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390B1 - Oral cleaning implement - Google Patents

Oral cleaning impl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390B1
KR102433390B1 KR1020150036720A KR20150036720A KR102433390B1 KR 102433390 B1 KR102433390 B1 KR 102433390B1 KR 1020150036720 A KR1020150036720 A KR 1020150036720A KR 20150036720 A KR20150036720 A KR 20150036720A KR 102433390 B1 KR102433390 B1 KR 102433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ultrasonic generator
cleaner
insertion unit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7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11706A (en
Inventor
강신욱
장시호
전우성
이춘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6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390B1/en
Publication of KR20160111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7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3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0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using ultrason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61B17/24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for cleaning of the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11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specially adapted for rinsing the teeth of at least one jaw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8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with intermittent liquid flow

Abstract

구강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구강 청결 기구를 개시한다. 구강 청결 기구는 구강 내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강 내에 삽입되는 구강삽입유닛, 상기 구강삽입유닛에 초음파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구강삽입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초음파 발생기 및 상기 초음파 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초음파 발생기에 연결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구강삽입유닛은 치아 수용부를 가지는 제 1클리너 및 설태(舌苔)를 제거할 수 있도록 표면에 설면(舌面)과 접촉 가능한 복수의 돌기가 마련되는 제 2클리너를 포함하고, 상기 제 1클리너 및 상기 제 2클리너는 선택적으로 상기 초음파 발생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Disclosed is an oral cleaning applian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for maintaining oral hygiene. The oral cleaning device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ral insertion unit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o maintain cleanliness in the oral cavity, the ultrasonic generator detachably coupled to the oral insertion unit to generate ultrasonic waves in the oral cavity insertion unit, and the ultrasound generator and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ultrasonic generator to do so, wherein the oral insertion un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contactable with the lingual surface on the surface to remove the first cleaner having a tooth receiving part and the tongue. and a second cleaner, wherein the first cleaner and the second cleaner may be selectively detachably coupled to the ultrasonic generator.

Description

구강 청결 기구{ORAL CLEANING IMPLEMENT}Oral cleaning appliance {ORAL CLEANING IMPLEMENT}

본 발명은 구강 청결 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구강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구강 청결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al clea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al cleaning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maintain oral hygiene.

치태의 침착은 치은염 및 치주 조직의 염증과 파괴를 나타내는 치주염의 진행에 있어 주요한 원인이라고 알려져 왔다. 이러한 치태를 기계적으로 제거하는 기본적인 방법은 칫솔질을 수행하는 것이다.It has been known that plaque deposition is a major cause in the progression of gingivitis and periodontitis, which indicates inflammation and destruction of periodontal tissues. The basic way to mechanically remove this plaque is to brush your teeth.

그러나, 이러한 칫솔질의 효과는 얼마나 자주 칫솔질을 수행하는지 그리고 얼마나 효율적으로 칫솔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매일 적절한 횟수와 시간을 유지하며 올바른 방법으로 칫솔질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개인의 칫솔질 능력과 칫솔모의 형태, 칫솔질의 빈도 및 수행시간에 따라 치태 제거의 효율성이 결정된다.However, the effectiveness of such brushing may vary depending on how often brushing is performed and how efficiently the toothbrush is used.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it is important to maintain the proper frequency and time every day and to brush teeth in the right way. In conclusion, the effectiveness of plaque remova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brushing ability, the type of bristles, the frequency of brushing, and the time taken.

따라서, 효과적인 구강 관리를 위해 사용자들은 위와 같은 사항들을 숙지하여 실천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실제로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칫솔질을 하는데 있어서, 칫솔질의 권장시간에 미치지 못하게 칫솔질을 하고 있으며, 올바른 칫솔질 방법에 대해 무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양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용자가 자신에게 적합한 칫솔모의 형태, 강도, 크기 등을 선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올바르지 못한 칫솔질은 연약한 치은(gingiva)에 손상을 줄 수 있다.Therefore, for effective oral care, users have a burden to be aware of and practice the above. In fact, most users brush their teeth less than the recommended time for brushing,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y are ignorant of the correct brushing method.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of brushing, there is a hassle in that the user has to select the shape, strength, size, etc. of the bristles suitable for him. In particular, improper brushing can damage the fragile gingiva.

한편, 칫솔질 과정에서 칫솔모의 형태나 칫솔의 헤드 및 그 크기에 따라 설면, 입접면, 구치부 등과 같이 칫솔질이 미치지 않는 부위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위에는 치태가 침착되기 쉽고, 침착된 치태가 치주염으로 발전하여 구강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during the brushing proces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ristles or the size of the head and the size of the toothbrush, such as the tongue, mouth, posterior teeth, etc. may occur in areas not reachable by brushing. In such areas, plaque is easily deposited, and the deposited plaque may develop into periodontitis and threaten oral health.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고려할 때, 구강 건강 관리 차원에서 칫솔질로 치태를 조절하거나 제거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구강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새로운 형태의 구강 청결 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Considering these problems, there is a limit to controlling or removing plaque by brushing in terms of oral health care. 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new type of oral cleaning device so that users can more conveniently and effectively maintain oral hygien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초음파 세척을 통해 구강 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구강 청결 기구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ral cleaning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wash foreign substances existing in the oral cavity through ultrasonic cleaning.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초음파 발진을 이용하여 구강 내 살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구강 청결 기구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ral cleaning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perform intraoral sterilization using ultrasonic oscill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초음파 발진을 이용하여 잇몸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구강 청결 기구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ral cleaning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maintain gum health using ultrasonic oscill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구강삽입유닛이 초음파 발생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구강 청결 기구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ral cleaning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the oral insertion un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ltrasonic generator.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설태를 제거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구강 청결 기구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ral cleaning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as to remove the tongue.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구강 청결 기구는 구강 내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강 내에 삽입되는 구강삽입유닛, 상기 구강삽입유닛에 초음파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구강삽입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초음파 발생기 및 상기 초음파 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초음파 발생기에 연결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구강삽입유닛은 치아 수용부를 가지는 제 1클리너 및 설태(舌苔)를 제거할 수 있도록 표면에 설면(舌面)과 접촉 가능한 복수의 돌기가 마련되는 제 2클리너를 포함하고, 상기 제 1클리너 및 상기 제 2클리너는 선택적으로 상기 초음파 발생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n oral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ral insertion unit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o maintain cleanliness in the oral cavity, an ultrasonic generator detachably coupled to the oral insertion unit to generate ultrasonic waves in the oral insertion unit, and the and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ultrasonic generato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ultrasonic generator, wherein the oral insertion unit is capable of contacting a lingual surface on a surface to remove a first cleaner having a tooth receiving part and a tongue surface. and a second clean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the first cleaner and the second cleaner may be selectively detachably coupled to the ultrasonic generator.

상기 구강 내의 구강구조가 상기 초음파 발생기와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마모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초음파 발생기는 상기 구강구조와 비(非)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oral structure in the oral cavity from being abraded or damag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ultrasonic generator, the ultrasonic generator may be provided to be non-contact with the oral structure.

상기 제 1클리너는 제 1슬릿을 가지는 아우터 프레임 및 상기 아우터 프레임과의 사이에 상기 치아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 2슬릿을 가지는 이너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leaner may include an outer frame having a first slit and an inner frame having a second slit disposed inside the outer frame so that the tooth receiv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outer frame and the outer frame.

상기 제 1슬릿 및 상기 제 2슬릿은 각각 상기 아우터 프레임 및 상기 이너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lit and the second slit may be formed along circumferences of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respectively.

상기 제 1슬릿 및 상기 제 2슬릿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lit and the second slit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제 1클리너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 및 상기 이너 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상기 아우터 프레임 및 상기 이너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bridge)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leaner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bridge disposed between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to connect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구강 청결 기구는 상기 구강 내의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초음파의 발진에 의해 기포를 발생시키는 세정액을 수용하는 세정액 탱크, 상기 세정액 탱크에 수용된 세정액을 상기 구강삽입유닛에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세정액 탱크에서 유입된 세정액을 펌핑하는 펌프 및 상기 세정액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초음파 발생기 내부로 삽입되는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ral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leaning liquid tank containing a cleaning liquid that generates bubbles by the oscillation of the ultrasonic wave so as to wash foreign substances in the oral cavity, and the cleaning liquid contained in the cleaning liquid tank can be supplied to the oral insertion unit. It may further include a pump for pumping the cleaning liquid introduced from the cleaning liquid tank and a tube connected to the pump to move the cleaning liquid to be inserted into the ultrasonic generator.

상기 튜브를 따라 이동하는 세정액은 상기 초음파 발생기에 결합되는 팁(tip)으로 유입되어 상기 구강삽입유닛으로 분사될 수 있다.The cleaning solution moving along the tube may be introduced into a tip coupled to the ultrasonic generator and injected into the oral insertion uni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구강 청결 기구는 상기 팁을 둘러싸도록 상기 팁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구강삽입유닛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일 단부를 가지는 제 1연결부 및 상기 제 1연결부의 다른 단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제 2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ral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tip so as to surround the tip, and is separated from a first connection part having one end detachably coupled to the oral insertion unit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nection part that is fitted so as to be possible.

상기 제 1클리너는 상기 제 1연결부 및 상기 제 2연결부의 결합연장선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상기 제 1연결부의 일 단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cleaner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a coupling extension lin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상기 제 2클리너는 상기 제 1연결부 및 상기 제 2연결부의 결합연장선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연결부의 일 단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cleaner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so as to be positioned on a coupling extension lin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상기 복수의 돌기가 마련되는 상기 제 2클리너의 표면에는 상기 팁이 삽입되고, 상기 기포가 이동할 수 있도록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The tip may be inserted into the surface of the second cleaner on which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provided, and a slit may be formed to allow the bubbles to move.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구강 청결 기구는 상기 초음파 발생기가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세정액 탱크, 상기 펌프 및 상기 제어기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ral clean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ase in which the ultrasonic generator is coupled, the cleaning liquid tank, the pump and the controller are accommodated therein.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구강 청결 기구는 상기 구강 내의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초음파의 발진에 의해 기포를 발생시키는 세정액을 수용하는 세정액 탱크, 상기 세정액 탱크에 수용된 세정액을 상기 구강삽입유닛에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세정액 탱크에서 유입된 세정액을 펌핑하는 펌프 및 상기 세정액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초음파 발생기 내부로 삽입되는 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에는 상기 팁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과 마주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기포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슬릿 및 상기 제 2슬릿과 연통되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The oral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leaning liquid tank containing a cleaning liquid that generates bubbles by the oscillation of the ultrasonic wave so as to wash foreign substances in the oral cavity, and the cleaning liquid contained in the cleaning liquid tank can be supplied to the oral insertion unit. and a pump for pumping the cleaning liquid introduced from the cleaning liquid tank so as to move, and a tube connected to the pump to be inserted into the ultrasonic generator so that the cleaning liquid can move, and the outer frame has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tip can be inserted is formed, and a hollow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lit and the second slit may be formed in any one of the at least one bridge facing the insertion hole so that the bubble may move.

상기 세정액은 물, 탄산수 및 구강청결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ing solu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water, carbonated water, and mouthwash.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구강 청결 기구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구강 내 청결을 유지하고, 상기 구강 청결 기구는 초음파 발생기 및 치열에 대응하는 형상의 치아 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초음파 발생기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강삽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강삽입유닛은 초음파 전달체 및 상기 초음파 전달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초음파 전달체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초음파가 상기 초음파 전달체에서 상기 구강 내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초음파 방출홀을 가지는 아우터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The oral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oral hygiene by using ultrasonic waves, and the oral cleaning device has an ultrasonic generator and a tooth receiving part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eeth,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ltrasonic generator. A plurality of ultrasound waves including an insertion unit, wherein the oral insertion unit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ultrasound transmission body so as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ultrasound transmission body and the ultrasound transmission body, and the ultrasonic waves are provided to move from the ultrasound transmission body into the oral cavity It may include an outer body having a discharge hole.

상기 아우터 바디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상기 초음파 발생기의 일 단부는 상기 초음파 전달체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outer body may include a through hole, and one end of the ultrasonic generator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ltrasonic transmitting body.

상기 초음파 전달체는 상기 관통홀을 향하여 돌출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상기 초음파 발생기의 일 단부는 자력(磁力)에 의해 상기 결합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ultrasonic transmitting body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through hole, and one end of the ultrasonic generator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by magnetic force.

상기 초음파 전달체는 상기 아우터 바디와 마주하는 제 1벽, 상기 제 1벽과 이격되도록 상기 제 1벽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 2벽 및 상기 제 1벽 및 상기 제 2벽과 함께 안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1벽 및 상기 제 2벽을 연결하는 제 3벽을 포함할 수 있다.The ultrasound transmitting body includes a first wall facing the outer body, a second wall provided inside the first wall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wall, and a seating portion together with the first wall and the second wall. It may include a third wall connecting the first wall and the second wall.

상기 구강삽입유닛은 윗니와 마주하도록 상기 안착부의 제 1면에 결합되는 탑 바디 및 아랫니와 마주하도록 상기 안착부의 제 2면에 결합되는 베이스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바디, 상기 탑 바디 및 상기 베이스 바디는 상기 구강 내의 구강구조와 상기 초음파 전달체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도록 상기 초음파 전달체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ral insertion unit further includes a top body coupl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seating part to face the upper teeth and a base body coupl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seating part to face the lower teeth, the outer body, the top body and the The bas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urrounds the ultrasound transmission body to prevent direct contact between the oral structure in the oral cavity and the ultrasound transmission body.

상기 탑 바디 및 상기 베이스 바디는 상기 안착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안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top body and the base body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eating part to face each other with the seating part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안착부에는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탑 바디 및 상기 베이스 바디에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돌기는 상기 복수의 체결공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may be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top body and the base body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상기 아우터 바디, 상기 탑 바디 및 상기 베이스 바디는 탄성재질을 가질 수 있다.The outer body, the top body, and the base body may have an elastic material.

구강삽입유닛은 상기 초음파 전달체의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설태(舌苔)를 제거할 수 있도록 설면(舌面)과 마주하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는 이너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ral inser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nner body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ultrasonic transmission body, and has irregularities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he tongue so as to remove the tongue.

상기 초음파 전달체의 재질은 티타늄(Ti)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ultrasonic transmitter may include titanium (Ti).

상기 아우터 바디는 상기 복수의 초음파 방출홀이 상기 제 1벽의 내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초음파 전달체의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outer body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ultrasound transmitting body so that the plurality of ultrasound emission holes 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wall.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구강 청결 기구는 상기 초음파 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초음파 발생기에 연결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ral care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ultrasonic generato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ultrasonic generator.

칫솔질과 같은 번거로운 동작을 생략하고 간단히 구강삽입유닛을 구강 내에 삽입함으로써 구강 내의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By omitting cumbersome operations such as brushing and simply inserting the oral insertion unit into the oral cavity, foreign substances in the oral cavity can be washed,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공동현상(cavitation)을 이용하여 구강구조로부터 이물질을 물리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구강 내의 살균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By using cavitation, foreign substances can be physically removed from the oral structure, and a sterilizing effect in the oral cavity can also be expected.

공동현상(cavitation)을 이용하여 잇몸 마사지 등을 함으로써 잇몸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Gum health can be maintained by massaging the gums using cavitation.

구강삽입유닛을 초음파 발생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개인용 구강삽입유닛을 가지는 여러 사람이 하나의 초음파 발생기로 구강 청결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By detachably coupling the oral insertion unit to the ultrasonic generator, several people who have a personal oral insertion unit can use the oral cleaning device as a single ultrasonic generator.

복수의 돌기 내지 요철을 가지는 제 2클리너 내지 이너 바디를 구강 청결 기구에 적용함으로써 설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By applying the second cleaner or inner body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or irregularities to the oral cleaning devic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the tongue.

구성요소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구강 청결 기구를 구성함으로써 구강 청결 기구를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다.By configuring the oral care appliance to facilitate assembly and disassembly of the components, the oral care appliance can be kept clea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청결 기구에 있어서, 제 1클리너가 적용된 구강 청결 기구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구강 청결 기구에 있어서, 케이스의 일부를 생략하고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구강 청결 기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제 1클리너에서 기포가 전달되는 부위를 표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구강 청결 기구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청결 기구에 있어서, 제 2클리너가 적용된 구강 청결 기구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6의 구강 청결 기구의 제 2클리너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청결 기구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청결 기구의 구강삽입유닛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청결 기구의 구강삽입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청결 기구의 구강삽입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청결 기구의 구강삽입유닛을 도 12와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oral cleaning appliance to which a first cleaner is applied in the oral clean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the oral care appliance of FIG. 1 with a part of the case omitted; FIG.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ral cleaning device of Figure 1;
4 is a view showing a portion to which air bubbles are delivered in the first cleaner of FIG. 1;
5 is a view showing a side view of the oral care appliance of FIG. 1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ppearance of an oral cleaning device to which a second cleaner is applied in the oral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view of FIG. 6A;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leaner of the oral care appliance of FIG. 6 is separated;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ppearance of an oral cleaning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al insertion unit of the oral cleaning appliance is separa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ral insertion unit of an oral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ral insertion unit of an oral cleaning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ral insertion unit of an oral cleaning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n angle different from that of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n the other hand, the terms "tip", "rear end", "upper", "lower", "upper" and lower"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defined based on the drawings, and the shape of each component and Location is not limited.

구강구조는 구강 내에 위치하는 구조물을 통칭하고, 일 예로써, 치은, 치아, 혀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Oral structure refers to structures located in the oral cavity, and as an example, may be used in the meaning of including gingiva, teeth, tongue,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청결 기구에 있어서, 제 1클리너가 적용된 구강 청결 기구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강 청결 기구에 있어서, 케이스의 일부를 생략하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구강 청결 기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제 1클리너에서 기포가 전달되는 부위를 표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ppearance of an oral cleaning device to which a first cleaner is applied in the oral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the oral cleaning device of FIG. 1, a part of the case is omitted. and is a drawing show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ral cleaning device of FIG. 1 ,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portion to which air bubbles are delivered in the first cleaner of FIG. 1 .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청결 기구(1)는 구강삽입유닛(1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4 , the oral care appliance 1 may include an oral insertion unit 10 .

구강삽입유닛(10)은 구강 내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강 내에 삽입될 수 있다.The oral insertion unit 10 may be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o maintain cleanliness in the oral cavity.

구강삽입유닛(10)은 제 1클리너(20) 및 제 2클리너(30)(도 6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클리너(20)는 치아 내지 치은을 세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클리너(30)(도 6참고)는 설태(舌苔)를 제거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oral insertion unit 10 may include a first cleaner 20 and a second cleaner 30 (refer to FIG. 6). The first cleaner 20 may be provided to clean teeth or gingiva. The second cleaner 30 (refer to FIG. 6 ) may be provided to remove the tongue (舌苔).

구강삽입유닛(10)은 초음파 발생기(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클리너(20) 및 제 2클리너(30)는 선택적으로 초음파 발생기(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제 1클리너(20) 및 제 2클리너(30)를 선택적으로 초음파 발생기(40)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The oral insertion unit 1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ltrasonic generator 40 . In other words, the first cleaner 20 and the second cleaner 30 may be selectively detachably coupled to the ultrasonic generator 40 . That is, the user may selectively couple the first cleaner 20 and the second cleaner 30 to the ultrasonic generator 40 as needed.

제 1클리너(20)는 구강구조와 유사한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클리너(20)는 치열에 대응하도록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cleaner 20 may have a U-shape similar to an oral structure. Specifically, the first cleaner 20 may have a U-shape to correspond to the teeth.

제 1클리너(20)는 아우터 프레임(outer frame)(21)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21)은 제 1슬릿(2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슬릿(21c)은 아우터 프레임(2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슬릿(21c)은 아우터 프레임(21)의 외벽(21a) 및 내벽(21b) 사이에 아우터 프레임(2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21)에는 팁(41)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24)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leaner 20 may include an outer frame 21 . The outer frame 21 may include a first slit 21c. The first slit 21c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frame 21 . Specifically, the first slit 21c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frame 21 between the outer wall 21a and the inner wall 21b of the outer frame 21 . An insertion hole 24 into which the tip 41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outer frame 21 .

제 1클리너(20)는 이너 프레임(inner frame)(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프레임(22)은 아우터 프레임(2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22)은 아우터 프레임(21)과 이격되도록 아우터 프레임(2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22)과 아우터 프레임(21) 사이에는 치아 수용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22)은 제 2슬릿(2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슬릿(22c)은 이너 프레임(2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슬릿(22c)은 이너 프레임(22)의 외벽(22a) 및 내벽(22b) 사이에 이너 프레임(2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 1슬릿(21c) 및 제 2슬릿(22c)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슬릿(21c) 및 제 2슬릿(22c)은 공동현상(cavitation)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서로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leaner 20 may include an inner frame 22 . The inner frame 22 may be disposed inside the outer frame 21 . The inner frame 22 may be disposed inside the outer frame 21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frame 21 . A tooth receiving part 25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frame 22 and the outer frame 21 . The inner frame 22 may include a second slit 22c. The second slit 22c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frame 22 . Specifically, the second slit 22c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frame 22 between the outer wall 22a and the inner wall 22b of the inner frame 22 . The first slit 21c and the second slit 22c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pecifically, the first slit 21c and the second slit 22c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that bubbles generated by cavitation can freely move.

제 1클리너(20)는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bridge)(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23)는 아우터 프레임(21) 및 이너 프레임(22)을 연결하도록 아우터 프레임(21) 및 이너 프레임(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23)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 1슬릿(21c) 및 제 2슬릿(22c)과 연통되는 중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삽입홀(24)과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23) 중 어느 하나(23a)에는 제 1슬릿(21c) 및 제 2슬릿(22c)과 연통되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공동현상(cavitation)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는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23)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중공을 통해 제 1슬릿(21c)에서 제 2슬릿(22c)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cleaner 2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bridge 23 . At least one bridge 2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uter frame 21 and the inner frame 22 to connect the outer frame 21 and the inner frame 22 . A hollow (not shown)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lit 21c and the second slit 22c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bridge 23 . As an example, a hollow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lit 21c and the second slit 22c may be formed in any one 23a of the at least one bridge 23 facing the insertion hole 24 . Bubbles generated by cavitation may move from the first slit 21c to the second slit 22c through a hollow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bridge 23 .

아우터 프레임(21), 이너 프레임(22) 및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2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frame 21 , the inner frame 22 and the at least one bridge 23 may be integrally formed.

구강삽입유닛(10)은 탄성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써, 구강삽입유닛(10)의 재질은 플라스틱, 실리콘 및 고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oral insertion unit 10 may include an elastic material. As an example, the material of the oral insertion unit 10 may include plastic, silicone, rubber, and the like.

구강 청결 기구(1)는 초음파 발생기(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발생기(40)는 구강삽입유닛(10)에 초음파를 발생시키도록 구강삽입유닛(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강삽입유닛(10)을 초음파 발생기(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켜 사용할 경우, 여러 사람이 하나의 초음파 발생기(40)로 구강삽입유닛(10)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초음파 발생기(40)는 제어기(50)의 명령에 따라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초음파 발생기(40)는 제어기(50)의 명령에 따라 초음파 발진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oral care appliance 1 may further include an ultrasonic generator 40 . The ultrasonic generator 4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oral insertion unit 10 to generate ultrasonic waves in the oral insertion unit 10 . In this way, when the oral insertion unit 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ltrasonic generator 40 and used, several people can replace only the oral insertion unit 10 with one ultrasonic generator 40 and use it, so the consumer's use Convenience may be improved. The ultrasonic generator 40 may generate ultrasonic waves according to a command of the controller 50 . In other words, the ultrasonic generator 40 may generate ultrasonic oscillation according to a command of the controller 50 .

초음파 발생기(40)는 구강구조와 비(非)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초음파 발생기(40)는 구강구조가 초음파 발생기(40)와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마모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강구조와 비(非)접촉 내지 간접적으로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초음파 발생기(40)에 결합되어 초음파 내지 초음파 발진을 구강삽입유닛(10)에 전달하는 팁(tip)(41)은 구강구조와 접촉하지 않도록 아우터 프레임(21)에 형성되는 삽입홀(24)에 삽입될 수 있다.The ultrasonic generator 40 may be provided so as to be non-contact with the oral structure. In other words, the ultrasonic generator 40 may be provided in non-contact or indirect contact with the oral structure to prevent the oral structure from being worn or damag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ultrasonic generator 40 . As an example, the tip 41 coupled to the ultrasonic generator 40 to transmit ultrasonic waves or ultrasonic oscillations to the oral insertion unit 10 is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outer frame 21 so as not to contact the oral structure. (24) can be inserted.

구강 청결 기구(1)는 내부에 초음파 발생기(40)를 수용하는 하우징(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ral care appliance 1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45 accommodating the ultrasonic generator 40 therein.

구강 청결 기구(1)는 초음파 발생기(4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초음파 발생기(40)에 연결되는 제어기(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ral care appliance 1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50 connected to the ultrasonic generator 4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ultrasonic generator 40 .

제어기(50)는 초음파 발생기(4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50)는 초음파 발생기(40)에 초음파의 세기 조절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또한, 제어기(50)는 초음파 발생기(40)에 초음파 발진의 세기 조절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또한, 제어기(50)는 초음파 발생기(40)에 초음파 발진의 강약 반복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또한, 제어기(50)는 초음파 발생기(40)에 초음파 발진 연속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또한, 제어기(50)는 설정된 초음파 내지 초음파 발진의 지속 시간 내지 강약 반복 시간에 따라 초음파 발생기(40)가 작동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발생기(40)는 구강구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20KHz이상 50KHz이하의 초음파를 사용할 수 있다.The controller 50 may control on/off of the ultrasonic generator 40 . Also, the controller 50 may give an ultrasonic intensity control command to the ultrasonic generator 40 . Also, the controller 50 may give a command to adjust the intensity of ultrasonic oscillation to the ultrasonic generator 40 . Also, the controller 50 may give the ultrasonic generator 40 a command to repeat the intensity of ultrasonic oscilla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50 may issue an ultrasonic oscillation continuous command to the ultrasonic generator 40 . Also, the controller 50 may instruct the ultrasonic generator 40 to operate according to a set duration of ultrasonic waves or ultrasonic oscillation duration or intensity repetition time. Preferably, the ultrasonic generator 40 may use an ultrasonic wave of 20 KHz or more and 50 KHz or less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oral structure.

제어기(5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배터리를 이용하여 제어기(50)를 구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troller 50 may be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also possible to drive the controller 50 using a battery.

구강 청결 기구(1)는 세정액 탱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정액 탱크(70)는 구강 내의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도록 초음파 발진에 의해 기포를 발생시키는 세정액을 수용할 수 있다. 세정액은 물, 탄산수 및 구강청결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정액은 탄산수를 포함할 수 있다.The oral care appliance 1 may further include a cleaning solution tank 70 . The cleaning liquid tank 70 may contain a cleaning liquid that generates bubbles by ultrasonic oscillation so as to wash foreign substances in the oral cavity. The cleaning solu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water, carbonated water, and mouthwash. Preferably, the washing liquid may include carbonated water.

구강 청결 기구(1)는 펌프(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펌프(80)는 세정액 탱크(70)에 수용된 세정액을 구강삽입유닛(1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세정액 탱크(70)에서 유입된 세정액을 펌핑할 수 있다.The oral care appliance 1 may further include a pump 80 . The pump 80 may pump the cleaning liquid introduced from the cleaning liquid tank 70 so as to supply the cleaning liquid accommodated in the cleaning liquid tank 70 to the oral insertion unit 10 .

구강 청결 기구(1)는 펌프(80)를 구동시키는 펌프 구동원(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펌프 구동원(90)은 펌프(80)에 구동원을 전달할 수 있도록 펌프(8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써, 펌프 구동원(90)은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oral care appliance 1 may further include a pump driving source 90 for driving the pump 80 . The pump driving source 90 may be connected to the pump 80 to transmit the driving source to the pump 80 . As an example, the pump driving source 90 may include a battery.

구강 청결 기구(1)는 튜브(95,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정액은 튜브(95,96)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튜브(95,96)는 제 1튜브(95) 및 제 2튜브(9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튜브(95)는 세정액 탱크(70) 및 펌프(80)를 연결할 수 있다. 세정액 탱크(70)에 수용된 세정액은 제 1튜브(95)를 따라 이동하여 펌프(80)로 유입된다. 제 2튜브(96)는 펌프(80) 및 초음파 발생기(40)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튜브(96)는 세정액 탱크(70)에서 펌프(80)로 유입된 세정액이 이동할 수 있도록 펌프(80)에 연결되어 초음파 발생기(4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제 2튜브(96)를 따라 이동하는 세정액은 초음파 발생기(40)에 결합되는 팁(41)으로 유입되어 구강삽입유닛(10)으로 분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튜브(96)를 따라 이동하는 세정액은 초음파 발생기(40)에 결합되는 팁(41)으로 유입되어 제 1클리너(20)의 제 1슬릿(21c)으로 분사될 수 있다. 제 2튜브(96)는 팁(41)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oral care implement 1 may further include tubes 95 and 96 . The cleaning solution may travel along the tubes 95 and 96 . The tubes 95 and 96 may include a first tube 95 and a second tube 96 . The first tube 95 may connect the cleaning liquid tank 70 and the pump 80 . The cleaning liquid accommodated in the cleaning liquid tank 70 moves along the first tube 95 and flows into the pump 80 . The second tube 96 may connect the pump 80 and the ultrasonic generator 40 . Specifically, the second tube 96 may be connected to the pump 80 and inserted into the ultrasonic generator 40 so that the cleaning liquid flowing from the cleaning liquid tank 70 to the pump 80 can move. The cleaning liquid moving along the second tube 96 may be introduced into the tip 41 coupled to the ultrasonic generator 40 and injected into the oral insertion unit 10 . Specifically, the cleaning liquid moving along the second tube 96 may flow into the tip 41 coupled to the ultrasonic generator 40 and may be sprayed into the first slit 21c of the first cleaner 20 . The second tube 96 may be connected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tip 41 .

구강 청결 기구(1)는 케이스(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60)에는 초음파 발생기(40)가 결합될 수 있다. 초음파 발생기(40)는 케이스(6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60)의 내부에는 세정액 탱크(70), 펌프(80) 및 제어기(50)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60)의 내부에는 펌프 구동원(90) 및 튜브(95,96)가 수용될 수 있다. 케이스(60)의 표면에는 초음파 발생기(40)의 작동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제 1버튼(61) 및 세정액 공급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제 2버튼(62)이 마련될 수 있다.The oral care appliance 1 may further include a case 60 . The ultrasonic generator 40 may be coupled to the case 60 . The ultrasonic generator 4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ase 60 . In addition, the cleaning liquid tank 70 , the pump 80 , and the controller 50 may be accommodated in the case 60 . Also, the pump driving source 90 and the tubes 95 and 96 may be accommodated in the case 60 . A first button 61 capable of inputting an operation signal of the ultrasonic generator 40 and a second button 62 capable of inputting a cleaning solution supply signal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case 60 .

구강 청결 기구(1)는 제 1연결부(66) 및 제 2연결부(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ral care appliance 1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rt 66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67 .

제 1연결부(66)는 팁(41)을 둘러싸도록 팁(41)의 외측에 배치되고, 구강삽입유닛(1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일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제 2연결부(67)는 제 1연결부(66)의 다른 단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 2연결부(67)는 제 1연결부(66) 및 하우징(45)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구강삽입유닛(10)과 근접한 제 2연결부(67)의 일 단부는 제 1연결부(66)에 결합되고, 케이스(60)와 근접한 제 2연결부(67)의 다른 단부는 하우징(45)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별도의 공구 없이 제 1연결부(66)를 제 2연결부(67)에서 분리함으로써 구강삽입유닛(10)을 초음파 발생기(4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제 1연결부(66) 및 제 2연결부(67)는 끼움 결합을 통해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어려움 없이 구강삽입유닛(10)을 초음파 발생기(40)에 결합시킬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66 may have one end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tip 41 to surround the tip 41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oral insertion unit 10 . The second connection part 67 may be separably fit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66 . The second connection part 67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66 and the housing 45 . In other words,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67 close to the oral insertion unit 10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66,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67 close to the case 60 is the housing 45 ) can be combined.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oral insertion unit 10 from the ultrasonic generator 40 by separat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66 from the second connection part 67 without a separate tool. In addition, since the first connection part 66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67 can be easily coupled through fitting, the user can couple the oral insertion unit 10 to the ultrasonic generator 40 without difficulty.

도 5는 도 1의 구강 청결 기구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부호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다.FIG. 5 is a view showing a side view of the oral care appliance of FIG. 1 . Hereinafter, reference numerals (not shown) refer to FIGS. 1 to 4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클리너(20)는 제 1연결부(66) 및 제 2연결부(67)의 결합연장선(L)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제 1연결부(66)의 일 단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클리너(20)는 제 1연결부(66) 및 제 2연결부(67)의 결합연장선(L)에 대하여 45ㅀ 기울어지도록 제 1연결부(66)의 일 단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제 1클리너(20)를 구강 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s shown in FIG. 5 , the first cleaner 20 is detachable at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66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extension line L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66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67 . can be combined to do so. Preferably, the first cleaner 20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66 so as to be inclined 45°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extension line L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66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67. can be This is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first cleaner 20 into the oral cavity.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청결 기구에 있어서, 제 2클리너가 적용된 구강 청결 기구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구강 청결 기구의 제 2클리너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부호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의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appearance of an oral cleaning appliance to which a second cleaner is applied in the oral clean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FIG. 6A .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leaner of the oral care appliance of FIG. 6 is separated. Hereinafter, reference numerals (not shown) refer to FIGS. 1 to 4 . Hereinafter, descriptions overlapping those of FIGS. 1 to 4 may be omitted.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삽입유닛(10)은 설태(舌苔)를 제거할 수 있도록 표면에 설면(舌面)과 접촉 가능한 복수의 돌기(31)가 마련되는 제 2클리너(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클리너(30)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제 2클리너(30)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6 to 8, the oral insertion unit 10 is a second cleaner ( 30) may be included. The second cleaner 30 may have a polygonal shape, but the shape of the second cleaner 30 is not limited thereto.

제 2클리너(30)는 제 1연결부(66) 및 제 2연결부(67)의 결합연장선(L) 상에 위치하도록 제 1연결부(66)의 일 단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cleaner 3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66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coupling extension line L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66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67 .

복수의 돌기(31)가 마련되는 제 2클리너(30)의 표면에는 팁(41)이 삽입되고, 기포가 이동할 수 있도록 슬릿(32)이 형성될 수 있다.A tip 41 may be inserted into the surface of the second cleaner 30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1 , and a slit 32 may be formed to allow air bubbles to move.

제 2클리너(30)는 초음파 발생기(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클리너(30)는 제 1연결부(66)를 제 2연결부(67)에서 분리함으로써 초음파 발생기(4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 1연결부(66) 및 제 2연결부(67)는 끼움 결합을 통해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어려움 없이 제 2클리너(30)를 초음파 발생기(40)에 결합시킬 수 있다.The second cleaner 3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ltrasonic generator 40 . Specifically, the second cleaner 3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ultrasonic generator 40 by separat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66 from the second connection part 67 . In addition, since the first connection part 66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67 can be easily coupled through fitting, the user can couple the second cleaner 30 to the ultrasonic generator 40 without difficulty.

이와 같이, 초음파 내지 초음파 발진을 이용하는 구강 청결 기구(1)를 사용할 경우, 칫솔로 제거하기 어려웠던 치석, 치아 사이의 이물질 내지 설태(舌苔)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특히, 공동현상(cavitation)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를 이용하여 구강구조에 침착된 이물질을 물리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공동현상(cavitation)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를 이용하여 치은 마사지 등을 수행할 수 있어 치은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는 살균력을 가지므로 구강 내에 존재하는 세균 내지 박테리아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oral cleaning device 1 using ultrasonic waves or ultrasonic oscillations is us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calculus, foreign substances between teeth, tongue plaque, and the like, which are difficult to remove with a toothbrush.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hysically remove foreign substances deposited on the oral structure using air bubbles generated by cavit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a gingival massage using air bubbles generated by cavitation, so that the gingiva can be kept healthy. In addition, since ultrasound has a sterilizing powe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bacteria or bacteria present in the oral cavity.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청결 기구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청결 기구의 구강삽입유닛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청결 기구의 구강삽입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청결 기구의 구강삽입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청결 기구의 구강삽입유닛을 도 12와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appearance of an oral cleaning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al insertion unit of the oral cleaning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ral insertion unit of an oral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ral insertion unit of an oral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ral insertion unit of an oral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n angle different from that of FIG. 12 .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청결 기구(100)는 초음파 내지 초음파 발진을 이용하여 구강 내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9 to 13 , the oral cleaning device 100 may maintain the cleanliness of the oral cavity by using ultrasonic waves or ultrasonic wave oscillations.

구강 청결 기구(100)는 구강삽입유닛(110)을 포함할 수 있다.The oral cleaning device 100 may include an oral insertion unit 110 .

구강삽입유닛(110)은 치열에 대응하는 형상의 치아 수용부(125)를 가지고, 초음파 발생기(14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강삽입유닛(110)은 구강구조와 유사한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윗니가 수용되는 치아 수용부(125)는 탑 바디(112) 상에 형성될 수 있고, 아랫니가 수용되는 치아 수용부(125)는 베이스 바디(113) 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oral insertion unit 110 may have a tooth receiving part 125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eeth,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ltrasonic generator 140 . Specifically, the oral insertion unit 110 may have a U-shape similar to the oral structure. The tooth receiving portion 125 in which the upper teeth are accommodated may be formed on the top body 112 , and the tooth receiving portion 125 in which the lower teeth are accommodated may be formed on the base body 113 .

구강삽입유닛(110)은 초음파 전달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전달체(130)의 재질은 인체에 무해한 티타늄(Ti)을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전달체(130)는 사용자가 구강 내에 구강삽입유닛(110)을 삽입한 경우, 구강삽입유닛(110)과 마주하는 구강구조가 초음파 전달체(130)와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마모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강구조와 비접촉 내지 간접적으로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oral insertion unit 110 may include an ultrasound transmission body 130 . The material of the ultrasound transmission body 130 may include titanium (Ti), which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The ultrasound transmission body 130 is to prevent the oral structure facing the oral insertion unit 110 from being worn or damag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ultrasound transmission body 130 when the user inserts the oral insertion unit 110 into the oral cavity. It may be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oral structure non-contact or indirectly.

초음파 전달체(130)는 제 1벽(131), 제 2벽(132) 및 제 3벽(133)을 포함할 수 있다.The ultrasound transmitter 130 may include a first wall 131 , a second wall 132 , and a third wall 133 .

제 1벽(131)은 아우터 바디(111)와 마주할 수 있다. 제 2벽(132)은 제 1벽(131)과 이격되도록 제 1벽(131)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 3벽(133)은 제 1벽(131) 및 제 2벽(13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3벽(133)은 제 1벽(131) 및 제 2벽(132)과 함께 안착부(134)를 형성하도록 제 1벽(131) 및 제 2벽(132)을 연결할 수 있다. 안착부(134)에는 탑 바디(112) 및 베이스 바디(113)가 안착될 수 있다.The first wall 131 may face the outer body 111 . The second wall 132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rst wall 131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wall 131 . The third wall 13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wall 131 and the second wall 132 . In other words, the third wall 133 may connect the first wall 131 and the second wall 132 to form a seating portion 134 together with the first wall 131 and the second wall 132 . . The top body 112 and the base body 113 may be seated on the mounting part 134 .

초음파 전달체(130)의 제 1벽(131), 제 2벽(132) 및 제 3벽(13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wall 131 , the second wall 132 , and the third wall 133 of the ultrasound transmitter 130 may be integrally formed.

초음파 전달체(130)는 결합부(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36)는 아우터 바디(111)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초음파 전달체(130)의 제 1벽(131)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136)는 아우터 바디(111)에 형성되는 관통홀(111a)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111a)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초음파 전달체(130)의 제 1벽(131)에 마련될 수 있다.The ultrasound transmission body 130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part 136 . The coupling part 136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wall 131 of the ultrasound transmitting body 130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outer body 111 . Specifically, the coupling part 136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11a formed in the outer body 111, and on the first wall 131 of the ultrasonic transmitting body 130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through hole 111a. can be provided.

구강삽입유닛(110)은 아우터 바디(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바디(111)는 초음파 전달체(13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초음파 전달체(130)의 외측에 결합되고, 초음파 내지 공동현상(cavitation)에 의한 기포가 초음파 전달체(130)에서 구강 내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초음파 방출홀(111b)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우터 바디(111)는 복수의 초음파 방출홀(111b)이 초음파 전달체(130)의 제 1벽(131)의 내면과 마주하도록 초음파 전달체(130)의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아우터 바디(111)는 초음파 전달체(130)의 외면과 함께 내면의 일부를 덮는 형태로 초음파 전달체(130)의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oral insertion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body 111 . The outer body 111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ultrasound transmission body 130 so as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ultrasound transmission body 130 , so that bubbles caused by ultrasound or cavitation can move from the ultrasound transmission body 130 into the oral cavity. It may have a plurality of ultrasonic emission holes 111b provided. Specifically, the outer body 111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ultrasound transmission body 130 such that the plurality of ultrasound emission holes 111b 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wall 131 of the ultrasound transmission body 130 . . That is, the outer body 111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ultrasound transmission body 130 in a form that covers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together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ultrasound transmission body 130 .

아우터 바디(111)는 관통홀(111a)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111a)에는 초음파 발생기(140)의 일 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관통홀(111a)을 통과한 초음파 발생기(140)의 일 단부는 초음파 전달체(13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통홀(111a)을 통과한 초음파 발생기(140)의 일 단부는 자력(磁力)에 의해 결합부(136)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초음파 전달체(130)의 결합부(136)에는 자석이 배치될 수 있고, 초음파 발생기(140)의 일 단부는 자력(磁力)에 의해 결합부(136)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자석은 초음파 전달체(130)의 결합부(136)에 부착될 수 있다. 자석은 네오디뮴(neodymium)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공구 없이 구강삽입유닛(110)을 초음파 발생기(14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거나, 구강삽입유닛(110)을 초음파 발생기(14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The outer body 111 may include a through hole 111a. One end of the ultrasonic generator 140 may be coupled to the through hole 111a. One end of the ultrasonic generator 140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11a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ltrasonic transmitter 130 . Specifically, one end of the ultrasonic generator 140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11a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136 by magnetic force. As an example, a magnet may be disposed on the coupling portion 136 of the ultrasound transmission body 130, and one end of the ultrasound generator 14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136 by magnetic force. have. The magnet may be attached to the coupling portion 136 of the ultrasonic transmitter 130 . The magnet may include neodymium.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oral insertion unit 110 from the ultrasonic generator 140 without a separate tool, or can easily couple the oral insertion unit 110 to the ultrasonic generator 140 .

구강삽입유닛(110)은 탑 바디(112) 및 베이스 바디(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탑 바디(112)는 윗니와 마주하도록 안착부(134)의 제 1면(134a)에 결합될 수 있다. 탑 바디(112)는 안착부(134)의 제 1면(134a)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바디(113)는 아랫니와 마주하도록 안착부(134)의 제 2면(134b)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바디(113)는 안착부(134)의 제 2면(134b)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탑 바디(112) 및 베이스 바디(113)는 안착부(134)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탑 바디(112) 및 베이스 바디(113)는 안착부(134)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안착부(13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oral insertion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 top body 112 and a base body 113 . The top body 11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urface 134a of the seating part 134 to face the upper teeth. The top body 112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surface 134a of the seating part 134 . The base body 113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surface 134b of the seating part 134 to face the lower teeth. The base body 113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surface 134b of the seating part 134 . The top body 112 and the base body 113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seating part 134 therebetween. In other words, the top body 112 and the base body 113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eating part 134 to face each other with the seating part 134 interposed therebetween.

안착부(134)에는 복수의 체결공(135)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3벽(133)에는 복수의 체결공(135)이 형성될 수 있다. 탑 바디(112) 및 베이스 바디(113)에는 복수의 체결돌기(114)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돌기(114) 중 일부는 안착부(134)와 마주하는 탑 바디(112)의 일 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돌기(114) 중 다른 일부는 안착부(134)와 마주하는 베이스 바디(113)의 일 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돌기(114)는 서로 대응되는 복수의 체결공(135)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탑 바디(112) 및 베이스 바디(113)는 초음파 전달체(1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35 may be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134 . In other word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35 may be formed in the third wall 133 . A plurality of fastening protrusions 114 may be formed on the top body 112 and the base body 113 . Some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protrusions 114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top body 112 facing the seating part 134 . Another part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protrusions 114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base body 113 facing the seating part 134 . The plurality of fastening protrusions 114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35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top body 112 and the base body 113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ltrasound transmission body 130 .

아우터 바디(111), 탑 바디(112) 및 베이스 바디(113)는 탄성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재질은 일 예로써, 플라스틱, 고무, 실리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er body 111 , the top body 112 , and the base body 113 may include an elastic material. The elastic material may include, for example, plastic, rubber, silicone, and the like.

아우터 바디(111), 탑 바디(112) 및 베이스 바디(113)는 구강 내의 구강구조와 초음파 전달체(130)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도록 초음파 전달체(130)를 감쌀 수 있다. 이는, 구강 내의 구강구조와 초음파 전달체(130)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구강구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outer body 111 , the top body 112 , and the base body 113 may wrap the ultrasound transmission body 130 to prevent direct contact between the oral structure in the oral cavity and the ultrasound transmission body 130 . This is to prevent the oral structure from being damaged by the direct contact between the oral structure in the oral cavity and the ultrasound transmitter 130 .

구강삽입유닛(110)은 이너 바디(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바디(115)는 초음파 전달체(130)의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설면(舌面)과 마주하는 이너 바디(115)의 표면에는 설태(舌苔)를 제거할 수 있도록 요철(凹凸)(115a)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구강 내에 구강삽입유닛(110)을 삽입한 상태에서 설면(舌面)을 이너 바디(115)의 요철과 마찰시킴으로써 설태(舌苔)를 제거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설태를 제거함으로써 구취 또한 제거할 수 있다.The oral insertion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n inner body 115 . The inner body 115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ultrasound transmitting body 130 . Concave-convex 115a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nner body 115 facing the tongue surface to remove the tongue surface (舌苔). The user can remove the tongue by rubbing the tongue with the unevenness of the inner body 115 while the oral insertion unit 110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Users can also remove bad breath by removing the tongue.

구강 청결 기구(100)는 초음파 발생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발생기(140)는 구강삽입유닛(110)에 초음파를 발생시키도록 구강삽입유닛(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강삽입유닛(110)을 초음파 발생기(1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켜 사용할 경우, 여러 사람이 하나의 초음파 발생기(140)로 구강삽입유닛(110)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초음파 발생기(140)는 제어기(150)의 명령에 따라 초음파 내지 초음파 발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청결 기구(100)는 세정액 공급장치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세정액을 머금은 상태에서 구강 청결 기구(1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물론, 구강 청결 기구(100)가 세정액 공급장치를 별도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oral care appliance 100 may further include an ultrasonic generator 140 . The ultrasonic generator 14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oral insertion unit 110 to generate ultrasonic waves to the oral insertion unit 110 . In this way, when the oral insertion unit 1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ltrasonic generator 140 and used, several people can replace only the oral insertion unit 110 with one ultrasonic generator 140 and use it, so the consumer's use Convenience may be improved. The ultrasonic generator 140 may generate ultrasonic waves or ultrasonic oscillations according to a command of the controller 150 . Since the oral cleaning applian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separately include a cleaning solution supply device, the user can operate the oral cleaning device 100 in a state containing the cleaning solution.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for the oral cleaning device 100 to separately include a cleaning solution supply device.

구강 청결 기구(100)는 초음파 발생기(1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초음파 발생기(140)에 연결되는 제어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ral care appliance 10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150 connected to the ultrasonic generator 14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ultrasonic generator 140 .

제어기(150)는 초음파 발생기(14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50)는 초음파 발생기(140)에 초음파의 세기 조절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또한, 제어기(150)는 초음파 발생기(140)에 초음파 발진의 세기 조절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또한, 제어기(150)는 초음파 발생기(140)에 초음파 발진의 강약 반복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또한, 제어기(150)는 초음파 발생기(140)에 초음파 발진 연속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또한, 제어기(150)는 설정된 초음파 내지 초음파 발진의 지속 시간 내지 강약 반복 시간에 따라 초음파 발생기(140)가 작동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발생기(140)는 구강구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20KHz이상 50KHz이하의 초음파를 사용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on/off of the ultrasonic generator 140 . Also, the controller 150 may give an ultrasonic intensity control command to the ultrasonic generator 140 . Also, the controller 150 may give a command to adjust the intensity of ultrasonic oscillation to the ultrasonic generator 140 . Also, the controller 150 may give the ultrasonic generator 140 a command to repeat the intensity of ultrasonic oscilla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may issue an ultrasonic oscillation continuous command to the ultrasonic generator 140 .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may command the ultrasonic generator 140 to operate according to a set duration of ultrasonic waves or ultrasonic oscillation duration or intensity repetition time. Preferably, the ultrasonic generator 140 may use an ultrasonic wave of 20 KHz or more and 50 KHz or less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oral structure.

제어기(15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배터리를 이용하여 제어기(150)를 구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troller 150 may be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also possible to drive the controller 150 using a battery.

이상에서는, 초음파 내지 초음파 발진을 이용하여 구강 내 청결을 유지하는 구강 청결 기구(1,100)에 대해 설명하였다. 구강 청결 기구(1)는 휴대성(portability)을 가질 수 있다(도1참고). 또는, 구강 청결 기구(100)의 일부를 거치한 상태에서 구강 청결 기구(100)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써, 사용자는 제어기(150)를 거치하고, 구강삽입유닛(110)을 구강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초음파 발생기(140)를 파지하여 구강 청결 기구(100)를 사용할 수 있다(도9참고).In the above, the oral cleaning appliance 1,100 for maintaining oral hygiene by using ultrasonic waves or ultrasonic oscillation has been described. The oral care appliance 1 may have portability (see FIG. 1 ).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oral cleaning device 100 in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oral cleaning device 100 is mounted. As an example, the user may use the oral cleaning device 100 by holding the controller 150 and holding the ultrasonic generator 140 in a state in which the oral insertion unit 110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see FIG. 9 ). .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

1,100: 구강 청결 기구 10,110: 구강삽입유닛
20: 제 1클리너 21: 아우터 프레임
21a: 외벽 21b: 내벽
21c: 제 1슬릿 22: 이너 프레임
22a: 외벽 22b: 내벽
22c: 제 2슬릿 23,23a: 브리지
24: 삽입홀 25,125: 치아 수용부
30: 제 2클리너 31: 돌기
32: 슬릿 40,140: 초음파 발생기
41: 팁 45: 하우징
50,150: 제어기 60: 케이스
61: 제 1버튼 62: 제 2버튼
66: 제 1연결부 67: 제 2연결부
70: 세정액 탱크 80: 펌프
90: 펌프 구동원 95: 제 1튜브
96: 제 2튜브 111: 아우터 바디
111a: 관통홀 112: 탑 바디
113: 베이스 바디 114: 체결돌기
115: 이너 바디 115a: 요철
130: 초음파 전달체 131: 제 1벽
132: 제 2벽 133: 제 3벽
134: 안착부 134a: 제 1면
134b: 제 2면 135: 체결공
136: 결합부 111b: 초음파 방출홀
1,100: oral cleaning device 10,110: oral insertion unit
20: first cleaner 21: outer frame
21a: outer wall 21b: inner wall
21c: first slit 22: inner frame
22a: outer wall 22b: inner wall
22c: second slit 23,23a: bridge
24: insertion hole 25, 125: tooth receiving part
30: second cleaner 31: projection
32: slit 40, 140: ultrasonic generator
41: tip 45: housing
50,150: controller 60: case
61: first button 62: second button
66: first connection part 67: second connection part
70: cleaning liquid tank 80: pump
90: pump driving source 95: first tube
96: second tube 111: outer body
111a: through hole 112: top body
113: base body 114: fastening protrusion
115: inner body 115a: uneven
130: ultrasonic transmitter 131: first wall
132: second wall 133: third wall
134: seating portion 134a: first surface
134b: second side 135: fastener hole
136: coupling portion 111b: ultrasonic emission hole

Claims (27)

구강 내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강 내에 삽입되는 구강삽입유닛;
상기 구강삽입유닛에 초음파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구강삽입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초음파 발생기;
상기 초음파 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초음파 발생기에 연결되는 제어기; 및
상기 초음파 발생기에 결합되며, 상기 구강 내의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초음파의 발진에 의해 기포를 발생시키는 세정액이 유입되어 상기 구강삽입유닛으로 분사되도록 마련되는 팁(tip);을 포함하고,
상기 구강삽입유닛은,
치아 수용부를 가지는 제 1클리너; 및
설태(舌苔)를 제거할 수 있도록 표면에 설면(舌面)과 접촉 가능한 복수의 돌기가 마련되는 제 2클리너;를 포함하고,
상기 제 1클리너 및 상기 제 2클리너는 선택적으로 상기 초음파 발생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클리너는,
제 1슬릿을 가지는 아우터 프레임; 및
상기 아우터 프레임과의 사이에 상기 치아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 2슬릿을 가지는 이너 프레임;
상기 아우터 프레임 및 상기 이너 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상기 아우터 프레임 및 상기 이너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bridge);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에는 상기 팁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과 마주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기포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슬릿 및 상기 제 2슬릿과 연통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구강 청결 기구.
an oral insertion unit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o maintain cleanliness in the oral cavity;
an ultrasonic generator detachably coupled to the oral insertion unit to generate ultrasonic waves in the oral insertion unit;
a controller coupled to the ultrasonic generator to control operation of the ultrasonic generator; and
A tip coupled to the ultrasonic generator and provided so that a cleaning solution generating bubbles by oscillation of the ultrasonic wave is introduced to be sprayed into the oral insertion unit so as to wash foreign substances in the oral cavity;
The oral insertion unit,
a first cleaner having a tooth receiving portion; and
a second clean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contactable with the tongue surface on the surface to remove the tongue (舌苔);
wherein the first cleaner and the second cleaner are selectively detachably coupled to the ultrasonic generator,
The first cleaner,
an outer frame having a first slit; and
an inner frame disposed inside the outer frame such that the tooth receiv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having a second slit;
at least one bridge disposed between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to connect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tip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the outer frame,
An oral care appliance in which a hollow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lit and the second slit is formed in any one of the at least one bridge facing the insertion hole so that the air bubbles can m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내의 구강구조가 상기 초음파 발생기와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마모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초음파 발생기는 상기 구강구조와 비(非)접촉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청결 기구.
The method of claim 1,
In order to prevent the oral structure in the oral cavity from being abraded or damag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ultrasonic generator, the ultrasonic generator is provided to be non-contact with the oral structur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슬릿 및 상기 제 2슬릿은 각각 상기 아우터 프레임 및 상기 이너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청결 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lit and the second slit are oral care implement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respective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을 수용하는 세정액 탱크;
상기 세정액 탱크에 수용된 세정액을 상기 구강삽입유닛에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세정액 탱크에서 유입된 세정액을 펌핑하는 펌프; 및
상기 세정액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초음파 발생기 내부로 삽입되는 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청결 기구.
The method of claim 1,
a cleaning liquid tank accommodating the cleaning liquid;
a pump for pumping the cleaning liquid introduced from the cleaning liquid tank to supply the cleaning liquid accommodated in the cleaning liquid tank to the oral insertion unit; and
Oral cleaning appliance comprising a; tube connected to the pump to be inserted into the ultrasonic generator so that the cleaning solution can move.
삭제delet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팁을 둘러싸도록 상기 팁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구강삽입유닛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일 단부를 가지는 제 1연결부; 및
상기 제 1연결부의 다른 단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제 2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청결 기구.
8. The method of claim 7,
a first connection part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tip to surround the tip and having one end detachably coupled to the oral insertion unit; and
An oral care appliance further comprising a; a second connection part that is detachably fit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클리너는 상기 제 1연결부 및 상기 제 2연결부의 결합연장선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상기 제 1연결부의 일 단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청결 기구.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first cleaner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a coupling extension lin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클리너는 상기 제 1연결부 및 상기 제 2연결부의 결합연장선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연결부의 일 단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청결 기구.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second cleaner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so as to be positioned on a coupling extension lin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가 마련되는 상기 제 2클리너의 표면에는 상기 팁이 삽입되고, 상기 기포가 이동할 수 있도록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청결 기구.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ip is inserted into the surface of the second cleaner on which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provided, and a slit is formed so that the air bubbles can mov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기가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세정액 탱크, 상기 펌프 및 상기 제어기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청결 기구.
8. The method of claim 7,
The ultrasonic generator is coupled to the oral care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ase for accommodating the cleaning liquid tank, the pump and the controller therei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은 물, 탄산수 및 구강청결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청결 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cleaning solution is an oral care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water, carbonated water, and mouthwash.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036720A 2015-03-17 2015-03-17 Oral cleaning implement KR1024333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720A KR102433390B1 (en) 2015-03-17 2015-03-17 Oral cleaning impl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720A KR102433390B1 (en) 2015-03-17 2015-03-17 Oral cleaning imp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706A KR20160111706A (en) 2016-09-27
KR102433390B1 true KR102433390B1 (en) 2022-08-17

Family

ID=57101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720A KR102433390B1 (en) 2015-03-17 2015-03-17 Oral cleaning impl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39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572B1 (en) * 2017-12-04 2019-07-02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Mouthpiece for washing oral cavity and oral wash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157473B1 (en) * 2018-04-11 2020-09-22 유희장 Mouthpiece type of electric toothbrush
KR20210032605A (en) 2019-09-16 2021-03-25 주식회사 이바이오테코 Spraying apparatus for oral cleaning, gargling and whitening using electrolyzed water
CN114052968B (en) * 2021-12-22 2023-06-20 郑州大学 Oral cavity cleaning device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3956B1 (en) 1999-09-03 2002-03-12 Jason Berge Combined ultrasonic toothbrush module
JP2005095452A (en) * 2003-09-26 2005-04-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Ultrasonic organism washing device
CN101053535A (en) 2006-04-10 2007-10-17 林思腾 Tooth-washing machine
JP2012513794A (en) 2008-12-29 2012-06-2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Tooth cleaning mouthpiece with replaceable hair area
CN102551908A (en) 2011-01-03 2012-07-11 林思腾 Structure of hairless toothbrush
US20130004912A1 (en) 2005-04-27 2013-01-03 Dentovations Inc. Method and device for whitening teeth using sonochemistry
KR101453206B1 (en) * 2013-07-25 2014-10-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Nano bubble generator for claennig root canal of tooeh
US20150072306A1 (en) 2013-09-10 2015-03-12 dBMEDx INC Oral ultrasound waveguid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8014B2 (en) * 2003-02-25 2010-03-10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Ultrasonic biological cleaning equipment
KR20110111908A (en) * 2010-04-06 2011-10-12 공성진 Ultrasonic washer for teeth
CN102883669B (en) * 2010-05-06 2015-08-19 博朗有限公司 Tongue cleaning device
KR200470142Y1 (en) * 2012-02-01 2013-11-29 류창한 Mouthpiece type automatic toothbrush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3956B1 (en) 1999-09-03 2002-03-12 Jason Berge Combined ultrasonic toothbrush module
JP2005095452A (en) * 2003-09-26 2005-04-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Ultrasonic organism washing device
US20130004912A1 (en) 2005-04-27 2013-01-03 Dentovations Inc. Method and device for whitening teeth using sonochemistry
CN101053535A (en) 2006-04-10 2007-10-17 林思腾 Tooth-washing machine
JP2012513794A (en) 2008-12-29 2012-06-2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Tooth cleaning mouthpiece with replaceable hair area
CN102551908A (en) 2011-01-03 2012-07-11 林思腾 Structure of hairless toothbrush
KR101453206B1 (en) * 2013-07-25 2014-10-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Nano bubble generator for claennig root canal of tooeh
US20150072306A1 (en) 2013-09-10 2015-03-12 dBMEDx INC Oral ultrasound waveguid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706A (en) 201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4737B2 (en) Ultrasound oral hygiene and therapeutic device
US11213118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personalized dental care
US3636947A (en) Ultrasonic home dental instrument and method
EP2900171B1 (en) Hands free oral hygiene system
US5150492A (en) Ultrasonic toothbrush
US33758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ltrasonic cleaning of teeth
JP3224545B2 (en) Ultrasonic tooth washer
US20170189149A1 (en) Ultrasonic tooth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90226241A1 (en) Ultrasonic Toothbrush With Irrigation and Vacuum
US20160113745A1 (en) Ultrasonic tooth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433390B1 (en) Oral cleaning implement
US20210369431A1 (en) Dental care mouthpiece cleaning system
US20050037316A1 (en) Interproximal dental appliance
US6514077B1 (en) Sonic dental plaque remover and associated method
US20130081217A1 (en) Motorized mouthpiece
KR20120026955A (en) Replacement oscillation toothbrush by silicon and fine brush
KR20100010005A (en) Electromotive tooth brush with whitening and sterilizing function
KR102128806B1 (en) Vibration toothbrush
KR100865731B1 (en) Sonic vibration toothbrush
KR101554031B1 (en) Mouthpiece type electric toothbrush
JPH04208105A (en) Tooth brushing device
KR101700274B1 (en) The device for teeth cleaning and gum massage
KR102129118B1 (en) oral insertable electric toothbrush
US10987203B2 (en) Multiple mode dental device
KR200427295Y1 (en) Management Tool for Tooth and Teethridge using Supersonic Wa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