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230B1 - Managemen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quality of water based on internet of things - Google Patents

Managemen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quality of water based on internet of thing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230B1
KR102433230B1 KR1020200142261A KR20200142261A KR102433230B1 KR 102433230 B1 KR102433230 B1 KR 102433230B1 KR 1020200142261 A KR1020200142261 A KR 1020200142261A KR 20200142261 A KR20200142261 A KR 20200142261A KR 102433230 B1 KR102433230 B1 KR 102433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quality
water
quality data
purification system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2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57219A (en
Inventor
김후균
Original Assignee
김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후균 filed Critical 김후균
Priority to KR1020200142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230B1/en
Publication of KR20220057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2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2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20Analytics; Diagno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40Maintenance of th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ina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정수 시스템으로부터 수질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의 수질 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제공해주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질 측정 관리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수 시스템으로부터 수질 관리에 필요한 수질 데이터를 획득하는 수질 데이터 획득부 및 상기 수질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되는 수질 데이터를 정수 시스템 관리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수질 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제공하는 수질 데이터 전달부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질 측정 관리 장치에 의해, 실시간으로 해수 관리에 필요한 수질 데이터를 측정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양식장의 출하 시기 조정 및 양식장 자동화가 가능토록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질 측정 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It relates to an IoT-based water quality measurement and management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water quality data from a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providing it through a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app of a user terminal, and to obtain water quality data required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from a water purification system By an IoT-based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an acquisition unit and a water quality data transfer unit that provides water quality data obtained from the water quality data acquisition unit through a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app driven in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a water purification system manager, By measuring the water quality data required for seawater management in real time and providing it to the manag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oT-based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that can adjust the shipping time of the farm and automate the farm.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질 측정 관리 장치, 시스템 및 방법{Managemen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quality of water based on internet of things}Internet of Things-based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device, system and method {Managemen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quality of water based on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질 측정 관리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 시스템으로부터 수질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의 수질 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제공해주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질 측정 관리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based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device,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an IoT-based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device that receives water quality data from a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provides it through a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app of a user terminal , systems and methods.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구로서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세하게는 정수기는 수도와 연결되어 수돗물에 함유된 부유물이나 유해성분 등을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하게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만큼의 물을 정수하여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general, a water purifier is a device that filters water to remove impurities, and is widely used for home use. In detail, the water purifier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to remove suspended substances or harmful components contained in the tap water using a filter, and is configured to purify and extract as much water as desir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취수할 수 있는 물을 공급하는 정수기는 정수된 물이 소정의 기준에 부합하도록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특히, 일반적으로 정수기에 구비되는 정수된 물이 저장되는 수조의 오염상태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 In this way, the water purifier for supplying water that can be taken up to the user must be provided to the user so that the purified water meets a predetermined standard. In particular, in general,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pollution state of a water tank in which purified water provided in a water purifier is stored and take measures against it.

국내등록특허 10-1082555에는 세균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는 세균 검출 수단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정수기기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서 정수기기는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저장부에 저장된 물에서 세균이 배양되는 세균 배양부, 세균 배양부에서 세균을 검출하는 세균 검출 수단을 포함한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82555 discloses a water purifying device that allows the user to recognize it, including a means for detecting bacteria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bacteria. In the above document, the water purifying apparatus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purified water, a bacteria culture unit in which bacteria are cultured in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a bacteria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bacteria in the bacteria culture unit.

또한 국내공개특허 10-2010-0026906에는 오염검출부를 포함하는 정수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정수 저장 탱크 내부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여 저장 탱크 내부의 세척시기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정수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In additio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0-0026906 discloses a water purifier including a pollution detection unit, and discloses a technology related to a water purifier that measure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nside the purified water storage tank and informs the user of the cleaning time inside the storage tank. .

그러나 종래 정수기기는 신속하고 지속적인 수질 상태의 모니터링이 불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water purification equipmen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quickly and continuously monitor the water quality.

한편, 어류나 수산물을 보관하거나 양식하기 위해 사용되는 해수 정수기는 수족관 냉각기 출수 배관이 해수 정수기로 연결되며, 거품제거(스키머) 및 UV 램프 살균을 통해 다시 수족관으로 출수되는 기능만을 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in a seawater purifier used for storing or cultivating fish or aquatic products, the water outlet pipe of the aquarium cooler is connected to the seawater purifier, and it only performs functions of water being discharged back to the aquarium through bubble removal (skimmer) and UV lamp sterilization.

일반적으로 해수 정수기는 제작시 외함이 밀봉상태여서 내부 청소 및 점검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정수 및 살균에 대한 수치화된 데이터 즉 기준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정수기능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하기 어려움이 있고 현재 정수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근거가 불분명하다는 한계가 있다. In general, seawater purifier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internal cleaning and inspection are impossible because the enclosure is sealed during manufacture. In addition,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difficult to present objective data on the water purification function because the numerical data on wate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that is, the standards are not clear, and the basis for confirming whether the current water purification is being performed is not clear.

KRUS 10-2018-011431010-2018-0114310 AA KRUS 10-2003-006283810-2003-0062838 AA KRUS 10-108255510-1082555 B1B1 KRUS 10-2010-002690610-2010-0026906 AA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실시간으로 해수 관리에 필요한 수질 데이터를 측정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양식장의 출하 시기 조정및 양식장 자동화가 가능토록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질 측정 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such a technical background, and provides an IoT-based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that measures the water quality data required for seawater management in real time and provides it to the manager to adjust the shipping time of the farm and automate the farm.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음수용 정수기의 수질 관리 데이터를 취합하여 관리자에게 필터 관리 시기 알림 기능과 오염물 차단 경고 알림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음수용 정수기의 수질 상태 정보를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알릴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질 측정 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by collecting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data of drinking water purifiers and providing the filter management time notification function and pollutant blocking warning notification function to the manager, it is an IoT-based water quality measurement that can easily inform the manager of the water quality status information of the drinking water purifier in real time To provide a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뿐만 아니라, 정수기의 수질 데이터를 취합하여 빅데이터함으로써 정수기 물 수질 상태와 건강 상태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전국의 수질 상태를 파악하여 사업화 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해주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질 측정 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IoT-based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that provides data that can be used for commercialization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water quality and health status of water purifiers by collecting water quality data of water purifiers and providing big data It is an object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질 측정 관리 장치는 정수 시스템으로부터 수질 관리에 필요한 수질 데이터를 획득하는 수질 데이터 획득부 및 상기 수질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되는 수질 데이터를 정수 시스템 관리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수질 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제공하는 수질 데이터 전달부를 포함한다. That is, the IoT-based water quality measurement and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quality data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water quality data required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from a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a water purification system administrator for the water quality data acquired from the water quality data acquisition unit. It includes a water quality data transfer unit provided through a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app driven in the user terminal possessed.

또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질 측정 관리 시스템은 정수의 수질 데이터를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가시적인 데이터로 제공하는 수질 데이터 측정부 및 상기 수질 데이터 측정부에서 측정된 수질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방식으로 수질 측정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수질 데이터 제공부를 포함하는 정수의 수질 상태 측정 기능을 갖는 정수 시스템 및 정수 시스템으로부터 수질 관리에 필요한 수질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질 데이터 획득부 및 상기 수질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되는 수질 데이터를 정수 시스템 관리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수질 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제공하는 수질 데이터 제공부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질 측정 관리 장치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IoT-based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system measures the water quality data of purified water and manages the water quality data measurement unit that provides the measurement result as visible data and the water quality data measured by the water quality data measurement unit in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 water purification system having a water quality measurement function of purified water including a water quality data providing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device, a water quality data acquisition unit receiving water quality data required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from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water quality data obtained from the water quality data acquisition unit are purified It includes an IoT-based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 water quality data providing unit provided through a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app driven in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a system administrator.

한편, 수질 데이터 획득부 및 수질 데이터 전달부를 포함하는 수질 측정 관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질 측정 관리 방법은, 수질 데이터 획득부가 정수 시스템으로부터 수질 관리에 필요한 수질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수질 데이터 전달부가 상기 수질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되는 수질 데이터를 정수 시스템 관리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수질 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IoT-based water quality measurement and management method performed in the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 water quality data acquisition unit and a water quality data transfer unit includes the steps of: a water quality data acquisition unit acquiring water quality data required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from a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water quality data and providing, by a delivery unit, the water quality data obtained by the water quality data acquisition unit through a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app driven in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a water purification system manager.

본 발명에 의하면 실시간으로 해수 관리에 필요한 수질 데이터를 측정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양식장의 출하 시기 조정 및 양식장 자동화가 가능토록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질 측정 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oT-based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that enables the adjustment of the shipping time of the farm and automation of the farm by measuring the water quality data required for seawater management in real time and providing it to the manager. .

또한 음수용 정수기의 수질 관리 데이터를 취합하여 관리자에게 필터 관리 시기 알림 기능과 오염물 차단 경고 알림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음수용 정수기의 수질 상태 정보를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알릴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질 측정 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collecting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data of drinking water purifiers and providing the filter management time notification function and pollutant blocking warning notification function to the manager, it is an IoT-based water quality measurement that can easily inform the manager of the water quality status information of the drinking water purifier in real time A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may be provided.

뿐만 아니라, 정수기의 수질 데이터를 취합하여 빅데이터함으로써 정수기 물 수질 상태와 건강 상태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전국의 수질 상태를 파악하여 사업화 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해주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질 측정 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oT-based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that provides data that can be used for commercialization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water quality and health status of water purifiers by collecting water quality data of water purifiers and providing big data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측정 관리 시스템 및 수질 측정 관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system and a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excessively comprehensive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a human meaning or in an excessively reduced mean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측정 관리 시스템 및 수질 측정 관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system and a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 관리 시스템(1000)은 정수 시스템(20) 및 수질 측정 관리 장치(10)를 포함한다. The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water purification system 20 and a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apparatus 10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질 측정 관리 시스템(1000)은 수산물을 보관 또는 양식하기 위한 수조에 설치되는 해수 정수기에 탑재되거나, 가정이나 식당에 구비되는 음용수를 위한 음용수 정수기에 탑재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system 1000 may be mounted on a seawater purifier installed in a water tank for storing or cultivating aquatic products, or a drinking water purifier for drinking water provided in a home or restaurant.

일 예로 해수 정수기는 상부 개폐가능하게 제작되어 내부 청소 및 정비가 용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질 측정 관리 장치(10)는 수질 상태를 가시적인 데이터로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해수 정수기 전면에 배치된다. 즉, 수질 상태의 수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awater purifier can be opened and closed at the top, so that cleaning and maintenance of the inside can be easily provided. And the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device 1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eawater purifier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water quality status as visible data. That is, numerical data of the water quality can be visually confirmed in real time.

정수 시스템(20)은 수질 데이터 측정부(210) 및 수질 데이터 제공부(220)를 포함한다.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20 includes a water quality data measuring unit 210 and a water quality data providing unit 220 .

수질 데이터 측정부(210)는 정수의 수질 데이터를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가시적인 데이터로 제공한다. The water quality data measurement unit 210 measures the water quality data of purified water and provides the measurement result as visible data.

일 양상에 있어서, 수질 데이터 측정부(210)는 PH값, 수온, 염도, 수소이온농도, 용존산소량, 화학적 산소요구량, 오니농도, 슬러지농도, 전도도, 비저항, 염분농도, 잔류염소량, 탁도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전술한 요소들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대한 수질 데이터를 측정한다. In one aspect, the water quality data measurement unit 210 is at least one of PH value, water temperature, salinity, hydrogen ion concentration, dissolved oxygen amount, chemical oxygen demand, sludge concentration, sludge concentration, conductivity, specific resistance, salinity concentration, residual chlorine amount, turbidity Measure water quality data for at least one of the factors described above, including a sensor that measures one.

또한, 수질 데이터 측정부(210)는 빛을 이용하여 화학물질을 측정하도록 고안된 분광 측정기를 포함하여 물의 오염상태를 나타내는 대장균, 살모넬라균, 비브리오균이나 기타 박테리아를 측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quality data measurement unit 210 may measure E. coli, Salmonella, Vibrio or other bacteria indicating the contamination state of water, including a spectrometer designed to measure chemical substances using light.

또한, 수질 데이터 측정부(210)는 중금속 측정기를 포함하여 주요 중금속 수치를 측정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quality data measurement unit 210 may measure the number of major heavy metals, including a heavy metal measuring instrument.

그러나 수질 데이터 측정부(21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정수된 수질상태를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나 측정 결과를 모두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quality data measurement unit 2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interpreted to encompass all of various data or measurement results that can express the purified water quality state.

또한, 수질 데이터 측정부(210)는 측정된 수질 데이터를 가시적인 데이터로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water quality data measuring unit 210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measured water quality data as visible data.

수질 데이터 측정부(210)는 자체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측정된 PH값이나, 수온, 염도, 소수이온 농도, 용존산소량 등 측정된 수치 데이터를 그대로 표시해주거나, 측정된 값을 취합하여 정수 수질 상태를 나쁨에서 좋음까지 소정 단계로 구분하여 포괄적으로 표시해줄 수도 있다.The water quality data measuring unit 210 displays the measured numerical data such as PH value or water temperature, salinity, hydrophobic ion concentration, and dissolved oxygen amount as it is, or collects the measured values to determine the state of purified water quality. It can also be comprehensively displayed by classifying it into a predetermined level from bad to good.

또한, 분광 측정기로 측정된 물의 오염상태를 나타내는 대장균, 살모넬라균, 비브리오균이나 기타 박테리아의 검출 여부 및 주요 중금속 수치를 더 표시해줄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ther E. coli, Salmonella, Vibrio or other bacteria indicating the water contamination status measured by the spectrometer is detected, and the level of major heavy metals may be further displayed.

수질 데이터 제공부(220)는 수질 데이터 측정부(210)에서의 측정 결과를 실시간 반영하여 바로바로 변화된 내용을 확인가능하도록 수질 측정 결과를 가시적인 형태로 표시해준다. The water quality data providing unit 220 reflects the measurement results by the water quality data measurement unit 210 in real time and displays the water quality measurement results in a visible form so that the changed contents can be immediately confirmed.

또한 수질 데이터 제공부(220)는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수질 데이터 측정부(210)에서 측정된 수질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방식으로 수질 측정 관리 장치(10)로 전송한다. In addition, the water quality data providing unit 220 transmits the water quality data measured by the water quality data measurement unit 210 to the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device 10 in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수질 측정 관리 장치(10)는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 즉, 수질 데이터 전달부(130)를 포함하여 정수 시스템(20)의 수질 데이터 제공부(220)로부터 수질 상태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여, 정수기 관리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30)의 수질 관리 서비스 전용 앱을 통해 전송해준다. The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device 10 receives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water quality from the water quality data providing unit 220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20 including the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network communication, that is, the water quality data transfer unit 130 , It is transmitted through an app dedicated to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of the user terminal 30 possessed by the administrator.

정수기 관리자는 실시간으로 해수 정수기에서 정화된 정수의 수질 상태를 실시간으로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설정여부에 따라 수질 상태가 관리 기준을 벗어나 오염도가 기준치 이상이거나 관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의 알림 기능을 동작시키도록 구현된다. The water purifier manager can check the water quality of purified water from the sea water purifier in real time through the app. In addition, it is implemented to operate the notification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water quality is out of the management standard and the pollution level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or management is required depending on whether the administrator is set.

나아가 정수기 관리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30)의 수질 관리 서비스 전용 앱을 통해 해수 정수기의 거품제거 기능을 수행하는 스키머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관리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30)의 수질 관리 서비스 전용 앱을 통해 정수 시스템(20)의 전반적인 상태를 관리(진단)하거나,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Furthermore, it may be implement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kimmer performing the bubble removal function of the seawater purifier through an app dedicated to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of the user terminal 30 possessed by the water purifier manager. Alternatively, it may be implemented to manage (diagnose) or control the overall state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20 through an app dedicated to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of the user terminal 30 possessed by the administrator.

사용자 단말기(30)는 정수기 관리자가 소지하는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관리 서비스 앱이 설치되어 구동된다. The user terminal 30 is owned by the water purifier manager, and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nstalled and driven.

사용자 단말기(30)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가 가능한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3G, 4G, 5G 단말,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 (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0 i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in which applications can be installed, 3G, 4G, 5G terminals,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a smart phone (smartphone), a smart pad (smartpad),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tablet PC (Tablet PC).

뿐만 아니라, 데스크탑 PC(desktop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형태의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addition, a desktop PC (desktop PC), a slate PC (slate PC), a notebook computer (notebook computer),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etc. may be applicable. Of course, the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ypes, and it is natural that all terminal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may be included.

사용자 단말기(30)와 수질 측정 관리 시스템(1000) 간의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user terminal 30 and the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system 1000 is not limited, and not only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e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wired Internet, a wireless Internet, a broadcasting network) that the network may includ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may also be included.

여기서 네트워크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network is a personal area network (PAN), a local area network (LAN), a campus area network (C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a broadband network (BBN), among networks such as the Internet. It may include one or more arbitrary networks.

또한, 네트워크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Further, the network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ny one or more of a network topology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 bus network, a star network, a ring network, a mesh network, a star-bus network, a tree or a hierarchical network, and the like. .

또한 사용자 단말기(30)는 정수 시스템이 설치된 요식업체나 양식장에서 음식이나 수산물을 구매하기 원하는 구매자가 소지하는 단말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요식업체에 음식을 주문하거나 양식장에서 수산물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에 구매자는 해당 요식업체 또는 양식장의 수질 상태를 미리 파악하여 음식 주문 또는 수산물의 구매여부를 결정하는 데 참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3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device possessed by a buyer who wants to purchase food or aquatic products at a restaurant or aquaculture facility in which a water purification system is installed. That is, when ordering food from a catering company or purchasing seafood from a fish farm, the buyer can determine the water quality condition of the catering company or aquaculture farm in advance and refer to it in deciding whether to order food or purchase aquatic products.

도 1 과 같이 수질 측정 관리 장치(10)는 통신부(110). 데이터 획득부(120), 데이터 전달부(130), 수질 개선 요청부(140) 및 빅데이터 처리부(15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 the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device 1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 It includes a data acquisition unit 120 , a data transmission unit 130 , a water quality improvement request unit 140 , and a big data processing unit 150 .

수질 측정 관리 장치(10)는 사용자 단말기(30)에서 구동되는 수질 관리 서비스 앱을 설치하고 업데이트하는데 필요한 서비스 플랫폼을 포함한다. The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device 10 includes a service platform required to install and update a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app driven in the user terminal 30 .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communicates with any internal or external at least one terminal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이때,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는 정수 시스템(20) 및 사용자 단말기(30)들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any external terminal may include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20 and the user terminals 30 .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Here, 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wireless LAN (WLAN),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Wireless Broadband: Wibro),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IEEE 802.16,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etc.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within a range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 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Wi-Fi (Wi-Fi), Wi-Fi Direct (Wi-Fi Direct), etc.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wired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include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communication, Ethernet, serial communication, optical/coaxial cable, and the like.

데이터 획득부(120)는 정수 시스템(20)으로부터 수질 관리에 필요한 수질 데이터를 획득한다. The data acquisition unit 120 acquires water quality data required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from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20 .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획득부(120)는 정수 시스템(20)으로부터 PH값, 수온, 염도, 수소이온농도, 용존산소량, 화학적 산소요구량, 오니농도, 슬러지농도, 전도도, 비저항, 염분농도, 잔류염소량, 탁도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값을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정수된 물의 수질 상태를 파악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측정가능한 수질 관련 데이터들은 모두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In one embodiment, the data acquisition unit 120 from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20 PH value, water temperature, salinity, hydrogen ion concentration, dissolved oxygen amount, chemical oxygen demand, sludge concentration, sludge concentration, conductivity, specific resistance, salinity concentration, residual It is possible to obtain a value for at least one of chlorine amount and turbidit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interpreted to encompass all measurable water quality-related data that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water quality state of purified water.

또한, 데이터 획득부(120)는 정수 시스템(20)으로부터 물의 오염상태를 나타내는 대장균, 살모넬라균, 비브리오균이나 기타 박테리아의 검출 여부 및 주요 중금속 수치에 대한 수질 관련 데이터들을 획득한다. In addition, the data acquisition unit 120 acquires water quality-related data on whether E. coli, Salmonella, Vibrio or other bacteria indicating the contamination state of water are detected and the major heavy metal levels from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20 .

데이터 전달부(130)는 수질 데이터 획득부(120)에서 획득되는 수질 데이터를 정수 시스템 관리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30)에서 구동되는 수질 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제공한다.The data transfer unit 130 provides the water quality data obtained by the water quality data acquisition unit 120 through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app driven in the user terminal 30 possessed by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manager.

이에 따라 수산물 판매자 또는 양식장 운영자는 실시간으로 수산물을 보관 또는 양식하는 수조의 수질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질 상태가 악화되거나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Accordingly, a seafood seller or aquaculture farm operator can check the water quality of a tank that stores or farms seafood in real time. In addition, the effect of promptly responding to the deterioration of the water quality or an abnormal situation is derived.

이때 정수 시스템 관리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30)에서 구동되는 수질 관리 서비스 앱은 정수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도록 하는 기능을 더 제공한다. 그리고 정수 시스템 관리자는 수질 관리 서비스 앱을 이용하여 수조에 설치되는 산소공급기나 거품제거기등 정수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기위한 조작신호를 더 입력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app driven in the user terminal 30 possessed by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manager further provides a function to monitor and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In addition,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manager may use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app to further input an operation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devices performing a water purification function, such as an oxygen supply device or a bubble remover installed in the water tank.

또한 가정 또는 요식업체 내의 정수 시스템(20) 관리자 역시 음용수의 정수 상태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파악하여 음용수의 수질 상태를 보장,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In addition, the manager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20 in the home or catering company also accurately grasps the purified state of drinking water in real time, thereby ensuring and managing the water quality of drinking wat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수 시스템(20)이 식당과 같은 요식업체에 구비되는 정수기인 경우에는 식당과 같은 요식업체 관리자 및 요식업체 이용자들이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30)를 통해 더 제공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water purifying system 20 is a water purifier provided in a restaurant, such as a restaurant, it may be further provi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30 possessed by the restaurant manager and the food service user.

예를 들어 특정 요식업체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의 경우에 자신이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30)에서 구동되는 수질 관리 서비스 앱을 실행시키고, 방문하고자 하는 요식업체의 정수 수질 데이터를 요청하여 확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ustomer who wants to use a specific catering company,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app driven in the user terminal 30 in his/her possession may be executed, and the purified water quality data of the catering company to be visited may be requested and confirmed.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있어서, 수질 데이터 제공부(220)는 수질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되는 수질 데이터를 요식 업체 이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요식업 주문 전용 앱을 통해 더 제공한다. In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quality data providing unit 220 further provides the water quality data obtained from the water quality data acquisition unit through the catering business order-only app driven in the user terminal possessed by the catering company user.

즉, 요식 업체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는 자신이 이용하는 요식업체에서 사용하는 정수 시스템(20)에서 정수된 물의 수질 상태를 확인하고 주문함으로써 수질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여 요식업체 전체 청결 상태를 유추하여 주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That is, the user who wants to use the catering company checks the water quality of the purified water in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20 used by the catering company and places an order to accurately determine the water quality and infer the overall cleanliness of the catering company to order whether or not can be decided

예를 들어 회집과 같은 요식업체에서 음식을 주문하거나, 양식업자로부터 수산물을 직거래 하려는 경우에, 구매자는 자신이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30)의 요식업 주문 전용 앱을 통해서 요식업체 또는 양식업자가 관리하는 정수 시스템에 의해 정수된 물의 수질 상태를 확인하고 요식업체를 예약하는 것이 가능하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ordering food from a catering company such as a restaurant, or directly trading seafood from a fish farmer, the buyer uses the catering business order-only app of the user terminal 30 in his possess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water quality of the water purified by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make a reservation for a restaurant.

즉, 수산물을 보관하는 수조의 물상태 또는 수산물이 양식되는 수조의 물상태, 또는 음용수로 이용하는 정수 시스템에 의한 음용수의 수질 상태를 각각 파악하고 음식이나 수산물에 대한 관리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여 구매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That is, the water condition of the tank that stores seafood, the water condition of the tank where the aquatic products are cultured, or the water quality of drinking water by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used for drinking water, respectively, and the management status of food or aquatic products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to determine whether to purchase. can decide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수질 개선 요청부(140)는 수질 데이터 획득부(120)에서 획득되는 수질 데이터에 기반하여 수질 상태가 소정의 관리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 정수 시스템 관리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30)에서 구동되는 수질 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수질 개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request unit 140 is a user terminal ( 30) transmits a water quality improvement request message through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app.

예를 들어 데이터 획득부(120)에서 획득되는 정수 시스템의 수질 데이터 측정 값인 PH값, 수온, 염도, 수소이온농도, 용존산소량, 화학적 산소요구량이 정해진 값 이하이거나, 이상이어서 정상 상태를 벗어난 경우에 실시간으로 정수 시스템(20)관리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30)로 이상 상황 발생을 통보해준다. For example, when the PH value, water temperature, salinity, hydrogen ion concentration, dissolved oxygen amount, and chemical oxygen demand, which are measured values of water quality data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btained by the data acquisition unit 120,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or exceeds the normal state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 situation is notified to the user terminal 30 possessed by the water purifying system 20 manager in real time.

또한, 데이터 획득부(120)에서 획득되는 수질 데이터에 기반하여 물의 오염상태를 나타내는 대장균, 살모넬라균, 비브리오균이나 기타 박테리아가 검출되거나, 주요 중금속 수치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이상 상황 발생을 통보해준다.In addition, based on the water quality data obtained from the data acquisition unit 120, E. coli, Salmonella, Vibrio or other bacteria indicating the contamination state of water are detected, or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even when the level of major heavy metal exceeds the reference value does it

이때 수질 개선 요청부(140)는 수산물을 보관, 양식하는 수조에 구비되는 정수 시스템(20)에서의 수질 데이터와, 가정이나 요식업체에 구비되는 음용수 정수 시스템(20)에서의 수질 데이터에 각각 상이한 기준을 적용하여 이상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request unit 140 is different from the water quality data in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20 provided in the tank for storing and cultivating aquatic products and the water quality data in the drinking water purification system 20 provided in homes or restaurants, respectively.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whether an abnormal situation has occurred by applying the criteria.

수질 개선 요청부(140)는 사용자 단말기(30)에서 수질 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알림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기(30)의 메시지 기능 또는 알람기능을 연동 실행시켜서 수질 개선 요청을 알릴 수 있다.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request unit 140 may notify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request by transmitting a notification message from the user terminal 30 through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app or by interlocking the message function or the alarm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30 .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수질 개선 요청부(140)는 필터 교체 시기 정보를 더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request unit 140 further provides filter replacement time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질 개선 요청부(140)는 데이터 획득부(120)로 획득되는 정수 시스템(20)의 수질 데이터에 기반하여 필터 교환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기(30)로 필터 교체 요청을 전송한다. In one embodiment,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request unit 140 requests the filter replacement to the user terminal 30 when it is determined that filter replacement is necessary based on the water quality data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20 obtained by the data acquisition unit 120 . to send

또한, 사용자 단말기(30)를 통해 필터 교체 일정 또는 필터 교체 완료 시점이 입력되면, 입력받은 필터 교체 일정과 필터 교체 완료 시점에 기반하여 필터 교체 시기를 단순히 카운트하여 도래하였음을 알려줄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a filter replacement schedule or a filter replacement completion time is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30 , the filter replacement time may be simply counted and notified based on the received filter replacement schedule and filter replacement completion time.

예를 들어 수질 개선 요청부(140)는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6.30일자에 제 1 필터, 제 2 필터를 교체하고, 제 1 필터의 교체 주기가 3개월, 제 2 필터 교체 주기가 6개월 이라는 정보를 입력받으면, 9.30일자를 기준으로 소정일 이전에 제 1 필터 교체일이 도래하였음을 알리고, 12.30일자 기준으로 소정일 이전에 제 2 필터 교체일이 도래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For example,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request unit 140 replaces the first filter and the second filter on the 6.30 day from the user terminal 30,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first filter is 3 months, and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second filter is 6 months. When the information is input, it is possible to notify that the first filter replacement date has arrived before the predetermined date based on the 9.30 date, and inform that the second filter replacement date has arrived before the predetermined date based on the 12.30 date.

즉, 수질 개선 요청부(140)는 데이터 획득부(120)로 획득한 수질 데이터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거나, 필터 교체 일정에 따라 교체기가 도래한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30)로 필터 교체 시기 정보 및 필터 교체 요청을 전송한다. That is,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request unit 140 sends the filter replacement time information and Send a filter replacement request.

빅데이터 처리부(150)는 수질 데이터 획득부(120)로 수신되는 수질 데이터 및 정수 시스템(20) 식별 정보를 함께 빅데이터화하여 저장한다. 빅데이터 처리부(150)는 시간 변화에 따라 예를 들면 정해진 주기마다 수질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빅데이터화한다. The big data processing unit 150 converts the water quality data received to the water quality data acquisition unit 120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20 together into big data and stores them. The big data processing unit 150 collects and stores water quality data, for example, every predetermined period according to time change, and converts it into big data.

이때 수질 데이터를 수집하는 주기는 수초 내지 수시간일 수 있으며, 관리자 설정에 의해 변경가능할 것이다. In this case, the period for collecting water quality data may be several seconds to several hours, and may be changed by an administrator setting.

빅데이터 처리부(150)가 정수 시스템(20)과 매칭되게 수질 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저장해둠으로써 수질의 개선 상태나 악화상태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정수 시스템 사용 직전에는 PH값이 13이었는데 정수 시스템 동작이후 1시간이 경과한 후에 PH가 7로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시계열적으로 수질 데이터가 저장, 관리된다. Since the big data processing unit 150 stores water quality data time-series to match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20 ,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iagnose an improved state or a deteriorated state of water quality. For example, the PH value was 13 just before using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but water quality data is stored and managed in time series so tha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H has improved to 7 after 1 hour has elapsed since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was operated.

이에 따라 정수 시스템(20)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고, 정수 시스템 관리자가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자신이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30)의 수질 관리 서비스 전용 앱을 통해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objectively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20, and even i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administrator does not go through a complicated process, the effect that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manager can conveniently check through the dedicated app for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of the user terminal 30 he owns is derived

예를 들어 특정 정수 시스템(20)을 가정내에서 사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아이디로 가입하여, 가정 내의 정수 시스템(20)에서의 수질 측정 데이터를 수질 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요식업주의 경우에도 수조의 정수 시스템(20) 및 음용수 정수 시스템(20)에서의 수질 측정 데이터를 각각 파악할 수 있다. For example, a user who uses a specific water purification system 20 at home may sign up with his or her ID and check the water quality measurement data in the home water purification system 20 through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app. Even in the case of a catering business owner, the water quality measurement data in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20 and the drinking water purification system 20 of the tank may be grasped, respectively.

또한, 정수 시스템(20)의 수질 개선상태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지속적으로 수치화하여 저장함으로써 시간의 흐름에 따른 수질 개선 상황을 객관적으로 수치화하여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continuously digitizing and storing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status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20 over time,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status over time can be objectively quantified and accurately grasped.

뿐만 아니라 빅데이터화된 수질 데이터를 이용하여 물과 사람의 건강상태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수질 상태가 좋은 요식업체 또는 양식장을 파악하여 기업들에 제공해주는 것이 가능하여 다양한 사업화에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로 생성, 가공하여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water and human health using big data water quality data to identify catering companies or farms with good water quality and provide them to companies, creating data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commercialization. , can be processed and used.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수질 데이터 획득부 및 수질 데이터 전달부를 포함하는 수질 측정 관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질 측정 관리 방법은, 수질 데이터 획득부가 정수 시스템으로부터 수질 관리에 필요한 수질 데이터를 획득한다(S200).First, in the IoT-based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method performed by the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 water quality data acquisition unit and a water quality data transfer unit, the water quality data acquisition unit acquires water quality data required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from a water purification system (S200).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정수 시스템으로부터 PH값, 수온, 염도, 수소이온농도, 용존산소량, 화학적 산소요구량, 오니농도, 슬러지농도, 전도도, 비저항, 염분농도, 잔류염소량, 탁도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값을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정수된 물의 수질 상태를 파악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측정가능한 수질 관련 데이터들은 모두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acquiring data includes PH value, water temperature, salinity, hydrogen ion concentration, dissolved oxygen amount, chemical oxygen demand, sludge concentration, sludge concentration, conductivity, specific resistance, salinity concentration, residual chlorine amount, and turbidity from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At least one value may be obtain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interpreted to encompass all measurable water quality-related data that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water quality state of purified water.

또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물의 오염상태를 나타내는 대장균, 살모넬라균, 비브리오균이나 기타 박테리아의 검출 여부 및 주요 중금속 수치가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p of acquiring data may acquire information on whether Escherichia coli, Salmonella, Vibrio, or other bacteria indicating the contamination state of water are detected and whether the level of major heavy metals exceeds a reference value.

그리고 수질 데이터 전달부가 수질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되는 수질 데이터를 정수 시스템 관리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수질 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제공한다(S210). And the water quality data transfer unit provides the water quality data obtained from the water quality data acquisition unit through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app driven in the user terminal possessed by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manager (S210).

이에 따라 수산물 판매자 또는 양식장 운영자는 실시간으로 수산물을 보관 또는 양식하는 수조의 수질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질 상태가 악화되거나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Accordingly, a seafood seller or aquaculture farm operator can check the water quality of a tank that stores or farms seafood in real time. In addition, the effect of promptly responding to the deterioration of the water quality or an abnormal situation is derived.

또한 가정 또는 요식업체 내의 정수 시스템 관리자 역시 음용수의 정수 상태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파악하여 음용수의 수질 상태를 보장,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In addition, a water purification system manager in a home or restaurant can accurately identify the water purification status of drinking water in real time, thereby ensuring and managing the quality of drinking wat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수 시스템이 식당과 같은 요식업체에 구비되는 정수기인 경우에는 식당과 같은 요식업체 관리자 및 요식업체 이용자들이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더 제공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is a water purifier provided in a restaurant, such as a restaurant, it may be further provided through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a food service manager such as a restaurant and food service users.

예를 들어 특정 요식업체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의 경우에 자신이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수질 관리 서비스 앱을 실행시키고, 방문하고자 하는 요식업체의 정수 수질 데이터를 요청하여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ustomer who wants to use a specific catering company, he/she can run a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app running on his/her user terminal and request and check the purified water quality data of the catering company he wants to visit.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는, 수질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획득되는 요식업체 정수 시스템의 수질 데이터를 요식업체 이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요식업 주문 전용 앱을 통해 더 제공한다.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viding step further provides the water quality data of the restaurant water purification system obtained in the step of acquiring water quality data through the catering business order-only app driven in the user terminal possessed by the food service user. do.

즉, 요식 업체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는 자신이 이용하는 요식업체에서 사용하는 정수 시스템에서 정수된 물의 수질 상태를 확인하고 주문함으로써 수질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여 요식업체 전체 청결 상태를 유추하여 주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a user who wants to use a catering company can determine whether to order by inferring the overall cleanliness of the restaurant by checking the water quality of the purified water in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used by the catering company and ordering it. have.

예를 들어 회집과 같은 요식업체에서 음식을 주문하거나, 양식업자로부터 수산물을 직거래 하려는 경우에, 구매자는 자신이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요식업 주문 전용 앱을 통해서 요식업체 또는 양식업자가 관리하는 정수 시스템에 의해 정수된 물의 수질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For example, when ordering food from a catering company such as a restaurant, or directly trading seafood from a fish farmer, the buyer can access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managed by the restaurant company or aquaculture company through the catering order order app on the user's terminal.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water quality condition of purified water.

즉, 수산물을 보관하는 수조의 물상태 또는 수산물이 양식되는 수조의 물상태, 또는 음용수로 이용하는 정수 시스템에 의한 음용수의 수질 상태를 각각 파악하고 음식이나 수산물에 대한 관리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여 구매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That is, the water condition of the tank that stores seafood, the water condition of the tank where the aquatic products are cultured, or the water quality of drinking water by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used for drinking water, respectively, and the management status of food or aquatic products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to determine whether to purchase. can decide

본 발명의 일양상에 따르면, 수질 개선 요청부가 수질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획득되는 수질 데이터에 기반하여 수질 상태가 소정의 관리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S220), 정수 시스템 관리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수질 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수질 개선 요청 알람을 전송한다(S230).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ater quality condition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management reference value based on the water quality data obtained in the step of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requesting unit obtaining the water quality data (S220),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manager operates in a user terminal It transmits a water quality improvement request alarm through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app (S230).

예를 들어 데이터 획득부(120)에서 획득되는 정수 시스템의 수질 데이터 측정 값인 PH값, 수온, 염도, 수소이온농도, 용존산소량, 화학적 산소요구량이 정해진 값 이하이거나, 이상이어서 정상 상태를 벗어난 경우에 실시간으로 정수 시스템(20)관리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이상 상황 발생을 통보해준다. For example, when the PH value, water temperature, salinity, hydrogen ion concentration, dissolved oxygen amount, and chemical oxygen demand, which are measured values of water quality data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btained by the data acquisition unit 120,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or exceeds the normal state It notifies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 situation to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20 manager in real time.

이때 수질 개선 요청부는 수산물을 보관, 양식하는 수조에 구비되는 정수 시스템(20)에서의 수질 데이터와, 가정이나 요식업체에 구비되는 음용수 정수 시스템(20)에서의 수질 데이터에 각각 상이한 기준을 적용하여 이상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request unit applies different standards to the water quality data in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20 provided in the tank for storing and cultivating aquatic products and the water quality data in the drinking water purification system 20 provided in homes or restaurants.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whether an abnormal situation has occurred.

수질 개선 요청 알람을 전송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질 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알림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기의 메시지 기능 또는 알람기능을 연동 실행시켜서 수질 개선 요청을 알릴 수 있다. 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request alarm, a notification message may b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app, or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request may be notified by interlocking a message function or an alarm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수질 개선 요청 알람을 전송하는 단계는, 필터 교체 시기가 도래하면(S240), 필터 교체 요청 정보를 더 제공한다(S250).An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request alarm, when the filter replacement time arrives (S240), further provides filter replacement request information (S25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질 개선 요청 알람을 전송하는 단계는 데이터 획득부로 획득되는 정수 시스템의 수질 데이터에 기반하여 필터 교환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기로 필터 교체 요청을 전송한다. 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request alarm transmits a filter replacement request to the user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filter replacement is necessary based on the water quality data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btained by the data acquisition unit.

또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필터 교체 일정 또는 필터 교체 완료 시점이 입력되면, 입력받은 필터 교체 일정과 필터 교체 완료 시점에 기반하여 필터 교체 시기를 단순히 카운트하여 도래하였음을 알려줄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a filter replacement schedule or a filter replacement completion time is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the filter replacement time may be simply counted and informed that the filter replacement time has arrived based on the received filter replacement schedule and filter replacement completion time.

즉, 수질 개선 요청 알람을 전송하는 단계는 데이터 획득부로 획득한 수질 데이터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거나, 필터 교체 일정에 따라 교체기가 도래한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로 필터 교체 시기 정보 및 필터 교체 요청을 전송한다. That is, 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request alarm, the filter replacement time information and filter replacement request ar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water quality data acquired by the data acquisition unit is out of the normal range or a replacement period arrives according to the filter replacement schedule. .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빅데이터 처리부는 수질 데이터 획득부로 수신되는 수질 데이터 및 정수 시스템 식별 정보를 함께 빅데이터화하여 저장한다.이때 시간 변화에 따라 예를들면 정해진 주기마다 수질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빅데이터화한다.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g data processing unit big dataizes the water quality data and water purification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ater quality data acquisition unit and stores them together. and big data.

이때 수질 데이터를 수집하는 주기는 수초 내지 수시간일 수 있으며, 관리자 설정에 의해 변경가능할 것이다. In this case, the period for collecting water quality data may be several seconds to several hours, and may be changed by an administrator setting.

빅데이터 처리부가 정수 시스템과 매칭되게 수질 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저장해둠으로써 수질의 개선 상태나 악화상태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By storing the water quality data in time series to match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by the big data processing uni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iagnose the state of improvement or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이에 따라 정수 시스템의 정수 성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고, 정수 시스템 관리자가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자신이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수질 관리 서비스 전용 앱을 통해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objectively evaluate the water purification performance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even i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manager does not go through a complicated process,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check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app on the user's terminal.

또한, 정수 시스템의 수질 개선상태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지속적으로 수치화하여 저장함으로써 시간의 흐름에 따른 수질 개선 상황을 객관적으로 수치화하여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continuously quantifying and storing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status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ver time,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status over time can be objectively quantified and accurately grasped.

전술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or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may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r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hard disk, a magnetic medium such as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n optical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ROM and DVD, and a magneto-optical medium such as a floppy disk.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will be able

1000 : 수질 측정 관리 시스템 10 : 수질 측정 관리 장치
110 : 통신부 120 : 데이터 획득부
130 : 데이터 전달부 140 : 수질 개선 요청부
150 : 빅데이터 처리부 20 : 정수 시스템
210 : 수질 데이터 측정부 220 : 수질 데이터 제공부
30 : 사용자 단말기
1000: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system 10: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device
110: communication unit 120: data acquisition unit
130: data transfer unit 140: water quality improvement request unit
150: big data processing unit 20: water purification system
210: water quality data measuring unit 220: water quality data providing unit
30: user terminal

Claims (10)

정수 시스템으로부터 수질 관리에 필요한 수질 데이터를 획득하는 수질 데이터 획득부;
상기 수질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되는 수질 데이터를 정수 시스템 관리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수질 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제공하는 수질 데이터 전달부; 및
상기 수질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되는 수질 데이터에 기반하여 관리자 설정여부에 따라 수질 상태가 소정의 관리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 정수 시스템 관리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수질 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수질 개선 요청 알람을 전송하는 수질 개선 요청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질 데이터 전달부가,
상기 수질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되는 요식업체 정수 시스템의 수질 데이터를 요식업체 이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요식업 주문 전용 앱을 통해 더 제공하며,
상기 수질 데이터 획득부로 수신되는 수질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정수 시스템 식별 정보를 함께 빅데이터화하여 정수 시스템과 매칭되게 수질 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저장하는 빅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수질 관리 서비스 전용 앱을 통해 시간의 흐름에 따른 수질 개선 상황을 수치화하여 제공하며,
상기 수질 개선 요청부는,
필터 교체 시기 정보를 더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수질 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정수 시스템의 관리, 진단을 위해 수질상태를 제공하고, 수질 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산소 공급기 및 거품 제거기를 포함하는 정수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기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질 측정 관리 장치.
a water quality data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water quality data required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from a water purification system;
a water quality data transfer unit that provides the water quality data obtained from the water quality data acquisition unit through a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app driven in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a water purification system manager; and
Based on the water quality data obtained from the water quality data acquisition unit, if the water quality status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management reference value depending on whether the administrator is set or not Including; and a water quality improvement request unit to transmit
The water quality data transfer unit,
The water quality data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btained from the water quality data acquisition unit is further provided through the catering business order-only app driven in the user terminal possessed by the food service user,
Further comprising a big data processing unit that periodically collects the water quality data received by the water quality data acquisition unit and stores the water quality data in time series to match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by converting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to big data together,
Through an app dedicated to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status over time is quantified and provided.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request unit,
Provides more information on when to replace the filter,
Provides water quality for management and diagnosis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through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app running on the user terminal,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devices that perform water purification functions including oxygen supply and bubble remover through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app An IoT-based water quality measurement and management device that receives operation signals f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정수의 수질 데이터를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가시적인 데이터로 제공하는 수질 데이터 측정부 및 상기 수질 데이터 측정부에서 측정된 수질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방식으로 수질 측정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수질 데이터 제공부를 포함하는 정수의 수질 상태 측정 기능을 갖는 정수 시스템; 및
정수 시스템으로부터 수질 관리에 필요한 수질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질 데이터 획득부 및 상기 수질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되는 수질 데이터를 정수 시스템 관리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수질 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제공하는 수질 데이터 전달부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질 측정 관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질 측정 관리 장치는,
상기 수질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되는 수질 데이터에 기반하여 관리자 설정여부에 따라 수질 상태가 소정의 관리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 정수 시스템 관리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수질 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수질 개선 요청 알람을 전송하는 수질 개선 요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질 데이터 전달부가,
상기 수질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되는 요식업체 정수 시스템의 수질 데이터를 요식업체 이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요식업 주문 전용 앱을 통해 더 제공하며,
상기 수질 데이터 획득부로 수신되는 수질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정수 시스템 식별 정보를 함께 빅데이터화하여 정수 시스템과 매칭되게 수질 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저장하는 빅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질 데이터 측정부는,
PH값, 수온, 염도, 수소이온농도, 용존산소량, 화학적 산소요구량, 오니농도, 슬러지농도, 전도도, 비저항, 염분농도, 잔류염소량, 탁도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수질 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상기 정수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제공하고, 수질 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산소 공급기 및 거품 제거기를 포함하는 정수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질 측정 관리 시스템.
A water quality data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he water quality data of purified water and provides the measurement result as visible data, and a water quality data providing unit that transmits the water quality data measured by the water quality data measuring unit to a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device in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ater purification system with water quality measurement function; and
A water quality data acquisition unit for receiving water quality data required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from a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water quality data delivery that provides water quality data obtained from the water quality data acquisition unit through a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app driven in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a water purification system manager Including; Internet of Things-based water quality measurement and management device including wealth;
The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device,
Based on the water quality data obtained from the water quality data acquisition unit, if the water quality status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management reference value depending on whether the administrator is set or not It further includes; a water quality improvement request unit to transmit
The water quality data transfer unit,
The water quality data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btained from the water quality data acquisition unit is further provided through the catering business order-only app driven in the user terminal possessed by the food service user,
Further comprising a big data processing unit that periodically collects the water quality data received by the water quality data acquisition unit and stores the water quality data in time series to match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by converting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to big data together,
The water quality data measurement unit,
A sensor for measuring at least one of PH value, water temperature, salinity, hydrogen ion concentration, dissolved oxygen amount, chemical oxygen demand, sludge concentration, sludge concentration, conductivity, specific resistance, salinity concentration, residual chlorine amount, and turbidity;
Provides monitoring results for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through a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app driven in a user terminal,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devices performing a water purification function including an oxygen supply and a bubble remover through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app An IoT-based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system that receives operation signals.
삭제delete 수질 데이터 획득부 및 수질 데이터 전달부를 포함하는 수질 측정 관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질 측정 관리 방법에 있어서,
수질 데이터 획득부가 정수 시스템으로부터 수질 관리에 필요한 수질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수질 데이터 전달부가 상기 수질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되는 수질 데이터를 정수 시스템 관리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수질 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 및
수질 개선 요청부가 상기 수질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획득되는 수질 데이터에 기반하여 수질 상태가 관리자 설정여부에 따라 소정의 관리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 정수 시스템 관리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수질 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수질 개선 요청 알람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질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획득되는 요식업체 정수 시스템의 수질 데이터를 요식업체 이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요식업 주문 전용 앱을 통해 더 제공하며,
상기 수질 데이터 획득부로 수신되는 수질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정수 시스템 식별 정보를 함께 빅데이터화하여 정수 시스템과 매칭되게 수질 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질 개선 요청 알람을 전송하는 단계는,
필터 교체 시기가 도래하면 필터 교체 요청 정보를 더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수질 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상기 정수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제공하고, 수질 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 산소 공급기 및 거품 제거기를 포함하는 정수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질 측정 관리 방법.
In the IoT-based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method performed in a water quality measurement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 water quality data acquisition unit and a water quality data transfer unit,
acquiring, by a water quality data acquisition unit, water quality data required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from a water purification system;
providing, by a water quality data transfer unit, the water quality data obtained by the water quality data obtaining unit through a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app driven in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a water purification system manager; and
Based on the water quality data obtained in the step of obtaining the water quality data by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request unit, if the water quality status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management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whether the administrator is set or not,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app driven in the user terminal possessed by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administrator Transmitting a water quality improvement request alarm through;
The providing step is
The water quality data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obtained in the step of acquiring the water quality data is further provided through the catering business order-only app driven in the user terminal possessed by the food service user,
Further comprising; periodically collecting the water quality data received by the water quality data acquisition unit to make big data with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ime-series the water quality data to match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The step of sending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request alarm is,
When it comes time to replace the filter, we provide more filter replacement request information,
Provides monitoring results for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through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app driven in the user terminal,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devices performing a water purification function including an oxygen supply and a bubble remover through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app An IoT-based water quality measurement and management method that receives manipulation signal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42261A 2020-10-29 2020-10-29 Managemen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quality of water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24332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261A KR102433230B1 (en) 2020-10-29 2020-10-29 Managemen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quality of water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261A KR102433230B1 (en) 2020-10-29 2020-10-29 Managemen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quality of water based on internet of thin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219A KR20220057219A (en) 2022-05-09
KR102433230B1 true KR102433230B1 (en) 2022-08-16

Family

ID=81582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261A KR102433230B1 (en) 2020-10-29 2020-10-29 Managemen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quality of water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23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1310A (en) * 2001-11-07 2003-05-16 Touzai Kagaku Sangyo Kk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838A (en) 2002-01-21 2003-07-28 정휘동 Reverse osmosis water purifier having function of measuring water quality and flow rate
KR101082555B1 (en) 2008-01-28 201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er
KR20100026906A (en) 2008-09-01 2010-03-10 김현용 Do fuel curtailment chapter
KR20170033164A (en) * 2015-09-16 2017-03-24 이도규 Smart fish farm Server and Method for fish farm management using the same
KR20180086929A (en) * 2017-01-24 2018-08-01 코웨이 주식회사 Filter management system for a water purifier, and management server of the same
KR20180114310A (en) 2017-04-10 2018-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measuring water pollution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1310A (en) * 2001-11-07 2003-05-16 Touzai Kagaku Sangyo Kk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ic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219A (en)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hmed et al. Water quality monitoring: from conventional to emerging technologies
KR101479513B1 (en) Apparatus for integration management controlling of waste water/sewage treatment plant using correlation analysis
KR102005987B1 (en) System for iot-based farm management
US9429553B2 (en) Processor-based analysis system and method
CN104597796A (en) Intelligent control system of water purifier
CN107426277A (en) A kind of user terminal drinks wate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Dhanalakshmi et al. IoT-based 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 using cloud for agriculture use
CN104833785A (en) Water quality detecting method, device and system
KR20170033164A (en) Smart fish farm Server and Method for fish farm management using the same
CN105403676A (en) Food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RU2017101548A (en)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method of its operation
AU2012200635A1 (en) Service dependency notification system
KR102433230B1 (en) Managemen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quality of water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109102304A (en) Intelligent food and drink safe early warning is traced to the source association control system
KR101393225B1 (en) The aquarium system with remote control and alarm
CN105293596A (en) Internet of Things-based vehicle-mounted movable sewage treatment apparatus and monitoring method therefor
Yari et al. Assessment of microbial quality of household water output from desalination systems by the heterotrophic plate count method
CN105933438A (en) Drinking water microorganism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
Valois et al. Community volunteer assessment of recreational water quality in the Hutt River, Wellington
Mozumder et al. Smart IoT biofloc water management system using decision regression tree
JP2023033927A (en) Water treatment state monitoring system and water treatment state monitoring method
US201303045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intenance and monitoring of filtration systems
TWM572783U (en) Internet of Things Water Purification System
WO2014203651A1 (en) Facility management system
Bharani Baanu et al. Smart water grid: a review and a suggestion for water quality monit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