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252B1 -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252B1
KR102436252B1 KR1020170129891A KR20170129891A KR102436252B1 KR 102436252 B1 KR102436252 B1 KR 102436252B1 KR 1020170129891 A KR1020170129891 A KR 1020170129891A KR 20170129891 A KR20170129891 A KR 20170129891A KR 102436252 B1 KR102436252 B1 KR 102436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iffusion
bead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9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0629A (ko
Inventor
이성래
한상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9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252B1/ko
Publication of KR20190040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확산점착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액정표시장치의 하부 편광판의 외측으로 광확산점착제를 통해 복합광학시트 부착시키는 것이다. 이때, 광확산점착제는 내부에 다수의 에어포켓이 함유된 광확산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광확산비드 내부에 함유된 에어포켓의 체적을 달리함에 따라, 액정표시장치는 고휘도를 구현하거나, 시인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는 고휘도 및 시인성을 모두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여러장의 광학시트가 구비됨에 따라 광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액정표시장치의 경량 및 박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액정표시장치를 모듈화하는 과정을 단순화하여, 조립시간 단축 및 재료비용을 절감하여 공정의 효율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광확산점착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정보 디스플레이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휴대가 가능한 정보매체를 이용하려는 요구가 높아지면서,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경량 및 박형의 디스플레이장치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이 같은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표시장치는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보여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고휘도 및 시인성이 향상되면서도 경량 및 박형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해 끊임없어 요구되고 있는데,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방안 중 한가지인 광확산점착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광확산점착제는 점착제에 광확산성 미립자를 첨가함으로써 광확산 기능을 갖게 되는데, 이러한 광확산점착제를 통해 다수의 광학시트를 일체화하여 고휘도 및 시인성을 향상시키면서도 경량 및 박형의 디스플레이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광확산점착제는 점착제와 광확산성 미립자의 굴절률차에 의해 광확산 기능을 발현하게 되는데, 점착제로는 대부분 아크릴 점착제가 사용되고 광확산성 미립자로는 실리콘 수지 미립자가 사용됨에 따라, 점착제와 광확산성 미립자의 굴절률차에 의한 광확산 기능이 제한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광확산 기능이 보다 향상된 광확산점착제를 제공하여, 고휘도 및 시인성이 보다 향상된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경량 및 박형의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일측으로 위치하는 편광판과, 상기 편광판의 일측으로 위치하며, 30 ~ 100nm 의 표면굴곡 사이즈를 갖는 광확산비드를 포함하는 광확산점착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광확산비드는 다수의 에어포켓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에어포켓은 상기 광확산비드의 60ml/100g ~ 150ml/100g의 체적을 가지며, 상기 광확산비드는 1.45의 굴절률을 가지며, 상기 광확산비드는 1.49의 굴절률을 갖는 베이스 폴리머에 함유되며, 상기 광확산비드는 4 ~ 7um의 사이즈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폴리머 내에서 2.6 ~ 3.5%의 함유량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표시패널은 액정패널이며, 상기 광확산점착제를 통해 상기 편광판의 외측으로 제 1 및 제 2 집광부와 확산부를 포함하는 복합광학시트를 부착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집광부는 각각 제 1 및 제 2 지지층과,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층 상부로 각각 제 1 및 제 2 렌즈층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렌즈층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띠 모양으로 인접 배열되는 제 1 및 제 2 프리즘산이 열을 지어 돌출 배열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렌즈층은 각각의 길이방향이 서로 수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 렌즈층과 상기 광확산점착제 사이로 제 4 지지층이 위치하며, 상기 확산부는 제 3 지지층과, 상기 제 3 지지층의 양측으로 제 1 및 제 2 확산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합광학시트 하부로 광원이 위치하며, 상기 광원은 도광판의 일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되거나, 상기 복합광학시트의 하부로 다수개 배열되며, 상기 표시패널은 제 1 및 제 2 전극과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광확산점착제를 통해 상기 편광판이 상기 표시패널의 일측으로 부착된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액정표시장치의 하부 편광판의 외측으로 광확산점착제를 통해 복합광학시트 부착시키며, 이때, 광확산점착제는 내부에 다수의 에어포켓이 함유된 광확산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광확산비드 내부에 함유된 에어포켓의 체적을 달리함에 따라, 액정표시장치는 고휘도를 구현하거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는 고휘도 및 시인성을 모두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러장의 광학시트가 구비됨에 따라 광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액정표시장치의 경량 및 박형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와 동시에 액정표시장치를 모듈화하는 과정을 단순화하여, 조립시간 단축 및 재료비용을 절감하여 공정의 효율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광학시트가 광확산점착제를 통해 하부편광판의 외면에 부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a는 광확산비드의 함량에 따른 휘도비를 측정한 실험데이터.
도 3b는 광확산비드의 함량에 따른 헤이즈값을 측정한 실험데이터.
도 4a와 도 4b는 에어포켓이 구비된 광확산비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단면도.
도 5a와 도 5b는 광확산비드의 에어포켓의 체적에 따른 표면굴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6a와 도 6b는 광확산비드의 표면굴곡에 따른 광의 산란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7a는 광확산비드의 표면굴곡 사이즈에 따른 헤이즈값을 측정한 실험데이터.
도 7b는 광확산비드의 표면굴곡 사이즈에 따른 휘도비를 측정한 실험데이터.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 제 1 실시예 -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0)는 크게 액정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각각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먼저, 액정패널(110)은 액정표시장치의 화상표현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으로서, 서로 대면 합착된 제 1 기판(112) 및 제 2 기판(114)과, 이의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도면상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하부기판 또는 어레이기판이라 불리는 제 1 기판(112)의 내면에는 다수의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이 교차하여 화소(pixel)가 정의되고, 각각의 교차점마다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TFT)가 구비되어 각 화소에 형성된 투명 화소전극과 일대일 대응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기판 또는 컬러필터기판이라 불리는 제 2 기판(114)의 내면으로는 각 화소에 대응되는 일예로 적(R), 녹(G), 청(B) 컬러의 컬러필터(color filter) 및 이들 각각을 두르며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 그리고 박막트랜지스터 등을 가리는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가 구비된다.
또한, 적(R), 녹(G), 청(B) 컬러의 컬러필터 및 블랙매트릭스를 덮는 투명 공통전극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기판(112, 114)과 액정층(미도시)의 경계부분에는 액정의 초기 분자배열 방향을 결정하는 상, 하부 배향막(미도시)이 개재되고, 제 1 및 제 2 기판(112, 114) 사이로 충진되는 액정층(미도시)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양 기판(112, 114)의 가장자리를 따라 씰패턴(seal pattern : 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기판(112, 114)의 외면으로는 특정 광 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상부 및 하부편광판(115, 116)이 각각 부착된다.
이 같은 액정패널(110)의 일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연성회로기판이나 테이프케리어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 TCP)와 같은 연결부재(미도시)를 매개로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연결된다.
따라서, 액정패널(110)은 게이트라인으로 주사 전달된 박막트랜지스터의 온/오프(on/off) 신호에 의해 각 게이트라인 별로 선택된 박막트랜지스터가 온(on) 되면 해당 화소전극으로 데이터라인의 화상신호가 전달되고, 이로 인해 발생되는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전기장에 의해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이 변화되어 투과율의 차이를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0)에는 액정패널(110)이 나타내는 투과율의 차이가 외부로 발현되도록, 액정패널(110)의 표시면이 전방을 향한다는 전제 하에 이의 배면에서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120)이 구비된다.
백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구현되는 고휘도의 면광원은 액정패널(110)로 제공되어, 액정패널(110)은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일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되는 LED어셈블리(129)와, 반사판(121)과, 이러한 반사판(121) 상에 안착되는 도광판(123), 그리고 도광판(123) 상부로 위치하는 복합광학시트(210)를 포함한다.
LED 어셈블리(129)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광원으로서, 다수개의 LED(129a)와, 다수개의 LED(129a)가 일정 간격 이격하여 장착되는 PCB(129b)를 포함한다.
이때, 다수의 LED(129a)는 도광판(123)의 입광면을 향하는 전방으로 각각 적(R), 녹(G), 청(B)의 색을 갖는 광을 발하며, 이러한 다수개의 RGB LED(129a)를 한꺼번에 점등시킴으로써 색섞임에 의한 백색광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발광효율 및 휘도 향상을 위하여, 발광효율 및 휘도가 우수한 청색 LED칩을 포함하는 청색 LED(129a)를 사용하고, 형광체로서 '세륨이 도핑된 이트륨 알루미늄 가넷(YAG:Ce)', 즉 옐로우 형광체로 이루어진 청색 LED(129a)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LED(129a)로부터 방출된 청색광은 형광체를 투과하여 형광체에 의해 방출된 옐로우광과 혼합됨으로써, 백색광을 구현하게 된다.
그리고, LED 어셈블리(129) 이외에도 음극전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나 외부전극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와 같은 형광램프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LED(129a)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입사되는 도광판(123)은 LED(129a)로부터 입사된 광이 여러번의 전반사에 의해 도광판(123) 내를 진행하면서 도광판(123)의 넓은 영역으로 골고루 퍼져 액정패널(110)에 면광원을 제공한다.
이에, 도광판(123)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과성 재료중의 하나인 아크릴계 투명수지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 PMMA)같은 플라스틱(plastic) 물질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 PC)계열에 의해 평면형태(flat type)로 제작된다.
이러한 도광판(123)은 투명성, 내후성, 착색성이 우수하여 광이 투과할 때 광의 확산을 유도한다.
그리고, 도광판(123)은 균일한 면광원을 공급하기 위해 하부면에 특정 모양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패턴은 도광판(123) 내부로 입사된 광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타원형의 패턴(elliptical pattern), 다각형의 패턴(polygon pattern), 홀로그램 패턴(hologram pattern)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패턴은 도광판(123)의 하부면에 인쇄방식 또는 사출방식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도광판(123)의 하부로 위치하는 반사판(121)은 도광판(123)의 배면을 통과한 광을 액정패널(110) 쪽으로 반사시킴으로써 광의 휘도를 향상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0)는 도광판(123) 상부로 복합광학시트(210)가 위치하는데, 복합광학시트(210)는 제 1 및 제 2 집광부(213a, 213b, 도 2 참조)와 확산부(213c, 도 2 참조)를 포함함에, 도광판(123)을 통과한 광을 확산 또는 집광하여 액정패널(110)로 고휘도의 면광원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복합광학시트(210)는 광확산점착제(220)를 통해 액정패널(110)의 하부편광판(116)의 외면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0)는 고휘도 및 시인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여러장의 광학시트가 구비됨에 따라 광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액정표시장치(100)의 경량 및 박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액정표시장치(100)를 모듈화하는 과정을 단순화하여, 조립시간 단축 및 재료비용을 절감하여 공정의 효율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 추후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이러한 액정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케이스탑과 가이드패널 그리고 커버버툼을 통해 일체로 모듈화된다.
한편, 백라이트 유닛(120)은 광을 발하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측광형(side type)과 직하형(direct type)으로 구분되는데,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액정패널(110)에 대해 이의 후방의 일측면으로부터 출사된 광원(=LED(129a))의 광을 별도의 도광판(123)으로 굴절시켜 액정패널(110)을 향해 출사시키는 층광형을 일예로 하였으나, 액정패널(110) 배면으로 복수개의 광원(=LED(129a))을 직접 배치시켜 광을 입사시키는 직광형도 적용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광학시트가 광확산점착제를 통해 하부편광판의 외면에 부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광학시트(210)는 크게 제 1 집광부(213a)와 제 2 집광부(213b) 그리고 확산부(213c)로 이루어지는데, 제 1 집광부(213a)는 제 1 지지층(211a)과, 제 1 지지층(211a)의 상부면에서 광을 집광시키기 위한 제 1 렌즈층(215a)을 포함하며, 제 1 집광부(213a)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2 집광부(213b)는 제 2 지지층(211b)과, 제 2 지지층(211b)의 상부면에서 광을 집광시키기 위한 제 2 렌즈층(215b)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확산부(213c)는 제 3 지지층(211c)과, 제 3 지지층(211c)의 양측으로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확산층(219a, 219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들 층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 1및 제 2 집광부(213a, 213b)의 제 1 및 제 2 지지층(211a, 211b)은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계열, 폴리술폰(poly sulfone) 계열, 폴리아크릴레이트(poly acrylate) 계열, 폴리스티렌(poly styrene) 계열,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 vinyl chloride) 계열,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계열, 폴리노르보넨(poly norbornene) 계열, 폴리에스테르(polyester) 계열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지지층(211a, 211b)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렌즈층(215a, 215b)은 투명 아크릴(acryl) 계열 수지로 이루어지는데, 복합집광시트(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띠 모양으로 인접 배열됨으로써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의 다수개의 제 1 및 제 2 프리즘산(217a, 217b)이 열을 지어 각각 제 1 및 제 2 지지층(211a, 211b)으로부터 돌출 배열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프리즘산(217a, 217b)으로 인하여, 복합집광시트(210)는 복합집광시트(2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액정패널(도 1의 110)로 광을 집광함으로써 이를 통해서 휘도상승 효과를 갖는다.
한편, 제 1 및 제 2 렌즈층(215a, 215b)은 제 1 및 제 2 프리즘산(217a, 217b) 외에, 단면이 다각형인 프리즘, 마이크로 렌즈 패턴, 렌티큘러 렌즈, 엠보패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상으로는 제 1 및 제 2 프리즘산(217a, 217b)의 높이가 모두 동일하나, 서로 인접하는 제 1 및 제 2 프리즘산(217a, 217b)의 높이가 서로 다를 수 있는데, 제 1 및 제 2 프리즘산(217a, 217b)의 높이는 10㎛ 내지 40㎛, 구체적으로 10㎛ 내지 30㎛일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프리즘산(217a, 217b)의 피치 또한 서로 다를 수 있는데, 제 1 및 제 2 프리즘산(217a, 217b)의 밑면에 해당하는 피치는 10㎛ 내지 60㎛, 구체적으로 20㎛ 내지 60㎛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프리즘산(217a, 217b)의 꼭지각은 80° 내지 100 °가 될 수 있고 상기 범위에서, 휘도 향상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도면상으로는 제 1 및 제 2 렌즈층(215a, 215b)의 제 1 및 제 2 프리즘산(217a, 217b)의 단면이 동일하게 도시되어, 제 1 및 제 2 렌즈층(215a, 215b)의 길이방향이 동일한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도시되었으나, 복합집광시트(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열을 지어 돌출 배열되는 제 1 및 제 2 렌즈층(215a, 215b)은 각각의 길이방향이 서로 수직하게 이루어져, 광학패턴 간 발생하는 피치 모아레(moire)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휘도 또한 향상시키게 된다.
즉, 제 1 렌즈층(215a)은 도면상으로 정의한 X축 방향으로 열을 지어 돌출 배열되도록 하면, 제 2 렌즈층(215b)은 도면상으로 정의한 X축 방향에 수직한 Y 축 방향으로 열을 지어 돌출 배열되도록 하여, 제 1 및 제 2 렌즈층(215a, 215b)의 길이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제 1 및 제 2 집광부(213a, 213b)의 하부로는 확산부(213c)가 위치하는데, 즉, 확산부(213c)는 복합광학시트(210)의 최하단에 배치되어, 도광판(도 1의 123)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확산시켜 넓은 범위에서 균일한 분포를 가지도록 한다.
이러한 확산부(213c)는 제 3 지지층(211c)과, 제 3 지지층(211c)의 양측으로 제 1 및 제 2 확산층(219a, 219b)이 위치하는데, 제 3 지지층(211c)은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계열, 폴리술폰(poly sulfone) 계열, 폴리아크릴레이트(poly acrylate) 계열, 폴리스티렌(poly styrene) 계열,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 vinyl chloride) 계열,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계열, 폴리노르보넨(poly norbornene) 계열, 폴리에스테르(polyester) 계열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확산층(219a, 219b)은 비드(bead : 215c) 등의 광확산성분을 포함하여 구성하거나, 비드(219c)를 포함하지 않고 제 1 및 제 2 확산층(219a, 219b)의 하부면에 미세패턴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제 1 및 제 2 확산층(219a, 219b)은 입사된 광을 굴절 및 산란시킴으로써 광을 확산시키며 도광판(도 1의 123)을 통과한 불균일한 광을 균일한 광으로 출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비드(219c)는 바인더 수지에 포함하여 구성하는데, 비드(219c)는 제 1 및 제 2 확산층(219a, 219b)으로 입사되는 광을 분산시킴으로써 광이 부분적으로 밀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확산층(219a) 내의 비드(219c)는 균일한 크기를 갖는 반면, 제 2 확산층(219b) 내의 비드(219c)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다.
여기서 바인더 수지로는, 투명성이 높아 광투과율이 우수하고 점도 조절이 용이한 것으로, 일예로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비닐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제 2 확산층(219b)은 제 3 지지층(211c)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90% ~ 95%의 헤이즈(haze) 특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비드(219c)는 2um ~ 15u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 1 확산층(219a)은 제 3 지지층(211c)으로 입사되는 광을 확산시키기 위하여, 비드(219c)가 2um ~ 5u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비드(219c)를 포함하지 않은 제 1 및 제 2 확산층(219a, 219b)은 미세패턴(미도시)의 형태에 따라 광 산란각을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데, 미세패턴(미도시)은 타원형의 패턴(elliptical pattern), 다각형의 패턴(polygon pattern)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홀로그램 패턴(hologram pattern)을 사용하여 간섭패턴에 의해 입사된 광을 이와 비대칭적인 방향으로 굴절시킴으로써 집광된 광이 좀더 경사진 각도로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집광부(213a)의 제 1 렌즈층(215a)의 제 1 프리즘산(217a)과 확산부(213c)의 제 2 확산층(219b)은 점착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 1 집광부(213a)와 제 2 집광부(213b)는 제 1 집광부(213a)의 제 1 렌즈층(215a)의 점착 특성을 통해 서로 일체형으로 합착된 상태를 이루게 되며, 제 1 집광부(213a)와 확산부(213c)는 확산부(213c)의 제 2 확산층(219b)의 점착 특성을 통해 서로 일체형으로 합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제 1 및 제 2 집광부(213a, 213b)와 확산부(213c)는 모두 일체형으로 합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확산부(213c)의 제 3 지지층(211c)은 복합광학시트(210)의 전체를 지지하는 베이스 역할을 하고, 제 1 및 제 2 지지층(211a, 211b)은 제 1 및 제 2 집광부(213a, 213b)의 제 1 및 제 2 렌즈층(215a, 215b) 만을 각각 지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제 1 및 제 2 지지층(211a, 211b)의 두께를 제 3 지지층(211c)의 두께에 비해 얇게 형성하여, 복합광학시트(210)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도 1의 100)는 도광판(도 1의 123)의 상부로 복합광학시트(210)를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광학시트에 의해 광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광효율이 향상된 액정표시장치(도 1의 100)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다수의 광학시트를 구비하던 기존에 비해 백라이트 유닛(도 1의 12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경량 및 박형의 액정표시장치(도 1의 100)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구성요소가 줄어듦에 따라 액정표시장치(도 1의 100)의 모듈화 공정이 단순화되어, 조립시간 단축 및 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도 1의 100)는 복합광학시트(210)를 광확산점착제(220)를 통해 액정패널(도 1의 110)의 하부 편광판(116)의 외측으로 부착시키는데, 이를 통해 보다 경량 및 박형의 액정표시장치(도 1의 100)를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모듈화공정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어 공정의 효율성 또한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
특히, 복합광학시트(210)를 하부 편광판(116)의 외측으로 부착시키기 위한 광확산점착제(220)가 광확산비드(223)를 포함함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도 1의 100)는 보다 고휘도를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시인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광확산점착제(220)는 제 2 집광부(213b) 제 2 렌즈층(215b) 상부로 위치하여, 복합광학시트(210)를 하부 편광판(116)의 외측으로 부착 및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복합광학시트(210)의 고정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 2 렌즈층(215b)의 상부로는 제 4 지지층(211d)이 더욱 위치할 수 있는데, 제 4 지지층(211d)은 복합광학시트(210)와 광확산점착제(220)가 서로 점착되는 면적을 넓혀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또한, 제 2 렌즈층(215b)의 제 2 프리즘산(217b)의 꼭지각을 보호하는 역할 또한 하게 된다.
제 4 지지층(211d)은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계열, 폴리술폰(poly sulfone) 계열, 폴리아크릴레이트(poly acrylate) 계열, 폴리스티렌(poly styrene) 계열,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 vinyl chloride) 계열,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계열, 폴리노르보넨(poly norbornene) 계열, 폴리에스테르(polyester) 계열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 4 지지층(211d) 상부로 위치하는 광확산점착제(220)는 베이스 폴리머(221) 내에 광확산비드(223)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데, 베이스 폴리머(221)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A)를 함유한다. (메트)아크릴계 폴리머(A)는, 모노머 단위로서, (메트)아크릴계 폴리머(A)의 주골격을 구성하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a1)와, 방향 고리 함유 (메트)아크릴계 모노머(a2)를 함유한다.
방향 고리 함유 (메트)아크릴계 모노머(a2)로서, 예를 들어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방향 고리 함유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는 정(正)의 고유 복굴절을 갖기 때문에, 부(負)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방향 고리 함유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를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a3) 및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a4)와 함께 소정량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굴절률을 갖는 점착제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폴리머(221)는 1.47 이상의 굴절률을 가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49의 굴절률을 갖는다.
이러한 베이스 폴리머(221) 내에 함유된 광확산비드(223)는 고분자 미립자로 이루어지는데, 고분자 미립자의 재질로는,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베이스 폴리머(221)에 대한 우수한 분산성 및 베이스 폴리머(221)와의 적절한 굴절률 차를 갖기 때문에, 확산 성능이 우수한 광확산점착제(220)를 구현할 수 있다.
즉, 광확산비드(223)는 베이스 폴리머(221)의 굴절률 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한데, 광확산비드(223)의 굴절률은 1.30 ∼ 1.7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5를 갖는다.
여기서, 광확산비드(223)와 베이스 폴리머(221)의 굴절률차의 절대값을 바람직하게는 0을 초과하고, 0.2 이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0을 초과하고 0.05이하의 굴절률차를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광확산비드(223)는 입자직경이 4 ~ 7um이고, 평균적으로 6um의 평균 입자직경을 가지며, 베이스 폴리머(221) 내에 2.6 ~ 3.5%의 함유량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서, 우수한 광확산 성능을 갖는 광확산점착제(220)를 얻을 수 있다.
아래 (표 1)은 광확산비드(223)의 함량에 따른 광확산점착제(220)의 광확산성능을 측정한 실험데이터이며, 첨부한 도 3a는 광확산비드(223)의 함량에 따른 휘도비를 측정한 실험데이터이며, 도 3b는 광확산비드(223)의 함량에 따른 헤이즈값을 측정한 실험데이터이다.
구분 Ref. 표면굴곡 사이즈(평균 100nm) 표면굴곡 사이즈(평균 30nm)
함량비 3.17% 3.3% 3.5% 2.6% 4.7%
투과율(%) 93 85 88 86 86 86
헤이즈(%) 76 23 28 37 35 57
휘도비(%) 100 104 99 97 91 81
외관 Lv.1 Lv.2 Lv.2 Lv.1 Lv.0 Lv.0
설명에 앞서, 함량비는 베이스 폴리머(221) 함량 대비 광확산비드(223)의 함량을 의미하며, 투과율은 광확산점착제(220)의 투과율을 의미하며, 헤이즈는 광확산점착제(220)의 헤이즈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휘도비는 광확산점착제(220)를 적용한 복합광확시트(210)를 투과한 광량의 휘도를 측정한 결과이며, 외관은 Lv.가 낮을수록 매우 우수함을 의미한다.
위의 (표 1)과 첨부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광확산점착제(220)는 광확산비드(223)의 함량에 따라, 투과율과 헤이즈값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표면굴곡 사이즈가 감소할수록 헤이즈값은 높아지게 되고, 또한 휘도는 감소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광확산점착제(220)의 광확산비드(223)의 함량을 달리하거나, 광확산비드(223)의 표면굴곡 사이즈를 달리함에 따라, 광확산점착제(220)의 광확산성능을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광확산비드(223)의 표면굴곡 사이즈는 도 4a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확산비드(223)의 내부에 다수의 에어포켓(air pocket : 225)을 함유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확산점착제(220)의 베이스 폴리머(221) 내에 함유된 광확산비드(223)는 내부에 다수의 에어포켓(air pocket : 2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광확산비드(223)는 내부에 함유된 다수의 에어포켓(225)의 함유량에 따라 표면굴곡이 달라지게 되는데, 광확산비드(223)는 평균 10 ~ 300nm의 사이즈의 표면굴곡을 갖게 된다.
광확산비드(223)의 비중과 에어포켓(225)의 체적 그리고 광확산비드(223)의 표면굴곡 사이즈는 아래 (표 2)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구분 광확산비드의 비중 광확산비드 내에 함유된 에어포켓의 체적(volume) 광확산비드의 평균 표면굴곡 사이즈
[Min ~ Max]
#1 1.5 40ml/100g 10nm
[5 ~ 20]
#2 1 60ml/100g 30nm
[20 ~ 50]
#3 0.4 150ml/100g 100nm
[30 ~ 160]
#4 0.085 700ml/100g 300nm
[60 ~ 400]
설명에 앞서, 위의 (표 2)는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지는 광확산비드(223)의 비중과 광확산비드(223) 내에 함유된 에어포켓(225)의 체적에 따른 광확산비드(223)의 표면굴곡 사이즈를 측정한 실험데이터이다.
이때, 광확산비드(223)의 굴절률은 1.45이며, 광확산비드(223)의 표면굴곡 사이즈는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통해 반치폭(full width at half maximum) 간격을 측정하여 사이즈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에어포켓(225)의 체적은 오일(oil) 흡수량을 통해 측정하였다.
위의 (표 2)를 살펴보면, 광확산비드(223)의 비중과 에어포켓(225)의 체적(volume)은 서로 반비례하는 관계를 갖게 되며, 광확산비드(223)의 체적이 클수록 광확산비드(223)의 표면굴곡 사이즈 또한 커지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광확산비드(223)의 내부에 함유된 에어포켓(225)의 체적이 클수록 광확산비드(223)의 표면굴곡 또한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지게 되며, 광확산비드(223)의 내부에 함유된 에어포켓(225)의 체적이 작을수록 광확산비드(223)의 표면굴곡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아지게 된다.
이때,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확산비드(223)의 표면굴곡이 클 경우, 광확산비드(223)에 의한 광의 산란이 작아지게 되며,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확산비드(223)의 표면굴곡이 작을수록 광확산비드(223)에 의한 광의 산란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광확산점착제(220)는 광확산비드(223) 내에 함유된 다수의 에어포켓(225)의 체적을 달리함에 따라, 광확산비드(223)의 표면굴곡 사이즈를 달리하여 이를 통해 광확산점착제(220)의 광확산성능을 조절하게 된다.
아래 (표 3)은 광확산비드(223)의 표면굴곡 사이즈에 따른 광확산점착제(220)의 광확산성능을 측정한 실험데이터이며, 첨부한 도 7a는 광확산비드(223)의 표면굴곡 사이즈에 따른 헤이즈값을 측정한 실험데이터이며, 도 7b는 광확산비드(223)의 표면굴곡 사이즈에 따른 휘도비를 측정한 실험데이터이다.
표면굴곡 사이즈(nm) 헤이즈(%) 투과율(%) 휘도비(%) 외관 품위
10 65.34 88.12 84.15 매우 우수
30 41.29 87.42 88.14 우수
100 24.07 86.3 102.63 보통
300 12.47 86.41 110.38 매우 나쁨
설명에 앞서, 광확산비드(223)는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지며, 사이즈는 6 ~ 7um 이며, 1.45의 굴절률을 갖는다.
그리고, 베이스 폴리머(221)는 아크릴계 폴리머로 이루어지며, 1.49의 굴절률을 가지며, 광확산비드(223)의 함량은 베이스 폴리머(221) 함량 대비 3.2%이다.
이때, 투과율은 광확산점착제(220)의 투과율을 의미하며, 헤이즈는 광확산점착제(220)의 헤이즈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휘도비는 광확산점착제(220)를 적용한 복합광학시트(210)를 투과한 광량의 휘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그리고, 광확산점착제(220)의 헤이즈값과 투과율은 haze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위의 (표 3)과 첨부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광확산비드(223)의 표면굴곡 사이즈가 증가할수록 헤이즈값은 감소하게 되고 투과율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광확산비드(223)의 표면굴곡 사이즈가 10nm 일 때에는 표면굴곡이 없는 조건과 유사한 특성을 갖게 되며, 이때에는 광확산비드(223)와 베이스 폴리머(221)의 굴절률 차이에 의한 산란 효과가 크게 된다.
이는 곧, 광확산비드(223)의 표면굴곡 사이즈가 10nm 일 때에는 높은 헤이즈 특성을 가지므로, 이에 따라 복합광학시트(210)의 휘도는 감소하나 시인성이 향상되어 외관 품위가 매우 우수하게 된다.
그리고, 표면굴곡 사이즈가 300nm 일 때에는 광확산비드(223)와 베이스 폴리머(221)의 굴절률 차이 효과가 가장 적어, 산란효과가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표면굴곡 사이즈가 300nm 일 때에는 낮은 헤이즈값을 가짐에 따라, 복합광학시트(210)의 휘도는 우수하나 시인성이 매우 낮아, 외관 품위가 매우 안좋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광확산비드(223)가 없는 베이스 폴리머(221)만 존재하는 구성과 유사한 특성이다.
따라서, 광확산비드(223)의 표면굴곡은 30 ~ 100nm의 사이즈를 갖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표면굴곡이 100nm의 사이즈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30nm의 표면굴곡 사이즈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도 1의 100)는 광확산점착제(220) 내부에 에어포켓(225)이 함유된 광확산비드(223)를 포함함으로써, 광확산비드(223)의 표면굴곡을 달리하여 고휘도 및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보다 고휘도를 구현하거나 또는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도 1의 100)는 도광판(도 1의 123) 상부로 복합광학시트(210)가 위치하는데, 복합광학시트(210)는 제 1 및 제 2 집광부(213a, 213b)와 확산부(213c)를 포함함에, 도광판(도 1의 123)을 통과한 광을 확산 또는 집광하여 액정패널(도 1의 110)로 고휘도의 면광원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복합광학시트(210)는 광확산점착제(220)를 통해 액정패널(도 1의 110)의 하부편광판(116)의 외면으로 부착되며, 이때, 광확산점착제(220)는 내부에 다수의 에어포켓(225)이 함유된 광확산비드(2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광확산비드(223) 내부에 함유된 에어포켓(225)의 체적을 달리함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도 1의 100)는 고휘도를 구현하거나, 시인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는 고휘도 및 시인성을 모두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여러장의 광학시트가 구비됨에 따라 광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액정표시장치(도 1의 100)의 경량 및 박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액정표시장치(도 1의 100)를 모듈화하는 과정을 단순화하여, 조립시간 단축 및 재료비용을 절감하여 공정의 효율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 제 2 실시예 -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300)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발광다이오드(E)가 형성된 제 1 기판(301)과 제 1 기판(301)과 마주하는 제 2 기판(302)으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 2 기판(301, 302)은 접착성을 갖는 보호층(303)을 통해 서로 이격되어 합착되어 표시패널을 이룬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 1 기판(301)의 상부에는 각 화소영역(P) 별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연결되는 제 1 전극(311)과 제 1 전극(311)의 상부에 특정한 색의 빛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313)과, 유기발광층(313)의 상부에는 제 2 전극(315)이 구성된다.
유기발광층(313)은 적, 녹, 청의 색을 표현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각 화소영역(P)마다 적, 녹, 청색을 발광하는 별도의 유기물질을 패턴하여 사용한다.
이들 제 1 및 제 2 전극(311, 315)과 그 사이에 형성된 유기발광층(313)은 발광다이오드(E)를 이루게 된다. 이때, 이러한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표시장치(300)은 제 1 전극(311)을 양극(anode)으로 제 2 전극(315)을 음극(cathode)으로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유기발광표시장치(300)는 선택된 신호에 따라 제 1 전극(311)과 제 2 전극(315)으로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제 1 전극(311)으로부터 주입된 정공과 제 2 전극(315)으로부터 제공된 전자가 유기발광층(313)으로 수송되어 엑시톤(exciton)을 이루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천이 될 때 빛이 발생되어 가시광선의 형태로 방출된다.
이때, 발광된 빛은 투명한 제 2 전극(315)을 통과하여 외부로 나가게 되므로, 유기발광표시장치(300)는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300)는 표시패널의 제 1 기판(301)의 상부로 외부광에 의한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편광판(310)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유기발광표시장치(300)는 화상을 구현하는 구동모드일 때 유기발광층(313)을 통해 발광된 빛의 투과방향에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을 차단하는 편광판(310)을 형성함으로써,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게 된다.
편광판(310)은 외부광을 차단하기 위한 원편광판으로, 제 1 기판(301)의 외면에 부착된 위상차판과 선편광판을 포함한다.
이때, 선편광판과 위상차판의 적층 순서는 외부광의 입사방향에 가깝도록 선편광판을 배치시키고 그 안쪽으로 위상차판을 배치시키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300)는 편광판(310)이 광확산점착제(220)를 통해 제 1 기판(301)의 외면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확산점착제(220)는 베이스 폴리머(221) 내에 광확산비드(223)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데, 베이스 폴리머(221)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A)를 함유한다. (메트)아크릴계 폴리머(A)는, 모노머 단위로서, (메트)아크릴계 폴리머(A)의 주골격을 구성하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a1)와, 방향 고리 함유 (메트)아크릴계 모노머(a2)를 함유한다.
방향 고리 함유 (메트)아크릴계 모노머(a2)로서, 예를 들어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방향 고리 함유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는 정(正)의 고유 복굴절을 갖기 때문에, 부(負)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방향 고리 함유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를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a3) 및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a4)와 함께 소정량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굴절률을 갖는 점착제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폴리머(221)는 1.47 이상의 굴절률을 가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49의 굴절률을 갖는다.
이러한 베이스 폴리머(221) 내에 함유된 광확산비드(223)는 고분자 미립자로 이루어지는데, 고분자 미립자의 재질로는,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베이스 폴리머(221)에 대한 우수한 분산성 및 베이스 폴리머(221)와의 적절한 굴절률 차를 갖기 때문에, 확산 성능이 우수한 광확산점착제(220)를 구현할 수 있다.
즉, 광확산비드(223)는 베이스 폴리머(221)의 굴절률 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한데, 광확산비드(223)의 굴절률은 1.30 ∼ 1.7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5를 갖는다.
여기서, 광확산비드(223)와 베이스 폴리머(221)의 굴절률차의 절대값을 바람직하게는 0을 초과하고, 0.2 이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0을 초과하고 0.05이하의 굴절률차를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광확산비드(223)는 입자직경이 4 ~ 7um이고, 평균적으로 6um의 평균 입자직경을 가지며, 베이스 폴리머(221) 내에 2.6 ~ 3.5%의 함유량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서, 우수한 광확산 성능을 갖는 광확산점착제(220)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광확산비드(223)는 다수의 에어포켓(도 6b의 225)을 함유한다.
광확산비드(223) 내부에 함유된 다수의 에어포켓(도 6b의 225)에 의해 광확산비드(223)는 30 ~ 100nm의 표면굴곡 사이즈를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300)는 편광판(310)을 통해 외부광에 의한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하는 과정에서, 광확산점착제(220)를 통해 표시패널로부터 구현되는 광을 보다 균일하게 가공하게 되어, 고휘도를 구현하게 되며 시인성 또한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외광의 반사에 의한 눈부심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16 : 하부 편광판
210 : 복합광학시트(211a, 211b, 211c, 211d : 제 1 내지 제 4 지지층, 213a, 213b : 제 1 및 제 2 집광부, 213c : 확산부, 215a, 215b : 제 1 및 제 2 렌즈층, 217a, 217b : 제 1 및 제 2 프리즘산, 219a, 219b : 제 1 및 제 2 확산층, 219c : 비드)
220 : 광확산점착제(221 : 베이스 폴리머, 223 : 광확산비드)

Claims (12)

  1.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일측으로 위치하는 편광판과;
    상기 편광판의 일측으로 위치하며, 30 ~ 100nm 의 표면굴곡 사이즈를 갖는 광확산비드를 포함하는 광확산점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광확산비드는 다수의 에어포켓을 포함하며, 상기 광확산비드의 표면굴곡 사이즈는 상기 다수의 에어포켓의 함유량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광확산비드의 표면굴곡 사이즈가 증가할수록 헤이즈값은 감소하고 투과율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에어포켓은 상기 광확산비드의 60ml/100g ~ 150ml/100g의 체적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비드는 1.45의 굴절률을 가지며, 상기 광확산비드는 1.49의 굴절률을 갖는 베이스 폴리머에 함유된 디스플레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비드는 4 ~ 7um의 사이즈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폴리머 내에서 2.6 ~ 3.5%의 함유량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액정패널이며,
    상기 광확산점착제를 통해 상기 편광판의 외측으로 제 1 및 제 2 집광부와 확산부를 포함하는 복합광학시트를 부착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집광부는 각각 제 1 및 제 2 지지층과,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층 상부로 각각 제 1 및 제 2 렌즈층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렌즈층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띠 모양으로 인접 배열되는 제 1 및 제 2 프리즘산이 열을 지어 돌출 배열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렌즈층은 각각의 길이방향이 서로 수직한 디스플레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층과 상기 광확산점착제 사이로 제 4 지지층이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는 제 3 지지층과, 상기 제 3 지지층의 양측으로 제 1 및 제 2 확산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광학시트 하부로 광원이 위치하며,
    상기 광원은 도광판의 일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되거나, 상기 복합광학시트의 하부로 다수개 배열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제 1 및 제 2 전극과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광확산점착제를 통해 상기 편광판이 상기 표시패널의 일측으로 부착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점착제의 일측에 위치하며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확산층은 제 1 비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확산층은 제 2 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지지층과 상기 제 1 집광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비드는 균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 2 비드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170129891A 2017-10-11 2017-10-11 디스플레이장치 KR102436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891A KR102436252B1 (ko) 2017-10-11 2017-10-11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891A KR102436252B1 (ko) 2017-10-11 2017-10-11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629A KR20190040629A (ko) 2019-04-19
KR102436252B1 true KR102436252B1 (ko) 2022-08-24

Family

ID=66283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9891A KR102436252B1 (ko) 2017-10-11 2017-10-11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2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6429A (ja) * 2007-03-01 2008-09-18 Toppan Printing Co Ltd 防眩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6518A (ko) * 2004-08-18 200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070098080A (ko) * 2006-03-31 2007-10-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광학 시트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갖는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액정표시장치
KR100989076B1 (ko) * 2008-08-01 2010-10-20 에이비씨나노텍 주식회사 가교제가 함유된 구형 실리카 비드 광확산제 및 그것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6429A (ja) * 2007-03-01 2008-09-18 Toppan Printing Co Ltd 防眩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629A (ko) 2019-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5286B2 (en) NVIS compatible backlight device and electronic display using the same
US9116281B2 (en) Complex optical film and light sourc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US8262271B2 (en) Display
EP2458430B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TWI491962B (zh) 發光單元
US20060240286A1 (en) Display device
US8882324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6575059A (zh) 显示装置和照明装置
JP2004513483A (ja) 明るさおよびコントラスト増強直視型発光型ディスプレイ
CN109725456B (zh) 背光单元及包括该背光单元的液晶显示装置
KR20090012822A (ko) 광학 시트,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장치
US20060291236A1 (en) Light guide plate with translucent ink film, and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124022B1 (ko) 일체형 광학시트와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5104459B2 (ja) 光学部材と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ディスプレイ
KR101834380B1 (ko) 듀얼패널 타입 액정표시장치
KR102436252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1814712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KR10266450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440235B1 (ko)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KR101746675B1 (ko) 복합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571687B1 (ko) 프리즘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백 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장치
KR20150034553A (ko) 복합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40014736A (ko) 광학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89931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40075356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