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944B1 - 스마트 rtu - Google Patents

스마트 rtu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944B1
KR102434944B1 KR1020210082812A KR20210082812A KR102434944B1 KR 102434944 B1 KR102434944 B1 KR 102434944B1 KR 1020210082812 A KR1020210082812 A KR 1020210082812A KR 20210082812 A KR20210082812 A KR 20210082812A KR 102434944 B1 KR102434944 B1 KR 102434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ing device
management information
man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환
정용배
김진욱
차부석
Original Assignee
(주)일렉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렉콤 filed Critical (주)일렉콤
Priority to KR1020210082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9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2Multivendor or multi-standard integ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5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computer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Standardisation; Integration using relational databases for representation of network management data, e.g. managing via structured query language [SQ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02Topology update or discovery
    • H04L45/026Details of "hello" or keep-alive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74Address processing for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5Conversion or adaptation of application format or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스마트 RTU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스마트 RTU는 재난 경보와 관련된 각종 관리 정보처리장치와 송수신될 경우에, ONE 서버에서, 즉 스마트 RTU에서 다수의 상이한 경보설비 유형별로 대응하는 개별 통신 프로토콜을 중앙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송수신함으로써, ONE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경우에 경보설비 유형은 경보장비와 기상장비 즉, 기상정보수집관리 정보처리장치 및 각종 기상관측 센서들로 이루어진 경보설비를 동일한 특징을 나타내는 설비별로 그룹화한 것이다.
또한, 추가적으로 이러한 송수신이 될 경우에, 경보설비 유형 또는, 출력 서비스유형(음성/텍스트별 포함)별로서도 각각의 데이터 형식마다 정보를 다원화하는 포트 테이블로부터 현재 기상 데이터 등을 다원화하여 빠르고 원활히 통신한다.
그리고, 이때 관련된 장치들에 대해서는 각종 장치등록 정보와 실제 기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테이블을 동일하게 구비하고, 테이블에 대한 정합 관계를 설정해서, 이를 통해 상호 간에 데이터베이스를 실시간으로 일치,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실시예는 경보서비스가 될 경우에, 임베디드 기반으로 하나의 스마트 RTU(서버)에서 ONE 모니터링을 하는 구성으로부터 재해 경보를 수행함으로써, 경보 시스템의 관리와 설치, 유지보수의 효율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여러 형식의 경보설비들이 실제 현장에서 사용되는 상황하에서도, 재해위험지역의 재난ㅇ재해 발생 전 기상 상황의 계측/관측을 통해 조기경보를 신속히 발령하여 사람들의 안전을 보호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추가적으로 특정 장소별로 맞는 지속적 재해 절감을 위한 계측/관측 데이터를 축적하여 다면적 재난대응 스마트 조기경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RTU{Smart Remote Terminal Uni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RTU(Remote Terminal Unit)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지에 특정 대상(재해 발생여부)을 관리할 경우에, 대상의 상태를 수집하는 장치와 제어/출력하는 장치 내의 RTU에서 상호 간에 정보를 중계하여 감시/제어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재해위험지역에 재난상황 발생 시 스마트 조기경보시스템을 활용하여 방송함으로써, 안전을 보호하고 도모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실제 현장의 스마트 조기경보시스템은 시중에 재난 경보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경보장비(동보장치)와 기상장비(AWS, 강우량계, 수위계 등) 및 각종 센서들은 제작사마다 통신 프로토콜이 모두 다르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경보는 이렇게 여러 형식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통해 기상장비의 기상 데이터를 수집할 경우에, 무인자동관측시스템(RTU)에서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를 전달받아서 DB에 저장 및 분석하여 재해 상황을 판단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재해 상황이 발생될 경우에, RTU에서 방송송출관리 정보처리장치 등의 출력장치와 관리자 단말기 등으로 경보용 안내음성 정보를 송출해서, 특정 장소에 방송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경우 기상관측 센서에서 RTU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은 제작사만이 알고 있어 DB 프로그램이나 관리 프로그램의 수정 시 동일한 제작사에 의해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업무의 효율성 등이 낮다.
이러한 배경의 선행기술문헌은 아래의 특허문헌이 나올 정도일 뿐이다.
(특허문헌 1) KR101872464 Y1
참고적으로, 이러한 특허문헌 1의 기술은 다양한 각종 센서에서 감시데이터가 수집될 경우, 특정 RTU 프로토콜에서 이기종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여 외부에 제공하는 것이다. 즉, 이러한 기술은 이기종 별 자체 서버를 설치해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것이다(아래의 도 1 (b) 참조).
그래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RTU에서 경보서비스를 할 경우, 재난 경보에 사용되는 경보장비와 기상장비 및 각종 기상관측 센서들 상호 간에 호환과 제어를 ONE 서버와 ONE 모니터링을 통해 수행함으로써, 스마트 경보장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개시된 내용은, 경보서비스를 할 경우, 재난 경보에 사용되는 경보장비와 기상장비 및 각종 기상관측 센서들은 상호 간에 호환과 제어를 ONE 서버와 ONE 모니터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RTU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RTU는,
재난 경보와 관련된 각종 관리 정보처리장치와 송수신될 경우에, ONE 서버에서, 즉 스마트 RTU에서 다수의 상이한 경보설비 유형별로 대응하는 개별 통신 프로토콜을 중앙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송수신함으로써, ONE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경우에 경보설비 유형은 경보장비와 기상장비 즉, 기상정보수집관리 정보처리장치 및 각종 기상관측 센서들로 이루어진 경보설비를 동일한 특징을 나타내는 설비별로 그룹화한 것이다.
또한, 추가적으로 이러한 송수신이 될 경우에, 경보설비 유형 또는, 출력 서비스유형(음성/텍스트별 포함)별로서도 각각의 데이터 형식마다 정보를 다원화하는 포트 테이블로부터 현재 기상 데이터 등을 다원화하여 빠르고 원활히 통신한다.
그리고, 이때 관련된 장치들에 대해서는 각종 장치등록 정보와 실제 기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테이블을 동일하게 구비하고, 테이블에 대한 정합 관계를 설정해서, 이를 통해 상호 간에 데이터베이스를 실시간으로 일치,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들에 의하면, 여러 형식의 경보설비를 사용하는 실제 상황하에서도, 재해위험지역의 재난ㅇ재해 발생 전 기상 상황의 계측/관측을 통해 조기경보를 신속히 발령하여 사람들의 안전을 보호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추가적으로 특정 장소별로 맞는 지속적 재해 절감을 위한 계측/관측 데이터를 축적하여 다면적 재난대응 스마트 조기경보를 제공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RTU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RTU가 적용된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RTU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RTU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RTU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RTU는 각종 관리 정보처리장치와 연동하여 재해경보를 할 경우에, 임베디드 기반의 ONE 서버로서 다수의 상이한 경보설비 유형별로의 개별 통신 프로토콜을 중앙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송수신함으로써, ONE 모니터링한다. 그래서, 이를 통해 더욱 더 경보 시스템의 관리와 설치, 유지보수의 효율성이 높아진다(a 참조).
참고로, 기존에는 이기종 별로 자체 서버 및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방식이다(b 참조).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스마트 RTU는 무선통신의 재해 음성방송 송출 제어와 강우량계/수위계/적설계에 대한 제어, 대형LED전광판의 기상데이터 및 제어신호 데이터의 송수신 제어 관리, 원격 유지보수 제어, LED 전광판 및 각종 기상장비의 고장 유/무 송출제어를 가진다. 이러한 경우에, 음성방송 송출 제어에는 오디오 확장 인터페이스 구조를 구비한다.
그래서, 이를 통해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RTU는 여러 형식의 경보설비를 사용하는 실제 상황하에서도, 재해위험지역의 재난ㅇ재해 발생 전 기상 상황의 계측/관측을 통해 조기경보를 신속히 발령하여 사람들의 안전을 보호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추가적으로 특정 장소별로 맞는 지속적 재해 절감을 위한 계측/관측 데이터를 축적하여 다면적 재난대응 스마트 조기경보를 제공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RTU가 적용된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시스템은 기상정보수집관리 정보처리장치(100-1 ~ 100-n)와 방송송출관리 정보처리장치(200-1 ~ 200-n)/전광판관리 정보처리장치(300-1 ~ 300-f)(출력장치), 관리자 정보처리장치(400-1)와 관리자 단말기(400-2) 및 스마트 RTU(500)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기상정보수집관리 정보처리장치들(100-1 ~ 100-n)에서 내부의 RTU를 다수의 상이한 경보설비 유형별로 다양하게 실제 설치하고, 스마트 RTU(500)에서 각각의 개별 통신 프로토콜을 특정 중앙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출력장치와 상호연결한다.
추가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RTU(500)에 연결된 외부연계하는 곳으로, 고장수리처 정보처리장치(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부가해서, 이때 상기 스마트 RTU(500)는 전술한 각 장치와 자가망을 통해 연결한다. 이러한 경우, 기상정보관리기(100-1 ~ 100-n)와 방송분배기(200-1 ~ 200-n)에 네트워크를 통해 시리얼(RS232, RS485) 또는, 무선(LoRA, RF, BT, BLE) 중에서 어느 하나로 데이터로거방식의 통신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관리자 정보처리장치(400-1) 또는 관리자 단말기(400-2)와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와이파이 또는 LTE를 사용한다.
한편 아울러, 스마트 RTU(500)는 강우량계와 수위계, 적설계에 대한 제어와, 데이터로거 연동 및 수집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그리고, 또한 음성방출 소스는 텍스트와 음성파일, 음성스트리밍을 지원한다. 또한 대형 LED 전광판 전용 제어 프로토콜을 지원하기도 한다.
상기 기상정보수집관리 정보처리장치(기상정보관리기)(100-1 ~ 100-n)는 원격지에서 특정 장소의 재해 상황 등을 모니터링할 경우에, 먼저 미리 기상관측 센서에서 기상 데이터를 수집하여 내부 RTU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함으로써, 재해 상황에 대한 발생여부와 정도 등을 파악하도록 한다. 이때, 실제적으로 현장에서는 기상정보관리기(100-1 ~ 100-n)에서 RTU가 다양한 장치사양을 구성하고, 통신 프로토콜도 여러 형태로 사용한다. 이때, 부가적으로 기상정보는 강우량계와 수위계, 적설계에 대한 내용이다.
상기 방송송출관리 정보처리장치(방송분배기)(200-1 ~ 200-n)는 이렇게 기상 데이터로부터 스마트 RTU(500)를 통해 재해 상황이 파악될 경우, 특정 장소에서 스마트 RTU(500)에서의 관련된 알람 안내음성정보를 전달받아 스피커를 통해 방송함으로써, 재해 상황을 알려주어 조치를 취한다.
상기 전광판관리 정보처리장치(300-1 ~ 300-n)는 이와 마찬가지로 재해 상황이 파악될 경우, 특정 장소 상에서 알람 안내텍스트정보로 스마트 RTU(500)를 통해 전달받아 대형 전광판 등에 표시함으로써, 해당 장소의 사람들에게 재해 상황을 알려주기도 한다.
상기 관리자 정보처리장치(400-1)는 이러한 재해 상황이 무선통신 방식으로(웹기반 서비스) 스마트 RTU(500)를 통해 전달될 경우에, 스마트 RTU(500)를 통해서 관련 설비 기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재해 상황에 미리 대비한다. 예를 들어, 관리자 정보처리장치(400-1)는 수위가 정상수위보다 상당할 정도로 높을 경우에 관련된 댐 등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장치의 동작을 위험 정도에 따라 조정하고, 전기 위험이 있을 수 있는 설비의 전원을 내리도록 한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2)는 마찬가지로 이러한 재해 상황이 무선통신 방식으로(스마트 장치 전용 서비스) 스마트 RTU(500)를 통해 관리자가 실제 있는 곳으로 즉시 전달될 경우, 스마트 RTU(500)를 통해 관련 설비 기기의 동작을 신속히 제어함으로써, 재해 상황에 미리 대비한다.
상기 스마트 RTU(500)는 이러한 기상 데이터가 전송될 경우, 이전의 축적된 기상 자료들로부터 재해 발생여부와 정도를 판별하고, 재해가 발생된 때에는 관리자 정보처리장치/단말기(400-1, 400-2)에 통지하고 방송분배기(200-1 ~ 200-n)와 전광판관리 정보처리장치(300-1 ~ 300-n)로 경보함으로써, 원활히 서비스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스마트 RTU(500)는 일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상이한 경보설비 유형별로 대응하는 개별 통신 프로토콜을 중앙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미리 설정 등록된 포맷으로부터 경보 정보를 현재 경보설비 유형별로 맞게 변환해서 통신한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이때 경보설비 유형 또는, 출력 서비스유형(음성/텍스트별 포함)별로서도 각각의 데이터 형식마다 정보를 다원화하는 포트 테이블로부터 현재 기상 데이터 등을 다원화하여 빠르고 원활히 통신한다. 그리고, 또한 이때 관련된 장치들에 대해서는 각종 장치등록 정보와 실제 기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테이블을 동일하게 구비하고, 테이블에 대한 정합 관계를 설정해서, 이를 통해 상호 간에 데이터베이스를 실시간으로 일치, 유지하여 경보가 신속하게 되도록 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RTU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스마트 RTU(500)는 네트워크 입출력모듈(501)과, 통신모듈(502), 통신변환기(503), HTTP 서버(504), 데이터베이스 및 메인처리부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RTU(500)는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각종 설정정보를 입력받는 키신호 입력부(미도시)와 표시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입출력모듈(501)은 기상정보관리기(100)와 방송분배기(200)/전광판관리 정보처리장치(300)(출력장치)에 연결하여 정보를 예를 들어, 기상 데이터와 경보 관련 음성/텍스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네트워크 입출력모듈(501)은 시리얼(RS232, RS485) 또는, 무선(LoRA, RF, BT, BLE) 중에서 어느 하나로 데이터로거방식의 통신으로 연결한다.
상기 통신모듈(502)은 관리자 정보처리장치/단말기(400)에 연동하여 제어신호를 통신한다. 이때, 제어신호는 재해가 발생될 때에 사용하는 재해 방지용 설비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예를 들어, 이러한 통신모듈(502)은 와이파이 또는 LTE를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 통신변환기(503)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상이한 경보설비 유형별로 대응하는 개별 통신 프로토콜을 중앙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포맷으로부터 경보 관련정보를 현재 경보설비 유형별로 맞게 상이하게 변환해서 스트리밍 형식 등으로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통신변환기(503)는 데이터 유형별로 예를 들어, 음성과 텍스트별로 프로토콜 변환을 하기도 해서, 경보 관련 안내음성 등을 원활하게 스트리밍화한다.
상기 HTTP 서버(504)는 상기 기상정보관리기(100)와 방송분배기(200) 및 전광판관리 정보처리장치(300)와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즉, 인터넷을 통해 교환하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505)는 상기 각 장치의 등록정보와 기상 데이터 등의 실제 데이터를 저장해서, 재해 상황을 판별할 때 이전의 자료를 축적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메인처리부(506)는 기상정보관리기(100)에서 기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전의 기상 자료로부터 재해 상황을 판별하여 관리자 정보처리장치/단말기(400)로 전달해서 제어신호를 회신하고, 방송송출관리/전광판관리 정보처리장치(200, 300)로 음성과 텍스트로 경보한다. 이러한 경우에, 이러한 메인처리부(506)는 일실시예에 따라 아래의 구성을 구비한다. a) 즉, 메인처리부(506)는 각 관리 정보처리장치(100 ~ 400)와 정보가 송수신될 경우에, 다수의 상이한 경보설비 유형별로 대응하는 개별 통신 프로토콜을 중앙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포맷을 미리 설정 등록한다. b) 그래서, 상기 기상정보관리기(100)로부터 기상 데이터가 수신될 때, 상기 포맷으로부터 현재 개별 통신 프로토콜을 중앙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해서, 상기 각 관리 정보처리장치(100 ~ 400) 상호 간에 정보를 송수신한다. c) 그리고, 또한 상기 경보설비 유형별로 송수신될 경우, 경보설비 유형/출력 서비스 유형별(음성/텍스트별 포함) 데이터 형식마다 정보를 다원화하는 포트 테이블로부터 현재 정보를 다원화하여 통신한다. 한편으로, 메인처리부(506)는 d) 또는 각 관리 정보처리장치(100 ~ 400)의 장치등록 정보와 데이터를 저장한 테이블을 기상정보관리기(100)와 출력장치(200, 300) 및, 관리자 정보처리장치/단말기(400)와 상호 간에 동일하게 구비하고, 상기 테이블에 대한 정합 관계를 미리 설정 등록한다. e) 그래서, 기상정보관리기(100)와 출력장치(200, 300) 및, 관리자 정보처리장치/단말기(400)의 테이블 내에 콘텐츠가 변경될 경우, 상기 정합 관계에 따라서 자체 테이블에 동기화한다. f) 이를 통해 상기 테이블이 동기화될 경우에, 상이한 경보설비 유형/출력서비스 유형별 데이터 유형마다 콘텐츠를 다원화하여 수행함으로써, 상호 간에 데이터베이스를 실시간 일치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RTU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도 3 참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RTU는 먼저 기본적으로는 기존과 같이, 원격지에 대상을 관리할 경우에, 대상의 상태를 수집하는 장치와 제어 또는 출력하는 장치 내에서 상호 간에 정보를 중계하여 대상을 감시/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다.
우선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입출력모듈에서 기상정보수집관리 정보처리장치로부터 HTTP 서버를 통해 기상 데이터를 예를 들어, 강우량과 수위, 또는 적설량 정보를 전달받는다(S401).
그리고, 메인처리부는 이러한 기상 데이터가 수신될 때, 이전의 기상 자료와 현재 기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재해 발생여부와 정도를 판별해서, 재해 발생이 된 때에는 관리자 정보처리장치/단말기로 통지한다. 또한, 방송송출관리 정보처리장치와 전광판관리 정보처리장치로는 재해 발생과 관련된 안내음성 또는 텍스트를 제공하여 경보한다.
그래서, 이를 통해 재해가 발생될 경우에, 방송송출관리 정보처리장치와 전광판관리 정보처리장치(출력장치)에서 재해 발생여부를 방송함으로써, 재해와 관련된 곳에 있는 사람들에게 원활하게 알려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실시예에 따라 먼저 기존대로 기상정보관리기들에서 내부의 RTU를 다수의 상이한 경보설비 유형별로 다양하게 실제 설치하면, 스마트 RTU에서 각각의 개별 통신 프로토콜을 특정 중앙 프로토콜로 변환하여(S402) 출력장치와 상호 연결한다.
이때, 관리자 단말기 등으로 현재 기상 데이터를 제공하기도 한다(S403).
a) 즉, 상기 메인처리부는 먼저 각 관리 정보처리장치와 정보가 송수신될 경우에, 다수의 상이한 경보설비 유형별로 대응하는 개별 통신 프로토콜을 중앙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포맷을 미리 설정 등록한다.
b) 이러한 상태에서 기상정보수집관리 정보처리장치로부터 기상 데이터가 수신될 때, 상기 포맷으로부터 현재 개별 통신 프로토콜을 중앙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해서, 상기 각 관리 정보처리장치 상호 간에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경우에, 현재 기상 데이터와 이전의 기상 자료를 비교하여 재해 상황이 발생될 때에는 경보와 관련된 안내 음성/텍스트를 생성한다(S404). 그래서, 이를 통해 방송분배기와 전광판관리 정보처리장치로 전달한다(S405와 S406).
c) 한편으로, 이러한 경보설비 유형별로 송수신될 경우, 경보설비 유형/출력 서비스 유형별(음성/텍스트별 포함) 데이터 형식마다 정보를 다원화하는 포트 테이블로부터 현재 정보를 다원화하여 통신한다.
이때, 예를 들어, 상기 메인처리부에서 포트 테이블로 정보가 다원화될 경우에, 상기 포트 테이블에서 정보를 다수의 상이한 관리자 장치유형별로도 다원화하여 통신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일실시예는 각종 관리 정보처리장치와 연동하여 경보서비스를 할 경우에, ONE 서버에서 다수의 상이한 경보설비 유형별로 대응하는 개별 통신 프로토콜을 중앙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송수신함으로써, ONE 모니터링한다.
이상과 같이, 일실시예는 경보서비스가 될 경우에, 임베디드 기반으로 하나의 스마트 RTU(서버)에서 ONE 모니터링을 하는 구성으로부터 재해 경보를 수행함으로써, 경보 시스템의 관리와 설치, 유지보수의 효율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이를 통해 여러 형식의 경보설비들이 실제 현장에서 사용되는 상황하에서도, 재해위험지역의 재난ㅇ재해 발생 전 기상 상황의 계측/관측을 통해 조기경보를 신속히 발령하여 사람들의 안전을 보호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추가적으로 특정 장소별로 맞는 지속적 재해 절감을 위한 계측/관측 데이터를 축적하여 다면적 재난대응 스마트 조기경보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스마트 RTU는 이렇게 경보가 제공될 경우에, 관리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연결을 확보하므로, 신속하고 손쉽게 관련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전달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메인처리부는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a) 먼저, 경보가 제공될 경우에, 1차적으로 미리 등록된 로컬 통신망의 연결 여부를 확인해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로컬 통신망이 연결된 경우에는 상이한 관리 작업위치별로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관리자 공용 계정으로서 연결한다.
b)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로컬 통신망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2차적으로 미리 등록된 무선 통신망의 연결 여부를 확인해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무선 통신망이 연결된 경우에는 개별 IP 주소로 연결한다.
c)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무선 통신망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미리 등록된 이동 통신망의 단말기 식별 번호로 연결하므로,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 실시간 연결을 확보한다.
한편으로, 이렇게 관리자 단말기와 실시간으로 연결이 될 경우에, 연결의 보안을 위해서 IP테이블을 이용하여 등록된 IP의 감시 및 비인가자의 접속에 따른 모니터링(또는, 로그)을 관리하도록 한다.
a) 구체적으로는, 이를 위해 먼저 상기 로컬 통신망의 관리자 공용 계정과, 상기 무선 통신망의 개별 IP 주소를 등록한 IP 테이블을 미리 구성한다.
b) 그리고, 이렇게 관리자 단말기로 알람이 제공될 경우에, 해당하는 통신망의 HELLO 메시지를 송신해서 응답 결과 내의 다음 홉(next hop) 스위치 IP 주소를 추출한다.
c) 다음, 이러한 다음 홉 스위치 IP 주소와 동일한 스위치 IP 주소를 스위치 인접지 연결 관계 리스트에서 확인한다.
d)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추출된 다음 홉 스위치 IP 주소와 동일한 스위치 IP 주소가 있는 경우, 해당하는 관리자 공용 계정 또는, 개별 IP 주소가 상기 IP 테이블에도 있는지 확인하므로, 비인가자의 접속 여부를 확인한다.
e) 상기 확인 결과, 해당하는 관리자 공용 계정 또는, 개별 IP 주소가 상기 IP 테이블에도 있는 경우에 JOIN/PRUNE 메시지를 송신하므로, 해당하는 통신망과 연결한다.
한편으로, 이러한 동보장치는 이렇게 RTU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별도의 인터넷 네트워크 통신(유선통신)기능을 가진 환경제어보드로부터 각종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시스템 모니터링 및 편의성을 향상한다.
그리고, 또한 이때 이러한 환경제어보드에서 전술한 통신 기능과 연계하여 자가진단 및 주요 부품에 대한 와치독(Watchdog) 기능을 강화하여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빠른 시간 내 복구하여 고장시간을 최소화한다.
이를 위해, 동보장치는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주변에 다수의 상이한 환경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실시간으로 관련된 관리자 정보처리장치와 동보장치의 주제어부 즉, 메인처리부에 제공하고, 상기 관리 정보처리장치와 메인처리부의 제어에 의해 상태별로 설비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여 관리하는 환경제어보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환경제어보드는 아래의 구성을 구비한다.
먼저 이러한 환경 상태정보를 아날로그와 디지털로 수집하는 데이터 입/출력 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집된 환경 상태정보를 상기 관리 정보처리장치와 주제어부를 포함한 기기별 제어유형마다 미리 설정된 IoT 통신포맷에 따라 상이하게 송신하고,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의 송/수신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제어기기의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설비 기기의 동작을 상이하게 제어하는 제어부도 포함한다.
그래서,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각종 정보를 전달할 경우에, 상기 메인처리부와 통신장치(디스플레이부 포함)의 상태를 각각의 장치별로 미리 설정된 정상상태와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메인처리부의 상태가 해당하는 정상상태에 속하는 경우에 상기 메인처리부를 리셋시키지 않고, 정상상태에서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처리부의 IoT 통신포맷으로 메인처리부를 리셋시킨다.
다음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통신장치의 상태가 해당하는 정상상태에 속하는 경우에 상기 통신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지 않고, 정상상태에서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통신장치의 IoT 통신포맷으로 통신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또한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태가 해당하는 정상상태에 속하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백라이트를 오프시키지 않고, 정상상태에서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IoT 통신포맷으로 디스플레이부의 백라이트를 오프시킨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제어부는 주제어시스템과는 별도의 내부에 인터넷 네트워크 통신(유선통신)기능을 가진 환경제어보드로부터 각종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시스템 모니터링 및 편의성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제어부는 아래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동작한다.
1. 먼저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 상태정보가 수집될 경우에, 주변의 온습도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현재 온습도 상태를 판별해서, 현재 온습도 상태별로 팬과 히터의 동작을 상이하게 제어하여 스마트 RTU 내부 동작환경을 적정하게 유지한다.
2. 그리고,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 상태정보가 수집될 경우에, 주변의 미세먼지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현재 미세먼지 상태를 판별해서, 상기 관리자 정보처리장치와 상기 메인처리부에 각각의 IoT 통신포맷에 따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경우에 IoT 통신포맷은 관리자 정보처리장치인 경우에는 이더넷용 IoT 통신포맷으로 이루어지고, 메인처리부는 시리얼 통신용 IoT 통신포맷으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이를 통해 주변 미세먼지를 측정하고 정보를 제공한다.
3.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이렇게 환경 상태정보가 수집될 경우에, 주변의 진동상태정보를 수집하여 현재 진동상태를 판별해서, 상기 관리자 정보처리장치와 상기 메인처리부에 각각의 IoT 통신포맷에 따라 제공한다. 그래서, 이를 통해 RTU의 외부 충격에 알림하고 RTU 장치를 보호한다.
4. 이에 더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 상태정보가 수집될 경우에, 주변의 외부밝기 조도상태정보를 수집하여 현재 외부밝기 조도상태를 판별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백라이트 밝기 동작을 현재 외부밝기 조도상태별로 해당하는 IoT 통신포맷에 따라 상이하게 제어한다. 그래서, 스마트 RTU의 외부밝기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조절하여 이용자의 피로감을 줄여준다. 그리고, 이때 IoT 통신포맷은 시리얼 통신용 IoT 통신포맷을 사용한다.
5.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환경 상태정보가 수집될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조도상태정보를 수집하여 현재 화면 조도상태를 판별해서, 상기 판별 결과 현재 화면 조도상태가 미리 설정된 정상상태인 경우에 정상으로 확인하고 정상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고장으로 확인한다. 그래서, 디스플레이의 화면 출력여부를 확인하여 고장여부를 확인한다.
6. 상기 제어부는 환경 상태정보가 수집될 경우에, 주변의 근접상태정보를 수집하여 현재 주변 근접상태를 판별해서, 상기 판별 결과 현재 주변 근접상태가 미리 설정된 근접거리보다 이내인 경우 외부조명을 점등시키고, 이내가 아닌 경우에는 외부조명을 소등한다. 이를 통해, 야간에 단말기 주변으로 접근시 외부조명을 점등하여 인지시켜 사고를 방지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이러한 스마트 RTU는 각종 정보를 전달할 때, 주제어시스템과는 별도의 인터넷 네트워크 통신기능을 가진 환경제어보드로부터 주변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고, 상이한 상태별로 맞는 개별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환경제어보드가 주제어시스템의 명령없이 개별적으로 통신과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으로, 이러한 동보장치는 이렇게 모니터링을 할 경우에, 아래의 구성으로부터 동보장치 내에 각종 장치와 센서 정보를 학습하여 원활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추가적으로, 한편으로는 이러한 동보장치는 주변상태 등의 현장상황을 감안하여 모니터링용 학습모델을 생성해서, 이로부터 관련된 모니터링과 제어정보를 현장상황에 맞게 제공하므로, 관련모니터링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양호한 서비스를 제공해 준다.
이러한 경우, 이러한 학습모델은 다양한 장소와, 시간대, 주변상태별로 관련된 데이터를 속성화하므로, 처리율을 보다 높이기도 한다.
a) 먼저, 상기 단말기 내의 장치와 센서에 대한 모니터링용 학습모델은 제어정보를 추천할 경우에,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의 백라이트를 오프할 경우에, 다양한 단말기 장치와 설치 장소, 온도, 습도별로의 상태정보를 주말과 주중/공휴일을 포함한 시간대와, 장소 등 별로 분류하여 학습하는 모델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날씨(예: 안개, 비, 눈 등)와, 온습도, 미세먼지, 계절 등을 포함한다.
b) 다음, 다수의 상이한 상태정보에 대한 기본적인 데이터셋을 추출한다.
c) 그리고 나서, 이러한 데이터셋을 다수의 상이한 설치 장소와, 시간대, 온도, 습도 등을 반영하여 속성화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설치 장소는 도시와 시골, 한적한 들판 등이다. 그리고, 시간대는 새벽이나 또는, 밤, 오전과 오후, 해질녁 등이다.
d) 그래서, 이러한 속성화된 결과를 기초로 한 다수의 상이한 학습 모델별로 상태정보의 속성을 결정한다.
e) 그런 후에, 상기 결정된 결과를 정규화한다.
f) 그리고, 이러한 정규화된 결과를 기초로 해서 다수의 상이한 학습 모델별로 상태정보를 설정한다. 그래서, 다수의 상이한 상태정보를 주변상태 등의 현장상황별로 추천하는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독립(추천정보) 및 종속(상태정보) 변수로 설정한다.
g) 다음, 상기 설정된 결과를 학습 및 훈련 데이터로 생성한다.
h) 그래서, 이를 통해 이러한 결과로부터 딥러닝 기반의 모니터링용 학습모델을 생성한다.
그래서, 이러한 동보장치는 전술한 바대로 모니터링을 할 경우에, 미리 등록된 이러한 학습모델에 의해서 추천정보를 즉, 제어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므로, 관련된 서비스를 더욱 더 높여 제공해 준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학습모델을 생성하는 방식에 대해서 조금 더 설명한다.
먼저, 이러한 학습모델은 다수의 상이한 장치별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와 메인처리부, 통신모듈별로 학습 모델을 생성한다. 그리고, 설치 장소와, 사용 시간대, 사용 시기, 계절과 날씨 등에 따라 패턴이 달라서 데이터셋을 구분하여 모델을 생성한다. 따라서, 모델은 다양한 분야의 장치 업체마다 새로 생성할 수도 있고 기준을 잡아 몇 개의 묶음으로 모델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것은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방법을 결정하도록 한다.
다음, 실시간으로 수집한 데이터에서 주변 상태와, 장치 등의 오류로 인하여 다수 데이터가 수집되지 않을 경우와 예약이 특이하게 많은 이상치 등이 발생할 경우 등에, 해당하는 데이터 파일을 제거한다.
그리고, 간혹 데이터의 끊김 현상으로 일부 데이터가 미수집 되었을 경우 해당하는 데이터를 제거한다.
다음으로 상이한 모델별로 유효한 속성을 결정하고 정규치를 생성한 후 독립 및 종속 변수를 결정한다.
그리고 나서, 학습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전체 데이터 중에서 학습과 훈련 데이터를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전체 데이터셋에서 70%를 학습데이터로 30%를 모델 생성후 모델을 시험하기 위해 훈련데이터로 사용한다.
다음으로 학습 모델을 생성한다. 이 단계에서 어떠한 학습모델을 사용할 것인지 결정한다. 예를 들어, 딥러닝 기반에서 필요한 레이어를 구성하여 입력과 출력층을 구성하여 최정 출력 개수를 설정하는 구성을 말한다. 그리고 나서, 이렇게 생성된 모델을 평가하고 이 모델을 오차율에 만족하면 새로운 데이터로 모델을 시뮬레이션 한 후, 모델 갱신이 필요하지 않으면 학습 모델을 저장한 후 예측 모델로 사용한다.
한편 이들과 다른 형태로서, 이러한 동보장치는 이렇게 유지 보수할 경우에, 각각의 장치별로서 고장원인을 분석하므로, 정비 대상과 부품 등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유지 보수한다.
이를 위해, 상기 환경제어보드는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먼저, 상기 환경제어보드는 각각의 장치별로 고장진단이 될 경우에, 아래의 고장원인분석 포맷으로부터 현재 고장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는 장치구성요소를 검출하므로, 실제 고장원인을 추정한다.
이때, 상기 고장원인분석 포맷을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a) 먼저, 상기 고장원인분석 포맷은 장치구성요소가 검출될 경우, 다수의 상이한 장치구성요소별로의 기본 장치특성으로부터 각각의 영향도를 고장성이 높은 순서대로 산출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에 이상이 발생해서, 고장원인을 분석할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기본 디스플레이부 화면과, 선로 장비, 주변 기기 등의 순서로 산출한다.
b) 그리고, 상기 장치구성요소의 영향도(Zt)는 하기 [식 1]에 따라 산출한다.
[식 1]
Zt = η1Zt-1 + η2Zt-2 + ... + ηpZt-p + ιt - ι1κt-1 - ... - ιqκt-q
(여기서, Zt는 장치구성요소(t)의 전체 현재 영향도, Zt-n은 장치구성요소(t)의 주요 상태인자별(t-1, t-2, ... , t-p) 현재 영향도, η는 주요 상태인자별 기본 영향도상관계수, κ는 주요 상태인자별 이동 평균 영향도와 현재 영향도(Zt-n)의 오차, ι는 주요 상태인자별 기본 오차상관계수)
예를 들어, 상기 주요 상태인자는 기본 디스플레이부 화면인 경우에, 표면 상태와 색상 상태(변형관련), 마찰(또는, 마모) 상태, 온도 상태 등이다.
그래서, 이러한 특정 장치구성요소의 영향도는 예를 들어, 기본 디스플레이부 화면인 경우, 표면 상태 등의 현재 영향도를 전체 합산하고, 평균값 즉 이동 평균 영향도와 현재 영향도의 오차가 주는 영향도를 주요 상태인자별로 전체 합산한다. 그리고, 이러한 각각의 합산된 결과를 다시 더해서 결과값을 얻게 된다.
이때, 영향도는 예를 들어, 표면 상태가 가진 기본 상관 정도 즉, 표면 상태가 고장진단이 될 때에 기본적으로 영향을 얼마만큼 주는지에 대한 기본값과, 가중치(아래 내용참조), 현재 표면 상태별로 비례하는 영향도를 곱해서 된다.
그래서, 이를 통해 이러한 영향도(Zt)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이상인 경우에, 해당하는 장치구성요소가 현재 이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별하므로, 고장원인을 알아내게 된다.
그리고, 또한 이러한 경우에 고장원인에 대해서 고장가능성이 높은 순서를 사용하여 판별함으로써, 큰 영향을 주는 고장원인에 대하여 신속한 수리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도 한다.
c) 다음, 전술한 가중치 즉, 상기 기본 영향도상관계수는 주요 상태인자별로의 기본 영향도상관 정도에 비례하여 상이한 가중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기본 디스플레이부 화면인 경우에, 표면 상태에 가장 큰 가중치를 부여하고, 마찰(또는, 마모) 상태와, 온도 상태 등에 그 다음으로 큰 값을 순서대로 부여한다. 그리고, 색상 상태(변형관련)에 그 다음으로 큰 가중치를 부여한다.
d) 또한, 다음으로는 상기 [식 1]의 이동 평균 구간은 아래와 같이 정한다.
즉, 장치구성요소의 기본 마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 미리 설정된 기준 이동 평균 구간 값에서 하기 [식 2]에 따라 산출한 이동 평균 구간 값만큼 줄이고, 상기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식 2]에 따라 산출한 이동 평균 구간 값만큼 늘인다.
[식 2]
이동 평균 구간 = [{|현재 마모도 - 설정 마모도|/단위 마모도 차이 값} ㅧ 단위 이동 평균 구간]
그래서, 이를 통해 상이한 장치구성요소별로 마모도에 따라 이동 평균 구간을 상이하게 설정한다.
100 : 기상정보수집관리 정보처리장치
200 : 방송송출관리 정보처리장치
300 : 전광판관리 정보처리장치
400-1 : 관리자 정보처리장치
400-2 : 관리자 단말기
500 : 스마트 RTU
501 : 네트워크 입출력모듈 502 : 통신모듈
503 : 통신변환기 504 : HTTP 서버
505 : 데이터베이스 506 : 메인처리부

Claims (10)

  1. 원격지에 대상을 관리할 경우에, 대상의 상태를 수집하는 장치와 제어 또는 출력하는 장치 내에서 상호 간에 정보를 중계하여 대상을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RTU(Remote Terminal Unit)에 있어서,
    기상정보수집관리 정보처리장치와 출력장치인 방송송출관리 정보처리장치 및 전광판관리 정보처리장치에 연결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입출력모듈;
    관리자 정보처리장치 및 단말기에 연동하여 제어신호를 통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기상정보수집관리 정보처리장치와 상기 방송송출관리 정보처리장치 및 상기 전광판관리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정보가 송수신될 경우에, 다수의 상이한 경보설비 유형별로 대응하는 개별 통신 프로토콜을 중앙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통신변환기;
    상기 기상정보수집관리 정보처리장치와 방송송출관리 정보처리장치 및 전광판관리 정보처리장치와 정보를 교환하도록 하는 HTTP 서버;
    상기 각 관리 정보처리장치의 등록정보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기상정보수집관리 정보처리장치에서 기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관리자 정보처리장치 및 단말기로 전달해서 제어신호를 회신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알림 음성과 텍스트를 방송송출관리 정보처리장치와 전광판관리 정보처리장치로 전달하는 메인처리부; 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메인처리부는,
    a) 상기 각 관리 정보처리장치와 정보가 송수신될 경우에, 다수의 상이한 경보설비 유형별로 대응하는 개별 통신 프로토콜을 중앙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포맷을 미리 설정 등록해서,
    b) 상기 기상정보수집관리 정보처리장치로부터 기상 데이터가 수신될 때, 상기 포맷으로부터 현재 개별 통신 프로토콜을 중앙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해서, 상기 각 관리 정보처리장치 상호 간에 정보를 송수신하고,

    c) 상기 경보설비 유형별로 송수신될 경우, 경보설비 유형과 음성 및 텍스트를 포함한 출력 서비스 유형별로의 데이터 형식마다 정보를 다원화하는 포트 테이블로부터 현재 정보를 다원화하여 통신하고,

    d) 상기 각 관리 정보처리장치의 장치등록 정보와 데이터를 저장한 테이블을 기상정보수집관리 정보처리장치와 출력장치, 관리자 정보처리장치 및 단말기와 상호 간에 동일하게 구비하고, 상기 테이블에 대한 정합 관계를 미리 설정 등록해서,
    e) 상기 기상정보수집관리 정보처리장치와 출력장치, 관리자 정보처리장치 및 단말기의 테이블 내에 콘텐츠가 변경될 경우, 상기 정합 관계에 따라서 자체 테이블에 동기화하고,
    f) 상기 테이블이 동기화될 경우에, 상이한 경보설비 유형 및 출력서비스 유형별 데이터 유형마다 콘텐츠를 다원화하여 수행함으로써, 상호 간에 데이터베이스를 실시간 일치하고,

    또한, 상기 메인처리부는,
    상기 포트 테이블로 정보가 다원화될 경우에, 상기 포트 테이블에서 정보를 다수의 상이한 관리자 장치유형별로도 다원화하여 통신하고,

    a)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 통신을 할 경우, 1차적으로 미리 등록한 로컬 통신망의 연결 여부를 확인해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로컬 통신망을 연결한 경우에는 상이한 관리 작업위치별로 대응하여 미리 설정한 관리자 공용 계정으로서 연결하고,
    b)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로컬 통신망을 연결하지 않은 경우에는 2차적으로 미리 등록한 무선 통신망의 연결 여부를 확인해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무선 통신망을 연결한 경우에는 개별 IP 주소로 연결하고,
    c)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무선 통신망을 연결하지 않은 경우에는 미리 등록한 이동 통신망의 단말기 식별 번호로 연결하므로,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 실시간 연결을 확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RTU.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처리부는
    a) 상기 로컬 통신망의 관리자 공용 계정과, 상기 무선 통신망의 개별 IP 주소를 등록한 IP 테이블을 미리 구성하고,
    b)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알람이 제공될 경우에, 해당하는 통신망의 HELLO 메시지를 송신해서 응답 결과 내의 다음 홉(next hop) 스위치 IP 주소를 추출하고,
    c) 상기 추출된 다음 홉 스위치 IP 주소와 동일한 스위치 IP 주소를 스위치 인접지 연결 관계 리스트에서 확인하며,
    d)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추출된 다음 홉 스위치 IP 주소와 동일한 스위치 IP 주소가 있는 경우, 해당하는 관리자 공용 계정 또는, 개별 IP 주소가 상기 IP 테이블에도 있는지 확인하므로, 비인가자의 접속 여부를 확인하고,
    e) 상기 확인 결과, 해당하는 관리자 공용 계정 또는, 개별 IP 주소가 상기 IP 테이블에도 있는 경우에 JOIN 및 PRUNE 메시지를 송신하므로, 해당하는 통신망과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RTU.
  5. 청구항 4에 있어서,
    주변에 다수의 상이한 환경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관리자 정보처리장치와 메인처리부에 제공하고, 상기 관리자 정보처리장치와 메인처리부의 제어에 의해 상태별로 설비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여 관리하는 환경제어보드; 를 포함하고,
    상기 환경제어보드는,
    상기 환경 상태정보를 아날로그와 디지털로 수집하는 데이터 입/출력 모듈;
    상기 수집된 환경 상태정보를 상기 관리자 정보처리장치와 메인처리부를 포함한 기기별 제어유형마다 미리 설정된 IoT 통신포맷에 따라 상이하게 송신하고,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의 송/신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설비 기기의 동작을 상이하게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 상태정보가 수집될 경우에, 주변의 온습도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현재 온습도 상태를 판별해서, 현재 온습도 상태별로 팬과 히터의 동작을 상이하게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RTU.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 상태정보가 수집될 경우에, 주변의 미세먼지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현재 미세먼지 상태를 판별해서, 상기 관리자 정보처리장치와 상기 메인처리부에 각각의 IoT 통신포맷에 따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RTU.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 상태정보가 수집될 경우에, 주변의 진동상태정보를 수집하여 현재 진동상태를 판별해서, 상기 관리자 정보처리장치와 상기 메인처리부에 각각의 IoT 통신포맷에 따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RTU.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 상태정보가 수집될 경우에, 주변의 외부밝기 조도상태정보를 수집하여 현재 외부밝기 조도상태를 판별해서, 해당 스마트 RTU의 기본 화면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의 백라이트 밝기 동작을 현재 외부밝기 조도상태별로 해당하는 IoT 통신포맷에 따라 상이하게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RTU.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 상태정보가 수집될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조도상태정보를 수집하여 현재 화면 조도상태를 판별해서, 상기 판별 결과 현재 화면 조도상태가 미리 설정된 정상상태인 경우에 정상으로 확인하고 정상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고장으로 확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RTU.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 상태정보가 수집될 경우에, 주변의 근접상태정보를 수집하여 현재 주변 근접상태를 판별해서, 상기 판별 결과 현재 주변 근접상태가 미리 설정된 근접거리보다 이내인 경우 외부조명을 점등시키고, 이내가 아닌 경우에는 외부조명을 소등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RTU.












KR1020210082812A 2021-06-25 2021-06-25 스마트 rtu KR102434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812A KR102434944B1 (ko) 2021-06-25 2021-06-25 스마트 rtu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812A KR102434944B1 (ko) 2021-06-25 2021-06-25 스마트 rtu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944B1 true KR102434944B1 (ko) 2022-08-23

Family

ID=83092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812A KR102434944B1 (ko) 2021-06-25 2021-06-25 스마트 rtu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9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52605A (zh) * 2023-08-23 2023-11-14 三峡新能源清水发电有限公司 一种风力发电机组安全作业的处理***及其实现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8897A (ko) * 2008-08-07 2010-0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00020848A (ko) * 2008-08-13 2010-02-23 (주)지구환경전문가그룹 다중의 경보 표출 방법을 지원하는 cap기반 경보전파중계시스템
KR20130044828A (ko) * 2011-10-25 2013-05-03 주식회사 케이티 이기종 장비 통합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87888A (ko) * 2015-11-27 2018-08-03 시아오미 아이엔씨. 제어를 받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2103253B1 (ko) * 2019-04-19 2020-05-12 지순복 가로등의 디밍 제어가 가능한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8897A (ko) * 2008-08-07 2010-0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00020848A (ko) * 2008-08-13 2010-02-23 (주)지구환경전문가그룹 다중의 경보 표출 방법을 지원하는 cap기반 경보전파중계시스템
KR20130044828A (ko) * 2011-10-25 2013-05-03 주식회사 케이티 이기종 장비 통합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87888A (ko) * 2015-11-27 2018-08-03 시아오미 아이엔씨. 제어를 받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2103253B1 (ko) * 2019-04-19 2020-05-12 지순복 가로등의 디밍 제어가 가능한 제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52605A (zh) * 2023-08-23 2023-11-14 三峡新能源清水发电有限公司 一种风力发电机组安全作业的处理***及其实现方法
CN117052605B (zh) * 2023-08-23 2024-05-28 三峡新能源清水发电有限公司 一种风力发电机组安全作业的处理***及其实现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1838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residential devices
US8410931B2 (en) Mobile inventory unit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US95715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remote devices
KR102167569B1 (ko) 스마트 팩토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35598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가로등 조명제어 시스템
US77393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ollution information over an integrated wireless network
CN102170470B (zh) 基于物联网的消防信息管理平台
CN111683126A (zh) 城市安全智慧管控***
KR101186774B1 (ko)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시스템
CN108981803A (zh) 一种水务监控管理***
CN106966240A (zh) 一种电梯远程监控***
CN102819249B (zh) 电力隧道联动控制***及控制方法
KR101822541B1 (ko) 스마트 가로등,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CN205792714U (zh) 一种基于多级管理的广播电视发射平台监控管理***
KR20220122923A (ko) 스마트 공장의 데이터 취합 및 모니터링 시스템
CN109302781A (zh) 应急照明***及相关方法
KR102434944B1 (ko) 스마트 rtu
KR102022010B1 (ko) Iot 기반 건물 및 시설물 통합 관리 플랫폼 장치 및 그 방법
KR102355004B1 (ko) IoT 기반의 스마트 정류장안내단말기
CN105258103A (zh) 全自动锅炉智能报警提醒***及方法
CN107018612A (zh) 建筑公共区域照明远程监控提示平台及其提示方法
KR101588664B1 (ko) 중앙제어전용통합입출력수단을 이용한 원클릭 수리시설관리 자동화시스템
CN103118070B (zh) 一种家庭网关的自动售后服务***
KR20220122922A (ko) Ai기반 데이터 로거 시스템
CN102608972A (zh) 酒柜的远程监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