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738B1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738B1
KR102432738B1 KR1020210124060A KR20210124060A KR102432738B1 KR 102432738 B1 KR102432738 B1 KR 102432738B1 KR 1020210124060 A KR1020210124060 A KR 1020210124060A KR 20210124060 A KR20210124060 A KR 20210124060A KR 102432738 B1 KR102432738 B1 KR 102432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sposed
bobbin
elastic member
d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9928A (ko
Inventor
김중철
한진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4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738B1/ko
Publication of KR20210119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928A/ko
Priority to KR1020220099159A priority patent/KR20220116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ns Barrel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광축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보빈, 보빈 및 하우징과 결합하는 상측 탄성 부재, 및 하우징과 상측 탄성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댐핑 부재를 포함하고, 하우징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측 탄성 부재의 일부는 가이드 돌기와 대향하고, 댐핑 부재는 가이드 돌기 및 상측 탄성 부재의 일부와 결합된다.

Description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실시 예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초소형, 저전력 소모를 위한 카메라 모듈은 기존의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에 사용된 보이스 코일 모터(VCM:Voice Coil Motor)의 기술을 적용하기 곤란하여, 이와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은 렌즈, 이미지 센서 모듈, 및 렌즈와 이미지 센서 모듈의 간격을 조절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VCM)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떨림에 기인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하여 손떨림 보정(Optical Image Stabilizer, OIS) 기능을 부가한 보이스 코일 모터가 개발되고 있다.
실시 예는 상측 탄성 부재와 하우징 간에 위치하는 댐핑 부재의 제어 가능한 접촉 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정확한 오토포커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렌즈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광축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보빈; 상기 보빈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상측 탄성 부재;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상측 탄성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댐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탄성 부재의 일부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대향하고, 상기 댐핑 부재는 상기 가이드 돌기 및 상기 상측 탄성 부재의 상기 일부와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탄성 부재의 상기 일부는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댐핑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댐핑 부재는 상기 댐핑 접촉부와 상기 가이드 돌기의 상기 제1 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상면으로부터 함몰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 탄성 부재의 상기 일부는 상기 가이드 홈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탄성 부재는 상기 보빈과 결합되는 내측 프레임,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외측 프레임, 및 상기 내측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탄성 부재의 상기 일부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일부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제1 측면과 접하는 단차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댐핑 부재의 일부는 상기 단차면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탄성 부재는 상기 단차부가 삽입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핑 부재는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 구동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네트; 및 상기 보빈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마그네트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보빈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구동 장치는 상기 하우징 아래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 아래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하우징을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 지지 부재; 및 상기 제1 마그네트와의 전기적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을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광축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보빈; 상기 보빈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상측 탄성 부재;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상측 탄성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댐핑 부재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이미지 센서; 및 상술한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는 상측 탄성 부재와 하우징 간에 위치하는 댐핑 부재의 제어 가능한 접촉 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정확한 오토포커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렌즈 구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커버 부재를 제거한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보빈, 제1 코일, 제1 마그네트, 제1 감지 센서, 및 제2 마그네트가 결합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보빈, 제1 마그네트, 제1 감지 센서, 제2 마그네트, 및 자장 보상용 금속이 결합된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실시 예에 의한 하우징과 제1 감지 센서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실시 예에 의한 하우징의 배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보빈, 제1 마크네트, 하우징, 하측 탄성 부재, 및 탄성 지지 부재가 결합된 배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실시 예에 의한 상부 탄성 부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실시 예에 의한 하측 탄성 부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I-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제2 코일, 회로 기판 및 베이스의 부분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제2 코일, 회로 기판 및 베이스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탄성 지지 부재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실시 예에 의한 회로 기판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도 3에 예시된 렌즈 구동 장치에서 하측 탄성 부재, 제1 내지 제4 탄성 지지 부재들 및 회로 기판만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7은 도 3에 도시된 Ⅱ-Ⅱ'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8은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하우징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제1 상측 탄성 부재 및 제2 상측 탄성 부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점선 부분 내의 가이드 돌기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22는 도 19에 도시된 점선 부분의 가이드 돌기 및 제1 및 제2 상측 탄성 부재들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23은 도 19에 도시된 댐핑 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 예들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on)"와 "하/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도면의 설명을 통하여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에 대해 다음과 같이 살펴본다. 설명의 편의상,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는 데카르트 좌표계(x, y, z)를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다른 좌표계를 사용하여 설명할 수도 있으며,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각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 방향인 z축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을 의미하며, 광축 방향인 z축 방향을 '제1 방향'이라 칭하고, x축 방향을 '제2 방향'이라 칭하고, y축 방향을 '제3 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형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손떨림 보정 장치'란 정지 화상의 촬영 시 사용자의 손떨림에 의해 기인한 진동으로 인해 촬영된 이미지의 외곽선이 또렷하게 형성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오토 포커싱 장치'란, 피사체의 화상의 초점을 자동으로 이미지 센서 면에 결상시키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손떨림 보정 장치와 오토 포커싱 장치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는, 적어도 한 장의 렌즈로 구성된 광학 모듈을 광축에 대해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및 제3 방향에 의해 형성되는 면에 대하여 움직여 손떨림 보정 동작 및/또는 오토 포커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에 예시된 렌즈 구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제1 렌즈 구동 유닛(100), 제2 렌즈 구동 유닛(200) 및 커버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렌즈 구동 유닛(100)은 전술한 오토 포커싱 장치의 역할을 수행하고, 제2 렌즈 구동 유닛(200)은 전술한 손떨림 보정 장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커버 부재(300)는 대략 상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렌즈 구동 유닛(100, 200)을 감쌀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커버 부재(300)를 제거한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I-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17은 도 3에 도시된 Ⅱ-Ⅱ'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상 도 11에서 하우징(140)의 도시는 생략한다.
제1 렌즈 구동 유닛(100)은 보빈(bobbin)(110), 제1 코일(120), 제1 마그네트(130), 하우징(140), 상부 탄성 부재(150), 하부 탄성 부재(160), 및 댐핑 부재(D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 구동 유닛(100)은 제1 감지 센서(170) 및 제2 마그네트(18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 추가로 자장 보상용 금속(182)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탄성 지지 부재(220)가 제1 렌즈 구동 유닛(100)에 속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탄성 지지 부재(220)는 기능적으로 보면, 제2 렌즈 구동 유닛(200)에도 속할 수 있다. 탄성 지지 부재(220)에 대해서는 제2 렌즈 구동 유닛(100)을 설명할 때, 상세히 후술된다.
도 4는 보빈(110), 제1 코일(120), 제1 마그네트(130), 제1 감지 센서(170), 및 제2 마그네트(180)가 결합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보빈(110), 제1 마그네트(130), 제1 감지 센서(170), 제2 마그네트(180), 및 자장 보상용 금속(182)이 결합된 평면도를 나타낸다.
전술한 도면들을 참조하면, 보빈(110)은 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광축 방향인 제1 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렌즈 또는 렌즈 배럴의 장착을 위하여 중공을 갖는 구조일 수 있다. 보빈(110)의 중공은 렌즈 또는 렌즈 배럴의 형상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보빈(110)의 중공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보빈(110)의 외주면에 제1 코일(120)이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어, 제1 코일(120)과 제1 마그네트(130)가 전자기적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마그네트(130)는 보빈(110)의 주변에 제1 코일(120)과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빈(110)이 광축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상승 및/또는 하강하는 동작하여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할 때, 상측 및 하측 탄성 부재(150, 16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보빈(110)의 내부의 측면(즉, 내측)에 적어도 한장 이상의 렌즈가 설치될 수 있는 렌즈 배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배럴은 보빈(110)의 내측에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보빈(110)의 내주면에 암 나사산을 형성하고, 렌즈 베럴의 외주면에는 암 나사산에 대응되는 수 나사산을 형성하여 이들의 나사 결합으로 렌즈 베럴을 통해 보빈(110)에 결합할 수 있지만,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렌즈 배럴을 보빈(110)의 안쪽에 나사 결합 이외의 방법으로 직접 고정되거나 또는, 렌즈 배럴 없이 한 장 이상의 렌즈가 보빈(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렌즈 배럴에 결합되는 렌즈는 한 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렌즈들이 광학계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보빈(110)은 제1 스토퍼(111) 및 권선 돌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토퍼(111)는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광축에 평행한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움직일 때, 외부 충격 등에 의해 규정된 범위 이상으로 움직이더라도, 보빈(110)의 몸체 상측면이 도 1에 도시된 커버 부재(300)의 내측면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토퍼(111)는 보빈(110)의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보빈(110)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제1 높이(h1)만큼 돌출될 수 있다.
제1 스토퍼(111)의 개수는 복수 개, 예컨대, 4개일 수 있으며, 복수의 제1 스토퍼들(111)은 서로 이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스토퍼의 형상은 다각 기둥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스토퍼들(111)은 보빈(110)의 중심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예시된 바와 달리 다른 부품들과의 간섭이 배제된 비대칭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1 스토퍼(111)는 보빈(110)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보빈(1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구조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스토퍼(111)는 보빈(110)의 상부면과 측면이 접하는 모서리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토퍼(111)는 도 6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40)에 구비되는 제1 안착 홈(146-1)에 삽입될 수 있다. 보빈(110)이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더라도, 제1 안착 홈(146-1)에 삽입된 제1 스토퍼(111)에 의하여 보빈(11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권선 돌기(112)는 보빈(110)의 상측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코일(120)이 권선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2개의 권선 돌기들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개의 권선 돌기들 각각에 제1 코일(120)의 양 끝단인 시선과 종선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가 권선될 수 있다.
권선 돌기(112)는 보빈(1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40)에 구비되는 제2 안착 홈(146-2)에 안착되거나, 또는 제2 안착 홈(146-2)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보빈(110)이 오토 포커싱 기능을 위해 광축에 평행한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움직일 때,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보빈(110)이 규정된 범위 이상으로 움직이더라도, 권선 돌기(112)와 제2 안착 홈(146-2)은 보빈(110)의 몸체 바닥면이 베이스(210) 및 회로 기판(250)의 상부면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 예에 의한 하우징(140)과 제1 감지 센서(17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7은 실시 예에 의한 하우징(140)의 배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스토퍼(111)와 제1 안착 홈(146-1)의 제1 바닥면(146a-1)이 접촉된 상태가 초기위치로 구성되면, 오토 포커싱 기능은 기존의 보이스 코일 모터(VCM:Voice Coil Motor)에서의 단방향 제어와 같이 제어될 수 있다. 또는, 권선 돌기(112)와 제2 안착 홈(146-2)의 제2 바닥면(146a-2)이 접촉된 상태가 초기 위치로 구성되면, 오토 포커싱 기능은 기존의 보이스 코일 모터에서의 단방향 제어와 같이 제어될 수도 있다. 즉, 전류가 제1 코일(120)에 공급될 때 보빈(110)이 상승하고, 전류가 오프될 때 보빈(120)이 하강하는 동작을 통해 오토 포커싱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스토퍼(111)와 제1 안착홈(146-1)의 제1 바닥면(146a-1)이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가 초기 위치로 구성되면, 오토 포커싱 기능은 기존의 보이스 코일 모터에서의 양방향 제어와 같이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또는, 권선 돌기(112)와 제2 안착홈(146-2)의 제2 바닥면(146a-2)이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가 초기 위치로 구성되면, 오토 포커싱 기능은 기존의 보이스 코일 모터에서의 양방향 제어와 같이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제어될 수도 있다. 즉, 보빈(110)을 광축에 평행한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통해 오토 포커싱 기능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정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보빈(110)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보빈(110)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스토퍼(111)와 대응되는 하우징(140)의 제1 안착홈(146-1)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제1 스토퍼(111)의 제1 폭(w1)보다 도 6에 도시된 제1 안착홈(146-1)의 제2 폭(w2)이 일정 공차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안착홈(146-1)의 내부에서 제1 스토퍼(111)가 회전하는 것이 규제될 수 있다. 그러면, 보빈(110)이 광축 방향이 아닌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더라도, 제1 스토퍼(111)가 보빈(11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스토퍼(111)의 역할을 권선 돌기(112)가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보빈(110), 제1 마크네트(130), 하우징(140), 하측 탄성 부재(160), 및 탄성 지지 부재(220)가 결합된 배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보빈(110)의 상부면에는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복수 개의 상측 지지 돌기(113)가 돌출 형성되고, 보빈(110)의 하부면에는 도 8에 예시된 복수의 하측 지지 돌기(11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측 지지 돌기(113)는 예시된 바와 같이 반구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원통 형상 또는 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나, 실시 예는 상측 지지 돌기(113)의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9는 실시 예에 의한 상부 탄성 부재(15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르면, 상측 탄성 부재(150)는 서로 전기적으로 분할된 제1 상측 탄성 부재(150a) 및 제2 상측 탄성 부재(15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상측 탄성 부재들(150a, 150b) 각각은 보빈(110)과 결합될 수 있는 내측 프레임(151)과 하우징(140)과 결합될 수 있는 외측 프레임(152) 및 내측 프레임(151)과 외측 프레임(152)을 연결하는 프레임 연결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연결부(153)는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 형성되어 일정 형상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 연결부(153)의 위치 변화 및 미세 변형을 통해 보빈(110)은 광축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의 상승 및/또는 하강 동작이 탄력 지지될 수 있다.
내측 프레임(151)과 외측 프레임(152)이 보빈(110)과 하우징(140)에 각각 결합된 후,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1 코일(120)의 양 끝선이 권선되는 한 쌍의 권선 돌기(112)와 근접한 위치의 상부면에서 납땜 등과 같은 통전성 연결을 수행하여, 제1 및 제2 상측 탄성 부재(150a, 150b)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상측 탄성 부재(150)가 제1 및 제2 상측 탄성 부재(150a, 150a)로 2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제1 상측 탄성 부재(150a)는 제1 지지 부재 접촉부(150a-1)를 더 포함하고, 제2 상측 탄성 부재(150b)는 제2 지지 부재 접촉부(150b-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 부재 접촉부(150a-1, 150b-1) 각각은 외측 프레임(52)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들(150a-1, 150b-1)은 광축 방향인 제1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지만, 돌출 방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및 제2 지지 부재 접촉부(150a-1, 150b-1) 각각은 상측 방향, 예컨대, 하측 탄성 부재(160)에서 상측 탄성 부재(150)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상측 탄성 부재(150a)는 일단에 형성되는 제1 댐핑 접촉부(150-1), 및 타단에 형성되는 제2 댑핑 접촉부(15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댐핑 접촉부(150-1)는 제1 상측 탄성 부재(150a)의 내측 프레임(151)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댐핑 접촉부(150-2)는 제1 상측 탄성 부재(150)의 내측 프레임(151)의 타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댐핑 접촉부들(150-1, 150-2) 각각은 제1 상측 탄성 부재(150a)의 내측 프레임(151)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제1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댐핑 접촉부들(150-1) 각각은 제1 상측 탄성 부재(150a)의 내측 프레임(151)의 상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 예컨대, 하측 탄성 부재(160)에서 상측 탄성 부재(150)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댐핑 접촉부(150-1)는 제1 상측 탄성 부재(150a)의 내측 프레임(151)의 일단이 상측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일 수 있고, 제2 댐핑 접촉부(150-2)는 제1 상측 탄성 부재(150a)의 내측 프레임(151)의 타단이 상측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댐핑 접촉부들(150-1, 150-2) 각각은 상측 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상측 탄성 부재(150b)는 일단에 형성되는 제3 댐핑 접촉부(150-3), 및 타단에 형성되는 제4 댑핑 접촉부(15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댐핑 접촉부(150-3)는 제2 상측 탄성 부재(150b)의 내측 프레임(151)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고, 제4 댐핑 접촉부(150-4)는 제2 상측 탄성 부재(150b)의 내측 프레임(151)의 타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및 제4 댐핑 접촉부들(150-3, 150-4) 각각은 제2 상측 탄성 부재(150b)의 내측 프레임(151)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제1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일 수 있다. 예컨대, 제3 및 제4 댐핑 접촉부들(150-3, 150-4) 각각은 제2 상측 탄성 부재(150b)의 내측 프레임(151)의 상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 예컨대, 하측 탄성 부재(160)에서 상측 탄성 부재(150)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댐핑 접촉부(150-3)는 제2 상측 탄성 부재(150b)의 내측 프레임(151)의 일단이 상측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일 수 있고, 제4 댐핑 접촉부(150-4)는 제2 상측 탄성 부재(150b)의 내측 프레임(151)의 타단이 상측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일 수 있다. 예컨대, 제3 및 제4 댐핑 접촉부들(150-3, 150-4) 각각은 상측 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상측 지지 돌기(113)는 도 9에 예시된 상측 탄성 부재(150)의 내측 프레임(151)과 보빈(110)을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내측 프레임(151)의 상측 지지 돌기(113)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1 통공(15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측 지지 돌기(113)와 제1 통공(151a)은 열 융착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 부재로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상측 지지 돌기(113) 사이의 거리는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즉, 보빈(110)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각각의 상측 지지 돌기(113)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이들의 간격이 일정하지는 않으나, 보빈(110)의 중심을 지나는 특정 가상선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9에 예시된 상측 탄성 부재(150)는 제1 코일(120)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단자 역할을 하기 위해, 각각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전술한 바와 같이 분할된 제1 및 제2 상측 탄성 부재(150a, 15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할된 제1 및 제2 상측 탄성 부재(150a, 150b)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수의 상측 지지 돌기(113)를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상측 탄성 부재(150a, 150b)와 보빈(110)이 불완전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실시 예에 의한 하측 탄성 부재(16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하측 탄성 부재(160)는 제1 및 제2 하측 탄성 부재(160a, 16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측 탄성 부재(160a, 160b) 각각은 보빈(110)과 결합될 수 있는 내측 프레임(161), 하우징(140)과 결합될 수 있는 외측 프레임(162), 및 내측 프레임(161)과 외측 프레임(162)을 연결하는 프레임 연결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연결부(163)는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 형성되어 일정 형상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 연결부(163)의 위치 변화 및 미세 변형을 통해 보빈(110)은 광축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의 상승 및/또는 하강 동작이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측 탄성 부재(160a)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 접촉부(160a-1, 160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측 탄성 부재(160b)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 접촉부(160b-1, 160b-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의 경우, 2개의 제1 센서 접촉부(160a-1, 160a-2)와 2개의 제2 센서 접촉부(160b-1, 160b-2)가 도시되지만, 센서 접촉부의 개수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1 센서 접촉부(160a-1, 160a-2) 및 제2 센서 접촉부(160b-1, 160b-2) 각각은 외측 프레임(162)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의 경우 외측 프레임(162)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시 예는 제1 센서 접촉부(160a-1, 160a-2) 및 제2 센서 접촉부(160b-1, 160b-2) 각각의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측 탄성 부재(160)는 2개로 분할된 구조를 가지므로, 상측 지지 돌기(113)의 개수와 마찬가지로, 하측 지지 돌기(114)의 개수도 충분히 많이 형성하여 하측 탄성 부재(160)가 분리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만일, 하측 탄성 부재(160)가 분할된 구조가 아니라 한 몸으로 구성된 경우, 하측 지지 돌기(114)를 상측 지지 돌기(113)만큼 많이 형성할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적은 개수의 하측 지지 돌기(114) 만으로도, 하측 탄성 부재(160)를 보빈(110)에 안정적인 결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시 예에서와 같이, 하측 탄성 부재(16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이격된 제1 및 제2 하측 탄성 부재(160a, 160b)로 분할될 경우, 분할된 제1 및 제2 하측 탄성 부재(160a, 160b)를 고정하기 위해서, 충분한 개수의 하측 지지 돌기(114)를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하측 탄성 부재(160a, 160b)와 보빈(110)이 불완전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하측 지지 돌기(114)는 상측 지지 돌기(113)처럼 반구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원통형상 또는 각기둥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실시 예는 하측 지지 돌기(114)의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하측 지지 돌기(114)는 하측 탄성 부재(160)의 내측 프레임(161)과 보빈(110)을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상측 탄성 부재(150a, 150b) 대신에, 서로 절연되어 이격 분할된 제1 및 제2 하측 탄성 부재(160a, 160b)가 제1 코일(120)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단자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하측 탄성 부재(160)를 전술한 바와 같이 분할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탄성 지지 부재(220)를 설명할 때 상세히 설명된다.
제1 및 제2 하측 탄성 부재(160a, 160b) 각각의 내측 프레임(161)에서 하측 지지 돌기(114)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2 통공(16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측 지지 돌기(114)와 제2 통공(161a)은 열 융착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부재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하측 지지 돌기(114) 사이의 거리는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즉, 보빈(110)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하측 지지 돌기(114)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전술한 상측 탄성 부재(150)와 하측 탄성 부재(160) 각각은 판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상측 및 하측 탄성 부재(150, 160)의 재질에 국한되지 않는다.
한편,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권선 돌기(112)는 보빈(110)의 상측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권선 돌기(112)에는 제1 코일(120)의 양 끝단인 시선과 종선이 각각 권선될 수 있다. 권선돌기(112)와 근접한 보빈(110)의 상부면에서 상측 탄성 부재(150)의 상부면에 제1 코일(120)의 끝단이 솔더(S) 등과 같은 통전성 연결부재에 의해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권선 돌기(112)는 보빈(110)의 일측에서 두 개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예시된 바와 달리 보빈(110)의 중심에 대하여 좌우 대칭되는 위치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권선 돌기(112)의 끝단에는 걸림턱(112a-1)이 형성되어, 권선된 제1 코일(1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는 제1 코일(120)의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한다. 걸림턱(112a-1)은 예시된 바와 같이 보빈(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권선 돌기(112)의 폭이 점점 증가하도록 형성되면서, 그 끝단에서 단차진 단턱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보빈(110), 하우징(140), 및 상측 및 하측 탄성 부재(150, 160)는 열 융착 및/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한 본딩 작업 등을 통해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조립 순서에 따라 열 융착 고정 후 접착제를 이용한 본딩으로 고정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다.
예컨대, 첫 번째로 보빈(110)과 하측 탄성 부재(160)의 내측 프레임(161)을 조립하고, 두 번째로 하우징(140)과 하측 탄성 부재(160)의 외측 프레임(162)을 조립할 경우, 보빈(110)의 하측 지지 돌기(114) 및 이와 결합되는 제2 통공(161a) 및 하우징(140)의 하측 프레임 지지 돌기(145)와 결합되는 제3 통공(162a)은 열 융착 고정될 수 있다. 세 번째로, 보빈(110)과 상측 탄성 부재(150)의 내측 프레임(151)을 먼저 조립할 경우, 보빈(110)의 상측 지지 돌기(113) 및 이와 결합되는 제1 통공(151a)은 열 융착 고정될 수 있다. 그 후에 마지막 네 번째로 하우징(140)과 상측 탄성 부재(150)의 외측 프레임(152)을 고정할 경우, 후술되는 하우징(140)의 상측 프레임 지지 돌기(144)와 결합되는 제4 통공(152a)은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제 도포를 통해 본딩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 순서는 변경될 수 있으며, 즉, 첫 번째에서 세 번째까지의 조립 공정은 열 융착으로, 가장 마지막 네 번째 단계의 고정 시 본딩을 수행하면 된다. 이는 열 융착 시 뒤틀리는 등 변형을 수반할 수 있어 마지막 단계에서는 본딩을 통해 이를 보완할 수 있다.
한편, 제1 코일(120)은 작업자 또는 기계에 의해 보빈(110)의 외주면에 권선된 후에 시선과 종선은 각각 권선 돌기(112)에 감아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에 따라 권선 돌기(112)에 감기는 제1 코일(120)의 끝단의 위치는 가변 될 수 있다.
제1 코일(120)은 보빈(110)의 외주면에 삽입 결합되는 링 형상 또는 각진 형상의 코일 블록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코일(120)을 보빈(110)의 외주면에 직접 권선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제1 코일(120)의 시선과 종선은 권선 돌기(112)에 감아 고정할 수 있으며, 그 외의 구성은 동일하다.
제1 코일(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8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보빈(110)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것으로, 보빈(110) 또한 8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코일(120)에서 적어도 4면은 직선으로 마련될 수 있고, 이들 면을 연결하는 모서리 부분도 직선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라운드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1 코일(120)에서 직선으로 형성된 부분은 제1 마그네트(130)와 대응되는 면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코일(120)과 대응되는 제1 마그네트(130)의 면은 제1 코일(120)의 곡률과 같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코일(120)이 직선이면, 대응되는 제1 마그네트(130)의 면은 직선일 수 있으며, 제1 코일(120)이 곡선이면, 대응되는 제1 마그네트(130)의 면은 곡선일 수 있다. 또한, 제1 코일(120)이 곡선이더라도 대응되는 제1 마그네트(130)의 면은 직선일 수 있으며, 그 반대일수도 있다.
제1 코일(120)은 보빈(110)을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움직여 오토 포커스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전류가 공급되면 제1 마그네트(130)와 상호 작용을 통해 전자기력을 형성할 수 있으며, 형성된 전자기력이 보빈(110)을 움직일 수 있다.
제1 코일(120)은 제1 마그네트(130)와 대응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제1 마그네트(130)가 단일 몸체로 구성되어 제1 코일(120)과 마주보는 면 전체가 동일한 극성을 가지도록 마련되면, 제1 코일(120) 또한 제1 마그네트(130)와 대응되는 면이 동일한 극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마그네트(130)가 광축에 수직한 면으로 2분할 또는 4분할되어 제1 코일(120)과 마주보는 면이 2개 또는 그 이상으로 구분될 경우, 제1 코일(120) 역시 분할된 제1 마그네트(130)와 대응되는 개수로 분할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마그네트(130)는 제1 코일(120)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마그네트(1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40)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마그네트(130)의 형상은 모서리 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대략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으며, 제1 코일(120)과 마주보는 면은 제1 코일(120)의 대응되는 면의 곡률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마그네트(130)는 한 몸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실시 예의 경우 제1 코일(120)을 마주보는 면을 N극(134), 바깥쪽 면은 S극(132)이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마그네트(130)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르면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마그네트(130)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평면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또는 이와 달리 삼각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다만, 제1 코일(120)과 마주보는 면은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코일(120)의 대응되는 면이 곡선일 경우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곡선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코일(120)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실시 예의 경우, 하우징(140)의 네 모서리 부분에 각각 1개씩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 제1 마그네트(130)와 제1 코일(120) 중 어느 하나만이 평면이고, 다른 한 쪽은 곡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제1 코일(120)과 제1 마그네트(130)의 마주보는 면은 모두가 곡면일 수도 있으며, 이때, 제1 코일(120)과 제1 마그네트(130)의 마주보는 면의 곡률은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마그네트(130)의 평면이 사다리꼴 형상이면, 복수 개의 제1 마그네트(130) 중 한 쌍은 제2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다른 한 쌍은 제3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 구조에 따라 후술할 손떨림 보정을 위한 하우징(140)의 이동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하우징(140)은 제1 마그네트(130)을 지지하며, 광축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보빈(110)을 중공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140)은 전체적으로 중공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140)은 다각형(예컨대, 사각형 또는 팔각형), 또는 원형의 중공을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140)은 다각형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르면, 도 6 및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팔각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40)은 복수의 측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40)은 평면 형상이 팔각이면 8개의 측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측면들은 제1 면(141)과 제2 면(14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면(141)은 제1 마그네트(130)가 설치되는 면을 포함하고, 제2 면(142)은 후술할 탄성 지지 부재(220)가 배치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면(142)은 복수의 제1 면(141)이 상호 연결되며, 일정 깊이의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면(141)은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는데,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마그네트(130)와 대응되는 면적 또는 그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마그네트(130)는 제1 면(141)의 안쪽 면에 형성된 마그네트 안착부(141a)에 고정될 수 있다.
마그네트 안착부(141a)는 제1 마그네트(130)의 크기와 대응되는 요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마그네트(130)와 적어도 3면, 즉 양 측면과 상부면이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 안착부(141a)의 바닥면, 즉 후술할 제2 코일(230)을 마주보는 면에 개구를 형성하여 제1 마그네트(130)의 바닥면이 제2 코일(230)과 직접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마그네트(130)는 마그네트 안착부(141a)에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는 마그네트 안착부(141a)를 도 7과 같이 오목한 요홈으로 형성하는 대신, 제1 마그네트(130)의 일부가 노출 또는 끼워질 수 있는 장착공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면(141)은 커버 부재(300)의 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면(141)은 제2 면(142)보다 큰 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면(142)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깊이를 가지는 도피 홈(142a)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피 홈(142a)에 대해서는 탄성 지지 부재(220)를 설명할 때 상세히 후술한다.
또한, 하우징(140)은 커버 부재(300)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면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토퍼(143)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하우징(140)의 제2 스토퍼(143)는 외부 충격 발생 시 하우징(140)의 상부면이 커버 부재(300)의 내측면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140)의 제2 스토퍼(143)의 수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복수의 제2 스토퍼들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한 쌍의 제1 스토퍼들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140)는 서로 이격하는 4개의 제2 스토퍼들(14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스토퍼들(143)은 보빈(110)의 제1 스토퍼들(111)과 대응 또는 정렬될 수 있다.
하우징(140)의 제2 스토퍼(143)에는 제1 스토퍼가 삽입 또는 안착할 수 있는 제1 안착 홈(146-1)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안착 홈(146-1)의 형상은 제1 스토퍼의 형상과 일치할 수 있다.
하우징(140)의 제2 스토퍼(143)는 상측 탄성 부재(150)의 설치 위치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측 탄성 부재(150)는 분할된 복수 개의 제1 내지 제n(n>1인 자연수) 상측 탄성 부재들(예컨대, 150a, 150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도 9, 및 도 17를 참조하면, 하우징(140)은 분할된 상측 탄성 부재들(예컨대, 150a, 150b)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148: 184a, 184b)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48)는 상측 탄성 부재(150)의 분할된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탄성 부재(150)가 2개로 분할된 경우에 하우징(140)은 서로 이격되는 2개의 가이드 돌기들(148a, 148b)을 구비할 수 있으며, 2개의 가이드 돌기들(148a, 148b)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측 탄성 부재(150)가 분리된 구조에 따라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150a,150b)의 일단들 사이, 및 타단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40)은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n(n>1인 자연수)개의 가이드 돌기들, n개의 가이드 돌기들 각각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홈, 및 n개의 가이드 돌기들 각각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n>1인 자연수) 상측 탄성 부재들 각각의 일단 및 타단은 n개의 가이드 돌기들 각각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 홈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140)은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 돌기들(148a, 148b), 제1 가이드 돌기(148a) 일 측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홈(149a), 제1 가이드 돌기(148a)의 타측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홈(149b), 제2 가이드 돌기(148b) 일 측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3 가이드 홈(149c), 제2 가이드 돌기(148b)의 타측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4 가이드 홈(148d)을 구비할 수 있다.
댐핑 부재(DA)는 분할된 상측 탄성 부재들(150a, 150b) 각각과 제1 및 제2 가이드 돌기들(148)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광축과 평행한 방향인 보빈(110)의 진동을 흡수 및 완충시킬 수 있다. 즉 댐핑 부재(DA)는 보빈(110)이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할 때, 보빈(110)의 발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댐핑 부재(DA)는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는 물질, 예컨대,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가이드 돌기(148a)는 하우징(140)의 상부면 상에 배치되는 제1 상측 탄성 부재(150a)의 일단과 제2 상측 탄성 부재(150b)의 일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가이드 돌기(148b)는 제1 상측 탄성 부재(150a)의 타단과 제2 상측 탄성 부재(150b)의 타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 돌기들(148a,148b)은 제1 및 제2 상측 탄성 부재들(150a,150b)을 서로 이격시켜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돌기(148a)는 하우징(140)의 상부면 상에 배치되는 제1 상측 탄성 부재(150a)의 제1 댐핑 접촉부(150-1)와 제2 상측 탄성 부재(150b)의 제3 댐핑 접촉부(15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돌기(148b)는 하우징(140)의 상부면 상에 배치되는 제1 상측 탄성 부재(150a)의 제2 댐핑 접촉부(150-2)와 제2 상측 탄성 부재(150b)의 제4 댐핑 접촉부(150-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돌기(148a)는 제1 상측 탄성 부재(150a)의 내측 프레임(151)의 일단(150-1)과 제2 상측 탄성 부재(150b)의 내측 프레임(151)의 일단(15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가이드 돌기(148a)는 제1 댐핑 접촉부(150-1)와 제3 댐핑 접촉부(15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이드 돌기(148b)는 제1 상측 탄성 부재(150a)의 내측 프레임(151)의 타단(150-2)과 제2 상측 탄성 부재(150b)의 내측 프레임(151)의 타단(150-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가이드 돌기(148a)는 제2 댐핑 접촉부(150-2)와 제4 댐핑 접촉부(150-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가이드 홈들(149a 내지 149d) 각각은 하우징(140)의 상부면으로부터 함몰되는 구조일 수 있으며, 하우징(140)의 안쪽으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가이드 홈들(149a 내지 149d) 각각은 하우징(140)의 밖으로 개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 홈들(149a, 149b)은 제1 가이드 돌기(148a)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적인 구조일 수 있고, 제3 및 제4 가이드 홈들(149c, 149d)은 제2 가이드 돌기(148b)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적인 구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및 제2 가이드 홈들(149a, 149b)은 제1 가이드 돌기(148a)의 측면과 접할 수 있고, 제3 및 제4 가이드 홈들(149c, 149d)은 제2 가이드 돌기(148b)의 측면과 접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가이드 홈(149a)은 제1 가이드 돌기(148a)의 제1 측면과 접할 수 있고, 제2 가이드 홈(149b)은 제1 가이드 돌기(148a)의 제2 측면과 접할 수 있으며, 제1 가이드 돌기(148a)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은 반대 편의 측면일 수 있다.
예컨대, 제3 가이드 홈(149c)은 제2 가이드 돌기(148b)의 제1 측면과 접할 수 있고, 제4 가이드 홈(149d)은 제2 가이드 돌기(148b)의 제2 측면과 접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 돌기(148b)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은 반대 편의 측면일 수 있다.
제1 가이드 돌기(148a)의 하면은 제1 및 제2 가이드 홈들(149a, 149b)의 바닥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가이드 돌기(148b)의 하면은 제3 및 제4 가이드 홈들(149c, 149d)의 바닥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14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가이드 돌기(148a)는 홈의 중앙 바닥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돌출된 제1 가이드 돌기(148a)에 의하여 우측에는 제1 가이드 홈(149a)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가이드 돌기(148a)의 좌측에는 제2 가이드 홈(149b)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및 제4 가이드 홈들(149c, 149d)도 상술한 바와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하우징(140)의 상부면으로부터 제1 및 제2 가이드 돌기(148a, 148b)의 상부면까지의 높이가 H1(>0)이 되도록 제1 및 제2 가이드 돌기들(148a, 148b)의 상부면은 하우징(140)의 상부면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제1 및 제2 상부 지지 부재들(150a,150b)의 일단들(150-1, 150-3) 및 타단들(150-2,150-4)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기 위함이다.
제1 상측 탄성 부재(150a)의 일단은 제1 가이드 홈(149a)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가이드 홈(149a)의 바닥으로부터 이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가이드 홈(149a) 바닥과 접할 수도 있다.
제2 상측 탄성 부재(150b)의 일단은 제2 가이드 홈(149b)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가이드 홈(149b) 바닥으로부터 이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2 가이드 홈(149b) 바닥과 접할 수도 있다.
제1 상측 탄성 부재(150a)의 타단은 제3 가이드 홈(149c)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제3 가이드 홈(149c) 바닥으로부터 이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3 가이드 홈(149c) 바닥과 접할 수도 있다.
제2 상측 탄성 부재(150b)의 타단은 제4 가이드 홈(149d)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제4 가이드 홈(149d) 바닥으로부터 이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4 가이드 홈(149d) 바닥과 접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내지 제4 댐핑 접촉부들(150-1 내지 150-4) 각각은 제1 내지 제4 가이드 홈들(149a 내지 149d)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 내에 배치될 수 있고,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바닥으로부터 이격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149a)의 폭(WG1)은 제1 상측 탄성 부재(150a)의 일단 또는 타단의 폭(WB1)보다 넓을 수 있고, 제2 가이드 홈(149b)의 폭(WG2)은 제2 상측 탄성 부재들(150b)의 일단 또는 타단의 폭(WB2)보다 넓을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149a)의 폭 및 제2 가이드 홈(149b)의 폭은 서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및 제4 가이드 홈들(149c, 149d)의 폭도 상술한 제1 및 제2 가이드 홈들(149a,149b)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댐핑 부재(DA:DA1 내지 DA4)는 가이드 돌기(148)의 측면(148-1,148-2)과 제1 내지 제4 댐핑 접촉부들(151-1 내지 15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가이드 돌기(148a)의 제1 측면(148a-1)과 제1 댐핑 접촉부(151-1) 사이에는 제1 댐핑 부재(DA1)가 배치될 수 있고, 제1 가이드 돌기(148a)의 제2 측면(148a-2)과 제2 댐핑 접촉부(151-2) 사이에는 제2 댐핑 부재(DA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돌기(148a)의 제1 측면(148a-1)은 제1 가이드 돌기(148a)의 제2 측면(148a-2)의 반대편의 측면일 수 있다.
제2 가이드 돌기(148b)의 제1 측면(148b-1)과 제3 댐핑 접촉부(151-3) 사이에는 제3 댐핑 부재(DA3)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가이드 돌기(148b)의 제2 측면(148b-2)과 제4 댐핑 접촉부(151-4) 사이에는 제4 댐핑 부재(DA4)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돌기(148b)의 제1 측면(148b-1)은 제2 가이드 돌기(148b)의 제2 측면(148b-2)의 반대 측면일 수 있다.
보빈(11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가이드 돌기(148)의 측면(148-1, 148-2)과 댐핑 접촉부(150-1 내지 150-4) 사이에 댐핑 부재(DA)가 배치되기 때문에, 보빈(110)의 이동 방향으로의 진동의 흡수, 및 완충 작용을 제어하기에 용이할 수 있다.
실시 예는 제1 및 제2 상측 탄성 부재들(150a,150b) 각각의 일단 및 타단을 상측 방향으로 절곡시켜 댐핑 접촉부(150-1 내지 150-4)를 형성함으로써, 댐핑 접촉부(150-1 내지 150-4)와 가이드 돌기(148)의 측면(148a-1, 148a-2, 148b-1,148b-2)과 접촉하는 댐핑 부재(DA)의 접촉 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예는 댐핑 부재(DA)의 접촉 면적이 향상됨에 따라 상측 탄성 부재와 하우징 간에 위치하는 제어 가능한 댐핑 부재의 접촉 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정확한 오토포커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광축과 평행한 방향의 보빈(110)의 진동을 흡수 또는 완충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상측 탄성 부재들(150a, 150b) 각각의 일단과 하우징(140)의 상부면 사이에 댐핑 부재가 도포되는 경우에는 보빈(110)의 이동 방향으로의 진동의 흡수, 및 완충 작용을 제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댐핑 부재가 보빈(110)의 이동 방향과 수직인 하우징의 상부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댐핑 부재가 보빈(110) 진동의 완충을 제어하기에는 충분한 면적을 확보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보빈(110)에 대한 히스테리 특성이 나빠질 수 있고, 정확한 오토 포커싱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
또한 제1 및 제2 상측 탄성 부재들(150a, 150b) 각각의 일단과 하우징(140)의 상부면 사이에 댐핑 부재가 도포되는 경우, 공정상 댐핑 물질의 도포가 용이하지 않고, UV광에 의한 댐핑 물질의 경화가 어려울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댐핑 물질의 도포 공정은 커버 부재(3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을 모두 조립하고, 조립된 구성들을 지그 등에 의하여 파지한 상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하우징(140)의 상부면 상에 댐핑 물질을 도포하기 위해서는 지그가 조립된 구성들을 놓아야 하는데, 이때 조립된 구성들에 파손이 유발될 수 있다. 이는 지그가 조립된 구성들의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하우징(140)의 상부면에 댐핑 물질의 도포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이 경우 도포된 댐핑 물질에 대한 UV광의 조사가 지그에 의하여 방해를 받아 댐핑 물질의 경화가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실시 예는 상측 방향으로 절곡된 제1 및 제2 상측 탄성 부재들(150a, 150b)의 일단들(150-1, 150-3) 또는 타단들(150-2, 150-4)과 가이드 돌기(148) 사이에 댐핑 부재(DA)가 도포되기 때문에, 지그가 조립된 구성들을 파지한 상태에서도 댐핑 물질의 도포가 가능할 수 있으며, 댐핑 부재(DA)에 대한 UV광의 조사도 용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및 제2 상측 탄성 부재들(150a, 150b)의 일단들 및 타단들과 제1 내지 제4 가이드 홈들(149a 내지 149d)의 바닥 사이에는 댐핑 부재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하우징(140)의 상측에는 상측 탄성 부재(150)의 외측 프레임(152)이 결합되는 복수 개의 상측 프레임 지지 돌기(14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측 프레임 지지 돌기(144)는 상측 지지 돌기(113)의 개수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외측 프레임(152)의 길이가 내측 프레임(151)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이다.
이때, 상측 프레임 지지 돌기(144)와 대응되는 상측 탄성 부재(150)의 외측 프레임(152)에는 대응되는 형상의 제4 통공(15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 프레임 지지 돌기(144)는 제4 통공(152a)에서 접착제 또는 열 융착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40)의 하측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탄성 부재(160)의 외측 프레임(162)이 결합되는 복수 개의 하측 프레임 지지 돌기(14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측 프레임 지지 돌기(145)는 전술한 하측 지지 돌기(114)의 개수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하측 탄성 부재(160)의 외측 프레임(162)의 길이가 내측 프레임(161)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이다.
하측 프레임 지지 돌기(145)와 대응되는 도 10에 예시된 하측 탄성 부재(160)의 외측 프레임(162)에서 하측 프레임 지지 돌기(145)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3 통공(16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통공(162a)에서 접착제 또는 열 융착으로 고정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우징(140)의 하측에는 제4 스토퍼가 부가적으로 더 배치될 수 있다. 제4 스토퍼는 하우징(140)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4 스토퍼는 하우징(140)의 바닥면이 후술할 베이스(210) 및/또는 회로 기판(250)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4 스토퍼는 초기 상태 및 정상 동작 중에는 베이스(210) 및/또는 회로 기판(250)과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하우징(140)은 아래쪽으로는 베이스(210)와 이격되고, 상측으로는 커버 부재(300)와 이격 되어 상하 간섭 없이 후술할 탄성 지지 부재(220)에 의해 광축 방향 높이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40)은 광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전후좌후 방향인 제2 및 제 3 방향으로 쉬프팅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에 대해서는 뒤에 다시 설명한다.
실시 예에 의한 제1 렌즈 구동 유닛(100)은 보빈(110)의 광축 방향인 z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센싱하고, 보빈(110)의 이동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센싱된 위치를 회로 기판(250)을 통해 외부로 궤환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렌즈 구동 유닛(100)은 제1 감지 센서(170) 및 제2 마그네트(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센서(170)는 하우징(1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140)의 측면에는 제1 감지 센서 안착홈(172)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감지 센서(170)는 제1 감지 센서 안착홈(172)에 배치되어 보빈(110)이 제1 방향으로 움직이는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감지 센서(170)는 복수의 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센서 안착홈(172)의 적어도 한 면에는 테이퍼진 경사면(미도시)을 형성하여, 제1 감지 센서(170)의 조립을 위한 에폭시 주입 등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감지 센서 안착홈(172)에 별도의 에폭시 등이 주입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에폭시 등을 주입하여 제1 감지 센서(170)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감지 센서 안착홈(172)의 위치는 제2 마그네트(180)과 동일한 선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 마그네트(180)의 중심과 제1 감지 센서(170)의 중심은 서로 일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지 센서(170)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40)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도 있고, 예시된 바와 달리 하우징(140)에 에폭시 또는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부착되어 지지될 수도 있다.
제1 감지 센서(170)는 홀 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기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마그네트(180)는 제1 감지 센서(170)와 대향하도록 보빈(110)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마그네트(180)는 보빈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1 마그네트(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제1 마그네트(130)와 제2 마그네트(180)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 마그네트(180)는 보빈(110)에 권선된 제1 코일(1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지만,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2 마그네트(180)를 배치할 경우, 제1 마그네트(130)와 제1 코일(120) 간의 상호 작용이 제2 마그네트(180)에 의해 방해받을 수 있다. 이는 제2 마그네트(180)에 의해 자장이 야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시 예에 의하면, 제1 마그네트(130)와 제1 코일(120) 간의 상호 작용의 방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제1 렌즈 구동 유닛(100)은 자장 보상용 금속(18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11를 참조하면, 자장 보상용 금속(182)은 보빈(110)의 외주면에서 제2 마그네트(180)와 대칭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자장 보상용 금속(182)과 제2 마그네트(180)가 제3 방향인 y축 방향으로 동일선(HL) 상에 위치해야만, 상호 작용의 방해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때 동일선(HL)은 보빈(110)의 중심을 지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자장 보상용 금속(182)의 재질은 금속일 수 있다. 자장 보상용 금속(182)은 자성을 갖는 물질 예를 들어 자성체 또는 마그네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1 렌즈 구동 유닛(100)은 제1 감지 센서(170), 제2 마그네트(180) 및 자장 보상용 금속(182)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제1 렌즈 구동 유닛(100)은 제1 감지 센서(170) 이외에 제1 렌즈 구동 유닛(100)의 오토 포커싱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각종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의 배치 위치 또는 회로 기판(25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회로 기판(250)으로 필요한 신호를 공급하는 방법이나 과정은 제1 감지 센서(170)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2 렌즈 구동 유닛(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손떨림 보정용 렌즈 구동 유닛으로, 제1 렌즈 구동 유닛(100), 베이스(210), 탄성 지지 부재(220), 제2 코일(230), 제2 감지 센서(240) 및 회로 기판(25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렌즈 구동 유닛(100)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으나, 전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형태의 오토 포커싱 기능을 구현한 광학계로 대체될 수도 있다. 즉, 보이스 코일 모터 방식의 오토 포커싱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는 대신 단렌즈 무빙 액츄에이터 또는 굴절률 가변 방식의 액츄에이터를 이용하는 광학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제1 렌즈 구동 유닛(100)은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광학 액츄에이터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다만, 후술하는 제2 코일(230)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 마그네트(130)가 설치될 필요가 있다.
도 12는 제2 코일(230), 회로 기판(250) 및 베이스(210)의 부분 결합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3은 제2 코일(230), 회로 기판(250) 및 베이스(21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제2 렌즈 구동 유닛(200)의 베이스(210)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직선면에 탄성 지지 부재(220)가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210)에는 커버 부재(300)를 접착 고정할 때,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도록 도 12 및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턱(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단턱(211)의 바닥면은 커버 부재(300)의 단부와 면 접촉될 수 있다.
베이스(210)는 제1 렌즈 구동 유닛(100)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210)에서 회로 기판(250)의 단자(251)가 형성된 부분과 마주보는 면에는 대응되는 크기의 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지지홈은 베이스(2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단자(251)가 형성된 단자면(253)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돌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단턱(211)은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300)를 가이드할 수 있으며, 또한, 커버 부재(300)의 단부가 면 접촉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단턱(211)과 커버 부재(300)의 단부는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 고정 및 실링 될 수 있다.
베이스(210)의 상부면에는 모서리 부분에 탄성 지지 부재(220)가 삽입될 수 있는 지지 부재 안착홈(214)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 안착홈(214)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탄성 지지 부재(22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지지 부재 안착홈(214)에 탄성 지지 부재(220)의 끝단이 삽입 또는 배치되어 접착제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지지 부재 안착홈(214)은 탄성 지지 부재(220)가 설치되는 직선 면에 각각 복수 개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지지 부재 안착홈(214)의 형상은 대략 사각 형상의 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 안착홈(214)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예에서는 직선 면마다 2개씩 마련될 수 있는데, 이는 탄성 지지 부재(220)의 형상에 따라 증감될 수 있으며, 1개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3개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는, 탄성 지지 부재(220)의 제1 및 제2 지지 부재 각각의 끝단이 지지 부재 안착홈(214)에 삽입 또는 배치될 수 있도록 직선 면마다 2개씩 지지 부재 안착홈(2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210)의 상부면에는 제2 감지 센서(240)가 배치될 수 있는 제2 감지 센서 안착홈(215)이 마련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감지 센서 안착홈(215)은 총 2개가 마련되어 있어, 제2 감지 센서(240)가 제2 감지 센서 안착홈(215)에 배치되어 하우징(140)이 상기한 제2 방향과 제3 방향으로 움직이는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감지 센서 안착홈(215)과 베이스(210)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들이 이루는 각도는 90도가 되도록 2개의 제2 감지 센서 안착홈(215)을 배치할 수 있다.
제2 감지 센서 안착홈(215)의 적어도 한 면에는 테이퍼진 경사면(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2 감지 센서(240)의 조립을 위한 에폭시 주입 등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감지 센서 안착홈(215)에 별도의 에폭시 등이 주입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에폭시 등을 주입하여 제2 감지 센서(240)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제2 감지 센서 안착홈(215)의 위치는 제2 코일(230)의 중앙 또는 중앙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2 코일(230)의 중심과 제2 감지 센서(240)의 중심을 일치시킬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감지 센서 안착홈(215)은 베이스(210)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는 탄성 지지 부재(220)와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제2 감지 센서(240)는 회로 기판(250)을 사이에 두고 제2 코일(230)의 중심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감지 센서(240)는 제2 코일(230)과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며, 회로 기판(250)을 기준으로 상부면에는 제2 코일(230)이, 하부면에는 제2 감지 센서(240)가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감지 센서(240)와 제2 코일(230) 및 제1 마그네트(130)는 서로 동일 축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제2 코일(230)은 제1 마그네트(130)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제2 및/또는 제 3 방향으로 하우징(140)을 움직여, 손떨림 보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커버 부재(300)의 단턱(211)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홈부가 형성되어, 이 홈부를 통해 접착제 등이 주입될 수 있다. 이때, 주입되는 접착제는 점성이 낮게 설정되어, 홈부를 통해 주입된 접착제가 단턱(211)과 커버 부재(300)의 단부의 면 접촉 위치에 스며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홈부에 도포된 접착 부재는 홈부를 통해 커버 부재(300)와 베이스(210)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 사이의 갭(gap)을 메우어, 커버 부재(300)가 베이스(210)와 결합되면서 실링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210)의 하면에는 필터가 설치되는 안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필터는 적외선 차단 필터일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210) 하부에 별도 센서 홀더에 필터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베이스(210)의 하면에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센서 기판이 결합되어 카메라 모듈을 구성할 수도 있다.
탄성 지지 부재(220)는 하우징(140)의 복수의 측면들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탄성 지지 부재(220)의 개수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복수의 탄성 지지 부재들(220) 각각은 2개의 지지 부재들을 포함하는 한 쌍의 지지 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탄성 지지 부재들(220) 각각은 3개 이상의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40)이 다각형 평면 형상을 가질 경우, 하우징(140)의 측면의 개수는 복수 개이다. 만일, 하우징(140)이 도 6 및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팔각 평면 형상을 가질 경우, 탄성 지지 부재(220)는 팔각 측면들 중 선택되는 4개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하우징(140)이 4각 평면 형상을 가질 경우, 탄성 지지 부재(220)는 4개의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 탄성 지지 부재(220)의 개수가 도 2, 도 3, 및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4개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내지 제4 탄성 지지 부재들(220-1, 220-2, 220-3, 220-4) 각각은 하우징(140)의 4개의 제2 면들(142)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14는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탄성 지지 부재(220)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8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탄성 지지 부재들(220-1, 220-2, 220-3, 220-4)은 하우징(140)의 8개의 측면 중에서, 4개의 제2 면들(142)에 개별적으로 배치되어 하우징(140)을 베이스(210)에 대하여 일정거리 이격시켜 지지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탄성 지지 부재들(220:220-1, 220-2, 220-3, 220-4) 각각은 하우징의 제2 면(142)에 배치되므로, 총 4개의 탄성 부재들이 상호 대칭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각 직선면 마다 2개씩 8개의 쌍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4 탄성 지지 부재들(220:220-1, 220-2, 220-3, 220-4) 각각은 서로 분할된 제1 및 제2 지지 부재(220a, 2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 지지 부재(220-1)는 서로 이격하는 제1 지지 부재(220a-1) 및 제2 지지 부재(220b-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탄성 지지 부재(220-2)는 제1 지지 부재(220a-2) 및 제2 지지 부재(220b-2)를 포함할 수 있고, 제3 탄성 지지 부재(220-3)는 제1 지지 부재(220a-3) 및 제2 지지 부재(220b-3)를 포함할 수 있고, 제4 탄성 지지 부재(220-4)는 제1 지지 부재(220a-4) 및 제2 지지 부재(220b-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는 하우징(140)의 동일 측면 상에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220a: 220a-1, 220a-2, 220a-3, 220a-4) 및 제2 지지 부재(220b: 220b-1, 220b-2, 220b-3, 220b-4) 각각은 상측 단자부(221), 적어도 하나의 탄성 변형부(222, 223, 225) 및 하측 단자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예시된 제1 및 제2 지지 부재는 제1 방향인 z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예,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3 및 도 8에 예시된 제1 및 제4 탄성 지지 부재(220-1, 220-4)는 z축 방향에 수직인 y축 방향으로 대칭일 수 있고, 제2 및 제3 탄성 지지 부재 (220-2, 220-3)는 z축 방향에 수직인 x축 방향으로 대칭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예시된 하우징(140)의 도피 홈(142a)의 바닥면은 오픈된 개구를 형성하도록 하여, 탄성 지지 부재(220)의 하측 단자부(224)가 하우징(140)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피 홈(142a)의 상측은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142b)를 구성하여 탄성 지지 부재(220)의 상측 단자부(221)의 안쪽을 지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탄성 지지 부재(220)의 상측 단자부(221)는 하우징(140)의 제2 면(142)의 상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탄성 지지 부재(220)의 상측 단자부(221)는 하우징(140)의 제2 면(142)에 돌출 형성된 결합 돌기(147)와 대응하는 오목 홈부(147a)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140)의 결합 돌기(147)는 상측 단자부(221)의 오목 홈부(147a)에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다.
탄성 지지 부재(220)의 상측 단자부(221)는 상측 탄성 부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부분일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도 9에 예시된 제1 상측 탄성 부재(150a)의 제1 지지 부재 접촉부(150a-1)는 제1 탄성 지지 부재(220-1)의 제1 지지 부재(220a-1)의 상측 단자부(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9에 예시된 제2 상측 탄성 부재(150b)의 제2 지지 부재 접촉부(150b-1)는 제1 탄성 지지 부재(220-1)의 제2 지지 부재(220b-1)의 상측 단자부(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지지 부재 접촉부들(150a-1, 150b-1)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탄성 지지 부재는 제1 내지 제4 탄성 지지 부재들(220-1, 220-2, 220-3, 2204) 중에서 제1 코일(12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역할이 할당된 것을 의미한다.
제1 및 제2 지지 부재(220a-1, 220b-1)가 하우징(140)의 동일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처럼, 제1 및 제2 상측 탄성 부재(150a, 150b)의 제1 및 제2 지지 부재 접촉부(150a-1, 150b-1)도 서로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탄성 지지 부재(220-1)의 제1 지지 부재(220a-1)의 상측 단자부(221)와 제1 상측 탄성 부재(150a)의 제1 지지 부재 접촉부(150a-1)는 제1 접점(CP1)에서 솔더링 등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 지지 부재(220-1)의 제2 지지 부재(220b-1)의 상측 단자부(221)와 제2 상측 탄성 부재(150b)의 제2 지지 부재 접촉부(150b-1)는 제2 접점(CP2)에서 솔더링 등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2개로 분할된 제1 및 제2 상측 탄성 부재들(150a, 150b) 각각은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제1 탄성 지지 부재(220-1)의 제1 및 제2 지지 부재들(220a-1, 220b-1)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제1 및 제2 지지 부재들(220a-1, 220b-1)을 통하여 회로 기판(250)으로부터 제공받은 제1 및 제2 전원들(예컨대, 전류)을 제1 코일(120)의 시선과 종선에 인가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예시된 제1 및 제2 지지 부재(220a, 220b)의 상측 단자부(221)는 제1 및 제2 상측 탄성 부재(150a, 150b)에 전원 공급을 위한 제1 접촉 단자부(221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접촉 단자부(221a)는 상측 단자부(221)의 상부 가장 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접촉 단자부(221a)는 상측 단자부(221)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지지 부재들(220a, 220b) 각각의 제1 접촉 단자부(221a)는 양(+)극 또는 음(-)극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지지 부재(220a,220b)의 상측 단자부(221)는 제1 감지 센서(170)와 회로 기판(250)을 연결하기 위한 제2 접촉 단자부(22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접촉 단자부(221b)는 상측 단자부(221)의 하부 가장 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접촉 단자부(221a)는 상측 단자부(221)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 변형부(222, 223, 225)는 상측 단자부(221)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1회 이상 구부러진 형상으로 마련되어, 일정 형태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방향이란, 상측 단자부(221)와 하측 단자부(224)를 서로 연결하는 방향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탄성 변형부는 제1 및/또는 제2 탄성 변형부(222, 2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 변형부(222)가 2번 이상의 절곡을 통해 지그재그 형상으로 마련될 경우, 제2 탄성 변형부(223) 또한 이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제2 탄성 변형부(223)는 생략되거나 제1 탄성 변형부(222)와 다른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4는 일 실시 예일 뿐이며, 그 외에도 지그재그 형상 등 다양한 패턴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1 및 제2 탄성 변형부(222, 223)를 구분하지 않고 하나로만 구성할 수도 있고, 이러한 패턴 없이 서스펜션 와이어의 형태로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탄성 변형부(222, 223)의 직선 부분은 광축에 수직한 평면과 대략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탄성 변형부(222, 223)는 하우징(140)이 광축에 수직한 평면인 제2 및/또는 제 3 방향으로 움직일 때, 하우징(140)이 움직이는 방향 또는 탄성 지지 부재(220)의 길이 방향으로 미세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그러면, 하우징(140)은 광축과 평행한 방향인 제1 방향에 대해서는 거의 위치 변화없이 실질적으로 광축과 수직한 평면인 제2 및 제3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어 손떨림 보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는 탄성 변형부(222, 223)가 길이방 향으로 늘어날 수 있는 특성을 활용한 것이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탄성 변형부는 연결부(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25)는 제1 및 제2 탄성 변형부(222, 223)의 중간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탄성 변형부와 연결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탄성 변형부(222, 223)는 연결부(225)를 가운데에 개재한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연결부(225)는 댐핑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연결부(225)에 복수 개의 홀(미도시) 또는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홀 또는 홈을 통해 연결부(225)와 하우징(140)을 UV댐퍼 등을 이용하여 댐핑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실시 예의 경우, 제1 및 제2 탄성 변형부(222, 223)는 상측 단자부(221)와 하측 단자부(224) 사이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도 14에 예시된 바와 달리, 제1 및 제2 지지 부재 각각의 양끝단에 하나 이상의 탄성 변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측 단자부(224)는 도 14에 예시된 제1 및 제2 지지 부재들(220a, 220b) 각각의 단부에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변형부(222 ,223, 225)로부터 연장되어 베이스(210)와 결합될 수 있다.
하측 단자부(224)의 일 끝단(224a)은 베이스(210)에 형성된 지지 부재 안착홈(214)에 삽입 또는 배치되어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 부재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지지 부재 안착홈(214)을 하측 단자부(224)와 대응되도록 하여 이들을 끼워 맞춤 결합할 수도 있다. 또는, 하측 단자부(224)의 일 끝단(224a)은 2개 이상의 형상으로 분기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응되게 베이스(210)에는 하나의 지지 부재 당 2개 이상의 지지 부재 안착홈(214)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하측 단자부(224)의 타 끝단(224b)은 회로 기판(250)의 패드부(252-1, 252-2, 252-3, 252-4)의 각 패드 상단에 안착되어 연결될 수 있다.
하측 단자부(224)는 제1 및 제2 탄성 변형부(222, 223)의 폭 보다 넓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좁거나 대응되는 폭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제2 코일(230)은 하우징(140)에 고정되는 제1 마그네트(130)와 대향 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코일(230)은 제1 마그네트(13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2 코일(230)은 제1 마그네트(130)의 하측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2 및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코일(230)은 회로 기판(250)의 네 모서리 부분에 총 4개 설치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2 방향용 1개, 제3 방향용 1개 등 2개만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4개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
실시 예의 경우 회로 기판(250)에 제2 코일(230) 형상으로 회로 패턴을 형성하고, 추가적으로 별도의 제2 코일(230)이 회로 기판(250)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로 기판(250)에 제2 코일(230) 형상으로 회로패턴을 형성하지 않고 회로 기판(250) 상부에 별도의 제2 코일(230)만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도넛 형상으로 와이어를 권선하여 제2 코일(230)을 구성하거나 또는 FP코일형태로 제2 코일(230)을 형성하여 회로 기판(25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코일(230)을 포함한 회로 부재(231)는 베이스(210)의 상측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250)의 상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2 코일(230)은 베이스(210)와 밀착 배치될 수도 있고,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도 있으며, 별도 기판에 형성되어 이 별도 기판을 회로 기판(250)에 적층 연결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현된 제1 마그네트(130)와 제2 코일(230)의 상호 작용에 의해 하우징(140)이 제2 및 제3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술한 제1 내지 제4 탄성 지지 부재(220-1, 220-2, 220-3, 220-4)는 하우징(140)을 베이스(210)에 대하여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및 제3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감지 센서(240)는 제2 코일(230)의 중심과 정렬되도록 배치되어, 하우징(14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감지 센서(240)는 홀 센서일 수 있으나, 자기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제2 감지 센서(24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기판(250)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210)의 모서리 부분에 총 2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감지 센서(240)는 베이스(210)에 형성된 제2 감지 센서 안착홈(215)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회로 기판(240)의 하면은 제2 코일(230)이 배치된 면의 반대면 일 수 있다.
도 15는 실시 예에 의한 회로 기판(25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3 및 도 15를 참조하면, 회로 기판(250)은 복수의 패드부들(252-1, 252-2, 252-3, 252-4)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패드부들(252-1, 252-2, 252-3, 252-4) 각각은 복수의 탄성 지지 부재들(220-1, 220-2, 220-3, 220-4)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하측 단자부(224)의 타끝단(224b)과 연결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탄성 지지 부재(220-1)의 제1 및 제2 지지 부재(220a-1, 220b-1)의 하측 단자부(224)의 타 끝단(224b)은 제1 패드부(252-1)의 패드들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2 탄성 지지 부재(220-2)의 제1 및 제2 지지 부재(220a-2, 220b-2)의 하측 단자부(224)의 타 끝단(224b)은 제2 패드부(252-2)의 패드들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3 탄성 지지 부재(220-3)의 제1 및 제2 지지 부재(220a-3, 220b-3)의 하측 단자부(224)의 타 끝단(224b)은 제3 패드부(252-3)의 패드들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4 탄성 지지 부재(220-4)의 제1 및 제2 지지 부재(220a-4, 220b-4)의 하측 단자부(224)의 타 끝단(224b)은 제4 패드부(252-4)의 패드들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내지 제4 패드부들(252-1, 252-2, 252-3, 252-4)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패드, 예컨대, 2개의 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고, 탄성 지지 부재(220)의 제1 및 제2 지지 부재들(220a, 220b)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회로 기판(250)은 전술한 패드부(252-1, 252-2, 252-3, 25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들(2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250)은 베이스(210)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지지 부재 안착홈(214)이 노출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제5 통공(255)이 형성될 수 있다. 회로 기판(250)은 절곡된 단자면(253)을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회로 기판(250)의 1개의 절곡된 단자면(253)에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251)가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단자면(253)에 설치된 복수 개의 단자(251)를 통해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제1 및 제2 코일(120, 230) 및 제1 감지 센서(170)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고, 제1 감지 센서(170)로부터의 신호를 보빈(110)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궤환 신호로서 외부로 출력할 수도 있다.
단자(251)가 설치되는 단자면(253)에 형성된 단자들의 개수는 제어가 필요한 구성 요소들의 종류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 기판(250)은 FPCB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회로 기판(250)의 단자 구성 등을 베이스(210)의 표면에 표면 전극 방식 등을 이용하여 직접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렌즈 구동 장치에서, 복수의 탄성 자자 부재 들(220)을 이용하여, 제1 감지 센서(170)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1 감지 센서(170)로부터 출력되는 센싱 신호를 회로 기판(250)에 전달하는 과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제1 감지 센서(170)가 홀 센서로 구현될 경우, 홀 센서(170)는 복수의 핀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핀들은 제1 및 제2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핀은 전압과 접지에 각각 연결되는 제1-1 및 제1-2 핀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핀은 센싱된 결과를 출력하는 제2-1 및 제2-2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1 및 제2-2 핀을 통해 출력되는 센싱된 결과는 전류 형태일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신호의 형태에 국한되지 않는다.
실시 예에 의하면, 제2 탄성 지지 부재(220-2)를 이용하여 회로 기판(250)으로부터 제1 감지 센서(170)의 제1-1 및 제1-2 핀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3 탄성 지지 부재(220-3)를 이용하여 제1 감지 센서(170)의 제2-1 및 제2-2 핀으로부터 회로 기판(250)으로 센싱된 결과를 전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탄성 지지 부재이란, 제1 내지 제4 탄성 지지 부재들(220-1, 220-2, 220-3, 220-4) 중에서 제1 탄성 지지 부재(220-1)를 제외한 임의의 탄성 지지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제3 탄성 지지 부재란, 제1 내지 제4 탄성 지지 부재들(220-1, 220-2, 220-3, 220-4) 중에서, 제1 및 제2 탄성 지지 부재들을 제외한 임의의 탄성 지지 부재일 수 있다.
도 16은 도 3에 예시된 렌즈 구동 장치에서 하측 탄성 부재(160), 제1 내지 제4 탄성 지지 부재들(220-1, 220-2, 220-3, 220-4) 및 회로 기판(250)만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제1 감지 센서(170)의 제1-1 및 제1-2 핀은 제2 탄성 지지 부재(220-2)를 통해 회로 기판(25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4에 예시된 제1 및 제2 지지 부재 각각의 상측 단자부(221)의 제2 접촉 단자부(221b)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측 단자부(221)는 제2 접촉 단자부(221b)와 다른 형태로 제1-1 및 제1-2 핀과 연결될 수 있다.
부연하면,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탄성 지지 부재(220-2)의 제1 지지 부재(220a-2)의 상측 단자부(221)의 제2 접촉 단자부(221b)는 제1 감지 센서(170)의 제1-1 핀과 제3 접점(CP3)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탄성 지지 부재(220-2)의 제2 지지 부재(220b-2)의 상측 단자부(221)의 제2 접촉 단자부(221b)는 제1 감지 센서(170)의 제1-2 핀과 제4 접점(CP4)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탄성 지지 부재(220-2)의 제1 지지 부재(220a-2)의 하측 단자부(224)는 회로 기판(250)의 제2 패드부(252-2)의 패드들 중 어느 하나와 제7 접점(CP7)에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탄성 지지 부재(220-2)의 제2 지지 부재(220b-2)의 하측 단자부(224)는 회로 기판(250)의 제2 패드부(252-2)의 패드들 중 다른 어느 하나와 제8 접점(CP8)에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연결에 의해, 제1 감지 센서(170)의 제1-1 및 제1-2 핀은 제2 탄성 지지 부재(220-2)의 제1 및 제2 지지 부재(220a-2, 220b-2)를 통하여 회로 기판(250)과 연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감지 센서(170)의 제1-1 및 제1-2 핀으로부터 회로 기판(250)의 제2 패드부(252-2)까지의 통전 경로가 P1 및 P2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1 감지 센서(170)의 제2-1 및 제2-2 핀은 제1 및 제2 하측 탄성 부재(160a, 160b)를 경유하여 제3 탄성 지지 부재(220-3)를 통해 회로 기판(25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을 참조하면, 제1 감지 센서(170)의 제2-1 핀은 제5 접점(CP5)에서 제1 하측 탄성 부재(160a)의 일측인 제1-1 센서 접촉부(160a-1)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감지 센서(170)의 제2-2 핀은 제6 접점(CP6)에서 제2 하측 탄성 부재(160b)의 일측인 제2 센서 접촉부(160b-1)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3, 도 8 및 도 16을 참조하면, 제1 하측 탄성 부재(160a)의 제1-1 센서 접촉부(160a-1)는 외측 프레임(162)과 제1 하측 탄성 부재(160a)의 타측인 제1-2 센서 접촉부(160a-2)를 통해 제3 탄성 지지 부재(220-3)의 제1 지지 부재(220a-3)의 제2 접촉 단자부(221b)와 제9 접점(CP9)에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하측 탄성 부재(160b)의 일측인 제2-1 센서 접촉부(160b-1)는 외측 프레임(162)과 제2 하측 탄성 부재(160b)의 타측인 제2-2 접촉 단자부(160b-2)를 통해 제3 탄성 지지 부재(220-3)의 제2 지지 부재(220b-3)의 제2 접촉 단자부(221b)와 제10 접점(CP10)에서 연결될 수 있다.
제3 탄성 지지 부재(220-3)의 제1 지지 부재(220a-3)의 제2 접촉 단자부(221b)로부터 연장된 하측 단자부(224)는 회로 기판(250)의 제3 패드부(252-3)의 패드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탄성 지지 부재(220-3)의 제2 지지 부재(220b-3)의 제2 접촉 단자부(221b)로부터 연장된 하측 단자부(224)는 회로 기판(250)의 제3 패드부(252-3)의 패드들 중 다른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감지 센서(170)의 제2-1 및 제2-2 핀은 하부 탄성 부재(160)를 경유하여 제3 탄성 지지 부재(220-3)를 통해 회로 기판(250)과 연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감지 센서(170)의 제2-1 및 제2-2 핀으로부터 회로 기판(250)의 제3 패드부(252-3)까지의 통전 경로가 P3 및 P4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제1 감지 센서(170)의 제1-1 및 제1-2 핀을 회로 기판(250)에 연결시키는 제2 탄성 지지 부재(220-2)와, 제1 감지 센서(170)의 제2-1 및 제2-2 핀을 회로 기판(250)에 연결시키는 제3 탄성 지지 부재(220-3)는 서로 y축 방향으로 대칭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탄성 지지 부재(220-2)와 제3 탄성 지지 부재(220-3)는 하우징(140)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만일, 렌즈 구동 장치에서 지지 부재의 개수가 총 4개이고, 이들 중 2개의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제1 코일(120)로 전원을 공급할 경우, 회로 기판(250)에서 필요한 패드의 개수는 2개에 불과하다. 그러나, 실시 예에 의하면, 지지 부재의 개수가 총 8개이고, 이들 중에서 2개의 지지 부재는 제1 코일(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데 사용되고, 나머지 6개의 지지 부재들 중에서 4개의 지지 부재들은 제1 감지 센서(170)의 4개의 핀들과 회로 기판(250)을 연결하는 데 사용되므로 회로 기판(250)에서 필요한 패드의 개수는 6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 예에 의하면, 지지 부재들의 개수가 증가하였으므로, 회로 기판(250)에서 필요한 패드의 개수도 증가할 수 있으며, 단자(251)의 개수도 증가할 수 있다.
만일, 지지 부재의 개수가 4개일 경우에 회로 기판(250)에서 단자(251)의 개수가 14개이라면, 실시 예에 의한 회로 기판(250)에서 단자(251)의 개수는 18개 내지 20개가 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단자(251)의 개수에 국한되지 않는다.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에서 제1 내지 제4 탄성 지지 부재들(220-1, 220-2, 220-3, 220-4) 각각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할된 제1 및 제2 지지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탄성 지지 부재(220-1)를 이용하여 제1 코일(1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제1 탄성 지지 부재(220-1)의 제1 및 제2 지지 부재(220a-1, 220b-1)의 상측 단자부(221)는 하우징(140)의 동일한 측면에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지지 부재(220a-1)의 상측 단자부(221)는 제1 상부 탄성 부재(150a)의 제1 지지 부재 접촉부(150a-1)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220b-1)의 상측 단자부(221)는 제2 상부 탄성 부재(150b)의 제2 지지 부재 접촉부(150b-1)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탄성 지지 부재(220-1)와 상부 접촉 부재(150)는 하우징(140)의 일측면에서 솔더링에 의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어, 제1 및 제2 지지 부재 접촉부(150a-1, 150b-1)가 보빈(110)을 중심으로 서로 180°대향하여 대칭적으로 위치할 때보다 훨씬 제조 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다.
또한, 보빈(110)의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서, 렌즈 구동 장치가 제1 감지 센서(17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경우, 추가된 제1 감지 센서(170)를 위한 별도의 부재를 요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제1 감지 센서(170)는 통상 4개의 핀을 갖는데, 별도의 부재나 선로를 이용하지 않고 손떨림 보정을 위해 이용되는 탄성 지지 부재(220) 및 하부 탄성 부재(160)를 이용하여 4개의 핀과 회로 기판(250)을 연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의 제작 비용이 저렴하고 구조가 간단해 질 수 있다. 이는 제1 감지 센서(170) 이외에 렌즈 구동 장치의 동작을 돕기 위한 다른 디바이스를 추가적으로 배치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는 다양한 분야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휴대폰 등 모바일 기기 등에 적용 가능하다.
실시 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 렌즈 구동 장치의 보빈(110)과 결합되는 렌즈 배럴, 이미지 센서(미도시),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 회로 기판 및 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배럴은 전술한 바와 같고, 인쇄 회로 기판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부분으로부터 카메라 모듈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은 회로 기판(250)일 수 있으며, 회로 기판(250)과는 별도의 기판일 수 있다.
또한, 광학계는 이미지 센서에 화상을 전달하는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학계에는 오토 포커싱 기능과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하는 액츄에이터 모듈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보이스 코일 유닛 모터를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한다.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는 오토 포커싱 기능과 손떨림 보정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액츄에이터 모듈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은 적외선 차단 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는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빛이 입사됨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도 2에 예시된 베이스(210)에서, 이미지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외선 차단 필터가 설치될 수 있으며, 홀더 부재(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210)는 홀더 부재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210)에는 회로 기판(250)과의 통전을 위해 별도의 터미널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고, 표면 전극 등을 이용하여 터미널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베이스(210)는 이미지 센서를 보호하는 센서 홀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베이스(210)의 측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센서 홀더가 베이스(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르면, 제1 마그네트(130)를 공용하여 제1 및 제2 렌즈 구동 유닛(100, 200)의 오토 포커싱 동작과 손떨림 보정 동작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고, 하우징(140)의 무게를 줄여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오토 포커싱용 제1 마그네트와 손떨림보정용 제1 마그네트를 별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8은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하우징(140-1)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제1 상측 탄성 부재(150a') 및 제2 상측 탄성 부재(150b')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점선 부분(11) 내의 가이드 돌기(148')의 확대도를 나타내고, 도 22는 도 19에 도시된 점선 부분(11)의 가이드 돌기(148') 및 제1 및 제2 상측 탄성 부재들(150a', 150b')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3, 도 6, 및 도 9와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간략하게 하거나 생략한다.
도 18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하우징(140-1)은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148'), 가이드 돌기(148')의 일 측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홈(149a), 및 가이드 돌기(148')의 타측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홈(149b)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48')는 제1 가이드 돌기(148a') 및 제2 가이드 돌기(148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가이드 돌기(148)와 도 19에 도시된 가이드 돌기(148') 사이의 차이점은 가이드 돌기(148')는 제1 측면(148a-1, 148b-1)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단차부(16a-1, 16b-1), 및 제2 측면(148a-2, 148b-2)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단차부(16a-2, 16b-2)를 구비한다는 점이다. 제1 측면(148a-1, 148b-1)과 제2 측면(148a-2, 148b-2)은 반대 편의 측면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가이드 돌기(148a')는 제1 측면(148a-1)의 일 부분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단차부(16a-1), 및 제2 측면(148a-2)의 일 부분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단차부(16a-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되지 않은 제1 측면(148a-1)의 나머지 부분과 제1 단자부(16a-1) 간에는 수평 방향으로 제1 단차(SP1)가 존재할 수 있으며, 돌출되지 않은 제2 측면(148a-2)의 나머지 부분과 제2 단차부(16a-2) 간에는 수평 방향으로 제2 단차(SP2)가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 방향은 단차면(17a, 17b)과 평행한 방향, 또는 제1 및 제2 가이드 홈들(149a 149b)의 바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제1 단차부(16a-1)는 돌출되지 않은 제1 측면(148a-1)의 나머지 부분과 접하는 제1 단차면(17a)을 가질 수 있고, 제2 단차부(16a-2)는 돌출되지 않은 제2 측면(148a-2)의 나머지 부분과 접하는 제2 단차면(17b)을 가질 수 있다.
댐핑 부재(DA:DA1 내지 DA4)는 가이드 돌기(148')의 측면(148a-1,148a-2)과 제1 내지 제4 댐핑 접촉부들(151-1 내지 15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댐핑 부재(DA1)는 제1 가이드 돌기(148a')의 제1 측면(148a-1)과 제1 댐핑 접촉부(15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가이드 돌기(148a')의 제1 측면(148a-1)과 제1 상측 탄성 부재(150a')의 제1 댐핑 접촉부(151-1)와 접할 수 있다. 또한 댐핑 부재(DA2)는 제1 가이드 돌기(148a')의 제2 측면(148a-2)과 제2 탄성 부재의 제3 댐핑 접촉부(15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가이드 돌기(148a')의 제2 측면(148a-2)과 제3 댐핑 접촉부(151-3)와 접할 수 있다.
도 21에서는 돌출되지 않은 제1 측면(148a-1)의 나머지 부분과 제1 단차면(17a)이 이루는 제1 각도가 수직일 수 있으나, 실시 예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각도는 예각 또는 둔각일 수 있다.
제2 가이드 돌기(148b')도 상술한 제1 가이드 돌기(148a')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단차면들(17a, 17b)은 제1 가이드 돌기(148a')와 댐핑 접촉부들(150-1,150-3) 사이, 및 제2 가이드 돌기(148b')와 댐핑 접촉부들(150-2, 150-4) 사이에 도포된 댐핑 물질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단차면들(17a, 17b)에 의하여 제1 가이드 돌기(148a')의 측면과 댐핑 접촉부들(150-1,150-3) 사이, 및 제2 가이드 돌기(148b')의 측면과 댐핑 접촉부들(150-2,152-4) 사이에 댐핑 부재(DA1, DA2)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제1 및 제2 상측 탄성 부재들(150a',150b')과 도 9에 도시된 제1 및 제2 상측 탄성 부재들(150a,150b)이 다른 점은 제1 상측 탄성 부재(150a')의 일단 및 타단에는 제1 가이드 돌기(148a')의 제1 및 제2 단차부들(16a-1, 16a-2)과 대응하는 홈(15-1, 15-2)이 형성된다는 점이다.
예컨대, 제1 상측 탄성 부재(150a')의 내측 프레임의 일단에는 제1 가이드 돌기(148a')의 제1 단차부(16a-1)와 대응하는 제1 홈(15-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가이드 돌기(148a')의 제1 단차부(16a-1)는 제1 홈(15-1)에 삽입 또는 배치되거나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1 상측 탄성 부재(150a')의 내측 프레임의 타단에는 제2 가이드 돌기(148b')의 제1 단차부와 대응하는 제2 홈(15-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 돌기(148b')의 제1 단차부는 제2 홈(15-2)에 삽입 또는 배치되거나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2 상측 탄성 부재(150b')의 내측 프레임의 일단에는 제1 가이드 돌기(148a')의 제2 단차부(16a-2)와 대응하는 제3 홈(15-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가이드 돌기(148a')의 제2 단차부(16a-2)는 제3 홈(15-3)에 삽입 또는 배치되거나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2 상측 탄성 부재(150b')의 내측 프레임의 타단에는 제2 가이드 돌기(148b')의 제2 단차부와 대응하는 제4 홈(15-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 돌기(148b')의 제2 단차부는 제4 홈(15-4)에 삽입 또는 배치되거나 끼워질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 돌기들(148a', 148b')의 제1 및 제2 단차부들(16a-1, 16a-2)이 제1 내지 제4 홈들(15-1 내지 15-4)에 끼워짐으로써, 제1 및 제2 상측 탄성 부재들(150a'150b')의 댐핑 접촉부들(150-1 내지 150-4)은 가이드 돌기들(148a', 148b')의 제1 및 제2 측면들(148a-1, 148a-2)의 나머지 부분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3은 도 19에 도시된 댐핑 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23을 참조하면, 도 22와 비교할 때, 댐핑 부재(DA)는 가이드 돌기(148')의 측면(148a-1,148a-2)과 제1 내지 제4 댐핑 접촉부들(151-1 내지 151-4) 사이에 배치됨은 물론 제1 단차면(17a), 및 제2 단차면(17b) 상에도 배치될 수 있고, 제1 단차면(17a), 및 제2 단차면(17b)에 접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댐핑 부재(DA1)는 제1 가이드 돌기(148a')의 제1 측면(148a-1), 제1 상측 탄성 부재(150a)의 제1 댐핑 접촉부(151-1), 및 제1 가이드 돌기(148a')의 제1 단차면(17a)에 접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단차면들(17a,17b)은 댐핑 물질이 가이드 돌기(148a', 148b')의 측면 밖으로 유출되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댐핑 부재(DA)가 가이드 돌기(148a',148b')의 측면(148a-1, 148a-2)과 제1 내지 제4 댐핑 접촉부들(151-1 내지 151-4) 사이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댐핑 부재(DA2)는 제1 가이드 돌기(148a')의 제2 측면, 제2 상측 탄성 부재(150b)의 제3 댐핑 접촉부(151-3), 및 제1 가이드 돌기(148a')의 제2 단차면(17b)에 접할 수 있다.
제3 댐핑 부재(DA3)는 제2 가이드 돌기(148b')의 제1 측면(148a-1), 제1 상측 탄성 부재(150a)의 제2 댐핑 접촉부(151-2), 및 제2 가이드 돌기(148b')의 제1 단차면(17a)에 접할 수 있다.
제4 댐핑 부재(DA4)는 제2 가이드 돌기(148b')의 제2 측면, 제2 상측 탄성 부재(150b)의 제4 댐핑 접촉부(151-4), 및 제2 가이드 돌기(148b')의 제2 단차면(17b)에 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 렌즈 구동 유닛 200: 제2 렌즈 구동 유닛
110: 보빈 120: 제1 코일
130: 제1 마그네트 140: 하우징
144: 상측 프레임 지지 돌기 145: 하측 프레임 지지 돌기
147: 결합 돌기 148: 가이드 돌기
150a: 제1 상부 탄성 부재 150b: 제2 상부 탄성 부재
150a-1: 제1 지지 부재 접촉부 150b-1: 제2 지지 부재 접촉부
149a: 제1 가이드 홈 149b: 제2 가이드 홈
160: 하부 탄성 부재 160a-1, 160a-2: 제1 센서 접촉부
160b-1, 160b-2: 제2 센서 접촉부 170: 제1 감지 센서
180: 제2 마그네트 182: 자장 보상용 금속
210: 베이스 211: 단턱
214: 지지 부재 안착홈 215: 제2 감지 센서 안착홈
220: 탄성 지지 부재 220a-1 내지 220a-4: 제1 지지 부재
220b-1 내지 220b-4: 제2 지지 부재 221: 상측 단자부
221a: 제1 접촉 단자부 221b: 제2 접촉 단자부
222, 223, 225: 탄성 변형부 224: 하측 단자부
230: 제2 코일 240: 제2 감지 센서
250: 회로 기판 251: 단자
253: 단자면 300: 커버 부재.

Claims (12)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광축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보빈;
    상기 보빈의 상면과 결합되는 내측 프레임,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결합되는 외측 프레임, 및 상기 내측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상측 탄성 부재;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상측 탄성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댐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댐핑 부재는 상기 가이드 돌기 및 상기 상측 탄성 부재의 일부와 결합되고,
    상기 댐핑 부재는 상기 외측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부재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제1 측면 및 상기 상측 탄성 부재의 상기 일부에 접착되는 렌즈 구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의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한 렌즈 구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상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댐핑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이드 홈 내에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의 상면은 상기 상측 탄성 부재의 상기 일부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하는 렌즈 구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부재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상기 상면과 상기 가이드 홈의 바닥면 사이에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탄성 부재의 상기 일부는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렌즈 구동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부재는 실리콘 재질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네트; 및
    상기 보빈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마그네트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보빈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코일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아래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 아래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하우징을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 지지 부재; 및
    상기 제1 마그네트와의 전기적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코일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부재는 상기 탄성 지지 부재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
  12.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이미지 센서; 및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210124060A 2014-08-14 2021-09-16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432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060A KR102432738B1 (ko) 2014-08-14 2021-09-16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220099159A KR20220116116A (ko) 2014-08-14 2022-08-09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682A KR102305996B1 (ko) 2014-08-14 2014-08-14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210124060A KR102432738B1 (ko) 2014-08-14 2021-09-16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682A Division KR102305996B1 (ko) 2014-08-14 2014-08-14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9159A Division KR20220116116A (ko) 2014-08-14 2022-08-09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928A KR20210119928A (ko) 2021-10-06
KR102432738B1 true KR102432738B1 (ko) 2022-08-18

Family

ID=5530208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682A KR102305996B1 (ko) 2014-08-14 2014-08-14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210124060A KR102432738B1 (ko) 2014-08-14 2021-09-16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220099159A KR20220116116A (ko) 2014-08-14 2022-08-09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682A KR102305996B1 (ko) 2014-08-14 2014-08-14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9159A KR20220116116A (ko) 2014-08-14 2022-08-09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7) US9575329B2 (ko)
KR (3) KR102305996B1 (ko)
CN (1) CN1053727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61256A (zh) 2013-05-29 2022-09-16 Lg伊诺特有限公司 镜头驱动装置、照相机模块和移动电话
JP2016537665A (ja) 2014-01-22 2016-12-0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のオートフォーカス方法
US9791713B2 (en) * 2014-07-24 2017-10-17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KR102305996B1 (ko) 2014-08-14 2021-09-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2114467B (zh) * 2015-01-20 2022-06-14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摄影机模块及光学设备
KR102311663B1 (ko) 2015-03-18 2021-10-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204481665U (zh) * 2015-04-20 2015-07-15 新科实业有限公司 音圈马达
KR102542645B1 (ko) 2015-08-18 2023-06-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CN108027493B (zh) 2015-09-08 2021-08-13 Lg伊诺特有限公司 双相机模块及光学装置
CN108781256B (zh) 2016-03-09 2020-08-11 Lg 电子株式会社 控制相机模块的自动聚焦的装置和方法
CN109073857B (zh) * 2016-05-09 2021-12-17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及光学装置
TWI636313B (zh) * 2016-05-10 2018-09-2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鏡頭系統
KR20170126760A (ko) 2016-05-10 2017-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오토 포커스 방법
JP6697965B2 (ja) * 2016-06-28 2020-05-27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KR102617338B1 (ko) * 2016-10-05 2023-12-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102612540B1 (ko) * 2016-10-05 2023-12-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EP3525040B1 (en) * 2016-10-05 2021-06-02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US11099351B2 (en) 2016-10-24 2021-08-24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8100646A1 (ja) * 2016-11-29 2018-06-07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US10641984B2 (en) * 2016-12-23 2020-05-05 Tdk Taiwan Corp. Driving mechanism
US11275229B2 (en) 2017-02-24 2022-03-15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CN111095095B (zh) * 2017-08-01 2022-08-19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移动装置及包括透镜移动装置的摄像头模块和光学装置
EP3677941A4 (en) 2017-08-30 2021-06-02 LG Innotek Co., Ltd. LENS CONTROL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WITH IT
WO2019045339A1 (ko) * 2017-08-30 2019-03-07 엘지이노텍(주)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CN107561827B (zh) * 2017-10-30 2021-06-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自动对焦装置及电子设备
KR102476403B1 (ko) * 2017-11-30 2022-12-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CN111566557B (zh) * 2017-12-19 2022-07-29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及相机模块
USD902980S1 (en) * 2018-01-12 2020-11-24 Tdk Taiwan Corp. Driving unit for a camera lens
KR102470853B1 (ko) * 2018-01-31 2022-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7021434B2 (ja) * 2018-02-05 2022-02-17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TWI660229B (zh) * 2018-03-08 2019-05-2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鏡頭驅動模組、攝影系統與手機裝置
US11314037B2 (en) * 2018-05-11 2022-04-26 Tdk Taiwan Corp. Optical member driving mechanism
US11796348B2 (en) * 2018-05-11 2023-10-24 Tdk Taiwan Corp. Optical driving mechanism
TWI698693B (zh) 2018-12-28 2020-07-1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鏡頭驅動模組及電子裝置
CN117292926A (zh) * 2019-05-03 2023-12-26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线圈模块
WO2020243865A1 (zh) * 2019-06-01 2020-12-10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一种潜望式镜头模组及应用于潜望式镜头模组的棱镜装置
US20220317188A1 (en) * 2019-09-10 2022-10-06 Ls Electric Co., Ltd. Contact monitoring device for vacuum circuit breaker and vacuum circuit breaker having same
KR102270571B1 (ko) * 2019-10-11 2021-06-29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카메라 구동모듈
KR102290030B1 (ko) * 2019-12-16 2021-08-17 자화전자(주)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CN111163253A (zh) * 2020-02-19 2020-05-15 新思考电机有限公司 一种音圈马达底座、音圈马达及摄像头模组
TWI728769B (zh) 2020-03-31 2021-05-2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鏡頭驅動模組與電子裝置
TWI704385B (zh) 2020-05-20 2020-09-1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鏡頭驅動模組與電子裝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8477A (ja) * 2010-10-19 2012-05-10 Shicoh Engineeri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モバイル端末装置
JP2013210550A (ja) * 2012-03-30 2013-10-10 Mitsumi Electric Co Ltd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2055B1 (ko) * 1993-03-30 2001-02-15 이데이 노부유끼 전자구동장치 및 전자구동장치를 이용한 포커스 제어장치
EP2690765B1 (en) * 2006-12-13 2020-05-06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CN101038361A (zh) * 2007-04-27 2007-09-19 金仁召 透镜驱动装置
CN102016708B (zh) * 2008-04-30 2013-07-31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带抖动修正功能的光学单元
JP5846346B2 (ja) * 2009-08-21 2016-01-2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の手振れ補正装置
US7881598B1 (en) * 2009-12-03 2011-02-01 Tdk Taiwan Corporation Anti-shake auto-focus modular structure
JP5489747B2 (ja) * 2010-01-26 2014-05-1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5593118B2 (ja) * 2010-04-30 2014-09-1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KR101713329B1 (ko) * 2010-07-21 2017-03-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130268B1 (ko) * 2010-09-13 2012-03-26 주식회사 하이소닉 소형 카메라 장치
KR101164755B1 (ko) * 2010-11-02 2012-07-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JP5821356B2 (ja) 2011-07-15 2015-11-2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US9151963B2 (en) * 2011-08-24 2015-10-06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holder driving device including damper compound suppressing undesired resonance
US8817116B2 (en) * 2011-10-28 2014-08-26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KR101300341B1 (ko) * 2011-12-05 2013-08-2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2013061678A (ja) * 2012-12-17 2013-04-04 Shicoh Engineeri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携帯電話
KR102305996B1 (ko) 2014-08-14 2021-09-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8477A (ja) * 2010-10-19 2012-05-10 Shicoh Engineeri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モバイル端末装置
JP2013210550A (ja) * 2012-03-30 2013-10-10 Mitsumi Electric Co Ltd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413256A1 (en) 2022-12-29
US11880089B2 (en) 2024-01-23
US20240094499A1 (en) 2024-03-21
US20190179105A1 (en) 2019-06-13
KR20160020692A (ko) 2016-02-24
KR20210119928A (ko) 2021-10-06
US20180196220A1 (en) 2018-07-12
CN105372785A (zh) 2016-03-02
US20210026099A1 (en) 2021-01-28
US11460661B2 (en) 2022-10-04
US20170139179A1 (en) 2017-05-18
KR102305996B1 (ko) 2021-09-28
KR20220116116A (ko) 2022-08-22
US20160048033A1 (en) 2016-02-18
US10816754B2 (en) 2020-10-27
CN105372785B (zh) 2020-05-12
US10247904B2 (en) 2019-04-02
US9575329B2 (en) 2017-02-21
US9946049B2 (en) 201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2738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413097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421070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2159746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2209033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559545B1 (ko) 렌즈 구동 장치
US9964775B2 (en) Lens moving apparatus
KR102295715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20220098330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638228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374075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006770A (ko) 렌즈 구동장치
KR102386927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과 스마트폰
KR102355999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525237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과 스마트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