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636B1 - A recommendation method of acoustic equipment based on user's music listening style - Google Patents

A recommendation method of acoustic equipment based on user's music listening sty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636B1
KR102434636B1 KR1020190022892A KR20190022892A KR102434636B1 KR 102434636 B1 KR102434636 B1 KR 102434636B1 KR 1020190022892 A KR1020190022892 A KR 1020190022892A KR 20190022892 A KR20190022892 A KR 20190022892A KR 102434636 B1 KR102434636 B1 KR 102434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usic
sound
frequency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8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04510A (en
Inventor
김수연
이상훈
김정현
석철민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2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636B1/en
Publication of KR20200104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5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6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사용자의 음악 청취 스타일에 기반한 음향기기 추천 방법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악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음악의 음원에 대한 주파수별 음압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주파수별 음압을 미리 결정된 개수의 음역대별로 분리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의 주파수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주파수 그래프를 미리 저장된 서로 다른 종류의 음향기기들의 주파수 응답 대역 그래프와 대비함으로써, 음향기기별로 사용자의 음악 청취 스타일에 대한 적합성 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적합성 지수의 수치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음향기기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recommending a sound device based on a user's music listening style includes the steps of selecting at least one music preferred by the user, extracting sound pressure for each frequency from the selected at least one music sound source, and the extracted sound pressure for each frequency. is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sound bands to generate a frequency graph of the music preferred by the user, and by comparing the generated frequency graph with the frequency response band graphs of different types of sound devices stored in advance, and calculating a suitability index for the user's music listening style, and recommending a sound device to the user based on the calculated value of the suitability index.

Description

사용자의 음악 청취 스타일에 기반한 음향기기 추천 방법{A RECOMMENDATION METHOD OF ACOUSTIC EQUIPMENT BASED ON USER'S MUSIC LISTENING STYLE}A RECOMMENDATION METHOD OF ACOUSTIC EQUIPMENT BASED ON USER'S MUSIC LISTENING STYL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악 청취 스타일에 기반한 음향기기 추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을 분석하여 감상에 적합한 음향기기를 추천함으로써 최적의 음악 감상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의 음악 청취 스타일에 기반한 음향기기 추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commending a sound device based on a user's music listening sty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r's music for providing an optimal music listening environment by analyzing a user's preferred music and recommending a sound device suitable for listening. It relates to a method for recommending an audio device based on a listening style.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음악 감상의 트렌드가 편의성 위주에서 고음질의 음원을 이용한 수준 높은 청음을 추구하는 하이파이 시장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이동하면서도 음악을 청취할 수 있는 이어폰이나 헤드폰 등의 제품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사용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혀주고 있다. 하지만 출시되는 제품의 수가 너무 많아지면서 사용자들은 어떠한 제품이 자신에게 적합한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기 힘들어졌다. As technology advances, the hi-fi market is increasing, where the trend of music appreciation is based on convenience and pursues high-quality listening using high-quality sound sources. In particular, products such as earphones and headphones that can listen to music while on the move are increasing in recent years, broadening the range of choices for users. However, as the number of products on the market has increased, it is difficult for users to find out which product is right for them.

특히, 고가의 음향 기기들을 직접 들어보고 구입하기가 쉽지 않고 다양한 제품을 청음할 수 있는 매장의 수도 부족하여 사용자들은 온라인상에 게시된 정보만으로 구매를 하게 되고, 많은 경우 자신의 음악적 성향과 맞지 않은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온라인에 공개된 정보는 스펙에 대한 것으로 사용자들이 원하는 따뜻한 음색이나 청량감과 가은 주관적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 적절한 음향기기를 찾는 것은 더욱 어려울 수밖에 없다. 또한, 음악뿐만 아니라 외국어 공부 등에 사용하는 음향기기를 선택할 때 적절하지 않은 장비를 선택하여 학습 능률을 떨어뜨리는 경우도 있다. In particular, it is not easy to listen to and purchase expensive sound devices directly, and the number of stores where various products can be heard is insufficient. The use of products is increasing. In addition, the information disclosed online is about specifications, and it is more difficult to find a suitable sound device because it does not provide the user's desired warm tone, refreshing feeling, and subjective information. In addition, when selecting an audio device used for studying a foreign language as well as music, inappropriate equipment is selected to reduce learning efficiency.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음악적 취향에 가장 접합한 음향기기를 추천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frequency of the music preferred by the user to recommend an audio device most suitable for the user's musical tast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가 선호하거나 반복하여 듣는 음악의 스타일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적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음향기기를 추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nalyze a style of music that a user prefers or listens repeatedly to recommend a method for recommending a sound device capable of further improving the musical characteristics preferred by the user. is to provide

상기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음악 청취 스타일에 기반한 음향기기 추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악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음악의 음원에 대한 주파수별 음압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주파수별 음압을 미리 결정된 개수의 음역대별로 분리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의 주파수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주파수 그래프를 미리 저장된 서로 다른 종류의 음향기기들의 주파수 응답 대역 그래프와 대비함으로써, 음향기기별로 사용자의 음악 청취 스타일에 대한 적합성 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적합성 지수의 수치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음향기기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method for recommending a sound device based on a user's music listening sty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ng at least one music preferred by the user, Extracting sound pressure for each frequency of the sound source, separating the extracted sound pressure for each frequency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sound bands, generating a frequency graph of the music preferred by the user, and storing the generated frequency graph in different Comparing with the frequency response band graph of the types of sound devices, calculating a suitability index for the user's music listening style for each acoustic device, and recommending a sound device to the user based on the calculated value of the suitability index. .

상기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음악 청취 스타일에 기반한 음향기기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는, 추출된 주파수별 음압이 반복적으로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높거나 강조되는 음역에 대해서는 가중치를 부여하고, 각 음역대별 가중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의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method for recommending a sound device based on a user's music listening sty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generating the frequency graph includes: repeatedly lowering the extracted sound pressure for each frequency than a predetermined standard A weight may be given to a range that is high or emphasized, and a frequency of music preferred by the user may be generated using the weight for each range.

상기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음악 청취 스타일에 기반한 음향기기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향기기는 이어폰일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method for recommending a sound device based on a user's music listening sty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device may be an earphon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음악 청취 스타일에 기반한 음향기기 추천 방법에 따르면, 음악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의 음악 취향을 파악하여 보다 수준 높은 품질로 재생할 수 있는 기기를 추천해줌으로써 사용자들에게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추천 리스트에 특정 음향기기를 추가해주는 대가로 일정한 추가 수입을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ethod for recommending a sound device based on a user's music listening sty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music service provider recognizes the user's music taste and recommends a device capable of playing with a higher quality. can provide useful services to them. In addition, in return for adding a specific sound device to the recommendation list, you can get a certain amount of additional income.

또한, 사용자의 경우 자신의 음악적 취향에 대해 특별히 고민하지 않고,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형태의 음향기기를 추천받을 수 있다. 또한 기존에는 타 사용자의 주관적인 리뷰에 근거한 음향기기 구입으로 인해 잘못된 제품을 구입함으로서 서비스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최적의 음향기기를 구매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 수의 증가로 인한 수익 증가 및 서비스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user, the user can be recommended a sound device of the most suitable form without worrying about his or her musical taste. In addition, by purchasing the wrong product due to the purchase of audio equipment based on the subjective reviews of other users, service users can purchase the best audio equipment that suits their taste, and service providers can increase revenue and service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users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of

또한, 음향기기 제작업체는 자신의 제품이 어떠한 음악적 특성을 나타내는지에 대한 마케팅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분석결과를 통해 어떠한 특성의 음향기기를 다수의 사용자들이 원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ound device manufacturer can reduce the marketing cost of what kind of musical characteristics their products show, and it is possible to figure out what kind of sound device many users want through the analysis result.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자의 음악 청취 스타일에 기반한 음향기기 추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프로우차트이다.
도 2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의 주파수 그래프의 예시도들이다.
도 3은 음향기기 제조사들이 제공하는 음향기기의 주파수 응답 대역 그래프의 예시도들이다.
도 4는 도 2의 주파수 그래프 대비 도 3의 주파 응답 대역 그래프의 적합성 지수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5는 종래의 방법과 본 발명의 추천 방법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들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commending a sound device based on a user's music listening sty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frequency graph of music preferred by a user.
3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frequency response band graph of an audio device provided by audio device manufacturers.
4 is a table showing the suitability index of the frequency response band graph of FIG. 3 compared to the frequency graph of FIG. 2 .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ventional method and the recommende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text,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exists, and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are present. ,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are not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

한편,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 블록 내에 명기된 기능 또는 동작이 순서도에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두 블록이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관련된 기능 또는 동작에 따라서는 상기 블록들이 거꾸로 수행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certain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differently, functions or operations specified in a specific block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from that specified in the flowchart. For example, two consecutive blocks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the blocks may be performed in reverse according to a related function or opera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자의 음악 청취 스타일에 기반한 음향기기 추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프로우차트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commending a sound device based on a user's music listening sty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용자의 음악 청취 스타일에 기반한 음향기기 추천 방법은 사용자의 선호 음악을 추출하는 단계, 선호음악에 대한 주파수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 단계, 추출된 주파수를 음역대 별로 분리하는 음역 분리 및 분리된 주파수 영역을 분석하여 사용자 선호 음역을 파악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선호 음역과 적합한 음향기기의 적합성을 파악하는 음향기기별 재생능력 파악 및 추천 단계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1 , the method for recommending a sound device based on a user's music listening sty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xtracting a user's preferred music, a data extracting step of extracting a frequency for the preferred music, and separating the extracted frequencies for each sound band. It consists of a step of identifying a user's preferred range by analyzing the sound range separation and the separated frequency domain, and a step of identifying and recommending a reproduction capability for each sound device that identifies the user's preferred range and the suitability of a suitable sound device.

우선,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을 추출하며, 이 때 사용자가 선호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악 파일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 파일은, 사용자의 당해 음악에 대한 재생 빈도, 또는 사용자가 반복하여 재생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자동적으로 결정되며, 또는 이와 달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특정의 음악이 선택될 수도 있다. First, the music preferred by the user is extracted, and at this time, at least one music file preferred by the user is selected. In general, the music file preferred by the user is automatical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r's refresh rate for the music, or whether the user has played it repeatedly, or alternatively, the particular music is selected by the user. may be

사용자가 선호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악 파일이 선택되면, 해당 음악 파일에 대한 주파수 추출과 메타 데이터의 추출이 실시된다. 특히 음악의 경우, 각각의 주파수별로 음압을 측정하고 이를 통하여 주파수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When at least one music file preferred by the user is selected, frequency extraction and metadata extraction of the corresponding music file are perform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usic, sound pressure is measured for each frequenc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equency can be identified through this.

음악 파일에 대한 주파수가 추출되면, 추출된 주파수를 음역대별로 분리하는 작업이 실시된다. 음역대의 경우 필요에 따라 5-band, 10-band 등 단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구간이 많아질수록 더욱 세밀한 추천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5-band로 나눌 경우, 0~80Hz, 81~200Hz, 201~800Hz, 801~3KHz, 3KHz~16KHz 등의 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 이처럼 특정 구간별로 음역을 분리하게 되면 사용자가 어떠한 음역대의 음악을 선호하는지 알 수 있게 된다. When the frequency for the music file is extracted, the operation of separating the extracted frequency for each sound band is performed. In the case of the sound range, you can freely set steps such as 5-band, 10-band, etc. according to your needs, and as the number of sections increases, more detailed recommend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when divided into 5-band, it can be divided into sections such as 0~80Hz, 81~200Hz, 201~800Hz, 801~3KHz, 3KHz~16KHz. In this way, if the sound range is separated for each specific section, it is possible to know which music range the user prefers.

이렇게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역 구간을 파악하게 되면 각 구간별로 사용자 적합성 지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0~80Hz, 81~200Hz가 강조된 저음역대 위주의 음악을 선호하는 경우 이 구간에 대해서는 0에서 5점 척도 중 5점을 부여하는 형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점수 산출단계를 거쳐 나온 구간별 적합성 지수는 그래프 형태로 선호 음역대를 나타내거나 구간별 적합성 지수 자체로 나타낼 수 있다. When the user's preferred transliteration section is identified in this way, a user suitability index can be assigned to each section. For example, if the user prefers low-pitched music that emphasizes 0 to 80 Hz and 81 to 200 Hz, this section can be set in the form of giving 5 points on a 0 to 5 point scale. The suitability index for each section obtained through such a score calculation step can be expressed in a graph form in the form of a preferred sound range or as a suitability index for each section itself.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음악 청취 스타일에 기반한 음향기기 추천 방법에서는 사용자의 선호 음역대에 맞추어 음향기기를 추천할 수 있도록 음향기기의 재생능력을 파악하고 사용자의 선호음역과 매칭하여 최적의 음향기기를 추천한다. In the method for recommending a sound device based on a user's music listening sty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roducing ability of the sound device is identified so that the sound device can be recommend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red sound range, and the optimal sound device is recommended by matching it with the user's preferred range. do.

음향기기의 경우 제조사에서 음향기기의 재생능력을 그래프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를 이용하여 음향기기 자체의 재생능력과 어떠한 음역을 강조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앞서 음역 분리 단계에서 설정한 음역 범위를 적용하여 각 음향기기가 특정 음역 범위에서 어느 정도의 성능을 내는지 파악하고 이를 수치화하여 음역별 재생능력을 파악할 수 있다. 수치화를 위해 추천 가능한 음향기기 별로 음역대에서 가장 높은 성능을 보이는 경우를 기준으로 순서에 따라 점수를 부여할 수 있으며 또는 재생능력에 이반하여 점수를 부여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audio equipment, it is common for manufacturers to provide the reproduction capability of the audio equipment in the form of a graph, and by using th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reproduction capability of the audio equipment itself and what sound range is being emphasized. By applying the sound range set in the previous sound range separation step, it is possible to figure out how much performance each sound device performs in a specific sound range range, and then quantify it to figure out the reproduction ability for each sound range. For digitization, points may be given in order based on the case of the highest performance in the sound range for each recommended sound device, or points may be given against the reproducibility.

음향기기에 대한 재생능력의 파악이 완료되면 앞선 단계에서 추출한 사용자의 선호음역과 비교하여 최적의 상품을 추천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81~200Hz 구간이 강조된 음악을 선호할 경우에는 다양한 음향기기 중 81~200Hz 구간의 재생능력이 가장 탁월한 음향기기가 사용자의 선호에 적합하다 할 수 잇다. 또한 1개의 구간 뿐 아니라 사용자가 2개나 3개의 음역이 강조된 음악을 선호하는 경우 이 구간을 모두 강조한 음향기기를 추천할 수 있다. When the reproducing ability of the audio device is determined, it is possible to recommend an optimal product by comparing it with the user's preferred range extracted in the previous step. For example, if the user prefers music with an emphasis on the 81-200Hz range, it can be said that among various audio devices, the audio device with the best reproducing ability in the 81-200Hz range is suitable for the user's preference. In addition, if the user prefers music in which two or three sound ranges are emphasized as well as one section, an audio device emphasizing all these sections can be recommended.

이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의 주파수 그래프의 예시도들이다. 도 3은 음향기기 제조사들이 제공하는 음향기기의 주파수 응답 대역 그래프의 예시도들이다. 도 4는 도 2의 주파수 그래프 대비 도 3의 주파 응답 대역 그래프의 적합성 지수를 나타내는 표이다.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frequency graph of music preferred by a user. 3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frequency response band graph of an audio device provided by audio device manufacturers. 4 is a table showing the suitability index of the frequency response band graph of FIG. 3 compared to the frequency graph of FIG. 2 .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선호하는 특정의 음악의 예시로서, 음악 A 및 음악 B의 주파수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으며,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으로 형성된 해칭에 의해 각 음악의 주파수 특성이 표현된다. 음악 A의 경우, 저음과 고음이 함께 강조된 V자 형태의 음악 특성을 나타내는 반면, 음악 B의 경우 고음이 강조된 음악임을 알 수 있다. 즉, 음악 A의 경우, 해칭이 표시된 4-3-2-3-4 영역과, 음악 B의 경우, 해칭이 표시된 2-2-3-4-4 영역의 주파수 특성을 갖는다. Referring to FIG. 2 , as an example of specific music preferred by the user, frequency graphs of music A and music B are shown, 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each music are expressed by hatching formed from the upper left to the lower right. It can be seen that music A shows a V-shaped musical characteristic in which both low and high notes are emphasized, whereas in music B, high notes are emphasized. That is, in the case of music A, it has a frequency characteristic of a 4-3-2-3-4 region in which hatching is displayed, and in the case of music B, in a 2-2-3-4-4 region in which hatching is displayed.

도 3을 참조하면, 음향기기 제조사들이 제공하는 6개의 음향기기 A 내지 F의 주파수 응답 대역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으며, 앞서 설명한 대로, 도 2에 적용한 음역 범위를 적용하고, 재생능력을 파악하여 그래프화 한 것이다. 즉, x축은 주파수를 나타내며, y축은 재생능력을 나타낸다. 음향기기 A 내지 F의 재생능력은 우측 상단에서 좌측 하단으로 형성된 해칭에 의해 표현된다. Referring to FIG. 3, frequency response band graphs of six audio devices A to F provided by audio device manufacturers are shown, and as described above, the sound range applied to FIG. 2 is applied, and the reproduction ability is identified and graphed. did it That is, the x-axis represents the frequency, and the y-axis represents the reproducibility. The reproducibility of the audio devices A to F is expressed by hatching formed from the upper right to the lower left.

도 4를 참조하면, 음악과 각 음향기기 간의 주파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표 안의 각 수치들은 도 2의 각 음악의 주파수 그래프와 도 3의 각 음향기기의 응답 대역 그래프를 중첩시켰을 때, 겹치지 않는 영역의 개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음향기기 A의 주파수 응답 대역 그래프와 음악 A의 주파수 그래프를 중첩하면, 6개의 겹치지 않는 영역이 나온다. 즉, 도 4의 표에서 가장 차이가 적은 순으로 적합성 지수인 추천 점수를 산출하게 되고, 음악 A의 경우 음향기기 E를 일 순위로 추천할 수 있으며, 음악 B의 경우 음향기기 F를 일 순위로 추천할 수 있으며, 차 순위로 음향기기 D를 추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frequency difference between music and each sound device is shown. Specifically, each numerical value in the table indicates the number of non-overlapping regions when the frequency graph of each music of FIG. 2 and the response band graph of each acoustic device of FIG. 3 are overlapped. For example, if the frequency response band graph of audio device A and the frequency graph of music A are superimposed, six non-overlapping regions appear. That is, in the table of FIG. 4 , the recommendation score, which is the suitability index, is calculated in the order of the smallest difference, and in the case of music A, the acoustic device E can be recommended as the first priority, and in the case of the music B, the acoustic device F is the first priority. It can be recommended, and sound device D can be recommended as the next priority.

도 5는 종래의 방법과 본 발명의 추천 방법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들이다.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ventional method and the recommende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를 참조하면, 기존의 방식으로 사용자가 음향기기를 구입하는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즉, 기존의 방식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각 제품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 주관적 관점에서 기기를 구입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Referring to FIG. 5( a ), a flowchart is shown in which a user purchases an audio device in a conventional manner. That is, in the case of the existing method, there is a limit in that the user has no choice but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duct and purchase the device from a subjective point of view.

이에 반해, 도 5(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음악 청취 스타일에 기반한 음향기기 추천 방법은 가장 먼저 사용자가 선호하거나 자주 듣는 음악을 파악하고, 이들의 음원에 대한 주파수별 음압을 추출한 후, 추출된 주파수별 음압을 주파수 영역으로 분리하고, 이후 반복적으로 음압이 높거나 강조되는 음역을 파악하고 각 주파수별 가중치를 설정한 후, 추출된 음악의 음역별 가중치를 부여하고 각 주파수별 가중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주파수 그래프를 작성한다. 그 후, 사용자가 선호하는 주파수 그래프가 작성되면 각각의 음향기기 제조사들이 제공하는 음향기기의 주파수 응답 대역 그래프를 파악하여 제품별로 사용자의 음악적 선호 취향과 얼마나 적합한지에 대한 적합성 지수를 산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음향기기를 추천한다. In contrast, the method for recommending a sound device based on a user's music listening sty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After extracting the sound pressure for each frequency, the extracted sound pressure for each frequency is separated into the frequency domain. After that, the range where the sound pressure is high or emphasized is repeatedly identified, and the weight for each frequency is set, and then a weight is given for each range of the extracted music. Create a frequency graph preferred by the user using the weights for each frequency. After that, when the user's preferred frequency graph is created, the frequency response band graph of the audio equipment provided by each audio equipment manufacturer is identified, and the suitability index for each product and how well it fits with the user's musical preference is calculated, based on this Therefore, we recommend audio equipment.

이에 따라, 음악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의 음악 취향을 파악하여 보다 수준 높은 품질로 재생할 수 있는 기기를 추천해줌으로써 사용자들에게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추천 리스트에 특정 음향기기를 추가해주는 대가로 일정한 추가 수입을 얻을 수 있다. Accordingly, the music service provider can provide a useful service to users by identifying a user's music taste and recommending a device capable of reproducing the music with a higher quality. In addition, in return for adding a specific sound device to the recommendation list, you can get a certain amount of additional income.

또한, 사용자의 경우 자신의 음악적 취향에 대해 특별히 고민하지 않고,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형태의 음향기기를 추천받을 수 있다. 또한 기존에는 타 사용자의 주관적인 리뷰에 근거한 음향기기 구입으로 인해 잘못된 제품을 구입함으로서 서비스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최적의 음향기기를 구매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 수의 증가로 인한 수익 증가 및 서비스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user, the user can be recommended a sound device of the most suitable form without worrying about his or her musical taste. In addition, by purchasing the wrong product due to the purchase of audio equipment based on the subjective reviews of other users, service users can purchase the best audio equipment that suits their taste, and service providers can increase revenue and service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users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of

또한, 음향기기 제작업체는 자신의 제품이 어떠한 음악적 특성을 나타내는지에 대한 마케팅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분석결과를 통해 어떠한 특성의 음향기기를 다수의 사용자들이 원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ound device manufacturer can reduce the marketing cost of what kind of musical characteristics their products show, and it is possible to figure out what kind of sound device many users want through the analysis resul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Claims (3)

컴퓨터에 의해 사용자의 음악 청취 스타일에 기반한 음향기기를 추천하는 방법으로서,
컴퓨터에 의해, 사용자가 선호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악을 선정하는 단계;
컴퓨터에 의해, 상기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음악의 음원에 대한 주파수별 음압을 추출하는 단계;
컴퓨터에 의해, 추출된 주파수별 음압을 미리 결정된 개수의 음역대별로 분리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의 주파수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 및
컴퓨터에 의해, 상기 생성된 주파수 그래프와 미리 저장된 서로 다른 종류의 음향기기들의 주파수 응답 대역 그래프를 중첩시켜 대비하여 겹쳐지지 않는 영역의 개수를 판단함으로써, 음향기기별로 사용자의 음악 청취 스타일에 대한 적합성 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적합성 지수의 수치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음향기기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에 의해 주파수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는, 추출된 주파수별 음압이 반복적으로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높거나 강조되는 음역에 대해서는 가중치를 부여하고, 각 음역대별 가중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의 주파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 의해 사용자의 음악 청취 스타일에 기반한 음향기기를 추천하는 방법.
A method of recommending a sound device based on a user's music listening style by a computer, comprising:
selecting, by the computer, at least one piece of music preferred by the user;
extracting, by a computer, a sound pressure for each frequency of the selected at least one music sound source;
generating, by a computer, a frequency graph of music preferred by a user by separating the extracted sound pressure for each frequency into a predetermined number of sound bands; and
By superimposing the generated frequency graph and pre-stored frequency response band graphs of different types of sound devices by a computer to determine the number of non-overlapping areas, the suitability index for the user's music listening style for each sound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calculating and recommending a sound device to the user based on the value of the calculated suitability index,
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frequency graph by the computer, a weight is given to a range in which the extracted sound pressure for each frequency is repeatedly higher or emphasized than a predetermined standard, and the frequency of the music preferred by the user using the weight for each sound range. characterized by generating
How the computer recommends a sound device based on the user's music listening sty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기기는 이어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 의해 사용자의 음악 청취 스타일에 기반한 음향기기를 추천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ound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arphone,
How the computer recommends sound equipment based on the user's music listening style.
KR1020190022892A 2019-02-27 2019-02-27 A recommendation method of acoustic equipment based on user's music listening style KR1024346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892A KR102434636B1 (en) 2019-02-27 2019-02-27 A recommendation method of acoustic equipment based on user's music listening sty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892A KR102434636B1 (en) 2019-02-27 2019-02-27 A recommendation method of acoustic equipment based on user's music listening sty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510A KR20200104510A (en) 2020-09-04
KR102434636B1 true KR102434636B1 (en) 2022-08-22

Family

ID=72471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892A KR102434636B1 (en) 2019-02-27 2019-02-27 A recommendation method of acoustic equipment based on user's music listening sty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63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6419A (en) * 2009-03-02 2010-09-16 Kumagai Gumi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stimating sound sour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644B1 (en) * 2016-01-28 2017-09-28 손지혜 Method and apparatus for classifying music genre based on frequenc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6419A (en) * 2009-03-02 2010-09-16 Kumagai Gumi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stimating sound sourc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포스트, "음악장르에 따라 선택할 이어폰/헤드폰이 따로 있다" (2017.11.08.) <URL: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0443510&memberNo=8871375> 1부.*
스타일진블로그, "이어폰 전격해부 1탄, 나에게 꼭 맞는 이어폰 선택 비법 공개!" (2009.11.12.) <URL: https://www.stylezineblog.com/847>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510A (en) 2020-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28040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identify a mood of media
JP5830672B2 (en) Hearing aid fitting device
US1161180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udio equalization
JP5036888B1 (en) Hearing aid adjustment device, hearing aid adjustment method, and hearing aid adjustment program
JP7305338B2 (en) Customized headphone sound quality
JP2010020133A (en) Playback apparatus, display method, and display program
KR10164893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 rhythm game,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CN101292241A (en) Method and device for calculating a similarity metric between a first feature vector and a second feature vector
Bromham et al. The impact of compressor ballistics on the perceived style of music
Wycisk et al. Wrapped into sound: development of the immersive music experience inventory (IMEI)
Ziemer et al. Using psychoacoustic models for sound analysis in music
KR102434636B1 (en) A recommendation method of acoustic equipment based on user&#39;s music listening style
Wilson et al. Perception & evaluation of audio quality in music production
Hinterleitner et al. What makes this voice sound so bad? A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state-of-the-art text-to-speech systems
US9445210B1 (en) Waveform display control of visual characteristics
Pearce et al. Eliciting the most prominent perceived differences between microphones
Schmidt et al. PodcastMix: A dataset for separating music and speech in podcasts
Pedersen et al. Sensory evaluation in practice
KR20210148916A (en) Techniques for audio track analysis to support audio personalization
Ronan et al. The perception of hyper-compression by untrained listeners
Lorho Perceptual evaluation of mobile multimedia loudspeakers
Ronan et al. Identifying and validating program material: a hyper-compression perspective
Tang et al. Assessment of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music quality using psychoacoustic approach
Ziemer et al. Acoustic features from the recording studio for Music Information Retrieval Tasks
Goold An Ecological Approach to Distortion in Mixing Audio: Is Distortion an Expected, Rather than an Unwanted Artefa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