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235B1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235B1
KR102440235B1 KR1020170161528A KR20170161528A KR102440235B1 KR 102440235 B1 KR102440235 B1 KR 102440235B1 KR 1020170161528 A KR1020170161528 A KR 1020170161528A KR 20170161528 A KR20170161528 A KR 20170161528A KR 102440235 B1 KR102440235 B1 KR 102440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ion
liquid crystal
light
layer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5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62889A (en
Inventor
김효섭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1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235B1/en
Publication of KR20190062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8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2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 네로우베젤을 갖는액정표시장치의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백라이트 유닛의 LED어셈블리의 상부로 위치하는 글래스 확산판의 공기층을 액정패널의 가장자리영역과 중심부영역에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영역으로 나뉘어 정의한 뒤, 제 1 영역의 공기층을 제 2 영역의 공기층에 비해 단위 면적당 적은 밀도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액정패널의 가장자리영역과 중심부영역에서 광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액정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의 저하 문제가 발생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light uni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o a backlight uni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pable of resolving occurrence of luminance unevenness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narrow bezel.
Th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air layer of the glass diffusion plate positioned above the LED assembly of the backlight unit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areas corresponding to the edge area and the center area of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then the air layer of the first area is first form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 lower density per unit area compared to the air layer of the two region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light deviation from occurring in the edge region and the central region of the liquid crystal panel,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problem of deterioration in display quality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Liquid crystal display device}A backlight uni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 네로우베젤을 갖는액정표시장치의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light uni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o a backlight uni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pable of resolving occurrence of luminance unevenness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narrow bezel.

최근 정보기술과 이동통신기술 등의 발전과 함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줄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는 크게 발광특성을 갖는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와 다른 외부의 요인으로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비발광형 디스플레이로 분류되고 있다. Recently,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development of a display device capable of visually displaying information has been made. It is classified as a non-light-emitting display that can do this.

자체 발광요소를 갖지 못하는 소자인 비발광형 디스플레이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예로 들 수 있다.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ay be exemplified as a non-emission type display, which is a device that does not have a self-luminous element.

따라서, 비발광형 디스플레이인 LCD는 별도의 광원을 요구하게 되는데, 배면에 광원을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이 마련되어 LCD 전면을 향해 광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서 비로소 식별 가능한 화상이 구현된다. Accordingly, the LCD, which is a non-emission type display, requires a separate light source. A backlight unit having a light source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to irradiate light toward the front of the LCD, and only through this, an identifiable image is realized.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으로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 CCFL), 외부전극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그리고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 이하 LED라 함) 등을 사용한다. The backlight unit uses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an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a Light Emitting Diode (L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LED) as a light source.

이중에서 특히, LED는 소형, 저소비 전력, 고신뢰성 등의 특징을 겸비하여 표시용 광원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Among them, in particular, LED is a trend that has been widely used as a light source for display because it has features such as small size, low power consumption, and high reliability.

한편, 일반적인 백라이트 유닛은 램프의 배열구조에 따라 사이드라이트형(side light type)과 직하라이트형(direct light type)으로 구분되는데, 사이드라이트형은 하나 또는 한쌍의 램프가 도광판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거나, 두개 또는 두쌍의 램프가 도광판의 양측부 각각에 배치된 구조를 가지며, 직하라이트형은 수개의 램프가 광학시트의 하부에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On the other hand, a general backlight unit is divided into a side light type and a direct light typ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lamp. In the side light type, one or a pair of lamps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It has a structure or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or two pairs of lamps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direct light type has a structure in which several lamps are arranged under the optical sheet.

최근, 소비자의 요구에 의하여 대면적화된 액정표시장치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직하라이트형이 사이드라이트형에 비해 대면적화 액정표시장치에 더욱 적합하다. In recent years, in a state where research on a large-are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response to consumer demand, a direct light type is more suitable for a large-are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an a side light type.

도 1은 일반적인 LED를 광원으로 사용한 직하라이트형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rect light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a general LED as a light source.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는 제 1 및 제 2 기판(12, 14)으로 구성되는 액정패널(10)과 이의 후방으로 백라이트 유닛(20)이 구비된다. As shown, a gener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es a liquid crystal panel 10 including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2 and 14 and a backlight unit 20 at the rear thereof.

여기서, 백라이트 유닛(20)은 반사판(25)을 포함하며, 이의 상부면에 다수의 LED(28)가 나란하게 배열되고, 이들 LED(28) 상부에는 확산판(24)과 광학시트(26)가 위치하며, 커버버툼(50)과 가이드패널(30) 그리고 케이스탑(40)을 통해 일체로 모듈화된다. Here, the backlight unit 20 includes a reflective plate 25 , a plurality of LEDs 28 are arranged side by side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diffuser plate 24 and an optical sheet 26 are disposed on the LEDs 28 . is located, and is integrally modularized through the cover bottom 50 , the guide panel 30 , and the case top 40 .

즉, 커버버툼(50)은 반사판(25)의 배면으로 위치하게 되며, 가이드패널(30)은 LED(28)의 가장자리를 둘러 위치하게 되며, 케이스탑(40)은 액정패널(10)의 전방으로 위치하여, 케이스탑(40)과 커버버툼(50)이 각각 결합되어 가이드패널(30)을 매개로 일체화된다. That is, the cover bottom 50 is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flective plate 25 , the guide panel 30 is positioned around the edge of the LED 28 , and the case top 40 is the front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0 . , the case top 40 and the cover bottom 5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re integrated through the guide panel 30 .

한편, 이러한 직하라이트형 액정표시장치는 서로 이웃하는 2 내지 3개의 LED(28)로부터 발산된 광이 서로 중첩 및 혼합되어 액정패널(10)로 제공되게 되는데, 이때, 액정패널(10)의 가장자리영역에 대응되는 LED(28)는 이웃하는 LED(28)의 수가 줄어듬에 따라, 액정패널(10)의 가장자리영역으로는 중심부에 비해 낮은 휘도의 광이 제공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such a direct light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light emitted from two to three LEDs 28 adjacent to each other overlaps and mixes with each other and is provided to the liquid crystal panel 10 . At this time, the edg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0 is In the LED 28 corresponding to the region, as the number of neighboring LEDs 28 decreases, light of lower luminance is provided to the edge region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0 compared to the central region.

즉, 액정패널(10)의 가장자리영역과 중앙부영역으로 공급되는 광의 편차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deviation of the light supplied to the edge region and the central region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0 is generated.

도 2는 도 1의 직하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패널로 제공되는 광의 분포도를 나타낸 실험결과이다. FIG. 2 is an experimental result showing the distribution of light provided to the liquid crystal panel including the direct light type backlight unit of FIG. 1 .

이때, 영상의 붉은 색이 진할수록 제공되는 광이 상대적으로 많아 휘도가 높은 것을 의미하고, 영상의 붉은 색이 연할수록 제공되는 광이 상대적으로 적어 휘도가 낮음을 의미한다. In this case, the darker the red color of the image, the more light is provided, which means that the luminance is high.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S영역은 주변영역에 비해서 광원(=LED(28))으로부터 도달하는 광이 적은 것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상태로 액정패널(10)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면 S영역은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둡게 형성된다.Therefore, as shown, it can be seen that the S region has less light reaching from the light source (=LED 28) compared to the surrounding region, and when an image is displayed through the liquid crystal panel 10 in this state, the S region is different It is formed relatively dark compared to the area.

이와 같이, 종래의 직하라이트형 액정표시장치에는 불균일한 광의 공급으로 액정패널(10)의 가장자리영역에 어두운 영역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direct light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dark region is generated in the edge region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0 due to the non-uniform light supply.

특히, 최근 들어 네로우베젤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베젤을 통해서 낮은 휘도의 광이 제공되는 가장자리영역을 모두 가릴 수 있었으나, 베젤이 좁아짐에 따라 가장자리영역을 모두 가릴 수가 없게 되므로, 액정패널(10)의 가장자리영역에는 광 불균일이 발생하여 그림자가 형성되고 사용자가 이를 어두움으로 인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a narrow bezel is increasing. In the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all of the edge region where low-brightness light is provided through the bezel could be covered, but the bezel is narrow. Accordingly, since it is impossible to cover all of the edge region, there is a problem that light non-uniformity occurs in the edge region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0 to form a shadow, and the user perceives it as darkness.

이로 인하여, 액정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의 저하 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 This causes a problem of deterioration of display quality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액정패널의 가장자리영역에서 발생하는 광 불균일을 해소하여 액정패널의 전 영역에서 균일한 휘도를 갖는 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 first object is to provide an image having uniform luminance in the entire area of the liquid crystal panel by solving the light non-uniformity occurring in the edge area of the liquid crystal panel.

이를 통해, 액정표시장치의 휘도 불균일에 의한 표시품질의 저하문제를 방지하고자 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Through this, a second object is to prevent a problem of deterioration of display quality due to non-uniform luminan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또한, 경량 및 박형 그리고 네로우베젤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3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it is a third object to provi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light weight, a thin shape, and a narrow bezel.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LED와 상기 다수의 LED가 실장되는 PCB를 포함하는 LED어셈블리와, 상기 다수의 LED가 통과하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구비된 반사판과, 상기 LED어셈블리 상부로 위치하며, 집광부와 확산부를 포함하는 글래스 확산판을 포함하며, 상기 글래스 확산판은 가장자리영역을 따라 정의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의 내측을 위치하는 제 2 영역으로 나뉘어 정의되며,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확산부의 공기층이 상기 제 2 영역의 상기 확산부의 공기층에 비해 단위 면적당 적은 밀도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LED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LEDs and a PCB on which the plurality of LEDs are mounted, and a reflector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LEDs pass; A glass diffusion plate positioned above the LED assembly and including a light collecting part and a diffusion part, wherein the glass diffusion plate has a first area defined along an edge area and a second area located inside the first area. The first region provides a backlight uni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in which the air layer of the diffusion unit has a smaller density per unit area than the air layer of the diffusion unit of the second area.

이때, 상기 제 2 영역으로는 상기 다수의 LED 중 이웃하는 3개의 LED로부터 발광된 광이 중첩 및 혼합되어 제공되며, 상기 제 1 영역으로는 상기 다수의 LED 중 1개 또는 2개의 LED로부터 발광된 광만이 제공되며, 상기 제 2 영역의 상기 공기층은 92 ~ 95%의 밀도를 가지며, 상기 제 1 영역의 상기 공기층의 밀도는 90 ~ 91.7%이다. At this time, the light emitted from the three neighboring LEDs among the plurality of LEDs is provided to the second area by overlapping and mixed, and the light emitted from one or two LEDs among the plurality of LEDs is provided to the first area. Only light is provided, and the air layer in the second region has a density of 92 to 95%, and the density of the air layer in the first region is 90 to 91.7%.

그리고, 상기 확산부는 제 1 및 제 2 확산지지층과, 상기 제 1 및 제 확산지지층 사이로 개재되는 광확산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층은 상기 광확산접착층과 상기 제 2 확산지지층 사이로 위치하며, 상기 광확산접착층과 상기 제 2 확산지지층 사이의 접착력은 4.1 ~ 4.3N/inch 이다. In addition, the diffusion unit includes first and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s and a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first diffusion support layers, and the air layer is located between the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and the light The adhesion between the diffusion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is 4.1 to 4.3 N/inch.

이때, 상기 광확산접착층과 접하는 상기 제 2 확산지지층의 일면에는 상기 공기층을 이루는 다수의 홈이 구비되며, 상기 홈은 음각형태의 산과 골이 반복되는 띠 형상의 다수개의 렌티큘러 렌즈 형상을 이룬다. At this time, a plurality of grooves constituting the air layer ar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in contact with the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and the grooves form a plurality of lenticular lens shapes in the form of a band in which engraved peaks and valleys are repeated.

이때, 상기 광확산접착층은 광확산비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확산지지층의 타면에는 비드를 포함하는 확산층이 구비된다. In this case, the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includes a light diffusion bead,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is provided with a diffusion layer including a bead.

또한, 상기 글래스 확산판은 글래스재질로 이루어지는 베이스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집광부는 집광지지층과, 상기 집광지지층 상부로부터 상기 집광지지층의 길이방향을 따라 산과 골이 반복되는 프리즘산이 돌출 배열되는 렌즈층을 포함하며, 상기 집광부는 상기 베이스기판의 일면과 제 1 접착층을 통해 부착되며, 제 1 확산지지층은 상기 베이스기판과 제 2 접착층을 통해 부착된다. In addition, the glass diffusion plate includes a base substrate made of a glass material, and the light collecting unit comprises a light collecting support layer and a lens layer in which prism mountains in which mountains and valleys are repe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 collecting support layer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light collecting support layer are arranged to protrude. The light collecting part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through a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first diffusion support layer is attached to the base substrate and through a second adhesive layer.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의 LED어셈블리의 상부로 위치하는 글래스 확산판의 공기층을 액정패널의 가장자리영역과 중심부영역에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영역으로 나뉘어 정의한 뒤, 제 1 영역의 공기층을 제 2 영역의 공기층에 비해 단위 면적당 적은 밀도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액정패널의 가장자리영역과 중심부영역에서 광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액정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의 저하 문제가 발생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layer of the glass diffusion plate positioned above the LED assembly of the backlight unit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edge region and the central region of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then, the first By forming the air layer in the region to have a lower density per unit area than the air layer in the second reg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light deviation from occurring in the edge region and the central region of the liquid crystal panel, thereby reducing the display quality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It also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it from happening.

또한, 이와 함께 경량 및 박형 그리고 네로우베젤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light and thin and narrow bezel together with this.

도 1은 일반적인 LED를 광원으로 사용한 직하라이트형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직하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패널로 제공되는 광의 분포도를 나타낸 실험결과.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모듈화된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확산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광확산접착층과 제 2 확산지지층의 접착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실험결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확산판을 투과하는 광의 투과율 분포도를 나타낸 실험결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패널로 제공되는 광의 분포도를 나타낸 실험결과.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rect light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a general LED as a light source.
FIG. 2 is an experimental result showing the distribution of light provided to the liquid crystal panel including the direct light type backlight unit of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modularized liquid crystal display of FIG. 3 ;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glass diffusi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erimental result schematically showing the adhesiv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7 is an experimental result showing a transmittance distribution of light passing through a glass diffusi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erimental result showing the distribution of light provided to the liquid crystal panel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100)는 액정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으로 구성된다. As show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liquid crystal panel 110 and a backlight unit 120 .

먼저 액정패널(110)은 화상표현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으로서,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 합착된 제 1 및 제 2 기판(112, 114)을 포함한다. First,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is a part that plays a key role in image expression,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12 and 114 bonded to each other with a liquid crystal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이때, 능동행렬 방식이라는 전제 하에 비록 도면상에 명확하게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통상 하부기판 또는 어레이기판이라 불리는 제 1 기판(112)의 내면에는 다수의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이 교차하여 화소(pixel)가 정의되고, 각각의 교차점마다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TFT)가 구비되어 각 화소에 형성된 투명 화소전극과 일대일 대응 연결되어 있다. At this time, under the premise of the active matrix method, although not clearly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gate lines and data lines intersec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12 , which is usually called a lower substrate or an array substrate, so that a pixel is defined. A thin film transistor (TFT) is provided at each inters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transparent pixel electrode formed in each pixel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그리고 상부기판 또는 컬러필터기판이라 불리는 제 2 기판(114)의 내면으로는 각 화소에 대응되는 일례로 적(R), 녹(G), 청(B) 컬러의 컬러필터(color filter) 및 이들 각각을 두르며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 그리고 박막트랜지스터 등의 비표시요소를 가리는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가 구비된다. 또한, 이들을 덮는 투명 공통전극이 마련되어 있다.An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114 called an upper substrate or a color filter substrate, red (R), green (G), and blue (B) color filters as an example corresponding to each pixel, and these A black matrix is provided around each of the gate lines, data lines, and non-display elements such as thin film transistors. In addition, a transparent common electrode covering them is provided.

이 같은 액정패널(110) 적어도 일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연성회로기판 같은 연결부재(116)를 매개로 인쇄회로기판(118a, 118b)이 연결되어 모듈화 과정에서 가이드패널(130)의 측면 내지는 커버버툼(150) 배면으로 젖혀 밀착된다. The printed circuit boards 118a and 118b are connected along at least one edg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through a connecting member 116 such as a flexible circuit board, so that in the modularization process, the side or cover bottom of the guide panel 130 ( 150) Flip it to the back and adhere to it.

아울러 비록 도면상에 명확하게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액정패널(110)의 두 기판(112, 114)과 액정층의 경계부분에는 액정의 초기 분자배열 방향을 결정하는 상, 하부 배향막(미도시)이 개재되고, 그 사이로 충진되는 액정층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양 기판(112, 114)의 가장자리를 따라 씰패턴(seal pattern)이 형성된다.In addition, although not clearly shown in the drawing, upper and lower alignment layers (not shown) for determining the initial molecular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are interpos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two substrates 112 and 114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and the liquid crystal layer. , a seal pattern is formed along the edges of both substrates 112 and 114 to prevent leakage of the liquid crystal layer filled therebetween.

이때, 제 1 및 제 2 기판(112, 114)의 외면으로는 각각 제 1 및 제 2 편광판(119a, 119b, 도 4 참조)이 부착된다. In this case, first and second polarizing plates 119a and 119b (refer to FIG. 4 ) ar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12 and 114 , respectively.

이러한 액정패널(110)이 나타내는 투과율의 차이가 외부로 발현되도록 이의 배면에는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120)이 구비된다. A backlight unit 120 for supplying light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so that the difference in transmittance indicated by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is expressed to the outside.

백라이트 유닛(120)은 액정패널(110)의 배면에 위치하는 LED어셈블리(128)와, 반사판(125), LED어셈블리(128)의 상부로 LED어셈블리(128)와 가이드서포트(127)를 통해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글래스 확산판(300)을 포함하며, 또한 반사판(125)과 LED어셈블리(128)가 안착되는 커버버툼(150)과, LED어셈블리(128)의 가장자리를 두르는 가이드패널(130)을 포함한다. The backlight unit 120 includes an LED assembly 128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 a reflective plate 125 , and an LED assembly 128 and a guide support 127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ED assembly 128 , through a constant It includes a glass diffuser plate 30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cover bottom 150 on which the reflector 125 and the LED assembly 128 are seated, and a guide panel 130 surrounding the edge of the LED assembly 128 . includes

LED어셈블리(128)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광원으로서, 커버버툼(150)의 하면(151)의 내측으로 안착되는 판(plate) 형상의 PCB(128b)와 PCB(128b) 상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실장되는 다수의 LED(128a)를 포함한다. The LED assembly 128 is a light source of the backlight unit 120, and is spaced apart from a plate-shaped PCB 128b and PCB 128b that are seated inside the lower surface 151 of the cover bottom 15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lurality of LEDs 128a mounted thereon.

이때, PCB(128b)는 다수개의 바(bar) 형상으로 나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PCB 128b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ar shapes.

다수의 LED(128a)는 발광효율 및 휘도 향상을 위하여, 발광효율 및 휘도가 우수한 청색 LED칩을 포함하는 청색 LED(128a)를 사용하고, 형광체로서 '세륨이 도핑된 이트륨 알루미늄 가넷(YAG:Ce)', 즉 옐로우 형광체로 이루어진 청색 LED(128a)가 이용되고 있다. A plurality of LEDs 128a uses a blue LED 128a including a blue LED chip having excellent luminous efficiency and luminance to improve luminous efficiency and luminance, and 'cerium-doped yttrium aluminum garnet (YAG:Ce) as a phosphor. )', that is, the blue LED 128a made of a yellow phosphor is used.

이러한, LED(128a)로부터 방출된 청색광은 형광체를 투과하여 형광체에 의해 방출된 옐로우광과 혼합됨으로써, 글래스 확산판(300)을 향해 백색광을 발광하게 된다. The blue light emitted from the LED 128a passes through the phosphor and is mixed with the yellow light emitted by the phosphor, thereby emitting white light toward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

그리고, 반사판(125)은 다수의 LED(128a)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개의 관통홀(125a)이 구성되어 다수의 LED(128a)를 제외한 PCB(128b)와 커버버툼(150)의 하면(151) 전체를 덮어 가려, 다수의 LED(128a)의 배면으로 향하는 광을 글래스 확산판(300) 쪽으로 반사시킴으로써 광의 휘도를 향상시킨다. In addition, the reflector 125 has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25a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LEDs 128a can pass, so that the PCB 128b except for the plurality of LEDs 128a and the lower surface 151 of the cover bottom 150 are formed. ) to improve the luminance of light by reflecting the light dir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LEDs 128a toward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by covering the entirety.

반사판(125)의 관통홀(125a)을 통해 노출된 다수의 LED(128a) 상부에는 광확산렌즈(129)가 구비되어, LED(128a)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지향각을 향상시키게 된다.A light diffusion lens 129 is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LEDs 128a exposed through the through-holes 125a of the reflection plate 125 to improve the beam angl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s 128a.

광확산렌즈(129)를 포함하는 LED어셈블리(128)의 상부로는 휘도의 균일도를 위한 글래스 확산판(300)이 위치한다. A glass diffusion plate 300 for luminance uniformity is positioned above the LED assembly 128 including the light diffusion lens 129 .

글래스 확산판(300)은 베이스기판(301)의 하부의 확산부(320)와 상부의 제 1 집광부(310)를 포함하는 복학광학시트로, LED어셈블리(128)로부터 발광된 광을 고품위로 가공하여 액정패널(110)로 제공하게 된다.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is a recovery optical sheet including a diffusion portion 320 on a lower portion of the base substrate 301 and a first light collection portion 310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substrate 301 , and provides high quality light emitted from the LED assembly 128 . It is processed and provided to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

여기서, 글래스 확산판(300)은 가이드서포트(127)를 통해 지지되어 처짐이 방지된다. Here,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is supported through the guide support 127 to prevent sagging.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글래스 확산판(300)이 공기(air)층(330, 도 5 참조)을 포함하는데, 특히 공기층(330, 도 5 참조)은 액정패널(110)의 가장자리영역(A, 도 4 참조)과 중앙부영역(B, 도 4 참조)에 대해 서로 다른 밀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해 추후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At this time,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of the backlight unit 120 includes an air layer 330 (refer to FIG. 5 ), in particular, the air layer 330 , 5)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different densities with respect to the edge area (A, see FIG. 4) and the central area (B, see FIG. 4)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We will look at this in more detail later.

LED어셈블리(128)의 다수의 LED(128a)로부터 발광된 광은 광확산렌즈(129)를 통해 지향각이 향상된 후, 글래스 확산판(30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균일한 고품위의 면광원으로 가공되어 액정패널(110)로 입사되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액정패널(110)은 고휘도 화상을 외부로 표시하게 된다.The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EDs 128a of the LED assembly 128 is processed into a uniform high-quality surface light source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after the directional angle is improved through the light diffusion lens 129 . to be incident on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 Using this,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displays a high-brightness image to the outside.

이때, 광확산렌즈(300)를 통해 다수의 LED(128a)에서 출사되는 광의 지향각이 향상됨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120) 내의 색섞임 공간이 증가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고, LED(128a)에서 출사되는 광의 지향각이 넓어짐으로써, 글래스 확산판(300)과 LED(128a) 간의 이격거리를 최소화하더라도, LED 무라(mura)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directional angl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EDs 128a through the light diffusion lens 300 is improved, it is possible to obtain a result that the color mixing space in the backlight unit 120 is increased, and in the LED 128a Since the beam angle of the emitted light is widened, even if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and the LED 128a is minimized, the occurrence of the LED mura phenomenon can be prevented.

이러한 액정패널(110)과 글래스 확산판(300) 그리고 LED어셈블리(128)와 반사판(125)은 모두 가이드패널(130)과 커버버툼(150)을 통해 일체로 모듈화된다.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 the glass diffuser plate 300 , the LED assembly 128 , and the reflection plate 125 are all integrally modularized through the guide panel 130 and the cover bottom 150 .

가이드패널(130)은 사각테 형상으로, 수직부(131)와, 수직부(131)의 내측으로부터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돌출되어 LED(128a)로부터 제공되는 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가이드부(133)를 포함한다. The guide panel 130 has a rectangular frame shape, a vertical portion 131 and a guide portion 133 protruding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from the inside of the vertical portion 131 to change the path of light provided from the LED (128a). include

이러한 가이드패널(130) 상부로 글래스 확산판(300)이 점착성을 갖는 제 1 점착부재(180a, 도 4 참조)를 통해 배면 가장자리가 부착 및 고정되어, LED어셈블리(128)와 글래스 확산판(300) 사이의 광학갭(optical gap : G, 도 4 참조) 또는 에어갭(air gap)을 유지하게 된다. The rear edge of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anel 130 through the first adhesive member 180a (see FIG. 4 ) having adhesive properties, so that the LED assembly 128 and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are attached. ) between the optical gap (optical gap: G, see FIG. 4) or an air gap (air gap) is maintained.

그리고, 액정패널(110)은 이러한 글래스 확산판(300) 상부로 점착성을 갖는 제 2 접착부재(180b, 도 4참조)를 통해 배면 가장자리가 부착 및 고정된다. In addition, the rear edg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through the second adhesive member 180b (see FIG. 4 ) having adhesiveness.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0)는 네로우베젤을 구현하고자, 케이스탑(도 1의 40)을 제거하고 가이드패널(130)과 커버버툼(150)만을 통해 액정패널(110)과 글래스 확산판(300) 그리고 LED어셈블리(128)와 반사판(125)을 모두 모듈화함에 따라, 가이드패널(130)이 액정패널(110)과 글래스 확산판(30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the case top (40 in FIG. 1) to implement a narrow bezel and uses only the guide panel 130 and the cover bottom 150 through the liquid crystal panel ( 110), the glass diffuser plate 300, and the LED assembly 128 and the reflector 125 are all modularized, so that the guide panel 130 can support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and the glass diffuser plate 300 more stably. It should be made of metal material.

즉, 가이드패널(130)은 액정패널(110)과 글래스 확산판(3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는 액정패널(110)과 글래스 확산판(300)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소정의 강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가이드패널(130)은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 알루미늄을 압출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guide panel 130 requires a certain strength to withstand the weight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and the glass diffuser plate 300 in order to stably support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and the glass diffuser plate 300 . Therefore, the guide panel 13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may be formed by extruding aluminum.

이러한 액정패널(110)과 글래스 확산판(300)이 안정적으로 부착 및 고정되는 가이드패널(130)은 LED어셈블리(128), 반사판(125) 등을 수납하여 반사판(125)의 배면을 덮는 커버버툼(150)과 조립 및 체결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0)는 일체로 모듈화된다. The guide panel 130 to which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and the glass diffuser plate 300 are stably attached and fixed accommodates the LED assembly 128 , the reflector 125 , and the like, and covers the back surface of the reflector 125 . By assembling and fastening with 150 , the liquid crystal display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modularized.

여기서, 액정표시장치(100)의 전체 기구물 조립에 기초가 되는 커버버툼(150)은 판(plate) 형상의 하면(151)과, 하면(151)의 가장자리가 수직 절곡된 측면(153)으로 이루어진다. Here, the cover bottom 150, which is the basis for assembling the entire mechanism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plate-shaped lower surface 151 and a side surface 153 in which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151 is vertically bent. .

이때, 가이드패널(130)은 서포트메인 또는 메인서포트, 몰드프레임이라 일컬어지기도 하며, 커버버툼(150)은 버텀커버 또는 하부커버라 일컬어지기도 한다.At this time, the guide panel 130 is also referred to as a main support or main support, or a mold frame, and the cover bottom 150 is also referred to as a bottom cover or a lower cover.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100)는 LED어셈블리(128)의 상부로 글래스 확산판(300) 만을 위치시킴에 따라, 고휘도를 구현하면서도 여러장의 광학시트(도 1의 24, 26)가 구비됨에 따라 광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glass diffuser plate 300 is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LED assembly 128, thereby realizing high luminance and several optical sheets (24 in FIG. 1 , 26)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ght efficiency from being lowered.

또한, 여러장의 광학시트(도 1의 24, 26)가 구비되는 구성에 비해 액정표시장치(100)의 경량 및 박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액정표시장치(100)를 모듈화하는 과정을 단순화하여, 조립시간 단축 및 재료비용을 절감하여 공정의 효율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compared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several optical sheets (24, 26 in FIG. 1) are provided,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00 can be lighter and thinner, and at the same time, the process of modulariz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00 is simplified.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can also be improved by reducing the assembly time and material cost.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0)는 글래스 확산판(300)에 구비되는 공기층(330, 도 5 참조)이 액정패널(110)의 가장자리영역(A, 도 4 참조)과 중앙부영역(B, 도 4 참조)에 대해 서로 다른 밀도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particular,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layer 330 provided in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refer to FIG. 5 ) is formed from an edge region (A, see FIG. 4 )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different densiti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region (B, see FIG. 4 ).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100)는 액정패널(110)의 전 영역으로 고품위의 면광원을 제공할 수 있어, 네로우베젤을 구현함에도 액정패널(110)의 가장자리영역(A, 도 4 참조)과 중앙부영역(B, 도 4 참조)으로 공급되는 광의 편차가 발생하여, 액정표시장치(100)의 표시품질의 저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high-quality surface light source to the entire area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so that the edge area (A, Fig. 4) and the central region (B, see FIG. 4)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of the display quality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100 from occurring.

도 4는 도 3의 모듈화된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modularized liquid crystal display of FIG. 3 .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LED(128a) 각각에 대한 출사광을 함께 표시하였다. He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emitted light for each of the LEDs 128a is also indicated.

도시한 바와 같이, 판(plate) 형상의 PCB(128b)와 PCB(128b) 상에 다수의 LED(128a)가 실장된 LED어셈블리(128)와, LED어셈블리(128)의 다수의 LED(128a)만을 관통홀(125a)을 통해 노출하는 반사판(125)과 그리고 반사판(125)의 관통홀(125a)을 통해 노출된 LED(128a) 상부로 광확산렌즈(129)가 위치한다. As shown, a plate-shaped PCB (128b) and a plurality of LEDs (128a) mounted on the PCB (128b) LED assembly 128, and a plurality of LEDs (128a) of the LED assembly (128) The light diffusion lens 129 is positioned above the reflecting plate 125 exposing the bay through the through hole 125a and the LED 128a ex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125a of the reflecting plate 125 .

그리고 LED 어셈블리(128) 상부로 글래스 확산판(300)이 적층되며, 이러한 글래스 확산판(300) 의 상부에 제 1 및 제 2 기판(112, 114)과 이의 사이에 액정층(미도시)이 개재되는 액정패널(110)이 위치하며, 제 1 제 2 기판(112, 114)의 각 외면으로는 특정 광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편광판(119a, 119b)이 부착된다. And a glass diffusion plate 300 is stacked on the LED assembly 128, and a liquid crystal layer (not shown) is formed on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with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12 and 114 therebetween. The interposed liquid crystal panel 110 is positioned, and polarizing plates 119a and 119b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only specific light ar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12 and 114 .

여기서, 액정패널(110)은 제 1 기판(112)과 제 2 기판(114)이 서로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어, 제 1 기판(112)과 제 2 기판(114)의 일단이 서로 일치하게 되며, 제 1 기판(112) 상에 구비된 다수의 배선(미도시)의 끝단에 구비되는 패드(미도시)는 측면이 제 1 기판(112)과 제 2 기판(114) 사이의 측면으로 노출되게 된다. Here, in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the first substrate 112 and the second substrate 114 are configured in the same shape, so that one end of the first substrate 112 and the second substrate 114 coincide with each other, A side surface of the pad (not shown) provided at the end of a plurality of wires (not shown) provided on the first substrate 112 is exposed as a side surface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12 and the second substrate 114 . .

이러한 액정패널(110)의 일측에는 연결부재(116)를 매개로 인쇄회로기판(117) 연결되는데, 이때 연결부재(116)는 액정패널(110)의 측면에 부착되어 연결된다. The printed circuit board 117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via a connection member 116 , and in this case, the connection member 116 is attached to and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

이러한 글래스 확산판(300)과 LED어셈블리(128) 그리고 반사판(125)은 모두 액정패널(110)과 함께 커버버툼(150)과 가이드패널(130)을 통해 일체로 모듈화된다. The glass diffuser plate 300 , the LED assembly 128 , and the reflector plate 125 are all integrally modularized together with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through the cover bottom 150 and the guide panel 130 .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커버버툼(150)의 하면(151) 상으로 LED어셈블리(128)가 안착되며, 관통홀(125a)을 통해 LED어셈블리(128)의 상부로 LED어셈블리(128)의 다수의 LED(128a)만을 노출하도록 반사판(125)이 위치한다. 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the LED assembly 128 is seated on the lower surface 151 of the cover bottom 150, and a plurality of LED assemblies 128 are moun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ED assembly 128 through the through hole 125a. The reflector 125 is positioned to expose only the LED 128a.

이때, LED(129a) 상부로는 각각 광확산렌즈(129)가 위치하며, 광확산렌즈(129)를 포함하는 LED어셈블리(128)의 상부로는 글래스 확산판(300)이 일정간격 이격하여 위치하는데, 글래스 확산판(300)은 가이드서포트(127)를 통해 지지된다. At this time, the light diffusion lens 129 is positioned above the LED 129a, and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LED assembly 128 including the light diffusion lens 129 by a predetermined interval. However,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is supported through the guide support 127 .

이러한 LED어셈블리(128)는 가이드패널(130)에 의해 가장자리가 둘러지는데, 가이드패널(130)은 수직부(131)와, 수직부(131)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바(133)를 포함한다. The LED assembly 128 has an edge surrounded by a guide panel 130 , and the guide panel 130 includes a vertical portion 131 and a guide bar 133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vertical portion 131 . .

가이드패널(130)은 수직부(131)와 가이드바(133) 사이로 커버버툼(150)의 측면(153)이 개재되어, 가이드패널(130)과 커버버툼(150)은 서로 조립 및 체결되게 된다. The guide panel 130 has the side 153 of the cover bottom 150 interposed between the vertical part 131 and the guide bar 133 , so that the guide panel 130 and the cover bottom 150 are assembled and fastened to each other. .

여기서 글래스 확산판(300)은 가이드패널(130)의 수직부(131)에 의해 배면 가장자리 일부가 지지되어, 가이드패널(130) 상부로 위치하게 된다. Here, a portion of the rear edge of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is supported by the vertical portion 131 of the guide panel 130 , and is positioned above the guide panel 130 .

이때, 글래스 확산판(300)과 가이드패널(130)의 수직부(131) 사이로는 제 1 접착부재(180a)가 개재되어, 글래스 확산판(300)은 가이드패널(130)에 부착 및 고정되게 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adhesive member 180a is interposed between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and the vertical portion 131 of the guide panel 130 so that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guide panel 130 . do.

글래스 확산판(300)은 배면 가장자리가 가이드패널(130)에 안착 및 지지됨에 따라, 글래스 확산판(300)과 LED어셈블리(128)의 다수의 LED(128a)는 가이드패널(130)과 가이드서포트(127)를 통해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게 되어, 광학갭(G)을 유지하게 된다. As the rear edge of the glass diffuser plate 300 is seated and supported on the guide panel 130 , the plurality of LEDs 128a of the glass diffuser plate 300 and the LED assembly 128 are provided with the guide panel 130 and the guide support. (127)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by maintaining the optical gap (G).

이때, LED(128a) 상부로 각각 광확산렌즈(129)가 위치함에 따라, LED(128a)로부터 출사된 광은 광확산렌즈(129)에 의해 측방으로 확산되어 LED(128a)로부터만 출사되는 지향각에 비해 실질적으로 광의 지향각이 크게 증가되게 된다. At this time, as the light diffusion lenses 129 are positioned above the LEDs 128a, respectivel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s 128a is diffused laterally by the light diffusion lenses 129 and is directed to be emitted only from the LEDs 128a. In comparison to the angle, the directivity angle of light is substantially increased.

따라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100)는 경량 및 박형화를 위하여, LED(128a)와 글래스 확산판(300) 사이의 간격인 광확갭(G)을 줄여도, LED(128a)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핫스팟(hot spot)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LED(128a)와 이에 인접한 LED(128a) 사이에 LED(128a)로부터 출사된 광이 서로 중첩 및 혼합되지 않는 암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LED 128a, even if the optical expansion gap G,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LED 128a and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is reduced, for light weight and thinnes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hot spot from occurring,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dark portion in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128a does not overlap each other and does not mix between the LED 128a and the LED 128a adjacent thereto. have.

이로 인하여, LED 무라(mura)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Due to this, the LED mura phenomenon is prevented from occurring.

그리고, 글래스 확산판(300) 상부로 액정패널(110)이 배면 가장자리 일부가 지지되어 위치하게 되는데, 글래스 확산판(300)과 액정패널(110) 사이로는 제 2 접착부재(180b)가 개재되어, 글래스 확산판(300)과 액정패널(110)은 서로 부착 및 고정되게 된다. In addition,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is positioned with a portion of the rear edge supported on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 and a second adhesive member 180b is interposed between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 ,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are attached and fixed to each other.

따라서, 액정패널(110)과 글래스 확산판(300)과 LED어셈블리(128) 그리고 반사판(125)은 모두 가이드패널(130)과 커버버툼(150) 그리고 제 1 및 제 2 접착부재(180a, 180b)를 통해 일체로 모듈화된다. Accordingly,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 the glass diffuser plate 300 , the LED assembly 128 , and the reflection plate 125 are the guide panel 130 , the cover bottom 150 , and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members 180a and 180b. ) is integrated and modularized.

즉, 글래스 확산판(300)과 액정패널(110)은 가이드패널(130)과 부착 및 고정되며, LED어셈블리(128)와 반사판(125)은 커버버툼(150) 상에 안착된 상태로 커버버툼(150)이 가이드패널(130)과 조립 및 체결됨으로써, 액정패널(110)과 글래스 확산판(300)과 LED어셈블리(128) 그리고 반사판(125)은 일체로 모듈화되는 것이다. That is,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are attached to and fixed to the guide panel 130 , and the LED assembly 128 and the reflector 125 are seated on the cover bottom 150 , and the cover bottom By assembling and fastening 150 to the guide panel 130 ,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 the glass diffuser plate 300 , the LED assembly 128 , and the reflecting plate 125 are integrally modularized.

이때, 제 1 접착부재(180a)의 폭(D1)은 글래스 확산판(300)과 액정패널(110)을 부착 및 고정하는 제 2 접착부재(180b)에 비해 폭(D2)이 넓어, 글래스 확산판(300)과 액정패널(110)을 보다 안정적으로 가이드패널(130)과 부착 및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width D1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180a is wider than the width D2 of the second adhesive member 180b for attaching and fixing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so that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are attached and fixed. The plate 300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can be more stably attached to and fixed to the guide panel 130 .

여기서, 글래스 확산판(300)과 액정패널(110)을 서로 부착 및 고정하기 위한 제 2 접착부재(180b)의 폭(D2)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0)의 베젤영역을 이루게 되는데, 따라서 제 2 접착부재(180b)의 폭(D2)은 좁을수록 보다 네로우베젤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Here, the width D2 of the second adhesive member 180b for attaching and fixing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to each other is the bezel reg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narrower the width D2 of the second adhesive member 180b, the narrower the bezel can be realized.

그러나, 제 2 접착부재(180b)의 폭(D2)이 너무 좁을 경우에는 글래스 확산판(300)과 액정패널(110) 사이의 부착 및 고정력이 약해지게 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0)는 제 2 접착부재(180b)를 통해 액정패널(110)을 구속하고 있는 글래스 확산판(300)이 가이드패널(130)과 제 2 접착부재(180b)에 비해 넓은 폭(D1)을 갖는 제 1 접착부재(180a)를 통해 서로 부착 및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제 2 접착부재(180b)의 폭(D2)이 좁더라도 글래스 확산판(300)과 액정패널(110) 또한 서로 안정적으로 부착 및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width D2 of the second adhesive member 180b is too narrow, the adhesion and fixing force between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is weakened, but the liquid crystal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vice 100,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constraining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through the second adhesive member 180b has a wider width D1 than that of the guide panel 130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180b. By attaching and fixing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adhesive member 180a having and to be fixed.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0)는 보다 네로우베젤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보다 안정적으로 일체로 모듈화되는 것이다. That is, the liquid crystal display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narrower bezel, and is more stably integrated and modularized.

여기서, 제 1 및 제 2 접착부재(180a, 180b)는 탄성 레진(resin)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폼 패드(foam pad), 광학 접착 부재(optical clear adhesive; OCA) 또는 양면 테이프(double side tape) 등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members 180a and 180b may be formed of elastic resi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so a foam pad, an optical clear adhesive; OCA) or double-sided tape may also be provid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이웃하는 2 내지 3개의 LED(128a)로부터 발광된 광이 서로 중첩 및 혼합된 후, 글래스 확산판(300)을 통과하여 액정패널(110)로 고품위의 면광원으로 제공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light emitted from two to three LEDs 128a adjacent to the backlight unit 120 overlaps and mixes with each other,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is It is provided as a high-quality surface light source to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through the

여기서 액정패널(110)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다수의 LED(128a)로부터 발광되는 광 중 이웃하는 3개 이상의 LED(128a)로부터 발광된 광이 서로 중첩 및 혼합되어 입사되는 중앙부영역(B)과 중앙부영역(B)의 가장자리를 따라 1개 또는 2개의 LED(128a)로부터 발광되는 광만이 입사되는 가장자리영역(A)으로 나뉘어 정의될 수 있는데, 가장자리영역(A)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최외각에 대응되는 영역이다. Here,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has a central region (B) in which light emitted from three or more adjacent LEDs 128a among the lights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EDs 128a of the backlight unit 120 overlaps and mixes with each other and is incident. And along the edge of the central region (B) can be defined by dividing the light emitted from one or two LEDs 128a into an edge region (A) to which only the incident light, the edge region (A) of the backlight unit (120) It i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outermost shell.

이때, 백라이트 유닛(120)의 최외각에는 이웃하는 LED(128a)의 개수가 줄어듬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120)의 최외각에 대응되는 액정패널(110)의 가장자리영역(A)으로는 중앙부영역(B)에 비해 적은 양의 광이 제공되게 된다. At this time, as the number of LEDs 128a adjacent to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backlight unit 120 decreases, the central region is the edge region A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corresponding to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backlight unit 120 . A small amount of light is provided compared to (B).

비록 가이드패널(130)의 가이드부(131)를 통해 백라이트 유닛(120)의 최외각에 위치하는 LED(128a)로부터 제공되는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액정패널(110)의 가장자리영역(A)으로 보다 많은 양의 광이 제공되도록 하고 있으나, 액정패널(110)의 가장자리영역(A)과 중심부에 해당하는 중앙부영역(B)에서의 광량의 편차는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Although the path of the light provided from the LED 128a positioned at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backlight unit 120 through the guide part 131 of the guide panel 130 is changed, it is seen as the edge area A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 Although a large amount of light is provided, there is still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light between the edge area A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and the central area B corresponding to the center.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0)는 액정패널(110)의 가장자리영역(A)에 대응하는 글래스 확산판(300)의 확산부(320)에 구비되는 공기층(330, 도 5 참조)의 밀도를 액정패널(110)의 중앙부영역(B)에 대응하는 공기층(330, 도 5 참조)의 밀도에 비해 단위 면적 당 적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layer 330 provided in the diffusion portion 320 of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corresponding to the edge region A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Fig. 5) compared to the density of the air layer 330 (refer to FIG. 5)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region B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per unit area.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100)는 액정패널(110)의 전 영역으로 고품위의 면광원을 제공할 수 있어, 네로우베젤을 구현함에도 액정패널(110)의 가장자리영역(A)과 중앙부영역(B)으로 공급되는 광의 편차가 발생하여, 액정표시장치(100)의 표시품질의 저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high-quality surface light source to the entire area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so that the edge area A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of deterioration of the display quality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00 due to a deviation of the light supplied to the central region B.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확산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glass diffusi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확산판(300)은 투명한 유리재질로 이루어지는 베이스기판(301)의 하측, 보다 정확하게는 LED어셈블리(도 4의 128)를 향하는 일면으로 확산부(320)가 위치하며, 베이스기판(301)의 상측 보다 정확하게는 액정패널(도 4의 110)을 향하는 일면으로는 제 1 집광부(310)가 위치하는 복학광학시트이다. As shown,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er side of the base substrate 301 made of a transparent glass material, more precisely, the diffusion part ( 320) is positioned, and more precisely, the first light collecting part 310 is positioned on one side facing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in FIG. 4)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substrate 301.

여기서, 제 1 집광부(310)는 집광지지층(311)과, 집광지지층(311)의 상부면에서 광을 집광시키기 위한 렌즈층(313)을 포함하며, 집광지지층(311)과 베이스기판(301)은 사이로 개재되는 제 1 접착층(340)을 통해 서로 부착된다. Here, the first light collecting unit 310 includes a light collecting support layer 311 and a lens layer 313 for condensing ligh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collecting support layer 311 , and includes a light collecting support layer 311 and a base substrate 301 . ) are attach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adhesive layer 340 interposed therebetween.

이때, 집광지지층(311)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계열, 폴리술폰(poly sulfone) 계열, 폴리아크릴레이트(poly acrylate) 계열, 폴리스티렌(poly styrene) 계열,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 vinyl chloride) 계열,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계열, 폴리노르보넨(poly norbornene) 계열, 폴리에스테르(polyester) 계열 등으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light collecting support layer 311 is a polycarbonate-based, polysulfone-based, polyacrylate-based, polystyrene-based, polyvinylchloride ( polyvinyl chloride) series, polyvinyl alcohol series, polynorbornene series, polyester series, and the like.

그리고, 집광지지층(311) 상부로 위치하는 렌즈층(313)은 투명 아크릴(acryl) 계열 수지로 이루어지는데, 집광지지층(3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띠 모양으로 인접 배열됨으로써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의 다수개의 프리즘산(315)이 열을 지어 각각 집광지지층(311)으로부터 돌출 배열된다.And, the lens layer 313 positioned above the light collecting support layer 311 is made of a transparent acryl-based resin, and is arranged adjacently in a band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 collecting support layer 311 so that mountains and valleys are repeated. A plurality of prismatic mounts 315 of the are arranged to protrude from the light collecting support layer 311, respectively, in a row.

이러한 프리즘산(315)으로 인하여, 글래스 확산판(300)은 글래스 확산판(300) 상부에 위치하는 액정패널(도 4의 110)로 광을 집광함으로써 이를 통해서 휘도상승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Due to the prismatic acid 315,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condenses light to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in FIG. 4) positioned above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thereby realizing a luminance increase effect.

한편, 렌즈층(313)은 프리즘산(315) 외에, 단면이 다각형인 프리즘, 마이크로 렌즈 패턴, 렌티큘러 렌즈, 엠보패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Meanwhile, the lens layer 313 may be formed of a prism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a micro lens pattern, a lenticular lens, an embossing pattern, or a combination thereof, in addition to the prism mountain 315 .

그리고, 도면상으로는 프리즘산(315)의 높이가 모두 동일하나, 서로 인접하는 프리즘산(315)의 높이가 서로 다를 수 있는데, 프리즘산(315)의 높이는 10㎛ 내지 40㎛, 구체적으로 10㎛ 내지 30㎛일 수 있다. Further, in the drawing, the heights of the prism peaks 315 are all the same, but the heights of the prism peaks 315 adjacent to each other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may be 30 μm.

또한, 프리즘산(315)의 피치 또한 서로 다를 수 있는데, 프리즘산(315)의 밑면에 해당하는 피치는 10㎛ 내지 60㎛, 구체적으로 20㎛ 내지 60㎛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itch of the prism mountain 315 may als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pitch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rismatic mountain 315 may be 10 μm to 60 μm, specifically, 20 μm to 60 μm.

그리고, 프리즘산(315)의 꼭지각은 80° 내지 100 °가 될 수 있고 상기 범위에서, 휘도 향상 효과가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vertex angle of the prism mountain 315 may be 80° to 100°, and within the above range, there may be a luminance improvement effect.

이러한 제 1 집광부(310)가 구비된 베이스기판(301)의 하측에는 확산부(320)가 위치하는데, 확산부(320)는 제 1 및 제 2 확산지지층(321, 323)과, 제 1 및 제 2 확산지지층(321, 323) 사이의 광확산접착층(325)을 포함하며, 제 2 확산지지층(323) 하부로는 확산층(327)이 구비된다. A diffusion portion 320 is positioned below the base substrate 301 provided with the first light collecting portion 310, and the diffusion portion 320 includes first and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s 321 and 323, and a first and a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325 between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s 321 and 323 , and a diffusion layer 327 is provided under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323 .

이때, 제 1 확산지지층(321)과 베이스기판(301)은 사이로 개재되는 제 2 접착층(350)을 통해 서로 부착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diffusion support layer 321 and the base substrate 301 are attach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econd adhesive layer 350 interposed therebetween.

제 1 및 제 2 확산지지층(321, 323) 또한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계열, 폴리술폰(poly sulfone) 계열, 폴리아크릴레이트(poly acrylate) 계열, 폴리스티렌(poly styrene) 계열,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 vinyl chloride) 계열,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계열, 폴리노르보넨(poly norbornene) 계열, 폴리에스테르(polyester) 계열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first and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s 321 and 323 are also polycarbonate-based, polysulfone-based, polyacrylate-based, and polystyrene-based that can transmit light. , a polyvinyl chloride series, a polyvinyl alcohol series, a poly norbornene series, a polyester series, and the like.

이러한 제 1 및 제 2 확산지지층(321, 323)은 백라이트 유닛(도 4의 120)의 박형화에 부응하여 얇은 두께, 예를 들어, 10㎛ 내지 250㎛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제 1 및 제 2 확산지지층(321, 323)이 10㎛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함으로써 광학필름의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이 떨어지지 않는 한도 내에서 백라이트 유닛(도 4의 120)을 최대한 박형화 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s 321 and 323 may be formed to have a thin thickness, for example, 10 μm to 250 μm in response to the reduction in the thickness of the backlight unit (120 in FIG. 4 ). And by making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s 321 and 323 to have a thickness of 10 μm or more, the backlight unit ( 120 in FIG. 4 ) can be made as thin as possible within the limit that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heat resistance of the optical film are not deteriorated.

또한, 제 1 및 제 2 확산지지층(321, 323)이 250㎛ 이하의 두께를 갖도록 함으로써 백라이트 유닛(도 4의 120)의 박형화를 달성함과 아울러 광학필름의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을 최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by making the first and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s 321 and 323 to have a thickness of 250 μm or less, the backlight unit (120 in FIG. 4 ) can be thinned and mechanical properties and heat resistance of the optical film can be maximized. .

그리고, 확산층(327)은 비드(bead : 327b) 등의 광확산성분을 포함하여 구성하거나, 비드(327b)를 포함하지 않고 확산층(327)의 하부면에 미세패턴(미도시)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ffusion layer 327 is configured to include a light diffusion component such as a bead 327b, or a fine pattern (not show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iffusion layer 327 without including the bead 327b. You may.

이를 통해, 확산층(327)은 입사된 광을 굴절 및 산란시킴으로써 광을 확산시키며 LED어셈블리(도 4의 128)로부터 발산된 불균일한 광을 균일한 광으로 출사시키는 역할을 한다.Through this, the diffusion layer 327 diffuses the light by refracting and scattering the incident light, and serves to emit the non-uniform light emitted from the LED assembly (128 in FIG. 4 ) as uniform light.

이때, 비드(327b)는 바인더 수지(327a)에 포함하여 구성하는데, 비드(327b)는 확산층(327)으로 입사되는 광을 분산시킴으로써 광이 부분적으로 밀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At this time, the bead 327b is included in the binder resin 327a, and the bead 327b has a feature that can prevent the light from being partially concentrated by dispersing the light incident on the diffusion layer 327 .

여기서 바인더 수지(327a)로는, 투명성이 높아 광투과율이 우수하고 점도 조절이 용이한 것으로, 일예로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비닐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binder resin 327a has high transparency, excellent light transmittance, and easy viscosity control. For example, acrylic resin, urethane resin, epoxy resin, vinyl resin, polyester resin, or polyamide resin may be used.

또한, 비드(327b)를 포함하지 않은 확산층(327)은 미세패턴(미도시)의 형태에 따라 광 산란각을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데, 미세패턴(미도시)은 타원형의 패턴(elliptical pattern), 다각형의 패턴(polygon pattern)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홀로그램 패턴(hologram pattern)을 사용하여 간섭패턴에 의해 입사된 광을 이와 비대칭적인 방향으로 굴절시킴으로써 집광된 광이 좀더 경사진 각도로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ffusion layer 327 not including the bead 327b has a feature that can adjust the light scattering angl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ine pattern (not shown), and the fine pattern (not shown) has an elliptical pattern. , polygonal pattern, etc., and by using a hologram pattern to refract the light incident by the interference pattern in an asymmetrical direction, the collected light is diffused at a more inclined angle. can make it happen

그리고, 광확산접착층(325)은 베이스 폴리머(325a) 내에 광확산비드(325b)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데, 베이스 폴리머(325a)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A)를 함유한다. (메트)아크릴계 폴리머(A)는, 모노머 단위로서, (메트)아크릴계 폴리머(A)의 주골격을 구성하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a1)와, 방향 고리 함유 (메트)아크릴계 모노머(a2)를 함유한다. In addition, the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325 includes the light diffusion beads 325b in the base polymer 325a, and the base polymer 325a contains the (meth)acrylic polymer (A). The (meth)acrylic polymer (A) is, as a monomer unit, an alkyl (meth)acrylate (a1) constituting the main skeleton of the (meth)acrylic polymer (A), and an aromatic ring-containing (meth)acrylic monomer (a2) contains

방향 고리 함유 (메트)아크릴계 모노머(a2)로서, 예를 들어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방향 고리 함유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는 정(正)의 고유 복굴절을 갖기 때문에, 부(負)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As the aromatic ring-containing (meth)acrylic monomer (a2), for example, benzyl (meth)acrylate may be used. Since the aromatic ring-containing (meth)acrylic monomer has positive intrinsic birefringence, i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lkyl (meth)acrylate and (meth)acrylate monomers having negative intrinsic birefringence.

이때, 방향 고리 함유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를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a3) 및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a4)와 함께 소정량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굴절률을 갖는 점착제를 얻을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aromatic ring-containing (meth)acrylic monomer is used together with the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3) and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4), an adhesive having a desired refractive index can be obtained.

이러한 베이스 폴리머(325a)는 1.47 이상의 굴절률을 가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49의 굴절률을 갖는다. The base polymer 325a has a refractive index of 1.47 or more, and more preferably has a refractive index of 1.49.

이러한 베이스 폴리머(325a) 내에 함유된 광확산비드(325b)는 고분자 미립자로 이루어지는데, 고분자 미립자의 재질로는,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를 들 수 있다. The light-diffusion beads 325b contained in the base polymer 325a are made of polymer particles. Examples of the material of the polymer particles include silicone resin, methacrylic resin, polystyrene resin, polyurethane resin, and melamine resin. can

이들 수지는 베이스 폴리머(325a)에 대한 우수한 분산성 및 베이스 폴리머(325a)와의 적절한 굴절률 차를 갖기 때문에, 확산 성능이 우수한 광확산접착층(325)을 구현할 수 있다. Since these resins have excellent dispersibility with respect to the base polymer 325a and an appropriat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with the base polymer 325a, the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325 having excellent diffusion performance may be implemented.

즉, 광확산비드(325b)는 베이스 폴리머(325a)의 굴절률 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한데, 광확산비드(325b)의 굴절률은 1.30 ∼ 1.7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5를 갖는다. That is, the light diffusing bead 325b is preferably low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base polymer 325a,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 diffusing bead 325b is 1.30 to 1.70, more preferably 1.45.

여기서, 광확산비드(325b)와 베이스 폴리머(325a)의 굴절률차의 절대값을 바람직하게는 0을 초과하고, 0.2 이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0을 초과하고 0.05이하의 굴절률차를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Here, the absolute value of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the light diffusion bead 325b and the base polymer 325a preferably exceeds 0 and preferably has 0.2 or less. desirable.

광확산비드(325b)는 입자직경이 4 ~ 7um이고, 평균적으로 6um의 평균 입자직경을 가지며, 베이스 폴리머(325a) 내에 2.6 ~ 3.5%의 함유량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서, 우수한 광확산 성능을 갖는 광확산접착층(325)을 얻을 수 있다.The light diffusion beads 325b have a particle diameter of 4 to 7 μm,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6 μm on average, and preferably have a content of 2.6 to 3.5% in the base polymer 325a, through which, excellent light diffusion A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325 having performance can be obtained.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확산판(300)은 확산부(320)의 제 2 확산지지층(323)과 광확산접착층(325) 사이로 다수의 공기층(330)을 형성하는데, 이를 위해 광확산접착층(325)을 향하는 제 2 확산지지층(323)의 일면에는 다수의 홈(323a)이 구비된다. Here,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lurality of air layers 330 between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323 of the diffusion unit 320 and the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325 . A plurality of grooves 323a ar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323 facing the diffusion adhesive layer 325 .

제 2 확산지지층(323)의 일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홈(323a)은 제 2 확산지지층(323)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인접 배열됨으로써 횡단면으로 산과 골이 반복되는 띠 형상의 다수개의 음각형태의 렌티큘러 렌즈 형상을 갖는다. A plurality of grooves 323a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323 are adjacently arranged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323, so that in a cross section a plurality of band-shaped grooves and valleys are repeated. It has an intaglio lenticular lens shape.

이때, 제 2 확산지지층(323)은 홈(323a)의 렌티큘러 렌즈 형상의 산이 광확산접착층(325)과 접촉되어 부착되게 되며, 홈(323a)의 렌티큘러 렌즈 형상의 골이 공기층(330)을 이루게 된다. At this time,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323 is attached to the lenticular lens-shaped acid of the groove 323a in contact with the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325 , and the lenticular lens-shaped valley of the groove 323a forms the air layer 330 . do.

이러한 확산부(320)의 공기층(330)은 광의 확산 기능을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 The air layer 330 of the diffusion unit 320 further improves the light diffusion function.

즉, 광의 확산이 일어나는 조건은 광이 두 매질 사이에서 굴절율의 차이로 인해 굴절되어야 한다. That is, the condition in which light diffusion occurs must be refracted due to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two media.

여기서, 일반적인 광학필름에 사용되는 재료들은 1.5 내지 1.7의 굴절율 범위를 가진다. 이때, 제 2 확산지지층(323)과 광확산접착층(325)이 바로 밀착되어 접착된다면, 제 2 확산지지층(323)과 광확산접착층(325)의 굴절율 차이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광의 확산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Here, materials used in general optical films have a refractive index range of 1.5 to 1.7. At this time, if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323 and the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325 are directly attached to each other,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323 and the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325 does not occur, so that light diffusion does not occur. do.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제 2 확산지지층(323)에 다수개의 홈(323a)을 구비함으로써, 제 2 확산지지층(323)과 광확산접착층(325) 사이로 공기층(330)을 형성시키게 된다. 공기층(330)은 굴절율이 1.0이다. In contrast, by providing a plurality of grooves 323a in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323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layer 330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323 and the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325 . do. The air layer 330 has a refractive index of 1.0.

따라서, 제 2 확산지지층(323)으로부터 입사된 광은 제 2 확산지지층(323)을 통과하여 광확산접착층(325)으로 입사되는 과정에서 제 2 확산지지층(323)과 공기층(330)의 굴절율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제 2 확산지지층(323)과 공기층(330)의 계면에서 광이 굴절되어 경로가 변경된다. 광의 경로가 변경됨에 따라 광은 상부로 집광되거나 측면으로 확산되게 된다. Accordingly, the light incident from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323 passes through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323 and is incident on the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325.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323 and the air layer 330 is Since the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light is refract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323 and the air layer 330 to change the path. As the path of the light is changed, the light is focused upward or diffused laterally.

또한, 공기층(330)을 통과한 광은 굴절율이 다른 광확산접착층(325)과의 계면에서 다시 굴절되어 집광 혹은 확산되는 경로로 변경되게 된다. In addition,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air layer 330 is refracted again at the interface with the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325 having a different refractive index and is changed to a condensed or diffused path.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확산판(300)의 확산부(320)를 통과하는 광은 보다 확산되게 된다. Accordingly, light passing through the diffusion unit 320 of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diffused.

여기서, 공기층(330)의 단위 면적당 밀도가 높을수록 광의 확산 기능이 보다 높아지게 되며, 공기층(330)의 단위 면적당 밀도가 낮을수록 광의 확산 기능은 낮아지게 된다. Here, the higher the density per unit area of the air layer 330 is, the higher the light diffusion function is, and the lower the density per unit area of the air layer 330 is, the lower the light diffusion function is.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확산판(300)은 액정패널(도 4의 110)의 가장자리영역(도 4의 A)에 대응되는 제 1 영역(A')과, 액정패널(도 4의 110)의 중앙부영역(도 4의 B)에 대응되는 제 2 영역(B')으로 나뉘어 정의할 수 있는데, 제 1 영역(A')은 제 2 영역(B')에 비해 공기층(330)의 단위 면적당 밀도가 낮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rea A' corresponding to the edge area (A in FIG. 4)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in FIG. 4),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FIG. 4). 110) can be divided into a second region (B')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region (B in FIG. 4), and the first region (A') is the air layer 330 compared to the second region (B').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nsity per unit area is formed to be low.

여기서, 아래 (표 1)을 참조하면, 광확산접착층(325)의 접착력과 투과율은 반비례함을 확인할 수 있는데, 접착력이 커질수록 광확산접착층(325)과 제 2 확산지지층(323)의 접착면적이 넓어짐을 의미하게 되며, 이는 곧 광확산접착층(325)과 제 2 확산지지층(323) 사이의 공기층(330)의 밀도가 작아짐을 의미하게 된다. Here, referring to (Table 1) below, it can be seen that the adhesion and transmittance of the light-diffusion adhesive layer 325 are inversely proportional. As the adhesive force increases, the adhesion area of the light-diffusion adhesive layer 325 and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323 is increased. This means that the density of the air layer 330 between the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325 and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323 is reduced.

즉, 광확산접착층(325)의 접착력과 공기층(330)의 밀도는 반비례하게 되며, 광확산접착층(325)의 접착력이 증가할수록 공기층(330)의 밀도는 감소하게 되고, 이와 같이 공기층(330)의 밀도가 감소하게 되면 투과율 또한 낮아지게 된다. That is, the adhesive force of the light-diffusion adhesive layer 325 and the density of the air layer 330 are inversely proportional, and as the adhesive force of the light-diffusion adhesive layer 325 increases, the density of the air layer 330 decreases, and as such, the air layer 330. As the density decreases, the transmittance also decreases.

접착력(N/inch)Adhesion (N/inch) 투과율(%)Transmittance (%) 1.21.2 74.50%74.50% 4.34.3 60.90%60.90%

여기서, 광확산접착층(325)은 제 2 확산지지층(323)의 렌티큘러 렌즈 형상의 홈(323a)에 의해 홈(323a)의 산과 접착됨에 따라, 첨부한 도 6과 같이 라인형태의 접착면(E)을 갖게 된다. 따라서 광확산접착층(325)의 접착력은 N/inch의 단위를 갖게 된다. Here, as the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325 is adhered to the acid of the groove 323a by the lenticular lens-shaped groove 323a of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323, the adhesive surface E in the form of a line as shown in FIG. ) will have Therefore, the adhesive force of the light-diffusion adhesive layer 325 has a unit of N/inch.

이때, 광확산접착층(325)과 제 2 확산지지층(323)이 서로 안정적으로 접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광확산접착층(325)은 4.3N/inch 이상의 접착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광확산접착층(325)의 접착력이 4.3N/inch 이상일 경우 위의 (표 1)을 참조하면 글래스 확산판(300)의 확산부(320)의 투과율이 60% 이하로 낮아지게 될 수 있어, 광확산접착층(325)은 적어도 4.1 ~ 4.3N/inch의 접착력을 가져야, 접착력과 투과율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최적의 설계값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광확산접착층(325)의 접착력이 4.1 ~ 4.3N/inch 일 때 공기층(330)의 최저 단위 면적당 밀도는 90 ~ 95%를 갖게 된다. At this time, in order for the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325 and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323 to be stably adhered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325 have an adhesive force of 4.3 N/inch or more, the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325 . When the adhesive force of is 4.3N/inch or more, referring to (Table 1) above, the transmittance of the diffusion part 320 of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may be lowered to 60% or less, and the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325 is It has to have an adhesive force of at least 4.1 ~ 4.3N/inch to have an optimal design value that can satisfy both adhesion and transmittance. As such, when the adhesive force of the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325 is 4.1 to 4.3 N/inch, the lowest density per unit area of the air layer 330 is 90 to 95%.

즉, 광확산접착층(325)이 제 2 확산지지층(323)과 적어도 5 ~ 10%의 면적이 접촉되어야지만, 광확산접착층(325)과 제 2 확산지지층(323)은 4.1 ~ 4.3N/inch의 접착력으로 서로 안정적으로 접촉하게 된다.That is, the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325 and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323 must be in contact with an area of at least 5 to 10%, but the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325 and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323 are 4.1 to 4.3 N/inch of the adhesive force to be in stable contact with each other.

따라서, 광확산접착층(325)과 제 2 확산지지층(323) 사이로는 공기층(330)의 밀도가 90 ~ 95%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는데, 액정패널(도 4의 110)의 중심부영역(도 4의 B)에 대응되는 제 2 영역(B')은 광의 확산 기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광확산접착층(325)과 제 2 확산지지층(323) 사이로 최대로 형성할 수 있는 공기층(330)의 밀도인 92 ~ 95%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between the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325 and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323, the density of the air layer 330 can be formed to have 90 to 95%, the central region (Fig. 4)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in Fig. 4). The second region (B ') corresponding to B) is the maximum density of the air layer 330 that can be formed between the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325 and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323 to further improve the light diffusion func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so as to have 92 to 95%.

그리고, 액정패널(도 4의 110)의 가장자리영역(도 4의 A)에 대응되는 제 1 영역(A')은 90 ~ 91.7%의 단위 면적당 밀도를 갖도록 형성하여, 제 1 영역(A')이 제 2 영역(B')에 비해 광의 확산이 적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the first area (A') corresponding to the edge area (A of FIG. 4)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of FIG. 4) is formed to have a density per unit area of 90 to 91.7%, so that the first area (A') It is preferable that light is diffused less than that of the second region B'.

따라서, 글래스 확산판(300)의 제 1 영역(A')은 제 2 영역(B')에 비해 보다 많은 양의 광이 집광되어 액정패널(도 4의 110)의 가장자리영역(도 4의 A)으로 제공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first area A' of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condenses a larger amount of light than the second area B', and thus the edge area (A in FIG. 4)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in FIG. 4). ) will be provided.

이를 통해, 액정패널(도 4의 110)의 가장자리영역(도 4의 A)과 중심부영역(도 4의 B)에서 광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액정표시장치(도 4의 100)의 표시품질의 저하 문제가 발생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light deviation from occurring in the edge region (A in FIG. 4) and the central region (B in FIG. 4)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in FIG. 4), and thus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00 in FIG. 4) It can als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problem of deterioration of display quality.

여기서, 첨부한 도 7은 글래스 확산판(300)을 투과하는 광의 투과율 분포도를 살펴보면, 제 1 영역(A')이 제 2 영역(B')에 비해 더욱 붉은 색을 띄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Here, referring to the transmittance distribution diagram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in the attached FIG. 7 ,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area A' has a more red color than the second area B'.

이는 곧, 글래스 확산판(300)의 제 1 영역(A')을 투과하는 광량이 제 2 영역(B')을 투과하는 광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음을 의미하며, 글래스 확산판(300)의 제 1 영역(A')의 공기층(330)을 단위 면적당 제 2 영역(B')의 공기층(330)에 비해 적은 밀도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글래스 확산판(300)의 제 1 영역(A')은 제 2 영역(B')에 비해 보다 많은 양의 광이 집광되어 투과됨을 알 수 있다. This means that the amount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area A' of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amount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second area B', and the second area of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is By forming the air layer 330 of the first area A' to have a lower density than the air layer 330 of the second area B' per unit area, the first area A' of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is It can be seen that a larger amount of light is condensed and transmitted compared to the second region B′.

따라서, 이러한 글래스 확산판(300)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도 4의 100)는 첨부한 도 8과 같이, 액정패널(도 4의 110)의 전 영역에 걸쳐 광이 고르게 제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특히 도 2와 비교하면 S영역으로 보다 많은 양의 광이 제공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00 of FIG. 4) including such a glass diffusion plate 300, it can be confirmed that light is evenly provid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of FIG. 4), as shown in FIG. 8. In particular, compared with FIG. 2 , it can be confirmed that a larger amount of light is provided to the S region.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도 4의 100)는 백라이트 유닛(도 4의 120)의 LED어셈블리(도 4의 128)의 상부로 위치하는 글래스 확산판(300)의 공기층(330)을 액정패널(도 4의 110)의 가장자리영역(도 4의 A)과 중심부영역(도 4의 B)에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영역(A', B')으로 나뉘어 정의한 뒤, 제 1 영역(A')의 공기층(330)을 제 2 영역(B')의 공기층(330)에 비해 단위 면적당 적은 밀도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액정패널(도 4의 110)의 가장자리영역(도 4의 A)과 중심부영역(도 4의 B)에서 광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00 in FIG. 4)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lass diffuser plate 300 is positioned above the LED assembly (128 in FIG. 4) of the backlight unit (120 in FIG. 4). The air layer 330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in FIG. 4)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areas (A', B') corresponding to the edge area (A in FIG. 4) and the center area (B in FIG. 4). After defining, the edge region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in FIG. 4) by forming the air layer 330 of the first area A' to have a smaller density per unit area than the air layer 330 of the second area B'. It is possible to prevent light deviation from occurring in (A of FIG. 4) and the central region (B of FIG. 4).

따라서 최종적으로, 액정표시장치(도 4의 100)의 표시품질의 저하 문제가 발생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finally, it is possible to als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problem of deterioration of the display quality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100 in FIG. 4 ).

한편,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글래스 확산판(300)이 가이드패널(도 4의 130)의 상부로 제 1 접착부재(도 4의 180a)를 통해 부착됨을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글래스 확산판(300)은 액정패널(도 4의 110)의 제 2 편광판(도 4의 119b)의 외측으로 직접 접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description so far, it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that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anel (130 in FIG. 4 ) through the first adhesive member ( 180a in FIG. 4 ), but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 Silver may be formed by being directly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19b of FIG. 4)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of FIG. 4).

즉, 글래스 확산판(300)을 제 2 편광판(도 4의 119b)과 일체화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비해 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액정표시장치(도 4의 100)를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by integrating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with the second polarizing plate ( 119b in FIG. 4 ),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100 in FIG. 4 ) having a thinner thickness than that of the prior art can be provided.

그리고, 글래스 확산판(300)의 제 1 집광부(310) 상부로 제 2 집광부(미도시)를 더욱 구비할 수 있는데, 제 1 집광부(310)의 프리즘산(315)이 도면상으로 정의한 제 1 방향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배열되면, 제 2 집광부(미도시)의 프리즘산은 도면상으로 정의한 제 2 방향(Y)을 따라 글래스 확산판(30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 배열되어, 제 1 집광층(310)에 위치하는 프리즘산(315)과 서로 수직하게 엇갈리도록 배열되는 프리즘산(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econd light collecting part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above the first light collecting part 310 of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 and the prism mountain 315 of the first light collecting part 310 is shown in the drawing. When arranged to protru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fined first direction, the prism mountain of the second light collecting part (not shown)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along the second direction Y defined in the drawing. It may include a prism mountain (not shown) which is arranged to protrude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is arranged to cross perpendicularly to the prism mountain 315 located in the first light collecting layer 310 .

또는 글래스 확산판(300) 상부로 반사편광필름(미도시)이 더욱 구비될 수 있는데, 반사편광필름(미도시)을 통해 광을 재생시킴으로써, 광의 휘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Alternatively,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glass diffusion plate 300 . By regenerating light through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not shown), the luminance of the light may be further improved.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300 : 글래스 확산판
301 : 베이스기판
310 : 제 1 집광부
311 : 집광지지층, 313 : 렌즈층, 315 : 프리즘산
320 : 확산부
321, 323 : 제 1 및 제 2 확산지지층(323a : 홈)
325 : 광확산접착층(325a : 베이스 폴리머, 325b : 광확산비드), 327 : 확산층(327a : 바인더 수지, 327b : 비드)
330 : 공기층
340, 350 : 제 1 및 제 2 접착층
300: glass diffuser plate
301: base board
310: first light collecting unit
311: light collecting support layer, 313: lens layer, 315: prism acid
320: diffuser
321, 323: first and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s (323a: groove)
325: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325a: base polymer, 325b: light diffusion bead), 327: diffusion layer (327a: binder resin, 327b: bead)
330: air layer
340, 350: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Claims (13)

다수의 LED와 상기 다수의 LED가 실장되는 PCB를 포함하는 LED어셈블리와;
상기 다수의 LED가 통과하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구비된 반사판과;
상기 LED어셈블리 상부로 위치하며, 가장자리영역을 따라 정의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의 내측을 위치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글래스 확산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글래스 확산판은 집광부와 확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확산부는 제 1 및 제 2 확산지지층과, 상기 제 1 및 제 2 확산지지층 사이로 개재되는 광확산접착층과, 상기 광확산접착층과 상기 제 2 확산지지층 사이에 상기 광확산접착층과 상기 제 2 확산지지층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확산부의 공기층이 상기 제 2 영역의 상기 확산부의 공기층에 비해 단위 면적당 적은 밀도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an LED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LEDs and a PCB on which the plurality of LEDs are mounted;
a reflector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LEDs pass;
It is positioned above the LED assembly and is composed of a glass diffusion plate including a first region defined along an edge region and a second region positioned inside the first region,
The glass diffusion plate includes a light collecting portion and a diffusion portion,
The diffusion unit includes first and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s, a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s, and the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between the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Including an air layer formed surrounded by
In the first region, the air layer of the diffusion unit has a lower density per unit area than the air layer of the diffusion unit of the second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으로는 상기 다수의 LED 중 이웃하는 3개의 LED로부터 발광된 광이 중첩 및 혼합되어 제공되며, 상기 제 1 영역으로는 상기 다수의 LED 중 1개 또는 2개의 LED로부터 발광된 광만이 제공되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Light emitted from three adjacent LEDs among the plurality of LEDs is overlapped and mixed to provide the second area, and only light emitted from one or two LEDs among the plurality of LEDs is provided to the first area. A backlight uni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is provid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의 상기 공기층은 92 ~ 95%의 밀도를 가지며, 상기 제 1 영역의 상기 공기층의 밀도는 90 ~ 91.7%인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ir layer in the second region has a density of 92 to 95%, and the density of the air layer in the first region is 90 to 91.7%.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접착층과 상기 제 2 확산지지층 사이의 접착력은 4.1 ~ 4.3N/inch 인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An adhesive force between the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is 4.1 to 4.3 N/inch for a backlight uni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접착층과 접하는 상기 제 2 확산지지층의 일면에는 상기 공기층을 이루는 다수의 홈이 구비되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6. The method of claim 5,
A backlight uni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forming the air layer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in contact with the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음각형태의 산과 골이 반복되는 띠 형상의 다수개의 렌티큘러 렌즈 형상을 이루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7. The method of claim 6,
The groove is a backlight uni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that forms a plurality of lenticular lenses in the form of a band in which engraved peaks and valleys are repe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접착층은 광확산비드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is a backlight uni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a light diffusion bea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확산지지층의 타면에는 비드를 포함하는 확산층이 구비되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A backlight uni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a diffusion layer including beads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diffusion support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확산판은 글래스재질로 이루어지는 베이스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집광부는 집광지지층과, 상기 집광지지층 상부로부터 상기 집광지지층의 길이방향을 따라 산과 골이 반복되는 프리즘산이 돌출 배열되는 렌즈층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glass diffusion plate includes a base substrate made of a glass material,
The backlight uni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light collecting support layer; and a lens layer in which a prism mountain in which mountains and valleys are repeat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 collecting support layer protrude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light collecting support lay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부는 상기 베이스기판의 일면과 제 1 접착층을 통해 부착되며,
제 1 확산지지층은 상기 베이스기판과 제 2 접착층을 통해 부착되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light collecting part is attached through on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The first diffusion support layer is attached to the base substrate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through the backlight uni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층에는 비드가 포함되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The backlight unit of claim 9 , wherein the diffusion layer includes bead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층의 하부면에는 미세패턴이 형성되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The backlight unit of claim 9 , wherein a fine pattern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diffusion layer.


KR1020170161528A 2017-11-29 2017-11-29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4402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528A KR102440235B1 (en) 2017-11-29 2017-11-29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528A KR102440235B1 (en) 2017-11-29 2017-11-29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889A KR20190062889A (en) 2019-06-07
KR102440235B1 true KR102440235B1 (en) 2022-09-02

Family

ID=66849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528A KR102440235B1 (en) 2017-11-29 2017-11-29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23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9466A (en) * 2022-08-26 202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0739B2 (en) * 1989-08-30 1996-07-31 株式会社エンプラス Lighting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712B1 (en) * 2011-11-18 2018-01-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934533B2 (en) * 2012-03-23 2016-06-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Multi-layer film and optical sheet
KR102296788B1 (en) * 2014-12-30 2021-09-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0739B2 (en) * 1989-08-30 1996-07-31 株式会社エンプラス Lighting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889A (en)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6766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045092B2 (en) Multifunctional optical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255000B1 (en) Integral optical plate,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00078298A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461530B1 (en) Deformed display device
KR20130061796A (en) Optical assembly,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US20090296021A1 (en)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9921360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JP2010118240A (en) Optical member,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US855896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back light having improved light concentration efficiency
WO2023160643A1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KR102090457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124022B1 (en) A monolithic optical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415683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440235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20052627A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834380B1 (en) Dual panel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396604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814712B1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20135651A (en) Light guide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20130919A (en) Backlgi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same
KR102664505B1 (en) Display device
KR102002458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749750B1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play
KR20150065057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