 경우, 상기 신호에 의해 제2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중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 표시 영역과 연속된 영역이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중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 표시 영역과 불연속된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선은, 아래 식을 만족하는 지점을 이은 선이며, D1+D2 =D3 여기서, D1은 상기 곡면 영역이 시작하는 제1 지점과 상기 신호가 감지된 제2 지점 사이의 최단 거리이며, D2는 상기 신호가 감지된 제2 지점과 상기 전자 펜의 위치에서 상기 곡면 영역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한 연장선 사이의 최단 거리이며, 상기 D3는 상기 곡면 영역이 시작하는 제1 지점과 상기 곡면 영역이 끝나는 제2 지점 사이의 최단 거리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가 상기 제1 영역에서 감지되면, 상기 보조 표시 영역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며, 상기 신호가 상기 제2 영역에서 감지되면, 상기 메인 표시 영역 및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스크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가 상기 제1 영역에서 감지되면, 상기 보조 표시 영역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며, 상기 신호가 상기 제2 영역에서 감지되면,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상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메인 표시 영역 및 상기 보조 표시 영역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신호가 상기 제2 영역에서 감지되면,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보조 표시 영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표시 영역은, 상기 메인 표시 영역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1 보조 표시 영역과 상기 메인 표시 영역의 타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2 보조 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신호가 상기 제1 보조 표시 영역의 제2 영역에서 감지되면, 상기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신호가 상기 제2 보조 표시 영역의 제2 영역에서 감지되면, 상기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2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표시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엣지 영역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은 메인 표시 영역, 및 상기 메인 표시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곡면 영역을 포함하는 보조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상에 위치하는 전자 펜의 신호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신호가 감지된 영역이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중 제1 영역인 경우, 상기 신호에 의해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신호가 감지된 영역이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중 제2 영역인 경우, 상기 신호에 의해 제2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메인 표시 영역 및 보조 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보조 표시 영역이 곡면 형태로 구현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는 전자 펜과 같은 입력 장치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보다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보조 표시 영역을 제1 및 제2 영역으로 구분하기 위한 기준선을 결정하는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보조 표시 영역에서 전자 펜의 신호를 감지하는 동작의 예시도,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보조 표시 영역을 통해 감지된 전자 펜의 신호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는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 혹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이 같은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테블릿 PC 등의 휴대용 단말 장치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터치 입력이 가능한 전자 칠판과 같은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전자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 감지부(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0)는 컨텐츠 서버(미도시)와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혹은 기저장된 컨텐츠 관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같은 디스플레이(110)는 메인 표시 영역, 및 메인 표시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곡면 영역을 포함하는 보조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메인 표시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곡면 영역을 포함하는 보조 표시 영역은 메인 표시 영역의 좌우 측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조 표시 영역은 메인 표시 영역의 상하 측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감지부(120)는 후술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 상에 위치하는 전자 펜(200)의 신호를 감지한다. 이 같은 감지부(120)와 디스플레이(110)는 하나의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감지부(120)는 복수의 전극으로 구현되며, 이 같은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디스플레이(110) 상에 근접하거나 접촉한 전자 펜(200)으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디스플레이(110) 상에 위치하는 전자 펜(200)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같이, 디스플레이(110) 상에 위치하는 전자 펜(200)의 신호를 감지하는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전자 펜(200)은 전원 없이, 전자 장치(100)의 감지부(120)를 통해 발생된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어 동작하는 패시브(Passive) 타입이거나 혹은 자체적으로 전원을 구비하여 동작하는 액티브(Active)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 상에 위치하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감지부(120)를 통해 감지되면, 프로세서(130)는 감지된 신호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감지부(120)를 통해 신호가 감지되면, 해당 신호가 감지된 영역을 판단한다. 판단 결과, 신호가 감지된 영역이 디스플레이(110)의 메인 표시 영역인 경우, 메인 표시 영역 내에서 해당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메인 표시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UI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메인 표시 영역 내에서 신호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된 UI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해당 신호가 감지된 영역에 위치하는 아이템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감지부(120)를 통해 신호가 감지된 영역이 보조 표시 영역 중 기설정된 제1 영역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신호에 의해 제1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감지부(120)를 통해 신호가 감지된 영역이 보조 표시 영역 중 기설정된 제2 영역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신호에 의해 제2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1 영역은 보조 표시 영역 중 기설정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메인 표시 영역과 연속된 영역이며, 제2 영역은 보조 표시 영역 중 기설정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메인 표시 영역과 불연속된 영역이 될 수 있다.
한편, 보조 표시 영역을 제1 및 제2 영역으로 구분하는 기준선은 아래 [수학식 1]을 만족하는 지점을 이은 선이 될 수 있다.
Figure 112017111954913-pat00001
여기서, D1은 곡면 영역이 시작하는 제1 지점과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감지된 제2 지점 사이의 최단 거리이다.
그리고, D2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감지된 제2 지점과 전자 펜(200)의 위치에서 곡면 영역으로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한 연장선 사이의 최단거리이다.
그리고, D3는 곡면 영역이 시작하는 제1 지점과 곡면 영역이 끝나는 제2 지점 사이의 최단 거리이다.
따라서, 프로세서(13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에서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술한 수학식 1에 의해 설정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해당 신호가 감지된 영역이 제1 영역인지 아니면 제2 영역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같이,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의 제1 영역 혹은 제2 영역에서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130)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통해 감지된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의 제1 영역에서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보조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중 제1 영역에서 감지된 지점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실행한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의 제2 영역에서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메인 표시 영역 및 보조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스크롤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 영역 및 보조 표시 영역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의 제2 영역에서 감지되면,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표시하도록 보조 표시 영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의 제2 영역에서 감지되면 상이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표시 영역은 메인 표시 영역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1 보조 표시 영역과 메인 표시 영역의 타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2 보조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 영역 및 보조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110)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제1 보조 표시 영역의 제2 영역에서 감지되면, 해당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1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메인 표시 영역 및 보조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110)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제2 보조 표시 영역의 제2 영역에서 감지되면, 해당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2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는 메인 표시 영역 및 보조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웹 페이지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웹 페이지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제1 보조 표시 영역의 제2 영역에서 감지되면, 프로세서(130)는 웹 페이지 화면을 상하좌우로 이동하기 위한 제1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제2 보조 표시 영역의 제2 영역에서 감지되면, 프로세서(130)는 웹 페이지 화면의 시작 페이지 혹은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제2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전술한 구성들 외에 입력부(140), 통신부(150), 촬영부(160), 오디오 출력부(170) 및 저장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4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것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선택 명령을 입력받아 프로세서(130)로 전달하기 위한 입력 수단이다. 이 같은 입력부(140)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 패드(Touch Pad) 혹은 각종 기능키, 숫자키, 문자키 등을 구비한 키 패드(Key Pad)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 장치(미도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미도시), 웹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 서버(미도시) 등과 통신을 수행한다.
이 같은 통신부(15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 등과 같은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은 근거리에 위치한 단말 장치(미도시)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로써,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은 와이파이(WiFi),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i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여 단말 장치(미도시), 컨텐츠 서버(미도시) 및 웹 서버(미도시) 등과 통신을 수행한다.
촬영부(160)는 용자 명령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써,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70)는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신호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저장부(180)는 전자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운용 프로그램,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실행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여기서, 운용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100)가 턴 온(Turn On)되는 경우, 저장부(180)에서 읽혀지고, 컴파일되어 전자 장치(100)의 각 구성을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프로세서(130)는 RAM(131), ROM(132), CPU(133) 및 GPU(13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RAM(131), ROM(132), CPU(133) 및 GPU(134)는 버스(13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133)는 저장부(180)를 액세스하여, 저장부(18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또한 CPU(133)는 저장부(18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GPU(134)는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GPU(134)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하고, 연상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생성한다.
ROM(131)은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133)는 ROM(131)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80)에 저장된 OS를 RAM(124)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133)는 저장부(18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132)에 복사하고, RAM(132)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이 같은 프로세서(130)는 전술한 각 구성들과 결합되어 단일칩 시스템(System-on-a-chip 또는 System on chip, SOC, SoC)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프로세서(130)의 동작은 저장부(18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80)는 ROM(131), RAM(132) 또는 전자 장치(100)에 탈착/장착 가능한 메모리 카드(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에서 감지되는 경우, 해당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의 제1 영역 혹은 제2 영역에서 감지되는지를 판단하는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00)는 메인 표시 영역(310) 및 보조 표시 영역(320)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 표시 영역(320)은 메인 표시 영역(310)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표시 영역(320)은 메인 표시 영역(310)의 일 측면과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혹은 메인 표시 영역(310)의 양 측면과 각각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감지된 영역에 기초하여 해당 신호가 메인 표시 영역(310) 혹은 보조 표시 영역(320)에서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된 영역에서 해당 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보조 표시 영역(320)은 전술한 수학식 1에 기초하여 결정된 지점을 이은 기준선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 영역(321,32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같은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1 영역(321)에서 감지된 경우, 해당 신호에 따른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2 영역(322)에서 감지된 경우, 해당 신호에 따른 제2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보조 표시 영역을 제1 및 제2 영역으로 구분하기 위한 기준선을 결정하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표시 영역(310)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보조 표시 영역(320)은 전자 펜(200)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곡면 영역(4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A 지점은 곡면 영역(410)이 시작되는 지점이며, B 지점은 곡면 영역(410)이 끝나는 지점이다. 그리고, C 지점은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곡면 영역(410) 내에서 감지될 경우, 감지된 신호가 제1 영역(321) 또는 제2 영역(322)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같은 C 지점이 일측 방향으로 연속할 경우, 전자 펜(200)의 신호가 제1 영역(321) 또는 제2 영역(322)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기준선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펜(200)에서 발생한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1 영역(321) 혹은 제2 영역(322)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점(C)은 D1과 D2의 거리가 D3의 거리와 대응되는 지점이다. 즉, 기준점(C)은 D3의 거리가 D1과 D2의 거리보다 길어지기 시작하기 전의 지점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곡면 영역(410)이 시작하는 제1 지점(A)과 곡면 영역(410)의 임의의 제2 지점(C2) 간의 최단 거리(D1)를 산출한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임의의 제2 지점(C2)과 전자 펜(200)의 임의의 위치(C1)에서 곡면 영역(410)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한 연장선 사이의 최단 거리(D2)를 산출한다.
여기서, 임의의 제2 지점(C2)은 전자 펜(200)이 있는 임의의 위치(C1)에서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감지될 것으로 예측되는 지점이다.
그리고, 전자 펜(200)의 임의의 위치(C1)는 E 지점에서 신호가 감지된 제2 지점을 직선방향으로 통과하여 연장된 연장선과 곡면 영역(410)이 끝나는 지점(B)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선이 만나는 점이 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보조 표시 영역(320)의 곡면 영역(410)이 시작하는 제1 지점(A)과 곡면 영역(410)이 끝나는 지점(B) 간의 최단 거리(D3)를 산출한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산출된 최단 거리(D1) 및 최단 거리(D2)의 합이 최단 거리(D3)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최단 거리(D1) 및 최단 거리(D2)의 합이 최단 거리(D3)보다 크면 전자 펜(200)의 임의의 위치(C1)에서 발생된 신호가 감지될 것으로 예측되는 제2 지점(C1)을 변경하고, 변경된 제2 지점(C1)에 기초하여 전술한 일련의 수행 동작을 재수행한다.
이 같은 일련의 수행 동작을 통해 최단 거리(D1) 및 최단 거리(D2)의 합이 동일해지면, 전자 장치(100)는 해당 조건에서 이용된 제2 지점(C1)을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1 및 제2 영역(321,322)으로 구분하기 위한 기준점(C)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기준점(C)을 이은 선을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1 및 제2 영역(321,322)으로 구분하기 위한 기준선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1 및 제2 영역(321,322)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선이 결정된 이후,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 상에서 감지되면, 전자 장치(100)는 기결정된 기준선에 기초하여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제1 영역(321) 또는 제2 영역(322)에서 감지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감지된 지점이 기결정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메인 표시 영역(310)과 연속된 제1 영역(321) 내에 포함되는지 혹은 메인 표시 영역(320)과 불연속된 제2 영역(322) 내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해당 신호가 제1 지점(321) 또는 제2 지점(322)에서 감지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에서 감지된 경우, 아래와 같은 실시예를 통해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1 영역(321) 또는 제2 영역(322)에서 감지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보조 표시 영역에서 전자 펜의 신호를 감지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펜(200)에서 발생된 신호는 디스플레이(110)을 구성하는 메인 표시 영역(310) 및 보조 표시 영역(320) 중 보조 표시 영역(320)의 특정 지점(이하 제2 지점이라 함)(C2')에서 감지될 수 있다.
제2 지점(C2')에서 전자 펜(200)의 신호가 감지되면, 전자 장치(100)는 곡면 영역(410)이 시작하는 제1 지점(A)과 전자 펜(200)의 신호가 감지된 제2 지점(C2') 간의 최단 거리(D1)를 산출한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의 신호가 감지된 제2 지점(C2')과 전자 펜(200)이 위치한 지점(C1)에서 곡면 영역(410)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한 연장선 사이의 최단 거리(D2)를 산출한다.
여기서, 전자 펜(200)이 위치한 지점(C1)은 E 지점에서 전자 펜(200)의 신호가 감지된 제2 지점(C2')을 직선방향으로 통과하여 연장된 연장선과 곡면 영역(410)이 끝나는 지점(B)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선이 만나는 점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곡면 영역(410)이 시작하는 제1 지점과 곡면 영역(410)이 끝나는 제3 지점(B) 사이의 최단 거리(D3)를 산출한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전술한 수학식 1에 기초하여 기산출된 D1과 D2의 합이 D3를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D1과 D2의 합이 D3 보다 작으면, 전자 장치(100)는 보조 표시 영역(320)에서 감지된 전자 펜(200)의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1 영역(321)에서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펜(200)에서 발생된 신호는 디스플레이(110)을 구성하는 메인 표시 영역(310) 및 보조 표시 영역(320) 중 보조 표시 영역(320)의 특정 지점(이하 제2 지점이라 함)(C2'')에서 감지될 수 있다.
제2 지점(C2'')에서 전자 펜(200)의 신호가 감지되면, 전자 장치(100)는 곡면 영역(410)이 시작하는 제1 지점(A)과 전자 펜(200)의 신호가 감지된 제2 지점(C2'') 간의 최단 거리(D1)를 산출한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의 신호가 감지된 제2 지점(C2'')과 전자 펜(200)이 위치한 지점(C1)에서 곡면 영역(410)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한 연장선 사이의 최단 거리(D2)를 산출한다.
여기서, 전자 펜(200)이 위치한 지점(C1)은 E 지점에서 전자 펜(200)의 신호가 감지된 제2 지점(C2')을 직선방향으로 통과하여 연장된 연장선과 곡면 영역(410)이 끝나는 지점(B)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선이 만나는 점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곡면 영역(410)이 시작하는 제1 지점과 곡면 영역(410)이 끝나는 제3 지점(B) 사이의 최단 거리(D3)를 산출한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전술한 수학식 1에 기초하여 기산출된 D1과 D2의 합이 D3를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D1과 D2의 합이 D3와 대응되면, 전자 장치(100)는 보조 표시 영역(320)에서 감지된 전자 펜(200)의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2 영역(322)에서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같이 전자 펜(200)의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1 영역(321) 또는 제2 영역(322)에서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1 영역(321) 또는 제2 영역(322)에서 감지된 전자 펜(200)의 신호에 따라 제1 기능 또는 제2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1 영역(321) 또는 제2 영역(322)에서 감지된 전자 펜(200)의 신호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보조 표시 영역을 통해 감지된 전자 펜의 신호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는 예시도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메인 표시 영역(310) 및 보조 표시 영역(32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홈 스크린(8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홈 스크린(810)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보조 표시 영역(320)을 통해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감지될 수 있다.
전자 펜(200)의 신호가 감지되면, 전자 장치(100)는 보조 표시 영역(320)을 통해 감지된 전자 펜(200)의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1 영역(321) 혹은 제2 영역(322)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자 펜(200)의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1 영역(321) 혹은 제2 영역(322)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판단 결과, 전자 펜(200)의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2 영역에서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표시 영역(320)을 통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UI 화면(820)을 디스플레이한다.
즉,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의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2 영역에서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메인 표시 영역(310) 상에 홈 스크린(810)을 디스플레이하고, 보조 표시 영역(320) 상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UI 화면(820)을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보조 표시 영역(320) 상에 UI 화면(820)을 디스플레이할 경우, 전자 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통해 홈 스크린(810)을 메인 표시 영역(3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에 디스플레이되는 홈 스크린(810)의 전체 영역 중 보조 표시 영역(320)에 표시되는 영역이 제거된 나머지 영역에 대한 홈 스크린(810)을 메인 표시 영역(3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에 디스플레이되는 홈 스크린(810)의 사이즈를 메인 표시 영역(310)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사이즈로 조정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홈 스크린(810)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보조 표시 영역(320)을 통해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감지되면, 메인 표시 영역(310) 상에 홈 스크린(810)을 디스플레이하고, 보조 표시 영역(320) 상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UI 화면(8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이, 메인 표시 영역(310)에 홈 스크린(810)을 디스플레이하고, 보조 표시 영역(320)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UI 화면(820)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표시 영역(320)에서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같은 전자 펜(200)의 신호가 감지되면, 전자 장치(100)는 감지된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1 영역(321) 혹은 제2 영역(322)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자 펜(200)의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1 영역(321) 혹은 제2 영역(322)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판단 결과, 전자 펜(200)의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1 영역(321)에서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보조 표시 영역(320)에 디스플레이된 UI 화면(820)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 중 전자 펜(200)의 신호가 감지된 지점과 근접한 위치의 아이콘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한편, 전자 펜(200)의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2 영역(322)에서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보조 표시 영역(320)에 디스플레이된 UI 화면(820)을 스크롤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전자 펜(200)의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2 영역(322)에서 감지된 것으로 판단된 후 전자 펜(200)의 상하 이동에 따른 신호가 감지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의 상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보조 표시 영역(320)에 디스플레이된 UI 화면(820)을 스크롤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표시 영역(310) 및 보조 표시 영역(32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110)가 블랙 화면 모드인 상태에서, 보조 표시 영역(320)을 통해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감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블랙 화면 모드는 메인 표시 영역(310) 및 보조 표시 영역(32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11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메인 표시 영역(310) 및 보조 표시 영역(320) 중 적어도 하나에 최소 단위의 대기 전력에 해당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모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블랙 화면 모드가 최소 단위의 대기 전력에 해당하는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 모드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블랙 화면 모드 상태에서 보조 표시 영역(320)을 통해 전자 펜(200)의 신호가 감지되면, 전자 장치(100)는 보조 표시 영역(320)을 통해 감지된 전자 펜(200)의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1 영역(321) 혹은 제2 영역(322)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자 펜(200)의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1 영역(321) 혹은 제2 영역(322)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판단 결과, 전자 펜(200)의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2 영역에서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블랙 화면 모드 상태의 보조 표시 영역(320)을 활성화시킨다. 이후, 키고, 전자 장치(100)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화된 보조 표시 영역(320)을 통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기설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화면 UI(10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 장치(100)는 블랙 화면 모드 상태에서 보조 표시 영역(320)을 통해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감지되면, 보조 표시 영역(320)을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보조 표시 영역(320)을 통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기설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화면 UI(10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표시 영역(310) 및 보조 표시 영역(32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110)에서 웹 페이지 화면(1110)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자 펜(200)에서 발생된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에서 감지될 수 있다.
한편, 보조 표시 영역(320)은 메인 표시 영역(310)의 양 측면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 표시 영역(310)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된 보조 표시 영역(320)을 통해 전자 펜(200)의 신호가 감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감지된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1 영역(321) 혹은 제2 영역(322)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자 펜(200)의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1 영역(321) 혹은 제2 영역(322)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판단 결과, 전자 펜(200)의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2 영역(322)에서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메인 표시 영역(310) 및 보조 표시 영역(32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110)에 디스플레이된 웹 페이지 화면(1110)을 스크롤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전자 펜(200)의 신호가 메인 표시 영역(310)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된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2 영역(322)에서 감지된 것으로 판단된 후 전자 펜(200)의 상하 이동에 따른 신호가 감지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의 상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웹 페이지 화면(1110)을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 표시 영역(310) 및 보조 표시 영역(32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웹 페이지 화면(1110)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메인 표시 영역(310)의 타 측면으로부터 연장된 보조 표시 영역(320)을 통해 전자 펜(200)의 신호가 감지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웹 페이지 화면(1110)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메인 표시 영역(310)의 타 측면으로부터 연장된 보조 표시 영역(320)을 통해 전자 펜(200)의 신호가 감지될 수 있다.
메인 표시 영역(310)의 타 측면으로부터 연장된 보조 표시 영역(320)을 통해 전자 펜(200)의 신호가 감지되면, 전자 장치(100)는 감지된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1 영역(321) 혹은 제2 영역(322)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자 펜(200)의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1 영역(321) 혹은 제2 영역(322)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판단 결과, 전자 펜(200)의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2 영역(322)에서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에 디스플레이된 웹 페이지 화면(1110)에서 해당 웹 페이지 화면(1110)의 시작 페이지 혹은 마지막 페이지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 화면(1210)으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 펜(200)의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2 영역(322)에서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에 디스플레이된 웹 페이지 화면(1110)에서 해당 웹 페이지 화면(1110)의 이전 페이지 혹은 다음 페이지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 화면(1210)으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표시 영역(310) 및 보조 표시 영역(32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110)에서 컨텐츠 영상(1310)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자 펜(200)에서 발생된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에서 감지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표시 영역(320)은 메인 표시 영역(310)의 양 측면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 표시 영역(310)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된 보조 표시 영역(320)을 통해 전자 펜(200)의 신호가 감지될 수 있다.
메인 표시 영역(310)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된 보조 표시 영역(320)을 통해 전자 펜(200)의 신호가 감지되면, 전자 장치(100)는 보조 표시 영역(320)을 통해 감지된 전자 펜(200)의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1 영역(321) 또는 제2 영역(321)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자 펜(200)의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1 영역(321) 혹은 제2 영역(322)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판단 결과, 전자 펜(200)의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2 영역(322)에서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감지된 전자 펜(200)의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1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영상(1310)의 볼륨을 조정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전자 펜(200)의 신호가 메인 표시 영역(310)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된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2 영역(322)에서 감지된 것으로 판단된 후 전자 펜(200)의 상하 혹은 좌우 이동에 따른 신호가 감지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의 상하 혹은 좌우 이동 방향에 따라, 컨텐츠 영상(1310)의 볼륨을 조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전자 펜(200)의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1 영역(321)에서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감지된 전자 펜(200)의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1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영상(1310)의 볼륨을 조정하기 위한 동작과 상이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펜(200)의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1 영역(321)에서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감지된 전자 펜(200)의 신호에 따라 채널을 변경하고, 변경된 채널의 컨텐츠 영상을 디스플레이(110)을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메인 표시 영역(310)의 타 측면으로부터 연장된 보조 표시 영역(320)을 통해 전자 펜(200)의 신호가 감지되면, 전자 장치(100)는 보조 표시 영역(320)을 통해 감지된 전자 펜(200)의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1 영역(321) 또는 제2 영역(321)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자 펜(200)의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1 영역(321) 혹은 제2 영역(322)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판단 결과, 전자 펜(200)의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2 영역(322)에서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감지된 전자 펜(200)의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110) 상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영상(1310)의 재생 구간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전자 펜(200)의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1 영역(321)에서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감지된 전자 펜(200)의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110) 상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영상(1310)의 재생 구간을 변경하기 위한 동작과 상이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펜(200)의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320)의 제1 영역(321)에서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감지된 전자 펜(200)의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110) 상이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영상(1310)의 재생을 정지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각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상에 위치하는 전자 펜(200)의 신호를 감지한다(S1410).
여기서, 디스플레이는 메인 표시 영역, 및 메인 표시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곡면 영역을 포함하는 보조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상에 위치하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디스플레이의 메인 표시 영역에서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S1420).
판단 결과, 전자 펜(200)의 신호가 디스플레이의 메인 표시 영역에서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메인 표시 영역 내에서 전자 펜(200)의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1430).
예를 들어, 메인 표시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UI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메인 표시 영역 내에서 신호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메인 표시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된 UI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해당 신호가 감지된 영역에 위치하는 아이템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전자 펜(200)의 신호가 디스플레이의 보조 표시 영역에서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보조 표시 영역에서 감지된 전자 펜(200)의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의 제1 영역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40).
판단 결과, 보조 표시 영역의 제1 영역에서 전자 펜(200)의 신호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의 신호에 의해 제1 기능을 수행한다(S1450).
한편, 판단 결과, 보조 표시 영역의 제2 영역에서 전자 펜(200)의 신호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의 신호에 의해 제2 기능을 수행한다(S1460).
여기서, 여기서, 제1 영역은 보조 표시 영역 중 기설정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메인 표시 영역과 연속된 영역이며, 제2 영역은 보조 표시 영역 중 기설정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메인 표시 영역과 불연속된 영역이 될 수 있다.
한편, 보조 표시 영역을 제1 및 제2 영역으로 구분하는 기준선은 전술한 수학식 1을 만족하는 지점을 이은 선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에서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술한 수학식 1에 의해 설정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해당 신호가 감지된 영역이 제1 영역인지 아니면 제2 영역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영역에서 해당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의 제1 영역에서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보조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중 제1 영역에서 감지된 지점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실행한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의 제2 영역에서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메인 표시 영역 및 보조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스크롤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메인 표시 영역 및 보조 표시 영역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의 제2 영역에서 감지되면,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표시하도록 보조 표시 영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보조 표시 영역의 제2 영역에서 감지되면 상이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표시 영역은 메인 표시 영역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1 보조 표시 영역과 메인 표시 영역의 타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2 보조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메인 표시 영역 및 보조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제1 보조 표시 영역의 제2 영역에서 감지되면, 해당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1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메인 표시 영역 및 보조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제2 보조 표시 영역의 제2 영역에서 감지되면, 해당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2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소프웨어로 코딩되어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다양한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전자 장치 110 : 디스플레이
120 : 감지부 130 : 프로세서
140 : 입력부 150 : 통신부
160 : 촬영부 170 : 오디오 출력부
180 : 저장부 310 : 메인 표시 영역
320 : 보조 표시 영역 410 : 곡면 영역
200 : 전자 펜

Claims (17)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메인 표시 영역, 및 상기 메인 표시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곡면 영역을 포함하는 보조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위치하는 전자 펜의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조 표시 영역에 상기 전자 펜의 제1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메인 표시 영역에 홈 스크린을 표시하고, 상기 보조 표시 영역에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UI를 표시하고,상기 UI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보조 표시 영역에 상기 전자 펜의 제2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2 신호가 감지된 영역이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중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제2 신호가 감지된 영역이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중 제1 영역인 경우, 상기 제2 신호에 대응되는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UI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기능이며,
    상기 제2 신호가 감지된 영역이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중 제2 영역인 경우, 상기 제2 신호에 대응되고 상기 제1 기능과 다른 제2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UI 화면을 스크롤하는 기능이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중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 표시 영역과 연속된 영역이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중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 표시 영역과 불연속된 영역이며,
    상기 기준선은,
    아래 식을 만족하는 지점을 이은 선이며,
    D1+D2=D3
    여기서, D1은 상기 곡면 영역이 시작하는 제1 지점과 상기 전자 펜의 신호가 감지된 제2 지점 사이의 최단 거리이며,
    D2는 상기 신호가 감지된 제2 지점과 상기 전자 펜의 위치에서 상기 곡면 영역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한 연장선 사이의 최단 거리이며,
    상기 D3는 상기 곡면 영역이 시작하는 제1 지점과 상기 곡면 영역이 끝나는 제2 지점 사이의 최단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표시 영역 및 상기 보조 표시 영역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신호가 상기 제2 영역에서 감지되면,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보조 표시 영역을 활성화시키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표시 영역은,
    상기 메인 표시 영역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1 보조 표시 영역과 상기 메인 표시 영역의 타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2 보조 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신호가 상기 제1 보조 표시 영역의 제2 영역에서 감지되면, 상기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신호가 상기 제2 보조 표시 영역의 제2 영역에서 감지되면, 상기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2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표시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엣지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메인 표시 영역, 및 상기 메인 표시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곡면 영역을 포함하는 보조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상에 위치하는 전자 펜의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 표시 영역에 상기 전자 펜의 제1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메인 표시 영역에 홈 스크린을 표시하고, 상기 보조 표시 영역에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UI를 표시하는 단계;상기 UI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보조 표시 영역에 상기 전자 펜의 제2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2 신호가 감지된 영역이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중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2 신호가 감지된 영역이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중 제1 영역인 경우, 상기 제2 신호에 대응되는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UI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기능이며,
    상기 제2 신호가 감지된 영역이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중 제2 영역인 경우, 상기 제2 신호에 대응되고 상기 제1 기능과 다른 제2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UI 화면을 스크롤하는 기능이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중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 표시 영역과 연속된 영역이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중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 표시 영역과 불연속된 영역이며,
    상기 기준선은,
    아래 식을 만족하는 지점을 이은 선이며,
    D1+D2=D3
    여기서, D1은 상기 곡면 영역이 시작하는 제1 지점과 상기 전자 펜의 신호가 감지된 제2 지점 사이의 최단 거리이며,
    D2는 상기 신호가 감지된 제2 지점과 상기 전자 펜의 위치에서 상기 곡면 영역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한 연장선 사이의 최단 거리이며,
    상기 D3는 상기 곡면 영역이 시작하는 제1 지점과 상기 곡면 영역이 끝나는 제2 지점 사이의 최단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가 상기 제1 영역에서 감지되면, 상기 보조 표시 영역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며,
    상기 신호가 상기 제2 영역에서 감지되면,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상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메인 표시 영역 및 상기 보조 표시 영역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신호가 상기 제2 영역에서 감지되면,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보조 표시 영역을 활성화시키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표시 영역은,
    상기 메인 표시 영역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1 보조 표시 영역과 상기 메인 표시 영역의 타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2 보조 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신호가 상기 제1 보조 표시 영역의 제2 영역에서 감지되면, 상기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신호가 상기 제2 보조 표시 영역의 제2 영역에서 감지되면, 상기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2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표시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엣지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7.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메인 표시 영역, 및 상기 메인 표시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곡면 영역을 포함하는 보조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상에 위치하는 전자 펜의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 표시 영역에 상기 전자 펜의 제1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메인 표시 영역에 홈 스크린을 표시하고, 상기 보조 표시 영역에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UI를 표시하는 단계;상기 UI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보조 표시 영역에 상기 전자 펜의 제2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2 신호가 감지된 영역이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중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2 신호가 감지된 영역이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중 제1 영역인 경우, 상기 제2 신호에 대응되는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UI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기능이며,
    상기 제2 신호가 감지된 영역이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중 제2 영역인 경우, 상기 제2 신호에 대응되고 상기 제1 기능과 다른 제2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UI 화면을 스크롤하는 기능이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중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 표시 영역과 연속된 영역이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보조 표시 영역 중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 표시 영역과 불연속된 영역이며,
    상기 기준선은,
    아래 식을 만족하는 지점을 이은 선이며,
    D1+D2=D3
    여기서, D1은 상기 곡면 영역이 시작하는 제1 지점과 상기 전자 펜의 신호가 감지된 제2 지점 사이의 최단 거리이며,
    D2는 상기 신호가 감지된 제2 지점과 상기 전자 펜의 위치에서 상기 곡면 영역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한 연장선 사이의 최단 거리이며,
    상기 D3는 상기 곡면 영역이 시작하는 제1 지점과 상기 곡면 영역이 끝나는 제2 지점 사이의 최단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70149878A 2017-11-10 2017-11-10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42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878A KR102442457B1 (ko) 2017-11-10 2017-11-10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6/139,651 US11016584B2 (en) 2017-11-10 2018-09-24 Electronic device having a curved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878A KR102442457B1 (ko) 2017-11-10 2017-11-10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713A KR20190053713A (ko) 2019-05-20
KR102442457B1 true KR102442457B1 (ko) 2022-09-14

Family

ID=66432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878A KR102442457B1 (ko) 2017-11-10 2017-11-10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016584B2 (ko)
KR (1) KR1024424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9791A (zh) * 2020-03-20 2020-07-10 成都依能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同一pc的电子板书多屏显示***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918A (ko) 1998-08-27 2000-03-25 에토 요지 가장자리영역을구비하는디지타이저
KR100715200B1 (ko) 2005-11-17 2007-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력 감지 센서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이용한 3차원 좌표 산출 방법
KR101542129B1 (ko) 2008-10-24 2015-08-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접히는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US9274682B2 (en) 2010-02-19 2016-03-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ff-screen gestures to create on-screen input
JP2011248847A (ja) 2010-05-31 2011-12-08 Panasonic Corp 入力装置、入力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50007910A (ko) * 2013-07-11 2015-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JP6046064B2 (ja) 2014-01-29 2016-12-1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機器、タッチ位置補正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92962A (ko) 2014-02-06 2015-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423065B1 (ko) * 2015-06-04 2022-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46601A1 (en) 2019-05-16
US11016584B2 (en) 2021-05-25
KR20190053713A (ko) 201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708B1 (ko)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4187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WO2023088068A1 (zh) 窗口切换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1012691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recording medium
KR20150057645A (ko) 전자 장치, 도킹 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BR112013026162A2 (pt) método e aparelho para rolagem intuitiva de listas em uma interface de usuário
KR102368044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86548B1 (ko) 스크롤 실행의 화면 표시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US11169700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447626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0191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rtual screen
TWI643117B (zh) 輔助瀏覽系統及方法
JP2014229304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操作方法、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の操作プログラム
KR20180066545A (ko)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US10139982B2 (en) Window expansion method and associated electronic device
KR102442457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4285204A (zh) 显示设备、显示控制方法和非临时性计算机可读介质
KR20200087742A (ko) 윈도우 영역 조정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
TW201426509A (zh) 網頁控制系統及方法
US2019008707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creen control method
KR102223554B1 (ko)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138501B1 (ko)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088739B1 (ko) 차단 이미지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US10416884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software keyboard adaptation
KR20160053590A (ko) 터치스크린상에 손필기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