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386B1 - System For Using Underground Lava Layer Air - Google Patents

System For Using Underground Lava Layer 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386B1
KR102438386B1 KR1020210162809A KR20210162809A KR102438386B1 KR 102438386 B1 KR102438386 B1 KR 102438386B1 KR 1020210162809 A KR1020210162809 A KR 1020210162809A KR 20210162809 A KR20210162809 A KR 20210162809A KR 102438386 B1 KR102438386 B1 KR 102438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derground
pipe
discharge pip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8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방식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금지개영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금지개영농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금지개영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2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38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3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2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5/00 and B01D46/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40Geothermal heat-pum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utilizing underground air of a lava lay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system for utilizing underground air of lava layer, in which basalt, scoria, ocher, etc. are filled in the ground to form an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and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so that the external air is purified and discharged together with underground air naturally formed in the underground space, thereby purifying a large amount of air in an eco-friendly and efficient way through natural materials. Effective substances generated from basalt, scoria, loess, etc. can be to provided together with the purified air, the purified air is separately discharged to various spaces and purposes such as homes, buildings, fish farms, agricultural and livestock facilities, drinking, etc. through one facility to be provided with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the spaces and purposes requiring the purified air. The system for utilizing underground air of a lava layer comprises an underground hole, an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an air inlet, and two or more air outlets.

Description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System For Using Underground Lava Layer Air}System For Using Underground Lava Layer Air

본 발명은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에 현무암, 스코리아, 황토 등을 채워 넣어 지하공기정화층을 형성하도록 하고, 외부 공기를 지하공기정화층에 유입시켜, 외부 공기 및 지하공간에 자연적으로 형성된 지하 공기를 함께 정화시킨 후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많은 양의 공기를 천연물질을 통래 친환경, 효율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현무암, 스코리아, 황토 등에서 발생되는 유효물질을 정화되는 공기와 함께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정화된 공기를 하나의 시설을 통해 가정, 건물, 양식장, 농축산시설, 음용용도 등 다양한 공간 및 용도로 분리배출함으로써 정화된 공기를 필요로 하는 공간 및 용도에 적합한 특성을 부여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utilizing underground air in a lava layer, and more particularly, filling the ground with basalt, scoria, loess, etc. to form an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and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By purifying the underground air naturally formed in the underground space and then discharging it, it is possible to purify a large amount of air in an eco-friendly and efficient manner through natural substances, and to purify the active substances generated from basalt, scoria, and loess. It can be provided together with air and is suitable for spaces and uses that require purified air by separating and discharging purified air to various spaces and uses such as homes, buildings, farms, livestock and livestock facilities, and drinking through one facility. It relates to a system for utilizing the underground air of the lava layer that can be provided by giving it characteristics.

산업 발전, 주거문화의 변화, 자동차의 증가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실내는 물론 대기 중의 공기는 과대 배출되는 각종 오염물질로 인해 심각하게 오염되고 있는 실정이며, 최근에는 미세먼지, 초미세먼지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Due to various causes such as industrial development, changes in housing culture, and increase in automobiles, the air in the atmosphere as well as indoors is seriously polluted by various pollutants that are excessively discharged. is emerging as a problem.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가정이나 각종 건물에서 공기정화장치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the use of air purifiers in homes and various buildings has become common.

일반적인 공기정화장치는 오염된 공기를 팬으로 흡입하여 각종 오염물질 및 냄새 등을 여과/탈취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각종 필터를 설치하여 오염물질을 거르도록 하고, 여기에 더하여 광촉매를 설치하거나 자외선을 조사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 general air purifier sucks polluted air with a fan to filter/deodorize various pollutants and odors. so that contaminants can be removed.

그러나 종래의 공기정화장치는 처리할 수 있는 공기의 양이 한정되어 있어 정화면적이 좁고, 정화효율도 좋지 못하며, 전력 소모가 많아, 넓은 면적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air purifier has problems in that the amount of air that can be treated is limited, so the purifying area is narrow, the purifying efficiency is not good, and the power consumption is high, making it impossible to purify the air over a large area.

또한, 공기정화장치에 적용되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필터 등의구성이 고가이면서도 수명이 길지 못하고, 또한 오염물질의 제거 효율도 떨어져 넓은 면적에 적용할 경우 그 효율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a filter that is applied to an air purifier to remove contaminants is expensive, but the lifespan is not long, and the efficiency of removing contaminants is also poor when applied to a large area.

한편, 화산섬 특유의 용암층 지질구조를 가지는 지역의 경우 지표의 공기나 물이 지하로 유입되기 쉬운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지하의 용암쇄설층 및 화산활동에 의해 생성된 지하 공동에는 많은 공기층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나 물의 유동도 일반적인 지질구조에 비해 굉장히 자유롭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위와 같은 화산섬 특유의 용암층 지질구조를 가지는 지역의 경우, 화산 활동으로 인한 풍부한 지열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지열에너지를 가진 상태의 공기를 포획/포집하여 활용하기가 매우 용이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area with a lava layer geological structure peculiar to a volcanic island, it forms a structure in which surface air or water easily flows underground. It is known that the flow of air and water is also very free compared to the general geological structure. 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area having a lava layer geological structure peculiar to a volcanic island as described above, it often has abundant geothermal heat due to volcanic activity, and it is very easy to capture/capture the air in a state of such geothermal energy and use it.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화산섬에 해당하는 제주도 지역의 경우를 그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는데, 제주도 지역의 지하공기의 경우 연중 16~18℃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지하공 1공에서 나오는 열량은 대량 3만 kcal 내외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상대적으로 음이온 등 유익한 성분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Jeju Island region, which is a representative volcanic island in Korea,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is. In the case of the underground air in the Jeju Island region, the temperature is continuously maintained at 16~18℃ throughout the year, and the amount of heat emitted from one underground hole is a large amount of 30,000. It is reported to correspond to about kcal and is known to have a relatively high content of beneficial components such as anions.

하지만 상기 지하공기의 경우 습도가 약 80~100%에 달하며, 그 특성상 이산화탄소 비중이 일반적인 공기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underground air, the humidity reaches about 80-100%, and it is reported that the specific gravity of carbon dioxide is very high compared to general air due to its characteristics.

제주도 지역의 경우 종전부터 위와 같은 지하공기의 활용 기술에 대한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대부분 지열을 이용한 열-유체 히트펌프 형식의 열교환 기술 분야에 해당하며, 이를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도 일부 개발되고 있으나, 상기 지하공기의 특성을 활용하지 못하고 단순히 송풍할 수 있는 수단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In the case of Jeju Island, the technology development for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air utilization technology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before, but most of them fall into the field of heat-fluid heat pump type heat exchange technology using geothermal heat. Although some have been developed, the situation is limited to a means for simply blowing air without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derground air.

<특허문헌> <Patent Literature>

등록특허공보 제10-0885974호(2009. 02. 20. 등록) "지하공기를 이용한 축사의 냉난방장치"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885974 (Registered on Feb. 20, 2009) "Housing and cooling system of livestock using underground air"

지하공기를 축사로 직접적으로 송풍하여 냉난방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으나, 지하공기에 과다하게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절감 대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공급 대상에 대한 특징을 고려하지 못하는 단순한 냉난방용 송풍에 관한 구성만 개시되어 있다.Although it is disclosed about a device that performs heating and cooling by blowing underground air directly to a livestock house, it is related to a simple cooling/heating ventilation system that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pply target because there are no measures to reduce the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underground air excessively. Only the configuration is disclo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지중에 현무암, 스코리아, 황토 등을 채워 넣어 지하공기정화층을 형성하고, 외부 공기를 지하공기정화층에 유입시켜 정화시킨 후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많은 양의 공기를 천연물질을 통해 친환경·효율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현무암, 스코리아, 황토 등에서 발생되는 유효물질을 정화되는 공기와 함께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ills the ground with basalt, scoria, loess, etc. to form an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and introduces external air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o purify it and then discharge it.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system that utilizes the underground air of the lava layer to efficiently purify it and to provide effective substances generated from basalt, scoria, loess, etc. together with the purified air.

본 발명은 지중에 현무암, 스코리아, 황토 등을 채워 넣어 지하공기정화층을 형성하고, 지하공간 내에 존재하는 공기층을 외부로 토출하는 과정에서 이를 정화시킨 후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공기층에 포함된 공기의 특성을 최대한 이용하면서도 현무암, 스코리아, 황토 등에서 발생되는 유효물질을 지하공기와 함께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by filling the ground with basalt, scoria, loess, etc., and purifies the air layer existing in the underground space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and then discharging the air contained in the air layer.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system for utilizing the underground air of the lava layer that can provide effective substances generated from basalt, scoria, and loess together with the underground air while maxim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salt.

본 발명은 지하공기정화층이 지중에 형성되는 숨골과 연통되도록 하여, 기존에 버려지던 숨골을 통해 나오는 다량의 음이온과 현무암 등의 지하공기정화층에서 발생하는 음이온이 간단한 장치를 통해 청정공기와 함께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청정공기의 공급을 통한 여러 유익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o communicate with the summol formed underground, so that a large amount of negative ions coming out through the previously discarded sumogol and negative ions generated from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such as basalt are combined with clean air through a simple device.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system for utilizing the underground air of the lava layer that can increase various beneficial effects through the supply of clean air.

본 발명은 수직 및 수평으로 형성되는 인입배관 및 복수개의 토출배관을 형성하여 지하공기정화층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공기가 지하공기정화층에 고르게 유입되어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충분히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let pipe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pipes form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r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so that external air is uniformly introduced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for purification, and sufficiently purified air is provided. It aims to provide a system for utilizing underground air in the lava layer that can be suppli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은 인입배관에 지하공기정화층 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 발생관을 추가로 형성하도록 하여, 공기의 정화 효율을 높이고, 인입배관과 지하공기정화층의 접촉면적 증가를 통해 그 처리 효율 또한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rther form a vortex generating pipe that generates a vortex in the air flowing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n the inlet pipe, thereby increasing the air purification efficiency, and increas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inlet pip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for utilizing the underground air of the lava layer that can also increase the treatment efficiency.

본 발명은 농업 또는 원예용 시설로의 공급, 축산업 또는 어류 양식용 시설로의 공급, 사람의 음용공기용 공급 등 사용 목적에 따라 분리하여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고, 사용의 목적에 맞는 공기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수단을 경제적이고 간단하며 효율적인 구조로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시설로써 사용 목적에 따라 효율적으로 정화된 공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separately purified air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such as supply to agriculture or horticultural facilities, supply to livestock industry or fish farming facilities, and supply for human drinking air, and air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use. It aims to provide a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that can efficiently separate and discharge purified air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s a single facility by providing the means for imparting in an economical, simple and efficient structure.

한편, 본 발명에 있어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과제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 및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 가능한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other objects not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dditionally considered within the range tha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following problem solving means, effects of the invention, and detail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n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은 지중으로 일정 부피의 공간을 형성하는 지중공;과, 상기 지중공에 적층되며, 공기의 정화가 가능한 물질로 형성되어 지중공에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지하공기정화층;과, 상기 지하공기정화층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인입부;와, 상기 지하공기정화층에서 정화된 공기를 사용 목적에 따라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2개 이상의 공기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하공기정화층은 지중에 형성되는 일정 공간의 숨골과 연통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underground hole that forms a space of a certain volume underground; An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hat purifies the air flowing into the hollow; And an air inlet that introduces outside air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And, the air purified in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separa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to the outside. It includes; at least two air discharging units for discharging;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sukgol of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undergroun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기토출부는 농업 또는 원예용 시설로 상기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1공기토출부;와, 축산업 또는 어류 양식용 시설로 상기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2공기토출부;와, 사람이 흡입하기 위한 음용공기의 공급 시설로 상기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3공기토출부; 중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discharge unit is a first air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to an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facility; and, livestock industry or fish farming a second air discharge unit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to a facility for use; and a third air discharging unit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to a drinking air supply facility for human inhal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two or more of them.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토출부는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여 지하공기정화층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공기토출배관;과 상기 제1공기토출배관상에 형성되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토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공기토출부는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여 지하공기정화층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2공기토출배관;과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상에 형성되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토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3공기토출부는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여 지하공기정화층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3공기토출배관;과 상기 제3공기토출배관상에 형성되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토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ir discharge unit connects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 first air discharge pipe forming a; and a discharge means formed on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to provide power for discharging air to the outside, wherein the second air discharge unit connects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a second air discharge pipe forming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discharge means formed on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to provide power for discharging air to the outside; The third air discharge unit is formed on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to connect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charging means for providing power for discharging to the furna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토출부는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여 지하공기정화층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공기토출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공기토출배관은 지중공 내에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는 제1지중수직토출관;과 상기 제1지중수직토출관의 하단에서 일측 또는 양측으로 분기되어 연결되는 제1수평분기관;과 상기 제1지중수직토출관의 상단에서 연결되어 지면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외부수직토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기토출부는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여 지하공기정화층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2공기토출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은 지중공 내에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는 제2지중수직토출관;과 상기 제2지중수직토출관의 하단에서 일측 또는 양측으로 분기되어 연결되는 제2수평분기관;과 상기 제2지중수직토출관의 상단에서 연결되어 지면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2외부수직토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3공기토출부는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여 지하공기정화층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3공기토출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3공기토출배관은 지중공 내에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는 제3지중수직토출관;과 상기 제3지중수직토출관의 하단에서 일측 또는 양측으로 분기되어 연결되는 제3수평분기관;과 상기 제3지중수직토출관의 상단에서 연결되어 지면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3외부수직토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중수직토출관, 제1수평분기관, 제2지중수직토출관, 제2수평분기관, 제3지중수직토출관 및 제3수평분기관은 복수개의 유입공이 관통 형성되어 지하공기정화층 내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ir discharge unit connects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 first air discharge pipe to form; includes, wherein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is formed vertically in the underground hole to connect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and the first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A first horizontal branch pipe branched and connected to one side or both sides from the lower end of the pipe; and a first external vertical discharge pipe connec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and form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second air discharge unit includes a second air discharge pipe that connects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rein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is vertical in the underground hole a second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formed as a and a second external vertical discharge pipe connec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ipe and form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wherein the third air discharge unit connects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so that the air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third air discharge pipe forming a path, wherein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is formed vertically in the underground hole to connect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and the third underground A third horizontal branch pipe branched to one side or both sides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discharge pipe and connected; and a third external vertical discharge pipe connec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third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and form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first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the first horizontal branch pipe, the second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the second horizontal branch pipe, the third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and the third horizontal branch pipe have a plurality of inlet holes formed through them to purify the underground ai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in the layer is introduc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토출부는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여 지하공기정화층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공기토출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공기토출배관은 수직으로 형성되어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는 제1수직토출관;과 상기 제1수직토출관의 하단에서 일측 또는 양측으로 분기되어 연결되는 제1수평분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기토출부는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여 지하공기정화층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2공기토출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은 수직으로 형성되어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는 제2수직토출관;과 상기 제2수직토출관의 하단에서 일측 또는 양측으로 분기되어 연결되는 제2수평분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3공기토출부는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여 지하공기정화층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3공기토출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3공기토출배관은 수직으로 형성되어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는 제3수직토출관;과 상기 제3수직토출관의 하단에서 일측 또는 양측으로 분기되어 연결되는 제3수평분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수평분기관은 상기 제2수평분기관 및 제3수평분기관에 비해 지면으로부터 지하 방향으로 보다 깊은 위치에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분기관은 상기 제3수평분기관에 비해 지면으로부터 지하 방향으로 보다 깊은 위치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ir discharge unit connects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 first air discharge pipe forming a first air discharge pipe;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is formed vertically to connect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an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discharge pipe, one side or and a first horizontal branch pipe branched and connected to both sides, wherein the second air discharge unit connects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cluding a pipe; wherein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is formed vertically and is connected to a second vertical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an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discharge pipe, branched to one side or both sides a second horizontal branch pipe; and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cludes;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is formed vertically and connects the outside 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a third vertical discharge pipe; and a third horizontal branch pipe that is branched and connected to one side or both sides from the lower end of the third vertical discharge pipe; Including, wherein the first horizontal branch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t a deeper position in the underground direction compared to the second and third horizontal branch, and the second horizontal branch is the third horizontal branch Compared to the branch pip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t a deeper position in the underground dir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토출부는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여 지하공기정화층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공기토출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공기토출부는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여 지하공기정화층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2공기토출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3공기토출부는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여 지하공기정화층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3공기토출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공기토출배관, 제2공기토출배관 및 제3공기토출배관에는 관통공;이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공기토출배관에 형성된 관통공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에 형성된 관통공에 반대측이 연결되어 상기 제1공기토출배관 및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의 공기가 상호 소통가능한 경로를 형성하는 제1연결관;과 상기 제1공기토출배관에 형성된 관통공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3공기토출배관에 형성된 관통공에 반대측이 연결되어 상기 제1공기토출배관 및 상기 제3공기토출배관의 공기가 상호 소통가능한 경로를 형성하는 제2연결관;을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ir discharge unit connects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 first air discharge pipe forming a; and, wherein the second air discharge unit connects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cludes; and a third air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rein the third air discharge unit includes,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A through hole is further formed in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and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and the opposite side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a first connection pipe forming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and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one end is connected to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and the third ai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discharge pipe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and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토출부는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여 지하공기정화층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공기토출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공기토출배관은 공기에 포함된 수분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분저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기토출부는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여 지하공기정화층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2공기토출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은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이산화탄소저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공기토출부는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여 지하공기정화층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3공기토출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3공기토출배관은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이산화탄소저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ir discharge unit connects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 first air discharge pipe to form;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includes a moisture reduction unit for reducing the moisture content contained in the air, and the second air discharge unit includes an external and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a second air discharge pipe connecting to the air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third air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rbon dioxide reduction unit for reducing the content of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ai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 및 제3공기토출배관에 형성되는 관통공은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 및 제3공기토출배관에 형성되는 상기 이산화탄소저감부에 비해 공기의 외부 배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ough-holes formed in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and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are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and the third air. Compared to the carbon dioxide reduction part formed in the discharge pip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utside in the air discharge dir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관은 공기의 흐름을 개폐할 수 있는 제1연결관개폐밸브;와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으로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제1연결관송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관은 공기의 흐름을 개폐할 수 있는 제2연결관개폐밸브;와 상기 제3공기토출배관으로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제2연결관송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ing pipe is a first connecting pipe opening/closing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of air; and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a first connecting pipe blowing means for flowing air into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connection pipe blowing means fo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 및 제3공기토출배관은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이산화탄소센서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이산화탄소센서부는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 및 제3공기토출배관에 형성되는 상기 이산화탄소저감부에 비해 공기의 외부 배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and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include a carbon dioxide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air; It additionally includes, wherein the carbon dioxide sensor unit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arbon dioxide reduction unit formed in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and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in the external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3공기토출배관은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미립자를 제거하기 위한 미립자집진부;와 공기에 포함된 음이온 함량을 높이기 위한 음이온필터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includes a particulate collector for removing fine dust or particulates contained in the air; and an anion contained in the ai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additionally includes; an anion filter unit for increasing the conten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은 상기 제1연결관개폐밸브, 제1연결관송풍수단, 제2연결관개폐밸브 및 제2연결관송풍수단과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밸브의 개폐여부 또는 송풍수단의 구동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 또는 제3공기토출배관에서 측정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기설정된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비교하여 상기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ipe opening/closing valve, the first connecting pipe blowing means, the second connecting pipe opening/closing valve and the second connecting pipe blowing means. or a control unit that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control whether the valve is opened or closed or whether the blower is driven; the control unit additionally includes a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measured in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or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is performed in comparison with the set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은 상기 제3공기토출배관에서 배출된 공기에 기능성 성분 및 산소를 혼힙하여 음용공기를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is mixed with functional ingredients and oxygen to obtain drinking ai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하공기정화층은 현무암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alt is lamin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하공기정화층은 스코리아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coria is stack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하공기정화층은 황토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황토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loess layer formed by laminating loes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하공기정화층은 현무암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현무암층과, 스코리아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스코리아층이 번갈아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formed by alternately stacking a basalt layer formed by laminating basalt and a scoria layer formed by laminating scoria. characterized by be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황토층은 황토 블럭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황토블럭층;과 황토 벽돌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황토벽돌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ess layer includes a loess block layer formed by stacking loess blocks; and a loess brick layer formed by stacking loess bricks.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기인입부는 외부로부터 상기 지하공기정화층으로 삽입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인입배관;과 상기 인입배관 상에 형성되어 공기를 유입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인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let is inserted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from the outside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inlet means formed on the inlet pipe to provide power for introducing ai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입배관은 외부로부터 지하공기정화층 내로 수직으로 삽입되는 수직관;과 상기 수직관의 하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평관;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관 및 수평관에는 그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유동공이 관통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지하공기정화층 내부에 고르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pipe is a vertical pipe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from the outside; and bent vertically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ipe and a horizontal pipe formed by being formed as a result of which a plurality of flow holes are formed through the vertical pipe and the horizontal pipe along the circumference thereof so that air flowing in from the outside can be uniformly introduced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평관은 지중에 형성되는 숨골에 상응하는 깊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t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sukgol formed in the groun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입배관은 상기 수직관 및 수평관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지하공기정화층으로 유입되는 공기 사이에 와류를 발생시키고 지하공기정화층과의 접촉 면적을 늘리는 와류형성관;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pipe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vertical pipe and the horizontal pipe to form a vortex between the air flowing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additionally includes; a vortex forming tube that generates and increases the contact area with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와류형성관은 상기 수평관의 끝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 1절곡관;과 상기 제1절곡관의 상단에서 수직절곡되어 상기 수평관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절곡관;과 상기 제2절곡관의 끝단에서 하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상기 수직관 및 상기 제1절곡관 사이에서 형성되는 제3절곡관;과 상기 제3절곡관의 하단에서 수직절곡되어 상기 제2절곡관과 상기 수평관 사이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4절곡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ortex forming pipe is a first bent pipe that is bent upward and extends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pipe; and the first bent pipe a second bent pipe vertically bent at the upper end of the pipe to form parallel to the horizontal pipe; and a third bent pipe formed between the vertical pipe and the first bent pipe by vertically bending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second bent pipe and a fourth bent tube vertically bent at the lower end of the third bent tube and formed in parallel between the second bent tube and the horizontal tub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관, 제2절곡관 및 제3절곡관은 서로 마주보는 내측으로 유동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ent pipe, the second bent pipe and the third bent pipe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hole is formed through the inside facing each other do it with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와류형성관은 상기 수직관과 이격된 위치에서 외부로부터 수직으로 지하공기정화층에 삽입되는 제1형성관;과 상기 제1형성관의 하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평관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2형성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ortex forming pipe is a first forming pipe that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from the outsid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pipe and a second forming tube bent vertically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forming tube to face the horizontal tub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형성관은 마주보는 수평관을 향해 유동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forming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hole is formed through the opposite horizontal pip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와류형성관은 상기 제2형성관의 끝단에서 하측으로 수직 절곡되는 제3형성관;과 상기 제3형성관의 하단에서 수직 절곡되어 상기 제2형성관 및 상기 수평관 사이에 형성되는 제4형성관;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ortex forming tube is a third forming tube that is vertically bent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second forming tube; and the third forming tube and a fourth forming tube vertically bent at the lower end of the tube and formed between the second forming tube and the horizontal tub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3형성관 및 제4형성관은 내측을 향해 유동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forming pipe and the fourth forming pipe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hole is formed through the inside.

본 발명은 상기 개시한 과제의 해결 수단을 채용함으로써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by employing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disclosed above.

본 발명은 지중에 현무암, 스코리아, 황토 등을 채워 넣어 지하공기정화층을 형성하도록 하고, 외부 공기를 지하공기정화층에 유입시켜 정화시킨 후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많은 양의 공기를 천연물질을 통해 친환경·효율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현무암, 스코리아, 황토 등에서 발생되는 유효물질을 정화되는 공기와 함께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ills the ground with basalt, scoria, loess, etc. to form an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and introduces outside air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o purify it and then discharge it.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to purify in an environment-friendly and efficient manner, and to provide effective substances generated from basalt, scoria, loess, etc. together with the purified air.

본 발명은 지중에 현무암, 스코리아, 황토 등을 채워 넣어 지하공기정화층을 형성하고, 지하공간 내에 존재하는 공기층을 외부로 토출하는 과정에서 이를 정화시킨 후 배출하며, 적정량의 지하공기를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공기층에 포함된 공기의 특성을 최대한 이용하면서도 현무암, 스코리아, 황토 등에서 발생되는 유효물질을 지하공기와 함께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by filling the ground with basalt, scoria, loess, etc., purifying it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air layer existing in the underground space to the outside, and then discharging it, and a more efficient method of discharging an appropriate amount of underground air By discharging it to the air,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the effective substances generated from basalt, scoria, loess, etc. together with the underground air while maximall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ir contained in the air layer.

본 발명은 지하공기정화층이 지중에 형성되는 숨골과 연통되도록 하여, 기존에 버려지던 숨골을 통해 나오는 다량의 음이온과 현무암 등의 지하공기정화층에서 발생하는 음이온이 간단한 장치를 통해 청정공기와 함께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청정공기의 공급을 통한 여러 유익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o communicate with the summol formed underground, so that a large amount of negative ions coming out through the previously discarded sumogol and negative ions generated from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such as basalt are combined with clean air through a simple device.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various beneficial effects through the supply of clean air by providing it.

본 발명은 수직 및 수평으로 형성되는 인입배관 및 복수개의 토출배관을 형성하여 지하공기정화층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공기가 지하공기정화층에 고르게 유입되는 동시에 지하공간 내에 존재하는 공기층을 포함한 공기를 충분히 정화하여 외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let pipe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pipes form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r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so that external air is uniformly introduced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and air including the air layer existing in the underground space is provided. It has the effect of sufficiently purifying it so that it can be suppli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은 인입배관에 지하공기정화층 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 발생관을 추가로 형성하도록 하여, 공기의 정화 효율을 높이고, 인입배관과 지하공기정화층의 접촉면적 증가를 통해 그 처리 효율 또한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rther form a vortex generating pipe that generates a vortex in the air flowing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n the inlet pipe, thereby increasing the air purification efficiency, and increas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inlet pip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t also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processing efficiency.

본 발명은 농업 또는 원예용 시설로의 공급, 축산업 또는 어류 양식용 시설로의 공급, 사람의 음용공기용 공급 등 사용 목적에 따라 분리하여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고, 사용의 목적에 맞는 공기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수단을 경제적이고 간단하며 효율적인 구조로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시설로써 사용 목적에 따라 효율적으로 정화된 공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separately purified air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such as supply to agriculture or horticultural facilities, supply to livestock industry or fish farming facilities, and supply for human drinking air, and air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use. By providing the means for imparting with an economical, simple, and efficient structure, there is an effect of efficiently separating and discharging purified air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s a single facility.

한편, 본 발명에 있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이라도 하기의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 전체의 기재에 있어 합리적으로 추론 가능한 범위 내에서 도출 가능한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으로 취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effects not explicitly mentio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 effects can be derived within the range that can be reasonably inferred in the description of the entire specification such a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t can be treated a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토출부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인입배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4는 인입배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5는 인입배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6은 공기토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7은 공기토출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ir dischar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let pipe
Figure 4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let pipe
5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let pipe
6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discharge unit;
7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discharge unit;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와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 term such as "...unit" means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specifically defined explicitly.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i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을 도 1 ~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은 지중으로 일정 부피의 공간을 형성하는 지중공(1); 상기 지중공(1)에 적층되며, 공기의 정화가 가능한 물질로 형성되어 지중공(1)에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지하공기정화층(2); 상기 지하공기정화층(2)으로부터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인입부(3); 및 상기 지하공기정화층(2)에서 정화된 공기를 사용 목적에 따라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2개 이상의 공기토출부(4);를 포함하며, 상기 지하공기정화층(2)은 지중에 형성되는 일정 공간의 숨골(A);과 연동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includes a basement (1) forming a space of a certain volume underground; an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laminated on the underground hole (1) and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purifying air to purify the air flowing into the underground hole (1); an air inlet (3) for introducing outside air from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and two or more air discharge units (4) for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air purified in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wherein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is formed underground Sumgol (A) of a certain space to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linked with.

상기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은 땅속에 지중공(1)을 형성하여 현무암, 스코리아, 황토 등 공기의 정화가 가능한 다양한 천연물질들을 지중공(1)에 채워 넣도록 하고, 외부 공기가 천연물질들을 통과하면서 정화될 수 있도록 하여, 대량의 공기를 효율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소모품 등의 교체 없이도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은 가정뿐만 아니라 카페, 식당 등의 상업시설, 공장 등의 대형건물, 양식장, 양계장, 양돈장, 원예 시설 하우스 등 각종 농·축산시설 등의 정화된 공기의 공급이 필요한 다양한 시설에 정화된 공기를 효율적으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지중공(1)의 용량을 조절하여 다수의 시설들에 대해 동시에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forms a hole 1 in the ground and fills the hole 1 with various natural materials that can purify the air, such as basalt, scoria, and loess, while the outside air passes through the natural materials. By making it possible to purify,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urify a large amount of air, and to enable semi-permanent use without replacement of consumables. Therefore, this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requires the supply of purified air not only for homes, but also for commercial facilities such as cafes and restaurants, large buildings such as factories, fish farms, poultry farms, pig farms, horticultural facilities, and other agricultural and livestock facilities.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supply purified air to various facilities, and to control the capacity of the underground hole 1 to supply purified air to a plurality of facilities at the same time.

또한, 상기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은, 지중에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지질 구조인 숨골(A)과도 연통되도록 하여 숨골(A)에서 제공되는 청정 공기와 음이온 등의 물질이 정화된 공기와 함께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숨골(A)이라 함은 동굴이 붕괴되거나 용암이 흐르면서 생긴 공간, 지하에 분포되는 대규모의 절리, 균열군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지하에 일정 공간을 차지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다량의 음이온이 방출되며, 사계절 균일한 온도와 습도의 청정 공기가 뿜어져 나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숨골(A)은 지하의 다양한 위치에 분포되어 있으며, 제주도와 같은 화산 지형에서 특히 많이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n addition, the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communicates with Sumgol (A), which is a geological structure naturally formed in the ground, so that substances such as clean air and negative ions provided from Sumgol (A) can be provided together with purified air. do. Here, Sumgol (A) means a space created when a cave collapses or lava flows, and a large-scale joint and crack group distributed underground. , it is known that clean air with uniform temperature and humidity in all four seasons is blown out. The Sumgol (A) is distributed in various underground locations, and is known to be particularly found in volcanic landforms such as Jeju Island.

한편, 상기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은, 지열 발전소 등지에서 지열에너지를 채취하기 위해 형성된 지열공(미도시)과도 연통시킬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지열에너지의 채취가 현재 중단된 상태에 있거나, 채취가 완전히 종료된 폐지열공(미도시)과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연통은, 상기 지중공(1)을 상기 지열공 또는 폐지열공과 연통시킬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지중공 내에 현무암, 스코리아, 황토 등 공기의 정화가 가능한 다양한 천연물질들을 채워넣음으로써 수행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로써 사용이 중단된 지열공 또는 폐지열공을 경제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으며, 상기 지열공 또는 폐지열공으로부터 얻어지는 지하공기를 추가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지하공기 특유의 물성을 더욱 강화, 이로써 상기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의 효율 및 활용도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may also communicate with a geothermal hole (not shown) formed to collect geothermal energy in a geothermal power plant, etc. It can communicate with the closed waste heat hole (not shown). The communication is performed by forming the underground hole 1 at a position where it can communicate with the geothermal hole or the closed thermal hole, and filling various natural materials capable of purifying air such as basalt, scoria, and loess in the underground hole. ca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reby, it is possible to economically recycle the geothermal or abolished thermal hole that has been discontinued, and by additionally utilizing the underground air obtained from the geothermal or abolished thermal hole, the specific physical properties of the underground air are further strengthened, thereby the efficiency of the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nd us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 지중공(1)은 지중에 일정 부피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서 땅속을 일정 깊이 이상 파도록 하여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지중공(1)에는 공기의 정화가 가능한 천연물질이 채워져 지하공기정화층(2)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공기인입부(3) 및 2개 이상의 공기토출부(4)가 형성되어 지하공기정화층(2)으로의 외부 공기의 유입 및 정화된 공기의 외부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underground hole 1 is configured to be formed as a space of a certain volume in the ground, and a certain space is formed by digging the ground to a certain depth or more at a location where the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is to be installed. The underground hole (1) is filled with a natural material capable of purifying air to form an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and the air inlet (3) and two or more air outlets (4) are formed to form the underground air It enables the inflow of external air into the purification layer 2 and the external discharge of the purified air.

상기 지하공기정화층(2)은 상기 지중공(1) 내부에 채워져 공기를 정화하는 구성으로, 공기의 정화가 가능한 천연물질로 채워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지하공기정화층(2)은 현무암, 스코리아, 황토 등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각각의 물질이 층을 이루어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하공기정화층(2)은 공기 정화의 효과를 높이면서 천연물질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성 성분 등을 정화 공기에 포함시켜 외부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하공기정화층(2)은 일 예로 현무암층(21), 스코리아층(22), 황토층(2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하공기정화층(2)은 지중에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숨골(A)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숨골(A) 내에 존재하는 청정공기 및 음이온이 정화되는 공기와 함께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is filled in the underground hole 1 to purify the air, and may be filled with a natural material capable of purifying the air. For example,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may be formed of basalt, scoria, loess, etc., and each material may be formed into a plurality of layers. Accordingly,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may include various functional ingredients provided from natural materials in the purified air and provide it to the outside while enhancing the effect of air purification.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may include, for example, a basalt layer 21 , a scoria layer 22 , and an ocher layer 23 .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sukgol (A) naturally formed underground, the clean air and negative ions existing in the sukgol (A) are purified air through this. can be transmitted externally.

상기 현무암층(21)은 현무암이 적층되어 지하공기정화층(2)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코리아층(22)과 번갈아 적층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현무암층(21)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물질과 함께 적층되거나 단일로 적층되어 지하공기정화층(2)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현무암층(21)에 적층되는 현무암은 제주도 등의 화산지형에 다량 분포하는 광물로, 자연 음이온을 방출하며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중금속, 악취, 오염물질 등에 대한 강한 흡취 탈취력과 항균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현무암층(21)은 지하공기정화층(2)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오염 물질, 악취 등을 제거하고 음이온을 제공하여 외부로 유용성분을 포함하는 청정공기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The basalt layer 21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basalt is stacked to form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and preferably, as shown in FIG. 2, it may be formed by being alternately stacked with the scoria layer 22. However, the basalt layer 21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laminated with other materials or laminated alone to form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 Basalt laminated on the basalt layer 21 is a mineral distributed in large amounts in volcanic terrain such as Jeju Island, and it emits natural negative ions and emits far-infrared rays, and is known to have strong deodorizing and antibacterial effects against heavy metals, odors, pollutants, etc. have. Accordingly, the basalt layer 21 can remove pollutants, odors, etc. from the air flowing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and provide negative ions to provide clean air containing useful components to the outside.

상기 스코리아층(22)은 스코리아가 적층되어 지하공기정화층(2)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무암층(21)과 번갈아 적층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다른 물질과 함께 또는 단일로 적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스코리아층(22)을 형성하는 스코리아는 제주도 등의 화산지역에서 발견되는 광물질로, 화산송이라고도 불리우며, 원적외선 방출량이 높고 항균, 정화, 해독 작용을 하며, 오염물질의 흡착 및 습도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스코리아층(22)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서 유해물질을 제거하고, 살균·해독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적절한 습도의 공기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The scoria layer 22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scoria is stacked to form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and as shown in FIG. It can also be laminated as a single layer. The scoria forming the scoria layer 22 is a mineral found in volcanic areas such as Jeju Island, and is also called volcanic pine. is known Therefore, the scoria layer 22 can remove harmful substances from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sterilize and detoxify, and provide air with an appropriate humidity.

상기 황토층(23)은 황토가 적층되어 지하공기정화층(2)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황토층(23)을 형성하는 황토는 공기의 온습도 조절이 가능하고, 냄새를 흡수하는 흡수력과, 곰팡이·세균을 제거하는 항균력을 가지며, 원적외선의 방사를 통해 다양한 건강 기능 효과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황토층(23)은 황토블럭과 황토벽돌이 번갈아 층을 이루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황토층(23)은 황토블럭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황토블럭층(231)과, 황토벽돌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황토벽돌층(232)이 번갈아 적층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황토벽돌은 규격화된 크기로 형성되는 황토로 이루어진 벽돌이고, 황토블럭은 황토벽돌보다 큰 크기의 블럭 형태로 형성되는 황토로 이루어진 블럭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상기 황토층(23)은 작은 크기의 황토벽돌이 촘촘하게 적층된 황토벽돌층(232)을 통해 공기의 정화 효과를 높이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황토블럭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황토블럭층(231)을 통해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기의 순환 및 정화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loess layer 23 is a configuration in which loess is laminated to form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and the loess forming the loess layer 23 can control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ir, absorb odors, and mold and bacteria It has an antibacterial power to remove the skin, and it can provide various health functional effects through radiation of far-infrared rays. In addition, the loess layer 23 may be formed by alternating layers of loess blocks and loess bricks. Accordingly, the loess layer 23 may be formed by alternately stacking the loess block layer 231 formed by stacking loess blocks and the loess brick layers 232 formed by stacking loess bricks, and the loess bricks are standardized. It is a brick made of loess that is formed in the specified size, and the loess block means a block made of loess that is formed in the form of a block with a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loess brick. Through this, the loess layer 23 enhances the air purification effect through the loess brick layer 232 in which small-sized loess bricks are densely stacked. By allowing the air to flow smoothly through the layer 231 , circulation and purification of air may be effectively performed.

상기 공기인입부(3)는 외부 공기를 지하공기정화층(2)으로 유입시키는 구성으로, 일반 가정뿐만 아니라, 카페, 공장, 건물, 양식장, 양계장, 양돈장, 원예용 시설 하우스, 작물 재배 시설 하우스 등 각종 농·축산시설 등 공기정화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공간과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인입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기인입부(3)는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2)을 연결하는 인입배관(31)과, 인입배관(31) 상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인입수단(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air inlet 3 is configured to introduce outside air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and is not only for general households, but also cafes, factories, buildings, farms, poultry farms, pig farms, horticultural facility houses, and crop cultivation facility houses. It can be connected to various spaces that require air purification, such as various agricultural and livestock facilities, etc., so that outside air can be drawn in. To this end, the air inlet 3 is an inlet pipe 31 connecting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and an inlet means formed on the inlet pipe 31 to provide power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32) may be included.

상기 인입배관(31)은 외부 공기를 지하공기정화층(2)으로 유입시키는 통로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공기를 정화시키고자 하는 외부 공간과 지하공기정화층(2)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입배관(31)은 외부 공간의 공기가 지하공기정화층(2)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인입배관(31) 상에는 복수개의 유동공이 관통 형성되어 인입배관(31) 상에서 지하공기정화층(2)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인입배관(31)은 지하공기정화층(2)에 수직으로 인입되는 수직관(311)과, 상기 수직관(311)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관(3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let pipe 31 is configured to provide a passage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so that the external space to purify the air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can be connected. have. Accordingly, the inlet pipe 31 may allow the air of the external space to flow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 and a plurality of flow holes are formed through the inlet pipe 31 to purify the underground air on the inlet pipe 31 . It is possible to allow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layer (2). For example, the inlet pipe 31 may include a vertical pipe 311 vertically introduced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and a horizontal pipe 312 formed horizontally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ipe 311. can

상기 수직관(311)은 외부 공간에서 지하공기정화층(2)으로 수직삽입되는 구성으로, 상단은 공기를 정화하고자 하는 외부 공간과 연결되도록 하고, 하단은 수평관(312)과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수직관(311)은 충분한 깊이까지 삽입되어 지하공기정화층(2)의 바닥까지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외부 공기의 정화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직관(311) 상에는 복수개의 유동공(311a)이 관통 형성되어 수직관(311)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유동공(311a)을 통해 지하공기정화층(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동공(311a)은 일정 깊이 아래로만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외부 공기가 지하공기정화층(2)의 하부측으로 유입되어 충분한 정화 과정을 거칠 수 있도록 한다.The vertical pipe 311 is vertically inserted from the external space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 so that th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space to purify the air, and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pipe 312 . The vertical pipe 311 is inserted to a sufficient depth to allow outside air to flow to the bottom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thereby increasing the purification effect of the outside air. In addition, a plurality of flow holes 311a are formed through the vertical pipe 311 so that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vertical pipe 311 can be introduced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through the flow holes 311a. let it be Preferably, the flow hole 311a may be formed only below a certain depth, and through this, external air flows into the lower side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to undergo a sufficient purification process.

상기 수평관(312)은 상기 수직관(311)의 하단과 연결되어 수평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지하공기정화층(2)의 폭 전체에 걸쳐 외부 공기가 고르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수평관(312)은 상기 지하공기정화층(2)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지하공기정화층(2)에 의해 정화되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지하공기정화층(2)과 연통되는 숨골(A)이 있는 깊이에 형성되도록 하여 외부공기가 숨골(A)로부터 공급되는 음이온, 청정공기 등과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평관(312)은 상기 수직관(311)과 같이 유동공(312a)이 관통 형성되어 수평관(312)을 흐르는 외부 공기가 유동공(312a)을 통해 지하공기정화층(2)으로 고르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The horizontal pipe 312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ipe 311 and is formed horizontally, so that external air can be uniformly introduced over the entire width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 In particular, the horizontal pipe 312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to ensure sufficient time for the outside air to be purified by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preferably underground. It is formed at a depth where the air purification layer (2) communicates with the sukgol (A) so that the outside air can be mixed with negative ions, clean air, etc. supplied from the sukgol (A). The horizontal pipe 312 is formed through a flow hole 312a like the vertical pipe 311, so that external air flowing through the horizontal pipe 312 is evenly distributed 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through the flow hole 312a. to be supplied.

상기 인입수단(32)은 상기 인입배관(31)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인입배관(31)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입수단(32)은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펌프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작동에 따라 외부 공기가 인입배관(31)을 통해 지하공기정화층(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복수개로 형성되어 효과적인 외부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inlet means 32 is configured to provide power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ipe 31 , and may b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inlet pipe 31 . The inlet means 32 may be formed of a pump that generates a flow of air, and allows external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through the inlet pipe 31 according to its operation, and a plurality of can be formed to allow effective inflow of external air.

또한, 상기 인입배관(31)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류형성관(313)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let pipe 31 may further include a vortex forming pipe 313 as shown in FIGS. 3 to 5 .

상기 와류형성관(313)은 상기 수직관(311) 및 수평관(312)에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수직관(311) 및 수평관(312)을 통해 배출되는 외부 공기와 함께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구성으로, 와류의 형성을 통해 인입배관(31)을 따라 유입되는 공기가 지하공기정화층(2) 내에서 유동하는 거리를 증가시키도록 하여 외부 공기의 정화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와류형성관(313)은 인입배관(31)과 지하공기정화층(2)의 접촉 면적을 늘리도록 하여 한번에 많은 양의 외부 공기가 지하공기정화층(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외부 공기의 정화 효율 또한 높일 수 있도록 한다.The vortex forming tube 313 is additionally formed on the vertical tube 311 and the horizontal tube 312 to generate a vortex with external air discharged through the vertical tube 311 and the horizontal tube 312 . As a result, the air flowing in along the inlet pipe 31 through the formation of a vortex increases the flow distance in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to increase the purification effect of the outside air. In addition, the vortex forming pipe 313 increase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inlet pipe 31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so that a large amount of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at once. , through which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the outside air can also be increased.

상기 와류형성관(313)은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관(312)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절곡관(313a), 제2절곡관(313b), 제3절곡관(313c), 제4절곡관(313d)을 추가로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The vortex-forming tube 313 is first extended from the horizontal tube 312 as shown in FIG. 3 to form a first bent tube 313a, a second bent tube 313b, a third bent tube 313c, and a second bent tube 313c. A four-bend tube (313d)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상기 제1절곡관(313a)은 수평관(312)의 끝단과 연결되어 상측으로 수직 절곡되는 구성으로, 복수개의 유동공(313a-1)이 관통 형성되어 지하공기정화층(2)에 대한 외부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상기 제1절곡관(313a)의 유동공(313a-1)은 상기 수직관(311)을 바라보는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효과적인 와류의 형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bent pipe 313a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horizontal pipe 312 and is vertically bent upward, and a plurality of flow holes 313a-1 are formed through the outside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 Allow air to flow in. In particular, the flow hole 313a-1 of the first bent pipe 313a is formed in an inward direction facing the vertical pipe 311, so that an effective vortex can be formed.

상기 제2절곡관(313b)은 상기 제1절곡관(313a)의 상단에서 다시 수평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수직관(311)을 향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절곡관(313b) 상에도 유동공(313b-1)이 관통 형성되어 외부 공기를 지하공기정화층(2)에 유입시키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관(312)을 향한 내측으로 유동공(313b-1)이 형성되도록 하여 효과적인 와류의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bent tube 313b is formed by being vertically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bent tube 313a, and may be formed toward the vertical tube 311 . A flow hole 313b-1 is also formed through the second bent pipe 313b to allow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preferably inward toward the horizontal pipe 312. The flow hole 313b-1 is formed so that an effective vortex can be formed.

상기 제3절곡관(313c)은 상기 제2절곡관(313b)의 끝단에서 하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수직관(311)의 내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3절곡관(313c)에는 유동공(313c-1)이 형성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유동공(313c-1)은 제1절곡관(313a)을 향해 내측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와류형성관(313)에 의해 와류의 형성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제1절곡관(313a) 및 수직관(을 향해 양측으로 관통 형성되도록 하여 수직관(311)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도 와류의 형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third bent pipe 313c is vertically bent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second bent pipe 313b, and may be formed inside the vertical pipe 311 . A flow hole 313c-1 is formed in the third bent pipe 313c to allow the inflow of external air, and the flow hole 313c-1 penetrates inward toward the first bent pipe 313a. It is formed so that the formation of a vortex can be effectively made by the vortex forming tube 313, or the first bent tube 313a and the vertical tube are formed to penetrate through both sides toward the vertical tube 311. It can also cause the formation of vortices with air.

상기 제4절곡관(313d)은 상기 제3절곡관(313c)의 하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2절곡관(313b)과 수평관(312) 사이에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4절곡관(313d)에는 유동공(313d-1)이 형성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유동공(313d-1)은 상기 제2절곡관(313b)을 향해 내측으로 관통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제2절곡관(313b) 및 수평관(312)을 향해 양측으로 관통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The fourth bent pipe 313d is vertically bent at the lower end of the third bent pipe 313c, and is formed in parallel between the second bent pipe 313b and the horizontal pipe 312. can A flow hole 313d-1 is formed in the fourth bent pipe 313d to allow external air to flow in, and the flow hole 313d-1 penetrates inward toward the second bent pipe 313b. It may be possible, or it may be formed through both sides toward the second bent pipe 313b and the horizontal pipe 312 .

또한, 상기 와류형성관(31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관(311) 및 수평관(312)과는 별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와류형성관(313)은 상기 수직관(311)과는 별개의 지점에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1형성관(313e)과 제2형성관(313f)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ortex forming tube 313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vertical tube 311 and the horizontal tube 312 as shown in FIG. 4 . The vortex forming tube 313 may allow external air to be introduced at a point separate from the vertical tube 311 , and may include a first forming tube 313e and a second forming tube 313f.

상기 제1형성관(313e)은 외부에서 수직으로 지하공기정화층(2)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상기 수직관(311)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제1형성관(313e) 상에도 유동공(313e-1)이 형성되어 지하공기정화층(2)으로 외부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나, 일정 깊이 이하에서만 유동공(313e-1)이 형성되도록 하며, 제1형성관(313e)이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유동공(313e-1)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The first forming pipe 313e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from the outside,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pipe 311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 flow hole 313e-1 is also formed on the first forming pipe 313e so that external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but the flow hole 313e-1 is only formed below a certain depth. is formed, and the flow hole 313e-1 may not be formed depending on the depth into which the first forming tube 313e is inserted.

상기 제2형성관(313f)은 상기 제1형성관(313e)의 하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수직관(311)을 향해 절곡되어 수평관(312)과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형성관(313f)은 수평관(312)과 마주보는 상태에서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수평관(312) 및 수직관(311)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와 충돌시킴으로써 와류를 형성시키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형성관(313f) 상에는 하측을 향해 유동공(313f-1)이 형성되도록 하여 수평관(312) 및 수직관(311)의 유동공(313f-1)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와의 효과적인 충돌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forming tube 313f is vertically bent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forming tube 313e, and is bent toward the vertical tube 311 to form parallel to the horizontal tube 312 . can Accordingly, the second forming tube 313f introduces external air in a state facing the horizontal tube 312 and collides with the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horizontal tube 312 and the vertical tube 311 to form a vortex. let it be To this end, the flow hole 313f-1 is formed on the second forming pipe 313f toward the lower side, and the outside introduced through the flow hole 313f-1 of the horizontal pipe 312 and the vertical pipe 311 is formed. Effective collision with air can be achieved.

또한, 상기 와류형성관(31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형성관(313e) 및 제2형성관(313f)에 더하여 제3형성관(313g) 및 제4형성관(313h)을 추가로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 the vortex forming tube 313 includes a third forming tube 313g and a fourth forming tube 313h in addition to the first forming tube 313e and the second forming tube 313f. may be included in addition.

상기 제3형성관(313g)은 상기 제2형성관(313f)과 연결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2형성관(313f)의 끝단에서 하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관(311)과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형성관(313g) 상에는 유동공(313g-1)이 관통 형성되어 지하공기정화층(2)으로 외부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유동공(313g-1)은 내측으로 형성되어 제2형성관(313f) 및 제4형성관(313h)의 유동공(311f-1. 311h-1)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와 효과적인 충돌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이에 추가적으로 외측으로도 형성되어 수직관(311)의 유동공(311a)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와도 충돌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third forming tube 313g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forming tube 313f, and may be formed by vertically bending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second forming tube 313f, and the vertical tube ( 311) and may be formed to face. A flow hole 313g-1 is formed through the third forming tube 313g to allow the inflow of external air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and the flow hole 313g-1 is formed inwar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llide with the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flow holes 311f-1. 311h-1 of the second forming tube 313f and the fourth forming tube 313h, and additionally formed to the outside. It can also be made to collide with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flow hole 311a of the vertical pipe 311 .

상기 제4형성관(313h)은 상기 제3형성관(313g)과 연결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3형성관(313g)의 하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수평관(312)과 평행을 이루어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형성관(313h) 상에도 유동공(311g-1)이 관통 형성되며, 상측(내측)으로 형성되어 제2형성관(313f) 및 제3형성관(313g)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와의 효과적인 충돌이 이루이지도록 할 수 있고, 또한 하측으로도 추가적으로 관통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The fourth forming tube 313h is connected to the third forming tube 313g and is vertically bent at the lower end of the third forming tube 313g to be parallel to the horizontal tube 312 and face each other. can be shaped to see. A flow hole 311g-1 is formed through the fourth forming tube 313h as well, and external air is formed upward (inside) and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forming tube 313f and the third forming tube 313g. It is possible to achieve an effective collision with the , and also to be additionally formed through the lower side.

상기 공기토출부는 상기 지하공기정화층(2)을 통해 정화된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공기인입부(3)보다는 상측에 형성되어 지하공기정화층(2)을 충분히 통과하며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정화된 공기는 상기 공기인입부(3)로부터 지하공기정화층(2) 내로 유입된 외부 공기 뿐만 아니라, 지중공(1) 및 지중공(1) 주변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여 유동하는 지층 내 지하공기에서 비롯된 공기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토출부(4)는 사용 목적에 따라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2개 이상이 각각 분리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에 있어, 상기 공기토출부(4)는 농업 또는 원예용 시설로 상기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1공기토출부(41), 축산업 또는 어류 양식용 시설로 상기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2공기토출부(42) 및 사람이 흡입하기 위한 음용공기의 공급 시설로 상기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3공기토출부(43) 중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ir outlet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air purified through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to the outside space, and is formed above the air inlet 3 to sufficiently pass through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and purify the air. Allow the exhausted air to escape to the outside. The purified air is not only the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from the air inlet 3, but also the underground hole 1 and the underground stratum that naturally occurs and flows around the underground hole 1 Includes air from air. It is preferable that two or more of the air discharge units 4 are separa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discharge unit 4 is a first air discharge unit 41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to an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facility, and the purification to a livestock industry or a fish farming facility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t least two of the second air discharge unit 42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and the third air discharge unit 43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to the drinking air supply facility for human inhalation.

상기 제1공기토출부(41)는 지하공기정화층(2)으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1공기토출배관(411)과, 상기 제1공기토출배관(411) 상에 형성되어 공기를 배출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토출수단(4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공기토출부(42)는 지하공기정화층(2)으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2공기토출배관(421)과,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421) 상에 형성되어 공기를 배출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토출수단(44)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공기토출부(43)는 지하공기정화층(2)으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3공기토출배관(431)과, 상기 제3공기토출배관(431) 상에 형성되어 공기를 배출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토출수단(44)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ir discharge unit 41 is formed on a first air discharge pipe 411 forming a passage for discharging air from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to the outside, and on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411 . and a discharge means 44 for providing power to discharge air, wherein the second air discharge unit 42 forms a passage for discharging air from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to the outside. It may include an air discharge pipe 421 and a discharge means 44 formed on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421 to provide power for discharging air, and the third air discharge unit 43 is A third air discharge pipe 431 forming a passage for discharging air from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to the outside, and a discharge provided on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431 to provide power for discharging air means 44 .

상기 제1공기토출배관(411)은 지하공기정화층(2)에서 외부로 정화된 공기가 농업 또는 원예용 시설로 공급되도록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지하공기정화층(2)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제1수직토출관(412)과, 제1수직토출관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는 제1수평분기관(4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421)은 지하공기정화층(2)에서 외부로 정화된 공기가 축산업 또는 어류 양식용 시설로 공급되도록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지하공기정화층(2)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제2수직토출관(422)과, 제2수직토출관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는 제2수평분기관(4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공기토출배관(431)은 지하공기정화층(2)에서 외부로 정화된 공기가 사람이 흡입하기 위한 음용공기의 공급 시설로 공급되도록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지하공기정화층(2)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제3수직토출관(432)과, 제3수직토출관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는 제3수평분기관(43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411 is configured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purified to the outside from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is supplied to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facilities, and is perpendicular 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It may include a first vertical discharge pipe 412 inserted into the, and a first horizontal branch pipe 413 formed by branch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discharge pipe.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421 is configured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purified to the outside from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is supplied to the livestock industry or a fish farming facility. It may include a second vertical discharge pipe 422 inserted vertically, and a second horizontal branch pipe 423 formed by branch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discharge pipe.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431 is configured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purified to the outside in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is supplied to a drinking air supply facility for human inhalation,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t may include a third vertical discharge pipe 432 vertically inserted into (2), and a third horizontal branch pipe 433 formed by branch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third vertical discharge pipe.

한편, 상기 제1수직토출관(412)은 지중공(1) 내에서 지하공기정화층(2)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제1지중수직토출관(412a)과, 제1지중수직토출관(412a)의 상단에서 연결되어 지면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외부수직토출관(412b)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수직토출관(422)은 지중공(1) 내에서 지하공기정화층(2)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제2지중수직토출관(422a)과, 제2지중수직토출관(422a)의 상단에서 연결되어 지면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2외부수직토출관(422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수직토출관(432)은 지중공(1) 내에서 지하공기정화층(2)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제3지중수직토출관(432a)과, 제3지중수직토출관(432a)의 상단에서 연결되어 지면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3외부수직토출관(43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지중수직토출관(412a), 제2지중수직토출관(422a) 및 제3지중수직토출관(432a)은 지하공기정화층(2)에 삽입되는 부분에 유입공(412a-1, 422a-1, 432a-1)이 형성되어 지하공기정화층(2)으로부터 상기 제1지중수직토출관(412a), 제2지중수직토출관(422a) 및 제3지중수직토출관(432a) 내로 정화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the first vertical discharge pipe 412 includes a first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412a that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in the underground hole 1, and a first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412a. ) may include a first external vertical discharge pipe 412b that is connected at the upper end and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second vertical discharge pipe 422 is formed in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in the underground hole 1 . ) may include a second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422a inserted vertically, and a second external vertical discharge pipe 422b that is connec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422a and form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n addition, the third vertical discharge pipe 432 includes a third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432a that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in the underground hole 1, and a third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432a. ) may include a third external vertical discharge pipe (432b) that is connected from the top and form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t this time, the first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412a), the second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422a), and the third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432a) are inlet holes (412a) in the portion inserted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1, 422a-1, 432a-1) are formed, and from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the first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412a, the second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422a, and the third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 432a) to allow purified air to flow into it.

한편, 상기 제1수평분기관(413), 제2수평분기관(423) 및 제3수평분기관(433) 역시 유입공(413a, 423a, 433a)이 복수개 관통 형성되어 정화된 공기의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수평분기관(413), 제2수평분기관(423) 및 제3수평분기관(433)은 지하공기정화층(2)의 상부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지하공기정화층(2)의 하부에서 인입배관(31)을 통해 지하공기정화층(2)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지하공기정화층(2)에서 충분한 정화 과정을 거친 후에 상부의 제1수평분기관(413), 제2수평분기관(423) 및 제3수평분기관(433)으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평분기관(413)은 상기 제2수평분기관(423) 및 제3수평분기관(433)에 비해 지면으로부터 지하 방향으로 보다 깊은 위치에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분기관(423)은 상기 제3수평분기관(433)에 비해 지면으로부터 지하 방향으로 보다 깊은 위치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에 있어 지하공기정화층(2)의 하부에서 인입배관(31)을 통해 지하공기정화층(2)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지하공기정화층(2)에서 충분한 정화 과정을 거치면서 상부에 위치한 상기 수평분기관들로 유입될 수 있는데, 이로써 수평분기관이 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록 더 많은 정화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정화된 공기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것을 목적의 일 요소로 하고 있으며, 사람이 흡입하기 위한 음용공기일수록 축산업 또는 어류 양식용 시설로 공급되는 공기 및 농업 또는 원예용 시설로 공급되는 공기에 비해 보다 충분한 정화가 이루어질 것을 요하고, 축산업 또는 어류 양식용 시설로 공급되는 공기는 농업 또는 원예용 시설로 공급되는 공기에 비해 보다 충분한 정화가 이루어질 것을 요하므로, 한정된 부피를 가진 지하공기정화층(2) 내에서의 공간 활용 문제를 고려했을 때 상술한 바와 같은 제1수평분기관(413), 제2수평분기관(423) 및 제3수평분기관(433)의 배치가 가장 효율적이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horizontal branch pipe 413, the second horizontal branch pipe 423, and the third horizontal branch pipe 433 also have a plurality of inlet holes 413a, 423a, 433a through which the purified air can be introduced. make it possible The first horizontal branch pipe 413 , the second horizontal branch pipe 423 , and the third horizontal branch pipe 433 are preferably formed along the upper part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 and through this,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is performed. After the external air flowing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through the inlet pipe 31 from the lower part of the layer 2 undergoes a sufficient purification process in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the upper first horizontal branch pipe 413 ), the second horizontal branch pipe 423 and the third horizontal branch pipe 433 may be introduc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 , the first horizontal branch pipe 413 is located deeper than the second horizontal branch pipe 423 and the third horizontal branch pipe 433 in the underground direction from the ground. It is preferably formed to be spaced apart, and the second horizontal branch pipe 423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t a deeper position in the underground direction than the third horizontal branch pipe 433 . As described above, i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air flowing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through the inlet pipe 31 from the lower part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is disposed in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 In 2), it may be introduced into the horizontal branch pipes located at the upper part while undergoing a sufficient purification process. As a result, the more the horizontal branch pipe is located, the more purification processes can be performed.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element for the purpose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purified air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s it requires more sufficient purification than the air supplied to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facilities, the air supplied to livestock or fish farming facilities requires more sufficient purification than the air supplied to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facilities. , when considering the space utilization problem in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with a limited volume, the first horizontal branch 413, the second horizontal branch 423, and the third horizontal branch ( 433) is the most efficient.

또한, 상기 제1수평분기관(413), 제2수평분기관(423) 및 제3수평분기관(43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하공기정화층(2)의 각 층별로 분기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수평분기관(413), 제2수평분기관(423) 및 제3수평분기관(433)은 상기 지하공기정화층(2)이 현무암층(21)과 스코리아층(22)이 번갈아 적층되어 형성되는 경우 현무암층(21)과 스코리아층(22) 각각으로 분기되어 복수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수평분기관(413), 제2수평분기관(423) 및 제3수평분기관(433)은 현무암층(21) 및 스코리아층(22) 각각에 의해 정화되는 공기를 고르게 유입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현무암층(21) 및 스코리아층(22) 각각에 의해 정화되고 각각의 기능적 효과를 보유하는 정화공기가 혼합되어 외부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각 층에서 분기된 각각의 제1수평분기관(413), 제2수평분기관(423) 및 제3수평분기관은 같은 층 내에서 제1수평분기관(413)이 상기 제2수평분기관(423) 및 제3수평분기관(433)에 비해 지면으로부터 지하 방향으로 보다 깊은 위치에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분기관(423)은 상기 제3수평분기관(433)에 비해 지면으로부터 지하 방향으로 보다 깊은 위치에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In addition, the first horizontal branch pipe 413 , the second horizontal branch pipe 423 , and the third horizontal branch pipe 433 are branched for each floor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as shown in FIG. 7 . It can also be made to form. For example, in the first horizontal branch 413 , the second horizontal branch 423 , and the third horizontal branch 433 ,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has a basalt layer 21 and a scoria layer 22 . In the case of alternately stacked and formed, the basalt layer 21 and the scoria layer 22 may be branched to form a plurality. Accordingly, the first horizontal branch 413 , the second horizontal branch 423 , and the third horizontal branch 433 evenly introduce the air purified by the basalt layer 21 and the scoria layer 22 , respectively. Through this, purified air that is purified by each of the basalt layer 21 and the scoria layer 22 and has respective functional effects can be mixed and provid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each of the first horizontal branch 413, the second horizontal branch 423, and the third horizontal branch branched from each floor has the first horizontal branch 413 on the same floor and the second branch Compared to the horizontal branch pipe 423 and the third horizontal branch pipe (433), it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t a deeper position in the underground direc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branch pipe (423) is the third horizontal branch pipe (433).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t a deeper position in the underground direction compared to the above.

상기 토출수단(44)은 상기 제1공기토출배관(411), 제2공기토출배관(421) 및 제3공기토출배관(431) 상에 형성되어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1공기토출배관(411), 제2공기토출배관(421) 및 제3공기토출배관(431)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수단(44)은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펌프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작동에 따라 지하공기정화층(2) 내의 공기를 상기 제1공기토출배관(411), 제2공기토출배관(421) 및 제3공기토출배관(431) 내로 유입시켜 외부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고, 복수개로 형성되어 효과적인 정화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discharge means 44 is formed on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411,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421 and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431 to provide power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to the outside. As a configuration,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411 ,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421 , and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431 may be formed to be inserted inside. The discharge means 44 may be formed of a pump or the like that generates a flow of air, and according to its operation, the air in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is removed from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411 and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421) and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431 may be introduced into and supplied to the outside, and may be formed in plurality to effectively discharge purified air.

상기 제1공기토출배관(411), 제2공기토출배관 및 제3공기토출배관(431) 상에는 또 다른 배관이 연결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45)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공(45)은 상기 제1외부수직토출관(412b), 제2외부수직토출관(422b) 및 제3외부수직토출관(432b)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은, 상기 제1공기토출배관(411)에 형성된 관통공(45)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421)에 형성된 관통공(45)에 반대측이 연결되어, 상기 제1공기토출배관(411) 및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421)의 공기가 상호 소통가능한 경로를 형성하는 제1연결관(48) 및 상기 제1공기토출배관(411)에 형성된 관통공(45)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3공기토출배관(431)에 형성된 관통공(45)에 반대측이 연결되어, 상기 제1공기토출배관(411) 및 상기 제3공기토출배관(431)의 공기가 상호 소통가능한 경로를 형성하는 제2연결관(49)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관(48) 및 제2연결관(49)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외부수직토출관(412b), 제2외부수직토출관(422b) 및 제3외부수직토출관(432b) 상에 형성된 관통공에 연결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지중공(1) 내부가 아닌 지중공(1) 외부에 상기 제1연결관(48) 및 제2연결관(49)이 형성될 수 있어, 유지보수 또는 연결관 설치 시 땅을 굴착할 필요가 없이 외부에서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의 설치 및 유지보수 등에 있어서의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통공(45)은 필요에 따라 각 공기토출배관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공기토출배관을 연결하는 연결관 역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 through hole 45 into which another pipe can be connected and inserted may be formed on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411 ,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and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431 , and preferably, the through hole 45 is formed. The ball 45 may be formed on the first external vertical discharge pipe 412b, the second external vertical discharge pipe 422b, and the third external vertical discharge pipe 432b. On the other hand, i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is connected to a through hole 45 formed in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411 , and a through hole 45 formed in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421 . ), a first connection pipe 48 and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411 and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421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45 formed in 411, and the opposite side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45 formed in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431, so that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411 and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41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second connection pipe 49 forming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3 air discharge pipe 431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necting pipe 48 and the second connecting pipe 49 are the first external vertical discharge pipe 412b, the second external vertical discharge pipe 422b and the third external vertical discharge pipe 432b. ) is preferably connected and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on the top, so that the first connecting pipe 48 and the second connecting pipe 49 can be formed outside the underground hole (1) rather than inside the underground hole (1).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chieve economic efficiency in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it can be easily performed from the outside without the need to excavate the ground during maintenance or installation of the connection pipe. On the other hand, the through-hole 45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each air discharge pipe as necessary, and accordingly, a plurality of connection pipes connecting each air discharge pipe may also be formed as a matter of course.

한편, 상기 제1공기토출배관(411)은 공기에 포함된 수분의 함량을 추가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수분저감부(46a)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421) 및 제3공기토출배관(431)은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이산화탄소저감부(46b)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분저감부(46a) 또는 이산화탄소저감부(46b)는 상기 제1외부수직토출관(412b), 제2외부수직토출관(422b) 및 제3외부수직토출관(432b)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지중공(1) 내부가 아닌 지중공(1) 외부에 상기 수분저감부(46a) 또는 이산화탄소저감부(46b)가 형성될 수 있어, 상기 수분저감부(46a) 또는 이산화탄소저감부(46b)의 유지보수 또는 설치 시 땅을 굴착할 필요가 없이 외부에서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의 설치 및 유지보수 등에 있어서의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수분저감부(46a)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의 함량을 저감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제주도 지역에서 흔히 관찰되는 용암층 화산 지형 내에 존재하는 지하공기의 경우 습도가 매우 높은데, 이러한 공기를 곧바로 농업용 시설에 공급하는 경우 과다한 습도로 인해 재배 중인 작물 등이 손상을 입거나, 병충해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공급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 함량을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하여 최적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이 때, 상기 수분저감부(46a)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으면서, 공기가 통과하는 중에 공기 내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의 흡착, 포집, 수거 등을 수행하여 공기 내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의 함량을 저감할 수 있는 수단에 해당하면 어떠한 것이던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 예로 수분저감필터, 수분저감필름, 활성탄, 각종 수분흡착 광물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산화탄소저감부(46b)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으면서, 공기가 통과하는 중에 공기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이산화탄소의 흡착, 포집, 수거 등을 수행하여 공기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이산화탄소의 함량을 저감할 수 있는 수단에 해당하면 어떠한 것이던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 예로 공지된 각종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 흡착제, 광물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411 further includes a moisture reduction part 46a for further reducing the content of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and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421 and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Reference numeral 431 may further include a carbon dioxide reducing unit 46b for reducing the content of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air, and preferably, the moisture reducing unit 46a or the carbon dioxide reducing unit 46b is the first outside. It may be formed on the vertical discharge pipe (412b), the second external vertical discharge pipe (422b), and the third external vertical discharge pipe (432b). Accordingly, the moisture reducing part 46a or the carbon dioxide reducing part 46b may be formed outside the underground hole 1 instead of the inside of the underground hole 1, and the moisture reducing part 46a or the carbon dioxide reducing part 46b It is possible to achieve economic efficiency in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it can be easily performed from the outside without the need to excavate the ground during the maintenance or installation of the The moisture reduction part 46a is a means for reducing the content of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and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underground air existing in the lava layer volcanic topography commonly observed in Jeju Island, the humidity is very high. When supplying directly to agricultural facilities, excessive humidity can damage crops under cultivation or cause pests and diseas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ly optimal air by adjusting the moisture content in the supply air to an appropriate level. At this time, the moisture reducing unit 46a is capable of reducing the content of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by performing adsorption, collection, collection, etc. of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while the air passes through it.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orresponds to a possible means, and as an example, a moisture reduction filter, a moisture reduction film, activated carbon, various moisture absorption minerals,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therein. On the other hand, the carbon dioxide reduction unit 46b can reduce the content of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air by performing adsorption, collection, collection, etc. of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air while the air passes through it.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orresponds to the means, and as an example, various known carbon dioxide adsorption filters, adsorbents, minerals,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therein.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421) 및 제3공기토출배관(431) 상에는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이산화탄소센서부(47)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외부수직토출관(422b) 및 제3외부수직토출관(432b)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탄소센서부(47)는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에 해당하면 어떠한 것이던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후술할 제어부(미도시)와의 연결을 위해 전기적, 기계적으로 외부와 연결되어 측정 결과를 송신하고 외부에서 원격 제어가 가능한 기능을 구비한 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A carbon dioxide sensor unit 47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ntained in air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on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421 and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431 , and preferably, the second external vertical It may be formed inside the discharge pipe (422b) and the third external vertical discharge pipe (432b). The carbon dioxide sensor unit 47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orresponds to a means capable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ntained in air, but is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for connection with a control unit (not shown) to be described late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means having a function that transmits the measurement result and enables remote control from the outside.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421) 및 제3공기토출배관(431)에 형성되는 관통공(45) 및 이산화탄소센서부(47)는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421) 및 제3공기토출배관(431)에 형성되는 상기 이산화탄소저감부(46b)에 비해 공기의 외부 배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공 및 이산화탄소센서부(47)는 상기 제2외부수직토출관(422b) 및 상기 제3외부수직토출관 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외부수직토출관(422b) 및 상기 제3외부수직토출관 내에 형성되는 상기 이산화탄소저감부(46b)에 비해 공기의 외부 배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2공기토출부(42) 및 제3공기토출부(43)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내의 이산화탄소 함량을 더욱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자세한 제어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 , the through hole 45 and the carbon dioxide sensor unit 47 formed in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421 and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431 are formed in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421) and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431) compared to the carbon dioxide reduction portion (46b) is preferably formed at a spaced apart position in the external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more preferably the through hole and the carbon dioxide sensor A portion 47 is formed in the second external vertical discharge pipe 422b and the third external vertical discharge pipe, and the carbon dioxide is formed in the second external vertical discharge pipe 422b and the third external vertical discharge pipe.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eduction portion 46b in the external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This is in order to more precisely control the carbon dioxide content 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air discharge unit 42 and the third air discharge unit 43 to the outside by a control unit (not shown) to be described later, and a detailed control method is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3공기토출배관(431)은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미립자 등을 제거하기 위한 미립자집진부(434)와 공기에 포함된 음이온 함량을 높이기 위해 유동 공기에 음이온을 부여할 수 있는 음이온필터부(435)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공기토출부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사람이 흡입하기 위한 음용공기로 이용되는 공기로써, 이 때 미립자집진부(434)는 지하공기정화층(2) 내에서 미처 제거되지 못한 미세먼지 또는 기타 미립자 등을 최종적으로 제거하여 음용공기로써의 최적의 품질을 담보하기 위해 형성되며, 집진 필터 등 미세먼지 등을 흡착, 포집, 수거하여 제거할 수 있는 수단에 해당하면 공지된 어떠한 수단이던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음이온필터부(435)는 제3공기토출부로부터 배출되어 공급되는 음용공기용 공기에 음이온을 추가하여, 상기 지하공기정화층(2) 및 숨골(A)에 포함된 음이온에 더하여 추가적인 음이온을 부여할 수 있어 보다 개선된 품질의 음용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 third air discharge pipe 431 includes a particulate dust collector 434 for removing fine dust or particulates contained in the air, and an anion filter unit capable of imparting negative ions to the flowing air to increase the negative ion content contained in the air. (435)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third air discharge unit is air used as drinking air for human inhalation. At this time, the particulate dust collecting unit 434 is fine dust or other particulates that have not been removed in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 It is formed to ensure the optimum quality as drinking air by finally removing etc., and any known mean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orresponds to a means capable of adsorbing, collecting, collecting and removing fine dust, such as a dust collection filter. . The negative ion filter unit 435 adds negative ions to the air for drinking air supplied and discharged from the third air discharge unit, and provides additional negative ions in addition to the negative ions contained in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 and sukgol (A). This can provide better quality drinking air.

상기 제1연결관(48)은 공기의 흐름을 개폐할 수 있는 제1연결관개폐밸브(48a) 및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421)으로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제1연결관송풍수단(48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연결관(49)은 공기의 흐름을 개폐할 수 있는 제2연결관개폐밸브(49a) 및 상기 제3공기토출배관(431)으로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제2연결관송풍수단(49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관개폐밸브(48a) 및 제2연결관개폐밸브(49a)는 배관 등 유체가 유동하는 수단에 형성되어 공기 등의 유체 흐름을 개폐할 수 있는 수단이면 공지된 어떠한 수단이던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어 보다 효과적인 공기 흐름의 개폐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연결관송풍수단(48b) 및 제2연결관송풍수단(49b)은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펌프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공기 등 유체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공지된 어떠한 수단이던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1연결관송풍수단(48b)은 그 작동에 따라 제1공기토출배관 내의 공기를 제2공기토출배관 내로 유입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2연결관송풍수단(49b)은 그 작동에 따라 제1공기토출배관 내의 공기를 제3공기토출배관 내로 유입시킬 수 있고, 복수개로 형성되어 효과적인 공기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first connecting pipe 48 is a first connecting pipe opening/closing valve 48a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of air and a first connecting pipe blowing means 48b for flowing air to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421 . ),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49 is a second connection pipe opening/closing valve 49a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of air and a second connection pipe for flowing air to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431. It may include two connecting pipe blowing means (49b). The first connecting pipe opening/closing valve 48a and the second connecting pipe opening/closing valve 49a are formed in a means through which a fluid flows, such as a pipe, and any known means is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eans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 fluid flow such as air. Of course, it is possible to perform opening and closing of the air flow more effectively by being formed in plurality as needed. The first connecting pipe blowing means 48b and the second connecting pipe blowing means 49b may be formed of a pump or the like for generating a flow of air, and any known means capable of generating a flow of a fluid such as air may be used. mean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first connecting pipe blowing means 48b may introduce air in the first air discharging pipe into the second air discharging pipe according to its opera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ipe blowing means 49b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its opera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ir in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may be introduced into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and the air in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may be formed in plurality to generate an effective air flow.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은 상기 제1연결관개폐밸브(48a), 제1연결관송풍수단(48b), 제2연결관개폐밸브(49a) 및 제2연결관송풍수단과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밸브의 개폐여부 또는 송풍수단의 구동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421) 또는 제3공기토출배관(431)에서 측정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기설정된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비교하여 상기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lectrically or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that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control whether the valve is opened or closed or whether the blowing means is driven, the control unit (not shown) is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421 or the third The control may be performed by comparing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measured in the air discharge pipe 431 with a preset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제주도 지역 등에서 흔히 관찰되는 용암층 화산 지형에서의 지하공기에서 이산화탄소가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농업 또는 원예용 시설로 상기 지하공기를 공급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식물은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광합성을 수행하므로, 구태여 지하공기정화층(2)에서 정화 과정을 거친 지하공기 내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추가적으로 제거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축산업 또는 음용공기로 이용하기 위한 공기로는 이산화탄소 함량이 일반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함량에 비해 월등히 높으므로 부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은 축산업 등으로 활용하기 위한 공기를 배출하는 제2공기토출부(42) 및 음용공기로 활용하기 위한 공기를 배출하는 제3공기토출부(43) 상에 이산화탄소저감부(46b)를 별도로 구비하여, 추가적으로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underground air in the lava layer volcanic topography commonly observed in Jeju Island, etc. contains abundant carbon dioxide. When the underground air is supplied to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facilities, in general, plants perform photosynthesis using carbon dioxide. No need. However, it is not suitable for use as air for livestock farming or drinking because the carbon dioxide content is much higher than the carbon dioxide content in the general atmosphere. Therefore,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n the second air discharge unit 42 for discharging air for use in livestock industry, etc. and the third air discharge unit 43 for discharging air for use as drinking air. A carbon dioxide reduction unit 46b is separately provided to additionally reduce carbon dioxide.

하지만, 상기 이산화탄소저감부(46b)에 의해 상기 제2공기토출부(42) 또는 제3공기토출부(43) 내에서의 공기 중 이산화탄소 함량이 필요 이상으로 낮아질 수가 있다. 폐호흡을 실시하는 동물의 경우 일정 정도의 공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원활한 호흡을 위해 필요하다는 것은 공지된 사실이므로, 이러한 경우 역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the carbon dioxide content in the air in the second air discharge unit 42 or the third air discharge unit 43 may be lowered than necessary by the carbon dioxide reduction unit 46b. Since it is a known fact that a certain level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air is required for smooth breathing in the case of animals performing lung respiration, problems may occur in this case as well.

따라서, 이산화탄소 저감 과정을 거치지 않은 상기 제1공기토출부(41) 내의 공기를 상기 제1연결관(48) 및 제2연결관(49)을 통해 제2공기토출부(42) 및 제3공기토출부(43)로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해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421) 및 제3공기토출배관(431) 상에 형성되는 관통공(45) 및 이산화탄소센서부(47)는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421) 및 제3공기토출배관(431) 상에 형성되는 이산화탄소저감부(46b)에 비해 공기의 외부 배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Accordingly, the air in the first air discharge unit 41 that has not been subjected to the carbon dioxide reduction process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air discharge unit 42 and the third air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ipe 48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49 . By supplying to the discharge unit 43, this problem can be solved. Therefore, for this purpose, the through-hole 45 and the carbon dioxide sensor unit 47 formed on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421 and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431 are formed in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421 and the third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arbon dioxide reduction portion 46b formed on the air discharge pipe 431 in the external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 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이산화탄소센서부(47)가 상기 이산화탄소저감부(46b)에서 이산화탄소 저감 과정을 거친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421) 또는 제3공기토출배관(431) 내의 공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면, 그 측정 농도값을 상기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측정 농도값을 기설정된 이산화탄소 농도값(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421) 및/또는 제3공기토출배관(431) 내 측정 농도값이 기준값에 비해 낮은 경우 상기 제1연결관(48) 및/또는 제2연결관(49) 상에 형성된 상기 제1연결관개폐밸브(48a) 및/또는 제2연결관개폐밸브(49a)를 개방하고, 상기 제1연결관송풍수단(48b) 및/또는 제2연결관송풍수단(49b)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제1공기토출배관(411) 내의 공기를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421) 및/또는 제3공기토출배관(431)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이산화탄소센서부(47)에서 측정된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421) 또는 제3공기토출배관(431)의 상기 측정 농도값이 기준값과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높아지는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제1연결관개폐밸브(48a) 및/또는 제2연결관개폐밸브(49a)를 폐쇄하고, 상기 제1연결관송풍수단(48b) 및/또는 제2연결관송풍수단(49b)의 구동을 정지함으로써 상기 유입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421) 또는 제3공기토출배관(431) 내의 공기의 조성을 최적의 범위로 유지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explaining the control process of the controller (not shown),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421 or the third air through which the carbon dioxide sensor unit 47 undergoes the carbon dioxide reduction process in the carbon dioxide reduction unit 46b. Whe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air in the discharge pipe 431 is measured,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not shown), and the controller (not shown) sets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 to a preset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value (reference value) and In comparison, when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 in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421 and/or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431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first connection pipe 48 and/or the second connection pipe 49 ) to open the first connecting pipe opening/closing valve (48a) and/or the second connecting pipe opening/closing valve (49a) formed on the, and the first connecting pipe blowing means (48b) and/or the second connecting pipe blowing means ( 49b), the air in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411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421 and/or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431 . Then, when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 of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421 or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431 measured by the carbon dioxide sensor unit 47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not shown) closes the first connecting pipe opening/closing valve 48a and/or the second connecting pipe opening/closing valve 49a, and the first connecting pipe blowing means 48b and/or the second connecting pipe blowing means 49b The inflow can be stopped by stopping the drive. Through this process, the control unit (not shown) can maintain the composition of the air in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421 or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431 in an optimal range.

본 발명에 따른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은 상기 제3공기토출부로부터 배출된 음용공기용 공기에 기능성 성분 또는 산소 등을 최종적으로 혼입함으로써 용암층 음용 지하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성분은 사용자가 쾌적함을 느낄 수 있는 발향 성분, 호흡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기타 유익 성분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는 식물에서 발산되는 피톤치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underground air for the lava layer by finally mixing functional ingredients or oxygen into the drinking air discharged from the third air discharge unit. The functional ingredient may include a fragrance ingredient that allows the user to feel comfortable, other beneficial ingredients that help smooth breathing, and the like, which may include phytoncide emitted from a plant,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the applicant has described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embodiments are only one embodiment that implement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not allowed as long a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1: 지중공 2: 지하공기정화층 21: 현무암층
22: 스코리아층 23: 황토층 231: 황토블럭층
232: 황토벽돌층 3: 공기인입부 31: 인입배관
311: 수직관 311a: 유동공 312: 수평관
312a: 유동공 313: 와류형성관 313a: 제1절곡관
313a-1: 유동공 313b: 제2절곡관 313b-1: 유동공
313c: 제3절곡관 313c-1: 유동공 313d: 제4절곡관
313d-1: 유동공 313e: 제1형성관 313e-1: 유동공
313f: 제2형성관 313f-1: 유동공 313g: 제3형성관
313g-1: 유동공 313h: 제4형성관 313h-1: 유동공
32: 인입수단 41: 제1공기토출부 42: 제2공기토출부
43: 제3공기토출부 44: 토출수단 411: 제1공기토출배관
421: 제2공기토출배관 431: 제3공기토출배관 412: 제1수직토출관
412a: 제1지중수직토출관 412b:제1외부수직토출관
413: 제1수평분기관 422: 제2수직토출관 422a: 제2지중수직토출관
422b: 제2외부수직토출관 423: 제2수평분기관
432: 제3수직토출관 432a: 제3지중수직토출관
432b: 제3외부수직토출관 433: 제3수평분기관 45: 관통공
46a: 수분저감부 46b: 이산화탄소저감부 47: 이산화탄소센서부
48: 제1연결관 48a: 제1연결관개폐밸브 48b: 제1연결관송풍수단
49: 제2연결관 49a: 제2연결관개폐밸브 49b: 제2연결관송풍수단
434: 미립자집진부 435: 음이온필터부 412a-1: 유입공
422a-1: 유입공 432a-1: 유입공 413a: 유입공
423a: 유입공 433a: 유입공
1: underground hole 2: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21: basalt layer
22: scoria layer 23: loess layer 231: loess block layer
232: loess brick layer 3: air inlet 31: inlet pipe
311: vertical tube 311a: flow hole 312: horizontal tube
312a: flow hole 313: vortex forming tube 313a: first bent tube
313a-1: flow hole 313b: second bent pipe 313b-1: flow hole
313c: third bend tube 313c-1: flow hole 313d: fourth bend tube
313d-1: flow hole 313e: first forming tube 313e-1: flow hole
313f: second forming tube 313f-1: flow hole 313g: third forming tube
313g-1: flow hole 313h: fourth forming tube 313h-1: flow hole
32: inlet means 41: first air discharge unit 42: second air discharge unit
43: third air discharge unit 44: discharge means 411: first air discharge pipe
421: second air discharge pipe 431: third air discharge pipe 412: first vertical discharge pipe
412a: first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412b: first external vertical discharge pipe
413: first horizontal branch pipe 422: second vertical discharge pipe 422a: second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422b: second external vertical discharge pipe 423: second horizontal branch pipe
432: third vertical discharge pipe 432a: third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432b: third external vertical discharge pipe 433: third horizontal branch pipe 45: through hole
46a: moisture reduction part 46b: carbon dioxide reduction part 47: carbon dioxide sensor part
48: first connecting pipe 48a: first connecting pipe opening/closing valve 48b: first connecting pipe blowing means
49: second connection pipe 49a: second connection pipe opening/closing valve 49b: second connection pipe blowing means
434: particulate dust collecting unit 435: negative ion filter unit 412a-1: inlet hole
422a-1: inlet hole 432a-1: inlet hole 413a: inlet hole
423a: inlet hole 433a: inlet hole

Claims (28)

지중으로 일정 부피의 공간을 형성하는 지중공;
상기 지중공에 적층되며, 공기의 정화가 가능한 물질로 형성되어 지중공에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지하공기정화층;
상기 지하공기정화층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인입부; 및
상기 지하공기정화층에서 정화된 공기를 사용 목적에 따라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2개 이상의 공기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하공기정화층은 지중에 형성되는 일정 공간의 숨골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
a basement hole that forms a space of a certain volume into the ground;
an underground air purifying layer laminated on the underground hole and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purifying air to purify the air flowing into the underground hole;
an air inlet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and
Includes; at least two air discharge units for separating the air purified in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nd discharging to the outside;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sukgol of a certain space formed in the ground,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토출부는
농업 또는 원예용 시설로 상기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1공기토출부;, 축산업 또는 어류 양식용 시설로 상기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2공기토출부; 및 사람이 흡입하기 위한 음용공기의 공급 시설로 상기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3공기토출부; 중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discharge unit
A first air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to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facilities; A second air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to livestock industry or fish farming facilities; and a third air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to a drinking air supply facility for inhalation by a person.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wo or mor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토출부는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여 지하공기정화층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공기토출배관; 및 상기 제1공기토출배관상에 형성되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토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공기토출부는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여 지하공기정화층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2공기토출배관; 및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상에 형성되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토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3공기토출부는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여 지하공기정화층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3공기토출배관; 및 상기 제3공기토출배관상에 형성되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토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air discharge unit
a first air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discharge means formed on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to provide power for discharging air to the outside;
The second air discharge unit
a second air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discharging means formed on the second air discharging pipe to provide power for discharging air to the outside;
The third air discharge unit
a third air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discharge means formed on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to provide power for discharging air to the outsid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토출부는,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여 지하공기정화층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공기토출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공기토출배관은
지중공 내에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는 제1지중수직토출관;, 상기 제1지중수직토출관의 하단에서 일측 또는 양측으로 분기되어 연결되는 제1수평분기관; 및 상기 제1지중수직토출관의 상단에서 연결되어 지면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외부수직토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기토출부는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여 지하공기정화층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2공기토출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은
지중공 내에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는 제2지중수직토출관;, 상기 제2지중수직토출관의 하단에서 일측 또는 양측으로 분기되어 연결되는 제2수평분기관; 및 상기 제2지중수직토출관의 상단에서 연결되어 지면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2외부수직토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3공기토출부는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여 지하공기정화층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3공기토출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3공기토출배관은
지중공 내에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는 제3지중수직토출관;, 상기 제3지중수직토출관의 하단에서 일측 또는 양측으로 분기되어 연결되는 제3수평분기관; 및 상기 제3지중수직토출관의 상단에서 연결되어 지면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3외부수직토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중수직토출관, 제1수평분기관, 제2지중수직토출관, 제2수평분기관, 제3지중수직토출관 및 제3수평분기관은 복수개의 유입공이 관통 형성되어 지하공기정화층 내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air discharge unit,
A first air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cludes;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is
a first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formed vertically in the underground hole to connect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and a first external vertical discharge pipe connec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and form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second air discharge unit
a second air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is
a second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formed vertically in the underground hole to connect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a second horizontal branch pipe connected by branching to one or both sides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and a second external vertical discharge pipe connec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and form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third air discharge unit
A third air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cludes;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is
a third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formed vertically in the underground hole to connect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and a third external vertical discharge pipe connec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third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and form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first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the first horizontal branch pipe, the second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the second horizontal branch pipe, the third underground vertical discharge pipe and the third horizontal branch pipe have a plurality of inlet holes formed through them to purify the underground air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in the layer is introduc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토출부는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여 지하공기정화층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공기토출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공기토출배관은
수직으로 형성되어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는 제1수직토출관; 및 상기 제1수직토출관의 하단에서 일측 또는 양측으로 분기되어 연결되는 제1수평분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기토출부는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여 지하공기정화층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2공기토출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은
수직으로 형성되어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는 제2수직토출관; 및 상기 제2수직토출관의 하단에서 일측 또는 양측으로 분기되어 연결되는 제2수평분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3공기토출부는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여 지하공기정화층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3공기토출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3공기토출배관은
수직으로 형성되어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는 제3수직토출관; 및 상기 제3수직토출관의 하단에서 일측 또는 양측으로 분기되어 연결되는 제3수평분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수평분기관은 상기 제2수평분기관 및 제3수평분기관에 비해 지면으로부터 지하 방향으로 보다 깊은 위치에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분기관은 상기 제3수평분기관에 비해 지면으로부터 지하 방향으로 보다 깊은 위치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air discharge unit
A first air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cludes;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is
a first vertical discharge pipe formed vertically to connect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and a first horizontal branch pipe branched and connected to one side or both sides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discharge pipe;
The second air discharge unit
a second air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is
a second vertical discharge pipe formed vertically to connect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and a second horizontal branch pipe branched and connected to one side or both sides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discharge pipe;
The third air discharge unit
A third air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cludes;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is
a third vertical discharge pipe formed vertically to connect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and a third horizontal branch pipe branched and connected to one side or both sides from the lower end of the third vertical discharge pipe;
The first horizontal branch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t a deeper position in the underground direction than the second and third horizontal branch, and the second horizontal branch is compared to the third horizontal branch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paced apart from a deeper position in the underground direction from the groun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토출부는,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여 지하공기정화층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공기토출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공기토출부는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여 지하공기정화층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2공기토출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3공기토출부는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여 지하공기정화층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3공기토출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공기토출배관, 제2공기토출배관 및 제3공기토출배관은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공기토출배관에 형성된 관통공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에 형성된 관통공에 반대측이 연결되어 상기 제1공기토출배관 및 제2공기토출배관의 공기가 상호 소통가능한 경로를 형성하는 제1연결관; 및 상기 제1공기토출배관에 형성된 관통공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3공기토출배관에 형성된 관통공에 반대측이 연결되어 상기 제1공기토출배관 및 제3공기토출배관의 공기가 상호 소통가능한 경로를 형성하는 제2연결관;이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air discharge unit,
A first air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cludes;
The second air discharge unit
a second air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third air discharge unit
A third air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cludes;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and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have a through hol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and the opposite side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so that the air of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and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 first connector forming a;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and the opposite side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so that the air of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and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 second connection pipe forming a path;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ally provided,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토출부는,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여 지하공기정화층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공기토출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공기토출배관은
공기에 포함된 수분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분저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기토출부는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여 지하공기정화층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2공기토출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은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이산화탄소저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공기토출부는
외부와 지하공기정화층을 연결하여 지하공기정화층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3공기토출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3공기토출배관은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이산화탄소저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air discharge unit,
A first air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cludes;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is
Including; a moisture reduction unit for reducing the content of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The second air discharge unit
a second air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is
Including; a carbon dioxide reduction unit for reducing the content of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air;
The third air discharge unit
A third air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outside and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cludes;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is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comprising; a carbon dioxide reduction unit for reducing the content of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ai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토출배관, 제2공기토출배관 및 제3공기토출배관은 관통공;이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 및 제3공기토출배관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 및 제3공기토출배관에 형성되는 상기 이산화탄소저감부에 비해 공기의 외부 배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irst air discharge pipe,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and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have a through hole;
The through-holes formed in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and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are spaced apart from the carbon dioxide reduction unit formed in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and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in the external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관은
공기의 흐름을 개폐할 수 있는 제1연결관개폐밸브; 및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으로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제1연결관송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관은
공기의 흐름을 개폐할 수 있는 제2연결관개폐밸브 및 상기 제3공기토출배관으로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제2연결관송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connector is
a first connecting pipe opening/closing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of air; and a first connecting pipe blowing means for flowing air to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The second connector is
A second connection pipe opening/closing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of air, and a second connection pipe blowing means for flowing air to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comprising a.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 및 제3공기토출배관은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이산화탄소센서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이산화탄소센서부는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 및 제3공기토출배관에 형성되는 상기 이산화탄소저감부에 비해 공기의 외부 배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and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It additionally includes; a carbon dioxide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air,
The carbon dioxide sensor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t a location spaced apart from the carbon dioxide reduction unit formed in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and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in the external discharge direction of air,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공기토출배관은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미립자를 제거하기 위한 미립자집진부; 및 공기에 포함된 음이온 함량을 높이기 위한 음이온필터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is
Particle dust collecting unit for removing fine dust or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and an anion filter unit for increasing the anion content contained in the air.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은
상기 제1연결관개폐밸브, 제1연결관송풍수단, 제2연결관개폐밸브 및 제2연결관송풍수단과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밸브의 개폐여부 또는 송풍수단의 구동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공기토출배관 또는 제3공기토출배관에서 측정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기설정된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비교하여 상기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The first connecting pipe opening/closing valve, the first connecting pipe blowing means, the second connecting pipe opening/closing valve and the second connecting pipe blowing means are electrically or mechanically connected to control whether the valve is opened or closed or whether the blowing means is driven.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measured in the second air discharge pipe or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with a preset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to perform the control,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공기토출배관에서 배출된 공기에 기능성 성분 및 산소를 혼입하여 음용공기를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
The system of claim 11, wherein the drinking air is obtained by mixing functional ingredients and oxygen 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third air discharge pi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공기정화층은
현무암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stacking basal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공기정화층은
스코리아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coria is stack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공기정화층은
현무암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현무암층과, 스코리아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스코리아층이 번갈아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alt layer formed by laminating basalt and the scoria layer formed by laminating scoria are alternately stack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공기정화층은
황토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황토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ess layer formed by stacking loess.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층은
황토 블럭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황토블럭층; 및 황토 벽돌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황토벽돌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loess layer is
a loess block layer formed by stacking loess blocks; and a loess brick layer formed by stacking loess bricks; a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인입부는
외부로부터 상기 지하공기정화층으로 삽입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인입배관; 및 상기 인입배관 상에 형성되어 공기를 유입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인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inlet portion
an inlet pipe inserted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from the outside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and an inlet means formed on the inlet pipe to provide power to introduce air.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배관은
외부로부터 지하공기정화층 내로 수직으로 삽입되는 수직관; 및 상기 수직관의 하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평관;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관 및 수평관에는 그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유동공이 관통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지하공기정화층 내부에 고르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inlet pipe is
a vertical pipe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from the outside; and a horizontal tube formed by being vertically bent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tube.
A plurality of flow holes are formed through the vertical pipe and the horizontal pipe along the circumference thereof so that the air flowing in from the outside can be uniformly introduced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관은
지중에 형성되는 숨골에 상응하는 깊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horizontal tube is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t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sumgol formed in the ground.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배관은
상기 수직관 및 수평관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지하공기정화층으로 유입되는 공기 사이에 와류를 발생시키고 지하공기정화층과의 접촉 면적을 늘리는 와류형성관;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inlet pipe is
A vortex-forming pipe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vertical pipe and the horizontal pipe to generate a vortex between the air flowing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and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형성관은
상기 수평관의 끝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절곡관;, 상기 제1절곡관의 상단에서 수직절곡되어 상기 수평관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절곡관;, 상기 제2절곡관의 끝단에서 하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상기 수직관 및 상기 제1절곡관 사이에 형성되는 제3절곡관; 및 상기 제3절곡관의 하단에서 수직절곡되어 상기 제2절곡관과 상기 수평관 사이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4절곡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vortex forming tube is
A first bent pipe that is bent upwardly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pipe; A second bent pipe that is vertically bent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bent pipe and is formed parallel to the horizontal pipe; The end of the second bent pipe a third bent pipe formed between the vertical pipe and the first bent pipe by vertically bending downward in the ; and a fourth bent pipe that is vertically bent at the lower end of the third bent pipe and formed in parallel between the second bent pipe and the horizontal pipe.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관, 제2절곡관 및 제3절곡관은 서로 마주보는 내측으로 유동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
The system of claim 23, wherein the first bent pipe, the second bent pipe, and the third bent pipe have flow holes formed through the inside facing each other.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형성관은
상기 수직관과 이격된 위치에서 외부로부터 수직으로 지하공기정화층에 삽입되는 제1형성관(313e); 및 상기 제1형성관(313e)의 하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평관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2형성관(313f);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vortex forming tube is
a first forming tube (313e) which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underground air purification layer from the outsid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tube; and a second forming tube (313f) that is vertically bent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forming tube (313e) to face the horizontal tube.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형성관(313f)은
마주보는 수평관을 향해 유동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
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second forming tube (313f) is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hole is formed through the facing horizontal pipe.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형성관은
상기 제2형성관(313f)의 끝단에서 하측으로 수직 절곡되는 제3형성관(313g); 및 상기 제3형성관(313g)의 하단에서 수직 절곡되어 상기 제2형성관(313f) 및 상기 수평관 사이에 형성되는 제4형성관(313h);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vortex forming tube is
a third forming tube (313g) vertically bent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second forming tube (313f); and a fourth forming tube (313h) vertically bent at the lower end of the third forming tube (313g) and formed between the second forming tube (313f) and the horizontal tube; air utilization system.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3형성관(313g) 및 제4형성관(313h)은 내측을 향해 유동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층 지하공기 활용 시스템.
28. The method of claim 27,
The third forming tube (313g) and the fourth forming tube (313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hole is formed through the inner side, the lava layer underground air utilization system.
KR1020210162809A 2021-11-23 2021-11-23 System For Using Underground Lava Layer Air KR1024383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809A KR102438386B1 (en) 2021-11-23 2021-11-23 System For Using Underground Lava Layer 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809A KR102438386B1 (en) 2021-11-23 2021-11-23 System For Using Underground Lava Layer 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386B1 true KR102438386B1 (en) 2022-09-01

Family

ID=83282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809A KR102438386B1 (en) 2021-11-23 2021-11-23 System For Using Underground Lava Layer 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38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825Y1 (en) * 2001-02-13 2001-07-03 아성 엔.엠.티 주식회사 Deodorant device used for bioceramic media and microorganisms
KR101075498B1 (en) * 2011-03-15 2011-10-21 장근호 Air cleaning device
KR101465297B1 (en) * 2011-05-27 2014-12-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A Device for reduce offensive odor using trench fil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825Y1 (en) * 2001-02-13 2001-07-03 아성 엔.엠.티 주식회사 Deodorant device used for bioceramic media and microorganisms
KR101075498B1 (en) * 2011-03-15 2011-10-21 장근호 Air cleaning device
KR101465297B1 (en) * 2011-05-27 2014-12-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A Device for reduce offensive odor using trench fil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9088B1 (en) Environment-friendly pigpen using deodorization system and complex
CN104728945B (en) A kind of stacked intelligent air processing system
CN104807085B (en) A kind of air purifier and its application method that PM2.5 is removed based on microalgae
CN105664713B (en) A kind of environment-friendly type farm cleaning harmful gas processing unit
CN205156144U (en) Air condition processing apparatus
CN105716160A (en) Plant purifying system based on intelligent control
KR102333409B1 (en) Buildings, hospitals, schools, military barracks, factories, animal barns, farms cultivating plants, offices, underground parking lots, subways, dust-generating factories, dust-removing function, aversive odor, and light-related harmful substances A nature-friendly, eco-friendly, multi-functional air purification system that creates a pleasant environment by exhibiting the function of removing material molecules and fine dust, sterilizing bacteria and viruses, controlling humidity, and generating oxygen and anions
US20140246168A1 (en) Functional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functional air conditioning method
KR102303369B1 (en) Buildings, hospitals, schools, military barracks, factories, animal sheds, farms cultivating plants, offices, underground parking lots, subways, dust-generating factories, dust-generating dust removal function, disgusting odor, and light-related harmful substances A nature-friendly, eco-friendly multifunctional air purification system that creates a pleasant environment by exhibiting the function of removing material molecules and fine dust, sterilizing bacteria and viruses, controlling humidity, and generating oxygen and anions.
CN103845754A (en)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purif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air in livestock shed
CN203898789U (en) Sterilization, disinfection and purification device for air in livestock breeding shed
CN106524383A (en) Facility vegetable cleaning production intelligent equipment system
KR101034868B1 (en) Intelligent indoor air handling equipment
KR100250160B1 (en) Hydroponic Cultivation and Purification System Using the Ornamental Fish Tank
KR101820578B1 (en) A humidifier with air purification and water using natural ecology environment
CN204665480U (en) A kind of stacked intelligent air treatment system
KR102438386B1 (en) System For Using Underground Lava Layer Air
CN104613551B (en) A kind of air purifier
KR20070024860A (en) A ventilation system which combined with double fans
CN111771805B (en) Have disinfection and new trend purification performance&#39;s aquaculture case concurrently
KR102547440B1 (en) Schools, military units, subways, underground parking lots, plant breeding houses, livestock breeding grounds, earthworm breeding grounds, livestock manure or food waste drying areas, A nature-friendly and eco-friendly air purification system that collects and purifies polluted air with a light specific gravity generated inside a building where multiple people reside, and an eco-friendly method for cultivating plants using this system
CN205435466U (en) Utilize indoor gaseous purifier of plant realization
CN205461797U (en) High -efficient harmful gas purification unit of plant of environmental protection
KR100209822B1 (en) Humidifier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KR20170068275A (en) Ventilation system with heat exchan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